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5133B1 - System for recognizing electric apparatus using usage pattern of electric power and device thereof - Google Patents
System for recognizing electric apparatus using usage pattern of electric power and device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25133B1 KR101325133B1 KR1020120103540A KR20120103540A KR101325133B1 KR 101325133 B1 KR101325133 B1 KR 101325133B1 KR 1020120103540 A KR1020120103540 A KR 1020120103540A KR 20120103540 A KR20120103540 A KR 20120103540A KR 101325133 B1 KR101325133 B1 KR 10132513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 electronic device
- monitoring
- power usage
- curr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30—Measuring the maximum or the minimum value of current or voltage reached in a time interval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02—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signal transmitted is magnitude of current or volt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자기기 인식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전력을 사용하는 전자기기의 전력사용패턴을 분석하여 해당 기기의 종류를 인식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lectronic device recogni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nitoring system and an apparatus therefor for recognizing a type of a device by analyzing a power usage pattern of an electronic device using power.
현재 일반적으로 각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는 TV, 냉장고, 컴퓨터, 정수기, 전등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전자기기가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다양한 전자기기간에 네트워크로 연결된 스마트 홈(smart home) 시스템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홈 네트워킹(Home Networking)은 가정 내 다양한 전자기기들 상호간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으로서, 가정 내부에서는 냉장고, 스마트TV, 텔레비전, 개인용 단말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PC 등) 등의 전자기기들이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커뮤니케이션하고 외부에서는 인터넷을 통해 상호 접속이 가능한 환경을 구축하는 것을 의미한다.Currently, various types of electronic devices such as TVs, refrigerators, computers, water purifiers, and lamps are generally used in each home or office. Recently, research and development on a smart home system connected to a network in various electromagnetic periods have been actively carried out. Home networking is a network between various electronic devices in the home. In the home, electronic devices such as a refrigerator, a smart TV, a television, a personal terminal (for example, a smart phone, a tablet PC, This means establishing an environment that enables mutual communication through the network and interconnection via the Internet from the outside.
이러한 스마트 홈 시스템에서의 중요한 이슈 중 하나가 전자기기들의 효율적인 전력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각종 전자기기를 콘센트에 접속시켜 사용하고 있는데, 전자기기는 사용하지 않는 대기상태에서도 다량의 전기가 소모되는 이른바 대기전력이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대기전력만을 차단하더라도 연간 수많은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게 된다.One of the important issues in these smart home systems is to enable the efficient use of electronic devices. For example, most users use a variety of electronic devices connected to an outlet,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tandby power is consumed because a large amount of electricity is consumed even when the electronic device is not in use. It will save a lot of energy every year.
이를 위해서는, 각종 전자기기들의 전력 사용을 모니터링(monitoring)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특히, 정확한 모니터링을 위해 모든 전자기기들의 총 전력 사용량뿐 아니라, 전자기기들 각각의 전력 사용량, 사용 패턴 등을 모니터링해야 한다. To this end, there is a need for a system for monitoring the power usage of various electronic devices. In particular, for accurate monitoring, it is necessary to monitor not only the total power usage of all electronic devices, but also the power usage and usage patterns of each of the electronic devices.
이러한 전자기기들 각각의 전력사용량을 모니터링하기 위해서는, 각 콘센트에 연결된 전자기기가 어떠한 종류(또는 기종)인지 여부를 모니터링 시스템측에서 알아야 한다. 종래에는 홈 시스템을 구축하는 관리자들이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각 콘센트에 연결된 전자기기들에 대한 정보를 직접 일일이 입력하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이에 따르면 관리자의 전자기기 정보 입력으로 인한 불편뿐 아니라, 사용자가 전자기기의 전원코드를 다른 콘센트에 연결하게 되면 정확한 모니터링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In order to monitor the power consumption of each of these electronic devices, the monitoring system must know what kind (or type) of electronic devices connected to each outlet. In the related art, a manager who builds a home system directly inputs information on electronic devices connected to each outlet as a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is, as well as inconvenience caused by the administrator's input of the electronic device information, when the user connects the power cord of the electronic device to another outlet, it becomes difficult to accurately monitor.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전자기기별 전력 사용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콘센트에 연결된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에 대한 패턴을 분석하여 해당 전자기기의 종류 또는 기종을 인식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in order to monitor the power usage for each electronic device, by analyzing the pattern of the power usage of the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outlet to recognize the type or model of the electronic device To provide a monitoring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following preferred embodiment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자기기들의 전력 사용을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연결된 전자기기로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전자기기의 대기전류, 최고전류, 최소전류 및 진동수 중 적어도 둘 이상에 대해 센싱정보를 포함하는 전력사용패턴정보를 생성하는 스마트 콘센트; 및 상기 스마트 콘센트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상기 전력사용패턴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전자기기의 종류를 식별하는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invention, in the system for monitoring the power usage of the electronic devices, the power supply to the connected electronics, and sensing at least two or more of the standby current, the maximum current, the minimum current and the frequency of the electronic device A smart outlet for generating power usage pattern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And a monitoring device for analyzing the power usage pattern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network from the smart outlet to identify the type of the electronic device.
여기서, 상기 스마트 콘센트는 상기 전자기기가 연결되어 전력이 공급되기 시작하면, 상기 전력사용패턴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대기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기기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았던 기간에 상응하는 절약전력을 산출할 수 있다.Here, the smart outlet may generate the power usage pattern information when the electronic device is connected and starts to supply power, and the monitoring device uses a standby current to supply power to the electronic device. The power saving corresponding to can be calculated.
또한,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전력사용패턴정보와 가장 유사한 패턴을 갖는 기기에 대한 정보를 취득함으로써, 상기 전자기기의 종류 및 기종을 식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onitoring device may identify the type and model of the electronic device by searching for a database connected through a network and obtaining information on a device having a pattern most similar to the power usage pattern information.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자기기들의 전력 사용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장치에 있어서, 연결된 전자기기로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전자기기의 대기전류, 최고전류, 최소전류 및 진동수 중 적어도 둘 이상에 대해 센싱정보를 포함하는 전력사용패턴정보를 생성하는 콘센트 장치로부터 상기 전력사용패턴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모듈; 및 상기 전력사용패턴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전자기기의 종류를 식별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모니터링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in the monitoring device for monitoring the power use of the electronic devices, the power supply to the connected electronics, at least two or more of the standby current, the maximum current, the minimum current and the frequency of the electronic device A communication module for receiving the power usage pattern information from an outlet device generating power usage pattern information including sensing information; And a control module for analyzing the power usage pattern information to identify the type of the electronic device.
여기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대기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기기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았던 기간에 상응하는 절약전력을 산출할 수 있다.Here, the control module may calculate the saving power corresponding to the period when the power is not supplied to the electronic device by using the standby current.
그리고, 전자기기로 전력을 공급하는 콘센트 장치에 있어서, 연결된 전자기기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공급부; 상기 전력공급부를 통해 상기 전자기기로 전력이 공급되면, 상기 전자기기의 대기전류, 최고전류, 최소전류 및 진동수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센싱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에 의해 센싱된 센싱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모니터링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모니터링 장치가 상기 센싱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전자기기의 종류를 식별하도록 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콘센트 장치가 제공된다.
And, an outlet device for supplying power to th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nnected electronic device; A sensing unit configured to sense at least two or more of standby current, maximum current, minimum current, and frequency of the electronic device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And a communication unit which transmits the sensing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ing unit to a monitoring device connected through a network so that the monitoring device analyzes the sensing information to identify the type of th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하면, 콘센트에 연결된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에 대한 패턴을 분석하여 해당 전자기기의 종류 또는 기종을 자동으로 인식함으로써, 전자기기별 전력 사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nalyzing the pattern of the power usage of the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outlet to automatically recognize the type or model of the electronic device, it is possible to monitor the power usage for each electronic devic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기기에 전원이 공급되기 시작하면, 대기전력을 차단함으로 인해 절약된 전력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에너지 절약에 대한 주의를 이끌어 대기전력에 의한 전력의 낭비를 예방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electronic device, by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power saved by shutting off the standby power to the user, draw attention to the energy saving of the user of the power by the standby power Waste can be preven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전력사용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기능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사용 전류량을 예시한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기능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들의 모니터링정보를 예시한 블록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monitoring system for monitoring the power usage of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outle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graph illustrating the amount of current used by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monitoring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전력사용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onitoring system for monitoring power use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제시스템은 전자기기들(10-1, 10-2, ..., 10-n, 이하 10으로 통칭), 콘센트 장치(30) 및 모니터링 장치(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premis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electronic devices 10-1, 10-2,..., 10-n, hereafter referred to as 10, an
전자기기(1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냉장고, TV, 컴퓨터 등 전력을 사용하는 모든 장치들일 수 있다. 전자기기(10)는 콘센트 장치(30)에 연결되면 전력을 공급받는데, 사용하는 전력은 대기전력과 구동전력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TV의 경우 콘센트 장치(30)에 전력코드가 연결되면, 전원이 켜지기까지 대기전력을 사용하고, 사용자에 의해 전원이 켜지면 실제 TV기능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전력을 사용한다. 대기전력이란 기기(器機)의 동작과 관계없이 사용자가 의식하지 않는 사이에 소모되는 전기에너지를 말한다. 리모컨으로 작동되고, 작동상태를 알려주는 디스플레이장치가 장착된 전자제품의 증가와 함께 대기전력 소비도 늘어나는 추세이다. 예를 들어 복사기나 비디오 레코더는 전체 사용전력의 80%가 대기전력으로 추정되는데, 컴퓨터, 모니터, 프린터, 팩시밀리, 세탁기, 에어컨, 텔레비전, DVD플레이어, 전자레인지, 휴대전화충전기 등이 대기전력 소비가 많다. The
모니터링 장치(50)는 이렇듯 콘센트 장치(3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전자기기(10)의 전력 사용을 모니터링한다. 즉, 콘센트 장치(30)는 코드가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전자기기(10)가 사용하는 사용 전력에 대한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모니터링 장치(50)로 전달하는 것이며, 모니터링 장치(50)는 이렇게 수집된 정보들을 기반으로 각종 전자기기(10)의 대기전력 사용량, 구동전력 사용량, 기간별 총 전력 사용량 등을 모니터링한다. The
본 실시예에서는 멀티탭 콘센트와 같이 하나의 콘센트 장치(30)에 다수의 전자기기들이 연결되는 것을 가정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개의 콘센트 장치(30)에 의해 전자기기들로 전력이 공급될 수도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are connected to one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은 콘센트 장치(30)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는 전자기기(10)의 종류를 자동 인식한다. 쉽게 말해, 냉장고의 전원 코드가 콘센트 장치(30)에 연결되면, 모니터링 장치(50)는 해당 전자기기(10)가 냉장고임을 인식하는 것이다. 그 방식을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콘센트 장치(30)는 연결된 전자기기(10)가 사용하는 전력 사용에 대한 정보(이하, 전력사용패턴정보라 칭함)를 모니터링 장치(50)로 제공하고, 모니터링 장치(50)는 해당 전력사용패턴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전자기기(10)가 사용하는 전력에 대한 사용패턴을 분석함으로써 그 전자기기(10)의 종류 및/또는 기종을 인식하는 것이다. 그 인식 방식에 대해서는 추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In particular, th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utomatically recognizes the type of the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모니터링 장치(50)에 의해 모니터링되어 분석되는 각 전자기기(10)의 전력 사용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수단(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수단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한 출력수단은 LCD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구현되어 모니터링 장치(50)에 구비될 수 있으며, 또는 사용자의 단말(예를 들어 스마트폰)로 모니터링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통신 수단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output means (for example, display means, etc.) for outputting monitoring information on power usage of each
그리고 네트워크(40)는 유선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나, 지그비(Zigbee)와 같은 무선통신 기술로 인한 무선통신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현재에도 홈 네트워크 시스템과 같이 특정한 지역(가정, 회사 등)에서 다양한 유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이 구축되고 있으므로, 네트워크에 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물론, 다른 예에 따르면 콘센트 장치(30)와 모니터링 장치(50)간에는 별도의 네트워크(40) 없이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지그비 또는 블루투스 등)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The
이하, 콘센트 장치(30)와 모니터링 장치(50)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장치(30)의 구성을 도시한 기능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사용 전류량을 예시한 그래프이다.2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도 2를 참조하면, 콘센트 장치(30)는 전력공급부(32), 센싱부(34) 및 통신부(36)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전력공급부(32)는 기본적인 콘센트의 기능인 연결된 전자기기로의 전력 공급 기능을 수행한다. 센싱부(34)는 전력공급부(32)를 통해 전자기기로 전력이 공급되면, 해당 전자기기가 사용하는 대기전류, 최고전류, 최소전류 및 진동수 등을 센싱한다. 센싱부(34)에 의해 센싱된 대기전류, 최고전류, 최소전류 및 진동수는 모니터링 장치(50)로 통신부(36)에 의해 전달되는데, 상기한 센싱정보들을 이하에서는 전력사용패턴정보라 칭하기로 한다.The
전력사용패턴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전자기기의 사용전류량을 그래프화한 도 3을 참조하면, 전자기기가 콘센트로부터 전력을 인가받아 대기전력을 사용하면 대기전류(I1)가 측정되고, 차후 전자기기의 전원이 켜지면 교류전압의 사용에 의해 최고전류(I3)와 최저전류(I2)가 일정 주기(L)로 측정된다. 상기한 주기는 일정시간에 따른 진동수(frequency)로 계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which graphs the amount of current used by the electronic device to explain the power usage pattern information, when the electronic device receives power from the outlet and uses standby power, the standby current I1 is measured. When the power is turned on, the highest current I3 and the lowest current I2 are measured at a constant period L by the use of an AC voltage. The period may be calculated as a frequency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time.
따라서, 콘센트 장치(30)의 센싱부(34)는 사용전류량에 따른 대기전류, 최고전류, 최저전류 및 진동수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센싱하며, 센싱부(34)에 의해 센싱된 센싱값들이 전력사용패턴정보로서 통신부(36)에 의해 모니터링 장치(50)로 전송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전자기기들마다 사용전류량은 서로 상이할 수 있으므로, 모니터링 장치(50)는 상기한 대기전류, 최고전류, 최저전류 및 진동수를 이용하여 해당 전자기기의 종류뿐 아니라, 기종까지도 인식할 수 있다.
Since the amount of current used for each electronic device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50)의 구성을 도시한 기능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들의 모니터링정보를 예시한 블록도이다.4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50)는 통신모듈(410), 메모리(430) 및 제어모듈(450)을 포함하되, 제어모듈(450)은 기기식별부(452) 및 절약전력산출부(454)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통신모듈(410)은 네트워크(40)를 통해 연결된 콘센트 장치(30)로부터, 전자기기의 대기전류, 최고전류, 최소전류 및 진동수 등에 대한 전력사용패턴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수단이다. The
메모리(430)에는 관리하는 전자기기들의 모니터링 정보가 저장된다. 모니터링 정보를 예시한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모니터링 정보로는 각 전자기기에 대한 전력 누적사용량, 현상태(510, 예를 들어 구동중인지, 대기전력 사용중인지, 또는 전력공급이 차단된 상태인지 등), 절약전력(520) 등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전자기기의 상세정보로서 기종정보가 더 관리될 수도 있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기종은 전자기기의 전력사용패턴을 이용하여 인식될 수 있다. The
제어모듈(450)은 메모리(430)에 저장된 정보들을 기반으로, 통신모듈(410)을 통해 콘센트 장치(30)로부터 수신한 전력사용패턴정보에 따른 전자기기가 무엇인지(즉, 해당 전자기기의 종류 및/또는 기종)를 인식한다. 메모리(430)에는 각종 전자기기들의 전력사용패턴에 대한 정보들이 저장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제어모듈(450)은 콘센트 장치(30)에서 전력을 공급받고 있는 전자기기가 어떤 종류인지 및 어떤 기종인지까지도 인식할 수 있다.The
제어모듈(450)의 기기식별부(452)는 상기한 바와 같은 전자기기의 종류를 식별하도록 기능한다. 일례에 따르면, 기기식별부(452)는 메모리(430)에 저장된 정보들 외에도 통신모듈(410)을 통해 외부의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여, 식별하고자 하는 전자기기의 전력사용패턴과 가장 유사한 패턴을 갖는 전자기기에 대한 정보를 취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인터넷망을 통해 각종 데이터베이스(예를 들어, 구글(google)의 데이터베이스 등)가 검색됨으로써, 단순히 해당 전자기기의 종류(예를 들어 TV, 냉장고, 컴퓨터 등등)뿐 아니라, 기종(TV를 예로 들자면, 삼성TV, 엘지TV 등등)까지도 식별될 수 있다.The
제어모듈(450)의 절약전력산출부(454)는 전력사용패턴정보에 따른 전자기기의 대기전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전자기기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았던 기간에 따라 대기전력이 절약된 절약전력을 산출한다. 쉽게 말해, 전자기기의 전기 코드가 콘센트 장치(30)에 연결되지 않음으로 인해 해당 전자기기가 사용하지 않은 대기전력의 양이 측정되는 것이다. 쉬운 예로, 절약전력산출부(454)는 해당 전자기기로의 전력 공급이 중단된 시점(視點)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까지 흐른 시간과 해당 전자기기의 대기전력 사용에 따라 측정된 대기전류를 이용하여 절약전력을 산출할 수 있다. 제어모듈(450)은 산출된 절약전력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출력수단(미도시,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 또는 사용자의 스마트폰 등)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The power saving unit 454 of the
상술한 바와 같은 전원 연결 시에 절약전략을 산출하는 방식과는 다른 일례에 따르면, 모니터링 대상이 되는 전자기기들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를 유지함에 따라, 연결차단 상태의 전자기기에 의한 절약전력은 수시로 갱신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해당 전자기기(예를 들어 에어컨)에 다시 전원이 공급되기 시작하면, 미리 카운팅되고 있던 절약전력에 대한 정보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ample different from the method of calculating the saving strategy at the time of power connection as described above, the power saving by the electronic device in the disconnected state is frequently updated as the monitoring information about the electronic devices to be monitored is maintained. And may be managed as shown in FIG. 5. According to this, when power is again supplied to the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an air conditioner), the information about the pre-counted power saving can be used as it is.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기기의 전원코드를 연결하는 시점에 대기전력을 차단함으로 인해 절약된 전력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에너지 절약에 대한 주의를 이끌어 대기전력에 의한 전력의 낭비를 예방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by providing the user with information on the power saved by shutting off the standby power at the time of connecting the power cord of the electronic device, draw attention to the energy saving of the user to the power of the standby power Waste can be prevented.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varied and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10-1, 10-2, ..., 10-n : 전자기기
30 : 콘센트 장치
40 : 네트워크
50 : 모니터링 장치10-1, 10-2, ..., 10-n:
30: outlet device
40: Network
50: monitoring device
Claims (7)
전자기기가 연결되어 전력이 공급되기 시작하면, 상기 전자기기의 대기전류, 최고전류, 최소전류 및 진동수 중 적어도 둘 이상에 대해 센싱정보를 포함하는 전력사용패턴정보를 생성하는 스마트 콘센트; 및
상기 스마트 콘센트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상기 전력사용패턴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전자기기의 종류를 식별하고, 상기 대기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기기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았던 기간에 상응하는 절약전력을 산출하는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In a system for monitoring the power usage of electronic devices,
A smart outlet configured to generate power usage pattern information including sensing information on at least two of standby current, maximum current, minimum current, and frequency of the electronic device when the electronic device is connected and starts to supply power; And
Analyzing the power usage pattern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network from the smart outlet to identify the type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using the standby current to calculate the saving power corresponding to the period when the power was not supplied to the electronic device Monitoring system comprising a monitoring device.
연결된 전자기기로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전자기기의 대기전류, 최고전류, 최소전류 및 진동수 중 적어도 둘 이상에 대해 센싱정보를 포함하는 전력사용패턴정보를 생성하는 콘센트 장치로부터 상기 전력사용패턴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모듈; 및
상기 전력사용패턴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전자기기의 종류를 식별하고, 상기 대기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기기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았던 기간에 상응하는 절약전력을 산출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모니터링 장치.
A monitoring device for monitoring power usage of electronic devices,
The power usage pattern information is supplied from an outlet device that supplies power to a connected electronic device and generates power usage pattern information including sensing information on at least two or more of standby current, maximum current, minimum current, and frequency of the electronic device. A communication module for receiving; And
And a control module which analyzes the power usage pattern information to identify the type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calculates the saving power corresponding to a period when power is not supplied to th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tandby current.
연결된 전자기기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공급부;
상기 전력공급부를 통해 상기 전자기기로 전력이 공급되면, 상기 전자기기의 대기전류, 최고전류, 최소전류 및 진동수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센싱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에 의해 센싱된 센싱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모니터링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모니터링 장치가 상기 센싱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전자기기의 종류를 식별하고 상기 대기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기기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았던 기간에 상응하는 절약전력을 산출하도록 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콘센트 장치.An outlet device for supplying power to an electronic device,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nnected electronic device;
A sensing unit configured to sense at least two or more of standby current, maximum current, minimum current, and frequency of the electronic device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sensing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ing unit is transmitted to a monitoring device connected through a network, and the monitoring device analyzes the sensing information to identify the type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power is transferred to th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tandby current. Outlet device including a communication unit for calculating the saving power corresponding to the period that was not suppli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3540A KR101325133B1 (en) | 2012-09-18 | 2012-09-18 | System for recognizing electric apparatus using usage pattern of electric power and device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3540A KR101325133B1 (en) | 2012-09-18 | 2012-09-18 | System for recognizing electric apparatus using usage pattern of electric power and device thereof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25133B1 true KR101325133B1 (en) | 2013-11-06 |
Family
ID=49856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03540A KR101325133B1 (en) | 2012-09-18 | 2012-09-18 | System for recognizing electric apparatus using usage pattern of electric power and device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25133B1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124026A (en) * | 2014-04-25 | 2015-11-05 | 전자부품연구원 | Home Appliance Feature Extraction Method based on Power Consumption Analysis |
WO2016148483A1 (en) * | 2015-03-19 | 2016-09-22 | 주식회사 스마트시티그리드 |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home energy using beacon in home energy management system |
WO2016148482A1 (en) * | 2015-03-19 | 2016-09-22 | 주식회사 스마트시티그리드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mart plug using beacon in home energy management system |
KR101708181B1 (en) * | 2016-02-25 | 2017-02-20 | 마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 Fault Diagnosis System of Electronic Devices |
CN109617047A (en) * | 2018-11-26 | 2019-04-12 | 深圳奇迹智慧网络有限公司 | A kind of power supply unit, power device and electricity system |
WO2020209486A1 (en) * | 2019-04-08 | 2020-10-1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external devic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245361A (en) * | 2008-03-31 | 2009-10-22 |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 Energy saving support system and energy saving support method |
JP2011501548A (en) * | 2007-02-23 | 2011-01-06 | メディシオネス エレクトリカス デ アンダルシア、エス.エル. |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consumption patterns from an electrical network |
KR20110110961A (en) * | 2010-04-02 | 2011-10-10 | 김영빈 | Electric energy saving system using inteligent socket and remote controll |
KR101182780B1 (en) * | 2012-03-08 | 2012-09-14 | (주) 위즈네트 | Smart meter apparatus for efficient power management and power managing method using the same apparatus |
-
2012
- 2012-09-18 KR KR1020120103540A patent/KR101325133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501548A (en) * | 2007-02-23 | 2011-01-06 | メディシオネス エレクトリカス デ アンダルシア、エス.エル. |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consumption patterns from an electrical network |
JP2009245361A (en) * | 2008-03-31 | 2009-10-22 |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 Energy saving support system and energy saving support method |
KR20110110961A (en) * | 2010-04-02 | 2011-10-10 | 김영빈 | Electric energy saving system using inteligent socket and remote controll |
KR101182780B1 (en) * | 2012-03-08 | 2012-09-14 | (주) 위즈네트 | Smart meter apparatus for efficient power management and power managing method using the same apparatus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124026A (en) * | 2014-04-25 | 2015-11-05 | 전자부품연구원 | Home Appliance Feature Extraction Method based on Power Consumption Analysis |
KR101641644B1 (en) | 2014-04-25 | 2016-07-22 | 전자부품연구원 | Home Appliance Feature Extraction Method based on Power Consumption Analysis |
WO2016148483A1 (en) * | 2015-03-19 | 2016-09-22 | 주식회사 스마트시티그리드 |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home energy using beacon in home energy management system |
WO2016148482A1 (en) * | 2015-03-19 | 2016-09-22 | 주식회사 스마트시티그리드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mart plug using beacon in home energy management system |
KR101708181B1 (en) * | 2016-02-25 | 2017-02-20 | 마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 Fault Diagnosis System of Electronic Devices |
CN109617047A (en) * | 2018-11-26 | 2019-04-12 | 深圳奇迹智慧网络有限公司 | A kind of power supply unit, power device and electricity system |
WO2020209486A1 (en) * | 2019-04-08 | 2020-10-1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external device |
KR20200118941A (en) * | 2019-04-08 | 2020-10-19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for controlling an external device |
KR102216130B1 (en) * | 2019-04-08 | 2021-02-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for controlling an external device |
US11320873B2 (en) | 2019-04-08 | 2022-05-0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external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25133B1 (en) | System for recognizing electric apparatus using usage pattern of electric power and device thereof | |
US20230021065A1 (en) | Wireless Power System With Battery Charge Indicators | |
JP3214786U (en) | Energy management system | |
Han et al. | More efficient home energy management system based on ZigBee communication and infrared remote controls | |
US20180006492A1 (en) | Energy management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CN103513579A (en) |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household appliance and air conditioner | |
KR101232276B1 (en) | System controling power of socket outlet using multi communication | |
KR101877913B1 (en) | Electric outlet detecting electrical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energy management using thereof | |
JP2016532944A (en) | Branch processor hazard detection system | |
CN205787872U (en) | A kind of intelligent control system of domestic electric appliances based on Internet of Things | |
TWI513134B (en) | Portable energy management device, power management module, and power management method | |
CN102915021A (en) | Intelligent power supply control system | |
JP2018164403A (en) | Energy management device, and energy management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JP2010114967A (en) | Transmitter, management method, and management system for electric use | |
CN103814491A (en) | Power management system that includes generator controller | |
CN105705954B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smart socket | |
US20130173076A1 (en) | Pow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Power Limiter | |
KR101183388B1 (en) | Power monitoring system and plug module | |
EP2651078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electronic appliance | |
US20180253644A1 (en) | Identifying electrical devices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 |
CN106200449B (en) |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 |
US11223501B2 (en) | Intelligent communication gateway device and implementation method thereof | |
WO2014144933A1 (en) | System and method of use for energy efficient applications driven by multiple context clocks for personal energy footprint management | |
CN105091502A (en) | Power failure prompt device and refrigerator | |
US20240047992A1 (en) | Methods and systems for remotely controlling smart electrical switches and associated devices using analytic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