KR101491503B1 - Prefabricated construction structure - Google Patents
Prefabricated construction struc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91503B1 KR101491503B1 KR20130091606A KR20130091606A KR101491503B1 KR 101491503 B1 KR101491503 B1 KR 101491503B1 KR 20130091606 A KR20130091606 A KR 20130091606A KR 20130091606 A KR20130091606 A KR 20130091606A KR 101491503 B1 KR101491503 B1 KR 10149150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rtical
- members
- roof
- horizontal
- pip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26—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longitudinal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1/1903—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2—Dwelling houses; Buildings for temporary habitation, e.g. summer houses
- E04H1/04—Apartment houses arranged in two or more lev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립식 건축 구조물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현장여건에 맞게 확장 변경이 용이한 조립식 건축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building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efabricated building structure that is easy to expand and change in accordance with a site condition.
종래 재난 재해 지역에 시공되는 시공되는 재난 구호용 주택은 주로 컨테이터를 사용하여 제작하거나 기설정된 크기로 제작된 패널을 조립하여 이루어진 조립식 건축물이 사용된다. The disaster rescue houses constructed in the past disaster area are mainly constructed using containers or assembled panels made by assembling panels of predetermined sizes.
그런데, 이러한 컨테어너 건물이나 패널을 이용한 조립건축물은, 크기가 일정하게 정해져 있으므로, 급격하게 변동하는 현장의 여건에 맞게 가변적으로 설치하기 어렵고, 확장 및 변경이 어려워 효율적인 사용에 어려움이 많은 실정이다. However, since the size of the assembled building using the container house or the panel is fixedly set, it is difficult to be installed in a variable manner in accordance with the circumstances of the rapidly varying site, and it is difficult to expand and change it, .
또한, 재난 현장의 재해로 인해 차량의 진입이 어려운 경우가 많으므로, 큰 사이즈의 컨테이너나 부품을 현장으로 이송하기 어렵고, 중장비가 접근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주택용 건축물을 시공하는데에도 많은 어려움이 있다.In addition, since it is difficult to enter a vehicle due to a disaster at a disaster site, it is difficult to transport a large-sized container or part to a site, and it is difficult to approach a heavy equipment. .
아울러, 재난현장의 복구작업에 상당시간이 소요될 수 있으므로, 재해민들은 견고한 재난 구호용 주택이 필요한 실정이다.
In addition, since it may take a long time to recover the disaster site, disaster-affected people need a solid housing for disaster relief.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 측면은, 중장비 없이도 용이하게 설치가능하고, 현장여건에 맞게 건축구조물의 크기를 확장, 변경하기 용이한 조립식 건축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efabricated building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without heavy equipment and is easy to expand and change the size of a building according to the site conditions .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써, 부품을 패키지화하여 장거리로 운송하기 용이하여 해외에 수출하기 용이하며, 사용후 해체 및 이동이 용이하고 부품의 재사용이 가능한 조립식 건축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building which can be easily packaged and transported over a long distance, is easily exported to overseas, is easy to disassemble and move after use, and can be reus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복수 개가 두 개의 열로 배열되되, 일측 열에 이격되게 복수로 설치되는 수직부재;와, 동일한 열에 배열된 상기 복수의 수직부재 사이에 결합되는 복수의 단위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복수의 단위부재가 일직선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수평부재; 및, 상기 복수의 수직부재의 상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수직부재 상부에 연결부재를 매개로 설치되는 복수의 지붕부재;를 포함하는 조립식 건축 구조물을 제공한다.Technical Solutio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a vertical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rows arranged in two columns, the plurality of columns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horizontal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unit members, the plurality of unit members being installed so as to extend in a straight line; And a plurality of roof members provid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upper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vertical members and installed on the vertical members via connecting members.
바람직하게, 상기 수평부재의 단위부재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단부와 상기 수직부재에 접합되어 상기 수평부재를 상기 수직부재에 결합시키기 용이하게 구비된 앵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unit member of the horizontal member may include a main body, and both ends of the main body and an angle member, which is joined to the vertical member and is easy to engage the horizontal member with the vertical member.
바람직하게, 상기 앵글부재는, 상기 수직부재에 면접촉되게 ㄱ 자 형태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angle member may be bent in a shape of a letter so as to b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vertical member.
바람직하게, 상기 수평부재는, 상기 수직부재의 하단부를 연결하며, 바닥면에 복수로 배열되는 조이스트가결합 설치되는 하부 빔부재; 및, 상기 수직부재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상부 빔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horizontal member includes a lower beam member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vertical member and coupled with a plurality of jaws arranged on the floor surface, And an upper beam member connecting upper ends of the vertical members.
바람직하게, 상기 수평부재는, 상기 하부 빔부재와 상기 상부 빔부재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직부재의 중간부를 연결하며, 복수로 배열되는 조이스트가 결합 설치되는 중간 빔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horizontal member may further include an intermediate beam member connecting th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vertical member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lower beam member and the upper beam member and having a plurality of arranged joists.
바람직하게, 상기 수직부재와 상기 지붕부재는, 전기 설비용 배관 또는 전선이 수용되어 설치되도록 상기 수직부재 내부의 길이방향 또는 상기 지붕부재 내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배관홀부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vertical member and the roof member may include a pipe hol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rtical member o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of member so as to receive and install piping or electric wires for electrical equipment.
바람직하게, 상기 수직부재와 상기 지붕부재는, 제1배관홈을 구비한 제1웨브;와, 상기 제1웨브 양단에 상기 제1배관홈이 형성된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제1플랜지;를 구비한 제1부재; 및, 상기 제1배관홈에 대칭되는 제2배관홈을 구비하며 상기 제1웨브에 접합되는 제2웨브;와, 상기 제2웨브 양단에 절곡 형성된 제2플랜지;를 구비하여 상기 제1부재에 서로 대칭되게 결합되는 제2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제1배관홈과 상기 제2배관홈으로 이루어진 배관홀부가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vertical member and the roof member include: a first web having a first pipe groove; and a first flange formed at both ends of the first web, the first flange being ben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pipe groove is formed 1 member; And a second flange which is bent at both ends of the second web, the second flange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flange, the second flange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flange, And a second member that is symmetrically joined to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wherein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re coupled to form a pipe hole portion including the first pipe groove and the second pipe groove.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지붕부재 및 수직부재에 대응되는 단면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재와 상기 지붕부재가 이루는 각도로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connecting member is formed to have a cross-section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roof member and the vertical member, and may be bent at an angle formed by the vertical member and the roof member.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부재는, 길이방향으로 홈부가 형성된 제1브라켓; 및, 상기 제1브라켓과 동일한 단면을 형성되며, 상기 제1브라켓과 서로 맞대어 대칭으로 접합됨으로써 홀부를 형성하는 제2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onnecting member includes: a first bracket having a longitudinal groove; And a second bracket having the same cross section as the first bracket and forming a hole by symmetrically joining the first bracket and the first bracket.
바람직하게, 연결부재는, 상기 수직부재와 상기 지붕부재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 및, 상기 지붕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onnecting member includes: a first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vertical member and the roof member;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roof members.
바람직하게, 상기 수직부재에 횡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도록, 상기 수직부재 사이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경사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vertical member may further include an inclined member provided between the vertical members so as to support a load applied to the vertical member in a transverse direction.
바람직하게, 상기 수직부재는, 상기 수직부재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경사부재의 단부가 수용되어 결합되는 개방된 수용부를 구비한 보강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vertical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reinforcing rib protru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rtical member and having an opened receiving portion to which the end portion of the inclined member is received and coupled.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건축 구조물에 의하면,건축구조물을 구성하는 부재를, 서로 조립 연결되도록 복수로 구성된 수직부재와 수평부재 및 지붕부재로 부품화함으로써, 중장비 없이도 용이하게 설치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수평부재는 일체로 된 대들보가 아닌, 복수의 단위부재로 분절된 부품으로 제작되므로, 확장이 필요하면 길이방향으로 필요한 개수의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를 설치함으로써, 현장여건에 맞게 건축구조물의 크기를 확장, 변경하기 용이한 우수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fabricated build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mbers constituting the building structure are constituted by a plurality of vertical members, a horizontal member and a roof member so as to be assembled and connected to each other, Effect can be obtained. Particularly,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orizontal member is manufactured not as an integral girder but as a part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unit members, by providing the necessary number of vertical members and horizontal member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xcellent effect that is easy to expand and change the size of the building structure in accordance with the site conditions.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건축구조물을 이루는 부재를 복수의 부재로 분절하여 부품화함으로써 부재의 크기를 소형화하여, 부재를 시공현장으로 운송시에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부품을 패키지화하여 장거리로 운송하기 용이하여 해외에 수출하기 용이하며, 사용후 해체 및 이동이 용이하고 부품의 재사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mber constituting the building structur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members, thereby miniaturizing the size of the member, thereby reducing the volume of the member when it is transported to the construction site. Therefore, it is easy to package parts and transport them over long distances, and it is easy to export them to overseas, and it is easy to disassemble and move after use and reuse of parts is advantageous.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재난 구조용 주택 시공시에,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재난 현장에서, 중장비 없이도 건축구조물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부품의 운반과 현장 조립이 용이하며, 복수의 수직부재와 분절된 복수의 수평부재를 현장여건에 맞게 개수를 조절하여 설치함으로써, 현장여건에 맞게 폭과 넓이를 조절할 수 있어 유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install the building structure in a disaster site where the accessibility is not easy at the time of construction of the disaster rescue housing, without heavy equipment, By arranging the vertical member and the plurality of horizontal members that are separated and arranged in accordance with the field conditions, the width and the width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te conditions, thereby providing an advantageous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건축 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건축 구조물에 적용되는 수평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건축 구조물에 적용되는 수직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건축 구조물의 수평부재와 수직부재와 경사부재와 지붕부재의 결합부위를 도시한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건축 구조물에 적용되는 연결부재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6b는 도 6a의 연결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f)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건축 구조물의 시공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refabricated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orizontal member applied to a prefabricated building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vertical member applied to a prefabricated building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lan view of Fig. 3. Fig.
5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joining portion of a horizontal member, a vertical member, an inclined member, and a roof member of a prefabricated building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ng member applied to a prefabricated building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B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member of FIG. 6A is engaged.
7 (a) to 7 (f)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construction process of a prefabricated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인 조립식 건축 구조물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First,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embodiments suitable for understanding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the prefabricated build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or explained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건축 구조물(100)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수직부재(200)와, 수평부재(300)와, 지붕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상기 수직부재(200)는, 복수 개가 두 개의 열로 배열되되, 일측 열에 이격되게 복수로 설치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the
즉,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상기 수직부재(200)는 하나의 열에는 복수 개가 이격되게 설치되고, 두 개의 열이 대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at is, a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a plurality of the
이때, 현장의 여건에 따라, 상기 수직부재(200)의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건축구조물의 크기를 확장,변경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ize of the building structure can be enlarged or changed by adjusting the number of the
한편, 상기 수평부재(300)는, 동일한 열에 배열된 상기 복수의 수직부재(200) 사이에 결합되는 복수의 단위부재(310)를 구비하되, 상기 복수의 단위부재(310)가 일직선으로 연장되게 설치될 수 있다. The
즉, 상기 수평부재(300)는 바닥 또는 각층을 이루도록 수직부재(200)에 설치되되, 일체로 된 부재가 아닌, 상기 수직부재(200)들 사이에 설치되는 단위부재(310)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부재(200)는 상기 단위부재(310)들을 통해 연결되고 고정될 수 있다. That is, the
한편, 상기 지붕부재(400)는, 상기 복수의 수직부재(200)의 상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수직부재(200) 상부에 연결부재(500)를 매개로 설치될 수 있다. The
즉,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상기 지붕부재(400)는 상기 수직부재(200)의 상부에 연결되며, 경사지게 설치되는 래프터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500)는, 상기 수직부재(200)와 상기 지붕부재(400) 사이 또는 상기 지붕부재(400)와 상기 지붕부재(40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That is, as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건축 구조물(100)은, 건축구조물을 구성하는 부재를, 서로 조립 연결되도록 복수로 구성된 수직부재(200)와 수평부재(300) 및 지붕부재(400)로 부품화함으로써, 중장비 없이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수평부재(300)는 일체로 된 대들보가 아닌, 복수의 단위부재(310)로 분절된 부품으로 제작되므로, 확장이 필요하면 길이방향으로 필요한 개수의 수직부재(200)와 수평부재(300)를 설치함으로써, 현장여건에 맞게 건축구조물의 크기를 확장, 변경하기 용이한 우수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Particularly,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건축구조물을 이루는 부재를 복수의 부재로 분절하여 부품화함으로써 부재의 크기를 소형화함으로써, 부재를 시공현장으로 운송시에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부품을 패키지화하여 장거리로 운송하기 용이하며 해외에 수출하기 용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volume of the member can be reduced when the member is transported to the construction site by dividing the member constituting the building structure into a plurality of members, thereby miniaturizing the size of the member. Therefore, it is easy to package parts and transport them over long distances, and it can be easily exported to overseas.
또한, 상기 부재들을 부품화하여 소형화로 제작하며, 조립설치가 용이하므로, 사용후 해체 및 이동이 용이하고 부품의 재사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Further, since the members are made into parts by miniaturization and can be easily assembled and install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y can be easily disassembled and moved after use, and parts can be reused.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건축 구조물(100)은 재난구조용 주택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유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축구조물을 재난 구호 주택으로 사용하면,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재난 현장에서, 중장비 없이도 건축구조물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부품의 운반과 현장 조립이 용이하며, 복수의 수직부재(200)와 분절된 복수의 수평부재(300)를 현장여건에 맞게 개수를 조절하여 설치함으로써, 현장여건에 맞게 폭과 넓이를 조절할 수 있어 유리하다. Therefore, for example, the
다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건축 구조물(100)은 재난 구조 현장에 사용되는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용도의 건축물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However, the
한편,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상기 수평부재(300)의 단위부재(310)는, 본체(311)와, 상기 본체(311)의 양단부와 상기 수직부재(200)에 접합되어 상기 수평부재(300)를 상기 수직부재(200)에 결합시키기 용이하게 구비된 앵글부재(312)를 포함할 수 있다. 2, the
이에 따라, 상기 수평부재(300)는,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상기 앵글부재(312)를 통해 상기 수직부재(200)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한편, 상기 앵글부재(312)는, 상기 수직부재(200)에 면접촉되게 ㄱ 자 형태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즉, 상기 앵글부재(312)는, ㄱ 자 형상으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단위부재(310)의 단부와 상기 수직부재(200)의 외주면에 접합되기 용이할 수 있다. That is, the
한편, 상기 수평부재(300)는, 상기 수직부재(200)의 하단부를 연결하며, 바닥면에 복수로 배열되는 조이스트(320)가 결합 설치되는 하부 빔부재(330)와, 상기 수직부재(200)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상부 빔부재(35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즉, 상기 하부 빔부재(330)는 상기 수직부재(200)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조이스트(320)는 상기 하부 빔부재(330)에 연결됨으로써, 바닥판을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특히 바닥정지작업이 어려운 재난 현장에서 상기 하부 빔부재(330)와 상기 조이스트(320)를 통해 편평한 1층 바닥을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That is, the
또한, 상기 상부 빔부재(350)는, 상기 하부 빔부재(330)와 같은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수직부재(200)의 상단부를 연결함으로써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The
한편, 상기 수평부재(300)는, 상기 하부 빔부재(330)와 상기 상부 빔부재(35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직부재(200)의 중간부를 연결하며, 복수로 배열되는 조이스트(320)가 결합 설치되는 중간 빔부재(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즉, 상기 건축구조물을 복수의 층으로 구성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수직부재(200)의 중간지점에 상기 중간 빔부재(340)를 연결하고, 상기 중간 빔부재(340)에 조이스트(320)를 연결함으로써 2층 바닥을 형성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building structure is to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layers, the
일반적으로 재난 구조용 주택은 저층으로 이루어지며, 현장 여건에 따라, 공간의 확장이 필요하게 되므로, 필요에 따라, 수직부재(200)에 중간 빔부재(340)를 연결함으로써 공간을 확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간 빔부재(340)는 복수로 형성되어 상기 건축구조물을 3개층 이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In general, a disaster residential building is formed as a low-rise building, an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pace according to the site conditions, so that the space can be expanded by connecting the
한편, 상기 수직부재(200)와 상기 지붕부재(4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전기 설비용 배관 또는 전선이 수용되어 설치되도록 상기 수직부재(200) 내부의 길이방향 또는 상기 지붕부재(4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배관홀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3 and 4, the
이에 따라, 배관홀부(250) 내부에 전기 및 설비를 위한 배관을 설치하거나 전선을 설치함으로써, 별도의 배관을 벽체에 따로 설치할 필요없이 전기 및 설비 배선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배관설치작업이 생략되어 공사비가 절약되고 현장 시공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Thus, by installing piping for electricity and equipment inside the
설비 배관이나 전선이 상기 수직부재(200)와 상기 지붕부재(400) 내부로 삽입되어 설치되므로, 벽체 내부에 단열재나 흡읍재 등의 내장재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시공성이 향상되며 작업시간이 단축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Since the installation pipe and the electric wire are inserted into the
여기서, 상기 수직부재(200)와 상기 지붕부재(4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부재(210)와 제2부재(230)로 구성될 수 있다. Here, the
상기 제1부재(210)는, 제1배관홈(213)을 구비한 제1웨브(211)와, 상기 제1웨브(211) 양단에 상기 제1배관홈(213)이 형성된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제1플랜지(215)를 구비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제2부재(230)는, 상기 제1배관홈(213)에 대칭되는 제2배관홈(233)을 구비하며 상기 제1웨브(211)에 접합되는 제2웨브(231)와, 상기 제2웨브(231) 양단에 절곡 형성된 제2플랜지(235)를 구비하여 상기 제1부재(210)에 서로 대칭되게 결합될 수 있다. The
그리고, 상기 제1부재(210)와 상기 제2부재(230)가 결합되어 상기 제1배관홈(213)과 상기 제2배관홈(233)으로 이루어진 배관홀부(250)가 형성될 수 있다. The
상기와 같이, 상기 수직부재(200)와 상기 지붕부재(400)에 배관홀부(250)를 형성할 때, 폐단면이 아닌, 개방부 형성된 홈이 구비된 두 개의 부재를 결합하여 형성하므로, 상기 수직부재(200)와 상기 지붕부재(400) 내부에 배관홀부(250)를 형성하기 용이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또한, 상기 제1배관홈(213)과 상기 제2배관홈(233)으로 인해 상기 제1웨브(211)와 상기 제2웨브(231)의 강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한편, 도 5 내지 도 6b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부재(500)는, 상기 지붕부재(400) 및 수직부재(200)에 대응되는 단면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재(200)와 상기 지붕부재(400)가 이루는 각도로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5 to 6B, the connecting
즉, 상기 지붕부재(400)를 구성하는 래프터는 상기 수직부재(200)에 대해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연결부재(500)가 상기 지붕부재(400)가 설치되는 각도로 절곡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지붕부재(400)를 소정의 각도로 절곡시켜 설치하기 용이할 수 있다. That is, the rafter constituting the
또한, 상기 연결부재(500)의 단면형상이 상기 수직부재(200) 및 상기 지붕부재(400)에 대응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연결부재(500)와 상기 수직부재(200) 및 상기 지붕부재(400) 간의 접합이 용이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The connecting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부재(500)는, 길이방향으로 홈부(511)가 형성된 제1브라켓(510)과, 상기 제1브라켓(510)과 동일한 단면을 형성되며, 상기 제1브라켓(510)과 서로 맞대어 대칭으로 접합됨으로써 홀부(550)를 형성하는 제2브라켓(53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nnecting
즉, 상기 연결부재(500)는, 제1브라켓(510)과 상기 제2브라켓(530)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이중부재로 이루어져 연결부재(500)의 설치가 용이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수직부재(200)의 배관홀부(250)에 대응되게 홀부(550)를 형성하되 폐단면이 아닌 개방부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므로 제작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That is, the
또한, 상기 연결부재(500)의 홀부(550)를 통해, 상기 수직부재(200)와 상기 지붕부재(400)의 내부에 설치된 배관이나 전선을 상기 홀부(550)로 관통시킬 수 있으므로, 전기 및 설비 시설의 설치가 용이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Since the pipe member or the electric wire installed inside the
한편, 상기 연결부재(500)는, 상기 수직부재(200)와 상기 지붕부재(400)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500a)와, 상기 지붕부재(400) 사이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500b)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necting
이때, 상기 제1연결부(500a)와 상기 제1연결부(500a)는 모두 절곡되게 형성되어, 상기 건축구조물의 형상을 형성하기 용이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한편,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상기 수직부재(200)에 횡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도록, 상기 수직부재(200) 사이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경사부재(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1 and 5, an
즉, 상기 경사부재(600)는, 상기 수직부재(200)와 상기 수평부재(300)가 이루는 사각 틀 안에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That is, the
이에 따라, 상기 경사부재(600)는 상기 수직부재(200)와 상기 수평부재(300)에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건축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건축구조물이 풍력이나 지진하중 등의 횡하중이 가해지는 재난현장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횡하중에 효율적으로 저항할 수 있다. Accordingly, since the
이때, 상기 수직부재(200)는, 상기 수직부재(200)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경사부재(600)의 단부가 수용되어 결합되는 개방된 수용부(260)를 구비한 보강리브(236)(2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즉,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면, 상기 보강리브(236)(216)는, 상기 수직부재(200)의 제1플랜지(215)와 상기 제2플랜지(235)를 절곡하되 개방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개방부에 상기 경사부재(600)의 단부를 삽입하여 경사부재(600)와 상기 보강리브(236)(216)를 결합할 수 있다. 3 to 5, the reinforcing
이에 따라, 상기 경사부재(600)는 상기 수직부재(200) 사이에 신속하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으므로, 시공성 향상 및 공기 단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ly, since the
이때, 상기 경사부재(600)의 단부와 상기 보강리브(236)(216)는 볼트나 스크류로 결합하거나, 용접 등으로 결합할 수 있다. 다만, 상기 경사부재(600)의 단부와 상기 보강리브(236)(216)의 결합방식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At this time, the ends of the
이하에서는 도 7(a) 내지 도 7(f)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건축 구조물(100)의 시공과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a construction process of the
먼저, 도 7(a)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수직부재(200)를 두 개의 열로 배열하되 일측 열에 복수 개를 이격되게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빔부재(330)와 상기 중간 빔 부재를 상기 복수의 수직부재(200) 사이에 결합할 수 있다. First, a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7 (a), the
이 후, 도 7(b)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상기 수직부재(200)의 상단부를 상기 상부 빔부재(350)로 연결하여 고정하고, 상기 수직부재(200) 사이에 경사지게 경사부재(600)를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경사부재(600)는 상기 수직부재(200)의 보강리브(236)(216)의 개방부에 삽입하여 결합함으로써 견고하고 신속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7 (b), the upper end of the
그리고, 도 7(c)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상기 수직부재(200)의 상단부에 제1연결부(500a)를 설치하여 수직부재(200)와 지붕부재(400)를 연결하고, 도 7(d)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연결부(500a)를 이용하여 두 개의 열에서 이어지게 설치된 지붕부재(400)를 연결함으로써 지붕구조를 완성할 수 있다. 7C, a
다음, 도 7(e)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상기 하부 빔부재(330)에 복수의 조이스트(320)를 병렬로 연결함으로써 바닥 패널을 형성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상기 중간 빔부재(340)에 복수의 조이스트(320)를 연결하여 2층 바닥을 형성할 수 있다. Next, a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7 (e), a floor panel can be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이후, 도 7(f)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상기 조이스트(320)에 바닥마감재(710)를 설치하고, 상기 수직부재(200)의 외부에 샌드위치 패널 등과 같은 벽체마감재(730)를 부착하여, 상기 건축구조물을 완성할 수 있다. 7 (f), a floor finishing material 710 is installed on the
상기와 같은 시공과정을 통해, 본 발명은 상기한 각각의 부재의 조립으로, 신속한 시공이 필요한 건축구조물의 시공이 용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건축구조물을 완성한 이후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수평부재(300)와 수직부재(200)를 더 연결함으로써 공간의 확장과 변경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nstruction process,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construct an architectural structure requiring rapid construction by assembling each of the above members. Th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건축 구조물에 의하면,건축구조물을 구성하는 부재를, 서로 조립 연결되도록 복수로 구성된 수직부재와 수평부재 및 지붕부재로 부품화함으로써, 중장비 없이도 용이하게 설치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수평부재는 일체로 된 대들보가 아닌, 복수의 단위부재로 분절된 부품으로 제작되므로, 확장이 필요하면 길이방향으로 필요한 개수의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를 설치함으로써, 현장여건에 맞게 건축구조물의 크기를 확장, 변경하기 용이한 우수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fabricated build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mbers constituting the building structure are constituted by a plurality of vertical members, a horizontal member and a roof member so as to be assembled and connected to each other, Effect can be obtained. Particularly,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orizontal member is made of a component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unit members rather than an integral girder, by providing a necessary number of vertical members and horizontal member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expansion is requir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xcellent effect that is easy to expand and change the size of the building structure in accordance with the site conditions.
또한, 건축구조물을 이루는 부재를 복수의 부재로 분절하여 부품화함으로써 부재의 크기를 소형화하여, 부재를 시공현장으로 운송시에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부품을 패키지화하여 장거리로 운송하기 용이하여 해외에 수출하기 용이하며, 사용후 해체 및 이동이 용이하고 부품의 재사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member constituting the building structur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members so that the size of the member can be reduced, and the volume can be reduced when the member is transported to the construction site. Therefore, it is easy to package parts and transport them over long distances, and it is easy to export them to overseas, and it is easy to disassemble and move after use and reuse of parts is advantageous.
그리고, 재난 구조용 주택 시공시에,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재난 현장에서, 중장비 없이도 건축구조물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부품의 운반과 현장 조립이 용이하며, 복수의 수직부재와 분절된 복수의 수평부재를 현장여건에 맞게 개수를 조절하여 설치함으로써, 현장여건에 맞게 폭과 넓이를 조절할 수 있어 유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Also, it is possible to easily install the building structure in a disaster site where the accessibility of the disaster rescue housing is difficult, without heavy equipment, to facilitate the transportation and on-site assembly of the components, The width and the width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te conditions, thereby providing an advantageous effect.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100 : 조립식 건축 구조물 200 : 수직부재
210 : 제1부재 211 : 제1웨브
213 : 제1배관홈 215 : 제1플랜지
216 : 보강리브 230 : 제2부재
231 : 제2웨브 233 : 제2배관홈
235 : 제2플랜지 236 : 보강리브
250 : 배관홀부 260 : 수용부
300 : 수평부재 310 : 단위부재
311 : 본체 312 : 앵글부재
400 : 지붕부재 500 : 연결부재
510 : 제1브라켓 511 : 홈부
530 : 제2브라켓 600 : 경사부재100: prefabricated building structure 200: vertical member
210: first member 211: first web
213: first pipe groove 215: first flange
216: reinforcing rib 230: second member
231: second web 233: second piping groove
235: second flange 236: reinforcing rib
250: piping hole portion 260: accommodating portion
300: horizontal member 310: unit member
311: Body 312: Angle member
400: roof member 500: connecting member
510: first bracket 511: groove
530: second bracket 600: inclined member
Claims (12)
동일한 열에 배열된 상기 복수의 수직부재 사이에 결합되는 복수의 단위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복수의 단위부재가 일직선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수평부재; 및,
상기 복수의 수직부재의 상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수직부재 상부에 연결부재를 매개로 설치되는 복수의 지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부재와 상기 지붕부재는,
제1배관홈을 구비한 제1웨브;와, 상기 제1웨브 양단에 상기 제1배관홈이 형성된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제1플랜지;를 구비한 제1부재; 및
상기 제1배관홈에 대칭되는 제2배관홈을 구비하며 상기 제1웨브에 접합되는 제2웨브;와, 상기 제2웨브 양단에 절곡 형성된 제2플랜지;를 구비하여 상기 제1부재에 서로 대칭되게 결합되는 제2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제1배관홈과 상기 제2배관홈으로 이루어진 배관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관홀부에 전기 설비용 배관 또는 전선이 수용되며,
상기 수직부재는 길이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플랜지의 끝단이 절곡 형성되어 개방된 수용부를 형성하는 보강리브;를 더 구비하고,
상기 수직부재에 횡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도록 상기 수직부재 사이에 경사지게 배치되고, 단부가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어 상기 보강리브에 체결되는 경사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평부재는,
수직부재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상부 빔부재; 및
상기 수직부재의 하단부를 연결하며, 바닥면에 복수로 배열되는 조이스트가 결합 설치되는 하부 빔부재;를 포함하는 조립식 건축 구조물.
A plurality of vertical members arranged in two rows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horizontal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unit members coupled between the plurality of vertical members arranged in the same column, the plurality of unit members being installed so as to extend in a straight line; And
And a plurality of roof members provid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upper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vertical members and installed on the vertical members via connecting members,
Wherein the vertical member and the roof member,
A first member having a first pipe having a first pipe groove and a first flange bent at both ends of the first web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pipe groove is formed; And
A second web having a second pipe groove symmetrical with the first pipe groove and joined to the first web; and a second flange bent at both ends of the second web, And a second member coupled to the first member,
Wherein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 pipe hole portion including the first pipe groove and the second pipe groove and the piping or electric wire for the electric equipment is accommodated in the pipe hole portion,
The vertical member further includes a reinforcing rib formed at an end of the flange so as to protrude so as to protru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 inclined member which is inclined between the vertical members so as to support a load applied in a lateral direction to the vertical member and whose end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ng portion and is fastened to the reinforcing rib,
The horizontal member
An upper beam member connecting upper ends of the vertical members; And
And a lower beam member connecting the lower ends of the vertical members and having a plurality of joists arranged on the floor surface.
상기 수평부재의 단위부재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단부와 상기 수직부재에 접합되어 상기 수평부재를 상기 수직부재에 결합시키기 용이하게 구비된 앵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nit member of the horizontal member comprises: a main body; and an angle member joined to the both ends of the main body and the vertical member to easily connect the horizontal member to the vertical member.
상기 앵글부재는, 상기 수직부재에 면접촉되게 ㄱ 자 형태로 절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 구조물.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angle member is bent in a shape of a letter so as to b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vertical member.
상기 하부 빔부재와 상기 상부 빔부재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직부재의 중간부를 연결하며, 복수로 배열되는 조이스트가 결합 설치되는 중간 빔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 구조물.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horizontal member
Further comprising: an intermediate beam member connecting the middle portion of the vertical member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lower beam member and the upper beam member, and joining the plurality of arranged joists.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지붕부재 및 수직부재에 대응되는 단면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재와 상기 지붕부재가 이루는 각도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ing member is formed to have a cross-section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roof member and the vertical member, and is formed to be bent at an angle formed by the vertical member and the roof member.
길이방향으로 홈부가 형성된 제1브라켓; 및,
상기 제1브라켓과 동일한 단면을 형성되며, 상기 제1브라켓과 서로 맞대어 대칭으로 접합됨으로써 홀부를 형성하는 제2브라켓;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 구조물.
9.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connecting member
A first bracket having a groove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d
A second bracket formed to have the same cross section as the first bracket and symmetrically joined to the first bracket so as to form a hole portion;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tructural members are formed of a metal.
상기 수직부재와 상기 지붕부재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 및,
상기 지붕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 구조물.
2.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ing member
A first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vertical member and the roof member; And
A second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between the roof members;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tructural members ar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91606A KR101491503B1 (en) | 2013-08-01 | 2013-08-01 | Prefabricated construction struc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91606A KR101491503B1 (en) | 2013-08-01 | 2013-08-01 | Prefabricated construction structur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91503B1 true KR101491503B1 (en) | 2015-02-11 |
Family
ID=52591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091606A KR101491503B1 (en) | 2013-08-01 | 2013-08-01 | Prefabricated construction struc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91503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56238A (en) * | 2022-05-05 | 2023-11-14 | 홍종화 | Architectural frame connection structur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43542A (en) * | 2002-05-25 | 2002-06-10 | 김판철 | The construction structure of steel house frame |
-
2013
- 2013-08-01 KR KR20130091606A patent/KR101491503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43542A (en) * | 2002-05-25 | 2002-06-10 | 김판철 | The construction structure of steel house fram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56238A (en) * | 2022-05-05 | 2023-11-14 | 홍종화 | Architectural frame connection structure |
KR102696849B1 (en) * | 2022-05-05 | 2024-08-19 | 윤문원 | Architectural frame connection structur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81281B1 (en) | Bracket connection type modular structure | |
SG179393A1 (en) | Support beam structure capable of extending span and reducing height of ceiling structure and installing method thereof | |
KR101798704B1 (en) | Modular Structure having Load Transfer Bracke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JP2010180601A (en) | Ancillary structure and unit building | |
KR20110023989A (en) | Coupling device of a beam and a pillar of set building and construction method of set building using the same | |
KR100805732B1 (en) | Building structure using modular unit | |
JP5512112B2 (en) | Construction method of floor structure and unit type building | |
KR101491503B1 (en) | Prefabricated construction structure | |
JP5362310B2 (en) | Unit building | |
KR100963580B1 (en) | Attachment of Unit Modular System, Modular Uni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Modular Unit | |
KR101980663B1 (en) | Modular unit for container | |
KR100851878B1 (en) | Panel box module in modular housing | |
KR20140005606U (en) | Built-up type house structure | |
KR100963586B1 (en) | Attachment of Unit Modular System, Modular Uni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Modular Unit | |
KR100963583B1 (en) | Attachment of Unit Modular System, Modular Uni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Modular Unit | |
KR101554227B1 (en) | Block-shaped housing that forms the frame of the frame structure and the frame using a combination of construction methods | |
KR100660210B1 (en) | Large horizontal space type building module and method for executing the same | |
KR102037979B1 (en) | Construction parts for building and method of constructing wall and floor structure using the same | |
KR101980664B1 (en) | Modular unit for sandwich panel installation | |
JP5528127B2 (en) | Building construction material, portal frame, construction method of building | |
JP5484511B2 (en) | Extension hardware, extension structure and extension method | |
JP5684648B2 (en) | Unit housing | |
KR101425942B1 (en) | Modular structure for lowering story-height | |
JP5693867B2 (en) | building | |
JP5749610B2 (en) | Unit build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