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61194B1 - 커서 이동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 - Google Patents

커서 이동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1194B1
KR101361194B1 KR1020120005075A KR20120005075A KR101361194B1 KR 101361194 B1 KR101361194 B1 KR 101361194B1 KR 1020120005075 A KR1020120005075 A KR 1020120005075A KR 20120005075 A KR20120005075 A KR 20120005075A KR 101361194 B1 KR101361194 B1 KR 101361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cursor
cursor movement
inpu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5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4364A (ko
Inventor
원호성
Original Assignee
원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호성 filed Critical 원호성
Priority to KR1020120005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1194B1/ko
Publication of KR20130084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4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1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1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센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이 제공된다. 센서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휴대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문자를 입력 받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입력 받은 문자를 커서 위치에 추가하는 문자 입력 모드 및 상기 커서의 위치를 변경하는 커서 이동 모드 간에 동작 모드를 변환하는 모드 변환부, 커서 이동 모드에서 상기 휴대 단말의 위치 변화 데이터를 취득하는 센싱부, 상기 위치 변화 데이터를 기초로 기울기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기울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커서의 이동 방향을 지시하는 커서 이동 신호를 생성하는 센싱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커서 이동 신호에 따라 상기 커서를 이동시키는 커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부는 자이로 센서 또는 중력 센서 중 하나이다.

Description

커서 이동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Cursor Mov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키보드가 없는 휴대 단말에서 문자 입력 시에 커서를 이동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및 무선통신 기술이 점차적으로 발달함에 따라, 휴대 단말은 기본적인 전화통화 기능 외에도 카메라, MP3, 인터넷, 게임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적인 기능을 구비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휴대 단말의 사용이 더욱 활성화되었다. 그리고, 최근에는 이와 같은 기능들이 더욱 강화된 스마트폰이 보급되기 시작하였으며, 이에 발맞추어 스마트폰에서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들도 개발되고 있다.
휴대 단말의 경우에는 단말 자체에 키보드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경우가 일반적이며, 화면 상에 가상 키보드를 표시하여 사용자의 키 입력을 받는 방법을 사용한다.
하지만, 이러한 휴대 단말은 그 크기가 작아서 디스플레이 화면 또한 데스크탑 PC 또는 노트북에 비해 상당히 작으며, 따라서 화면에 표시되는 가상 키보드의 키들의 크기가 비교적 작기 때문에 사용자가 화면상에 표시된 가상 키보드를 손가락으로 터치하는 과정에서 오타가 자주 발생하게 된다.
가상 키보드를 통한 문자 입력 과정에서 오타가 발생하게 되면, 오타가 발생한 위치로 커서를 이동한 후에 오타를 올바르게 수정할 필요가 있다. 이때, 커서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방법은 OS 별로 상이하다.
예를 들어, Apple사의 모바일용 OS인 iOS의 경우에는 문자 입력창에서 수정할 위치를 일정 시간 누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위치에 커서가 생성됨과 동시에 돋보기 모양의 확대창(10)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현재 커서의 위치를 확대창(10)을 통해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커서를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손가락으로 커서를 드래그하여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방식은 손가락을 이용하여 커서를 이동시켜야 하므로, 손가락에 의해 아래 문자열이 가려지게 되어 편집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문자열의 상위에 표시되는 확대창(10)에 의해 주변의 문자열의 일부가 가려져서 편집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구글사의 모바일용 OS인 안드로이드의 경우에는 문자 입력창에서 수정할 위치를 터치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위치의 하단에 마크(20)가 표시되어 커서의 현재 위치를 사용자가 알 수 있게 한다. 사용자는 커서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표시된 마크(20)를 손가락으로 드래그하여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방식은 손가락을 이용하여 커서 마크(20)를 이동시켜야 하며, 이 경우, 커서 마크(20)의 크기가 손가락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아서 정확한 커서 이동이 어렵고 손가락에 의해 문자열의 일부가 가려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화면이 상대적으로 작은 휴대 단말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에서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면서도 커서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는 커서 이동 방식의 제공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2006-0054825호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정보 입력 커서 이동 방법"이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6-0054825호의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정보 입력 커서 이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메뉴에서 항목에 정보 입력 커서를 위치시키고, 키눌림에 대응한 입력 데이터를 항목에 입력 저장하는 단계와; 항목에 데이터가 입력될 때 각각의 데이터에 대한 키눌림 시간을 계산하고 소정 시간 이상인지를 판단하여 소정 시간 이상이면 항목에 대한 데이터 입력의 마침을 확인하는 단계와; 항목에 대한 데이터 입력의 마침을 확인하고 데이터 입력이 필요한 다음 항목이 있는지를 판단하고 존재하면 정보 입력 커서를 다음 항목으로 이동시켜 선택된 항목에 대해 키눌림에 따른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6-0054825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정보 입력 커서 이동 방법"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휴대 단말에서 문자 입력을 하는 도중에 커서를 원하는 위치로 간단하면서도 정확하게 옮길 수 있는 문자 입력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휴대 단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에서 표시되는 문서의 특정 위치로 커서를 간단하면서도 정확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커서 이동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휴대 단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센서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휴대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문자를 입력 받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입력 받은 문자를 커서 위치에 추가하는 문자 입력 모드 및 상기 커서의 위치를 변경하는 커서 이동 모드 간에 동작 모드를 변환하는 모드 변환부, 커서 이동 모드에서 상기 휴대 단말의 위치 변화 데이터를 취득하는 센싱부, 상기 위치 변화 데이터를 기초로 기울기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기울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커서의 이동 방향을 지시하는 커서 이동 신호를 생성하는 센싱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커서 이동 신호에 따라 상기 커서를 이동시키는 커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부는 자이로 센서 또는 중력 센서 중 하나이다.
여기서, 상기 모드 변환부는 사용자로부터의 모드 변환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문자 입력 모드를 상기 커서 이동 모드로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드 변환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의 특정 키의 입력이 감지된 경우 또는 화면 상에 표시된 문자열의 임의의 위치에서 터치 입력이 감지된 경우에 상기 문자 입력 모드를 상기 커서 이동 모드로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드 변환부는, 상기 커서 이동 모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의 특정 키의 입력이 감지된 경우 또는 사용자로부터의 문자 입력이 감지된 경우에 상기 커서 이동 모드를 상기 문자 입력 모드로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특정 키는 화면 상에 표시되는 가상 키보드 또는 상기 휴대 단말의 외부 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드 변환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의 특정 키의 입력이 지속되는 동안 상기 동작 모드를 상기 커서 이동 모드로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싱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센싱부의 위치 변화 데이터를 기초로 기울기 방향 정보, 기울기 각도 정보 및 기울어지는 속도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싱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기울기 각도 정보를 기초로 상기 휴대 단말이 기준 각도 이상 기울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커서 이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싱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휴대 단말의 기울어지는 속도 정보가 기준 속도 이상인 경우에 커서 이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센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문자를 커서 위치에 추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모드 변환 명령이 감지되면 문자 입력 모드를 커서 이동 모드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커서 이동 모드에서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 단말의 위치 변화 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위치 변화 데이터를 기초로 기울기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기울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커서의 이동 방향을 지시하는 커서 이동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커서 이동 신호에 따라 상기 커서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는 자이로 센서 또는 중력 센서 중 하나이다.
여기서, 상기 커서 이동 모드로 변환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커서 이동 모드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특정 키 이외의 문자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커서 이동 모드를 상기 문자 입력 모드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서 이동 모드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의 특정 키의 입력이 감지된 경우 또는 화면 상에 표시된 문자열의 임의의 위치에서 터치 입력이 감지된 경우에 상기 문자 입력 모드를 상기 커서 이동 모드로 변환하는 단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서 이동 모드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커서 이동 모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의 특정 키의 입력이 감지된 경우 또는 사용자로부터의 문자 입력이 감지된 경우에 상기 커서 이동 모드를 상기 문자 입력 모드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울기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센서의 위치 변화 데이터를 기초로 기울기 방향 정보, 기울기 각도 정보 및 기울어지는 속도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생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서 이동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울기 각도 정보를 기초로 상기 휴대 단말이 기준 각도 이상 기울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커서 이동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서 이동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 단말의 기울어지는 속도 정보가 기준 속도 이상인 경우에 상기 커서 이동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센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문자를 커서 위치에 추가하는 단계, 모드 변환 버튼의 입력이 감지되면 문자 입력 모드를 커서 이동 모드로 변환하고, 상기 모드 변환 버튼의 입력이 지속되는 동안 상기 커서 이동 모드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커서 이동 모드 상태에서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 단말의 위치 변화 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위치 변화 데이터를 기초로 기울기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기울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커서의 이동 방향을 지시하는 커서 이동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커서 이동 신호에 따라 상기 커서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는 자이로 센서 또는 중력 센서 중 하나이다.
여기서, 상기 기울기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센서의 위치 변화 데이터를 기초로 기울기 방향 정보, 기울기 각도 정보 및 기울어지는 속도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생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서 이동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울기 각도 정보를 기초로 상기 휴대 단말이 기준 각도 이상 기울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커서 이동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서 이동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 단말의 기울어지는 속도 정보가 기준 속도 이상인 경우에 상기 커서 이동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된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하나에 의하면, 휴대 단말에서 문자 입력을 하는 도중에 커서를 원하는 위치로 간단하면서도 정확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하나에 의하면, 휴대 단말 상에서 문서의 특정 위치로 커서를 간단하면서도 정확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휴대 단말에서의 커서 이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휴대 단말에서의 커서 이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서 커서를 이동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요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휴대 단말은,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서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커서를 이동시키는 문자 입력 방식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 단말은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에 가상 키보드 또는 휴대 단말의 외부에 구비된 입력 버튼 등의 사용자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한다. 이때, 이전에 입력한 문자열의 일부를 수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현재 입력중인 문자열의 마지막에 위치하는 커서를 수정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휴대 단말은 문자 입력 과정을 문자 입력 모드와 커서 이동 모드의 두 가지 모드로 구분하여 처리한다. 문자 입력 모드는 현재 커서가 있는 위치에 입력되는 문자열을 추가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또한, 커서 입력 모드는 커서의 위치를 이동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실제 문자 입력 과정에서 문자 입력 모드와 커서 이동 모드는 상호 전환 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모드 변환 버튼(192)을 입력하여 문자 입력 모드에서 커서 이동 모드로 변환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드 변환 버튼(192)은 가상 키보드 또는 휴대 단말의 외부 버튼일 수 있다. 커서 이동 모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임의의 문자를 입력하면 휴대 단말은 자동적으로 문자 입력 모드로 복귀하게 된다. 물론, 이 경우에도 모드 변환 버튼(192)을 입력하여도 커서 이동 모드에서 문자 입력 모드로의 변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동작 모드가 커서 이동 모드인 상태에서 휴대 단말(100)은 자이로 센서 또는 중력 센서 등의 센서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100)의 위치 변화값을 측정하고 이를 기초로 커서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서 커서를 현재의 위치에서 수정하고자 하는 위치로 좌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우선 모드 변환 버튼(192)을 눌러서 동작 모드를 커서 이동 모드로 변환한 후, 휴대 단말(100)을 좌측으로 기울여서 커서를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커서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되면 키를 입력하여 원하는 내용으로 수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모드 변환 버튼(192)을 입력하는 대신 문자 입력창의 특정 위치를 터치하여 터치된 위치로 커서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문자 입력창에 표시된 문자열의 임의의 위치를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 등을 이용하여 터치하면, 휴대 단말(100)의 동작 모드는 커서 이동 모드로 변경되고 해당 위치에 커서가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모드 변환 버튼(192)를 누른 채로 유지하는 동안에만 휴대 단말(100)이 커서 이동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드 변환 버튼(192)를 누른 상태에서 휴대 단말(100)을 원하는 방향으로 기울여서 커서를 이동시킨 후 모드 변환 버튼(192)의 눌림을 해제하여 휴대 단말(100)을 커서 이동 모드에서 문자 입력 모드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6에서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100)은 전원부(110), 제어부(120), 인터페이스부(130), 무선통신 모듈(140) 메모리부(150), 영상 출력 장치(160), 오디오 출력 장치(170), 위치 출력 장치(180), 사용자 입력부(190) 및 센싱부(200) 등 포함한다.
다만, 도 4의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는 반드시 본 발명의 구현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구성요소에 해당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또한 실시예에 따라 휴대 단말(100)은 상기의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를 부가적으로 더 구비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전원부(110)는 후술할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제어부(12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0)는 문자 입력을 위하여 모드 변환부(122), 센싱 데이터 처리부(124) 및 커서 제어부(126)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드 변환부(122)는 문자 입력 과정에서 문자 입력 모드 및 커서 이동 모드 간에 동작 모드를 변환한다. 문자 입력 모드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하나 이상의 문자들을 현재 커서의 위치에 추가한다. 문자 입력 과정에서 기 입력된 문자열의 임의의 위치에서 문자를 추가, 삭제 또는 수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커서를 현재 위치에서 수정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문자 입력창의 특정 위치를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 등으로 터치하여 커서를 해당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센싱부(200)의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커서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모드 변환부(122)는 문자 입력 모드에서 커서 이동 모드로의 변환을 수행하게 된다.
모드 변환부(122)는 모드 변환 명령이 수신되면 문자 입력 모드를 커서 이동 모드로 변환할 수 있다. 이때, 가상 키보드 상에 구비된 모드 변환 버튼(192)이 입력되거나 또는 문자 입력창에 표시된 문자열의 특정 위치가 터치되는 경우에 모드 변환 명령이 발생된 것으로 처리한다. 커서 이동 모드 상태에서는 센싱부(200)의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100)의 방향 및 기울기 데이터 등의 위치 변화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휴대 단말(100)의 위치 변화 데이터를 기초로 커서의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 등을 결정하게 된다.
센싱 데이터 처리부(124)는 커서 이동 모드 상태에서 센싱부의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수집된 휴대 단말(100)의 위치 변화 데이터를 기초로 휴대 단말(100)의 기울기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기울기 정보를 이용하여 커서의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를 지시하는 커서 이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센싱 데이터 처리부(124)는 자이로 센서의 위치 변화 데이터를 기초로 기울기 방향 정보, 기울기 각도 정보 및 기울어지는 속도 정보 등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센싱 데이터 처리부(124)는 상기 생성된 기울기 각도 정보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100)이 기준 각도 이상 기울어졌는지를 판단하여, 기준 각도 이상 기울어진 경우에 해당 기울기 방향으로 커서를 이동하도록 지시하는 커서 이동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센싱 데이터 처리부(124)는 휴대 단말(100)이 기준 각도 이상 기울어진 경우에 휴대 단말(100)의 기울어지는 속도를 측정하여, 기준 속도 이하이면 커서 이동 신호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기울어지는 속도를 여러 단계로 구분하여, 각각의 단계 별로 커서 이동 속도를 구분할 수 있다.
커서 제어부(126)는 상기 센싱 데이터 처리부(124)에서 생성된 커서 이동 신호에 따라 상기 커서를 이동시킨다.
인터페이스부(130)는 휴대 단말(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30)에 포함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휴대 단말(100)이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휴대 단말(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휴대 단말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무선통신 모듈(140)은 휴대 단말과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휴대 단말(100)과 다른 단말과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할 때 상기 휴대 단말(100)은 이동 통신 단말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무선통신 모듈(140)은 이동 통신 모듈(14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의 종류에 따라 무선통신 모듈(140)은 방송 수신 모듈(142), 무선 인터넷 모듈(146), 근거리 통신 모듈(148) 및 위치정보 모듈(180) 등과 같은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휴대 단말(100)이 휴대폰, 스마트폰 등과 같이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은 반드시 무선통신 모듈(140)을 포함할 필요는 없으며, 유선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단말이거나 또는 통신 기능이 지원되지 않는 단말이어도 무방하다.
메모리부(150)는 휴대 단말(100)의 데이터 저장 장소로 이용되며, 휴대 단말(100)의 내부에 고정되거나, 또는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로 외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부(150)는 RAM, SDRAM, 플래시 메모리 등의 고정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SD 카드, USB 메모리 등의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부(150)는 제어부(12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5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영상 출력 장치(160)는 액정 패널, AMOLED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오디오 출력 장치(170)는 스피커, 리시버, 버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장치(170)는 청각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오디오 출력 장치(170)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통신 모듈(14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부(15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 장치(170)는 휴대 단말(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오디오 출력 장치(170)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90)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로서, 그 구현 방식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90)는 복수의 조작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조작 유닛들은 키 패드(key pad), 터치 패드(정압/정전), 휠 키, 조그 스위치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90)는 화면 상에 가상 키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최근의 휴대 단말(100)은 터치 스크린 방식을 채용한 풀 터치 방식에 의하는 것이 일반적인 바,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 입력부(190)는 영상출력 장치(160)와 일체로 결합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화면의 전면(全面) 또는 일부를 통해 소프트 키 방식의 가상 키보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입력부(190)는 가상 키보드의 특정 위치에 모드 변환 버튼(192)을 제공할 수 있다. 모드 변환 버튼(192)는 문자 입력 과정에서 문자 입력 모드와 커서 이동 모드 간의 모드 변환 기능을 수행하며, 문자 입력 과정 이외의 상태에서는 다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단일 버튼에 복수의 기능이 할당될 수 있다.
문자 입력 과정에서,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하는 동안에는 문자 입력 모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사용자가 모드 변환 버튼(192)를 입력하면, 사용자로부터 모드 변환 버튼(192)이 재 입력되거나, 모드 변환 버튼(192) 이외의 다른 문자가 입력되기 전까지 휴대 단말(100)은 커서 이동 모드를 유지하게 된다.
센싱부(200)는 휴대 단말(1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휴대 단말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휴대 단말 (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100)이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부(11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3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도 있다.
센싱부(200)는 자이로 센서, 중력 센서, 가속도 센서, 근접 센서, 접촉 센서 등과 같은 각종 센서를 포함함으로써, 휴대 단말(100)의 부가 기능/동작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센서를 통한 커서 이동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문자 입력은 문자 입력 모드에서 처리된다(S100). 이때, 사용자 입력부(19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하나 이상의 문자는 문자 입력창에 순서대로 표시되며, 커서는 마지막 문자가 입력된 위치의 다음 위치를 가리키게 된다.
이후, 입력된 문자열 중 일부에 대해 수정, 삽입 또는 삭제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커서를 현재의 위치에서 임의의 위치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이 경우, 모드 변환부(122)는 커서 이동 명령이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동작 모드를 문자 입력 모드로부터 커서 이동 모드로 변환하게 된다(S102). 이때, 커서 이동 명령은 모드 변환 버튼(192)의 입력을 감지하거나 문자 입력창에 표시된 문자열의 임의의 위치에서 터치가 감지된 경우에 커서 이동 명령이 발생된 것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 때, 모드 변환 버튼(192)이 잘못 눌려지는 경우를 구분하기 위해 모드 변환부(122)는 모드 변환 버튼(192)이 일정 시간 이상 입력되는 경우에만 모드 변환 버튼(192)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모드 변환부(122)에 의해 동작 모드가 커서 이동 모드로 변환되면, 제어부(120)는 커서 이동 모드 상태가 지속되는 동안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된 가상 키보드를 표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모드 변환부(122)에 의해 동작 모드가 커서 이동 모드로 변환된 후에 상기 모드 변환 버튼(192)이 다시 입력되거나 또는 사용자가 다른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모드 변환부(122)는 동작 모드를 커서 이동 모드에서 문자 입력 모드로 다시 변환하게 된다(S104).
커서 이동 모드 상태에서 제어부(120)는 센싱부(200)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100)의 기울임 동작 발생 여부를 측정하며, 센싱 데이터 처리부(124)는 센싱부(200)를 통해 취득된 휴대 단말(100)의 위치 변화 데이터를 수집한다(S106). 이때, 센싱부(200)는 자이로 센서, 중력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일 수 있다.
이후, 센싱 데이터 처리부(124)는 수집된 휴대 단말(100)의 위치 변화 데이터를 기초로 기울기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기울기 정보를 이용하여 커서의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를 지시하는 커서 이동 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생성되는 기울기 정보에는 기울기 방향 정보, 기울기 각도 정보 및 기울어지는 속도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센싱 데이터 처리부(124)는 기울기 각도 정보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100)이 기준 각도 이상 기울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기준 각도 이상 기울어진 경우에 해당 방향으로 커서를 이동시키는 커서 이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108).
또한, 센싱 데이터 처리부(124)는 휴대 단말(100)이 기준 각도 이상 기울어진 경우에 휴대 단말(100)의 기울어지는 속도를 측정하여, 기준 속도 이하이면 커서 이동 신호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센싱 데이터 처리부(124)는 휴대 단말(100)의 기울어지는 속도를 여러 단계로 구분하여, 각각의 단계 별로 커서 이동 속도를 구분할 수도 있다.
이후, 커서 제어부(126)는 생성된 커서 이동 신호를 기초로 문자 입력창의 커서를 이동시킨다(S110). 이때, 커서의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는 상기 생성된 커서 이동 신호를 기초로 처리될 수 있다.
이후, 문자 입력 모드가 종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의 과정을 반복한다(S112).
다음으로, 커서 이동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의 문자 입력은 문자 입력 모드에서 처리된다(S200). 이때, 사용자 입력부(19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하나 이상의 문자는 문자 입력창에 순서대로 표시되며, 커서는 마지막 문자가 입력된 위치의 다음 위치를 표시한다.
이후, 문자 입력창의 표시된 문자열의 특정 위치로 커서를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모드 변환 버튼을 누르면, 모드 변환부(122)는 동작 모드를 커서 커서 이동 모드로 변환한다(S202). 이때, 모드 변환 버튼이 눌려진 상태로 지속되는 시간 동안 커서 이동 모드가 유지된다. 이때, 모드 변환부(122)에 의해 동작 모드가 커서 이동 모드로 변환되면, 제어부(120)는 커서 이동 모드 상태가 지속되는 동안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된 가상 키보드를 표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모드 변환 버튼(192)이 잘못 눌려지는 경우를 구분하기 위해 모드 변환부(122)는 모드 변환 버튼(192)이 일정 시간 이상 입력되는 경우에만 모드 변환 버튼(192)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20)는 커서 이동 모드 상태에서 센싱부(200)를 통해 휴대 단말(100)의 기울임 동작 발생 여부를 측정하며, 이를 위해, 센싱 데이터 처리부(124)는 자이로 센서를 통해 취득된 휴대 단말(100)의 위치 변화 데이터를 수집한다(S204).
이후, 센싱 데이터 처리부(124)는 수집된 휴대 단말(100)의 위치 변화 데이터를 기초로 기울기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기울기 정보를 이용하여 커서의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를 지시하는 커서 이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생성되는 기울기 정보에는 기울기 방향 정보, 기울기 각도 정보 및 기울어지는 속도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센싱 데이터 처리부(124)는 기울기 각도 정보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100)이 기준 각도 이상 기울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기준 각도 이상 기울어진 경우에 해당 방향으로 커서를 이동시키는 커서 이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206).
또한, 센싱 데이터 처리부(124)는 휴대 단말(100)이 기준 각도 이상 기울어진 경우에 휴대 단말(100)의 기울어지는 속도를 측정하여, 기준 속도 이하이면 커서 이동 신호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센싱 데이터 처리부(124)는 휴대 단말(100)의 기울어지는 속도를 여러 단계로 구분하여, 각각의 단계 별로 커서 이동 속도를 구분할 수도 있다.
이후, 커서 제어부(126)는 생성된 커서 이동 신호를 기초로 문자 입력창의 커서를 이동시킨다(S208). 이때, 커서의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는 상기 생성된 커서 이동 신호를 기초로 처리될 수 있다.
상기의 단계 S204 내지 S208의 과정은 모드 변환 버튼을 누른 상태가 유지되는 동안 수행되며, 사용자가 모드 변환 버튼을 해제하면(S210), 모드 변환부(122)에 의해 동작 모드가 다시 문자 입력 모드로 변경되고, 문자 입력이 종료되기 전까지 상기의 과정을 반복하며 문자 입력을 처리한다(S212).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사용자는 문자 입력창에 표시된 작은 문자들 중에서 수정하고자 하는 위치를 일일이 손가락으로 정확히 터치하지 않고도 단순히 휴대 단말(100)을 원하는 방향으로 기울임으로써 커서의 정확한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문자 입력 과정이 문자 입력 모드와 커서 이동 모드로 구분되어 있으며, 커서 이동 모드의 상태에서만 자이로 센서, 중력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를 통해 휴대 단말(100)의 기울기 동작을 센싱하므로 센싱에 따른 부하가 크지 않다.
또한, 문자를 입력하는 도중에 휴대 단말로부터 손을 떼거나 손가락을 멀리 이동하지 않고도 커서를 간단하게 제어할 수 있어서, 문자 입력 과정이 편리하고 빠른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커서 이동 방법은 이상과 같은 문자 입력 과정뿐만 아니라 웹 브라우저 또는 다른 문서 관련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문자를 카피-붙이기 등의 편집 과정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메뉴에 모드 변환 항목을 추가하거나 휴대 단말의 외부에 별도의 버튼을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센서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휴대 단말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문자를 입력 받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입력 받은 문자를 커서 위치에 추가하는 문자 입력 모드 및 상기 커서의 위치를 변경하는 커서 이동 모드 간에 동작 모드를 변환하는 모드 변환부,
    커서 이동 모드에서 상기 휴대 단말의 위치 변화 데이터를 취득하는 센싱부,
    상기 위치 변화 데이터를 기초로 기울기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기울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커서의 이동 방향을 지시하는 커서 이동 신호를 생성하는 센싱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커서 이동 신호에 따라 상기 커서를 이동시키는 커서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부는 자이로 센서 또는 중력 센서 중 하나이며,
    상기 모드 변환부는 상기 커서 이동 모드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특정 키 이외의 문자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커서 이동 모드를 상기 문자 입력 모드로 변환하는, 휴대 단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변환부는 사용자로부터의 모드 변환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문자 입력 모드를 상기 커서 이동 모드로 변환하는, 휴대 단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변환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의 특정 키의 입력이 감지된 경우 또는 화면 상에 표시된 문자열의 임의의 위치에서 터치 입력이 감지된 경우에 상기 문자 입력 모드를 상기 커서 이동 모드로 변환하는, 휴대 단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변환부는, 상기 커서 이동 모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의 특정 키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커서 이동 모드를 상기 문자 입력 모드로 변환하는, 휴대 단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키는 화면 상에 표시되는 가상 키보드 또는 상기 휴대 단말의 외부 키 중 어느 하나인, 휴대 단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변환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의 특정 키의 입력이 지속되는 동안 상기 동작 모드를 상기 커서 이동 모드로 유지하는, 휴대 단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센싱부의 위치 변화 데이터를 기초로 기울기 방향 정보, 기울기 각도 정보 및 기울어지는 속도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생성하는, 휴대 단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기울기 각도 정보를 기초로 상기 휴대 단말이 기준 각도 이상 기울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커서 이동 신호를 생성하는, 휴대 단말.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휴대 단말의 기울어지는 속도 정보가 기준 속도 이상인 경우에 커서 이동 신호를 생성하는, 휴대 단말.
  10. 센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문자를 커서 위치에 추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모드 변환 명령이 감지되면 문자 입력 모드를 커서 이동 모드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커서 이동 모드에서 센서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의 위치 변화 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위치 변화 데이터를 기초로 기울기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기울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커서의 이동 방향을 지시하는 커서 이동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커서 이동 신호에 따라 상기 커서를 이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는 자이로 센서 또는 중력 센서 중 하나이며,
    상기 커서 이동 모드로 변환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커서 이동 모드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특정 키 이외의 문자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커서 이동 모드를 상기 문자 입력 모드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법.
  11. 삭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커서 이동 모드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의 특정 키의 입력이 감지된 경우 또는 화면 상에 표시된 문자열의 임의의 위치에서 터치 입력이 감지된 경우에 상기 문자 입력 모드를 상기 커서 이동 모드로 변환하는 단계인, 문자 입력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커서 이동 모드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커서 이동 모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의 특정 키의 입력이 감지된 경우 또는 사용자로부터의 문자 입력이 감지된 경우에 상기 커서 이동 모드를 상기 문자 입력 모드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센서의 위치 변화 데이터를 기초로 기울기 방향 정보, 기울기 각도 정보 및 기울어지는 속도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생성하는 단계인, 문자 입력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커서 이동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울기 각도 정보를 기초로 상기 휴대 단말이 기준 각도 이상 기울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커서 이동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인, 문자 입력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커서 이동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 단말의 기울어지는 속도 정보가 기준 속도 이상인 경우에 상기 커서 이동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인, 문자 입력 방법.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20005075A 2012-01-17 2012-01-17 커서 이동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 KR101361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5075A KR101361194B1 (ko) 2012-01-17 2012-01-17 커서 이동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5075A KR101361194B1 (ko) 2012-01-17 2012-01-17 커서 이동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4364A KR20130084364A (ko) 2013-07-25
KR101361194B1 true KR101361194B1 (ko) 2014-02-10

Family

ID=48994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5075A KR101361194B1 (ko) 2012-01-17 2012-01-17 커서 이동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119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4218A (ko) * 2007-10-02 2009-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의 포인터 운용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4218A (ko) * 2007-10-02 2009-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의 포인터 운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4364A (ko) 2013-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48793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using grip sensing
US9436348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movement of cursor in an electronic device
KR102009423B1 (ko) 음성 인식을 이용한 미리 설정된 동작 모드의 수행 방법 및 장치
JP5204305B2 (ja) 携帯用端末機におけるパターン認識を用いた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及び方法
AU2013276998B2 (en) Mouse function provision method and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US945970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ne-handed user interface in mobile device having touch screen
US20140331146A1 (en) User interface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KR20110040352A (ko) 리스트 스크롤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디바이스
KR20140090330A (ko) 이미지 인식을 이용한 이미지 레이아웃 방법 및 장치
US20150160731A1 (en) Method of recognizing gesture through electronic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EP2746924B1 (en) Touch input method and mobile terminal
KR102145577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140089224A (ko)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동작을 실행하는 디바이스 및 동작 실행 방법
KR20180108761A (ko)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
KR20140100705A (ko) 터치키 동작의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186815B1 (ko) 컨텐츠 스크랩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KR101361194B1 (ko) 커서 이동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
KR20150078715A (ko) 텍스트 편집 위치를 가이드 하는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KR102278676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2329890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2187856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2239019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2157621B1 (ko) 휴대장치 및 그 컨텐츠 공유 방법
KR102186819B1 (ko) 노트 기능을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40117914A (ko) 문자 입력 확인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