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7796B1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67796B1 KR101467796B1 KR1020090002418A KR20090002418A KR101467796B1 KR 101467796 B1 KR101467796 B1 KR 101467796B1 KR 1020090002418 A KR1020090002418 A KR 1020090002418A KR 20090002418 A KR20090002418 A KR 20090002418A KR 101467796 B1 KR101467796 B1 KR 10146779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ternal device
- mobile terminal
- distance
- signal
- communic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7—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for locating or positioning the transmitt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가 더욱 고려되어 단말기의 사용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 주위의 많은 외부 장치들 중에서 소망의 특정 외부 장치가 용이하게 검색되어 상기 이동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 연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가 더욱 고려되어 단말기의 사용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최근, 단말기는 예컨대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통신을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기능이 구비하는 경향이 있다. 그런데, 점차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외부 장 치가 많아짐에 따라, 상기 단말기 주위의 많은 외부 장치들 중에서 소망의 특정 외부 장치를 용이하게 검색하여 근거리 통신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가 상기 특정 외부 장치와 근거리 통신 연결된 때 상기 단말기와 상기 특정 외부 장치 간의 물리적 이격 거리의 변화에 따라 사용 편의 측면이 고려되어 상기 단말기의 실행 기능에 변화가 가해질 필요는 없는지 강구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요구를 만족하기 위해 제안되는 것으로서, 단말기 주위의 많은 외부 장치들 중에서 소망의 특정 외부 장치가 용이하게 검색되어 상기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단말기가 상기 특정 외부 장치와 근거리 통신 연결된 때 상기 단말기와 상기 특정 외부 장치 간의 물리적 이격 거리의 변화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실행 기능에 변화가 가해질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 입력부, 디스플레이부, 무선통신부, 및 소정 이격거리 이내로 떨어진 외부 장치를 검색하기 위해 상기 소정 이격거리에 해당하는 소정 크기의 호출 신호를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고, 상기 호출 신호에 반응하는 외부 장치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소정 이격거리 이내로 떨어진 외부 장치를 검색하기 위해 상기 소정 이격거리에 해당하는 소정 크기의 호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호출 신호에 반응하는 외부 장치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외부 장치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부, 및 상기 외부 장치와의 이격 거리에 따라 변하는 근거리 통신 신호 세기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실행 기능의 동작이 단계 별로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외부 장치와 근거리 통신이 행해지는 단계, 및 상기 외부 장치와의 이격 거리에 따라 변하는 근거리 통신 신호 세기에 따라서 상기 외부 장치 및 본 단말기의 적어도 하나의 실행 기능의 동작이 단계 별로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상기 이동단말기와 그 주변 외부 장치와의 이격 거리가 용이하게 구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 주위의 많은 외부 장치들 중에서 소망의 특정 외부 장치가 용이하게 검색되어 상기 이동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 연결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특정 외부 장치와 근거리 통신 연결된 때 상기 단말기와 상기 특정 외부 장치 간의 물리적 이격 거리의 변화에 따라 사용 편의 측면이 고려되어 상기 단말기의 실행 기능에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둘 이상의 방송 채널의 동시 수신 또는 방송 채널 변경 용이성을 추구하기 위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둘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CBMS, OMA-BCAST,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115)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 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터치스크린과 관련되어 후술된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햅틱 모듈(154) 및 프로젝터 모듈(15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미도시)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 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및 음음성출력모듈(152)은 알람부(153)의 일종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155)은, 이동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이미지 프로젝트(project)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제어부(18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과 동일하거나 적어도 일부가 다른 영상을 외부 스크린 또는 벽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젝터 모듈(155)은, 영상을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빛(일 예로서, 레이저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미도시), 광원에 의해 발생한 빛을 이용하여 외부로 출력할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영상 생성 수단 (미도시), 및 영상을 일정 초점 거리에서 외부로 확대 출력하기 위한 렌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 모듈(155)은, 렌즈 또는 모듈 전체를 기계적으로 움직여 영상 투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155)은 디스플레이 수단의 소자 종류에 따라 CRT(Cathode Ray Tube) 모듈,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및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모듈 등으로 나뉠 수 있다. 특히, DLP 모듈은, 광원에서 발생한 빛이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칩에 반사됨으로써 생성된 영상을 확대 투사하는 방식으로 프로젝터 모듈(151)의 소형화에 유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프로젝터 모듈(155)은, 이동 단말기(100)의 측면, 정면 또는 배면에 길이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프로젝터 모듈(155)은, 필요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의 어느 위치에라도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데이터들 각각에 대한 사용 빈도(예를 들면, 각 전화번호, 각 메시지, 각 멀티미디어에 대한 사용빈도)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이동단말기와 근거리 통신 연결된 외부장치들의 이력이 기록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 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1)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 활성화/비활성화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2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같거나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음향 출력부(152,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16)가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16)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를 위해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양면에서(즉, 이동단말기의 전면 및 후면 둘 다의 방향으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면, 터치 패드(135)를 통해서도 상기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터치 패드(135)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도 있다.
한편, 터치 패드(135) 전용 디스플레이가 별도로 장착됨으로써, 리어 케이스(102)에도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
터치 패드(135)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관련되어 작동한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도 3a 및 3b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패드(135)의 서로 연관된 작동 방식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의 정면도들이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다양한 종류의 시각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들 정보들은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등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상기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일정한 배열을 이루어 표시됨으로써 키패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키패드는 소위 '가상 키패드'라 불릴 수 있다.
도 3a는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통해 가상 키패드에 가해진 터치를 입력받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체 영역으로 일체로 작동되거나, 복수의 영역들로 나뉘어져 작동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복수의 영역들은 서로 연관되게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부와 하부에는 출력창(151a)과 입력창(151b)이 각각 표시된다. 출력창(151a)과 입력창(151b)은 각각 정보의 출력 또는 입력을 위해 할당되는 영역이다. 입력창(151b)에는 전화 번호 등의 입력을 위한 숫 자가 표시된 가상키패드(151c)가 출력된다. 가상키패드(151c)가 터치되면, 터치된 가상키패드에 대응되는 숫자 등이 출력창(151a)에 표시된다. 제1조작 유닛(131)이 조작되면 출력창(151a)에 표시된 전화번호에 대한 호 연결이 시도된다.
도 3b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을 통하여 가상키패드에 가해진 터치를 입력받는 것을 나타낸다. 도 3a가 단말기 바디를 세로로 배치시킨 경우(portrait)라면, 도 3b는 단말기 바디를 가로로 배치시킨 경우(landscape)를 나타낸다. 디스플레이부(151)는 단말기 바디의 배치 방향에 따라 출력 화면이 변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b는 이동 단말기에서 텍스트 입력 모드가 작동되는 것을 나타낸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출력창(151a')과 입력창(151b')이 표시된다. 입력창(151b')에는 문자, 기호, 숫자들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된 가상키(151c')들이 복수로 배열될 수 있다. 가상키(151c')들은 쿼티(QWERTY)키의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 도 2b 참조)를 통하여 가상키(151c')들이 터치 되면, 터치된 가상키에 대응되는 문자, 숫자, 기호 등이 출력창(151a')에 표시되게 된다. 이와 같이, 터치 패드(135)를 통한 터치 입력은 디스플레이부(151)을 통한 터치 입력에 비하여 터치시 가상키(151c')가 손가락에 의해 가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패드(135)가 투명하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위치한 손가락들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한 터치 입력이 가능하다.
이상의 실시예들에 개시된 입력 방식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는 스크롤(scroll)에 의해 터치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를 스크롤 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오브젝트(예를 들어 아이콘, 썸네일, 커서 등)를 이동시킬 수 있다. 나아가, 손가락을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 상에서 이동시키는 경우, 손가락이 움직이는 경로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편집함에 유용할 것이다.
디스플레이부(151)(터치 스크린) 및 터치 패드(135)가 일정 시간 범위 내에서 함께 터치되는 경우에 대응하여, 단말기의 일 기능이 실행될 수도 있다. 함께 터치되는 경우로는, 사용자가 엄지 및 검지를 이용하여 단말기 바디를 집는(clamping)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일 기능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에 대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등이 있을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근접 센서(141)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4는 근접 센서의 근접 깊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 펜 등과 같은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근접하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 내부 또는 근방에 배치된 상기 근접센서(141)가 이를 감지하여 근접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상기 근접 터치되는 포인터와 상기 터치스크린 간의 거리(이하 "근접 깊이"라고 함)에 따라 서로 다른 근접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예컨대 3개의 근접 깊이를 감지할 수 있는 근접 센서가 배치된 터치스크린의 단면이 예시되고 있다. 3개 미만 또는 4개 이상의 근접 깊이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완전히 접촉되는 경우(d0)에는 접촉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1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1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1 거리 이상 d2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2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2 거리 이상 d3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3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3 거리 이상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근접 터치가 해제된 것으로 인식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 깊이 및 근접 위치 등에 따라 상기 근접 터치를 다양한 입력 신호로 인식할 수 있고, 상기 다양한 입력 신호에 따른 다양한 동작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근접 신호가 검출되는 근접 터치 인식 영역과 촉각 효과가 발생하는 햅틱 영역에 대한 설명에 참조 되는 도면이다.
도 5a는 아이콘이나 메뉴 항목 등과 같은 오브젝트를 설명의 편의상 원형으로 나타낸 것이다.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영역은, 도 5a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의 제1 영역(A)과 그를 감싸는 제2 영역(B)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영역(A)과 제2 영역(B)은 서로 다른 세기나 패턴을 갖는 촉각 효과가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영역(B)을 터치한 경우 제1 진동을 출력하고, 제1 영역(A)을 터치한 경우 제1 진동보다 큰 제2 진동을 출력하도록 2단계로 구성할 수 있다.
오브젝트가 표시된 영역에 근접 터치 인식 영역과 햅틱 영역을 동시에 설정해야 하는 경우라면, 촉각 효과가 발생하는 햅틱 영역과 근접신호가 검출되는 근접 터치 인식 영역이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즉, 햅틱 영역을 근접 터치 인식 영역보다 좁게 설정하거나 혹은 햅틱 영역을 근접 터치 인식 영역보다 넓게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a의 (a)에서, 제1 영역(A)과 제2 영역(B)을 포함하는 영역을 근접 터치 인식 영역으로 하고, 제1 영역(A)을 햅틱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5a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브젝트가 표시된 영역을 3개의 영역(A, B, C)으로 구분하거나, 혹은 도 5a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N(N>4) 개의 영역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구분된 각 영역은 서로 다른 세기나 패턴을 갖는 촉각 효과가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오브젝트가 표시된 영역을 3개 혹은 그 이상의 영역으로 구분하는 경우에도, 햅틱 영역과 근접 터치 인식 영역은 사용환경에 따라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에 근접 깊이에 따라 근접 터치 인식 영역의 크기가 달라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도 5b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근접 깊이에 따라 대응하는 근접 터치 인식 영역이 'C', 'B', 'A'로 점차 작아지도록 구성하거나, 혹은 이와 반대로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근접 깊이에 따라 대응하는 근접 터치 인식 영역이 점차 커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햅틱 영역은, 도 5b의 (b)에 도시한 'H'영역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근접 깊이와 무관하게 일정한 크기로 설정할 수 있다.
햅틱 영역이나 근접 터치 인식 영역의 설정을 위해 오브젝트가 표시된 영역을 분할하는 경우,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은 동심원 형태의 분할 외에, 가로방향이나 세로방향의 분할, 방사형 분할, 및 이들을 조합한 방식의 분할 등 다양한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바 형태의 이동 단말기(100)에, 앞서 설명한 프로젝터 모듈이 구비되는 구성에 대해 도 6a 및 도 6b를 더욱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바라본 사시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의 메인 바디(101)에는, 프로젝터 모듈(155)이 구비되는 프로젝터 바디(105)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프로젝터 바디(105)는 상기 메인 바디(101)에 힌지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프로젝터 바디(105)에 구비된 프로젝터 모듈(155)을 이용하여 영상의 투사 시에 그 투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프로젝터 바디(105)에는 상기 프로젝터 모듈(155)에 의해 투사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카메라(121)가 배치될 수 있다.
도 6a는 상기 메인 바디(101)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프로젝터 바디(105)가 회동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고, 도 6b는 상기 프로젝터 바디(105)가 회동된 후의 상태를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 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과 관련된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후술되는 실시예들이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더욱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이 터치스크린이 아니라도, 상기 이하의 실시예들은 상기 사용자 입력부(140)의 조작에 의해 충분히 구현될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터치스크린(151)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면부호 400으로 지칭하도록 하겠다.
제 1 실시예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1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1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고, 도 8 내지 도 10은 도 7과 관련된 제어 방법이 수행되기 위한 이동 단말기와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도시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근거리 통신(예를 들면, 블루투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장치는 상기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헤드셋, 타 이동단말기, 프린터 등(이에 한정되지 않음) 중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외부 장치와 연결될 때,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외부 장치와 떨어진 이격 거리를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이하 살펴본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상기 무선통신부(110), 특히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를 통해 그 주변의 외부 장치를 검색하기 위한 제 1 신호 크기의 호출 신호(예를 들면, 비콘 신호(beacon signal))를 상기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불특정 외부장치를 검색하기 위해 외부로 전송한다[S71].
제 1 신호 크기의 상기 호출 신호는 상기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제 1 거리(예를 들면, 10m) 떨어진 곳까지 도달할 수 있다고 가정하자. 제 1 거리는 절대로 불변하는 일정 거리를 의미하는 개념은 아니다. 왜냐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하는 환경에 따라 제 1 신호 크기의 호출 신호가 미칠 수 있는 거리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주위 환경에 따라 제 1 거리는 변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제 1 거리 이내에는 상기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외부 장치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어떠한 외부 장치로부터도 응답 신호를 받을 수 없다[S72]. 이에,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제 1 거리 이내에는 상기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외부 장치가 없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그 다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상기 무선통신부(110)를 통해 그 주변의 외부 장치를 검색하기 위한 제 2 신호 크기의 호출 신호 를 외부로 방출한다[S74, S75].
제 2 신호 크기는 제 1 신호 크기보다 더 크다. 따라서, 제 2 신호 크기의 상기 호출 신호는 상기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제 1 거리보다 먼 제 2 거리(예를 들면, 20m) 떨어진 곳까지 도달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주위 환경에 따라 전술한 제 1 거리처럼 제 2 거리도 변할 수 있는 개념임은 당연하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제 2 거리 이내에는 제 1 외부장치(200-1)가 존재한다. 따라서, 제 1 외부장치(200-1)는 제 2 신호 크기의 호출 신호를 수신한 다음, 이에 응답하는 제 1 응답 신호를 상기 이동단말기(100)로 보낸다.
제 1 응답 신호는 제 1 외부 장치의 주소, 이름, 클럭, 지원 서비스(지원 기능), 지원 RF 타입, 상기 수신한 호출 신호의 정보 및/또는 크기, 제 1 응답 신호의 크기(이에 한정되지 않음)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외부장치(200-1)로부터의 제 1 응답 신호를 수신한다[S72]. 이로써 제 1 외부장치(200-1)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검색된다.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제 2 신호 크기의 호출 신호를 외부로 송출한 다음에 제 1 외부장치(200-1)로부터 제 1 응답 신호를 받았으므로, 제 1 응답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정보(특히, 상기 수신한 호출 신호의 신호 크기 정보)를 분석하지 않더라도 제 1 외부 장치(200-1)가 상기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제 1 거리 밖 제 2 거리 이내에 이격되어 위치함을 파악할 수 있다[S73].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예컨대 제 1 신호크기의 호출신호와 제 2 신호크기의 호출신호를 너무 짧은 시간 간격으로 송출하여, 제 1 응답 신호가 제 1 신호크기의 호출신호와 제 2 신호크기의 호출신호 중 어느 것에 대한 응답인지가 불분명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응답 신호에 포함된 정보(특히, 상기 수신한 호출 신호의 정보)를 분석하여, 제 1 응답 신호가 제 1 신호크기의 호출신호와 제 2 신호크기의 호출신호 중 어느 것에 대한 응답인지를 더욱 명확히 할 수 있다.
한편, 제 2 신호크기의 호출 신호는 제 2 거리 밖에 위치하는 제 2 외부장치(200-2)까지는 도달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제 2 신호크기의 호출 신호로는 제 2 외부장치(200-2)를 검색할 수 없다.
그 다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다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상기 무선통신부(110)를 통해 그 주변의 외부 장치를 검색하기 위한 제 3 신호 크기의 호출 신호를 외부로 방출한다[S74, S75]. 제 3 신호 크기의 호출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가 방출할 수 있는 최대 크기의 호출 신호라고 가정한다.
제 3 신호 크기는 제 2 신호 크기보다 더 크다. 따라서, 제 3 신호 크기의 상기 호출 신호는 상기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제 2 거리보다 먼 제 3 거리(즉, 최대 거리)(예를 들면, 30m) 떨어진 곳까지 도달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주위 환경에 따라 전술한 제 1 거리처럼 제 3 거리도 변할 수 있는 개념임은 당연하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제 3 거리 이내에는 제 1 외부장치(200-1)와 제 2 외부장치(200-2)가 존재한다. 따라서, 제 2 외부장치(200-2)는 제 3 신호 크기의 호출 신호를 수신한 다음, 이에 응답하는 제 2 응답 신호를 상기 이동단말기(100)로 보낸다.
제 1 외부장치(200-1)는 제 2 신호크기의 호출신호에 대해 또다시 제 1 응답신호를 송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제 1 외부장치(200-1)가 제 2 신호크기의 호출신호에 대해 이미 제 1 응답신호를 송출하였으므로 제 3 신호 크기의 호출신호에는 응답신호를 송출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 2 응답 신호는 제 2 외부 장치의 주소, 이름, 클럭, 지원 서비스(지원 기능), 지원 RF 타입, 상기 수신한 호출 신호의 신호 크기, 제 2 응답 신호의 크기(이에 한정되지 않음)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유사하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제 2 외부장치(200-2)로부터의 제 2 응답 신호를 수신한다[S72]. 즉, 제 2 외부장치(200-2)가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의해 인식된다.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제 3 신호 크기의 호출 신호를 외부로 송출한 다음에 제 2 외부장치(200-2)로부터 제 2 응답 신호를 받았으므로, 제 2 응답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정보(특히, 상기 수신한 호출 신호의 정보)를 분석하지 않더라도 제 2 외부 장치(200-2)가 상기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제 2 거리 밖 제 3 거리 이내에 이격되어 위치함을 파악할 수 있다[S73].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예컨대 제 3 신호크기의 호출신호를 다른 크기의 호출신호와 너무 짧은 시간 간격으로 송출하여, 제 2 응답 신호가 제 3 신호크기의 호출신호에 대한 응답인지 또는 상기 다른 크기의 호출 신호에 대한 응답인지 여부가 불분명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제 2 응답 신호에 포함된 정보(특히, 상기 수신한 호출 신호의 정보)를 분석하여, 제 2 응답 신호가 제 3 신호크기의 호출신호에 대한 응답임를 더욱 명확히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외부장치를 검색할 때 상기 검색된 외부장치의 상기 이동단말기(100)로부터의 이격 거리를 파악할 수 있다.
이하, 상기 검색된 외부장치가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에 대해 도 11 내지 도 14을 더욱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1 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
먼저, 도 11을 살펴본다.
도 11의 (1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터치스크린(400) 상에 상기 이동단말기(100)를 나타내는 본 단말기 아이콘(410)과 제 1 외부장치(200-1)을 나타내는 제 1 외부장치 아이콘(420-1)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400)에서는 그 중심부에 상기 본 단말기 아이콘(410)이 배치되고 상기 본 단말기 아이콘(410)로부터 제 1 거리 이상 제 2 거리 이내로 이격 되어 제 1 외부장치 아이콘(420-1)이 배치되는 것이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단말기 사용자는 상기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제 1 외부장치(200-1)이 제 1 거리 이상 제 2 거리 이내로 이격되어 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상기 본 단말기 아이콘(410)이 반드시 상기 터치스크린(400)의 중심부에 배치될 필요는 없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본 단말기 아이콘(410)이 상기 터치스크린(400)의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상기 본 단말기 아이콘(410)로부터 제 1 거리 이상 제 2 거리 이내로 이격되어 제 1 외부장치 아이콘(420-1)이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터치스크린(40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디스플레이를 줌인 또는 줌아웃하기 위한 스크롤 바(430)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상기 스크롤 바(430)가 일 방향으로 터치되어 스크롤된다.
그러면, 도 11의 (1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400)의 디스플레이가 줌아웃된다. 물론, 상기 스크롤 바(430)이 타 방향으로 터치되어 스크롤되면 상기 터치스크린(400)의 디스플레이가 줌인되는 것은 당연하다.
따라서, 상기 터치스크린(400)에는 상기 본 단말기 아이콘(410)과 제 1 외부장치 아이콘(420-2)와 더불어, 제 2 외부 장치(200-2)를 나타내는 제 2 외부장치 아이콘(420-2)이 디스플레이된다.
즉, 상기 터치스크린(400)에서는 그 중심부에 상기 본 단말기 아이콘(410)이 배치되고 상기 본 단말기 아이콘(410)로부터 제 1 거리 이상 제 2 거리 이내로 이격되어 제 1 외부장치 아이콘(420-1)이 배치되고 상기 본 단말기 아이콘(410)로부 터 제 2 거리 이상 제 3 거리 이내로 이격되어 제 2 외부장치 아이콘(420-2)이 배치되는 것이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단말기 사용자는 상기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제 2 외부장치(200-2)이 제 2 거리 이상 제 3 거리 이내로 이격되어 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그 다음, 도 11의 (1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변 외부장치들 중 하나, 예를 들면 제 2 외부장치 아이콘(420)이 포인터(예를 들면,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펜)로 터치되어 상기 본 단말기 아이콘(410) 상으로 드래그된다.
그러면,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제 2 외부장치(200-2)와 근거리 통신 연결된다.
제 2 외부장치 아이콘(420)이 포인터로 터치되어 상기 본 단말기 아이콘(410) 상으로 드래그될 때만 상기 이동단말기(100)와 제 2 외부장치(200)가 근거리 통신 연결되도록 구성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상기 본 단말기 아이콘(410)이 터치되어 제 2 외부장치 아이콘(420)으로 드래그될 때 또는 제 2 외부장치 아이콘(420)이 포인터로 터치(단순터치, 더블터치 또는 롱터치)될 때, 상기 이동단말기(100)와 제 2 외부장치(200)가 근거리 통신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 뿐만 아니라, 제 1 외부장치 아이콘(420-1) 및 제 2 외부장치 아이콘(420-2)가 함께 터치될 때 또는 함께 터치되어 상기 본 단말기 아이콘(410)로 드래그될 때, 상기 이동단말기(100)가 제 1 외부장치(200-1) 및 제 2 외부장치(200-2)와 한꺼번에 근거리 통신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만약 제 1 외부장치(200-1) 및 제 2 외부장치(200-2)가 헤드셋인 경 우에는 상기 이동단말기(100)에서 근거리 통신을 통해 외부로 출력되는 오디오가 제 1 외부 장치 및 제 2 외부 장치 모두에서 수신되어 두 명의 단말기 사용자에게 동시에 제공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400)의 디스플레이의 줌인/줌아웃의 또다른 방안과, 상기 외부장치를 선택하는 또다른 방안에 대해 도 12를 더욱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두 개의 또다른 방안은 상기 이동단말기(100)에서 반드시 함께 구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이들이 각각 개별적으로 상기 이동단말기(100)에서 구현될 수 있음은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2의 (1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터치스크린(400) 상에 상기 이동단말기(100)를 나타내는 본 단말기 아이콘(410)과 제 1 외부장치(200-1)을 나타내는 제 1 외부장치 아이콘(420-1)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400)에서는 그 중심부에 상기 본 단말기 아이콘(410)이 배치되고 상기 본 단말기 아이콘(410)로부터 제 1 거리 이상 제 2 거리 이내로 이격되어 제 1 외부장치 아이콘(420-1)이 배치되는 것이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단말기 사용자는 상기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제 1 외부장치(200-1)이 제 1 거리 이상 제 2 거리 이내로 이격되어 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상기 본 단말기 아이콘(410)이 반드시 상기 터치스크린(400)의 중심부에 배치될 필요는 없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본 단말기 아이콘(410)이 상기 터치스크린(400)의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상기 본 단말기 아이콘(410)로부터 제 1 거리 이상 제 2 거리 이내로 이격되어 제 1 외부장치 아이콘(420-1)이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터치스크린(400)에서 임의의 위치에 포인터로 터치되어 예컨대 상기 본 단말기 아이콘(410)을 향하는 제 1 방향으로 드래그된다.
그러면, 도 12의 (1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400)의 디스플레이가 줌아웃된다. 물론 상기 터치스크린의 디스플레이를 줌아웃하기 위한 제 1 방향이 반드시 상기 본 단말기 아이콘(410)을 향하는 제 1 방향이여야 하는 것은 아니고, 제 1 방향이 상기 본 단말기 아이콘(4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일 수도 있다.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터치스크린(400)에서 임의의 위치에 포인터로 터치되어 제 1 방향과 반대되는 제 2 방향으로 드래그되면 상기 스크롤 바(430)이 타 방향으로 터치되어 스크롤되면 상기 터치스크린(400)의 디스플레이가 줌인되는 것은 당연하다.
그 다음, 상기 주변 외부장치들 중 하나, 예를 들면 제 2 외부장치 아이콘(420-2)이 포인터로 터치(단순터치, 더블터치 또는 롱터치)된다.
그러면, 도 12의 (1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외부장치(420-2)에 대한 정보 창(420)이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정보 창(420)에는 상기 이동단말기(100)가 제 2 외부장치(420-2)로부터 수신한 제 2 응답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적어도 일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 사용자는 상기 정보 창(430)을 통해 제 2 외부장치(420-2)가 자신이 근거리 통신 연결을 원하는 장치가 맞는지를 쉽게 확 인할 수 있다. 그 다음, 단말기 사용자는 상기 정보 창(430)을 통해 제 2 외부장치(420)와의 근거리 통신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상기 이동단말기(100)가 여러 크기의 호출신호들을 순차적으로 외부장치를 향해 전송하고, 상기 호출신호들 중에서 상기 외부장치가 반응하는 호출 신호의 크기에 근거하여 상기 외부 장치가 본 단말기로부터 떨어진 이격 거리를 산출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반드시 여러 크기의 복수 개의 호출신호들이 순차적으로 외부장치를 향해 전송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소정 이격 거리가 입력되면, 상기 이동단말기(100)(즉 제어부(180))는 상기 소정 이격거리에 해당하는 소정 크기의 한 호출 신호가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고, 상기 호출 신호에 반응하는 외부 장치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소정 이격 거리는, 예를 들면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터치스크린(400)에서 상기 스크롤 바(430)가 터치 드래그되거나 상기 터치스크린(400)에서 임의의 지점이 터치 드래그됨으로써 상기 터치스크린이 줌인 또는 줌아웃될 때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서 표현될 수 있는 최대 이격 거리일 수 있다.
상기 소정 이격 거리가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변경되면,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다시 상기 변경된 이격 거리에 해당하는 다른 소정 크기의 한 호출 신호를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고, 상기 호출 신호에 반응하는 외부 장치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도 9 내지 도 12의 관련 설명으로부터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의 간명함을 위해 생략하도록 하겠다.
상기 검색된 외부장치들은 상기 이동단말기(100)와의 근거리 통신 품질과 함께 상기 터치스크린(40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13을 더욱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13에서는 제 1 외부장치(200-1)와 제 2 외부장치(200-2) 둘다가 동일한 제 1 기능(예를 들면, 블루투스 헤드셋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이고, 상기 근거리 통신을 통한 정상적인 제 1 기능을 위한 외부장치의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의 적정한 이격 거리는 제 2 거리 이내라고 가정하고 설명한다.
그런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외부장치(200-1)는 상기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제 2 거리 이내로 이격되어 있고 제 2 외부장치(200-2)는 상기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제 2 거리 이내로 이격되어 있음이 제 1 외부장치 아이콘(420-1) 및 제 2 외부장치 아이콘(420-2)를 통해 표시되고 있다.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제 1 외부장치(200-1) 및 제 2 외부장치(200-2) 각각으로부터의 제 1 응답신호 및 제 2 응답신호에 포함된 정보로부터 제 1 외부장치(200-1) 및 제 2 외부장치(200-2)가 지원하는 기능은 제 1 기능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각 기능에 따라 필요한 통신 레이트를 고려하여 상기 근거리 통신을 통한 제 1 기능을 위한 외부장치의 일반적인 적정 이격 거리는 제 2 거리 이내이라는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160)에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또는 상기 데이터가 상기 응답 신호에 포함되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수신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단말기(100)(즉, 상기 제어부(180))는 제 1 외부장치(200-1)의 이격거리가 제 2 이격 거리 이내임을 고려할 때 제 1 외부장치(200-1)는 제 1 기능이 상기 근거리 통신을 통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제 1 외부장치 아이콘(420-1)를 상기 터치스크린(400)에 디스플레이할 때 제 1 외부장치(200-1)가 양호하게 동작할 수 있음을 더욱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단말기(100)(즉, 상기 제어부(180))는 제 2 외부장치(200-2)의 이격거리가 제 2 이격 거리 밖임을 고려할 때 제 2 외부장치(200-2)는 제 1 기능이 상기 근거리 통신을 통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가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제 2 외부장치 아이콘(420-2)을 상기 터치스크린(400)에 디스플레이할 때 제 2 외부장치(200-2)가 양호하게 동작할 수 없음을 더욱 표시할 수 있다.
도 13에서는 제 1 외부장치(200-1)와 제 2 외부장치(200-2)가 동일한 기능(제 1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제 1 외부장치(200-1)가 제 1 기능(예를 들면, 헤드셋 기능)을 지원하고 제 3 외부장치(도 16의 200-3)가 제 2 기능(예를 들면, 파일 공유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에 대해 도 14를 더욱 참조하여 살펴본다.
이 때, 상기 근거리 통신을 통한 정상적인 제 1 기능을 위한 외부장치의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의 적정한 이격 거리는 제 2 거리 이내이고, 상기 근거리 통신을 통한 정상적인 제 2 기능을 위한 외부장치의 상기 이동단말기(100)와의 적정한 이격 거리는 제 1 거리 이내라고 가정한다.
그런데, 제 1 외부장치(200-1) 및 제 3 외부장치(200-3)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제 1 거리 이상 제 2 거리 이내로 이격되어 있음이 제 1 외부장치 아이콘(420-1) 및 제 3 외부장치 아이콘(420-3)을 통해 표시되고 있다.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제 1 외부장치(200-1) 및 제 3 외부장치(200-3) 각각으로부터의 제 1 응답신호 및 제 3 응답신호에 포함된 정보로부터 제 1 외부장치(200-1) 및 제 3 외부장치(200-3)가 지원하는 기능은 각각 제 1 기능과 제 2 기능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각 기능에 따라 필요한 통신 레이트를 고려하여 상기 근거리 통신을 통한 제 1 기능을 위한 외부장치의 일반적인 적정 이격 거리는 제 2 거리 이내이고, 상기 근거리 통신을 통한 제 2 기능을 위한 외부장치의 일반적인 적정 이격 거리는 제 1 거리 이내라는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160)에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또는 상기 데이터가 상기 응답 신호에 포함되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수신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단말기(100)(즉, 상기 제어부(180))는 제 1 외부장치(200-1)의 이격거리가 제 2 이격 거리 이내임을 고려할 때 제 1 외부장치(200-1)는 제 1 기능이 상기 근거리 통신을 통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제 1 외부장치 아이콘(420-1)을 상기 터치스크린(400)에 디스플레이할 때 제 1 외부장치(200-1)가 양호하게 동작할 수 있음을 더욱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단말기(100)(즉, 상기 제어부(180))는 제 3 외부장치(200-3)의 이격거리가 제 1 이격 거리 밖임을 고려할 때 제 3 외부장치(200-3)는 제 2 기능이 상기 근거리 통신을 통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가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제 3 외부장치 아이콘(420-3)를 상기 터치스크린(400)에 디스플레이할 때 제 3 외부장치(200-3)가 양호하게 동작할 수 없음을 더욱 표시할 수 있다.
즉, 제 1 외부장치(200-1) 및 제 3 외부장치(200-3)는 상기 이동단말기(100)와 동일 이격 거리 범위 내에서 있더라도, 이들이 지원하는 기능에 따라 상이하게 양호하게 동작할 수 있는지 여부가 상기 터치스크린(400)에 표시될 수 있다.
심지어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어떤 외부장치가 상기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제 3 외부장치(200-3)보다 더 멀리 이격되어 있더라도, 그 지원 기능(예를 들면, 리모콘 기능)에 따른 통신 레이트에 따라 양호하게 동작할 수 있는 것으로 표시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는 상기 외부장치의 이격 거리 및 지원 기능이 함께 고려되어 상기 외부장치가 정상 동작 여부와 관한 정보가 상기 터치스크린(400)에 표시되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외부장치가 그 이 격 거리만이 고려되어,즉 지원 기능에 상관없이 소정 이격 거리 이내로 이격되어 있으면 정상 동작이 가능한 것으로 표시되고 소정 이격 거리 이상으로 이격되어 있으면 정상 동작이 어려운 것으로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 2 실시예
제 1 실시예에 의하면, 두 개의 외부장치들이 동일 이격 거리 범위 내(예를 들면, 제 1 이격 거리 이상 제 2 이격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것을 상기 두 개의 외부장치들 중 어느 것이 더 멀리 또는 더 가까이 이격되어 위치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쉽지 않다. 제 2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외부장치들이 동일 이격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하더라도 어느 것이 더 멀리 또는 더 가까이 이격되어 위치하고 있는지를 쉽게 알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설명된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2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5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2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고, 도 16은 도 15과 관련된 제어 방법이 수행되기 위한 이동 단말기와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도시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외부장치(200-1)과 제 3 외부장치(200-3)이 상기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제 1 거리(10m) 이상 제 2 거리(20m) 이내로 이격되어 위치한다. 이하 제 1 외부장치(200-1)이 제 1 거리 이상 제 2 거리 이내 범위에서 제 3 외부장치(200-3)보다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좀더 가까이 위치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상기 이동단말기(200)가 제 2 거리까지 도달할 수 있는 제 2 신호크기의 호출신호를 상기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불특정 외부장치를 검색하기 위해 외부로 전송한다[S151].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제 1 거리(10m) 이상 제 2 거리(20m) 이내로 이격되어 제 1 외부장치(200-1)과 제 3 외부장치(200-3)가 존재한다. 따라서, 제 1 외부장치(200-1)과 제 3 외부장치(200-3)는 각각 상기 호출신호를 수신한 다음, 이에 응답하는 제 1 응답신호 및 제 3 응답신호를 각각 상기 이동단말기(100)로 보낸다[S152]. 이 때, 제 1 외부장치(200-1)과 제 3 외부장치(200-3)는 각각 제 1 응답신호 및 제 3 응답신호를 사전설정된 동일 크기로 송출한다.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제 1 응답신호의 크기 및 제 3 응답신호의 크기를 각각 비교한다[S153]. 제 1 외부장치(200-1)는 제 3 외부장치(200-3)보다는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가까이 위치하므로, 상기 응답신호의 전송시 그 크기의 감쇄는 이격 거리에 비례함을 고려할 때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수신되는 제 1 응답신호가 제 3 응답신호보다 더 클 것이다.
따라서,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제 1 응답신호의 크기가 제 3 응답신호의 크기보다 더 크다는 것을 이용하여, 제 1 외부장치(200-1)가 제 2 외부장치(200-3)보다 제 1 거리(10m) 이상 제 2 거리(20m) 이내에서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더 가까이 위치함을 알 수 있다[S154].
이하, 상기 검색된 외부장치들이 제 1 실시예에서와는 달리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 표시되는 것에 대해 도 17 및 도 18이 참조되어 이하 설명된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2 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400)에는 제 1 외부장치 아이콘(420-1), 제 2 외부장치 아이콘(420-2), 및 제 3 외부장치 아이콘(420-3)이 상기 외부장치들(제 1 내지 제 3 외부장치들)의 상기 이동단말기(100)로부터의 이격거리에 따라 디스플레이되고 있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외부장치(200-1)와 제 3 외부장치(200-3)는 제 1 거리 이상 제 2 거리 이내 범위로 상기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나 더 엄밀하게는 제 1 외부장치(200-1)이 제 3 외부장치(200-3)보다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더 가까이 이격되어 있음이 상기 터치스크린(400)에 표시되어 있다.
한편, 상기 외부장치들은 그 지원 기능에 따라 소팅되어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해 도 18을 더욱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18의 (18-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400)에는 상기 외부장치들을 그 지원 기능(또는 그 종류)에 따라 소팅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 1 소팅 아이콘 내지 제 4 소팅 아이콘(451, 452, 453, 454)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도 18의 (18-1)에서는 지원 기능에 상관없이 검색된 모든 외부장치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 1 소팅 아이콘(451)이 선택되는 것이 예시되어 있다.
이에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는 검색된 모든 외부장치들, 즉 제 1 외부장 치, 제 2 외부장치, 및 제 3 외부장치의 아이콘들이 해당 외부장치의 이격 거리에 따라 배치되어 있다. 상기 검색된 외부장치들이 반드시 이격거리에 따라 배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도 18의 (18-2)에는 상기 모든 외부장치들 중에서 제 1 기능을 지원하는 외부장치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 2 소팅 아이콘(452)이 선택되는 것이 예시되어 있다.
이에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는 상기 검색된 모든 외부장치들 중에서 제 1 기능을 지원갖는 외부장치의 아이콘(예를 들면, 제 1 외부장치 아이콘)이 소팅되어 있다. 제 1 외부장치 아이콘(420-1)은 그 해당 외부장치의 이격거리에 따라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8의 (18-3)에는 상기 모든 외부장치들 중에서 제 2 기능을 지원하는 외부장치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 3 소팅 아이콘(453)이 선택되는 것이 예시되어 있다.
이에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는 상기 검색된 모든 외부장치들 중에서 제 2 기능을 지원갖는 외부장치의 아이콘(예를 들면, 제 2 외부장치 아이콘)이 소팅되어 있다. 제 2 외부장치 아이콘(420-2)은 그 해당 외부장치의 이격거리에 따라 배치될 수도 있음은 전술한 바와 유사하다.
도 18에서는 상기 검색된 외부장치들이 그 지원 기능에 따라 소팅되어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에 대해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메모리부(160)가 참조되어 상기 검색된 외부장치들이 이전에 상기 이동단말기(100)과 근거리 통신된 이력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소팅되어 상기 터치스크린(40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별도의 설명이 없더라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의 간명함을 위해 생략하도록 하겠다.
이하, 도 19를 참조하여, 상기 외부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어, 상기 선택된 외부장치와 상기 이동단말기가 근거리 통신 연결되는 것에 대해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19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2 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근거리 통신을 위해 지원할 수 있는 RF 타입이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외부장치가 지원되는 RF 타입은 상기 외부 장치에 해당하는 응답 신호의 정보에 포함되어 상기 이동단말기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근거리 통신이 블루투스인 경우에는 지원 가능한 RF 타입으로서 저전력(LE) 타입, 고속(BR/EDR) 타입, 초고속(AMP) 타입이 있다.
상기 각 RF 타입에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저전력 타입은 통신전력소모는 낮으나 전송 속도가 느리다. 상기 초고속 타입은 전송 속도는 빠르나 통신 전력소모는 상기 초전력보다 높다.
따라서, 상기 외부장치들 중에서 하나가 선택될 때, 상기 선택된 외부장치가 둘 이상의 RF 타입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이동단말기(100)와 상기 선택된 외부장치 가 어떠한 RF 타입으로 연결될 것인지가 정해질 필요가 있다.
도 19의 (19-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400)에는 상기 이동단말기(100)와의 상기 근거리 통신을 위해 검색된 제 1 외부장치 내지 제 3 외부장치의 아이콘들(420-1, 420-2, 420-3)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 3 외부장치 아이콘(420-3)를 통해 제 3 외부장치가 상기 근거리 통신을 통해 선택되고, 또한 제 3 외부장치는 상기 세가지 RF 타입들을 모두 지원한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도 19의 (19-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상기 터치스크린(400)에 제 3 외부장치(200-3)가 지원가능한 RF 타입들(더 엄밀하게는 지원가능한 RF 타입들의 아이콘들(461, 462, 463))을 디스플레이하여,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세가지 RF 타입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단말기 사용자의 선택을 도울 수 있도록 제 3 외부장치(200-3)의 지원 기능, 이격 거리, 및 전력 소모량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적어도 하나의 적절한 RF 타입을 제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9의 (19-2)에서는 상기 저전력 RF 타입이 추천되어 있는 것이 예시되어 있다.
상기 이동단말기(100)가 반드시 상기 지원가능한 모든 RF타입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이동단말기(100)가 상기 지원가능한 모든 RF타입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적절한 RF타입만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상기 적절한 RF타입이 하나인 경우, 상기 지원가능한 RF 타입을 디스플레이하여 단말기 사용자에게 제시함 없 이 바로 자동으로 상기 적절한 RF타입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 3 실시예
전술한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동단말기(100)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들 검색되고, 상기 검색된 외부장치들 중에서 한 외부 장치가 선택되어 상기 이동단말기(100)와 근거리 통신 연결되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상기 이동단말기(100)가 소망 외부 장치와 근거리 통신(예를 들면, 블루투스) 연결된 다음에 상기 이동단말기(100)와 상기 소망 외부 장치 간의 이격 거리가 변화됨에 따라 상기 이동단말기(100)와 상기 소망 외부 장치 간의 근거리 통신 신호 세기가 변화될 때, 단말기 사용자의 편의를 돕기 위해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실행 기능이 변경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0 내지 도 25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3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0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3 실시예에 따라 서로 근거리 통신 연결된 이동단말기 및 외부장치를 도시하고, 도 21 내지 도 2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3 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와 상기 소망 외부 장치(200)가 근거리 통신 연결되어 있다. 도 20에서는 상기 외부 장치(200)가 헤드셋인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1의 (2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서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기능이 실행되고 있는 것이 예시되어 있다. 즉, 상기 이동단말기(200)는 상기 재생된 파일의 오디오를 상기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외부장치(200)로 전달하고, 상기 전달된 오디오는 상기 외부장치를 통해 외부로 출력된다.
그런데, 상기 외부장치(200)가 상기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상기 이동단말기(200)(즉, 상기 제어부(180))는, 도 21의 (2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장치(200)와의 근거리 통신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장치(200)가 상기 이동단말기(100)로부터 떨어진 이격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거리가 소정의 기준 거리 이상이 될 때에는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터치스크린(400)으로 공급되는 전원이 오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이동단말기(200)는 상기 근거리 통신 신호를 세기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장치(200)의 이격거리를 고려함 없이 바로 상기 근거리 통신 신호가 소정 세기 이하가 되면 상기 터치스크린(400)으로 공급되는 전원이 오프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이격거리를 고려함 없이 상기 근거리 통신 신호의 세기가 사용될 수도 있음은 본 발명 전체에 걸쳐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공급 전원이 오프됨으로써 상기 터치스크린이 오프될 때, 상기 이동단말기(200)는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계속 수행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의 실행을 중지할 수도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의 실행이 중지되도록 구성될 때는 상기 이동단말기(100)가 소정 제어 신호를 상기 외부장치(200)로 상기 근거리 통신을 통해 보냄 으로써 상기 외부장치(200)의 전원도 오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외부장치(200)가 상기 기준 거리 이상 이격될 때,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상기 전원공급부(190)는 외부 전원을 공급받고 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이동단말기(200)는, 도 21의 (2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 장치(200)가 상기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상기 기준 거리 이상 이격되더라도 상기 터치스크린(400)의 전원 공급이 계속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한편, 상기 이동단말기(100)와 상기 외부장치(200)가 서로 상기 기준 거리 이상 이격되어 상기 터치스크린이 오프된 다음에 상기 이동단말기(100)와 상기 외부장치(200) 간의 이격 거리가 상기 기준 거리 이내로 되면, 상기 터치스크린(400)의 전원이 자동으로 온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상기 외부장치(200)가 상기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상기 기준 거리 이상 이격될 때 상기 터치스크린(400)의 전원이 오프되는 것에 대해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외부장치(200)가 상기 기준 거리 이상 이격되어 소정 시간 이상 경과될 때 상기 터치스크린(400)의 전원이 오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상기 외부장치(200)가 상기 기준 거리보다 소정 거리 더 멀리 이격되는 경우에는 상기 소정 시간 경과를 기다리지 않고 바로 상기 터치스크린(400)의 전원이 오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외부장치(200)가 이격되는 이격거리에 비례하여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실행 기능이 점진적으로 변경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해 도 22를 더욱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22의 (2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서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기능이 실행되어 소정 멀티미디어 파일이 재생되고 있는 것이 예시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외부장치(200)가 상기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제 1 기준 거리 이상 이격된다.
그러면, 도 22의 (2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상기 외부장치(200)가 제 1 기준 거리 이상 이격됨에 따라 상기 외부장치(200)와의 근거리 통신 신호의 세기가 제 1 레벨 이하로 됨을 인지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을 일시정지(pause)시킨다.
상기 이동단말기(100)와 상기 외부장치(200)의 이격거리가 제 1 기준 거리 이내로 되면,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상기 일시정지된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을 계속할 것이다.
그러나, 상기 외부장치(200)가 다시 상기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제 1 기준 거리 이내로 가까워지는 것이 아니라, 제 1 기준 거리보다 더 먼 제 2 기준거리 이상 이격된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도 22의 (2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상기 외부장치(200)가 제 2 기준 거리 이상 이격됨에 따라 상기 외부장치(200)와의 근거 리 통신 신호의 세기가 제 1 레벨보다 낮은 제 2 레벨 이하로 됨을 인지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을 정지(stop)시킨다.
상기 이동단말기(100)와 상기 외부장치(200)의 이격거리가 제 1 기준 거리 이내로 되면,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상기 정지된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을 계속할 것이다.
그러나, 상기 외부장치(200)가 다시 상기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제 1 기준 거리 이내로 가까워지는 것이 아니라, 제 2 기준 거리보다 더 먼 제 3 기준거리 이상 이격된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도 22의 (2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상기 외부장치(200)가 제 3 기준 거리 이상 이격됨에 따라 상기 외부장치(200)와의 근거리 통신 신호의 세기가 제 2 레벨보다 낮은 제 3 레벨 이하로 됨을 인지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기능의 실행을 중단한다.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기능의 실행이 중단되고 나면, 상기 이동단말기(100)와 상기 외부장치(200)의 이격거리가 제 1 기준 거리 이내가 되더라도,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기능이 다시 자동으로 실행되지는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외부장치(200)가 상기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상기 기준 거리 이상 이격된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될 때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실행 기능이 변화되는 경우에 대해 도 23을 참조하여 더욱 살펴본다.
도 23의 (2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서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기능이 실행되어 소정 멀티미디어 파일이 재생되고 있는 것이 예시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외부장치(200)가 상기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상기 기준 거리 이상 이격된다. 그러나, 도 23의 (2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장치(200)가 상기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상기 기준 거리 이상 이격된 후 소정 시간(예를 들면, 10초)이 경과되지 않았으므로, 상기 소장 멀티미디어 파일이 계속 재생된다.
상기 외부장치(200)가 상기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상기 기준 거리 이상 이격된 후 소정 시간(예를 들면, 10초)이 경과된다. 그러면, 도 23의 (2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현재 재생 시점(1분40초)보다 예컨대 상기 소정 시간(10초) 이전의 시점(1분30초)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을 일시 정지한다.
따라서, 상기 이동단말기(100)과 상기 외부장치(200) 간의 이격 거리가 상기 기준 거리 이내로 되면,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상기 일시 정지된 시점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을 다시 시작할 수 있다.
이하 도 24를 더욱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24의 (2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서 상기 무선통신부(110)을 이용하여 인터넷망 또는 방송망을 통해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기능이 수행되는 것이 예시되어 있다. 즉, 상기 이동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넷망 또는 상기 방송망을 통해 소정 멀티미디어를 스트리밍 수신하여 재생하고 있다.
이 때, 상기 외부장치(200)가 상기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상기 기준 거리 이상 이격된다.
그러면, 도 24의 (2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상기 멀티미디어의 재생을 일시 중지하고, 상기 기준 거리 이격된 시점으로부터 상기 스트리밍되어 수신되는 상기 멀티미디어를 상기 메모리(160)에 저장한다.
그 다음, 상기 외부장치(200)가 상기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상기 기준 거리 이내로 이격된다.
그러면, 도 24의 (2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상기 메모리(160)에 저장된 상기 일시 정지된 시점부터 멀티미디어를 재생하기 시작한다.
이하 상기 이동단말기(100)에서 인스턴트 메시지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에 대해 도 25를 더욱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25의 (25-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서 인스턴트 메시지 기능이 실행되고 있는 것이 예시되어 있다. 즉,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사용자는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 기능에 로그인되어 있고,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터치스크린(400)에는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 기능을 위한 메시지 창(470)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다. 상기 메시지 창(470)에는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사용자 현 상태가 제 1 상태(예를 들면, 온라인(online))인 것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외부장치(200)가 상기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제 1 기준 거리 이상 이격된다.
그러면, 도 25의 (25-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상기 외부장치(200)가 제 1 기준 거리 이상 이격됨에 따라 사용자 현 상태를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예를 들면, 자리비움(away))로 변경한다.
상기 이동단말기(100)와 상기 외부장치(200)의 이격거리가 제 1 기준 거리 이내로 되면,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상기 사용자 현 상태가 다시 제 1 상태가 되도록 할 것이다.
그러나, 상기 외부장치(200)가 다시 상기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제 1 기준 거리 이내로 가까워지는 것이 아니라, 제 1 기준 거리보다 더 먼 제 2 기준거리 이상으로 이격된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도 25의 (25-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상기 외부장치(200)가 제 2 기준 거리 이상 이격됨에 따라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 기능으로부터 로그오프되도록 한다.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 기능으로부터 로그 오프되고 나면, 상기 이동단말기(100)와 상기 외부장치(200)의 이격거리가 제 1 기준 거리 이내가 되더라도,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 기능에 다시 자동으로 로그인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기능 잠금에 대해 도 26을 더욱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2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3 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
도 26의 (26-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서 어떠한 기능(메뉴)도 잠금 상태가 아닌 것이 예시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외부장치(200)가 상기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제 1 기준 거리 이상 이격된다.
그러면, 도 26의 (26-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상기 외부장치(200)가 제 1 기준 거리 이상 이격됨에 따라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기능의 일부가 잠금 상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 잠금 상태가 되는 일부 기능은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사생활 보호와 관련된 기능, 예를 들면 메시지 보기 기능, 전화번호부 기능, 통화 목록 보기 기능 등이 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잠금 상태가 되는 일부 기능은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사용과 관련되어 이동통신사에 과금이 되는 기능, 예를 들면, 전화걸기 기능, 메시지 송신 기능, 인터넷 접속 기능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이동단말기(100)와 상기 외부장치(200)의 이격거리가 제 1 기준 거리 이내로 되면,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상기 일부 잠금이 해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이동단말기(100)와 상기 외부장치(200)의 이격거리가 제 1 기준 거리 이내로 되더라도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소정의 비밀번호가 입력되어야만 상기 일부 잠금이 해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외부장치(200)가 다시 상기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제 1 기준 거리 이내로 가까워지는 것이 아니라, 제 1 기준 거리보다 더 먼 제 2 기준거리 이상으로 이격된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도 26의 (26-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상기 외부장치(200)가 제 2 기준 거리 이상 이격됨에 따라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기능이 상기 일시 잠금된 때보다 더 엄격히 잠금 상태(예를 들면, 상기 이동단말기가 전부 잠금 상태가 됨)가 되도록 한다.
상기 이동단말기(100)와 상기 외부장치(200)의 이격거리가 제 1 기준 거리 이내로 되면,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상기 전부 잠금이 해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이동단말기(100)와 상기 외부장치(200)의 이격거리가 제 1 기준 거리 이내로 되더라도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소정의 비밀번호가 입력되어야만 상기 전부 잠금이 해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인터넷 접속에 대해 도 27을 더욱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2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3 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
도 27의 (27-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서 인터넷 접속 기능이 실행되고 있는 것이 예시되어 있다. 즉,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인터넷 접속되어 상기 터치스크린(400)에는 상기 인터넷 접속을 위한 브라우저 창(480)이 디스플레이되고 있고, 상기 브라우저 창(480)을 통해 소정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로그인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외부장치(200)가 상기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제 1 기준 거리 이상 이격된다.
그러면, 도 27의 (27-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상기 외부장치(200)가 제 1 기준 거리 이상 이격됨에 따라 상기 웹사이트에서 로그오프되도록 한다.
그 다음, 상기 외부장치(200)가 다시 상기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제 1 기준 거리보다 더 먼 제 2 기준거리 이상으로 이격된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도 27의 (27-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상기 외부장치(200)가 제 2 기준 거리 이상 이격됨에 따라 상기 브라우저 창(480)을 닫고 인터넷 접속을 해제한다.
한편, 상기 외부장치(200)가 상기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소정 기준거리 이상 이격될 때 모든 웹사이트의 접속이 일괄적으로 로그오프되거나 해당 브라우저 창(480)이 닫히도록 구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각 웹사이트의 중요도가 사전 지정된 다음에, 상기 외부장치(200)가 상기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소정 기준거리 이상 이격될 때 중요도가 낮은 웹사이트(예를 들면, 포탈 사이트 등)은 그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고, 중요도가 높은 웹사이트(예를 들면, 은행 계좌 사이트 등)은 그 접속이 로그오프되거나 해당 브라우저 창이 닫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 4 실시예
도 28 및 도 29를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4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4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고, 도 29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4 실시예에 따라 서로 근거리 통신 연결된 이동단말기 및 외부장치를 도시한다.
도 29의 (29-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노트북과 같이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외부장치(200)가 인터넷을 통해 소정 웹사이트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외부장치(200)는 상기 이동단말기(100)과 근거리 통신 접속된다[S281].
그 다음, 상기 외부장치(200)와 상기 이동단말기(100) 간의 이격거리가 소정 이격거리 이상으로 된다[S282].
그러면, 상기 이동단말기(100)(즉, 제어부(180))는 상기 근거리 통신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장치(200)와의 이격거리가 상기 소정 이격거리 이상으로 됨을 인지한다.
그 다음, 도 29의 (29-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상기 외부장치(200)로부터 상기 웹사이트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를 수신한다[S283]. 상기 URL의 수신은 상기 근거리 통신을 통해서 행해질 수 있으나, 다른 통신 수단을 통해 행해져도 무방하다.
그 다음, 도 29의 (29-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상기 수신한 URL을 이용하여 상기 웹사이트에 접속한다[S284].
이 때, 상기 외부장치(200)는 상기 웹사이트의 접속을 해제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외부장치(200)가 상기 웹사이트에 여전히 접속하여 있어도 무방하다. 또는, 상기 이동단말기(100)가 상기 외부장치(200)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될 때, 상기 외부장치(200)에서 고용량 다운로드 업데이트가 실행되거나 디스크 조각 모음이 실행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의 정면도들이다.
도 4는 근접 센서의 근접 깊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각각 근접신호가 검출되는 근접 터치 인식 영역과 촉각 효과를 발생하는 햅틱 영역에 대한 설명을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사시도들이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1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7과 관련된 제어 방법이 수행되기 위한 이동 단말기와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도시한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1 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
도 15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2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6은 도 15과 관련된 제어 방법이 수행되기 위한 이동 단말기와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도시한다.
도 17 내지 도 19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2 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3 실시예에 따라 서로 근거리 통신 연결된 이동단말기 및 외부장치를 도시한다.
도 21 내지 도 2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3 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4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4 실시예에 따라 서로 근거리 통신 연결된 이동단말기 및 외부장치를 도시한다.
Claims (21)
- 사용자 입력부;디스플레이부;무선통신부; 및특정 이격거리 이내로 떨어진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검색하기 위해 상기 특정 이격거리에 해당하는 특정 크기의 호출 신호를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고, 상기 호출 신호에 반응하여 응답 신호를 출력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상기 제어부는 복수 개의 지원 기능 아이콘들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복수 개의 지원 기능 아이콘들 중 하나가 선택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 중에서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해당하는 지원 기능을 갖는 외부 장치를 필터링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의 지원 기능을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특정 이격 거리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상기 호출 신호에 반응하는 외부 장치가 둘 이상인 경우, 상기 각각의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응답 신호의 크기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둘 이상의 외부 장치들이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떨어진 순서를 파악할 수 있도록 더욱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상기 응답 신호를 출력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와 근거리 통신 연결이 시도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상기 근거리 통신 연결이 시도되는 외부 장치가 상기 이격 거리와, 상기 외부 장치의 지원 기능 및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잔여 배터리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할 때, 근거리 통신에 적합한지 여부를 예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상기 외부 장치가 상기 근거리 통신에 적합한지 여부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상기 외부 장치가 상기 근거리 통신에 적합한 경우에 상기 근거리 통신이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근거리 통신 연결이 시도되는 외부 장치를 위해 상기 이격 거리와, 상기 외부 장치의 지원 기능, 및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잔여 배터리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할 때, 상기 근거리 통신에 속하는 둘 이상의 통신 타입들 중에서 어떠한 통신 타입이 적합한지를 예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상기 예측된 통신 타입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상기 예측된 통신 타입으로 상기 외부 장치와 자동으로 근거리 통신이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9 항에 있어서,상기 근거리 통신은 블루투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 제 12 항에 있어서,상기 통신 타입은 저속 타입, 고속 타입, 및 초고속 타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상기 외부 장치의 상기 응답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장치의 종류를 더욱 파악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상기 외부 장치가, 종류 및 지원 기능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구분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점진적으로 커지는 크기의 호출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외부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호출 신호들 중에서 상기 외부 장치가 반응하는 호출 신호의 크기에 근거하여 산출된 상기 외부 장치가 본 단말기로부터 떨어진 이격 거리를 단말기 사용자에게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상기 외부 장치가 이격 거리에 따라 구분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상기 전송되는 호출 신호의 크기가 작을 수록 상기 전송된 호출 신호에 반응하는 상기 외부 장치의 이격 거리가 가까운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특정 이격거리 이내로 떨어진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검색하기 위해 상기 특정 이격거리에 해당하는 특정 크기의 호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상기 호출 신호에 반응하여 응답 신호를 출력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표시하는 단계;복수 개의 지원 기능 아이콘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상기 복수 개의 지원 기능 아이콘들 중 하나가 선택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 중에서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해당하는 지원 기능을 갖는 외부 장치를 필터링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상기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의 지원 기능을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 사용자 입력부;디스플레이부;무선통신부; 및특정 이격거리 이내로 떨어진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검색하기 위해 상기 특정 이격거리에 해당하는 특정 크기의 호출 신호를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고, 상기 호출 신호에 반응하여 응답 신호를 출력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의 지원 기능을 파악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 단말기.
- 특정 이격거리 이내로 떨어진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검색하기 위해 상기 특정 이격거리에 해당하는 특정 크기의 호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상기 호출 신호에 반응하여 응답 신호를 출력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표시하는 단계; 및상기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의 지원 기능을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02418A KR101467796B1 (ko) | 2009-01-12 | 2009-01-12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US12/533,152 US8611819B2 (en) | 2009-01-12 | 2009-07-31 |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02418A KR101467796B1 (ko) | 2009-01-12 | 2009-01-12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83054A KR20100083054A (ko) | 2010-07-21 |
KR101467796B1 true KR101467796B1 (ko) | 2014-12-10 |
Family
ID=42319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02418A KR101467796B1 (ko) | 2009-01-12 | 2009-01-12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8611819B2 (ko) |
KR (1) | KR101467796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030285A1 (ko) * | 2015-08-19 | 2017-02-23 | 삼성전자 주식회사 | Ui 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
US11503364B2 (en) | 2017-12-12 | 2022-11-1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90136016A1 (en) * | 2007-11-08 | 2009-05-28 | Meelik Gornoi | Transferring a communication event |
US8984431B2 (en) | 2009-03-16 | 2015-03-17 | Apple In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ving a current position in content at a variable scrubbing rate |
JP2010278941A (ja) * | 2009-06-01 | 2010-12-09 | Panasonic Corp | 通信システム |
US8380225B2 (en) | 2009-09-14 | 2013-02-19 | Microsoft Corporation | Content transfer involving a gesture |
KR101648339B1 (ko) * | 2009-09-24 | 2016-08-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용 단말기에서 영상인식 및 센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US20110076951A1 (en) * | 2009-09-30 | 2011-03-31 | Kabushiki Kaisha Toshiba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
DE102010028449A1 (de) * | 2010-04-30 | 2011-11-03 |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 Kraftfahrzeugfreisprecheinrichtung |
JP5823101B2 (ja) * | 2010-06-24 | 2015-11-25 | 株式会社東芝 | 電子機器、ワイヤレスデバイスおよび通信制御方法 |
US8249556B2 (en) * | 2010-07-13 | 2012-08-21 | Google Inc. | Securing a mobile computing device |
KR101684970B1 (ko) * | 2010-08-18 | 2016-12-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KR101711867B1 (ko) * | 2010-12-13 | 2017-03-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
US8645604B2 (en) * | 2011-03-25 | 2014-02-04 | Apple Inc. | Device orientation based docking functions |
KR101782649B1 (ko) * | 2011-04-28 | 2017-09-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단말기에서 외부 악세사리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제공 장치 및 방법 |
US10706096B2 (en) | 2011-08-18 | 2020-07-07 | Apple Inc. | Management of local and remote media items |
US9002322B2 (en) | 2011-09-29 | 2015-04-07 | Apple Inc. | Authentication with secondary approver |
US9654821B2 (en) | 2011-12-30 | 2017-05-16 | Sonos,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networked music playback |
US9380621B2 (en) * | 2012-04-12 | 2016-06-28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Pairing a mobile terminal with a wireless device |
US9674587B2 (en) | 2012-06-26 | 2017-06-06 | Sonos,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networked music playback including remote add to queue |
US20140030982A1 (en) * | 2012-07-11 | 2014-01-30 | Javier Cardona |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ance estimate using signal strength information |
KR101992189B1 (ko) | 2012-09-19 | 2019-06-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WO2014143776A2 (en) | 2013-03-15 | 2014-09-18 | Bodhi Technology Ventures Llc | Providing remote interactions with host device using a wireless device |
US9247363B2 (en) * | 2013-04-16 | 2016-01-26 | Sonos, Inc. | Playback queue transfer in a media playback system |
US9361371B2 (en) | 2013-04-16 | 2016-06-07 | Sonos, Inc. | Playlist update in a media playback system |
US9501533B2 (en) | 2013-04-16 | 2016-11-22 | Sonos, Inc. | Private queue for a media playback system |
KR102124476B1 (ko) * | 2013-06-03 | 2020-06-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US20140357192A1 (en) * | 2013-06-04 | 2014-12-04 | Tal Azogui | Systems and methods for connectionless proximity determination |
US9723381B2 (en) * | 2013-12-23 | 2017-08-01 | Nike, Inc. | Athletic monitoring system having automatic pausing of media content |
CN104954537B (zh) * | 2014-03-24 | 2018-10-12 | 联想(北京)有限公司 | 一种信息处理方法及第一电子设备 |
TWI575990B (zh) * | 2014-03-25 | 2017-03-21 | 國立臺灣大學 | 利用網路拓樸綁定裝置之方法與系統 |
US10866731B2 (en) | 2014-05-30 | 2020-12-15 | Apple Inc. | Continuity of applications across devices |
EP3161581A1 (en) | 2014-06-27 | 2017-05-03 | Apple Inc. | Electronic device with rotatable input mechanism for navigating calendar application |
US10135905B2 (en) * | 2014-07-21 | 2018-11-20 | Apple Inc. | Remote user interface |
WO2016022204A1 (en) | 2014-08-02 | 2016-02-11 | Apple Inc. |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
CN106575332B (zh) * | 2014-08-15 | 2022-03-29 | 苹果公司 | 用于对另一设备进行解锁的经认证的设备 |
US10339293B2 (en) | 2014-08-15 | 2019-07-02 | Apple Inc. | Authenticated device used to unlock another device |
WO2016036603A1 (en) | 2014-09-02 | 2016-03-10 | Apple Inc. | Reduced size configuration interface |
CN115695632B (zh) | 2014-09-02 | 2024-10-01 | 苹果公司 | 电子设备、计算机存储介质和操作电子设备的方法 |
US10235014B2 (en) | 2014-09-02 | 2019-03-19 | Apple Inc. | Music user interface |
US10254911B2 (en) | 2015-03-08 | 2019-04-09 | Apple Inc. | Device configuration user interface |
CN106293051B (zh) * | 2015-08-21 | 2020-01-10 | 北京智谷睿拓技术服务有限公司 | 基于手势的交互方法、交互装置及用户设备 |
KR102520402B1 (ko) * | 2015-10-27 | 2023-04-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
US20170171035A1 (en) * | 2015-12-14 | 2017-06-15 | Hand Held Products, Inc. | Easy wi-fi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
US9811314B2 (en) | 2016-02-22 | 2017-11-07 | Sonos, Inc. | Metadata exchange involving a networked playback system and a networked microphone system |
US9947316B2 (en) | 2016-02-22 | 2018-04-17 | Sonos, Inc. | Voice control of a media playback system |
US10264030B2 (en) | 2016-02-22 | 2019-04-16 | Sonos, Inc. | Networked microphone device control |
US9772817B2 (en) | 2016-02-22 | 2017-09-26 | Sonos, Inc. | Room-corrected voice detection |
US10095470B2 (en) | 2016-02-22 | 2018-10-09 | Sonos, Inc. | Audio response playback |
US9965247B2 (en) | 2016-02-22 | 2018-05-08 | Sonos, Inc. | Voice controlled media playback system based on user profile |
DK179186B1 (en) | 2016-05-19 | 2018-01-15 | Apple Inc | REMOTE AUTHORIZATION TO CONTINUE WITH AN ACTION |
US10198072B2 (en) * | 2016-06-08 | 2019-02-05 | Immersion Corporation | Haptic feedback for opportunistic displays |
US9978390B2 (en) | 2016-06-09 | 2018-05-22 | Sonos, Inc. | Dynamic player selection for audio signal processing |
AU2017100667A4 (en) | 2016-06-11 | 2017-07-06 | Apple Inc. | Activity and workout updates |
DK201670622A1 (en) | 2016-06-12 | 2018-02-12 | Apple Inc | User interfaces for transactions |
US10134399B2 (en) | 2016-07-15 | 2018-11-20 | Sonos, Inc. | Contextualization of voice inputs |
US10152969B2 (en) | 2016-07-15 | 2018-12-11 | Sonos, Inc. | Voice detection by multiple devices |
US10115400B2 (en) | 2016-08-05 | 2018-10-30 | Sonos, Inc. | Multiple voice services |
US9942678B1 (en) | 2016-09-27 | 2018-04-10 | Sonos, Inc. | Audio playback settings for voice interaction |
US9743204B1 (en) | 2016-09-30 | 2017-08-22 | Sonos, Inc. | Multi-orientation playback device microphones |
US10181323B2 (en) | 2016-10-19 | 2019-01-15 | Sonos, Inc. | Arbitration-based voice recognition |
US11183181B2 (en) | 2017-03-27 | 2021-11-23 | Sonos, Inc. | Systems and methods of multiple voice services |
US11431836B2 (en) | 2017-05-02 | 2022-08-30 | Apple Inc. | Methods and interfaces for initiating media playback |
US10992795B2 (en) | 2017-05-16 | 2021-04-27 | Apple Inc. | Methods and interfaces for home media control |
US10928980B2 (en) | 2017-05-12 | 2021-02-23 | Apple Inc. | User interfaces for playing and managing audio items |
CN111343060B (zh) | 2017-05-16 | 2022-02-11 | 苹果公司 | 用于家庭媒体控制的方法和界面 |
US20220279063A1 (en) | 2017-05-16 | 2022-09-01 | Apple Inc. | Methods and interfaces for home media control |
US10475449B2 (en) | 2017-08-07 | 2019-11-12 | Sonos, Inc. | Wake-word detection suppression |
US10048930B1 (en) | 2017-09-08 | 2018-08-14 | Sonos, Inc. | Dynamic computation of system response volume |
US10446165B2 (en) | 2017-09-27 | 2019-10-15 | Sonos, Inc. | Robust short-time fourier transform acoustic echo cancellation during audio playback |
US10621981B2 (en) | 2017-09-28 | 2020-04-14 | Sonos, Inc. | Tone interference cancellation |
US10051366B1 (en) | 2017-09-28 | 2018-08-14 | Sonos, Inc. | Three-dimensional beam forming with a microphone array |
US10482868B2 (en) | 2017-09-28 | 2019-11-19 | Sonos, Inc. | Multi-channel acoustic echo cancellation |
US10466962B2 (en) | 2017-09-29 | 2019-11-05 | Sonos, Inc. | Media playback system with voice assistance |
US10880650B2 (en) | 2017-12-10 | 2020-12-29 | Sonos, Inc. | Network microphone devices with automatic do not disturb actuation capabilities |
US10818290B2 (en) | 2017-12-11 | 2020-10-27 | Sonos, Inc. | Home graph |
US11343614B2 (en) | 2018-01-31 | 2022-05-24 | Sonos, Inc. | Device designation of playback and network microphone device arrangements |
US11175880B2 (en) | 2018-05-10 | 2021-11-16 | Sonos,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voice-assisted media content selection |
US10847178B2 (en) | 2018-05-18 | 2020-11-24 | Sonos, Inc. | Linear filtering for noise-suppressed speech detection |
US10959029B2 (en) | 2018-05-25 | 2021-03-23 | Sonos, Inc. | Determining and adapting to changes in microphone performance of playback devices |
US10887193B2 (en) | 2018-06-03 | 2021-01-05 | Apple Inc. | User interfaces for updating network connection settings of external devices |
US10681460B2 (en) | 2018-06-28 | 2020-06-09 | Sonos,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associating playback devices with voice assistant services |
US11076035B2 (en) | 2018-08-28 | 2021-07-27 | Sonos, Inc. | Do not disturb feature for audio notifications |
US10461710B1 (en) | 2018-08-28 | 2019-10-29 | Sonos, Inc. | Media playback system with maximum volume setting |
US10587430B1 (en) | 2018-09-14 | 2020-03-10 | Sonos, Inc. | Networked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associating playback devices based on sound codes |
US10878811B2 (en) | 2018-09-14 | 2020-12-29 | Sonos, Inc. | Networked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intelligently deactivating wake-word engines |
US11024331B2 (en) | 2018-09-21 | 2021-06-01 | Sonos, Inc. | Voice detection optimization using sound metadata |
US10811015B2 (en) | 2018-09-25 | 2020-10-20 | Sonos, Inc. | Voice detection optimization based on selected voice assistant service |
US11100923B2 (en) | 2018-09-28 | 2021-08-24 | Sonos,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ve wake word detection using neural network models |
US10692518B2 (en) | 2018-09-29 | 2020-06-23 | Sonos, Inc. | Linear filtering for noise-suppressed speech detection via multiple network microphone devices |
US11899519B2 (en) | 2018-10-23 | 2024-02-13 | Sonos, Inc. | Multiple stage network microphone device with reduced power consumption and processing load |
TWI711989B (zh) * | 2018-11-14 | 2020-12-01 | 巨擘科技股份有限公司 | 腕錶及適用於腕錶的提升電子支付安全性的方法 |
EP3654249A1 (en) | 2018-11-15 | 2020-05-20 | Snips | Dilated convolutions and gating for efficient keyword spotting |
US11183183B2 (en) | 2018-12-07 | 2021-11-23 | Sonos, Inc. | Systems and methods of operating media playback systems having multiple voice assistant services |
US11132989B2 (en) | 2018-12-13 | 2021-09-28 | Sonos, Inc. | Networked microphone devices, systems, and methods of localized arbitration |
US10602268B1 (en) | 2018-12-20 | 2020-03-24 | Sonos, Inc. | Optimization of network microphone devices using noise classification |
US11315556B2 (en) | 2019-02-08 | 2022-04-26 | Sonos, Inc. |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ed voice processing by transmitting sound data associated with a wake word to an appropriate device for identification |
US10867604B2 (en) | 2019-02-08 | 2020-12-15 | Sonos, Inc. |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ed voice processing |
US11120794B2 (en) | 2019-05-03 | 2021-09-14 | Sonos, Inc. | Voice assistant persistence across multiple network microphone devices |
JP6921338B2 (ja) | 2019-05-06 | 2021-08-18 |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Apple Inc. | 電子デバイスの制限された動作 |
US10904029B2 (en) | 2019-05-31 | 2021-01-26 | Apple Inc. |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controllable external devices |
EP4231124A1 (en) | 2019-05-31 | 2023-08-23 | Apple Inc. | User interfaces for audio media control |
US10867608B1 (en) | 2019-05-31 | 2020-12-15 | Apple Inc. | Multi-user configuration |
DK201970533A1 (en) | 2019-05-31 | 2021-02-15 | Apple Inc | Methods and user interfaces for sharing audio |
JP2020198522A (ja) * | 2019-05-31 | 2020-12-10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通信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
US10996917B2 (en) | 2019-05-31 | 2021-05-04 | Apple Inc. | User interfaces for audio media control |
US10586540B1 (en) | 2019-06-12 | 2020-03-10 | Sonos, Inc. | Network microphone device with command keyword conditioning |
US11361756B2 (en) | 2019-06-12 | 2022-06-14 | Sonos, Inc. | Conditional wake word eventing based on environment |
US11200894B2 (en) | 2019-06-12 | 2021-12-14 | Sonos, Inc. | Network microphone device with command keyword eventing |
US11138975B2 (en) | 2019-07-31 | 2021-10-05 | Sonos, Inc. | Locally distributed keyword detection |
US10871943B1 (en) | 2019-07-31 | 2020-12-22 | Sonos, Inc. | Noise classification for event detection |
US11138969B2 (en) | 2019-07-31 | 2021-10-05 | Sonos, Inc. | Locally distributed keyword detection |
US11189286B2 (en) | 2019-10-22 | 2021-11-30 | Sonos, Inc. | VAS toggle based on device orientation |
US11200900B2 (en) | 2019-12-20 | 2021-12-14 | Sonos, Inc. | Offline voice control |
US11562740B2 (en) | 2020-01-07 | 2023-01-24 | Sonos, Inc. | Voice verification for media playback |
US11556307B2 (en) | 2020-01-31 | 2023-01-17 | Sonos, Inc. | Local voice data processing |
US11308958B2 (en) | 2020-02-07 | 2022-04-19 | Sonos, Inc. | Localized wakeword verification |
US11513667B2 (en) | 2020-05-11 | 2022-11-29 | Apple Inc. | User interface for audio message |
US11308962B2 (en) | 2020-05-20 | 2022-04-19 | Sonos, Inc. | Input detection windowing |
US11727919B2 (en) | 2020-05-20 | 2023-08-15 | Sonos, Inc. | Memory allocation for keyword spotting engines |
US11482224B2 (en) | 2020-05-20 | 2022-10-25 | Sonos, Inc. | Command keywords with input detection windowing |
US11698771B2 (en) | 2020-08-25 | 2023-07-11 | Sonos, Inc. | Vocal guidance engines for playback devices |
US11392291B2 (en) | 2020-09-25 | 2022-07-19 | Apple Inc. | Methods and interfaces for media control with dynamic feedback |
US11984123B2 (en) | 2020-11-12 | 2024-05-14 | Sonos, Inc. | Network device interaction by range |
US11551700B2 (en) | 2021-01-25 | 2023-01-10 | Sonos,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power-efficient keyword detection |
EP4264460A1 (en) | 2021-01-25 | 2023-10-25 | Apple Inc. | Implementation of biometric authentication |
US11960615B2 (en) | 2021-06-06 | 2024-04-16 | Apple Inc. | Methods and user interfaces for voice-based user profile management |
US11847378B2 (en) | 2021-06-06 | 2023-12-19 | Apple Inc. | User interfaces for audio routing |
CN114866730A (zh) * | 2022-05-16 | 2022-08-05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视频会议的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52621A (ja) * | 2001-11-12 | 2003-05-23 | Seiko Epson Corp | 無線通信装置および電子機器 |
KR100703330B1 (ko) * | 2006-02-08 | 2007-04-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단말기에서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디바이스 검색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102640B1 (en) * | 2002-03-21 | 2006-09-05 | Nokia Corporation | Service/device indication with graphical interface |
US7289813B2 (en) * | 2002-09-12 | 2007-10-30 | Broadcom Corporation | Using signal-generated location information to identify and list available devices |
US8402384B2 (en) * | 2004-11-09 | 2013-03-19 | Research In Motion Limited | Dynamic bar oriented user interface |
JP2008085785A (ja) * | 2006-09-28 | 2008-04-10 | Olympus Corp | モバイル機器システムおよびモバイル機器 |
US20100041334A1 (en) * | 2008-08-13 | 2010-02-18 | Motorola, Inc. | Discovering presence information and displaying a presence map |
-
2009
- 2009-01-12 KR KR1020090002418A patent/KR10146779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9-07-31 US US12/533,152 patent/US8611819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52621A (ja) * | 2001-11-12 | 2003-05-23 | Seiko Epson Corp | 無線通信装置および電子機器 |
KR100703330B1 (ko) * | 2006-02-08 | 2007-04-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단말기에서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디바이스 검색방법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030285A1 (ko) * | 2015-08-19 | 2017-02-23 | 삼성전자 주식회사 | Ui 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
US11503364B2 (en) | 2017-12-12 | 2022-11-1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
US11825153B2 (en) | 2017-12-12 | 2023-11-2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00178873A1 (en) | 2010-07-15 |
KR20100083054A (ko) | 2010-07-21 |
US8611819B2 (en) | 2013-12-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67796B1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101851630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영상 변환 방법 | |
KR101690232B1 (ko) |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 |
KR101952179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 |
KR101521920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음악재생 제어방법 | |
KR101863926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1919787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1495178B1 (ko) |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무선 인터넷 접속 방법 | |
KR101571723B1 (ko) |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101680665B1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1657117B1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1899817B1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US10042596B2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20120079266A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50051767A (ko) |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 |
KR20150127842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 |
KR101467797B1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101448650B1 (ko) |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101604698B1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1727043B1 (ko) | 이동 단말기 및 컨텐츠 편집 방법 | |
KR101929777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1513040B1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101737837B1 (ko) | 이동 단말기 및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방법 | |
KR101596840B1 (ko) |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101537594B1 (ko) |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