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01550B1 - 플렉서블 전자소자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전자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1550B1
KR101401550B1 KR1020120082451A KR20120082451A KR101401550B1 KR 101401550 B1 KR101401550 B1 KR 101401550B1 KR 1020120082451 A KR1020120082451 A KR 1020120082451A KR 20120082451 A KR20120082451 A KR 20120082451A KR 101401550 B1 KR101401550 B1 KR 101401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electronic screen
flat plate
electronic
transver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2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4967A (ko
Inventor
임춘택
최수용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20082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1550B1/ko
Publication of KR20140014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4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1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1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플렉서블 전자소자가 개시된다. 전자신호를 확인하거나 전자신호를 송수신하면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전자화면과 상기 전자화면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전자화면을 내부에 말아져서 보관할 수 있는 플렉서블 전자 수납통과 상기 전자수납통에 말아져서 보관된 전자화면을 펼쳤을 때 상기 전자화면의 하단부에서 전자화면을 받쳐주기 위한 텔레스코픽 구조를 갖는 텔레스코픽 기구 및 상기 전자화면에 전기적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전자소자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플렉서블 전자소자 {Flexible electronic device) }
본 발명은 플렉서블 전자소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대형화면을 구비하는 플렉서블 전자소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말기 본체의 일측에 연결되어 플렉서블 액정을 말아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필요에 따라 인출하여 펼침으로써 대형화면(디스플레이)으로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플렉서블 전자소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보산업의 발전으로 인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네트워크를 통한 인터넷, 디지털컨텐츠, 멀티미디어, 통신 등이 융합된 형태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이러한 각종 정보는 사용자 중심의 유저인터페이스 기반을 통해 이해하기 쉽고 조작이 편리한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데스크 탑, 노트북, PDA, DMB폰, 휴대폰(이하, 총칭하여 '무선단말기'라 함)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존의 무겁고 휴대하기 불편한 독립적인 형태에서 점차 소형화, 경량화, 저전력화, 저가격화가 진행되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기존의 브라운관 형태의 디스플레이에서 점차 LCD, PDP, OLED 등의 평판형 디스플레이 액정으로 변화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평판형 디스플레이 액정은 접혀지거나 말아지지 않는 등 유연하지 않는 구조여서 무선단말기의 본체 크기 이상으로는 넓어질 수 없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결국 디스플레이의 크기 역시 무선단말기의 표면 넓이 이 하로 한정될 수밖에 없다.
최근에는 애플사의 아이폰과 같이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키패드 없이 무선단말기의 거의 전체 면적을 디스플레이로 이용하고 있지만, 이 역시 디스플레이의 넓이가 무선단말기의 표면 넓이보다 더 넓어질 수 없는 구조여서 사용자가 전체 화면을 따라서, 길이는 길고 넓비는 짧은 무선단말기의 구조 때문에 좌우로 길쭉한 화면구조를 가지는 것이어서 전체 화면을 한번에 볼 수 없고, 불안정적인 화면형태로 인해 사용자들에게 불편을 주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10-1078783"은 휴대폰용 스크린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10-1078783"와 같은 구조는 사용자가 스크린장치를 눌렀을 경우 스크린화면에 파손의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내부로 말아져 있는 블랙시블 수납통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화면을 넓게 활용할 수 있는 플렉서블 전자소자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가 전자화면을 눌렀을 경우 파손에 위험이 없는 플렉서블전자소자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라, 플렉서블 전자 소자로서, 전자신호를 확인하거나 전자신호를 송수신하면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전자화면(2); 상기 전자화면(2)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전자화면(2)을 내부에 말아져서 보관할 수 있는 플렉서블 전자 수납통(3)과; 상기 전자수납통(3)에 말아져서 보관된 상기 전자화면(2)을 받쳐주는 텔레스코픽 방식을 갖는 텔레스코픽 기구(4) 및 상기 전자화면에 전기적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본체(5)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전자소자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기 텔레스코픽 기구(4)는, 상기 전자화면(2)의 하단부와는 일측면이 접하여 상기 전자화면(2)을 수평으로 유지하며 계단방식으로 펼쳐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텔레스코픽 기구(4)는, 상기 전자화면(2)을 슬라이드 방식으로 수평을 유지하면서 펼쳐지는 것이 좋다.
또, 상기 텔레스코픽 기구(4)는, 상기 전자화면(2)의 하단부에 접하여 수평을 유지하면서 연장되는 가로지지대(46)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로지지대(46)는, 상기 전자수납통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전자화면을 펼쳤을 때 받쳐주는 제3 가로지지대(40)와 상기 제3 가로지지대(40)의 일 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자화면(2)을 잡아당겨 연장되는 길이만큼 받쳐주는 제2 가로지지대(42)와 상기 제2 가로지지대(42)의 일 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자화면(2)을 잡아당겨 연장되는 길이 만큼 받쳐주는 제1 가로지지대(44)를 더 구비하는 것이 좋다.
또, 상기 텔레스코픽 기구(4)는, 상기 전자화면(2)의 하단부에 접하여 수평을 유지하면서 상기 가로지지대(40)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연장되는 다수개의 평판지지대(440)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평판지지대(440)는, 상기 전자수납통(3)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전자화면(2)을 펼쳤을 때 받쳐주는 제3 평판지지대(442)와 상기 제3 평판지지대(442)의 일 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자화면의 연장되는 길이만큼 받쳐주는 제2 평판지지대(444)와 상기 제2 평판지지대(444)의 일 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자화면(2)의 연장되는 길이 만큼 받쳐주는 제1 평판지지대(446)를 더 구비하는 것이 좋다.
또, 상기 제 3평판지지대(442)와 제2 평판지지대(444)와 제1 평판지지대(446)는 서로간의 결합 시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양 끝단에 경사면 또는 곡률을 가는 면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로지지대(46)의 하단부에 접하며 일정각도를 유지하고 상기 가로지지대(46)가 사용자의 터치 가압으로 인해 처짐이 발생되지 않도록 받쳐주는 세로지지대(450)가 더 구비되는 것이 좋다.
또, 상기 가로지지대(46)의 외주 면을 따라 결합과 처짐 및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돌출결합부(48)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플렉서블 전자소자로서, 전자화면(2)을 내부에 말아져서 보관할 수 있는 플렉서블 전자 수납통(3)과; 상기 전자수납통(3)에 말아져서 보관된 상기 전자화면(2)을 받쳐주는 텔레스코픽 방식을 갖는 텔레스코픽 기구(4) 및
상기 전자화면에 전기적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본체(5)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전자소자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텔레스코픽 기구(4)는, 상기 전자화면(2)의 하단부와는 일측면이 접하여 상기 전자화면(2)을 수평으로 유지하며 계단방식으로 펼쳐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텔레스코픽 기구(4)는, 상기 전자화면(2)을 슬라이드 방식으로 수평을 유지하면서 펼쳐지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텔레스코픽 기구(4)는, 상기 전자화면(2)의 하단부에 접하여 수평을 유지하면서 연장되는 가로지지대(46)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가로지지대(46)는, 상기 전자수납통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전자화면을 펼쳤을 때 받쳐주는 제3 가로지지대(40)와 상기 제3 가로지지대(40)의 일 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자화면(2)을 잡아당겨 연장되는 길이만큼 받쳐주는 제2 가로지지대(42)와 상기 제2 가로지지대(42)의 일 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자화면(2)을 잡아당겨 연장되는 길이 만큼 받쳐주는 제1 가로지지대(44)를 더 구비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텔레스코픽 기구(4)는 상기 전자화면(2)의 하단부에 접하여 수평을 유지하면서 상기 가로지지대(40)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연장되는 다수개의 평판지지대(440)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평판지지대(440)는, 상기 전자수납통(3)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전자화면(2)을 펼쳤을 때 받쳐주는 제3 평판지지대(442)와 상기 제3 평판지지대(442)의 일 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자화면의 연장되는 길이만큼 받쳐주는 제2 평판지지대(444)와 상기 제2 평판지지대(444)의 일 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자화면(2)의 연장되는 길이 만큼 받쳐주는 제1 평판지지대(446)를 더 구비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 3평판지지대(442)와 제2 평판지지대(444)와 제1 평판지지대(446)는 서로간의 결합 시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양 끝단에 경사면 또는 곡률을 가는 면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가로지지대(46)의 하단부에 접하며 일정각도를 유지하고 상기 가로지지대(46)가 사용자의 터치 가압으로 인해 처짐이 발생되지 않도록 받쳐주는 세로지지대(450)가 더 구비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가로지지대(46)의 외주 면을 따라 결합과 처짐 및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돌출결합부(48)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형태에 따르면, 전자신호를 확인하거나 전자신호를 송수신하면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전자화면(2); 상기 전자화면(2)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전자화면(2)을 내부에 말아져서 보관할 수 있는 플렉서블 전자 수납통(3)과; 상기 전자화면(2)의 하단부에 접하여 상기 전자화면을 펼쳤을 때 계단형상으로 펼쳐지는 가로지지대(46)와 상기 가로지지대(46)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전자화면(2)을 받쳐주는 평판지지대(440)를 구비하는 텔레스코픽 기구(4) 및 상기 전자화면(2)에 전기적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본체(5) 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전자소자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가로지지대(46)는, 상기 전자수납통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전자화면을 펼쳤을 때 받쳐주는 제3 가로지지대(40)와 상기 제3 가로지지대(40)의 일 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자화면(2)을 잡아당겨 연장되는 길이만큼 받쳐주는 제2 가로지지대(42)와 상기 제2 가로지지대(42)의 일 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자화면(2)을 잡아당겨 연장되는 길이 만큼 받쳐주는 제1 가로지지대(44);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평판지지대(440)는, 상기 전자수납통(3)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전자화면(2)을 펼쳤을 때 받쳐주는 제3 평판지지대(442)와 상기 제3 평판지지대(442)의 일 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자화면의 연장되는 길이만큼 받쳐주는 제2 평판지지대(444)와 상기 제2 평판지지대(444)의 일 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자화면(2)의 연장되는 길이 만큼 받쳐주는 제1 평판지지대(446);를 더 구비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가로지지대(46)의 하단부에 접하며 일정각도를 유지하고 상기 가로지지대(46)가 사용자의 터치 가압으로 인해 처짐이 발생되지 않도록 받쳐주는 세로지지대(450)가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전술한 플렉서블 전자소자를 다수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전자장치.
또한, 다수개의 플렉서블 전자소자가 직렬 및 병렬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수개의 플렉서블 전자소자가 대칭으로 연결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플렉서블 전자소자중 하나는 입력단자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전자소자는, 내부로 말아져 있는 블랙시블 수납통의 전자화면을 연장이 가능한 플렉서블 전자소자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납통에서 원하는 전자화면을 인출하여 원하는 크기로 조절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가압으로 전자화면을 보호하는 플렉서블 전자소자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전자의 사시도.
도 2 는 도 1에 대한 평면도.
도 3 은 도 1에 대한 플렉서블 전자소자의 전자화면을 제거한 평면도.
도 4 는 도 2에 대한 텔레스코픽 기구를 펼친 평면도.
도 5 는 도 4에 대한 플렉서블 전자소자의 전자화면을 제거한 평면도.
도 6 은 도 4에 대한 A-A 단면도.
도 7 은 도 4에 대한 단면도.
도 8 은 도 7의 텔레스코픽 기구를 접은 개념도.
도 9 는 도 4에 대한 B-B 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플렉서블 전자소자의 본체 위치를 변경한 제1 변형실시예의 예시도.
도 11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플렉서블 전자소자의 전자화면을 제거한 평면도.
도 12 는 도 11에 대한 측면도.
도 13은 도 11에 대한 부분 확대도.
도 14는 도 11 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인 플렉서블 전자소자의 전자화면을 제거한 평면도.
도 15는 도 14에 대한 텔레스코픽 기구를 전개한 평면도.
도 16은 도 15에 대한 단면 개념도.
도 17은 도 16에 대한 테레스코픽 기구를 접은 개념도.
도 18은 도 14에 대한 A-A 단면도
도 19 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인 플렉서블 전자소자의 가로지지대의 형태를 변형한 제1 변형예의 단면도.
도 20 은 도 19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1 은 가로지지대의 변형 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22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른 플렉서블 전자장치의 예시도.
도 23 은 도 22에 대한 플렉서블 전자장치를 접은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따른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들어가기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그 실시 예가 상이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전자의 사시도, 도 2 는 도 1에 대한 평면도, 도 3 은 도 1에 대한 플렉서블 전자소자의 전자화면을 제거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전자소자(1)는, 동영상 및 영상을 사용자가 시청 가능한 전자화면(2)과 전자화면(2)을 외부의 충격으로 보관하는 전자수납통(3)과 전자수납통(3)으로부터 전자화면(2)을 평행으로 연장하는 텔레스코픽 기구(4)와 전자화면(2)에서 전기적인 신호를 송수신하는 본체(5)를 포함한다.
전자화면(2)은 플라스틱 등 휠 수 있는 기판에 만들어진 평판 디스플레이다. 이는, 전자화면(2)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다. 전자화면(2)은 키보드, 스피커, 터치패드, 터치 디스플레이, 단순 디스플레이 등 플렉서블한 평판구조를 갖는 모든 전자장치가 될 수도 있다. 전자화면(2)을 통하여 사용자가 동영상 및 영상의 시청이 가능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본체와 전기신호를 송수신한다. 전자화면(2)은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전자화면(2)의 모양을 직사각형상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전자수납통(3)은 전자화면(2)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전자수납통(3)은 전자화면(2)을 말아서 보관한다. 전자수납통(3)은 전자화면(2)을 일정곡률로 유지하면서 말아서 보관하기 용이하도록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전자수납통(3)의 형상을 원통형으로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다. 전자수납통(3)은 전자화면(2)을 말아서 롤 형태로 보관하는 것이 좋다.
도 4 는 도 2에 대한 텔레스코픽 기구를 펼친 평면도, 도 5 는 도 4에 대한 플렉서블 전자소자의 전자화면을 제거한 평면도, 도 6 은 도 4에 대한 A-A 단면도,도 7 은 도 4에 대한 단면도, 도 8 은 도 7의 텔레스코픽 기구를 접은 개념도, 도 9 는 도 4에 대한 B-B 단면도 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텔레스코픽 기구(4)는 텔레스코픽 방식을 사용한다. 텔레스코픽 방식은 일부분을 겹치게 해서 늘였다 줄였다 하는 방식을 말한다. 예를 들어 안테나를 늘였다 줄였다 하거나 망원경의 렌즈를 늘렸다 줄였다 하는 방식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텔레스코픽 기구(4)는 펼쳐진 전자화면(2)을 사용자가 눌렀을 때의 터치 하중을 받쳐준다. 텔레스코픽 기구(4)는 전자화면(2)을 길게 연장시켜 준다.
텔레스코픽 기구(4)는 전자수납통(3)의 측면에 배치되는 가로지지대(46)와 전자화면(2)을 받쳐주는 평판 지지대(440)과 평판지대(440)와 가로지지대를 받쳐주는 세로 지지대(450)를 포함한다.
가로지지대는 전자화면을 연장시켜 주는 제3 가로지지대(40)와 제2 가로지지대(42) 및 제1 가로지지대(44)를 포함한다.
제3 가로지지대(40)는 전자수납통(3)의 측면에 배치된다. 제3 가로지지대(40)는 제2 가로지지대(42)를 수납하기 용이하도록 직사각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3 가로지지대(40)의 형상을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다.
제3 가로지지대(40)은 상단 부는 제2 가로지지대(42)와 제1 가로지지대(44)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한다. 이는 제3 가로지지대(40)는 전자화면(2)의 터치 하중을 균등하게 분배하여 일정 터치 하중에도 견디기 위함이다. 제3 가로지지대(40)는 제2 가로지지대(42)와 제1 가로지지대(44)를 수납한다. 제3 가로지지대(40)는 제2 가로지지대(42)를 수납하기 위하여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가로지지대(40)는 "ㄷ"의 안쪽 면에 안내홈(448)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텔레스코픽 방식인 안내홈(448)을 이용해서 다음 텔레스코픽 기구를 연장하는 하나의 방식을 일 실시예로 나타낸 하나의 예시이다. 따라서, 텔레스코픽 방식은 다양한 형태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텔레스코픽 기구의 양측면에 안내홈(448)을 다수개 형성하여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는 방식도 가능하고 텔레스코픽 기구의 양측면에 레일을 형성하여 슬라이드 이동방식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그 밖에 다양한 형태의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응용이 가능함을 밝혀 둔다.
제2 가로지지대(42)는 제3 가로지지대(40)와 제1 가로지지대(44)를 연결해 준다. 제2 가로지지대(42)는 제3 가로지지대(40)의 텔레스코픽 방식과 대응되어 형성된다. 제2 가로지지대(42)는 제1 가로지지대(40)의 "ㄷ"의 내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드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가로지지대(42)는 "ㄷ"의 외부에 고정자(441)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고정자 (441)는 제3 가로지지대(40)의 내부에 형성된 안내홈(448)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가로지지대(40)는 "ㄷ"의 안쪽 면에 안내홈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제2 가로지지대(42)는 제3 가로지지대(40)의 텔레스코픽 방식과 대응되어 배치된다. 제2 가로지지대(42)의 상단 부는 제3 가로지지대(40)의 상단부와 수평을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제1 가로지지대(44)는 제2 가로지지대(42)에 삽입된다. 이때, 제1 가로지지대(44)의 길이는 ≤ 제2 가로지지대(42) ≤ 제3 가로지지대(40) 보다 작거나 같다. 이는 제1 가로지지대(44)의 돌출을 막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전자화면(2)을 보호하기 위함이다.
제1 가로지지대(44)는 손잡이(6)와 연결된다. 이는, 손잡이(6)를 잡아당겨 제1 가로지지대(44)를 연장하면 전자화면(2)도 함께 연장한다. 즉 제1 가로지지대(44)가 제3 가로지지대(40)에서 연장되는 만큼 전자화면(2)의 길이도 함께 연장한다. 제1 가로지지대(44)는 제3 가로지지대(40)와 제2 가로지지대(42)의 일측단부는 동일한 위치에 배치된다. 즉, 전자화면(2)이 연장시에 텔레스코픽 기구(4)를 수평상태로 유지하기 위함이다. 제1 가로지지대(44)가 펼쳐진 모습을 확인 시에는 마치 계단방식으로 펼쳐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
평판지지대(440)는 전자화면(2)의 가로 방향으로 배치된다. 평판지지대(440)는 텔레스코픽 기구(4)의 제3 가로지지대(40)와 제2 가로지지대(42)와 제1 가로지지대(44)에 위치되는 전자화면(2)의 처짐을 받쳐준다. 평판지지대(440)는 전자화면(2)펼쳤을 경우 마치 계단식방향으로 펼쳐진다.
평판지지대(440)는 제3 가로지지대(40)와 제2 가로지지대(42)와 제1 가로지지대(44)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3 평판지지대(442)와 제2 평판지지대(444)와 제1 평판지지대(446)를 포함한다.
제3 평판지지대(442)는 제3 가로지지대(40)와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제3 평판지지대(442)는 제3 가로지지대(40)에 있는 전자화면(2)을 받쳐 준다. 제3 평판지지대(442)는 전자화면(2)의 터치하중을 받쳐주기 위하여 평면을 갖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평판지지대(442)는 제3 가로지지대(40)의 "ㄷ " 자 내부에 고정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3 평판지지대(42)는 제2 가로지지대(42)와 제1 가로지지대(44)와 제2 평판지지대(444)와 제1 평판지지대(446)의 간섭을 받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다. 제3 평판지지대(442)의 양측 단부에 제2 평판지지대(444)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곡률 및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제3 평판지지대(442)는 일측에 제2 평판지지대(444)가 연결되도록 장홀이 배치된다.
제2 평판지지대(444)는 제2 가로지지대(42)에 있는 전자화면(2)을 받쳐준다. 제2 평판지지대(444)의 양측 단부에 제3 평판지지대(442)와 제1 평판지지대(446)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곡률 및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제2 평판지지대(444)의 일측은 제3 평판지지대(442)의 장홀과 연결되고 타측에는 제1 평판지지대(446)와 연결되도록 한다. 제2 평판지지대(444)의 높이는 제3 평판지지대(442)와 같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전자화면(2)을 눌렀을 때 전자화면(2)을 평행상태로 유지하면서 사용자가 눌렀을때의 터치 하중을 균등하게 받쳐 주기 위함이다. 제2 평판지지대(444)는 장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평판지지대(446)는 제2 평판지지대(444)에 체결된다. 제1 평판지지대(446)의 양측 단부에 제2 평판지지대(444)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곡률 및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제1 평판지지대(446)는 제2 평판지지대(444)와 같은 높이로 형성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평판지지대가(446)는 제1 가로지지대에 구간에 있는 전자화면(2)을 받쳐준다. 이는, 전자화면(2)을 눌렀을 때 전자화면(2)을 평행상태로 유지하면서 사용자가 눌렀을 때의 터치 하중을 균등하게 받쳐 주기 위함이다.
세로지지대(450)는 가로지지대(4)의 내부 일측에서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가로지지대(4)의 처짐을 방지한다. 세로지지대(450)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세로지지대(450)가 서로 다른 제3 가로지지대와 제2 가로지지대 및 제1 가로지지대를 지지한다. 더욱이 세로지지대(450)는 제3 평판지지대와 제2 평판지지대 및 제1 평판지지대를 지지하는 역할도 한다. 세로지지대는 제3 세로지지대와 제2 세로지지대 제1 세로지지대를 받친다. 즉, 전자화면의 터치 하중을 세로방향의로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한다.
세로지지대(450)는 제3 가로지지대(40)에 배치되는 제3 세로부재(452)와 제2 가로지지대(42)에 배치되는 제2 세로지지대(454)와 제1 가로지지대(44)에 배치되는 제1 세로지지대(456)를 포함한다.
제3 세로지지대(452)는 제3 가로지지대(442)와 제2 가로지지대(444)를 지지한다. 제3 세로지지대(452)는 제1 가로지지대(446)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제3 세로지지대(452)는 제2 가로지지대(444)에 고정되어 움직인다. 즉, 제2 가로지지대(444)가 펼쳐지면 제1 세로지지대(452)도 일정구간 같이 움직인다. 제3 세로지지대(452)는 제2 가로지지대(444)의 이동 범위를 조절하는 스토퍼 역할도 병행하여 수행한다.
제2 세로지지대(454)는 제2 가로지지대(444)와 제1 가로지지대(446)를 지지한다. 제2 세로지지대(454)는 제3 가로지지대(442)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제2 세로부재(454)는 제2 가로지지대(444)에 고정되어 움직인다. 즉 제1 가로지지대(446)가 펼쳐지면 제2 세로지지대(454)도 일정구간 같이 움직인다.
제1 세로지지대(456)는 제3 가로지지대(446)와 손잡이를 지지한다. 이때, 세로지지대(450)와 가로지지대(440)의 하단부에는 넓은 평판을 배치할 수 있다. 이때, 넓은 평판은 가로지지대(440)와 세로지지대(450)의 처짐을 받쳐 준다.
평판지지대는 전자화면을 평평하게 지지한다. 평판지지대는 전자화면의 후단부에 접촉하여 지지한다. 평판지지대는 평면을 갖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판지지대는
평판지지대는 평면을 갖는 면이 전자화면의 하단부와 접하여 평면을 유지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판지지대는 전자화면의 하단부가 접하여 마치 계단식으로 펼쳐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6)는 전자화면(2)과 연결되고 제1 가로지지대(44)의 끝단에 연결된다. 손잡이(6)는 사용자가 파지가 가능하도록 면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6)는 제1 가로지지대(44)에 연결된다. 이때, 손잡이(6)는 제1 가로지지대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6)는 제1 가로지지대(40)의 두께와 같은 것이 좋다.
본체(5)는 전자화면에 전기적으로 신호를 송수신한다. 본체(5)는 제3 가로지지대(40)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체(5)의 위치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다. 경우에 따라서 본체(5)는 제1 가로지지대(44)의 하단에 배치되고 손잡이(6)에 연결될 수도 있다.
본체(5)는 제3 가로지지대(40)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바닥면과 미끄러지지 않도록 평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5)는 제3 가로지지대(40)의 길이와 같게 형성되어 직사각형상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이는, 블랙서블 전자의 전체 적인 형상을 사용자가 파지가 용이하도록 직사각형 형상으로 만들기 위함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플렉서블 전자소자의 본체 위치를 변경한 제1 변형실시예의 예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1 변형실시예인 플렉서블 전자 소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전자소자의 동일구성을 갖는 전자화면, 전자수납통 및 텔레스코픽 기구의 설명을 생략한다.
본체(5)는 전자화면에 전기적으로 신호를 송수신한다. 본체(5)는 제1 가로지지대(44)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체(5)의 위치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다. 경우에 따라서 본체(5)는 제3 가로지지대(44)의 하단에 배치되고 손잡이(6)에 연결될 수도 있다.
본체(5)는 제1 가로지지대(44)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바닥면과 미끄러지지 않도록 평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5)는 제3 가로지지대(40)의 길이와 같게 형성되어 직사각형상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이는, 블랙서블 전자의 전체 적인 형상을 사용자가 파지가 용이하도록 직사각형 형상으로 만들기 위함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플렉서블 전자소자의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플렉서블 전자소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전자소자의 동일구성을 갖는 전자화면, 전자수납통의 설명을 생략한다.
텔레스코픽 기구(4)는 텔레스코픽 방식을 사용한다. 텔레스코픽 방식은 일부분을 겹치게 해서 늘였다 줄였다 하는 방식을 말한다. 예를 들어 안테나를 늘였다 줄였다 하거나 망원경의 렌즈를 늘렸다 줄였다 하는 방식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텔레스코픽 기구(4)는 펼쳐진 전자화면(2)을 사용자가 눌렀을 때의 터치 하중을 받쳐준다. 텔레스코픽 기구(4)는 전자화면(2)을 길게 연장시켜 준다.
텔레스코픽 기구(4)는 전자수납통(3)의 측면에 배치되는 가로지지대(46)와 전자화면(2)을 받쳐주는 평판 지지대(440)를 포함한다.
가로지지대(46)는 전자화면을 연장시켜 주는 제3 가로지지대(40)와 제2 가로지지대(42) 및 제1 가로지지대(44)를 포함한다. 가로지지대(46)의 상단부에는 평판지지대가 배치된다.
제3 가로지지대(40)는 전자수납통(3)의 측면에 배치된다. 제3 가로지지대(40)는 제2 가로지지대(42)를 수납하기 용이하도록 직사각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3 가로지지대(40)의 형상을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다. 제3 가로지지대(40)은 제3 평판지지대(442)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3 가로지지대(40)는 제3 평판지지대(442)의 처짐을 방지한다. 제3 가로지지대(40)는 제3 평판지지대(442)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도록 넓은 평판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가로지지대(40)는 제2 가로지지대(42)가 넓은 평판위에 겹쳐진다.
제3 가로지지대(40)은 상단 부는 제2 가로지지대(42)와 제1 가로지지대(44)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한다. 이는 제3 가로지지대(40)는 전자화면(2)의 터치 하중을 균등하게 분배하여 일정 터치 하중에도 견디기 위함이다. 제3 가로지지대(40)는 제2 가로지지대(42)와 제1 가로지지대(44)를 수납한다. 제3 가로지지대(40)는 제2 가로지지대(42)를 수납하기 위하여 "ㅁ"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가로지지대(40)는 "ㅁ"의 안쪽 면에 안내홈(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텔레스코픽 방식인 안내홈(448)을 이용해서 다음 텔레스코픽 기구를 연장하는 하나의 방식을 일 실시예로 나타낸 하나의 예시이다. 따라서, 텔레스코픽 방식은 다양한 형태로 변경이 가능하다. 이는, 전자화면의 터치 하중을 받쳐준다.
예를 들어 텔레스코픽 기구의 양측면에 안내홈(448)을 다수개 형성하여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는 방식도 가능하고 텔레스코픽 기구의 양측면에 레일을 형성하여 슬라이드 이동방식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그 밖에 다양한 형태의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응용이 가능함을 밝혀 둔다.
제2 가로지지대(42)는 제3 가로지지대(40)와 제1 가로지지대(44)를 연결해 준다. 제2 가로지지대(42)는 제2 평판지지대(444)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배치된다.
제2 가로지지대(42)는 제3 가로지지대(40)의 텔레스코픽 방식과 대응되어 형성된다. 제2 가로지지대(42)는 제1 가로지지대(40)의 "ㅁ"의 내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드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가로지지대(42)는 "ㅁ"의 외부에 고정자(미도시)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고정자는 제3 가로지지대(40)의 내부에 형성된 안내홈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가로지지대(40)는 "ㅁ"의 안쪽 면에 안내홈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제2 가로지지대(42)는 제3 가로지지대(40)의 텔레스코픽 방식과 대응되어 배치된다. 제2 가로지지대(42)의 상단 부는 제3 가로지지대(40)의 상단부와 수평을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제2 가로지지대(42)는 제2 평판지지대(444)의 처짐을 방지한다. 제2 가로지지대(42)는 제2 평판지지대(444)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도록 넓은 평판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가로지지대(42)는 제1 가로지지대(42)가 넓은 평판위에 겹쳐진다. 이는, 전자화면의 터치 하중을 받쳐준다.
제1 가로지지대(44)는 제2 가로지지대(42)에 삽입된다. 이때, 제1 가로지지대(44)의 길이는 ≤ 제2 가로지지대(42) ≤ 제3 가로지지대(40) 보다 작거나 같다. 이는 제1 가로지지대(44)의 돌출을 막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전자화면(2)을 보호하기 위함이다. 제1 가로지지대(44)는 제1 평판지지대(446)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배치된다.
제1 가로지지대(44)는 손잡이(6)와 연결된다. 이는, 손잡이(6)를 잡아당겨 제1 가로지지대(44)를 연장하면 전자화면(2)도 함께 연장한다. 즉 제1 가로지지대(44)가 제3 가로지지대(40)에서 연장되는 만큼 전자화면(2)의 길이도 함께 연장한다. 제1 가로지지대(44)는 제3 가로지지대(40)와 제2 가로지지대(42)의 일측단부는 동일한 위치에 배치된다. 즉, 전자화면(2)이 연장시에 텔레스코픽 기구(4)를 수평상태로 유지하기 위함이다. 제1 가로지지대(44)가 펼쳐진 모습을 확인 시에는 마치 계단방식으로 펼쳐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가로지지대(44)는 제1 평판지지대(446)의 처짐을 방지한다. 제1 가로지지대(44)는 제1 평판지지대(446)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도록 넓은 평판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전자화면의 터치 하중을 받쳐준다.
평판지지대(440)는 전자화면(2)의 가로 방향으로 배치된다. 평판지지대(440)는 텔레스코픽 기구(4)의 제3 가로지지대(40)와 제2 가로지지대(42)와 제1 가로지지대(44)에 위치되는 전자화면(2)의 처짐을 받쳐준다. 평판지지대(440)는 전자화면(2)펼쳤을 경우 마치 계단식방향으로 펼쳐진다.
평판지지대(440)는 제3 가로지지대(40)와 제2 가로지지대(42)와 제1 가로지지대(44)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3 평판지지대(442)와 제2 평판지지대(444)와 제1 평판지지대(446)를 포함한다.
도 12 는 도 11에 대한 측면도, 도 13은 도 11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3 평판지지대(442)는 제3 가로지지대(40)와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제3 평판지지대(442)는 제3 가로지지대(40)에 있는 전자화면(2)을 받쳐 준다. 제3 평판지지대(442)는 전자화면(2)의 터치하중을 받쳐주기 위하여 평면을 갖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평판지지대(40는 직사각형의 양끝단은 제3 평판지지대(442)와 제2 평판지지대(444)가 결합이 용이하도록 경사면을 갖거나 곡률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평판지지대(442)는 제3 가로지지대(40)의 "ㅁ" 자 내부에 고정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3 평판지지대(42)는 제2 가로지지대(42)와 제1 가로지지대(44)와 제2 평판지지대(444)와 제1 평판지지대(446)의 간섭을 받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다. 제3 평판지지대(442)의 양측 단부에 제2 평판지지대(444)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곡률 및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제3 평판지지대(442)는 일측에 제2 평판지지대(444)가 연결되도록 장홀이 배치된다.
제2 평판지지대(444)는 제2 가로지지대(42)에 있는 전자화면(2)을 받쳐준다. 제2 평판지지대(444)의 양측 단부에 제3 평판지지대(442)와 제1 평판지지대(446)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곡률 및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제2 평판지지대(444)의 일측은 제3 평판지지대(442)의 장홀과 연결되고 타측에는 제1 평판지지대(446)와 연결되도록 한다. 제2 평판지지대(444)의 높이는 제3 평판지지대(442)와 같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전자화면(2)을 눌렀을 때 전자화면(2)을 평행상태로 유지하면서 사용자가 눌렀을 때의 터치 하중을 균등하게 받쳐 주기 위함이다. 제2 평판지지대(444)는 장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평판지지대(446)는 제2 평판지지대(444)에 체결된다. 제1 평판지지대(446)의 양측 단부에 제2 평판지지대(444)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곡률 및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제1 평판지지대(446)는 제2 평판지지대(444)와 같은 높이로 형성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평판지지대가(446)는 제1 가로지지대에 구간에 있는 전자화면(2)을 받쳐준다. 이는, 전자화면(2)을 눌렀을 때 전자화면(2)을 평행상태로 유지하면서 사용자가 눌렀을 때의 터치 하중을 균등하게 받쳐 주기 위함이다.
손잡이(6)는 전자화면(2)과 연결되고 제1 가로지지대(44)의 끝단에 연결된다. 손잡이(6)는 사용자가 파지가 가능하도록 면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6)는 제1 가로지지대(44)에 연결된다. 이때, 손잡이(6)는 제1 가로지지대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6)는 제1 가로지지대(40)의 두께와 같은 것이 좋다.
본체(5)는 전자화면에 전기적으로 신호를 송수신한다. 본체(5)는 제3 가로지지대(40)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체(5)의 위치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다. 경우에 따라서 본체(5)는 제1 가로지지대(44)의 하단에 배치되고 손잡이(6)에 연결될 수도 있다.
본체(5)는 제3 가로지지대(40)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바닥면과 미끄러지지 않도록 평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5)는 제3 가로지지대(40)의 길이와 같게 형성되어 직사각형상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이는, 블랙서블 전자의 전체 적인 형상을 사용자가 파지가 용이하도록 직사각형 형상으로 만들기 위함이다.
도 14는 도 11 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인 플렉서블 전자소자의 전자화면을 제거한 평면도, 도 15는 도 14에 대한 텔레스코픽 기구를 전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인 플렉서블 전자소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전자소자의 동일구성을 갖는 전자화면, 전자수납통의 설명을 생략한다.
텔레스코픽 기구(4)는 텔레스코픽 방식을 사용한다. 텔레스코픽 방식은 일부분을 겹치게 해서 늘였다 줄였다 하는 방식을 말한다. 예를 들어 안테나를 늘였다 줄였다 하거나 망원경의 렌즈를 늘렸다 줄였다 하는 방식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텔레스코픽 기구(4)는 펼쳐진 전자화면(2)을 사용자가 눌렀을 때의 터치 하중을 받쳐준다. 텔레스코픽 기구(4)는 전자화면(2)을 길게 연장시켜 준다.
텔레스코픽 기구(4)는 전자수납통(3)의 측면에 배치되는 가로지지대(46)와 전자화면(2)을 받쳐주는 평판 지지대(440)와 평판지대(440)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돌출부가 형성된 결합돌출부(48)를 포함한다.
가로지지대는 전자화면을 연장시켜 주는 제3 가로지지대(40)와 제2 가로지지대(42) 및 제1 가로지지대(44)를 포함한다.
가로지지대(46) 은 제3 가로지지대(40)와 제2 가로지지대(42) 및 제1 가로지지대(44)의 높이 폭은 삽입이 용이하도록 서로 다른 폭을 형성한다. 이는 가로지지대(46)의 높이 폭을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다.
도 19 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인 플렉서블 전자소자의 가로지지대의 형태를 변형한 제1 변형예의 단면도, 도 20은 도 19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3 가로지지대(40)와 제2 가로지지대(42) 및 제1 가로지지대(44)의 높이가 서로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3 가로지지대(40)는 전자수납통(3)의 측면에 배치된다. 제3 가로지지대(40)는 제2 가로지지대(42)를 수납하기 용이하도록 직사각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3 가로지지대(40)의 형상을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다. 제3 가로지지대(40)는 전자화면(20)의 처짐을 받쳐준다.
제3 가로지지대(40)의 상단 부는 제2 가로지지대(42)와 제1 가로지지대(44)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한다. 이는 제3 가로지지대(40)는 전자화면(2)의 터치 하중을 균등하게 분배하여 일정 터치 하중에도 견디기 위함이다. 제3 가로지지대(40)는 제2 가로지지대(42)와 제1 가로지지대(44)를 수납한다. 제3 가로지지대(40)는 제2 가로지지대(42)를 수납하기 위하여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가로지지대(40)는 "ㄷ"의 안쪽 면에 안내홈(448)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내홈(448)은 결합돌출부(48)의 상하단부에 다수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안내홈(448)의 위치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다.
제3 가로지지대(40)는 "ㄷ"의 내부에 결합돌출부(48)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홈(미도시)이 형성된다. 결합홈은 다수개의 안내홈(448)이 배치되는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홈은 제2 돌출결합부재(480)와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한다. 텔레스코픽 방식 중의 하나인 안내홈(448)과 결합홈을 이용해서 다음 텔레스코픽 기구를 연장하는 하나의 방식을 일 실시예로 나타낸 하나의 예시이다. 따라서, 텔레스코픽 방식은 다양한 형태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텔레스코픽 기구의 양측면에 안내홈(448)을 다수개 형성하여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는 방식도 가능하고 텔레스코픽 기구의 양측면에 레일을 형성하여 슬라이드 이동방식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그 밖에 다양한 형태의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응용이 가능함을 밝혀 둔다.
도 16은 도 15에 대한 단면 개념도, 도 17은 도 16에 대한 테레스코픽 기구를 접은 개념도, 도 18은 도 14에 대한 A-A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2 가로지지대(42)는 제3 가로지지대(40)와 제1 가로지지대(44)를 연결해 준다. 제2 가로지지대(42)는 제3 가로지지대(40)의 텔레스코픽 방식과 대응되어 형성된다. 제2 가로지지대(42)는 제1 가로지지대(40)의 "ㄷ"의 내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드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가로지지대(42)는 "ㄷ"의 외부에 고정자(441)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고정자(441)는 제3 가로지지대(40)의 내부에 형성된 안내홈(448)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자(441)은 일정거리 이격되어 다수개가 배치된다. 제2 가로지지대(42)는 다수개의 고정자(441)가 배치되는 사이에 결합돌출부(48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가로지지대(42)의 외주면을 따라 제2 결합돌출부재(480)가 배치된다.
제2 가로지지대(42)는 "ㄷ"의 안쪽 면에 안내홈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제2 가로지지대(42)는 제3 가로지지대(40)의 텔레스코픽 방식과 대응되어 배치된다. 제2 가로지지대(42)의 상단 부는 제3 가로지지대(40)의 상단부와 수평을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제2 가로지지대(42)는 "ㄷ"의 안쪽 면에 결합홈(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결합홈은 제1 결합돌출부재(482)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된다.
제1 가로지지대(44)는 제2 가로지지대(42)에 삽입된다. 이때, 제1 가로지지대(44)의 길이는 ≤ 제2 가로지지대(42) ≤ 제3 가로지지대(40) 보다 작거나 같다. 이는 제1 가로지지대(44)의 돌출을 막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전자화면(2)을 보호하기 위함이다.
제1 가로지지대(44)는 손잡이(6)와 연결된다. 이는, 손잡이(6)를 잡아당겨 제1 가로지지대(44)를 연장하면 전자화면(2)도 함께 연장한다. 즉 제1 가로지지대(44)가 제3 가로지지대(40)에서 연장되는 만큼 전자화면(2)의 길이도 함께 연장한다. 제1 가로지지대(44)는 제3 가로지지대(40)와 제2 가로지지대(42)의 일측단부는 동일한 위치에 배치된다. 즉, 전자화면(2)이 연장시에 텔레스코픽 기구(4)를 수평상태로 유지하기 위함이다. 제1 가로지지대(44)가 펼쳐진 모습을 확인 시에는 마치 계단방식으로 펼쳐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가로지지대(44)의 외주면을 따라 제1 결합돌출부재(480)가 배치된다.
결합돌출부(48)는 제2 가로지지대(42)와 제1 가로지지대(44)의 흔들림을 최소화한다. 결합돌출부(48)는 제3 가로지지대(40)의 결합 홈(미도시)에 삽입되는 제2 결합돌출부재(480)와 제2 가로지지대(42)의 결합홈에 삽입되는 제1 결합돌출부재(482)를 포함한다.
제2 결합돌출부재(480)는 제2 가로지지대(42)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된다. 제2 결합돌출부재(480)는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2 결합돌출부재(480)의 형상을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다. 제2 결합돌출부재(480)는 결합홈과 결합이 용이하도록 양끝단에 경사면 또는 곡률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결합돌출부재(480)는 제3 가로지지대(40)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안내홈(448) 사이에 배치된다. 제2 결합돌출부재(480)는 제2 가로지지대(42)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결합돌출부재(480)는 안내홈(448)을 따라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동시에 전자화면(2)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제1 결합돌출부재(482)는 제1 가로지지대(44)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된다. 제1 결합돌출부재(482)는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 결합돌출부재(482)의 형상을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다. 제1 결합돌출부재(482)는 결합홈과 결합이 용이하도록 양끝단에 경사면 또는 곡률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결합돌출부재(482)는 제2 가로지지대(42)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안내홈 사이에 배치된다. 제1 결합돌출부재(482)는 제1 가로지지대(44)와 일체형으로 형설될 수도 있다. 제1 결합돌출부재(482)는 안내홈을 따라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동시에 전자화면(2)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손잡이(6)는 전자화면(2)과 연결되고 제1 가로지지대(44)의 끝단에 연결된다. 손잡이(6)는 사용자가 파지가 가능하도록 면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6)는 제1 가로지지대(44)에 연결된다. 이때, 손잡이(6)는 제1 가로지지대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6)는 제1 가로지지대(40)의 두께와 같은 것이 좋다.
본체(5)는 전자화면에 전기적으로 신호를 송수신한다. 본체(5)는 제3 가로지지대(40)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체(5)의 위치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다. 경우에 따라서 본체(5)는 제1 가로지지대(44)의 하단에 배치되고 손잡이(6)에 연결될 수도 있다.
본체(5)는 제3 가로지지대(40)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바닥면과 미끄러지지 않도록 평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5)는 제3 가로지지대(40)의 길이와 같게 형성되어 직사각형상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이는, 블랙서블 전자의 전체 적인 형상을 사용자가 파지가 용이하도록 직사각형 형상으로 만들기 위함이다.
도 21 은 가로지지대의 변형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전술한 각각의 실시예인 전자소자(1)를 구비하는 텔레스코픽 기구(4), 가로지지대(46) 및 세로지지대(450)는 자성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전자화면(2)을 텔레스코픽 기구(4), 가로지지대(46), 세로지지대(450)에 밀착되어 전자화면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텔레스코픽 기구(4), 가로지지대(46), 세로지지대(450)는 N극 또는 S극을 다수개 연결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별도의 탄성체를 평판하게 할수 있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른 플렉서블 전자장치의 예시도, 도 23은 도 21에 대한 플렉서블 전자장치를 접은 예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플렉서블 전자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인 플렉서블 전자소자를 대칭방향으로 배치시켜 하나는 입력역할을 하는 단자로 사용하고 다른 하나는 출력단자로 사용이 가능하다. 이는, 플렉서블 전자소자의 배치를 대칭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경우에 따라서는 직렬과 병렬로 연결이 가능하다. 더욱이 플렉서블 전자장치는 여러개의 출력단자를 연결하여 하나의 입력단자에 다수개의 출력단자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전자소자
2: 전자화면
3: 전자수납 통
4: 텔레스코픽 기구
46: 가로지지대
40: 제3 가로지지대 42: 제2 가로지지대 44: 제1 가로지지대
440: 평판지지대
441: 고정자 442: 제3 평판지지대 444: 제2 평판지지대 446: 제1 평판지지대
448: 안내홈
450: 세로지지대
452: 제3 세로지지대 454: 제2 세로지지대 456: 제1 세로지지대
48: 결합돌출부
480: 제2 결합돌출부재 482: 제1 결합돌출부재
5: 본체
6: 손잡이
7: 플렉서블 전자소자장치

Claims (28)

  1. 플렉서블 전자 소자로서,
    전자신호를 확인하거나 전자신호를 송수신하면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전자화면(2);
    상기 전자화면(2)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전자화면(2)을 내부에 말아져서 보관할 수 있는 플렉서블 전자 수납통(3)과;
    상기 전자수납통(3)에 말아져서 보관된 상기 전자화면(2)을 받쳐주는 텔레스코픽 방식을 갖는 텔레스코픽 기구(4) 및
    상기 전자화면에 전기적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본체(5)를 포함하고,
    상기 텔레스코픽 기구(4)는 상기 전자화면(2)의 하단부에 접하여 수평을 유지하면서 연장되는 가로지지대(46)를 구비하며, 상기 가로지지대(46)의 외주 면을 따라 결합과 처짐 및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돌출결합부(48)를 구비하는 플렉서블 전자소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텔레스코픽 기구(4)는,
    상기 전자화면(2)의 하단부와는 일측면이 접하여 상기 전자화면(2)을 수평으로 유지하며 계단방식으로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전자소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텔레스코픽 기구(4)는,
    상기 전자화면(2)을 슬라이드 방식으로 수평을 유지하면서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전자소자.
  4.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가로지지대(46)는,
    상기 전자수납통(3)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전자화면(2)을 펼쳤을 때 받쳐주는 제3 가로지지대(40)와
    상기 제3 가로지지대(40)의 일 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자화면(2)을 잡아당겨 연장되는 길이만큼 받쳐주는 제2 가로지지대(42)와
    상기 제2 가로지지대(42)의 일 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자화면(2)을 잡아당겨 연장되는 길이 만큼 받쳐주는 제1 가로지지대(44);
    를 더 구비하는 플렉서블 전자소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텔레스코픽 기구(4)는,
    상기 전자화면(2)의 하단부에 접하여 수평을 유지하면서 상기 가로지지대(46)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연장되는 다수개의 평판지지대(440)를 더 구비하는 플렉서블 전자소자.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평판지지대(440)는,
    상기 전자수납통(3)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전자화면(2)을 펼쳤을 때 받쳐주는 제3 평판지지대(442)와
    상기 제3 평판지지대(442)의 일 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자화면의 연장되는 길이만큼 받쳐주는 제2 평판지지대(444)와
    상기 제2 평판지지대(444)의 일 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자화면(2)의 연장되는 길이 만큼 받쳐주는 제1 평판지지대(446);
    를 더 구비하는 플렉서블 전자소자.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3평판지지대(442)와 제2 평판지지대(444)와 제1 평판지지대(446)는 서로간의 결합 시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양 끝단에 경사면 또는 곡률을 가는 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전자소자.
  8.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7중에서 어느 한 항에있어서,
    상기 가로지지대(46)의 하단부에 접하며 일정각도를 유지하고 상기 가로지지대(46)가 사용자의 터치 가압으로 인해 처짐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가로지지대(46)를 받쳐주는 세로지지대(450)를 더 구비하는 플렉서블 전자소자.
  9. 삭제
  10. 플렉서블 전자소자로서,
    전자화면(2)을 내부에 말아져서 보관할 수 있는 플렉서블 전자 수납통(3)과;
    상기 전자수납통(3)에 말아져서 보관된 상기 전자화면(2)을 받쳐주는 텔레스코픽 방식을 갖는 텔레스코픽 기구(4) 및
    상기 전자화면(2)에 전기적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본체(5)를 포함하고,
    상기 텔레스코픽 기구(4)는 상기 전자화면(2)의 하단부에 접하여 수평을 유지하면서 연장되는 가로지지대(46)를 구비하며, 상기 가로지지대(46)의 외주 면을 따라 결합과 처짐 및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돌출결합부(48)를 구비하는 플렉서블 전자소자.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텔레스코픽 기구(4)는,
    상기 전자화면(2)의 하단부와는 일측면이 접하여 상기 전자화면(2)을 수평으로 유지하며 계단방식으로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전자소자.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텔레스코픽 기구(4)는,
    상기 전자화면(2)을 슬라이드 방식으로 수평을 유지하면서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전자소자.
  13. 삭제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가로지지대(46)는,
    상기 전자수납통(3)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전자화면(2)을 펼쳤을 때 받쳐주는 제3 가로지지대(40)와
    상기 제3 가로지지대(40)의 일 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자화면(2)을 잡아당겨 연장되는 길이만큼 받쳐주는 제2 가로지지대(42)와
    상기 제2 가로지지대(42)의 일 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자화면(2)을 잡아당겨 연장되는 길이만큼 받쳐주는 제1 가로지지대(44);
    를 더 구비하는 플렉서블 전자소자.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텔레스코픽 기구(4)는
    상기 전자화면(2)의 하단부에 접하여 수평을 유지하면서 상기 가로지지대(46)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연장되는 다수개의 평판지지대(440)를 더 구비하는 플렉서블 전자소자.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평판지지대(440)는,
    상기 전자수납통(3)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전자화면(2)을 펼쳤을 때 받쳐주는 제3 평판지지대(442)와
    상기 제3 평판지지대(442)의 일 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자화면(2)의 연장되는 길이만큼 받쳐주는 제2 평판지지대(444)와
    상기 제2 평판지지대(444)의 일 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자화면(2)의 연장되는 길이 만큼 받쳐주는 제1 평판지지대(446);
    를 더 구비하는 플렉서블 전자소자.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 3평판지지대(442)와 제2 평판지지대(444)와 제1 평판지지대(446)는 서로간의 결합 시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양 끝단에 경사면 또는 곡률을 가는 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전자소자.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가로지지대(46)의 하단부에 접하며 일정각도를 유지하고 상기 가로지지대(46)가 사용자의 터치 가압으로 인해 처짐이 발생되지 않도록 받쳐주는 세로지지대(450)가 더 구비하는 플렉서블 전자소자.
  19. 삭제
  20. 플렉서블 전자 소자로서,
    전자신호를 확인하거나 전자신호를 송수신하면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전자화면(2);
    상기 전자화면(2)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전자화면(2)을 내부에 말아져서 보관할 수 있는 플렉서블 전자 수납통(3)과;
    상기 전자화면(2)의 하단부에 접하여 상기 전자화면(2)을 펼쳤을 때 계단형상으로 펼쳐지는 가로지지대(46)와 상기 가로지지대(46)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전자화면(2)을 받쳐주는 평판지지대(440)를 구비하는 텔레스코픽 기구(4) 및
    상기 전자화면(2)에 전기적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본체(5)를 포함하며, 상기 가로지지대(46)의 하단부에 접하며 일정각도를 유지하고 상기 가로지지대(46)가 사용자의 터치 가압으로 인해 처짐이 발생되지 않도록 받쳐주는 세로지지대(450)를 구비하는 플렉서블 전자소자.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가로지지대(46)는,
    상기 전자 수납통(3)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전자화면(2)을 펼쳤을 때 받쳐주는 제3 가로지지대(40)와
    상기 제3 가로지지대(40)의 일 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자화면(2)을 잡아당겨 연장되는 길이만큼 받쳐주는 제2 가로지지대(42)와
    상기 제2 가로지지대(42)의 일 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자화면(2)을 잡아당겨 연장되는 길이 만큼 받쳐주는 제1 가로지지대(44);
    를 더 구비하는 플렉서블 전자소자.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평판지지대(440)는,
    상기 전자수납통(3)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전자화면(2)을 펼쳤을 때 받쳐주는 제3 평판지지대(442)와
    상기 제3 평판지지대(442)의 일 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자화면의 연장되는 길이만큼 받쳐주는 제2 평판지지대(444)와
    상기 제2 평판지지대(444)의 일 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자화면(2)의 연장되는 길이 만큼 받쳐주는 제1 평판지지대(446);
    를 더 구비하는 플렉서블 전자소자.
  23. 삭제
  24.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가로지지대(46) 또는 상기 세로지지대(450)는 탄성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전자소자.
  25. 청구항 1에 기재되어 있는 플렉서블 전자소자를 다수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전자장치.
  26. 청구항 25에 있어서,
    다수개의 플렉서블 전자소자가 직렬 및 병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전자장치.
  27. 청구항 25에 있어서,
    다수개의 플렉서블 전자소자가 대칭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전자장치.
  28. 청구항 26 내지 청구항 27중에서 어느 한 항에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플렉서블 전자소자중 하나는 입력단자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전자장치.
KR1020120082451A 2012-07-27 2012-07-27 플렉서블 전자소자 KR101401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2451A KR101401550B1 (ko) 2012-07-27 2012-07-27 플렉서블 전자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2451A KR101401550B1 (ko) 2012-07-27 2012-07-27 플렉서블 전자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4967A KR20140014967A (ko) 2014-02-06
KR101401550B1 true KR101401550B1 (ko) 2014-06-03

Family

ID=50264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2451A KR101401550B1 (ko) 2012-07-27 2012-07-27 플렉서블 전자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15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20399B (zh) * 2016-11-02 2020-03-24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支撑组件、表盘及智能手环
KR20190004618A (ko) * 2017-07-04 2019-01-14 신진철 슬라이딩 구동에 의한 화면 확장형 이동 단말기
WO2021141160A1 (ko) * 2020-01-09 2021-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CN114519959B (zh) * 2020-11-19 2024-05-1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支撑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5412A (ko) * 2002-12-10 2005-08-29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이와 결합하여 사용하기 위한 전자기기
KR20080052834A (ko) * 2006-12-08 2008-06-12 엄민 멀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시트
JP2008183674A (ja) 2007-01-30 2008-08-14 Naberu:Kk テレスコピックカバー
KR20090089623A (ko) * 2008-02-19 2009-08-24 정관선 대형화면을 구비하는 무선단말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5412A (ko) * 2002-12-10 2005-08-29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이와 결합하여 사용하기 위한 전자기기
KR20080052834A (ko) * 2006-12-08 2008-06-12 엄민 멀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시트
JP2008183674A (ja) 2007-01-30 2008-08-14 Naberu:Kk テレスコピックカバー
KR20090089623A (ko) * 2008-02-19 2009-08-24 정관선 대형화면을 구비하는 무선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4967A (ko) 2014-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52798B (zh) 一种显示装置及其承载组件
US9678539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US9572272B2 (en) Foldable display apparatus
US10120418B2 (en) Portable keyboard
KR101401550B1 (ko) 플렉서블 전자소자
US9033147B2 (en)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8886544B (zh) 设置有具有防止发生气泡的结构的柔性显示面板的移动通信装置
US20190326767A1 (en) Adjustable wireless charging device
US20140347806A1 (en) Image display device
US20080247126A1 (en) Retractable display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KR102193313B1 (ko) 전자 장치
US8919544B2 (en)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20306724A1 (en) Portable display device
US8184443B2 (en) SIM card retention assembly
EP2664074A2 (en) Electronic device case with retractable stand
US8016610B1 (en) Battery connector for a mobile terminal
KR20140095624A (ko) 이동단말 거치용 접이식 파우치
CN112908169A (zh) 显示装置以及显示设备
CN108024038B (zh) 终端设备及其摄像头组件
KR101401552B1 (ko) 간편형 플렉서블 전자소자
KR20140090921A (ko)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KR101329617B1 (ko) 플렉서블 전자소자 커버
KR101334083B1 (ko) 태블릿 컴퓨터
KR101769941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단말기
KR20140116993A (ko) 탄성 받침대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