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02627B1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2627B1
KR101402627B1 KR1020070053383A KR20070053383A KR101402627B1 KR 101402627 B1 KR101402627 B1 KR 101402627B1 KR 1020070053383 A KR1020070053383 A KR 1020070053383A KR 20070053383 A KR20070053383 A KR 20070053383A KR 101402627 B1 KR101402627 B1 KR 101402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driving source
developing
developer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3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6542A (ko
Inventor
안병선
정경식
안병화
김수용
정기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1/938,976 priority Critical patent/US7787803B2/en
Priority to CN2007101866482A priority patent/CN101187793B/zh
Priority to EP07121238.5A priority patent/EP1925991B1/en
Publication of KR20080046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6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2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2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42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08Driving control for rotary photosensitive medium, e.g. speed control, stop position contro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7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developer un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일면인쇄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인쇄매체의 일면에 현상제로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기와; 상기 현상제를 상기 인쇄매체에 정착시키는 정착기와; 상기 정착기를 통과한 상기 인쇄매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롤러와; 상기 현상기, 상기 정착기 및 상기 배출롤러를 모두 구동하는 제1구동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동력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고. 토너 스트레스 및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개략 단면도,
도 3a는 도 2의 화상형성장치의 요부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화상형성장치의 양면인쇄감지부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4는 도 2의 화상형성장치의 동력전달장치의 요부 평면도,
도 5는 도 2의 화상형성장치의 동력전달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도 2의 화상형성장치의 블록선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화상형성장치 110 : 급지부
120 : 인쇄매체 이송유닛 130K : 모노 현상기
130Y, 130M, 130C : 칼라 현상기 150 : 정착기
160 : 배출부 163 : 배출롤러
170 : 양면인쇄 감지부 171 : 제1레버
171a: 제1레버돌기 172 : 제2레버
172a: 제2레버돌기 174 : 탄성부재
177 : 광센서 183 : 제1구동원
185 : 제2구동원 187 : 제3구동원
190 : 제어부 193 : 인쇄모드 판단부
200 : 동력전달장치 205 : 현상기 동력단속부
213 : 정착기 동력단속부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토너 스트레스 및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지부(10), 용지이송부(20), 각각 소정 색상의 토너를 저장하는 현상기(30C, 30M, 30Y, 30K), 복수의 전사롤러(40), 광주사유닛(LSU, 43), 정착기(50) 및 배지부(60)를 갖는다. 스프링(11)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녹업플레이트(12) 상에 적재된 인쇄매체는 픽업롤러(13)에 의해 픽업되고 레지롤러(14)에 의해 인쇄매체의 선단이 정렬된다. 정렬된 인쇄매체는 용지이송부(20)의 용지이송벨트(25)에 의해 현상기(130)측으로 진행하며, 각 현상기(30C, 30M, 30Y, 30K)를 거치면서 컬러 토너화상이 인쇄매체에 형성된다. 인쇄매체에 형성된 컬러 토너화상은 히트롤러(53) 및 프레스 롤러(55)에 의해 열과 압력으로 정착된다. 정착기(50)를 통과하여 인쇄 완료된 인쇄매체는 배지롤러(63)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런데, 종래의 화상형성장치(1)는 정착기(50), 용지이송벨트 구동롤러(27), 배지롤러(63), 픽업롤러(13)를 각각 구동하는 4개의 모터와, 각 현상기(30C, 30M, 30Y, 30K)를 각각 구동하는 4개의 현상기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총 8개의 모터를 사용한다. 또한, 각 현상기 구동모터(미도시)는 각각의 감광드럼(35C, 35M, 35Y, 35K), 현상롤러(33C, 33K, 33Y, 33K) 및 교반기(미도시)를 구동하며, 현상기 구동모터(미도시)로부터 현상롤러(33C, 33K, 33Y, 33K) 및 교반기(미도시)로의 동력전달은 솔레노이드에 의해 단속된다.
이러한 종래의 화상형성장치(1)는 총 8개의 모터를 사용함으로써 동력전달구조가 복잡하고 소비전력, 재료비 및 구동소음이 증가한다. 또한, 흑백 인쇄 시 현상롤러 및 교반기의 동력은 솔레노이드에 의해 단속될 수 있지만 감광드럼은 여전히 구동되므로 토너 스트레스 증가 요인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동력전달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동소음을 줄일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토너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일면인쇄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인쇄매체의 일면에 현상제로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기와; 상기 현상제를 상기 인쇄매체에 정착시키는 정착기와; 상기 정착기를 통과한 상기 인쇄매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롤러와; 상기 현상기, 상기 정착기 및 상기 배출롤러를 모두 구동하는 제1구동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구동원의 동력을 상기 현상기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현상기 동력단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구동원의 동력을 상기 정착기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정착기 동력단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현상기는 복수개로 마련되어 내부에 서로 다른 색상의 현상제를 저장하며; 상기 각 현상기는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를 현상제로 현상시키는 현상롤러와 상기 현상제를 교반하는 교반기(agitato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상기는, 상기 현상기 중에서 상기 정착기에 가장 인접하게 설치되며 블랙 색상의 현상제를 저장하는 모노 현상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구동원은 상기 모노 현상기의 현상롤러 및 교반기를 구동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 현상기의 감광체 전부를 회전 구동하는 제2구동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쇄매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각 감광체에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전사롤러와; 상기 감광체와 상기 전사롤러 사이로 상기 인쇄매체를 이송시키며 상기 제2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는 인쇄매체 이송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현상기는 칼라 색상의 현상제를 저장하는 칼라 현상기를 포함하며, 상기 칼라 현상기의 현상롤러 및 교반기를 구동하는 제3구동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매체의 타면이 인쇄될 수 있도록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배출롤러에서부터 상기 현상기로 안내하는 듀플렉스 가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출롤러는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듀플렉스 가이드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정역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쇄매체가 상기 듀플렉스 가이드로 이동하는 지 여부를 감지하는 양면인쇄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양면인쇄 감지부는 상기 인쇄매체가 상기 정착기를 통과하는 지 여부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면인쇄 감지부는, 상기 정착기 및 상기 배출롤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정착기를 통과하는 인쇄매체와 접촉되어 회전하는 제1레버와; 상기 제1레버에 의해 연동회전하며, 상기 배출롤러의 역회전에 의해 진행하는 인쇄매체에 접촉되어 회전하는 제2레버와; 상기 제1레버 및 상기 제2레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양면인쇄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양면인쇄 감지부의 감지결과에 따 라 상기 배출롤러가 정역회전하도록 상기 제1구동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일면인쇄경로에 대해 상기 현상기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2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는 한 쌍의 레지롤러와; 상기 인쇄매체가 상기 정착기를 통과 완료한 시점부터 상기 인쇄매체가 다시 상기 레지롤러 사이에 물리기 직전 까지 상기 제2구동원 및 상기 제3구동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작동정지 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양면인쇄모드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배출롤러가 역회전 하는 동안 상기 제2구동원 및 제3구동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작동정지 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양면인쇄모드에 해당하는 경우, 일면 인쇄된 인쇄매체의 타면에 인쇄될 타면인쇄 데이터가 흑백 인쇄 및 칼라 인쇄 중 어디에 해당하는 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면인쇄 데이터가 흑백인쇄모드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인쇄매체의 일면이 상기 정착기를 통과하여 일면 인쇄가 완료된 시점부터 상기 인쇄매체의 타면이 인쇄되어 외부로 배출될 때까지 상기 제3구동원을 정지상태에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인쇄요청 된 화상데이터가 흑백인쇄모드에 해당하는 지를 판단하고, 상기 흑백인쇄모드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3구동원을 정지상태에 있도록 제3구동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제1감광체와, 블랙 현상제를 저장하는 현상제 저장부와, 상기 블랙 현상제로 상기 제1감광체에 상기 블랙 현상제를 제공하는 제1회전체를 갖는 모노 현상기와; 제2감광체와, 칼라 현상제를 저장하는 현상제 저장부와, 상기 제2감광체에 상기 칼라 현상제를 제공하는 제2회전체를 갖는 칼라 현상기와; 상기 모노 현상제 및 칼라 현상제를 상기 인쇄매체에 정착시키는 정착기와; 상기 정착기를 통과한 인쇄매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롤러와; 상기 제1회전체, 상기 정착기 및 상기 배출롤러를 모두 구동하는 제1구동원과; 상기 제1감광체 및 제2감광체를 구동하는 제2구동원과; 상기 제2회전체를 구동하는 제3구동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인쇄매체를 상기 감광체로 이송시키도록 궤도 순환하는 매체 이송벨트와; 상기 매체 이송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및 제2감광체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매체 이송벨트에 의해 이송된 인쇄매체에 상기 모노 및 칼라 현상제를 전사시키는 복수의 전사롤러와; 상기 제2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매체 이송벨트를 구동하는 구동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출롤러는 정역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배출롤러에서 상기 칼라현상기로 안내하는 듀플렉스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양면인쇄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배출롤러가 역회전하여 상기 정착기를 통과한 인쇄매체를 상기 듀플렉스 가이드로 진입하도록 상기 제1구동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출롤러가 역회전하는 동안 상기 제2구동원 및 상기 제3구동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정지상태에 있도록 제2구동원 및 제3구동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모노 현상기와 칼라 현상기를 갖는 현상유닛과; 양면인쇄모드, 일면인쇄모드, 칼라인쇄모드 및 흑백인쇄모드를 포함하는 인쇄모드에 따라 상기 모노 현상기 및 상기 칼라 현상기 중 하나 이상을 각각 구동하는 복수의 구동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의 동작방법에 있어서, 모노 현상기 및 칼라 현상기 중 하나 이상을 각각 구동하는 복수의 구동원 중 하나 이상을 구동하는 단계와; 양면인쇄모드, 일면인쇄모드, 칼라인쇄모드 및 흑백인쇄모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됨에 따라 상기 복수의 구동원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동작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지부(110), 인쇄매체 이송유닛(120), 복수의 현상기(130C, 130M, 130Y, 130K), 복수의 전사롤러(140), 노광유닛(143), 정착기(150) 및 배출부(160)를 포함한다.
후술할 레지롤러(114)부터 배출롤러(163)까지 일면 인쇄경로(SP)를 따라서 복수의 현상기(130C, 130M, 130Y, 130K), 복수의 전사롤러(140) 및 정착기(150)가 배치되며, 일면 인쇄경로(SP)를 통과하면서 인쇄매체에 화상이 형성되게 된다.
급지부(110)는 녹업플레이트(112), 탄성부재(111), 픽업롤러(113)를 포함한다. 탄성부재(111)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녹업플레이트(113)에 적재된 인쇄매체는 픽업롤러(115)에 의해 픽업되어 레지롤러(114) 측으로 진입한다.
또한, 급지부(110)는 수동으로 급지되는 수동 급지카세트(116) 및 수동 급지카세트(116) 상의 인쇄매체를 픽업하는 수동 픽업롤러(1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레지롤러(114)에 의해 선단 정렬된 인쇄매체는 인쇄매체 대전롤러(117)에 의해 소정전하로 대전되면서 후술할 인쇄매체 이송벨트(125)에 부착되어 현상기(130Y)의 감광드럼(135Y)과 전사롤러(140) 사이로 이송된다.
인쇄매체 이송유닛(120)은 인쇄매체 이송벨트(125) 및 상기 인쇄매체 이송벨트(125)를 구동하는 이송벨트 구동롤러(127) 및 종동롤러(123)를 포함한다. 인쇄매체 이송벨트(125)는 이송벨트 구동롤러(127) 및 종동롤러(123)에 의해 무한궤도로 순환한다. 그리고, 전하를 띤 인쇄매체가 부착될 수 있도록 도전성 벨트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각 현상기(130Y, 130M, 130C, 130K)는 감광체(135Y, 135M, 135C, 135K), 공급롤러(131Y, 131M, 131C, 131K), 현상롤러(133Y, 133M, 133C, 133K) 및 현상제를 저장하는 현상제 저장부(136Y, 136M, 136C, 136K)를 포함할 수 있다.
각 현상기(130Y, 130M, 130C, 130K)는 각각 화상형성장치(100)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각 현상기(130Y, 130M, 130C, 130K)는 감광체(135Y, 135M, 135C, 135K)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만이 화상형성장치(100)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각 현상제 저장부(136Y, 136M, 136C, 136K)는 각각 옐로우(yellow: Y), 마젠타(magenta: M), 시안(cyan: C), 블랙(black: K) 색상의 현상제를 저장하며, 각 공급롤러(131Y, 131M, 131C, 131K)는 현상제 저장부(136Y, 136M, 136C, 136K)에 저장된 현상제를 현상롤러(133Y, 133M, 133C, 133K)로 공급한다. 그리고, 현상롤러(133Y, 133M, 133C, 133K)는 공급된 현상제를 각각의 감광체(135Y, 135M, 135C, 135K)로 공급하여 각 감광체(135Y, 135M, 135C, 135K)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시킨다.
상기 정전잠상들은 감광체(135) 표면이 상기 노광유닛(143)에 의해 노광되면 노광영역과 비노광영역이 생기게 되고 그들 사이에 전위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상기 노광유닛(143)은 각 감광체(135Y, 135M, 135C, 135K) 표면에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 색상의 인쇄데이터에 대응하는 정전잠상이 형성되도록 각 감광체(135Y, 135M, 135C, 135K)를 노광시킨다. 즉, 노광유닛(143)은 감광체(135C)의 표면 중에서 시안 색상의 토너가 도포되어야 할 부분만을 노광시켜 시안색상의 화상정보에 대응하는 정전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정전잠상은 공급롤러(131C) 및 현상롤러(133C)에 의해 시안 색상의 현상제로 현상된다.
이에 따라, 감광체(135C) 표면엔느 시안 색상의 현상제로 구성된 가시화상이 형성되며, 상기 가시화상은 다시 전사롤러(140)에 의해 인쇄매체 이송벨트(125) 상의 인쇄매체로 전사된다. 시안 색상의 현상제가 전사된 인쇄매체는 인쇄매체 이송벨트(125)를 따라 다른 색상의 현상제를 저장하고 있는 현상기(130M, 130Y, 130K)와 전사롤러(140) 사이를 통과하면서 각각 마젠타, 옐로우, 블랙 색상의 토너가 중첩되게 된다. 이에 따라, 인쇄매체에는 컬러 화상이 형성된다.
상기 컬러 화상은 정착기(150)를 통과하면서 열과 압력에 의해 인쇄매체에 정착된다. 정착기(150)를 통과하여 인쇄매체의 일면이 인쇄완료된 인쇄매체는 배출부(160)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배출부(160)는 배출롤러(163) 및 아이들 롤러(165, 167)를 포함한다.
그리고, 정착기(150)는 프레스롤러(151), 정착벨트(157), 정착벨트 구동롤 러(153), 상기 정착벨트 구동롤러(153)와 함께 상기 정착벨트(157)를 궤도 순환시키는 아이들 롤러(155)를 포함한다. 그리고, 프레스롤러(151) 내지 아이들 롤러(155)는 모두 정착기 프레임(158, 159)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스롤러(151)는 상기 정착벨트(157)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정착벨트 구동롤러(153)를 탄성 가압하며, 정착벨트(157)에 의해 종동된다. 상기 정착벨트 구동롤러(153) 내부에는 발열체(미도시)가 마련되어 상기 정착벨트(157)를 소정의 정착온도로 가열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정착벨트(157)와 상기 프레스롤러(151) 사이에 개재되는 인쇄매체에 열과 압력을 가함으로써 현상제를 상기 인쇄매체에 정착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동원(183)을 더 포함한다.
제1구동원(183)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노 현상기(130K), 정착기(150) 및 배출롤러(163) 모두를 구동하는 동력원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술한 블랙 색상의 현상제를 저장하고 있는 모노 현상기(130K)의 현상롤러(133K) 및 공급롤러(131K)와, 정착기(150)의 정착벨트 구동롤러(153)와, 배출롤러(163) 모두를 구동하는 동력원이다. 제1구동원(183)은 스텝모터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외에도 다른 방식의 전기모터로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상기 정착기(150)를 통과하여 일면 인쇄완료 된 인쇄매체를 다시 현상기(130)로 이송하여 상기 인쇄매체의 타면이 인쇄되도록 하기 위한 양면인쇄경로(DP)를 형성하는 듀플렉스 가이드(118)를 더 포 함할 수 있다.
듀플렉스 가이드(118)는 인쇄매체가 배출부(160)에서 다시 상기 현상기(130C)로 이동하는 것을 안내한다. 듀플렉스 가이드(118)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매체를 레지롤러(114)까지 안내함으로써 양면인쇄경로(DP)가 일면인쇄경로(SP)에 합류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듀플렉스 가이드(118)를 따라 인쇄매체를 이송하기 위한 한 쌍의 듀플렉스 롤러(115)들이 여러 군데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출롤러(163)는 인쇄매체의 타면을 인쇄하기 위해 상기 인쇄매체를 다시 상기 듀플렉스 가이드(118)로 외부로 배출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인쇄매체를 이송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배출롤러(163)는 정역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동원(183)의 동력을 상기 모노 현상기(130K), 정착기(150) 및 배출롤러(163)에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장치(200)를 더 포함한다.
하나의 구동원으로 상기 모노 현상기(130K), 정착기(150) 및 배출롤러(163)를 구동하기 위해, 상기 제1구동원(183)에서 상기 모노 현상기(130K)로 동력이 전달되는 전달되는 모노 현상기 동력전달경로 및 상기 제1구동원(183)에서 상기 정착기(150)로 동력이 전달되는 정착기 동력전달경로 상에 각각 단속부(205, 213)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인쇄매체의 양면을 인쇄하기 위해서는 배출롤러(163)는 정역회전의 양방향 회전이 가능해야 하는 반면, 정착기(150) 및 모노 현상기(130K)는 인쇄매체의 진행방향이 일정하므로 한 방향으로만 회전하는 것이 바 람직하기 때문이다.
동력전달장치(200)에 의한 모노 현상기(130K)까지의 동력전달 경로는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기 기어(208K)는 외부로부터 동력전달이 가능하도록 모노 현상기(130K)의 케이싱(138K)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그리고, 현상기 기어(208K)는 케이싱(138K) 내부에 수용된 다수의 기어(G1 내지 G6)에 동력을 전달한다.
제1구동원(183)의 구동축(미도시)에 연결된 구동피니언(201)로부터 현상기 기어(208K)까지의 동력전달 경로는 다음과 같다.
구동피니언(201)에서 기어(202, 203, 209, 204) 및 현상기 동력단속부(205), 기어(206, 207)를 거쳐서 현상기 기어(208K)로 전달된다. 현상기 기어(208K)는 모노 현상기(130K)에 설치되어 현상기(130K)와 일체로서 화상형성장치(100)에 착탈된다. 따라서, 현상기(130K)의 착탈 시 현상기 기어(208K)는 기어(207)와 치합 및 치합해제 된다. 그리고, 현상기 기어(208K)부터 현상롤러(133K)의 회전축에 연결된 현상롤러 기어(G5)까지의 동력전달은 기어(G1-> G2-> G6)를 거쳐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구동피니언(201)이 정방향(F) 회전할 때 현상롤러(133K)도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현상기 기어(208K)로부터 공급롤러(131K)의 회전축에 연결된 공급롤러 기어(G4)까지의 동력전달은 기어(G1-> G2-> G6)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공급롤러(131K)도 현상롤러(133K)와 같이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는 내부에 수용된 현상제를 마찰대전 시키기 위해서 동일한 방향 회전시키는 것이다.
또한, 현상기 기어(208K)로부터 교반기(미도시)의 회전축에 연결된 교반기 기어(G3)까지의 동력전달은 기어(G1-> G2)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교반기(미도시)는 역방향(H)으로 회전하게 되며, 공급롤러(131K) 측으로 현상제를 이송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현상기 동력단속부(205)는 원웨이 기어로 마련되어 구동피니언(201)이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만 모노 현상기(130K)로 동력을 전달하고,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동력전달을 차단한다. 현상기 동력단속부(205)는 원웨이 기어가 아닌 전자클러치, 스윙기어, 래치기어와 같은 공지된 동력단속장치로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동력전달장치(200)에 의한 정착기(150)까지의 동력전달 경로는 다음과 같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피니언(201)에서부터 정착벨트 구동롤러(153)에 연결된 정착기 기어(219)로의 동력전달은 기어(202-> 211-> 212) 및 정착기 동력단속부(213)의 제1기어열(213a) 및 기어(215 -> 217)를 차례대로 거치면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구동피니언(201)이 정회전(F) 할 때, 정착기 기어(219)는 역회전(H)한다. 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인쇄경로(SP)를 통과하는 인쇄매체의 진행방향에 따라 정착벨트 구동롤러(153)는 역회전 해야하기 때문이다. 회전방향은 정착기(150)의 롤러(151, 153, 155) 중 구동 및 종동롤러를 어떻게 선택하느냐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정착기 동력단속부(213)는 래치기어로 마련될 수 있다. 래치기어 축(213c)을 따라서 제1기어열(213a) 및 제2기어열(231b)이 마련된다. 제1기어열(213a)은 구동피니언(201)이 정회전(F)할 때에만 기어(215)로 동력을 전달하고 구동피니언(201)이 역회전할 때에는 기어(215)로 동력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즉, 구동피니언(201)이 정회전(F) 할 때만 정착기(150)가 구동된다. 정착기 동력단속부(213)는 래치기어가 아닌 원웨이 기어, 전자클러치와 같은 다른 동력단속장치로 대체될 수 있다.
한편, 동력전달장치(200)에 의한 배출롤러(163)까지의 동력전달 경로는 다음과 같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피니언(201)에서부터 배출롤러(163)의 회전축에 연결된 배출기어(227)로의 동력전달은 기어(202-> 211-> 212) 및 정착기 동력단속부(213)의 제2기어열(213b) 및 기어(221 -> 223 -> 225)를 차례대로 거치면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배출기어(227)는 구동피니언(201)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구동피니언(201)이 정역 회전함에 따라 배출기어(227)도 정역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배출롤러(163)를 정역회전 시키려면 구동피니언(201)이 각각 정역 회전하도록 제1구동원(183)의 회전축 회전방향을 제어하면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제2구동원(185) 및 제3구동원(187)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구동원(185)은 상술한 각 현상기(130Y, 130M,130C, 130K)의 각 감광체(135Y, 135M, 135C, 135K)를 구동할 수 있다. 각 감광체(135Y, 135M, 135C, 135K)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C)에 의해 제2구동원(185)으로부터의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픽업롤러(113, 119), 레지롤러(114), 듀플렉스롤러(115), 이송벨트 구동롤러(227)를 구동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각 감광체(135Y, 135M, 135C, 135K) 및 각 롤러(113, 114, 115, 227)의 회전방향은 일정하므로 제2구동원(185)의 동력을 전달하는 경로는 기어를 적절하게 조합함으로써 쉽게 구현될 수 있으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3구동원(187)은 상술한 각 현상기(130Y, 130M,130C, 130K) 중에서 칼라 현상제를 저장하고 있는 칼라 현상기(130Y, 130M, 130C)만을 구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칼라 현상기(130Y, 130M, 130C)에 수용된 구성요소 중 감광체(135Y, 135M, 135C)를 제외한 현상롤러(133Y, 133M, 133C)와, 공급롤러(131Y, 131M, 131C)와, 교반기(미도시)를 모두 구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그 중에서 일부만을 구동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현상롤러(133Y, 133M, 133C), 공급롤러(131Y, 131M, 131C) 및 교반기(미도시)는 칼라 현상기(130Y, 130M, 130C) 내부에 저장된 현상제를, 교반하거나 감광체(135Y, 135M, 135C)로 공급하거나 마찰대전 시키는 부재들로서 현상제에 스트레스를 일으킬 수 있는 것들이다.
상기 제2구동원(185) 및 제3구동원(187)은 브러쉬 리스 DC모터(BLDC motor)로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이외의 다른 방식의 전기모터로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면인쇄 감지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양면인쇄 감지부(170)는 인쇄매체가 양면인쇄경로(도 2의 DP)를 따라 진행하고 있는 지를 감지한다. 즉, 인쇄매체가 상기 듀플렉스 가이드(118)로 진입하고 있는 지를 감지한다.
필요에 따라서는, 양면인쇄 감지부(170)는 인쇄매체가 양면인쇄경로(도 2의 DP)로 진행하는 지 여부를 감지하는 것 외에 비용절감 및 구조단순화를 위해서 인쇄매체가 정착기(150)를 통과하고 있는 지 여부도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하나의 감지센서로 인쇄매체의 정착기(150) 통과 여부 및 양면인쇄경로(도 2의 DP)로의 진행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데, 그 구조 및 작동원리는 다음과 같다.
양면인쇄 감지부(170)는, 도 2,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레버(171), 제2레버(172), 탄성부재(174), 광센서(177)를 포함한다.
제1레버(171) 및 제2레버(172)는 정착기 프레임(159)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제1레버(171) 및 제2레버(172)는 회전중심이 동심으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편심되어도 무방하다.
제1레버(171)는 정착기(150)를 통과하는 인쇄매체의 선단에 부딪히는 복수의 제1레버돌기(171a) 및 제1레버(171) 회전 시 제2레버(172)를 연동회전 시키는 제1연동회전 돌기(171b)를 갖는다.
제2레버(172)는 제2레버돌기(172a), 제2연동회전 돌기(172b), 절곡부(172c) 및 걸림돌기(172d)를 갖는다.
제2레버돌기(172a)는 배출롤러(163)에서 양면인쇄경로(DP)를 진행하는 인쇄 매체에 접촉하여 제2레버(172)를 회전시킨다.
제2연동회전 돌기(172b)는 제1레버(171) 회전 시 제2레버(172)도 연동 회전하지만 제2레버(172) 회전 시 제1레버(171)는 연동회전 하지 않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연동회전 돌기(172b)는 제1연동회전 돌기(171b)의 하측에 서로 접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레버(171)의 J방향 회전 시 제1레버연동 돌기(171b)가 제2레버연동 돌기(172b)를 하향 가압함으로써 제2레버(172)도 연동하여 J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나, 양면인쇄경로(DP)를 따라 진행하는 인쇄매체(P2)에 의해 제2레버돌기(172a)가 가압되어 제2레버(172)가 A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2레버연동 돌기(172b)는 제1레버연동 돌기(171b)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제1레버(171)는 연동회전하지 않고 제2레버(172)만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레버(171)가 제2레버(172)와 연동회전 하는 경우 제1레버(171)의 제1레버돌기(171a)가 양면인쇄경로(도 2의 DP)로 진행하는 인쇄매체(P2)의 인쇄면(L)을 긁어서 인쇄면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절곡부(172c)는 후술할 광센서(177)의 발광부(177a)의 광이 수광부(177b)에 도달하는 것을 차단 또는 차단 해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2레버(172)는 상기 돌기(172a, 172b, 172d) 및 절곡부(172c)를 포함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생산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탄성부재(174)는 제1레버(171) 및 제2레버(172) 중 어느 하나가 인쇄매체와 접촉하여 회전된 상태에서 인쇄매체가 이동됨에 따라 인쇄매체와 접촉되지 않게 되 는 경우 제1레버(171) 및 제2레버(172)를 원래 위치로 복원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제1레버(171) 및 제2레버(172)가 회전하는 것을 방해하는 방향으로 제2레버(172) 또는 제1레버(171)에 탄성력을 가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174)의 일단은 제2레버(172)의 걸림돌기(172d)에 연결되고 타단은 정착기 프레임(159)에 연결될 수 있다.
광센서(177)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레버(172)의 절곡부(172c)의 단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광센서(177)는 발광부(177a) 및 수광부(177b)로 구성되며, 제2레버(172)의 절곡부(172c)가 그 사이에 개재된다. 이에 따라, 도 3a 및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매체가 제1레버(171) 또는 제2레버(172)에 접촉하기 전에는 제2레버(172)의 절곡부(172c)는 발광부(177a)의 광이 수광부(177b)에 도달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위치(B)에 있게 된다.
반면, 제1레버(171) 또는 제2레버(172)가 인쇄매체에 접촉하는 때에는 절곡부(172c)가 회전하여 상기 차단위치(B)에서 이격된 차단해제 위치(C)에 있게 되어 발광부(177a)의 광이 수광부(177b)에 도달하게 된다.
광센서(177)는 제2레버(172) 대신에 제1레버(171)의 회전을 감지하도록 마련되어도 무방하다. 즉, 이를 위해 절곡부(172c)가 제1레버(171)에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광센서(177) 대신에 제1레버(171) 또는 제2레버(172)의 회전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한, 접촉센서와 같은 다른 방식의 감지센서가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90)를 더 포함한다.
제어부(190)는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되도록 화상형성장치(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외에 다음과 같은 특징적인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화상형성장치(100)는 호스트 장치(미도시)에 연결되어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인터페이스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40)는 병렬 인터페이스(parallel interface), USB 인터페이스 등의 직렬 인터페이스, LAN(Local Area Network)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통신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인터페이스부(240)를 통해 송신된 인쇄데이터의 인쇄모드를 판단하는 인쇄모드 판단부(19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쇄모드 판단부(193)는 상기 인터페이스부(240)를 통해 수신된 인쇄데이터가 인쇄매체의 양면을 인쇄해야 하는 양면인쇄모드 및 일면만을 인쇄하는 일면인쇄모드 중 어디에 해당하는 지를 판단한다. 또한, 인쇄모드 판단부(193)는 상기 인쇄데이터가 복수의 칼라 현상기를 구동하여 칼라 현상제로 인쇄하는 칼라인쇄모드 및 모노 현상기만을 구동하여 블랙 현상제로 인쇄하는 흑백인쇄모드 중 어디에 해당하는지를 더 판단할 수 있다.
일면인쇄모드의 경우에는 제어부(190)는 배출롤러(163)가 정회전(F)하여 인쇄매체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제1구동원(183)을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흑백인쇄모드의 경우 칼라 현상기(130Y, 130M, 130C), 정확하게는 칼라 현상기(130Y, 130M, 130C)에 수용된 제2회전체(131Y, 131M, 131C, 133Y, 133M, 133C)를 구동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3구동원(187)을 작동정지(OFF)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구동원(187)하나만을 제어함으로써 칼라 현상기(130Y, 130M, 130C) 전체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칼라 현상기(130Y, 130M, 130C)의 불필요한 작동을 억제하여 현상제가 받는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불필요한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구동소음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양면인쇄모드의 경우, 제어부(190)는 일면인쇄경로(SP)를 따라 일면 인쇄된 인쇄매체가 정착기(150)를 통과하면서 제1레버돌기(171a)에 접촉되어 양면인쇄 감지부(170)에 의해 일면인쇄가 완료되었음이 감지된다. 제어부(190)는, 일면 인쇄된 인쇄매체가 완전히 정착기(150)를 통과하여 상기 인쇄매체의 후단이 배출롤러(163)와 아이들 롤러(165, 167) 사이에 파지되는 파지시점까지, 배출롤러(163)가 정회전(F)하도록 제1구동원(183)을 제어한다. 즉, 제1구동원(183)의 회전축을 정회전시킨다.
상기 파지시점은 상기 양면인쇄 감지부(170)의 감지신호 및 인쇄매체의 이송속도를 고려하여 추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양면인쇄 감지부(170)의 광센서(177)에서 수광부(177b)가 광을 수령하기 시작한 광 수령시작시점이 일면 인쇄된 인쇄매체의 선단이 제1레버돌기(171a)에 부딪혀서 정착기(150)를 통과하기 시작하는 시점이다. 또한, 상기 수광부(177b)가 다시 광을 수령하지 못하는 광 불수령시점이 상기 인쇄매체의 후단이 완전히 정착기(150), 정확하게는 양면인쇄 감지부(170)를 통과한 시점이 된다. 따라서, 상기 광 불수령시점부터 상기 인쇄매체의 이송속도를 고려하여 소정시간 경과한 시점을 상기 파지시점으로 추정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상 기 광 불수령시점을 상기 파지시점으로 할 수도 있다.
그 다음에 제어부(190)는 상기 파지시점부터는 상기 배출롤러(163)가 역회전 하도록 상기 제1구동원(183)을 제어한다. 즉, 상기 파지시점부터는 제1구동원(183)의 회전축 회전방향이 종전과 반대가 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일면 인쇄된 인쇄매체는 일면인쇄경로(SP)를 따라 이동하던 지금까지의 이동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듀플렉스 가이드(118)를 따라 이동한다.
한편, 제1구동원(183)의 회전축이 역회전함에 따라 각 단속부(205, 213)에 의해 모노 현상기(130K)에 수용된 제1회전체(감광체(135K)를 제외한 현상롤러(133K), 공급롤러(131K) 및 교반기(미도시)) 및 정착기(150)로는 제1구동원(183)의 동력이 차단된다. 이에 따라, 인쇄매체가 양면인쇄경로(DP)를 따라 진행하는 과정 중에는 모노 현상기(130K) 및 정착기(150)가 구동되지 않으므로 모노 현상기(130K) 내의 현상제가 받는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제1구동원(183)에 가해지는 구동부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제1구동원(183) 하나로 정착기(150), 모노 현상기(130K) 및 배출롤러(163) 모두를 구동할 수 있어 동력구조를 단순화시키는 동시에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일면 인쇄된 인쇄매체가 배출롤러(163)의 역회전으로 양면인쇄경로(DP)를 따라 이동하게 되면 상기 인쇄매체의 선단이 다시 양면인쇄 감지부(170)의 제2레버돌기(172a)에 접촉하는 접촉시점부터는 수광부(177b)는 다시 발광부(177a)의 광을 수령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인쇄매체의 후단이 상기 제2레버돌기(172a)로부터 접촉해제 되는 접 촉해제 시점부터 수광부(177b)는 광을 수령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양면인쇄 감지부(170)의 감지결과로부터 인쇄매체가 배출부(160)로부터 완전히 빠져 나와서 듀플렉스 가이드(118)를 따라 진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90)는 배출롤러(163)가 역회전한 후 상기 접촉해제 시점부터 상기 인쇄매체가 다시 모노 현상기(130K)와 전사롤러(140) 사이를 통과하기 전 까지의 시간범위 내에서 전부 또는 일부시간동안 제1구동원(183)을 작동 정지시킬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시간범위 내에서는 정착기(150), 모노 현상기(130K) 및 배출롤러(163)를 구동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필요에 따라서는, 제어부(190)는 상기 접촉해제 시점, 정확하게는 양면인쇄경로(DP)를 따라 이동하는 인쇄매체가 상기 배출롤러(163)로부터 파지 해제된 때부터 상기 레지롤러(114)에 파지되기 시작하는 시점까지의 시간범위내에서 임의의 시간에 제1구동원(183)의 회전축이 정회전하도록 제1구동원(183)을 제어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어부(190)는 일면 인쇄된 인쇄매체가 레지롤러(114)를 통과한 후 모노 현상기(130K)와 전사롤러(140)사이를 통과하기 직전에 제1구동원(183)을 정회전 시킬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90)는 배출롤러(163)가 역회전 하는 동안에는 칼라 현상기(130Y, 130M, 130C)를 구동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3구동원(187)을 작동정지 시킬 수 있다. 또한, 제2구동원(185)이 모든 감광체(135Y, 135M, 135C, 135K) 및 인쇄매체 이송유닛(120)만을 구동하도록 된 경우, 제어부(190)는 제2구동원(185)도 작동정지 시킬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배출롤러(163)가 역회전 하는 동안에는 모노 현 상기(130K)를 포함한 전체 현상기(130K, 130Y, 130M, 130C)의 작동이 정지되므로 현상기(130Y, 130M, 130C, 130K) 내부의 현상제가 받는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비전력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일면 인쇄된 인쇄매체가 완전히 정착기(150)를 빠져나가는 시점부터 상기 인쇄매체가 듀플렉스 가이드(118)를 따라 이동하여 다시 레지롤러(114)에 물리기 직전까지의 시간범위에서 전부 또는 일부시간 동안, 즉, 인쇄매체가 양면인쇄경로(DP)를 따라 진행 중 인 동안 제3구동원(187)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칼라 현상기(130Y, 130M, 130K)를 구동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또한, 제2구동원(185)이 모든 감광체(135Y, 135M, 135C, 135K) 및 인쇄매체 이송유닛(120)만을 구동하도록 된 경우, 제어부(190)는 제2구동원(185)도 작동정지 시킬 수도 있다.
한편, 인쇄모드 판단부(193)는 양면인쇄모드인 경우, 인쇄매체의 인쇄면 별로 흑백인쇄모드 및 칼라인쇄모드 중 어디에 해당하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판단결과 인쇄매체의 양면 중에서 어느 일면이 흑백인쇄모드인 경우 해당 면을 인쇄하는 중에는 제3구동원(187)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가령, 인쇄매체의 일면은 칼라인쇄모드인 반면 그 타면은 흑백인쇄모드인 경우, 상기 일면이 인쇄된 인쇄매체가 배출롤러(163)의 역회전에 의해 양면인쇄경로(DP)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인쇄매체의 후단이 상기 배출롤러(163)로부터 이탈한 시점부터 상기 인쇄매체의 타면이 인쇄되어 외부로 배출될 때까지 계속 제3구동원(183)을 작동 정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흑백인쇄모드 및 칼라인쇄모드로 구 분하여 흑백인쇄모드인 경우 제3구동원(183)을 작동정지 시킴으로써 현상제 스트레스 및 전력소모를 절감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90)는 인쇄모드 판단부(193)의 판단결과, 인터페이스부(240)를 통해 수령한 인쇄데이터가 흑백인쇄모드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3구동원(187)이 정지상태에 있도록 제3구동원(187)을 제어할 수 있다. 제1구동원(183) 및 제2구동원(185)만을 구동시켜도 흑백인쇄를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와 이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구동원의 개수를 줄임으로써 동력전달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둘째, 구동원의 개수를 줄임으로써 구동소음, 재료비 및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셋째, 칼라 현상기만을 별도의 제3구동원으로 구동하므로 흑백인쇄 시에는 제3구동원을 구동하지 않아도 되므로 칼라 현상제가 받는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
넷째, 정착기, 모노 현상기 및 배출롤러를 하나의 제1구동원으로 작동시킴으로써 인쇄매체가 배출롤러를 이탈하여 양면인쇄경로로 이송 중인 동안에는 상기 제 1구동원을 작동 정지시킬 수 있으므로 흑백 현상제가 받는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
다섯째, 구동구조를 보다 단순화시켜 콤팩트한 사이즈의 화상형성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Claims (23)

  1.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각각, 내부에 서로 다른 색상의 현상제를 저장하고,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를 현상제로 현상시키는 현상롤러와 상기 현상제를 교반하는 교반기(agitator)를 포함하고, 일면인쇄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인쇄매체의 일면에 상기 현상제로 화상을 형성하는 복수의 현상기와;
    상기 현상제를 상기 인쇄매체에 정착시키는 정착기와;
    상기 정착기를 통과한 상기 인쇄매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롤러와;
    상기 복수의 현상기, 상기 정착기 및 상기 배출롤러를 모두 구동하는 제1구동원과;
    상기 제1구동원의 동력을 상기 복수의 현상기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현상기 동력단속부와;
    상기 제1구동원의 동력을 상기 정착기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정착기 동력단속부와;
    상기 각 현상기의 감광체 전부를 회전 구동하는 제2구동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양면인쇄 모드에서 상기 일면이 인쇄된 인쇄매체가 양면인쇄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배출롤러가 상기 제1구동원에 의해 구동될 때, 상기 현상기 동력단속부와 상기 정착기 동력단속부는 상기 제1구동원의 동력이 각각 상기 복수의 현상기와 상기 정착기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원은 상기 양면인쇄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상기 일면이 인쇄된 인쇄매체가 상기 배출롤러로부터 파지 해제된 때부터 다시 타면 인쇄를 위해 상기 복수의 현상기를 통과하기 전 까지의 시간 범위 내에서 적어도 일부시간 동안 작동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현상기는, 상기 복수의 현상기 중에서 상기 정착기에 가장 인접하게 설치되며 블랙 색상의 현상제를 저장하는 모노 현상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구동원은 상기 모노 현상기의 현상롤러 및 교반기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인쇄매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각 감광체에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전사롤러와;
    상기 감광체와 상기 전사롤러 사이로 상기 인쇄매체를 이송시키며 상기 제2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는 인쇄매체 이송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현상기는 칼라 색상의 현상제를 저장하는 칼라 현상기를 포함하며,
    상기 칼라 현상기의 현상롤러 및 교반기를 구동하는 제3구동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7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매체의 타면이 인쇄될 수 있도록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배출롤러에서부터 상기 복수의 현상기로 안내하는 듀플렉스 가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출롤러는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듀플렉스 가이드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정역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매체가 상기 듀플렉스 가이드로 이동하는 지 여부를 감지하는 양면인쇄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양면인쇄 감지부는 상기 인쇄매체가 상기 정착기를 통과하는 지 여부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양면인쇄 감지부는,
    상기 정착기 및 상기 배출롤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정착기를 통과하는 인쇄매체와 접촉되어 회전하는 제1레버와;
    상기 제1레버에 의해 연동회전하며, 상기 배출롤러의 역회전에 의해 진행하는 인쇄매체에 접촉되어 회전하는 제2레버와;
    상기 제1레버 및 상기 제2레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양면인쇄모드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양면인쇄 감지부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배출롤러가 정역회전하도록 상기 제1구동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일면인쇄경로에 대해 상기 복수의 현상기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2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는 한 쌍의 레지롤러와;
    상기 인쇄매체가 상기 정착기를 통과 완료한 시점부터 상기 인쇄매체가 다시 상기 레지롤러 사이에 물리기 직전 까지 상기 제2구동원 및 상기 제3구동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정지상태에 있도록 상기 제2구동원 및 상기 제3구동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양면인쇄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배출롤러가 역회전 하는 동안 상기 제2구동원 및 상기 제3구동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정지상태에 있도록 상기 제2구동원 및 상기 제3구동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8항에 있어서,
    양면인쇄모드인 경우, 일면 인쇄된 인쇄매체의 타면에 인쇄될 타면인쇄 데이터가 흑백인쇄모드에 해당하는 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삭제
  18. 제9항에 있어서,
    인쇄데이터가 흑백인쇄모드에 해당하는 지를 판단하고, 상기 흑백인쇄모드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3구동원이 정지상태에 있도록 상기 제3구동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9.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제1감광체와, 블랙 현상제를 저장하는 현상제 저장부와, 상기 제1감광체에 상기 블랙 현상제를 제공하는 제1회전체를 갖는 모노 현상기와;
    제2감광체와, 칼라 현상제를 저장하는 현상제 저장부와, 상기 제2감광체에 상기 칼라 현상제를 제공하는 제2회전체를 갖는 칼라 현상기와;
    상기 블랙 현상제 및 칼라 현상제를 인쇄매체에 정착시키는 정착기와;
    상기 정착기를 통과한 인쇄매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롤러와;
    상기 제1회전체, 상기 정착기 및 상기 배출롤러를 모두 구동하는 제1구동원과;
    상기 제1감광체 및 제2감광체를 구동하는 제2구동원과;
    상기 제2회전체를 구동하는 제3구동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인쇄매체를 상기 감광체로 이송시키도록 궤도 순환하는 매체이송벨트와;
    상기 매체이송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및 제2감광체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매체이송벨트에 의해 이송된 인쇄매체에 상기 블랙 현상제 및 칼라 현상제를 전사시키는 복수의 전사롤러와;
    상기 제2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매체이송벨트를 구동하는 구동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롤러는 정역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배출롤러에서 상기 칼라현상기로 안내하는 듀플렉스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2. 삭제
  23. 화상형성장치의 동작방법에 있어서,
    모노 현상기 및 칼라 현상기 중 하나 이상을 각각 구동하는 복수의 구동원 중 하나 이상을 구동하는 단계와;
    양면인쇄모드, 일면인쇄모드, 칼라인쇄모드 및 흑백인쇄모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됨에 따라 상기 복수의 구동원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모노 현상기는 제1감광체와, 블랙 현상제를 저장하는 현상제 저장부와, 상기 제1감광체에 상기 블랙 현상제를 제공하는 제1회전체를 포함하며,
    상기 칼라 현상기는 제2감광체와, 칼라 현상제를 저장하는 현상제 저장부와, 상기 제2감광체에 상기 칼라 현상제를 제공하는 제2회전체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구동원은 상기 제1회전체, 상기 블랙 현상제 및 칼라 현상제를 인쇄매체에 정착시키는 정착기 및 상기 정착기를 통과한 인쇄매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롤러를 모두 구동하는 제1구동원과, 상기 제1감광체 및 제2감광체를 구동하는 제2구동원과, 상기 제2회전체를 구동하는 제3구동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동작방법.
KR1020070053383A 2006-11-22 2007-05-31 화상형성장치 KR101402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938,976 US7787803B2 (en) 2006-11-22 2007-11-13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controller to selectively control plurality of driving sources
CN2007101866482A CN101187793B (zh) 2006-11-22 2007-11-21 具有用于选择性地控制多个驱动源的控制器的成像设备
EP07121238.5A EP1925991B1 (en) 2006-11-22 2007-11-21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Controller to Selectively Control Plurality of Driving Sour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6101 2006-11-22
KR20060116101 2006-11-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6542A KR20080046542A (ko) 2008-05-27
KR101402627B1 true KR101402627B1 (ko) 2014-06-09

Family

ID=39480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3383A KR101402627B1 (ko) 2006-11-22 2007-05-31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02627B1 (ko)
CN (1) CN10118779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23313B2 (ja) * 2018-09-27 2023-02-16 株式会社リコー 駆動制御装置、駆動装置、シート搬送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駆動制御方法
KR20210041320A (ko) 2019-10-07 2021-04-15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프린터 용지의 선택적 광택 처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1488B1 (ko) * 1995-11-01 2000-02-01 미다라이 후지오 화상 형성 장치
US6173141B1 (en) * 1997-07-01 2001-01-09 Sharp Kabushiki Kaisha Apparatus for forming color images by the superimposition of visualized latent images having drive means for simultaneously driving at least a recording medium conveying means and a source of black visualized latent image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31642B2 (en) * 2002-09-11 2006-04-18 Seiko Epson Corporation Driving system for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US7130574B2 (en) * 2004-03-26 2006-10-31 Lexmark International, Inc. Image forming device with multimode duplex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1488B1 (ko) * 1995-11-01 2000-02-01 미다라이 후지오 화상 형성 장치
US6173141B1 (en) * 1997-07-01 2001-01-09 Sharp Kabushiki Kaisha Apparatus for forming color images by the superimposition of visualized latent images having drive means for simultaneously driving at least a recording medium conveying means and a source of black visualized latent ima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6542A (ko) 2008-05-27
CN101187793A (zh) 2008-05-28
CN101187793B (zh) 2012-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0539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integral unit of fixing unit and reverse rollers in main body
KR100673494B1 (ko) 화상 형성 장치
KR20180054024A (ko) 현상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EP1925991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Controller to Selectively Control Plurality of Driving Sources
JP2003316227A (ja) 画像形成装置、消耗品及び現像剤供給容器
JPH0411030B2 (ko)
KR101402627B1 (ko) 화상형성장치
US911039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artridge
US7277663B2 (en) Drive force transmitting mechanis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drive force transmitting mechanism
JP2005173102A (ja) 画像形成装置とトナー補給方法
KR100644625B1 (ko) 현상기 구동장치의 구동방법과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US6408155B1 (en) Color printing device
JP2004093987A (ja) 連結機構、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20080087366A (ko) 양면 인쇄 화상형성장치
JPH09325544A (ja) 画像記録装置
KR20080061240A (ko) 반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JP2009222737A (ja) 画像形成装置及び動力伝達装置
US20230036514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8254880A (ja) 画像形成装置
JP7047674B2 (ja) 現像剤収容体、画像形成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651578B2 (ja) 画像形成装置
JP2023172198A (ja) 画像形成装置
US8244160B2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22174375A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580220B1 (ko) 화상형성장치의 회전력 단속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