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15155B1 - 세탁기 및 오존 발생 장치 - Google Patents

세탁기 및 오존 발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5155B1
KR101315155B1 KR1020087016785A KR20087016785A KR101315155B1 KR 101315155 B1 KR101315155 B1 KR 101315155B1 KR 1020087016785 A KR1020087016785 A KR 1020087016785A KR 20087016785 A KR20087016785 A KR 20087016785A KR 101315155 B1 KR101315155 B1 KR 101315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zone
water
air
tank
wash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6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5027A (ko
Inventor
마사미 스즈끼
아키히로 호소카와
Original Assignee
칭다오 하이어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헤이어 그룹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칭다오 하이어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헤이어 그룹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칭다오 하이어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80085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5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5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5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1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3/00Oxygen; Ozone; Oxides or hydroxides in general
    • C01B13/10Preparation of ozone
    • C01B13/11Preparation of ozone by electric discharge
    • C01B13/115Preparation of ozone by electric discharge characterised by the electrical circuits producing the electrical dischar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1/00Preparation of ozone by electrical discharge
    • C01B2201/20Electrodes used for obtaining electrical discharge
    • C01B2201/2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lectro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1/00Preparation of ozone by electrical discharge
    • C01B2201/60Feed streams for electrical dischargers
    • C01B2201/62Ai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2Grey water, e.g. from clothes washers, showers or dishwas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78Details relating to ozone treatment devices
    • C02F2201/782Ozone generat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 Oxygen, Ozone, And Oxid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오존 발생 장치(47)에는 2장의 오존 발생용 전극(156,157)이 설치되어 있다. 2장의 오존 발생용 전극(156,157)은 처리 유로(152) 내에 공기의 흐름 방향을 따라 직렬로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공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는 우선 1장째의 오존 발생용 전극(156)을 따라 흐르고, 그 동안에 1장째의 오존 발생용 전극(156)의 연면방전을 받아서 오존이 발생된다. 또한, 오존이 발생된 공기는 처리 유로(152) 내를 2장째의 오존 발생용 전극(157)에 흐르고, 2장째의 오존 발생용 전극을 따라 흐를 때에 연면방전을 받아서 더욱 오존이 발생된다. 농도가 높은 오존을 이용하여 세탁수의 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세탁기, 오존 발생 장치

Description

세탁기 및 오존 발생 장치{WASHING MACHINE, AND OZONE GENERATOR}
본 발명은 세탁기(전기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오존을 이용하여 세탁에 사용된 물을 정화하는 기구를 구비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정화, 제균, 소취 등에 이용되는 이러한 물 정화용 오존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에 있어서 하우징 내에 세탁조와는 별도로 저수조를 설치하고, 세탁조 내에서 사용된 후의 물을 저수조에 모으고, 그 물을 세탁조에서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물의 리사이클을 행할 수 있는 세탁기가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1 참조)
특허문헌1: 일본 특허 공개 2005-124626호 공보
특허문헌1에 기재된 세탁기에서는 저수조에 물을 모을 때에 린트(lint) 포획 수단으로 물을 여과하는 것만으로 물을 충분히 정화할 수 없다는 결점이 있다.
그래서, 특허문헌1에 기재된 저수조를 갖는 세탁기에 있어서 저수조에 모여진 물을 오존을 이용하여 정화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 경우, 오존을 발생시키기 위한 오존 발생 장치를 세탁기의 하우징 내에 갖추게 해야만 한다. 오존 발생 장치는 통상 무성 방전에 의해 오존을 발생시키므로 고전압이 인가된다. 따라서, 안전면을 고려해서 사용자가 세탁기를 조작하거나 간단한 보수 관리를 행할 때에 사용자가 접할 수 없는 상태로 배치할 필요가 있다.
또한, 세탁기는 물을 취급하는 기계이지만, 오존 발생 장치의 방전 전극은 물에 누출되거나 고온의 공기가 주어지면, 오존을 발생할 수 없는 상태로 된다. 이 때문에, 세탁기의 하우징 내에서 오존 발생 장치는 누수로부터 격리된 상태로 설치될 필요가 있다.
또한, 세탁기의 하우징 내에는 세탁조에 추가해서 저수 탱크도 배치되어 있고, 내용적이 한정된 하우징 내에는 소형의 오존 발생 장치가 아니면 배치할 여유가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하에 이루어진 것으로, 누수 대책이 실시되고, 또한 안정성이 높은 오존 발생 장치를 갖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소형이며 오존 발생 효율이 좋은 오존 발생 장치가 갖추어진 세탁수를 정화하는 기구를 갖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세탁기 이외에도 사용할 수 있는 정화, 제균, 소취 등에 이용 가능한 오존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1에 기재된 발명은, 세탁기의 외측 셸(shell)을 구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물을 모아 의류를 수용해서 세탁을 행하기 위한 세탁조와,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세탁조에서 사용된 후에 세탁조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모으기 위한 탱크와, 상기 탱크에 모여진 물을 정화하기 위한 정화 수단을 갖는 세탁기로서, 상기 정화 수단은 방전에 의해 오존을 발생시키기 위한 오존 발생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오존 발생 장치는 공기 유입구, 오존 유출구, 및, 공기 유입구와 오존 유출구 사이에 형성된 처리 유로를 갖는 케이싱과, 상기 처리 유로 내에 설치되며 처리 유로를 흐르는 공기에 대해서 연면방전을 행하여 오존을 발생시키기 위한 오존 발생용 전극과, 상기 케이싱을 상부에 유지하기 위한 프레임과, 프레임 내에 배치되며 상기 오존 발생용 전극으로의 통전 제어를 행하기 위한 전기 회로 기판과, 프레임 내에 면하며 전기 회로 기판과 오존 발생용 전극을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를 갖고, 상기 전기 회로 기판 및 접속부는 상기 프레임 내에 난연성의 절연 수지가 충전됨으로써 밀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이다.
청구항2에 기재된 발명은, 세탁기의 외측 셸을 구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의류를 수용해서 세탁을 행하기 위한 세탁조와, 상기 세탁조에 수용된 의류에 대해서 오존을 공급하여 의류의 탈취나 제균을 행하기 위한 오존 발생 장치를 갖는 세탁기로서, 상기 오존 발생 장치는 공기 유입구, 오존 유출구, 및, 공기 유입구와 오존 유출구 사이에 형성된 처리 유로를 갖는 케이싱과, 상기 처리 유로 내에 설치되며 처리 유로를 흐르는 공기에 대해서 연면방전을 행하여 오존을 발생시키기 위한 오존 발생용 전극과, 상기 케이싱을 상부에 유지하기 위한 프레임과, 프레임 내에 배치되며 상기 오존 발생용 전극으로의 통전 제어를 행하기 위한 전기 회로 기판과, 프레임 내에 면하며 전기 회로 기판과 오존 발생용 전극을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를 갖고, 상기 전기 회로 기판 및 접속부는 상기 프레임 내에 난연성의 절연 수지가 충전됨으로써 밀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이다.
청구항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케이싱은 프레임의 상면에 의해 형성된 케이스의 편측을 형성하는 케이스 베이스와, 케이스 베이스에 대해서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며 케이스의 나머지 편측을 형성하는 케이스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1 또는 2에 기재된 세탁기이다.
청구항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오존 발생용 전극은 공기의 흐름 방향을 따라 직렬로 적어도 2장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세탁기이다.
청구항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처리 유로는 전반부가 공기 유입구로부터 들어오는 공기를 제 1 방향으로 안내하고, 도중에 U턴시켜서 후반부가 공기를 제 1 방향과 역방향으로 안내하여 오존 유출구로부터 유출시키는 리턴 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세탁기이다.
청구항6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공기 유입구와 오존 유출구는 근접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5에 기재된 세탁기이다.
청구항7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오존 유출구는 2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세탁기이다.
청구항8에 기재된 발명은, 정화, 제균, 소취 등에 이용되는 오존 발생 장치로서, 공기 유입구, 오존 유출구, 및 공기 유입구와 오존 유출구 사이에 형성된 처리 유로를 갖는 케이싱과, 상기 처리 유로 내에 처리 유로를 흐르는 공기에 대해서 연면방전을 행하여 오존을 발생시키기 위한 오존 발생용 전극과, 상기 케이싱을 상부에 유지하기 위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내에 배치되며 상기 오존 발생용 전극으로의 통전 제어를 행하기 위한 전기 회로 기판과, 상기 프레임 내에 면하며 상기 전기 회로 기판과 오존 발생용 전극을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를 갖고, 상기 전기 회로 기판 및 접속부는 상기 프레임 내에 난연성의 절연 수지가 충전됨으로써 밀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 발생 장치이다.
청구항9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오존 발생용 전극은 공기의 흐름 방향을 따라 직렬로 적어도 2장 배치되고, 상기 처리 유로와 오존 유출구 사이에 삽입되고, 처리 유로로부터 오존 유출구로 공기가 흐르는 것을 허용하지만, 오존 유출구로부터 처리 유로로 물이 진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체크밸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8에 기재된 오존 발생 장치이다.
청구항10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처리 유로는 전반부가 공기 유입구로부터 들어오는 공기를 제 1 방향으로 안내하고, 도중에 U턴시켜서 후반부가 공기를 제 1 방향과 역방향으로 안내하여 오존 유출구로부터 유출시키는 리턴 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8 또는 9에 기재된 오존 발생 장치이다.
<발명의 효과>
청구항1 또는 2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오존 발생용 케이싱을 지지하는 프레임 내에는 오존 발생용 전극의 통전 제어를 행하는 전기 회로 기판이 수용되고, 또한, 전기 회로 기판과 오존 발생 전극을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가 면하고 있다. 그리고 그 전기 회로 기판 및 접속부는 난연성의 절연 수지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따라서, 누수 및 절연 성능 쌍방이 향상되고, 또한, 전체가 콤팩트한 오존 발생 장치가 실현되어 있다.
청구항3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사용에 따른 경년변화에 의해 보수 관리의 필요가 있는 오존 발생 전극은 케이스 캡을 케이스 베이스로부터 분리함으로써 노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콤팩트하면서 보수 관리성이 좋은 오존 발생 장치로 할 수 있다.
청구항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오존 발생 장치에는 적어도 2장의 오존 발생용 전극이 설치되어 있다. 2장의 오존 발생용 전극은 처리 유로 내에 공기의 흐름 방향을 따라 직렬로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공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는 우선 1장째의 오존 발생용 전극의 면을 따라 흐르고, 그 동안에 1장째의 오존 발생용 전극의 연면방전을 받아서 오존이 발생된다. 또한, 오존이 발생된 공기는 처리 유로 내를 2장째의 오존 발생용 전극으로 흐르고, 2장째의 오존 발생용 전극을 따라 흐를 때에 연면방전을 받아서 더욱 오존이 발생된다.
이와 같이, 공기의 흐름 방향을 따라 직렬로 배치된 2장의 오존 발생용 전극에 의해 처리 유로 내를 흐르는 공기에 대한 2단계의 오존 발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오존 유출구로부터 오존 농도가 높은 기체가 유출된다.
또한, 사용에 따라 공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에 함유되는 오존의 발생을 방해하는 요인(예컨대 암모니아 가스, 절연성의 미소한 이물 등)이 한쪽의 전극, 특히 공기 유입구에 가까운 측의 전극에 부착되어 한쪽의 전극의 오존 발생 능력을 다소 열화시키더라도 다른쪽의 전극에 의해 일정량의 오존 발생이 계속되므로, 메인터넌스 프리(maintenance free)에 의한 장기의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처리 유로 내에 직렬로 배치하는 오존 발생용 전극은 적어도 2장 배치되어 있으면 통과하는 공기가 2도의 연면방전을 받아서 양호하게 오존이 발생하지만, 오존 발생용 전극은 2장에 한정되지 않고, 3장 이상이 직렬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청구항5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처리 유로가 리턴 유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케이싱의 길이를 길게 하는 일 없이 케이싱 내에 2장의 오존 발생용 전극을 직렬로 배치할 수 있는 콤팩트한 처리 유로를 구성할 수 있다. 즉, 2장의 오존 발생용 전극을 배치하기 위한 처리 유로를 길게 하는 일 없이 콤팩트하게 형성할 수 있다.
청구항6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공기 유입구 및 오존 유출구가 근접되어 있고, 오존 발생 장치의 설치 방향을 정하기 쉬운 등의 이점이 있다.
청구항7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2개의 오존 유출구로부터 각각 세탁기 내의 다른 장소로 오존을 공급할 수 있다. 예컨대, 한쪽의 오존 유출구로부터 유출되는 오존을 탱크 내의 물의 정화를 위해 이용함과 아울러, 다른쪽의 오존 유출구로부터 유출되는 오존을 세탁조 내의 의류의 탈취나 제균을 위해 이용할 수 있다.
청구항8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누수 대책이 실시된 오존 발생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9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콤팩트하며 농도가 높은 오존을 발생할 수 있고, 예컨대 물 정화용으로 이용되었을 때에 오존 발생 전극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신뢰성이 높은 오존 발생 장치로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물 정화용으로 이용하는 오존 발생 장치는 오존 유출구가 정화해야 할 물이 모여진 탱크 등에 접속되거나, 물 순환 펌프 등에 접속되거나 한다. 이 때문에, 오존 유출구를 통해서 물이 역류하고, 처리 유로 내의 오존이 누출되어 오존을 발생시킬 수 없는 상태가 될 우려가 있다.
청구항9에 기재된 바와 같이, 처리 유로와 오존 유출구 사이에 체크밸브를 삽입함으로써 처리 유로 내에 오존 공급 경로를 통해서 역류하는 물이 흘러 들어 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신뢰성이 높은 오존 발생 장치로 할 수 있다.
청구항10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5에 기재된 발명과 마찬가지로, 처리 유로를 길게 하지 않아도 처리 유로 내에 양호하게 2장의 오존 발생 전극을 배치할 수 있어 콤팩트한 오존 발생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를 전후 방향을 따른 연직면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을 측방으로부터 바라본 개략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의 하방부의 내부 구조(각 구성 요소의 배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오존 발생 장치(47)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오존 발생 장치에 있어서 케이스 캡을 분리하여 처리 유로 및 그 처리 유로 내에 배치된 오존 발생용 전극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세탁기 2 : 하우징
3 : 드럼(세탁조) 4 : 탱크
5 : 외측 조(세탁조) 47 : 오존 발생 장치(정화 수단)
135 : 프레임 136 : 케이싱
138 : 전기 회로 기판 142 : 케이스 베이스
144 : 케이스 캡 145 : 공기 유입구
146 : 제 1 오존 유출구 147 : 제 2 오존 유출구
151 : 체크밸브 152 : 처리 유로(아웃라인 화살표)
156,157 : 오존 발생용 전극
이하에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을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의 사시도이며, 전방 우측 경사진 상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이 세탁기(1)는 약간 세로로 긴 하우징(2)에 의해 외측 셸이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2)의 상면에는 급수구(9)가 형성되어 있고, 이 급수구(9)에 수도 등의 급수 설비가 접속된다. 하우징1의 앞면 상방에는 조작 패널(100)이 배치되어 있다. 조작 패널(100)을 조작함으로써 사용자는 세탁기(1)에 원하는 운전을 행하게 할 수 있다.
조작 패널(100)의 좌측 옆에는 세제 및 유연제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7)가 인출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2)의 앞면은, 밑에서 위로 바라보면, 하방부가 수직하게 상승, 도중부터 경사진 후방을 향해 완만히 경사진 면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앞면의 중앙부 상측 부근에는 문(6)이 설치되어 있다. 문(6)은 정면측에서 바라보면 코너가 둥글게 된 정사각형상이지만, 그 내부에는 후술하는 외측 조(5)를 폐쇄하기 위한 원형의 시일 패킹(도시 생략)이 구비되어 있다.
하우징(2)의 앞면 하방은 독립해서 분리 가능한 전방 패널(2a)로 형성되어 있어서, 전방 패널(2a)을 분리함으로써 세탁기(1)의 하방 전방부가 노출되고, 그 하방 전방부에 구비된 펌프, 스위칭 밸브 및 필터 장치 등의 보수 관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전방 패널(2a)의 우측에는 창(130)이 형성되고, 창(130)은 덮개(131)에 의해 덮여져 있다. 덮개(131)를 분리하면 필터 장치가 노출되어 필터 장치에 의해 포획된 실 보푸라기 등의 제거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구성이다.
하우징(2)의 상면 후방은 한층 낮게 된 저단면(2b)으로 되어 있다. 이 세탁기(1)는 하우징(2)의 신장이 비교적 높으므로 설치하고자 했을 경우에 하우징(2)의 상부가 수도마개와 간섭할 경우가 있다. 그래서, 수도마개가 낮은 경우에도 세탁기(1)를 지장 없이 배치할 수 있도록 상면 후방부에 높이가 낮은 단차면(2b)이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를 전후 방향을 따른 연직면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을 측방으로부터 바라본 개략 측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이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1) 및 그 구성 요소(구성 부품)의 설명에 관한 것으로서, 편 의상 도 2에 있어서의 좌측을 정면(전방)측, 우측을 배면(후방)측, 상측을 상면(상)측, 하측을 저면(하)측, 바로 앞을 우측, 안쪽을 좌측으로 하여 설명한다.
하우징(2) 내의 중앙부에는 드럼(3)이 배치되어 있다.
드럼(3)은 원통 형상을 이루고 있고, 동일하게 원통 형상인 외측 조(5) 내에 동축상으로 수용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드럼(3) 및 외측 조(5)가 세탁조를 구성하고 있고, 드럼(3)의 전방이 비스듬히 상방을 향하는 소위 경사진 드럼 배치 구조로 되어 있다. 드럼(3) 및 외측 조(5)의 앞쪽 끝면은 개방되어 있고, 그것을 폐쇄하기 위해서 하우징(2)의 앞면에는 문(6)이 구비되어 있다. 외측 조(5)의 뒤쪽 끝면 후방에는 도시하지 않은 모터가 구비되고, 드럼(3)은 모터(도시 생략)에 의해 드럼(3)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하우징(2) 상면의 급수구(9)에는 4방 밸브인 제 1 스위칭 밸브(44)를 통해서 하우징(2) 내에 배치된 급수관(8)이 접속되어 있다. 급수관(8)의 급수구(9)에 접속된 일단과는 반대측의 타단은 외측 조(5)의 둘레면벽의 최상부에 접속되고, 급수관(8)을 통해서 급수구(9)와 외측 조(5) 내는 연통하고 있다. 급수관(8)의 도중부에는 세제 및 유연제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7)가 배치되어 있다.
수용부(7)는 하우징(2)의 전방으로 인출 가능한 박스(도시 생략)를 갖고, 박스 내에는 세제 수용실 및 유연제 수용실로 구획되어 있다. 박스가 인출되고, 세제 및 유연제가 각각의 수용실에 수용되며, 박스가 밀어 넣어짐으로써 세제 및 유연제의 세트가 완료된다. 그리고, 수용부(7)에 급수관(8)으로부터 물이 공급되면 세제 수용실과 유연제 수용실에 각각 수용된 세제 및/또는 유연제는 급수관(8)을 통해서 공급된 물에 용해되어 외측 조(5) 내에 공급된다. 또한, 세제 및/또는 유연제가 용해되어 있지 않은 물을 외측 조(5) 내에 공급하는 것도 선택적으로 가능하다.
또한, 수용부(7)에는 그 후방 측면의 상하방향 도중에 호수관(48)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호수관(48)은 그 타단이 하우징(2) 내에 구비된 펌프(33)에 접속되어 있고, 물을 길어내기 위해서 펌프(33)를 구동시킬 때에 수용부(7)로부터 펌프(33)에 마중물을 공급하는 것이다.
급수관(8)은 제 1 스위칭 밸브(44)에 의해 세제용 급수관(42)과 유연제용 급수관(43)으로 분기되고, 세제용 급수관(42) 및 유연제용 급수관(43)은 수용부(7)에서 합류한다.
그리고, 제 1 스위칭 밸브(44)는 급수구(9)로부터의 물이 유입되는 입구와 세제용 급수관(42)에 연결되는 세제용수 출구(45)과 유연제용 급수관(43)에 연결되는 유연제용수 출구(46)를 구비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제 1 스위칭 밸브(44)를 스위칭함으로써 제 1 스위칭 밸브(44)의 입구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세제용수 출구(45)로부터 세제용 급수관(42)을 통해서 수용부(7)의 상술한 세제 수용실로 흘리는 것, 또는 유연제용수 출구(46)로부터 유연제용 급수관(43)을 통해서 수용부(7)의 상술한 유연제 수용실로 흘리는 것이 선택적으로 가능하다.
이어서, 이 세탁기(1)에 의한 세탁 및 탈수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세탁을 하는 의류는 문(6)이 개방되어 하우징(2)의 앞면으로부터 드럼(3) 내에 수용된다. 문(6)이 폐쇄된 후, 세탁시에는 외측 조(5)에 급수관(8)으로부터의 물을 모을 수 있다. 외측 조(5)는 공밀적(空密的), 액밀적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드럼(3)은 그 둘레면에 다수의 작은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외측 조(5)에 물이 모아지면, 모여진 물은 드럼(3) 내에도 들어가고, 세정용 물이 드럼(3) 내에도 모여진다. 드럼(3)의 내주면에는 적절한 개소에 도시하지 않은 배플이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드럼(3)이 모터(도시 생략)에 의해 회전되면, 드럼(3) 내의 물을 포함한 의류는 배플(도시 생략)에 의해 들어 올려지고, 자연 낙하되는 소위 두드림 세탁이 행해진다.
외측 조(5)의 최하단부, 즉 뒤쪽 끝면 하방에는 후방을 향해 개방된 배수구(10)가 형성되고, 그 후방측에 배수 밸브(12)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배수 밸브(12)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배수관(11)이 접속되고, 그 도중에는 필터 장치(14) 및 제 2 스위칭 밸브(13)가 이 순서로 끼워져 삽입되어 있다. 필터 장치(14)에는 배수관(11)과는 별도로 탱크 수로로서의 분기관(15)이 접속되어 있고, 제 2 스위칭 밸브(13)를 스위칭함으로써 필터 장치(14)를 통과하는 물을 계속해서 배수관(11)을 따라 하우징(2) 밖으로 배출할지, 분기관(15)으로 유출시킬지를 선택할 수 있다.
배수구(10)를 외측 조(5)의 후방을 향해서 개구하고, 그 후방에 배수 밸브(12)를 배치함으로써 배수구(10) 및 배수 밸브(12)의 위치를 외측 조(5)의 최하단부의 높이와 거의 같은 위치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외측 조(5)의 하방에 배치되는 각종 구성 요소의 배치 공간에 배수구(10) 및 배수 밸브(12)가 들어가지 않아 각종 구성 요소의 배치 공간을 널리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세탁기(1)가 운전 되면 외측 조(5)는 진동하기 때문에, 외측 조(5)에 고정되어 있는 배수구(10)나 배수 밸브(12)가 외측 조(5)보다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면 외측 조(5)의 진동에 따라 배수 밸브(12)도 함께 진동하므로, 그 진동 분을 감안해서 하방 공간을 개방해 둘 필요가 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외측 조(5)의 후방을 이용해서 배수구(10) 및 배수 밸브(12)를 배치했으므로, 외측 조(5)의 하방 공간을 다른 구성 요소를 배치하기 위해 양호하게 활용할 수 있다.
배수 밸브(12) 및 제 2 스위칭 밸브(13)가 「개방」으로 되면 외측 조(5) 내의 물이 하우징(2) 밖으로 배출된다. 한편, 배수 밸브(12)가 「개방」으로 되어서 제 2 스위칭 밸브(13)가 「폐쇄」로 되면, 외측 조(5) 내의 물은 필터 장치(14)를 통해서 분기관(15)으로 유출된다.
그리고, 외측 조(5) 내의 물이 배출된 후, 모터(도시 생략)에 의해 드럼(3)이 탈수 회전(고속 회전)되어 의류에 포함되는 수분이 탈수된다.
이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는 세탁 및 탈수에 추가해서 건조를 행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외측 조(5)의 뒤쪽 끝면 하방에는 건조풍로(16)의 출구(17)가 접속되어 있다. 건조풍로(16)는 외측 조(5)의 뒤쪽 끝면을 따라 비스듬히 상방으로 연장되고, 외측 조(5)의 상부를 따라 전방측으로 돌아서 외측 조(5)의 상부 둘레면을 따라 전방으로 연장되고, 그 선단은 외측 조(5)의 전방 둘레면에 입구(18)로서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외측 조(5) 내부와 건조풍로(16)는 연통되어 있다. 이 건조풍로(16)는 외측 조(5)의 뒤쪽 끝면을 따라 비스듬히 상방으로 연장되는 영역이 제습 파이프(19)로서 기능하고 있다. 의류가 건조됨으로써 의류에 포함되는 수 분은 기화해서 수증기가 되고, 그 수증기를 포함하는 드럼(3) 내의 고온 다습의 공기는 출구(17)로부터 나와 제습 파이프(19) 내를 상방으로 이동한다. 그 때, 제습 파이프(19) 내에서는 열 교환용 급수관(49)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낙하된다. 상세하게는, 열 교환용 급수관(49)은 그 일단이 제 1 스위칭 밸브(44)에 접속되고, 그 타단이 제습 파이프(19)의 상부에 접속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 1 스위칭 밸브(44)를 스위칭함으로써 급수구(9)로부터의 물이 열 교환용 수관(49)으로부터 제습 파이프(19) 내로 낙하된다. 또한, 열 교환용 급수관(49)과는 별도로, 제습용 수로로서의 열 교환용 탱크수 급수관(24)으로부터도 제습 파이프(19) 내에 물이 공급될 수 있다.
제습 파이프(19) 내를 물이 낙하하면 그 물과 고온 다습의 공기가 열 교환을 하고, 고온 다습의 공기의 냉각 및 제습이 행해진다. 그리고, 물과 제습되었을 때에 액화된 수분은 제습 파이프(19) 내를 낙하한 후, 출구(17)로부터 외측 조(5)를 통해서 배수구(10)에 도달한다.
건조풍로(16) 내에는 공기의 흐름 방향으로 바라봐서 제습 파이프(19)의 하류측에 필터(20)가 내부 삽입되고, 또한 그 하류측에는 블로어(21)가 설치되어 있다. 블로어(21)가 회전됨으로써 드럼(3) 내의 공기가 출구(17)로부터 나와서 건조풍로(16) 내를 이동하고, 입구(18)로부터 다시 드럼(3) 내로 공급된다. 건조풍로(16)의 블로어(21)보다 하류측에는 히터(22)가 내부 삽입되어 있다. 건조풍로(16)를 통과하는 공기는 제습 파이프(19)에서 제습되고, 그 후, 히터(22)에 의해 가열되어 입구(18)로부터 드럼(3)으로 공급된다.
드럼(3)의 하방에는 탱크(4)가 설치되어 있다. 이 탱크(4)는 외측 조(5)에 모아져 사용된 후의 물을 모으기 위한 것이고, 밀폐 구조로 된 탱크이다. 외측 조(5)의 물을 탱크(4)에 안내하기 위해서 분기관(15)의 필터 장치(14)에 접속되어 있는 일단과는 반대측의 타단이 탱크(4) 내에서 개구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분기관(15)의 도중에는 저수 밸브(25)가 끼워져 삽입되어 있고, 분기관(15)은, 필터(14)로부터 저수 밸브(25)까지의 범위에 있어서는 필터(14)로부터 저수 밸브(25)를 향해서 비스듬히 상방으로 연장되고, 저수 밸브(25)로부터는 하방으로 연장되어 탱크(4)의 상면을 관통하고, 분기관(15)의 타단이 탱크(4) 내의 상하방향 도중에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외측 조(5)의 물은 제 2 스위칭 밸브(13)가 폐쇄되고 배수 밸브(12) 및 저수 밸브(25)가 개방됨으로써 탱크(4) 내에 안내된다.
또한, 탱크(4)에는 공기 빼기 호스(51)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공기 빼기 호스(51)는 탱크(4)로부터 외측 조(5)의 후방을 통해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그 타단이 제습 파이프(19)의 상부에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탱크(4) 내부와 건조풍로(16)는 연통되어 있다.
탱크(4)에는 탱크(4) 내에 입구(26)가 개구된 일수로(溢水路)(탱크용 일수로)로서의 압력 조정용 배수관(27)이 구비되어 있다. 압력 조정용 배수관(27)의 도중에는 체크밸브(28)가 개재되어 있다. 그리고, 압력 조정용 배수관(27)의 출구측은 배수관(11)의 제 2 스위칭 밸브(13)보다 하류측에 합류되어 있다.
압력 조정용 배수관(27)에는 또한 세탁조용 일수로로서의 오버플로우 관(23) 이 접속되어 있다. 그 때문에, 외측 조(5) 내에 소정량 이상의 물이 공급되었을 경우, 그 소정량 이상의 물이 오버플로우 관(23)에 의해 외측 조(5)의 외부로 오버플로우되어 배수관(11)을 통해 기기 밖으로 배출된다.
탱크(4)에는 탱크(4) 내에 모여진 물을 순환시키기 위해서 그 측방에 형성된 출구(31) 및 입구(30) 사이를 연통하는 순환관(32)이 설치되어 있다. 순환관(32)에는 출구(31)로부터 입구(30)를 향해서 순번대로 펌프(33), 제 3 스위칭 밸브(34) 및 이젝터(35)가 물의 순환 방향을 따르도록 끼워져 삽입되어 있다.
제 3 스위칭 밸브(34)는 5방 밸브이고, 펌프(33)로부터 토출되어 1방향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4방향 중 어느 하나로 유출시키도록 스위칭한다. 즉, 이젝터(35)를 통해서 입구(30)로부터 탱크(4)로 물을 되돌리기 위한 제 1 출구(36), 제 2 출구(37), 제 3 출구(38) 및 제 4 출구(39)를 갖는다.
제 2 출구(37)에는 탱크 배수관(40)이 연결되어 있고, 탱크 배수관(40)은 압력 조정용 배수관(27)의 체크밸브(28)보다 하류측에 합류되어 있다.
제 3 출구(38)에는 상술한 열 교환용 탱크수 급수관(24)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열 교환용 탱크수 급수관(24)의 타단은 제습 파이프(19)의 상부에 접속되어 있다.
제 4 출구(39)에는 리사이클 수로로서의 탱크수 급수관(41)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고, 탱크수 급수관(41)의 타단은 수용부(7)를 통해서 급수관(8)에 접속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 3 스위칭 밸브(34)를 스위칭함으로써 탱크(4) 내의 물을 펌 프(33)로 퍼 내고, 순환관(32)을 통해서 순환시킬 수 있다.
또한, 제 3 스위칭 밸브(34)를 스위칭함으로써 탱크(4) 내의 물을 펌프(33)로 퍼 내고, 탱크 배수관(40), 압력 조정용 배수관(27) 및 배수관(11)을 통해서 기기 밖으로 배수시킬 수 있다.
또한, 제 3 스위칭 밸브(34)를 스위칭함으로써 탱크(4) 내의 물을 펌프(33)로 퍼 내고, 열 교환용 탱크수 급수관(24)을 통해서 제습 파이프(19)에 공급할 수 있고, 수도물 대신에 이 물과 제습 파이프(19) 내의 고온 다습의 공기를 열 교환시켜서 고온 다습의 공기의 냉각 및 제습을 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3 스위칭 밸브(34)를 스위칭함으로써 탱크(4) 내의 물을 펌프(33)로 퍼 내고, 탱크수 급수관(41)으로부터 급수관(8)으로 보내고, 세탁에 재이용하기 위해 외측 조(5)에 모을 수 있다.
탱크(4)의 근방에는 오존 발생 장치(47)가 설치되어 있다. 오존 발생 장치(47)는 도시하지 않은 필터를 통해서 받아 들인 공기에 대해서 연면방전을 행하여 오존을 발생시킨다. 오존 발생 장치(47)를 통과한 공기에는 오존이 함유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오존 발생 장치(47)로부터 출력되는 오존을 함유하는 공기를 제 1 공급로(53)를 이용하여 이젝터(35)에 준다. 제 1 공급로(53)를 통해서 공급되는 오존은 이젝터(35)에 있어서 순환되고 있는 탱크(4) 내의 물에 혼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젝터(35)에 있어서 이젝터(35)를 물이 통과할 때에 생기는 부압에 의해 제 1 공급로(53)로부터 공급되는 오존을 함유하는 공기가 물 내에 잔 거 품으로서 혼입된다. 그리고, 물 내에 색소, 냄새 성분 및 잡균이 함유되어 있었을 경우, 이들은 오존에 의해 산화되어 탱크(4) 내의 물은 탈색, 탈취 및 제균된다.
이젝터(35)를 통해서 탱크(4) 내의 물에 오존이 계속 공급되면 오존의 공급에 따른 탱크(4) 내의 압력이 증가되어, 공급되는 오존에 의해 탱크(4)로부터 물이 밀어내진다. 오존 발생 장치(47)로부터는 오존만이 출력되는 것은 아니고, 오존을 함유하는 공기가 출력되므로, 이 오존을 함유하는 공기는 이젝터(35)에 있어서 잔 기포가 되어 물에 혼입된다. 물에 혼입된 잔 기포 중 오존은 수중에서 산화 반응에 의해 소멸되지만, 공기는 탱크(4) 내의 상방에 점점 모여져 탱크(4) 내의 물을 가압한다. 공기 빼기 호스(51)에 의해 탱크(4) 내의 공기의 일부는 건조풍로(16)로 빠지지만, 탱크(4) 내의 기압이 상승하면, 탱크(4) 내의 물은 입구(26)로부터 압력 조정용 배수관(27) 및 배수관(11)을 통해 하우징(2) 밖으로 배출된다. 배출되는 물의 양은 탱크(4)에 공급되는 오존의 양에 따라 변화된다.
또한, 배출되는 물은 공급되는 오존에 의해 정화된 물이고, 또한, 오존은 산화 반응에 의해 소멸되어 있다. 따라서, 배출되는 물은 정화된 무해한 물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압력 조정용 배수관(27)과 외측 조(5) 내부는 오버플로우 관(23)을 통해서 연통되어 있다. 이 때문에, 탱크(4) 내에 모여진 물이 탱크(4) 내의 공기압과 외측 조(5) 내의 공기압의 차에 따라 배수되는 것에 그쳐서 탱크(4) 내의 물이 하우징(2) 밖으로 지나치게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오존 발생 장치(47)에서 발생되는 오존을 함유한 공기는 또한 제 2 공급로(54)에 의해 건조풍로(16)에 주어진다. 주어지는 위치는 건조풍로(16)에 있어서 의 필터(20)의 하류측이며, 블로어(21)의 상류측(블로어(21)의 흡입측)이다. 블로어(21)가 회전하면 그 흡입측이 부압이 되고, 제 2 공급로(54)를 통해서 오존을 함유하는 공기가 블로어(21)에 흡입된다. 그리고 건조풍로(16)를 순환되는 공기에 오존이 혼입되어서 오존은 입구(18)로부터 드럼(3)으로 공급된다. 건조풍로(16)를 공기가 순환되는 것은 드럼(3) 내의 의류가 건조될 때이다. 이 때문에, 건조되는 의류에 대해서 오존이 공급되어 의류에 부착되어 있는 냄새 성분이나 잡균 성분은 공급되는 오존에 의해 산화되어 소취되거나, 또는 제균된다.
이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1)에서는 오존 발생 장치(47)에서 발생되는 오존을 두 가지로 활용하고 있다. 하나는 탱크(4)에 드럼(3) 및 외측 조(5)에서 사용한 후의 물을 모음으로써 모여진 물의 탈색, 탈취, 제균 및 오염의 분해라는 정화에 활용하고 있다. 또한, 물의 정화와는 별도로 오존을 건조 운전 중의 드럼(3)에 공급함으로써 건조되는 의류의 탈취나 제균에 활용하고 있다. 즉, 오존을 이용하여 드럼(3) 내에 수용된 의류의 탈취나 제균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드럼(3)을 수용한 외측 조(5)는 액밀적 또한 공밀적인 구조이고, 오존 발생 장치(47)에서 발생되는 오존은 탱크(4) 및 외측 조(5)가 오버플로우 관(23) 및 공기 빼기 호스(51)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상, 탱크(4)와 외측 조(5) 사이를 유통은 하지만, 하우징(2)으로부터 외부로 샐 일은 없다. 따라서, 오존 냄새 등이 외부에 떠돌거나 하지 않고, 안전하고 또한 사용상의 문제점이 없는 장치로 할 수 있다.
도 3은 세탁기(1)의 하방부의 내부 구조(각 구성 요소의 배치 구조)를 설명 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세탁기(1)에는 세탁기(1)의 하부 외측 셸을 구성하는 베이스 하우징(2a)이 구비되어 있다. 베이스 하우징(2a)은 예컨대 수지로 일체로 정형되어 있고, 그 전방 좌우 양측의 하단에 세탁기(1)의 수평방향의 조정을 행하기 위한 나사 다리(81,82)가 구비되어 있다.
베이스 하우징(2a) 내에는 중앙에 탱크(4)가 배치되고, 베이스 하우징(2a)의 전방 우측 내에는 필터 장치(14)가 배치되고, 전방 좌측 내에는 펌프(33) 및 스위칭 밸브로서의 제 3 스위칭 밸브(34)가 배치되고, 후방 우측 내에는 정화 수단으로서의 오존 발생 장치(47)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각 구성 요소와 수로로서의 호스나 파이프가 베이스 하우징(2a) 내에 효율적으로 갖추어져 있다.
즉, 베이스 하우징(2a)의 전방 우측에는 필터 장치(14)가 배치되어 있다. 필터 장치(14)는 베이스 하우징(2a)의 앞면으로부터 보수 관리 조작을 할 수 있다. 즉, 베이스 하우징(2a)의 앞면을 따라서 필터 장치(14)의 조작부(75)가 노출되어 있다. 필터 장치(14)는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길이가 긴 필터 하우징(55)을 갖고 있고, 필터 하우징(55)의 상면 중앙에 외측 조(5)의 배수구(10)(도 2 참조)와 배수 밸브(12)를 통해서 연통된 외측 조 배수관(120)(배수관(11)의 일부인)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외측 조 배수관(120)을 통해서 필터 하우징(55) 내에 유입되는 물은 필터 하우징(55) 내에서 제 1 여과가 실시되어 배수관(11)을 통해서 베이스 하우징(2a) 밖으로 배출된다. 또한, 필터 하우징(55) 내에서 제 2 여과가 실시되어 필터 하우징(55)의 안쪽측 상면에 접속된 분기관(15)의 전반부를 형성하는 탱크 파이 프(121)를 통해서 배수 밸브(12)로 유출된다.
필터 장치(14)로부터 유출되는 물을 배수관(11)에 흘릴지, 분기관(15)에 흘릴지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제 2 스위칭 밸브(13) 및 저수 밸브(25)에 의해 스위칭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필터 장치(14)는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필터 하우징(55)을 구비하고 있지만, 탱크(4)의 앞면측에는 저단면(87)이 형성되어 있고, 저단면(87)을 형성한 것에 의해 생긴 공간을 이용함으로써 필터 하우징(55)이 무리 없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필터 하우징(55)이 저단면(87)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필터 하우징(55)의 후방부 상면과 저수 밸브(25)를 연통하는 탱크 파이프(121)는 필터 하우징(55)으로부터 저수 밸브(25)를 향해서 상향으로 연결된다. 또한, 저수 밸브(25)로부터 탱크(4) 내로 연장되는 분기관의 후반 부분은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저수 밸브(25)가 폐쇄되었을 때, 분기관(15), 즉 탱크 파이프(121) 및 후반의 하류측 분기관(15b) 내에 물이 모여지는 일 없이 분기관(15) 내를 장기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탱크(4) 내의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로는 제 3 스위칭 밸브(34)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여 우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탱크 배수 호스(탱크 배수관)(40)이지만, 이 호스(40)는, 도 2를 참조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수로(압력 조정용 배수관)(27) 및 세탁조용 일수로(오버플로우 관)(23)가 합류한 합류로이며, 체크밸브(28)가 설치된 위치의 하류측에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그 후, 배수관(11)과 합 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탱크(4)의 전방측에는 압력 조정용 배수관(27), 배수관(11) 등을 배치해야만 하고, 이들 각 배수관의 설치 공간을 확보해야만 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탱크(4)의 앞면측에 저단면(87)을 형성함으로써 이 저단면(87)에 의해 생긴 빈 공간에 압력 조정용 배수관(27) 및 배수관(11)을 배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다수의 관이 합류하거나, 또는 분기된 배수로를 배수로 내를 물이 고이는 일 없이 양호하게 흐르도록 배치할 수 있다.
탱크(4)의 후방 우측에는 빈 영역(9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빈 영역(92)을 이용하여 오존 발생 장치(47)가 배치되어 있다. 오존 발생 장치(47)에서 발생되는 오존은 공기와 함께 제 1 공급관(53)을 통해서 이젝터(35)의 가는 관(112)에 주어진다. 또한, 도 3에서는 오존 발생 장치(47)에 접속된 제 2 공급로(54)(순환풍로(16)로 오존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로이고, 도 2 참조.)는 생략되어 있다.
도 4는 오존 발생 장치(47)의 사시도이다. 오존 발생 장치(47)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탱크(4)의 후방 우측에 배치되지만, 도 4는 그와 같이 배치되는 오존 발생 장치(47)를 후방측으로부터 바라본 사시도로 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오존 발생 장치(47)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오존 발생 장치(47)는 프레임(135)과, 프레임(135)의 상부에 부착된 케이싱(136)을 포함하고 있다. 프레임(135)은 내부에 공간(137)을 갖고 있고, 이 공간(137)은 상하방향 거의 중앙부에 형성된 경계판(161)에 의해 상측 실(137a)과 하측 실(137b)로 분할되어 있다. 그리고, 상측 실(137a) 내 하방에 전기 회로 기판(138)이 수용되어 있 다. 전기 회로 기판(138)에는 변압기(139), 트랜지스터(140), 콘덴서(141) 등이 실장되어 있다. 전기 회로 기판(138)은 오존 발생 장치(47)의 오존 발생용 전극(후술하는)에 고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 회로이고, 상측 실(137a) 내에는 도시하지 않은 배선이 설치되고, 상면으로부터 상측 실(137a) 내에 면한 오존 발생용 전극과의 접속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프레임(135) 상에 부착된 케이싱(136)은 프레임(135)과 일체적으로 형성된 케이스 베이스(142)와, 케이스 베이스(142)에 대해서 복수개의 비스(143)에 의해 부착된 케이스 캡(144)을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 캡(144)에는 공기 유입구(145)와, 제 1 오존 유출구(146)와, 제 2 오존 유출구(147)가 구비되어 있다. 공기 유입구(145)에는 스펀지 필터(148)가 끼워져 있어서 공기 유입구(145)로부터 케이싱(136) 내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진애 등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스펀지 필터(148)에 의해 포획되도록 되어 있다. 공기 유입구(145)와 제 1 오존 유출구(146)는 인접해서 배치되어 있고, 모두 도 4에 있어서 우측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오존 유출구(146)는 우측 방향으로 돌출하는 접속통(149)의 우측 끝에 개구되어 있다. 한편, 제 2 오존 유출구(147)는 제 1 오존 유출구(146)의 근방으로서, 케이스 캡(144)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접속통(150)의 상단에 개구되어 있다.
또한, 제 1 오존 유출구(146)의 근원측, 바꾸어 말하면 제 1 오존 유출구(146)와 처리 유로 사이에 체크밸브(151)가 개재되어 있다. 체크밸브(151)는 공기 유입구(145)로부터 들어가 케이싱(136) 내에 형성된 처리 유로를 흘러서 제 1 오존 유출구(146)로부터 유출되는 오존이나 공기가 이 흐름 방향으로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지만, 제 1 오존 유출구(146)로부터 물이 진입하여 케이싱(136) 내에 들어가려고 하는 것을 저지한다. 이와 같이, 오존 발생 장치(47)에는 제 1 오존 유출구(146)에 관련해서 체크밸브(151)가 갖추어진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오존 발생 장치(47)에 있어서 케이스 캡(144)을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에서는 케이싱(136)의 내부가 나타내어져 있다. 도 5에 있어서 아웃라인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는 것이 케이싱(136) 내에 형성되어 있는 처리 유로(152)이다. 처리 유로(152)는,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왕로(153)와, 복로(154)와, 왕로(153) 및 복로(154) 사이를 연결하는 U턴부(155)를 포함하는 리턴 유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왕로(153)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오존 발생용 전극(156)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복로(154)에도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제 2 오존 발생용 전극(157)이 배치되어 있다. 즉, 2장의 오존 발생용 전극(156 및 157)은 처리 유로(152) 내에 있어서 공기의 흐름 방향으로 직렬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2개의 오존 발생용 전극(156,157)에 대해서 각각 상술한 전기 회로 기판(138)으로부터 병렬로 고전압이 인가된다.
이와 같이, 전기 회로 기판(138)으로부터 제 1 오존 발생 전극(156) 및 제 2 오존 발생용 전극(157)을 보면, 이들 2개의 오존 발생용 전극(156,157)은 전기적으로 병렬 접속되어 있고, 전원 회로 기판(138)으로부터 각각 소정의 고전압이 독립 적으로 인가된다.
한편, 처리 유로(152) 내에 있어서의 배치 구조로서 제 1 오존 발생용 전극(156) 및 제 2 오존 발생용 전극(157)을 파악하면, 2장의 오존 발생용 전극(156,157)은 공간 내에서 직렬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즉, 공기의 흐름 방향에 대해서 제 1 오존 발생용 전극(156) 및 제 2 오존 발생용 전극(157)이 순서대로 공기와 접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처리 유로(152) 내를 흐르는 공기는 제 1 오존 발생용 전극(156)을 따라 흐르고, 계속해서, U턴부(155)를 통과한 후 제 2 오존 발생용 전극(157)을 따라 흐른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오존 발생용 전극(156) 및 제 2 오존 발생용 전극(157)은 모두 연면방전에 의해 흐르는 공기 내에 오존을 발생시킨다. 그 때문에, 처리 유로(152)를 통과하는 공기는 2장의 오존 발생용 전극(156,157) 표면에 계속해서 접촉하면서 흐르고, 유출될 때에는 충분히 짙은 농도의 오존 함유 공기로서 유출된다.
처리 유로(152) 내에 있어서 2장의 오존 발생용 전극(156,157)은 절연 상태가 양호하게 확보되고, 또한, 덜컹거림이 없도록 방전면 이외에 고무패킹(158)이 채워져 있다.
도 4를 다시 참조하여 상측 실(137a) 내에는 전기 회로 기판(138)이 수용되고, 오존 발생용 전극(156,157)과 접속부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된 후, 난연성 또한 절연성의 우레탄 수지가 충전된다. 우레탄 수지가 상측 실(137a) 내에 충전됨으로써 이 안에 배치된 전기 회로 기판(138)이나 접속부 등이 누수에 강하고, 또한, 전기 누설이 없는 구조가 된다.
그리고, 오존 발생 장치(47)는, 도 3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세탁기에 배치되고, 제 1 오존 유출구(146)로부터 유출되는 오존은 상술한 이젝터에 주어지도록 접속통(149)에 제 1 공급관(53)의 일단이 연결된다. 또한, 건조풍로에 오존을 공급하기 위해서 접속통(150)에는 제 2 공급로(54)의 일단이 접속된다.
이 실시형태에 따른 오존 발생 장치(47)는 오존 발생용 전극이 수용된 케이싱(136)과, 전기 회로 부품이 수용된 프레임(135)이 일체화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콤팩트한 구성이 실현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프레임(135) 내의 공간(137)을 상측 실(137a)과 하측 실(137b)로 분할하고, 상측 실(137a)만을 이용해서 전기 회로 기판(138)을 배치하고 있지만, 전기 회로 기판(138)이 큰 것으로 되었을 때 등에는 경계판(161)을 제거해서 공간(137) 전체를 전기 회로 기판(138)의 수용에 이용해도 좋다. 또는, 하측 실(137b)을 없애서 프레임(135)의 상하방향 치수를 작게 하여 보다 콤팩트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처리 유로(152)는 왕로(153) 및 복로(154)가 병렬로 배치되어 있고, 케이싱(136)의 길이를 길게 하는 일 없이 처리 유로(152)의 전체 길이를 길게 할 수 있고, 또한, 거기에 2장의 오존 발생용 전극(156,157)이 직렬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농도가 짙은 오존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가령 어느 한쪽의 오존 발생용 전극(156 또는 157)에 있어서의 통전 불량, 오존 발생 불량 등이 생기더라도 나머지 오존 발생용 전극에 의해 오존이 발 생되기 때문에, 오존 발생이 완전히 중단될 일이 없어 신뢰성이 높은 장치로 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 따른 오존 발생 장치(47)는 세탁기(1)에 내장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오존 발생 장치(47)는 다른 용도에도 이용가능하다. 예컨대, 물의 정화 장치에 있어서 오존에 의해 물을 정화할 경우, 이 발명에 따른 오존 발생 장치(47)가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이 발명에 따른 오존 발생 장치(47)는 누수 대책이 도모되고, 또한 고농도 오존 발생 기구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오존 발생 장치(47)는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의 물의 정화, 의류 건조기에 있어서의 의류의 제균, 소취 등에도 이용가능하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항의 범위 내에 있어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10)

  1. 세탁기의 외측 셸을 구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물을 모아 의류를 수용해서 세탁을 행하기 위한 세탁조;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상기 세탁조에서 사용된 후에 상기 세탁조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모으기 위한 탱크; 및
    상기 탱크에 모여진 물을 정화하기 위한 정화 수단을 갖는 세탁기로서:
    상기 정화 수단은 방전에 의해 오존을 발생시키기 위한 오존 발생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오존 발생 장치는,
    공기 유입구, 다수의 오존 유출구, 및, 공기 유입구와 오존 유출구 사이에 형성된 처리 유로를 갖는 케이싱과,
    상기 처리 유로 내에 설치되며 상기 처리 유로를 흐르는 공기에 대해서 연면방전을 행하여 오존을 발생시키기 위한 다수의 오존 발생용 전극과,
    상기 케이싱을 상부에 유지하기 위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내에 배치되며 상기 오존 발생용 전극으로의 통전 제어를 행하기 위한 전기 회로 기판과,
    상기 프레임 내에 면하며 상기 전기 회로 기판과 상기 다수의 오존 발생용 전극을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를 갖고;
    상기 전기 회로 기판 및 상기 접속부는 상기 프레임 내에 난연성의 절연 수지가 충전됨으로써 밀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 세탁기의 외측 셸을 구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의류를 수용해서 세탁을 행하기 위한 세탁조; 및
    상기 세탁조에 수용된 의류에 대해서 오존을 공급하여 의류의 탈취나 제균을 행하기 위한 오존 발생 장치를 갖는 세탁기로서:
    상기 오존 발생 장치는,
    공기 유입구, 다수의 오존 유출구, 및, 공기 유입구와 오존 유출구 사이에 형성된 처리 유로를 갖는 케이싱과,
    상기 처리 유로 내에 설치되며 상기 처리 유로를 흐르는 공기에 대해서 연면방전을 행하여 오존을 발생시키기 위한 다수의 오존 발생용 전극과,
    상기 케이싱을 상부에 유지하기 위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내에 배치되며 상기 오존 발생용 전극으로의 통전 제어를 행하기 위한 전기 회로 기판과,
    상기 프레임 내에 면하며 상기 전기 회로 기판과 상기 다수의 오존 발생용 전극을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를 갖고;
    상기 전기 회로 기판 및 접속부는 상기 프레임 내에 난연성의 절연 수지가 충전됨으로써 밀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의해 형성된 케이스의 편측을 형성하는 케이스 베이스; 및
    상기 케이스 베이스에 대해서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며 상기 케이스의 나머지 편측을 형성하는 케이스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오존 발생용 전극은 공기의 흐름 방향을 따라 직렬로 2장 이상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로는 전반부가 상기 공기 유입구로부터 들어오는 공기를 제 1 방향으로 안내하고, 도중에 U턴시켜서 후반부가 공기를 제 1 방향과 역방향으로 안내하여 상기 오존 유출구로부터 유출시키는 리턴 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구와 상기 오존 유출구는 근접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오존 유출구는 2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8. 정화, 제균, 소취 등에 이용되는 오존 발생 장치로서:
    공기 유입구, 다수의 오존 유출구, 및 공기 유입구와 오존 유출구 사이에 형성된 처리 유로를 갖는 케이싱과,
    상기 처리 유로 내에 설치되며 상기 처리 유로를 흐르는 공기에 대해서 연면방전을 행하여 오존을 발생시키기 위한 다수의 오존 발생용 전극과,
    상기 케이싱을 상부에 유지하기 위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내에 배치되며 상기 오존 발생용 전극으로의 통전 제어를 행하기 위한 전기 회로 기판과,
    상기 프레임 내에 면하며 상기 전기 회로 기판과 상기 다수의 오존 발생용 전극을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를 갖고;
    상기 전기 회로 기판 및 상기 접속부는 상기 프레임 내에 난연성의 절연 수지가 충전됨으로써 밀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 발생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오존 발생용 전극은 공기의 흐름 방향을 따라 직렬로 2장 이상 배치되고;
    상기 처리 유로와 상기 오존 유출구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처리 유로로부터 오존 유출구로 공기가 흐르는 것을 허용하지만, 상기 오존 유출구로부터 상기 처리 유로로 물이 진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체크밸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 발생 장치.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로는 전반부가 상기 공기 유입구로부터 들어오는 공기를 제 1 방향으로 안내하고, 도중에 U턴시켜서 후반부가 공기를 제 1 방향과 역방향으로 안내하여 상기 오존 유출구로부터 유출시키는 리턴 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 발생 장치.
KR1020087016785A 2006-01-10 2006-12-19 세탁기 및 오존 발생 장치 KR1013151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02431 2006-01-10
JP2006002431A JP2007181603A (ja) 2006-01-10 2006-01-10 洗濯機およびオゾン発生装置
PCT/JP2006/325299 WO2007080755A1 (ja) 2006-01-10 2006-12-19 洗濯機およびオゾン発生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5027A KR20080085027A (ko) 2008-09-22
KR101315155B1 true KR101315155B1 (ko) 2013-10-07

Family

ID=38256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6785A KR101315155B1 (ko) 2006-01-10 2006-12-19 세탁기 및 오존 발생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875547B2 (ko)
EP (1) EP1975299B1 (ko)
JP (1) JP2007181603A (ko)
KR (1) KR101315155B1 (ko)
CN (1) CN101356310B (ko)
ES (1) ES2385053T3 (ko)
WO (1) WO20070807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1461B1 (ko) * 2006-12-15 2013-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 건조기
US9085842B2 (en) * 2007-03-29 2015-07-21 Arcelik Anonim Sirketi Washing machine
JP5242153B2 (ja) 2007-12-25 2013-07-24 ハイアール グループ コーポレーション 洗濯機
JP5162261B2 (ja) 2008-01-17 2013-03-13 ハイアール グループ コーポレーション 洗濯機
US9919939B2 (en) 2011-12-06 2018-03-20 Delta Faucet Company Ozone distribution in a faucet
DE102011089386A1 (de) * 2011-12-21 2013-06-2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erfahren zum Betrieb eines Hausgeräts mit einem Speicherbehälter und einem Oxidationsmittelgenerator sowie hierfür geeignetes Hausgerät
US9297493B2 (en) * 2014-05-13 2016-03-29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Laundry dryer with fire-resistant shielding
KR102377865B1 (ko) 2015-06-03 2022-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장치
US10449062B2 (en) 2015-11-17 2019-10-22 Allosource Sterile water dispersion system for allograft preparation and processing
JP6883942B2 (ja) * 2015-12-14 2021-06-09 青島海爾洗衣机有限公司QingDao Haier Washing Machine Co.,Ltd. 洗濯機の水貯蔵用タンク及び洗濯機
US11458214B2 (en) 2015-12-21 2022-10-04 Delta Faucet Company Fluid delivery system including a disinfectant device
JP6897927B2 (ja) * 2016-12-12 2021-07-07 青島海爾洗衣机有限公司QingDao Haier Washing Machine Co.,Ltd. 洗濯機
EP3339746B1 (en) * 2016-12-21 2020-05-20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Household steam oven
CA3085003A1 (en) 2017-12-08 2019-06-13 Oshkosh Corporation Ozone cleaning system
JP7093072B2 (ja) * 2017-12-28 2022-06-29 青島海爾洗衣机有限公司 洗濯機
CN111321555A (zh) * 2018-12-17 2020-06-23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桶体组件和洗衣机
US10792613B1 (en) 2019-03-11 2020-10-06 Oshkosh Corporation Cleaning device
US11505887B2 (en) * 2019-03-27 2022-11-22 O3Waterworks, Llc Ozone laundry system
EP3983575B1 (de) 2019-06-12 2023-04-19 Friedrich-Alexander-Universität Erlangen-Nürnberg Elektrolysevorrichtung mit zwei bor dotierten diamantschichten
CN110644185A (zh) * 2019-10-16 2020-01-03 长虹美菱股份有限公司 一种滚筒洗干一体机
ES2980690T3 (es) 2020-02-19 2024-10-02 Lg Electronics Inc Aparato para el tratamiento de ropa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7588A (ja) 1999-11-17 2001-05-22 Karuto Kk 洗濯機用オゾン浄化システム
JP2004000536A (ja) 2002-04-04 2004-01-08 Nobuyuki Ishida 洗濯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75403A (ja) * 1988-04-26 1989-11-06 Mitsui & Co Ltd オゾン発生装置
JPH03102622A (ja) * 1989-09-14 1991-04-30 Konica Corp 磁気記録媒体
CN1127314A (zh) 1995-01-19 1996-07-24 声宝股份有限公司 以臭氧进行衣物洗洁及杀菌的洗衣机
JP2001070770A (ja) * 1999-09-08 2001-03-21 Seiwa Kagaku:Kk オゾン水生成装置
CN2410283Y (zh) 1999-12-07 2000-12-13 李文义 一种臭氧发生装置
JP2001286698A (ja) * 2000-04-07 2001-10-16 Sharp Corp 洗濯機
CN2481735Y (zh) 2001-04-19 2002-03-13 蔡荣德 全自动环保节能洗衣机
JP2002320792A (ja) * 2001-04-26 2002-11-05 Toshiba Corp 洗濯機
JP2003236287A (ja) * 2002-02-15 2003-08-26 Sanyo Electric Co Ltd 洗濯機
JP2005089238A (ja) 2003-09-17 2005-04-07 Yamato:Kk オゾン水生成装置
JP4363951B2 (ja) * 2003-10-21 2009-11-11 株式会社東芝 ドラム式洗濯機
JP3102622U (ja) * 2003-12-27 2004-07-15 株式会社 浜松ベジタブル イオン又はオゾン発生装置
US20050214182A1 (en) * 2004-03-23 2005-09-29 Hong Chi Technology Co., Ltd. Small ozone generator modu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7588A (ja) 1999-11-17 2001-05-22 Karuto Kk 洗濯機用オゾン浄化システム
JP2004000536A (ja) 2002-04-04 2004-01-08 Nobuyuki Ishida 洗濯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56310B (zh) 2011-08-24
KR20080085027A (ko) 2008-09-22
EP1975299A4 (en) 2009-12-23
CN101356310A (zh) 2009-01-28
US8875547B2 (en) 2014-11-04
ES2385053T3 (es) 2012-07-17
EP1975299B1 (en) 2012-04-04
EP1975299A1 (en) 2008-10-01
JP2007181603A (ja) 2007-07-19
WO2007080755A1 (ja) 2007-07-19
US20090007601A1 (en) 2009-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5155B1 (ko) 세탁기 및 오존 발생 장치
KR101364547B1 (ko) 의류 건조기 및 의류 건조 기능을 가진 세탁기
JP4592640B2 (ja) 洗濯機
JP4711839B2 (ja) 洗濯機
JP4667247B2 (ja) 洗濯機
JP4767021B2 (ja) 洗濯機
JP6435181B2 (ja) ミスト発生器および洗濯機
JP4679380B2 (ja) 洗濯機
JP4624276B2 (ja) 洗濯機
JP5087663B2 (ja) 洗濯機
JP4619258B2 (ja) 洗濯機
JP5057277B2 (ja) 洗濯機
JP5306148B2 (ja) 洗濯乾燥機
JP4985836B2 (ja) 洗濯機
JP2010259916A (ja) 洗濯機
JP5050176B2 (ja) 洗濯機
JP7561598B2 (ja) 衣類処理装置
JP2007202686A (ja) 洗濯機
JP2012157756A (ja) 洗濯機
JP4610463B2 (ja) 洗濯機
JP4806327B2 (ja) 洗濯機
JP2007175223A (ja) 衣類乾燥機、洗濯機および衣類乾燥機能付き洗濯機
JP5087664B2 (ja) 洗濯機
CN118716966A (zh) 清洁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