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9841B1 - 보일러 - Google Patents
보일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79841B1 KR101479841B1 KR20130049114A KR20130049114A KR101479841B1 KR 101479841 B1 KR101479841 B1 KR 101479841B1 KR 20130049114 A KR20130049114 A KR 20130049114A KR 20130049114 A KR20130049114 A KR 20130049114A KR 101479841 B1 KR101479841 B1 KR 10147984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nel
- fuel
- pipe
- outside air
- accumul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3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4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solid fue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06—Arrangements for cleaning, e.g. soot removal; Ash remova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24H1/187—Water-storage heaters using solid fue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30/00—Solid fuel fired boil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50/00—Electrical heat generating means
- F24H2250/02—Resist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보일러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보일러는 연료가 연소되는 화실; 상기 화실과 연통되어, 상기 화실에서 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연소 가스와 재가 유동되는 연결 배관; 및 상기 연결 배관을 따라 유동된 상기 재가 쌓이는 재받이;를 포함하고, 상기 재받이는 상기 재가 쌓이는 재 축적 패널과, 상기 재 축적 패널 상에 쌓인 재로 외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재 축적 패널을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외기 유동 홀과, 상기 재 축적 패널이 설치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재 축적 패널을 받치는 받침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받침 패널은 상기 재 축적 패널의 아래 공간의 측면을 모두 막아 상기 재 축적 패널 하측으로 유입된 외기가 상기 외기 유동 홀을 통해 상기 재 축적 패널 상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되는 보일러에 의하면, 재받이가 재 축적 패널, 외기 유동 홀 및 받침 패널을 포함하고, 받침 패널이 재 축적 패널의 아래 공간의 측면을 모두 막아 공기 유동 홀을 통해 재 축적 패널 하측으로 유입된 외기가 재받이 외부로 유출되지 아니하고 외기 유동 홀을 통해 재 축적 패널 상의 상부 공간으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화실에서 불완전 연소되어 연결 배관을 통해 유동된 다음 재 축적 패널 상에 쌓인 재가 재받이 내에서 재차 연소되면서 완전 연소가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개시되는 보일러는 연료가 연소되는 화실; 상기 화실과 연통되어, 상기 화실에서 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연소 가스와 재가 유동되는 연결 배관; 및 상기 연결 배관을 따라 유동된 상기 재가 쌓이는 재받이;를 포함하고, 상기 재받이는 상기 재가 쌓이는 재 축적 패널과, 상기 재 축적 패널 상에 쌓인 재로 외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재 축적 패널을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외기 유동 홀과, 상기 재 축적 패널이 설치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재 축적 패널을 받치는 받침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받침 패널은 상기 재 축적 패널의 아래 공간의 측면을 모두 막아 상기 재 축적 패널 하측으로 유입된 외기가 상기 외기 유동 홀을 통해 상기 재 축적 패널 상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되는 보일러에 의하면, 재받이가 재 축적 패널, 외기 유동 홀 및 받침 패널을 포함하고, 받침 패널이 재 축적 패널의 아래 공간의 측면을 모두 막아 공기 유동 홀을 통해 재 축적 패널 하측으로 유입된 외기가 재받이 외부로 유출되지 아니하고 외기 유동 홀을 통해 재 축적 패널 상의 상부 공간으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화실에서 불완전 연소되어 연결 배관을 통해 유동된 다음 재 축적 패널 상에 쌓인 재가 재받이 내에서 재차 연소되면서 완전 연소가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보일러는 연료를 연소시키면서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물을 데우고, 그러한 데워진 물을 난방, 온수 공급 등에 이용하기 위한 장치이다.
보일러에서 연소되는 연료에는 천연가스 등의 기체 연료, 석유 등의 액체 연료, 펠렛(wood-pellet), 우드칩 등의 고체 연료가 있다. 펠렛은 나무를 톱밥 형태로 파쇄시킨 후, 건조, 소성, 냉각 등의 과정을 거쳐 제조된 고체 연료를 말한다. 펠렛의 저렴한 연료비로 인해, 현재 펠렛 보일러에 대한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보일러에 관한 선행문헌으로 제시될 수 있는 것은 등록특허 제 10-0799196호(발명의 명칭: 고체연료용 보일러), 등록특허 제 10-1009260호(발명의 명칭: 고체연료용 보일러), 등록특허 제 10-0926653호(발명의 명칭: 고체연료용 보일러)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보일러에는 연료가 화염에 의해 연소되는 화실이 구비되고, 이러한 화실에서 발생되는 연소 가스가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연결 배관들과 연도가 설치된다.
화실에서 연소 시에는 연소 가스 이외에 재도 형성되는데, 이러한 재는 연결 배관들을 경유하는 과정에서 재받이에 쌓이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보일러에 있어서는, 연소 시 불완전 연소된 재도 재받이에 쌓인 후 그대로 버려지게 되어, 보일러의 작동 효율이 떨어지고, 연료 낭비의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보일러에 있어서는, 화실에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점화용 불꽃을 삽입시키는 등의 수동 착화 방식으로 화실 내의 연료를 착화시켜 주어야 하여서, 착화의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보일러에 있어서는, 연결 배관 내벽에 끼게 되는 그을음을 제거하는 것이 어려웠다.
또한, 종래의 보일러에 있어서는, 연료를 화실로 공급해주는 연료 공급 부재에서, 연료를 직접 이송시키는 스크류를 스크류 축이 전체적으로 관통하고, 그 스크류 축이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방식에 의하였는데, 이러한 방식에서는 스크류에 고체 연료가 과도하게 끼여 잼(jam)이 자주 발생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재받이에 쌓이는 재도 연소될 수 있는 보일러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실 내의 연료가 자동으로 착화될 수 있는 보일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결 배관 내벽에 끼게 되는 그을음이 간편하게 제거될 수 있는 보일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료 공급 부재의 스크류에서 연료의 잼 현상 발생이 방지될 수 있는 보일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보일러는 연료가 연소되는 화실; 상기 화실과 연통되어, 상기 화실에서 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연소 가스와 재가 유동되는 연결 배관; 및 상기 연결 배관을 따라 유동된 상기 재가 쌓이는 재받이;를 포함하고,
상기 재받이는 상기 재가 쌓이는 재 축적 패널과, 상기 재 축적 패널 상에 쌓인 재로 외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재 축적 패널을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외기 유동 홀과, 상기 재 축적 패널이 설치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재 축적 패널을 받치는 받침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받침 패널은 상기 재 축적 패널의 아래 공간의 측면을 모두 막아 상기 재 축적 패널 하측으로 유입된 외기가 상기 외기 유동 홀을 통해 상기 재 축적 패널 상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보일러는 연료가 연소되는 화실; 및 상기 화실로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료 공급 부재는 연료 도입 관과, 상기 연료 도입 관에 삽입되어 상기 연료 도입 관을 따라 상기 화실 쪽으로 연료를 전진시키는 연료 전진 스크류와, 상기 연료 전진 스크류의 회전축이 되는 스크류 축과, 상기 스크류 축을 회전시킬 수 있는 스크류 회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료 전진 스크류의 일부가 상기 스크류 축과 연결되지 아니한 상태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스크류 축은 상기 연료 전진 스크류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보일러에 의하면, 재받이가 재 축적 패널, 외기 유동 홀 및 받침 패널을 포함하고, 받침 패널이 재 축적 패널의 아래 공간의 측면을 모두 막아 공기 유동 홀을 통해 재 축적 패널 하측으로 유입된 외기가 재받이 외부로 유출되지 아니하고 외기 유동 홀을 통해 재 축적 패널 상의 상부 공간으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화실에서 불완전 연소되어 연결 배관을 통해 유동된 다음 재 축적 패널 상에 쌓인 재가 재받이 내에서 재차 연소되면서 완전 연소가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보일러에 의하면, 블로워에서 공급되는 외기 중의 일부가 전기 히터 외기 공급 관을 통해 전기 히터 쪽으로 공급되어 전기 히터에 의해 데워진 다음 화실로 공급됨으로써, 화실에서 착화가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보일러에 의하면, 연결 배관에 배관 삽입 부재가 삽입됨으로써, 연결 배관 내벽에 끼게 되는 그을음이 간편하게 제거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보일러에 의하면, 스크류 축이 연료 전진 스크류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됨에 따라, 연료 전진 스크류의 일부가 스크류 축과 연결되지 아니한 상태로 회전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연료 공급 부재의 연료 전진 스크류(185)에서 연료의 잼 현상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를 보이는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B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에서의 공기 흐름을 보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에 적용되는 재받이를 보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에 적용되는 재받이에 대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에 적용되는 청소 부재를 보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를 위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를 위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B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에서의 공기 흐름을 보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에 적용되는 재받이를 보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에 적용되는 재받이에 대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에 적용되는 청소 부재를 보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를 위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를 위에서 바라본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보일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를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부분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B부분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에서의 공기 흐름을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에 적용되는 재받이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에 적용되는 재받이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에 적용되는 청소 부재를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100)는 케이스(110)와, 화실(120)과, 제 1 연결 배관(130), 제 2 연결 배관(140) 등의 연결 배관과, 연도 부재(105)와, 연소 부재(190)와, 연료 공급 부재(180)와, 제 1 배관 삽입 부재(135), 제 2 배관 삽입 부재(145) 등의 배관 삽입 부재와, 제 1 재받이(150), 제 2 재받이(160) 등의 재받이를 포함하고, 연료를 연소시키면서 난방, 온수 공급 등 보일러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케이스(110)는 상기 연도 부재(105), 상기 화실(120), 상기 연소 부재(190) 등이 내부 공간(111)에 배치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케이스(110) 내에 배치되는 것으로 제시된 구성 요소들 중 일부 구성 요소들은 상기 케이스(110)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면 번호 122는 상기 화실(120) 상부 외주를 복수 번 감싸고, 상기 보일러(100)의 수요처를 경유하는 물이 유동되는 열교환기이다. 상기 보일러(100)가 온수, 난방 등을 공급하는 수요처를 경유한 물이 상기 열교환기(122)를 따라 유동되면서, 상기 화실(120)과 열교환된다.
도면 번호 132는 상기 제 1 재받이(150)에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연결 배관(130) 하단에 형성된 공기 유동 홀이다.
상기 화실(120)은 상기 케이스(110) 내에서 상기 하부 공간(112) 상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연료 공급 부재(180)에 의해 공급되는 연료가 연소되고, 그러한 연소 과정에서 가열되어 상기 열교환기(122)와 열교환될 수 있는 것이다.
도면 번호 121은 상기 화실(120) 하부에 형성되는 연소실로서, 상기 연소실(121) 내에 상기 연소 부재(190)가 배치되며, 후술되는 블로워(170)와 연결되어 상기 블로워(170)에 의해 공급되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연소 부재(190)로 공급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연소 부재(190)는 상기 화실(120) 하부의 상기 연소실(121)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화실(120) 내부로 공급된 연료가 놓이고, 상기 블로워(170)에 의해 공급되는 외부 공기가 유입됨으로써 연료의 연소가 일어나는 것이다.
도면 번호 195는 모터 등의 연소 부재 회전 부재로서, 상기 연소 부재 회전 부재(195)는 상기 연소 부재(190)를 회전시키는 것이다. 도면 번호 196은 벨트, 풀리 등으로서, 상기 연소 부재 회전 부재(195)의 회전력을 상기 연소 부재(190)를 구성하는 연소 부재 회전축(193)에 전달하여 상기 연소 부재 회전축(193)을 회전시키는 것이다.
상기 연소 부재(190)는 상기 연소 부재 회전 부재(195)에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는 연소 부재 회전축(193)과, 상기 연소 부재 회전축(193)에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고, 상기 연소 부재(190)를 향해 상승되는 외부 공기에 난류를 형성시킬 수 있는 난류 형성판(194)과, 상기 난류 형성판(194)의 상측에서 상기 연소 부재 회전축(193)에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고, 상기 난류 형성판(194)에 의해 난류를 형성하면서 유동된 외부 공기가 유입되며, 상기 화실(120) 내부로 공급된 고체 연료가 수용되어 연소가 일어나는 연료 수용부(191)를 포함한다.
상기 연료 수용부(191)는 상기 고체 연료가 수용될 수 있도록 그릇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료 수용부(191) 저면에 상기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저면 외부 공기 도입 홀(192)이 형성되며, 상기 연료 수용부(191) 상단에 가림 패널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블로워(170)에 의해 상기 연소실(121)로 공급된 외부 공기가 상승되면서 상기 난류 형성판(194)에 의해 가로막혀 상승되는 외부 공기 중에 난류가 형성된다.
그런 다음, 상기와 같이 유동된 공기는 각각 상기 저면 외부 공기 도입 홀(192)을 통해 상기 연료 수용부(191)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연료 수용부(191)에서 연소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 번호 170는 외부 공기 도입을 위한 블로워이다. 상기 블로워(170)에 의해 상기 연소실(121) 내부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상기 연소 부재(190)로 공급됨은 물론, 일부는 연결관(198)을 통해 상기 제 1 재받이(150) 등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 배관(130)은 연통 배관(123)에 의해 상기 화실(120)의 상부와 연통되면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화실(120)에서 연료의 연소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 가스와 재가 유입되어 하강되는 관이다.
상기 제 1 연결 배관(130)을 통해 하강된 재는 상기 제 1 연결 배관(130)의 하부에 삽입된 상기 제 1 재받이(150)에 쌓이게 된다.
상기 제 1 재받이(150)는 상기 제 1 연결 배관(130)을 따라 유동된 재가 쌓이는 것으로, 상기 제 1 연결 배관(130)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어, 외부에서 작업자에 의해 꺼내어 청소된 후 다시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재받이(150)는 상기 재가 쌓이는 재 축적 패널(154)과, 상기 재 축적 패널(154) 상에 쌓인 재로 외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재 축적 패널(154)을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외기 유동 홀(155)과, 상기 재 축적 패널(154)이 상기 제 1 재받이(150)의 설치면, 여기서는 상기 제 1 연결 배관(130)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재 축적 패널(154)을 받치는 받침 패널(157)을 포함한다.
도면 번호 151은 상기 재 축적 패널(154)의 상부 공간(153)의 양 측면에 세워지는 한 쌍의 재받이 측벽이고, 도면 번호 152는 상기 재 축적 패널(154)의 상부 공간(153)의 후측에 상기 한 쌍의 재받이 측벽(151)과 연결되면서 세워지는 재받이 후측벽이다.
상기 받침 패널(157)은 상기 재 축적 패널(154)의 아래 공간(156)의 측면을 모두 막아 상기 공기 유동 홀(132)을 통해 상기 재 축적 패널(154) 하측으로 유입된 외기가 상기 제 1 재받이(150) 외부로 유출되지 아니하고 상기 외기 유동 홀(155)을 통해 상기 재 축적 패널(154) 상의 상부 공간(153)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외기 유동 홀(155)은 상기 재 축적 패널(154) 상에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 1 재받이(150)가 상기 재 축적 패널(154), 상기 외기 유동 홀(155) 및 상기 받침 패널(157)을 포함하고, 상기 받침 패널(157)이 상기 재 축적 패널(154)의 아래 공간(156)의 측면을 모두 막아 상기 공기 유동 홀(132)을 통해 상기 재 축적 패널(154) 하측으로 유입된 외기가 상기 제 1 재받이(150) 외부로 유출되지 아니하고 상기 외기 유동 홀(155)을 통해 상기 재 축적 패널(154) 상의 상부 공간(153)으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화실(120)에서 불완전 연소되어 상기 제 1 연결 배관(130)을 통해 유동된 다음 상기 재 축적 패널(154) 상에 쌓인 재가 상기 제 1 재받이(150) 내에서 재차 연소되면서 완전 연소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2 재받이(160)도 상기 제 1 재받이(150)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여기서는 상기 제 1 재받이(150)의 설명으로 갈음하고, 그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 2 연결 배관(140)은 상기 화실(120) 외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관으로서, 상기 제 1 연결 배관(130)을 통해 하강된 후 상기 제 1 재받이(150)와 상기 제 2 재받이(160)를 경유한 연소 가스가 상승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 2 연결 배관(140)을 통해 상승된 연소 가스는 상기 연도 부재(10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제 1 연결 배관(130) 및 상기 제 2 연결 배관(140)은 상기 화실(120)에서 발생된 상기 연소 가스가 상기 연도 부재(105)로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하고, 각각 그 상단에 삽입 홀이 형성되는 것으로, 연결 배관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배관이 상기 제 1 연결 배관(130) 및 상기 제 2 연결 배관(140)으로 구성된 것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갯수의 연결 배관이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연결 배관(130)과 상기 제 2 연결 배관(140)이 각각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제시된다.
상기 연도 부재(105)는 상기 제 2 연결 배관(140)을 통해 상승된 연소 가스가 모아진 후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 배관의 상단에 삽입 홀이 관통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 배관이 상하 방향으로 곧게 형성되고, 상기 삽입 홀이 상기와 같은 곧은 형태의 연결 배관의 상단을 개방한 형태가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연결 배관(130) 내부에 그 삽입 홀을 통해 제 1 배관 삽입 부재(135)가 삽입되고, 상기 제 2 연결 배관(140) 내부에 그 삽입 홀을 통해 제 2 배관 삽입 부재(145)가 삽입된다.
상기 제 1 배관 삽입 부재(135)와 상기 제 2 배관 삽입 부재(145)는 상기 제 1 연결 배관(130)과 상기 제 2 연결 배관(140)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 1 연결 배관(130)과 상기 제 2 연결 배관(140)의 각 내벽에 끼인 그을음을 긁어낼 수 있는 배관 삽입 부재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배관 삽입 부재(135)는 상기 삽입 홀을 통해 상기 제 1 연결 배관(130)에 삽입되는 연결 축(136)과, 상기 연결 축(136)의 상단에 연결되어 작업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고 상기 케이스(110)의 상단에 걸려 상기 제 1 배관 삽입 부재(135)가 상기 케이스(110) 상에 걸린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손잡이부(137)와, 상기 연결 축(136) 상에 서로 이격되면서 복수 개 배치된 배관 삽입부(138)를 포함한다.
상기 손잡이부(137)는 상기 제 1 연결 배관(130)의 삽입 홀을 막아 연소 가스의 누출을 방지한다.
상기 배관 삽입부(138)는 상기 연결 축(136)이 상기 제 1 연결 배관(130)을 따라 외력에 의해 승강될 때 함께 승강되면서 상기 제 1 연결 배관(130)의 내벽에 붙은 연소 퇴적물을 긁어내어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보일러(100)가 작동될 때에는, 상기 제 1 배관 삽입 부재(135)가 상기 제 1 연결 배관(130) 상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제 1 연결 배관(130) 내에서 난류를 형성시키고, 상기 제 1 연결 배관(130) 내의 연소 퇴적물 제거가 요구되는 경우,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부(137)를 잡고 상기 제 1 배관 삽입 부재(135)를 반복적으로 승강시키면, 상기 배관 삽입부(138)가 승강되면서 상기 제 1 연결 배관(130) 내벽의 그을음을 긁어내어 제거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배관 삽입 부재(135)가 관통되는 상기 제 1 연결 배관(130)의 상단부(131)의 폭은 상기 제 1 연결 배관(131)의 몸체의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제 1 배관 삽입 부재(135)이 삽입된 부분을 통한 열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기 제 1 배관 삽입 부재(135)에 대한 설명은 상기 제 2 배관 삽입 부재(145)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연결 배관에 상기 배관 삽입 부재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연결 배관 내벽에 끼게 되는 그을음이 간편하게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연료 공급 부재(180)는 상기 화실(120)로 연료를 공급하는 것으로서, 상기 화실(120)로 공급되기 위한 연료가 저장된 연료 저장 부재(미도시)로부터 연료를 도입해오는 연료 도입 관(181)과, 상기 연료 도입 관(181)을 통해 도입된 연료를 상기 화실(120)로 전달하는 연료 전달 관(182)과, 상기 연료 도입 관(181)에 삽입되어 상기 연료 도입 관(181)을 따라 상기 화실(120) 쪽으로 연료를 전진시키는 연료 전진 스크류(185)와, 상기 연료 전진 스크류(185)의 회전축이 되는 스크류 축(184)과, 상기 스크류 축(184)을 회전시킬 수 있는 전기 모터 등의 스크류 회전 부재(18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료 전진 스크류(185)의 일부가 상기 스크류 축(184)과 연결되지 아니한 상태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스크류 축(184)은 상기 연료 전진 스크류(185)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스크류 축(184)이 상기 연료 전진 스크류(185)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연료 전진 스크류(185)의 일부가 상기 스크류 축(184)과 연결되지 아니한 상태로 회전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연료 공급 부재(180)의 상기 연료 전진 스크류(185)에서 연료의 잼 현상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도면 번호 171은 상기 블로워(170) 및 상기 연료 도입 관(181)이 서로 연통되도록 상기 블로워(170) 및 상기 연료 도입 관(181)을 연결하는 화염 역류 방지 관으로, 상기 화염 역류 방지 관(171)은 상기 블로워(170)에서 상기 연소실(121)로 공급되는 외부 공기 중의 일부가 상기 연료 도입 관(181)으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화실(120)로부터의 상기 연료 도입 관(181)을 통한 화염 역류가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화염 역류 방지 관(171)에서는 전기 히터 외기 공급 관(172)이 분지되어, 상기 화염 역류 방지 관(171)을 통해 유동되는 외부 공기 중의 일부가 상기 전기 히터 외기 공급 관(172)을 통해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전기 히터 외기 공급 관(172)은 전기 히터(174)가 내삽된 전기 히터 수용부(173)와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전기 히트 수용부(173)는 상기 화실(120) 내의 상기 연소 부재(190) 쪽으로 개방된다. 그러면, 상기 전기 히터 외기 공급 관(172)을 통해 유동된 외부 공기가 상기 전기 히터(174)를 경유하면서 뜨거워지고, 상기와 같이 뜨거워진 외부 공기가 상기 연소 부재(190) 쪽으로 공급됨으로써, 상기 화실(120) 내부의 연료가 자동으로 착화될 수 있다.
상기 블로워(170)에서 공급되는 외기 중의 일부가 상기 전기 히터 외기 공급 관(172)을 통해 상기 전기 히터(174) 쪽으로 공급되어 상기 전기 히터(174)에 의해 데워진 다음 상기 화실(120)로 공급됨으로써, 상기 화실(120)에서 착화가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보일러(10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연료 공급 부재(180)가 작동되면, 연료가 상기 화실(120) 내의 상기 연소 부재(190)에 공급된다.
이 때, 상기 블로워(170)가 작동되면, 외부 공기가 상기 연소실(121) 내로 유입되어 유동하게 되고, 그러한 유동되는 외부 공기가 상기 연소 부재(190)와 상기 제 1 재받이(150)로 공급되고, 외부 공기 중의 일부가 상기 화염 역류 방지 관(171)을 통해 상기 연료 도입 관(181)을 따라 유동되며, 상기 화염 역류 방지 관(171)을 통해 유동되는 외부 공기 중의 일부가 상기 전기 히터 외기 공급 관(172)을 거쳐 상기 전기 히터(174)을 경유하면서 데워져서, 상기 화실(120)로 공급됨으로써, 상기 화실(120) 내의 연료가 자동 착화될 수 있다.
상기 화실(120)에서 연료의 연소 과정 중 발생되는 연소 가스와 재는 상기 제 1 연결 배관(130)을 통해 상기 제 1 재받이(150)로 유동되어, 상기 재는 상기 제 1 재받이(150)에 쌓이게 된다.
상기 제 1 재받이(150)에 쌓인 재는 상기 블로워(170)에 의해 공급되는 외기에 의해 연소된다.
상기 제 1 재받이(150)에서 자동 재연소된 재는 상기 제 2 재받이(160), 상기 제 2 연결 배관(140) 및 상기 연도 부재(105)를 거치면서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열교환기(122)를 따라 유동되는 물이 가열되어 상기 보일러(100)가 수요처에 대해 온수 공급, 난방 등 보일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를 위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 배관이 화실(220)과 상기 화실(220) 상부에서 연통되는 제 1 연결 배관(230)과, 상기 제 1 연결 배관(230)과 하부에서 연통되는 제 2 연결 배관(230a)과, 상기 제 2 연결 배관(230a)과 상부에서 연통되는 제 3 연결 배관(240a)과, 상기 제 3 연결 배관(240a)과 하부에서 연통되는 제 4 연결 배관(240)을 포함한다.
상기 제 4 연결 배관(240)은 연도 부재(205)와 연통된다.
상기와 같이 복수 개의 연결 배관들이 서로 연통되도록 설치됨으로써, 열회수가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를 위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 배관이 화실(320)과 상기 화실(320) 상부에서 연통되는 제 1 연결 배관(330)과, 상기 제 1 연결 배관(330)과 하부에서 연통되는 제 2 연결 배관(340)과, 상기 제 2 연결 배관(340)과 상기 제 2 연결 배관(340) 상부에서 연통되는 제 3 연결 배관(390)과, 상기 제 3 연결 배관(390)과 하부에서 연통되는 제 4 연결 배관(395)을 포함한다.
상기 제 4 연결 배관(395)은 연도 부재(305)와 연통된다.
상기와 같이 복수 개의 연결 배관들이 서로 연통되도록 설치됨으로써, 열회수가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보일러에 의하면, 재받이에 쌓이는 재도 연소될 수 있고, 화실 내의 연료가 자동으로 착화될 수 있으며, 연결 배관 내벽에 끼게 되는 그을음이 간편하게 제거될 수 있고, 연료 공급 부재의 스크류에서 연료의 잼 현상 발생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110 : 케이스 120 : 화실
130 : 제 1 연결 배관 140 : 제 2 연결 배관
150 : 제 1 재받이 160 : 제 2 재받이
180 : 연료 공급 부재
130 : 제 1 연결 배관 140 : 제 2 연결 배관
150 : 제 1 재받이 160 : 제 2 재받이
180 : 연료 공급 부재
Claims (4)
- 연료가 연소되는 화실;
상기 화실과 연통되어, 상기 화실에서 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연소 가스와 재가 유동되는 연결 배관; 및
상기 연결 배관을 따라 유동된 상기 재가 쌓이는 재받이;를 포함하고,
상기 재받이는
상기 재가 쌓이는 재 축적 패널과,
상기 재 축적 패널 상에 쌓인 재로 외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재 축적 패널을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외기 유동 홀과,
상기 재 축적 패널이 설치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재 축적 패널을 받치는 받침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받침 패널은 상기 재 축적 패널의 아래 공간의 측면을 모두 막아 상기 재 축적 패널 하측으로 유입된 외기가 상기 외기 유동 홀을 통해 상기 재 축적 패널 상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일러는
상기 화실로 외기를 불어주는 블로워;
상기 화실 내부가 착화될 수 있도록 상기 화실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를 데워주는 전기 히터; 및
상기 블로워에서 공급되는 외기 중의 일부가 상기 전기 히터 쪽으로 유동되는 전기 히터 외기 공급 관;을 포함하고,
상기 블로워에서 공급되는 외기 중의 일부가 상기 전기 히터 외기 공급 관을 통해 상기 전기 히터 쪽으로 공급되어 상기 전기 히터에 의해 데워진 다음 상기 화실로 공급됨으로써, 상기 화실에서 착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일러는
상기 연결 배관의 내벽에 붙은 그을음을 긁어낼 수 있는 배관 삽입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배관 삽입 부재가 관통되는 상기 연결 배관의 상단부의 폭은 상기 연결 배관의 몸체의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일러는
상기 화실로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료 공급 부재는
연료 도입 관과,
상기 연료 도입 관에 삽입되어 상기 연료 도입 관을 따라 상기 화실 쪽으로 연료를 전진시키는 연료 전진 스크류와,
상기 연료 전진 스크류의 회전축이 되는 스크류 축과,
상기 스크류 축을 회전시킬 수 있는 스크류 회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료 전진 스크류의 일부가 상기 스크류 축과 연결되지 아니한 상태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스크류 축은 상기 연료 전진 스크류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49114A KR101479841B1 (ko) | 2013-05-01 | 2013-05-01 | 보일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49114A KR101479841B1 (ko) | 2013-05-01 | 2013-05-01 | 보일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30614A KR20140130614A (ko) | 2014-11-11 |
KR101479841B1 true KR101479841B1 (ko) | 2015-01-14 |
Family
ID=52452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049114A KR101479841B1 (ko) | 2013-05-01 | 2013-05-01 | 보일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7984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6428736B (zh) * | 2023-05-17 | 2023-12-05 | 北京中科润宇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防堵防腐蚀的高效换热风道式电加热器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114115A (ko) * | 2011-04-06 | 2012-10-16 | 위선정 | 고체 연료 보일러 |
-
2013
- 2013-05-01 KR KR20130049114A patent/KR10147984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114115A (ko) * | 2011-04-06 | 2012-10-16 | 위선정 | 고체 연료 보일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30614A (ko) | 2014-11-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05300022A (ja) | 固形燃料の燃焼装置 | |
JP6682231B2 (ja) | 燃焼装置 | |
KR101077600B1 (ko) | 보일러 | |
KR101371235B1 (ko) | 연소판을 청소하는 브러쉬를 가지는 펠릿보일러 및 이를 이용한 보일러 운전방법 | |
CN109915816B (zh) | 生物质颗粒取暖炉 | |
JP2005121337A (ja) | 木質系固形燃料供給装置 | |
KR101295328B1 (ko) | 회전가능한 화격자 구조를 가지는 펠릿 보일러 | |
KR101479841B1 (ko) | 보일러 | |
JP2022022410A (ja) | 燃焼装置の灰排出制御方法 | |
JP4405497B2 (ja) | 木質ペレット燃焼装置 | |
KR101148696B1 (ko) | 펠렛 보일러 | |
KR101887628B1 (ko) | 자동 재 처리가 가능한 펠릿 스토브 | |
KR20140029688A (ko) | 하향 연소식 화목 보일러 | |
KR20140045649A (ko) |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킨 목재 펠릿 보일러 | |
KR101369605B1 (ko) | 보일러 | |
KR20070117065A (ko) | 고체연료용 보일러 | |
KR100926653B1 (ko) | 고체연료용 보일러 | |
KR101766410B1 (ko) | 버너용 자동 애쉬 배출 장치 | |
KR20060089183A (ko) | 연료 저장식 보일러 | |
KR101448100B1 (ko) | 하이브리드 보일러 | |
KR101311464B1 (ko) | 고체 연료용 버너부 및 이를 포함하는 고체 연료용 보일러 | |
KR100758115B1 (ko) | 연료 저장식 보일러 | |
KR20090115617A (ko) | 목재 칩 연료를 이용한 보일러 | |
KR102035114B1 (ko) | 온풍 난방기 | |
JP6585991B2 (ja) | 燃焼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