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1755B1 - 동탄성을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방법 - Google Patents
동탄성을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51755B1 KR101351755B1 KR1020120115321A KR20120115321A KR101351755B1 KR 101351755 B1 KR101351755 B1 KR 101351755B1 KR 1020120115321 A KR1020120115321 A KR 1020120115321A KR 20120115321 A KR20120115321 A KR 20120115321A KR 101351755 B1 KR101351755 B1 KR 10135175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dynamic
- buffer
- noise reduction
- elastic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개구 주위로 테두리를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을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키도록 상기 프레임의 하면에 부착되고, 완충을 위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완충패드; 상기 개구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 상에 고정되고, 동탄성을 가지는 동탄성부재; 상기 동탄성부재 상에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의 테두리로부터 벗어나도록 상기 동탄성부재 상에 설치되고, 완충을 위한 층을 가지는 완충중간재; 및 상기 완충중간재 상에 설치되고, 상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기 위한 장소를 제공하는 마감재를 포함하는 동탄성을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금속재 등의 동탄성을 이용하여, 공동주택 등과 같은 건축물의 바닥에 가해지는 고체 충격파를 흡수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분산 및 감쇄시키도록 하고, 이로 인해 고체 충격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키도록 하며, 고체 충격음과 함께 층간소음의 원인이 되는 공기 전달음을 효과적으로 흡수 및 감쇄시키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금속재 등의 동탄성을 이용하여, 공동주택 등과 같은 건축물의 바닥에 가해지는 고체 충격파를 흡수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분산 및 감쇄시키도록 하고, 이로 인해 고체 충격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키도록 하며, 고체 충격음과 함께 층간소음의 원인이 되는 공기 전달음을 효과적으로 흡수 및 감쇄시키도록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동탄성을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금속재 등의 동탄성을 이용하여, 공동주택 등과 같은 구조물의 바닥에 가해지는 고체 충격파를 흡수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분산 및 감쇄시키도록 하는 동탄성을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층간의 바닥에는 충격으로 인한 진동과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데, 상부로부터 하부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소음을 차폐하고 억제하기 위하여, 다층 구조물에는 층간 진동을 방지하기 위한 진동 방지 시설재가 시공된다.
건축물의 바닥면에서 발생하는 진동은 떨림이나 소리로 전달된다. 즉, 진동은 한 물체가 충격을 받았을 때 생긴 파장대에 의해서 생기는 현상으로 떨림이나 소리로 나타나는데, 모든 건축물에서는 이러한 진동과 소음을 해결하기 위하여 밀도가 낮은 저밀도의 소재 또는 진동이나 소리 전달 파장대가 완만한 시설재를 바닥면에 깔거나 붙여서 진동을 줄이고 있다.
한편, 아파트 등의 거주용 건축물에 권장되는 진동 및 소음은 중량충격에서 50db이하, 경량충격에서 58db이하이다. 진동 및 소음을 방지하거나 줄이기 위하여 다양한 층간 진동방지재 및 구조재료를 사용한 시설재들이 알려져 있는데, 공통적으로 콘크리트 슬라브 위에 밀도가 낮고 부드러운 연질성 진동방지용 시설재를 깔아 진동이나 소리의 파장대가 전달되는 것을 방해하고 분산시키도록 한다.
종래의 층간 진동을 방지하는 부재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0790468호의 "층간 진동방지판"이 개시된 바 있는데, 이는 난방 파이프를 고정하는 몰탈층과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측 가진원과 소음원이 바닥기초 콘크리트 슬라브로 전달되는 것을 흡수 차폐하기 위하여,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의 표면과 닿으며 상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과 소음을 흡수 차폐시키고 일정 간격을 유지한 형태로 가이드 홀이 통공된 진동방지 패드와, 상기 진동방지 패드의 상부 구조를 이루며 몰탈이 유입되어 컬럼을 형성하는 가이드 홀이 일정 간격으로 상기 진동방지 패드의 가이드 홀과 센터링 되어 형성된 하드보드와, 상기 진동방지 패드와 하드보드에 형성된 가이드 홀을 따라 인서트되어 하부는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의 표면과 접촉하는 러그와, 상기 러그를 진동방지 패드와 상기 하드보드 사이에 장착하고 고정하는 지지브래킷으로 이루어지는 층간 진동방지판에 있어서, 상기 진동방지 패드의 하부상에 밀착되어 새로운 단층으로 형성하여 상부측이 충격을 받아 발생되는 저주파 진동을 흡수 및 감쇄시키는 목재 수평판넬과, 상기 목재 수평판넬을 포함하여 상기 진동방지 패드와 하드보드의 테두리를 형성하여 상부 충격으로 생긴 저주파 진동을 수직으로 받아 진동을 저감시키는 목재 수직테두리와, 상기 러그가 목재 수평판넬의 표면 상으로 돌출되어 노출될 수 있도록 목재 수평판넬에 형성된 러그 안내홈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종래의 층간 진동방지판은 상부 충격으로 발생된 상하진동으로 인한 중량충격음과 층간 진동방지판의 내부에 새로운 경량충격음 감쇄공간을 형성하여 진동을 저감시키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층간 진동방지판은 건축물에 대하여 수직으로 가해지는 충격파를 감쇄시키는 것이 대부분 수직 분산에 의존함으로써, 이를 보다 개선하여 구조물에 대한 층간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키도록 하는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금속재 등의 동탄성을 이용하여, 공동주택 등과 같은 건축물의 바닥에 가해지는 고체 충격파를 흡수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분산 및 감쇄시키도록 하고, 이로 인해 고체 충격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키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체 충격음과 함께 층간소음의 원인이 되는 공기 전달음을 효과적으로 흡수 및 감쇄시키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층간소음 저감장치에 있어서, 건축물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개구 주위로 테두리를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을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키도록 상기 프레임의 하면에 부착되고, 완충을 위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완충패드; 상기 개구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 상에 고정되고, 동탄성을 가지는 동탄성부재; 상기 동탄성부재 상에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의 테두리로부터 벗어나도록 상기 동탄성부재 상에 설치되고, 완충을 위한 층을 가지는 완충중간재; 및 상기 완충중간재 상에 설치되고, 상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기 위한 장소를 제공하는 마감재를 포함하는 동탄성을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동탄성부재의 공진 감소와 흡음을 위하여 상기 동탄성부재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 내에 설치되는 충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진부재는 상기 바닥면 상에 위치하는 발포부재; 및 상기 발포부재와 상기 동탄성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폴리에스터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의 평면 형상과 상응한 형성을 가지고서 완충을 위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완충중간재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고서 상기 프레임의 테두리 상에 설치되는 완충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탄성부재는 가장자리가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고정되는 철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동탄성부재는 가장자리가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고정되는 금속판 또는 금속의 타공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동탄성부재는 상기 개구를 가로지르도록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양단이 고정되는 다수의 강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완충중간재는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 사이에 상기 완충을 위한 층을 이루는 완충 재질의 완충플레이트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완충중간재는 상기 프레임의 개구 면적에 대하여 40~80%의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층간소음 저감방법에 있어서, 개구 주위로 테두리를 형성하는 프레임이 그 하면에 부착되는 완충패드에 의해 건축물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개구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 상에 동탄성을 가지는 동탄성부재가 고정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동탄성부재 상에 완충을 위한 층을 가지는 완충중간재를 설치하되, 상기 완충중간재가 상기 프레임의 테두리로부터 벗어나도록 설치되는 단계; 및 상기 완충중간재 상에 마감재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마감재 상에 콘크리트가 타설되기 위한 장소를 제공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탄성을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동탄성부재는 가장자리가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고정되는 철망으로 이루어지거나, 가장자리가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고정되는 금속판 또는 금속의 타공판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개구를 가로지르도록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양단이 고정되는 다수의 강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동탄성부재의 공진 감소와 흡음을 위하여 상기 동탄성부재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 내에 충진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에 상응한 형상을 가지는 테두리부재로서 완충 재질로 이루어지는 완충프레임이 상기 완충중간재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고서 상기 프레임의 테두리 상에 설치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동탄성을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방법에 의하면, 금속재 등의 동탄성을 이용하여, 공동주택 등과 같은 건축물의 바닥에 가해지는 고체 충격파를 흡수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분산 및 감쇄시키도록 하고, 이로 인해 고체 충격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키도록 하며, 이러한 고체 충격음과 함께 층간소음의 원인이 되는 공기 전달음을 효과적으로 흡수 및 감쇄시키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탄성을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탄성을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탄성을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탄성을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장치의 프레임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탄성을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장치의 동탄성부재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탄성을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장치의 동탄성부재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탄성을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장치의 동탄성부재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탄성을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탄성을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탄성을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장치의 프레임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탄성을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장치의 동탄성부재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탄성을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장치의 동탄성부재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탄성을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장치의 동탄성부재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에 의해 여러 가지의 실시예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특정한 실시예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탄성을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탄성을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탄성을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탄성을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장치(100)는 프레임(110), 완충패드(120), 동탄성부재(130), 완충중간재(140) 및 마감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10)은 건축물의 바닥면(1), 예컨대 건축물의 콘크리트 슬라브에 설치되고, 개구(111) 주위로 테두리를 형성하며, 일례로 사각형의 테두리 부재로 이루어지고, 이에 한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테두리 부재를 가질 수 있으며, 다수의 금속제의 각재를 용접에 의해 이루어지거나, 용접을 대신하여 브라켓에 의한 연결이나 볼팅 등에 의해 각재를 연결시킬 수 있다.
완충패드(120)는 프레임(110)을 바닥면(1)으로부터 이격시키도록 프레임(110)의 하면에 부착되고, 완충을 위한 재질, 예컨대 발포 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0) 하면의 모서리 부분과 테두리 부분에 다수로 부착될 수 있다.
동탄성부재(130)는 개구(111)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프레임(110) 상에 고정되고, 동탄성, 예컨대 수직 방향에 대한 동탄성을 가지는 재질 내지 구조를 가지며, 수직 충격에 대하여 하방으로 변형을 유발하되, 복원력에 의해 변형이 회복되도록 하고, 본 실시예에서처럼 가장자리가 프레임(110)의 상면에 용접이나 볼트 또는 브라켓 등을 이용하여 고정되는 철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철망은 메쉬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가로와 세로의 강선이 교차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가로와 세로의 강선이 90도 또는 비스듬하게 교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동탄성부재(130)의 공진 감소와 흡음을 위하여 동탄성부재(13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프레임(110) 내에 설치되는 충진부재(160,170)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충진부재(160,170)는 바닥면 상에 위치하는 발포부재(160)와, 발포부재(160)와 동탄성부재(130) 사이에 설치되는 폴리에스터필터(17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발포부재(160)는 EPP(발포폴리프로필렌) 또는 EPS(발포폴리스티렌)의 재질로 이루어진 플레이트형상을 가질 수 있고, 동탄성부재(130)가 수직 충격에 대하여 처짐시 바닥면(1)과의 접촉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폴리에스터필터(170)는 소음을 흡수하고, 공진을 감소시키도록 한다.
완충중간재(140)는 동탄성부재(130) 상에 설치되고, 프레임(110)의 테두리로부터 벗어나도록 동탄성부재(130) 상에 설치되고, 완충을 위한 층을 가지며, 일례로,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141) 사이에 완충을 위한 층을 이루는 완충 재질의 완충플레이트(142)가 개재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플레이트(141)는 일례로 목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완층플레이트(142)는 완충 효과가 우수한 발포고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지지플레이트(141)에 의해서 동탄성부재(130) 등과의 접촉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함과 아울러, 지지플레이트(141)를 통한 충격을 분산시키도록 한다.
완충중간재(140)는 동탄성부재(130)의 동탄성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프레임(110)의 개구(111) 면적에 대하여 40~80%의 면적을 가질 수 있으며, 개구(111) 대비 면적의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동탄성부재(130)의 탄성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완충중간재(140)가 개구(111) 면적의 40% 미만인 경우 동탄성부재(130)에 대한 하중 집중으로 인해 충격 감쇄에 불리해지고, 개구(111) 면적의 80%를 초과하는 경우 동탄성부재(130)의 동탄성 특성을 과도하게 제한하게 된다.
프레임(110) 상에는 완충중간재(140) 둘레에 위치하도록 완충프레임(180)이 설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완충프레임(180)은 프레임(110)의 평면 형상과 상응한 형성을 가지고서 완충을 위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완충중간재(140)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고서 프레임(110)의 테두리 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벽면에 가까운 층감소음 저감장치(100) 하부에 공진을 저감시키도록 하고, 연질 재질, 예컨대 발포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감재(150)는 완충중간재(140) 상에 설치되고, 상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기 위한 장소를 제공하며, 일례로 목재를 비롯하여 콘트리트의 타설을 가능하도록 하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마감재(150)는 콘크리트의 타설에 의해 형성되는 콘크리트층(230)과의 부착력을 높이기 위하여 상면에 금속제의 홀드(hold)가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콘크리트층(230)과의 일체화로 인해 콘크리트층(230)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탄성부재(190)는 가장자리가 프레임(110)의 상면에 용접이나 볼트 또는 브라켓 등의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탄성부재(210)는 가장자리가 프레임(110)의 상면에 용접이나 볼트 또는 브라켓 등의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금속의 타공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면에 다수의 홀(211)이 타공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탄성부재(220)는 개구(111)를 가로지르도록 프레임(110)의 상면에 양단이 용접이나 볼트 또는 브라켓 등의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다수의 강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탄성을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방법은 개구(111) 주위로 테두리를 형성하는 프레임(110)이 그 하면에 부착되는 완충패드(120)에 의해 건축물의 바닥면(1)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되되, 개구(111)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프레임(110) 상에 동탄성을 가지는 동탄성부재(130)가 고정되도록 하는 단계와, 동탄성부재(130) 상에 완충을 위한 층을 가지는 완충중간재(140)를 설치하되, 완충중간재(140)가 프레임(110)의 테두리로부터 벗어나도록 설치되는 단계와, 완충중간재(140) 상에 마감재(150)를 설치함으로써 마감재(150) 상에 콘크리트가 타설되기 위한 장소를 제공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동탄성을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장치(100)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프레임(110)의 설치 전, 동탄성부재(130)의 공진 감소와 흡음을 위하여 동탄성부재(13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프레임(110) 내에 충진부재(160,170)를 설치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10)의 설치 후, 프레임(1100에 상응한 형상을 가지는 테두리부재로서 완충 재질로 이루어지는 완충프레임(180)이 완충중간재(140)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고서 프레임(110)의 테두리 상에 설치되도록 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동탄성부재(130,190,210,220)는 가장자리가 프레임의 상면에 고정되는 철망으로 이루어지거나, 가장자리가 플레임의 상면에 고정되는 금속판 또는 금속의 타공판으로 이루어지거나, 개구(111)를 가로지르도록 프레임(110)의 상면에 양단이 고정되는 다수의 강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동탄성을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방법에 따르면, 콘크리트층(230)에 고체 충격음이 가해졌을 때 충격파가 콘크리트층(230)에서 완충중간재(140)를 거쳐서 동탄성부재(130,190,210,220)를 거쳐서 프레임(110)에 전달된다. 이때, 동탄성부재(130,190,210,220)에 의해 고체 충격음은 흡수 및 감쇄되고, 2차 충격파는 동탄성부재(130,190,210,220)와 프레임(110)의 측면, 즉 수평방향으로 분산 이동 후 흡수된다. 또한, 최종 충격파는 하부, 즉 수직방향으로 이동한 후 완충패드(120) 및 충진부재(160,170) 등에 의해 흡수 내지 감쇄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금속재 등의 동탄성을 이용하여, 공동주택 등과 같은 건축물의 바닥에 가해지는 고체 충격파를 흡수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분산 및 감쇄시키도록 하고, 이로 인해 고체 충격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키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체 충격음과 함께 층간소음의 원인이 되는 공기전달음을 효과적으로 흡수 및 감쇄시키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 바닥면(콘크리트 슬라브) 110 : 프레임
111 : 개구 120 : 완충패드
130,190,210,220 : 동탄성부재 140 : 완충중간재
141 : 지지플레이트 142 : 완충플레이트
150 : 마감재 160,170 : 충진부재
180 : 완충프레임 211 : 홀
230 : 콘크리트층
111 : 개구 120 : 완충패드
130,190,210,220 : 동탄성부재 140 : 완충중간재
141 : 지지플레이트 142 : 완충플레이트
150 : 마감재 160,170 : 충진부재
180 : 완충프레임 211 : 홀
230 : 콘크리트층
Claims (14)
- 층간소음 저감장치에 있어서,
건축물의 바닥면(1)에 설치되고, 개구(111) 주위로 테두리를 형성하는 프레임(110);
상기 프레임(110)을 상기 바닥면(1)으로부터 이격시키도록 상기 프레임(110)의 하면에 부착되고, 완충을 위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완충패드(120);
상기 개구(111)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110) 상에 고정되고, 동탄성을 가지는 동탄성부재(130);
상기 동탄성부재(130) 상에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110)의 테두리로부터 벗어나도록 상기 동탄성부재(130) 상에 설치되고, 완충을 위한 층을 가지는 완충중간재(140); 및
상기 완충중간재(140) 상에 설치되고, 상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기 위한 장소를 제공하는 마감재(1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탄성을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탄성부재(130)의 공진 감소와 흡음을 위하여 상기 동탄성부재(13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110) 내에 설치되는 충진부재(160,1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탄성을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부재(160,170)는,
상기 바닥면 상에 위치하는 발포부재(160); 및
상기 발포부재(160)와 상기 동탄성부재(130) 사이에 설치되는 폴리에스터필터(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탄성을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10)의 평면 형상과 상응한 형성을 가지고서 완충을 위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완충중간재(140)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고서 상기 프레임(110)의 테두리 상에 설치되는 완충프레임(18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탄성을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장치.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탄성부재(130)는,
가장자리가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고정되는 철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탄성을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탄성부재(190,210)는,
가장자리가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고정되는 금속판 또는 금속의 타공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탄성을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탄성부재(220)는,
상기 개구(111)를 가로지르도록 상기 프레임(110)의 상면에 양단이 고정되는 다수의 강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탄성을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중간재(140)는,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141) 사이에 상기 완충을 위한 층을 이루는 완충 재질의 완충플레이트(142)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탄성을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장치. - 제 1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중간재(140)는,
상기 프레임(110)의 개구(111) 면적에 대하여 40~80%의 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탄성을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장치. - 층간소음 저감방법에 있어서,
개구(111) 주위로 테두리를 형성하는 프레임(110)이 그 하면에 부착되는 완충패드(120)에 의해 건축물의 바닥면(1)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개구(111)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110) 상에 동탄성을 가지는 동탄성부재(130)가 고정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동탄성부재(130) 상에 완충을 위한 층을 가지는 완충중간재(140)를 설치하되, 상기 완충중간재(140)가 상기 프레임(110)의 테두리로부터 벗어나도록 설치되는 단계; 및
상기 완충중간재(140) 상에 마감재(150)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마감재(150) 상에 콘크리트가 타설되기 위한 장소를 제공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탄성을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방법.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동탄성부재(130)의 공진 감소와 흡음을 위하여 상기 동탄성부재(13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110) 내에 충진부재(160,170)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프레임(1100에 상응한 형상을 가지는 테두리부재로서 완충 재질로 이루어지는 완충프레임(180)이 상기 완충중간재(140)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고서 상기 프레임(110)의 테두리 상에 설치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탄성을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방법. -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동탄성부재(130)는,
가장자리가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고정되는 철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탄성을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방법. -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동탄성부재(190,210)는,
가장자리가 상기 플레임의 상면에 고정되는 금속판 또는 금속의 타공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탄성을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방법. -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동탄성부재(220)는,
상기 개구(111)를 가로지르도록 상기 프레임(110)의 상면에 양단이 고정되는 다수의 강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탄성을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15321A KR101351755B1 (ko) | 2012-10-17 | 2012-10-17 | 동탄성을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15321A KR101351755B1 (ko) | 2012-10-17 | 2012-10-17 | 동탄성을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51755B1 true KR101351755B1 (ko) | 2014-01-14 |
Family
ID=50145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15321A KR101351755B1 (ko) | 2012-10-17 | 2012-10-17 | 동탄성을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51755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35262B1 (ko) | 2016-12-02 | 2017-05-29 | (주)대성건축사사무소 | 건축용 층간 차음 바닥구조물 |
KR20200063444A (ko) * | 2018-11-28 | 2020-06-05 | 한국토지주택공사 | 중앙부에 충격완화층을 갖는 슬래브의 층간소음 방지구조 |
KR102332670B1 (ko) * | 2021-03-12 | 2021-12-01 | 성윤 | 전자드럼용 방진보드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09634A (ko) * | 2002-07-24 | 2004-01-31 | 김춘옥 | 복합 차음패널 |
KR200382999Y1 (ko) * | 2005-01-27 | 2005-04-28 | (주)동성에스엔피 | 소음 방지재 |
KR20090084181A (ko) * | 2008-01-31 | 2009-08-05 | 박연준 | 중공부를 갖는 건물 바닥용 완충층 구조 |
KR20100066168A (ko) * | 2008-12-09 | 2010-06-17 | 양지인슈텍 (주) | 다층건물의 중공층을 갖는 충격음 차단구조 |
-
2012
- 2012-10-17 KR KR1020120115321A patent/KR10135175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09634A (ko) * | 2002-07-24 | 2004-01-31 | 김춘옥 | 복합 차음패널 |
KR200382999Y1 (ko) * | 2005-01-27 | 2005-04-28 | (주)동성에스엔피 | 소음 방지재 |
KR20090084181A (ko) * | 2008-01-31 | 2009-08-05 | 박연준 | 중공부를 갖는 건물 바닥용 완충층 구조 |
KR20100066168A (ko) * | 2008-12-09 | 2010-06-17 | 양지인슈텍 (주) | 다층건물의 중공층을 갖는 충격음 차단구조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35262B1 (ko) | 2016-12-02 | 2017-05-29 | (주)대성건축사사무소 | 건축용 층간 차음 바닥구조물 |
KR20200063444A (ko) * | 2018-11-28 | 2020-06-05 | 한국토지주택공사 | 중앙부에 충격완화층을 갖는 슬래브의 층간소음 방지구조 |
KR102214059B1 (ko) * | 2018-11-28 | 2021-02-08 | 한국토지주택공사 | 중앙부에 충격완화층을 갖는 슬래브의 층간소음 방지구조 |
KR102332670B1 (ko) * | 2021-03-12 | 2021-12-01 | 성윤 | 전자드럼용 방진보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27209B1 (ko) | 건축용 층간 차음바닥구조물 | |
KR101548985B1 (ko) | 공동주택의 층간 차음 바닥 구조물 | |
KR101976928B1 (ko) | 층간소음방지 및 충격흡수구조 | |
KR101439421B1 (ko) |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바닥완충구조 | |
KR20190004480A (ko) | 동탄성을 이용한 충격흡수에 의한 층간소음 저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방법 | |
KR20170087146A (ko) | 건축용 층간 차음재 | |
KR101929628B1 (ko) | 층간소음 차음재 | |
KR101351755B1 (ko) | 동탄성을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방법 | |
KR101482904B1 (ko) | 층간소음 방지장치 및 방법 | |
KR101794095B1 (ko) | 방음 및 완충을 위한 층간구조 | |
KR20190079758A (ko) | 건축용 층간 차음재 방법 | |
KR101828708B1 (ko) |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 |
KR101526541B1 (ko) | 건축용 층간 차음재 | |
KR101492508B1 (ko) | 건축물의 층간 소음 차단 구조 | |
KR101488443B1 (ko) | 층간소음 저감용 진동흡진기 및 이를 이용한 바닥구조 | |
KR101176496B1 (ko) | 착좌 성능이 개선된 온돌 기능을 가지는 방진 방음 패널 | |
KR20150111176A (ko) | 건축용 층간 차음재 | |
KR102077089B1 (ko) | 층간소음 저감재 | |
JP5114242B2 (ja) | 防振・防音床下地構造 | |
KR100705845B1 (ko) | 건물의 이중 슬라브 구조 | |
KR100790468B1 (ko) | 층간 진동방지판 | |
KR101393095B1 (ko) | 바닥 충격 감쇄 구조 | |
KR102420057B1 (ko) | 건물의 층간소음 방지장치 | |
KR102621164B1 (ko) |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바닥구조 및 그 시공 방법 | |
KR102223415B1 (ko) | 층간소음 저감용 천장 코너 베이스트랩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25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