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80524B1 - 액정패널 흡착용 지그장치 - Google Patents

액정패널 흡착용 지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0524B1
KR101480524B1 KR1020130128004A KR20130128004A KR101480524B1 KR 101480524 B1 KR101480524 B1 KR 101480524B1 KR 1020130128004 A KR1020130128004 A KR 1020130128004A KR 20130128004 A KR20130128004 A KR 20130128004A KR 101480524 B1 KR101480524 B1 KR 101480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panel
frame
panel
j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8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증수
Original Assignee
희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희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희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8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05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0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0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1/00Machines for separating superposed web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 방향으로 다수개 적층되는 액정패널 어레이에 대하여 액정패널 사이에 개입된 보호시트를 액정패널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하고, 액정패널에 연결되는 제어 기판을 안전하게 보호하면서 액정패널을 분리할 수 있는 액정패널 흡착용 지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액정패널 흡착용 지그장치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바(bar) 형상의 프레임이 다각형으로 연결되는 본체; 상기 프레임에 하측에 연결되는 흡착 수단; 일 측의 상기 프레임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면서 연결되는 암(arm)의 단부에 걸이 후크가 마련되는 기판 고정 수단; 및 타 측의 상기 프레임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면서 연결되는 암(arm)의 단부에 끼움 패드가 마련되는 패널 분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액정패널 흡착용 지그장치는, 보호시트를 제거하면서 상부의 액정패널을 하부의 액정패널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고, 제어기판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액정패널을 이동시킬 수 있으며, 다양한 크기의 액정패널 흡착 및 이동에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액정패널 흡착용 지그장치{Jig Apparatus for Holding Up a Liquid Crystal Panel}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직 방향으로 다수개 적층되는 액정패널 어레이에 대하여 액정패널 사이에 개입된 보호시트를 액정패널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하고, 액정패널에 연결되는 제어 기판을 안전하게 보호하면서 액정패널을 분리할 수 있는 액정패널 흡착용 지그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패널은 셀의 배열에 따라 영상을 구현하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이하 'LCD'라 함)의 핵심 소자이다. 이러한 액정패널은 배면에는 광원인 백라이트 유닛이 체결되며, 전면의 탑 케이스와 배면의 백 커버에 의하여 LCD 장치를 구현한다. 이와 같이 LCD는 액정패널과 백라이트 유닛이 별도의 공정에서 제조되어 서로 조립된다. 따라서, LCD의 조립을 위해서는 액정패널을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과 액정패널을 적재 또는 분리하기 위한 수단이 각각 요구된다.
도 1은 액정패널들의 적재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액정패널 흡착용 지그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패널 제조 공정에서 제조된 다수의 액정패널(10)들은 이동 수단인 카세트(20)에 적재된 다음 다른 공정을 위하여 다른 장비 또는 다른 라인으로 운반된다. 액정패널(10) 적재시 액정패널(10) 사이의 마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패널과 패널 사이마다 패널 보호용 시트(일명, '간지'라고도함)가 삽입된다. 또한, 액정패널(10)의 적재와 분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패널 흡착 지그(30)를 이용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패널 흡착 지그(30)는 사각 형상의 프레임(31)과 프레임(31)의 모서리 하측에 구비되는 복수의 흡착 패드(32)로 구성되며, 사각 형상의 프레임(31) 중 대향하는 한 쌍의 프레임에는 손잡이(33)가 마련된다. 또한, 손잡이(33)에는 흡착 패드(32)가 액정패널을 진공 흡착 및 탈착할 수 있는 조절 수단(미도시)이 마련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패널 흡착 지그(30)를 이용하여 작업자는 사각 평판 형상의 액정패널(10)을 카세트(20)에 적재하거나 카세트(20)로부터 분리하여, 백라이트 유닛과의 조립을 위한 작업을 수행한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따른 패널 흡착 지그(30)는 액정패널(10)을 흡착 및 탈착하기에는 유리하지만, 카세트(20)에 적재된 액정패널(10)을 쉽게 분리하기에는 여전히 불편한 점이 존재한다. 다수의 액정패널(10)이 수직으로 적층되는 경우 사각 평판 형상의 각 액정패널(10)은 패널 사이에 별도의 공간이 존재하지 않아 진공에 가까운 상태로 서로 밀착된다. 이 경우 상부의 액정패널(10)을 분리하는 경우 하부의 액정패널과는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된다.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별도의 콤프레셔(compressor) 장치를 이용하여 액정패널(10) 사이에 에어를 강제주입하여 소정의 간격을 확보함으로써, 밀착된 액정패널(10)들이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부의 액정패널(10)이 하부의 액정패널(10)과 분리되더라도, 액정패널(10) 사이에 개입된 보호시트(11)가 액정패널(10)과 함께 분리되어, 작업자는 수작업으로 액정패널(10)로부터 보호시트(11)를 별도로 분리하는 번거로운 과정이 수행되어야 한다.
또한, 액정패널(10)의 일 측에는 제어기판(12)이 마련되는데, 제어기판(12)은 필름 형태의 케이블(13, Flexible Flat Cable:FFC)에 의하여 액정패널(10) 본체에 연결된다. 제어기판(12)은 액정패널(10)의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에 신호를 인가하여 액정패널(10)을 구동하기 위한 기판으로, T-Con 기판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어기판(12)은 연성의 FFC(13)에 의하여 연결되어 액정패널(10) 본체로부터 쉽게 흔들리게 된다. 종래의 패널 흡착 지그(30)에는 제어기판(12)을 고정시기기 위한 수단이 구비되지 않아, 작업시 흔들림에 의하여 액정패널(10)과 제어기판(12)의 연결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다수의 액정패널이 수직으로 적층되는 액정패널 어레이에서 보호시트를 제거하면서 상부의 액정패널을 쉽게 분리할 수 있는 액정패널 흡착용 지그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액정패널의 이동 작업시 패널 본체에 연결된 제어기판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면서 액정패널을 흡착할 수 있는 액정패널 흡착용 지그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의 액정패널은 흡착할 수 있는 액정패널 흡착용 지그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액정패널 흡착용 지그장치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바(bar) 형상의 프레임이 다각형으로 연결되는 본체; 상기 프레임의 하측에 결합되는 흡착 수단; 및 일 측의 상기 프레임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면서 연결되는 암(arm)의 단부에 걸이 후크가 마련되는 기판 고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액정패널 흡착용 지그장치는 타 측의 상기 프레임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면서 연결되는 암(arm)의 단부에 끼움 패드가 마련되는 패널 분리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끼움 패드는 연성의 플라스틱 또는 실리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판 고정 수단의 암은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길이 방향으로 위치 변경가능하도록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액정패널 흡착용 지그장치는, 수직으로 적층된 액정패널 사이에 끼워져 액정패널의 접합 면을 분리하기 위한 끼움 패드가 구비되어, 보호시트를 제거하면서 상부의 액정패널을 하부의 액정패널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액정패널 흡착용 지그장치는, 액정패널 본체에 유동적으로 연결되는 제어기판을 고정시키기 위한 걸이 후크가 구비되어, 제어기판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액정패널을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액정패널 흡착용 지그장치는, 지그장치 본체를 구성하는 프레임이 신축 가능한 구조를 이룸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액정패널 흡착 및 이동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액정패널들의 일반적인 적재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액정패널 흡착용 지그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패널 흡착용 지그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주요부인 기판 고정 수단을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3의 주요부인 프레임과 기판 고정 수단의 연결 구조를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3의 주요부인 패널 분리 수단을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3의 주요부인 프레임 구조를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지그장치를 이용한 액정패널 흡착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및
도 9는 도 8의 액정패널 흡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패널 흡착용 지그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주요부인 기판 고정 수단을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주요부인 프레임과 기판 고정 수단의 연결 구조를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의 주요부인 패널 분리 수단을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3의 주요부인 프레임 구조를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액정패널 흡착용 지그장치(100)는 사각 형상의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하측에서 결합되는 패널 흡착 수단(120), 상기 본체(110)의 일 측 프레임(111)에 결합되는 기판 고정 수단(130) 및 상기 본체(110)의 타 측 프레임(111)에 결합되는 패널 분리 수단(14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본체(11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바(bar) 형상의 프레임(111)이 사각 형상으로 결합되며, 대향하는 한 쌍의 프레임(111)은 손잡이(112)를 구성한다. 이러한 본체(110)는 전체적으로 사각 이외의 형상을 이루는 것도 가능하지만, 액정패널(200)의 형상에 대응하는 사각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110)는 흡착 대상인 액정패널(200)보다는 작은 가로 및 세로의 직경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패널 흡착 수단(120)은 액정패널(200)을 합착하기 위한 수단으로, 실리콘 재질의 흡착 패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패널 흡착 수단(120)은 사각 형상의 본체(110)에 대하여 프레임(111)이 연결되는 각 모서리부에 하나씩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패널 흡착 수단(120)은 강제 진공을 이용한 진공 흡착 패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패드에는 진공 흡착을 위한 흡입 홀이 형성되고, 본체(110)의 손잡이(112) 측에는 진공 흡입과 해제를 조절하는 진공 제어 수단이 구비된다.
기판 고정 수단(130)은 액정패널(200)의 일 측에 구비되는 제어기판(210)이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본체(110)의 일 측 프레임(111)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면서 연결된다. 기판 고정 수단(13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1)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면서 연결되는 제1암(131), 제1암(131)의 단부에서 하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암(132) 및 제2암(132)의 단부에 결합되는 걸이 후크(133)로 구성된다. 여기서 프레임(111)과 제1암(131), 제1암(131)과 제2암(132)은 스크류 조인트(134,135)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기판 고정 수단(130)은 액정패널(200)에 결합되는 제어기판(210)의 수에 따라 다수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기판 고정 수단(130)은 본체(110)의 프레임(111)에 대하여 길이 방향으로 위치 변경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 고정 수단(130)을 구성하는 제1암(131)은 스크류 조인트(135)에 의하여 프레임(111)에 고정되는데, 조인트를 구성하는 끼움 부재(135a)는 프레임(111)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유동이 가능하며, 스크류에 의하여 소정의 위치에 고정된다.
패널 분리 수단(140)은 수직 방향으로 다수개 적층되는 액정패널 어레이 구조에서 분리하고자 하는 액정패널(200)이 하측의 다른 액정패널과 쉽게 분리되도록 하고, 하면에 부착되는 보호시트(300)를 액정패널(200)로부터 쉽게 분리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패널 분리 수단(140)은 본체(110)의 타 측 프레임(111)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면서 결합된다. 패널 분리 수단(140)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1)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면서 연결되는 제1암(141), 제1암(141)의 단부에서 하측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2암(142), 제2암(142)의 단부에 결합되는 끼움 패드(143)로 구성된다.
여기서 프레임(111)과 제1암(141) 및 제1암(141)과 제2암(142)은 스크류 조인트(244,145)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암(141) 및 제2암(142)은 본체(110)의 크기에 따라 다수개 결합될 수 있다.
끼움 패드(143)는 액정패널(200)에 접촉되는 부분이므로, 접촉에 의한 액정패널(200)이 손상되지 않도록 연성의 플라스틱 재질이나 실리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끼움 패드(143)는 액정패널(200) 사이에 쉽게 끼워질 수 있도록 액정패널 사이에 끼워지는 일측 단부는 뾰족한 쐐기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기판 고정 수단(130)과 패널 분리 수단(140)을 구성하는 제1암(131,132)은 신축 가능한 구조를 이룬다. 즉, 도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암(131,132)은 내측 암(131a,141a)과 외측 암(131b,141b)으로 분리되며, 내측 암(131a,141a)이 외측 암(131b,141b) 내부로 슬라이딩 삽입되도록 체결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를 구성하는 프레임(111)도 내측 프레임(111a)과 외측 프레임(111b)으로 분리되며, 내측 프레임(111a)이 외측 프레임(111b) 내부로 슬라이딩 삽입되도록 체결되어 신축 가능한 구조를 이룬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지그장치(100)는 다양한 크기의 액정패널(200)에 적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지그장치를 이용한 액정패널 흡착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액정패널 흡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그장치(100)를 이용한 액정패널(200)의 흡착은 먼저, 기판 고정 수단(130)의 걸이 후크(133)에 제어기판(210)이 끼워지도록 체결하고, 이와 동시에 패널 흡착 수단(120)을 액정패널(200)에 가압하여 흡착 패드를 부착시킨다. 그리고, 패널 분리 수단(140)의 끼움 패드(143)를 액정패널(200)과 보호시트(300)와 끼워넣어 액정패널(200)과 보호시트(300)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액정패널을 액정패널 어레이로부터 분리한다. 패널 분리 수단(140)에 의하여 액정패널(200)과 보호시트(300)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형성됨에 따라 액정패널(200)은 하부의 보호시트(300)와 다른 액정패널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있어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 지그장치
110 : 본체 111 : 프레임
120 : 패널 흡착 수단
130 : 기판 고정 수단 133 : 걸이 후크
140 : 패널 분리 수단 143 : 끼움 패드
131,141 : 제1암 132,142 : 제2암
200 : 액정패널
210 : 제어기판
300 : 보호시트

Claims (4)

  1. 소정의 길이를 갖는 바(bar) 형상의 프레임이 다각형으로 연결되는 본체;
    상기 프레임의 하측에 결합되는 흡착 수단;
    일 측의 상기 프레임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면서 연결되는 암(arm)의 단부에 걸이 후크가 마련되는 기판 고정 수단; 및
    타 측의 상기 프레임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면서 연결되는 암(arm)의 단부에 끝이 뾰족한 끼움 패드가 마련되는 패널 분리 수단;
    을 포함하는 액정패널 흡착용 지그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 패드는,
    연성의 플라스틱 또는 실리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패널 흡착용 지그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고정 수단의 암은,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길이 방향으로 위치 변경가능하도록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패널 흡착용 지그장치.
KR1020130128004A 2013-10-25 2013-10-25 액정패널 흡착용 지그장치 KR101480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8004A KR101480524B1 (ko) 2013-10-25 2013-10-25 액정패널 흡착용 지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8004A KR101480524B1 (ko) 2013-10-25 2013-10-25 액정패널 흡착용 지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0524B1 true KR101480524B1 (ko) 2015-01-12

Family

ID=52588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8004A KR101480524B1 (ko) 2013-10-25 2013-10-25 액정패널 흡착용 지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052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9712B1 (ko) 2015-07-16 2016-04-06 (주)소닉스 흡착지그
WO2020251157A1 (ko) * 2019-06-14 2020-12-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부품 용 서포터
WO2020249021A1 (zh) * 2019-06-10 2020-12-17 北海惠科光电技术有限公司 搬运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765U (ja) * 1992-09-14 1994-04-12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の移載装置
KR20110055098A (ko) * 2009-11-19 2011-05-25 태산엘시디 주식회사 피씨비 거치대가 구비된 패널 이송용 흡착기
KR20120012102A (ko) * 2010-07-30 2012-02-09 (주) 케이피 패널 이송용 진공흡착기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진공흡착기
KR20120133553A (ko) * 2011-05-31 2012-12-11 (주)금성다이아몬드 디스플레이 패널 이동용 진공흡착기에 적용되는 회로기판 위치 고정용 지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765U (ja) * 1992-09-14 1994-04-12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の移載装置
KR20110055098A (ko) * 2009-11-19 2011-05-25 태산엘시디 주식회사 피씨비 거치대가 구비된 패널 이송용 흡착기
KR20120012102A (ko) * 2010-07-30 2012-02-09 (주) 케이피 패널 이송용 진공흡착기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진공흡착기
KR20120133553A (ko) * 2011-05-31 2012-12-11 (주)금성다이아몬드 디스플레이 패널 이동용 진공흡착기에 적용되는 회로기판 위치 고정용 지그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9712B1 (ko) 2015-07-16 2016-04-06 (주)소닉스 흡착지그
WO2020249021A1 (zh) * 2019-06-10 2020-12-17 北海惠科光电技术有限公司 搬运装置
WO2020251157A1 (ko) * 2019-06-14 2020-12-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부품 용 서포터
KR20200143586A (ko) * 2019-06-14 2020-12-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부품 용 서포터
US11974400B2 (en) 2019-06-14 2024-04-30 Samsung Display Co., Ltd. Supporter for electronic component
KR102667205B1 (ko) * 2019-06-14 2024-05-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부품 용 서포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1629B1 (ko) 윈도우 합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제조방법
KR101790149B1 (ko) 터치패널의 지지구조
US9674922B2 (en) Display side edge assembly and mobile device including same
KR101480524B1 (ko) 액정패널 흡착용 지그장치
KR20160100001A (ko)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장치
US20170227809A1 (en) Display device
TWI485482B (zh) 具面板支撐結構之顯示模組
KR101887655B1 (ko) 수평형 피씨비 본딩 장치
US7006167B2 (en) Fixing structure for an LCD panel
US8582048B2 (en) LED backlight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4479509B2 (ja) フレキシブル配線基板の接続装置
JP2009109733A (ja) 表示装置
KR102649103B1 (ko) 유리판 포장체
TWM377048U (en) Fixing element for circuit board
KR101399399B1 (ko) 기판용 카세트의 재치대
KR10171112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140022715A1 (en) Top chassis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11920724B2 (en) Electronic apparatus
KR101920754B1 (ko) 기판 이송장치
KR100669178B1 (ko) Lcd의 몰드프레임용 이동대차
JP2012173706A (ja) 表示装置
JPH04366811A (ja) 表示装置
KR20140116693A (ko) 연성 인쇄회로기판
CN210199444U (zh) 一种夹持装置
KR20140044600A (ko)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