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1820B1 - 전자식 엔진을 장착한 농작업 차량의 엔진 회전수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식 엔진을 장착한 농작업 차량의 엔진 회전수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61820B1 KR101361820B1 KR1020110002688A KR20110002688A KR101361820B1 KR 101361820 B1 KR101361820 B1 KR 101361820B1 KR 1020110002688 A KR1020110002688 A KR 1020110002688A KR 20110002688 A KR20110002688 A KR 20110002688A KR 101361820 B1 KR101361820 B1 KR 10136182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ngine
- switch
- cruise mode
- engine speed
- spee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0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971 till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9/00—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 F02D29/02—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peculiar to engines driving vehicles; peculiar to engines driving variable pitch propell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4—Adaptive cruise contro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1/0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 F02D11/02—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hand, foot, or like operator controlled initiation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9/00—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31/00—Use of speed-sensing governors to control combustion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D31/001—Electric control of rotation spe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205—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using an auxiliary engine speed contro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5/00—Electrical control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D41/00 - F02D43/00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0—Accelerator pedal posi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06—Combustion engines, Gas turbines
- B60W2710/0644—Engine spe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1/0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 F02D11/06—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 F02D11/1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of the electric type
- F02D11/105—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of the electric type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converting demand to actuation, e.g. a map indicating relations between an accelerator pedal position and throttle valve opening or target engine torqu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6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said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driver demands or status
- F02D2200/604—Engine control mode selected by driver, e.g. to manually start particle filter regeneration or to select driving sty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Controls For Constant Speed Travelling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Abstract
전자식 엔진을 장착한 농작업 차량의 엔진 회전수 제어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수 제어시스템은, 풋 악셀 페달의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풋 악셀 페달 센서; 핸드 악셀 레버의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핸드 악셀 레버 센서; 엔진 회전수를 정속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동작명령이 입력되는 ECC(Engine cruise control) 온/오프 스위치; 및 ECC 온/오프 스위치의 동작신호에 의해 지정된 회전수로 엔진 회전수를 제어하는 제어부(ECU);를 포함하며, 실행조건이 만족된 경우 상기 ECC 온/오프 스위치의 동작신호에 따라 엔진의 회전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크루즈 모드가 실행되고, 크루즈 모드가 실행되면, 상기 제어부(ECU)는 상기 풋 악셀 페달 및 핸드 악셀 레버에 의해 설정된 엔진 회전수 중 큰 값을 선택하여 그 설정된 회전수로 엔진 회전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도록 시스템을 구성한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엔진 회전수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전자식 엔진을 장착한 농작업 차량의 엔진 회전수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농작업 차량은 구조적으로 일반 자동차와 같으나 강력한 엔진을 장치하고 있어 견인력이 좋고 튼튼하여 경작용으로 주로 이용되며, 경작의 용도로 활용을 위해 그 후방에는 복토 내지는 땅을 고르는 정지작업에 적합한 구성의 작업기(로터리 장치)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농작업 차량에서 작업기 구동을 위한 회전력은 농작업 차량 메인 엔진으로부터 발생되며, 엔진에서 발생한 회전력은 트랜스미션 케이스(미도시)를 거쳐 농작업 차량 후방으로부터 돌출되는 동력 취출축(PTO)을 통해 작업기로 전달된다. 즉, 종래 농작업 차량에 장치되는 작업기는 엔진 회전속도와 밀접하게 관련된다.
그러나 종래 기계식 엔진을 장착한 농작업 차량의 경우, 작업기를 구동시킨 상태로 농작업 차량을 이용해 복토 또는 정지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노면 환경(경사면, 진흙)에 따라 작업도중 엔진에 상당한 부하가 걸렸을 때 그 부하 량에 비례하여 엔진 회전수(rpm)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처럼 엔진 회전수가 떨어지면, 이에 비례하여 작업기의 구동 회전수 역시 감속됨으로써, 작업 능률이 떨어지게 되고, 복토 또는 정지 작업 시 같은 작업을 하더라도 작업 대상면 전반에 걸쳐 고른 작업품질을 기대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는, 노면 환경(경사면, 진흙)에 따라 작업도중 엔진에 부하가 걸리더라도, 엔진 부하에 상관 없이 엔진 회전수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전자식 엔진을 장착한 농작업 차량의 엔진 회전수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 해결을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풋 악셀 페달의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풋 악셀 페달 센서; 핸드 악셀 레버의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핸드 악셀 레버 센서; 엔진 회전수를 정속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동작명령이 입력되는 ECC(Engine cruise control) 온/오프 스위치; 및 ECC 온/오프 스위치의 동작신호에 의해 지정된 회전수로 엔진 회전수를 제어하는 제어부(ECU);를 포함하며, 실행조건이 만족된 경우 상기 ECC 온/오프 스위치의 동작신호에 따라 엔진의 회전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크루즈 모드가 실행되고, 크루즈 모드가 실행되면, 상기 제어부(ECU)는 상기 풋 악셀 페달 및 핸드 악셀 레버에 의해 설정된 엔진 회전수 중 큰 값을 선택하여 그 설정된 회전수로 엔진 회전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엔진을 장착한 농작업 차량의 엔진 회전수 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크루즈 모드 전환을 위한 실행조건은, 상기 ECC(Engine cruise control) 온/오프 스위치가 온(ON) 상태이고,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 및 클러치 페달 스위치가 오프(OFF)이며, 지정된 회전수 범위 내에서 엔진이 회전하고 있는 경우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정된 회전수는, 1500≤회전수≤2600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실행조건이 만족되어 크루즈 모드가 실행중인 경우, 엔진 회전수를 증감시키는 조작을 위한 증감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ECC(Engine cruise control) 온/오프 스위치가 온(ON)인 경우, 스위치 온(ON) 상태를 나타내는 램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크루즈 모드가 실행중인 경우, 크루즈 모드 해제 조건이 만족되면, 실행중인 크루즈 모드가 해제되어 상기 엔진 회전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제어가 중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크루즈 모드 해제 조건은, ECC(Engine cruise control) 온/오프 스위치를 오프(OFF)시켜 해제하는 노멀스탑조건과; 브레이크 페달 또는 클러치 페달이 작동되어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 또는 클러치 페달 스위치가 온(ON) 상태가 되거나, 엔진 회전수가 지정된 회전수 범위를 벗어난 경우를 포함하는 오토스탑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 해결을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사용자 입력에 의해 ECC 온/오프 스위치를 온(ON)으로 설정하는 입력단계; ECC 온/오프 스위치를 온(ON)으로 설정되면 제어부(ECU)가 크루즈 모드 실행조건에 부합하는지를 판단하고, 부합하는 경우, 엔진의 회전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크루즈 모드로 전환하는 모드 전환단계; 크루즈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는 크루즈 모드로 전환되기 전 설정되어 있던 풋 악셀 페달과 핸드 악셀 레버의 엔진 설정 회전수를 비교하고, 그 중 큰 값을 선택하여 그 설정된 회전수로 엔진 회전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크루즈 모드 실행단계; 및 크루즈 모드 실행 중 크루즈 모드 해제조건에 부합되는 환경이 발생할 경우, 상기 제어부에 의해 크루즈 모드가 해제되는 크루즈 모드 해제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식 엔진을 장착한 농작업 차량의 엔진 회전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크루즈 모드 실행 중 증감 스위치 조작을 통해 엔진 회전수를 증감시키는 엔진 회전수 설정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노면 환경(경사면, 진흙)에 따라 작업도중 엔진에 부하가 걸리더라도, 엔진 부하에 상관 없이 최대 허용 토크 범위 내에서 두 악셀 페달의 주 신호들 중에서 큰 값에 의해 설정된 회전수로 엔진 회전수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운전 중 엔진 RPM이 떨어져 작업 능률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부하조건에서 작업을 진행하더라도 농작업 차량에 부착되는 작업기 예컨대, 로터리 장치는 일정한 회전수를 꾸준하게 유지할 수 있어서, 경사진 작업 대상면인 경우에도 복토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전반적으로 일정한 작업품질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크루즈 모드에서 작업중인 경우에도, 증감 스위치를 통해 엔진 회전수를 그 작업환경에 알맞게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작업환경에 적합한 일정 회전수로 작업기를 구동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작업의 효율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 차량 엔진 회전수 제어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시스템 블록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난 시스템에 의해 구현되는 엔진 회전수 제어과정을 단계별로 개략 도시한 제어 순서 관련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 의해 구현되는 엔진 회전수 제어를 위한 플로우 챠트.
도 2는 도 1에 나타난 시스템에 의해 구현되는 엔진 회전수 제어과정을 단계별로 개략 도시한 제어 순서 관련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 의해 구현되는 엔진 회전수 제어를 위한 플로우 챠트.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 차량 엔진 회전수 제어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시스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은, 엔진(90) 회전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크루즈 모드로의 전환을 위한 ECC(Engine cruise control) 온/오프 스위치(30) 및 ECC(Engine cruise control) 온/오프 스위치(30)에 의한 동작신호에 의해 지정된 회전수로 엔진(90) 회전수를 제어하는 제어부(40)(ECU, 40)를 포함한다.
상기 ECC(Engine cruise control) 온/오프 스위치(30)를 통해서는 엔진(90) 회전수를 정속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실행명령이 입력되며, 상기 제어부 (ECU, 40)는 ECC(Engine cruise control) 온/오프 스위치(30)에 의해 크루즈 모드 실행명령이 입력된 경우 해당 실행조건에 만족하는 지를 판단하여 엔진(90) 회전수를 지정된 회전수로 유지시키는 명령신호를 출력한다.
엔진(90)이 출력하는 회전 동력은, 그 회전동력을 단속하는 클러치(미도시) 및 프레임 겸용의 트랜스미션 케이스에 내장한 변속 장치(미도시) 등을 통해 좌우 한 쌍의 전륜과 후륜으로 전달되며, 동시에 트랜스미션 케이스(미도시)의 후방으로부터 돌출되는 동력 취출축을 통해 작업기(100)로 전달된다.
엔진(90)에는 연료의 분사량이나 분사 타이밍을 전자 제어하는 커먼 레일식의 연료 분사 장치(80)가 장치되어 있으며, 이 연료 분사 장치(80)는 연료 분사 제어 장치(42)의 회전수 제어신호에 따라 그 작동이 제어된다. 즉, 연료 분사 제어 장치(42)의 제어명령에 따른 연료 분사 장치(80) 제어로서 엔진(90) 회전수를 지정된 값으로 제어할 수 있다.
연료 분사 제어 장치(42)는, 풋 악셀 페달(10) 또는 핸드 악셀 레버(20) 조작 시 그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풋 악셀 페달 센서(12) 또는 핸드 악셀 레버 센서(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따라서 풋 악셀 페달 센서(12) 또는 핸드 악셀 레버 센서(22)로부터 입력되는 페달 조작 위치 검출 값을 토대로 연료 분사 제어를 위한 신호를 산출하고 출력한다.
위와 같은 구성에서, 사용자 설정에 의해 상기 ECC 온/오프 스위치(30)가 온(ON) 설정되면, 이 동작신호에 의해 제어부(ECU, 40)는 지정된 회전수로 엔진(90) 회전수 제어를 위한 명령신호를 출력하며, 제어부(ECU, 40)로부터 출력된 회전수 제어관련 명령신호는 연료 분사 제어 장치(42)를 통해 연료 분사 장치(80)로 전달된다.
구체적으로, ECC 온/오프 스위치(30)를 통해 엔진(90) 회전수를 정속으로 유지시키는 크루즈 모드로의 전환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40)는 크루즈 모드 실행조건에 부합되는 가를 먼저 판단하고, 그 판단에 따라 실행조건이 만족된 경우에 한하여, 엔진(90)의 회전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크루즈 모드가 실행되도록 한다.
크루즈 모드 전환을 위한 실행조건은, 상기 ECC(Engine cruise control) 온/오프 스위치(30)가 온(ON) 상태이고,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미도시) 및 클러치 페달 스위치(미도시)가 오프(OFF) 즉, 브레이크 페달(60) 및 클러치 페달(70)의 동작이 없는 주행상태일 경우이면서, 지정된 회전수 범위(1500≤회전수≤2600) 내에서 엔진(90)이 회전하고 있는 경우이다.
상기한 크루즈 모드 실행조건이 만족되어 크루즈 모드가 실행된 경우 상기 제어부(ECU, 40)는, 크루즈 모드 실행 전 상기 풋 악셀 페달 및 핸드 악셀 레버에 의해 설정된 엔진 회전수를 비교하고, 풋 악셀 페달 및 핸드 악셀 레버에 의해 설정된 엔진 회전수 중 큰 값을 선택하여 그 설정된 회전수로 엔진 회전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제어를 시작한다.
예를 들어, 크루즈 모드 실행 전 풋 악셀 페달(10)이 2000rpm으로 엔진(90)을 회전시키는 조작 위치에 있고, 핸드 악셀 레버(20)의 조작 위치가 2300rpm으로 엔진(90)을 회전시키도록 설정된 경우라면, 상기 제어부(40)는 핸드 악셀 레버(20)에 의해 설정된 엔진(90) 회전수 즉, 2300rpm으로 엔진(90)의 회전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제어를 시작한다.
엔진(90)이 일정한 회전수로 유지되는 크루즈 모드에서, 엔진(90)의 회전수를 그 작업환경에 알맞게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면, 그 작업환경에 적합한 일정 회전수로 작업기(100)를 구동시킬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실행조건이 만족되어 위와 같은 크루즈 모드가 실행중인 상태에서, 사용자의 인위적인 조작에 의해 엔진(90) 회전수를 증감시키는 제어가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다.
이처럼 엔진 회전수 증감 설정 기능을 포함하는 시스템을 구현함에 있어서는, 상기 연료 분사 제어 장치(4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증감 스위치(50)의 적용으로서 구현이 가능하며, 이때 상기 증감 스위치는 회전수 증감 설정을 위한 회전수 업/다운(UP/DOWN) 스위치(또는 버튼 또는 레버)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크루즈 모드에서 상기 증감 스위치(50) 조작을 통해 엔진 회전수를 인위적으로 조작함에 있어 엔진 회전수의 증속 또는 감속은, 사용자가 상기 증감 스위치(50)를 한번 조작할 때마다 예컨대, 50rpm씩 엔진(90) 회전수가 증속 또는 감속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한편, 크루즈 모드 전환을 위해 ECC(Engine cruise control) 온/오프 스위치를 온(ON)으로 설정한 경우에 있어, 운전자 또는 작업자가 상기 ECC(Engine cruise control) 온/오프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 가능하도록, 운전석 적소에는 상기 ECC(Engine cruise control) 온/오프 스위치의 접속상태를 나타내는 램프(미도시)가 설치될 수도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ECC(Engine cruise control) 온/오프 스위치를 조작 및 제어부(ECU) 판단에 의해 크루즈 모드가 실행중인 상태에서, 크루즈 모드 해제와 관련된 상황이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40)는 실행중인 크루즈 모드를 해제시키기 위한 명령신호를 출력하며, 따라서 엔진 회전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전술한 크루즈 모드가 중지될 수 있다.
크루즈 모드를 해제시키기 위한 조건으로는, 사용자가 인위적으로ECC(Engine cruise control) 온/오프 스위치(30)를 오프(OFF)시켜 해제하는 노멀스탑조건과, 농작업 차량 구동환경을 감지하는 센서신호에 근거하여 제어부(40)가 크루즈 모드를 자동 해제시키는 오토스탑조건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 중 상기 오토스탑조건으로는, 주행 또는 작업도중 브레이크 페달(60) 또는 클러치 페달(70)을 조작했을 때, 이와 관련하여 그 조작상태를 감지하는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 또는 클러치 페달 스위치가 온(ON) 상태가 되는 경우 및 엔진(90) 회전수가 전술한 지정 회전수 범위를 벗어난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은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엔진 회전수 제어시스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엔진 회전수 제어과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난 시스템에 의해 구현되는 엔진 회전수 제어과정을 단계별로 개략 도시한 제어 순서 관련 블록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 의해 구현되는 엔진 회전수 제어를 위한 플로우 챠트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제어방법은, ECC 온/오프 스위치를 온(ON)으로 설정하는 입력단계(S100), 크루즈 모드 전환단계(S200), 크루즈 모드 실행단계(S300) 및 크루즈 모드 해제 단계(S500)로 이루어지며, 상기 크루즈 모드 실행단계(S300)는 엔진 회전수를 증감시키는 엔진 회전수 설정단계(S400)를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엔진 회전수 제어과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입력에 의해 ECC 온/오프 스위치를 조작하여 ECC 온/오프 스위치가 온(ON)으로 설정되면, 제어부(ECU)는 먼저 차량 상태가 크루즈 모드 실행조건에 부합하는지를 판단한다. 이 과정에서 크루즈 모드 실행조건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그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ECC 온/오프 스위치가 온(ON) 상태에 있고 크루즈 모드 실행조건이 만족되면, 크루즈 모드 실행과 관련된 램프의 점등이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엔진의 회전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크루즈 모드로 전환이 이루어진다,
위와 같은 과정을 거쳐 크루즈 모드로 전환이 이루어지면, 상기 제어부는 크루즈 모드로 전환되기 전 풋 악셀 페달과 핸드 악셀 레버 위치에 따른 엔진 설정 회전수를 비교하고, 그 중 큰 값을 선택하여 그 설정된 회전수로 엔진 회전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크루즈 모드를 실행하게 된다.
크루즈 모드가 실행된 상태에서는 풋 악셀 페달 또는 핸드 악셀 레버의 위치 변화는 무시되며, 따라서 노면 환경(경사면, 진흙)에 따라 작업도중 엔진에 부하가 걸리더라도, 엔진 부하에 상관 없이 엔진 회전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제어가 실행된다.
또한, 크루즈 모드가 실행중인 상태에서 증감 스위치 조작을 통해 엔진 회전수 설정 변경과 관련한 신호가 입력되면, 그 증감 스위치 조작에 상응하여 엔진 회전수를 원하는 조건으로 증감시킬 수 있다.
한편, 크루즈 모드 실행 중 ECC 온/오프 스위치가 오프로 설정되거나, 브레이크 또는 클러치가 동작하는 경우 및 엔진 회전수가 지정된 회전수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제어부를 통해 크루즈 모드 해제와 관련한 명령신호가 출력됨으로써 상기한 크루즈 모드가 해제되며, 따라서 크루즈 모드 도입 전 일반 제어모드로 복귀된다.
일반 제어모드에서는 종래와 같이, 풋 악셀 페달 또는 핸드 악셀 레버의 위치변위로서 엔진 스피드 즉, 회전수를 제어할 수 있으며, 크루즈 모드 실행도중 사용자 조작 또는 다른 요인으로 인해 엔진이 꺼지면, 크루즈 모드는 자동 중지되고, 엔진이 다시 구동되더라도 사용자에 의한 ECC 온/오프 스위치의 입력이 없으면 크루즈 모드는 자동으로 실행되지 않는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노면 환경(경사면, 진흙)에 따라 작업도중 엔진에 부하가 걸리더라도, 엔진 부하에 상관 없이 최대 허용 토크 범위 내에서 두 악셀 페달의 주 신호들 중에서 큰 값에 의해 설정된 회전수로 엔진 회전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제어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하운전 중 엔진 RPM이 떨어져 작업 능률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부하조건에서 작업을 진행하더라도 농작업 차량에 부착되는 작업기 예컨대, 로터리 장치는 일정한 회전수를 꾸준하게 유지할 수 있어서, 경사진 작업 대상면인 경우에도 복토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전반적으로 일정한 작업품질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크루즈 모드에서 작업중인 경우에도, 증감 스위치를 통해 엔진 회전수를 그 작업환경에 알맞게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작업환경에 적합한 일정 회전수로 작업기를 구동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작업의 효율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풋 악셀 페달
12 : 풋 악셀 페달 센서
20 : 핸드 악셀 레버
22 : 핸드 악셀 레버 센서
30 : ECC 온/오프 스위치(Engine cruise control on/off switch)
40 : 제어부(ECU)
80 : 연료 분사 장치
90 : 엔진
100 : 작업기
12 : 풋 악셀 페달 센서
20 : 핸드 악셀 레버
22 : 핸드 악셀 레버 센서
30 : ECC 온/오프 스위치(Engine cruise control on/off switch)
40 : 제어부(ECU)
80 : 연료 분사 장치
90 : 엔진
100 : 작업기
Claims (9)
- 풋 악셀 페달의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풋 악셀 페달 센서;
핸드 악셀 레버의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핸드 악셀 레버 센서;
엔진 회전수를 정속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동작명령이 입력되는 ECC(Engine cruise control) 온/오프 스위치; 및
ECC 온/오프 스위치의 동작신호에 의해 지정된 회전수로 엔진 회전수를 제어하는 제어부(ECU);를 포함하며,
실행조건이 만족된 경우 상기 ECC 온/오프 스위치의 동작신호에 따라 엔진의 회전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크루즈 모드가 실행되고,
크루즈 모드가 실행되면, 상기 제어부(ECU)는 상기 풋 악셀 페달 및 핸드 악셀 레버에 의해 설정된 엔진 회전수 중 큰 값을 선택하여 그 설정된 회전수로 엔진 회전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엔진을 장착한 농작업 차량의 엔진 회전수 제어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크루즈 모드 전환을 위한 실행조건은,
상기 ECC(Engine cruise control) 온/오프 스위치가 온(ON) 상태이고,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 및 클러치 페달 스위치가 오프(OFF)이며,
지정된 회전수 범위 내에서 엔진이 회전하고 있는 경우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엔진을 장착한 농작업 차량의 엔진 회전수 제어시스템.
- 제 2 항에 있어서,
지정된 회전수는,
1500≤회전수≤26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엔진을 장착한 농작업 차량의 엔진 회전수 제어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실행조건이 만족되어 크루즈 모드가 실행중인 경우,
엔진 회전수를 증감시키는 조작을 위한 증감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엔진을 장착한 농작업 차량의 엔진 회전수 제어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ECC(Engine cruise control) 온/오프 스위치가 온(ON)인 경우, 스위치 온(ON) 상태를 나타내는 램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엔진을 장착한 농작업 차량의 엔진 회전수 제어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크루즈 모드가 실행중인 경우,
크루즈 모드 해제 조건이 만족되면, 실행중인 크루즈 모드가 해제되어 상기 엔진 회전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제어가 중지되고 노멀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엔진을 장착한 농작업 차량의 엔진 회전수 제어시스템.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크루즈 모드 해제 조건은,
ECC(Engine cruise control) 온/오프를 스위치 오프(OFF)시켜 해제하는 노멀스탑조건과;
브레이크 페달 또는 클러치 페달이 작동되어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 또는 클러치 페달 스위치가 온(ON) 상태가 되거나, 엔진 회전수가 지정된 회전수 범위를 벗어난 경우를 포함하는 오토스탑조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엔진을 장착한 농작업 차량의 엔진 회전수 제어시스템.
- 사용자 입력에 의해 ECC 온/오프 스위치를 온(ON)으로 설정하는 입력단계;
ECC 온/오프 스위치가 온(ON)으로 설정되면 제어부(ECU)가 크루즈 모드 실행조건에 부합하는지를 판단하고, 부합하는 경우, 엔진의 회전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크루즈 모드로 전환하는 모드 전환단계;
크루즈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는 크루즈 모드로 전환되기 전 설정되어 있던 풋 악셀 페달과 핸드 악셀 레버의 엔진 설정 회전수를 비교하고, 그 중 큰 값을 선택하여 그 설정된 회전수로 엔진 회전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크루즈 모드 실행단계; 및
크루즈 모드 실행 중 크루즈 모드 해제조건에 부합되는 환경이 발생할 경우, 상기 제어부에 의해 크루즈 모드가 해제되는 크루즈 모드 해제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식 엔진을 장착한 농작업 차량의 엔진 회전수 제어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크루즈 모드 실행 중 증감 스위치 조작을 통해 엔진 회전수를 증감시키는 엔진 회전수 설정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식 엔진을 장착한 농작업 차량의 엔진 회전수 제어방법.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02688A KR101361820B1 (ko) | 2011-01-11 | 2011-01-11 | 전자식 엔진을 장착한 농작업 차량의 엔진 회전수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
EP12734503.1A EP2664770A4 (en) | 2011-01-11 | 2012-01-11 | SYSTEM FOR CONTROLLING THE NUMBER OF ROTATIONS FOR AN AGRICULTURAL WORKS VEHICLE MOTOR HAVING AN ELECTRONIC ENGINE ATTACHED THERE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PCT/KR2012/000276 WO2012096514A2 (ko) | 2011-01-11 | 2012-01-11 | 전자식 엔진을 장착한 농작업 차량의 엔진 회전수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
US13/979,013 US20130325292A1 (en) | 2011-01-11 | 2012-01-11 | System for controlling number of revolution for engine of farm work vehicle having electronic engine attached there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02688A KR101361820B1 (ko) | 2011-01-11 | 2011-01-11 | 전자식 엔진을 장착한 농작업 차량의 엔진 회전수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81375A KR20120081375A (ko) | 2012-07-19 |
KR101361820B1 true KR101361820B1 (ko) | 2014-02-24 |
Family
ID=46507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02688A KR101361820B1 (ko) | 2011-01-11 | 2011-01-11 | 전자식 엔진을 장착한 농작업 차량의 엔진 회전수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20130325292A1 (ko) |
EP (1) | EP2664770A4 (ko) |
KR (1) | KR101361820B1 (ko) |
WO (1) | WO2012096514A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95210A (ko) * | 2013-01-24 | 2014-08-01 | 대동공업주식회사 | 농작업 차량의 엔진 회전수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
DE102013112184A1 (de) * | 2013-11-06 | 2015-05-07 | Horsch Leeb Application Systems Gmbh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r Fahrgeschwindigkeit einer landwirtschaftlichen Maschine |
WO2015147230A1 (ja) * | 2014-03-27 | 2015-10-01 | ヤンマー株式会社 | 作業車両 |
ITUB20155459A1 (it) * | 2015-11-11 | 2017-05-11 | Fpt Ind Spa | Metodo di controllo di erogazione di una coppia motrice di un motore di un trattore agricolo |
US10570832B2 (en) * | 2017-08-16 | 2020-02-25 | Paccar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torque in a vehicl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09238A (ko) * | 1999-07-08 | 2001-02-05 | 정몽규 | 자동차의 정속 엔진 회전수 제어 시스템 |
KR100858470B1 (ko) | 2006-01-26 | 2008-09-16 |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엔진 구동식 작업 기계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07612A (ja) * | 1996-02-09 | 1997-08-12 | Jidosha Denki Kogyo Co Ltd | 自動定速走行装置 |
KR100328216B1 (ko) * | 1997-12-02 | 2002-06-24 |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 엔진회전수제어장치 |
US7472684B1 (en) * | 2007-11-14 | 2009-01-06 | Cnh America Llc | High low engine speed cruise control |
US8353271B2 (en) * | 2008-05-29 | 2013-01-15 | Kubota Corporation | Engine speed control system for work vehicle |
ITBO20080597A1 (it) * | 2008-09-30 | 2010-04-01 | Cnh Italia Spa | Controllo di una trasmissione variabile continua |
KR20100084848A (ko) * | 2009-01-19 | 2010-07-28 |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 굴삭기의 엔진회전수 제어시스템 |
KR20120081377A (ko) * | 2011-01-11 | 2012-07-19 | 대동공업주식회사 | 작업차량 엔진 회전수 제어를 위한 페달의 선택적 사용시스템 |
-
2011
- 2011-01-11 KR KR1020110002688A patent/KR10136182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2
- 2012-01-11 WO PCT/KR2012/000276 patent/WO2012096514A2/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2-01-11 US US13/979,013 patent/US20130325292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2-01-11 EP EP12734503.1A patent/EP2664770A4/en not_active Withdraw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09238A (ko) * | 1999-07-08 | 2001-02-05 | 정몽규 | 자동차의 정속 엔진 회전수 제어 시스템 |
KR100858470B1 (ko) | 2006-01-26 | 2008-09-16 |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엔진 구동식 작업 기계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664770A2 (en) | 2013-11-20 |
US20130325292A1 (en) | 2013-12-05 |
EP2664770A4 (en) | 2015-07-29 |
WO2012096514A3 (ko) | 2012-10-18 |
WO2012096514A2 (ko) | 2012-07-19 |
KR20120081375A (ko) | 2012-07-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085528B2 (en) | Electronic control of a transmission | |
US9199644B2 (en) | Speed ratio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working vehicle | |
EP2807067B1 (en) | Adaptive control of motor vehicle powertrain | |
CN107002834B (zh) | 变速器的电子换挡 | |
KR101361820B1 (ko) | 전자식 엔진을 장착한 농작업 차량의 엔진 회전수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 |
US9037358B2 (en) | Wheel loader | |
KR20120081377A (ko) | 작업차량 엔진 회전수 제어를 위한 페달의 선택적 사용시스템 | |
JP4029006B2 (ja) | 作業車両 | |
JP5840297B2 (ja) | 駆動系制御システム | |
CA3003485C (en) | Electronic control of a transmission | |
KR20120081376A (ko) | 전자식 엔진을 장착한 작업차량의 엔진 정지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 |
KR20140095210A (ko) | 농작업 차량의 엔진 회전수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 |
US10208855B2 (en) | Method for starting a mobile vehicle | |
JP5261422B2 (ja) | 走行駆動制御システム | |
JP2020076358A (ja) | 作業車両 | |
JP2020076359A (ja) | 作業車両 | |
SE532944C2 (sv) | Metod och datorprogram för förbättrande av ett motorfordons körbarhet | |
JP2008057390A5 (ko) | ||
JP2004301131A (ja) | 制動操作連動式エンジン制御機構 | |
JP2010184612A (ja) | 作業車両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0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