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34358B1 - 백색 유기발광소자 - Google Patents

백색 유기발광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4358B1
KR101434358B1 KR1020070074123A KR20070074123A KR101434358B1 KR 101434358 B1 KR101434358 B1 KR 101434358B1 KR 1020070074123 A KR1020070074123 A KR 1020070074123A KR 20070074123 A KR20070074123 A KR 20070074123A KR 101434358 B1 KR101434358 B1 KR 101434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ight emitting
emitting layer
buffer layer
g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4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0761A (ko
Inventor
송정배
김상열
김무겸
이성훈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4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4358B1/ko
Priority to US12/076,111 priority patent/US7906900B2/en
Publication of KR20090010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07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4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4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10K50/125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14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or by the simultaneous addition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in or onto the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20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the material in which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is embedd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1/00Properties of the organic materials covered by group H10K85/00
    • H10K2101/10Triplet emiss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1/00Properties of the organic materials covered by group H10K85/00
    • H10K2101/30Highest occupied molecular orbital [HOMO], lowest unoccupied molecular orbital [LUMO] or Fermi energy valu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8Carrier block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8Carrier blocking layers
    • H10K50/181Electron block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10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 H10K85/111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comprising aromatic, heteroaromatic, or aryl chains, e.g. polyaniline, polyphenylene or polyphenylene vinylene
    • H10K85/113Hetero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sulfur or selene, e.g. polythiophene
    • H10K85/1135Polyethylene dioxythiophene [PEDOT]; Derivatives thereof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30Coordination compounds
    • H10K85/381Metal complexes comprising a group IIB metal element, e.g. comprising cadmium, mercury or zin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백색 유기발광소자가 개시된다. 개시된 백색 유기발광소자는,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는 애노드전극 및 캐소드전극; 애노드전극과 캐소드전극 사이에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청색, 녹색 및 적색 발광층; 청색 발광층과 녹색 발광층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HOMO-LUMO 에너지 갭(energy gap)이 인접한 발광층들보다 크거나 같은 제1 버퍼층; 및 녹색 발광층과 적색 발광층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적색 발광층 보다 큰 LUMO 에너지 준위(energy level)를 가지는 제2 버퍼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백색 유기발광소자{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본 발명은 유기발광소자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색재현성 및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백색 유기발광소자에 관한 것이다.
유기발광소자(OLE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는 유기 발광층에 전류 또는 전압을 인가하면 유기 발광층 내에서 전자와 정공이 결합함으로써 빛이 발생되는 현상을 이용한 발광소자이다. 이러한 유기발광소자는 보다 나은 발광특성을 얻기 위하여 애노드전극과 유기 발광층 사이에 정공주입층(HIL; Hole Injection Layer) 및 정공수송층(HTL; Hole Tranporting Layer)이 형성되고, 캐소드전극과 유기 발광층 사이에는 전자주입층(EIL; Electron Injection Layer) 및 전자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ing Layer)이 형성되는 다층막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유기발광소자는 구동전압이 대략 5V 정도로 저전압 구동이 가능하고, 고휘도의 면 발광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응답속도가 매우 빠르며, 얇은 두께로 제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외에도 색 재현성이 우수하고, 넓은 시야각을 가지며, 또한 형광물질의 적절한 선택에 의해 발광색상을 용이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유기발광소자는 풀 컬러(full color) 표시장치, 액정 디스플레 이(LCD)용 백라이트 유닛, 정보 표시기기, 차량 표시기기, 조명 기기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백색 유기발광소자는 백색광을 방출하는 유기발광소자로서, 그 내부에 소정 색상의 발광층들이 적층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백색 유기발광소자는 박형 광원(paper-thin light source), 액정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 유닛, 컬러 필터를 채용한 풀 컬러 표시장치 등과 같은 분야에 특히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백색 유기발광소자에서는 발광층들로부터 여러 가지 색상의 빛이 동시에 발광되기 때문에 색도(chromaticity) 조절에 어려움이 있다. 구체적으로, 백색 유기발광소자에서는 발광층들에 주입되는 전하의 양, 발광층들 내에서의 전하 이동도(charge mobility), 발광층들 사이의 에너지 준위(energy level)가 서로 다르게 때문에 색도를 조절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색도 조절을 용이하게 하여 색재현성을 향상시키고, 발광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백색 유기발광소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백색 유기발광소자는,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는 애노드전극 및 캐소드전극;
상기 애노드전극과 캐소드전극 사이에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청색, 녹색 및 적색 발광층;
상기 청색 발광층과 녹색 발광층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HOMO-LUMO 에너지 갭(energy gap)이 인접한 발광층들보다 크거나 같은 제1 버퍼층; 및
상기 녹색 발광층과 적색 발광층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적색 발광층 보다 큰 LUMO 에너지 준위(energy level)를 가지는 제2 버퍼층;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버퍼층은 정공 및 전자를 모두 전달할 수 있는 양극성(ambipolarity)을 가지며, 정공 전달속도보다 큰 전자 전달속도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제2 버퍼층은 정공 전달특성을 가지며, 상기 적색 발광층으로부터 주입되는 전자의 양을 제한하는 전자 저지특성을 가진다.
상기 제1 및 제2 버퍼층의 두께는 1 ~ 4nm가 될 수 있다.
상기 제1 버퍼층은 상기 청색 발광층에 사용되는 호스트 물질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애노드전극과 청색 발광층 사이에는 정공수송층(HTL; Hole Tranporting Layer)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버퍼층은 상기 정공수송층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정공수송층은 TPD(N,N'-diphenyl-N,N'-bis(3-methylphenyl)-1,1'-bi-phenyl-4,4'-diamine) 또는 NPB(N,N'-di(naphthalen-1-yl)-N,N'-diphenyl-benzidine)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애노드전극과 정공수송층 사이에는 정공주입층(HIL; Hole Injection Layer)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공주입층은 MTDATA(4,4',4"-tris(3- methylphenylphenylamino)triphenylamine), CuPc(copper phthalocyanine) 또는 PEDOT/PSS(poly(3,4-ethylenedioxythiphene, polystyrene sulfonate)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청색 발광층 및 녹색 발광층 각각은 각각의 형광 호스트 물질에 청색 및 적색 도펀트를 각각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형광 호스트 물질은 안트라센(anthracene) 유도체, 파이렌(pyrene) 유도체 및 페릴렌(perylene) 유도체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적색 발광층은 인광 호스트 물질에 적색 도펀트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광 호스트 물질은 카바졸계 화합물 또는 금속 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카바졸계 화합물은 CBP(4,4-N,N'-dicarbazole-biphenyl), CBP 유도체, mCP(N,N'-dicarbazolyl-3,5-benzene) 또는 mCP 유도체가 될 수 있으며, 상기 금속 착물은 ZnPBO(phenyloxazole) 금속 착물 또는 ZnPBT(phenylthiazole) 금속 착물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적색 도펀트는 이리듐(Ir) 또는 백금(Pt)의 금속 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적색 발광층과 캐소드전극 사이에는 전자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ing Layer)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자수송층은 옥사디아졸(oxadiazole), 트리아졸(triazole), 페난쓰롤린(phenanthroline), 벤족사졸(benzoxazole) 및 벤즈티아졸(benzthiazole) 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자수송층과 캐소드전극 사이에는 전자주입층(EIL; Electron Injection Layer)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자주입층은 LIF 또는 LiQ(lithium quinolate)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애노드전극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SnO2 또는 ZnO 등과 같은 투명한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소드전극은 알루미늄(Al), 은(Ag), 마그네슘(Mg), 리튬(Li) 및 칼슘(Ca)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백색 유기발광소자에서는 청색 발광층과 녹색 발광층 사이에 청색 발광 비율은 증대시키고 녹색 및 적색 발광 비율은 감소시키는 제1 버퍼층을 형성하고, 녹색 발광층과 적색 발광층 사이에 적색 발광 비율은 증대시키고 청색 및 녹색 발광 비율은 감소시키는 제2 버퍼층을 형성함으로서 목표로 하는 청색, 녹색 및 적색의 발광 비율을 얻을 수 있어 원하는 색좌표를 만족시킬 수 있으며, 또한 발광 효율의 저하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색도 조절이 용이하여 색재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고효율의 백색광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도면 상에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나 두께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하여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색 유기발광소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 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각 물질층들의 에너지 준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색 유기발광소자는 필수 구성요소로서,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는 애노드전극(120) 및 캐소드전극(140), 상기 애노드전극(120)과 캐소드전극(140) 사이에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청색, 녹색 및 적색 발광층(130B,130G,130R), 그리고, 상기 청색 발광층(130B)과 녹색 발광층(130G) 사이에 형성되는 제1 버퍼층(151) 및 상기 녹색 발광층(130G)과 적색 발광층(130R) 사이에 형성되는 제2 버퍼층(152)을 구비한다.
상기 애노드전극(120)은 기판(110) 상에 투명한 도전성 물질을 증착한 다음, 이를 패터닝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110)으로는 유리 기판 또는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애노드전극(120)은 전도성 및 일함수(work function)가 높은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애노드전극(120)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SnO2 또는 ZnO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애노드전극(120) 상에는 정공의 주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정공주입층(HIL; Hole Injection Layer,1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공주입층(122)은 예를 들면, MTDATA(4,4',4"-tris(3-methylphenylphenylamino)triphenylamine), CuPc(copper phthalocyanine) 또는 PEDOT/PSS(poly(3,4-ethylenedioxythiphene, polystyrene sulfonat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 다. 그리고, 상기 정공주입층(122) 상에는 정공의 수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정공수송층(HTL; Hole Tranporting Layer,12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공수송층(124)은 예를 들면, TPD(N,N'-diphenyl-N,N'-bis(3-methylphenyl)-1,1'-bi-phenyl-4,4'-diamine) 또는 NPB(N,N'-di(naphthalen-1-yl)-N,N'-diphenyl-benzidin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정공수송층(124) 상에는 청색 발광층(130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청색 발광층(130B)은 호스트 물질에 청색 도펀트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청색 발광층(130B)에 사용되는 호스트 물질은 예를 들면, 안트라센(anthracene) 유도체, 파이렌(pyrene) 유도체 및 페릴렌(perylene) 유도체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형광 호스트 물질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청색 발광층(130B) 상에는 제1 버퍼층(15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버퍼층(151)은 청색 발광층(130B)과 녹색 발광층(130G) 사이에 형성되어 청색 발광 비율은 증대시키고, 녹색 및 적색 발광 비율은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버퍼층(151)은 정공 및 전자를 모두 전달할 수 있는 양극성(ambipolarity)을 가지면서 전자 전달속도가 정공 전달속도보다 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버퍼층(15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HOMO(Highest Occupied Molecular Orbital)-LUMO(Lowest Unoccupied Molecular Orbital) 에너지 갭(energy gap)이 인접한 발광층들, 즉 청색 발광층(130B)과 녹색 발광층(130G)보다 큰 물질로 이루어짐으로써 발광 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버퍼층(151)은 상기 청색 발광층(130B)에 사용된 호스트 물질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제1 버퍼층(151)은 1 ~ 4nm 정도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청색 발광층(130B)과 녹색 발광층(130G) 사이에 상기 제1 버퍼층(151)을 형성하게 되면, 전자전달특성은 유지하면서 애노드전극(120)에서 캐소드전극(140) 쪽으로 이동하는 정공의 양을 감소시킴으로써 청색 발광 비율은 증대시키고 녹색 및 적색 발광 비율은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버퍼층(151) 상에는 녹색 발광층(130G)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녹색 발광층(130G)은 호스트 물질에 녹색 도펀트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녹색 발광층(130G)에 사용되는 호스트 물질은 청색 발광층(130B)에 사용되는 호스트 물질과 동일한 물질, 예를 들면, 안트라센(anthracene) 유도체, 파이렌(pyrene) 유도체 및 페릴렌(perylene) 유도체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형광 호스트 물질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녹색 발광층(130G) 상에는 제2 버퍼층(15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버퍼층(152)은 녹색 발광층(130G)과 적색 발광층(130R) 사이에 형성되어 적색 발광 비율은 증대시키고, 청색 및 녹색 발광 비율은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2 버퍼층(152)은 정공 전달 특성을 가지면서 적색 발광층(130R)으로부터 주입되는 전자의 양을 제한하는 전자 저지특성을 가지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버퍼층(15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색 발광층(130R)보다 LUMO 에너지 준위가 높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버퍼층(152)은 상기 정공수송층(124)을 이루는 물질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버퍼층(152)은 TPD(N,N'-diphenyl-N,N'-bis(3-methylphenyl)-1,1'-bi-phenyl-4,4'-diamine) 또는 NPB(N,N'-di(naphthalen-1-yl)-N,N'-diphenyl-benzidin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제2 버퍼층(152)은 1 ~ 4nm 정도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버퍼층(152) 상에는 적색 발광층(130R)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적색 발광층(130R)은 호스트 물질에 적색 도펀트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색 발광층(130R)에 사용되는 호스트 물질은 카바졸계 화합물 또는 금속 착물으로 이루어진 인광 호스트 물질이 될 수 있다. 상기 카바졸계 화합물은 CBP(4,4-N,N'-dicarbazole-biphenyl), CBP 유도체, mCP(N,N'-dicarbazolyl-3,5-benzene) 또는 mCP 유도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금속 착물은 ZnPBO(phenyloxazole) 금속 착물 또는 ZnPBT(phenylthiazole) 금속 착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적색 도펀트는 이리듐(Ir) 또는 백금(Pt)의 금속 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적색 발광층(130R) 상에는 전자의 수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전자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ing Layer,14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자수송층(144)은 예를 들면, 옥사디아졸(oxadiazole), 트리아졸(triazole), 페난쓰롤린(phenanthroline), 벤족사졸(benzoxazole) 및 벤즈티아졸(benzthiazole) 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 니다. 그리고, 상기 전자수송층(144) 상에는 전자의 주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전자주입층(EIL; Electron Injection Layer,142)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자주입층(142)은 예를 들면, LIF 또는 LiQ(lithium quinolat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전자주입층(142) 상에는 캐소드전극(14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소드전극(140)은 낮은 일함수를 가지는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캐소드전극(140)은 알루미늄(Al), 은(Ag), 마그네슘(Mg), 리튬(Li) 또는 칼슘(Ca) 등과 같은 금속,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소자에서는 청색 발광층(130B)과 녹색 발광층(130G) 사이에 청색 발광 비율은 증대시키고 녹색 및 적색 발광 비율은 감소시키는 제1 버퍼층(151)을 형성하고, 녹색 발광층(130G)과 적색 발광층(130R) 사이에 적색 발광 비율은 증대시키고 청색 및 녹색 발광 비율은 감소시키는 제2 버퍼층(152)을 형성함으로서 목표로 하는 청색, 녹색 및 적색의 발광 비율을 얻을 수 있어 원하는 색좌표를 만족시킬 수 있으며, 또한 발광 효율의 저하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색도 조절이 용이하여 색재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고효율의 백색광을 구현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서 청색 발광층(130B)과 녹색 발광층(103G) 사이에만 전술한 제1 버퍼층(151)이 형성된 백색 유기발광소자의 발광 스펙트럼 변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에는 제1 버퍼층(151)의 두께가 각각 0nm, 2nm, 3nm 인 경우의 발광 스펙트럼의 변화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버퍼층(151)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녹색 및 적색 발광 비율을 감소하고, 청색 발광 비율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4는 도 1에서 녹색 발광층(130G)과 적색 발광층(130R) 사이에만 전술한 제2 버퍼층(152)이 형성된 백색 유기발광소자의 발광 스펙트럼 변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에는 제2 버퍼층(152)의 두께가 각각 0nm, 1nm, 2nm, 3nm, 4nm 인 경우의 발광 스펙트럼의 변화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버퍼층(152)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청색 및 녹색 발광 비율을 감소하고, 적색 발광 비율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색 유기발광소자, 즉 청색 발광층(130B)과 녹색 발광층(130G) 사이에 전술한 제1 버퍼층(151)이 형성되고, 녹색 발광층(130G)과 적색 발광층(130R) 사이에 전술한 제2 버퍼층(152)이 형성된 백색 유기발광소자의 발광 스펙트럼 변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색 유기발광소자에서는 원하는 청색, 녹색 및 적색의 발광 비율이 얻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색도 조절이 용이한 백색광을 얻을 수 있으므로 색재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색 유기발광소자의 개략적인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각 물질층들의 에너지 준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청색 발광층과 녹색 발광층 사이에 제1 버퍼층이 형성된 백색 유기발광소자의 발광 스펙트럼 변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녹색 발광층과 적색 발광층 사이에 제2 버퍼층이 형성된 백색 유기발광소자의 발광 스펙트럼 변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색 유기발광소자의 발광 스펙트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기판 120... 애노드전극
122... 정공주입층(HIL) 124... 정공수송층(HTL)
130B... 청색 발광층 130G... 녹색 발광층
130R... 적색 발광층 140... 캐소드전극
142... 전자주입층(EIL) 144... 전자수송층(ETL)
151... 제1 버퍼층 152... 제2 버퍼층

Claims (33)

  1.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는 애노드전극 및 캐소드전극;
    상기 애노드전극과 캐소드전극 사이에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청색, 녹색 및 적색 발광층;
    상기 청색 발광층과 녹색 발광층 사이에 형성되어 청색 발광 비율은 증대하고 녹색 및 적색 발광 비율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HOMO-LUMO 에너지 갭(energy gap)이 인접한 발광층들보다 크거나 같은 제1 버퍼층; 및
    상기 녹색 발광층과 적색 발광층 사이에 형성되어 적색 발광 비율은 증대하고 녹색 및 청색 발광 비율은 감소시키는 것으로, 상기 적색 발광층 보다 큰 LUMO 에너지 준위(energy level)를 가지는 제2 버퍼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유기발광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퍼층은 정공 및 전자를 모두 전달할 수 있는 양극성(ambipolarity)을 가지며, 정공 전달속도보다 큰 전자 전달속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유기발광소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버퍼층은 정공 전달특성을 가지며, 상기 적색 발광층으로부터 주입되는 전자의 양을 제한하는 전자 저지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유기발광소자.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퍼층은 상기 청색 발광층에 사용되는 호스트 물질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유기발광소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전극과 청색 발광층 사이에는 정공수송층(HTL; Hole Tranporting Layer)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유기발광소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버퍼층은 상기 정공수송층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유기발광소자.
  8. 삭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전극과 정공수송층 사이에는 정공주입층(HIL; Hole Injection Layer)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백색 유기발광소자.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청색 발광층 및 녹색 발광층은 각각은 각각의 형광 호스트 물질에 청색 및 적색 도펀트를 각각 사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유기발광소자.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 호스트 물질은 안트라센(anthracene) 유도체, 파이렌(pyrene) 유도체 및 페릴렌(perylene) 유도체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유기발광소자.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 발광층은 인광 호스트 물질에 적색 도펀트를 사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유기발광소자.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인광 호스트 물질은 카바졸계 화합물 또는 금속 착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유기발광소자.
  15. 삭제
  16. 삭제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 도펀트는 이리듐(Ir) 또는 백금(Pt)의 금속 착물로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백색 유기발광소자.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 발광층과 캐소드전극 사이에는 전자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ing Layer)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유기발광소자.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수송층은 옥사디아졸(oxadiazole), 트리아졸(triazole), 페난쓰롤린(phenanthroline), 벤족사졸(benzoxazole) 및 벤즈티아졸(benzthiazole) 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유기발광소자.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수송층과 캐소드전극 사이에는 전자주입층(EIL; Electron Injection Layer)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유기발광소자.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주입층은 LIF 또는 LiQ(lithium quinolate)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유기발광소자.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전극은 투명한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유기발광소자.
  23. 삭제
  2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소드전극은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유기발광소자.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캐소드전극은 알루미늄(Al), 은(Ag), 마그네슘(Mg), 리튬(Li) 및 칼슘(Ca)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금속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유기발광소자.
  26. 애노드전극;
    상기 애노전극 상에 형성되는 정공수송층;
    상기 정공수송층 상에 형성되는 청색 발광층;
    상기 청색 발광층 상에 형성되는 제1 버퍼층;
    상기 제1 버퍼층 상에 형성되는 녹색 발광층;
    상기 녹색 발광층 상에 형성되는 제2 버퍼층;
    상기 제2 버퍼층 상에 형성되는 적색 발광층;
    상기 적색 발광층 상에 형성되는 전자수송층; 및
    상기 전자수송층 상에 형성되는 캐소드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버퍼층은 청색 발광 비율은 증대하고 녹색 및 적색 발광 비율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HOMO-LUMO 에너지 갭(energy gap)이 인접한 발광층들보다 크거나 같으며, 상기 제2 버퍼층은 적색 발광 비율은 증대하고 녹색 및 청색 발광 비율은 감소시키는 것으로, 상기 적색 발광층 보다 큰 LUMO 에너지 준위(energy level)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유기발광소자.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퍼층은 정공 및 전자를 모두 전달할 수 있는 양극성(ambipolarity)을 가지며, 정공 전달속도보다 큰 전자 전달속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유기발광소자.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퍼층은 상기 청색 발광층에 사용되는 호스트 물질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유기발광소자.
  29.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버퍼층은 정공 전달특성을 가지며, 상기 적색 발광층으로부터 주입되는 전자의 양을 제한하는 전자 저지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유기발광소자.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버퍼층은 상기 정공수송층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유기발광소자.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KR1020070074123A 2007-07-24 2007-07-24 백색 유기발광소자 KR101434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123A KR101434358B1 (ko) 2007-07-24 2007-07-24 백색 유기발광소자
US12/076,111 US7906900B2 (en) 2007-07-24 2008-03-13 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123A KR101434358B1 (ko) 2007-07-24 2007-07-24 백색 유기발광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761A KR20090010761A (ko) 2009-01-30
KR101434358B1 true KR101434358B1 (ko) 2014-09-23

Family

ID=40294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4123A KR101434358B1 (ko) 2007-07-24 2007-07-24 백색 유기발광소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906900B2 (ko)
KR (1) KR1014343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632B1 (ko) 2007-01-19 2014-02-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색 유기 발광 소자
KR101352290B1 (ko) * 2008-09-30 2014-01-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소자
KR101094282B1 (ko) * 2009-12-04 2011-12-1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장치
US8933439B2 (en) 2010-02-05 2015-01-13 Nitto Denko Corporatio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with enhanced efficiency
KR20200019264A (ko) * 2012-04-20 2020-02-21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발광 소자, 발광 장치, 전자 기기, 및 조명 장치
KR102081209B1 (ko) * 2013-03-26 2020-02-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및 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에 사용되는 도너 기판 및 도너 기판 세트
KR102104637B1 (ko) * 2013-06-28 2020-04-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2104978B1 (ko) * 2013-12-02 2020-04-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E102014114224A1 (de) * 2014-09-30 2016-03-31 Osram Oled Gmbh Organisches elektronisches Bauteil, Verwendung eines Zinkkomplexes als p-Dotierungsmittel für organische elektronische Matrixmaterialien
CN106795166A (zh) * 2014-10-17 2017-05-31 罗门哈斯电子材料韩国有限公司 多种基质材料和包含所述基质材料的有机电致发光器件
KR101636310B1 (ko) 2014-11-06 2016-07-05 롬엔드하스전자재료코리아유한회사 유기 전계 발광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2294413B1 (ko) * 2014-11-18 2021-08-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US9741956B2 (en) 2014-11-25 2017-08-22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pparatus
KR102273616B1 (ko) 2014-12-08 2021-07-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소자
CN105895819B (zh) * 2016-04-28 2018-07-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oled器件及其制备方法、oled显示面板
CN106450023A (zh) 2016-12-26 2017-02-22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有机发光器件及有机发光显示器
CN113490976A (zh) * 2019-02-26 2021-10-08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显示装置、显示模块、电子设备及电视装置
CN112186115B (zh) * 2020-09-28 2024-07-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有机电致发光器件及其制备方法
CN113257902B (zh) * 2021-06-10 2021-09-21 南京晟芯半导体有限公司 一种具有抑制振荡效果的igbt器件及其制造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4188A (ko) * 2001-11-29 2003-06-09 강명구 다층구조로 제작한 백색유기전계발광소자
KR20050087213A (ko) * 2004-02-26 2005-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유기 전계발광 장치
KR20050092932A (ko) * 2004-03-17 2005-09-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백색 발광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를 구비하는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JP2006190654A (ja) * 2005-01-08 2006-07-20 Samsung Sdi Co Ltd 電子シャワー処理された正孔注入層を備える有機電界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60113B2 (ja) * 2002-04-05 2008-03-12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発光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4188A (ko) * 2001-11-29 2003-06-09 강명구 다층구조로 제작한 백색유기전계발광소자
KR20050087213A (ko) * 2004-02-26 2005-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유기 전계발광 장치
KR20050092932A (ko) * 2004-03-17 2005-09-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백색 발광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를 구비하는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JP2006190654A (ja) * 2005-01-08 2006-07-20 Samsung Sdi Co Ltd 電子シャワー処理された正孔注入層を備える有機電界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26929A1 (en) 2009-01-29
KR20090010761A (ko) 2009-01-30
US7906900B2 (en) 2011-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4358B1 (ko) 백색 유기발광소자
KR101453874B1 (ko) 백색 유기발광소자
JP6219453B2 (ja) 長寿命リン光発光有機発光デバイス(oled)構造
KR101614403B1 (ko) 청색 발광층을 갖는 백색 oled
TWI513076B (zh) 有機發光二極體元件
EP2892083B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JP4895742B2 (ja) 白色有機電界発光素子
US9761823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20150279909A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element and illumination device
CN1866536A (zh) 层叠有机发光器件结构
KR102146104B1 (ko)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JP2010251585A (ja) 有機電界発光素子
KR100594775B1 (ko) 백색 유기발광소자
KR20180062220A (ko) 유기 발광 소자 및 그를 이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80078637A (ko) 유기 발광 소자 및 그를 이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80077765A (ko) 유기 발광 소자 및 그를 이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210005364A (ko) 유기발광 다이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20070101516A (ko) 백색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43200A (ko) 유기 발광 소자 및 그를 이용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60901B1 (ko) 백색 유기 전계 발광 소자
Jeong et al. Four-wavelength white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using 4, 4′-bis-[carbazoyl-(9)]-stilbene as a deep blue emissive layer
JP2006108190A (ja)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CN100473247C (zh) 电激发光元件
CN112563423A (zh) 一种具有交叠结构载流子传导特征的高品质全彩oled显示器件及其制备工艺
KR20160082895A (ko) 유기 발광 소자와 그 제조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