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7972B1 -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37972B1 KR101437972B1 KR1020070100022A KR20070100022A KR101437972B1 KR 101437972 B1 KR101437972 B1 KR 101437972B1 KR 1020070100022 A KR1020070100022 A KR 1020070100022A KR 20070100022 A KR20070100022 A KR 20070100022A KR 101437972 B1 KR101437972 B1 KR 1014379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play
- unit
- terminal
- main body
- display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독립적으로 무선 통신 기능을 하도록 무선통신 모듈, 디스플레이부 및 조작부가 구비된 단말기 본체와, 상기 단말기 본체에 접속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단말기 본체의 제어에 의해 시각정보를 출력하는 접속형 디스플레이, 및 상기 단말기 본체와 상기 접속형 디스플레이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의 시각 정보가 동시에 출력시킴으로써 멀티 태스킹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개선시키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 display unit, and an operation unit for independently performing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a connection type display unit connected to the terminal main body and configured to output time inform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terminal main body And a connection unit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terminal main body and the connection type displa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a user interface environment for multitasking by simultaneously outputting a plurality of time informa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독립적으로 무선통신 가능한 단말기 본체에 접속 가능한 접속형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A portable terminal is a portable device that is portable and has one or more functions such as voice and video call function, information input / output function, and data storing function.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고 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As the func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are diversified, for example, the portable terminal has complicated functions such as photographing and photographing of a moving picture, reproduction of music or video file, reception of a game and broadcasting, and is implemented as a multimedia device .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In order to implement complex functions in multimedia devices, various new attempts have been made in terms of hardware or software. For example, a user interface environment is provided for a user to easily and conveniently search for or select a function.
또한, 휴대 단말기는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개인 휴대품으로 여겨지 면서, 다양한 디자인이 요구되고 있다.In addition, a portable terminal is regarded as a personal portable product for expressing its own personality, and various designs are required.
상기와 같이 휴대 단말기의 멀티 미디어 기능의 중요성이 부각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개선시키기 위해 단말기에는 다양한 시각 정보를 동시에 표시하기 위한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mportance of the multimedia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s emphasized, and efforts are made to simultaneously display various time information in the terminal in order to improve the user interface environment.
본 발명은 복수의 시각 정보가 동시에 출력시킬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여 멀티 태스킹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개선시키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improve a user interface environment for multitasking by providing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simultaneously outputting a plurality of pieces of visual information.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독립적으로 무선 통신 기능을 하도록 무선통신 모듈, 디스플레이부 및 조작부가 구비된 단말기 본체와, 상기 단말기 본체에 접속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단말기 본체의 제어에 의해 시각정보를 출력하는 접속형 디스플레이, 및 상기 단말기 본체와 상기 접속형 디스플레이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rminal body includ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 display unit, and an operation unit to independently perform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A connection type display for outputting time inform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body, and a connection portion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terminal main body and the connection type display.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 입력을 위한 터치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may further include a touch sensing unit for touch input.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접속형 디스플레이는 터치 입력를 위한 터치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접속형 디스플레이는 서로 연동하여 터치 입력을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ed display may further include a touch sensing unit for touch input, and the display unit and the connected display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the touch input interlocked with each other.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접속형 디스플레이는 이-페이퍼(E-paper)를 포함할 수 있다.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ed display may include E-paper.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단말기 본체와 상기 접속형 디스플레이 사이를 무선적으로 연결시키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적외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unit may include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r an infrared communication module that wirelessly connects the terminal body and the connected-type display.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접속형 디스플레이를 상기 단말기 본체의 일측에 결합시키는 플러그 인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portion may include a plug-in connector for coupling the connected display to one side of the terminal main body.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디스플레부에서는 제1모드에서의 시각 정보가 출력되고, 상기 접속형 디스플레이에서는 상기 제1모드와 다른 제2모드에서의 시각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ime information in the first mode is output in the display unit, and the time information in the second mode, which is different from the first mode, can be output on the connected-type display.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접속형 디스플레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시각정보에 대한 상세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information on the tim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may be output to the connected display.
본 발명은 독립적으로 무선 통신 가능한 단말기 본체에 접속가능한 접속형 디스플레이를 구비함으로써, 단말기 본체와 접속형 디스플레이를 통해 동시에 복수의 시각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display a plurality of pieces of time information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terminal main body and the connected type display by having the connection type display connectable to the main body of the terminal independently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또한, 본 발명은 단말기 본체와 접속형 디스플레이를 근거리 통신모듈을 통해 연결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용 공간의 제약없이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사용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use a plurality of displays without restriction of a use space by connecting the main body of the terminal and the connected display through a local communication module.
또한, 본 발명은 단말기 본체의 디스플레이부와 접속형 디스플레이에 터치 스크린 기능을 구현하고, 상호 연동하여 터치 입력을 받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개선시킨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alizes a touch screen function on the display unit of the main body of the terminal and the connected display, and receives the touch input in cooperation with each other, thereby improving the user interface environment.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ortab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1. Referring to FIG.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독립적으로 무선 통신 기능이 가능한 단말기 본체(100)와, 단말기 본체(100)에 접속 가능하게 형성되는 접속형 디스플레이(200)를 포함한다.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단말기 본체(10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에 의해 형성된다.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A casing (a casing, a housing, a cover, etc.) constituting an outer appearance of the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cases may be formed by injection molding a synthetic resin, or may be formed to have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STS) or titanium (Ti) or the like.
제1바디(11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11)에는 제1디스플레이부(113), 제1음향출력부(114), 제1영상입력부(115), 및 제1 조작부(116) 등이 배치될 수 있다.The
제1디스플레이부(113)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등을 포함한다. The
그리고 제1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The
제1음향출력부(114)는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first
제1영상입력부(115)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 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first
제1조작부(116)는 본 발명의 일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는다.The
프론트 케이스(111) 또는 리어 케이스(11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2조작부(117), 음향 입력부(118), 인터페이스(119)가 배치될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상기 제1 및 제2조작부(116,117)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operating
예를 들어, 조작부(116,117)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조작부는 제1 영상 입력부(115)의 활성화 등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음향 입력부(118)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인터페이스(119)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119)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The
인터페이스(119)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The
리어 케이스(112) 측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20)가 장착된다. 상기 전원공급부(12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A
도 2를 참조하면, 리어 케이스(112)의 후면에는 제2영상입력부(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영상입력부(121)는 제1영상입력부(115, 도 1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영상입력부(115)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a second
예를 들어, 제1영상입력부(115)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영상입력부(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the first
제2영상입력부(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2)와 거울부(123)가 추가로 배치된다. 상기 플래쉬(122)는 제2영상입력부(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부(123)는 사용자가 제2영상입력부(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A
리어 케이스(112)에는 제2음향출력부(124)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And the second
제2음향출력부(124)는 제1음향출력부(114, 도 1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The second
또한, 리어 케이스(112)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2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125)는 제1바디(110)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on one side of the
접속형 디스플레이(200)는 단말기 본체(100)의 제어에 의해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며, 그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211)와 리어 케이스(212)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The
프론트 케이스(211)의 전면에는 시각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제2디스플레이부(213)가 배치된다.On the front surface of the
프론트 케이스(211) 또는 리어 케이스(21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포트(214), 및 단말기 본체(100) 등의 외부 기기와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외부 인터페이스(215) 등이 배치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도 3a와 도 3b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단말기 본체(100)와 접속형 디스플레이(200)의 분해 사시도이다.Figs. 3A and 3B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the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본체(100)의 프론트 케이스(111)과 리어 케이스(112)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인쇄회로기판(PCB, 126)이 장착되며, 인쇄회로기판(126)에는 단말기의 각종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부품들이 장착된다.3A, a printed circuit board (PCB) 126 is mounted in a space formed between the
제1디스플레이부(113)은 단말기 내부에 배치되는 제1디스플레이 모듈(127)과 그 전면에 배치되는 윈도우(129)를 포함하며, 제1디스플레이 모듈(127)은 인쇄회로 기판(126)의 일면에 장착된다. 윈도우(129)는 프론트 케이스(111)에 설치되며, 제1디스플레이 모듈(127)에서 출력되는 시각 정보를 표시하도록 투광성 재질을 가진다. The
인쇄회로기판(126)에는 제1조작부(116)의 조작에 의해 누름 동작되어 단말기에 정보를 입력하는 스위치(128)들이 장착될 수 있다.The printed
제1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스크린 기능이 구현될 수 있도록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감지부는 윈도우(129)에 배치되는 전극층(130)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전극층(130)과 인쇄회로기판(126)은 연성회로기판(FPCB, 131)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형 디스플레이(200)의 프론트 케이스(211)와 리어 케이스(212)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인쇄회로기판(216)이 장착되며, 인쇄회로기판(216)에는 접속형 디스플레이(2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전자부품들이 장착된다.3B, a printed
제2디스플레이부(213)은 제2디스플레이 모듈(217)과 윈도우(218)을 포함할 수 있다.The
제2디스플레이 모듈(217)은 인쇄회로기판(216)에 장착되어 단말기 본체(100)의 제어에 의해 시각 정보를 출력하며, 제2디스플레이 모듈(217)의 전면에는 윈도우(218)가 배치된다.The
제2디스플레이 모듈(217)은 LCD, OLED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접속형 디스플레이(200)의 두께를 보다 슬림하게 하기 위하여 이-페이퍼(E-paper)가 사용될 수 있다.The
이-페이퍼(E-paper)는 기존 평판 디스플레이 페널(예를 들면 LCD)에 비하여 훨씬 얇고 구부릴 수 있으며, 아주 적은 에너지로도 구동될 수 있어서 에너지 효율이 월등한 장점들이 있다.E-paper is much thinner and bendable than conventional flat panel displays (LCDs for example), and can be driven with very little energy, which is advantageous in energy efficiency.
이-페이퍼(E-paper)는 전기 영동 현상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고, 예를 들면 특정 전하를 가진 특정 색의 잉크 미립자와 반대 전하를 가진 다른 색의 잉크 미립자를 함유한 투명한 마이크로 캡슐을 상하부 투명전극에 위치시키고 전압을 인가하면 문자나 이미지가 표시되는 방식으로 구현된다.E-paper can be implemented using electrophoresis, and transparent microcapsules containing ink fine particles of different colors having opposite charges to specific color ink having a specific charge, for example, When a transparent electrode is placed and a voltage is applied, characters or images are displayed.
제2디스플레이부(213) 또한 터치 스크린 기능을 구현하도록 터치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터치 감지부는 윈도우(218)에 터치 감지를 위해 배치되는 전극층(219)을 포함할 수 있다.The
단말기 본체(100)와 접속형 디스플레이(200)는 서로 정보의 전송이 가능하도록 연결부를 구비하며, 연결의 방식은 유무선 방식 모두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단말기 본체와 접속형 디스플레이에는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이 장착될 수 있고, 이는 양자를 근거리에서 무선적으로 연결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지그비(Zigbee) 등의 방식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The
그 밖에 단말기 본체(100)와 접속형 디스플레이(200)는 플러그인 커넥터, 케이블 등에 의한 유선 연결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 말기 본체(100)와 접속형 디스플레이(200)의 정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단말기 본체(100)와 접속형 디스플레이(200)가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나타내고, 도 6은 양자가 플러그인 커넥터에 의해 서로 연결된 것을 나타낸다.4 to 6 are front views of a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디스플레이부(113)에서는 제1모드에서의 시각 정보가 출력되고, 제2디스플레이부(213)에서는 제1모드와 다른 제2모드에서의 시각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4, time information in the first mode is output from the
본 실시예에서는 제1모드의 일예로서 문자 메세지 입력 모드를, 제2모드의 일예로서 DMB 모드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 text message input mod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the first mode and a DMB mod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the second mode.
문자 메세지 입력 모드가 활성화된 경우, 제1디스플레부(113)에는 문자 정보의 입력을 위한 문자, 심볼(132) 등이 표시되며, 사용자가 이들을 터치함에 따라 입력창(133)에 입력된 내용이 표시된다.When the character message input mode is activated, characters,
제2디스플레이부(213)에는 DMB 모드에서의 방송 화면이 출력될 수 있으며, 방송 채널의 변경, 다른 모드로의 변경 등은 사용자가 단말기 본체(100)를 조작함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A broadcast screen in the DMB mode may be output to the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사용자는 시각 정보가 출력되는 2개의 모드를 제1디스플레이부(113)와 제2디스플레이부(213)를 통해 동시에 동작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DMB 방송 시청 중 문자 메세지의 입력을 위해 DMB 모드를 해제하고 문자 메세지 입력 모드를 활성화시킬 필요 없이 두 가지 모드를 동시에 동작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user can simultaneously operate the two modes in which the time information is outputted through th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형 디스플레이(200에는 제1디스플레이부(113) 에 표시된 시각정보에 대한 상세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detailed information on the tim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예를 들어, 단말기 본체(100)에서 MP3 모드가 활성화되는 경우 제1디스플레이부(113)에는 단말기 본체(100)에 저장된 곡들의 제목이나 명칭(134)이 리스트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그 중 하나를 터치하는 경우, 제2디스플레이부(213)에는 이에 대한 상세정보(234a, 예를 들면, 제목, 가수, 앨범 등)이 표시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MP3 mode is activated in the terminal
제2디스플레이부(213)가 터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제2디스플레이부(213)에는 곡의 재생이나 정지 등에 필요한 버튼 형태의 아이콘(234b)들이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는 이들을 터치함으로써 곡의 재생을 제어할 수 있다. When the
이와 같이, 제2디스플레이부(213)에 제1디스플레이(113)에 표시된 시각정보의 상세 정보를 표시함에 따라 제1디스플레이(113)의 화면이 다른 화면으로 전환되는 횟수를 줄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개선시킨다.As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tim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본체(100)와 접속형 디스플레이(200)는 플러그인 커넥터(134)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서로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1디스플레이부(113)와 제2디스플레이부(213)가 각각 터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제1 및 제2디스플레이부(113,213)는 서로 연동하여 터치를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the
예를 들면, 특정 모드에서의 입력을 위한 메뉴나, 아이콘, 윈도우(예를 들면, 문자 메세지 입력을 위한 문자와 입력창들이 표시되는 윈도우,135)들을 드래그하여 제1디스플레이부(113)에서 제2디스플레이부(213)로 이동시킬 수 있다.For example, a menu for input in a specific mode, an icon, a window (e.g., a window for displaying characters and input windows for inputting text messages, 135) are dragged and displayed on the
또한, 제1디스플레이부(113)와 제2디스플레이부(213)를 하나의 통합된 화면으로 설정하여 보다 넓은 화면이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113,213)에 2개 이상의 모드를 위한 작업창을 표시하여 보다 효율적인 멀티 태스킹 환경을 구현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그 밖에, 단말기 본체(100)에 저장된 파일을 제1디스플레이부(113)에서 드래그하여 제2디스플레이부(213)에 드롭함으로써 해당 파일을 접속형 디스플레이(200)에 복사하거나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접속형 디스플레이(200)는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 뿐만 아니라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매체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접속형 디스플레이(200)에는 메모리가 장착된다.In addition, the file stored in the terminal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접속형 디스플레이(200)는 단말기 본체(1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접속형 디스플레이(200)를 보다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다.The
본 실시예에서의 접속형 디스플레이(200)는 단말기 본체(100)의 전면, 즉 프론트 케이스(111)에 결합되나, 단말기의 디자인에 따라 후면이나 측면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단말기 본체(100)와 접속형 디스플레이(200)는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결합 수단을 구비하며, 결합수단은 접속형 디스플레이(200)에 배치되는 제1부재와 단말기 본체(100)에 배치되어 제1부재와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부재를 포함한다.The
본 실시예에서는 제1부재의 일예로서 마그넷(235)이 사용되었고, 제2부재로서의 일예로서 마그넷(235)과 착탈 가능한 자성체가 사용된다. 접속형 디스플레이(200)의 리어 케이스(212)에는 마그넷(235)이 부착될 수 있고, 프론트 케이스(111)에는 자성체(135)가 배치될 수 있다. 단말기 본체(100)의 전면에는 접속형 디스플레이(200)의 부착을 가이드하기 위해 프론트 케이스(111)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 리브(136)가 형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단말기 본체(100)가 통화 대기 상태인 경우에 접속형 디스플레이(200)는 단말기 본체(100)에 부착될 수 있으며, 단말기 본체(100)와 접속형 디스플레이(200)는 접속 단자 등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통화 콜이 있는 경우에 제2디스플레이부(213)에는 통화 콜을 안내하는 메세지나 아이콘, 상대방의 전화 번호 등이 표시될 수 있고, 휴대 단말기는 접속형 디스플레이(200)가 단말기 본체(100)에 부착된 상태에서도 통화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접속형 디스플레이(200)에는 음향 출력부(221)가 구비될 수 있다.When there is a call, the
도 8은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8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본 발명의 일예는 무선통신 모듈(141), 조작부(116,117), 영상 입력부(115,121), 음향입력부(1185), 제1디스플레이부(113), 제2디스플레이부(213)를 포함하는 접속형 디스플레이(200), 음향 출력부(114,124), 센싱유닛(146), 인터페이스(119), 방송 수신 모듈(145), 메모리(144), 전원공급부(120), 제어부(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nection including a
제어부(140)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The
또한, 제어부(140)는 통상적인 기능 제어 이외에 추가적으로 본 발명과 관련된 접속형 디스플레이(2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40)는 접속형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되는 시각정보에 관련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한다.In addition to the normal function control, the
무선 통신 모듈(141)은 안테나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142)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143)을 포함한다.The
단말기 본체(100)와 접속형 디스플레이(200)가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제어부(140)에 인가된 신호가 단말기 본체의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로 인가되고, 이는 접속형 디스플레이에 장착된 근거리 통신모듈로 전송되어 제2디스플레이부(213)에 표시된다.When the
조작부(116,117)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140)에 제공한다.The
영상 입력부(115,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제1 및 제2디스플레이부(113,213)에 표시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되어 제1및 제2디스플레이부(113,213)로 출력된다.The
영상 입력부(115,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44)에 저장되거나 무선 송수신부(141)를 통하여 접속형 디스플레이(200) 또는 외부로 전송된다.The image frames processed by the
음향 입력부(118)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무선 통신 모듈(141)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무선 통신 모듈로 출력된다. 녹음 모드인 경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메모리(144)에 저장되도록 출력된다. The
음향 입력부(118)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제1 및 제2디스플레이부(113,213)는 휴대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 출력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촬영된 영상 또는 UI,GUI를 표시 출력한다. 제1 및 제2디스플레이부(113,213)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된다.The first and
음향 출력부(114,124)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무선 통신 모듈(141)로부 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144)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The
또한, 음향 출력부(114,124)는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14,124)는 스피커(speaker), 리시버(Receiver), 버저(Buzzer) 등으로 포함한다.Also, the
센싱 유닛(146)은 휴대 단말기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하여 제어부(140)로 센싱 결과를 출력하여 단말기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한다. 또한 전원 공급부(12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 페이스(119)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The
인터페이스(119)는 휴대 단말기 이외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을 휴대 단말기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119)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인터페이스(119)를 통해 단말기 본체(100)와 접속형 디스플레이(200)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메모리(144)는 제어부(14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The
이러한 메모리(144)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하드 디스크,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플래시 메모리, 램, 롬 등의 개념을 포함한다.
방송 수신 모듈(145)은 위성 또는 지상파 등을 통하여 전송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 출력부(114.124), 제1 및 제2디스플레이부(113,213)에 출력 가능한 방송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제어부(140)에 출력한다. 또한 방송 수신 모듈(145)은 방송과 관련된 부가 데이터(예를 들면, EPG(Electric Program Guide), 채널 리스트 등)를 수신한다. 방송 수신 모듈(145)에서 변환된 방송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는 메모리(144)에 저장될 수도 있다.The
전원 공급부(12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상기와 같이 설명된 휴대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above-described portable terminal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are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It is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단말기 본체의 분해 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erminal main body shown in Figs. 1 and 2; Fig.
도 3b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접속형 디스플레이의 분해 사시도.FIG. 3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ed display shown in FIGS. 1 and 2. FIG.
도 4 내지 도 6은 도 1 및 도2의 휴대 단말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말기 본체와 접속형 디스플레이의 정면도.FIGS. 4 to 6 are front views of a terminal body and a connected display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S. 1 and 2. FIG.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8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00022A KR101437972B1 (en) | 2007-10-04 | 2007-10-04 | Portable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00022A KR101437972B1 (en) | 2007-10-04 | 2007-10-04 | Portable termina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34659A KR20090034659A (en) | 2009-04-08 |
KR101437972B1 true KR101437972B1 (en) | 2014-09-05 |
Family
ID=40760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00022A KR101437972B1 (en) | 2007-10-04 | 2007-10-04 | Portable termin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37972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46353B1 (en) * | 2013-05-21 | 2019-12-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Case for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
WO2020226229A1 (en) * | 2019-05-08 | 2020-11-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mobile terminal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15503A (en) * | 2001-08-16 | 2003-02-25 | 삼성전자주식회사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put apparatus |
JP2005229349A (en) * | 2004-02-13 | 2005-08-25 | Hitachi Electronics Service Co Ltd | Cellular phone having detachable display unit |
KR20070017052A (en) * | 2005-08-05 | 2007-02-08 |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 Information input display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
-
2007
- 2007-10-04 KR KR1020070100022A patent/KR101437972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15503A (en) * | 2001-08-16 | 2003-02-25 | 삼성전자주식회사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put apparatus |
JP2005229349A (en) * | 2004-02-13 | 2005-08-25 | Hitachi Electronics Service Co Ltd | Cellular phone having detachable display unit |
KR20070017052A (en) * | 2005-08-05 | 2007-02-08 |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 Information input display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34659A (en) | 2009-04-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27264B1 (en) | Portable terminal | |
KR101495173B1 (en) |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 |
KR101613953B1 (en) | Portable terminal | |
KR101427267B1 (en) | Portable terminal having external module and displaying method of charging thereof | |
KR101437991B1 (en) | Portable terminal | |
KR20140051720A (en) | Mobile terminal and a cover of the mobile terminal | |
KR101529917B1 (en) | Portable terminal | |
KR101437972B1 (en) | Portable terminal | |
KR101578799B1 (en) | Casing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 |
KR101918989B1 (en) | Mobile terminal | |
KR101441922B1 (en) | Touch-sensor assembly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 |
KR101512042B1 (en) | Mobile terminal | |
KR101474446B1 (en) | Portable terminal and battery used for the same | |
KR101604749B1 (en) | Portable termina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ortable terminal case | |
KR101604801B1 (en) | Portable terminal | |
KR101502008B1 (en) | Portable terminal | |
KR101463816B1 (en) | Battery pack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 |
KR101409872B1 (en) | Portable terminal | |
KR101622684B1 (en) | Portable terminal | |
KR101398137B1 (en) | Portable terminal | |
KR20100088983A (en) | Portable terminal | |
KR101495180B1 (en) | Display assembly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 |
KR20090076109A (en) | Portable terminal | |
KR101421162B1 (en) | Folder type mobile terminal | |
KR101432588B1 (en) | Portable termin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