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5827B1 - 기능성 이유식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기능성 이유식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55827B1 KR101355827B1 KR1020130114928A KR20130114928A KR101355827B1 KR 101355827 B1 KR101355827 B1 KR 101355827B1 KR 1020130114928 A KR1020130114928 A KR 1020130114928A KR 20130114928 A KR20130114928 A KR 20130114928A KR 101355827 B1 KR101355827 B1 KR 10135582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ice
- radish
- tangerine
- juice
- extrac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1
- 235000012054 meals Nutrition 0.000 title description 5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35000008452 baby food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41000220259 Raphanu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5000006140 Raphanus sativus var sativu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41000675108 Citrus tangerin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5000013527 bean curd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5000011389 fruit/vegetable juic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2791 soak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41000209094 Oryz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19
- 238000000227 gri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41000283690 Bos taur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41000512259 Ascophyllum nodos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1812 mixed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44000075850 Avena orientali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07319 Avena orientali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10025 steam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9
- 235000014347 soups Nutrition 0.000 abstract 6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4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30000001754 anti-pyr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5000021049 nutrient cont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953 sens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CIWBSHSKHKDKBQ-JLAZNSOCSA-N Ascorbic acid Chemical compound OC[C@H](O)[C@H]1OC(=O)C(O)=C1O CIWBSHSKHKDKBQ-JLAZNSOCSA-N 0.000 description 4
- 235000021395 porrid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06010036790 Productive cough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39 cer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29087 diges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6694 eating hab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12 flour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12010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21055 soli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08000024794 sputum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1000234282 Alli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2732 Allium cepa var. cep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06010010774 Constip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1224 Cough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19112 Cucum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510 Cucumis melo subsp melo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ZZZCUOFIHGPKAK-UHFFFAOYSA-N D-erythro-ascorbic acid Natural products OCC1OC(=O)C(O)=C1O ZZZCUOFIHGPKA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469 Glycine max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4000062793 Sorghum vulgar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29930003268 Vitamin C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HVYWMOMLDIMFJA-DPAQBDIFSA-N cholesterol Chemical compound C1C=C2C[C@@H](O)CC[C@]2(C)[C@@H]2[C@@H]1[C@@H]1CC[C@H]([C@H](C)CCCC(C)C)[C@@]1(C)CC2 HVYWMOMLDIMFJA-DPAQBDIF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631 hypothe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29 palatability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21018 plum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802 sputum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154 vitamin C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18 vitamin 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5254 Allium ampelopras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6108 Allium ampelopras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2234 Allium sativ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116389 Alo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119 Ananas comos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99147 Ananas comos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67854 Bourreria succulen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299 Brassica oleracea var botryt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647 Brassica oleracea var itali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3259 Brassica oleracea var. botryt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19357 Cact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4000241235 Citrullus lanat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828 Citrullus lanatus var citroid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0560 Citrus x paradis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067 Cucumis sativ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849 Cucumis sativ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40 Dahlia pinn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33273 Dahlia variabil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767 Daucus caro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00626 Daucus caro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82495 Dietary Plant Prote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511 Diospyro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723267 Diospyro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620 Fagopyrum esculent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419 Fagopyrum esculen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68988 Glycine max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5979 Hordeum vulgar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340 Hordeum vulgar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415 Lactuc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228 Lactuc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688 Lycopersicon esculen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70406 Malus silvest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5561 Musa balbisian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8980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8319 Oropharyngeal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371 Panax ginseng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789 Panax 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035 Panax pseudoginseng ssp. pseudo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140 Panax quinquefoli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1000007100 Pharyng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627 Phaseolus vulga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46052 Phaseolus vulg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ZLMJMSJWJFRBEC-UHFFFAOYSA-N Potassium Chemical compound [K] ZLMJMSJWJFRBE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4000018633 Prunus armenia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827 Prunus armenia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5809 Prunus persi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040 Prunus persica var persi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20324 Py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3768 Solanum lycopersic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684 Sorghum sacchara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4000269722 Thea s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307 Trit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98338 Triticum aestiv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1417 Vigna umbella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453 Vigna umbell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700605 Virus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19094 Vit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273928 Zingiber officinal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886 Zingiber officinal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978 adap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399 aloe ve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413 amino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93 anti-cance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21 antipyr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16 app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208 balanced nutr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046 balanced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15 banana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04 blood vesse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1510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261 cell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10 charco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93 cherri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55 chew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00 cholest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08 confectioner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403 cultural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593 degra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84 detox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25 dietary fib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872 dietary supplem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9 diges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44000013123 dwarf bean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686 eati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855 fer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151 fermen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49 f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41 food compon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17 food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06 food intak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611 garlic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37 ge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751 gemsto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397 ging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434 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21 grap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331 green bea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69 green t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256 human milk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51 human milk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039 immun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705 insufficient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68 intesti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36 intesti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GOMNOOKGLZYEJT-UHFFFAOYSA-N isoflavone Chemical compound C=1OC2=CC=CC=C2C(=O)C=1C1=CC=CC=C1 GOMNOOKGLZYEJ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CJWQYWQDLBZGPD-UHFFFAOYSA-N isoflavone Natural products C1=C(OC)C(OC)=CC(OC)=C1C1=COC2=C(C=CC(C)(C)O3)C3=C(OC)C=C2C1=O CJWQYWQDLBZGP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696 isoflavon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75 main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04 material by fun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60 me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36 milk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67 mil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080 milk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713 mill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571 nu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 och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17 pea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814 pect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77 pect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987 pect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91 potas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0 potas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67 refine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46 side dis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639 sodium chlor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13 tourmal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032 tourmal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0527 tourmal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22 unsaturated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70 unsaturated fatty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419 vinega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2 vineg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231 vitam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88594 vitamin Drug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722 vitamin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985 whole gra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8—Dry unshaped finely divided cereal produc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7/117 - A23L7/196 and A23L29/00, e.g. meal, flour, powder, dried cereal creams or extrac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5—Mashed or comminuted pulses or legumes; Products made therefrom
- A23L11/07—Soya beans, e.g. oil-extracted soya bean flak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23L2/04—Extraction of juices
- A23L2/06—Extraction of juices from citrus frui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이유식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기능성 이유식은 쌀을 물에 불린 후 분쇄하는 1차 분쇄단계; 상기 1차 분쇄 단계와 동시에 또는 전후에 선택적으로 수행되며, 무를 삶는 무증숙단계; 상기 분쇄된 쌀에 상기 증숙된 무를 넣고 분쇄하는 2차 분쇄단계; 상기 2차 분쇄물에 으깬 두부를 첨가하여 혼합분쇄물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혼합분쇄물을 익혀서 쌀미음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쌀미음 마련단계와 동시에 또는 전후에 선택적으로 수행되며, 귤을 과피와 과육을 분리하고, 귤의 과피는 열수추출하여 추출액을 만들고, 과육은 체에 걸러 즙을 내는 단계; 상기 쌀미음에 상기 과피 추출액과 과즙을 넣고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과피 추출액 및 과즙이 포함된 쌀미음을 가공 및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능성 이유식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해열작용을 가져 영유아가 아플 때 먹을 수 있으며, 고형식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줄 뿐만 아니라,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기능성 이유식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유는 생후 3개월까지는 영양이 우수하나, 그 후부터는 유아성장에 필요한 영양요구량을 충족시키지 못하여 생후 3~4개월부터 또는 출생시 체중의 2배 또는 체중이 6kg이 될 때 이유식이 필요하다. 따라서, 아기에게 연하고 소화가 잘 되는 반고형(半固形) 상태의 음식을 주어 부족한 영양을 보충하고, 고형식(固形食)에 익숙해지도록 훈련시키기 위하여 이유식을 준다.
이유식은 영양보충의 역할뿐 아니라 일반 식품재료의 종류나 분량도 다양하게 경험해 가면서 젖을 뗄 수 있도록 유도하고, 유동식에서 반고형식(미음 또는 죽과 같은 물성), 및 고형식으로 점차적인 식습관의 개선을 통해 일반적인 평상식에 익숙해지도록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다.
예전에는 이러한 이유식을 가정에서 직접 만들어 영·유아들에 공급하였으나, 현재는 바쁜 현대생활로 인하여 집에서 만들어 먹이기 보다는 이미 제조되어 있는 이유식을 월령별 단계에 맞도록 구입하여 먹이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이유식은 유아용 과즙음료와 수입병장 반고형 이유식을 제외하면 분말형태가 대부분으로 간단히 균형 잡힌 영양을 제공할 수는 있지만 과잉 영양을 야기하거나 젖병에 타 마시는 유동식의 형태로 되어 있어 식습관을 개선시키지 못할 뿐 아니라, 치아 및 구강 발달을 지연시킴으로서 유아 및 영아의 성장 발달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는 영·유아들로 하여금 고형식에 대한 적응성을 기를 수 없게 만든다.
한국공개특허 제2004-0063702호는 쌀, 보리, 밀, 조, 귀리, 동부, 메밀, 수수, 팥, 녹두, 야채와 과일류 일체와 곡류 일체, 율무, 기장, 찹쌀 등 식물류 일체를 각 비율대로 추출하여 발효시킨 곡주에 기능성 물질과 매실, 생강, 인삼, 홍삼, 포도, 녹각, 배, 살구, 사과, 감, 머루, 수박, 다래, 바나나, 파인애플, 참외, 자두, 복숭아, 버찌, 자몽, 토마토, 오이, 당근, 마늘, 파, 양파, 부추, 상치, 브로콜리, 선인장, 신선초, 알로에, 토르마린 원석가루, 황토, 숯 등과 과일류와 야채 채소류 일체와 한봉소초를 배합 발효시켜, 제조된 물질과 이유식을 배합하여 가공 제조한 기능성 물질이 함유된 이유식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146148호는 쌀가루, 우유, 소금, 정제수 및 부재료로서 곡물, 퍼핑 곡물, 두류, 견과류, 야채류 및 과일류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혼합하고 가열 교반하는 단계; 상기의 가열 교반하여 얻은 타락죽을 레토르트 용기에 충진하는 단계; 상기의 타락죽이 충진된 레토르트 용기 중 빈 공간의 공기를 가스치환 후 밀봉하는 단계; 상기의 레토르트 용기에 타락죽이 충진되고 밀봉된 것을 살균하고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타락죽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이는 노인의 식사대용식, 성인의 식사대용식, 청소년의 식사대용식, 유아용 이유식 또는 환자용 식사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고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형태의 목적은 해열작용을 가져 영유아가 아플 때 먹을 수 있으며, 고형식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줄 뿐만 아니라,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기능성 이유식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쌀을 물에 불린 후 분쇄하는 1차 분쇄단계; 상기 1차 분쇄 단계와 동시에 또는 전후에 선택적으로 수행되며, 무를 삶는 무증숙단계; 상기 분쇄된 쌀에 상기 증숙된 무를 넣고 분쇄하는 2차 분쇄단계; 상기 2차 분쇄물에 으깬 두부를 첨가하여 혼합분쇄물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혼합분쇄물을 익혀서 쌀미음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쌀미음 마련단계와 동시에 또는 전후에 선택적으로 수행되며, 귤을 과피와 과육을 분리하고, 귤의 과피는 열수추출하여 추출액을 만들고, 과육은 체에 걸러 즙을 내는 단계; 상기 쌀미음에 상기 과피 추출액과 과즙을 넣고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과피 추출액 및 과즙이 포함된 쌀미음을 가공 및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이유식을 제공한다.
상기 무증숙단계는 다시마와 가쓰오부시로 만든 육수에 무를 삶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2차 분쇄단계는 분쇄된 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증숙된 무 5 내지 15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혼합분쇄물을 마련하는 단계는 분쇄된 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으깬 두부 10 내지 20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과피 추출액 및 과즙은 쌀미음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내지 10 중량부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이유식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기능성 이유식은 유아들이 쉽게 소화할 수 있고 섭취하는데 거부감이 없을 뿐만 아니라 무, 두부, 귤이 지닌 해열작용, 저체온 예방, 저항력 증진, 기침억제 및 가래해소 등의 효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영유아의 성장 및 발육에 필요한 단백질과 비타민의 함량이 높고, 소화 흡수가 잘 되며, 반고형상을 가져 유·영아들에게 저작작용을 유도하여 치아와 턱의 발달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일반적인 한식에 대한 적응성을 기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기능성 이유식은 멸균 및 밀봉 과정을 거쳐 일정시간 유통될 수 있어 소비자들은 개봉 후 간단히 유아에게 먹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기능성 이유식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원의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상에”또는 “전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직접적 시계열적인 관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각 단계 후의 혼합하는 단계와 같이 두 단계의 순서에 시계열적 순서가 바뀔 수 있는 간접적 시계열적 관계에 있는 경우와 동일한 권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용어 “~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기능성 이유식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이유식은 해열작용을 가져 영유아가 아플 때 먹을 수 있으며, 고형식인 일반식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줄 뿐만 아니라,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기능성 이유식은 쌀을 물에 불린 후 분쇄하는 1차 분쇄단계; 상기 1차 분쇄 단계와 동시에 또는 전후에 선택적으로 수행되며, 다시마와 가쓰오부시로 만든 육수에 무를 삶는 무증숙단계; 상기 분쇄된 쌀에 상기 증숙된 무를 넣고 분쇄하는 2차 분쇄단계; 상기 2차 분쇄물에 으깬 두부를 첨가하여 혼합분쇄물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혼합분쇄물마련단계와 동시에 또는 전후에 선택적으로 수행되며, 귤을 과피와 과육을 분리하고, 귤의 과피는 열수추출하여 추출액을 만들고, 과육은 체에 걸러 즙을 내는 단계; 상기 혼합분쇄물에 상기 과피 추출액과 과육 과즙을 넣고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가열물을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기능성 이유식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기능성 이유식은 후술하는 기능성 이유식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기능성 이유식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우선, 쌀을 물에 불린 후 분쇄하는 1차 분쇄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1).
쌀은 기능성 이유식의 주재료가 되는 것으로, 쌀을 주식으로 하는 한식 문화에 대한 적응성을 기르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쌀을 물에 불린 후 증숙된 무 및 두부와 혼합하기 전에 1차 분쇄과정을 거칠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쌀을 씻은 후 10 내지 20시간 동안 불릴 수 있다. 쌀이 불려지면 분쇄기에 넣고 분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분쇄된 쌀 가루는 추후 증숙된 무와 함께 한번 더 분쇄되는 2차 분쇄단계를 거치게 된다.
다음으로, 무를 삶는 무증숙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2).
무증숙단계는 상기 1차 분쇄단계와 시계열적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1차 분쇄단계와 동시에 또는 전후에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무에 들어있는 특유의 전분 분해 효소는 음식의 소화흡수를 촉진하고, 풍부한 식물성 섬유소는 장내의 노폐물을 청소하는 역할을 하며, 가래 해소, 해열 효과가 있고, 기침이나 목이 아플 때 효과가 있다.
무는 이런 유익한 효능에도 불구하고, 다소 단단하여 영유아가 섭취 소화하기 곤란하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육수에 미리 증숙하여 조리함으로써, 영유아에 대한 소화 흡수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다시마와 가쓰오부시로 만든 육수에 무를 삶을 수 있다. 우선, 다시마와 가쓰오부시에 물을 넣고 끓여 육수를 만들고, 상기 육수에 무를 삶을 수 있다.
다시마는 풍부한 식이섬유소가 들어있어 배변의 양을 늘리고 장의 통과속도를 빠르게 하여 변비에 도움을 준다. 또한, 무에 비타민 C와 다시마의 칼륨이 만나 혈관을 튼튼히 할 수 있다.
가쓰오부시는 가다랭이의 살을 저며 김에 찌고 건조시켜 곰팡이가 피게 한 가공식품으로 단백질 함량이 높아 담백하며, 간을 보호해주는 아미노산이 풍부하고, 불포화지방산이 들어 있어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춰 성인병을 예방할 수 있다.
다시마와 가쓰오부시로 만든 육수로 무를 증숙함으로써 무에 함유된 영양분의 소화 흡수능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분쇄된 쌀에 상기 증숙된 무를 넣고 분쇄하는 2차 분쇄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3).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분쇄된 쌀 가루에 증숙된 무를 넣고 함께 분쇄할 수 있다.
상기 증숙된 무의 첨가량은 분쇄된 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5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증숙된 무의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이면 무의 영양분의 함량이 전체 영양분의 함량에 차지하는 비율이 너무 작기 때문에 무를 이유식에 넣는 효과가 없을 우려가 있고, 15 중량부를 초과하면 무의 식감이 너무 강조 될 우려가 있다.
다음으로, 2차 분쇄물에 으깬 두부를 첨가하여 혼합분쇄물을 마련할 수 있다(S4).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쌀과 증숙된 무가 혼합된 2차 분쇄물에 첨가하기 전에 두부를 살짝 으깨고 첨가할 수 있다.
두부는 콩을 물에 담갔다가 갈고, 그 액을 가열하여 비지를 짜내고 굳힌 식품으로, 양질의 식물성 단백질이 풍부하고, 칼슘의 함량이 높아 성장기 어린이의 성장발육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두부는 해열기능이 있으며, 가벼운 화상에는 붙이는 것만으로 화기를 빼주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두부를 가래 해소 및 해열 효과가 있는 무와 함께 섭취하여 그 효능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두부에 함유된 이소플라본이라는 성분은 암세포 성장에 필요한 효소를 억제시키는 항암효과가 있다. 간혹 콩류 제품을 싫어하는 어린이가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유아용 반찬을 섭취하는 아이들은 성인까지 그 식습관이 이어져 콩류 제품에 대한 적응성을 기를 수 있다.
상기 으깬 두부의 첨가량은 쌀 가루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20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으깬 두부의 함량이 10 중량부 미만이면 두부의 영양분의 함량이 전체 영양분의 함량에 차지하는 비율이 너무 작기 때문에 두부를 이유식에 넣는 효과가 없을 우려가 있고, 20 중량부를 초과하면 두부의 식감이 너무 강조 될 우려가 있다.
다음으로, 혼합분쇄물을 익혀서 쌀미음을 마련할 수 있다(S5).
쌀, 증숙된 무, 및 으깬 두부가 혼합된 분쇄물을 익혀서 반유동적인 쌀미음을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이유식은 미음 또는 죽과 같은 물성을 가지는 반고형상으로써, 쌀 가루의 분쇄 크기 및 본 단계의 가열 정도에 따라 입도를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과피 추출액과 과육 과즙을 얻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6).
본 단계는 상기 쌀미음마련단계와 동시에 또는 전후에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1차 분쇄단계와 쌀미음마련단계의 전후, 또는 그 사이 어느 때나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귤을 과피와 과육으로 분리하고, 귤의 과피는 열수추출하여 추출액을 만들고, 과육은 체에 걸러 즙을 낼 수 있다.
과피를 열수 추출하는 방법을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과피에 물을 넣고 끓일 수 있다. 또한, 추출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과피를 건조한 후 추출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과피를 건조하여 보관하는 경우 계절에 관계없이 과피 추출액을 얻을 수 있다.
귤은 비타민 C가 풍부하고, 모세혈관을 강화시켜 주며 소화흡수를 도와준다. 또한, 귤의 과피에는 펙틴이라는 섬유소가 변비를 예방해주며, 피로회복과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해주며, 해독작용, 면역력 증진, 저체온 예방의 효과가 있으며, 특히 감기의 바이러스를 배제하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쌀미음에 상기 과피 추출액과 과육 과즙을 넣고 가열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7).
상기 쌀미음에 과피 추출액과 과육 과즙을 넣고 가열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귤의 추출액과 과즙을 첨가함으로써, 귤의 기능성을 부여함과 동시에 귤의 새콤 달콤이 쌀미음의 풍미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유아가 거부감없이 쉽게 섭취할 수 있다.
상기 과피 추출액의 함량은 쌀미음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내지 10 중량부일 수 있고, 상기 과즙의 함량은 쌀미음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내지 10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과피 추출액 및 과즙의 함량이 3 중량부 미만이면 과피 추출액 및 과즙의 영양분의 함량이 전체 영양분의 함량에 차지하는 비율이 너무 작기 때문에 과피 추출액 및 과즙을 이유식에 넣는 효과가 없을 우려가 있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과피 추출액 및 과즙의 향과 맛만 너무 강조 될 우려가 있다.
다음으로, 과피 추출액 및 과즙이 포함된 쌀미음을 가공 및 포장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8).
완성된 쌀미음은 반고형상을 가지게 되며, 이를 가공 및 포장하여 유통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조리가 완료되면 멸균하고, 소독된 유리병이나 플라스틱 용기에 밀봉하여 상온 유통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소비자들은 본 제품을 구입 후 간단히 개봉하여 유아에게 먹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이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무증숙단계
다시마와 가쓰오부시를 넣은 육수에 무를 삶아준다.
2.귤준비단계
귤의 과육과 과피를 분리하여 과피는 말린 후 열수추출하고, 과육은 즙을 내어 체에 걸러 즙으로 준비한다.
3.두부첨가단계
불린 쌀을 먼저 갈고 증숙된 무를 넣고 다시 갈아주면서 두부를 으깨어 넣어 함께 익힌다.
4.혼합단계
두부를 첨가한 쌀미음에 귤의 과피 열수추출액과 과육에서 얻은 즙을 혼합하여 끓인다.
이상, 구현예 및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구현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또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관능검사]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기능성 이유식에 대해 전체적인 맛, 색, 냄새, 식감과 같은 기호도에 대한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를 표1에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관능검사는 이유식을 먹는 자녀를 둔 성인 여성 패널요원 50명을 대상으로 전체적인 맛, 색, 냄새, 식감과 같은 기호도에 대하여 10점 평점법을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의 표에 나타내었다.
구분 | 맛 | 색 | 냄새 | 식감 | 종합적기호도 |
실시예 | 8.4 | 8.2 | 8.6 | 8.9 | 8.5 |
*관능검사 수치 (10:아주좋음, 0:아주나쁨)
상기 표 1에서는 이유식을 먹는 자녀를 둔 성인 여성 패널요원 50명에 대해 관능검사의 평균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실시예의 기능성 이유식은 맛과 기호도가 모두 매우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귤의 과피 추출액 및 과즙을 이유식에 넣음으로써 이유식 냄새에 대한 기호도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이유식의 특성 중 중요한 식감에 대한 기호도도 아주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Claims (6)
- 쌀을 물에 불린 후 분쇄하는 1차 분쇄단계;
상기 1차 분쇄 단계와 동시에 또는 전후에 선택적으로 수행되며, 무를 삶는 무증숙단계;
상기 분쇄된 쌀에 상기 증숙된 무를 넣고 분쇄하는 2차 분쇄단계;
상기 2차 분쇄물에 으깬 두부를 첨가하여 혼합분쇄물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혼합분쇄물을 익혀서 쌀미음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쌀미음 마련단계와 동시에 또는 전후에 선택적으로 수행되며, 귤을 과피와 과육을 분리하고, 귤의 과피는 열수추출하여 추출액을 만들고, 과육은 체에 걸러 즙을 내는 단계;
상기 쌀미음에 상기 과피 추출액과 과즙을 넣고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과피 추출액 및 과즙이 포함된 쌀미음을 가공 및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이유식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증숙단계는 다시마와 가쓰오부시로 만든 육수에 무를 삶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이유식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분쇄단계는 분쇄된 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증숙된 무 5 내지 15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이유식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분쇄물을 마련하는 단계는 분쇄된 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으깬 두부 10 내지 20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이유식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피 추출액 및 과즙은 쌀미음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내지 10 중량부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이유식의 제조방법.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한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이유식.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14928A KR101355827B1 (ko) | 2013-09-27 | 2013-09-27 | 기능성 이유식 및 그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14928A KR101355827B1 (ko) | 2013-09-27 | 2013-09-27 | 기능성 이유식 및 그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55827B1 true KR101355827B1 (ko) | 2014-01-27 |
Family
ID=50146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14928A KR101355827B1 (ko) | 2013-09-27 | 2013-09-27 | 기능성 이유식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55827B1 (ko) |
-
2013
- 2013-09-27 KR KR1020130114928A patent/KR10135582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이유식대백과 p53, 삼성출판사, 2003.3.15 * |
인터넷자료 http://blog.naver.com/dhrtja/120185536875, 2013.3.21 *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55252B1 (ko) | 약선재료와 산채분말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 밥의 제조방법 | |
KR101146148B1 (ko) | 타락죽의 제조방법 | |
CN105010969A (zh) | 一种婴儿营养米粉的加工方法 | |
KR101589250B1 (ko) | 노루궁뎅이버섯 두부 및 이의 제조방법 | |
CN104585637A (zh) | 一种紫薯燕麦冲调粥及其制备方法 | |
KR100905171B1 (ko) | 뽕나무 육수 및 뽕잎이 함유된 바지락 죽의 제조방법 | |
KR20130105953A (ko) | 건강 기능성 죽 및 상기 죽의 제조방법 | |
KR20170058570A (ko) | 흑마늘 약밥과 그 제조방법 | |
CN112690441A (zh) | 一种香菇酸辣酱 | |
CN103907973A (zh) | 一种纯天然低温烘焙熟的花生粉及其制作方法 | |
CN105249432A (zh) | 一种中老年人调味酱及其制备方法 | |
KR101660764B1 (ko) | 베타글루칸 이유식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베타글루칸 이유식 | |
KR101126681B1 (ko) | 저 자극성 생 두부 쌈장 제조 방법 및 저 자극성 생두부 쌈장 | |
KR20180103539A (ko) | 옥돔을 이용한 이유식 제조방법 | |
KR101355827B1 (ko) | 기능성 이유식 및 그 제조방법 | |
KR101742139B1 (ko) | 현미찹쌀이 포함된 햄버거패티 | |
KR101408793B1 (ko) | 사과부산물을 이용한 이유식 제조방법 | |
KR20100103122A (ko) | 고구마 함유 즉석식품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구마 함유 즉석식품 | |
KR101933791B1 (ko) | 아마씨를 포함하는 드레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355826B1 (ko) | 된장소스가 함유된 유아용 소고기 반찬 및 그 제조방법 | |
KR100497657B1 (ko) | 생청국장과 그 제조방법 | |
KR100328479B1 (ko) | 현미호박죽의 조성물 | |
CN110771831A (zh) | 一种辣椒食品及其制备方法 | |
CN104106764A (zh) | 一种低温烘焙熟的多维玉米粉 | |
KR101470832B1 (ko) | 발아찰현미를 함유하는 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1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