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5949B1 - 밀기방식 신호입력장치 - Google Patents
밀기방식 신호입력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25949B1 KR101425949B1 KR1020120092876A KR20120092876A KR101425949B1 KR 101425949 B1 KR101425949 B1 KR 101425949B1 KR 1020120092876 A KR1020120092876 A KR 1020120092876A KR 20120092876 A KR20120092876 A KR 20120092876A KR 101425949 B1 KR101425949 B1 KR 1014259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ush button
- wall
- terminal
- housing
- terminal switch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01H15/02—Details
- H01H15/04—Stationary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02—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having an operating member rectilinearly slidable in different direc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8—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the contacts or the contact sites
- H01H13/79—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the contacts or the contact sit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contacts, e.g. interspersed fingers or helical network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58—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contacts; Terminals
- H01H1/5805—Connections to printed circuits
- H01H2001/5816—Connections to flexible or curved printed circuit board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02—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having an operating member rectilinearly slidable in different directions
- H01H2025/004—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having an operating member rectilinearly slidable in different directions the operating member being depressable perpendicular to the other direc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3/00—Form of contacts
- H01H2203/02—Interspersed fi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밀기방식 신호입력장치는, 상측이 개방된 내측공간이 마련되는 하우징; 상기 내측공간에 안착되는 밀기버튼; 상기 내측공간의 내벽과 상기 밀기버튼의 외측벽 중 어느 하나를 둘러싸도록 결합되며, 둘 이상의 단자스위치를 구비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 상기 내측공간의 내벽과 상기 밀기버튼의 외측벽 중 다른 하나를 둘러싸도록 마련되어, 상기 밀기버튼이 측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단자스위치에 접촉되어 상기 단자스위치를 접속시키는 도전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밀기방식 신호입력장치는, 측방향으로 미는 조작력의 방향에 따라 상이한 종류의 입력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신호입력장치에 구비되는 버튼의 개수를 줄일 수 있고, 별도의 가압센서가 구비되지 아니하더라도 측방향으로 미는 조작력을 감지할 수 있으므로 구성이 단순해질 뿐만 아니라 제조원가가 현저히 절감될 수 있으며, 둘 이상의 입력신호를 동시에 발생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버튼이 측방향으로 밀렸을 때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신호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별도의 가압센서 없이도 버튼이 밀리는 방향에 따라 상이한 종류의 입력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밀기방식 신호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스마트 컴퓨터나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등과 같이 원격으로 제어 가능한 전자제품들이 다양하게 등장함에 따라, 상기 전자제품들에 원격으로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신호입력장치 역시 다양한 종류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원격신호입력장치로는 리모콘이 가장 일반적인데, 통상의 리모콘에는 제품의 각 기능들을 제어할 수 있는 다수의 버튼들이 장착되어 있다.
종래의 리모콘에서의 버튼 구현 방법은 스위치 방식 또는 버튼 누름 방식으로 하나의 버튼으로 하나의 기능을 구현하고 있으며, 전자제품의 다양한 기능들에 대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하고자 단축기능 버튼을 구현하고 있다. 그러나 수많은 기능들을 하나의 리모콘에 구현하기 위해서는 점차 버튼의 수가 많아지므로 리모콘의 사이즈가 점점 커지게 되고 리모콘의 구조 또한 점차적으로 복잡해져 가는 추세에 있다. 이와 같이 리모콘의 구조가 복잡해지면 사용자는 자신이 찾고자 하는 기능의 버튼이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쉽게 파악하기 어려우므로 사용상 불편함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하나의 버튼으로 2개 정도의 기능이 가능한 복합버튼을 구현할 수 있는데, 이러한 복합버튼은 키코드 변환 모드에 있어서 화살표 버튼을 이용하여 원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복합버튼을 이용하면 기능버튼 개수를 줄이는 효과는 있지만, 여전히 화살표 버튼을 반드시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기능버튼의 개수를 줄이는 데 한계가 있고, 조작이 복잡해진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측방향으로 미는 조작력이 인가되었을 때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되, 상기 조작력의 방향에 따라 상이한 종류의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며, 별도의 가압센서가 구비되지 아니하더라도 측방향으로 미는 조작력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밀기방식 신호입력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밀기방식 신호입력장치는,
상측이 개방된 내측공간이 마련되는 하우징;
상기 내측공간에 안착되는 밀기버튼;
상기 내측공간의 내벽과 상기 밀기버튼의 외측벽 중 어느 하나를 둘러싸도록 결합되며, 둘 이상의 단자스위치를 구비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
상기 내측공간의 내벽과 상기 밀기버튼의 외측벽 중 다른 하나를 둘러싸도록 마련되어, 상기 밀기버튼이 측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단자스위치에 접촉되어 상기 단자스위치를 접속시키는 도전체;
를 포함한다.
상기 밀기버튼이 측방향으로 이동되었을 때 상기 단자스위치와 상기 도전체가 이격되도록 상기 밀기버튼의 위치를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밀기버튼은 외측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하향측벽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향측벽의 내측면과 마주보도록 상향 연장되는 고정벽이 바닥면에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하향측벽과 상기 고정벽 사이에 삽입된다.
상기 하향측벽 내측면과 상기 고정벽 외측면은, 하나의 수직축을 중심으로 방사형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연결되는 다수 개의 평면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하향측벽 내측면과 상기 고정벽 외측면에 접촉된다.
상기 하향측벽 내측면과 상기 고정벽 외측면은, 상기 단자스위치와 대응되는 측에 평면이 위치되고 이웃하는 두 개의 단자스위치 사이와 대응되는 측에 모서리가 위치된다.
상기 밀기버튼은 외측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하향측벽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향측벽의 내측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향 돌출되는 복수의 고정봉이 바닥면에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하향측벽 내측면과 상기 복수의 고정봉 사이에 삽입된다.
상기 하향측벽 내측면은, 하나의 수직축을 중심으로 방사형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연결되는 다수 개의 평면을 포함한다.
상기 하향측벽 내측면은, 상기 단자스위치와 대응되는 측에 평면이 위치되고 두 개의 단자스위치 사이와 대응되는 지점에 모서리가 위치되며,
상기 복수의 고정봉은 상기 하향측벽 내측면의 모서리와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된다.
상기 하우징의 상측을 덮도록 결합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밀기버튼은, 상기 커버를 관통하여 상향 돌출되는 상단부와, 상기 상단부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내측공간 내에 위치되되 외측벽에 연성인쇄회로기판 또는 도전체가 구비되는 하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의 외측벽에는 체결턱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체결턱의 끝단이 삽입되어 걸리는 체결홈이 형성된다.
상기 밀기버튼과 상기 커버 중 어느 일측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밀기버튼과 상기 커버 중 다른 일측에는 상기 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밀기버튼의 자전이 방지되도록 구성된다.
상측이 개방된 내측공간이 마련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안착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측벽과 이격되도록 하향 연장되는 하향측벽을 구비하는 밀기버튼;
상기 하우징의 외측벽과 상기 하향측벽의 내측면 중 어느 하나를 둘러싸도록 결합되며, 둘 이상의 단자스위치를 구비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
상기 하우징의 외측벽과 상기 하향측벽의 내측면 중 다른 하나를 둘러싸도록 마련되어, 상기 밀기버튼이 측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단자스위치에 접촉되어 상기 단자스위치를 접속시키는 도전체;
를 포함한다.
상기 밀기버튼이 측방향으로 이동되었을 때 상기 단자스위치와 상기 도전체가 이격되도록 상기 밀기버튼의 위치를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벽과 상기 하향측벽 사이에 삽입된다.
상기 하우징의 외측벽면과 상기 하향측벽 내측면은 하나의 수직축을 중심으로 방사형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연결되는 다수 개의 평면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벽면과 상기 하향측벽 내측면 에 접촉된다.
상기 단자스위치는 상기 내측공간의 수직중심축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열된다.
상기 단자스위치의 개수는 4의 배수로 설정된다.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은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돔키를 구비하고,
상단이 상기 밀기버튼을 상향 관통하고 하단이 상기 돔키에 안착되는 누름버튼을 더 포함한다.
상기 누름버튼은, 상기 밀기버튼에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하는 누름봉과, 수평면적이 상기 관통공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누름봉의 하단에 결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라인과, 상기 중심라인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중심라인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분기라인 및 제2 분기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단자스위치는 상기 중심라인에 형성되고, 상기 돔키는 상기 제1 분기라인에 형성되며, 상기 제2 분기라인의 끝단에는 커넥터단자가 형성된다.
상기 제2 분기라인의 끝단은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 외부로 인출된다.
상기 단자스위치는 수평방향으로 교번으로 배열되는 부위를 갖도록 배열되는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로 구성되고,
상기 도전체에는 상기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가 교차하도록 배열되는 지점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단자스위치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단이 형성된다.
상기 돌출단은 상기 도전체의 외측면 전주에 걸쳐 형성된다.
상기 중심라인 중 상기 단자스위치가 형성된 지점의 상측과 하측에는, 상기 양극단자와 연결된 양극선과 상기 음극단자와 연결된 음극선이 각각 배치되며,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중심라인 중 상기 양극선 및 음극선이 배치된 구역을 덮도록 부착되는 보호필름을 더 포함한다.
상기 밀기버튼과 상기 하우징 중 어느 일측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밀기버튼과 상기 하우징 중 다른 일측에는 상기 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밀기버튼의 자전이 방지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단자스위치가 접속되었을 때 이동신호가 발생되되,
하나의 단자스위치가 접속되면 해당 단자스위치가 위치한 방향으로의 이동신호가 발생되고,
이웃하는 두 개의 단자스위치가 접속되면 상기 두 개의 단자스위치 사이를 향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신호가 발생된다.
이웃하는 셋 이상의 단자스위치가 접속되면, 접속된 단자스위치들이 배치된 영역의 가운데를 향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신호가 발생된다.
상기 밀기버튼은, 상면의 가운데 부위보다 상면의 가장자리 부위가 높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밀기방식 신호입력장치는, 측방향으로 미는 조작력의 방향에 따라 상이한 종류의 입력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신호입력장치에 구비되는 버튼의 개수를 줄일 수 있고, 별도의 가압센서가 구비되지 아니하더라도 측방향으로 미는 조작력을 감지할 수 있으므로 구성이 단순해질 뿐만 아니라 제조원가가 현저히 절감될 수 있으며, 둘 이상의 입력신호를 동시에 발생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신호입력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신호입력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신호입력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신호입력장치에 포함되는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전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신호입력장치에 포함되는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신호입력장치에 포함되는 밀기버튼과 누름버튼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밀기버튼이 일측으로 이동된 본 발명에 의한 신호입력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밀기버튼이 일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도전체가 단자스위치에 접촉되는 패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신호입력장치 제2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신호입력장치 제2 실시예에 포함되는 고정봉의 배열구조를 도시하는 수평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신호입력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신호입력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신호입력장치에 포함되는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전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신호입력장치에 포함되는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신호입력장치에 포함되는 밀기버튼과 누름버튼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밀기버튼이 일측으로 이동된 본 발명에 의한 신호입력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밀기버튼이 일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도전체가 단자스위치에 접촉되는 패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신호입력장치 제2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신호입력장치 제2 실시예에 포함되는 고정봉의 배열구조를 도시하는 수평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밀기방식 신호입력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신호입력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신호입력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신호입력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신호입력장치는 하나의 버튼으로 여러 종류의 입력신호를 선택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장치로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이 개방된 내측공간이 마련되는 하우징(100)과, 상기 내측공간의 내벽을 둘러싸도록 결합되며 둘 이상의 단자스위치(310)를 구비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300)과, 밀기버튼(200)의 외측벽을 둘러싸도록 마련되는 도전체(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밀기버튼(200)은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전후 및 좌우 등 측방향으로 일정 거리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는바, 사용자가 상기 밀기버튼(200)을 측방향으로 밀었을 때 도전체(400)는 밀기버튼(200)이 움직이는 방향에 위치하는 단자스위치(310)에 접촉되어 상기 단자스위치(310)를 접속시키고, 접속된 단자스위치(310)에 할당된 입력신호가 발생된다.
상기와 같이 측방향으로 버튼을 밀어 가압함에 따라 입력신호가 발생되는 밀기방식 신호입력장치는 이미 다양한 구조로 제안된 바 있는데, 종래의 밀기방식 신호입력장치는 측방향 가압을 감지하기 위한 가압센서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는바, 신호입력장치의 제조원가가 매우 높아질 수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버튼을 어느 방향으로 미는지에 따라 상이한 종류의 입력신호가 발생되도록 구성되는 경우, 가압력이 인가되는 각 방향별로 하나씩 가압센서가 장착되어야 하므로, 상기와 같은 제조원가 문제는 더욱 커지게 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한 밀기방식 신호입력장치는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별도의 가압센서 없이도 측방으로 가압력이 인가되었을 때 입력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고, 가압력이 인가되는 방향에 따라 각각 서로 다른 종류의 입력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밀기방식 신호입력장치에 포함되는 단자스위치(3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교번으로 배열되는 부위를 갖도록 즉, 상하 방향으로 요철패턴을 가지며 요철부위가 엇갈려 맞물리도록 배열되는 양극단자(312) 및 음극단자(314)로 구성되며, 상기 양극단자(312) 및 음극단자(314)는 상호 요철부위가 엇갈려 맞물리도록 배치되되 상호 미세하게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밀기버튼(200)을 측방향으로 밀어 이동시키면 밀기버튼(200)의 외측면에 구비된 도전체(400)는 단자스위치(310)에 접촉되는데, 이때 양극단자(312)와 음극단자(314)는 매우 인접하도록 배치되는바 상기 도전체(400)는 상기 양극단자(312) 및 음극단자(314) 모두에 접촉되어 단자스위치(310)를 접속시키게 되고, 접속된 단자스위치(310)에 할당된 입력신호가 발생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밀기방식 신호입력장치는, 밀기버튼(200)의 측방향 움직임을 별도의 감지센서로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연성인쇄회로기판(300)에 인쇄된 단자스위치(310)의 온(ON)/오프(OFF) 여부에 따라 판단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단자스위치(310)는 감지센서에 비해 제조비용이 매우 저렴하고 단순하므로, 제조원가 절감 및 제품의 경량화가 가능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밀기버튼(200)이 어느 일측으로 밀려 이동됨에 따라 도전체(400)가 어느 하나의 단자스위치(310)를 접속시킨 후 상기 밀기버튼(200)에 인가되어 있던 가압력이 해제되었을 때, 상기 단자스위치(310)가 접속된 상태가 계속 유지되면 사용자의 의도에 반하여 입력신호가 지속적으로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신호입력장치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밀기버튼(200)이 측방향으로 이동되었을 때 상기 단자스위치(310)와 상기 도전체(400)가 이격되도록 상기 밀기버튼(200)의 위치를 복귀시키는 탄성부재(600)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이 탄성부재(600)가 구비되면, 상기 밀기버튼(200)에 인가되었던 측방향 외력이 해제되었을 때 상기 밀기버튼(200)은 상기 탄성부재(600)의 탄성력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되는바, 단자스위치(310)와 도전체(400)가 이격된 상태 즉, 어떠한 입력신호도 발생되지 아니하는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탄성부재(600)가 하우징(100)의 측벽과 밀기버튼(200)의 측벽 사이에 구비되면 연성인쇄회로기판(300) 및 도전체(400)의 장착공간 확보를 위해 하우징(100) 및 밀기버튼(200)의 높이를 증대시켜야 하므로, 제품의 소형화에 한계가 발생된다. 따라서 밀기버튼(200)은 외측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하향측벽(222)을 구비하고, 하우징(100)은 상기 하향측벽(222)의 내측면과 마주보도록 상향 연장되는 고정벽(110)이 바닥면에 형성되며, 탄성부재(600)는 하향측벽(222)과 고정벽(110) 사이에 삽입되도록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탄성부재(600)가 하향측벽(222)의 안쪽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탄성부재(600)가 다른 구성요소들과 간섭될 우려가 없으므로 밀기버튼(200)을 미는 힘의 크기나 밀기버튼(200)의 무게 등 여러 가지 조건에 맞춰 탄성부재(600)의 두께 및 높이 등을 자유롭게 선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600)는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측벽(222)과 고정벽(110) 사이에 삽입되어 밀기버튼(200)이 측방으로 이동할 때 압축됨으로써 상기 밀기버튼(200)에 복원탄성력을 인가하는 카본스펀지나 실리콘 등과 같은 탄성재로 적용될 수도 있고, 하우징(100)과 밀기버튼(200) 사이에 장착되어 밀기버튼(200)이 원상태로 복귀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스프링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이동 가능한 부품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600)는 본 발명이 해당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밀기버튼(200)이 수직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자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면, 밀기버튼(200)을 측방향으로 미는 과정에서 상기 밀기버튼(200)이 자전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지 아니하는 방향으로 밀기버튼(200)이 밀리는 현상이 발생될 수도 있고, 이에 따라 조작에 어려움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밀기버튼(200)이 수직방향 회전축을 중심으로 자전이 불가하도록, 상기 하향측벽(222) 내측면과 상기 고정벽(110) 외측면은 하나의 수직축(본 실시예에서는 밀기버튼(200)의 수직중심축)을 중심으로 방사형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연결되는 다수 개의 평면을 포함하고, 탄성부재(600)는 하향측벽(222) 내측면과 고정벽(110) 외측면에 접촉된다. 이와 같이 하향측벽(222) 내측면과 고정벽(110) 외측면이 위에서 보았을 때 다각형을 이루고, 하향측벽(222) 내측면과 고정벽(110) 외측면 사이에 삽입되는 탄성부재(600) 역시 다각형 링 형상으로 형성되면, 밀기버튼(200)을 수직방향 회전축을 중심으로 자전시키고자 할 때 탄성부재(600) 일부(더 명확하게는 고정벽(100) 외측면이 절곡된 부위)가 과도하게 압축되어 상기 밀기버튼(200)의 자전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밀기버튼(200)과 하우징(100) 중 어느 일측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밀기버튼(200)과 하우징(100) 중 다른 일측에는 상기 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밀기버튼(200)의 자전이 방지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돌기가 삽입홈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되면, 밀기버튼(200)이 하우징(100)에 안착된 상태에서 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없으므로, 상기 삽입홈은 돌기에 비해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하향측벽(222) 내측면과 고정벽(110) 외측면과 탄성부재(600)의 수평단면이 각각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면, 밀기버튼(200)을 변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밀 때에는 밀기버튼(200)의 밀림방향이 좌우로 편향되지 아니하지만, 밀기버튼(200)을 꼭지점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밀 때에는 밀기버튼(200)의 밀림방향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편향될 우려가 있다. 밀기버튼(200)을 측방으로 미는 것은 도전체(400)를 단자스위치(310)에 접촉시키기 위함인데,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밀기버튼(200)의 밀림방향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편향되면 단자스위치(310)의 접속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하향측벽(222) 내측면과 상기 고정벽(110) 외측면은, 단자스위치(310)와 대응되는 측에 평면이 위치되고 이웃하는 두 개의 단자스위치(310) 사이와 대응되는 측에 모서리가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스위치(310)가 8개 구비되는 경우 하향측벽(222) 내측면과 고정벽(110) 외측면은 8개의 평면이 수직중심축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열되는 형상 즉, 수평단면이 8각형을 이루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밀기버튼(200)이 단순히 하우징(100) 내에 안착되도록 구성되면 상기 밀기버튼(200)이 상향으로 쉽게 빠질 수 있으므로, 상기 하우징(100)의 상측을 덮도록 결합되는 커버(700)를 더 포함하되, 밀기버튼(200)은 커버(700)를 관통하여 상향 돌출되는 상단부(210) 및 이의 하측에 결합되어 하우징(100)의 내측공간 내에 위치되는 하단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밀기버튼(200)이 상단부(210)와 하단부(220)로 구분되는 경우, 도전체(400)는 내측공간의 내벽과 대응되는 하단부(220)의 외측면에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이때, 상기 커버(700)가 별도의 체결요소 없이 하우징(100)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우징(100)의 외측벽에는 체결턱(120)이 형성되고, 커버에는 상기 체결턱(120)의 끝단이 삽입되어 걸리는 체결홈(720)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턱(120)과 체결홈(720)은 본원발명이 해당하는 기술분야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널리 활용되고 있으므로, 이들의 체결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커버(700)가 구비되는 경우, 밀기버튼(200)과 커버(700) 중 어느 일측에 돌기를 형성하고, 밀기버튼(200)과 커버(700) 중 다른 일측에 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형성함으로써, 밀기버튼(200)이 수직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자전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00)에 연성인쇄회로기판(300)이 장착되고 밀기버튼(200)에 도전체(400)가 장착되는 구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300)과 도전체(400)의 장착위치는 상호 바뀔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밀기버튼(200)의 하향측벽(222)이 하우징(100)의 내측에 위치되는 경우만을 설명하였으나, 상기 밀기버튼(200)은 하우징(100) 상측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크게 제작되어 하향측벽(222)이 하우징(100)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즉, 하우징(100)의 외측벽과 마주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향측벽(222)이 하우징(100)의 외측에 위치되는 경우, 연성인쇄회로기판(300)은 하우징(100)의 외측벽과 하향측벽(222)의 내측면 중 어느 하나를 둘러싸도록 결합되고, 도전체(400)는 하우징(100)의 외측벽과 하향측벽(222)의 내측면 중 다른 하나를 둘러싸도록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경우, 탄성부재(600)는 하우징(100)의 외측벽과 하향측벽(222) 사이에 삽입될 수 있고, 밀기버튼(200)의 자전 방지를 위해 하우징(100)의 외측벽면과 하향측벽(222) 내측면의 수평단면이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신호입력장치에 포함되는 연성인쇄회로기판(300)의 전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신호입력장치에 포함되는 연성인쇄회로기판(300)의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포함되는 연성인쇄회로기판(300)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라인(301)과, 상기 중심라인(301)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중심라인(301)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분기라인(302) 및 제2 분기라인(303)으로 구성되고, 단자스위치(310)와 돔키(320)는 각각 중심라인(301)과 제1 분기라인(302)에 형성되며, 상기 제2 분기라인(303)의 끝단에는 각 단자스위치(310)와의 전류 및 신호 전달을 위한 커넥터단자(330)가 형성된다. 각 단자스위치(310)는 상하방향으로 요철패턴을 갖는 양극단자(312) 및 음극단자(314)로 구성되고, 상기 양극단자(312) 및 음극단자(314)는 도 4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 요철패턴이 상호 엇갈려 맞물리도록 배치되는바, 단자스위치(310)에 도전체(400)가 접촉되었을 때 양극단자(312)와 음극단자(314) 간의 접속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양극단자(312)와 음극단자(314)는 양극선(322)과 음극선(324)을 통해 커넥터단자(330)에 연결되는데, 음극선(324)은 하나만 마련되어 모든 음극단자(314) 및 돔키(320)의 음극과 연결된 후 커넥터단자(330)로 연장되고, 양극선(322)은 각각의 양극단자(312)와 돔키(320)의 양극에 각각 독립적으로 연결되어 커넥터단자(330)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단자스위치(310)와 돔키(320)는 밀기버튼(200) 및 누름버튼(500)에 의해 조작될 수 있도록 하우징(100) 내측에 장착되고, 커넥터단자(330)는 하우징(100) 외부의 부품들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우징(100)을 관통하여 하우징(100) 외부로 인출된다.
양극단자(312)와 음극단자(314)는 도전체(400)와의 접촉을 위해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야 하지만, 양극선(322)과 음극선(324)은 다른 부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었을 때 쇼트가 발생될 우려가 있으므로, 연성인쇄회로기판(300)은 중심라인(301) 중 양극선(322) 및 음극선(324)이 배치된 구역을 덮도록 부착되는 보호필름(340)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다수 개의 단자스위치(310)가 중심라인(301)의 길이방향 중단을 따라 일렬로 배열되는 경우, 양극선(322)과 음극선(324)은 단자스위치(310)가 배열된 지점의 상측과 하측에 배열되고, 상기 보호필름(340) 역시 단자스위치(310)가 배열된 지점의 상측과 하측에 부착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밀기버튼(200)의 이동방향에 따라 발생되는 입력신호가 명확하게 구분될 수 있도록 단자스위치(310)는 내측공간의 수직중심축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열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신호입력장치가 마우스 커서를 이동시키거나 화면을 이동시키는 이동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경우, 상기 이동신호는 기본적으로 전, 후, 좌, 우 방향으로 구분되어야 하는바, 상기 단자스위치(310)는 최소 4개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4방향의 사이방향 즉, 대각선 방향으로의 이동신호를 추가적으로 발생시키고자 하는 경우 상기 단자스위치(31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8개 마련되어야 하며, 상기 4방향의 사이마다 2개의 대각선 방향 이동신호를 발생시키고자 하는 경우 상기 단자스위치(310)는 12개 마련되어야 한다. 다시 말하면, 하나의 연성인쇄회로기판(300)에 마련되는 상기 단자스위치(310)의 개수는 전, 후, 좌, 후 4방향에 각각 하나씩 총 4개를 기본으로 하며 4개 단위로 추가되는 구조 즉, 4의 배수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신호입력장치는 밀기버튼(200)을 측방으로 미는 조작 이외에 하향 가압력에 의해 또 다른 종류의 입력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연성인쇄회로기판(300)은 하우징(100)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돔키(320)를 구비하고, 상단이 밀기버튼(200)을 상향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하단이 돔키(320)에 안착되어 하향 가압력이 인가될 때 아래로 밀려 상기 돔키(320)를 누르는 누름버튼(500)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누름버튼(500) 전체가 밀기버튼(200)을 상향으로 완전히 관통할 수 있도록 구성되면 상기 누름버튼(500)의 분실이 유발되는바, 상기 누름버튼(500)은 밀기버튼(200)에 형성된 관통공(212)을 관통하는 누름봉(510)과, 수평면적이 관통공(212)보다 크게 형성되어 누름봉(510)의 하단에 결합되는 안착부(520)를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신호입력장치에 포함되는 밀기버튼(200)과 누름버튼(500)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포함되는 누름버튼(500)은 누름봉(510)이 밀기버튼(200)에 삽입된 상태에서 하향으로 이동될 수는 있지만 상향으로는 이동될 수 없도록, 안착부(520)가 밀기버튼(200)의 관통공(212)보다 넓은 면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누름봉(510)이 밀기버튼(200)의 관통공(212)에 삽입된 상태에서 수직 중심축을 중심으로 자전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안착부(520)는 다각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작되고, 밀기버튼(200)의 저면에는 안착부(520)의 외측단에 접촉되도록 하향 돌출되는 가이드돌기(224)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누름버튼(500)을 하향 가압하는 조작력이 돔키(320)를 누르는데 집중될 수 있도록, 안착부(520)의 저면 중 돔키(320)와 대응되는 부위에는 하향으로 돌출되는 가압돌기(522)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밀기버튼(200)이 일측으로 이동된 본 발명에 의한 신호입력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8 내지 도 11은 밀기버튼(200)이 일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도전체(400)가 단자스위치(310)에 접촉되는 패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상기 단자스위치(310)는 수평방향으로 교번으로 배열되는 부위를 갖도록 즉, 상하방향으로 돌출되는 요철패턴을 갖되 요철패턴이 상호 맞물리도록 배열되는 양극단자(312) 및 음극단자(314)로 구성되는바, 양극단자(312)와 음극단자(314)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해서는 양극단자(312) 및 음극단자(314)가 교번으로 배열되는 지점에 상기 도전체(400)가 접촉됨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밀기버튼(200)이 측방향으로 가압될 때 양극단자(312) 및 음극단자(314)가 교번으로 배열되는 지점에 도전체(400)가 더욱 큰 압력으로 압착될 수 있도록, 상기 도전체(400)에는 단자스위치(310)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단(4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돌출단(410)이 형성되면 밀기버튼(200)을 측방향으로 미는 힘이 상기 돌출단(410)에 집중되는바, 양극단자(312)와 음극단자(314)의 전기적 연결 즉, 단자스위치(310)의 접속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중심라인(301)의 상측과 하측에 두꺼운 보호필름(340)이 추가로 부착되는 경우에는, 돌출단(410)이 형성되지 아니한 도전체(400)를 중심라인(301)측으로 가압하였을 때 상기 도전체(400)는 보호필름(340)에만 압착되고 단자스위치(310)에는 접촉되지 못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체(400)에 돌출단(410)이 형성되면 두꺼운 보호필름(340)이 단자스위치(310)의 상하측에 부착되더라도 상기 돌출단(410)은 단자스위치(310)에 압착될 수 있는바, 단자스위치(310)의 접속 신뢰성이 현저히 높아지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돌출단(410)은 각 방향의 단자스위치(310)를 가압할 수 있도록 도전체(400)의 외측면 전주에 걸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신호입력장치의 작동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신호입력장치에 아무런 외력이 인가되지 아니하는 상태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체(400)에 형성된 돌출단(410)이 어떠한 단자스위치(310)와도 접속되지 아니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밀기버튼(200)을 전방으로 밀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단(410)은 전방에 위치하는 단자스위치(310)를 가압하여 접속시키게 되고, 본 발명에 의한 신호입력장치는 전방에 위치하는 단자스위치(310)에 할당된 입력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예를 들어, 단자스위치(310)가 접속될 때 마우스커서 이동신호가 발생되도록 설정되는 경우, 마우스커서는 모니터(미도시) 상에서 12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밀기버튼(200)을 미는 방향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단자스위치(310) 사이를 향하는 경우, 돌출단(410)은 전방에 위치한 단자스위치(310)와 전방 좌측에 위치한 단자스위치(310)를 접속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이웃하는 두 개의 단자스위치(310)가 접속되면 상기 두 개의 단자스위치(310) 사이를 향하는 방향으로 마우스커서가 움직이도록 이동신호가 발생된다.
또한, 밀기버튼(200)을 측방향으로 미는 힘이 매우 큰 경우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는 세 개의 단자스위치(310)가 접속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 접속된 단자스위치(310)들이 배치된 영역의 가운데를 향하는 방향 즉, 접속된 단자스위치(310) 중 가운데 단자스위치(310)를 향하는 방향으로 마우스커서가 움직이도록 이동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이웃하는 네 개의 단자스위치(310)가 접속되는 경우, 중단에 위치하는 두 개의 단자스위치(310) 사이 방향으로 마우스커서가 움직이도록 이동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밀기버튼(200)이 마우스와 같이 커서를 이동시키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용도로 활용되는 경우, 누름버튼(500)이 마우스에 구비된 버튼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누름버튼(500)을 연속으로 2회 눌러 실행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고, 누름버튼(500)을 누른 상태에서 밀기버튼(200)을 밀어 드래그 & 드롭을 구현할 수도 있으며, 이 외에도 화면 스크롤 및 화면 축소/확대를 구현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신호입력장치 제2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신호입력장치 제2 실시예에 포함되는 고정봉의 배열구조를 도시하는 수평단면도이다.
밀기버튼(200)이 탄성부재(600)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상기 탄성부재(600)의 내측을 지지하는 고정벽(110)은,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가 아닌 복수 개의 고정봉(110a)으로 대체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신호입력장치는, 하향측벽(222)의 내측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향 돌출되는 복수의 고정봉(110a)이 하우징(100)의 바닥면에 형성되며, 탄성부재(600)가 하향측벽(222) 내측면과 복수의 고정봉(110a) 사이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벽(110)이 고정봉(110a)으로 대체되면, 밀기버튼(200)을 측방으로 밀 때 탄성부재(600)가 압축되는 부위가 작아지므로 작은 힘으로도 밀기버튼(200)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으며, 하우징(100) 내부의 공간이 보다 넓게 확보되므로 제품설계가 용이해지고, 제품의 경량화가 가능해진다는 장점도 있다.
한편, 고정봉(110a)이 단자스위치(310)와 대응되는 측에 위치되면, 밀기버튼(200)을 단자스위치(310)쪽으로 밀었을 때 밀기버튼(200)이 고정봉(110a)을 중심으로 좌측이나 우측으로 틀어져 상기 단자스위치(310)를 정확하게 접속시키지 못하게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하향측벽(222) 내측면은 단자스위치(310)와 대응되는 측에 평면이 위치되고 두 개의 단자스위치(310) 사이와 대응되는 지점에 모서리가 위치되도록 배치되고, 복수의 고정봉(110a)은 하향측벽(222) 내측면의 모서리와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측벽(222) 내측면의 모서리와 대응되는 지점마다 고정봉(110a)이 위치되면, 사용자가 밀기버튼(200)을 전방으로 밀었을 때 하향측벽(222)의 내측면 모서리 중 가장 후방에 위치하는 두 개의 모서리가 가장 후방에 위치하는 두 개의 고정봉(110a)에 지지되므로, 좌측이나 우측으로 틀어질 우려가 없어진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밀기버튼(200)의 상면이 전체적으로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면, 사용자가 밀기버튼(200)의 상면에 손가락을 얹어 놓은 상태에서 밀기버튼(200)을 측방으로 밀었을 때, 사용자의 손가락이 밀기버튼(200)의 상면으로부터 미끄러질 우려가 있다. 또한, 누름버튼(500)이 구비되는 경우, 사용자가 밀기버튼(200)의 상면에 손가락을 얹어 놓고 측방으로 미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의도에 반하여 누름버튼(500)이 눌러지게 될 우려도 있다. 따라서 상기 밀기버튼(200)은 상면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얹어졌을 때 수평방향으로의 미끄러짐 방지 및 누름버튼(500) 가압이 방지될 수 있도록, 상면의 가운데 부위보다 상면의 가장자리 부위가 높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밀기버튼(200)은, 상면이 가운데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고, 상면의 가장자리 부위에 상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14)가 추가로 마련될 수도 있다. 물론, 밀기버튼(200)의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과 돌출부(214)가 추가로 마련되는 것이 모두 적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밀기버튼(200)의 상면 가장자리 부위가 높게 형성되면, 밀기버튼(200)의 조작이 더욱 용이해지고, 누름버튼(500) 오작동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하우징 110 : 고정벽
120 : 체결턱 200 : 밀기버튼
210 : 상단부 212 : 관통공
220 : 하단부 222 : 하향측벽
224 : 가이드돌기 300 : 연성인쇄회로기판
301 : 중심라인 302 : 제1 분기라인
303 : 제2 분기라인 310 : 단자스위치
312 : 양극단자 314 : 음극단자
320 : 돔키 330 : 커넥터단자
322 : 양극선 324 : 음극선
340 : 보호필름 400 : 도전체
410 : 돌출단 500 : 누름버튼
510 : 누름봉 520 : 안착부
600 : 탄성부재 700 : 커버
710 : 개구부 720 : 체결홈
120 : 체결턱 200 : 밀기버튼
210 : 상단부 212 : 관통공
220 : 하단부 222 : 하향측벽
224 : 가이드돌기 300 : 연성인쇄회로기판
301 : 중심라인 302 : 제1 분기라인
303 : 제2 분기라인 310 : 단자스위치
312 : 양극단자 314 : 음극단자
320 : 돔키 330 : 커넥터단자
322 : 양극선 324 : 음극선
340 : 보호필름 400 : 도전체
410 : 돌출단 500 : 누름버튼
510 : 누름봉 520 : 안착부
600 : 탄성부재 700 : 커버
710 : 개구부 720 : 체결홈
Claims (28)
- 상측이 개방된 내측공간이 마련되는 하우징;
상기 내측공간에 안착되는 밀기버튼;
상기 내측공간의 내벽과 상기 밀기버튼의 외측벽 중 어느 하나를 둘러싸도록 결합되며, 둘 이상의 단자스위치를 구비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
상기 내측공간의 내벽과 상기 밀기버튼의 외측벽 중 다른 하나를 둘러싸도록 마련되어, 상기 밀기버튼이 측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단자스위치에 접촉되어 상기 단자스위치를 접속시키는 도전체;를 포함하며,
상기 밀기버튼이 측방향으로 이동되었을 때 상기 단자스위치와 상기 도전체가 이격되도록 상기 밀기버튼의 위치를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밀기버튼은 외측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하향측벽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향측벽의 내측면과 마주보도록 상향 연장되는 고정벽이 바닥면에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하향측벽과 상기 고정벽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입력장치.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측벽 내측면과 상기 고정벽 외측면은, 하나의 수직축을 중심으로 방사형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연결되는 다수 개의 평면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하향측벽 내측면과 상기 고정벽 외측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입력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측벽 내측면과 상기 고정벽 외측면은, 상기 단자스위치와 대응되는 측에 평면이 위치되고 이웃하는 두 개의 단자스위치 사이와 대응되는 측에 모서리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입력장치.
- 삭제
- 상측이 개방된 내측공간이 마련되는 하우징;
상기 내측공간에 안착되는 밀기버튼;
상기 내측공간의 내벽과 상기 밀기버튼의 외측벽 중 어느 하나를 둘러싸도록 결합되며, 둘 이상의 단자스위치를 구비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
상기 내측공간의 내벽과 상기 밀기버튼의 외측벽 중 다른 하나를 둘러싸도록 마련되어, 상기 밀기버튼이 측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단자스위치에 접촉되어 상기 단자스위치를 접속시키는 도전체;를 포함하며,
상기 밀기버튼이 측방향으로 이동되었을 때 상기 단자스위치와 상기 도전체가 이격되도록 상기 밀기버튼의 위치를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밀기버튼은 외측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하향측벽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향측벽의 내측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향 돌출되는 복수의 고정봉이 바닥면에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하향측벽 내측면과 상기 복수의 고정봉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하향측벽 내측면은, 하나의 수직축을 중심으로 방사형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연결되는 다수 개의 평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입력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측벽 내측면은, 상기 단자스위치와 대응되는 측에 평면이 위치되고 두 개의 단자스위치 사이와 대응되는 지점에 모서리가 위치되며,
상기 복수의 고정봉은 상기 하향측벽 내측면의 모서리와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입력장치.
-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측을 덮도록 결합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밀기버튼은, 상기 커버를 관통하여 상향 돌출되는 상단부와, 상기 상단부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내측공간 내에 위치되되 외측벽에 연성인쇄회로기판 또는 도전체가 구비되는 하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입력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측벽에는 체결턱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체결턱의 끝단이 삽입되어 걸리는 체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입력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밀기버튼과 상기 커버 중 어느 일측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밀기버튼과 상기 커버 중 다른 일측에는 상기 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밀기버튼의 자전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입력장치.
- 상측이 개방된 내측공간이 마련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안착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측벽과 이격되도록 하향 연장되는 하향측벽을 구비하는 밀기버튼;
상기 하우징의 외측벽과 상기 하향측벽의 내측면 중 어느 하나를 둘러싸도록 결합되며, 둘 이상의 단자스위치를 구비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
상기 하우징의 외측벽과 상기 하향측벽의 내측면 중 다른 하나를 둘러싸도록 마련되어, 상기 밀기버튼이 측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단자스위치에 접촉되어 상기 단자스위치를 접속시키는 도전체;를 포함하되,
상기 밀기버튼이 측방향으로 이동되었을 때 상기 단자스위치와 상기 도전체가 이격되도록 상기 밀기버튼의 위치를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입력장치.
- 삭제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벽과 상기 하향측벽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입력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측벽면과 상기 하향측벽 내측면은 하나의 수직축을 중심으로 방사형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연결되는 다수 개의 평면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벽면과 상기 하향측벽 내측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입력장치.
-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스위치는 상기 내측공간의 수직중심축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입력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스위치의 개수는 4의 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입력장치.
- 상측이 개방된 내측공간이 마련되는 하우징;
상기 내측공간에 안착되는 밀기버튼;
상기 내측공간의 내벽과 상기 밀기버튼의 외측벽 중 어느 하나를 둘러싸도록 결합되며, 둘 이상의 단자스위치를 구비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
상기 내측공간의 내벽과 상기 밀기버튼의 외측벽 중 다른 하나를 둘러싸도록 마련되어, 상기 밀기버튼이 측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단자스위치에 접촉되어 상기 단자스위치를 접속시키는 도전체;를 포함하며,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은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돔키를 구비하고,
상단이 상기 밀기버튼을 상향 관통하고 하단이 상기 돔키에 안착되는 누름버튼을 더 포함하되,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라인과, 상기 중심라인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중심라인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분기라인 및 제2 분기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단자스위치는 상기 중심라인에 형성되고, 상기 돔키는 상기 제1 분기라인에 형성되며, 상기 제2 분기라인의 끝단에는 커넥터단자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입력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버튼은, 상기 밀기버튼에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하는 누름봉과, 수평면적이 상기 관통공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누름봉의 하단에 결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입력장치.
- 삭제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분기라인의 끝단은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 외부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입력장치.
- 상측이 개방된 내측공간이 마련되는 하우징;
상기 내측공간에 안착되는 밀기버튼;
상기 내측공간의 내벽과 상기 밀기버튼의 외측벽 중 어느 하나를 둘러싸도록 결합되며, 둘 이상의 단자스위치를 구비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
상기 내측공간의 내벽과 상기 밀기버튼의 외측벽 중 다른 하나를 둘러싸도록 마련되어, 상기 밀기버튼이 측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단자스위치에 접촉되어 상기 단자스위치를 접속시키는 도전체;를 포함하며,
상기 단자스위치는 수평방향으로 교번으로 배열되는 부위를 갖도록 배열되는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로 구성되고,
상기 도전체에는 상기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가 교차하도록 배열되는 지점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단자스위치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입력장치.
-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단은 상기 도전체의 외측면 전주에 걸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입력장치.
-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스위치가 형성된 지점의 상측과 하측에는, 상기 양극단자와 연결된 양극선과 상기 음극단자와 연결된 음극선이 각각 배치되며,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양극선 및 음극선이 배치된 구역을 덮도록 부착되는 보호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입력장치.
-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밀기버튼과 상기 하우징 중 어느 일측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밀기버튼과 상기 하우징 중 다른 일측에는 상기 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밀기버튼의 자전이 방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입력장치.
- 상측이 개방된 내측공간이 마련되는 하우징;
상기 내측공간에 안착되는 밀기버튼;
상기 내측공간의 내벽과 상기 밀기버튼의 외측벽 중 어느 하나를 둘러싸도록 결합되며, 둘 이상의 단자스위치를 구비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
상기 내측공간의 내벽과 상기 밀기버튼의 외측벽 중 다른 하나를 둘러싸도록 마련되어, 상기 밀기버튼이 측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단자스위치에 접촉되어 상기 단자스위치를 접속시키는 도전체;를 포함하며,
상기 단자스위치가 접속되었을 때 이동신호가 발생되되,
하나의 단자스위치가 접속되면 해당 단자스위치가 위치한 방향으로의 이동신호가 발생되고,
이웃하는 두 개의 단자스위치가 접속되면 상기 두 개의 단자스위치 사이를 향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신호가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입력장치.
- 제26항에 있어서,
이웃하는 셋 이상의 단자스위치가 접속되면, 접속된 단자스위치들이 배치된 영역의 가운데를 향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신호가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입력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기버튼은, 상면의 가운데 부위보다 상면의 가장자리 부위가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입력장치.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92876A KR101425949B1 (ko) | 2012-08-24 | 2012-08-24 | 밀기방식 신호입력장치 |
EP13831673.2A EP2889888B1 (en) | 2012-08-24 | 2013-08-23 | Sliding-type signal input device |
US14/423,370 US9874941B2 (en) | 2012-08-24 | 2013-08-23 | Sliding-type signal input device |
ES13831673.2T ES2676842T3 (es) | 2012-08-24 | 2013-08-23 | Dispositivo de entrada de señal de tipo deslizante |
CN201380044305.6A CN104662632B (zh) | 2012-08-24 | 2013-08-23 | 滑动式信号输入装置 |
PCT/KR2013/007555 WO2014030949A1 (ko) | 2012-08-24 | 2013-08-23 | 밀기방식 신호입력장치 |
JP2015528400A JP5996113B2 (ja) | 2012-08-24 | 2013-08-23 | スライド式信号入力装置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92876A KR101425949B1 (ko) | 2012-08-24 | 2012-08-24 | 밀기방식 신호입력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26014A KR20140026014A (ko) | 2014-03-05 |
KR101425949B1 true KR101425949B1 (ko) | 2014-08-05 |
Family
ID=50150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92876A KR101425949B1 (ko) | 2012-08-24 | 2012-08-24 | 밀기방식 신호입력장치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9874941B2 (ko) |
EP (1) | EP2889888B1 (ko) |
JP (1) | JP5996113B2 (ko) |
KR (1) | KR101425949B1 (ko) |
CN (1) | CN104662632B (ko) |
ES (1) | ES2676842T3 (ko) |
WO (1) | WO2014030949A1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9521Y1 (ko) * | 2015-01-07 | 2016-02-15 | 김기연 | 디지털 시건 장치 |
KR20200119643A (ko) | 2019-04-10 | 2020-10-20 | 주식회사 비엘디 | 마우스와 터치패드 결합형 t-마우스 모듈 |
WO2020213966A1 (ko) | 2019-04-17 | 2020-10-22 | 주식회사 비엘디 | 4차원 터치패드 모듈 |
KR102372938B1 (ko) | 2020-10-15 | 2022-03-08 | 현의섭 | 영역분할 및 이원구동의 터치 입력모듈을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 |
KR20220049770A (ko) | 2020-10-15 | 2022-04-22 | 현의섭 | 영역분할 및 이원구동의 터치 입력모듈을 구비한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 |
KR20220050460A (ko) | 2020-10-16 | 2022-04-25 | 현의섭 | 영역분할 및 이원구동의 착탈식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컴퓨터 |
KR20230151497A (ko) | 2022-04-25 | 2023-11-01 | 주식회사 비엘디 | 배면 터치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스마트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53342B1 (ko) * | 2014-11-03 | 2016-09-01 | (주)아이티버스 | 신호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구동장치 |
KR101637985B1 (ko) * | 2015-02-16 | 2016-07-08 | (주)아이티버스 |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
KR102180169B1 (ko) * | 2017-05-19 | 2020-11-18 | (주)아이티버스 | 스마트 컨트롤러 |
CN107219936B (zh) * | 2017-05-26 | 2020-05-19 | 信阳师范学院 | 口含式鼠标 |
US10276324B1 (en) * | 2017-10-31 | 2019-04-30 | Google Llc | Keypad device with rocker button mechanism |
KR102176089B1 (ko) | 2018-04-17 | 2020-11-10 | (주)아이티버스 | 신호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
CN112216546B (zh) * | 2020-10-30 | 2024-03-22 | 上海延锋金桥汽车饰件系统有限公司 | 一种电子开关 |
CN117153605B (zh) * | 2023-10-30 | 2024-01-16 | 深圳市今天国际物流技术股份有限公司 | 一种agv遥控装置的控制装置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115637A (ja) * | 1994-10-17 | 1996-05-07 | Sony Corp | 自動復帰式スライドスイッチおよびスライド構造 |
KR20020033583A (ko) * | 2000-10-31 | 2002-05-07 | 후루하시 켄지 | 슬라이드조작식 스위치 |
JP2010153159A (ja) | 2008-12-25 | 2010-07-08 |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 多方向スライド式スイッチ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45857Y2 (ja) | 1987-12-26 | 1995-10-18 | 旭光学工業株式会社 | スイッチ装置 |
JPH09231858A (ja) * | 1996-02-22 | 1997-09-05 | Hokuriku Electric Ind Co Ltd | シートキーと操作ユニット |
JP3954784B2 (ja) * | 2000-08-22 | 2007-08-08 |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 多方向入力装置 |
JP3652234B2 (ja) | 2000-10-31 | 2005-05-25 | ホシデン株式会社 | スライド操作式スイッチ |
JP2003151404A (ja) * | 2001-11-14 | 2003-05-23 | Alps Electric Co Ltd | 多方向入力装置 |
JP4169983B2 (ja) * | 2002-02-15 | 2008-10-22 |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 多方向入力装置 |
JP2004319182A (ja) * | 2003-04-14 | 2004-11-11 | Calsonic Kansei Corp | 多方向スイッチ |
JP4278529B2 (ja) * | 2004-02-13 | 2009-06-17 |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 多方向入力装置 |
JP4721874B2 (ja) * | 2005-11-02 | 2011-07-13 | ホシデン株式会社 | スライド操作式スイッチ |
JP4674167B2 (ja) * | 2006-01-25 | 2011-04-20 | ホシデン株式会社 | スライド操作式スイッチ |
CN101743605B (zh) * | 2007-06-22 | 2014-11-05 | 英迪股份有限公司 | 用于电子产品的按钮 |
JP2009224212A (ja) * | 2008-03-17 | 2009-10-01 | Hosiden Corp | スライド操作式スイッチ |
US20130032457A1 (en) * | 2011-08-05 | 2013-02-07 | Coactive Technologies, Llc. | Pushbutton switch |
US9741509B2 (en) * | 2012-10-19 | 2017-08-22 | Apple Inc. | Slide input component assemblies of a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
-
2012
- 2012-08-24 KR KR1020120092876A patent/KR10142594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3
- 2013-08-23 JP JP2015528400A patent/JP5996113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3-08-23 US US14/423,370 patent/US9874941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3-08-23 EP EP13831673.2A patent/EP2889888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13-08-23 WO PCT/KR2013/007555 patent/WO2014030949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3-08-23 ES ES13831673.2T patent/ES2676842T3/es active Active
- 2013-08-23 CN CN201380044305.6A patent/CN104662632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115637A (ja) * | 1994-10-17 | 1996-05-07 | Sony Corp | 自動復帰式スライドスイッチおよびスライド構造 |
KR20020033583A (ko) * | 2000-10-31 | 2002-05-07 | 후루하시 켄지 | 슬라이드조작식 스위치 |
JP2010153159A (ja) | 2008-12-25 | 2010-07-08 |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 多方向スライド式スイッチ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9521Y1 (ko) * | 2015-01-07 | 2016-02-15 | 김기연 | 디지털 시건 장치 |
KR20200119643A (ko) | 2019-04-10 | 2020-10-20 | 주식회사 비엘디 | 마우스와 터치패드 결합형 t-마우스 모듈 |
KR102236945B1 (ko) * | 2019-04-10 | 2021-04-05 | 주식회사 비엘디 | 마우스와 터치패드 결합형 t-마우스 모듈 |
WO2020213966A1 (ko) | 2019-04-17 | 2020-10-22 | 주식회사 비엘디 | 4차원 터치패드 모듈 |
KR20200122032A (ko) | 2019-04-17 | 2020-10-27 | 주식회사 비엘디 | 터치패드 모듈 |
US11366533B2 (en) | 2019-04-17 | 2022-06-21 | Bld Co., Ltd | Four-dimensional touch pad module |
KR102372938B1 (ko) | 2020-10-15 | 2022-03-08 | 현의섭 | 영역분할 및 이원구동의 터치 입력모듈을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 |
KR20220049770A (ko) | 2020-10-15 | 2022-04-22 | 현의섭 | 영역분할 및 이원구동의 터치 입력모듈을 구비한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 |
KR20220050460A (ko) | 2020-10-16 | 2022-04-25 | 현의섭 | 영역분할 및 이원구동의 착탈식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컴퓨터 |
KR20230151497A (ko) | 2022-04-25 | 2023-11-01 | 주식회사 비엘디 | 배면 터치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스마트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4662632B (zh) | 2018-07-17 |
EP2889888A1 (en) | 2015-07-01 |
EP2889888B1 (en) | 2018-04-11 |
JP2015529955A (ja) | 2015-10-08 |
ES2676842T3 (es) | 2018-07-25 |
WO2014030949A1 (ko) | 2014-02-27 |
US20150301614A1 (en) | 2015-10-22 |
KR20140026014A (ko) | 2014-03-05 |
EP2889888A4 (en) | 2016-05-25 |
JP5996113B2 (ja) | 2016-09-21 |
CN104662632A (zh) | 2015-05-27 |
US9874941B2 (en) | 2018-01-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25949B1 (ko) | 밀기방식 신호입력장치 | |
US9880648B2 (en) | Touch pad input device | |
US7294795B1 (en) | Slide switch | |
EP3133628B1 (en) | Input apparatus | |
JP2009199729A (ja) | リモコン送信機 | |
CN105190817B (zh) | 旋转操作型开关 | |
KR100923971B1 (ko) | 스위치장치 | |
CN210466335U (zh) | 开关模块 | |
US8946569B2 (en) | Multi-directional button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 |
US9715976B2 (en) | Keyboard device | |
US10671184B2 (en) | Signal input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driving device using same | |
CN107887186B (zh) | 按键 | |
KR20160011516A (ko) | 밀기방식 신호입력장치 | |
KR102176089B1 (ko) | 신호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 |
CN103777808A (zh) | 操作装置 | |
CN218568715U (zh) | 一种实现翘板结构和按压按钮互锁的新型座椅调节开关 | |
KR20240008013A (ko) | 틸트 스위치를 구비한 리모컨 | |
TWM584978U (zh) | 開關模組 | |
CN101996786A (zh) | 脚踏开关的改进结构 | |
KR20010056497A (ko) | 전자제품의 택트스위치 누름장치 | |
JP2007103285A (ja) | スイッチ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リモコン送信機 | |
JPH09160715A (ja) | マウス型トラックボール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0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