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4624B1 - 건조기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건조기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14624B1 KR101414624B1 KR1020070119312A KR20070119312A KR101414624B1 KR 101414624 B1 KR101414624 B1 KR 101414624B1 KR 1020070119312 A KR1020070119312 A KR 1020070119312A KR 20070119312 A KR20070119312 A KR 20070119312A KR 101414624 B1 KR101414624 B1 KR 10141462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ying
- amount
- steam
- drum
- tim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06F58/08—Driving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3—Laundry conditioning arrang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3—Supply-air or gas filter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4—Quantity, e.g. weight or variation of weight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4—Spin speed; Drum mov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6—Remaining operation time; Remaining operational cycle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이 편리한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건조물이 수용되는 드럼; 상기 드럼을 구동시키는 유도모터; 상기 피건조물의 건조를 위하여 상기 드럼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 상기 드럼 내에 수용된 피건조물의 양(포량)에 따라 가변되는 상기 유도모터의 상태 변수를 통하여 포량을 감지하는 포량 감지부; 그리고 상기 감지된 포량에 따라 운전시간을 설정하여 상기 유도모터와 상기 공기공급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조기가 제공된다.
건조기, 컨트롤 패널, 스팀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이 편리한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조기는 세탁이 완료된 젖은 상태의 피건조물을 자동으로 건조시켜 주도록 하는 기기로서, 이러한 건조기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건조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는 건조 코스 등의 설정값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201)와, 상기 입력부(201)에서 설정된 값으로부터 건조 및 쿨링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203)와, 상기 건조 시 내부의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습도 센서부(205)와, 상기 건조 및 쿨링 시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부(207)와, 상기 입력부(201) 및 각 센서부에서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건조 및 쿨링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209)와, 상기 컨트롤러(209)에 의해 제어되고 히터 및 모터를 이용하여 건조 및 쿨링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히터 및 모터 구동부(213)와, 상기 히터 및 모터 구동부(213)와 상기 컨트롤러(209)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부(2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습도 센서부(205)는 피건조물 또는 피건조물이 수용되는 드럼 내부의 습도를 감지하여 건조 완료 여부 등을 판단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온도 센서부(207)은 드럼 내부의 온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피건조물이 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컨트롤러(209)는 상기 습도 센서부(205)와 온도 센서부(207)로부터 정보를 입력받아 건조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히터 및 모터와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건조 작업을 수행하는 상기 히터 및 모터 구동부(213)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건조기의 건조시간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종래의 건조기에서 건조 시간 제어의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사용자가 건조 대상물을 건조기 내부로 삽입한 후, 상기 입력부(210)를 조작하여 상기 구동부(213)를 동작시킴으로써 건조가 시작된다(S210). 다시 말하면 건조행정이 시작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203)는 건조시간을 표시한다. 여기서 건조시간이라 함은 건조행정이 시작되어 종료되기까지의 시간을 의미하며, 건조행정 초기에 항상 기설정된 시간이 표시된다. 따라서, 상기 건조시간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건조시간이 경과되면 건조행정이 종료되는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건조시간은 건조가 진행됨에 따라 디스카운트되어 사용자는 이를 보고 잔여 운전시간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건조행정이 진행되면 상기 온도 센서부(207)에서는 건조 시작온도를 측정한다. 물론, 건조행정이 일단 진행되면 건조 시작온도가 변할 수 있으므로, 적어도 히터가 구동되기 전에 이러한 건조 시작온도를 측정하게 될 것이다.
다음, 상기 건조 시작 이후, 상기 건조 시작온도와 미리 설정된 최고 건조온도의 중간온도에 도달하는 시간을 측정하고(S220), 측정된 상기 중간 온도에 도달한 시간의 일정한 배수 값을 이용하여 상기 구동부가 동작되는 나머지 건조 시간을 재 설정한다(S230).
그리고, 건조를 수행(S240)하는 과정에서 상기 재 설정된 잔여 건조 시간동안에 건조를 실시하고(S250), 건조를 완료한다(S260).
이때, 건조가 완료될 경우, 상기 히터 및 모터 구동부(213) 중 히터의 동작을 정지하고 쿨링을 시작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컨트롤러(209)는 상기 건조가 완료됨을 상기 디스플레이부(203)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건조가 완료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많은 경우 건조행정은 건조와 쿨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건조를 수행하는 시간은 초기에 설정된 시간과는 편차를 갖게 된다. 왜냐하면 기설정된 시간 동안만 건조를 수행하면 건조가 불충분하게 되거나 과해지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건조 시간은 재설정될 수 있고 이 경우 총 건조행정 시간이 가변되게 된다.
예를 들어, 초기에 건조 시간이 44분 그리고 쿨링 시간이 6분으로 설정되어 총 건조행정 시간이 50분으로 기설정되는 경우 건조가 진행됨에 따라 건조 시간이 54분 소요되는 경우 총 건조 행정 시간이 10분 늘어나게 된다. 물론, 이 늘어나는 10분은 잔여 건조 시간에 반영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건조 행정 시간이 10분 늘어나는 경우 기설정된 44분이 경과하더라도 계속해서 잔여시간으로 6분이 표시될 수 있다. 즉, 10분에 해당되는 시간동안 잔여시간이 변경되지 않고 계속해서 6분으로 표시될 수 있다. 물론, 44분이 경과되기 전에 잔여 시간에 10분을 더하여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많은 경우 이러한 건조 시간의 가변은 전술한 습도 센서부(205) 및/또는 온도 센서부(207)에서 감지한 습도 및/또는 온도를 반영하여 이루어진다.
도 3에는 이러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건조과정에서 상기 컨트롤러는 건조를 시작할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에 따라 상기 습도 센서부(250) 및 상기 온도 센서부(270)에서 감지한 습도 및 온도를 읽어 들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습도 센서부(250) 및 온도 센서부에서 감지한 습도 및 온도 변화의 곡선(400,500)은 건조 시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온도는 올라가는 반면 습도는 떨어짐으로써 서로 높낮이가 서로 바뀜을 알 수 있다.
상술한 건조기는 시간에 따라 온도의 변화를 감지하고, 건조를 시작하는 온도에서 미리 설정된 최고 건조 온도의 중간값에 도달하는 시간을 측정하고, 상기 시작 온도와 최고 건조 온도의 중간값에 도달하는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구동부가 동작하여 건조되는 시간을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건조과정에서 온도 센서부(270) 대신에 습도 센서부(250)에서 측정한 데이터에 의해 건조시간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건조 시작 시에는 상온(약 20℃)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최고 건조 온도(약 70℃)에 도달할 수 있는데, 상기 최고 건조 온도는 미리 상기 컨트롤러(209)에 저장되어 있다.
예컨대, 건조가 시작될 경우, 건조 시작의 온도와 최고 건조 온도의 중간 온도(45℃)에 도달하는 시간(△t1)을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중간 온도에 도달하는 시간(△t1)에 일정한 수를 곱한 값을 상기 구동부를 동작시키는 남은 건조 시간(△t2)으로 하여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전술한 건조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건조기는 항상 기설정된 건조행정 시간이 표시되고, 건조가 진행됨에 따라 상기 건조행정 시간은 재설정된다. 즉, 건조와 쿨링으로 이루어진 건조행정인 경우 건조 시간이 가변될 수 있는 데,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잔여시간이 변경되지 않고 재설정된 시간(증가된 시간)만큼 그대로 표시될 수 있다. 반대의 경우에는 재설정된 시간(감소된 시간)만큼 생략되어 잔여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어느 경우나 사용자에게 건조행정 시간에 대한 오인을 야기하게 된다. 즉, 사용자는 잔여 건조시간이 변경되지 않는 경우 건조기가 제대로 동작하고 있지 않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아울러, 잔여 시간이 예를 들어 20분으로 표시되다가 갑자기 6분으로 변경되더라도 사용자는 건조기가 제대로 동작하고 있지 않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에게 보다 정확한 건조행정 시간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신뢰감을 주는 건조기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는 사용자에게 오인이나 혼동을 야기 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사용자가 효과적으로 시간 활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기도 하다. 왜냐하면 사용자는 건조뿐만 아니라 다른 가사 업무 등을 병행하게 되는데, 사용자가 건조 종료 여부를 확인할 때 예상 시간이 지나도 건조가 종료되지 않았다면 사용자는 불필요한 수고를 한 것이기 때문이다.
한편, 최근에는 최근에는 세탁기, 특히 드럼 세탁기에 스팀발생기를 부가하여 세탁물에 스팀을 공급함으로써 세척력 향상 및 에너지를 절감시킨 제품이 각광받고 있다.
한편, 종래의 건조기는 단순히 피건조물을 건조하기 위한 장치이므로 이러한 건조기가 의류의 건조뿐만 아니라 부가 기능을 수행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왜냐하면, 건조가 종료된 후 피건조물에 주름이 발생되어 별도로 다림질을 해야하는 문제점들이 있기 때문이다.
한편, 이러한 건조기에 부가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것과 아울러 사용자가 용이하게 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할 필요성이 있다. 왜냐하면 아무리 좋은 효과나 성능을 갖는 부가 기능이라 하더라도 사용자가 이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없다면, 사용자는 종래의 건조 기능만을 이용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건조기는 통상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하여 구비되는 컨트롤 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컨트롤 패널을 통하여 사용자는 다양한 정보를 건조기에 입력하고, 아울러 이를 통해서 다양한 정보를 얻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컨트롤 패널을 통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건조 기능과 부가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으며, 아울러 상기 건조 기능과 부가 기능이 서로 연관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혼동하지 않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건조기의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부가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서 최적의 부가 기능을 수행하도록 건조기의 운전이 제어될 필요가 있다. 이는 건조기의 에너지 절감과도 연관이 될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부가 기능을 수행함 있어서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왜냐하면 건조 기능과 아울러 부가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소요되는 총 시간이 증가할 것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건조시간이 변경되어 사용자에게 혼동과 불편을 주는 것을 최소화한 건조기를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보다 정확한 건조시간을 표시하여 고객이 건조시간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는 건조기를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보다 효과적으로 시간 활용을 할 수 있도록 하여 편리성 및 신뢰성을 증진시킨 건조기를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종래의 건조 기능 이외에 부가 기능을 갖게 하여 사용 편의를 증진시킨 건조기를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보다 구체적으로 건조기에 구김 제거 기능, 정전기 제거 기능 또는 용이하게 다림질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갖게 하여 사용 편의를 증진시킨 건조기를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건조 기능과 부가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한 건조기를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최적의 부가 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부가 기능을 인하여 증가되는 운전 시간을 최소화한 건조기를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에너지의 절감 및 사용자가 시간 활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 건조기를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피건조물이 수용되는 드럼; 상기 드럼을 구동시키는 유도모터; 상기 피건조물의 건조를 위하여 상기 드럼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 상기 드럼 내에 수용된 피건조물의 양(포량)에 따라 가변되는 상기 유도모터의 상태 변수를 통하여 포량을 감지하는 포량 감지부; 그리고 상기 감지된 포량에 따라 운전시간을 설정하여 상기 유도모터와 상기 공기공급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조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포량 감지부는 상기 컨트롤러에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컨트롤러를 구성하는 마이컴과는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건조기는 상기 운전시간을 디스플레이하고, 운전이 진행됨에 따라 잔여운전시간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유도모터의 상태 변수는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상태 변수는 상기 유도모터의 가속구간에서의 가속도 또는 감속구간에서의 가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상기 유도모터의 가속구간 중 특정 시간에서의 RPM 또는 감속구간 중 특정 시간에서의 RPM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태 변수는 상기 유도모터의 가속구간에서 정상 RPM까지 도달할 때의 전류값일 수 있고, 상기 유도모터의 감속구간 중 특정 시간에서의 역기전력값일 수도 있다.
상기 건조기는 상기 드럼 내부로 미세 수분 또는 스팀을 공급하는 수분공급 장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드럼 내부로 공급되는 미세 수분 또는 스팀의 양은 상기 감지된 포량에 따라 달라짐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운전시간은 상기 드럼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건조시간과 상기 드럼 내부로 냉풍을 공급하는 쿨링시간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쿨링시간은 기설정되며 상기 건조시간이 상기 감지된 포량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건조시간이 달리 설정됨으로써 상기 운전시간이 상기 감지된 포량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쿨링시간도 상기 감지된 포량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설정된 건조시간 경과 전에 건조가 종료되는 경우 잔여시간은 상기 기설정된 쿨링시간으로 변경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또한 피건조물이 수용되는 드럼을 구동시키는 유도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드럼 내에 수용된 피건조물의 양(포량)에 따라 가변되는 상기 유도모터의 상태 변수를 통하여 포량을 감지하는 포량감지단계; 그리고 상기 감지된 포량에 따라 운전시간을 설정하여 운전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잔여운전시간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조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포량감지단계는 다양한 형태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포량감지단계는, 상기 유도모터를 가속시키거나 감속시키는 단계; 그리고 상기 단계에서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포량감지단계는, 상기 유도모터를 가속시키거나 감속시키는 단계; 그리고 상 기 단계 중 특정 시간에서의 RPM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포량감지단계는, 상기 유도모터를 가속시키는 단계; 그리고 상기 단계에서 정상 RPM까지 도달할 때의 상기 유도모터의 입력 전류값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포량감지단계는, 상기 유도모터를 감속시키는 단계; 그리고 상기 단계 중 특정 시간에서 상기 유도모터의 역기전력값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조시간이 변경되어 사용자에게 혼동과 불편을 주는 것을 최소화한 건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보다 정확한 건조시간을 표시하여 고객이 건조시간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는 건조기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가 보다 효과적으로 시간 활용을 할 수 있도록 하여 편리성 및 신뢰성을 증진시킨 건조기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건조뿐만 아니라 스팀 또는 미세수분을 이용하여 부가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아울러 최적의 스팀 또는 미세수분을 공급할 수 있어 이러한 부가기능을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건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건조 기능 이외에 부가 기능을 갖게 하여 사용 편의를 증진시킨 건조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구체적으로 건조기에 구김 제거 기능, 정전기 제 거 기능 또는 용이하게 다림질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갖게 하여 사용 편의를 증진시킨 건조기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용이하게 건조 기능과 부가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한 건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최적의 부가 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부가 기능을 인하여 증가되는 운전 시간을 최소화한 건조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에너지의 절감 및 사용자가 시간 활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 건조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편의상 탑 로딩 방식, 전기식, 배기식 건조기를 실시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건조기의 외관을 구성하는 캐비닛(10)의 내부에는 회전 가능한 드럼(20), 상기 드럼(20)을 구동시키는 유도모터(70) 및 벨트(68)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드럼 내부로 열풍 또는 냉풍을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드럼(20) 내부에는 피건조물이 수용된다.
상기 공기공급장치는, 캐비닛(10)의 소정 위치에 구비되어 공기를 가열하여 고온의 공기(이하 "열풍"이라 함)을 만드는 히터(90)(이하 편의상 "열풍 히터"라 함), 상기 열풍 히터(90)에서 생성된 열풍을 드럼(20)에 공급하기 위한 열풍공급덕트(4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드럼(20)에서 피건조물과 열교환된 다습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 덕트(80), 상기 다습한 공기를 빨아 들이는 블로워 유닛(60) 등도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물론, 응축식 건조기에서는 피건조물과 열교환된 다습한 공기에서 수분을 응축하는 응축 덕트와 응축기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히터(90), 열풍공급덕트(44), 배기 덕트(80) 그리고 블로워 유닛(60) 등과 같이 드럼으로 열풍이나 냉풍을 공급하는 구성을 공기공급장치라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캐비닛(10)의 소정 위치에는 스팀공급장치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스팀공급장치는 스팀을 생성하여 스팀을 드럼 내부로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스팀공급장치는 물을 가열하여 고온의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기(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각각의 구성요소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캐비닛(10)은 건조기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12)와, 상기 베이스(12)에서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측면 커버(14)와, 상기 측면 커버(14)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설치되는 프런트 커버(16) 및 리어 커버(18), 상기 측면 커버(14)의 상부에 위치하는 탑 커버(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각종 조작 스위치 등을 가지는 컨트롤 패널(19)은 통상 탑 커버(17) 또는 프런트 커버(16)에 위치하게 되며, 도어(164)는 프런트 커버(16)에 설치된다. 리어 커버(18)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흡입부(182)와, 드럼(20)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최종 통로인 배기홀(184)이 구비된다.
드럼(20)의 내부 공간은 건조가 진행되는 건조 챔버 기능을 하며, 내부에 리프트(22)를 가지고 있다.
한편, 드럼(20)과 캐비닛(10)(프런트 커버(16) 및 리어 커버(18))의 사이에는 프런트 서포터(30)와 리어 서포터(40)가 설치된다. 프런트 서포터(30)와 리어 서포터(40)의 사이에 드럼(2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프런트 서포터(30) 및 리어 서포터(40)와 드럼(20) 사이에는 각각 누설을 방지하는 실링부재(미도시)가 설치된다. 즉, 프런트 서포터(30)와 리어 서포터(40)는 상기 드럼(20)의 전면과 후면을 막아 건조 챔버를 형성하며 상기 드럼(20)의 전단과 후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프런트 서포터(30)에는 드럼(20)을 건조기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는 도어(164)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또한, 프런트 서포터(30)에는 드럼(20)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인 린트 덕트(50)가 연결되며, 상기 린트 덕트(50)에는 린트 필터(52)가 설치된다. 상기 린트 덕트(50)에는 블로워 유닛(60)의 일측이 연결되며, 상기 블로워 유닛(60)의 타측은 배기 덕트(80)와 연결되며, 상기 배기 덕트(80)는 리어 커버(18)에 구비되는 배기홀(184)과 연통된다. 따라서, 블로워 유닛(60)이 작동하면, 드럼(20) 내부의 공기는 린트 덕트(50), 배기 덕트(80), 배기홀(184)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 때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은 린트 필터(52)에서 여과되게 된다. 통상 상기 블로워 유닛(60)은 블로워(62)와 블로워 하우징(64)으로 구성되며, 상기 블로워(64)는 드럼(20)을 구동 시키는 모터(70)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리어 서포터(40)에는 통상 다수의 통공으로 구성되는 개구부(42)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42)에 열풍공급덕트(44)가 연결된다. 상기 열풍공급덕트(44)는 드럼(20)과 연통하여 상기 드럼(20)에 열풍을 공급하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열풍공급덕트(44)의 소정 위치에는 열풍 히터(90)가 설치된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스팀발생기(2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팀발생기(200)는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워터 탱크(210)와, 상기 워터 탱크(210)의 내부에 장착되는 히터(240)와, 상기 워터 탱크(210)내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260)와, 상기 워터 탱크(210)내에 수용된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2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위센서(260)는 통상 공통전극(262), 저수위 전극(264) 및 고수위 전극(264)으로 구성되어 공통전극(262)과 고수위 전극(264)의 통전 또는 공통전극(262)과 저수위 전극(266)의 통전 여부에 의하여 고수위 및 저수위를 감지한다.
스팀발생기(200)의 일측에는 후술하는 물수용부로부터 연장되어 물을 공급하는 급수유로(220)가 연결되며, 스팀발생기(200)의 타측에는 스팀을 배출하는 스팀유로(230)가 연결된다. 스팀유로(230)의 선단에는 스팀의 분사 효율을 높이기 위해 노즐(250)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스팀발생기(200)를 포함하는 스팀공급장치를 통하여 드럼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스팀발생기(200)는 다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워터 탱크(210) 내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하지 않고, 파이프 형태의 하우징(미도시) 내부로 흐르는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편의상 전자를 통 타입 스팀발생기라 하고 관 타입 스팀발생기라 한다.
관 타입 스팀발생기는 물을 급속으로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통 타입에 비해 스팀이 발생되는 시간을 매우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스팀이 아닌 고온의 물이 드럼 내부로 공급될 우려가 있다. 이에 비해서 통 타입 스팀발생기는 안정적으로 스팀을 드럼 내부로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건조기에서 스팀을 이용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건조기는 통상 열풍을 통하여 피건조물을 건조시키는데, 건조가 진행됨에 따라 피건조물에 주름이나 구김이 발생되어 건조 완료 후 별도의 다림질이 필요하다. 그러나, 건조가 진행됨에 따라 피건조물에 스팀을 공급함으로써 이러한 주름이나 구김의 발생을 완화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이는 피건조물의 구김 부분이나 주름 부분에 스팀이 공급되고, 열풍에 의해 수분이 건조됨으로써 구김이 제거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스팀의 공급 시점은 건조가 어느 정도 진행된 후임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스팀은 매우 미세한 입자로서 수 마이크론 정도의 고온의 물 입자이다. 따라서 이러한 스팀은 피건조물에 수분과 고온을 공급하여 냄새 입자를 제거하게 된다. 그러므로 스팀을 이용한 건조기를 통하여 냄새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건조가 종료되기 전 스팀을 통하여 의류에 소정의 수분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건조가 종료된 후에 스팀을 통하여 의류에 소정의 수분을 공급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스팀을 통해서 의류에 골고루 수분을 공급함으로써 사용자가 의류를 드럼 내에서 꺼냈을 때 의류의 정전기로 인한 불쾌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스팀은 수분과 고온을 피건조물에 공급하기 위한 매개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팀은 매우 미세한 입자를 갖고 고온이므로 피건조물에 잘 침투하게 된다. 따라서 피건조물 전체에 골고루 수분을 흡수시킬 수 있으며, 특정 부분에만 과도하게 수분이 흡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7에는 스팀발생기(200)가 외부의 급수원과 연결되지 않고 사용자가 스팀발생기(200)로 공급되는 물을 직접 투입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는 급수시설과 배수시설과 같은 시설이 여의치 않은 환경에서도 편리하게 스팀을 이용한 건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일반적인 세탁기와 같이 외부의 급수전을 통해 스팀발생기로 물이 공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기(200) 및 스팀발생기(200)로 물을 공급하는 구조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소정 위치에서 인입/인출이 가능한 서랍형 컨테이너(이하, "드로워"라 함)(500)가 설치되고, 상기 드로워(500)에 탱크(400)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탱크는 물을 수용하는 물수용부이며, 상기 물수용부에 수용된 물이 상기 스팀발생기(200)로 공급된다.
상기 탱크(400)를 직접 급수유로(220)에 연결하는 것보다 상기 탱크(400)를 드로워(500)에 장착하고 상기 드로워(500)를 인입/인출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상기 드로워(500)를 상기 급수유로(220)에 결합/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건조기에 사용되는 물의 양은 세탁기에 비하여 매우 적다고 할 수 있고, 아울러 수도 시설과 같은 급수시설이 여의치 않은 환경에서 건조기가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드로워(500)는 건조기의 전면 즉 건조기 캐비닛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드로워(500)는, 예를 들어, 컨트롤 패널(19)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컨트롤 패널(19)의 후측으로 서포터(520)가 설치된다. 즉, 상기 서포터(520)는 탑 프레임(530)과 대략 평행하게 설치되고, 상기 서포터(520) 및 상기 탑 프레임(530)에 드로워(500)를 안내 및 지지하는 드로워 가이드(51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드로워 가이드(510)의 상부 일부에는 탑 가이드(550)가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드로워 가이드(510)의 상부 및 일측면(건조기의 전면 방향)은 개방되며, 상기 개방부를 통하여 드로워(500)가 인입 및 인출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스팀발생기(200)에 물을 공급하는 탱크(400)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탈부착이 가능한 탱크(400)를 사용하여, 상기 탱크(400)를 분리하여 물을 공급하고, 물을 채운 탱크(400)를 스팀발생기(200)의 급수유로(220)에 연결하면 대단히 편리하다.
그리고, 상기 탱크(400)와 상기 스팀발생기(200)의 사이에는 펌프(60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펌프(600)는 정역회전 가능하며, 상기 스팀발생기(200)로 물 공급 및 필요에 따라 스팀발생기(200)의 잔수의 회수가 가능한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스팀공급장치는,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기(200), 상기 탱크(400)에 수용된 물을 펌핑하여 상기 스팀발생기로 공급하는 펌프(600), 상기 스팀발생기에서 발생된 스팀을 상기 드럼 내부로 공급하는 노즐(2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탱크(400)와 스팀발생기(200) 사이에는 물이 공급되는 급수유로(220)가 구비되고, 상기 스팀발생기(200)와 노즐(250) 사이에는 스팀유로(23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유로(220, 230)는 파이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스팀이 드럼 내부로 공급되는 형태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에서 스팀 발생을 위한 스팀발생기(200)의 구성을 생략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팀 대신에 드럼 내부로 미세 수분이 공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물수용부(401)에 수용된 물을 펌프(600)를 통하여 펌핑하면 수압이 발생된다. 따라서 수압을 갖는 물이 노즐(250)을 통과하면서 미세 수분으로 변환되어 드럼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미세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노즐(250)은 전술한 스팀 노즐과는 그 형태가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여기서 상기 수압은 외부의 급수전의 수압일 수 있다. 즉, 외부의 급수전과 건조기가 연결되는 경우에는 상기 펌프(600) 구성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스팀발생기(200)가 구비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여기서, 상기 미세 수분은 상온의 물을 분사하여 생성되므로 온도는 높지 않을 것이다. 그리고 입자 크기는 수십 마이크론에 해당 될 것이다. 따라서 스팀에 비해서는 피건조물에 골고루 공급되지 않고 특정 부분에만 공급될 우려가 있다. 아울러 피건조물 깊숙히 침투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이러한 우려를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미세 수분을 고온으로 가열할 필요가 있다. 즉, 이러한 미세 수분을 전술한 스팀과 최대한 유사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건조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드럼 내부로 열풍 또는 냉풍을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미세 수분이 드럼 내로 공급될 때 상기 공기공급장치가 구동되어 드럼 내로 열풍을 공급하도록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미세 수분이 가열되어 부분적으로 수증기가 형성되어 그 입자 크기가 작아지고, 아울러 고온이 됨으로써 수분이 피건조물에 골고루 그리고 깊숙이 흡수될 수 있다. 또한, 미세 수분과 열풍과의 보다 효과적인 상승 작용을 위하여 미세 수분이 분사되는 노즐의 위치는 열풍이 드럼 내부로 유입되는 개구부(42)의 위치는 근접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드럼 내부로 미세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분사 노즐(250)은 리어 서포터(40)에 구비되되, 상기 개구부(42)에 근접하게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상기 노즐의 위치는 열풍공급덕트(44) 내일 수 있고, 따라서 미세 수 분은 열풍공급덕트 내에서 가열되어 열풍과 함께 상기 개구부(42)를 통하여 드럼 내부로 공급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하여 구비되는 콘트롤 패널(19)에 대해 설명한다.
콘트롤패널(19)에는 코스 선택부(610), 전원버튼(620) 및 시작버튼(621)이 구비되어 있다. 사용자는 상기 코스 선택부(610)를 통하여 복수 개의 코스 중 원하는 운전코스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트롤패널(19)에는 운전시간 또는 잔여운전시간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7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코스 선택부(610)는 스팀코스(613), 스팀가능코스(611) 그리고 스팀배제코스(6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코스들은 각각 복수 개의 코스들을 갖고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스팀코스(613)는 상기 스팀코스가 선택되면 스팀이 드럼으로 공급되는 스팀행정이 포함된 코스가 수행되는 코스이다. 그리고 상기 스팀가능코스(611)는 상기 스팀행정이 가능한 코스이며, 상기 스팀배제코스(612)는 스팀행정이 배제되는 코스이다.
따라서, 상기 코스 선택부(610)를 통하여 원하는 코스가 선택되면 컨트롤러는 선택된 코스에 따라 건조기의 운전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컨트롤 패널(19)은 상기 운전코스에 부가적으로 상기 스팀행정을 포함하는 옵션 코스를 선택할 수 있는 옵션 선택부(6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컨트롤 패널(19)에는 다양한 인쇄부(6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 이러한 인쇄부는 각각의 버튼들에 인쇄되어 있는 문자나 코스 선택부(610)의 주변에 인쇄되어 있는 문자 등일 수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인쇄부를 통해 입력하고자 하는 코스나 옵션 등을 파악할 수 있고, 아울러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 코스가 스팀행정을 포함하거나 가능한지 여부, 최적의 건조나 부가 기능 수행을 위해 건조도를 감지하는지 여부 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에 도시된 컨트롤 패널을 통해서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에서 제공하는 건조 기능과 부가 기능들이 어떻게 선택되며 제어되는 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사용자는 상기 코스 입력부(610)를 통하여 스팀가능코스(611)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스팀가능코스는 스팀행정이 포함될 수 있는 코스이며, 이의 포함 여부는 옵션 선택부(630)를 통해서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팀가능코스(611)는 열손상 우려가 적은 의류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일반적인 건조코스, 면이나 수건 건조를 위한 코스 그리고 장시간의 건조를 필요로 하는 청바지 등을 위한 코스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팀가능코스(611)는 열손상 우려가 없는 의류 등의 건조를 위한 것이므로, 드럼으로 열풍을 공급하여 대상물을 건조하는 건조행정과 드럼으로 냉풍을 공급하여 대상물을 냉각시키는 쿨링행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쿨링행정은 코스 완료 시 드럼 내부나 대상물이 고온이므로 사용자가 고온에 의한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건조행정 말기에 낮은 온도의 열풍으로 건 조가 진행된다면 이러한 쿨링행정은 생략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스팀가능코스(611)와 상기 옵션 코스(630)가 선택된 경우, 컨트롤러는 상기 건조행정 중 또는 상기 쿨링행정 중에 상기 옵션 코스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스팀가능코스가 완료된 후에 상기 옵션 코스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팀가능코스(613)는 일반적인 건조코스(Nomal)이고 상기 옵션 코스(630)는 정전기 제거 코스(632, Static Care)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에는 정전기 제거 코스가 STEAM으로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STEAM 버튼은 옵션 코스로서 정전기 제거 코스 이외의 다른 코스일 수도 있다.
스팀가능코스만 선택된 경우, 코스 완료 후 건조된 대상물에 정전기가 발생되어 소비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정전기 제거 코스가 선택될 수 있다.
정전기 제거를 위해 대상물에 스팀을 공급하여 대상물이 소정의 함습량을 갖도록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스팀행정은 건조행정이 종료된 후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이러한 스팀행정은 쿨링행정 중에 수행될 수 있고, 쿨링행정이 종료된 후에 수행될 수도 있다. 즉, 건조행정을 통해서 건조된 대상물이 쿨링행정 중 또는 쿨링행정 종료 후 스팀행정을 통해 소정의 함습량을 갖게 되어 정전기로 인한 사용자의 불쾌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정전기 제거 또는 저감을 위해 대상물에 공급되는 스팀의 양은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지나치게 많은 스팀은 대상물을 너무 축축하게 하여 재 건조가 필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전기 제거를 위해 대상물이 5% 미만의 함습량을 갖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팀가능코스(611)는 면/수건 코스(Cotton/Towel)이고 상기 옵션 코스(630)는 주름 제거 코스(631, Wrinkle Care)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 상기 스팀행정은 건조행정 말기에 수행될 수 있다. 즉 건조행정을 통해 대상물을 건조하고 스팀행정을 수행하여 대상물에 고루 스팀을 공급하게 된다. 이 후 건조행정을 계속 진행하여 주름을 제거하게 된다. 물론, 건조행정이 종료되고 스팀행정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스팀행정이 종료된 후 건조행정이 다시 진행될 수 있다.
한편, 주름 제거 코스(631)에는 스팀행정 후 건조행정이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주름 제거를 위해서는 전술한 정전기 제거를 위한 스팀의 양보다 많은 양의 스팀이 대상물로 공급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스팀행정 후 건조행정을 통하여 대상물을 건조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열풍을 통하여 주름 제거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옵션 코스(630)는 중복되어 선택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정전기 제거 코스(632)와 주름 제거 코스(631)는 선택적으로 선택되거나 양자가 함께 선택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스팀행정은 복수 회 수행될 수 있다. 물론, 각각의 기능을 위하여 스팀행정이 수행되는 시점은 달라질 것이다.
또한, 상기 옵션 코스(630)는 버튼을 누름으로써 선택될 수 있다. 즉, 하나의 버튼을 반복적으로 누름으로써 특정 옵션 코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비되거나, 각각의 옵션 코스 별로 선택할 수 있는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버튼을 누르면 스팀가능코스 진행 중에 옵션 코스가 진행될 수 있고, 다른 특정 버튼을 누르면 스팀가능코스 완료 후에 옵션 코스가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스팀가능코스(611)는 상기 건조행정 중 감지되는 건조도에 따라 건조행정의 운전조건이 가변되어 운전되도록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편의상 감지 건조(Sensor dry)라 한다. 즉, 건조행정 중 건조도를 감지하는 것은 최적의 건조 효과를 얻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 과건조 또는 부족 건조가 방지된다.
이러한 건조도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어에 구비되는 습도센서를 통해서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습도센서는 전극센서로서 대상물이 전극센서에 닿아 발생되는 전압이나 전류값을 통해서 건조도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전극센서를 통한 건조도의 판단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어, 초기 건조행정의 예상시간이 50분인 경우 건조행정이 진행됨에 따라 건조가 예상보다 많이 진행된 경우에는 잔여 건조행정 시간을 줄이고, 반대인 경우에는 늘이게 된다. 아울러, 건조행정 시간뿐만 아니라 열풍을 발생시키는 히터의 용량 또한 가변될 수 있다. 물론, 열풍의 공급 여부 등을 판단하기 위한 드럼 내부의 설정 온도 또한 가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건조행정 중 감지되는 건조도에 따라 대상물의 양, 즉 포량이 결정될 수 있다. 본 코스는 세탁 후 젖은 상태의 의류 등을 건조하는 코스이다. 따라서 포량이 많은 경우에는 건조행정이 많이 소요된다. 즉, 시간이 지남에 따라 포량 이 많은 경우는 건조도의 상승이 적고, 반대의 경우에는 건조도의 상승이 크다. 따라서 이를 이용하여 포량을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여기서 전술한 감지 건조는 생략될 수도 있다. 즉, 운전초기에 기설정된 운전조건으로 운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감지 건조로 인한 포량 감지 또한 수행되지 않을 것이며, 후술하는 유도모터의 상태변수를 통한 포량의 감지가 수행될 수 있다. 즉, 운전초기에 유도모터의 상태변수를 통하여 포량을 감지하고, 이에 따라 운전조건을 기설정함으로써 최적의 건조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운전 도중에 잔여운전 시간이 급격히 변경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감지 건조와 함께 운전초기에 유도모터의 상태변수를 통하여 포량을 감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운전초기에는 상기 상태변수를 통하여 운전조건을 설정하여 운전하고, 운전 중에 감지 건조를 통해 운전조건을 가변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운전초기에 상기 상태변수를 통하여 운전조건을 설정하였으므로 감지 건조를 통한 운전조건의 가변은 최소화될 것이다. 따라서, 이 경우 운전 도중에 잔여운전 시간의 변경이 매우 작을 것이므로, 이로 인한 사용자의 혼동은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스팀코스(613)는 상기 드럼으로 열풍을 공급하여 대상물을 건조하는 건조행정과 상기 스팀행정을 포함하는 코스이다. 즉, 스팀코스(613)가 선택되면 자동적으로 건조행정이 수행되는 코스이다. 본 코스는 스팀행정을 통하여 기 프로그램된 대로 운전이 제어되며, 이를 통해서 단순한 건조 이외에 최적의 부가 기능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팀코스(613)가 선택되면 상기 옵션 코스는 선택될 수 없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옵션 선택부(630)가 불활성화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팀코스(613)으로는 다림질 용이 코스(Easy Iron)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코스는 건조행정이 완료된 후 대상물의 함습량이 5% 내지 6%가 되도록 스팀행정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코스 완료 후 다림질하기에 용이한 수분이 의류에 함유되게 된다.
또한, 스팀코스(613)로는 리프레쉬 코스 또는 스팀 프레쉬(Steam Fresh) 코스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 프레쉬 코스는 마른 대상물에 대해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한다. 즉, 마른 의류의 냄새나 먼지 등을 용이하게 제거하기 위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코스의 초기에 건조행정은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먼지 제거를 위해서는 열풍이나 냉풍을 드럼으로 공급되는 행정이 포함될 수 있다. 아울러 본 코스는 스팀행정을 수행하는 데, 고온의 스팀이 대상물에 공급되어 주름 제거 및 냄새 제거가 원활히 이루어진다. 아울러, 의류의 올을 살리는 뽀송뽀송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본 코스에서는 냄새 제거와 주름 제거를 위해 6% 이상의 함습량을 갖도록 스팀이 공급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스팀행정 이후에는 건조를 위한 건조행정이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본 코스는 마른 의류를 처리하고 곧바로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 건조행정은 소량의 수분을 건조하기 위한 것이므로 짧은 시간 동안만 수행되도록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팀코스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대상물의 완전한 건조를 목적 으로 하지 않거나 마른 대상물을 처리함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스팀코스에서는 운전 초기에 기설정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대로 건조행정이 진행됨이 바람직하다. 즉, 건조행정 중 기 설정된 건조행정의 운전조건이 가변되지 않고 운전되도록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스팀 프레쉬 코스는 짧은 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코스에 소요되는 시간이 가변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이다. 아울러, 건조도를 감지하는 것은 에너지를 불필요하게 사용하는 것일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스팀배제코스(612)는 스팀행정이 포함되지 않고, 스팀행정이 선택될 수 없는 코스를 말한다. 즉, 섬세하고 열 손상 우려가 있는 의류 등의 건조를 위한 코스이다. 마찬가지로 이러한 스팀배제코스가 선택되면, 컨트롤러는 스팀행정을 포함하는 옵션 코스가 선택되지 못하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컨트롤 패널(19)은 다양한 형태의 인쇄부(6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코스 선택부(610)가 로터리 놉 형태로 구비된 경우, 로터리 놉을 회전시키면서 사용자는 원하는 코스를 선택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는 스팀행정의 포함 여부와 스팀행정의 가능 여부에 따라 다양한 코스들이 구비된다.
예를 들어, 코스 선택부(610)의 좌측으로는 스팀행정이 포함되거나 가능한 코스가 마련되고, 우측으로는 스팀행정이 배제되는 코스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사항을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스팀 드라이(Steam dry)라는 문 자를 코스 선택부 좌측에 인쇄할 수 있다. 아울러, 특정 색으로 스팀 드라이라는 문자를 인쇄하고, 이에 해당되는 코스들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특정 색과 같은 호를 인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특정 색으로 인쇄되거나 호가 표시된 코스를 선택할 때, 이러한 코스가 스팀을 이용하거나 적어도 이용할 수 있는 코스임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스팀코스와 스팀가능코스를 명확히 구분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를 위하여 스팀가능코스가 인쇄된 문자와 스팀코스가 인쇄된 문자의 색을 서로 다르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팀가능코스들은 검정색으로 스팀코스는 빨간색으로 문자를 인쇄할 수 있다. 그리고 스팀 드라이라는 문자는 빨간색으로 인쇄하고, 문자에 빨간색으로 밑줄을 인쇄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인쇄부를 통해서 사용자는 스팀코스와 스팀가능코스를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는 빨간색 호와 검정색 문자로 인쇄된 코스는 스팀가능코스 그리고 빨간색 호와 빨간색 문자로 인쇄된 코스는 스팀코스임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코스 진행 중에 건조도를 감지하여 운전조건이 가변되는 감지 건조와 건조도를 감지하지 않는 무감지 건조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감지 건조를 수행하는 코스들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 건조(Sensor dry)라는 문자와 동일 색의 문자로 인쇄될 수 있다. 즉, 감지 건조라는 문자는 검정색으로 인쇄하고, 감지 건조되는 코스는 검정색 문자로 인쇄하여 사용자는 검정색 문자로 인쇄된 코스를 선택하면 감지 건조됨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시각적으로 서로 구별되도록 구비된 다양한 형태의 인쇄 부(614)를 통하여 다양한 형태의 운전코스를 선택할 수 있으며, 각각의 운전코스의 특징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인쇄부(614)를 통해서 스팀행정과 관련된 옵션 코스(630)을 선택할 수 있는지 여부 또한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건조기의 사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건조 기능과 아울러 다양한 부가 기능을 활용하는 데 매우 용이하게 된다.
한편, 도 8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가 대상물의 양을 선택할 수 있는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가 스팀이 공급되는 양을 선택할 수 있는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버튼은 각각 구비될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대상물의 양이 많다는 것을 사용자가 선택하였을 때, 컨트롤러는 이에 대응하여 스팀행정에서 스팀이 공급되는 양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옵션 선택부(630)에는 LED(633)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옵션 코스 버튼들(631, 632) 각각에 이러한 LED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ED는 버튼이 선택되었을 때 점등될 수 있으며, 깜빡깜빡 거리다가 선택되었을 때 점등될 수도 있다. 반대로 점등되었다거 선택되었을 때 깜빡깜빡 거리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물론, 점등된 후 선택되면 점멸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이들 LED는 선택 이전과 선택 후의 상태는 서로 다르도록 구비되어 시각적으로 이들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옵션 선택 버튼(631, 63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스팀가능코스(611)가 선택되었을 때 선택 가능한 버튼이다. 따라서, 상기 스팀가능코스가 선택되면 상기 LED는 점등되거나 깜빡깜빡 거리면서 선택가능함을 사용자에게 표시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스팀배제코스가 선택되었을 때는 점멸되어 선택이 배제됨을 사용자에게 표시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에서 스팀행정이 어떻게 수행되는지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상 스팀가능코스(611) 중 일반 건조 코스(Nomal)가 선택되고, 옵션 코스(630) 중 정전기 제거 코스(Static Care) 코스가 선택된 것을 예로 한다.
먼저, 일반 건조 코스는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행정(Drying)과 쿨링행정(Cooling)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건조행정을 통하여 대상물을 건조하고, 쿨링행정을 통하여 대상물을 냉각시킨다. 도 9과 도 10에 도시된 흐름도의 차이는 포량의 차이에 따른 것이며, 예를 들어 도 9는 포량이 1 kg 그리고 도 10은 포량이 3 kg일 때이다. 그러나, 도 9과 10는 특정 포량에만 관계된 것이 아니며, 포량의 증가에 따라 달라짐을 보이기 위한 실시예이다.
여기서, 상기 일반 건조 코스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감지 건조를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최적의 건조를 위하여 건조행정이 진행됨에 따라 건조도를 감지하여 건조행정에 소요되는 운전 시간 등을 가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 초기 건조행정 시간이 50분으로 기설정된 경우, 건조행정이 진행됨에 따라 도 6에서와 같이 40분 그리고 도 7에서와 같이 60분으로 가변될 수 있다. 이는 컨트롤러가 감지된 건조도를 통하여 건조시간이 더 필요한지 충분하지 여부를 판단함을 의미한다.
여기서, 건조도는 포량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예를 들어 포량이 많은 경우는 초기 설정된 시간보다 긴 시간의 건조가 필요하며, 반대의 경우에는 짧은 시간의 건조가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건조도의 감지를 통해서 포량을 결정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물론, 이러한 감지 건조를 통해서 건조행정이 종료되면 최적의 건조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 감지 건조는 다음과 같이 변형될 수 있다. 즉, 운전 초기 건조행정 시간이 예를 들어 무조건 50분으로 기설정되지 않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도모터의 상태변수를 통하여 감지된 포량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즉, 포량이 큰 경우 60분으로 기설정되고, 포량이 작은 경우 40분으로 기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건조행정 중 건조도를 감지하지는 않지만 운전 초기 포량을 감지하여 운전조건을 초기에 달리 설정한다는 의미에서 감지 건조라 할 수 있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운전 초기 유도모터의 상태변수에 따라 운전조건을 달리 설정하고, 운전 도중 감지된 건조도에 따라 상기 운전조건을 수정하거나 보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정전기 제거 코스는 건조 완료 후 사용자가 대상물을 꺼냈을 때 정전기로 인해 불쾌감을 느끼지 않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코스이다. 따라서 건조행정 후에 소정의 수분을 대상물로 공급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건조행정이 감지 건조에 의해 수행되므로 대상물은 포량에 관계없이 건조가 완료된 상태일 것이다.
여기서, 정전기 제거를 위한 스팀의 양은 포량에 따라 달라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적은 포량에는 적은 양의 스팀을 공급하고 많은 포량에는 많은 양의 스 팀을 공급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포량에 관계없이 5% 이하 또는 미만의 함습량을 갖도록 대상물에 스팀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함습량이 높은 경우 정전기가 제거될 수 있으나 대상물이 축축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정전기 제거를 위한 스팀은 대상물에 직접 공급되지 않아도 된다. 즉, 드럼 내부의 분위기기가 어느 정도의 습도를 갖는다면 충분히 정전기 제거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일반 건조 코스는 건조행정 후 쿨링행정이 수행된다. 이러한 쿨링행정은 포량에 관계없이 기설정된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으며, 포량에 따라 증가될 수도 있다. 그러나, 쿨링행정이 대상물의 건조가 아닌 냉각을 주 목적으로 하는 경우 포량에 관계없이 기설정된 시간 동안만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쿨링행정은 포량에 관계없이 5분 동안 수행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는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정전기 제거를 위한 스팀행정은 상기 쿨링행정에서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스팀행정의 추가로 인한 전체적인 운전 시간의 증가를 없애거나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쿨링행정이 5분 동안 수행되는 경우 쿨링행정의 종료 이전에 스팀행정이 종료된다면 스팀행정으로 인한 운전 시간의 증가는 없게 된다.
따라서, 스팀행정으로 인한 운전 시간의 증가를 없애고 효과적으로 정전기의 제거를 위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히터(240)의 작동 시점은 대상물의 양에 따라 달라짐이 바람직하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량이 1 kg이라고 감지된 경우, 쿨링행정이 시작됨과 동시에 히터(240)가 작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히터가 작동된 후 소정 시간이 지나면 스팀이 드럼으로 공급된다. 왜냐하면 물을 가열하여 스팀이 발생되기 까지는 가열되는 물의 양과 히터의 용량에 따라 소정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물론, 전술한 관가열 형태의 스팀발생기도 이러한 소정 시간이 필요하겠지만 통가열 형태의 스팀발생기보다는 필요한 시간은 작을 것이다.
도 9에는 히터가 작동을 시작한 후 약 1.5분이 경과하여 스팀행정이 시작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스팀행정은 약 3분 또는 3.5분 가량 수행된다. 물론, 여기서의 스팀행정은 5분으로 설정된 쿨링행정 내에서 수행됨으로 스팀행정으로인한 운전시간의 증가는 없게 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량이 3 kg이라고 감지된 경우, 건조행정의 종료 전 1분에 히터(240)이 작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아울러, 히터가 작동되는 건조행정에서 열풍을 생성하는 히터의 용량은 작게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건조기 전체의 순간 소비전력은 설정치 이하임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한편, 스팀행정은 전술한 바와 같이 히터(240)가 작동되어 1.5분이 경과된 후 스팀행정이 수행되므로, 스팀행정은 쿨링행정 내에서 수행된다. 마찬가지로 이 경우에도 스팀행정으로 인한 운전 시간은 증가하지 않게 된다. 또한, 이 경우 쿨링행정이 시작된지 약 0.5분 경과 후 스팀행정이 소요되므로, 스팀행정은 약 4분 내지 4.5분 동안 수행된다. 따라서, 1 kg의 포량인 경우에 비해서 스팀행정의 시간이 길다. 즉, 히터(240)의 작동 시간이 길어지게 되며, 따라서 드럼으로 공급되는 스팀의 양도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에서, 히터(240)가 작동을 시작한 후 스팀행 정이 시작되기까지의 시간(예를 들어 1.5분)을 고려하여, 상기 히터의 작동 시점은 포량에 따라 달라지도록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히터의 작동 시점은 건조행정 말기와 쿨링행정 초기 사이의 구간 내에서 달라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스팀행정은 쿨링행정 내에서 수행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나, 어느 정도 건조행정 중에서도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고, 건조행정 후 쿨링행정 전 어느 정도의 시간 동안은 일부의 스팀행정만 수행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히터의 작동 시점을 컨트롤함으로써 스팀행정으로 인한 운전시간의 증가를 없애거나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히터의 작동시점은 건조행정 종료 전 1.5분 시점일 수 있고, 이 경우 스팀행정은 5분이라는 쿨링행정 전체 구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5분간 스팀행정을 수행하는 것이 최대 포량에서의 정전기 제거를 위한 가장 효과적일 수 있다. 따라서, 스팀발생기의 용량이나 포량을 고려하여 최적인 스팀의 양 내지는 스팀행정의 소요시간은 실험적으로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량이 1 kg인 경우에는 쿨링행정 시 모터가 구동되지 않고, 포량이 3 kg인 경우에는 모터가 구동된다. 여기서 모터는 드럼과 드럼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팬을 동시에 구동한다. 따라서, 모터가 구동되면 드럼이 구동되고 공기(쿨링행정이므로 냉풍)가 드럼 내부로 유입된다.
여기서, 포량에 따라 선택적으로 모터를 구동시키는 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이다. 포량이 적은 경우 모터가 구동되는 경우 드럼으로 공급되는 스팀의 양이 적으므로 대상물이나 드럼 내부의 분위기에 영향을 주지 않고 드럼 내부에서 배출 되어 버릴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모터가 구동되지 않음이 바람직하다. 반대로 포량이 많은 경우에는 드럼으로 공급되는 스팀의 양이 많으므로 드럼 내부에서 배출된다고 하더라도 대상물에 효과적으로 스팀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포량이 대중소 등으로 결정되는 경우 소 포량에서는 쿨링행정에서 모터가 구동되지 않음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 경우 쿨링행정 중 스팀행정이 수행되는 시간동안만 모터가 구동되지 않음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포량이 더욱 세분되는 경우에는 특정 포량 이하에서는 모터가 구동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고, 그 경계되는 특정 포량은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달리 드럼을 구동하는 모터와 공기를 공급하는 모터가 서로 구별되는 경우에는, 어느 경우나 드럼이 구동되고 공기를 공급하는 모터만 선택적으로 구동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코스 또는 옵션 코스가 건조행정과 스팀행정을 포함하는 경우, 건조행정 초기에 히터(240)을 예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마찬가지로 스팀행정으로 인한 운전 시간의 증가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예열은 스팀이 발생되지 않는 온도, 예를 들어 섭씨 80 정도로 물을 가열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초기 물 온도로 인하여 히터 작동 후 스팀행정이 시작되기까지의 시간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정확한 스팀의 양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예열은 관가열 형태의 스팀발생기에도 효과적이다. 즉, 예열을 통하여 스팀행정 초기에 스팀이 아닌 가열된 물이 드럼으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펌프(600)는 스팀발생기로 물을 공급하는 펌프이며, 시계방향 구동은 물을 공급함을 의미하고 반시계방향 구동은 잔류하는 물을 회수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는 감지된 건조도를 통한 포량에 따라 히터(240)의 작동 시점이 달라졌다. 그러나, 이러한 포량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포량일 수 있고, 기타 다른 방법에 의해 감지된 포량일 수도 있다. 아울러, 포량에 따른 스팀의 양이 가변될 수 있는 범위 또는 히터(240)가 작동되는 시간의 범위는 전술한 예보다 더욱 커지거나 작아질 수 있다. 이는 스팀을 이용하여 목적하는 부가 기능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에서의 포량 감지부와 이를 통한 포량 감지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건조도 감지를 통한 포량 감지와 선택적 또는 병행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어느 경우나 운전시간이 운전 도중에 가변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하여 사용자의 혼동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에서 드럼(130)을 구동하기 위한 동력은 유도모터(70)에 의해 발생된다. 상기 유도모터(70)는 전원이 인가되면 가속되어 정상 RPM에 도달하여 상기 정상 RPM으로 운전된다. 그리고 이때 전원이 차단되면 다시 감속되어 정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유도모터(70)는 그 특성상 정상 RPM에 도달될 때까지 일정 시간이 소요되며, 마찬가지로 정지될 때까지 일정 시간이 소요된다. 물론, 여기서 정상 RPM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1에 도시된 (1) 구간은 가속구간, (2) 구간은 정상 운전기간 그리고 (3)은 감속구간임을 나타낸다.
먼저, 포량 감지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속구간에 소요되는 시간과 감속구간에 소요되는 시간은 드럼 내부에 수용된 포량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즉, 포량이 많다는 것은 그만큼 드럼이 회전하는 것에 대한 저항이 크다는 것을 의미하고, 반대로 포량이 적다는 것은 그만큼 드럼이 회전하는 것에 대한 저항이 작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속구간에서는 포량이 많은 수록 정상 RPM에 도달될 때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감속구간에서는 포량이 많은 수록 정지할 때까지 적은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유도모터(70)에 전원이 인가된 시점부터 유도모터가 정상 RPM에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통해서 드럼 내에 수용된 포량을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정상 RPM으로 운전되는 유도모터(70)에 전원이 차단된 시점부터 유도모가 정지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통해서 드럼 내에 수용된 포량을 감지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여기서, 포량의 증가에 따라 가변되는 소요시간은 실험적으로 구해질 수 있을 것이며, 포량과 소요시간과의 상관관계는 테이블로 작성되어 포량 감지부에 기설정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포량 감지부는 상기 컨트롤러에 포함되는 마이컴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며, 상기 컨트롤러 또는 마이컴과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전술한 일 실시예에서 드럼 내에 수용된 포량에 따라 가변되는 유도모터의 상태 변수는 정상 운전 RPM에 도달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이거나 정상 운전 RPM에서 정지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포량 감지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전술한 일 실시예는 모터에 전원이 인가되거나 차단되는 시점과 유도모터가 정상 RPM에 도달되는 시점 또는 정지하는 시점을 감지하여야 한다. 즉, 이러한 시점들 간의 시간을 통하여 소요되는 시간을 감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가속구간 (1) 또는 감속구간 (3)에서의 가속도를 통하여 포량을 감지할 수 있다. 즉, 특정 구간에서의 특정 값만을 감지함으로써 포량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포량을 감지하기 위한 상기 유도모터의 상태 변수는 가속도라 할 수 있다.
상기 가속구간 또는 감속구간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어느 시점에서든지 감지되는 가속도는 동일하게 될 것이다. 물론, 가속구간에서 포량이 적을수록 가속도는 커질 것이며 포량이 작을수록 가속도는 작아질 것이다. 따라서, 이를 통해서 포량을 감지할 수 있다. 아울러 가속 또는 감속구간이 선형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포량을 더욱 세분화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가속 또는 감속구간이 선형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포량을 대 중 소 등으로 세분화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왜냐하면 적어도 특정 시간 에서의 가속도는 포량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포량 감지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다. 즉, 가속구간 또는 감속구간에서 포량에 따라 가변되는 유도모터의 상태 변수를 이용하는 측면에서 매우 유사하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태 변수로서 특정 시간에서의 RPM을 감지함이 다르다.
즉, 가속구간에서 포량이 적은 경우에는 특정 시간에서의 RPM은 크고 포량이 많은 경우에는 특정 시간에서의 RPM은 작게 된다. 왜냐하면 포량이 적은 경우는 포량이 많은 경우보다는 특정 시간에서의 RPM이 정상 RPM에 더욱 근접할 것이기 때문이다. 물론, 감속구간에서는 이와는 반대 양상이 일어날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포량에 따라 가속구간 또는 감속구간에 소요되는 시간이 달라진다. 따라서 이러한 구간 내에서 가속도를 감지하는 시점이나 RPM을 감지하는 시점은 이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물론, 무부하에서의 가속 또는 감속구간에 소요되는 시간이 가장 짧음을 고려하면, 이때 소요되는 시간보다 이전에 가속도나 RPM을 감지함으로써 이러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가속구간과 감속구간은 선형적으로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며, 드럼 내부에서 포가 수용된 상태 즉 편심 상태 등과 같은 포량 이외의 변수에 의해 이러한 가속구간과 감속구간의 편차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포량 감지를 위한 시간의 측정, 가속도나 RPM 측정은 복수 회 반복되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 회 반복된 결과를 기초로 하여 포량을 감 지할 수 있을 것이다. 즉, 포량 이외의 변수로 인해 부정확한 포량이 감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속구간 또는 감속구간에서 가속도 또는 RPM을 감지하는 특정 시간 또한 포량 감지가 반복됨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즉, 초기의 포량 감지를 통해서 무부하 여부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포량 감지를 반복함으로써 포량의 대중소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를 통해 더욱 세분화된 포량을 감지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내용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무부하에서 가속구간이 2초, 중간 부하에서 4초 그리고 최대 부하에서 6초라고 가정하고, 최초 포량 감지단계에서 2초 되는 시점에서 RPM을 측정할 수 있다. 그 결과 RPM이 정상 RPM에 근접하거나 동일한 경우에는 적어도 무부하로 판단할 수 있다. 아울러 정상 RPM과 편차를 보이는 경우에는 부하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4초 되는 시점에서 RPM을 측정할 수 있다. 이 측정된 RPM을 통해서 적어도 대 중 소라는 포량을 감지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대략 포량이 중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5초 되는 시점에서 다시 RPM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보다 세분화된 포량을 감지할 수 있다.
포량 감지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유도모터의 특성상 전술한 바와 같이 전원을 인가하면 바로 정상 RPM에 도달하지 않고, 일정 시간 가속구간을 갖게 된다. 아울러, 포량이 증가하게 되면 그만큼 모터가 회전하는 것을 방해하는 저항이 많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가속구간에서 정상 RPM까지 도달할 때의 전류값 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유도모터의 초기 구동시 입력 전류를 측정함으로써 포량을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별도로 RPM을 측정하는 센서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회로적으로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포량에 따라 가변되는 전류값은 특정 저항을 통과하면서 가변되는 전압값을 포량 감지부에 감지함으로서 측정될 수 있다. 즉, 전류값이 0인 경우에는 포량 감지부에서 디폴트로 5V를 감지할 수 있고, 전류값이 증가됨에 따라 포량 감지부에서 낮은 전압값을 감지하게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변형될 수 있다. 즉 유도모터의 특징상 전술한 바와 같이 전원을 차단하였을 때 감속구간을 갖는다. 왜냐하면 전원을 차단하였을 때 모터에 남아 있는 역기전력에 의해 바로 정지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역기전력은 포량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감속구간에서는 포량이 많아짐에 따라 정지하는 시간이 짧은데, 이는 포량이 많아짐에 따라 역기전력의 감소률이 더욱 커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감속구간에서 역기전력을 감지함으로써 포량을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이러한 역기전력은 포량과는 관계없이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 교류 파형을 갖게 될 것이므로, 특정 시간에서의 역기전력을 측정함으로써 포량을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유도모터의 상태 변수를 통한 포량의 감지는 운전초기에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보다 정확한 감지를 위해서 이러한 포량의 감지는 복수 회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감지된 포량에 따라 운전조건을 달리 설 정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 초기 정확한 포량의 감지를 통하여 운전 시간을 설정하여 디스플레이부(700)에 표시하므로, 운전 도중에 잔여 운전 시간이 급격히 변화하거나, 변화하지 않아 사용자가 혼동을 일으키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운전 도중에 건조도를 감지하여 운전 조건을 가변시킴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건조가 가능하다. 또한, 운전 초기에 이미 포량에 따라 운전 조건, 특히 운전 시간이 달라지도록 기설정하였으므로, 운전 도중에 건조도 감지를 통한 운전 시간의 가변은 최소화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건조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 는 종래 건조기의 건조시간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3 은 건조시 건조 대상물의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르는 건조기의 분해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르는 건조기의 단면도;
도 6 은 도 4 의 건조기에 사용되는 스팀발생기;
도 7 는 본 발명에 따르는 건조기의 또 다른 실시예;
도 8 는 도 4 의 건조기의 콘트롤패널;
도 9 은 적은 포량일 때의 운전 흐름도;
도 10 은 많은 포량일 때의 운전 흐름도;
도 11은 포량에 따른 유도모터의 상태 변수가 달라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610 : 코스선택부 620 : 전원버튼
611 : 스팀가능코스 612 : 스팀배제코스
613 : 스팀코스 614 : 인쇄부
621 : 시작버튼 630 : 옵션 선택부
631 : 정전기제거 버튼 632 : 구김제거 버튼
Claims (21)
- 피건조물이 수용되는 드럼;상기 드럼을 구동시키는 유도모터;상기 피건조물의 건조를 위하여 상기 드럼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상기 드럼 내에 수용된 피건조물의 양(포량)에 따라 가변되는 상기 유도모터의 상태 변수를 통하여 포량을 감지하는 포량 감지부; 그리고상기 감지된 포량에 따라 운전시간을 설정하여 상기 유도모터와 상기 공기공급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상기 운전시간은 상기 드럼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건조시간과 상기 드럼 내부로 냉풍을 공급하는 쿨링시간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포량 감지부는 상기 컨트롤러에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운전시간을 디스플레이하고, 운전이 진행됨에 따라 잔여운전시간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변수는 상기 유도모터의 가속구간에서의 가속도 또는 감속구간에서의 가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변수는 상기 유도모터의 가속구간 중 특정 시간에서의 RPM 또는 감속구간 중 특정 시간에서의 RPM 중 적어도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변수는 상기 유도모터의 가속구간에서 정상 RPM까지 도달할 때의 전류값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변수는 상기 유도모터의 감속구간 중 특정 시간에서의 역기전력값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드럼 내부로 미세 수분 또는 스팀을 공급하는 수분공급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 제 8 항에 있어서,상기 드럼 내부로 공급되는 미세 수분 또는 스팀의 양은 상기 감지된 포량에 따라 달라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쿨링시간은 기설정되며 상기 건조시간이 상기 감지된 포량에 따라 달리 설정되어, 상기 운전시간은 상기 감지된 포량에 따라 달리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 제 11 항에 있어서,상기 설정된 건조시간 경과 전에 건조가 종료되는 경우 잔여시간은 상기 기설정된 쿨링시간으로 변경되어 디스플레이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 피건조물이 수용되는 드럼을 구동시키는 유도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상기 드럼 내에 수용된 피건조물의 양(포량)에 따라 가변되는 상기 유도모터의 상태 변수를 통하여 포량을 감지하는 포량감지단계; 그리고상기 감지된 포량에 따라 운전시간을 달리 설정하여 운전시간이 경과됨에 따 라 잔여운전시간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조기의 제어방법.
- 제 13 항에 있어서,상기 포량감지단계는,상기 유도모터를 가속시키거나 감속시키는 단계; 그리고상기 단계에서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제어방법.
- 제 13 항에 있어서,상기 포량감지단계는,상기 유도모터를 가속시키거나 감속시키는 단계; 그리고상기 단계 중 특정 시간에서의 RPM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제어방법.
- 제 13 항에 있어서,상기 포량감지단계는,상기 유도모터를 가속시키는 단계; 그리고상기 단계에서 정상 RPM까지 도달할 때의 상기 유도모터의 입력 전류값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제어방법.
- 제 13 항에 있어서,상기 포량감지단계는,상기 유도모터를 감속시키는 단계; 그리고상기 단계에서 상기 유도모터의 역기전력값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제어방법.
- 제 13 항에 있어서,상기 포량감지단계는 복수 회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제어방법.
- 제 13 항에 있어서,상기 드럼 내부로 미세 수분 또는 스팀을 공급하는 수분공급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제어방법.
- 제 19 항에 있어서,상기 수분공급단계에서 공급되는 미세 수분 또는 스팀의 양은 상기 포량감지단계에서 감지된 포량에 따라 달라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제어방법.
- 피건조물이 수용되는 드럼을 구동시키는 유도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운전 초기 상기 드럼 내에 수용된 피건조물의 양(포량)에 따라 가변되는 상기 유도모터의 상태 변수를 통하여 포량을 감지하고, 운전 도중 건조도를 감지하여 포량을 감지하는 포량감지단계; 그리고운전 초기 상기 감지된 포량에 따라 운전시간을 달리 설정하여 운전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잔여운전시간을 디스플레이하고, 운전 도중 상기 감지된 포량에 따라 잔여운전시간을 수정하여 표시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조기의 제어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19312A KR101414624B1 (ko) | 2007-11-21 | 2007-11-21 | 건조기 및 이의 제어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19312A KR101414624B1 (ko) | 2007-11-21 | 2007-11-21 | 건조기 및 이의 제어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52691A KR20090052691A (ko) | 2009-05-26 |
KR101414624B1 true KR101414624B1 (ko) | 2014-07-03 |
Family
ID=40860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19312A KR101414624B1 (ko) | 2007-11-21 | 2007-11-21 | 건조기 및 이의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1462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447910B2 (en) | 2019-09-03 | 2022-09-2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rye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85976B1 (ko) * | 2010-05-04 | 2016-12-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건조기의 제어방법 |
EP2620535A1 (en) * | 2012-01-27 | 2013-07-31 |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 Laundry treating machine |
CN114134677A (zh) * | 2021-11-23 | 2022-03-04 | 无锡飞翎电子有限公司 | 控制方法、装置、衣物处理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117596A (ja) * | 1995-10-27 | 1997-05-06 | Hitachi Ltd | 衣類乾燥機及び衣類乾燥制御方法 |
KR20070040900A (ko) * | 2005-10-13 | 2007-04-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건조기의 모터 회전속도 제어방법 |
-
2007
- 2007-11-21 KR KR1020070119312A patent/KR10141462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117596A (ja) * | 1995-10-27 | 1997-05-06 | Hitachi Ltd | 衣類乾燥機及び衣類乾燥制御方法 |
KR20070040900A (ko) * | 2005-10-13 | 2007-04-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건조기의 모터 회전속도 제어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447910B2 (en) | 2019-09-03 | 2022-09-2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rye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52691A (ko) | 2009-05-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14625B1 (ko) | 건조기 | |
EP2000581B1 (en) | Dryer | |
KR100964695B1 (ko) | 건조기 | |
KR101253181B1 (ko) |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0866884B1 (ko) | 건조기의 포량 결정 제어방법 및 그 건조기 | |
KR101319874B1 (ko) | 건조기의 제어방법 | |
KR101342367B1 (ko) | 스팀건조기 | |
KR101276815B1 (ko) | 페데스탈 건조기 | |
KR101253179B1 (ko) | 건조기 | |
EP1932965B1 (en) | Laundry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EP2039823B1 (en) | Laundry machine | |
US8312642B2 (en) | Controlling method of a steam generator and a laundry machine with the same | |
KR101507783B1 (ko) | 가전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
US20100050464A1 (en) | Clothes dryer apparatus and method for de-wrinkling clothes with reduced condensation | |
US7934279B2 (en) | Method for sensing a supply of water to a water-droplet generator of a laundry machine | |
KR20200065886A (ko) | 의류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20130064268A (ko) | 의류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1414624B1 (ko) | 건조기 및 이의 제어방법 | |
KR100917827B1 (ko) | 스팀 세탁장치 | |
KR100934660B1 (ko) | 건조기 | |
EP2610400B1 (en) | Dryer and method to control a drying cycle | |
KR101208531B1 (ko) | 건조기 | |
KR101414622B1 (ko) | 건조기 | |
KR101540664B1 (ko) | 스팀발생기를 구비한 의류 건조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