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40097B1 - 중량화물의 운송을 위한 로프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중량화물의 운송을 위한 로프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0097B1
KR101340097B1 KR1020130117956A KR20130117956A KR101340097B1 KR 101340097 B1 KR101340097 B1 KR 101340097B1 KR 1020130117956 A KR1020130117956 A KR 1020130117956A KR 20130117956 A KR20130117956 A KR 20130117956A KR 101340097 B1 KR101340097 B1 KR 1013400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plate
support plate
ratchet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7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도근
Original Assignee
정도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도근 filed Critical 정도근
Priority to KR1020130117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00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0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0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135Securing or supporting by load brac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2Connections or attachments, e.g. turnbuckles, adapted for straining of cables, ropes, or w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면 일측 및 후면 일측 각각에는 걸림단(122)과 걸림고리(124)가 구비되며 상기 걸림단(122) 전면에는 상기 걸림단(122)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로프가이드홈(126)이 마련되는 상판(120)과, 상기 상판(120)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로프(r)가 안치되는 공간(144)을 제공하는 하판(16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판(120)의 전면부위는 상기 하판(160)의 전면부위보다 연장형성되는 지지판(10)과; 일측에 손잡이(262)가 마련되는 작동부(260)와, 일측에 로프삽입홈(226)이 형성되는 회전체(224)가 마련되어 상기 작동부(260)와 결합되는 몸체부(220)로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부(220)의 저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삽입단(222)이 상기 지지판(10)의 걸림단(122에 삽입되며 상기 몸체부(220)의 후방에 마련되는 결합공(228)은 상기 지지판(10)의 걸림고리(124)에 안치되어 장착되는 작업래칫(20)과; 일측에는 로프(r)를 압착하는 고정압착판(320)과 가동압착판(360)이 마련되며, 타측에는 상기 지지판(10)의 걸림고리(124)에 안치되는 고정고리(340)가 구비되는 로프고정기(30)와; 상기 작업래칫(20)의 결합공(228)과 상기 로프고정기(30)의 고정고리(340)를 상기 지지판(10)의 걸림고리(124)에 결합하는 결합핀(1)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중량화물의 로프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중량화물의 운송을 위한 로프 고정장치{A fixing device of heavy goods with rope for transfort}
본 발명은 중량화물의 운송을 위한 로프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로프가 안치되는 공간이 구비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 안치되는 작업래칫과, 상기 지지판에 그 단부가 결합되는 로프고정기를 포함하여 중량의 화물을 구속하는 로프를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는 로프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물을 운송하는 경우, 특히 그 화물이 어느 정도의 하중을 가질 때는 화물 운송 중에 흐트러지거나 또는 추락하여 화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로프와 같은 고정수단으로 화물을 단단히 고정하게 된다. 로프를 이용하여 화물을 고정함에 있어 관련 업계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 래칫이다.
통상적인 래칫은 도 7에 개시된 것과 같이, 일측에 래칫기어(23)가 구비되는 몸체(2)와, 상기 래칫기어(23)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손잡이(13)로 이루어지며, 래칫기어(23)에는 로프 삽입홈(26)이 구비된다. 이러한 래칫은 중량의 화물을 운송 수단에 적절하게 고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화물의 안전한 운송을 담보해주는 장점은 있으나, 운송과정이나 운송목적지 여하에 따라 래칫의 회수 자체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화물중량이 상당하거나, 화물의 부피가 매우 크거나, 또는 대량의 화물을 이송해야 하는 경우에는 대량의 래칫이 필요한데, 만일 운송목적지가 외국이라면 래칫을 소모품으로 사용해야 한다는 점에서 그 경제적인 부담이 너무크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출원인은 도 8 및 도 9 각각에 개시된 것과 같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76332호를 제안한 바 있다. 이 기술은 상부 및 하부지지판(42, 46)이 힌지부(48)를 기점으로 회동하며 합형 및 개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부 및 하부지지판(42, 46)의 일면에는 요철 형상의 로프압착부가 구비되고, 상부지지판(42)의 상면에는 래칫의 가로바가 장착되는 반원 형상의 장착부(41)가 구비되는 로프지지체(40)를 도입하여, 로프를 이용하여 화물에 대한 고정 작업이 완료되면 래칫을 회수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즉, 화물이 위치하면 로프의 일측 단부를 미도시된 운송수단의 일측 고리홈에 고정한 다음, 로프를 중량 화물과 접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면서 그 타측 단부를 운송 수단의 타측에 구비되는 고리홈(6)까지 연장한다. 그리고, 걸림고리(20)를 준비하여 로프의 타측 단부가 연장되어 있는 고리홈(6)에 걸어 고정하고, 로프지지체(40) 상부의 장착부(41)에 래칫(50)을 장착한 상태에서 로프의 타측 단부를 래칫(50)의 로프삽입홈(55)에 삽입하고, 이어 래칫의 손잡이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로프를 래칫의 회동축을 따라 감는다. 로프의 타측 단부를 고리홈(6)까지 연장하기 이전에 로프는 로프지지체(40)의 로프압착부에 의해 단단히 구속된다.
로프의 타측 단부가 래칫의 회동축을 따라 감기게 되면, 로프지지체(40), 고리홈(6), 로프삽입홈(55) 사이의 로프 길이가 점차 짧아지는데, 로프의 길이가 점차 짧아진다는 것은 로프가 화물과 점차 밀착되어 화물을 긴밀하게 구속함을 의미한다. 래칫의 손잡이를 더 이상 회전시킬 수 없을 정도로 로프가 당겨지면, 걸림고리와 래칫의 회동축 사이에 위치하는 로프의 일 지점을 절단하고, 래칫과 로프지지체를 회수하면 화물에 대한 로프 고정 작업은 완료된다. 이처럼 이 기술은 화물의 고정 작업이 완료된 이후에 래칫을 회수하여 추후 작업에서 재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종래에 비해 저비용 고효율의 화물 고정작업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 기술을 사용함에 있어 필수 불가결한 로프지지체는 그 자체가 상당한 중량체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휴대가 곤란한 단점이 있었으며, 반원 형상의 장착부에 래칫을 단순히 안치하는 구성으로 인해 작업과정에서 래칫이 로프지지체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이 종종 있었다. 게다가, 상부지지판 및 하부지지판으로 이루어지는 로프지지체 내부에 로프를 단단하게 구속하기 위해서는 로프지지체를 강한 힘으로 합형할 필요가 있는데 작업 과정에서 중량의 로프지지체의 합형과 해제를 반복하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76332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226124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16692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로프를 이용하여 중량의 화물을 운송수단에 고정함에 있어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안전하고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면 일측 및 후면 일측 각각에는 걸림단(122)과 걸림고리(124)가 구비되며 상기 걸림단(122) 전면에는 상기 걸림단(122)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로프가이드홈(126)이 마련되는 상판(120)과, 상기 상판(120)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로프(r)가 안치되는 공간(144)을 제공하는 하판(16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판(120)의 전면부위는 상기 하판(160)의 전면부위보다 연장형성되는 지지판(10)과; 일측에 손잡이(262)가 마련되는 작동부(260)와, 일측에 로프삽입홈(226)이 형성되는 회전체(224)가 마련되어 상기 작동부(260)와 결합되는 몸체부(220)로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부(220)의 저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삽입단(222)이 상기 지지판(10)의 걸림단(122에 삽입되며 상기 몸체부(220)의 후방에 마련되는 결합공(228)은 상기 지지판(10)의 걸림고리(124)에 안치되어 장착되는 작업래칫(20)과; 일측에는 로프(r)를 압착하는 고정압착판(320)과 가동압착판(360)이 마련되며, 타측에는 상기 지지판(10)의 걸림고리(124)에 안치되는 고정고리(340)가 구비되는 로프고정기(30)와; 상기 작업래칫(20)의 결합공(228)과 상기 로프고정기(30)의 고정고리(340)를 상기 지지판(10)의 걸림고리(124)에 결합하는 결합핀(1)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판(10)과 상기 로프고정기(30) 사이에는, 양단 각각에 결합고리가 마련되는 연장홀더(40)가 더 구비되되, 상기 연장홀더(40)의 일측 결합고리는 상기 지지판(10)의 걸림고리(124)에 안치하는 작업래칫(20)의 결합공(228) 사이에 안치되어 상기 결합핀(1)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연장홀더(40)의 타측 결합고리는 상기 로프고정기(30)의 고정고리(34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로프가이드홈(126)의 일측은 개구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10)의 하판(160) 일측면은 외측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10)의 하판(160) 상면에는 요철(164)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로프를 이용하여 중량의 화물을 고정함에 있어 상, 하판 이중구조로 이루어지는 지지판 상면에는 작업래칫을 장착하고 그 일측에는 로프고정기를 연결하는 구성을 제안함으로써 화물에 대한 로프의 고정작업을 보다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본 발명은 로프고정기가 연장홀더에 매개되어 연결되는 구성을 제안함으로써 화물적재공간에 비해 부피가 큰 화물을 고정하거나 또는 작업공간이 협소한 경우에도 화물에 대한 로프의 고정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로프 고정장치의 개략적인 일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로프 고정장치의 개략적인 다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로프 고정장치에 있어 지지판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로프 고정장치에 있어 지지판과 작업래칫의 결합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로프 고정장치에 있어 로프고정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로프 고정장치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
도 7은 종래 래칫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8 및 도 9 각각은 종래 로프 고정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자명한 사항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운송수단으로 중량의 화물(미도시)을 운송함에 있어 로프를 이용하여 화물을 고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구체적인 일 구성은 도 1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지지판(10)과, 작업래칫(20)과, 로프고정기(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판(10)은 지면에 밀착되는 판으로서 로프를 이용하여 화물에 대한 고정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발생하는 모든 하중을 지지한다. 지지판(10)은 상판(120)과, 상기 상판(120)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하부에 위치하는 하판(16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판(120)과 하판(160)은 일측면에 수직하는 측벽(140)에 의해 고정지지지되며, 이에 의해 상판(120) 및 하판(160) 사이에는 로프(r)가 안치되는 공간(144)이 형성된다.
상기 상판(120)의 전면 일측 및 후면 일측 각각에는 걸림단(122)과 걸림고리(124)가 마련된다. 상기 걸림단(122)은 후술할 작업래칫(20)의 몸체부(220)의 삽입단(222)이 삽입되어 장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걸림고리(124)는 작업래칫(20)의 몸체부(220) 후방에 마련되는 결합공(228)이 안치되어 장착되는 부분이다. 도면에는 걸림고리(124)가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대향하는 한쌍의 걸림고리 구성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단지 일례일 뿐 단일의 걸림고리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상판(120)에는 로프가이드홈(126)이 더 구비된다. 상기 로프가이드홈(126)은 작업시 작업래칫(20)으로 로프의 삽입을 유도하고 작업과정에서 지지판(10)이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걸림단(122)의 전면에 형성되며 걸림단과 평행한 구조의 일정길이로 이루어진다. 로프의 보다 용이한 삽입을 위해서는 도면에 개시된 것과 같이 로프가이드홈(126)의 일측은 개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프가이드홈(126)이 형성되는 상판(120)의 전면부위는 하판(160)의 전면부위보다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판(160)은 지면에 밀착되는 부분으로서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판(160)의 상면에는 요철(164)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요철(164)은 안치되는 로프와의 마찰력을 제공해주는 부분으로서 그 형상은 개시된 것과 달리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 하판(160) 상면의 전부위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하판(160)의 일측부위(162)는 도면에 개시된 것과 같이 외측(바깥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지지판(10)이 보다 안정적으로 지면에 밀착되도록 유도하고 로프를 공간(144)으로 보다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작업래칫(20)은 화물의 일면과 접하고 있는 로프를 당겨 로프를 화물에 긴밀하게 밀착시키는 수단으로서, 통상적인 작업래칫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면에 개시된 것과 같이, 일측에 손잡이(262)가 마련되는 작동부(260)와, 일측에 로프삽입홈(226)이 형성되는 회전체(224)가 마련되어 상기 작동부(260)와 결합되는 몸체부(220)로 이루어진다. 회전체(224)의 양단에는 래치기어(도면부호 미도시)가 구비되며, 상기 래치기어는 작동부(260)가 일방향으로 작용하면 회전체(224)와 함께 회전한다.
상기 몸체부(220)는 지지판(10)의 상판(120) 상면에 밀착되는 부분으로서, 도 4에 개시된 것과 같이 몸체부(220)의 저면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삽입단(222)이 구비되며, 몸체부(220)의 후방에는 한쌍의 결합공(228)이 구비된다. 상기 삽입단(222)은 지지판(10)의 걸림단(122에 삽입되며, 상기 결합공(228)은 지지판(10)의 걸림고리(124)에 안치된다.
상기 로프고정기(30)는 지지판(10)의 공간(144)에 삽입되어 안치되는 로프가 작업래칫(20)의 작동과정에서 끌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이다. 로프고정기(30)의 일측에는 로프를 압착하는 압착판(320, 360)이 마련되며, 타측에는 고정고리(340)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고리(340)는 지지판(10)의 걸림고리(124)에 안치되며, 고정고리(340)는 결합핀(1)에 의해 작업래칫(20)의 결합공(228)과 함께 지지판(10)의 걸림고리(124)에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로프고정기(30)는 도 5에 개시된 것과 같이, 로프고정기(30)는 고정압착판(320)이 구비되는 고정단(32)과, 고정고리(340)가 구비되는 작동단(34)과, 가동압착판(360)이 구비되는 가동단(36)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그 작동을 개략적으로 살펴본다.
가동단(36)의 양측부위가 고정단(32)과 작동단(34) 각각에 핀(362, 364)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작동단(34)에 외력이 작용하면(실선방향), 가동단(36)은 핀(364)을 기점으로 일정각도로 승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가동단(36)에 구비되는 가동압착판(360)이 수직상방으로 들어올려진다. 그 상태에서 고정압착판(320) 상면에 로프를 안치한 다음, 작동단(34)에 가해진 외력을 해제하면(점선방향) 가동압착판(360)은 원상태로 복귀(수직하방으로 운동)하면서 로프를 단단하게 구속하게 되는 것이다. 도면에는 명시되지 않았지만 가동단에는 가동압착판(360)의 수직상방운동을 제어하는 탄성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럴 경우 고정압착판(320)과 가동압착판(360) 사이에 안치되는 로프는 더욱 긴밀하게 구속될 수 있다. 미설명 도면부호 322는 요철이다.
한편, 컨테이너 내부와 같이 한정된 작업공간에서 중량의 화물을 고정함에 있어 화물의 부피가 큰 경우에는 로프의 고정작업이 여의치 않을 수 있다. 특히, 컨테이너 내부 벽면 근처에서 로프 고정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경우에는 더욱 그러한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도 2에 개시된 것과 같이 지지판(10)과 로프고정기(30) 사이에 연장홀더(40)가 매개되는 로프 고정장치의 다른 구성을 제안한다.
이 실시예는 로프고정기(30)가 지지판(10)으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상태에서 로프를 긴밀히 구속할 수 있도록 하고, 컨테이너 내부 벽면과 중량의 화물 사이에 형성되는 작업공간에는 지지판(10)만이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좁은 공간에서도 로프의 고정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작업은 컨테이너 내부의 모서리 근처에서도 이루어질 수 있음을 감안하면 연장홀더는 다양한 각도에 적절하게 적응할 수 있도록 체인, 로프 등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연장홀더(40)에는 지지판(10)과 로프고정기(30) 각각과 연결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즉, 적어도 연장홀더(40)의 양단 각각에는 결합고리가 마련되어야 하며, 이중에서 일측 결합고리는 지지판(10)의 걸림고리(124)에 안치하는 작업래칫(20)의 결합공(228) 사이에 안치되어 결합핀(1)에 의해 결합되며, 타측 결합고리는 로프고정기(30)의 고정고리(340)와 결합된다.
도 2에는 연장홀더(40)의 일 구성으로서, 일측에는 작업래칫(20)의 결합공(228)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고리(420)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로프고정기(30)의 고정고리(34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고리(440, 460)가 구비되는 예가 개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는 로프형의 몸체 양단에 결합단을 형성하되, 이중에서 일측 결합단을 결합고리로 구성하고 타측 결합단은 별도의 U 자형 고리를 매개하여 결합고리로 구성한 특징이 있다. 하지만, 이는 단지 일례일 뿐, 양단의 결합단 각각을 단일 구조로 하여 결합고리로 구성할 수 있음은 너무나 자명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동을 연장홀더가 매개되는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 6을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의 작동구성 설명에 있어 통상적인 중량화물을 고정하는 방식을 보여주는 도 9를 일부 참조하기로 한다.
먼저, 운송수단의 화물적재공간의 일측에 중량의 화물을 위치시킨다. 화물적재공간은 컨테이너 내부공간일 수 있으며, 그 내부공간에는 통상적으로 도 9와 같이 고리홈이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중량의 화물이라 함은 단단히 고정되지 않아 제 위치를 벗어나는 경우 화물 자체가 손상됨은 물론, 함께 적재된 다른 화물을 손상시킬 수 있을 때, 그리고 이로 인해 운송수단 자체의 안전 운송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정도의 하중을 가지는 화물을 가리킨다.
화물이 위치하면, 로프(r)의 일측 단부를 화물적재공간에 구비되는 일 고리 홈에 고정한 다음, 로프(r)를 화물과 접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면서 그 타측 단부를 운송수단의 타 고리홈(도 9의 도면부호 6)까지 연장한다. 다음으로 고리(도 9의 도면부호 20)를 준비하여 로프의 타측 단부가 연장되어 있는 고리홈에 걸어 고정한다. 고리가 고리 홈에 걸려 고정되면, 로프의 타측 단부를 도 9와 같이 고리의 하측에 구비되는 걸림바에 삽입하면서 로프들이 상호간에 중첩되도록 체결한다.
로프(r)가 고리에 적절하게 체결되면, 로프의 일지점을 로프고정기(30)의 압착판에 긴밀하게 구속한 다음(①), 로프의 타지점은 지지판(10)의 공간(144)에 삽입하여 안치한다(②). 또한, 고리에 체결되어 있는 로프의 타측 단부를 지지판(10)의 로프가이드홈(126)을 거쳐 지지판(10)에 장착되어 있는 작업래칫(20)의 로프삽입홈(226)에 삽입한다(③). 이 상태에서 작업래칫(20)의 손잡이(262)를 일 방향(실선방향)으로 작동한 다음 타 방향(점선방향)으로 풀고 다시 일 방향으로의 작동을 반복하면 로프의 타측 단부는 작업래칫(20)의 회전체(224)를 따라 서서히 감기면서 조금씩 그 길이가 늘어나게 된다(④).
한편, 운송수단의 고리의 반대쪽에 위치하고 있는 여분의 로프는 로프고정기(30)에 의해 구속되어 있기 때문에, 로프고정기(30)가 구속하고 있는 로프는 제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대신 지지판(10)의 전면에 위치하고 있던 로프는 서서히 지지판(10) 쪽으로 당겨온다(⑤). 이에 따라 로프는 화물과 점차 밀착되며 이와 동시에 고리의 걸림바에 중첩되어 있는 로프들이 면 마찰에 의해 긴밀하게 밀착된다.
일정시점이 지나 로프(r)가 어느 정도 당겨지면 작업래칫(20)의 손잡이는 더 이상 작동하지 않게 되며, 이때 고리의 걸림바에 중접되어 있는 로프 상호간은 최대의 면 마찰력으로 밀착 상태를 이루게 된다. 로프가 일정장력으로 걸고리에 고정되어 더 이상 당겨지지 않으면, 고리와 작업래칫(20) 사이에 위치하는 로프의 일 지점을 절단하고, 본 발명에 따른 로프 고정장치를 회수하면 중량 화물에 대한 로프 고정 작업은 완료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별도의 기술적 특징이 부가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지지판 20 : 작업래칫
30 : 로프고정기 40 : 연장홀더

Claims (5)

  1. 전면 일측 및 후면 일측 각각에는 걸림단(122)과 걸림고리(124)가 구비되며 상기 걸림단(122) 전면에는 상기 걸림단(122)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로프가이드홈(126)이 마련되는 상판(120)과, 상기 상판(120)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로프(r)가 안치되는 공간(144)을 제공하는 하판(16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판(120)의 전면부위는 상기 하판(160)의 전면부위보다 연장형성되는 지지판(10)과;
    일측에 손잡이(262)가 마련되는 작동부(260)와, 일측에 로프삽입홈(226)이 형성되는 회전체(224)가 마련되어 상기 작동부(260)와 결합되는 몸체부(220)로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부(220)의 저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삽입단(222)이 상기 지지판(10)의 걸림단(122에 삽입되며 상기 몸체부(220)의 후방에 마련되는 결합공(228)은 상기 지지판(10)의 걸림고리(124)에 안치되어 장착되는 작업래칫(20)과;
    일측에는 로프(r)를 압착하는 고정압착판(320)과 가동압착판(360)이 마련되며, 타측에는 상기 지지판(10)의 걸림고리(124)에 안치되는 고정고리(340)가 구비되는 로프고정기(30)와;
    상기 작업래칫(20)의 결합공(228)과 상기 로프고정기(30)의 고정고리(340)를 상기 지지판(10)의 걸림고리(124)에 결합하는 결합핀(1)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화물의 운송을 위한 로프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10)과 상기 로프고정기(30) 사이에는, 양단 각각에 결합고리가 마련되는 연장홀더(40)가 더 구비되되, 상기 연장홀더(40)의 일측 결합고리는 상기 지지판(10)의 걸림고리(124)에 안치하는 작업래칫(20)의 결합공(228) 사이에 안치되어 상기 결합핀(1)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연장홀더(40)의 타측 결합고리는 상기 로프고정기(30)의 고정고리(340)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화물의 운송을 위한 로프 고정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가이드홈(126)의 일측은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중량화물의 운송을 위한 로프 고정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10)의 하판(160) 일측면은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중량화물의 운송을 위한 로프 고정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10)의 하판(160) 상면에는 요철(16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화물의 운송을 위한 로프 고정장치.
KR1020130117956A 2013-10-02 2013-10-02 중량화물의 운송을 위한 로프 고정장치 KR101340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7956A KR101340097B1 (ko) 2013-10-02 2013-10-02 중량화물의 운송을 위한 로프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7956A KR101340097B1 (ko) 2013-10-02 2013-10-02 중량화물의 운송을 위한 로프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0097B1 true KR101340097B1 (ko) 2013-12-10

Family

ID=49988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7956A KR101340097B1 (ko) 2013-10-02 2013-10-02 중량화물의 운송을 위한 로프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00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9776B1 (ko) * 2014-01-17 2015-05-12 정도근 반복 재사용이 가능한 로프 고정용 래칫
KR102630648B1 (ko) * 2022-08-09 2024-01-29 주식회사 타이가드코리아 래싱벨트 조임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926Y1 (ko) 1999-08-23 2000-02-15 임원윤 휴대용 화물 묶음용 끈 조임장치
KR200226124Y1 (ko) 2000-11-15 2001-06-01 임원윤 화물 묶음용 끈 조임장치
KR101176332B1 (ko) 2012-06-05 2012-08-22 정도근 중량 화물의 운송을 위한 로프 고정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926Y1 (ko) 1999-08-23 2000-02-15 임원윤 휴대용 화물 묶음용 끈 조임장치
KR200226124Y1 (ko) 2000-11-15 2001-06-01 임원윤 화물 묶음용 끈 조임장치
KR101176332B1 (ko) 2012-06-05 2012-08-22 정도근 중량 화물의 운송을 위한 로프 고정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9776B1 (ko) * 2014-01-17 2015-05-12 정도근 반복 재사용이 가능한 로프 고정용 래칫
KR102630648B1 (ko) * 2022-08-09 2024-01-29 주식회사 타이가드코리아 래싱벨트 조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740377B (zh) 一种具有装卸功能的预应力管桩运输车
KR101473976B1 (ko) 코일 운송을 위한 컨테이너
JP6735831B2 (ja) 風力タービンブレードの輸送フレーム
KR101276189B1 (ko) 달비계용 로프 고정 장치
KR100918662B1 (ko) 체인 스토퍼
KR101340097B1 (ko) 중량화물의 운송을 위한 로프 고정장치
KR101176332B1 (ko) 중량 화물의 운송을 위한 로프 고정 방법
US1732153A (en) Hoisting and transporting device
KR101881808B1 (ko) 보강토 블럭 운반용 클램프
JP2011057335A (ja) パワーアシスト装置及びパワーアシストシステム
JP2014159331A (ja) 吊持装置、及び吊持補助具
US8006956B2 (en) Tarp loading structure and method for using same
KR200478647Y1 (ko) 클램핑기구
EP2727767B1 (en) A tightening device
KR102064071B1 (ko) 화물고정용 벨트일체형 자동바
KR200467556Y1 (ko) 화물적재차량용 화물결박장치
JP5627958B2 (ja) 柱上作業台
CN205085902U (zh) 用于更换输送带托辊的装置
CN209225177U (zh) 一种配电柜的运输装置
KR101420570B1 (ko) 로프 물림장치가 구비되는 래칫 작업판
KR101683915B1 (ko) 범퍼커버 해체용 클램핑 장치
KR101519776B1 (ko) 반복 재사용이 가능한 로프 고정용 래칫
KR20090097078A (ko) 컨테이너에 의한 자동차 수송용 지지대
CN220393152U (zh) 吊装运输装置
CN205472177U (zh) 便移式施工升降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