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55827B1 - 기능성 이유식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기능성 이유식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5827B1
KR101355827B1 KR1020130114928A KR20130114928A KR101355827B1 KR 101355827 B1 KR101355827 B1 KR 101355827B1 KR 1020130114928 A KR1020130114928 A KR 1020130114928A KR 20130114928 A KR20130114928 A KR 20130114928A KR 101355827 B1 KR101355827 B1 KR 101355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radish
tangerine
juice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4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천호
Original Assignee
(주)에코맘의 산골이유식 농업회사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코맘의 산골이유식 농업회사법인 filed Critical (주)에코맘의 산골이유식 농업회사법인
Priority to KR1020130114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58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5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5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8Dry unshaped finely divided cereal produc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7/117 - A23L7/196 and A23L29/00, e.g. meal, flour, powder, dried cereal creams or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5Mashed or comminuted pulses or legumes; Products made therefrom
    • A23L11/07Soya beans, e.g. oil-extracted soya bean flak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23L2/04Extraction of juices
    • A23L2/06Extraction of juices from citrus frui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이유식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기능성 이유식은 쌀을 물에 불린 후 분쇄하는 1차 분쇄단계; 상기 1차 분쇄 단계와 동시에 또는 전후에 선택적으로 수행되며, 무를 삶는 무증숙단계; 상기 분쇄된 쌀에 상기 증숙된 무를 넣고 분쇄하는 2차 분쇄단계; 상기 2차 분쇄물에 으깬 두부를 첨가하여 혼합분쇄물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혼합분쇄물을 익혀서 쌀미음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쌀미음 마련단계와 동시에 또는 전후에 선택적으로 수행되며, 귤을 과피와 과육을 분리하고, 귤의 과피는 열수추출하여 추출액을 만들고, 과육은 체에 걸러 즙을 내는 단계; 상기 쌀미음에 상기 과피 추출액과 과즙을 넣고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과피 추출액 및 과즙이 포함된 쌀미음을 가공 및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능성 이유식 및 그 제조방법{Functional infant Meal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기능성 이유식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해열작용을 가져 영유아가 아플 때 먹을 수 있으며, 고형식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줄 뿐만 아니라,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기능성 이유식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유는 생후 3개월까지는 영양이 우수하나, 그 후부터는 유아성장에 필요한 영양요구량을 충족시키지 못하여 생후 3~4개월부터 또는 출생시 체중의 2배 또는 체중이 6kg이 될 때 이유식이 필요하다. 따라서, 아기에게 연하고 소화가 잘 되는 반고형(半固形) 상태의 음식을 주어 부족한 영양을 보충하고, 고형식(固形食)에 익숙해지도록 훈련시키기 위하여 이유식을 준다.
이유식은 영양보충의 역할뿐 아니라 일반 식품재료의 종류나 분량도 다양하게 경험해 가면서 젖을 뗄 수 있도록 유도하고, 유동식에서 반고형식(미음 또는 죽과 같은 물성), 및 고형식으로 점차적인 식습관의 개선을 통해 일반적인 평상식에 익숙해지도록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다.
예전에는 이러한 이유식을 가정에서 직접 만들어 영·유아들에 공급하였으나, 현재는 바쁜 현대생활로 인하여 집에서 만들어 먹이기 보다는 이미 제조되어 있는 이유식을 월령별 단계에 맞도록 구입하여 먹이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이유식은 유아용 과즙음료와 수입병장 반고형 이유식을 제외하면 분말형태가 대부분으로 간단히 균형 잡힌 영양을 제공할 수는 있지만 과잉 영양을 야기하거나 젖병에 타 마시는 유동식의 형태로 되어 있어 식습관을 개선시키지 못할 뿐 아니라, 치아 및 구강 발달을 지연시킴으로서 유아 및 영아의 성장 발달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는 영·유아들로 하여금 고형식에 대한 적응성을 기를 수 없게 만든다.
한국공개특허 제2004-0063702호는 쌀, 보리, 밀, 조, 귀리, 동부, 메밀, 수수, 팥, 녹두, 야채와 과일류 일체와 곡류 일체, 율무, 기장, 찹쌀 등 식물류 일체를 각 비율대로 추출하여 발효시킨 곡주에 기능성 물질과 매실, 생강, 인삼, 홍삼, 포도, 녹각, 배, 살구, 사과, 감, 머루, 수박, 다래, 바나나, 파인애플, 참외, 자두, 복숭아, 버찌, 자몽, 토마토, 오이, 당근, 마늘, 파, 양파, 부추, 상치, 브로콜리, 선인장, 신선초, 알로에, 토르마린 원석가루, 황토, 숯 등과 과일류와 야채 채소류 일체와 한봉소초를 배합 발효시켜, 제조된 물질과 이유식을 배합하여 가공 제조한 기능성 물질이 함유된 이유식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146148호는 쌀가루, 우유, 소금, 정제수 및 부재료로서 곡물, 퍼핑 곡물, 두류, 견과류, 야채류 및 과일류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혼합하고 가열 교반하는 단계; 상기의 가열 교반하여 얻은 타락죽을 레토르트 용기에 충진하는 단계; 상기의 타락죽이 충진된 레토르트 용기 중 빈 공간의 공기를 가스치환 후 밀봉하는 단계; 상기의 레토르트 용기에 타락죽이 충진되고 밀봉된 것을 살균하고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타락죽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이는 노인의 식사대용식, 성인의 식사대용식, 청소년의 식사대용식, 유아용 이유식 또는 환자용 식사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고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형태의 목적은 해열작용을 가져 영유아가 아플 때 먹을 수 있으며, 고형식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줄 뿐만 아니라,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기능성 이유식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쌀을 물에 불린 후 분쇄하는 1차 분쇄단계; 상기 1차 분쇄 단계와 동시에 또는 전후에 선택적으로 수행되며, 무를 삶는 무증숙단계; 상기 분쇄된 쌀에 상기 증숙된 무를 넣고 분쇄하는 2차 분쇄단계; 상기 2차 분쇄물에 으깬 두부를 첨가하여 혼합분쇄물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혼합분쇄물을 익혀서 쌀미음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쌀미음 마련단계와 동시에 또는 전후에 선택적으로 수행되며, 귤을 과피와 과육을 분리하고, 귤의 과피는 열수추출하여 추출액을 만들고, 과육은 체에 걸러 즙을 내는 단계; 상기 쌀미음에 상기 과피 추출액과 과즙을 넣고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과피 추출액 및 과즙이 포함된 쌀미음을 가공 및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이유식을 제공한다.
상기 무증숙단계는 다시마와 가쓰오부시로 만든 육수에 무를 삶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2차 분쇄단계는 분쇄된 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증숙된 무 5 내지 15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혼합분쇄물을 마련하는 단계는 분쇄된 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으깬 두부 10 내지 20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과피 추출액 및 과즙은 쌀미음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내지 10 중량부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이유식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기능성 이유식은 유아들이 쉽게 소화할 수 있고 섭취하는데 거부감이 없을 뿐만 아니라 무, 두부, 귤이 지닌 해열작용, 저체온 예방, 저항력 증진, 기침억제 및 가래해소 등의 효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영유아의 성장 및 발육에 필요한 단백질과 비타민의 함량이 높고, 소화 흡수가 잘 되며, 반고형상을 가져 유·영아들에게 저작작용을 유도하여 치아와 턱의 발달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일반적인 한식에 대한 적응성을 기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기능성 이유식은 멸균 및 밀봉 과정을 거쳐 일정시간 유통될 수 있어 소비자들은 개봉 후 간단히 유아에게 먹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기능성 이유식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원의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상에”또는 “전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직접적 시계열적인 관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각 단계 후의 혼합하는 단계와 같이 두 단계의 순서에 시계열적 순서가 바뀔 수 있는 간접적 시계열적 관계에 있는 경우와 동일한 권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용어 “~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기능성 이유식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이유식은 해열작용을 가져 영유아가 아플 때 먹을 수 있으며, 고형식인 일반식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줄 뿐만 아니라,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기능성 이유식은 쌀을 물에 불린 후 분쇄하는 1차 분쇄단계; 상기 1차 분쇄 단계와 동시에 또는 전후에 선택적으로 수행되며, 다시마와 가쓰오부시로 만든 육수에 무를 삶는 무증숙단계; 상기 분쇄된 쌀에 상기 증숙된 무를 넣고 분쇄하는 2차 분쇄단계; 상기 2차 분쇄물에 으깬 두부를 첨가하여 혼합분쇄물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혼합분쇄물마련단계와 동시에 또는 전후에 선택적으로 수행되며, 귤을 과피와 과육을 분리하고, 귤의 과피는 열수추출하여 추출액을 만들고, 과육은 체에 걸러 즙을 내는 단계; 상기 혼합분쇄물에 상기 과피 추출액과 과육 과즙을 넣고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가열물을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기능성 이유식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기능성 이유식은 후술하는 기능성 이유식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기능성 이유식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우선, 쌀을 물에 불린 후 분쇄하는 1차 분쇄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1).
쌀은 기능성 이유식의 주재료가 되는 것으로, 쌀을 주식으로 하는 한식 문화에 대한 적응성을 기르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쌀을 물에 불린 후 증숙된 무 및 두부와 혼합하기 전에 1차 분쇄과정을 거칠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쌀을 씻은 후 10 내지 20시간 동안 불릴 수 있다. 쌀이 불려지면 분쇄기에 넣고 분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분쇄된 쌀 가루는 추후 증숙된 무와 함께 한번 더 분쇄되는 2차 분쇄단계를 거치게 된다.
다음으로, 무를 삶는 무증숙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2).
무증숙단계는 상기 1차 분쇄단계와 시계열적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1차 분쇄단계와 동시에 또는 전후에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무에 들어있는 특유의 전분 분해 효소는 음식의 소화흡수를 촉진하고, 풍부한 식물성 섬유소는 장내의 노폐물을 청소하는 역할을 하며, 가래 해소, 해열 효과가 있고, 기침이나 목이 아플 때 효과가 있다.
무는 이런 유익한 효능에도 불구하고, 다소 단단하여 영유아가 섭취 소화하기 곤란하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육수에 미리 증숙하여 조리함으로써, 영유아에 대한 소화 흡수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다시마와 가쓰오부시로 만든 육수에 무를 삶을 수 있다. 우선, 다시마와 가쓰오부시에 물을 넣고 끓여 육수를 만들고, 상기 육수에 무를 삶을 수 있다.
다시마는 풍부한 식이섬유소가 들어있어 배변의 양을 늘리고 장의 통과속도를 빠르게 하여 변비에 도움을 준다. 또한, 무에 비타민 C와 다시마의 칼륨이 만나 혈관을 튼튼히 할 수 있다.
가쓰오부시는 가다랭이의 살을 저며 김에 찌고 건조시켜 곰팡이가 피게 한 가공식품으로 단백질 함량이 높아 담백하며, 간을 보호해주는 아미노산이 풍부하고, 불포화지방산이 들어 있어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춰 성인병을 예방할 수 있다.
다시마와 가쓰오부시로 만든 육수로 무를 증숙함으로써 무에 함유된 영양분의 소화 흡수능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분쇄된 쌀에 상기 증숙된 무를 넣고 분쇄하는 2차 분쇄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3).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분쇄된 쌀 가루에 증숙된 무를 넣고 함께 분쇄할 수 있다.
상기 증숙된 무의 첨가량은 분쇄된 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5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증숙된 무의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이면 무의 영양분의 함량이 전체 영양분의 함량에 차지하는 비율이 너무 작기 때문에 무를 이유식에 넣는 효과가 없을 우려가 있고, 15 중량부를 초과하면 무의 식감이 너무 강조 될 우려가 있다.
다음으로, 2차 분쇄물에 으깬 두부를 첨가하여 혼합분쇄물을 마련할 수 있다(S4).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쌀과 증숙된 무가 혼합된 2차 분쇄물에 첨가하기 전에 두부를 살짝 으깨고 첨가할 수 있다.
두부는 콩을 물에 담갔다가 갈고, 그 액을 가열하여 비지를 짜내고 굳힌 식품으로, 양질의 식물성 단백질이 풍부하고, 칼슘의 함량이 높아 성장기 어린이의 성장발육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두부는 해열기능이 있으며, 가벼운 화상에는 붙이는 것만으로 화기를 빼주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두부를 가래 해소 및 해열 효과가 있는 무와 함께 섭취하여 그 효능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두부에 함유된 이소플라본이라는 성분은 암세포 성장에 필요한 효소를 억제시키는 항암효과가 있다. 간혹 콩류 제품을 싫어하는 어린이가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유아용 반찬을 섭취하는 아이들은 성인까지 그 식습관이 이어져 콩류 제품에 대한 적응성을 기를 수 있다.
상기 으깬 두부의 첨가량은 쌀 가루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20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으깬 두부의 함량이 10 중량부 미만이면 두부의 영양분의 함량이 전체 영양분의 함량에 차지하는 비율이 너무 작기 때문에 두부를 이유식에 넣는 효과가 없을 우려가 있고, 20 중량부를 초과하면 두부의 식감이 너무 강조 될 우려가 있다.
다음으로, 혼합분쇄물을 익혀서 쌀미음을 마련할 수 있다(S5).
쌀, 증숙된 무, 및 으깬 두부가 혼합된 분쇄물을 익혀서 반유동적인 쌀미음을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이유식은 미음 또는 죽과 같은 물성을 가지는 반고형상으로써, 쌀 가루의 분쇄 크기 및 본 단계의 가열 정도에 따라 입도를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과피 추출액과 과육 과즙을 얻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6).
본 단계는 상기 쌀미음마련단계와 동시에 또는 전후에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1차 분쇄단계와 쌀미음마련단계의 전후, 또는 그 사이 어느 때나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귤을 과피와 과육으로 분리하고, 귤의 과피는 열수추출하여 추출액을 만들고, 과육은 체에 걸러 즙을 낼 수 있다.
과피를 열수 추출하는 방법을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과피에 물을 넣고 끓일 수 있다. 또한, 추출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과피를 건조한 후 추출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과피를 건조하여 보관하는 경우 계절에 관계없이 과피 추출액을 얻을 수 있다.
귤은 비타민 C가 풍부하고, 모세혈관을 강화시켜 주며 소화흡수를 도와준다. 또한, 귤의 과피에는 펙틴이라는 섬유소가 변비를 예방해주며, 피로회복과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해주며, 해독작용, 면역력 증진, 저체온 예방의 효과가 있으며, 특히 감기의 바이러스를 배제하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쌀미음에 상기 과피 추출액과 과육 과즙을 넣고 가열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7).
상기 쌀미음에 과피 추출액과 과육 과즙을 넣고 가열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귤의 추출액과 과즙을 첨가함으로써, 귤의 기능성을 부여함과 동시에 귤의 새콤 달콤이 쌀미음의 풍미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유아가 거부감없이 쉽게 섭취할 수 있다.
상기 과피 추출액의 함량은 쌀미음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내지 10 중량부일 수 있고, 상기 과즙의 함량은 쌀미음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내지 10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과피 추출액 및 과즙의 함량이 3 중량부 미만이면 과피 추출액 및 과즙의 영양분의 함량이 전체 영양분의 함량에 차지하는 비율이 너무 작기 때문에 과피 추출액 및 과즙을 이유식에 넣는 효과가 없을 우려가 있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과피 추출액 및 과즙의 향과 맛만 너무 강조 될 우려가 있다.
다음으로, 과피 추출액 및 과즙이 포함된 쌀미음을 가공 및 포장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8).
완성된 쌀미음은 반고형상을 가지게 되며, 이를 가공 및 포장하여 유통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조리가 완료되면 멸균하고, 소독된 유리병이나 플라스틱 용기에 밀봉하여 상온 유통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소비자들은 본 제품을 구입 후 간단히 개봉하여 유아에게 먹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이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무증숙단계
다시마와 가쓰오부시를 넣은 육수에 무를 삶아준다.
2.귤준비단계
귤의 과육과 과피를 분리하여 과피는 말린 후 열수추출하고, 과육은 즙을 내어 체에 걸러 즙으로 준비한다.
3.두부첨가단계
불린 쌀을 먼저 갈고 증숙된 무를 넣고 다시 갈아주면서 두부를 으깨어 넣어 함께 익힌다.
4.혼합단계
두부를 첨가한 쌀미음에 귤의 과피 열수추출액과 과육에서 얻은 즙을 혼합하여 끓인다.
이상, 구현예 및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구현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또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관능검사]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기능성 이유식에 대해 전체적인 맛, 색, 냄새, 식감과 같은 기호도에 대한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를 표1에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관능검사는 이유식을 먹는 자녀를 둔 성인 여성 패널요원 50명을 대상으로 전체적인 맛, 색, 냄새, 식감과 같은 기호도에 대하여 10점 평점법을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의 표에 나타내었다.
구분 냄새 식감 종합적기호도
실시예 8.4 8.2 8.6 8.9 8.5
*관능검사 수치 (10:아주좋음, 0:아주나쁨)
상기 표 1에서는 이유식을 먹는 자녀를 둔 성인 여성 패널요원 50명에 대해 관능검사의 평균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실시예의 기능성 이유식은 맛과 기호도가 모두 매우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귤의 과피 추출액 및 과즙을 이유식에 넣음으로써 이유식 냄새에 대한 기호도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이유식의 특성 중 중요한 식감에 대한 기호도도 아주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Claims (6)

  1. 쌀을 물에 불린 후 분쇄하는 1차 분쇄단계;
    상기 1차 분쇄 단계와 동시에 또는 전후에 선택적으로 수행되며, 무를 삶는 무증숙단계;
    상기 분쇄된 쌀에 상기 증숙된 무를 넣고 분쇄하는 2차 분쇄단계;
    상기 2차 분쇄물에 으깬 두부를 첨가하여 혼합분쇄물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혼합분쇄물을 익혀서 쌀미음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쌀미음 마련단계와 동시에 또는 전후에 선택적으로 수행되며, 귤을 과피와 과육을 분리하고, 귤의 과피는 열수추출하여 추출액을 만들고, 과육은 체에 걸러 즙을 내는 단계;
    상기 쌀미음에 상기 과피 추출액과 과즙을 넣고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과피 추출액 및 과즙이 포함된 쌀미음을 가공 및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이유식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증숙단계는 다시마와 가쓰오부시로 만든 육수에 무를 삶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이유식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분쇄단계는 분쇄된 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증숙된 무 5 내지 15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이유식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분쇄물을 마련하는 단계는 분쇄된 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으깬 두부 10 내지 20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이유식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피 추출액 및 과즙은 쌀미음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내지 10 중량부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이유식의 제조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한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이유식.
KR1020130114928A 2013-09-27 2013-09-27 기능성 이유식 및 그 제조방법 KR101355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4928A KR101355827B1 (ko) 2013-09-27 2013-09-27 기능성 이유식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4928A KR101355827B1 (ko) 2013-09-27 2013-09-27 기능성 이유식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5827B1 true KR101355827B1 (ko) 2014-01-27

Family

ID=50146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4928A KR101355827B1 (ko) 2013-09-27 2013-09-27 기능성 이유식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5827B1 (ko)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이유식대백과 p53, 삼성출판사, 2003.3.15 *
인터넷자료 http://blog.naver.com/dhrtja/120185536875, 2013.3.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5252B1 (ko) 약선재료와 산채분말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 밥의 제조방법
KR101146148B1 (ko) 타락죽의 제조방법
CN105010969A (zh) 一种婴儿营养米粉的加工方法
KR101589250B1 (ko) 노루궁뎅이버섯 두부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585637A (zh) 一种紫薯燕麦冲调粥及其制备方法
KR100905171B1 (ko) 뽕나무 육수 및 뽕잎이 함유된 바지락 죽의 제조방법
KR20130105953A (ko) 건강 기능성 죽 및 상기 죽의 제조방법
KR20170058570A (ko) 흑마늘 약밥과 그 제조방법
CN112690441A (zh) 一种香菇酸辣酱
CN103907973A (zh) 一种纯天然低温烘焙熟的花生粉及其制作方法
CN105249432A (zh) 一种中老年人调味酱及其制备方法
KR101660764B1 (ko) 베타글루칸 이유식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베타글루칸 이유식
KR101126681B1 (ko) 저 자극성 생 두부 쌈장 제조 방법 및 저 자극성 생두부 쌈장
KR20180103539A (ko) 옥돔을 이용한 이유식 제조방법
KR101355827B1 (ko) 기능성 이유식 및 그 제조방법
KR101742139B1 (ko) 현미찹쌀이 포함된 햄버거패티
KR101408793B1 (ko) 사과부산물을 이용한 이유식 제조방법
KR20100103122A (ko) 고구마 함유 즉석식품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구마 함유 즉석식품
KR101933791B1 (ko) 아마씨를 포함하는 드레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55826B1 (ko) 된장소스가 함유된 유아용 소고기 반찬 및 그 제조방법
KR100497657B1 (ko) 생청국장과 그 제조방법
KR100328479B1 (ko) 현미호박죽의 조성물
CN110771831A (zh) 一种辣椒食品及其制备方法
CN104106764A (zh) 一种低温烘焙熟的多维玉米粉
KR101470832B1 (ko) 발아찰현미를 함유하는 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