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8618B1 - 카메라의 셔터 버튼 - Google Patents
카메라의 셔터 버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08618B1 KR101308618B1 KR1020070054072A KR20070054072A KR101308618B1 KR 101308618 B1 KR101308618 B1 KR 101308618B1 KR 1020070054072 A KR1020070054072 A KR 1020070054072A KR 20070054072 A KR20070054072 A KR 20070054072A KR 101308618 B1 KR101308618 B1 KR 10130861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witch
- elastic plate
- button
- protrusion
- camera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8—Shutt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관한 카메라의 셔터 버튼은, 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되는 레일과,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스위치와,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스위치를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작동 버튼과, 작동 버튼을 슬라이딩 방향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레일의 일측에 설치되는 탄성 부재와, 돌출부와 스위치의 사이에 배치되며 작동 버튼이 슬라이딩 이동하면 돌출부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 변형됨으로써 스위치와 접촉하는 탄성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의 셔터 버튼의 장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카메라의 셔터 버튼에 포함되는 각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의 셔터 버튼의 탄성판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의 셔터 버튼의 측면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케이스 32: 슬라이더
2: 지지부 33: 돌출부
3: 인쇄회로기판 34: 결합 돌기
4: 개구부 35: 경사면
5: 지지벽 40: 스프링
10: 레일 50, 150, 250: 탄성판
20: 스위치 53: 절곡부
30: 작동 버튼 151: 고정부
31: 버튼부 155: 돌기
본 발명은 카메라의 셔터 버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부드럽게 작동되므로 손떨림의 발생이 크게 감소하는 카메라의 셔터 버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메라를 이용하여 화상을 촬영할 때에는, 외부 충격이나 촬영자의 손떨림으로 인해 초점이 맞지 않아 상이 흔들린 사진이 촬영되기도 한다.
최근에는 디지털 카메라의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손떨림으로 인한 상의 흔들림을 보정하기 위한 기술도 많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보정 기술은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현되는 기술로서 이미 발생한 흔들림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촬영 동작 중에 발생할 수 있는 흔들림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는 없었다.
현재 사용되는 카메라에는 누름 버튼식의 셔터 버튼이 구비되는데, 이와 같은 누름 버튼식 셔터 버튼의 구조적 제한으로 인해 촬영 동작 중에 손떨림이 많이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누름 버튼식 셔터 버튼은 사용자의 버튼 누름 조작을 셔터 스위치에 전달하기 위해 상당한 길이를 갖도록 제작되는데,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 외부의 충격이 전달되는 경우 변형이 발생하여 스위치가 조작되지 않거나 카메라의 케이스로부터 버튼이 탈락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또한 종래의 누름 버튼식 셔터 버튼 구조에서는 사용자의 부주의한 조작으로 인해 셔터 버튼이 눌러짐으로써 원치 않은 카메라의 촬영이 종종 이루어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종래의 누름 버튼식 셔터 버튼에서는 사용자의 버튼 누름 조작을 행하면 셔터 버튼이 셔터 스위치에 직접 접촉됨으로써 사용자의 손가락에 클릭감이 전달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셔터 버튼이 많은 회수 작동된 이후에는 셔터 버튼에 마모가 발생하여 셔터 버튼이 셔터 스위치의 중앙에서 벗어난 상태로 셔터 스위치에 접촉됨으로써 클릭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부드럽게 작동됨으로써 손떨림의 발생이 감소되는 카메라의 셔터 버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로부터 충격이 전달되어도 쉽게 변형되지 아니하고 원활한 작동이 유지되는 카메라의 셔터 버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셔터 버튼이 부주의하게 조작되어 원치 않는 촬영이 이루어지는 현상이 감소되는 카메라의 셔터 버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메라를 조작하는 사용자의 손에 양호한 클릭감을 부여할 수 있는 카메라의 셔터 버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슬라이드 방식으로 부드럽게 작동되므로 손떨림의 발생이 크게 감 소하는 카메라의 셔터 버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카메라의 셔터 버튼은, 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되는 레일과,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스위치와,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스위치를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작동 버튼과, 작동 버튼을 슬라이딩 방향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레일의 일측에 설치되는 탄성 부재와, 돌출부와 스위치의 사이에 배치되며 작동 버튼이 슬라이딩 이동하면 돌출부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 변형됨으로써 스위치와 접촉하는 탄성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탄성판은 그 일단이 케이스에 고정되고, 타단은 돌출부와 스위치의 사이의 공간으로 연장되어, 돌출부가 탄성판을 가압하면, 탄성판은 케이스에 고정되는 탄성판의 일단을 중심으로 스위치를 향하여 탄성적으로 회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탄성판의 타단에는 돌출부의 측면을 향하도록 절곡되는 절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돌출부의 탄성판의 절곡부를 향하는 모서리에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탄성판의 스위치를 향하는 면에 돌기가 형성되어, 돌출부가 탄성판을 가압하면 돌기가 스위치와 접촉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한 카메라의 셔터 버튼의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의 셔터 버튼의 장착 상태를 도시 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카메라의 셔터 버튼에 포함되는 각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의 셔터 버튼은 카메라의 케이스(1)에 장착되어 슬라이드 방식으로 동작된다. 셔터 버튼은 케이스(1)의 일측에 형성되는 레일(10)과, 스위치(20)와, 레일(10)에 결합되는 작동 버튼(30)과, 작동 버튼(30)을 지지하는 탄성 부재(40)와, 작동 버튼(30)에 의해 변형되어 스위치(20)와 접촉하는 탄성판(50)을 포함한다.
케이스(1)는 카메라의 촬상 장치와, 회로부 등의 여러 가지 구성요소들을 둘러싸는 커버를 구성하는 부분으로서, 셔터 버튼도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된다.
레일(10)은 케이스(1)의 일측에 형성되는 부분으로, 작동 버튼(30)을 케이스(1)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레일(10)을 케이스(1)에 설치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몰딩이나 기타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케이스(1)의 일부분에 레일을 일체로 형성하거나, 별도로 제작된 레일을 케이스(1)에 장착하는 등의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케이스(1)의 내부에는 스위치(20)가 배치된다. 스위치(20)는 케이스(1)의 내부에 형성되는 구조물인 지지부(2)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3) 위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설치된다.
스위치(20)는 카메라의 셔터(미도시)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는 부분이다. 스위치(20)가 작동 버튼(30)에 의해 작동되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켜 인쇄회로기판을 통해 카메라의 제어부에 전달함으로서 셔터가 작동된다.
작동 버튼(30)은 사용자의 조작을 전달하여 스위치(20)를 작동시키기 위한 부분이다. 작동 버튼(30)은 사용자가 직접 만지며 조작할 수 있는 버튼부(31)와, 버튼부(31)에 연결되며 레일(10)에 결합되는 슬라이더(32)와, 슬라이더(32)로부터 스위치(20)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33)를 포함한다.
작동 버튼(30)의 슬라이더(32)는 레일(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므로, 슬라이더(32)는 레일(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부드러운 슬라이딩 운동을 한다. 슬라이더(32)에 연결되는 버튼부(31)는 케이스(1)에 형성되는 개구부(4)를 통해 케이스(1)의 외부로 노출된다. 사용자가 버튼부(31)를 밀면, 버튼부(31)에 가해진 힘이 슬라이더(32)에 전달됨으로써 작동 버튼(30)의 전체가 레일(10)을 따라 부드러운 슬라이딩 운동을 할 수 있다.
작동 버튼(30)은 탄성 부재인 스프링(40)에 의해 레일(10)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스프링(40)의 일단은 레일(10)의 일측 단부에 지지되고, 스프링(40)의 타단은 작동 버튼(30)의 결합 돌기(34)에 연결된다. 따라서 스프링(40)은 작동 버튼(30)의 슬라이딩 방향에 대하여 저항하는 방향으로 작동 버튼(30)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작동 버튼(30)이 조작된 이후에는 스프링(40)의 복원력에 의해 작동 버튼(30)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 부재의 일 예로 압축 코일 스프링을 채택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작동 버튼(30)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고무 재질의 탄성 부재나, 판 스프링 등의 다양한 변형예들이 응용될 수 있다.
작동 버튼(30)의 돌출부(33)와 스위치(20)의 사이에는 탄성판(50)이 배치된다. 탄성판(50)은 작동 버튼(30)이 레일(1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 돌출부(33)에 의해 가압되어 스위치(20)를 향하여 탄성 변형됨으로써 스위치(20)와 접촉한다. 이와 같은 탄성판(50)의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작동 버튼(30)을 조작하여 발생된 힘이 돌출부(33)와 탄성판(50)을 경유하여 스위치(20)에 전달됨으로써 스위치(20)가 작동된다.
탄성판(50)의 일단(51)은 케이스(1)에 고정되고, 타단(52)은 돌출부(33)와 스위치(20)의 사이의 공간으로 연장된다. 케이스(1)의 내부에 형성되는 구조물인 지지부(2)의 일단에는 지지벽(5)이 형성되며, 탄성판(50)의 일단(51)은 지지벽(5)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탄성판(50)의 일단(51)이 지지벽(5)에 고정되므로, 금속판과 같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탄성판(50)은 지지벽(5)에 고정된 일단(51)을 중심으로 스위치(20)를 향하여 탄성적으로 회동할 수 있다. 즉 돌출부(33)가 탄성판(50)을 가압하면 탄성판(50)의 타단(52)은 스위치(20)를 향하여 예정된 각도만큼 변형되어 스위치(20)와 접촉하고, 탄성판(50)을 가압하던 돌출부(33)가 후퇴하면 탄성판(50)도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일단(51)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탄성판(50)의 타단(52)에는 절곡부(53)가 형성된다. 절곡부(53)는 탄성판(50)이 돌출부(33)의 측면을 향하도록 절곡되는 부분이다. 돌출부(33)의 절곡부(53)를 향하는 모서리에는 경사면(35)이 형성된다. 따라서 작동 버튼(30)이 조작 되어 슬라이더(32)가 레일(1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 돌출부(33)의 경사면(35)이 절곡부(53)에 접촉하면서 돌출부(33)가 절곡부(53)를 가압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카메라의 셔터 버튼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카메라의 작동 버튼(30)의 버튼부(31)를 조작하면, 슬라이더(32)가 레일(1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슬라이더(32)는 스프링(40)에 의해 레일(10)에 대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므로, 사용자가 작동 버튼(30)을 조작하여 슬라이더(32)를 이동시키려면 스프링(40)에 의한 인장력보다 큰 힘을 버튼부(31)에 가하여야 한다.
종래의 누름 버튼식 셔터 버튼 구조에서는 사용자의 부주의한 조작으로 인해 셔터 버튼이 눌러져 원치 않은 카메라의 촬영이 이루어지기도 하였으나,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에서는 부주의한 접촉에 의해 셔터 버튼이 조작되는 현상이 감소되므로 실수로 카메라가 촬영되는 일이 잘 발생하지 않는다.
사용자에 의해 버튼부(31)가 조작되면 슬라이더(32)가 레일(1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고, 이와 같은 작용으로 인해 돌출부(33)의 경사면(35)이 탄성판(50)의 절곡부(53)를 가압한다. 탄성판(50)은 지지벽(5)에 고정되어 있는 일단(51)을 중심으로 스위치(20)를 향하여 예정된 각도만큼 탄성적으로 회동한다. 탄성판(50)이 충분히 변형되면 탄성판(50)이 스위치(20)에 접촉함으로써 스위치(20)가 동작한다. 스위치(20)가 동작하여 발생되는 전기 신호는 인쇄회로기판(3)으로 전달되어, 카메라의 셔터가 동작된다.
종래의 누름 버튼식 셔터 버튼을 구비하는 카메라에서는 사용자가 셔터 버튼을 조작하는 동안 손떨림이 발생하기가 쉬워 촬상된 화상에 흔들림이 발생하는 일이 많았지만, 이와 같은 카메라의 셔터 버튼의 구조에 의하면 스위치(20)를 조작하기 위한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작동 버튼(30)을 조작하면 되므로 손떨림이 발생하는 일이 크게 감소된다.
또한 작동 버튼(30)이 슬라이더(32)를 개재하여 케이스(1)의 레일(10)에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셔터 버튼의 구조가 변형되거나 손상되는 일이 잘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레일(10)과 스프링(40)의 작용으로 인해 작동 버튼(30)이 원래의 위치로 정확하게 복귀하므로, 반복적으로 사용되더라도 종래의 누름 버튼식 셔터 버튼에 비하여 마모가 잘 발생하지 않고 초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셔터 버튼이 초기의 설치 상태를 안정적으로 계속 유지하므로, 스위치(20)가 작동되면서 발생하는 클릭감(카메라의 사용자가 스위치의 작용으로 인해'딸깍'하며 느끼게 되는 감각)이 탄성판(50)을 통해 작동 버튼(30)에 잘 전달되어, 카메라의 셔터 버튼의 양호한 클릭감을 얻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의 셔터 버튼의 탄성판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의 셔터 버튼의 탄성판(150)의 일단에는 케이스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부(151)가 형성된다. 탄성판(150)의 타단은 도 1 및 도 2의 탄성판과 같이 스위치와 작동 버튼의 사이의 공간으로 연장된다. 또한 탄성 판(150)에는 작동 버튼을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153)가 형성된다.
도 3에 나타난 탄성판(150)에는 스위치를 향하는 면에 돌기(155)가 형성되는 점이 변형되었다. 돌기(155)는 탄성판(150)이 변형될 때 스위치와 접촉되는 부분에 형성됨으로써, 탄성판(150)이 스위치와 접촉하여 스위치를 동작시키는 작용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보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의 셔터 버튼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난 카메라의 셔터 버튼의 구성도 상술한 실시예들과 유사하여, 케이스(1)에 설치되는 레일(10)과, 케이스(1)의 내부에 배치되는 스위치(20)와, 돌출부(33)를 구비하며 레일(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작동 버튼(30)과, 작동 버튼(30)을 레일(10)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부재인 스프링(40)과, 작동 버튼(30)과 스위치(20)의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판(250)을 포함한다.
도 4에 나타난 실시예에서는 탄성판(250)의 형상이 상술한 실시예에서의 탄성판과 다르게 변형되었다. 탄성판(250)의 일단(251)은 케이스(1)의 내부에 형성된 지지부(2)에 고정되고, 타단(252)은 스위치(20)와 돌출부(33)의 사이에 배치된다. 탄성판(250)에는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은 절곡부는 존재하지 않지만, 탄성판(250)은 돌출부(33)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일단(251)을 중심으로 하여 스위치(20)를 향하여 탄성적으로 회동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작동 버튼(30)의 버튼부(31)를 가압하면 슬라이더(32)가 레일(1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이 때에 슬라이더(32)에 연결된 돌출부(33)의 경사 면(35)이 탄성판(250)의 타단(252)을 스위치(20)를 향하여 가압한다. 따라서 스위치(20)가 탄성판(250)에 의해 눌려짐으로써 전기 신호를 발생하고, 발생한 전기 신호가 인쇄회로기판(3)으로 전달된다.
사용자가 촬영 조작을 마쳐 버튼부(31)의 조작을 해제하면, 작동 버튼(30)은 레일(10)과 스프링(40)의 작용으로 인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작동 버튼(30)이 반복적으로 많은 회수 조작되더라도 마모가 잘 발생하지 않으며, 케이스(1)에 장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스위치(20)에서 발생하는 클릭감이 탄성판(250)과 돌출부(33)와 버튼부(31)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되므로, 양호한 클릭감을 갖는 카메라의 셔터 버튼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카메라의 셔터 버튼은 슬라이드 방식으로 부드럽게 작동되므로 손떨림의 발생이 크게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셔터 버튼이 작동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탄성 부재의 탄성력보다 큰 힘을 셔터 버튼에 가하여야 하므로, 셔터 버튼이 부주의하게 조작되어 원치 않는 촬영이 이루어지는 현상이 감소된다.
또한 작동 버튼이 케이스의 레일에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셔터 버튼의 구조가 변형되거나 손상되는 일이 잘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레일과 탄성 수단의 작용으로 인해 작동 버튼이 원래의 위치로 정확하게 복귀하므로, 반복적으로 사용되더라도 종래의 누름 버튼식 셔터 버튼에 비하여 마모가 잘 발생하지 않고 초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셔터 버튼이 초기의 설치 상태를 안정적으로 계속 유지하므로, 스위치가 작동되면서 발생하는 클릭감이 탄성판을 통해 작동 버튼에 잘 전달되어 카메라의 셔터 버튼의 양호한 클릭감이 구현된다.
Claims (5)
- 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되는 레일;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스위치;상기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스위치를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작동 버튼;상기 작동 버튼을 슬라이딩 방향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레일의 일측에 설치되는 탄성 부재; 및상기 돌출부와 상기 스위치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작동 버튼이 슬라이딩 이동하면 상기 돌출부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 변형됨으로써 상기 스위치와 접촉하는 탄성판을 포함하는 카메라의 셔터 버튼.
- 제1 항에 있어서,상기 탄성판은 그 일단이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돌출부와 상기 스위치의 사이의 공간으로 연장되어, 상기 돌출부가 상기 탄성판을 가압하면, 상기 탄성판은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상기 탄성판의 상기 일단을 중심으로 상기 스위치를 향하여 탄성적으로 회동하는 카메라의 셔터 버튼.
- 제2 항에 있어서,상기 탄성판의 상기 타단에는 상기 돌출부의 측면을 향하도록 절곡되는 절곡 부가 형성되는 카메라의 셔터 버튼.
- 제3 항에 있어서,상기 돌출부의 상기 탄성판의 상기 절곡부를 향하는 모서리에 경사면이 형성되는 카메라의 셔터 버튼.
- 제2 항에 있어서,상기 탄성판의 상기 스위치를 향하는 면에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상기 탄성판을 가압하면 상기 돌기가 상기 스위치와 접촉하는 카메라의 셔터 버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54072A KR101308618B1 (ko) | 2007-06-01 | 2007-06-01 | 카메라의 셔터 버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54072A KR101308618B1 (ko) | 2007-06-01 | 2007-06-01 | 카메라의 셔터 버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105903A KR20080105903A (ko) | 2008-12-04 |
KR101308618B1 true KR101308618B1 (ko) | 2013-09-23 |
Family
ID=40367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54072A KR101308618B1 (ko) | 2007-06-01 | 2007-06-01 | 카메라의 셔터 버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08618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883134B (zh) * | 2022-04-25 | 2024-07-09 | 歌尔股份有限公司 | 一种电子设备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80608A (ja) * | 1995-09-14 | 1997-03-28 | Asahi Optical Co Ltd | 防水型スライドスイッチ |
JP2000347270A (ja) | 1999-03-26 | 2000-12-15 | Fuji Photo Film Co Ltd | カメラ |
JP2006145693A (ja) | 2004-11-17 | 2006-06-08 | Fuji Photo Film Co Ltd | カメラ |
-
2007
- 2007-06-01 KR KR1020070054072A patent/KR10130861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80608A (ja) * | 1995-09-14 | 1997-03-28 | Asahi Optical Co Ltd | 防水型スライドスイッチ |
JP2000347270A (ja) | 1999-03-26 | 2000-12-15 | Fuji Photo Film Co Ltd | カメラ |
JP2006145693A (ja) | 2004-11-17 | 2006-06-08 | Fuji Photo Film Co Ltd | カメラ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105903A (ko) | 2008-12-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513688B2 (ja) |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 |
US20100219056A1 (en) | Button assembly and digital camera having the same | |
JP2010192410A (ja) | ボタン型スイッチ、撮像装置および電子装置 | |
CN114326010B (zh) | 相机模块及电子装置 | |
US6621018B1 (en) | Reciprocal switch | |
US8188389B2 (en) | Slide switch | |
US20200411257A1 (en) | Key switch | |
KR101308618B1 (ko) | 카메라의 셔터 버튼 | |
KR101435685B1 (ko) | 복합조작형 입력장치 | |
US9251975B1 (en) | Apparatus including a push-button with a compressible member | |
US7521643B2 (en) | Operating button device | |
JP2007087933A (ja) | スライドスイッチ装置 | |
EP1049121A2 (en) | Sliding operation type switch apparatus | |
JP5046730B2 (ja) | 電子機器 | |
JP7013177B2 (ja) | スイッチおよび撮像装置 | |
CN112911039A (zh) | 电子设备保护壳和电子设备 | |
US20190333718A1 (en) | Push switch | |
JP2003215431A (ja) | 操作部材を備えた切替え装置およびそれを有する光学機器 | |
JP4271837B2 (ja) | 二段押ボタン | |
JP3772531B2 (ja) | 押釦装置 | |
JP4619196B2 (ja) | 押圧スイッチ付き摺動式電子部品 | |
TWM535391U (zh) | 按鍵結構及使用此按鍵結構的電子裝置 | |
JP4568520B2 (ja) | シーソースイッチ | |
JP2020140901A (ja) | 多段スイッチ | |
CN116344238A (zh) | 遥控器及电子设备组件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