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8132B1 - 작동 모드 전환장치와 작동 모드 전환장치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및 작동 모드 전환방법 - Google Patents
작동 모드 전환장치와 작동 모드 전환장치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및 작동 모드 전환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28132B1 KR101328132B1 KR1020060084882A KR20060084882A KR101328132B1 KR 101328132 B1 KR101328132 B1 KR 101328132B1 KR 1020060084882 A KR1020060084882 A KR 1020060084882A KR 20060084882 A KR20060084882 A KR 20060084882A KR 101328132 B1 KR101328132 B1 KR 10132813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eration mode
- delete delete
- scroller
- switched
- displa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a pointing device, e.g. roller key, track ball, rocker switch or joystick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동 모드 전환장치와 작동 모드 전환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작동 모드 전환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작동 모드 전환장치는 작동 모드 전환장치가 스크롤 방식으로 작동 모드를 전환시키는 스크롤러로 구성되며, 스크롤러는 전환된 작동 모드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도록 중앙부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영역과; 디스플레이 영역의 외주부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손가락 위치를 감지하여 손가락의 가압 위치에 대하여 설정된 작동 모드로 전환시키는 입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작동 모드의 전환을 빠르고 간단한 조작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전환된 작동 모드의 정보를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게 되어 사용이 편리하게 되고,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작은 영역으로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휴대 단말기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작동 모드, 모드 전환, 표시소자, FSR 센서, 정전용량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 모드 전환장치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선 "I-I"를 따라 작동 모드 전환장치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의 절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분해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 모드 전환장치를 구성하는 작동체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 모드 전환장치에 의해 작동모드가 전환되면서 전환되는 작동 모드가 작동 모드 전환장치에 표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 모드 전환장치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선 "II-II"를 따라 작동 모드 전환장치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의 절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분해도 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 모드 전환장치를 구성하는 선택버튼에 형성되는 표시패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 모드 전환장치를 구성하는 선택버튼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 모드 전환장치를 구성하는 선택버튼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 모드 전환장치에 의해 작동 모드가 전환되면서 전환되는 작동 모드가 작동 모드 전환장치에 표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 모드 전환장치에 의해 작동 모드가 전환되면서 전환되는 작동 모드가 작동 모드 전환장치에 표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 모드 전환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 모드 전환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6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 모드 전환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 ... 휴대 단말기 11 ... 단말기 바디
11a,211,221 ... 장착구멍 11b,112 ... 투광창
11c ... 표시패턴 12 ... 입력부
13 ... 표시부 100 ... 스크롤러
110 ... 작동체 111 ... 작동체 바디
113,114 ... 가압부 114a ... 결합부
120,222-1 ... 표시소자 130 ... 회로기판
131,210 ... 센서기판 132,220-1 ... 표시소자 기판
133,134 ... FPCB 200 ... 선택버튼
212 ... 투광구멍 213 ... 분할벽
220 ... 발광소자 기판 222 ... 발광소자
본 발명은 작동 모드 전환장치와 작동 모드 전환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작동 모드 전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특정인과의 통신을 가능하도록 구성되거나 및/또는 이동하면서 단말기 내부에 포함된 일정한 기능을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단말기는 수신자의 단말기에 지정된 고유번호를 포함한 호출신호를 기지국과 같은 경유수단(또는 매개수단)을 통해 특정 상대 의 단말기로 전송하고, 이와 같이 전송된 호출신호에 대한 응답을 특정 상대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도 한다. 한편, 이러한 휴대 단말기에는 휴대 단말기에 포함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각 기능에 해당되는 작동 모드를 전환 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방식과 구조의 작동 모드 전환장치가 구비되고 있다.
종래의 작동 모드 전환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중에는 버튼 방식 또는 스크롤 방식의 작동 모드 전환장치가 구비되고 있는데, 이들 모드 전환장치는 전환된 모드에 대한 정보가 단말기의 표시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모드 전환장치에 의해 전환된 보드의 제어키에 대한 표시상태는 입력부에 고정된 형태의 표시를 통해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모드 전환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들은 모두 상위 개념의 메뉴(예를 들어 관리자기능, 전화번호 등의 다이얼리 기능, 오락 등의 엔터테인먼트 기능 등)를 선택한 후에 각 메뉴의 하부에 속하는 실제 사용하고자 하는 기능을 찾아 선택하는 방식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사용하고자 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여러 번의 조작을 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사용이 매우 번거롭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사용의 복잡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식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간단한 조작을 통해 작동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전환된 모드를 사용자가 쉽고 간단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개선되고 있지는 못한 실정이다.
한편, 간단하고 신속하게 작동 모드를 전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선택 버튼을 구비하도록 개선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으나, 이 또한 단말기의 구조적인 제한으로 인하여 구비될 수 있는 선택 버튼의 개수가 매우 제한적이라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한편, 본 발명이 의도하는 일 목적은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작동 모드의 전환을 빠르고 간단한 조작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 전환된 작동 모드의 정보를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간단하면서도 신속한 작동 모드의 전환을 위한 작동 모드 전환장치의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작은 영역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고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른 목적들을 이루기 위하여 작동 모드 전환장치와 작동 모드 전환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작동 모드 전환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작동 모드 전환장치는 전환된 작동 모드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도록 중앙부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영역과; 디스플레이 영역의 외주부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손가락 위치를 감지하여 손가락의 가압 위치에 대하여 설정된 작동 모드로 전환시키는 입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크롤러로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작동 모드 전환장치는 전환된 작동 모 드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도록 중앙부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외주부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손가락 위치를 감지하여 손가락의 가압 위치에 대하여 설정된 작동 모드로 전환시키는 입력부로 구성되는 스크롤러와; 스크롤러에 의해 전환된 작동 모드에 대한 제어기능의 패턴을 표시하며, 전환된 작동 모드에 해당되는 기능을 작동시키는 선택버튼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작동 모드 전환장치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는 전환된 작동 모드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도록 중앙부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영역과; 디스플레이 영역의 외주부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손가락 위치를 감지하여 손가락의 가압 위치에 대하여 설정된 작동 모드로 전환시키는 입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크롤러가 표시부와 입력부가 구비되는 단말기 본체에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작동 모드 전환장치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는 표시부와 입력부가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본체와; 전환된 작동 모드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도록 중앙부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외주부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손가락 위치를 감지하여 손가락의 가압 위치에 대하여 설정된 작동 모드로 전환시키는 입력부로 구성되는 스크롤러와; 스크롤러의 주변에 장착되며, 스크롤러에 의해 전환된 작동 모드에 대한 제어기능의 패턴을 표시하며, 전환된 작동 모드에 해당되는 기능을 작동시키는 선택버튼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른 구성예로 선택버튼은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하 여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와; 스크롤러에 의해 전환된 작동 모드에 대한 제어기능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선택버튼에 구비되는 표시부는 LCD 또는 LED로 이루어지는 표시소자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스크롤러는 입력부가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가압되는 환형의 제 1 가압부와 가압부의 중앙에 위치되는 투광창 및 FSR 센서부를 가압하는 제 2 가압부로 구성되는 작동체와; 작동체의 하부에 위치되어 투광창에 상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표시소자와; 제 2 가압부와 상응하는 위치를 따라 각각의 작동 모드를 출력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FSR 센서부 및 상기 표시소자가 작동 모드에 상응하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회로기판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작동체는 제 2 가압부의 단부에 결합부가 더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회로 기판은 FSR 센서부가 구비되는 센서 기판과; 표시소자의 출력 정보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회로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선택버튼은 스크롤러에 의해 전환된 작동 모드에 대한 제어기능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표시부의 영역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와; 표시부에 의해 형성되는 패턴이 사용자에게 인식되도록 하는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선택버튼에 구비되는 표시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시패턴과 표시패턴에 상응하는 발광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각 표시패턴과 각 표시패턴에 상응하는 발광 소자가 서로 구획될 수 있도록 분할벽이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선택버튼은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발생되는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와; 스크롤러에 의해 전환된 작동 모드에 대한 제어기능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작동 모드 전환방법은 설정된 작동모드의 전환을 위하여 스크롤러가 작동되는 단계와; 상기 스크롤러의 작동에 의해 전환된 작동 모드가 설정되는 단계와; 전환된 작동 모드의 정보가 스크롤러의 중앙에 형성되는 표시부에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작동 모드 전환방법은 설정된 작동모드의 전환을 위하여 스크롤러가 작동되는 단계와; 스크롤러의 작동에 의해 전환된 작동 모드가 설정되는 단계와; 전환된 작동 모드의 메인 정보가 스크롤러의 중앙에 형성되는 메인 표시부에 표시되고, 메인 정보에 대한 서브 정보가 스크롤러의 주변에 배치된 선택버튼에 형성되는 서브 표시부에 표시되는 단계와; 스크롤러의 작동에 의해 전환된 작동 모드를 실행시킬 수 있도록 선택버튼이 활성화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작동 모드 전환방법은 설정된 작동모드의 전환을 위하여 스크롤러 또는 선택버튼이 작동되는 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스크롤러의 작동에 의해 전환된 작동 모드가 설정되는 단계와; 스크롤러 또는 선택버튼의 작동에 의해 전환된 작동 모드의 메인 정보가 스크롤러의 중앙에 형성되는 메인 표시부에 표시되고, 메인 정보에 대한 서브 정보가 스크롤러의 주변에 배치된 선택버튼에 형성되는 서브 표시부에 표시되는 단계와; 스크롤러 또는 선택버튼의 작동에 의해 전환된 작동 모드를 실행시킬 수 있도록 선택버튼이 활성화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스크롤러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작동 모드의 정보는 문자 또는 아이콘 형태로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고, 또한, 선택버튼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정보는 기호 또는 아이콘 형태로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선택버튼은 자주 사용되는 작동 모드로 바로 전환되어 전환된 작동 모드를 실행시킬 수 있는 명령 정보가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작동 모드 전환장치와 작동 모드 전환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작동 모드 전환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는 FSR(Force Sensing Resistor) 방식의 입력 수단 또는 FSR 방식과 정전용량(Capacitive) 방식이 조합된 입력수단을 기초로 하여 구성되는 작동 모드 전환장치를 기초로 하여 설명된다.
도 1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작동 모드 전환장치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1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10)는 데이터의 입력을 위한 입력부(12)와 입력된 데이터에 의해 정보가 출력되는 표시부(13)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하 설명되는 작동 모드 전환장치가 구비되는 단말기는 다양한 형태(즉, 바-타입, 슬라이딩-타입, 스윙-타입 등)의 단말기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여기서, 작동 모드를 전환시키기 위한 장치는 스크롤러(10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롤러(100)는 작동 모드의 전환을 위하여 FSR 방식으로 구동되는 센서(즉, 입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스크롤러(100)는 전환되는 작동 모드에 대한 정보, 다시 말해서 현재 전환된 작동 모드가 어떠한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작동 모드인지를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전환된 작동 모드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게 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환형의 영역으로 감지영역이 형성되는 센서를 구비한 회로기판(130)에 상기 센서를 가압할 수 있는 수단이 결합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가압 수단으로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구성을 갖는 작동체(110)로 구성될 수도 있는데, 상기 작동체(110)는 작동체 바 디(111)의 일 측 단부(도시상에서는 상단부)에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가압할 수 있는 영역으로 제 1 가압부(113)가 구비되고, 맞은편 단부(도시상에서는 하단부)에는 상기 센서 영역을 가압할 수 있는 제 2 가압부(114)가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가압부(114)는 센서 영역에 대한 압력이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휴대 단말기(10)에 장착을 위하여 작동체 바디(111)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체(110)의 상부면은 이하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전환된 모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하여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투광창(112)이 형성될 수 있고, 작동체(110)의 하부에는 상기 투광창(112)을 통해 전환된 모드에 대한 정보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정보를 출력하게 되는 표시소자(120)가 위치될 수 있도록 수용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130)은 센서가 장착되는 센서기판(131)와 상기 표시소자(120)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표시소자 기판(132)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소자(120)는 LCD 또는 LED로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작동체(110)는 휴대 단말기 본체(11)에 장착되는 구조에 따라서 상기 제 2 가압부(114)의 단부 테두리 위치에 탄성 재질의 결합부(114a)를 더 형성시킬 수도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작동 모드 전환장치인 스크롤러(100)가 휴대 단말기(10)에 적용되는 일 예에 대하여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휴대 단말기 본체(11)의 어느 일 영역에 결합구멍(11a)을 형성시키고, 상기 스크롤러(100)를 구성하는 작동 체(110)가 상기 결합구멍(11a)에 끼워질 수 있도록 장착된다. 이때, 상기 작동체(110)는 투광창(112)이 휴대 단말기 본체(11)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장착되며, 상기 제 1 가압부(113)를 사용자가 누를 때 그 압력이 상기 작동체(1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센서에 전달될 수 있도록 장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모드 전환장치는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상태로 작동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스크롤러(100)를 구성하는 작동체(110)의 제 1 가압부(113)를 통해 압력을 가하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가압부(113)의 영역을 따라 사용자의 손가락이 이동하면서 센서가 가압 되는 영역이 달라지게 된다. 이와 같이 가압되는 센서의 영역이 변하게 되는 것을 신호로 인식하게 되어 작동 모드가 전환할 수 있게 된다.
도 5a에 도시된 스크롤러(100)의 상태는 초기 상태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인 투광창(112)에는 초기 모드 상태의 정보를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투광창(112)을 통해 출력되는 초기 모드 상태의 정보를 인식하여 현재의 작동 모드을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사용자가 작동체(110)의 제 1 가압부(113)를 따라 가압하게 되는 손가락의 위치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센서가 가압되는 영역의 변화를 감지하게 되어 다른 작동 모드로 전환하게 된다. 이때, 전환된 작동 모드에 대한 정보가 상기 설명된 표시소자(120)를 통해 출력되어 투광창(112)을 통해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도 5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초기 모드 일 경우 문자 상태로 초기 모드인 것을 나타내거나, 또는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에 적용되는 날짜 및/또는 시간 등의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5b 및 도 5c에 도시된 상태는 각각 사용자가 시계 방향으로 상기 제 1 가압부(113)를 따라 스크롤 할 때, 작동 모드가 전환되고 이와 같이 전환된 작동 모드에 대한 정보가 출력된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 모드 전환장치가 적용된 휴대 단말기(10)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의한 작동 모드 전환장치는 상기 설명된 것과 같은 스크롤러(100)와 상기 스크롤러(100)에 의해 전환되는 작동 모드에 대한 제어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선택버튼(2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선택버튼(200)은 상기 스크롤러(100)에 의해 전환되는 작동 모드에 대한 제어기능의 정보를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는 수단이 더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예로는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성 중 스크롤러(100)의 구성은 상기 설명된 첫 번째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상기 스크롤러(100)에 의해 연동 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선택버튼(200)에 대한 설명을 하도록 하겠다.
상기 선택버튼(200)의 구성은 정전용량 변화를 검출하는 소위 "터치 방식" 버튼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선택버튼(200)은 정전용량의 변화를 검출하는 센서가 배치된 센서기판(21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택버튼(200)는 제어기능의 정보를 표시하 기 위한 수단으로 발광소자(222)가 장착되는 발광소자 기판(2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기판(210)은 각각의 선택버튼(200) 영역에 별도로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복수개의 선택버튼(200)이 하나의 센서기판(210)을 통해 구성되게 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선택버튼(200)이 하나의 센서기판(210)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상기 센서기판(210)은 상기 첫 번째 실시예에서 설명된 스크롤러(100)의 회로기판(130)과 작동체(110)가 위치될 수 있는 영역을 구비하기 위하여 중앙부에 장착구멍(2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구멍(211)의 주위에는 이하 설명되는 발광소자(222)로부터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투광구멍(212)이 형성된다. 상기 투광구멍(212)의 주위에는 상기 설명된 정전용량의 변화를 검출하게 되는 센서영역이 형성된다.
상기 센서기판(210)의 하부 위치에는 발광소자 기판(220)이 배치될 수 있는데, 상기 발광소자 기판(220)은 상기 센서기판(210)과 같이 중앙부에 장착구멍(221)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구멍(221)의 주위에는 상기 투광구멍(212)과 상응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222)가 배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선택버튼(200)은 상기 설명된 스크롤러(100)가 상기 선택버튼(200)을 구성하는 센서기판(210)과 발광소자 기판(220)에 형성되는 장착구멍(211,221)에 위치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스크롤러(100)의 작동에 의해 전환되는 모드에 대한 정보가 상기 스크롤러(100) 디스플레이 수단인 표시소자(120)에 의해 표시되고, 이와 함께 상기 선택버튼(200)을 통해 상기 전환된 작동 모드에 해당되는 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선택버튼(200)이 활성화된다. 여기서 선택버튼(200)의 활성화는 센서기판(210)의 각 선택버튼(200)에 대한 센서영역을 통해 각 센서영역에 설정된 작동 모드에 대한 기능 수행 명령 등을 조작할 수 있도록 활성화되는 것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선택버튼(200)은 상기 스크롤러(100)의 작동에 의해 작동 모드가 전환되면서, 상기 선택버튼(200)이 전환된 작동 모드에 대한 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활성화될 때, 상기 스크롤러(100)에 의해 전환된 작동 모드에 대한 제어기능을 나타내는 패턴이 표시될 수 있도록 상기 발광소자(222)가 작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광소자(222)에 의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패턴의 구성은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서로 다른 형상의 표시패턴(11c)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표시패턴(11c)은 동일 표시영역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선택버튼(200)이 휴대 단말기(10)에 적용되는 예를 설명하면, 상기 표시패턴(11c)은 단말기 본체(11)에 형성시킬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단말기 본체(11)는 상기 첫 번째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롤러(100)가 장착되는 장착구멍(11a)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구멍(11a)의 주위에는 상기 센서기판(210)의 투광구멍(212)과 상응하는 위치에 발광소자(222)로 부터 조사된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투광창(11b)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표시패턴(11c)은 상기 투광창(11b)에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상기 표시패턴(11c)이 상기 투광창(11b)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투광창(11b)의 상부면 에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투광 시트를 별도록 구비하여 상기 투광 시트에 표시패턴(11c)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도 10에는 상기 선택버튼(200)의 변형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변형된 선택버튼(200)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센서기판(210)은 투광구멍(212)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할벽(213)이 형성된다. 즉, 상기 분할벽(213)에 의해 투광구멍(212)이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공간으로 구획되는데, 이와 같이 구획된 투광구멍(212)에 의해 도 9에 예시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표시 패턴(11c)이 개별적으로 표시될 수 있도록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발광소자 기판(220)에 장착되는 발광소자(222)는 상기 분할벽(213)에 의해 구획된 투광구멍(212) 영역에 상응하는 위치로 각각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 본체(11)의 투광창(11b)에 형성되는 표시패턴(11c) 또한 상기 분할벽(213)에 의해 구획된 투광구멍(212)의 영역에 상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1에는 상기 선택버튼(200)의 또 다른 변형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변형 실시예에서는 선택버튼(200)에 출력되는 정보 내용을 나타내기 위하여 표시패턴과 발광소자를 이용하지 않고, 상기 스크롤러(100)에 적용된 것과 같은 표시소자(222-1)를 이용하게 된다. 이러한 선택버튼(200)의 구성을 설명하면, 센서기판(210)은 투광구멍(212)이 구획되지 않도록 단일의 투광구멍(212)을 갖도록 구성되고, 단말기 본체(11)의 투광창(11b)에는 표시패턴이 형성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센서기판(210)의 하부에는 표시소자 기판(220-1) 구비되는데, 상기 표시소자 기판(220-1)에는 상기 센서기판(210)의 투광구멍(212)에 상응하는 위치에 표시소자(222-1)가 구비된다.
즉, 상기 표시소자(222-1)에 의해 별도의 패턴을 구비하지 않고 다양한 표시형태(기호, 문자, 도형 등)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표시소자(222-1)는 LCD 또는 LED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스크롤러(100)와 선택버튼(200)으로 구성되는 작동 모드 전환장치는 도 12a 내지 도 12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작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12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크롤러(100)는 초기 모드 일 경우 문자 상태로 초기 모드인 것을 나타내거나, 또는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에 적용되는 날짜 및/또는 시간 등의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선택버튼(200)에는 어떠한 정보도 표시되지 않으며, 또한 선택버튼(200)을 활성화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2b 및 도 12c에 도시된 상태는 각각 사용자가 시계 방향으로 상기 스크롤러(100)를 작동시켜 작동 모드를 전환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스크롤러(100)의 제 1 가압부(113)를 따라 스크롤 할 때, 작동 모드가 전환되고, 이와 같이 전환된 작동 모드에 대한 정보가 상기 스크롤러(100)의 중앙부에 형성된 디스플레이 영역에 출력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스크롤러(100)의 주변에 배치되는 선택버튼(200)이 활성화되어 상기 전환된 작동 모드에 해당되는 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선택버튼(200)의 디스플레이 영역 에는 상기 선택버튼(200)이 전환된 작동 모드에 대한 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활성화될 때, 상기 스크롤러(100)에 의해 전환된 작동 모드에 대한 제어기능을 나타내는 패턴이 표시될 수 있게 된다.
이와는 다른 작동 형태를 갖도록 제어되는 변형 실시예가 도 13a 내지 도 13b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작동예는 도 1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크롤러(100)는 초기 모드 일 경우 문자 상태로 초기 모드인 것을 나타내거나, 또는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에 적용되는 날짜 및/또는 시간 등의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스크롤러(100)의 주변에 배치되는 선택버튼(200)이 초기 모드에서 자주 사용되는 일부 작동 모드로 바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활성화되어 있고, 이때, 상기 선택버튼(200)의 디스플레이 영역에는 상기 작동 모드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3b 및 도 13c에 도시된 상태는 각각 사용자가 시계 방향으로 상기 스크롤러(100)를 작동시켜 작동 모드를 전환 시키거나 또는 상기 선택버튼(200)을 통해 작동 모드를 전환 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스크롤러(100)를 통해 작동 모드를 전환하는 작동은 위에 작동예의 경우과 같다. 즉, 상기 스크롤러(100)의 제 1 가압부(113)를 따라 스크롤 할 때, 작동 모드가 전환되고, 이와 같이 전환된 작동 모드에 대한 정보가 상기 스크롤러(100)의 중앙부에 형성된 디스플레이 영역에 출력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스크롤러(100)의 주변에 배치되는 선택버튼(200)이 활성화되어 상기 전환된 작동 모드 에 해당되는 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선택버튼(200)의 디스플레이 영역에는 상기 선택버튼(200)이 전환된 작동 모드에 대한 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활성화될 때, 상기 스크롤러(100)에 의해 전환된 작동 모드에 대한 제어기능을 나타내는 패턴이 표시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선택버튼(200)을 통해 작동 모드를 전환 시키는 작동은 상기 선택버튼(200)를 작동시키면, 작동 모드가 전환되고, 이와 같이 전환된 작동 모드에 대한 정보가 상기 스크롤러(100)의 중앙부에 형성된 디스플레이 영역에 출력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선택버튼(200)은 전환된 작동 모드에 해당되는 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활성화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선택버튼(200)의 디스플레이 영역에는 상기 선택버튼(200)에 의해 전환된 작동 모드에 대한 제어기능을 나타내는 패턴이 표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설명된 각 실시예에 따른 작동 모드 전환 방법에 대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을 하겠다.
우선 작동 모드 전환장치의 첫 번째 실시예에 대한 작동 모드 전환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처음 단계에서는 설정된 작동모드의 전환을 위하여 스크롤러가 작동하게 된다.
이때, 작동 모드의 전환을 위하여 상기 스크롤러(100)가 작동되는 방식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크롤러(100)의 제 1 가압부(113)가 가압되고, 이에 의해 제 2 가압부(114)가 센서부의 영역을 가압하게 된다.
그 다음 단계에서는 상기와 같이 스크롤러(100)의 작동에 의해 작동 모드가 전환된다.
상기 단계에 의해 작동 모드가 전환된 경우에는 그 다음 단계에서 상기 스크롤러(100)의 디스플레이 영역(즉 표시부)에 상기 설정된 작동 모드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게 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표시소자(120)와 투광창(112)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의해 출력되는 작동 모드에 대한 정보는 문자, 기호, 아이콘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출력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작동 모드 전환장치의 두 번째 실시예에 대한 작동 모드 전환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처음 단계에서는 설정된 작동모드의 전환을 위하여 스크롤러(100)가 작동하게 된다.
그 다음 단계에서는 상기 스크롤러(10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스크롤러(100)에 의해 작동 모드가 전환되는 방식은 이미 설명된 것과 같다.
상기 단계에 의해 작동 모드가 전환된 경우에는 그 다음 단계에서 상기 스크롤러(100)의 디스플레이 영역(즉, 메인 표시부)과 상기 스크롤러(100)의 주변에 배치되는 선택버튼(200)의 디스플레이 영역(즉, 서브 표시부)에 각각 전환된 작동 모드에 대한 메인 정보와 서브 정보가 출력된다. 여기서, 상기 스크롤러(100)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통해 출력되는 메인 정보는 전환된 작동 모드에 대한 정보이며, 선택버튼(200)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통해 출력되는 서브 정보는 전환된 작동 모드에 대한 제어기능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그 다음 단계에서는 해당 모드에 대한 선택버튼(200)을 활성 시키게 된다. 즉, 전환된 작동 모드를 사용자가 실행할 수 있도록 선택버튼(200)이 활성화된다.
스크롤러(100)의 디스플레이 영역(즉, 메인 표시부)과 상기 스크롤러(100)의 주변에 배치되는 선택버튼(200)의 디스플레이 영역(즉, 서브 표시부)에 각각 전환된 작동 모드에 대한 메인 정보와 서브 정보가 출력되는 단계와 해당 모드에 대한 선택버튼(200)을 활성 시키는 단계는 순서가 반대로 작동되도록 구성되어도 무방하고, 또는 이 두 단계가 함께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메인 표시부와 서브 표시부에 의해 출력되는 정보는 문자, 기호, 아이콘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출력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작동 모드 전환방법과 또 다른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작동 모드 전환방법은 선택버튼(200)이 일정 작동 모드를 바로 전환할 수 있도록 활성화된 구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처음 단계에서 설정된 작동모드의 전환을 위하여 스크롤러 또는 선택버튼이 작동되는 지를 확인하게 된다. 여기서, 설정된 작동 모드의 전환을 위하여 스크롤러(100)가 작동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스크롤러(100)에 의해 작동 모드가 전환되는 방식은 이미 설명된 것과 같기 때문에 생략을 한다.
상기 단계에서 스크롤러(100)가 작동되는 경우에는 상기 스크롤러(100)의 스크롤 상태에 따라 작동 모드가 전환하게 된다.
상기 단계에 의해 작동 모드가 전환된 경우에는 그 다음 단계에서 상기 스크롤러(100)의 디스플레이 영역(즉, 메인 표시부)과 상기 스크롤러(100)의 주변에 배 치되는 선택버튼(200)의 디스플레이 영역(즉, 서브 표시부)에 각각 전환된 작동 모드에 대한 메인 정보와 서브 정보가 출력된다. 여기서, 상기 스크롤러(100)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통해 출력되는 메인 정보는 전환된 작동 모드에 대한 정보이며, 선택버튼(200)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통해 출력되는 서브 정보는 전환된 작동 모드에 대한 제어기능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만일, 처음 단계에서 선택버튼(200)이 작동하게 되는 경우에는 바로 상기 스크롤러(100)의 디스플레이 영역(즉, 메인 표시부)과 상기 스크롤러(100)의 주변에 배치되는 선택버튼(200)의 디스플레이 영역(즉, 서브 표시부)에 각각 전환된 작동 모드에 대한 메인 정보와 서브 정보가 출력하는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그 다음 단계에서는 해당 모드에 대한 선택버튼(200)을 활성 시키게 된다. 즉, 전환된 작동 모드를 사용자가 실행할 수 있도록 선택버튼(200)이 활성화된다.
스크롤러(100)의 디스플레이 영역(즉, 메인 표시부)과 상기 스크롤러(100)의 주변에 배치되는 선택버튼(200)의 디스플레이 영역(즉, 서브 표시부)에 각각 전환된 작동 모드에 대한 메인 정보와 서브 정보가 출력되는 단계와 해당 모드에 대한 선택버튼(200)을 활성 시키는 단계는 순서가 반대로 작동되도록 구성되어도 무방하고, 또는 이 두 단계가 함께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메인 표시부와 서브 표시부에 의해 출력되는 정보는 문자, 기호, 아이콘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출력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선택버튼은 자주 사용되는 작동 모드로 바로 전환되어 전환된 작동 모드를 실행시킬 수 있는 명령 정보가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작동 모드 전환장치와 작동 모드 전환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작동 모드 전환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설계 사양에 따라 상기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을 포함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혼용되어 수행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작동 모드의 전환을 빠르고 간단한 조작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전환된 작동 모드의 정보를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게 되어 사용이 편리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하면서도 신속한 작동 모드의 전환을 위한 작동 모드 전환장치의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작은 영역으로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휴대 단말기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Claims (37)
- 단말기 바디; 및상기 단말기 바디에 장착되어 스크롤 방식으로 작동 모드를 전환시키는 스크롤러를 포함하고,상기 스크롤러는,전환된 작동 모드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도록 중앙부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영역; 및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외주부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손가락 위치를 감지하여 손가락의 가압 위치에 대하여 설정된 작동 모드로 전환시키는 입력부를 포함하고,상기 스크롤러는,상기 입력부가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가압되는 환형의 제 1 가압부와 가압부의 중앙에 위치되는 투광창 및 FSR 센서부를 가압하는 제 2 가압부로 구성되는 작동체; 및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작동체의 하부에 위치되어 투광창에 상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표시소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작동체는 제 2 가압부의 단부에 결합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 2 가압부와 상응하는 위치를 따라 각각의 작동 모드를 출력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FSR 센서부 및 상기 표시소자가 작동 모드에 상응하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스크롤러에 의해 전환된 작동 모드에 대한 제어기능의 패턴을 표시하며, 전환된 작동 모드에 해당되는 기능을 작동시키는 선택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삭제
- 삭제
- 삭제
- 제5항에 있어서,상기 선택버튼은 스크롤러에 의해 전환된 작동 모드에 대한 제어기능을 표시하는 표시부와;상기 표시부의 영역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와;상기 표시부에 의해 형성되는 패턴이 사용자에게 인식되도록 하는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삭제
- 제9항에 있어서,상기 표시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시패턴과 표시패턴에 상응하는 발광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각 표시패턴과 각 표시패턴에 상응하는 발광소자가 서로 구획될 수 있도록 분할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5항에 있어서,상기 선택버튼은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와;상기 스크롤러에 의해 전환된 작동 모드에 대한 제어기능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2항에 있어서,상기 표시부는 LCD 또는 LED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5항에 있어서,상기 스크롤러는상기 제 2 가압부와 상응하는 위치를 따라 각각의 작동 모드를 출력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FSR 센서부 및 상기 표시소자가 작동 모드에 상응하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상기 선택버튼은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와;상기 스크롤러에 의해 전환된 작동 모드에 대한 제어기능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84882A KR101328132B1 (ko) | 2006-09-04 | 2006-09-04 | 작동 모드 전환장치와 작동 모드 전환장치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및 작동 모드 전환방법 |
TW096124927A TWI370666B (en) | 2006-09-04 | 2007-07-09 | Operation mode conversion devic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operation mode conversion device and method for converting operation mode using the same |
DE102007032144A DE102007032144A1 (de) | 2006-09-04 | 2007-07-10 | Operationsmodus-Konvertierungsgerät, tragbares Kommunikationsendgerät mit dem Operationsmodus-Konvertierungsgerät und Verfahren zum Konvertieren des Operationsmodus unter Verwendung desselben |
FR0757210A FR2905552B1 (fr) | 2006-09-04 | 2007-08-28 | Dispositif de conversion de mode de fonctionnement, terminal de communication mobile ayant le dispositif de conversion de mode de fonctionnement et procede de conversion de mode de fonctionnement utilisant ce dispositif |
US11/849,110 US8032185B2 (en) | 2006-09-04 | 2007-08-31 | Operation mode conversion devic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operation mode conversion device and method for converting operation mode u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84882A KR101328132B1 (ko) | 2006-09-04 | 2006-09-04 | 작동 모드 전환장치와 작동 모드 전환장치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및 작동 모드 전환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21442A KR20080021442A (ko) | 2008-03-07 |
KR101328132B1 true KR101328132B1 (ko) | 2013-11-08 |
Family
ID=38989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84882A KR101328132B1 (ko) | 2006-09-04 | 2006-09-04 | 작동 모드 전환장치와 작동 모드 전환장치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및 작동 모드 전환방법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8032185B2 (ko) |
KR (1) | KR101328132B1 (ko) |
DE (1) | DE102007032144A1 (ko) |
FR (1) | FR2905552B1 (ko) |
TW (1) | TWI370666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60247047A1 (en) * | 2005-04-14 | 2006-11-02 | Mitchell Michael J | Universal button module |
US8022935B2 (en) * | 2006-07-06 | 2011-09-20 | Apple Inc. | Capacitance sensing electrode with integrated I/O mechanism |
WO2008023667A1 (fr) * | 2006-08-25 | 2008-02-28 | Kyocera Corporation | Appareil électronique portable et procédé de commande d'appareil électronique portable |
US20090160762A1 (en) * | 2007-12-20 | 2009-06-25 | Apple Inc. | User input device with expanded functionality |
TW200939070A (en) * | 2008-03-05 | 2009-09-16 | Mobinnova Corp | Compound input apparatus and its inputting method |
US9018030B2 (en) * | 2008-03-20 | 2015-04-28 | Symbol Technologies, Inc. | Transparent force sensor and method of fabrication |
US20090237374A1 (en) * | 2008-03-20 | 2009-09-24 | Motorola, Inc. | Transparent pressure sensor and method for using |
JP5503652B2 (ja) * | 2008-09-02 | 2014-05-28 |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 | 回転ホイールを備えた入力デバイス |
USD611443S1 (en) * | 2008-09-24 | 2010-03-0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Portable telephone |
US8988191B2 (en) * | 2009-08-27 | 2015-03-24 | Symbol Technologies,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pressure-based authentication of an input on a touch screen |
KR101608799B1 (ko) * | 2009-11-04 | 2016-04-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객체 출력이 가능한 다이얼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장치 및 방법 |
US8669949B2 (en) * | 2009-11-06 | 2014-03-11 | Bose Corporation | Touch-based user interface touch sensor power |
US20110113371A1 (en) * | 2009-11-06 | 2011-05-12 | Robert Preston Parker | Touch-Based User Interface User Error Handling |
US8350820B2 (en) * | 2009-11-06 | 2013-01-08 | Bose Corporation | Touch-based user interface user operation accuracy enhancement |
US8692815B2 (en) * | 2009-11-06 | 2014-04-08 | Bose Corporation | Touch-based user interface user selection accuracy enhancement |
US8638306B2 (en) * | 2009-11-06 | 2014-01-28 | Bose Corporation | Touch-based user interface corner conductive pad |
US20110109560A1 (en) | 2009-11-06 | 2011-05-12 | Santiago Carvajal | Audio/Visual Device Touch-Based User Interface |
US8686957B2 (en) * | 2009-11-06 | 2014-04-01 | Bose Corporation | Touch-based user interface conductive rings |
US9201584B2 (en) * | 2009-11-06 | 2015-12-01 | Bose Corporation | Audio/visual device user interface with tactile feedback |
KR101612302B1 (ko) | 2009-11-24 | 2016-04-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협력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US8963874B2 (en) | 2010-07-31 | 2015-02-24 | Symbol Technologies, Inc. | Touch screen render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
USD800708S1 (en) * | 2014-11-05 | 2017-10-2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
US20160259488A1 (en) * | 2015-03-06 | 2016-09-08 | Alibaba Group Holding Limited | Navigation user interface for compact mobile devices |
CN105892888A (zh) * | 2016-03-31 | 2016-08-24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输入组件及移动终端 |
EP3699737A1 (en) * | 2019-02-25 | 2020-08-26 | Defond Electech Co., Ltd | A control knob with motion sensing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a machin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65059A (ko) * | 2001-02-05 | 2002-08-13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조그 다이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JP2005112027A (ja) * | 2003-10-03 | 2005-04-28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入力スイッチとそれを用いた自動車および映像撮影装置 |
KR20050087221A (ko) * | 2004-02-26 | 2005-08-3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모드 다이얼이 구비된 개인 휴대단말기 및 이의 키패드설정방법 |
KR20070112680A (ko) * | 2006-05-22 | 2007-11-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회전형 메뉴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메뉴제어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I111897B (fi) * | 1995-11-24 | 2003-09-30 | Nokia Corp | Kaksitoiminen tiedonvälityslaite |
US6049697A (en) * | 1998-06-18 | 2000-04-11 | Scozzarella; Arlene | Translator for messages transmitted to and received by a numeric pager |
JP4121653B2 (ja) * | 1999-01-21 | 2008-07-23 |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 消費電力低減方法、該方法を用いた携帯用電子機器及びエンタテインメントシステム |
US7076738B2 (en) * | 2001-03-02 | 2006-07-11 | Semantic Compaction Systems | Computer device, method and article of manufacture for utilizing sequenced symbols to enable programmed application and commands |
US20030227425A1 (en) * | 2002-06-05 | 2003-12-11 | Mckay Michael | Communication apparatus incorporating a visual signaling device |
JP2005254793A (ja) * | 2003-07-17 | 2005-09-22 | Seiko Epson Corp | 出力装置及び無線通信器 |
US8068605B2 (en) * | 2006-03-07 | 2011-11-29 |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 Programmable keypad |
-
2006
- 2006-09-04 KR KR1020060084882A patent/KR10132813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7
- 2007-07-09 TW TW096124927A patent/TWI370666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7-07-10 DE DE102007032144A patent/DE102007032144A1/de not_active Ceased
- 2007-08-28 FR FR0757210A patent/FR2905552B1/fr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7-08-31 US US11/849,110 patent/US8032185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65059A (ko) * | 2001-02-05 | 2002-08-13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조그 다이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JP2005112027A (ja) * | 2003-10-03 | 2005-04-28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入力スイッチとそれを用いた自動車および映像撮影装置 |
KR20050087221A (ko) * | 2004-02-26 | 2005-08-3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모드 다이얼이 구비된 개인 휴대단말기 및 이의 키패드설정방법 |
KR20070112680A (ko) * | 2006-05-22 | 2007-11-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회전형 메뉴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메뉴제어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I370666B (en) | 2012-08-11 |
KR20080021442A (ko) | 2008-03-07 |
US20080058022A1 (en) | 2008-03-06 |
US8032185B2 (en) | 2011-10-04 |
FR2905552B1 (fr) | 2016-07-29 |
TW200818850A (en) | 2008-04-16 |
DE102007032144A1 (de) | 2008-03-06 |
FR2905552A1 (fr) | 2008-03-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28132B1 (ko) | 작동 모드 전환장치와 작동 모드 전환장치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및 작동 모드 전환방법 | |
US6518958B1 (en) | Electronic apparatus having plural entry switches | |
US8035621B2 (en) | Input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 |
US7170497B2 (en) |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element | |
KR100617821B1 (ko) |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 |
EP1653338B1 (en) | Mobile information terminal | |
EP2367094B1 (en) | Touch sensitive keypad with tactile feedback | |
JP4716956B2 (ja) | タッチキーアセンブリ及びこれを備えた移動通信端末機 | |
KR100755862B1 (ko) |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에서의 디스플레이 방법 | |
WO2010110459A1 (ja) | 電子機器、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表示方法 | |
KR101339942B1 (ko) | 입력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 |
JP2000224280A (ja) | スイッチ装置およびそのスイッチ装置を用いた携帯端末装置 | |
US20080018607A1 (en) | Input devic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 |
JP5421631B2 (ja) | 電子機器 | |
TWI459789B (zh) | 用於在終端機輸入區域上顯示符號之裝置與方法 | |
JP4984667B2 (ja) | 電子機器の操作スイッチ及び操作制御方法 | |
KR20100088832A (ko) |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 |
JP5213336B2 (ja) | 携帯電話装置 | |
KR200412587Y1 (ko) | 휴대용 전자장치의 입력장치 | |
JP2013229062A (ja) | 電子機器 | |
KR20050055841A (ko) | 네비게이션 키 겸용 서브 엘씨디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단말기 | |
EP1276300A2 (en) | System and methods for illuminating a functional switch o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 |
EP2784622B1 (en) | A keypad with optical sensors | |
JP2006107091A (ja) | 入力装置及びこれらを備えた携帯端末 | |
JP5293796B2 (ja) | 電子機器の操作スイッチ及び操作制御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B701 | Decision to gr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