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5297B1 - 스마트 티비 기반의 상황 인지를 통한 사용자 이력 분석 제공 시스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스마트 티비 기반의 상황 인지를 통한 사용자 이력 분석 제공 시스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95297B1 KR101495297B1 KR20130047638A KR20130047638A KR101495297B1 KR 101495297 B1 KR101495297 B1 KR 101495297B1 KR 20130047638 A KR20130047638 A KR 20130047638A KR 20130047638 A KR20130047638 A KR 20130047638A KR 101495297 B1 KR101495297 B1 KR 1014952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ser
- information
- preferred
- service
- usage histor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1—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04N21/25891—Management of end-user data being end-user preferen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18—Detecting physical presence or behaviour of the user, e.g. using sensors to detect if the user is leaving the room or changes his face expression during a TV program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22—Analytics of user selections, e.g. selection of programs or purchase activit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작 인식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TV 사용 이력을 분석하여 제공하는 스마트 티비 기반의 상황 인지를 통한 사용자 이력 분석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신된 영상 정보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말;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동작을 인식하는 동작 인식 센서; 상기 동작 인식 센서 및 상기 단말과 연결되며, 상기 동작 인식 센서로부터 센싱된 정보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미리 설정된 이벤트를 식별하여 사용자의 TV 사용 이력 정보를 추출하여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셋톱박스; 및 상기 셋톱박스로부터 각 사용자별 TV 사용 이력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TV 사용 이력 정보를 분석하여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마트 티비 기반의 사용자 분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동작 인식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TV 사용 이력을 분석하여 제공하는 스마트 티비 기반의 상황 인지를 통한 사용자 이력 분석 제공 시스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 시대에 이어 스마트 TV의 보급이 급속화되고 IOT(Internet-of-Thing) 디바이스들의 연결성(Connectivity) 및 이들을 기반으로 한 상황인지 스마트 서비스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최근 기술의 발전으로 TV는 과거 단순히 수신된 공중파 또는 케이블 방송 신호만을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에서 벗어나, 사용자와의 상호 통신(interactive) 기능 및 인터넷을 이용한 각종 부가서비스들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디지털 방송 수신을 위해서는 단순히 TV 뿐만 아니라 셋톱박스(Set top box; STB)라는 장치가 추가로 필요하다. 셋톱박스라 함은, TV에 연결되어, 외부에서 들어오는 신호를 받아 적절히 변환하여 TV로 그 내용을 표시해 주는 장치를 말한다. 셋톱박스는 일반적으로 주문형 비디오(Video on demand; VOD), 홈 쇼핑, 네트워크 게임 등 차세대 쌍방향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이른바 대화형 TV)를 이용하는 데 필요한 가정용 통신 단말기로서 TV 세트 위에 놓고 이용하는 상자라는 뜻으로,‘가입자 신호 변환 장치’라고도 한다. 쌍방향 TV나 전화, 회사의 영상 전송 서비스 등의 망과 접속되며, 가정에서는 TV 등에 연결하여 이용한다.
셋톱박스는 전화 회사나 종합 유선 방송(CATV)국에 설치되어 있는 비디오 서버 등과 통신하는 외에, 기본 기능으로 영상 신호의 수신 및 변환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전화와 PC 통신 등 데이터 통신 서비스도 동시에 이용할 수 있도록 전화 인터페이스나 개인용 컴퓨터(PC)와의 접속 인터페이스를 갖는 것 등 다양한 규격이 검토되고 있다. 이에 따라, 대화형 TV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통신, 컴퓨터, 가전제품 제조업체들이 셋톱박스의 제품화 및 판매 경쟁을 벌이고 있다.
한편, 셋톱박스는 반드시 동조기(튜너)를 내장하고 있지 않아도 되며, 외부 신호를 주는 장치로는 이더넷(ethernet) 케이블, 위성파 수신 또는 지상파 수신 안테나, 동축 케이블, 전화선, 아날로그 VHF(Very High Frequency) 혹은 UHF(Ultra High Frequency) 안테나 등이 있다. 이를 통해 받을 수 있는 내용물로는 영상, 음성, 인터넷 웹 페이지, 게임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터넷과 연동되는 셋톱박스를 통해 TV에서는 방송 정보뿐만 아니라 다양한 정보의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와의 쌍방향 통신을 통해 서비스의 선택 및 제어가 가능해진다. 이러한, 사용자의 선택 신호 입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리모콘(remote controller)의 기능이 다양하게 확장될 필요성이 있으며,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추어야 될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셋톱박스의 기능이 내장된 TV는 지상파 방송시청은 물론 인터넷에 연결되어 VOD(Video- On-Demand), 게임, 영상통화, 앱 활용 등 컴퓨터 기능이 가능하다. 한편, 일반 TV로도 상술한 셋톱박스 연결을 통해 상기 기능을 활용할 수도 있으며, TV 교체 주기가 긴 점 등을 고려할 때 TV와 셋톱박스 시장은 공존하여 발전하고 있다.
한편, 전자 기술의 발달로 가정 내의 사용자는 다양한 스마트 디바이스들을 보유하게 되었으나, 사용자의 TV 사용 이력을 분석하는 것은 스마트 TV 내에서 TV 채널 선택 정보를 통해서만 분석이 가능할 뿐, 사용자의 행동은 분석 결과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단순히 채널 선택 정보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TV 시청과 관련된 행동 형태에 따라 이를 분석하고, 관련된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 TV에 연결된 동작 인식 센서를 이용하여 각 사용자의 TV 시청과 관련된 행위를 분석함으로써 개인화된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 티비 기반의 상황 인지를 통한 사용자 이력 분석 제공 시스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유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스마트 티비 기반의 상황 인지를 통한 사용자 이력 분석 제공 시스템은, 수신된 영상 정보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말;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동작을 인식하는 동작 인식 센서; 상기 동작 인식 센서 및 상기 단말과 연결되며, 상기 동작 인식 센서로부터 센싱된 정보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미리 설정된 이벤트를 식별하여 사용자의 TV 사용 이력 정보를 추출하여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셋톱박스; 및 상기 셋톱박스로부터 각 사용자별 TV 사용 이력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TV 사용 이력 정보를 분석하여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 서버는, 수신된 TV 사용 이력 정보를 분석하여 각 개인별 선호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선호 정보를 관리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호 정보는, 선호 콘텐츠, 선호 카테고리, 선호 키워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리 설정된 이벤트로서 식별 가능한 사용자 행위는, 시청한다, 자다/깨다, 대화한다, 움직인다, 식사하다/먹는다, 눕다/앉다/서있다, 멀다, 가깝다, 시청범위의 밖이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별 TV 사용 이력 정보는, TV 사용자 또는 그룹, 시청 단위, 사용자의 연령대, 성별, 사용자의 주시청시간대, 사용자의 일별, 주간 시청 누계, 사용자의 선호 프로그램, 사용자의 선호 카테고리, 사용자의 검색 키워드, 사용자의 주 사용서비스, 구매 콘텐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셋톱박스는,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동작을 인식하는 동작 인식 센서들로부터 센싱된 정보를 수신하는 센서 인터페이스부; 상기 센서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미리 설정된 이벤트를 식별하는 이벤트 식별부; 상기 식별된 이벤트로부터 사용자의 TV 사용 이력 정보를 추출하는 이벤트 처리부; 및 상기 추출된 TV 사용 이력 정보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네트워크 I/F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리 설정된 이벤트로서 식별 가능한 사용자 행위는, 시청한다, 자다/깨다, 대화한다, 움직인다, 식사하다/먹는다, 눕다/앉다/서있다, 멀다, 가깝다, 시청범위의 밖이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별 TV 사용 이력 정보는, TV 사용자 또는 그룹, 시청 단위, 사용자의 연령대, 성별, 사용자의 주시청시간대, 사용자의 일별, 주간 시청 누계, 사용자의 선호 프로그램, 사용자의 선호 카테고리, 사용자의 검색 키워드, 사용자의 주 사용서비스, 구매 콘텐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서비스 서버는, 상기 동작 인식 센서 및 상기 단말과 연결되며, 상기 동작 인식 센서로부터 센싱된 정보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미리 설정된 이벤트를 식별하여 사용자의 TV 사용 이력 정보를 추출하는 각 사용자의 셋톱박스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TV 사용 이력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집부; 및 상기 수신된 TV 사용 이력 정보를 분석하여 각 개인별 선호 정보를 추출하는 선호 정보 관리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호 정보는, 선호 콘텐츠, 선호 카테고리, 선호 키워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별 TV 사용 이력 정보는, TV 사용자 또는 그룹, 시청 단위, 사용자의 연령대, 성별, 사용자의 주시청시간대, 사용자의 일별, 주간 시청 누계, 사용자의 선호 프로그램, 사용자의 선호 카테고리, 사용자의 검색 키워드, 사용자의 주 사용서비스, 구매 콘텐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스마트 티비 기반의 상황 인지를 통한 사용자 이력 분석 제공 방법으로서, 서비스 서버에서 수행되는 각 단계가, 상기 동작 인식 센서 및 상기 단말과 연결되며, 상기 동작 인식 센서로부터 센싱된 정보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미리 설정된 이벤트를 식별하여 사용자의 TV 사용 이력 정보를 추출하는 각 사용자의 셋톱박스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TV 사용 이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TV 사용 이력 정보를 분석하여 각 개인별 선호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호 정보는, 선호 콘텐츠, 선호 카테고리, 선호 키워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별 TV 사용 이력 정보는, TV 사용자 또는 그룹, 시청 단위, 사용자의 연령대, 성별, 사용자의 주시청시간대, 사용자의 일별, 주간 시청 누계, 사용자의 선호 프로그램, 사용자의 선호 카테고리, 사용자의 검색 키워드, 사용자의 주 사용서비스, 구매 콘텐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한편, 상기 스마트 티비 기반의 상황 인지를 통한 사용자 이력 분석 제공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정보는 서버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도록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그 예로는, 롬(Read Only Memory), 램(Random Access Memory), CD(Compact Disk), DVD(Digital Video Disk)-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케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된다. 또한, 이러한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동작 인식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사용자의 TV 이용 행위를 추론하며, 이를 기반으로 분석소프트웨어를 통해 정확한 TV 사용 이력을 추출하여, 사용자별 구매 패턴을 분석함으로써 플랫폼 사업자가 개인별 예측모델분석에 근거한 서비스와 광고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선호 콘텐츠 및 구매/이용 서비스, 선호 카테고리 및 키워드를 관리하고 이를 통해 개인화된 예측모델을 제공함으로써 방송서비스에 적용하거나, 맞춤 광고를 제공할 수 있으며, 부가서비스에 대한 개인화 서비스 제공과 더불어 수집된 비정형데이터를 통해 플랫폼 사업자가 사용자의 구매패턴을 찾아내 이를 기업마케팅에 활용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티비 기반의 상황 인지를 통한 사용자 이력 분석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결 확장 장치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인 셋톱박스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티비 기반의 상황 인지를 통한 사용자 이력 분석 제공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결 확장 장치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인 셋톱박스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티비 기반의 상황 인지를 통한 사용자 이력 분석 제공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은 동작 인식 센서를 활용한 사용자 TV 사용 이력을 분석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TV 또는 셋톱박스에 연결된 동작 인식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TV와 관련된 이용 행위를 추론하며, 이를 기반으로 분석 소프트웨어를 통해 정확한 TV 사용 이력을 추출한다. 한편, 상기 추출된 각 사용자에 대한 TV 사용 이력은 셋톱 박스에서 서비스 서버로 전송되고, 서비스 서버에서는 수신된 TV 사용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별 구매패턴을 분석함으로써 플랫폼 사업자로 하여금 개인별 예측 모델 분석에 근거한 서비스와 광고 제공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의 선호 콘텐츠 및 구매/이용 서비스, 선호 카테고리 및 키워드를 관리하고 이를 통해 개인화된 예측 모델을 제공하며, 이를 방송 서비스에 적용하거나, 맞춤 광고에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부가서비스에 대한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수집된 비정형 데이터를 통해 플랫폼 사업자가 사용자의 구매 패턴을 찾아내 이를 기업 마케팅에 활용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N 스크린 서비스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후술하는 설명에서의 N 스크린의 객체로서 '단말'은 스마트 TV, 일반적인 데스크톱 컴퓨터뿐만 아니라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이동 통신 단말기, 데스크톱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팜톱(palmtop) 컴퓨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웹 패드, 셋톱박스(Settop Box; STB)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라면 얼마든지 본 발명에 따른 단말로서 채택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후술하는 설명에서는 본 발명이 N 스크린에 적용된 실시 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N 스크린 서비스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셋톱 박스에서 하나의 단말로 TV 영상 신호를 제공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및 장치를 설명하며,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티비 기반의 상황 인지를 통한 사용자 이력 분석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N 개의 연결 확장 장치들(110a 내지 110n), N 개의 단말들(111a 내지 111n), N 개의 동작 인식 센서들(112a 내지 112n), 제1 통신 네트워크(120), 메인 셋톱박스(130), 메인 동작 인식 센서(131), 영상 출력 장치(140), 제2 통신 네트워크(150), 서비스 서버(160), 지상파 방송 서버(170), 케이블 방송 서버(180) 및 위성 방송 서버(19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메인 셋톱박스(130)는 제2 통신 네트워크(150)를 통해 서비스 서버(160), 지상파 방송 서버(170), 케이블 방송 서버(180) 및 위성 방송 서버(190) 등으로부터 영상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 정보 중에서 선택된 채널에 맞는 영상 정보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N 개의 단말들(111a 내지 111n)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 또는 영상 출력 장치(140)로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메인 셋톱박스(130)에서는 상기 N 개의 동작 인식 센서들(112a 내지 112n)로부터 제공된 서비스 컨텍스트(service context) 정보를 참조하여 선택된 특정 단말(111)에 제1 통신 네트워크(120)를 통해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셋톱박스(130)는 직접 연결되어 있는 영상 출력 장치(140)(예컨대, TV)로도 수신된 방송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셋톱박스(130)의 세부 구성은 도 3의 설명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각각의 연결 확장 장치(110)는 각 단말(111)과 연결되며, 메인 셋톱박스(130)로부터 수신된 영상 정보를 디코딩하여 각 단말(111)에 제공함으로써, 각 단말(111)에서 해당 영상이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각각의 연결 확장 장치(110)에는 동작 인식 센서(112)가 연결되고, 연결된 동작 인식 센서(112)로부터 센싱된 정보를 수신하여 제1 통신 네트워크(120)를 통해 메인 셋톱박스(130)로 제공한다. 상기 연결 확장 장치(110)의 세부 구성은 도 2의 설명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 셋톱박스(130)에도 메인 동작 인식 센서(131)가 연결되고, 연결된 메인 동작 인식 센서(131)로부터 센싱된 정보를 직접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동작 인식 센서(112)는 해당 단말(111)을 시청하는 사용자 및 사용자의 행위를 식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동작 인식 센서(112)는 카메라와 키네틱 판단부가 결합된 키네틱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동작 인식 센서(112)에서 센싱된 정보는 해당 연결된 연결 확장 장치(110)로 제공되고, 상기 연결 확장 장치(110)에서는 각 동작 인식 센서(112)로부터 수집된 센싱 정보들을 메인 셋톱박스(130)로 전송된다. 상기 메인 셋톱박스(130)는 이와 같이 각 연결 확장 장치(110)로부터 해당 동작 인식 센서(112)를 통해 센싱된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어느 단말(111)에 어떤 영상 정보를 제공할지를 결정하게 된다.
제1 통신 네트워크(120) 또는 제2 통신 네트워크(150)는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은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단거리 통신망(PAN; Person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120) 또는 제2 통신 네트워크(150)는 공지의 월드와이드웹(WWW; World Wide Web)일 수 있으며, 적외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또는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이 단거리 통신에 이용되는 무선전송기술을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도 1에는 제1 통신 네트워크(120)와 제2 통신 네트워크(150)를 구분하여 도시하였으나, 하나의 통신 네트워크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즉, 동일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본 발명을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영상 출력 장치(140)는 메인 셋톱박스(130)에 연결되어 메인 셋톱박스(130)에서 수신된 각종 방송 신호를 화면상에서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영상 출력 장치(140)는 바람직하게는 TV(또는 스마트 TV)일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수단을 구비한 어떠한 장치도 본 발명의 영상 출력 장치(140)가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메인 셋톱박스(130)에서는 상기 동작 인식 센서(111, 131)들로부터 사용자의 행동 식별 정보를 수집하면, 수집된 사용자의 행동으로부터 정확한 TV 사용 이력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TV 사용 이력 정보를 서비스 서버(160)로 전송한다.
서비스 서버(160)에서는 메인 셋톱박스(130)로부터 수집된 각 사용자별 TV 사용 이력 정보로부터 사용자별 구매 패턴을 분석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서비스 서버(160)에서는 개인별 예측 모델 분석에 근거하여 해당 부가 서비스 및 광고를 각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서버(160)의 세부 구성은 도 4의 설명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서비스 서버(160)에서 각종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단말 또는 영상 출력 장치(예컨대, 스마트 TV 또는 플랫폼 사업자가 제공하는 스마트 셋톱박스)에 동작 인식 센서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플랫폼 사업자는 채널서비스 및 편성데이터, VOD 카타로그 정보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를 제공한다. 또한, 수집된 센서정보를 통해 서비스 컨텍스트를 분석하기 위한 분석소프트웨어가 스마트 TV 혹은 셋톱박스(130) 내에서 구동될 수 있으며, 분석된 개인화 데이터는 플랫폼 사업자가 운영하는 서비스 서버(160)로 전송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시스템을 구성하는 주요 장치들의 세부 구조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결 확장 장치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결 확장 장치(110)는 센서 인터페이스(I/F)부(210), 이벤트 식별부(220), 네트워크 I/F부(230), A/V 스트리밍 캡쳐부(240), A/V 디코딩부(250), 제어부(260), UI 생성부(270), 영상 구성부(280), A/V 출력부(29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60)는 이벤트 처리부(210), 사용자 식별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 확장 장치(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메인 셋톱박스(130)로부터 방송 영상을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수신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센서 I/F부(210)는 각 연결 확장 장치(110)에 연결된 동작 인식 센서(112)로부터 센싱된 정보를 수신하여 이벤트 식별부(220)로 전달한다. 이벤트 식별부(220)는 상기 센싱된 정보를 제공받아 이벤트 발생 여부를 식별한다. 예컨대, 현재, 해당 연결 확장 장치(110) 근처에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는지, 또는 사용자가 TV를 시청하고 있는지 여부 등을 식별한다. 이와 같이 이벤트 식별부(220)에서 특정 이벤트가 감지되면, 감지된 이벤트 정보를 제어부(260)로 전송한다. 이때, 제어부(260)의 이벤트 처리부(261)는 상기 감지된 이벤트에 대응하는 서비스 컨텍스트를 생성하여 네트워크 I/F부(230)를 통해 메인 셋톱박스(130)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60)의 사용자 식별부(262)에서는 상기 센싱된 정보에 따라 이벤트를 발생시킨 사용자를 식별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 식별부(262)에서 식별할 사용자에 대한 정보는 미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사용자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 확장 장치(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메인 셋톱박스(130)를 통해 전송되는 IP 기반의 영상 스트림을 수신하여 이를 디코딩한 후 TV 화면에 출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네트워크 I/F부(230)를 통해 메인 셋톱박스(130)로부터 영상 스트림 정보가 수신되면, A/V 스트리밍 캡쳐부(240)에서는 수신된 영상 스트림 정보로부터 A/V 스트리밍을 캡쳐하고, A/V 디코딩부(250)에서는 수신된 영상 A/V 영상 스트리밍 정보를 디코딩한다.
그런 다음, 영상 구성부(280)에서는 상기 디코딩된 A/V 영상 스트리밍 정보를 UI 생성부(270)를 통해 생성된 UI 정보와 합성하여 출력할 영상을 구성한다. A/V 출력부(290)는 영상 구성부(280)를 통해 구성된 영상을 연결된 단말(111)의 디스플레이부로 출력시켜 화면상에 표시한다.
이와 같이, 상기 연결 확장 장치(110)는 해당 위치에 위치한 사용자의 각종 행동 정보들을 센싱하여 이에 대응하는 서비스 컨텍스트 정보를 메인 셋톱박스(130)로 전송하고, 메인 셋톱박스(130)로부터 해당 연결 확장 장치(110)에 연결된 단말(111)에서 출력될 영상 스트리밍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연결된 단말(111)에서 출력되도록 처리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서비스 컨텍스트 정보로부터 각 사용자에 대한 정확한 TV 사용 이력을 추출하고, 이를 서비스 서버(160)로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인 셋톱박스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인 셋톱박스(130)는 센서 I/F부(311), 이벤트 식별부(312), 카메라 I/F부(321), 튜너 I/F부(322), 캡쳐부(323), 저장장치 I/F부(331), A/V 저장 관리부(332), 제어부(340), UI 생성부(351), 영상 구성부(352), A/V 출력부(353), A/V 인코딩부(361), A/V 스트리밍부(362), 및 네트워크 I/F부(363)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40)는, 이벤트 처리부(341), A/V 입력 제어부(342), 사용자 위치 식별부(343), 디바이스 식별부(344)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메인 셋톱박스(130)는 동일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스마트 영상기기(예컨대, 단말(111))를 검색하고 등록한다. 또한, 상기 등록된 기기별 스트리밍 출력 프로파일을 관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메인 셋톱박스(130)는 기기에 부착된 동작 인식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 컨텍스트를 수집하거나, 등록된 스마트 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 컨텍스트를 수집한다. 즉, 상기 메인 셋톱박스(130)와 연결된 메인 동작 인식 센서(131)로부터 센싱된 정보를 센서 I/F부(311)를 통해 수신하여 이벤트 식별부(312)로 전달한다. 이벤트 식별부(312)는 상기 센싱된 정보를 제공받아 이벤트 발생 여부를 식별한다. 예컨대, 현재, 해당 메인 셋톱박스(130)와 연결된 영상 출력 장치(140) 근처에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는지, 또는 사용자가 TV를 시청하고 있는지 여부 등을 식별한다. 이와 같이 이벤트 식별부(312)에서 특정 이벤트가 감지되면, 감지된 이벤트 정보를 제어부(340)로 전송한다. 이때, 제어부(340)의 이벤트 처리부(341)는 상기 감지된 이벤트에 대응하는 서비스 컨텍스트를 생성한다.
또한, 네트워크 I/F부(363)를 통해 각 연결 확장 장치(110)들로부터 해당 동작 인식 센서(112)의 센싱된 정보로부터 생성된 서비스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340)로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340)의 이벤트 처리부(341)는 사용자 요청과 서비스 모니터링을 통해 수집된 서비스 컨텍스트 분석을 통하여 사용자 식별, 서비스의 운영 상황 판단, 사용자의 동작 식별 등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와 관련된 상황을 판별한다. 예컨대, 특정 단말(111)의 서비스 공간 범위 내의 이동이 발생한 경우 사용자의 인접된 단말(111)로 스트리밍 서비스를 변경하거나 사용자가 단말(111)의 시청 범위로부터 벗어날 경우 현재 재생중이던 스트리밍 서비스를 일시중지하거나 종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벤트 처리부(341)는 상기 수집된 서비스 컨텍스트 분석을 통해 정확한 TV 사용 이력을 추출하고 이를 네트워크 I/F부(363)를 통해 서비스 서버(160)로 전송한다.
제어부(340)의 사용자 위치 식별부(343)는 상기 수신된 서비스 컨텍스트 정보를 종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식별한다. 이때, 디바이스 식별부(344)는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어느 단말(111)에 근접하여 위치하고 있는지를 판단함으로써, 사용자에 근접한 디바이스(즉, 근접한 단말(111))를 식별한다.
A/V 입력 제어부(342)는 상기 식별된 사용자 위치 및 디바이스 정보를 참조하여, 적어도 하나의 각 단말(111)에 전송할 영상 스트리밍 정보를 제어한다. 즉, 상기 A/V 입력 제어부(342)는 사용자 요청과 서비스 모니터링부로부터 수집된 서비스 컨텍스트를 기반으로 대상 단말(111)을 결정하고, 제공해야 하는 서비스 출력 규격을 변경하거나 결정한다. 이때, 상기 전송할 영상 정보들은 카메라 I/F부(321), 튜너 I/F부(322),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I/F부(321), 튜너 I/F부(322)를 통해 수신된 외부 카메라 또는 TV RF 신호로부터 수신된 영상 정보들은 캡쳐부(323)에서 캡쳐될 수 있다. 또한, 저장장치 I/F부(331)를 통해 제공된 영상 정보들은 A/V 저장 관리부(332)를 통해 별도의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340)의 A/V 입력 제어부(342)에서는 상기 각종 형태로 제공된 방송 영상 정보들을 출력부(360)를 통해 각 단말(111)로 제공한다. 즉 상기 출력부(360)에서는 상기 제어부(340) 처리에 따라 영상서비스를 인코딩하고 대상 스마트기기로 스트리밍 출력을 수행한다. 이때, 동시에 2개 이상의 방송 서비스에 대한 스트리밍 출력이 가능하다.
즉, A/V 인코딩부(361)에서는 상기 전송할 방송 영상 정보를 인코딩한 후, A/V 스트리밍부(362)로 제공한다. A/V 스트리밍부(362)에서는 인코딩한 방송 영상 정보를 스트리밍 형태로 네트워크 I/F부(363)를 통해 전송한다.
또한, 상기 메인 셋톱 박스(130)에 직접 연결된 영상 출력 장치(140)로도 직접 사용자가 지정한 영상서비스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영상 구성부(352)에서는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영상 정보와 UI 생성부(351)를 통해 생성된 UI 정보를 합성하여 영상 구성한다. 상기 구성된 영상 정보는 A/F 출력부(353)를 통해 영상 출력 장치(140)로 제공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160)는 정보 수집부(410), 선호 정보 관리부(420), 개인화 방송 모델링부(430), 맞춤 광고 결정부(440), 부가 서비스 점검부(450), 구매 패턴 분석부(46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선호 정보 관리부(420)를 통해 관리되는 선호 정보들로는 선호 콘텐츠(421), 선호 카테고리(422), 선호 키워드(423)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비스 서버(160)는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의 관리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서비스 서버(160)는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471), 선호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472), 선호 카테고리 정보 데이터베이스(473), 선호 키워드 정보 데이터베이스(474), 광고 정보 데이터베이스(475), 부가 서비스 정보 데이터베이스(476), 구매 정보 데이터베이스(477)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데이터베이스들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 서버(160) 내에 포함될 수도 있으며, 별도의 데이터베이스 서버 내에 구성될 수도 있다.
정보 수집부(410)는 통신 네트워크(150)를 통해 각 셋톱 박스들(130)로부터 각 사용자의 TV 사용 이력 정보를 수집한다.
선호 정보 관리부(420)는 상기 수집된 TV 사용 이력 정보로부터 각종 선호 정보를 분석하여 관리한다. 예컨대, 각 사용자별로 선호하는 콘텐츠, 선호하는 카테고리, 선호하는 키워드 등을 분석하여 관리한다.
개인화 방송 모델링부(430)는 상기 선호 정보 관리부(420)를 통해 분석된 각종 선호 정보들을 통해 개인화된 예측 모델을 방송 서비스에 적용한다. 또한, 맞춤 광고 결정부(440)는 상기 선호 정보 관리부(420)를 통해 분석된 각종 선호 정보들을 통해 맞춤 광고를 결정하여 제공한다.
부가 서비스 결정부(450)는 상기 선호 정보 관리부(420)를 통해 분석된 각종 선호 정보들을 통해 제공할 부가 서비스를 결정한다. 마지막으로 구매 패턴 분석부(460)는 상기 수집된 각 사용자의 TV 사용 이력 정보를 통해 사용자별 구매 패턴을 분석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각 기능부(또는 모듈)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각 기능부는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데이터베이스라 함은, 각각의 데이터베이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링크드 리스트(linked-list), 트리(Tree),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형태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모든 데이터 저장매체 및 데이터 구조를 포함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티비 기반의 상황 인지를 통한 사용자 이력 분석 제공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동작 인식 센서를 통해 사용자를 식별(S501)한다. 이때, 기존 사용자일 경우(S502),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해당 사용자의 TV 사용 이력 정보를 수신(S503)한다.
그런 다음, 동작 인식 센서를 통한 사용자의 TV 이용 패턴을 분석(S504)하고, TV 프로그램 시청 상태를 판단(S505)한다.
상기와 같이 분석된 결과로서, 각 사용자의 TV 이용 이력 데이터를 서비스 서버로 전송(S506)한다. 서비스 서버에서는 상기 전송된 각 사용자의 TV 이용 이력 데이터를 분석(S507)하고, 각 사용자별 TV 사용 이력 정보를 추출(S508)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추출된 TV 사용 이력 정보로부터 분석 결과에 따른 개인화된 각종 서비스를 제공(S509)한다.
사용자 식별 방법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동작 인식 센서를 통해 사용자를 식별한다. 기존 사용자인 경우 해당 사용자의 TV 사용 이력 정보를 가져온다. 또한, 복수의 사용자가 시청할 경우는 별도의 TV이용주체로의 인스턴스로서TV 이용 이력을 구성하도록 한다.
동작 인식 센서를 통한 사용자의 TV 이용 패턴 분석의 예는 다음과 같다.
먼저, 동작 인식 센서를 통해 인식할 수 있는 사용자 행동을 정의하고 이에 따라 사전정의한 대로 현재 시각을 기준으로 발생한 사용자의 행동을 저장한다. 예컨대, 시청자-프로그램 혹은 콘텐츠-사용자 행동-집중도 등과 같이 사용자의 행동을 분류하고 저장한다.
또한, 사용자가 시청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 존재 유무를 판단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동작 인식 센서를 통해 시청자의 TV 집중도를 수집할 수 있다
특히, 아래의 경우에 해당하지 않은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프로그램 시청 상태로 판단하기로 한다.
- 사용자의 시선이 TV 시청 범위를 벗어난 경우,(시청자가 TV 시청 범위를 벗어난 경우는 방영 콘텐츠를 시청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한다.)
- 볼륨이 지정 범위 이외로 설정된 경우
- 콘텐츠 재생중 채널이 이동한 경우
- 시청자가 수면중으로 판단되는 경우
- 콘텐츠 재생중 재생조작이 감지되는 경우(playback혹은 메뉴조작)
실시 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식별 방법으로서 기본적으로 플랫폼 사용자는 TV서비스 가입자에 대한 기본 신상정보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하여 이를 기반으로 개인 혹은 가족 구성원 전체를 분석대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동작 인식 센서를 통해 식별 가능한 TV 시청시 사용자 행위는 다음과 같이 식별될 수 있다.
- 시청한다
- 잔다/깨다
- 대화한다
- 움직인다.
- 식사하다/먹는다
- 눕다/앉다/서있다.
- 시청범위의 밖이다(멀다, 가깝다. 시청각 밖이다)
또한, TV의 서비스 상태는 TV 장비와의 연동을 통한 분석이 가능하며, 상기 TV의 서비스 상태 정보는 다음과 같은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 현재 채널 및 프로그램 서비스
- 이용한 콘텐츠와 이동 경로, 사용시간
- 기기 상태(볼륨, 메뉴 앱 사용 히스토리)
- 서비스 제어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서비스 서버(160)에서 추출하는 사용자 이력 정보는 다음과 같다.
사용자의 TV 사용 이력 정보
- TV사용자 혹은 그룹(복수사용자)
- 시청단위 단일 혹은 복수
- 사용자의 연령대, 성별
- 사용자의 주시청시간대(주간,주말)
- 사용자의 일별, 주간 시청누계
- 사용자의 선호프로그램(콘텐츠)
- 사용자의 선호 카테고리
- 사용자의 검색 키워드
- 사용자의 주 사용서비스 (채널, 다시보기, 앱연동서비스)
- 구매 콘텐츠
한편, 상기와 같이 서비스 서버(160)에서 사용자 이력 정보들을 추출하면, 애플리케이션 분야로서, 플랫폼사업자의 광고플랫폼을 위한 가입자별 선호 카테고리를 추출하거나, 사용자 TV이용/구매이력 및 선호 카테고리에 기초한 사용자별 예측모델 추출 및 이에 기반한 개인화 메뉴 및 추천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개인별 TV 이용 이력 데이터는 사용자와 시청 장치, 이벤트 발생 시각을 기존으로 아래의 예와 같이 수집될 수 있다
<TVTurnOn startTime = “2013-04-20 18:00:13”user=”user1”deviceId=”device01”/>
<TVProgram title=”program A”id=”pga” type=”tvProgram” channel=”11”user=”user1”/>
<UserBehavior user=”user1”eventTime=”2013-04-20 18:10:11” event=”moveOutOfRange”/>
<UserBehavior user=”user1”eventTime=”2013-04-20 18:12:18” event=”moveInRange”/>
<Vod title=”movie1” id=”vod1” type=”vod”category=”action”user=”user1”/>
이때, 서비스 서버상에서 구동되는 분석시스템은 개인별 TV 이용 이력 데이터를 수신하고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사용자별 TV 이력 정보를 추출한다.
- 사용자 : 나이, 성별
- TV의 크기 및 사용해상도
- 선호하는 서비스 사용방식(채널서비스, 추천서비스, 앱연동서비스, 인터넷연동서비스)
- 선호 채널리스트
- 선호 카테고리 및 장르
- 선호 프로그램 및 서비스
- 선호 actor, actress,
- 평일 시청시간대
- 주말 시청시간대
- 선호 광고
- 주중 일별 프로그램시청시간 누계
- 주말 일별 프로그램시청시간 누계
- 구매상품/컨텐츠
한편, 콘텐츠 장르와 관련하여 콘텐츠나 프로그램의 분석을 위해 각종 기준에 따른 구분을 할 수 있다. 예컨대, 생활/정보, 오락프로, 뉴스, 코미디, 일일연속극, 단막극, 주말연속극, 미니시리즈, 외화시리즈, 영화, 방화, 다큐멘터리, 외화미니시리즈, 스포츠, 요리, 기획 및 특집물, 퀴즈, 어린이 프로, 만화, 문화/예술/음악, 참여프로, 쇼, 과학, 교양, 자연, 연예소식, 교육/청소년 교육, 건강, 드라마(현대물), 드라마(사극), 기타 등으로 콘텐츠의 장르를 구분할 수 있다.
여기에서 다양한 방법들에 관해 설명된 바와 같은 다양한 동작들 및 기능들은 특정 프로세싱 기능부 및/또는 그 안에 구현된 프로세싱 기능부, 및/또는 그 안의 다른 구성요소들과 같은 많은 유형의 기능부들 중 어느 것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러한 기능부들은 여기에 설명된 바와 같은 다양한 동작들 및 처리들, 또는 여기에 설명된 바와 같은 어느 다른 동작들 및 기능들, 등 또는 그 각 등가물들을 수행하는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설명된 바와 같은 그러한 정보들을 생성하고 그러한 동작들, 처리들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그러한 기능부들(동일한 장치 또는 구별된 장치들상에서 구현될 수 있는)은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들에 따른 그러한 처리 및 동작들, 등, 및/또는 여기에 개시된 바와 같은 어느 다른 동작들 및 기능들, 및 그 각 등가물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그러한 처리는 제1 장치에서의 제1 기능부, 및 제2 장치 내의 제2 기능부에 의해 함께 수행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그러한 프로세싱, 동작들 등은 하나의 특정 장치 내에서 처리부들에 의해 전적으로 수행된다. 심지어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그러한 프로세싱, 동작들이 하나의 단일 디바이스내에서 적어도 제1 기능부 및 제2 기능부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 용어들 '시스템', '장치', '~부'는 단일 프로세싱 디바이스 또는 복수의 프로세싱 디바이스들일 수 있다. 그러한 프로세싱 디바이스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마이크로 컨트롤러, 디지털 신호 처리기, 마이크로 컴퓨터, 중앙 처리 유닛,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 스테이트 머신, 로직 회로, 아날로그 회로, 디지털 회로, 및/또는 상기 회로 및/또는 동작 지시들의 하드 코딩에 기반하여 신호들(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을 조작하는 소정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상기 프로세싱 모듈, 모듈, 프로세싱 회로, 및/또는 프로세싱 유닛은 단일 메모리 디바이스, 복수의 메모리 디바이스들, 및/또는 상기 프로세싱 모듈, 모듈, 프로세싱 회로, 및/또는 프로세싱 유닛의 내장된 회로일 수 있는 결합된 메모리 및/또는 집적된 메모리 엘리먼트를 가질 수 있다. 그러한, 메모리 디바이스는 읽기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정적 메모리, 동적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캐시 메모리, 및/또는 디지털 정보를 저장하는 소정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만약, 상기 프로세싱 모듈, 모듈, 프로세싱 회로, 및/또는 프로세싱 유닛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포함한다면, 상기 프로세싱 디바이스들은 집중적으로 위치될 수 있거나(즉, 유선 및/또는 무선 버스 구조를 통해 함께 직접적으로 연결된), 분산되어 위치될 수 있음(예컨대, 근거리 통신망 및/또는 광역 네트워크를 통한 간접적인 연결을 통한 클라우드 컴퓨팅)을 주목하여야 한다. 만약, 상기 프로세싱 모듈, 모듈, 프로세싱 회로, 및/또는 프로세싱 유닛이 정적 머신, 아날로그 회로, 디지털 회로, 및/또는 회로, 저장하는 메모리 및/또는 메모리 구성요소를 통해 하나 이상의 그 기능들을 구현한다면, 그 대응하는 동작 지시들은 상기 정적 머신, 아날로그 회로, 디지털 회로, 및/또는 논리 회로를 포함하는 회로의 내부에 내장되거나 외부에 있을 수 있음을 더 주목하여야 한다. 상기 메모리 엘리먼트는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프로세싱 모듈, 모듈, 프로세싱 회로, 및/또는 프로세싱 유닛은 상기 도면들 중 하나 이상에서 나타내는 단계들 및/또는 기능들 중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하드 코딩된 및/또는 동작 지시들을 실행한다는 것을 여전히 더 주목하여야 한다. 그러한 메모리 디바이스 또는 메모리 엘리먼트는 제조의 부품 내에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 기능들 및 그의 관계들의 성능을 나타내는 방법 단계들의 목적을 가지고 위에서 설명되었다. 이러한 기능적 구성 요소들 및 방법 단계들의 경계들 및 순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여기에서 임의로 정의되었다. 상기 특정 기능들 및 관계들이 적절히 수행되는 한 대안적인 경계들 및 순서들이 정의될 수 있다. 임의의 그러한 대안적인 경계들 및 순서들은 그러므로 상기 청구된 발명의 범위 및 사상 내에 있다. 추가로, 이러한 기능적 구성 요소들의 경계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정의되었다. 어떠한 중요한 기능들이 적절히 수행되는 한 대안적인 경계들이 정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흐름도 블록들은 또한 어떠한 중요한 기능성을 나타내기 위해 여기에서 임의로 정의되었을 수 있다. 확장된 사용을 위해, 상기 흐름도 블록 경계들 및 순서는 정의되었을 수 있으며 여전히 어떠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기능적 구성 요소들 및 흐름도 블록들 및 순서들 둘 다의 대안적인 정의들은 그러므로 청구된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 내에 있다. 당업자는 또한 여기에서의 상기 기능적 구성 요소들 및 다른 도시된 블록들, 모듈들, 및 구성요소들이 도시된 바와 같이 또는 분리된 구성요소들, 반도체 집적 회로(ASIC)들, 적절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프로세서들 및 그와 유사한 또는 임의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을 인지할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용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설명되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 그 측면, 그 특징, 그 개념, 및/또는 그 예를 나타내기 위해 여기에서 사용된다. 본 발명을 구현하는 장치, 제조의 물건, 머신, 및/또는 프로세스의 물리적인 실시예는 여기에 설명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된 하나 이상의 측면들, 특징들, 개념들, 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더구나, 전체 도면에서, 실시예들은 상기 동일한 또는 상이한 참조 번호들을 사용할 수 있는 상기 동일하게 또는 유사하게 명명된 기능들, 단계들, 모듈들 등을 통합할 수 있으며, 그와 같이, 상기 기능들, 단계들, 모듈들 등은 상기 동일한 또는 유사한 기능들, 단계들, 모듈들 등 또는 다른 것들일 수 있다.
한편, 용어 "~처리부"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설명에서 사용된다. 모듈은 하나 이상의 출력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입력 신호들의 처리와 같은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하드웨어를 통해 구현되는 기능적 블록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적 블록을 구현하는 하드웨어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를 결합하여 직접 동작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모듈은 자체적으로 모듈인 하나 이상의 서브-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러가지 기능들 및 특정들의 특별한 조합들이 여기에 분명히 설명된 반면, 이러한 특징들 및 기능들의 다른 조합들이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본 발명은 여기에 개시된 특정한 예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이러한 다른 조합들을 명백히 통합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 연결 확장 장치 111 : 단말
112, 131 : 동작 인식 센서 120 : 제1 통신 네트워크
130 : 메인 셋톱박스 140 : 영상 출력 장치
150 : 제2 통신 네트워크 160 : 서비스 서버
170 : 지상파 방송 서버 180 : 케이블 방송 서버
190 : 위성 방송 서버 210 : 센서 I/F부
220 : 이벤트 식별부 230 : 네트워크 I/F부
240 : A/V 스트리밍 캡쳐부 250 : A/V 디코딩부
260 : 제어부 261 : 이벤트 처리부
262 : 사용자 식별부 270 : UI 생성부
280 : 영상 구성부 290 : A/V 출력부
311 : 센서 I/F부 312 : 이벤트 식별부
321 : 카메라 I/F부 322 : 튜너 I/F부
323 : 캡쳐부 331 : 저장장치 I/F부
332 : A/V 저장 관리부 340 : 제어부
341 : 이벤트 처리부 342 : A/V 입력 제어부
343 : 사용자 위치 식별부 344 : 디바이스 식별부
351 : UI 생성부 352 : 영상 구성부
353 : A/V 출력부 361 : A/V 인코딩부
362 : A/V 스트리밍부 363 : 네트워크 I/F부
410 : 정보 수집부 420 : 선호 정보 관리부
421 : 선호 콘텐츠 422 : 선호 카테고리
423 : 선호 키워드 430 : 개인화 방송 모델링부
440 : 맞춤 광고 결정부 450 : 부가 서비스 점검부
460 : 구매 패턴 분석부 471 :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472 : 선호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
473 : 선호 카테고리 정보 데이터베이스
474 : 선호 키워드 정보 데이터베이스
475 : 광고 정보 데이터베이스 476 : 부가 서비스 정보 데이터베이스
477 : 구매 정보 데이터베이스
112, 131 : 동작 인식 센서 120 : 제1 통신 네트워크
130 : 메인 셋톱박스 140 : 영상 출력 장치
150 : 제2 통신 네트워크 160 : 서비스 서버
170 : 지상파 방송 서버 180 : 케이블 방송 서버
190 : 위성 방송 서버 210 : 센서 I/F부
220 : 이벤트 식별부 230 : 네트워크 I/F부
240 : A/V 스트리밍 캡쳐부 250 : A/V 디코딩부
260 : 제어부 261 : 이벤트 처리부
262 : 사용자 식별부 270 : UI 생성부
280 : 영상 구성부 290 : A/V 출력부
311 : 센서 I/F부 312 : 이벤트 식별부
321 : 카메라 I/F부 322 : 튜너 I/F부
323 : 캡쳐부 331 : 저장장치 I/F부
332 : A/V 저장 관리부 340 : 제어부
341 : 이벤트 처리부 342 : A/V 입력 제어부
343 : 사용자 위치 식별부 344 : 디바이스 식별부
351 : UI 생성부 352 : 영상 구성부
353 : A/V 출력부 361 : A/V 인코딩부
362 : A/V 스트리밍부 363 : 네트워크 I/F부
410 : 정보 수집부 420 : 선호 정보 관리부
421 : 선호 콘텐츠 422 : 선호 카테고리
423 : 선호 키워드 430 : 개인화 방송 모델링부
440 : 맞춤 광고 결정부 450 : 부가 서비스 점검부
460 : 구매 패턴 분석부 471 :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472 : 선호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
473 : 선호 카테고리 정보 데이터베이스
474 : 선호 키워드 정보 데이터베이스
475 : 광고 정보 데이터베이스 476 : 부가 서비스 정보 데이터베이스
477 : 구매 정보 데이터베이스
Claims (15)
- 스마트 티비 기반의 상황 인지를 통한 사용자 이력 분석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수신된 영상 정보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말;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동작을 인식하는 동작 인식 센서;
상기 동작 인식 센서로부터 센싱된 정보로부터 사용자가 근처에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한 미리 설정된 이벤트를 식별하고, 상기 이벤트가 식별될 때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는 서비스 컨텍스트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서비스 컨텍스트 정보를 전송하는 연결 확장 장치;
상기 연결 확장 장치에 의해 상기 동작 인식 센서 및 상기 단말과 연결되며, 상기 연결 확장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서비스 컨텍스트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TV 사용 이력 정보를 추출하여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서비스 컨텍스트 정보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위치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가 근접한 디바이스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위치와 디바이스 정보를 근거로 상기 식별된 디바이스에 전송할 영상 스트리밍 정보를 제어하는 셋톱박스; 및
상기 셋톱박스로부터 각 사용자별 TV 사용 이력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TV 사용 이력 정보로부터 사용자별 구매 패턴을 분석하며, 상기 수신된 TV 사용 이력 정보로부터 사용자가 선호하는 콘텐츠와 선호하는 카테고리와 선호하는 키워드를 포함하는 선호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선호를 정보를 근거로 개인화된 예측 모델을 방송 서비스에 적용하며, 상기 분석된 선호 정보를 근거로 결정되는 맞춤 광고를 제공하며, 상기 분석된 선호 정보를 근거로 제공할 부가 서비스를 결정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TV 사용 이력 정보는,
나이, 성별, 티비의 크기 및 사용 해상도, 선호하는 서비스 사용 방식, 선호 채널리스트, 선호 카테고리 및 장르, 선호 프로그램 및 서비스, 선호 배우, 평일 시청시간대, 주말 시청시간대, 선호 광고, 주중 일별 프로그램시청시간 누계, 주말 일별 프로그램시청시간 누계 및 구매상품을 포함하는 스마트 티비 기반의 상황 인지를 통한 사용자 이력 분석 제공 시스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이벤트로서 식별 가능한 사용자 행위는,
시청한다, 자다/깨다, 대화한다, 움직인다, 식사하다/먹는다, 눕다/앉다/서있다, 멀다, 가깝다 및 시청범위의 밖이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스마트 티비 기반의 상황 인지를 통한 사용자 이력 분석 제공 시스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동작 인식 센서 및 단말과 연결되며, 상기 동작 인식 센서로부터 센싱된 정보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미리 설정된 이벤트를 식별하여 사용자의 TV 사용 이력 정보를 추출하는 각 사용자의 셋톱박스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TV 사용 이력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수신된 TV 사용 이력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콘텐츠와 선호하는 카테고리와 선호하는 키워드를 포함하는 각 개인별 선호 정보를 추출하는 선호 정보 관리부;
상기 수신된 TV 사용 이력 정보를 통해 사용자별 구매 패턴을 분석하는 구매 패턴 분석부;
상기 분석된 선호를 정보를 근거로 개인화된 예측 모델을 방송 서비스에 적용하는 개인화 방송 모델링부;
상기 분석된 선호 정보를 근거로 맞춤 광고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맞춤 광고를 제공하는 맞춤 광고 결정부; 및
상기 분석된 선호 정보를 근거로 제공할 부가 서비스를 결정하는 부가 서비스 결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TV 사용 이력 정보는,
나이, 성별, 티비의 크기 및 사용 해상도, 선호하는 서비스 사용 방식, 선호 채널리스트, 선호 카테고리 및 장르, 선호 프로그램 및 서비스, 선호 배우, 평일 시청시간대, 주말 시청시간대, 선호 광고, 주중 일별 프로그램시청시간 누계, 주말 일별 프로그램시청시간 누계 및 구매상품을 포함하는 서비스 서버. - 삭제
- 삭제
- 스마트 티비 기반의 상황 인지를 통한 사용자 이력 분석 제공 방법으로서, 서비스 서버에서 수행되는 각 단계가,
상기 서비스 서버에 포함된 정보 수집부를 통해, 동작 인식 센서 및 단말과 연결되며, 상기 동작 인식 센서로부터 센싱된 정보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미리 설정된 이벤트를 식별하여 사용자의 TV 사용 이력 정보를 추출하는 각 사용자의 셋톱박스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TV 사용 이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에 포함된 선호 정보 관리부를 통해, 상기 수신된 TV 사용 이력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콘텐츠와 선호하는 카테고리와 선호하는 키워드를 포함하는 각 개인별 선호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에 포함된 구매 패턴 분석부를 통해, 상기 수신된 TV 사용 이력 정보를 통해 사용자별 구매 패턴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에 포함된 개인화 방송 모델링부를 통해, 상기 분석된 선호를 정보를 근거로 개인화된 예측 모델을 방송 서비스에 적용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에 포함된 맞춤 광고 결정부를 통해, 상기 분석된 선호 정보를 근거로 맞춤 광고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맞춤 광고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에 포함된 부가 서비스 결정부를 통해, 상기 분석된 선호 정보를 근거로 제공할 부가 서비스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TV 사용 이력 정보는,
나이, 성별, 티비의 크기 및 사용 해상도, 선호하는 서비스 사용 방식, 선호 채널리스트, 선호 카테고리 및 장르, 선호 프로그램 및 서비스, 선호 배우, 평일 시청시간대, 주말 시청시간대, 선호 광고, 주중 일별 프로그램시청시간 누계, 주말 일별 프로그램시청시간 누계 및 구매상품을 포함하는 스마트 티비 기반의 상황 인지를 통한 사용자 이력 분석 제공 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47638A KR101495297B1 (ko) | 2013-04-29 | 2013-04-29 | 스마트 티비 기반의 상황 인지를 통한 사용자 이력 분석 제공 시스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47638A KR101495297B1 (ko) | 2013-04-29 | 2013-04-29 | 스마트 티비 기반의 상황 인지를 통한 사용자 이력 분석 제공 시스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28766A KR20140128766A (ko) | 2014-11-06 |
KR101495297B1 true KR101495297B1 (ko) | 2015-02-27 |
Family
ID=52454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047638A KR101495297B1 (ko) | 2013-04-29 | 2013-04-29 | 스마트 티비 기반의 상황 인지를 통한 사용자 이력 분석 제공 시스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95297B1 (ko)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6186440A1 (ko) * | 2015-05-20 | 2016-11-24 | 주식회사 스마트올웨이즈온 | 멀티모달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정보를 획득하는 셋톱박스, 이를 이용한 관리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WO2018038384A1 (ko) * | 2016-08-26 | 2018-03-01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서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KR101866635B1 (ko) * | 2016-05-12 | 2018-06-12 | 전자부품연구원 | SNS 메시지를 활용한 IoT 기기 제어 방법 및 시스템 |
WO2019022344A1 (ko) * | 2017-07-27 | 2019-01-31 | 삼성전자 주식회사 | 광고를 교체하여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 |
KR102202712B1 (ko) * | 2019-12-05 | 2021-01-13 | 주식회사 제이케이랩스 | 영상 제공 기기 초기 화면을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
KR20220054050A (ko) * | 2020-10-23 | 2022-05-02 | 주식회사 이알마인드 | 정보 추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
US11340866B2 (en) | 2017-11-06 | 2022-05-2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
WO2022131488A1 (ko) * | 2020-12-18 | 2022-06-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US11495190B2 (en) | 2019-08-30 | 2022-11-0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determining configuration settings for a display apparatus |
KR102564659B1 (ko) * | 2022-05-31 | 2023-08-08 | 강병준 | 셋탑박스를 위한 서버기반 동적 모드셋 시스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11260A (ko) * | 2015-07-22 | 2017-02-02 | 주식회사 케이티 | 가구 맞춤형 채널 송출 방법, 서버 및 시스템 |
KR102674490B1 (ko) * | 2016-11-04 | 2024-06-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KR102129160B1 (ko) * | 2017-12-05 | 2020-07-08 |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 콘텐츠 추천을 위한 단말과 서버의 동작 방법 |
CN108235083B (zh) * | 2018-01-16 | 2021-08-24 |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 电视日志信息获取方法及装置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124555A (ja) * | 2006-11-08 | 2008-05-29 | National Institute Of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 番組出力システム、サーバ装置、番組出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KR20100069395A (ko) * | 2008-12-16 | 2010-06-24 | 주식회사 케이티 | 얼굴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에 따라 특화된 아이피티브이 콘텐츠를 추천하는 시스템 및 방법 |
KR20110000996A (ko) * | 2009-06-29 | 2011-01-06 | 주식회사 모임 | 인공지능에 기반한 개인별 맞춤형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그 기록 매체 |
-
2013
- 2013-04-29 KR KR20130047638A patent/KR10149529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124555A (ja) * | 2006-11-08 | 2008-05-29 | National Institute Of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 番組出力システム、サーバ装置、番組出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KR20100069395A (ko) * | 2008-12-16 | 2010-06-24 | 주식회사 케이티 | 얼굴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에 따라 특화된 아이피티브이 콘텐츠를 추천하는 시스템 및 방법 |
KR20110000996A (ko) * | 2009-06-29 | 2011-01-06 | 주식회사 모임 | 인공지능에 기반한 개인별 맞춤형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그 기록 매체 |
Cited B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6186440A1 (ko) * | 2015-05-20 | 2016-11-24 | 주식회사 스마트올웨이즈온 | 멀티모달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정보를 획득하는 셋톱박스, 이를 이용한 관리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KR101866635B1 (ko) * | 2016-05-12 | 2018-06-12 | 전자부품연구원 | SNS 메시지를 활용한 IoT 기기 제어 방법 및 시스템 |
US10750239B2 (en) | 2016-08-26 | 2020-08-1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erver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WO2018038384A1 (ko) * | 2016-08-26 | 2018-03-01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서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US11240568B2 (en) | 2017-07-27 | 2022-02-0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pparatus and method for replacing and outputting advertisement |
WO2019022344A1 (ko) * | 2017-07-27 | 2019-01-31 | 삼성전자 주식회사 | 광고를 교체하여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 |
US11340866B2 (en) | 2017-11-06 | 2022-05-2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
US11495190B2 (en) | 2019-08-30 | 2022-11-0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determining configuration settings for a display apparatus |
KR102202712B1 (ko) * | 2019-12-05 | 2021-01-13 | 주식회사 제이케이랩스 | 영상 제공 기기 초기 화면을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
KR20220054050A (ko) * | 2020-10-23 | 2022-05-02 | 주식회사 이알마인드 | 정보 추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
KR102512404B1 (ko) * | 2020-10-23 | 2023-03-22 | 주식회사 이알마인드 | 정보 추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
WO2022131488A1 (ko) * | 2020-12-18 | 2022-06-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KR102564659B1 (ko) * | 2022-05-31 | 2023-08-08 | 강병준 | 셋탑박스를 위한 서버기반 동적 모드셋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28766A (ko) | 2014-11-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95297B1 (ko) | 스마트 티비 기반의 상황 인지를 통한 사용자 이력 분석 제공 시스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
US20240098221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video and video-related content at sub-asset level | |
CA2810511C (en) | Smart media selection based on viewer user presence | |
US9854288B2 (en) | Method and system for analysis of sensory information to estimate audience reaction | |
JP5482206B2 (ja)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
KR101487639B1 (ko) | 신호-구동 상호작용 텔레비전 | |
EP2541963B1 (en) | Method for identifying video segments and displaying contextually targeted content on a connected television | |
US20140052696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visual categorization of multimedia data | |
US20130124551A1 (en) | Obtaining keywords for searching | |
US9762945B2 (en) | Methods and systems for recommending a display device for media consumption | |
US20140172891A1 (en) | Methods and systems for displaying location specific content | |
TWI527442B (zh) | 資訊萃取方法及設備以及其電腦可讀取的媒體 | |
US9852441B2 (en) | Methods and systems for recommending media assets based on scent | |
US9544720B2 (en) | Information delivery targeting | |
US20160345062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temporally popular content for presentation on a common display | |
KR101875230B1 (ko) | 시청 정보와 메타 데이터를 사용한 선호도 추론 장치 및 방법 | |
US8898259B2 (en) | Bookmarking system | |
KR20160136555A (ko) | 멀티모달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정보를 획득하는 셋톱박스, 셋톱박스로부터 획득한 사용자의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 그리고 이를 이용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
KR101486545B1 (ko) | Tv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방송 영상 검색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
KR102185700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정보 제공 방법 | |
US20190129957A1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dditional information based on multimedia content being viewed | |
JP2017126160A (ja) |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
KR101544547B1 (ko) | 사용자에 의한 컨텐트 이용에 기초하여 광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
JP2006054630A (ja) | 番組推奨方法、番組推奨システム、及び番組推奨プログラ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