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1555B1 - 스팀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스팀발생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81555B1 KR101481555B1 KR20080044620A KR20080044620A KR101481555B1 KR 101481555 B1 KR101481555 B1 KR 101481555B1 KR 20080044620 A KR20080044620 A KR 20080044620A KR 20080044620 A KR20080044620 A KR 20080044620A KR 101481555 B1 KR101481555 B1 KR 10148155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case
- foreign substance
- receiving portion
- steam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36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8236 heating wat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44 precipi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399 tap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679 tap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8733 Citrus aurantifol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738 Limesto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941 Tilia x europa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4 acut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30 elimin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79 elimin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1 lim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28 lime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21 overhe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40—Steam generating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44—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conditioning or finishing, e.g.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팀발생장치의 내부에 수용되는 물을 가열하는 히터의 효율을 개선하고, 내부에 설치되는 구성요소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스팀발생장치 내부에서 발생되는 석회질 등의 이물질에 의해 히터 등의 내부구성 요소의 외면에 스케일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스팀발생생장치의 작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상기 스팀발생장치 내부에 존재하는 이물질에 의해 내부의 구성요소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바, 스팀발생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팀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스팀발생장치의 내부에 수용되는 물을 가열하는 히터의 효율을 개선하고, 내부에 설치되는 구성요소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스팀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팀발생장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판형의 펄세이터를 회전시킴에 따라 발생되는 수류에 의해 세탁하는 방식의 펄세이터형 세탁기와, 눕혀진 통을 회전시킴에 따라 통 내부에서 발생하는 세탁수와 세탁물의 낙차와 마찰력을 이용하여 세탁하는 방식의 드럼세탁기로 대별된다.
이 중 드럼세탁기는 펄세이터형 세탁기에 비해 세탁시 물과 세제의 사용량이 적고, 옷감의 손상이 적으며, 빨래의 엉킴이 거의 없다는 등의 장점으로 그 수요가 점점 더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최근에는 스팀을 적용한 드럼세탁기(이하 "스팀 드럼세탁기"라 한다)의 시장이 점차 확대되는 추세이다.
여기서, 상기 스팀은 드럼 내부로 공급되어 드럼 내부의 분위기 온도를 높여 세제의 활성화를 촉진하여 세탁력 향상에 기여하게 된다. 아울러 많은 양의 세탁수가 불필요하므로 세탁수의절약에도 기여하게 된다. 그리고, 터브 내의 물을 끓이지 않기 때문에 에너지 절약차원에서도 많은 기여를 한다.
이러한 스팀은 비단 세탁을 위한 것뿐만 아니라 세탁기 또는 건조기에 세탁물의 주름을 완화 또는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정전기 제거 또는 냄새 제거를 위하여도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스팀은 세탁기나 건조기 등과 같이 의류의 처리를 위한 세탁장치에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종래의 스팀을 적용한 의류처리장치 중 특히 드럼세탁기와 스팀발생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드럼세탁기는 외관을 이루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 내에 수평 또는 예각을 갖도록 지지되어 세탁수를 저장하는 원통형의 터브(20)와, 세탁수 및 스팀이 유입될 수 있도록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터브(2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30)과, 상기 드럼(30)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미도시)와, 상기 드럼(30)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팀발생장치(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캐비닛(10)은, 전면에 세탁물을 투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드럼(30) 내부와 연통되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를 개폐 가능하도록 도어(11)가 전방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투입구의 내측 둘레면을 따라 상기 도어(11)와 상기 터브(20) 사 이의 연결부를 통해 세탁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스켓(13)이 설치된다.
한편, 드럼세탁기의 일측에는, 외부의 수도관 등이 연결되어 상기 터브(20)에 세탁수를 급수하기 위한 급수밸브 어셈블리(15)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스팀발생장치(50)는, 상기 급수밸브 어셈블리(15)와 연결되어 물이 유입되고, 내부에 저장되는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켜 상기 드럼(30)으로 공급한다.
또한, 상기 스팀발생장치(50)의 일측에는, 상기 스팀발생장치(50)에서 생성된 스팀을 상기 드럼(30) 내부로 안내하여 분사하기 위한 통로가 되는 스팀공급관(80)이 설치된다.
상기 스팀공급관(80)은, 상기 드럼(30)의 내부 공간으로 스팀을 원활하게 분사 가능하도록 그 끝 부분이 노즐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스팀의 토출이 이루어지는 끝단이 상기 드럼의 내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스팀공급관(80)의 말단에 별도의 노즐이 결합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스팀공급관(80)은, 상기 드럼(30)과 연결되는 끝단이 상기 드럼의 상부 일측에서 연통되도록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가스켓(13)을 관통하여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팀발생장치(50)는, 상기 급수밸브 어셈블리(15)와 상기 스팀공급관(80)에서 연결되는 유로를 비교적 짧게 구성하고, 수리 및 점검이 용이하도록 상기 터브(20)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스팀발생장치(5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팀발생장치(50)는, 외관을 이루고 물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60)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60)는 베이스 케이스(60b)와, 상기 베이스 케이스(60b) 상면에 결합되는 커버 케이스(60a)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케이스(60)에는 내부의 온도 및 수위 등의 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각종 센서(91,92)들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팀발생장치(50) 내부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스팀발생장치(50)는 열원을 제공하여, 상기 스팀발생장치(50) 내부의 물로 스팀을 발생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스팀발생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상기 스팀발생장치(50)는 내부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데, 이 과정에서 석회질 등이 스팀발생장치(50) 내부에 누적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인 수돗물을 이용하여 스팀을 발생하는 경우에 많이 일어난다. 특히, 수돗물에 포함되는 성분에 따라 발생되는 석회질의 양이 상이한 바, 지역에 따라 이러한 석회질이 더욱 많이 발생될 수가 있다.
이때, 물이 가열되어 대류하게 되면 상기 석회질이 물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케이스(60) 내측을 표류하면서 케이스(60) 내벽 또는 내부에 구비되는 구성요소의 표면에 스케일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석회질이 내부의 히터(70)의 외면에 부착되어 스케일을 형성하는 경우, 내부에 수용되는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 는 히터(70)의 효율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한편, 상기 스팀발생장치(50) 내부에 공급되는 물에 이물질이 포함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물질은 스팀발생장치(50) 내부에서 물의 유동에 따라 이동하면서, 케이스(60) 내부에 구비되는 각종 센서(91,92)들과 충돌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손상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팀발생장치 내부에서 형성되는 석회질이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는 구성요소에 스케일을 형성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하는데 있다.
도한, 외부에서 급수되는 과정에서 이물질이 케이스 내측에 유입되는 경우, 상기 이물질에 의하여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를 보호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급수구; 상기 유입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히터; 상기 물이 유입하여 이동하는 경로 중 유속이 저하되는 부분의 하측에서 이물질이 수집되는 이물질 수용부;를 포함하는 스팀발생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이물질은 유입되는 물을 따라 유동하면서 유속이 저하되는 부분에서 자중에 의해 침전되어 상기 이물질 수용부로 수집될 수 있도록, 상기 이물질 수용부는 상기 케이스의 하면에 하향으로 단차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이물질이 침전하여 상기 이물질 수용부로 유입되면 상기 케이스 하면 상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곤란하도록, 상기 이물질 수용부의 상측에는 상기 케이스의 하면에서 연장되는 리브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리브는 상기 이물질이 침전하여 상기 이물질 수용부로 유입되 는 것이 용이하도록 하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급수구를 통해 유입되는 물은 상기 케이스의 내벽과 인접한 부분에서 유속이 저하되므로, 상기 이물질 수용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벽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고, 특히 상기 급수구가 설치되는 방향과 반대측 벽면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상기 이물질 수용부는 상기 반대측 벽면의 양 단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이물질 수용부는 상기 반대측 벽면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이물질 수용부는 상기 반대측 벽면의 양단 부분에서 인접한 측면 방향으로 소정 길이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이물질 수용부는 내부에 침전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측으로부터 개폐가능한 개폐부재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캐비닛 내부, 상기 캐비닛과 드럼 사이에 구비되어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장치; 그리고, 상기 스팀을 상기 드럼 내부로 공급하는 스팀공급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스팀발생장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급수구; 상기 유입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히터; 상기 물이 유입하여 이동하는 경로 중 유속이 저하되는 부분의 하측에서 이물질이 자중에 의해 침전되어 수집되는 이물질 수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의류처리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스팀발생장치 내부에서 발생되는 석회질 등의 이물질에 의해 히터 등의 내부구성 요소의 외면에 스케일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스팀발생생장치의 작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상기 스팀발생장치 내부에 존재하는 이물질에 의해 내부의 구성요소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바, 스팀발생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스팀발생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팀발생장치를 구비하는 드럼세탁기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적용한다. 다만, 이는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발생장치를 포함하는 모든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설명의 편의상 동일 명칭 동일 부호를 부여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장치(50)는 물을 수용하는 케이스(60), 상기 케이스(60)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급수구(61), 상기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히터(70), 그리고 상기 케이스(60) 내부로 유입되거나 상기 케이스(60) 내부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이 수집되는 이물질 수용부(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60)는, 일측에 스팀발생장치(50)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구(61) 및 내부에서 생성되는 스팀을 상기 드럼(30)으로 공급하기 위한 스팀공급관(80)과 연결되는 토출구(62)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급수구(61)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이 바로 케이스(60) 내부로 공급되도록 직결식으로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고, 물을 저장할 수 있는 별도의 카트리지를 구비하여 상기 카트리지에 저장되어 있는 물을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수도원과 직결되는 급수 어셈블리(15)와 연결되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을 케이스(60)로 바로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커버 케이스(60a) 일측에는 내부에 저장되는 물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센서(91)와,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되는 물과 스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92)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위센서(91)는, 상기 스팀발생장치(50) 내부에 저장되는 물의 수위를 측정하여, 저장되는 물의 양이 항상 적정한 수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작동한다. 즉, 상기 스팀발생장치(50) 내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가 기준 값보다 낮으면 급수밸브 어셈블리(15)를 개방하여 물을 보충하고, 내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가 기준 값보다 높은 경우에는 상기 급수밸브 어셈블리(15)를 차단하여 급수를 중단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센서(92)는 상기 스팀발생장치(50)에서 생성된 스팀의 온도를 측정하여 기준 값 이상의 온도가 되면 상기 히터의 전원을 차단하여 상기 히터(70)의 과열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히터(70)는 상기 케이스(60) 내부에 수용되는 물을 가열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60)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히터(70)는 상기 스팀발생장치의 외측에서 내부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는 코일 히터 등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저장된 물에 완전히 잠긴 상태에서 물을 직접 가열하는 시스 히터(sheath heater)가 열효율이 높고 단시간에 물을 끓이는 데 더욱 효율적이다.
따라서, 상기 히터(70)는 케이스(60) 내측에 설치되어, 케이스(60) 내부에 수용되는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한다.
이때, 상기 히터(70)는 상기 케이스(60)의 하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케이스(60) 내부에 소량의 물이 수용되어 있더라도, 수용되는 물에 완전히 잠긴 상태에서 직접 가열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케이스(60)의 하측에 이물질이 수집되는 이물질 수용부(10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이물질이라 지칭하는 것은 상기 케이스(60)의 내부에서 생성되는 이물질 및 급수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을 모두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히터(70)에 의해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경우, 가열되는 물의 성분에 따라 소량의 석회질이 발생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석회질은 물 보다 비중이 크기 때문에 스팀발생장치(50)의 운전이 종료되면 자중에 의해 상기 케이스(60)의 하면으로 침전이 이루어진다. 하지만 수용되는 물이 히터(70)에 의해 가열되어 유동하는 경우, 침전된 상태의 석회질 또한 물을 따라 이동하면서 히터 및 기타 구성요소의 외면에 부착되면서 스케일을 형성할 우려가 있다.
또한, 외부의 수도원으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경우, 외부의 이물질이 물과 함께 상기 케이스(6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이물질은 일단 유입이 되면 다시 배출되는 것이 용이하지 않고, 물과 함께 이동하면서 케이스(60) 내부의 각종 구성요소들과 부딪혀 손상을 가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는 상기 이물질들을 별도로 수집하기 위한 이물질 수용부(100)를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이물질 수용부(100)는 상기 케이스(60)의 내측에서 물의 유동이 발생하는 경우, 유속이 상대적으로 저하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물질은 물에 비하여 큰 비중을 갖지만, 중량이 작기 때문에 수류에 의하여 쉽게 이동한다. 따라서, 유속이 큰 곳에서는 수류의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이물질이 지속적으로 유동하게 되고, 케이스(60) 하면에 침전된 상태를 유지하던 이물질 또한 유속이 큰 곳에서는 수류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수류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물질은 유속이 저하되어 수류에 의한 힘이 약해지는 지점에서 자리잡게 된다.
따라서, 케이스(60) 내측에서 유속이 저하되는 지점은 이물질이 수류 방향으로의 이동보다는 자중에 의한 침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다른 지점에 침전되어 있는 이물질이 수류에 의하여 이동하여 정착하게 되는 바, 이 지점에 이물질을 수집하기 위한 이물질 수용부(10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스팀발생장치(50)에 수용되는 물이 소정의 유속으로 이동하는 경우는 급수가 이루어지는 경우 및 스팀발생을 위하여 물을 가열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급수가 이루어지는 시점에서 물의 유속이 가장 크게 작용하여 케이스(60) 내부의 이물질의 이동 또한 가장 활발하게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물이 급수되어 이동하는 경로에 있어 유속이 저하되는 부분에 이물질 수용부(100)를 구비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4는 급수구(61)에 의하여 급수되는 경우 물의 흐름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를 참조하는 경우, 일측의 벽면에 형성되는 급수구(61)를 통해 유입되는 물은 소정의 속도로 반대측 벽면을 향하여 진행한다. 이때, 상기 급수구(61)에서 토출되는 지점에서 가장 큰 유속을 갖고, 상기 반대측 벽면(65)으로 진행하면서 하면 등과의 마찰로 인하여 유속이 감소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반대측 벽면(65)에 충돌한 이후 유속이 급속히 감소하게 되고, 이후 유속이 급감한 상태에서 양측으로 나뉘어 측면(66)을 따라 다시 급수구(61) 방향으로 진행하는 경로를 형성한다.
즉, 상기 급수구(61)를 통하여 물이 유입되는 경우 상기 급수구(61)가 설치되는 방향과 반대측 벽면(65), 그리고 양 측면(66)에 인접한 부분에서 유속이 저하되고, 특히 상기 반대측 벽면과 상기 양 측면이 인접한 부분에서 가장 크게 유속이 저하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따라서, 본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수용부(100)는 유속이 크게 저하되는 부분, 즉 상기 반대측 벽면(65)과 양 측면(66)이 인접하는 부분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이물질 수용부(100)의 설치위치는 하나의 일 예에 불과하고, 본원발명이 본 실시예의 이물질 수용부(100)의 설치위치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수용부(100)의 구체적인 형상을 설명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물질은 물에 비하여 큰 비중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이물질 수용부(100)는 자중에 의해 침전되는 이물질을 수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수용부(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60)의 하면에 하향으로 단차 형성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급수시 물을 따라 이동하던 이물질은 유속이 저하됨에 따라 하측으로 침전이 이루어지면서, 케이스(60)의 하면에 단차되어 형성되는 이물질 수용부(100)로 수집될 수 있다. 또한, 급수가 이루어지기 이전에 상기 케이스(60)의 하면에 침전되어 있던 이물질은 급수시 유입되는 물의 흐름에 의하여 바닥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하향 단차진 이물질 수용부(100)로 낙하하여 수집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물질 수용부(100)는 유속이 저하되는 부분에서 하향으로 단차지는 단차부(110)로 구성되는 바, 케이스(60) 내부의 물의 이동으로부터 의하여 상대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한번 수집된 이물질은 다시 상측으로 빠져나가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는 더욱 바람직하도록 상기 이물질 수용부(100)는 히터(70) 등이 구비되는 상측의 공간과 연통하는 부분과 격리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별도의 차단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단부재에 의하여 상기 이물질 수용부(100)는 별도의 공간을 형성하는 바, 이물질 수용부(100)에 수집된 이물질이 물의 유동에 의하여 상기 히터(70)가 설치되는 공간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차단부재는 상기 단차부(110)의 상측 일면에서부터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리브(120)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이물질이 침전하여 상기 이물질 수용부(100)로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리브(120)는 상기 이물질 수용부(100)의 상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리브(120)는 이물질이 침전시 상기 이물질 수용부(100)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리브(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부(110)의 급수구(61) 방향의 일측에 리브(120)가 형성되어, 상기 급수구의 반대측 벽면(65)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며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리브(120)의 상측으로 침전된 이물질은 상기 리브(120)가 유도하는 방향을 따라 이물질 수용부(100)에 수집되고, 케이스(60) 하면에 침전되어 있던 이물질 또한 급수시 수류 방향으로 진행되면서 상기 리브(120)의 경사를 따라 이물질 수용부(100)로 용이하게 수집되는 것이 가능하다.
반면, 상기 이물질 수용부(100)에 수집된 이물질은 상기 리브(120)에 의하여 상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극히 제한되는 바, 스팀 발생시 물의 가열 등으로 인하여 대류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이물질이 이물질 수용부(100) 외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추가적으로 상기 이물질 수용부(100)의 하측에 외부에서 수집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개폐부재(130)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물질 수용부(100)에 수집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케이스(60)를 분해할 필요없이, 상기 개폐부재(130)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물질 수용부(100)의 하측 외면에 나선형의 장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장착홈으로 돌려 끼움이 가능한 캡 형상의 마개를 이용하여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한다. 다만, 이물질 수용부(100)의 하단에 결합되는 마개는 케이스(60) 내측의 물이 누수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장착되어야 하며, 스팀발생시 물의 온도에도 열변형이 발생되지 않을 정도의 내열성을 보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할 경우 스팀발생장치(50)의 케이스(60) 내부에 이물질이 장기간 잔류하면서 스케일을 형성하거나, 이동에 의하여 내부 구성요소를 손상시키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팀발생장치(50) 내측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이물질 수용부(100)의 형상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이 상기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적용하여 다양한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대하여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설명의 편의상 동일 명칭 동일 부호를 부여하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실시예에서 상기 이물질 수용부(100)가 상기 급수가 설치되는 일측면의 반대측 벽면(65)의 양측에 형성되는 형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반대측 벽면(65)을 따라 연장되는 형상의 이물질 수용부(100)를 구비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물질 수용부(100)는 상기 반대측 벽면(65)의 하단 모서리를 따라 하향으로 단차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유속이 저하되는 부분을 따라 이물질 수용부(100)가 길게 형성되는 바, 제1실시예에 비하여 이물질을 더 용이하게 수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상기 이물질 수용부(100)는 상기 반대측 벽면(65)의 양단부분에서 측면(66)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 절곡되는 형상을 구비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급수구(61)로 인하여 물이 유입하는 경우 상기 반대측 벽면(65)에 부딪힌 후, 양 측면(66)을 따라 상기 급수구(61)가 설치된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 적은 유속이라 하더라도 수류에 의하여 양 측면방향으로 비껴 침전하는 이물질까지 수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a은 도 6에서 I-I`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b는 도 6에서 II-II'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a,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 수용부(100)를 상측의 히터(70) 등이 구비되는 케이스(60) 내부와 격리시키기 위한 차단부재, 즉 리브(12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브(120)는 이물질이 상기 이물질 수용부(100)로 유입되는 것은 용이하면서도, 외부로 유출되는 것은 곤란하도록 하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이물질 수용부(100)는 'ㄷ'자 형상의 3측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바, 상기 리브(120) 또한 상기 이물질 수용부(100)에 대응되도록 'ㄷ'자 형상을 이루거나, 일자형 리브(120)를 세 개 이상 이용하여 3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의할 경우, 제1실시예와 대비하여 넓은 범위에서 이물질을 수용하기 때문에, 케이스 내부의 이물질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드럼세탁기의 구조를 간략하게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드럼세탁기의 스팀발생장치의 내부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급수시 케이스 내부에 유입되는 물의 흐름을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제1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수용부의 절단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제2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I-I' 및 II-II'의 절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Claims (12)
- 케이스;상기 케이스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급수구;상기 유입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히터;상기 물이 유입하여 이동하는 경로 중 유속이 저하되는 부분의 하측에서 이물질이 수집되는 이물질 수용부;를 포함하며,상기 이물질 수용부는 상기 케이스의 하면에 하향으로 단차지도록 형성되며,상기 이물질 수용부의 상측에는 상기 케이스의 하면에서 하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리브를 포함하며,상기 리브는 상기 이물질 수용부의 하부면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발생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이물질은 유입되는 물을 따라 유동하면서 유속이 저하되는 부분에서 자중에 의해 침전되어 상기 이물질 수용부로 수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발생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제2항에 있어서,상기 급수구를 통해 유입되는 물은 상기 케이스의 내벽과 인접한 부분에서 유속이 저하되고, 상기 이물질 수용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벽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발생장치.
- 제6항에 있어서,상기 이물질 수용부는 상기 급수구가 설치되는 방향과 반대측 벽면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발생장치.
- 제7항에 있어서,상기 이물질 수용부는 상기 반대측 벽면의 양 단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발생장치.
- 제7항에 있어서,상기 이물질 수용부는 상기 반대측 벽면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발생장치.
- 제9항에 있어서,상기 이물질 수용부는 상기 반대측 벽면의 양단 부분에서 인접한 측면 방향으로 소정 길이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발생장치.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이물질 수용부는 내부에 침전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측으로부터 개폐가능한 개폐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발생장치.
-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상기 캐비닛 내부, 상기 캐비닛과 드럼 사이에 구비되어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장치; 그리고,상기 스팀을 상기 드럼 내부로 공급하는 스팀공급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상기 스팀발생장치는,케이스;상기 케이스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급수구;상기 유입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히터;상기 물이 유입하여 이동하는 경로 중 유속이 저하되는 부분의 하측에서 이물질이 자중에 의해 침전되어 수집되는 이물질 수용부;를 포함하며,상기 이물질 수용부는 상기 케이스의 하면에 하향으로 단차지도록 형성되며,상기 이물질 수용부의 상측에는 상기 케이스의 하면에서 하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리브를 포함하며,상기 리브는 상기 이물질 수용부의 하부면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의류처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80044620A KR101481555B1 (ko) | 2008-05-14 | 2008-05-14 | 스팀발생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80044620A KR101481555B1 (ko) | 2008-05-14 | 2008-05-14 | 스팀발생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18687A KR20090118687A (ko) | 2009-11-18 |
KR101481555B1 true KR101481555B1 (ko) | 2015-01-13 |
Family
ID=41602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080044620A KR101481555B1 (ko) | 2008-05-14 | 2008-05-14 | 스팀발생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81555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23415B1 (ko) * | 1997-08-16 | 1999-10-15 | 윤종용 | 세탁기용 이물걸름장치의 역류차단구조 |
KR20030004714A (ko) * | 2001-07-06 | 2003-01-15 |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 세탁기용 이물질 채집장치 |
KR20050060566A (ko) * | 2003-12-16 | 2005-06-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세탁기 |
KR20070016290A (ko) * | 2005-08-02 | 2007-02-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증기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
-
2008
- 2008-05-14 KR KR20080044620A patent/KR10148155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23415B1 (ko) * | 1997-08-16 | 1999-10-15 | 윤종용 | 세탁기용 이물걸름장치의 역류차단구조 |
KR20030004714A (ko) * | 2001-07-06 | 2003-01-15 |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 세탁기용 이물질 채집장치 |
KR20050060566A (ko) * | 2003-12-16 | 2005-06-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세탁기 |
KR20070016290A (ko) * | 2005-08-02 | 2007-02-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증기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18687A (ko) | 2009-11-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826310B1 (en) | Steam generator and drum-type washing machine with the same | |
KR100504501B1 (ko) |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의 세탁방법 | |
KR100517613B1 (ko) |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 | |
EP1813704B2 (en) | Steam generator for a washing machine | |
KR100510680B1 (ko) |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 | |
US8615166B2 (en) | Steam generator and washing machine therewith | |
US8015644B2 (en) |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 |
US7950257B2 (en) | Steam generator and washing machine therewith | |
KR101481555B1 (ko) | 스팀발생장치 | |
KR100925434B1 (ko) | 스팀발생장치 | |
KR20050044884A (ko) |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 | |
KR20070075491A (ko) | 세탁기용 스팀 발생기의 잔수배수구조 | |
KR100765280B1 (ko) | 증기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드럼 세탁기. | |
KR20000002181A (ko) | 드럼세탁기의 압력방출장치 | |
KR101033595B1 (ko) | 세탁기용 스팀발생장치 | |
KR101203846B1 (ko) | 드럼세탁기 | |
KR101191175B1 (ko) | 드럼 세탁기 | |
KR100271171B1 (ko) | 드럼세탁기의 고정조 | |
KR20070002289A (ko) | 드럼세탁기의 스팀공급관 구조 | |
KR20070088213A (ko) | 스팀발생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