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5154B1 - Method for Changing to Wake Up Mode at External Device and Mobile Terminal Docking Thereat - Google Patents
Method for Changing to Wake Up Mode at External Device and Mobile Terminal Docking Therea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85154B1 KR101485154B1 KR20110068747A KR20110068747A KR101485154B1 KR 101485154 B1 KR101485154 B1 KR 101485154B1 KR 20110068747 A KR20110068747 A KR 20110068747A KR 20110068747 A KR20110068747 A KR 20110068747A KR 101485154 B1 KR101485154 B1 KR 1014851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b
- portable terminal
- external device
- docking
- mod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8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herein functions are triggered by incoming communication ev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서로 도킹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와 휴대 단말이 웨이크 업 모드로 전환하는 방법으로서, 슬립 모드인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키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키 입력이 감지된 경우, 슬립 모드에 있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웨이크 업 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이, 웨이크 업 된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의해 발생한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및 전송 받은 상기 소정의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슬립 모드에 있는 상기 휴대 단말이 웨이크 업 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웨이크 업 모드 전환 방법이 제공이 제공된다.A method of switching an external device and a portable terminal connected to each other by docking to a wake-up mode, the method comprising: sensing a key input by the external device in a sleep mode; When the key input is detected, waking up the external device in the sleep mode; The portable terminal detecting a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external device woken up; And a step of waking up the mobile terminal in the sleep mode by the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transmitted thereto.
Description
본 발명은 서로 도킹 연결된 휴대 단말과 외부 디바이스가 웨이크 업 모드로 전환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switching between a portable terminal docked with each other and an external device into a wake-up mode.
반도체 및 무선통신 기술이 점차적으로 발달함에 따라, 휴대 단말은 기본적인 전화통화 기능 외에도 카메라, MP3, 인터넷, 게임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적인 기능을 구비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휴대 단말의 사용이 더욱 활성화되었다. 그리고, 최근에는 이와 같은 기능들이 더욱 강화된 스마트폰이 보급되기 시작하였으며, 이에 발맞추어 스마트폰에서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들도 개발되고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As semiconductor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are gradually developed, a mobile terminal has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a camera, MP3, Internet, game, etc. in addition to a basic phone call function. In recent years, smartphones having enhanced functions such as these have begun to be widely used. Accordingly,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that can be used in smart phones are being developed.
그러나, 휴대 단말은 휴대성 및 이동성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단말의 크기에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으며, 이에 따라 화면의 크기, 해상도, 스피커 성능 등도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portable terminal has to consider portability and mobility, there is a limit to the size of the terminal, and accordingly, the size, resolution, and speaker performance of the screen are also limited.
종래기술의 경우, 휴대 단말에 저장된 데이터, 음원 파일, 컨텐츠 등을 보다 좋은 사용 환경에서 활용하기 위하여 휴대 단말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노트북이나 컴퓨터 등의 형태를 가지는 외부 디바이스(일명, 도킹 스테이션)가 개발되었으며, 이러한 외부 디바이스에서 휴대 단말에 저장된 데이터, 음원 파일, 컨텐츠 등을 보다 큰 화면과 좋은 성능의 스피커로 출력하여 이용해 왔다.In the prior art, an external device (also referred to as a docking station) having a form of a notebook computer or a computer capable of connecting a portable terminal to use data stored in the portable terminal, sound source files, contents, And the data, sound file, and contents stored in the portable terminal in the external device have been output to a larger screen and good performance speaker.
휴대 단말과 외부 디바이스는 배터리를 이용하여 동작하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일정 시간 동안 사용되지 않는 경우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슬립 모드(Sleep Mode)로 전환된다. 슬립 모드에서 다시 휴대 단말과 외부 디바이스가 정상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휴대 단말과 외부 디바이스를 웨이크 업 모드(Wake Up Mode)로 전환되어야 하는데, 휴대 단말과 외부 디바이스가 도킹 연결된 상태에서는 휴대 단말과 외부 디바이스가 서로의 상태를 고려하여 웨이크 업 모드로의 전환을 수행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external device generally operate using a battery, and are switched to a sleep mode in order to reduce power consumption when they are not us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In order to allow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external device to perform a normal operation again in the sleep mode,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external device must be switched to the wake up mode (Wake Up Mode). In a state where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external device are docked, It is necessary for the devices to perform switching to the wake-up mode in consideration of the states of each other.
본 발명은 서로 도킹 연결된 휴대 단말과 외부 디바이스가 슬립 모드에서 웨이크 업 모드로 전환되는 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switching a portable terminal and an external device, which are connected to each other docked, from a sleep mode to a wake-up mod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서로 도킹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와 휴대 단말이 웨이크 업 모드로 전환하는 방법으로서, 슬립 모드인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키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키 입력이 감지된 경우, 슬립 모드에 있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웨이크 업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이, 웨이크 업된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의해 발생한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및 전송 받은 상기 소정의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슬립 모드에 있는 상기 휴대 단말이 웨이크 업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웨이크 업 모드 전환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switching an external device and a mobile terminal, both of which are docked together, to a wake-up mode, comprising: sensing a key input by the external device in a sleep mode; When the key input is detected, waking up the external device in the sleep mode; Detecting, by the portable terminal, a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external device woken up; And waking up the portable terminal in the sleep mode by the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transmitted thereto.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소정의 전기적 신호는, 상기 휴대 단말과 상기 외부 디바이스 간의 USB의 VBUS를 통한 리셋 신호이거나, HDMI CEC 핀을 통한 인터럽트 신호 또는 HDMI 유틸리티 핀을 통한 인터럽트 신호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may be a reset signal via USB VBUS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external device, an interrupt signal via the HDMI CEC pin, or an interrupt signal through the HDMI utility pin.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슬립 모드에 있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웨이크 업되는 단계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서브 디바이스가 슬립 상태에 있는 경우, 슬립 상태에 있는 상기 서브 디바이스가 웨이크 업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웨이크 업 모드 전환 방법은, 웨이크 업 된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 상기 휴대 단말 간의 USB 데이터 전송 채널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waking up the external device in the sleep mode includes waking up the sub device in the sleep state when the sub device of the external device is in the sleep state, The wakeup mode switching method may further include activating a USB data transmission channel between the external device and the portable terminal.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슬립 상태에 있는 상기 휴대 단말이 웨이크 업되는 단계는, 상기 휴대 단말의 서브 디바이스가 슬립 상태에 있는 경우, 슬립 상태에 있는 상기 서브 디바이스가 웨이크 업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웨이크 업 모드 전환 방법은, 웨이크 업 된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 상기 휴대 단말 간의 HDMI 데이터 전송 채널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waking up the mobile terminal in the sleep state includes a step of waking up the sub device in the sleep state when the sub 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is in the sleep state, The wakeup mode switching method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activating the HDMI data transmission channel between the external device and the portable terminal.
일 실시예에서, 상기 웨이크 업 모드 전환 방법은,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포함된 제1 서브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휴대 단말에 포함되고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에 상응하는, 제2 서브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에서,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에 의해 발생한 소정의 이벤트가 상기 휴대 단말에서 처리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가 소정의 제어 동작을 수행하도록, 서브 디바이스 제어 경로가 재구성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를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wake-up mode switching method includes: obtaining information on a first sub-device included in the external device; The portable terminal acquiring information about a second sub-device included in the portable terminal a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sub-device; The sub-device control path is reconfigured in the portable terminal such that a predetermined event generated by the first sub-device is processed by the portable terminal or the first sub-device performs a predetermined control operation; And the external device acquir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second sub device and changing the status of the first sub device to the status of the second sub devic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웨이크 업 모드 전환 방법은,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가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로 변경되도록,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wake-up mode switching method includes: transmitt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second sub-device to the external device such that the status of the first sub-device is changed to the status of the second sub-device; .
일 실시예에서, 상기 웨이크 업 모드 전환 방법은,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를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wakeup mode switching method may further include, after the step of acquiring information on the second sub device, deactivating the second sub device by the portable terminal.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브 디바이스 제어 경로가 재구성되는 단계는, 상기 휴대 단말에 포함된 핸들러가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에 의해 발생하는 이벤트를 처리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휴대 단말에 포함된 제어함수가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가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게 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reconfiguring the sub-device control path may include a step of allowing a handler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to process an event generated by the first sub-device, or a control function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And causing the one sub-device to perform a predetermined opera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 연결된 휴대 단말이 웨이크 업 모드로 전환되는 방법으로서, 상기 휴대 단말이, 웨이크 업 된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의해 발생한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소정의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웨이크 업 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포함된 제1 서브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휴대 단말에 포함되고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에 상응하는, 제2 서브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 단말에서,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에 의해 발생한 소정의 이벤트가 상기 휴대 단말에서 처리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가 소정의 제어 동작을 수행하도록, 서브 디바이스 제어 경로가 재구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웨이크 업 모드 전환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switching a wired terminal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to a wake up mode,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sensing a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wired up external device; The portable terminal is woken up by the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The mobile terminal acquiring information about a first sub-device included in the external device; The portable terminal acquiring information about a second sub-device included in the portable terminal a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sub-device; And a sub-device control path is reconfigured in the portable terminal such that a predetermined event generated by the first sub-device is processed by the portable terminal or the first sub-device performs a predetermined control operation A wake-up mode switching method is provided.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휴대 단말과 도킹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가 웨이크 업 모드로 전환되는 방법으로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슬립 모드에서, 키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키 입력이 감지된 경우,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웨이크 업 되는 단계;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상기 휴대 단말이 웨이크 업 되도록, 상기 휴대 단말로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상기 휴대 단말의 서브 디바이스 제어 경로가 재구성되어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포함된 제1 서브 디바이스에 의해 발생한 소정의 이벤트가 상기 휴대 단말에서 처리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가 소정의 제어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상기 휴대 단말에 포함되고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에 상응하는, 제2 서브 디바이스에 대한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를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웨이크 업 모드 전환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switching an external device docked with a portable terminal to a wake-up mode, the method comprising: sensing a key input in the sleep mode; When the key input is detected, waking up the external device; The external device transmitting a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to the portable terminal such that the portable terminal is woken up; Wherein the external device is configured such that a predetermined event generated by a first sub device included in the external device is reconfigured in a sub device control path of the portable terminal is processed in the portable terminal,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the first sub-device to the mobile terminal so as to perform the first sub-device; The external device acquiring status information about a second sub-device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a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sub-device; And changing, by the external device, the state of the first sub-device to the state of the second sub-devic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 연결되는 휴대 단말로서, 도킹 인터페이스부;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웨이크 업 된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의해 발생한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감지하는 웨이크 업 신호 감지부; 상기 웨이크 업 신호 감지부에 의해 상기 소정의 전기적 신호가 감지된 경우, 상기 휴대 단말을 웨이크 업 하는 휴대 단말 모드 변환부;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포함된 제1 서브 디바이스에 상응하는 제2 서브 디바이스; 및 상기 휴대 단말이 웨이크 업 된 경우,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에 의해 발생한 소정의 이벤트가 상기 휴대 단말에서 처리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가 소정의 제어 동작을 수행하도록, 서브 디바이스 제어 경로를 재구성하는 제어 루트 관리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terminal docked with an external device, the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docking interface; A wake-up signal sensing unit for sensing a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external device waking up through the docking interface unit; A portable terminal mode converter for waking up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predetermined electric signal is sensed by the wake-up signal sensing unit; A second sub-device corresponding to a first sub-device included in the external device; And acquiring information on the first sub-device and information on the second sub-device when the mobile terminal is woken up, and when a predetermined event generated by the first sub-device is processed in the mobile terminal And a control route management unit for reconfiguring the sub-device control path so that the first sub-device performs a predetermined control opera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휴대 단말 모드 변환부는, 상기 휴대 단말의 서브 디바이스가 슬립 상태에 있는 경우, 슬립 상태에 있는 상기 서브 디바이스가 웨이크 업 되도록 하고,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웨이크 업 된 경우,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 상기 휴대 단말 간의 HDMI 데이터 전송 채널을 활성화하는 도킹 에이전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ortable terminal mode conversion unit causes the sub-device in the sleep state to be woken up when the sub-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is in the sleep state, And a docking agent unit for activating an HDMI data transmission channel between the external device and the portable terminal.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소정의 전기적 신호는, 상기 휴대 단말과 상기 외부 디바이스 간의 USB의 VBUS를 통한 리셋 신호이거나, HDMI CEC 핀을 통한 인터럽트 신호 또는 HDMI 유틸리티 핀을 통한 인터럽트 신호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may be a reset signal via USB VBUS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external device, an interrupt signal via the HDMI CEC pin, or an interrupt signal through the HDMI utility pin.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 루트 관리부는, 상기 휴대 단말에 포함된 핸들러가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에 의해 발생하는 제1 이벤트를 처리하도록 하거나 상기 휴대 단말에 포함된 제어함수가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가 제1 동작을 수행하게 하도록 함으로써, 서브 디바이스 제어 경로를 재구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route manager may be configured to allow the handler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to process a first event generated by the first sub-device, or to control the first sub- By allowing the first device to perform the first operation, the sub-device control path can be reconfigur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휴대 단말이 웨이크 업 된 경우,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가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로 변경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를 비활성화하는 도킹 에이전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woken up, the portable terminal may change the status of the second sub-device to the status of the second sub-device to change the status of the first sub-device to the status of the second sub- And a docking agent unit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and deactivating the second sub-devic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휴대 단말과 도킹 연결되는 외부 디바이스로서, 키 입력을 감지하는 키 입력 감지부; 슬립 모드 상태에서, 상기 키 입력 감지부에 의하여 키 입력이 감지된 경우,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웨이크 업 되도록 하는 외부 디바이스 모드 변환부; 상기 휴대 단말이 웨이크 업 되도록 하는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상기 휴대 단말로 전달하는 도킹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웨이크 업 된 경우, 상기 휴대 단말이 서브 디바이스 제어 경로를 재구성하여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포함된 제1 서브 디바이스에 의해 발생한 소정의 이벤트가 상기 휴대 단말에서 처리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가 소정의 제어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휴대 단말에 포함되고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에 상응하는 제2 서브 디바이스에 대한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를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로 변경하는 도킹 관리부를 포함하는 외부 디바이스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xternal device that is docked with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key input sensing unit sensing a key input; An external device mode conversion unit for waking up the external device when a key input is sensed by the key input sensing unit in a sleep mode; A docking interface unit for transmitting a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to the portable terminal to wake up the portable terminal, and a control unit for reconfiguring a sub-device control path in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external device is woken up, Device transmits information about the first sub-device to the mobile terminal so that a predetermined event generated by one sub-device is pro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or the first sub-device performs a predetermined control operation, And a docking management unit that is included in the first sub-device and acquires status information on the second sub-devi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sub-device and changes the status of the first sub-device to the status of the second sub-device do.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 모드 변환부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서브 디바이스가 슬립 상태에 있는 경우, 슬립 상태에 있는 상기 서브 디바이스가 웨이크 업 되도록 하고, 상기 도킹 관리부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웨이크 업 된 경우,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 상기 휴대 단말 간의 USB 데이터 전송 채널을 활성화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external device mode conversion unit causes the sub-device in the sleep state to be woken up when the sub-device of the external device is in the sleep state, and the docking management unit, The USB data transmission channel between the external device and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activat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소정의 전기적 신호는, 상기 휴대 단말과 상기 외부 디바이스 간의 USB의 VBUS를 통한 리셋 신호이거나, HDMI CEC 핀을 통한 인터럽트 신호 또는 HDMI 유틸리티 핀을 통한 인터럽트 신호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may be a reset signal via USB VBUS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external device, an interrupt signal via the HDMI CEC pin, or an interrupt signal through the HDMI utility pin.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서로 도킹 연결된 휴대 단말과 외부 디바이스가 슬립 모드에서 웨이크 업 모드로 전환되는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switching a portable terminal and an external device, which are docked with each other, from a sleep mode to a wake-up mo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휴대 단말에 대한 별도의 조작 없이, 외부 디바이스에 대한 조작만으로 휴대 단말이 웨이크 업 모드로 전환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is provided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switched to the wake-up mode only by an operation on an external device, without any operation on the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슬립 모드에서 웨이크 업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휴대 단말과 외부 디바이스가 슬립 모드로의 전환 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보장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ensuring that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external device maintain the state before switching to the sleep mode when switching from the sleep mode to the wake-up mod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크 업 모드 전환 방법이 실행될 수 있는 휴대 단말의 블록 구성도의 일 예.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크 업 모드 전환 방법이 실행될 수 있는 외부 디바이스의 블록 구성도의 일 예.
도 3은 도 2의 도킹 디바이스의 외관 사시도의 일 예.
도 4는 서브 디바이스 식별 정보 테이블의 일 예.
도 5는 도킹 인터페이스부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크 업 모드 전환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8은 도킹 연결 해제 시 제어 경로를 도시한 블록 구성도.
도 9는 도킹 연결 시 제어 경로를 도시한 블록 구성도.1 is an example of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executing a wake-up mode switch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ample of a block diagram of an external device in which a wake-up mode switch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erformed.
3 is an example of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docking device of Fig.
4 is an example of a sub-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able.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ocking interface unit;
6 to 7 are flowcharts for explaining a wake-up mode switch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path when a docking connection is released;
FIG. 9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path in a docking connection. FIG.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similaritie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numerals (e.g., first, second, etc.)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erely an identifier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the elem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unless an opposite description is present, it may be connected or connected via another element in the middle.
본 명세서에서, 단말은 또한, 시스템, 장치, 가입자 유닛, 가입자 스테이션, 모바일, 이동 단말기, 원격 스테이션, 원격 단말기, 액세스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 단말기, 통신 장치, 사용자 에이전트, 사용자 장치 또는 사용자 장비(UE)로 불릴 수도 있다. 무선 단말은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휴대 전화, 위성 전화, 무선 전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전화, WLL(Wireless Local Loop) 스테이션, 무선 접속 기능을 갖는 핸드헬드 장치,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또는 다른 무선 모뎀에 연결된 프로세싱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Herein, a terminal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system, a device, a subscriber unit, a subscriber station, a mobile, a mobile terminal, a remote station, a remote terminal, an access terminal, a user terminal, ). The wireless terminal may b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 mobile phone, a satellite phone, a wireless telephone, a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phone, a WLL (Wireless Local Loop) A handheld device,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navigation device or a processing device coupled to another wireless modem, and the like.
본 명세서에서, 외부 기기는 노트북 컴퓨터, 타블렛(Tablet) PC,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패드, 스크린 및 키패드를 구비한 패드, 기타 휴대 기기를 도킹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장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he external devic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notebook computer, a tablet PC, a pad having a touch screen, a pad having a screen and a keypad, and a device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docking other portable devices .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의 설명][Description of FIG.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 수립 방법이 실행될 수 있는 휴대 단말의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5는 도킹 인터페이스부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in which a connection establish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erformed. And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ocking interface unit.
이하 도 1의 블록 구성도를 중심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연결 수립 방법이 실행될 수 있는 휴대 단말의 일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an example of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executing the connection establishmen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with reference to the block diagram of FIG.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외부 디바이스와 결합하는 휴대 단말(100)은, 무선 통신부(110), A/V 입력 장치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영상 처리부(140), 내부 저장 장치부(150), 외부 저장 장치부(155), 영상 출력 장치(160), 오디오 출력 장치(165), 도킹 인터페이스부(180), 제어부(190) 및 전원부(105)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105)는 단말 충전을 위한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다만 도 1의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는 반드시 본 발명의 구현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구성요소에 해당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100)은 이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However, some of the components in FIG. 1 may not necessarily be necessary components necessary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order.
무선 통신부(110)는 휴대 단말(100)과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휴대 단말(100)과 다른 단말과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할 때 상기 휴대 단말(100)은 이동 통신 단말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의 종류에 따라 무선 통신부(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방송 수신 모듈, GPS 수신 모듈 등과 같은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휴대 단말(100)이 휴대폰, 스마트폰 등과 같이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라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 결합되는 휴대 단말은 반드시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필요는 없으며, 유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단말이거나 또는 통신 기능이 지원되지 않는 단말이어도 무방하다.Also, although the
A/V 입력 장치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및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와 마이크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A /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로서, 그 구현 방식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 입력 장치(134) 또는/및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과 같은 터치 입력 장치(132)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센싱부(140)는 가속도 센서(142), 조도 센서(144)를 비롯하여, 자이로 센서, 근접 센서, 접촉 센서 등과 같은 각종 센서를 포함함으로써, 휴대 단말(100)의 부가 기능/동작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The
내부 저장 장치부(150) 및 외부 저장 장치부(155)는 휴대 단말(100)의 데이터 저장 장소로 이용되며, 이때 내부 저장 장치부(150)는 RAM, SDRAM, 플래시 메모리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외부 저장 장치부(155)는 SD 카드, USB 메모리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를 때, 도킹 결합된 상태의 외부 디바이스(200)도 외부 저장 장치부(155)로서 기능할 수 있다.The
영상 출력 장치(160)는 액정 패널, AMOLED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오디오 출력 장치(165)는 스피커, 리시버, 버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백라이트 장치(270)는 디스플레이에서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서 디스플레이 뒤에서 빛을 발산하는 발광체로서 냉음극 형광램프(CCFL), 외부전극 형광램프(EEFL), 발광다이오드(LED), 평판형 형광램프(FFL)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도킹 인터페이스부(180)는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200) 간의 물리적 도킹 결합이 이루어진 경우, 휴대 단말(100)로부터 외부 디바이스(200)로의 영상 데이터 출력, 오디오 신호 출력, 그리고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200) 상호 간의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킹 인터페이스부(18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입출력 인터페이스(182), 오디오 입출력 인터페이스(184), 데이터 입출력 인터페이스(18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인터페이스들 보다 적거나 더 많은 인터페이스들이 포함될 수도 있다. 일 예로, 도킹 인터페이스부(180)는 설계에 따라 오디오 입출력 인터페이스(184)는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다른 예로, 도킹 인터페이스부(180)는 외부 디바이스(200)와 도킹 결합된 상태에서 그 외부 디바이스(200) 측으로부터 휴대 단말(100)로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통로로서 기능하는 전원 입력 단자(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도킹 인터페이스부(180)는 설계 방식에 따라 추가적인 인터페이스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The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180)에 대한 구체적 구성 예가 도 5를 통해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180)는, 외부 디바이스(200)와의 도킹 결합시, 영상/오디오 입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표준,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로 USB(Universal Serial Bus) 표준이 이용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도킹 인터페이스부(180)에는, HDMI 및 USB를 지원하기 위한 커넥터가 각각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도 5는 일 예에 불과하며 이외에도 다양한 인터페이스 구성이 가능할 것임은 물론이며, HDMI 및 USB 이외의 다른 영상/오디오 입출력 인터페이스 방식, 데이터 입출력 인터페이스 방식이 이용될 수 있음도 물론이다.A specific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100)에 구비된 도킹 인터페이스부(180)를 통해, HDMI 또는 USB 단자를 가지고 있는 전자기기 또는 가전제품과 연결함으로써, 휴대 단말(100)의 영상/오디오를 위 전자기기 또는 가전제품의 영상 출력 장치 및 오디오 출력 장치를 통해서 출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후술할 외부 디바이스(200)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지 않은 일반 전자기기(예를 들어, TV, 모니터) 등에도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180)의 HDMI 또는 USB 단자를 통해서 휴대 단말(100)의 화면 등을 해당 전자기기로 송출할 수도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nnecting with an electronic device or a household appliance having an HDMI or USB terminal through the
제어부(190)는 휴대 단말(100)의 각 구성요소들 그리고 휴대 단말(100)의 전반적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부(190)는 외부 디바이스(200)와의 도킹 결합에 따른 휴대 단말(100)의 동작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도킹 에이전트부(192)를 포함할 수 있다. 도킹 에이전트부(192)는 휴대 단말의 웨이크 업 과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후술할 외부 디바이스(200)의 도킹 관리부(도 2의 식별번호 292)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또한 도킹 에이전트부(192)는 휴대 단말(100)이 웨이크 업한 경우, 휴대 단말(100)에서 제공하는 화면을 외부 디바이스로 송출하기 위하여, 슬립모드 시 비활성화 된 A/V(오디오/비디오) 데이터 전송 채널을 활성화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킹 에이전트부(192)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OS 계층 구조 중 “어플리케이션” 계층에 탑재됨으로써 해당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디바이스(본 명세서에서는 외부 디바이스(200)를 예시함)와의 도킹 연결 시 휴대 단말(100)를 구성하는 각종 장치(이하에서는 ‘서브 디바이스’라고 하며, 도 1에 도시된 터치 입력 장치(132), 키패드 입력 장치(134), 조도 센서(142), 가속도 센서(144), 백라이트 장치(170) 등을 서브 디바이스의 예시로 들 수 있음) 대신 이에 상응하는 외부 디바이스에 포함된 서브 디바이스를 제어하도록 서브 디바이스의 제어 경로를 변경하는 제어 루트 관리부(194)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루트 관리부(194)가 수행하는 기능에 대하여는 추후 도8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한편, 웨이크 업 신호 감지부(196)는 도킹 인터페이스부(180)를 통하여, 웨이크 업 된 외부 디바이스(200)에 의해 발생한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감지할 수 있고, 휴대 단말 모드 전환부(198)는 웨이크 업 신호 감지부(196)에 의해 상기 소정의 전기적 신호가 감지된 경우, 상기 휴대 단말을 웨이크 업 할 수 있다.
The wakeup
[도 2의 설명][Description of FIG. 2]
도 2는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 수립 방법이 실행될 수 있는 외부 디바이스의 블록 구성도의 일 예이고, 도 3은 도 2의 외부 디바이스의 외관 사시도의 일 예이다. 여기서, 도 3은 외부 디바이스에 대한 다양한 외관 구현 디자인 중 일 예를 예시한 것이며, 이에 의해 외부 디바이스가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FIG. 2 is an example of a block diagram of an external device in which a connection establish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erformed, and FIG. 3 is an example of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external device of FIG. Here, FIG. 3 illustrates one example of various appearance implementation designs for an external device, and thus the external device is not limited thereto.
이하, 도 2 및 도 3의 경우를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ase of Figs. 2 and 3 will be described.
도 2를 참조하면, 외부 디바이스(200)는, 영상 출력 장치(260), 오디오 출력 장치(265), 백라이트 장치(270), 터치 입력 장치(232)나 키 패드 입력 장치(234)와 같은 사용자 입력 장치(230), 조도 센서(242)나 가속도 센서(244) 기타 각종 센서를 포함하는 센싱부(240), 저장 장치부(260), 도킹 인터페이스부(250), 전원부(205) 및 도킹 관리부(292)와 부팅부(294)를 포함하는 제어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2, the
상기 외부 디바이스(200)에 포함된 각종 장치(즉, 서브 디바이스) 중 일부는 휴대 단말(100)의 서브 디바이스와 상응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외부 디바이스(200)의 서브 디바이스와 휴대 단말(100)의 서브 디바이스가 서로 상응한다라고 함은 양자에 같은 제어 명령을 내린 경우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거나, 특정 상황에서 동일한 이벤트(혹은 이벤트 시그널, I/O시그널)를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200)를 예로 들면, 휴대 단말(100)의 백라이트 장치() 및 외부 디바이스(200)의 백라이트 장치(170)는 모두 턴 온(turn on)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로 빛을 발산하고, 턴 오프(turn off) 명령에 따라 빛 발산을 중지하므로 이들은 서로 상응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100)의 조도 센서(142)와 외부 디바이스(200)의 조도 센서(142)는 모두 턴 온 명령에 의해 감지 기능을 수행하며, 조도 감지 결과 값을 생성하므로 이들 역시 상응할 수 있다. 기타 휴대 단말(100)의 가속도 센서(144), 터치 입력 장치(132), 키패드 입력 장치(134), 외부 저장 장치(155), 영상 출력 장치(160), 오디오 출력 장치(165)는 각각 외부 디바이스(200)의 가속도 센서(244), 터치 입력 장치(232), 키패드 입력 장치(234), 저장 장치부(250), 영상 출력 장치(260), 오디오 출력 장치(265)와 서로 상응할 수 있다.Some of the various devices (i.e., sub-devices) included in the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서로 상응하는 서브 디바이스 간에 동일한 용어를 사용하였으나(예를 들어, 도 1의 조도 센서(142)와 도 2의 조도 센서(242) 또는 도 1의 오디오 출력 장치(165)와 도 2의 오디오 출력 장치(265)), 서로 상응한다는 의미가 용어에 구애되는 것은 아니다.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200)의 서브 디바이스가 서로 상응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200)는 공통된 규약에 따라 서브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100)이 포함하고 있는 서브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의 테이블(101) 및 외부 디바이스(200)가 포함하고 있는 서브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의 테이블(102)의 일 예를 도시한 그림이다. 도4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200)는 서로 상응하는 마이크(식별 정보 값: 2), 조도센서(식별 정보 값: 4), 가속도 센서(식별 정보 값: 5), 터치 스크린(식별 정보 값: 7), 백라이트 장치(식별 정보 값: 10), 내부 저장 장치(식별 정보 값: 11)를 가진다.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200)는 각 서브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값을 비교함으로써 서로 어떤 서브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있는지, 그 중 어떤 서브 디바이스가 서로 상응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Although the same terminology is used herei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for example, the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가 서로 도킹 연결된 경우, 휴대 단말(100)의 일부 서브 디바이스는 상응하는 외부 디바이스의 서브 디바이스로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킹 연결이 되지 않은 경우에는 휴대 단말(100)의 조도 센서가 동작하여 조도를 감지하지만, 도킹 연결이 된 경우에는 휴대 단말(100)의 조도 센서 대신 외부 디바이스의 조도 센서가 조도를 감지하여, 감지한 조도 값을 휴대 단말(100)에 알려주게 된다. 휴대 단말(100)의 서브 디바이스가 외부 디바이스의 서브 디바이스로 교체되는 방법에 관하여는 추후 도8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When the
한편, 외부 디바이스(200)가 휴대 단말(100)에 포함된 서브 디바이스에 상응하는 서브 디바이스를 모두 포함할 필요는 없다(그 역도 마찬가지임). 도 4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휴대 단말이 포함하고 있는 무선통신 장치(식별 정보 값: 1), 카메라(식별 정보 값: 3), 키패드 장치(식별 정보 값: 6)가 외부 단말에는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이 외부 디바이스(200)와 도킹 연결된 경우에도 이러한 서브 디바이스들은 도킹 연결되지 않은 경우와 마찬가지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휴대 단말(100)은 도킹 연결 여부와 무관하게 휴대 단말에 구비된 무선통신 장치를 통하여 통신을 수행하며, 휴대 단말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진/동영상 촬영을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이하, 도킹 인터페이스부(280) 및 제어부(290)를 설명한다.Hereinafter, the
먼저, 도킹 인터페이스부(280)는, 휴대 단말(100)의 도킹 인터페이스부(180)와 물리적으로 도킹 결합됨으로써,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200) 간의 도킹 연결 관계를 형성시키기 위한 커넥터(connector) 부분이다. 따라서, 도킹 인터페이스부(280)는, 휴대 단말(100)의 도킹 인터페이스부(180)와 페어(pair) 관계에 있을 수 있고, 이 경우 휴대 단말(100)의 도킹 인터페이스부(180)와 동일한 인터페이스 구성(앞선 도 5 참조)을 가질 수 있다.The
즉, 도킹 인터페이스부(280)는, 도킹 결합시, 휴대 단말(10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영상 입출력 인터페이스(282),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기위한 오디오 입출력 인터페이스(284), 휴대 단말(100)과의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28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킹 인터페이스부(280)는 이외에도 휴대 단말(100)과의 물리적 도킹 결합을 감지하는 도킹 감지부(미도시), 휴대 단말(100) 측으로 전원을 공급해주기 위한 통로로서 기능하는 전원 출력부(또는 단자, 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at is, the
일 실시예에 따를 때, 도킹 인터페이스부(2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디바이스(200) 본체 내에 휴대 단말(1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 단말 삽입부(281) 내의 특정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를 때, 외부 디바이스(200)와 휴대 단말(100) 간의 도킹 결합은, 그 두 장치의 도킹 인터페이스부(180 및 280) 간이 서로 물리적 결합(또는 접촉)되도록, 외부 디바이스(200)의 단말 삽입부(281)에 휴대 단말(100)을 삽입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3, the docking interface unit 250 includes a docking interface unit 250 that is connected to a specific portion of the
여기서, 도 3의 경우는, 휴대 단말(100)이 단말 삽입부(281)에 완전히 삽입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단말 삽입부(251)의 디자인에 따라 휴대 단말(100)의 일 부위(여기에는 도킹 인터페이스(180)는 포함되어야 함)만이 삽입되는 형태로 물리적 도킹 결합이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3에서는 슬라이드 타입의 패드 형상을 갖는 외부 디바이스(200)를 예시하였지만, 외부 디바이스(200)는 매우 다양한 디자인(예를 들어, 패드 타입이 아닌 노트북 타입, 슬라이드 타입이 아닌 바 타입 등)을 가질 수 있음도 물론이다.3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제어부(290)는 외부 디바이스(200)의 각 구성요소들 그리고 외부 디바이스(200)의 전반적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부(290)는 휴대 단말(100)과의 도킹 결합에 따른 외부 디바이스(200)의 동작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도킹 관리부(29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도킹 관리부(194)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해당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The
또한 도킹 관리부(292)는, 그 도킹 결합 상태에서, 휴대 단말(100)과의 호스트-디바이스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디바이스(200)는, 상기 도킹 결합 상태에서, 휴대 단말(100)에서의 사용자 작업 환경(영상 및 오디오 출력 환경/ 데이터 입출력 환경 등)과 동일한 작업 환경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도킹 결합 상태에서, 휴대 단말(100)의 화면 영상은 외부 디바이스(200)의 화면으로 출력된다. 이를 위해, 도킹 관리부(292)는, 도킹 결합이 최초 감지된 경우, 영상 출력 장치(260)의 화면 출력을 턴 온시키고, 휴대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도킹 결합 시점의 휴대 단말(100)의 화면 영상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영상 출력 장치(26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킹 관리부(292)는 본 발명에 따른 웨이크 업 과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서브 디바이스의 정보 또는 각종 메시지를 휴대 단말(100)의 도킹 에이전트부(192)로 송신하거나 도킹 에이전트부(192)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도킹 관리부(292)는 도킹 에이전트부(192)와 정보를 교환하기 위하여, 먼저 슬립 모드 시 비활성화 된 데이터 전송 채널을 활성화할 수도 있다.The
또한, 도킹 결합 상태에서, 외부 디바이스(200)의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 이벤트(예를 들어, 터치 입력 이벤트 등)를 수신한 경우, 도킹 관리부(292)는, 그 수신된 입력 이벤트에 상응하여 휴대 단말(100)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이용되는 이벤트 신호를 생성 및 휴대 단말(10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When receiving an input event (e.g., a touch input event, etc.) from the input device of the
한편, 제어부(290)에 포함된 키 입력 감지부(296)는 사용자가 터치 입력 장치(232)나 키패드 입력장치(234)를 통해 입력하는 키 입력을 감지할 수 있고 또한 외부 단말(200)에 특정 동작을 명령하기 위한, 예를 들어 홀드 키(hold key)나 볼륨 조절 키의 입력을 감지할 수도 있다. 제어부(290)는 키 입력 감지부(296)에 의하여 키 입력이 감지된 경우 외부 장치(200)를 웨이크 업 하는 외부 디바이스 모드 변환부(298)를 포함할 수도 있다.
The ke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부 디바이스(200)는 스탠드 얼론(standalone) 상태에서는 아무런 동작을 하지 않는(즉, 사용자에게 유용한 어떠한 동작/기능 실행을 할 수 없는) 일종의 더미(dummy) 디바이스일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외부 디바이스(200)에는 가능한 최소한의 기능(즉, 디스플레이 제어, 터치 입력 제어 등) 및 최소한의 하드웨어 구성만 탑재할 수 있어, 사용자 입장에서는 기존의 태블릿 PC/패드/노트북 제품과 동일한 작업 환경이 구현되면서도 그보다 저가의 제품을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을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물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200)는, 자체 OS(여기서, 자체 OS란 스탠드 얼론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OS를 말함)를 탑재함으로써,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도 있는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100)과 분리 동작시는 전자 액자나 동영상/MP3 플레이어로, 도킹 결합 동작시는 휴대 단말의 기능으로까지 확대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먼저 설명한 형태(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없는 형태)에 비해 하드웨어 스펙이 고사양을 요구하게 될 것임은 물론이다.
Of cours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제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킹 결합되는 두 개의 장치로서, 휴대 단말(100) 및 외부 디바이스(200)에 대해 설명하였는 바, 이하에서는 도킹 연결된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200)가 슬립 모드로부터 웨이크 업 모드로 전환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The
특히, 이제까지는, 휴대 단말과 외부 디바이스(즉, 외부 디바이스)가 도킹 연결되는 방식으로서 도킹 인터페이스 간의 물리적 결합에 의하는 경우를 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서 “도킹 연결”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각 디바이스에 구비된 도킹 인터페이스 간의 물리적 직접 결합 방식 이외에도, 중간의 매개 장치(Hub)를 이용한 도킹 연결, 특정 연결 케이블(예를 들어, HDMI 케이블)을 이용한 도킹 연결의 방식도 가능함을 명확히 해둔다.
Especially, the case where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external device (i.e., external device) are docked and connected by the physical coupling between the docking interface has been mainly described. However,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 docking connection " means a docking connection using an intermediary intermediate device, a specific connection cable (for example, an HDMI cable It is also clear that the docking connection method is also available.
도 6 및 도 7은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200)가 물리적으로 도킹 결합한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연결 수립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중심으로 도 4 내지 도 5을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 디바이스(200)와 휴대 단말(100)간의 연결 수립 방법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6 and 7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connection establishment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도 6및 도 7의 설명][Description of Fig. 6 and Fig. 7]
일 실시예에서,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200)는 웨이크 업 모드 전환 과정과 관련된 소정의 상태(state)를 가질 수 있고, 특정 실시예에서는 휴대 단말(100)의 도킹 에이전트부(192)와 외부 디바이스(200)의 도킹 관리부(292)가 상기 소정의 상태를 관리할 수 있다. 먼저 도 6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가 슬립 모드에 있는 경우,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는 ‘슬립 모드’ 상태에 있을 수 있다(S100, S105). 일 실시예에서,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200)가 슬립 모드 상태에 있을 경우에는, 전력 소모량 감소 등의 이유로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200)가 포함하고 있는 각종 장치들(즉 서브 디바이스)은 전력 공급이 차단되거나 최소한의 기능(예를 들면, 해당 서브 디바이스의 웨이크 업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정도의 전력만을 공급받는 슬립 상태에 있을 수 있고,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200)의 도킹 인터페이스(180, 280)은 미리 지정된 단자를 제외하고는 신호 전송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킹 인터페이스(180, 280)가 USB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는USB 데이터 전송 채널이 비활성화 될 수 있다(예를 들면, USB D+, D- 연결이 해제된 상태임). 또 다른 예를 들면, 도킹 인터페이스(180, 280)가 HDMI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는 HDMI 데이터 전송 채널이 비활성화 될 수 있다. 특히, HDMI 데이터 전송 채널이 활성화 되어 있는 경우에는 휴대 단말(100)의 배터리 소모량이 커질 수 있으므로, 슬립 모드 상태에서는 HDMI 데이터 전송 채널이 비활성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embodiment, the
다만 이 경우에도, 모든 단자를 통한 신호 전송이 차단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 단자(도5를 예로 들면, USB VBUS 또는 HDMI 5V Power)를 통한 신호 전송은 차단되지 않을 수 있다.In this case, however, signal transmission through all the terminals is not necessarily blocked, and signal transmission through some terminals (for example, USB VBUS or
외부 디바이스(200)가 슬립 모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받는 경우, 외부 디바이스(200)는 키 입력을 감지하여(S110), 웨이크 업 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200)가 웨이크 업 될 시, 외부 디바이스(200)의 서브 디바이스가 슬립 상태라면, 슬립 상태에 있는 서브 디바이스가 웨이크 업 될 수 있다. 특히, 웨이크 업 시, 외부 디바이스(200)의 CPU가 슬립 모드 상태에 있다면, CPU가 웨이크 업 된다(S120). 한편, 특정 실시예에서는, 특정 키 입력을 받은 경우에 한해 웨이크 업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특정 키는 홀드 키일 수 있다.When the
외부 디바이스(200)가 웨이크 업 되면, 외부 디바이스(200)의 상태는 ‘웨이크 업 수행 중’ 상태로 천이될 수 있다(S130).When the
또한 외부 디바이스(200)가 웨이크 업 면, 외부 디바이스(200)는 도킹 연결된 휴대 단말을 웨이크 업하기 위하여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휴대 단말(100)에 전달할 수 있다(S140). 이때 상기 소정의 전기적 신호는 USB의 VBUS를 통한 리셋 신호(USB VBUS를 통해 공급되던 전원을 일시적으로 오프하였다가 다시 전원을 재공급함)이거나 또는 HDMI CEC 핀이나 HDMI 유틸리티 핀(HDMI 14번 핀)을 통한 인터럽트 신호일 수 있다.Also, if the
전술한 바와 같이,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200)가 슬립 모드로 된 경우,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간의 데이터 전송 채널이 비활성화 될 수 있으므로, 외부 디바이스(200)는 웨이크 업 시, 비활성화 된 데이터 전송 채널을 활성화 할 수 있다.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200)간에 USB를 통하여 서로 데이터를 교환하는 특정 실시예에서는, USB 데이터 전송 채널을 활성화(예를 들면, USB D+, D-를 연결)하는 단계가 본 발명에 따른 웨이크 업 모드 전환 방법에 포함될 수 있다(S150).As described above, when the
한편, 외부 디바이스(200)로부터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전달 받은 휴대 단말(100)은 상시 소정의 전기적 신호에 의해 웨이크 업 될 수 있다(S125). 휴대 단말(100)이 웨이크 업 될 시, 휴대 단말(100)의 서브 디바이스가 슬립 상태라면, 슬립 상태에 있는 서브 디바이스가 웨이크 업 될 수 있다. 특히, 웨이크 업 시, 휴대 단말(100)의 CPU가 슬립 모드 상태에 있다면, CPU가 웨이크 업 된다(S125). On the other hand, the
전술한 바와 같이,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200)가 슬립 모드로 된 경우,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간의 A/V 데이터 전송 채널이 비활성화 될 수 있으므로, 휴대 단말(100)은 웨이크 업 시, 비활성화 된 A/V 데이터 전송 채널을 활성화 할 수 있다.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200)간에 HDMI를 통하여 서로 A/V데이터를 교환하는 특정 실시예에서는, HDMI 데이터 전송 채널을 활성화하는 단계가 본 발명에 따른 웨이크 업 모드 전환 방법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채널의 활성화라 함은 해당 채널을 통하여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는 상태 또는 데이터가 전송되는 상태로 됨을 의미할 수 있다. 특히 HDMI 데이터 전송 채널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휴대 단말(100)은 TMDS(Transition Minimized Differential Signaling) 신호 전송을 시작하는 명령을 HDMI모듈에 내릴 수 있다(S155).As described above, when the
이후, 휴대 단말(100)의 상태는 ‘웨이크 업 수행중’으로 천이할 수 있고(S135), 외부 디바이스(200)는 남은 웨이크 업 과정을 계속 수행하도록 연결 수립을 시작 메시지를 휴대 단말(100)에 전송할 수 있다(160). 그러면 휴대 단말(100)은 연결 수립을 시작 메시지에 대한 응답(Ack)을 보내고(165) 남은 연결 수립 과정을 계속 진행할 수 있다.Thereafter, the state of the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200)가 슬립 모드로 전환되기 전,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는 소정의 연결 수립 과정을 거쳐 휴대 단말에 포함된 일부 장치 대신, 그에 상응하는 외부 디바이스의 장치를 대신 이용하도록 제어 경로가 재설정될 수 있다. 그런데,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가 슬립 모드로 전환되었다가 다시 웨이크 업되는 경우 상기 소정의 연결 수립 과정을 다시 수행함으로써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200)가 웨이크 업 모드로 전환된 이후에도 슬립 전의 상태를 계속 유지하는 것을 보장할 필요가 있다.Before the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과정 이후에 진행될 수 있는 상기 연결 수립 과정을 도시하고 있는 흐름도이다. 계속해서 도 7을 참조하면, 외부 디바이스(200)는 휴대 단말(100)이 자신이 포함하고 있는 서브 디바이스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소정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170). 상기 소정의 정보는 외부 디바이스(200)에 포함된 각각의 서브 디바이스에 대한 구체적 정보 목록일 수 있고, 도 4에 도시된 식별번호 201의 테이블과 유사한 형태의 정보일 수도 있다. 한편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소정의 정보는, 도8에 도시된 바와 달리, 외부 디바이스(200) 자체의 식별 정보일 수도 있다. 이 경우, 휴대 단말은 자신과 호환되는(즉, 올바르게 도킹 연결될 수 있는) 각종 외부 디바이스 및 그 외부 디바이스에 포함된 서브 디바이스의 정보를 저장하는 테이블(예를 들면, 데이터 베이스)을 포함할 수 있고, 전달 받은 외부 디바이스(200)의 식별 정보로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그 외부 디바이스(200)가 포함하고 있는 서브 디바이스의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FIG. 7 is a flowchart showing the connection establishment process that can be performed after the process shown in FIG. Referring to FIG. 7, the
이후 휴대 단말(100)은 획득한 외부 디바이스(200)의 서브 디바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외부 디바이스(200)가 포함하고 있는 서브 디바이스의 목록을 획득하고, 상기 목록에 포함된 서브 디바이스 중에서, 도킹 연결 시 휴대 단말이 자신에 포함된 디바이스 대신 사용하고자 하는 외부 디바이스(200)의 서브 디바이스(이하, 제1 서브 디바이스’라고 함)들에 대한 정보(예를 들면, 제1 서브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값의 목록)를 외부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S180).Subsequently, the
이후 외부 디바이스(200)는 연결 수립 종료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S190).Then, the
휴대 단말(100)은 제1 서브 디바이스에 상응하는 휴대 단말의 서브 디바이스(이하, ‘제2 서브 디바이스’라고 함)에 대한 정보, 특히 제2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S200), 이를 외부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S205). 그러면 외부 디바이스(200)는 수신한 제2 서브 디바이스의 정보를 제1 서브 디바이스에 반영하여 외부 디바이스(200)의 제1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를 휴대 단말(100)의 제2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와 동일하도록 변경할 수 있다(S210). 예를 들어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가 외부 디바이스(200)에 포함된 오디오 출력 장치이고, 제2 서브 디바이스가 이에 상응하는 휴대 단말(100)의 오디오 출력 장치이며, 도킹 전 휴대 단말의 오디오 출력 장치가 오프(off)되어 있거나 혹은 볼륨이 1단계로 되어 있다면, 도킹 연결이 된 후, 휴대 단말(100)의 오디오 출력 장치를 대신할 외부 디바이스(200)의 오디오 출력 장치의 상태가 휴대 단말의 오디오 출력 장치의 상태와 마찬가지로 오프(off) 혹은 1단계의 볼륨으로 설정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휴대 단말은 도킹 전과 도킹 후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사용자는 도킹 후 외부 디바이스를 재설정하여야 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The
휴대 단말(100)은 도킹 전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가 수행하던 기능을, 도킹 후에는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가 수행하도록 서브 디바이스 제어경로를 재구성한다(S220). 서브 디바이스의 제어는 서브 디바이스로부터 이벤트(이벤트 시그널, I/IO시그널이라고도 함)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이벤트를 처리하기 위한 제어(이하 ‘이벤트 제어’라고 함)와 서브 디바이스가 특정 기능을 수행하게 하도록 명령을 내리는 제어(이하 ‘명령 제어’라고 함)로 구분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을 통해 키 입력을 한 경우 키 입력 이벤트에 상응하는 이벤트 핸들러(혹은 시그널 핸들러라고도 함)가 호출되어 이벤트를 처리하는 것을 이벤트 제어의 일 예로 들 수 있으며, 백라이트를 온/오프시키기 위하여 명령을 내리거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하여 밝기 값 조정 명령을 내리는 것을 명령 제어의 일 예로 들 수 있다.The
일 실시예에서, 도킹 전에는 휴대 단말(100)의 제2 서브 디바이스에 의해 소정의 제2 이벤트가 발생하지만, 도킹 후에는 제2 이벤트 대신 외부 디바이스의 제1 서브 디바이스에 의해 제2 이벤트에 상응하는 제1 이벤트가 발생할 것이다. 따라서, 휴대 단말(100)은 도킹 연결 후에는 제2 이벤트를 처리하는 대신 제1 이벤트를 처리할 수 있도록 이벤트 제어 경로를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킹 전에는 휴대 단말(100)이 사용자의 입력 또는 휴대 단말(100)의 운용 상 필요에 의하여 제2 디바이스에 소정의 제어 명령을 내려야 하지만, 도킹 후에는 제1 디바이스 대신 제2 디바이스에 상기 제어 명령을 내리도록 명령 제어 경로를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제어 경로 재구성에 대하여는 추후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In one embodiment, a predetermined second event is generated by the second subdevice of the
제어 경로 재구성한 이후, 휴대 단말(100)은 제2 서브 디바이스를 일시 중지(suspend)시키거나 제2 서브 디바이스를 전원 오프(power off)함으로써 제2 서브 디바이스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S230).After the control path reconfiguration, the
이후, 휴대 단말(100)은 연결 수립 과정을 모두 수행하였음을 알리기 위하여 연결 수립 종료 메시지 응답(Ack)를 외부 디바이스(200)에 전송하고(S195), 상태를 ‘연결’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S250).Then, the
외부 디바이스(200)도 자신의 상태를 ‘연결’ 상태로 천이 할 수 있으며(S255), 휴대 단말로부터 입력되고 있던 HDMI A/V데이터 신호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HDMI 디스플레이 시작 명령을 HDMI 모듈에 전송할 수도 있다(S240).The
지금까지 도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기술한 과정의 각 단계가 모두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일부 단계는 본 발명의 구현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구성요소에 해당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100) 또는 외부 디바이스(200)가 자신의 상태를 천이하는 단계는 설명이나 구현의 용이함을 위한 것이므로 반드시 필요한 단계는 아니며, 연결 수립 시작/종료 메시지나 연결 수립 시작/종료 메시지 응답을 전송하는 것도 그러하다.
Not all of the steps of the proces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6 to 7 are all essential, and some of the steps may not correspond to the components necessary for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step of transiting the state of the
[도 8 및 도 9의 설명][Description of Fig. 8 and Fig. 9]
도 9는 도킹 연결 수립 전의 제어 경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10은 도킹 연결 수립 후의 제어 경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 및 도 10에서 파선으로 표시한 화살표는 서브 디바이스에서 발생하여 전달되는 이벤트 제어의 경로를 나타내며, 실선으로 표시한 화살표는 사용자 입력 또는 휴대 단말의 운용상 필요에 의하여 App에서 서브 디바이스로 향하는 명령 제어의 경로를 나타낸다.FIG. 9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path before docking connection establishment, and FIG. 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path after docking connection establishment. The arrows indicated by dashed lines in FIGS. 9 and 10 indicate the path of event control generated and transmitted from the sub device, and arrows indicated by solid lines indicate commands directed to the sub device from the App, Control path.
이하에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웨이크 업 과정 중의 도킹 연결 수립에 따른 제어 경로의 재구성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reconfiguration of the control path according to the establishment of the docking connection in the wakeup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and 10. FIG.
먼저 도 9를 참조하면, 도킹 연결 수립 전의 제어 명령은 어플리케이션(App) 계층에서 시작하여, 프레임워크(framework) 계층, HAL(Hardware Abstraction Layer, 하드웨어 추상화 계층), 제어 루트 관리부(194)를 거쳐 제2 서브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드라이버로 전달되며, 제2 서브 디바이스에서 이벤트가 발생하면 커널의 디바이스 드라이버, 제어 루트 관리부(194), HAL, 프레임워크 계층을 통하여 어플리케이션 계층으로 전달된다. 통상의 휴대 단말에서는 제어 루트 관리부(194)를 거치지 않고 커널 디바이스 드라이버와 HAL 간에 제어 명령/이벤트 신호가 오고 갈 것이지만,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수립 과정을 수행하는 휴대 단말(100)의 경우에는 제어 경로 재구성을 위하여 제어 루트 관리부(194)가 더 포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control command before docking connection establishment starts from an application (App) layer and passes through a framework layer, a hardware abstraction layer (HAL), a control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 간에 도킹 연결이 수립된 경우에는 어플리케이션 계층, 프레임워크 계층 HAL을 거쳐 제어 루트 관리부(194)로 전달된 제어 명령은 제2 서브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드라이버가 아닌 외부 디바이스에 포함된 제1 서브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드라이버에 전달되도록 또는 제1 서브 디바이스에서 발생한 이벤트 신호가 제어 루트 관리부(194)로 전달되어, HAL 프레임워크 계층을 거쳐 어플리케이션 계층에서 처리될 수 있도록 제어 경로가 재구성된다.When a docking connec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일 실시예에서는, 이벤트 신호나 제어 명령이 휴대 단말(100)의 도킹 에이전트부(192)와 외부 디바이스(200)의 도킹 관리부(292)를 통해 전달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제어 경로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경될 수 있다. 즉, 도킹 연결이 수립된 경우, 제어 루트 관리부(194)는 제2 서브 디바이스로 전달되어야 할 제어 명령을 제1 서브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드라이버로 보내기 위하여 외부 디바이스(200)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도킹 에이전트로 전달한다. 한편, 제1 서브 디바이스에 서 생성된 이벤트 신호는 도킹 관리부를 거쳐 도킹 에이전트로 전달되며, 도킹 에이전트는 제1 서브 디바이스로부터 이벤트가 발생했음을 제어 루트 관리부(194)에 알려줄 수 있다.The event signal and the control command may be transmitted through the
특정 실시예에서, 도킹 에이전트부(192)가 제어 루트 관리부(194)로부터 제어 명령을 전달 받기 위하여 소정의 모듈(혹은 함수)을 등록하고 제어 루트 관리부(194)는 상기 소정의 모듈을 호출함으로써 제어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휴대 단말의 초기화 시에 제2 서브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커널 드라이버의 모듈 및 이에 상응하는 도킹 에이전트부(192)의 모듈이 제어 루트 관리부(194)에 등록되며, 제어 루트 관리부(194)는 도킹 연결 여부에 따라 호출할 모듈을 결정함으로써 제어 경로를 재구성할 수 있다.The
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도킹 에이전트부(192)는 제어 루트 관리부(194)에 구현된 소정의 모듈(혹은 함수)을 호출하여 이벤트의 발생을 제어 루트 관리부(194)에 알려줄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제어 루트 관리부(194)는 도킹 연결 여부에 따라 커널 드라이브로부터 오는 이벤트와 도킹 에이전트로부터 오는 이벤트 중 어느 이벤트를 처리할 지 결정하여, 이벤트를 처리하기 위한 핸들러에 해당 이벤트를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핸들러는 제어 루트 관리부(194) 내에서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 루트 관리부가 위치한 계층과는 별도의 계층에 구현될 수도 있다.In another specific embodiment, the
도 9 및 도 10에서는, 제어 루트 관리부(194)가 커널 계층에, 도킹 에이전트부(192)가 어플리케이션 계층에 탑재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어 루트 관리부(194)가 HAL에 탑재될 수도 있고, 도킹 에이전트부(192)가 프레임워크 계층 또는 HAL에 탑재될 수도 있다. 외부 단말의 도킹 관리부(292)도 도 9 및 도 10과 달리 프레임워크 계층 또는 HAL에 탑재될 수도 있다.
9 and 10 show that the control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s th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invention provided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
Claims (18)
슬립 모드인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키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키 입력이 감지된 경우, 슬립 모드에 있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웨이크 업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이, 웨이크 업된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의해 발생한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및
감지된 상기 소정의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슬립 모드에 있는 상기 휴대 단말이 웨이크 업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소정의 전기적 신호는, 상기 휴대 단말과 상기 외부 디바이스 간의 USB의 VBUS를 통한 리셋 신호이거나, HDMI CEC 핀을 통한 인터럽트 신호 또는 HDMI 유틸리티 핀을 통한 인터럽트 신호인
웨이크 업 모드 전환 방법.
A method for switching an external device and a mobile terminal docked to each other into a wakeup mode,
Detecting a key input by the external device in a sleep mode;
When the key input is detected, waking up the external device in the sleep mode;
Detecting, by the portable terminal, a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external device woken up; And
And waking up the portable terminal in the sleep mode by the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sensed,
The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may be a reset signal through the USB VBUS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external device, an interrupt signal through the HDMI CEC pin, or an interrupt signal through the HDMI utility pin
How to switch wakeup mode.
상기 슬립 모드에 있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웨이크 업되는 단계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서브 디바이스가 슬립 상태에 있는 경우, 슬립 상태에 있는 상기 서브 디바이스가 웨이크 업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웨이크 업 모드 전환 방법은,
웨이크 업 된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 상기 휴대 단말 간의 USB 데이터 전송 채널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웨이크 업 모드 전환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aking-up of the external device in the sleep mode comprises:
And when the sub-device of the external device is in the sleep state, waking up the sub-device in the sleep state,
The wake-up mode switching method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ctivating a USB data transfer channel between the external device and the portable terminal, wherein the wake-up external device activates a USB data transfer channel between the external device and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슬립 모드에 있는 상기 휴대 단말이 웨이크 업되는 단계는,
상기 휴대 단말의 서브 디바이스가 슬립 상태에 있는 경우, 슬립 상태에 있는 상기 서브 디바이스가 웨이크 업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웨이크 업 모드 전환 방법은,
웨이크 업 된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 상기 휴대 단말 간의 HDMI 데이터 전송 채널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웨이크 업 모드 전환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waking up the portable terminal in the sleep mode comprises:
When the sub-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is in the sleep state, waking up the sub-device in the sleep state,
The wake-up mode switching method includes: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activating the HDMI data transmission channel between the external device and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포함된 제1 서브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휴대 단말에 포함되고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에 상응하는, 제2 서브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에서,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에 의해 발생한 소정의 이벤트가 상기 휴대 단말에서 처리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가 소정의 제어 동작을 수행하도록, 서브 디바이스 제어 경로가 재구성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를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웨이크 업 모드 전환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bile terminal acquiring information about a first sub-device included in the external device;
The portable terminal acquiring information about a second sub-device included in the portable terminal a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sub-device;
The sub-device control path is reconfigured in the portable terminal such that a predetermined event generated by the first sub-device is processed by the portable terminal or the first sub-device performs a predetermined control operation; And
The external device acquires state information of the second sub device and changes the state of the first sub device to the state of the second sub device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가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로 변경되도록,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웨이크 업 모드 전환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Transmitt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second sub-device to the external device such that the status of the first sub-device is changed to the status of the second sub-device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를 비활성화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웨이크 업 모드 전환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After obtaining information on the second sub-device,
Deactivating the second sub-device;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상기 서브 디바이스 제어 경로가 재구성되는 단계는,
상기 휴대 단말에 포함된 핸들러가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에 의해 발생하는 이벤트를 처리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휴대 단말에 포함된 제어함수가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가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게 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웨이크 업 모드 전환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ub-device control path is reconfigured,
Causing a handler included in the portable terminal to process an event generated by the first sub-device, or causing a control function included in the portable terminal to perform a predetermined operation of the first sub-device;
And a wake-up mode switching method.
상기 휴대 단말이, 웨이크 업 된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의해 발생한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소정의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웨이크 업 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포함된 제1 서브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휴대 단말에 포함되고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에 상응하는, 제2 서브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 단말에서,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에 의해 발생한 소정의 이벤트가 상기 휴대 단말에서 처리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가 소정의 제어 동작을 수행하도록, 서브 디바이스 제어 경로가 재구성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웨이크 업 모드 전환 방법.
A method for switching a wired terminal connected to a docking with an external device to a wakeup mode,
The portable terminal detecting a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external device woken up;
The portable terminal is woken up by the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The mobile terminal acquiring information about a first sub-device included in the external device;
The portable terminal acquiring information about a second sub-device included in the portable terminal a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sub-device; And
In the portable terminal, a sub-device control path is reconfigured such that a predetermined event generated by the first sub-device is processed by the portable terminal or the first sub-device performs a predetermined control operation
And a wake-up mode switching method.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슬립 모드에서, 키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키 입력이 감지된 경우,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웨이크 업 되는 단계;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상기 휴대 단말이 웨이크 업 되도록, 상기 휴대 단말로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상기 휴대 단말의 서브 디바이스 제어 경로가 재구성되어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포함된 제1 서브 디바이스에 의해 발생한 소정의 이벤트가 상기 휴대 단말에서 처리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가 소정의 제어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상기 휴대 단말에 포함되고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에 상응하는, 제2 서브 디바이스에 대한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를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웨이크 업 모드 전환 방법.
A method for switching an external device docked with a mobile terminal to a wakeup mode,
The external device detecting a key input in a sleep mode;
When the key input is detected, waking up the external device;
The external device transmitting a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to the portable terminal such that the portable terminal is woken up;
Wherein the external device is configured such that a predetermined event generated by a first sub device included in the external device is reconfigured in a sub device control path of the portable terminal is processed in the portable terminal,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the external device to the portable terminal so as to perform the operation;
The external device acquiring status information about a second sub-device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a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sub-device; And
The external device changes the state of the first sub device to the state of the second sub device
And a wake-up mode switching method.
도킹 인터페이스부;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웨이크 업 된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의해 발생한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감지하는 웨이크 업 신호 감지부;
상기 웨이크 업 신호 감지부에 의해 상기 소정의 전기적 신호가 감지된 경우, 상기 휴대 단말을 웨이크 업 하는 휴대 단말 모드 변환부;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포함된 제1 서브 디바이스에 상응하는 제2 서브 디바이스; 및
상기 휴대 단말이 웨이크 업 된 경우,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에 의해 발생한 소정의 이벤트가 상기 휴대 단말에서 처리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가 소정의 제어 동작을 수행하도록, 서브 디바이스 제어 경로를 재구성하는 제어 루트 관리부
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
1. A portable terminal docked with an external device,
A docking interface;
A wake-up signal sensing unit for sensing a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external device waking up through the docking interface unit;
A portable terminal mode converter for waking up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predetermined electric signal is sensed by the wake-up signal sensing unit;
A second sub-device corresponding to a first sub-device included in the external device; And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woken up, acquires information on the first sub-device and information on the second sub-device, and when a predetermined event generated by the first sub-device is processed in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control path to reconfigure the sub-device control path so that the first sub-device performs a predetermined control operation,
.
상기 휴대 단말 모드 변환부는,
상기 휴대 단말의 서브 디바이스가 슬립 상태에 있는 경우, 슬립 상태에 있는 상기 서브 디바이스가 웨이크 업 되도록 하고,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웨이크 업 된 경우,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 상기 휴대 단말 간의 HDMI 데이터 전송 채널을 활성화하는 도킹 에이전트부
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portable terminal mode conversion unit comprises:
When the sub-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is in the sleep state, the sub-device in the sleep state is woken up,
The mobile terminal includes:
A docking agent unit activating an HDMI data transmission channel between the external device and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external device wakes up;
Further comprising:
상기 소정의 전기적 신호는,
상기 휴대 단말과 상기 외부 디바이스 간의 USB의 VBUS를 통한 리셋 신호이거나, HDMI CEC 핀을 통한 인터럽트 신호 또는 HDMI 유틸리티 핀을 통한 인터럽트 신호인 휴대 단말.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may be,
A reset signal via VBUS of the USB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external device, an interrupt signal through the HDMI CEC pin, or an interrupt signal through the HDMI utility pin.
상기 제어 루트 관리부는,
상기 휴대 단말에 포함된 핸들러가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에 의해 발생하는 제1 이벤트를 처리하도록 하거나 상기 휴대 단말에 포함된 제어함수가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가 제1 동작을 수행하게 하도록 함으로써, 서브 디바이스 제어 경로를 재구성하는 휴대 단말.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ntrol-
By causing a handler included in the portable terminal to process a first event generated by the first sub-device or allowing a control function included in the portable terminal to cause the first sub-device to perform a first operation, A mobile terminal that reconfigures a control path.
상기 휴대 단말이 웨이크 업 된 경우,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가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로 변경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를 비활성화하는 도킹 에이전트부
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n the mobile terminal is woken up, transmits status information of the second sub device to the external device in order to change the status of the first sub device to the status of the second sub device, A docking agent unit
Further comprising:
키 입력을 감지하는 키 입력 감지부;
슬립 모드 상태에서, 상기 키 입력 감지부에 의하여 키 입력이 감지된 경우,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웨이크 업 되도록 하는 외부 디바이스 모드 변환부;
상기 휴대 단말이 웨이크 업 되도록 하는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상기 휴대 단말로 전달하는 도킹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웨이크 업 된 경우, 상기 휴대 단말이 서브 디바이스 제어 경로를 재구성하여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포함된 제1 서브 디바이스에 의해 발생한 소정의 이벤트가 상기 휴대 단말에서 처리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가 소정의 제어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휴대 단말에 포함되고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에 상응하는 제2 서브 디바이스에 대한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를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로 변경하는 도킹 관리부
를 포함하는 외부 디바이스.
An external device docked with a portable terminal,
A key input sensing unit for sensing a key input;
An external device mode conversion unit for waking up the external device when a key input is sensed by the key input sensing unit in a sleep mode;
A docking interface for transmitting a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to the portable terminal to wake up the portable terminal; And
When the external device is woken up, the portable terminal reconfigures the sub-device control path so that a predetermined event generated by the first sub-device included in the external device is processed in the mobile terminal, or the first sub- The information about the external device is transmitted to the portable terminal so as to perform a predetermined control operation, the status information about the second sub-device included in the portable terminal a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sub-device is obtained, A docking management unit for changing the state of one sub-device to the state of the second sub-
Lt; / RTI >
상기 외부 디바이스 모드 변환부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서브 디바이스가 슬립 상태에 있는 경우, 슬립 상태에 있는 상기 서브 디바이스가 웨이크 업 되도록 하고,
상기 도킹 관리부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웨이크 업 된 경우,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 상기 휴대 단말 간의 USB 데이터 전송 채널을 활성화하는 외부 디바이스.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external device mode conversion unit comprises:
When the sub-device of the external device is in the sleep state, the sub-device in the sleep state is woken up,
The docking management unit,
And activates a USB data transmission channel between the external device and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external device wakes up.
상기 소정의 전기적 신호는,
상기 휴대 단말과 상기 외부 디바이스 간의 USB의 VBUS를 통한 리셋 신호이거나, HDMI CEC 핀을 통한 인터럽트 신호 또는 HDMI 유틸리티 핀을 통한 인터럽트 신호인 외부 디바이스.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may be,
A reset signal via USB VBUS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external device, an interrupt signal through the HDMI CEC pin, or an interrupt signal through the HDMI utility pi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10068747A KR101485154B1 (en) | 2011-07-12 | 2011-07-12 | Method for Changing to Wake Up Mode at External Device and Mobile Terminal Docking Therea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10068747A KR101485154B1 (en) | 2011-07-12 | 2011-07-12 | Method for Changing to Wake Up Mode at External Device and Mobile Terminal Docking Therea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8172A KR20130008172A (en) | 2013-01-22 |
KR101485154B1 true KR101485154B1 (en) | 2015-01-22 |
Family
ID=47838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10068747A KR101485154B1 (en) | 2011-07-12 | 2011-07-12 | Method for Changing to Wake Up Mode at External Device and Mobile Terminal Docking Therea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85154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60968A (en) * | 2014-11-21 | 2016-05-31 | 삼성전자주식회사 | User terminal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KR102340230B1 (en) | 2015-01-16 | 2021-12-1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ethod for automatically connecting a short-range communication between two devices and apparatus for the sam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019977A (en) * | 1993-12-30 | 1995-07-24 | 김광호 | How to save power on electrophotographic printers |
KR20050080992A (en) * | 2004-02-12 | 2005-08-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Method for saving consumption power in smart phone |
US20080005423A1 (en) * | 2006-06-06 | 2008-01-03 | Robert Alan Jacobs | Method and device for acting on stylus removal |
-
2011
- 2011-07-12 KR KR20110068747A patent/KR101485154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019977A (en) * | 1993-12-30 | 1995-07-24 | 김광호 | How to save power on electrophotographic printers |
KR20050080992A (en) * | 2004-02-12 | 2005-08-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Method for saving consumption power in smart phone |
US20080005423A1 (en) * | 2006-06-06 | 2008-01-03 | Robert Alan Jacobs | Method and device for acting on stylus remova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8172A (en) | 2013-01-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068041B2 (en) | Method to enhance device policy management (DPM) power sharing for USB Type-C (USB-C) only devices | |
WO2022062236A1 (en) |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 |
US8756445B2 (en) | Providing power to an accessory during portable computing device hibernation | |
US8949494B2 (en) | User equipment connectable to an external device | |
KR20120096864A (en) | Wireless charging of mobile device | |
KR20120096866A (en) |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sensor devices in mobile devices | |
US20130050122A1 (en) | Controlling user equipment as touch pad for external device connected thereto | |
US11176078B2 (en) | Communication method using input/output interface, and apparatus therefor | |
KR20130003666A (en) | Mobile terminal for connection with external device, and method for running application thereof | |
KR101277657B1 (en) | Method for handling input event between external device and mobile terminal docking thereat | |
KR101504654B1 (en) | Method for Establishing Connection Between External Device and Mobile Terminal Docking Thereat | |
JP5504247B2 (en) | Electronic device and timer time setting method | |
KR101485154B1 (en) | Method for Changing to Wake Up Mode at External Device and Mobile Terminal Docking Thereat | |
TWI581109B (en) | Computer integral dev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 |
RU2494449C1 (en) | Terminal using peripheral device of another terminal under control of first terminal, and method of their interaction | |
KR101485156B1 (en) | Mobile terminal docking with external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KR101485153B1 (en) | Method for Changing to Wake Up Mode at External Device and Mobile Terminal Docking Thereat | |
KR101485149B1 (en) | Mobile Terminal for connection with external device,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 |
JP2012015656A (en) | Information processor,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stored therein | |
JP2018185664A (en) | Control system,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 |
JP6586832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 |
US10983586B2 (en) | Power management system and power management method | |
WO2022170861A1 (en) | Data transmission method of electronic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interface circuit | |
WO2018086288A1 (en) | Screen installation method, device body, and screen | |
KR20130071092A (en) | Docking device for connection with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installing software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