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2318B1 -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62318B1 KR101362318B1 KR1020080002330A KR20080002330A KR101362318B1 KR 101362318 B1 KR101362318 B1 KR 101362318B1 KR 1020080002330 A KR1020080002330 A KR 1020080002330A KR 20080002330 A KR20080002330 A KR 20080002330A KR 101362318 B1 KR101362318 B1 KR 10136231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ction
- duct
- air
- filter
- cas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9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3566 sealing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fil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on the floor; standing on the flo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08—Regeneration of the filter
- B01D2201/081—Regeneration of the filter using nozzles or suction devices
- B01D2201/082—Suction devices placed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 흡입부와 공기 토출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공기 흡입부로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를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필터를 청소하도록 상기 공기 흡입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청소 유닛과; 상기 공기 흡입부에 설치된 흡입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 덕트는, 개구부가 형성된 덕트 케이스와; 상기 청소 유닛이 연통되게 연결되고 상기 개구부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커넥터와; 상기 개구부를 막고 상기 커넥터와 함께 이동되게 배치된 실링부재와; 상기 덕트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실링부재와의 사이에 흡입력 작용 공간을 형성하는 내부 덕트를 포함하여, 흡입 덕트가 덕트 케이스와 내부 덕트의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흡입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body having an air inlet and an air outlet; A filter for purifying the air sucked into the air intake; A cleaning unit movably disposed in the air suction unit to move along the filter and to clean the filter; A suction duct provided in the air suction unit, the suction duct comprising: a duct case having an opening; A connector in which the cleaning unit is connected in communication and disposed through the opening; A sealing member that closes the opening and is disposed to move together with the connector; Including the inner duct disposed inside the duct case to form a suction force action space between the sealing member, since the suction duct is made of a dual structure of the duct case and the inner duct,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minimize the suction loss have.
공기조화기, 공기 흡입부, 필터, 청소 유닛, 흡입 덕트, 덕트 케이스, 실링부재, 내부 덕트, 커넥터 Air Conditioner, Air Intake, Filter, Cleaning Unit, Suction Duct, Duct Case, Sealing Material, Internal Duct, Connector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필터를 청소하는 청소 유닛이 공기 흡입부에 설치된 흡입 덕트에 접속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conditioner in which a cleaning unit for cleaning a filter is connected to a suction duct provided in an air intake part.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기구와 증발기를 이용하여 실내를 냉방/난방 시키는 장치로서, 공기를 정화시키는 정화 유닛을 설치할 경우, 실내를 정화시키는 기능도 하게 된다.Background Art [0002] Generally, an air conditioner is a device for cooling / heating an indoor space by using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xpansion mechanism, and an evaporator, and functions to purify the room when a purification unit for purifying the air is installed.
상기 공기조화기에는 여러 종류의 정화 유닛이 설치되고, 특히 공기 중의 이물질이 걸러지는 필터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여, 공기조화기의 작동시 필터에 의해 공기 중의 이물질이 걸러지면서 실내를 정화되게 하고, 필터를 분리하여 청소하거나 교체한다.The air conditioner is provided with various kinds of purifying units. In particular, a filter for filtering out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is detachably installed, so that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are filtered by the filter during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Remove filter to clean or replace.
상기와 같은 필터는 이물질이 많이 있을 경우, 공기의 흡입 능력을 저하시키므로, 주기적으로 청소하거나 교체할 필요가 있으나, 청소나 교체 작업시 사용자 등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고, 필터가 장시간 청소되거나 교체되지 않는 경우도 있으므로, 필터 청소 장치를 공기조화기에 설치하여 필터 청소 장치 자체가 필터를 청소할 경우 공기조화기 사용의 편의성이 증대된다.Such a filter is required to be cleaned or replaced periodically because it lowers the suction ability of air when there is a large amount of foreign matter. However, it may cause inconvenience to a user during cleaning or replacement work, and the filter may be cleaned or replaced for a long time Therefore, when the filter cleaning device is installed in the air conditioner and the filter cleaning device itself is used to clean the filter, the convenience of using the air conditioner is increased.
한편,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05-0114655호에는 흡인 노즐과, 흡입 덕트의 일단이 기밀을 유지하면서 미끄럼 운동이 자유롭게 접속된 흡입 덕트와, 흡입덕트에 연결되어 공기와 함께 먼지를 흡인,배기하는 흡배기 장치를 포함하는 공기 필터 자동 청소 기능 부착 실내 유닛을 구비한 공기조화기가 개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5-0114655 discloses a suction nozzle, a suction duct in which one end of the suction duct is kept airtight, and a sliding movement is freely connected, and connected to the suction duct to suck and exhaust dust together with air. An air conditioner having an indoor unit with an air filter automatic cleaning function including an intake and exhaust device is disclosed.
그러나,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05-0114655호에 기재된 공기 필터 자동 청소 기능 부착 실내 유닛을 구비한 공기조화기는, 흡입 덕트가 기밀을 유지하는 것으로만 단순하게 기재되어 있고,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구체적인 구성이나 기밀 방법 등에 대해서는 전혀 기재되어 있지 않으며, 특히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05-0114655호의 도 4에는 흡인 노즐의 미끄럼 운동이 자유롭도록 흡입 덕트의 상면 전체가 개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고, 흡배기 장치의 작동시, 흡입 덕트 주변의 공기가 흡입 덕트의 상면을 통해 흡입되어 흡인 노즐에 흡입력이 작용하지 않거나 흡입력이 미미하게 작용하므로 오히려 청소 능력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However, an air conditioner having an indoor unit with an air filter automatic cleaning function described in 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05-0114655 is described simply as that the suction duct keeps airtight, No configuration or airtight method is described at all. Particularly, FIG. 4 of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05-0114655 shows that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suction duct is opened so that the sliding movement of the suction nozzle is free. In operation, air around the suction duct is sucked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suction duct so that suction force does not work or suction force acts on the suction nozzle, but rather the cleaning ability is low.
한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284044에는 흡입 덕트에 흡입 덕트의 상면을 차폐할 수 있는 시트 형상이거나 띠 형상인 실(seal) 수단을 구비한 공기조화기의 필터 장치가 개시되어 있고, 흡인 장치의 작동시 실 수단의 내측 공간 전체와 흡인 노즐에 흡인력이 작용하고 이물질은 흡인 노즐과 실 수단의 내측 공간을 통해 흡인 장치로 흡인된다. 그리고, 흡입 덕트의 내부에 실(seal) 수단을 지지하거나 회전시키는 로울러가 설치되어 실 수단(seal) 수단이 원활하게 회전되게 하거나 실 수단(seal) 및 흡인 노즐을 이동시킨다. 그리고, 흡입 덕트는 실 수단의 설치를 위해 복수부재가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6-284044 discloses a filter device for an air conditioner having a sheet- or strip-shaped seal means capable of shielding an upper surface of the suction duct to the suction duct. In operation, suction force is applied to the entire inner space of the seal means and the suction nozzle, and foreign matter is sucked into the suction device through the suction nozzle and the inner space of the seal means. In addition, a roller for supporting or rotating the seal means is provided inside the suction duct to smoothly rotate the seal means or to move the seal means and the suction nozzle. In addition, the suction duct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members are combined to install the seal means.
그러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284044에 기재된 공기조화기의 필터 장치는, 흡입력이 작용하는 흡입력 작용공간이 실 수단과 흡입 덕트에 의해 형성되므로, 흡입 덕트를 구성하는 복수부재 사이의 틈에 의해 흡입 손실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filter device of the air conditioner described in JP 2006-284044, since the suction force acting space where the suction force acts is formed by the seal means and the suction duct, suction is caused by a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members constituting the suction duct. There is a problem that loss occurs.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흡입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that can minimize the suction los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청소 유닛이 안정감있게 이동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in which a cleaning unit can be moved stabl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호스와 청소 유닛이 공기 흡입부의 외부에서 흡입 덕트에 연결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in which the hose and the cleaning unit can be connected to the suction duct outside the air intake.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 흡입부와 공기 토출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공기 흡입부로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를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필터를 청소하도록 상기 공기 흡입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청소 유닛과; 상기 공기 흡입부에 설치된 흡입 덕트를 포함하 고, 상기 흡입 덕트는, 개구부가 형성된 덕트 케이스와; 상기 청소 유닛이 연통되게 연결되고 상기 개구부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커넥터와; 상기 개구부를 막고 상기 커넥터와 함께 이동되게 배치된 실링부재와; 상기 덕트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실링부재와의 사이에 흡입력 작용 공간을 형성하는 내부 덕트를 포함한다.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nd the air inlet and the air discharge unit formed body; A filter for purifying the air sucked into the air intake; A cleaning unit movably disposed in the air suction unit to move along the filter and to clean the filter; A suction duct installed in the air suction unit, the suction duct comprising: a duct case having an opening; A connector in which the cleaning unit is connected in communication and disposed through the opening; A sealing member that closes the opening and is disposed to move together with the connector; It is disposed inside the duct case includes an internal duct to form a suction force action space between the sealing member.
상기 커넥터는 상기 내부 덕트를 따라 슬라이드 안내되게 배치된 슬라이더를 포함한다.The connector includes a slider arranged to slide guide along the inner duct.
상기 커넥터는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청소 유닛을 연통시키도록 상기 슬라이더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연통부재를 더 포함한다.The connector further includes a communication member protruding from the slider to communicate the slider and the cleaning unit.
상기 연통부재는 상기 청소 유닛과 연결되는 통체부와, 상기 통체부 보다 유로가 확장되게 형성된 확장부를 포함한다.The communication member includes a tubular portion connected to the cleaning unit, and an expansion portion formed so that a flow path is expanded than the tubular portion.
상기 연통부재는 상기 슬라이더와 착탈되는 착탈부를 더 포함한다.The communication member further includes a detachable part detachable from the slider.
상기 내부 덕트는 상기 개구부의 대향면이 개방되고, 나머지면이 막히며, 일측에 상기 흡입력 작용 공간으로 안내된 이물질이 배출되는 출구부가 형성된 박스체이다.The inner duct is a box body in which an opposite surface of the opening is opened, the remaining surface is blocked, and an outlet portion at which one side of the foreign material guided to the suction force acting space is discharged.
상기 흡입 덕트는 상기 박스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실링부재가 감기는 롤러를 더 포함한다.The suction duct further includes a roller rotatably installed on the box body to which the sealing member is wound.
상기 공기 흡입부는 실내 공기가 통과하는 흡입홀이 형성된 흡입 패널과; 상기 흡입 패널에 장착되고 상기 필터가 배치되는 필터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덕트 케이스는 상기 흡입 패널과 상기 필터 케이스의 사이에 설치된다.The air suction unit includes a suction panel having a suction hole through which indoor air passes; And a filter case mounted to the suction panel and arranged with the filter, wherein the duct case is installed between the suction panel and the filter case.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이물질 처리장치와, 상기 이 물질 처리장치에 연결된 호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흡입 덕트는 상기 출구부와 연통되게 상기 필터 케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호스가 연결되는 호스 연결부재를 더 포함한다.The air conditioner further includes a foreign matter processing device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and a hose connected to the foreign matter processing device, and the suction duct is installed in the filter case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outlet and a hose connected to the hose. It further comprises a connection member.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흡입 덕트가 덕트 케이스와 내부 덕트의 이중 구조이고, 흡입력 작용 공간이 덕트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 덕트와 실링부재의 사이에 형성되므로, 흡입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suction duct is a dual structure of the duct case and the inner duct, and the suction force acting space is formed between the inner duct and the sealing member disposed inside the duct case, thereby minimizing suction loss. There is an advantage to thi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커넥터가 내부 덕트를 따라 슬라이드 안내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므로, 커넥터가 내부 덕트에 의해 안정적으로 안내되므로, 청소 유닛이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lider in which the connector slides along the inner duct, the connector is stably guided by the inner duct, so that the cleaning unit can be stably moved without shak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이물질 처리장치에 연결된 호스와 청소 유닛과 흡입 덕트와 쉽게 연결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can be easily connected to the hose and the cleaning unit and the suction duct connected to the foreign matter treatment device.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하부 평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상부 평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bottom plan cross-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top plan 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에 실내의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부(4)(6)가 형성됨과 아울러 본체(2)의 내부에서 가열되거나 냉각되거나 정화되는 등의 공조된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토출부(8)(10)가 형성된다.I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 to 4, the
본체(2)는 스텐드형 공기조화기나 벽걸이형 공기조화기나 천장형 공기조화기 등의 어느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나, 이하 스텐드형 공기조화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The
본체(2)는 하부에 공기 흡입부(4)(6)가 형성되고, 상부에 공기 토출부(8)(10)가 형성되어 하부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내부에서 공조한 후 상부를 통해 공조된 공기를 토출하는 유로 구조를 갖고, 베이스(12)와, 캐비닛(20)과, 흡입 패널(30)(40)과, 토출 패널(50)을 포함한다.The
베이스(12)는 본체(2)의 저면부 외관을 형성하고 캐비닛(20)과 흡입 패널(30)(40) 등을 지지한다.The
캐비닛(20)은 본체(2)의 후방부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후판부(22)와 좌판부(24)와 우판부(26)로 이루어지고, 베이스(12)의 후방부 상측에 위치되게 설치된다.The
흡입 패널(30)(40)은 좌측 공기 흡입부(4)를 구성하는 좌측 흡입 패널(30)과, 우측 공기 흡입부(6)를 구성하는 우측 흡입 패널(40)로 이루어진다. The
좌측 흡입 패널(30)은 캐비닛(20)의 좌판부(24)의 하부 전방 위치인 베이 스(12)의 전방부 좌측 위에 배치되게 설치되고, 좌측 공기 흡입구(31)이 좌우 방향으로 개구 형성되거나 좌측 전방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된다. The
좌측 흡입 패널(30)에는 좌측 흡입 패널(30)과 함께 좌측 공기 흡입부(4)를 구성하고 좌측 필터(32)가 장착되는 좌측 필터 케이스(34)가 설치된다. The
좌측 흡입 패널(30)과 좌측 필터 케이스(34)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공간에는 좌측 흡입 패널(30)과 좌측 필터(32)와 좌측 필터 케이스(34)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이동되면서 좌측 필터(32)의 이물질을 청소하는 좌측 청소 유닛(36)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한편, 상기와 같은 좌측 공기 흡입부(4)에는 좌측 청소 유닛(36)에 흡입력이 작용될 수 있게 하면서 좌측 청소 유닛(36)을 통해 흡입된 이물질을 후술하는 이물질 처리장치(130)로 안내하는 좌측 흡입 덕트가 고정 설치되고, 좌측 흡입 덕트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while allowing the suction force to be applied to the
우측 흡입 패널(40)은 캐비닛(20)의 우판부(26)의 하부 전방 위치인 베이스(12)의 전방부 우측 위에 배치되게 설치되고, 우측 공기 흡입구(41)는 좌우 방향으로 개구 형성되거나 우측 전방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된다. The
우측 흡입 패널(40)에는 우측 흡입 패널(40)과 함께 우측 공기 흡입부(6)를 구성하고 우측 필터(42)가 장착되는 우측 필터 케이스(44)가 설치된다. The right
우측 흡입 패널(40)과 우측 필터 케이스(44)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공간에는 우측 흡입 패널(40)과 우측 필터(42)와 우측 필터 케이스(44)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이동되면서 우측 필터(42)의 이물질을 청소하는 우측 청소 유닛(46)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한편, 상기와 같은 우측 공기 흡입부(6)에는 우측 청소 유닛(46)에 흡입력이 작용될 수 있게 하면서 우측 청소 유닛(46)을 통해 흡입된 이물질을 후술하는 이물질 처리장치(130)로 안내하는 우측 흡입 덕트가 고정 설치되고, 우측 흡입 덕트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while allowing the suction force to be applied to the right
토출 패널(50)은 캐비닛(20)의 전방 상부에 배치되고, 좌측에 좌측 공기 토출부(8)가 형성되고 우측에 우측 공기 토출부(10)가 형성되는 것으로서, 크게 전판부(52)와 좌측판부(53)와 우측판부(54)로 이루어진다.The
좌측 공기 토출부(8)는 전판부(52)와 좌측판부(53)의 사이에 전판부(52) 및 좌측판부(53)에 대해 경사진 좌측 경사부(55)가 형성되고, 좌측 경사부(55)에 좌측 공기 토출구(56)가 좌우 방향으로 개구 형성되거나 좌측 전방 방향의 경사 방향으로 개구 형성된다.The left air discharge portion 8 is provided with a left inclined portion 55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우측 공기 토출부(10)는 전판부(52)와 우측판부(54)의 사이에 전판부(52) 및 우측판부(54)에 대해 경사진 우측 경사부(57)가 형성되고, 우측 경사부(57)에 우측 공기 토출구(58)가 좌우 방향으로 개구 형성되거나 우측 전방 방향으로 개구 형성된다.The right
본체(2)는 토출 패널(50)의 전방에 전면 커버(60)가 설치된다. 전면 커버(60)는 좌측 공기 토출구(56)와 우측 공기 토출구(58)를 통과한 공기가 전방 방향으로 직진되지 않고, 옆으로 유도하는 일종의 에어 가이드로서, 좌측 공기 토출구(56)와 우측 공기 토출구(58)가 전방에서 보이지 않게 막는 일종의 차폐 부재의 역할을 한다.The
그리고, 본체(2)의 전방에는 전면 패널(70)이 좌,우 중 일측으로 중심으로 회동되게 연결된다. 전면 패널(70)은 공기조화기의 전면측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베이스(12) 및 좌측 흡입 패널(30)과 우측 흡입 패널(40)과 토출 패널(50)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토출 패널(50) 및 전면 커버(60)의 상단과 베이스(12)의 전면부 사이를 여닫는 것으로 설명한다.The
본체(2)는 공기 토출구(78)가 형성된 토출구 유닛(80)이 본체(2)의 내측 상부에서 본체(2)의 위로 상승되고, 본체(2)의 위에서 본체(2)의 내측 상부로 하강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The
본체(2)에는 토출구 유닛(80)이 승강 안내되는 승강 가이드(82)가 설치되고, 토출구 유닛(80)은 승강 가이드(82)에 승강 안내되면서 승강 가이드(82)의 상측 위치로 상승되어 공기 토출구(78)가 개방/노출되거나 승강 가이드(82)의 내부로 하강되어 승강 가이드(82)의 상면 즉, 본체(2)의 상면을 덮으면서 공기 토출구(78)가 밀폐/은닉된다.The
본체(2)에는 공기 흡입부(4)(6)와 공기 토출부(8)(10)를 함께 여닫음과 아울러 공기를 안내하는 베인(90)(100)이 설치된다.The
이하, 베인(90)(100)은 공기 흡입부(4)(6)와 공기 토출부(8)(10)를 동시에 함께 여닫음과 아울러 흡입 공기와 토출 공기 모두를 안내하는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The
즉, 베인(90)(100)은 하부가 공기 흡입부(4)(6)를 여닫음과 아울러 공기 흡 입부(4)(6)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흡입 도어 및 흡입 베인의 역할을 하고, 상부가 공기 토출부(8)(10)를 여닫음과 아울러 공기 토출부(8)(10)로 토출된 공기를 안내하는 토출 도어 및 토출 베인의 역할을 하며, 전체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That is, the
베인(90)(100)은 좌측 공기 흡입부(4)와 좌측 공기 토출부(8)를 동시에 함께 여닫고, 좌측 공기 흡입부(4)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며, 좌측 공기 토출부(8)를 통해 토출된 공기를 안내하는 좌측 베인(90)과, 우측 공기 흡입부(6)와 우측 공기 토출부(10)를 동시에 함께 여닫고, 우측 공기 흡입부(6)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며, 우측 공기 토출부(10)를 통해 토출된 공기를 안내하는 우측 베인(100)으로 이루어진다.The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참고 부호 110은 본체(2)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되 승강 가이드(82)의 하부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냉매와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이고,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참고 부호 120은 본체(2)의 내측 하부에 설치된 송풍기이며, 도 2에 도시된 참고 부호 130은 본체(2)의 내측 하부 특히 베이스(12)에 설치되어 청소 유닛(36)(46)에서 청소된 이물질을 처리하는 이물질 처리 장치이다.
송풍기(12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혹은 후방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측으로 송풍시키는 원심 송풍기로서, 회전축이 전후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팬모터(122)와, 팬모터(122)의 회전축에 연결된 송풍팬(124)과, 팬모터(122) 및 송풍팬(124)을 둘러싸고 전면과 후면 중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 부에 토출구가 형성된 팬 하우징(126)과, 팬 하우징(126)의 개구부에 배치된 오리피스(128)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3 and 4, the
이물질 처리 장치(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필터(32)에서 청소된 이물질이 안내되는 좌측 호스(132)와, 우측 필터(42)에서 청소된 이물질이 안내되는 우측 호스(134)와, 좌측 호스(132)와 우측 호스(134)가 연결된 사이클론 분리기인 이물질 분리장치(135)와, 이물질 분리장치(135)와 연결되어 이물질 분리장치(135) 및 좌,우측 호스(132)(134)와 좌측 청소 유닛(36) 및 우측 청소 유닛(46)에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력 발생유닛(136)과, 이물질 분리장치(135)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담겨지는 집진통인 이물질 수거통(137)과, 좌측 청소 유닛(36) 및 우측 청소 유닛(46)과 흡입력 발생유닛(136)을 제어하는 청소 제어부(14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foreign
흡입력 발생유닛(136)은 팬과 팬모터와 하우징으로 이루어진 청소 송풍기로서, 청소 제어부(140)가 팬모터를 구동시키면, 팬이 회전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킨다. The suction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좌측 공기 흡입부(4)에 좌측 청소 유닛(36)이 이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좌측 청소 유닛(36)에 흡입력을 작용되게 함과 아울러 좌측 청소 유닛(36)에서 청소된 이물질을 좌측 호스(132)로 안내하는 좌측 흡입 덕트(미도시)가 고정 설치되고, 우측 공기 흡입부(6)에 우측 청소 유닛(46)이 이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우측 청소 유닛(46)에 흡입력을 작용시킴과 아울러 좌측 청소 유닛(46)에서 청소된 이물질을 우측 호스(134)로 안내하는 우측 흡입 덕트(미도시)가 고정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좌측 공기 흡입부(4)와 우측 공기 흡입부(6)를 공기 흡입부(6)로 칭하여 설명하고, 좌측 청소 유닛(36)과 우측 청소 유닛(46)을 청소 유닛(46)으로 칭하여 설명하고, 좌측 흡입 덕트와 우측 흡입 덕트를 흡입 덕트(140)로 칭하여 설명하고, 좌측 호스(132)와 우측 호스(134)를 호스(134)로 칭하여 설명한다.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below, th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공기 흡입부가 일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공기 흡입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공기 흡입부 종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공기 흡입부 횡단면도이다.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air intake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ir intake of an embodimen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air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n air intake unit of one embodiment, and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ir intake unit of an embodimen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흡입부(6)에 흡입 덕트(140)가 설치된다. I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S. 5 to 8, the
흡입 덕트(140)는 청소 유닛(46)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면서 청소 유닛(46)이 이물질 처리장치(130)와 연통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공기 흡입부(6)에 위치 고정되게 설치된다.The
즉, 흡입 덕트(140)는 이물질 처리 장치(130) 특히 흡입력 발생 유닛(136)에서 발생된 흡입력이 청소 유닛(46)으로 전달되게 하는 연결 통로이면서, 상기와 같은 흡입력에 의해 청소 유닛(46)에서 흡입된 이물질을 이물질 처리 장치(130)로 안 내되게 하는 일종의 이물질 안내 통로로 기능한다.That is, the
흡입 덕트(140)는 공기 흡입부(6)의 외부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나, 공기 흡입부(6)의 내부에 설치되어 흡입 패널(40) 및 필터(42)와 필터 케이스(44)와 청소 유닛(46)과 함께 흡입 패널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흡입 패널(40) 및 필터 케이스(44)의 사이에 설치된 것으로 설명한다.The
흡입 덕트(140)는 개구부(162)가 형성된 덕트 케이스(160)와, 청소 유닛(46)이 연통되게 연결되고 개구부(162)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커넥터(180)와, 개구부(162)를 막도록 배치된 실링부재(200)와, 덕트 케이스(160) 내부에 배치되고 실링부재(200)와 함께 흡입력 작용 공간(222)을 형성하는 내부 덕트(220)와, 호스(134)가 연결되는 호스 연결부재(240)를 포함한다.The
덕트 케이스(160)는 실링부재(220)와 내부 덕트(220) 등을 보호하는 것으로서, 흡입 패널(40)과 필터 케이스(44)의 사이에 위치되게 고정 설치된다.The
덕트 케이스(160)는 전체적으로 상하로 길게 형성된 박스체로서, 내부에 실링부재(200) 및 내부 덕트(220) 등이 내장될 수 있는 공간이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The
덕트 케이스(160)는 청소 유닛(46)의 이동 경로를 향하는 면에 개구부(162)가 형성된다.The
여기서, 개구부(162)는 커넥터(180)의 이동시 커넥터(180)를 회피함과 아울러 커넥터(180)의 이동을 안내하는 부분으로서, 청소 유닛(46)의 이동 경로와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Here, the
덕트 케이스(160)는 박스 형상의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여러 부재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실링부재(200) 및 내부 덕트(220)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여러 부재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덕트 케이스(160)는 일면에 개구부(162)가 형성되고 개구부(162)의 반대면이 개방된 덕트 바디(164)와, 덕트 바디(164)의 개방면을 막는 덕트 캡(166)을 포함한다.The
이하, 덕트 바디(164)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부에 개구부(162)가 형성되고, 전면부가 개방되며, 좌측판부와 우측판부와 상판부와 하판부 사이에 실링부재(200) 및 내부 덕트(220) 등이 내장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덕트 캡(166)이 덕트 바디(164)의 전면을 막는 것으로 설명한다.6 to 8, the
커넥터(180)는 청소 유닛(46)과 함께 이동되게 연결되고 개구부(162)를 관통하여 배치되어, 청소 유닛(46)을 흡입 덕트(140) 내부 특히 흡입력 작용 공간과 항상 접속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으로서, 내부 덕트(220) 내측에 내부 덕트(220)를 따라 이동되게 배치된 슬라이더(182)와, 청소 유닛(46)과 슬라이더(182)를 연통시키는 연통부재(190)를 포함하고, 슬라이더(182)와 연통부재(190) 중 적어도 하나는 덕트 케이스(160)의 개구부(162)를 관통하게 배치되며, 이하 연통부재(190)가 덕트 케이스(160)의 개구부(162)를 관통하는 것으로 설명한다.The
슬라이더(182)는 하면(183)과 상면(184)과 전면이 개방되고 후판부(185)와 좌측판부(186)와 우측판부(187)로 이루어진다.The
슬라이더(182)는 좌측판부(186)의 좌측면이 내부 덕트(220)의 좌측부 우측면 에 안내되는 좌측 안내면으로 기능하고, 우측면부(187)의 우측면이 내부 덕트(220)의 우측부 좌측면에 안내되는 우측 안내면으로 기능한다.The
즉, 슬라이더(182)는 청소 유닛(46)의 이동에 의한 연통부재(190)의 이동시, 좌측판부(186)와 우측판부(187) 각각이 내부 덕트(220)와 넓은 접촉면적으로 안내됨과 아울러 좌,우 양측판부(186)(187)가 슬라이드 안내되므로, 청소 유닛(46) 및 연통부재(190)의 이동시 발생될 수 있는 흔들림이나 쳐짐을 최소화할 수 있고, 청소 유닛(46)이 보다 안정감 있게 이동될 수 있게 돕는다.That is, the
슬라이더(182)는 후판부(185)에 연통부재(190)과 연통되는 연통홀(189)이 형성된다.The
슬라이더(182)는 내부 덕트(220)를 따라 이동될 때 좌측판부(185)의 선단과 우측판부(186)의 선단이 내부 덕트(220)와 면접촉될 경우, 그 마찰 면적이 크게 되는 바, 좌측판부(185)의 선단 및 우측판부(186)의 선단에 내부 덕트(220)의 전판부 배면과 선접촉되는 선접촉수단인 직선 리브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좌측판부(185)의 선단 및 우측판부(186)의 선단에 내부 덕트(220)의 전판부 배면과 점접촉되는 점접촉수단인 원형 돌기(188)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원형 돌기(188)가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When the
슬라이더(182)는 전체적으로 상,하 흔들리지 않고 상,하부 모두가 안정감 있게 안내되도록 원형 돌기(188)가 좌측판부(185)의 선단 및 우측판부(186)의 선단 각각에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 이격 형성된다. The
연통부재(190)는 청소 유닛(46)과 함께 이동되면서 흡입 덕트(140)와 청소 유닛(46)을 연통시키는 일종의 이동 덕트로서, 청소 유닛(46)에 형성된 연결부(47)가 연결되는 통체부(191)와, 통체부(191) 보다 유로가 확장되게 형성된 확장부(192)를 포함한다.The communicating
확장부(192)는 통체부(191)로 안내된 공기와 이물질이 슬라이더(182)로 쉽게 이동되도록 통체부(191)에서 슬라이더(182)로 갈수록 내부 유로가 점차 확장되게 형성된 경사부(192a)와, 경사부(192a)에서 연장되어 외둘에에 실링부재(200)가 끼워지고 내부 유로가 일정하게 형성된 직선부(192b)와, 직선부(192b) 선단에서 돌출되어 슬라이더(182)에 면접촉되는 플랜지부(192c)를 포함한다.The
연통부재(190)는 슬라이더(182)와 착탈되는 착탈부(193)를 더 포함한다.The
착탈부(193)는 슬라이드(182)의 후판부(185)에 형성된 연통홀(189)로 삽입되어 연통홀(189) 주변에 걸리도록 연통부재(190)에서 돌출 형성된 걸이부로 이루어지고, 복수개(193A)(193B)가 상,하 이격되게 설치된다.
착탈부(193)는 연통부재(190)의 플랜지부(192c) 상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수평 돌출부와 수평 돌출부의 선단에서 상향 절곡된 수직 돌출부로 이루어진 상부 착탈부(193A)와, 연통부재(190)의 플랜지부(192c)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수평 돌출부와 수평 돌출부의 선단에서 하향 절곡된 수직 돌출부로 이루어진 하부 착탈부(193B)로 이루어진다.The
한편, 슬라이더(182)의 연통홀(189)은 상부 걸이부(193A) 및 하부 걸이부(193B)가 통과한 후 옆으로 슬라이드 시켰을 때 걸리는 계단 형상의 개구부로 이루어진다. On the other hand, the
즉, 슬라이더(182)의 연통홀(189)은 상부 걸이부(193A) 및 하부 걸이부(193B)가 통과하도록 상부 걸이부(193A)의 상단과 하부 걸이부(193B)의 하단 사이의 폭 보다 큰 폭을 갖는 제 1 개구부와, 제 1 개구부의 옆에 위치되고 제 1 개구부를 통과한 상부 걸이부(193A)와 하부 걸이부(193B)가 옆으로 이동되었을 때 상부 걸이부(193A)의 수직부와 하부 걸이부(193B)의 수직부가 후방으로 걸리도록 상부 걸이부(193A)의 수평부와 하부 걸이부(193B)의 수평부 사이의 폭 보다 크되 상부 걸이부(193A)의 수직부 상단과 하부 걸이부(193B)의 수직부 하단 사이의 폭 보다 작은 폭을 갖는 제 2 개구부와, 제 2 개구부의 옆에 위치되고 제 2 개구부로 이동된 상부 걸이부(193A)의 수평부와 하부 걸이부(193B)의 수평부가 걸리도록 상부 걸이부(193A)의 수평부와 하부 걸이부(193B)의 수평부 사이의 폭 보다 작은 폭을 갖는 제 3 개구부를 포함한다. That is, the
실링부재(200)는 커넥터(180)와 함께 이동되게 배치되고 개구부(162)를 막아 흡입 덕트(140) 내부에 혹은 흡입 통로 흡입력 작용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폐루프인 띠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sealing
실링부재(200)는 후술하는 롤러(230)(232)를 따라 회전되도록 고무 등의 탄성체나 필름 등의 연성재질로 이루어진다.The sealing
실링부재(200)는 덕트 케이스(160)의 개구부(162) 중 커넥터(180)가 위치되는 부분 이외를 모두 막는 것으로서, 커넥터(180)가 관통되는 관통부(202)가 일측에 개구 형성된다.The sealing
한편, 커넥터(180)는 슬라이더(182)가 실링부재(200)의 내측 공간에 위치되 고, 연통부재(190)가 관통부(202)를 관통하여 실링부재(200)에 돌출된 형상으로 배치된다.Meanwhile, in the
실링부재(200)는 접착재 등의 접착수단에 의해 커넥터(180)와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고, 실링부재(200)의 일부가 슬라이더(182)와 연통부재(190)의 사이에 개재되는 것도 가능하며, 커넥터(180)가 단순히 실링부재(200)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The sealing
내부 덕트(220)는 덕트 케이스(160) 내부에 배치되어 실링부재(200)를 지지하는 실링부재 서포터이면서, 커넥터(180) 특히 슬라이더(182)의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더 가이드로 기능하는 것으로서, 커넥터(180)의 이동을 위해 덕트 케이스(160)의 개구부(162)와 대향되는 면인 배면이 개방된다.The
내부 덕트(220)는 덕트 케이스(160)의 개구부(162)와 대향되는 면이 개방되고 나머지면이 모두 막힌 박스체로서, 이하 배면이 개방되고 전면과 상면과 하면과 좌측면과 우측면이 막힌 박스체인 것으로 설명한다.The
내부 덕트(220)는 실링부재(200)가 감겨 안내되는 롤러(230)(232)가 박스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실링부재(200)는 내부 덕트(220)의 전방과 상측과 후방과 하측을 에워싸도록 배치된다. The
내부 덕트(220)는 덕트 케이스(160)의 개구부(162) 주변(163)과의 사이에 실링부재(200)가 지지되도록 실링부재(200)를 받치는 실링부재 받침부(226)(228)가 형성된다.The
실링부재 받침부(226)(228)는 내부 덕트(220)의 좌측 후단에 상하로 길게 형 성된 직선 판체 형상의 좌측 실링부재 받침부(226)와, 내부 덕트(220)의 우측 후단에 상하로 길게 형성된 직선 판체 형상의 우측 실링부재 받침부(228)를 포함하여, 좌측 실링부재 받침부(226)가 실링부재(200)의 좌측부를 덕트 케이스(160)의 개구부(162) 좌측에 받치고, 우측 실링부재 받침부(228)가 실링부재(200)의 우측부를 덕트 케이스(160)의 개구부(162) 우측에 받친다.The sealing
롤러(230)(232)는 내부 덕트(22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실링부재(200) 중 상부에 위치하는 부분 특히, 상부 곡면부가 감긴 상태에서 안내되는 상부 롤러(230)와, 내부 덕트(22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실링부재(200) 중 하부에 위치하는 부분 특히 하부 곡면부가 감긴 상태에서 안내되는 하부 롤러(232)를 포함한다.The
내부 덕트(220)는 상부에 상부 롤러(23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측 롤러 설치부(231)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하부에 하부 롤러(23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측 롤러 설치부(233)가 돌출되게 형성된다.The
내부 덕트(220)는 실링부재(220)를 지지하고 커넥터(180)를 안내하는 기능에 한하지 않고, 이물질 처리 장치(130)에서 발생된 흡입력을 청소 유닛(46)으로 전달되게 하면서 청소 유닛(46)에서 흡입된 이물질이 통과되는 이물질 통로의 기능을 겸하는 것으로서, 실링부재(200)와 내부 덕트(220)가 형성하는 공간이 흡입 통로 혹은 흡입력 작용 공간(222, 이하, 흡입력 작용 공간으로 칭하여 설명한다.)으로 기능한다.The
내부 덕트(220)는 흡입력 작용 공간(222)의 상부와 하부 중 일측에 출구 부(224)가 형성되되, 출구부(224)는 좌,우 중 일측으로 돌출된 덕트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출구부(224)는 호스(134)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실시예와 같이 이물질 처리장치(130)가 베이스(12)에 설치되고, 공기 흡입부(6)가 베이스(12)의 상측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경우에는 내부 덕트(220)의 하부에 위치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하, 출구부(224)는 내부 덕트(220)의 하부에 위치되는 것으로 설명한다.The
한편, 내부 덕트(220)는 박스체가 덕트 케이스(160)의 개구부(162)와 대향되는 면(즉, 배면)만 개방되고 다른 면이 모두 막힌 육면체로 이루어고, 흡입력은 개방면의 맞은편(즉, 전판부)으로는 작용되지 않으며, 실링부재(200) 중 내부 덕트(220)의 전면 앞부분에 위치되는 부분은 내부 덕트(220)의 전판부에 막혀 후방으로 휘지 않는다. 즉, 내부 덕트(220)는 개방면의 맞은편(즉, 전판부)이 실링부재(200)를 막는 지지수단으로 기능한다.On the other hand, the
호스 연결부재(240)는 호스(134)와 내부 덕트(220)를 연통시키는 것으로서, 공기 흡입부(6)의 외부에서 연결되도록 호스(134)가 연결되는 일단(242, 이하, 호스 연결부)이 공기 흡입부(6)의 외부에 위치되고, 출구부(224)에 연결되는 타단(244, 이하, 덕트 연결부)이 공기 흡입부(6)의 내부에 위치되게 필터 케이스(44)에 설치된다.The
도 6에 도시된 참조 부호 45는 호스 연결부재(240)의 덕트 연결부(244)와 내 부 덕트(220)의 출구부(224) 중 적어도 하나가 관통되도록 필터 케이스(44)에 형성된 관통부이다.In FIG. 6,
도 6에 도시된 참조 부호 168은 호스 연결부재(240)의 덕트 연결부(244)와 내부 덕트(220)의 출구부(224) 중 적어도 하나가 관통되도록 덕트 케이스(160)에 형성된 관통부이다. In FIG. 6,
한편, 청소 유닛(46)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케이스(44)와 흡입 패널(40) 사이의 공간에서 필터(42)를 따라 이동되도록 필터 케이스(360)와 흡입 패널(40) 사이의 공간 보다 작게 형성된 청소 케이스(360)와, 청소 케이스(360)에 설치된 청소 모터(370)와, 청소 케이스(360)에 설치되어 청소 유닛(46)의 이동시 필터(42)에서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이물질 분리기(380)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그리고, 공기 흡입부(6)와 청소 유닛(46)에는 모터(370)에 연동되어 청소 유닛(46)이 이동되게 하는 동력 전달수단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동력 전달수단은 흡입 패널(40)과 필터 케이스(44)와 필터(42) 중 적어도 하나에 그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랙으로 구성된 고정 기어(390)와, 청소 모터(370)의 회전축(372)에 연결된 모터 기어(400)를 포함한다.The power transmission means includes a fixed
고정 기어(390)는 필터 케이스(44) 중 필터(42)를 향하는 면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The fixed
고정 기어(390)는 복수개가 전후 이격되게 형성된다.The fixed gears 390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ack and forth.
청소 케이스(360)는 필터(42)와 대향되는 면에 이물질 분리기(380)의 일부가 돌출되는 청소용 개구부(361)가 형성되고, 고정 기어(390)와 대향되는 면에 동력 전달수단 중 일부가 돌출되는 이동용 개구부(362)가 형성된다.The cleaning case 360 has a
청소 케이스(360)는 내부에 모터(370) 및 모터 기어(400) 등이 위치되는 수납 공간과 청소용 개구부(361)로 흡입된 공기와 이물질이 통과하는 통로를 갖는 것으로서, 필터(42)와 대향되고 청소용 개구부(361) 및 이동용 개구부(362)가 개구 형성된 키트 바디(363)와; 키트 바디(363)와 결합되고 키트 바디(363)와의 사이에 수납 공간 및 통로를 갖는 키트 하우징(364)을 포함한다.The cleaning case 360 has an accommodating space in which the
청소 케이스(360)는 키트 바디(363)와 키트 하우징(364) 중 하나에 흡입덕트(140) 특히 연통부재(190)와 연결되는 연결부(47)가 구비된다.The cleaning case 360 is provided at one of the
한편, 동력 전달수단은 모터 기어(400)가 고정 기어(390)에 직접 치합되어 모터(370)의 구동시 모터 기어(400)가 회전되면서 고정 기어(390)를 따라 상하 이동되는 것도 가능하고, 청소 케이스(360)에 별도의 케이스 이동 기어(410) 등을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 모터 기어(400)가 케이스 이동 기어(410) 등을 회전시키고 케이스 이동 기어(410) 등이 고정 기어(390)에 치합되어 고정 기어(390)를 따라 상하 이동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며, 이하 청소 케이스(360)에 케이스 이동 기어(410) 등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may be moved directly along the fixed
케이스 이동 기어(410)는 일부가 필터 청소 케이스(360)의 이동용 개구부(362)를 통해 돌출되게 배치된다.A part of the
케이스 이동 기어(410)는 고정 기어(390)와 같이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되고, 복수개의 케이스 이동 기어(410)는 필터 청소 케이스(36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하나의 이동 기어축(414)으로 연결되며, 이동 기어축(414)은 필터(42)의 옆에 위치되게 전후 방향으로 수평하게 배치된다.A plurality of case shift gears 410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uch as the fixed
또한, 동력 전달수단은, 모터 기어(400)가 케이스 이동 기어(410)에 직접 치합되는 것도 가능하고, 모터 기어(400)와 케이스 이동 기어(410)의 사이에 베벨 기어(420)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베벨 기어(420)가 설치된 것으로 설명한다.In addition,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the
여기서, 베벨 기어(420)는 모터 기어(400)의 회전중심인 모터의 회전축(372)과 케이스 이동 기어(410)의 회전 중심인 이동 기어축(414)이 직교하는 방향일 경우, 두 기어(400)(410)가 연동되게 하는 일종의 중간 기어이다.Here, when the
한편, 이물질 분리기(380)는, 케이스 이동 기어(410)에 치합된 적어도 하나의 브러시 기어(382)와, 브러시 기어(382)에 연결되고 필터 청소 케이스(36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브러시 축(384)과, 브러시 축(384)의 외둘레에 설치되어 청소 유닛(46)의 이동시 필터(42)와 마찰되면서 필터(42)의 이물질을 필터(42)에서 분리시키는 브러시 부재(386)로 이루어진다.Meanwhile, the foreign material separator 380 includes at least one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청소 제어부(140)는 공기조화기에 설치된 컨트롤 패널이나 공기조화기를 원격 조작하는 원격 조작기를 통해 필터 청소의 명령이 입력되거나, 공기조화기의 운전 적산 시간이 설정 시간을 경과하는 등의 필터 청소 조건이 만족되거나, 일정 주기 간격으로 청소 유닛(46)의 청소 모터(370)를 구동시키고, 흡입력 발생 유닛(136)의 팬모터를 구동시킨다.First, the
청소 모터(370)의 구동시 모터 기어(400)는 회전되고, 그 회전력은 베벨기어(420)를 통해 케이스 이동 기어(400)로 전달되고, 케이스 이동 기어(400)는 고정 기어(390)를 따라 상하 이동되며, 청소 유닛(46)은 필터(42)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When the cleaning
상기와 같은 청소 유닛(46)의 이동시, 브러시 기어(382)는 케이스 이동 기어(400)에 의해 회전되고 이때, 브러시 부재(386)는 필터(42)와 접촉되면서 필터(42)의 이물질을 필터(42)에서 분리한다.When the
그리고, 흡입력 발생 유닛(136)의 구동시, 이물질 분리장치(135)와 호스(134)에는 흡입력이 작용되고, 이러한 흡입력은 내부 덕트(220)와 실링부재(200) 사이와, 내부 덕트(220)와 슬라이더(182)의 사이와, 연통부재(190)와, 청소 유닛(46)에 작용되며, 브러시 부재(386)에 의해 필터(42)에서 분리된 이물질은 공기와 함께 청소 유닛(46)으로 빨려 들어간다. When the suction
청소 유닛(46)으로 유입된 공기와 이물질은 청소 유닛(46)과 연통부재(190)를 차폐로 통과한 후 슬라이더(182)의 연통홀(189)을 통과하여 슬라이더(182)와 내부 덕트(220)의 사이로 흡입되고, 이후 내부 덕트(220)와 실링부재(200)의 사이를 통과한 후 내부 덕트(220)의 출구부(224)로 배출되며, 이후 호스 연결부재(240)와 호스(134)를 차례로 통과하여 이물질 분리장치(135)로 유입된다.Air and foreign matter introduced into the
이물질 분리장치(135)로 유입된 이물질과 공기는 이물질 분리장치(135)에서 분리되어 공기는 흡입력 발생 유닛(136)을 통해 본체(2)의 내부로 배출되고 이물질은 이물질 수거통(137)에 담겨진다.The foreign matter and air introduced into the foreign
한편, 상기와 같은 흡입력 발생 유닛(136)의 구동시 흡입 덕트(140)의 내부의 흡입력은 내부 덕트(220)와 실링부재(200) 사이의 밀폐된 공간인 흡입력 작용 공간(222)에 작용되어 내부 덕트(220)의 외부에는 작용되지 않고, 덕트 케이스(160)의 외부에는 흡입력이 작용되지 않으므로, 흡입 덕트(140)는 흡입 손실 없이 공기와 이물질을 흡입 안내하게 된다.Meanwhile, when the suction
또한, 상기와 같은 청소 유닛(46)의 이동 및 필터(42)의 청소시, 커넥터(180) 특히 슬라이더(182)의 좌,우측판부(185)(186)가 내부 덕트(220)의 좌,우측판부의 안내를 받으면서 이동되므로, 좌,우 흔들림 없이 안정감 있게 이동되고, 커넥터(180)와 연결된 청소 유닛(46)은 커넥터(180)가 내부 덕트(220)에 안내됨에 따라 안정감 있게 이동된다.In addition, during the movement of the
그리고, 커넥터(180)의 이동시, 실링부재(200)는 커넥터(180)에 이끌려서 커넥터(180)와 함께 움직이는데, 내부 덕트(220)가 실링부재(200)를 덕트 케이스(160)의 개구부(162) 주변에 받치므로, 실링부재(200)가 자중 등에 의해 휘지 않고, 실링부재(200)의 실링 능력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된다.In addition, when the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필터(42)와 필터 케이스(44)와 청소 유닛(46)과 흡입 덕트(140)가 공기 흡입부(6)에 설치되지 않고 공기 흡입부(6)와 송풍기(310)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and the
또한, 본 발명은 열교환기(300)가 송풍기(310)와 공기 토출부(10)의 사이가 아닌 공기 흡입부(6)와 송풍기(310)의 사이에 위치되고, 필터(42)와 필터 케이 스(44)와 청소 유닛(46)과 흡입 덕트(140)가 공기 흡입부(6)와 열교환기(300)의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exchanger 300 is located between the
또한, 본 발명은 커넥터(180)를 구성하는 연통부재(190)가 청소 유닛(46)과 일체로 형성되어, 청소 유닛(46)의 일부인 연통부재(190)가 덕트 케이스(160)의 개구부(162)를 관통하는 것도 가능하고, 연통부재(190)가 아닌 슬라이더(182)의 일부가 덕트 케이스(160)의 개구부를 관통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적 범주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하부 평단면도,3 is a bottom plan sectional view of one embodimen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상부 평단면도,4 is a top plan cross-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공기 흡입부가 일부 도시된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air intake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공기 흡입부 분해 사시도,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ir intake unit of an embodimen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공기 흡입부 종단면도,7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air intake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공기 흡입부 횡단면도이다.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ir intake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2: 본체 6: 공기 흡입부2: body 6: air intake
40: 흡입 패널 42: 필터40: suction panel 42: filter
44: 필터 케이스 46: 청소 유닛44: filter case 46: cleaning unit
47: 연결부 134: 호스47: connection 134: hose
130: 이물질 처리 장치 136: 흡입력 발생 유닛130: foreign matter treatment device 136: suction force generating unit
135: 이물질 분리장치 140: 흡입 덕트135: foreign matter separation device 140: suction duct
160: 덕트 케이스 162: 개구부160: duct case 162: opening
164: 덕트 바디 166: 덕트 캡164: duct body 166: duct cap
180: 커넥터 182: 슬라이더180: connector 182: slider
185: 후판부 186: 좌측판부185: thick plate portion 186: left plate portion
187: 우측판부 188: 원형 돌기187: right side plate 188: circular projection
189: 연통홀 190: 연통부재189: communication hole 190: communication member
191: 통체부 192: 확장부191: tube portion 192: expansion portion
193: 착탈부 200: 실링부재193: detachable portion 200: sealing member
202: 관통부 220: 가이드 202: through part 220: guide
226,228: 실링부재 받침부 230: 상부 롤러226, 228: sealing member receiving portion 230: upper roller
232: 하부 롤러232: lower roller
Claims (9)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02330A KR101362318B1 (en) | 2008-01-08 | 2008-01-08 | Air conditioner |
CN2008100983873A CN101482301B (en) | 2008-01-08 | 2008-05-30 | Air conditio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02330A KR101362318B1 (en) | 2008-01-08 | 2008-01-08 | Air condition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76404A KR20090076404A (en) | 2009-07-13 |
KR101362318B1 true KR101362318B1 (en) | 2014-02-12 |
Family
ID=40879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02330A KR101362318B1 (en) | 2008-01-08 | 2008-01-08 | Air conditioner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362318B1 (en) |
CN (1) | CN101482301B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425580B2 (en) * | 2015-02-24 | 2018-11-21 | シャープ株式会社 | Air cleaner |
CN113606725A (en) * | 2021-08-11 | 2021-11-05 | 广州菲思中西医医院有限公司 | Stable form surgical equipment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83185A (en) * | 2002-04-19 | 2003-10-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 duct type air conditioner |
JP2006284044A (en) * | 2005-03-31 | 2006-10-19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Filter device for air conditioner |
JP2007101117A (en) * | 2005-10-06 | 2007-04-19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Filter cleaning device |
JP2007247960A (en) * | 2006-03-15 | 2007-09-27 | Mitsubishi Electric Corp | Air adjustment machine |
-
2008
- 2008-01-08 KR KR1020080002330A patent/KR101362318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08-05-30 CN CN2008100983873A patent/CN101482301B/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83185A (en) * | 2002-04-19 | 2003-10-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 duct type air conditioner |
JP2006284044A (en) * | 2005-03-31 | 2006-10-19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Filter device for air conditioner |
JP2007101117A (en) * | 2005-10-06 | 2007-04-19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Filter cleaning device |
JP2007247960A (en) * | 2006-03-15 | 2007-09-27 | Mitsubishi Electric Corp | Air adjustment machin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1482301A (en) | 2009-07-15 |
KR20090076404A (en) | 2009-07-13 |
CN101482301B (en) | 2011-06-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40528B1 (en) |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 |
KR20090022093A (en) | Air conditioner | |
KR101362318B1 (en) | Air conditioner | |
KR20080014473A (en) | Air conditioner | |
KR100867953B1 (en) | Air-conditioner | |
KR100873399B1 (en) | Air conditioner | |
KR20090022098A (en) | Air conditioner | |
KR101280375B1 (en) | Air conditioner | |
KR101336717B1 (en) | Air conditioner | |
KR101450562B1 (en) | Air conditioner | |
KR100907717B1 (en) | Air conditioner | |
KR100858500B1 (en) | Air conditioner | |
KR101362317B1 (en) | Air conditioner | |
KR20090022103A (en) | Air conditioner | |
KR101323326B1 (en) | Air conditioner | |
KR20090044786A (en) | Air conditioner | |
KR101305322B1 (en) | Air conditioner | |
KR101305326B1 (en) | Air conditioner | |
KR101306127B1 (en) | Air conditioner | |
KR20100086831A (en) | Air conditioner | |
KR101554657B1 (en) | air conditioner | |
KR20090022106A (en) | Air conditioner | |
KR100811140B1 (en) | Indoor unit of air-conditioner | |
KR101450561B1 (en) | Air conditioner | |
JP2012042181A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