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21679B1 -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장치 - Google Patents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1679B1
KR101421679B1 KR1020120121612A KR20120121612A KR101421679B1 KR 101421679 B1 KR101421679 B1 KR 101421679B1 KR 1020120121612 A KR1020120121612 A KR 1020120121612A KR 20120121612 A KR20120121612 A KR 20120121612A KR 101421679 B1 KR101421679 B1 KR 101421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rient
granules
nutrient granules
unit
pic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1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6676A (ko
Inventor
성수현
안명구
Original Assignee
안명구
주식회사 아리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20121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1679B1/ko
Application filed by 안명구, 주식회사 아리바이오 filed Critical 안명구
Priority to PCT/KR2013/009737 priority patent/WO2014069896A1/ko
Priority to CN201380057225.4A priority patent/CN104968314B/zh
Priority to EP13851396.5A priority patent/EP2915521A4/en
Priority to JP2015540601A priority patent/JP2015533331A/ja
Priority to US14/439,825 priority patent/US20150274339A1/en
Publication of KR20140056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6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1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1679B1/ko
Priority to JP2017166770A priority patent/JP2017221752A/ja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82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65B1/16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by pneumatic means, e.g. by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30Devices or methods for 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quantity or quality or the material fed or fi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7/00Supplying or feeding fluent-solid, plastic, or liquid material, or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to be packa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9/00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 B65B39/007Guides or funnels for introducing article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9/00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 B65B39/12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movable towards or away from container or wrapper during filling or deposi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1/00Supplying or feeding container-forming sheets or wrapping material
    • B65B41/12Feeding webs from rolls
    • B65B41/16Feeding webs from rolls by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02Applying adhesives or seal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 B65B61/06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by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16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 B65B7/28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by applying separate preformed closures, e.g. lids,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 B65G47/1407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 B65G47/144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by means of movement of the bottom or a part of the wall of the container
    • B65G47/1471Movement in one direction, substantially outward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05Special arrangements for insuring that only one single article may be dispensed at a tim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07F11/24Rotary or oscillatory memb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4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in bulk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9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assembling and dispensing of pharmaceutical artic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92Nutri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16H20/1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delivered from dispenser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nutrition control, e.g. di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210/00Specific aspects of the packaging machine
    • B65B2210/06Sterilising or cleaning machinery or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7Tablets, capsules, pill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사용자별 특성에 따라 맞춤형 영양제를 조제할 수 있는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장치가 개시된다. 사용자별 특성에 따라 영양제를 조제하기 위한 영양제 조제장치는, 개인별 영양제 처방전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처리부, 개인별 영양제 처방전 데이터에 따라 서로 다른 영양제 과립을 낱알 단위로 독립적으로 공급하는 복수개의 공급부, 및 영양제 과립을 포장하는 포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장치{PREPARATION DEVICE FOR CUSTOMIZING NUTRIENT}
본 발명은 영양제 조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사용자별 특성에 따른 맞춤형 영양제를 조제할 수 있는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타민은 3대 영양소인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과 함께 아주 적은 양이지만 생리 작용의 조절에 필요한 물질들로서, 체내에서 합성이 불가능하므로 반드시 외부로부터 섭취하여야 한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 들어 비타민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는 가운데 비타민에 대한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다. 즉, 과거에는 비타민이 부족하거나 결핍된 사람이 그로 인한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복용했지만, 이제는 단순히 결핍에 대한 보충이 아니라 다양한 질환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한 것으로 바뀌고 있다.
한편, 비타민도 과다하게, 무분별하게 복용하면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복용 목적 및 개인별 특성에 따라 적합한 적량의 비타민을 복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대다수의 수요자들은 자신의 건강상태나 약에 대한 올바른 이해없이 무분별하게 많은 종류의 비타민을 복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개인별 특성에 따라 특성화된 영양제를 조제하기 위한 대한 일부 대책들이 제안되고 있으나, 아직 미흡하여 이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별 특성에 따라 맞춤형 영양제를 조제할 수 있는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장치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개인별 특성에 따라 특성화된 맞춤형 영양제를 조제할 수 있게 하되, 개인별 영양제 처방전 데이터에 따라 맞춤형 영양제를 정확한 조성비로 1회 복용분씩 조제할 수 있는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영양제 조제 공정을 보다 간소화할 수 있으며, 각각 다른 처방전 조건에 따라 신속한 조제가 가능한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별 특성에 따라 영양제를 조제하기 위한 영양제 조제장치는, 개인별 영양제 처방전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처리부, 개인별 영양제 처방전 데이터에 따라 서로 다른 영양제 과립을 낱알 단위로 독립적으로 공급하는 복수개의 공급부, 및 영양제 과립을 포장하는 포장부를 포함한다.
데이터 처리부는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개인별 영양제 처방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데이터 처리부는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개인별 특성에 따른 문진 데이터에 대응하여 개인별 영양제 처방전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로서는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다양한 단말기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라 함은 데스크탑(desktop)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핸드헬드(handheld) PC, 휴대폰, 노트북, 태블릿 컴퓨터 등과 같은 통상의 전기전자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단말기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문진 데이터라 함은 사용자 자신의 개인별 특성, 예를 들어 건강상태, 습관 등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문진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 종류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문진 데이터는 사용자의 나이, 성별, 몸무게, 키, 식습관, 음주, 흡연, 근로형태, 보유질환, 수면습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는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문진 데이터에 대응하여 개인별 영양제 처방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데이터 처리부는 미리 데이터화된 기준 데이터와 문진 데이터를 비교한 후, 비교 결과에 따라 개인별로 요구되는 특정 영양제 성분 종류 및 함량에 대한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준 데이터라 함은 건강한 개개인에게 요구되는 식이 중에 포함되어야 할 영양제의 종류 및 양에 대한 데이터로 이해될 수 있으며, 데이터 처리부에 미리 데이터화될 수 있다. 일 예로, 기준 데이터는 1회 복용 권장량을 기준으로 데이터화될 수 있다. 아울러, 개인별 특성에 따른 문진 데이터에 따라 특정 영양제 성분별 함량이 가감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생성되는 개인별 영양제 처방전 데이터는 개인별 특성에 따라 특성화된 다양한 영양제 성분 종류 및 함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개인별 영양제 처방전 데이터는, 비타민, 무기질, 아미노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조성비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각 공급부로부터 영양제 과립이 낱알 단위로 공급된다 함은, 각 공급부로부터 동일한 시간 주기로 영양제 과립이 한번에 한 알씩 공급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공급부의 개수 및 배치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개의 공급부는 직선 형태로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공급부가 원형 또는 여타 다른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공급부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영양제 과립을 낱알 단위로 공급 가능한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공급부는 영양제 과립이 저장되는 저장부 및 저장부로부터 영양제 과립을 낱알 단위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저장부의 구조 및 특성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저장부는 저장용기 및 저장용기의 상부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개폐부재는 저장용기에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 개폐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개폐부재가 통상의 슬라이딩 방식으로 슬라이드 개폐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개폐부재의 개폐 방식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저장용기의 내부에는 영양제 과립의 유동 경로를 정의하기 위한 가이드 플레이트가 제공될 수 있고, 영양제 과립은 가이드 플레이트를 따라 배출부로 안내될 수 있다. 일 예로, 가이드 플레이트는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되도록 이격되게 복수개가 교호적으로 제공되어 지그재그 형태의 유동 경로를 정의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저장부는 저장용기, 및 저장용기의 내부 공간을 영양제 과립이 저장되는 저장공간 및 제습제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으로 구획하며, 저장공간 및 수용공간을 서로 연통시키기 위한 연통슬롯이 형성된 구획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용기에는 저장용기 내부에 저장된 영양제 과립의 저장량을 감지하기 위한 저장량 감지센서가 제공될 수 있으며, 저장량 감지센서에서 측정된 측정값이 미리 설정된 설정값 미만으로 판별되는 경우 경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경보발생부가 제공될 수 있다.
배출부는 저장부로부터 공급되는 영양제 과립을 낱알 단위로 배출 가능한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배출부는, 외주면을 따라 수용홈이 형성되며 저장부의 출구에 인접하도록 수직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픽업 플레이트, 및 낱알배출홀이 형성되며 픽업 플레이트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제공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영양제 과립은 픽업 플레이트가 수직으로 회전함에 따라 수용홈에 의해 낱알 단위로 픽업되고, 픽업 플레이트의 회전시 수용홈 및 낱알배출홀이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일치하게 배치되는 경우, 수용홈에 수용된 영양제 과립이 낱알배출홀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배출부는, 저장부로부터 공급된 영양제 과립이 낱알 단위로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제1플레이트, 낱알배출홀이 형성되며, 제1플레이트의 하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2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고,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 간의 상대 회전시 수용홈 및 낱알배출홀이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일치하게 배치되는 경우, 수용홈에 수용된 영양제 과립이 낱알배출홀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참고로, 제1플레이트에 대해 제2플레이트가 상대 회전한다 함은, 제1플레이트가 고정된 상태에서 제2플레이트가 회전하는 방식, 및 제2플레이트가 고정된 상태에서 제1플레이트가 회전하는 방식 모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배출부는 영양제 과립의 배출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영양제 과립을 배출시키는 배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낱알배출홀에 인접하게 배출부재가 제공될 수 있고, 배출부재에 의해 낱알배출홀에 접근되는 수용홈에서 영양제 과립이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플레이트에는 수용홈과 연통되게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고, 배출부재의 일부는 가이드홈에 수용될 수 있으며, 낱알배출홀에 접근되는 수용홈에 수용된 영양제 과립은 배출부재에 의해 가압되며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낱알배출홀의 일단에 인접하게 제공되는 제1센서, 및 낱알배출홀의 타단에 인접하게 제공되는 제2센서를 포함할 수 있는 바, 제1센서는 낱알배출홀에 접근되는 수용홈에서 영양제 과립의 수용 여부를 감지하고, 제2센서는 낱알배출홀을 통과한 수용홈에서 영양제 과립의 배출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영양제 과립의 배출량을 정확하게 카운팅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배출부는, 픽업홀이 형성되며 저장부의 출구에 인접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픽업롤러, 및 픽업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엑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영양제 과립은 픽업롤러가 회전함에 따라 픽업홀에 의해 낱알 단위로 픽업된 후 배출될 수 있다.
픽업홀은 영양제 과립을 낱알 단위로 픽업 가능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픽업홀의 개수 및 이격 간격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픽업홀은 영양제 과립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거나 영양제 과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또는 직경)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로서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방식의 액츄에이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액츄에이터와 픽업롤러 간의 연결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액츄에이터는 직선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픽업롤러에는 액츄에이터의 직선 구동력을 회전 구동력으로 변환하기 위한 연동부재가 연결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별도의 연결부재를 배제하고 액츄에이터의 구동력에 의해 픽업롤러가 직접 회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배출부는 픽업롤러에 의해 픽업된 영양제 과립을 이송하는 이송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송가이드부에는 영양제 과립을 낱알 단위로 이송하기 위한 낱알이송홀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이송가이드부에는 저장부에서 공급된 영양제 과립이 픽업되기 전에 일시적으로 적재되기 위한 일시적재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저장부에서 공급된 영양제 과립은 일시적재부에 일시적으로 적재된 상태에서, 픽업롤러에 의해 낱알 단위로 픽업된 후 낱알이송홀을 통해 이송될 수 있다.
또한, 배출부는 진공흡입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진공흡입부에 의한 진공흡입력에 의해 영양제 과립이 픽업홀에 진공흡입 방식으로 픽업될 수 있다. 아울러, 진공흡입부의 진공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진공압력 감지센서가 제공될 수 있으며, 진공압력 감지센서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영양제 과립의 정상적인 픽업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가령, 진공압력 감지센서에 기설정된 설정 압력이 감지되면 픽업홀을 통해 영양제 과립이 정상적으로 픽업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진공압력 감지센서에 기설정된 설정 압력보다 낮은 압력이 감지되면 영양제 과립이 비정상적으로 픽업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별도의 진공흡입부를 배제하고 단순히 픽업롤러에 의해 영양제 과립이 낱알 단위로 픽업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진공흡입부는 복수개의 공급부에 각각 개별적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다르게는 복수개의 공급부가 하나의 진공흡입부를 공용으로 이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진공흡입부와 각 공급부의 픽업롤러는 복수개의 연결유로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각 연결유로 상에는 선택적으로 각 연결유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독립적으로 차단하는 조절밸브가 제공될 수 있다.
공급부의 하부에는 각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영양제 과립을 한 곳으로 집합시키기 위한 호퍼가 제공될 수 있으며, 각 공급부로부터 호퍼로 공급된 각 영양제 과립은 호퍼의 경사안내면을 따라 집합된 상태로 포장부로 안내될 수 있다.
한편, 포장부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집합된 영양제 과립을 1회 복용량 단위별로 포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포장부는 영양제 과립을 캡슐, 약봉지, 스틱형 봉지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포장할 수 있으며, 포장부에 의한 포장 형태 및 방식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장치에 의하면, 사용자별 특성에 따라 맞춤형 영양제를 조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개인별 영양제 처방전 데이터에 따라 각각 다른 공급부로부터 영양제 과립이 낱알 단위로 공급될 수 있게 함으로써, 맞춤형 영양제를 정확한 조성비로 1회 복용분씩 조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픽업 플레이트의 회전시(또는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 간의 상대 회전시) 수용홈 및 낱알배출홀이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일치하게 배치되는 경우, 수용홈에 수용된 영양제 과립이 낱알배출홀을 통해 배출될 수 있게 함으로써, 특정 영양제 과립의 과공급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다 안정적으로 정확하게 영양제 과립을 낱알 단위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영양제 과립이 진공 흡입 방식으로 낱알 단위로 픽업된 후 공급될 수 있기 때문에, 특정 영양제 과립의 과공급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다 안정적으로 정확하게 영양제 과립을 낱알 단위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개인별 영양제 처방전 데이터에 따라 각각 다른 공급부로부터 영양제 과립이 낱알 단위로 공급될 수 있게 함으로써, 영양제 조제 공정을 보다 간소화할 수 있으며, 각각 다른 처방전 조건에 따라 신속한 조제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나이 및 성별뿐만 아니라 몸무게, 키, 식습관, 음주, 흡연, 근로형태, 보유질환, 수면습관 등과 같은 개인별 특성에 따라 특성화된 맞춤형 영양제를 조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영양제의 무분별한 복용 및 그에 따른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장치로서, 공급부 및 저장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장치로서, 공급부 및 저장부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장치로서, 포장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장치에 의해 조제된 영양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장치로서, 공급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장치로서, 저장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장치로서, 저장부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장치로서, 공급부의 작동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장치로서, 진공흡입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장치로서, 공급부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 내지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장치로서, 사용자 특성에 따른 개인별 영양제 처방전 데이터의 산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장치로서, 공급부 및 저장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장치로서, 공급부 및 저장부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장치로서, 포장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장치에 의해 조제된 영양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18 내지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장치로서, 사용자 특성에 따른 개인별 영양제 처방전 데이터의 산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장치는 데이터 처리부(20), 조제부를 포함하며, 사용자의 개인별 특성에 따라 특성화된 맞춤형 영양제를 조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20)는 개인별 영양제 처방전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제공된다. 일 예로,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데이터 처리부(20)는 입력부(10)를 통해 입력된 문진 데이터에 대응하여 개인별 영양제 처방전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입력부(10)는 개인별 특성에 따른 문진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0)로서는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다양한 단말기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라 함은 데스크탑(desktop)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핸드헬드(handheld) PC, 휴대폰, 노트북, 태블릿 컴퓨터 등과 같은 통상의 전기전자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단말기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문진 데이터라 함은 사용자 자신의 개인별 특성, 예를 들어 건강상태, 습관 등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문진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 종류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도 19를 참조하면, 문진 데이터는 사용자의 나이, 성별, 몸무게, 키, 식습관, 음주, 흡연, 근로형태, 보유질환, 수면습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문진 데이터의 각 정보가 단답식으로 입력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각 정보가 보다 세분화될 수 있다. 가령, 식습관에 대한 정보의 경우 채식 또는 육식 등의 항목과 함께 하루 섭취량에 대한 세분화된 정보를 포함하여 입력될 수 있고, 흡연에 대한 정보의 경우 하루 흡연량에 대한 세분화된 정보를 포함하여 입력될 수 있으며, 음주에 대한 정보의 경우 술 종류, 1회 음주량에 대한 세분화된 정보를 포함하여 입력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20)는 입력부(10)를 통해 입력된 문진 데이터에 대응하여 개인별 영양제 처방전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제공된다. 즉, 상기 데이터 처리부(20)는 개인별 특성에 따른 문진 데이터가 입력되면 문진 데이터를 기초로 개인별 특성에 맞게 특성화된 개인별 영양제 처방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데이터 처리부(20)는 미리 데이터화된 기준 데이터와 문진 데이터를 비교한 후,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개인별로 요구되는 특정 영양제 성분 종류 및 함량에 대한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준 데이터라 함은 건강한 개개인에게 요구되는 식이 중에 포함되어야 할 영양제의 종류 및 양에 대한 데이터로 이해될 수 있으며, 데이터 처리부(20)에 미리 데이터화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기준 데이터는 1회 복용 권장량을 기준으로 데이터화될 수 있다. 아울러, 개인별 특성에 따른 문진 데이터에 따라 특정 영양제 성분별 함량이 가감될 수 있다. 가령, 특정 나이 및 성별에 해당하는 특정 영양제 성분의 1회 복용 권장량이 5㎎이더라도 다른 개인별 특성(예를 들어, 식습관, 보유질환 등)에 따라 특정 영양제 성분은 5㎎보다 크거나 작게 가감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0)와 데이터 처리부(20)는 원격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입렵부와 데이터 처리부(20)가 인터넷에 의해 연결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구내 정보 통신망(LAN), 공중 데이터망(PDN), 일반 전화 교환망(PSTN) 등 여타 다른 통신망을 통해 입력부와 데이터 처리부가 원격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생성되는 개인별 영양제 처방전 데이터는 개인별 특성에 따라 특성화된 다양한 영양제 성분 종류 및 함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개인별 영양제 처방전 데이터는, 비타민, 무기질, 아미노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조성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개인별 영양제 처방전 데이터는 비타민A, 비타민B, 비타민C, 비타민D, 비타민E 등과 같은 각종 비타민 성분 및 함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비타민B의 경우에는 비타민B1(티아민), 비타민B2(리보플라빈), 비타민B3(니아신, 니코틴아미드), 비타민B4(판토텐산) 등과 같은 세분화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개인별 영양제 처방전 데이터는 Ca(칼슘), K(칼륨), Mg(마그네슘), Cr(크롬), Zn(아연) 등과 같은 각종 무기질 성분 및 함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글리신, 라이신, 이소류신, 메티오닌, 리신 등과 같은 각종 아미노산 성분 및 함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20)에서 생성된 개인별 영양제 처방전 데이터는 후술할 조제부로 직접 전송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데이터 처리부에서 생성된 개인별 영양제 처방전 데이터가 입력부(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된 후, 조제부로 전송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개인별 영양제 처방전 데이터는 통상의 사용자가 확인 가능한 문서 또는 파일 형태로 전송될 수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특정 사용자만 확인 가능한 암호화된 문서 또는 파일 형태로 전송이 가능하다. 다르게는 개인별 영양제 처방전 데이터를 QR 코드 등으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나이, 성별, 몸무게, 키, 식습관, 음주, 흡연, 근로형태, 보유질환, 수면습관 등과 같은 개인별 특성에 따라 특성화된 개인별 영양제 처방전 데이터의 생성이 가능하다. 일 예로, 중년 이후 여성의 경우 골다공증을 예방하기 위해 칼슘, 마그네슘, 비타민D 등이 포함된 영양제 처방전이 결정될 수 있는 바, 영양제를 구성하는 각 성분의 함량은 사용자의 나이 및 성별뿐만 아니라 몸무게, 키, 식습관, 음주, 흡연, 근로형태, 보유질환, 수면습관 등과 같은 다른 개인별 특성에 따라 적절히 가감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조제부는 개인별 영양제 처방전 데이터를 수신받아 개인별 영양제 처방전 데이터에 따라 영양제를 조제하도록 구성되며, 공급부(30) 및 포장부(7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데이터 처리부(20), 공급부(30) 및 포장부(70)가 전용 테이블(90) 상에 장착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테이블(90)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구조를 갖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테이블(90)의 형상 및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테이블(90)은 대략 사각 박스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테이블(90)의 상부에는 후술할 복수개의 공급부(30)가 배치될 수 있고, 테이블(90)의 내부에는 후술할 포장부(70)가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테이블(90)의 내부의 상태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테이블(90)의 전면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이블(90)의 내부 일측에는 포장부(70)에 의해 소정 단위별로 포장된 영양제가 배출되기 위한 배출컨베이어(91)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테이블(90)의 상부 다른 일측에는 비타민 조제가 이루어지는 동안의 전반적인 진행 상태(예를 들어, 공급량, 잔량, 공급 비율 등), 조제 환경(예를 들어, 습도, 온도 등) 및 각종 정보를 출력하거나,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입력을 위한 입출력부(미도시)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입출력부는 통상의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입출력부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공급부(30)는 개인별 영양제 처방전 데이터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영양제 과립을 낱알 단위로 독립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제공된다. 여기서, 각 공급부(30)로부터 영양제 과립이 낱알 단위로 공급된다 함은, 각 공급부(30)로부터 동일한 시간 주기로 영양제 과립이 한번에 한 알씩 공급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영양제 과립이라 함은 비타민, 무기질, 아미노산, 한약 및 여타 다른 영양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영양제 과립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영양제 과립(granule)은 대략 0.5㎜~2㎜ 정도의 크기(또는 직경)를 갖도록 제공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0.5㎜~2㎜보다 더 작거나 큰 크기의 과립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공급부(30)의 개수 및 배치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복수개의 공급부(30)가 후술할 호퍼(60)의 상부에 직선 형태로 나란하게 2열로 배치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복수개의 공급부가 원형 또는 여타 다른 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공급부의 배치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공급부(30)는 개인별 영양제 처방전 데이터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영양제 과립을 낱알 단위로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바, 이하에서는 상기 공급부(30)가 각각의 영양제 과립을 1회 복용량만큼 낱알 단위로 공급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가령, 특정 처방전 데이터에 따른 영양제의 1회 복용량이 A성분 과립 5알, B성분 과립 3알, C성분 과립 2알로 구성될 경우, A공급부(30)는 A성분 과립을 낱알 단위로 5번에 걸쳐 공급할 수 있고, B공급부(30)는 B성분 과립을 낱알 단위로 3번에 걸쳐 공급할 수 있으며, C공급부(30)는 C성분 과립을 낱알 단위로 2번에 걸쳐 공급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각 공급부가 2회 또는 3회 복용량만큼 각 영양제 과립을 낱알 단위로 공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공급부(30)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영양제 과립을 낱알 단위로 공급 가능한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공급부(30)가 영양제 과립이 저장되는 저장부(40) 및 상기 저장부(40)로부터 영양제 과립을 낱알 단위로 배출하는 배출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일 예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저장부(40)는 전용 테이블(90) 상에 고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저장부(40)가 저장용기(41) 및 개폐부재(42)를 포함하여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저장용기(41)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원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용기(41)의 상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저장용기(41)의 하부에는 영양제 과립이 배출되기 위한 배출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42)는 저장용기(41)의 상부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해 제공된다. 일 예로, 상기 개폐부재(42)는 저장용기(41)의 상부에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 개폐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개폐부재가 통상의 슬라이딩 방식으로 슬라이드 개폐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개폐부재의 개폐 방식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저장용기(41)에 저장된 영양제 과립이 일정 미만일 경우에는 개폐부재(42)를 개방시켜 개구부를 통해 영양제 과립을 채워 넣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용기(41)의 내부에는 영양제 과립의 유동 경로를 정의하기 위한 가이드 플레이트(43)가 제공될 수 있고, 영양제 과립은 가이드 플레이트(43)에 정의되는 유동 경로를 따라 배출부(50)로 안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용기(41)에는 영양제 과립의 제습을 위한 에어 블로잉 장치(미도시) 및 공기중의 수분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링 수단(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부(50)는 저장부(40)로부터 공급되는 영양제 과립을 낱알 단위로 배출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배출부(50)는 픽업 플레이트(52) 및 가이드부재(5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픽업 플레이트(52)는 소정 직경을 갖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40)의 출구에 인접하도록 수직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픽업 플레이트(52)가 수직으로 회전한다 함은, 픽업 플레이트(52)가 지면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픽업 플레이트(52)의 외주면을 따라서는 저장부(40)로부터 공급된 영양제 과립이 낱알 단위로 수용되기 위한 복수개의 수용홈(52a)이 형성된다. 일 예로, 상기 제1플레이트(52)의 둘레 가장자리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복수개의 수용홈(52a)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홈의 개수 및 이격 간격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54)는 픽업 플레이트(52)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재(54)에는 수용홈(52a)에 대응하는 낱알배출홀(54a)이 형성된다. 일 예로, 상기 가이드부재(54)는 픽업 플레이트(52)의 외주면의 일부를 감싸도록 대략 "C"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영양제 과립이 낱알배출홀(54a)을 보다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낱알배출홀(54a)은 수용홈(52a)보다 상대적으로 큰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수용홈 및 낱알배출홀이 서로 동일한 크기 및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참고로, 상기 픽업 플레이트(52)는 통상의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53)로서는 통상의 스탬핑모터, 서보모터, 스탭모터, 직류모터 및 교류모터 등 다양한 모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구동모터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픽업 플레이트(52)가 수직으로 회전함에 따라, 픽업 플레이트(52)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용홈(52a)에는 영양제 과립이 낱알 단위로 픽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용홈(52a)에 영양제 과립이 픽업된 상태에서, 픽업 플레이트(52)의 회전시, 수용홈(52a)과 낱알배출홀(54a)이 수직 방향을 따라 서로 일치하게 배치되는 경우, 상기 수용홈(52a)에 수용된 영양제 과립이 낱알배출홀(54a)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즉, 상기 수용홈(52a)과 낱알배출홀(54a)이 서로 일치하지 않게 배치된 상태에서는 수용홈(52a)의 하부가 가이드부재(54)에 의해 차단됨에 따라 수용홈(52a)에 수용된 영양제 과립이 배출될 수 없고, 수용홈(52a)과 낱알배출홀(54a)이 상하 방향을 따라 서로 일치하게 배치될 경우에만 수용홈(52a)에 수용된 영양제 과립이 낱알배출홀(54a)을 통해 낙하하는 방식으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배출부(50)에 의한 영양제 과립의 배출량은 픽업 플레이트(52)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거나, 수용홈(52a)의 개수를 변경함으로써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부(50)에 의한 영양제 과립의 배출량은 픽업 플레이트(52)의 회전 속도 및 수용홈(52a)의 개수를 이용하여 산출하거나, 별도의 센서를 통해 영양제 과립의 배출량을 검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센서(56a) 및 제2센서(56b)를 이용하여 영양제 과립의 배출량을 센싱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센서(56a)는 낱알배출홀(54a)의 일단에 인접하게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제2센서(56b)는 낱알배출홀(54a)의 타단에 인접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56a)는 낱알배출홀(54a)에 접근되는 수용홈(52a)에서 영양제 과립의 수용 여부를 감지할 수 있고, 상기 제2센서(56b)는 낱알배출홀(54a)을 통과한 수용홈(52a)에서 영양제 과립의 배출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센서(56a)는 낱알배출홀(54a)에 접근되는 수용홈(52a)에 정상적으로 영양제 과립이 수용되어 있는지를 센싱할 수 있고, 제2센서(56b)는 낱알배출홀(54a)을 통과한 수용홈(52a)로부터 영양제 과립이 정상적으로 배출되었는지를 센싱함으로써, 영양제 과립의 배출량을 정확하게 카운팅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56a) 및 제2센서(56b)로서는 통상의 포토 센서, 빔 센서 및 접촉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센서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수직으로 회전하는 픽업 플레이트를 이용한 배출부는, 영양제 과립 간의 마찰에 의한 분진 및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고, 픽업 플레이트의 회전시 픽업 플레이트와 가이드부재의 사이에서 영양제 과립의 끼임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른 일 예로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저장부(40')는 전용 테이블(90') 상에 고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저장부(40')가 저장용기(41') 및 개폐부재(42')를 포함하여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저장용기(41')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원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용기(41')의 상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저장용기(41')의 하부에는 영양제 과립이 배출되기 위한 배출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42')는 저장용기(41')의 상부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해 제공된다. 일 예로, 상기 개폐부재(42')는 저장용기(41')의 상부에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 개폐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개폐부재가 통상의 슬라이딩 방식으로 슬라이드 개폐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개폐부재의 개폐 방식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저장용기(41')에 저장된 영양제 과립이 일정 미만일 경우에는 개폐부재(42')를 개방시켜 개구부를 통해 영양제 과립을 채워 넣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용기(41')의 내부에는 영양제 과립의 유동 경로를 정의하기 위한 가이드 플레이트(43')가 제공될 수 있고, 영양제 과립은 가이드 플레이트(43')에 정의되는 유동 경로를 따라 배출부(50')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3')의 구조 및 배치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가이드 플레이트(43')는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되도록 상하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복수개가 좌우 교호적으로 제공되어 지그재그 형태의 유동 경로를 정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저장용기(41')에 투입된 영양제 과립은 각 가이드 플레이트(43')를 따라 유동되며 배출부(50')로 전달될 수 있다. 아울러, 저장용기(41')에 투입된 영양제 과립은 각 가이드 플레이트(43')를 따라 지그재그 방식으로 유동될 수 있기 때문에, 낙하 속도 및 마찰에 의한 막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용기(41')에는 습도 변화 등에 의한 영양제 과립의 공급 불량을 방지하기 위한 통풍구(41a')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저장용기(41')의 저면 일측에 통풍구(41a')가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저장용기의 측면 또는 상면에 통풍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르게는 통풍구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배출부(50')는 저장부(40')로부터 공급되는 영양제 과립을 낱알 단위로 배출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배출부(50')는 제1플레이트(52') 및 제2플레이트(5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플레이트(52')는 소정 직경을 갖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플레이트(52')에는 저장부(40')로부터 공급된 영양제 과립이 낱알 단위로 수용되기 위한 수용홈(52a')이 형성된다. 일 예로, 상기 제1플레이트(52')의 둘레 가장자리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복수개의 수용홈(52a')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홈의 개수 및 이격 간격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2플레이트(54')는 제1플레이트(52')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제1플레이트(52')의 하부에 제공되며, 상기 제2플레이트(54')에는 수용홈(52a')에 대응하는 낱알배출홀(54a')이 형성된다. 일 예로, 상기 영양제 과립이 낱알배출홀(54a')을 보다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낱알배출홀(54a')은 수용홈(52a')보다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갖도록 곡선형 슬롯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수용홈 및 낱알배출홀이 서로 동일한 크기 및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참고로, 상기 제1플레이트(52')에 대해 제2플레이트(54')가 상대 회전한다 함은, 제1플레이트가 고정된 상태에서 제2플레이트가 회전하는 방식, 및 제2플레이트가 고정된 상태에서 제1플레이트가 회전하는 방식 모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2플레이트(54')가 고정된 상태에서 제1플레이트(52')가 통상의 구동모터(53')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구동모터(53')로서는 통상의 스탬핑모터, 서보모터, 스탭모터, 직류모터 및 교류모터 등 다양한 모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구동모터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제1플레이트(52') 및 제2플레이트(54') 간의 상대 회전시, 수용홈(52a')과 낱알배출홀(54a')이 수직 방향을 따라 서로 일치하게 배치되는 경우, 상기 수용홈(52a')에 수용된 영양제 과립이 낱알배출홀(54a')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즉, 상기 수용홈(52a')과 낱알배출홀(54a')이 서로 일치하지 않게 배치된 상태에서는 수용홈(52a')의 하부가 제2플레이트(54')에 의해 차단됨에 따라 수용홈(52a')에 수용된 영양제 과립이 배출될 수 없고, 수용홈(52a')과 낱알배출홀(54a')이 상하 방향을 따라 서로 일치하게 배치될 경우에만 수용홈(52a')에 수용된 영양제 과립이 낱알배출홀(54a')을 통해 낙하하는 방식으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부(50')는 영양제 과립의 배출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영양제 과립을 배출시키는 배출부재(58')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낱알배출홀(54a')에 인접하게 배출부재(58')가 제공되고, 상기 배출부재(58')에 의해 낱알배출홀(54a')에 접근되는 수용홈(52a')에서 영양제 과립이 배출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낱알배출홀(54a')에 접근되는 수용홈(52a')이라 함은 제1플레이트(52')에 형성된 복수개의 수용홈(52a') 중 제1플레이트(52')가 회전함에 따라 낱알배출홀(54a')에 가장 인접하게 접근되는 수용홈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플레이트(52')에는 수용홈(52a')과 연통되게 가이드홈(52b')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배출부재(58')의 하단 일부는 가이드홈(52b')에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낱알배출홀(54a')에 접근되는 수용홈(52a')에 수용된 영양제 과립은 배출부재(58')에 의해 가압되며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영양제 과립의 배출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기 어려운 조건에서도 영양제 과립의 배출이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양제 과립이 수용홈의 내부에 들러 붙은 경우에도 영양제 과립은 배출부재에 의해 가압될 수 있기 때문에 확실하게 배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배출부재로서 스프링부재, 솔레노이드, 회전부재 등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배출부재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배출부(50')에 의한 영양제 과립의 배출량은 제1플레이트(52')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거나, 수용홈(52a')의 개수를 변경함으로써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부(50')에 의한 영양제 과립의 배출량은 제1플레이트(52')의 회전 속도 및 수용홈(52a')의 개수를 이용하여 산출하거나, 별도의 센서를 통해 영양제 과립의 배출량을 검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센서(56a') 및 제2센서(56b')를 이용하여 영양제 과립의 배출량을 센싱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센서(56a')는 낱알배출홀(54a')의 일단에 인접하게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제2센서(56b')는 낱알배출홀(54a')의 타단에 인접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56a')는 낱알배출홀(54a')에 접근되는 수용홈(52a')에서 영양제 과립의 수용 여부를 감지할 수 있고, 상기 제2센서(56b')는 낱알배출홀(54a')을 통과한 수용홈(52a')에서 영양제 과립의 배출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센서(56a')는 낱알배출홀(54a')에 접근되는 수용홈(52a')에 정상적으로 영양제 과립이 수용되어 있는지를 센싱할 수 있고, 제2센서(56b')는 낱알배출홀(54a')을 통과한 수용홈(52a')로부터 영양제 과립이 정상적으로 배출되었는지를 센싱함으로써, 영양제 과립의 배출량을 정확하게 카운팅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56a') 및 제2센서(56b')로서는 통상의 포토 센서, 빔 센서 및 접촉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센서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2플레이트에는 제1센서(56a') 및 제2센서(56b')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부재(56c')가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공급부(30)의 하부에는 각 공급부(30)로부터 공급된 영양제 과립을 한 곳으로 집합시키기 위한 호퍼(60)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각 공급부(30)로부터 호퍼(60)로 공급된 각 영양제 과립은 호퍼(60)의 경사안내면을 따라 가운데 부위로 안내되며 집합된 상태로 포장부(70)로 안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퍼(60)에는 호퍼(60)를 세정하기 위한 세정부(미도시)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세정부는 통상의 기체(예를 들어 공기) 및 진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호퍼(60)를 세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는 각 공급부(30)로부터 영양제가 분말 또는 액상이 아닌 과립 형태로 공급될 수 있기 때문에, 별도로 액체(예를 들어 물)를 분사하지 않고, 기체를 분사하거나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만으로도 호퍼(60)를 효과적으로 세정할 수 있다.
상기 포장부(70)는 각 공급부(30)로부터 공급된 영양제 과립을 1회 복용량 단위별로 포장하기 위해 제공된다. 상기 포장부(70)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교반된 영양제 과립을 미리 결정된 소정 단위별로 포장할 수 있도록 제공되며, 포장부(70)의 구조 및 방식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포장부(70)는 필름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필름공급부(72), 상기 필름에 제공되는 복수개의 포장공간으로 교반된 상기 영양제 과립을 안내하는 안내부(73), 상기 포장공간의 개구부를 접착하는 접착부(74), 상기 필름을 상기 포장공간에 대응하는 개별 단위로 컷팅하는 컷팅부(7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필름공급부(72)는 필름이 롤 형태로 권취되는 권취롤러 및 권취롤러로부터 공급되는 필름을 안내하는 안내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필름공급부(72)의 구조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권취롤러로부터 공급되는 필름이 안내롤러에 의해 대략 90도 전환된 상태로 안내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른 각도 및 다른 방식으로 필름이 안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름공급부(72)는 권취롤러에 남은 필름의 양을 감지하기 위한 필름감지센서(7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필름감지센서로서는 필름의 남은 양을 감지 가능한 다양한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필름에는 독립적으로 분할된 복수개의 포장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포장공간은 전술한 필름공급부(72)로부터 필름이 공급되는 동안 형성될 수 있으나, 다르게는 필름공급부(72)로부터 이미 포장공간이 형성된 필름을 공급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안내부(73)는 필름에 제공되는 복수개의 포장공간으로 교반된 영양제 과립을 안내하기 위해 제공된다.
일 예로, 상기 안내부(73)는 호퍼(60)의 출구에 상하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 가능하게 인접하게 제공되어, 호퍼(60)에서 집합된 영양제 과립을 포장공간의 개구부로 안내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부(73)는 포장공간의 개구부를 미리 벌려주기 위한 나이프(73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부(74)는 포장공간에 영양제 과립이 충진된 후 포장공간의 개구부를 접착하도록 제공된다. 상기 접착부(74)는 통상의 열접착 방식으로 포장공간의 개구부를 밀봉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통상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밀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컷팅부(75)는 필름을 포장공간에 대응하는 개별 단위로 컷팅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컷팅부(75)로서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통상의 다양한 컷팅기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포장된 영양제는 도 9의 (a)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포장된 영양제는 전술한 테이블(90)의 배출컨베이어(9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장치로서, 공급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장치로서, 저장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장치로서, 저장부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장치로서, 공급부의 작동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장치로서, 진공흡입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장치로서, 공급부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울러,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동일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장치는 데이터 처리부(미도시), 저장부(400) 및 배출부(500)를 포함하는 공급부(300), 및 포장부(700)를 포함하되, 배출부(500)는 픽업롤러(510) 및 엑츄에이터(5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저장부(400)는 전용 테이블(도 1의 90 참조) 상에 고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저장부(400)는 저장용기(410) 및 개폐부재(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용기(410)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원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용기(410)의 상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저장용기(410)의 하부에는 영양제 과립이 배출되기 위한 배출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420)는 저장용기(410)의 상부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해 제공된다. 일 예로, 상기 개폐부재(420)는 저장용기(410)의 상부에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 개폐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개폐부재가 통상의 슬라이딩 방식으로 슬라이드 개폐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개폐부재의 개폐 방식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저장용기(410)에 저장된 영양제 과립이 일정 미만일 경우에는 개폐부재(420)를 개방시켜 개구부를 통해 영양제 과립을 채워 넣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용기(410)에는 저장용기(410) 내부에 저장된 영양제 과립의 저장량을 감지하기 위한 저장량 감지센서(430)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저장량 감지센서(430)로서는 영양제 과립의 저장량을 감지 가능한 통상의 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센서의 종류 및 특징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저장량 감지센서(430)에서 측정된 측정값이 미리 설정된 설정값 미만으로 판별되는 경우 경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경보발생부(440)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영양제 과립의 저장량이 일정 기준 미만일 경우 경보신호를 통해 이를 즉각 인지하고 영양제 과립을 보충할 수 있으며, 영양제 과립이 공급 중단없이 연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경보신호라 함은 통상의 음향수단에 의한 청각적 경보신호, 및 통상의 경고등에 의한 시각적 경보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는 여타 다른 다양한 경보신호가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도 13을 참조하면, 저장부(400')는 전용 테이블 상에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다른 저장부(400')로 교체할 수 있다. 일 예로, 저장부는 저장용기(410') 및 구획부재(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용기(410')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원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용기(410')의 하부에는 영양제 과립이 배출되기 위한 배출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저장용기(410')의 하부 개구부는 하부캡(미도시)에 의해 닫혀질 수 있다.
상기 구획부재(420')는 저장용기(410')의 내부에 제공되며, 저장용기(410')의 내부 공간을 영양제 과립이 저장되는 저장공간, 및 제습제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구획부재(420')에는 복수개의 연통슬롯(42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공간 및 수용공간은 연통슬롯(422')에 의해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상기 구획부재(420')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구획부재(420')는 일종의 콘(cone) 또는 훤넬(funnel)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영양제 과립은 구획부재(420')의 경사면을 따라 배출공을 통해 저장용기(4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구획부재(420')에 의해 구획된 수용공간에는 제습제가 수용될 수 있으며, 제습제로서는 실리카겔과 같은 통상의 제습제가 사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여타 다른 제습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제습제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배출부(50)는 픽업롤러(510) 및 액츄에이터(5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바, 영양제 과립은 픽업롤러(510)가 회전함에 따라 픽업홀(512)에 의해 낱알 단위로 픽업된 후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부(50)는 진공흡입부(56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진공흡입부(560)에 의한 진공흡입력에 의해 영양제 과립이 픽업홀(512)에 진공흡입 방식으로 픽업될 수 있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픽업롤러(510)는 저장부(400)의 출구에 인접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며, 상기 픽업롤러(510)의 외주면에는 영양제 과립을 픽업하기 위한 픽업홀(5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픽업홀(512)은 영양제 과립을 낱알 단위로 픽업 가능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픽업홀(512)의 개수 및 이격 간격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픽업롤러(510)의 초기위치(픽업 전 상태)시 픽업홀(512)이 픽업롤러(510)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영양제 과립이 픽업홀(512)에 낱알 단위로 하나씩 진공흡입될 수 있도록 상기 픽업홀(512)이 영양제 과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또는 직경)로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픽업홀이 영양제 과립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520)는 픽업롤러(51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액츄에이터(520)로서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방식의 액츄에이터(520)가 사용될 수 있으며, 액츄에이터(520)와 픽업롤러(510) 간의 연결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상기 액츄에이터(520)가 직선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픽업롤러(510)에는 액츄에이터(520)의 직선 구동력을 회전 구동력으로 변환하기 위한 연동부재(530)가 연결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일 예로, 상기 액츄에이터(520)로서는 직선 구동력을 제공하는 통상의 솔레노이드가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연동부재(530)는 픽업롤러(510)와 함께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픽업롤러(510)의 측면에 연결될 수 있는 바, 액츄에이터(520)의 직선 구동력에 의해 연동부재(530)가 밀려나며 회전함에 따라 픽업롤러(510)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연동부재(530)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장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액츄에이터의 가동부는 연동부재의 장공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연동부재(530)에는 복귀스프링(550)이 연결될 수 있으며, 픽업롤러(510)에 의한 영양제 과립의 픽업이 완료된 후, 연동부재(530)는 복귀스프링(550)의 탄성력에 의해 초기 위치(픽업 전 상태)로 복귀될 수 있으며, 픽업롤러(510) 역시 초기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별도의 복귀스프링을 배제하고 액츄에이터의 자체 복원력에 의해 연동부재 및 픽업롤러가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배출부(50)는 픽업롤러(510)에 의해 픽업된 영양제 과립을 이송하는 이송가이드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이송가이드부(540)는 저장부(400)의 출구 및 픽업롤러(510)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송가이드부(540)에는 영양제 과립을 낱알 단위로 이송하기 위한 낱알이송홀(54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낱알이송홀(542)은 출구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낱알이송홀(542)로 유입된 영양제 과립은 낱알이송홀(542)의 경사에 의해 이송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별도의 이송가이드부를 배제하고 픽업롤러에 의해 픽업된 영양제 과립이 직접 이송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이송가이드부(540)에는 저장부(400)에서 공급된 영양제 과립이 픽업되기 전에 일시적으로 적재되기 위한 일시적재부(54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저장부(400)에서 공급된 영양제 과립은 일시적재부(544)에 일시적으로 적재된 상태에서, 픽업롤러(510)에 의해 낱알 단위로 픽업된 후 낱알이송홀(542)을 통해 이송될 수 있다.
상기 진공흡입부(560)는 영양제 과립이 픽업홀(512)에 진공흡입될 수 있도록 진공흡입력을 제공하기 위해 구비되며, 상기 진공흡입부(560)로서는 통상의 진공펌프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공흡입부(560)의 진공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진공압력 감지센서(562)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진공압력 감지센서(562)로서는 진공흡입부(560)의 진공압력을 감지 가능한 통상의 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진공압력 감지센서(562)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영양제 과립의 정상적인 픽업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가령, 상기 진공압력 감지센서(562)에 기설정된 설정 압력이 감지되면 픽업홀(512)을 통해 영양제 과립이 정상적으로 픽업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상기 진공압력 감지센서(562)에 기설정된 설정 압력보다 낮은 압력이 감지되면 영양제 과립이 비정상적으로 픽업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영양제 과립이 비정상적으로 픽업된 경우에는 수동 또는 자동 조작에 의해 추가적으로 영양제 과립의 픽업이 수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진공흡입부(560)는 복수개의 공급부(30)에 각각 개별적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다르게는 복수개의 공급부(30)가 하나의 진공흡입부(560)를 공용으로 이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진공흡입부(560)와 각 공급부(30)의 픽업롤러(510)는 복수개의 연결유로(564)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각 연결유로(564) 상에는 선택적으로 각 연결유로(56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독립적으로 차단하는 조절밸브(566)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특정 픽업롤러(510)에서 진공흡입에 의한 픽업이 이루어지는 동안, 다른 픽업롤러(510)는 조절밸브(566)에 의해 연결유로(564)가 차단되며 픽업이 중단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방식으로 각 공급부(30)의 픽업롤러(510)에 의한 픽업 횟수를 독립적으로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픽업롤러가 진공흡입 방식으로 영양제 과립을 픽업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별도의 진공흡입부를 배제하고 단순히 픽업롤러에 의해 영양제 과립이 낱알 단위로 픽업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픽업롤러(510')는 저장부(400)의 출구 하부에 인접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픽업롤러(510')의 외주면에는 영양제 과립이 낱알 단위로 수용되기 위한 픽업홀(5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픽업롤러(510')의 초기위치(픽업 전 상태)시 픽업홀(512')은 픽업롤러(510')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저장부(400)의 출구로 낙하되는 영양제 과립은 낱알 단위로 픽업홀(512')에 수용될 수 있다. 그 후, 픽업롤러(510)가 일정 이상 회전함에 따라 픽업홀(512')에 수용된 영양제 과립이 픽업홀(512')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참고로, 도 17에서는 픽업롤러(510')에 단 하나의 픽업홀(512')이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픽업롤러에 복수개의 픽업홀이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픽업롤러의 회전시 픽업홀을 따라 순차적으로 영양제 과립이 픽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픽업롤러(510')는 일종의 랙과 피니언 방식으로 액츄에이터(520')의 직선 구동력에 의해 직접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픽업롤러가 별도의 연동부재에 의해 액츄에이터의 직선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픽업롤러에 의해 영양제 과립이 낱알 단위로 공급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스크류피더, 슬라이드 개폐부재 또는 회전 개폐부재 등을 이용하여 영양제 과립이 낱알 단위로 공급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포장부(700)는 각 공급부(300)로부터 공급된 영양제 과립을 1회 복용량 단위별로 캡슐 형태로 포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포장부(700)는 하부 캡슐(720a)을 공급하는 하부 캡슐 공급부(720), 및 상부 캡슐(740a)을 공급하는 상부 캡슐 공급부(7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호퍼(600)에서 집합된 영양제 과립이 하부 캡슐(720a)에 채워진 상태에서 하부 캡슐(720a)의 상부에 상부 캡슐(740a)이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포장된 영양제는 도 9의 (b)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슐 단위로 포장된 영양제는 용기 포장부(800)에 의해 특정 복용량 단위로 별도의 포장 용기(820)에 포장될 수 있다. 가령, 상기 용기 포장부(800)는 캡슐 단위로 포장된 영양제를 일주일 복용량 단위로 포장 용기(820)에 포장할 수 있다. 상기 포장 용기(820)로서는 병 또는 통 형상의 통상의 포장 용기가 사용될 수 있으며, 포장 용기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포장부가 교반된 영양제 과립을 약봉지 형태 또는 캡슐 형태로 포장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도 9과 같이, 포장부는 교반된 영양제 과립을 (c)스틱형 봉지 등과 같이 여타 다른 형태로 포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입렵부 20 : 데이터 처리부
30 : 공급부 40 : 저장부
50 : 배출부 60 : 호퍼
70 : 포장부

Claims (30)

  1. 사용자별 특성에 따라 영양제를 조제하기 위한 영양제 조제장치에 있어서,
    개인별 영양제 처방전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처리부;
    상기 영양제 과립이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영양제 과립을 낱알 단위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인별 영양제 처방전 데이터에 따라 서로 다른 영양제 과립을 낱알 단위로 독립적으로 공급하는 복수개의 공급부; 및
    상기 영양제 과립을 포장하는 포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배출부는,
    외주면을 따라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저장부의 출구에 인접하도록 수직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픽업 플레이트; 및 낱알배출홀이 형성되며, 상기 픽업 플레이트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제공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영양제 과립은 상기 픽업 플레이트가 수직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수용홈에 의해 낱알 단위로 픽업되고, 상기 픽업 플레이트의 회전시 상기 수용홈 및 상기 낱알배출홀이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일치하게 배치되는 경우,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상기 영양제 과립이 상기 낱알배출홀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장치.
  2. 사용자별 특성에 따라 영양제를 조제하기 위한 영양제 조제장치에 있어서,
    개인별 영양제 처방전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처리부;
    상기 영양제 과립이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영양제 과립을 낱알 단위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인별 영양제 처방전 데이터에 따라 서로 다른 영양제 과립을 낱알 단위로 독립적으로 공급하는 복수개의 공급부; 및
    상기 영양제 과립을 포장하는 포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배출부는,
    상기 저장부로부터 공급된 상기 영양제 과립이 낱알 단위로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제1플레이트; 및 낱알배출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플레이트의 하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2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 간의 상대 회전시 상기 수용홈 및 상기 낱알배출홀이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일치하게 배치되는 경우,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상기 영양제 과립이 상기 낱알배출홀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장치.
  3. 사용자별 특성에 따라 영양제를 조제하기 위한 영양제 조제장치에 있어서,
    개인별 영양제 처방전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처리부;
    상기 영양제 과립이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영양제 과립을 낱알 단위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인별 영양제 처방전 데이터에 따라 서로 다른 영양제 과립을 낱알 단위로 독립적으로 공급하는 복수개의 공급부; 및
    상기 영양제 과립을 포장하는 포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배출부는,
    픽업홀이 형성되며, 상기 저장부의 출구에 인접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픽업롤러; 및 상기 픽업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엑츄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영양제 과립은 상기 픽업롤러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픽업홀에 의해 낱알 단위로 픽업된 후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공급부는 각각의 상기 영양제 과립을 1회 복용량만큼 낱알 단위로 공급하고,
    상기 포장부는 1회 복용량 단위별로 상기 영양제 과립을 포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장치.
  5. 삭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낱알배출홀에 인접하게 제공되며, 상기 낱알배출홀에 접근되는 상기 수용홈에서 상기 영양제 과립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에는 상기 수용홈과 연통되게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부재의 일부는 상기 가이드홈에 수용되며,
    상기 낱알배출홀에 접근되는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상기 영양제 과립은 상기 배출부재에 의해 가압되며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낱알배출홀의 일단에 인접하게 제공되는 제1센서; 및
    상기 낱알배출홀의 타단에 인접하게 제공되는 제2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센서는 상기 낱알배출홀에 접근되는 상기 수용홈에서 상기 영양제 과립의 수용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제2센서는 상기 낱알배출홀을 통과한 수용홈에서 상기 영양제 과립의 배출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장치.
  9. 삭제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롤러에 연결되는 연동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엑츄에이터는 직선 구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연동부재는 상기 엑츄에이터의 직선 구동력을 회전 구동력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장치.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픽업된 상기 영양제 과립을 이송하는 이송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송가이드부에는 상기 영양제 과립을 낱알 단위로 이송하기 위한 낱알이송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가이드부에는 상기 영양제 과립이 픽업되기 전에 일시적으로 적재되는 일시적재부가 형성되고,
    상기 일시적재부에 적재된 상기 영양제 과립은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픽업된 후, 상기 낱알이송홀을 통해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장치.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영양제 과립이 상기 픽업홀에 진공흡입될 수 있도록 진공흡입력을 제공하는 진공흡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흡입부의 진공압력을 감지하는 진공압력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공압력 감지센서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영양제 과립의 픽업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영양제 과립이 상기 픽업홀에 낱알 단위로 진공흡입될 수 있도록 상기 픽업홀은 상기 영양제 과립에 대응되는 크기 또는 상기 영양제 과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흡입부와 상기 각 공급부의 상기 픽업롤러를 독립적으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유로; 및
    상기 각 연결유로 상에 제공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연결유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독립적으로 차단하는 조절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장치.
  1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저장용기; 및
    상기 저장용기의 상부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의 내부에는 상기 영양제 과립의 유동 경로를 정의하기 위한 가이드 플레이트가 제공되고,
    상기 영양제 과립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를 따라 상기 배출부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되도록 이격되게 복수개가 교호적으로 제공되어 지그재그 형태의 유동 경로를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장치.
  2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저장용기; 및
    상기 저장용기의 내부 공간을 상기 영양제 과립이 저장되는 저장공간 및 제습제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으로 구획하며, 상기 저장공간 및 상기 수용공간을 서로 연통시키기 위한 연통슬롯이 형성된 구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장치.
  21. 사용자별 특성에 따라 영양제를 조제하기 위한 영양제 조제장치에 있어서,
    개인별 영양제 처방전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처리부;
    상기 영양제 과립이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영양제 과립을 낱알 단위로 배출하는 배출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영양제 과립의 저장량을 감지하기 위한 저장량 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개인별 영양제 처방전 데이터에 따라 서로 다른 영양제 과립을 낱알 단위로 독립적으로 공급하는 복수개의 공급부; 및
    상기 영양제 과립을 포장하는 포장부;
    를 포함하는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량 감지센서에서 측정된 측정값이 미리 설정된 설정값 미만으로 판별될 경우 경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경보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장치.
  2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상기 영양제 과립을 한 곳으로 집합시키기 위한 호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장치.
  2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부는 상기 영양제 과립을 캡슐, 약봉지, 스틱형 봉지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포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장치.
  2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미리 데이터화된 기준 데이터를 토대로 개인별 특성에 따른 문진 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개인별 영양제 처방전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문진 데이터와 상기 기준 데이터를 비교한 후,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개인별로 요구되는 특정 영양제 성분 종류 및 함량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데이터는 1회 복용 권장량을 기준으로 제공되며, 상기 개인별 특성에 따른 상기 문진 데이터에 따라 상기 특정 영양제 성분별 함량이 가감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장치.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문진 데이터는,
    사용자의 나이, 성별, 몸무게, 키, 식습관, 음주, 흡연, 근로형태, 보유질환, 수면습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장치.
  2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별 영양제 처방전 데이터는,
    비타민, 무기질, 아미노산, 한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조성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장치.
  3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상기 영양제 과립의 제습을 위한 에어 블로잉 장치, 및 상기 저장부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수분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필터링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장치.
KR1020120121612A 2012-10-30 2012-10-30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장치 Active KR101421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1612A KR101421679B1 (ko) 2012-10-30 2012-10-30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장치
CN201380057225.4A CN104968314B (zh) 2012-10-30 2013-10-30 个人适配型营养剂调制装置及其系统
EP13851396.5A EP2915521A4 (en) 2012-10-30 2013-10-30 DEVICE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INDIVIDUAL FOOD SUPPLEMENTS
JP2015540601A JP2015533331A (ja) 2012-10-30 2013-10-30 個人別カスタマイズ型栄養剤調剤装置及びシステム
PCT/KR2013/009737 WO2014069896A1 (ko) 2012-10-30 2013-10-30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장치 및 시스템
US14/439,825 US20150274339A1 (en) 2012-10-30 2013-10-30 Individualized nutrient preparation apparatus and system
JP2017166770A JP2017221752A (ja) 2012-10-30 2017-08-31 個人別カスタマイズ型栄養剤調剤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1612A KR101421679B1 (ko) 2012-10-30 2012-10-30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6676A KR20140056676A (ko) 2014-05-12
KR101421679B1 true KR101421679B1 (ko) 2014-07-24

Family

ID=50627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1612A Active KR101421679B1 (ko) 2012-10-30 2012-10-30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50274339A1 (ko)
EP (1) EP2915521A4 (ko)
JP (2) JP2015533331A (ko)
KR (1) KR101421679B1 (ko)
CN (1) CN104968314B (ko)
WO (1) WO2014069896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52362A (zh) * 2014-12-31 2016-07-13 (株)韩医Bio 个人适配型中药调制系统
KR101772992B1 (ko) * 2015-12-09 2017-08-30 주식회사 아리바이오 모듈형 맞춤 영양제 제조장치
KR20200132105A (ko) * 2019-05-15 2020-11-25 주식회사 아이엠코어 알약 배출 장치
KR102698780B1 (ko) * 2023-11-10 2024-08-26 이지케이 주식회사 캡슐 비전검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99544B (zh) * 2016-06-14 2020-03-20 Jvm有限公司 药物包装设备
WO2018017561A1 (en) * 2016-07-18 2018-01-25 Cutispharm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filling bulk materials into a container
CA3035963C (en) 2016-09-09 2023-10-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products based upon demand
US11584628B2 (en) 2016-09-09 2023-02-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independently routing vehicles and delivering containers and closures to unit operation systems
JP6820408B2 (ja) 2016-09-09 2021-01-27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The Procter & Gamble Company 異なる形状及び/又はサイズの容器を同時に充填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EP3509954B1 (en) 2016-09-09 2021-10-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simultaneously filling containers with different fluent compositions
US10613523B2 (en) 2016-09-09 2020-04-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s for simultaneously producing different products on a single production line
US10221017B2 (en) 2016-09-09 2019-03-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Vacuum holder with extensible skirt gasket
WO2018049123A2 (en) 2016-09-09 2018-03-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independently routing container-loaded vehicles to create different finished products
CN109689539B (zh) 2016-09-09 2021-03-09 宝洁公司 用于线性同步马达传送机的动态称重称系统和方法
ES2663198A1 (es) * 2016-09-12 2018-04-11 Tna Australia Pty Limited Conducto de conformación
CN106384441A (zh) * 2016-11-21 2017-02-08 宁翰 一种颗粒剂调配设备
KR102039231B1 (ko) * 2017-12-21 2019-10-31 장지호 개인 맞춤형 영양제 공급 시스템 및 장치
KR102054062B1 (ko) * 2018-01-30 2019-12-09 장지호 Nfc 기반 영양제 공급 시스템 및 장치
CN108464130B (zh) * 2018-03-28 2021-01-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粮食存储装置
US11345554B2 (en) 2018-04-10 2022-05-3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flexibly assembling packages of absorbent articles
WO2021022162A1 (en) 2019-07-31 2021-02-04 Dig Labs Corporation Animal health assessment
US11763920B2 (en) 2019-07-31 2023-09-19 Dig Labs Corporation Mucus analysis for animal health assessments
US11305908B2 (en) * 2019-09-20 2022-04-19 Aylward Enterprises, Llc Tablet counter and packaging module and associated method
CN116888683A (zh) * 2021-03-05 2023-10-13 雀巢产品有限公司 以环境可持续的方式满足营养需求的方法、装置和组合物
US20220310228A1 (en) 2021-03-26 2022-09-29 Vydiant, Inc Personalized health system, method and device having a physical activity function
CN113104265B (zh) * 2021-04-16 2022-09-16 何蔚梁 一种智能食材分装装置、方法和系统
CN113327373A (zh) * 2021-05-25 2021-08-31 深圳市哈哈零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大数据的智能无人售卖生鲜柜
KR20230069841A (ko) * 2021-11-12 2023-05-19 알고케어 주식회사 상기 사용자의 복용을 독려하는 알람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및 그 동작 방법
KR102505980B1 (ko) 2021-11-12 2023-03-06 알고케어 주식회사 사용자의 현재 건강 상태에 최적화된 제형의 조합을 제공하는 디스펜싱 디바이스와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CN114259917A (zh) * 2021-12-21 2022-04-01 开封市儿童医院 一种临床营养科用营养液调配装置
US11581085B1 (en) * 2022-06-08 2023-02-14 Dss Sports Group Inc.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personalized nutrition prescriptions and modifying the personalized nutrition prescriptions based on feedback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3382A (ja) * 1997-03-25 1998-12-08 Yuyama Seisakusho:Kk 薬剤包装装置
KR20010077927A (ko) * 1999-11-22 2001-08-20 유야마 쇼지 조제기기용 제어장치
KR20050050225A (ko) * 2003-11-25 2005-05-31 주식회사 이오디지텍 약 자동포장기의 알약 자동공급장치
KR101019344B1 (ko) * 2010-10-08 2011-03-07 신준식 알약 및 환약을 동시에 조제하기 위한 포장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21B2 (ja) * 1988-06-23 1994-01-05 日本エランコ株式会社 容器内ヘのカプセル充填装置
SE516650C2 (sv) * 1997-11-04 2002-02-05 Sensidos Ab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dosering och dispensering av läkemedel
JP4187366B2 (ja) * 1999-09-28 2008-11-26 株式会社トーショー 散薬供給装置
JP4346173B2 (ja) * 1999-10-06 2009-10-21 株式会社湯山製作所 錠剤フィーダ
JP2002099625A (ja) * 2000-09-25 2002-04-05 Xaxon R & D Corp サプリメント調合宅配システム
US7672859B1 (en) * 2000-11-16 2010-03-02 Gsl Solutions, Inc. Prescription order position tracking system and method
JP2004537338A (ja) * 2001-03-02 2004-12-16 ユーロ−セルティーク,エス.エイ. 個別の投与剤形を調合するための方法と装置
JP2002360664A (ja) * 2001-06-11 2002-12-17 Japan Useware System Co Ltd 薬剤取引方法、取扱いシステムおよび取扱いプログラム
US20030010791A1 (en) * 2001-07-13 2003-01-16 Andrew Gentiluomo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a customized pharamaceutical mixture
FI20021031L (fi) * 2001-12-28 2003-06-29 Pertti Laehteenmaeki Ravintoautomaatti
ITBO20020313A1 (it) * 2002-05-21 2003-11-21 Ima Spa Unita per il riempimento di contenitori con prodotti , in particolarearticoli farmaceutici
CA2495005C (en) * 2002-08-09 2013-05-14 Mckesson Automation Systems, Inc. Dispensing device having a storage chamber, dispensing chamber and a feed regulator there between
CN1491859A (zh) * 2002-10-25 2004-04-28 成都三九数码医药设备有限公司 中药颗粒配方电子调配方法及系统
JP4119307B2 (ja) * 2003-05-30 2008-07-16 株式会社東芝 通信システムを利用した制御プログラム提供方法、通信システムのセンタ装置、通信システムのユーザ装置、及びユーザ装置で使用される制御プログラム
KR100521720B1 (ko) * 2003-11-28 2005-10-17 주식회사 이오디지텍 약 자동포장기의 포장지 프린트장치
US8020724B2 (en) * 2004-03-15 2011-09-20 Parata Systems, Llc Vacuum based pill singulator and counter based thereon
US7726514B2 (en) * 2004-07-07 2010-06-01 Rxmedic Systems, Inc. Automated article dispensation mechanism
US8074426B2 (en) * 2005-09-30 2011-12-13 Edge Medical, Llc Multiple prescription package and method for filling the package
JP4910341B2 (ja) * 2005-09-12 2012-04-04 株式会社湯山製作所 錠剤充填装置
JP2007145415A (ja) * 2005-11-30 2007-06-14 Wakunaga Pharmaceut Co Ltd フィーダ及び計数充填機
CN100575192C (zh) * 2005-12-20 2009-12-30 首创大地药业有限公司 一种颗粒调剂方法及其设备
JP4947271B2 (ja) * 2006-05-16 2012-06-06 クオリカプス株式会社 カプセルボディへの錠剤充填方法及び該充填方法を用いたカプセルへの錠剤充填装置
US20070289660A1 (en) * 2006-06-01 2007-12-20 John Thomas Aylward Vacuum Apparatus and Methods for Handling Pills
US8037484B2 (en) * 2007-07-03 2011-10-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Building compound extensible AJAX applications
US7887468B2 (en) * 2007-07-20 2011-02-15 Exersmart, Llc Resistance system for fitness equipment
EP2062822A1 (de) * 2007-11-24 2009-05-27 UHLMANN PAC-SYSTEME 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individuellen Befüllen von Blistern
KR101295141B1 (ko) * 2007-12-27 2013-08-09 탈리스트 인코포레이티드 상호오염 없는 수집기
WO2010027717A2 (en) * 2008-08-23 2010-03-11 United States Pharmaceutical Distributors, Inc. Automated pharmacy drug handling and prescription ver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8424274B2 (en) * 2008-11-07 2013-04-23 Aylward Enterprises, Llc Packaging apparatus for handling pills and associated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3382A (ja) * 1997-03-25 1998-12-08 Yuyama Seisakusho:Kk 薬剤包装装置
KR20010077927A (ko) * 1999-11-22 2001-08-20 유야마 쇼지 조제기기용 제어장치
KR20050050225A (ko) * 2003-11-25 2005-05-31 주식회사 이오디지텍 약 자동포장기의 알약 자동공급장치
KR101019344B1 (ko) * 2010-10-08 2011-03-07 신준식 알약 및 환약을 동시에 조제하기 위한 포장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52362A (zh) * 2014-12-31 2016-07-13 (株)韩医Bio 个人适配型中药调制系统
KR101772992B1 (ko) * 2015-12-09 2017-08-30 주식회사 아리바이오 모듈형 맞춤 영양제 제조장치
KR20200132105A (ko) * 2019-05-15 2020-11-25 주식회사 아이엠코어 알약 배출 장치
KR102215692B1 (ko) * 2019-05-15 2021-02-16 주식회사 비타메이트 알약 배출 장치
KR102698780B1 (ko) * 2023-11-10 2024-08-26 이지케이 주식회사 캡슐 비전검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69896A1 (ko) 2014-05-08
US20150274339A1 (en) 2015-10-01
KR20140056676A (ko) 2014-05-12
EP2915521A4 (en) 2016-09-21
JP2017221752A (ja) 2017-12-21
CN104968314A (zh) 2015-10-07
CN104968314B (zh) 2019-04-16
JP2015533331A (ja) 2015-11-24
EP2915521A1 (en) 2015-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1679B1 (ko)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장치
KR101289307B1 (ko)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 시스템
KR101681235B1 (ko) 개인별 맞춤 한약 조제 시스템
US9550619B2 (en) Slot adjustment and jam clearance for pharmaceutical dispenser
US20220375564A1 (en) Smart medication dispenser
US12156853B2 (en) Smart pill dispenser
MX2010006103A (es) Envase dispensador para suministro de medicamentos solidos.
Brolin et al. Design of automated medicine vending machine using mechatronics techniques
JP6860818B2 (ja) 固形剤小分け装置及び固形剤小分け方法
JP2024173968A (ja) 固形剤小分け装置及び固形剤販売方法
JP5850448B1 (ja) 枡計量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枡計量搬送システム
US12214917B2 (en) Filling process with cell-by-cell automated compounding
KR101289306B1 (ko)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장치
CA2354401A1 (en) Method and system with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blending of chinese herbal medicine
CN202346264U (zh) 中药浓缩颗粒自动发药装置
CN213200179U (zh) 智能精准药品剂量分配器
JP2022012821A (ja) 散薬供給装置及び散薬分包装置
KR200338658Y1 (ko) 정제 및 산제 혼합 포장장치
KR101543442B1 (ko) 포장정제 디스펜싱 장치
KR101566974B1 (ko) 약제 포장장치
JPH04294724A (ja) 薬剤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2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1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7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7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1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1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2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