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92693B1 - 촬상 유닛 및 휴대용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촬상 유닛 및 휴대용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2693B1
KR101292693B1 KR1020080017248A KR20080017248A KR101292693B1 KR 101292693 B1 KR101292693 B1 KR 101292693B1 KR 1020080017248 A KR1020080017248 A KR 1020080017248A KR 20080017248 A KR20080017248 A KR 20080017248A KR 101292693 B1 KR101292693 B1 KR 101292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axis
imaging unit
incident
side prism
pr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7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9222A (ko
Inventor
히로시 노무라
이사오 오쿠다
에이지로 타다
아츠미 카네코
Original Assignee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8039524A external-priority patent/JP4917060B2/ja
Application filed by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79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9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2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2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02B7/1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controlled by a microcomput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5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employing a special optical element
    • G02B13/006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employing a special optical element having a beam-folding prism or mirr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5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employing a special optical element
    • G02B13/006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employing a special optical element having a beam-folding prism or mirror
    • G02B13/007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employing a special optical element having a beam-folding prism or mirror the beam folding prism having at least one curved surfac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9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having zoom fun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7/00Systems with reflecting surfaces, with or without refracting elements
    • G02B17/08Catadioptric systems
    • G02B17/0856Catadioptric systems comprising a refractive element with a reflective surface, the reflection taking place inside the element, e.g. Mangin mirr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촬상 유닛은 촬상 센서, 입사측 프리즘, 출사측 프리즘, 입사측 프리즘과 출사측 프리즘 사이에 위치되는 중간 광학 시스템을 포함하고 있으며, 입사측 프리즘에 입사되는 빛은 입사측 프리즘, 중간 광학 시스템 및 출사측 프리즘을 통과하여 촬상 센서에 입사되며, 촬상 유닛은 입사측 프리즘의 입사 광축과 출사 광축, 중간 광학 시스템의 광축, 및 출사측 프리즘의 입사 광축과 출사 광축이 모두 공통 평면에 놓이는 방식으로 입사측 프리즘, 중간 광학 시스템 및 출사측 프리즘을 지지하는 하우징; 및 촬상 센서가 장착되며 촬상 센서가 출사측 프리즘의 출사면과 대향하도록 하우징에 고정되는 커버 보드;를 포함하고 있으며, 커버 보드는 하우징의 개구를 폐쇄한다.
Figure R1020080017248
촬상 유닛, 프리즘, 광축, 휴대용 전자 기기, 디스플레이

Description

촬상 유닛 및 휴대용 전자 기기{IMAGING UNIT AND MOBIL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촬상 광학 시스템 및 촬상 센서를 포함하고 있는 촬상 유닛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촬상 유닛을 포함하고 있는 휴대용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디지털 카메라(정지 화상 카메라), 디지털 캠코더(동영상 카메라), 카메라가 달린 휴대 전화기 및 휴대 정보 단말기(PDA)와 같이, 정지 화상/동영상을 촬영하거나 또는 보조 기능으로 이러한 화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설계된 다양한 휴대용 전자 기기가 널리 보급되어 있고, 이러한 휴대용 전자 기기의 휴대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일환으로서 탑재되는 촬상 장치를 박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촬상 광학 시스템을 박형화하기 위하여 입사측(물체와 마주하는 쪽)과 출사측(촬상 센서와 마주하는 쪽)에 각각 설치되는 두개의 프리즘을 사용함으로써 광학 경로가 구부려지는 타입의 촬상 광학 시스템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타입의 촬상 광학 시스템은 일본공개특허공보 2006-154705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 문헌에는 단지 박형화한 타입의 촬상 광학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으며, 따라서 전자 기기에 설치되도록 설계되어 있는 촬상 장치의 어떠한 구조에 대해서도 설명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 기기에 박형화된 타입의 촬상 광학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한 바람직한 구조를 갖고 있는 촬상 유닛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제조 및 유지관리시에 취급하기 용이하고 콤팩트한 디자인을 갖고 있는 촬상 유닛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촬상 유닛이 공간 절감 방식으로 설치되는 휴대용 전자 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관점에 따라 제공되는 촬상 유닛은 촬상 센서, 입사측 프리즘, 출사측 프리즘, 입사측 프리즘과 출사측 프리즘 사이에 위치되는 중간 광학 시스템을 포함하고 있으며, 입사측 프리즘에 입사되는 빛은 입사측 프리즘, 중간 광학 시스템 및 출사측 프리즘을 통과하여 그 순서대로 촬상 센서에 입사되고, 촬상 유닛은 입사측 프리즘의 입사 광축과 출사 광축, 중간 광학 시스템의 광축 및 출사측 프리즘의 입사 광축과 출사 광축이 모두 공통 평면에 놓이는 방식으로 입사측 프리즘, 중간 광학 시스템 및 출사측 프리즘을 지지하는 하우징; 촬상 센서가 출사측 프리즘의 출사면과 대향하도록 촬상 센서가 장착되어 하우징에 고정되는 커버 보드를 포함하고 있으며, 커버 보드는 하우징의 개구를 폐쇄(커버)하기 위한 커버로서 의 역할을 한다.
커버 보드의 장착면에 촬상 센서가 장착되고, 장착면과 중간 광학 시스템의 광축이 서로 대체로 평행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 보드는 촬상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 있는 화상 신호를 생성하도록 작동하는 화상처리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 광학 시스템은 중간 광학 시스템의 광축을 따라 이동가능한 하나 이상의 가동 렌즈 그룹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촬상 유닛은 가동 렌즈 그룹을 중간 광학 시스템의 광축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해 하우징에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동 렌즈 그룹은 가동 렌즈 그룹의 이동에 의해 입사측 프리즘, 중간 광학 시스템 및 출사측 프리즘을 포함하는 촬상 광학 시스템의 초점 길이를 변화시키는 줌 광학 시스템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동 렌즈 그룹은 초점맞춤 동작을 실행하도록 이동되는 포커싱 렌즈 그룹인 것이 바람직하다.
입사측 프리즘의 입사 광축, 중간 광학 시스템의 광축 및 출사측 프리즘의 출사 광축이 대체로 U자 형태로 구부러진 단일 광축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 및 하우징에 고정되는 커버 보드의 결합체는 입사측 프리즘의 입사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입사 개구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입사 개구는 촬상 유닛의 유일한 광학 개구이다.
촬상 유닛이 휴대용 전자 기기에 통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촬상 유닛으로부터 뻗어 있는 신호 전송을 위한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은 휴대용 전자 기기에 구비된 제어 회로에 연결되고, 이에 의해 휴대용 전자 기기의 촬상 시스템을 구성한다.
입사측 프리즘의 입사면과 출사면은 오목면과 볼록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사측 프리즘의 각각의 입사면과 출사면은 오목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촬상 유닛은 입사측 프리즘의 물체측에 위치된 전방 렌즈 그룹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 보드는 촬상 센서 이외에 다수의 칩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입사측 프리즘과 출사측 프리즘은 직각 프리즘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추에이터는 구동축을 갖고 있는 모터인 것이 바람직하며, 구동축이 중간 광학 시스템의 광축과 대체로 평행한 방향으로 뻗도록 모터가 하우징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형태에서 제공되는 촬상 유닛은 촬상 센서, 입사측 프리즘을 포함하는 입사측 광학 요소, 출사측 프리즘, 입사측 프리즘과 출사측 프리즘 사이에 위치되는 중간 광학 시스템을 포함하고 있으며, 입사측 프리즘에 입사되는 빛은 입사측 프리즘, 중간 광학 시스템 및 출사측 프리즘을 통과하여 그 순서대로 촬상 센서에 입사된다. 입사측 프리즘의 입사 광축과 출사측 프리즘의 출사 광축은 서로 대체로 평행하다. 중간 광학 시스템의 광축은 입사측 프리즘의 입사 광축 및 출사측 프리즘의 출사 광축의 각각에 대하여 대체로 직교한다. 입사측 프리즘의 입사 광축, 중간 광학 시스템의 광축 및 출사측 프리즘의 출사 광축은 모두 공통 평면에 놓인다. 상기 입사 광축에 위치되는 상기 입사측 광학 요소의 적어도 일부는 공통 평면에서 중간 광학 시스템 및 출사측 프리즘보다 물체측으로 더욱 돌출되어 있다. 촬상 유닛은 촬상 센서가 장착되며 출사측 프리즘의 출사 광축상에 위치되는 센서 보드를 포함하고 있고, 센서 보드는 중간 광학 시스템의 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입사측 광학 요소의 돌출부의 연장선상에 놓여진다.
입사측 프리즘의 입사면과 출사면은 오목면과 볼록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사측 프리즘의 입사면과 출사면은 오목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사측 광학 요소는 입사측 프리즘의 물체측에 위치된 전방 렌즈 그룹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형태에서 제공되는 촬상 유닛은 공통 평면에 놓여 있는 입사 광축, 중간 광축 및 출사 광축을 갖고 있는 촬상 광학 시스템; 적어도 입사 광축이 지나가는 제1 개구 및 적어도 출사 광축이 지나가는 제2 개구를 가지고 있으며 촬상 광학 시스템을 지지하는 하우징; 하우징의 제2 개구를 폐쇄하기 위한 커버로서의 역할을 하며 출사 광축상에 위치되는 촬상 센서를 포함하고 있는 커버 보드;를 포함하고 있으며, 입사 광축과 출사 광축은 서로 평행하고, 중간 광축은 입사 광축 및 출사 광축에 대하여 대체로 직교하도록 입사 광축과 출사 광축 사이에 위치된다.
제2 개구는 중간 광축과 평행한 평면상의 영역을 따라 뻗어 있고, 커버 보드는 중간 광축을 따라 상기 영역을 커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형태에서 제공되는 휴대용 전자 기기는 힌지 부분 및 힌지 부분에 의해서 연결된 두개의 부분을 포함하고 있는 접이식 하우징; 접이식 하우징의 두개의 부분중 하나에 설치된 촬상 유닛;을 포함하고 있고, 힌지 부분에 의한 두개의 부분의 상대적인 이동에 의해서 펼친 상태와 접힌 상태로 변경가능하다. 촬상 유닛은 촬상 센서, 입사측 프리즘, 출사측 프리즘, 입사측 프리즘과 출사측 프리즘 사이에 위치되는 중간 광학 시스템을 포함하고 있으며, 입사측 프리즘에 입사되는 빛은 입사측 프리즘, 중간 광학 시스템 및 출사측 프리즘을 통과하여 그 순서대로 촬상 센서에 입사된다. 입사측 프리즘의 입사 광축과 출사측 프리즘의 출사 광축은 서로 대체로 평행하다. 중간 광학 시스템의 광축은 입사측 프리즘의 입사 광축 및 출사측 프리즘의 출사 광축의 각각에 대하여 대체로 직교한다. 입사측 프리즘의 입사 광축, 중간 광학 시스템의 광축 및 출사측 프리즘의 출사 광축은 모두 공통 평면에 놓인다. 중간 광학 시스템의 광축 및 힌지 부분의 회전축이 서로 대체로 평행하도록 촬상 유닛은 접이식 하우징의 두개의 부분중 하나에 설치된다.
촬상 유닛은 접이식 하우징의 두개의 부분중 하나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힌지 부분 사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크기가 콤팩트하고 취급이 용이하며 전자 기기에 설치하기 에 적합한 촬상 유닛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 및 2에 도시된 휴대 전화기(휴대폰)(10)는 조작 부분(11)과 디스플레이 부분(12)을 포함하고 있는 접이식 하우징이 구비되어 있는 폴더 타입이며, 조작 부분(11)과 디스플레이 부분(12) 사이에는 힌지 부분(13)이 또한 구비되어 있다. 조작 부분(11)과 디스플레이 부분(12)은 힌지 부분(13)을 통하여 서로 힌지식으로 연결되어 힌지 부분(13)의 한쌍의 동축 힌지 핀(13a)의 축선(Q) 주위로 서로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으므로 휴대 전화기(10)는 조작 부분(11)과 디스플레이 부분(12)이 완전히 전개되어 있는 도 1 및 2에 도시된 작동 상태(완전 전개 상태/펼친 상태)와 조작 부분(11)과 디스플레이 부분(12)이 서로 포개지도록 휴대 전화기(10)가 접혀 있는 접힌 상태(도시 생략)로 변경될 수 있다. 조작 부분(11)에는 숫자 키 및 기능 키와 같은 복수의 조작 키(15)가 구비되고 디스플레이 부분(12)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역할을 하는 액정 화면(LCD)이 구비된다. 힌지 부분(13) 근처의 디스플레이 부분(12)의 배면(휴대 전화기가 접힌 상태 또는 완전 전개 상태에 따라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부분(12)의 외부 표면)에는 촬영 조리개(촬영 창)(14)가 구비되어 있다(도 2 참조). 도 2와 관련한 촬영 조리개(14)의 뒤쪽의 휴대 전화기(10)에는 촬상 유닛(촬상 모듈)(20)이 구비되어 있다.
촬상 유닛(20)은 도 3 내지 1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3 내지 6 및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 유닛(20)에는 촬상 광학 시스템을 구성하 는 제1 프리즘(입사측 프리즘, 입사측 광학 요소)(LP1), 네거티브 굴절력을 가진 제1 렌즈 그룹(LG1), 포지티브 굴절력을 가진 제2 렌즈 그룹(LG2) 및 제2 프리즘(출사측 프리즘)(LP2)이 구비되어 있고, 촬상 유닛(20)의 하우징(21)이 상술한 4개의 광학 요소를 지지하도록 촬상 유닛(20)이 구성되어 있다. 촬상 유닛(20)에 설치되는 촬상 광학 시스템은 초점 길이가 변경될 수 있는 줌 광학 시스템이며, 광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제1 렌즈 그룹(LG1) 및 제2 렌즈 그룹(LG2)으로 구성된다.
하우징(21)은 아래에 기재한 조건을 만족하도록 수평 방향으로 길이가 긴 박스 형태의 보디로 형성된다.
W > H > T
W, H, T는 휴대 전화기(10)의 디스플레이 부분(12)의 폭, 높이, 두께를 각각 나타낸다(도 3 및 4 참조). 이하의 설명에서, 폭(W) 방향, 높이(H) 방향, 두께(T) 방향에서의 촬상 유닛(20)의 방향을 각각 X 방향, Y 방향, Z 방향이라 한다. 촬상 유닛(20)의 상부, 하부, 좌측, 우측은 휴대 전화기(10)의 방위에 따라 바뀌지만, 이하의 설명에서 촬상 유닛(20)의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은 설명을 위하여 도 6에 도시된 촬상 유닛(20)을 기준으로 결정된다.
촬영할 때 물체측을 향하는 하우징(21)의 전방 부분은 전방 개구(22)를 형성하기 위하여 개방되어 있다. 하우징(21)의 전방 개구(22)의 상부 및 하부에는 제1 베이스 벽(23)과 제2 베이스 벽(24)이 구비되어 있고, 전방 개구(22)의 우측 및 좌측에는 제1 측벽(25) 및 제2 측벽(26)이 구비되어 있다. 하우징(21)의 전방 개구(22)로부터 Z 방향으로 반대쪽에는 하우징(21)의 후방을 폐쇄하는 후방 벽(27)이 구비되어 있다. 제1 베이스 벽(23)과 제2 베이스 벽(24)은 X 방향 성분 및 Z 방향 성분으로 구성되는 서로 평행한 평평한 플레이트이다. 제1 측벽(25)과 제2 측벽(26)은 각각 Y 방향 성분 및 Z 방향 성분으로 구성되는 서로 평행한 평평한 플레이트이다. 후방 벽(27)은 X 방향 성분 및 Y 방향 성분으로 구성되는 평평한 패널이다. 제1 베이스 벽(23)과 후방 벽(27)은 경사진 벽(28)을 통하여 서로 연결된다(도 3 및 5 참조).
X 방향으로 하우징(21)의 한쪽 단부와 다른쪽 단부에는 제1 프리즘(LP1) 및 제2 프리즘(LP2)을 각각 수납하는 제1 프리즘 수납부(30)와 제2 렌즈 프리즘 수납부(31)가 구비되어 있다(도 6 참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프리즘 수납부(31)는 하우징(21)에서 제2 측벽(26)에 인접하여 위치된 칸막이 벽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에 반하여 제1 렌즈 프리즘 수납부(30)는 제1 측벽(25)으로부터 옆쪽(도 6과 관련하여 우측)으로 돌출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다. 촬영할 때 물체측(촬영 조리개(14))을 향하는 제1 프리즘 수납부(30)의 전방에는 전방 개구(22)와 유사한 입사 개구(30a)가 구비되어 있다. 즉, 후방 벽(27)과 대향하는 하우징(21)의 전방의 거의 전체가 개구로 형성되도록 하우징(21)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21)의 제1 측벽(25)에는 관통 구멍(29)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프리즘 수납부(30)의 내부 공간 및 하우징(21)의 주요부의 내부 공간은 관통 구멍(29)을 통하여 X 방향으로 서로 연통하도록 연결되어 있다(도 6 및 11 참조).
제1 프리즘(LP1)은 입사면(LP1-i), 출사면(LP1-o) 및 반사면(LP1-r)이 구비되어 있는 직각 프리즘이다. 제1 프리즘(LP1)은 입사면(LP1-i)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반사면(LP1-r)에 의해서 출사면(LP1-o) 쪽으로 대체로 직각으로 반사시킨다. 입사면(LP1-i)은 오목면이고 출사면(LP1-o)은 볼록면이다. 제2 프리즘(LP2)은 입사면(LP2-i), 출사면(LP2-o) 및 반사면(LP2-r)이 구비되어 있는 직각 프리즘이다. 제2 프리즘(LP2)은 입사면(LP2-i)에 입사되는 빛을 반사면(LP2-r)에 의해서 출사면(LP2-o) 쪽으로 대체로 직각으로 반사시킨다. 제1 프리즘 수납부(30)에 수납되는 제1 프리즘(LP1)에서, 입사면(LP1-i)은 입사 개구(30a)를 통하여 물체측으로 노출되며, 한편 출사면(LP1-o)은 하우징(21)의 제1 측벽(25)에 X 방향으로 뻗어 형성되는 관통 구멍(29)과 마주하도록 위치된다. 제2 프리즘 수납부(31)에 수납되는 제2 프리즘(LP2)에서, 입사면(LP2-i)은 제1 프리즘(LP1)의 출사면(LP1-o)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한편 출사면(LP2-o)은 전방 개구(22)를 향하도록 위치된다. 즉, 제1 프리즘(LP1)의 입사면(LP1-i)과 제2 프리즘(LP2)의 출사면(LP2-o)이 모두 물체측을 향하도록 제1 프리즘(LP1)과 제2 프리즘(LP2)이 위치된다.
촬상 유닛(20)에는 하우징(21)에서 X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뻗어 있는 제1 및 제2 가이드 바(32, 33)가 구비되어 있다. 제1 및 제2 가이드 바(32, 33)는 Y 방향으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된다. 제1 가이드 바(32)는 Y 방향에서 제2 가이드 바(33)보다 하우징(21)의 제1 베이스 벽(23)에 가깝게 되고 Z 방향에서 제2 가이드 바(33)보다 하우징(21)의 뒤쪽으로 후방 벽(27)에 가깝게 되도록 제2 가이드 바(33) 위에 위치된다. 제2 가이드 바(33)는 Y 방향에서 제1 가이드 바(32)보다 제2 베이스 벽(24)에 가깝게 되고 Z 방향에서 제1 가이드 바(32)보다 전방 개구(22)에 가깝게 되도록 제1 가이드 바(32)의 아래에 위치된다. 촬상 유닛(20)에는 하우징(21)에서 제1 렌즈 그룹(LG1)과 제2 렌즈 그룹(LG2)을 각각 지지하는 제1 렌즈 그룹 프레임(34)과 제2 렌즈 그룹 프레임(35)이 구비된다. 제1 렌즈 그룹 프레임(34)과 제2 렌즈 그룹 프레임(35)은 X 방향으로 자유롭게 미끄럼이동 가능하도록 제1 및 제2 가이드 바(32, 33)에 의해서 지지된다. 제1 렌즈 그룹 프레임(34)에는 원통형 가이드 부분(36) 및 서로 멀어지게 반경방향의 반대쪽으로 돌출된 회전 제한 아암(37)이 구비되어 있다. 원통형 가이드 부분(36)은 X 방향으로 미끄럼이동 가능하도록 제1 가이드 바(32)에 맞춰진다. 제1 렌즈 그룹 프레임(34)이 제1 가이드 바(32)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회전 제한 아암(37)의 반경방향의 외부 단부는 제2 가이드 바(33)와 결합하도록 두 갈래로 나뉘어져 있다. 제2 렌즈 그룹 프레임(35)에는 원통형 가이드 부분(38) 및 서로 멀어지게 반경방향의 반대쪽으로 돌출된 회전 제한 아암(39)이 구비되어 있다. 원통형 가이드 부분(38)은 X 방향으로 미끄럼이동 가능하도록 제2 가이드 바(33)에 끼워진다. 제2 렌즈 그룹 프레임(35)이 제2 가이드 바(33)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회전 제한 아암(39)의 반경방향의 외부 단부는 제1 가이드 바(32)와 결합하도록 두 갈래로 나뉘어져 있다. 제2 가이드 바(33)와 회전 제한 아암(37)의 결합 및 제1 가이드 바(32)와 회전 제한 아암(39)의 결합으로 인하여, 제1 렌즈 그룹 프레임(34)과 제2 렌즈 그룹 프레임(35)은 X 방향에서 자유롭게 직선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제1 및 제2 가이드 바(32, 33)에 의해서 지지된다. 도 3, 4, 6, 7, 8 및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렌즈 그룹 프레임(34)과 제2 렌즈 그룹 프레임(35)이 제1 및 제2 가이드 바(32, 33)에 의해서 지지된 상태에서, 제1 렌즈 그룹(LG1) 및 제2 렌즈 그룹(LG2)은 X 방향에서 제1 프리즘(LP1)과 제2 프리즘(LP2) 사이에 위치되는 한편, 제1 렌즈 그룹(LG1) 및 제2 렌즈 그룹(LG2)은 제1 프리즘(LP1)의 출사면(LP1-o) 및 제2 프리즘(LP2)의 입사면(LP2-i)과 대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21)에 의해서 촬상 광학 시스템이 지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물체측으로부터의 빛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Z 방향으로 뻗은 입사 광축(OP-1)을 따라 제1 프리즘(LP-1)의 입사면(LP-i)에 입사된다. 제1 프리즘(LP1)은 반사면(LP1-r)에 의해서 입사광을 대체로 직각으로 반사시키며, 반사면(LP1-r)에 의해서 반사된 빛은 X 방향으로 뻗은 중간 광축(OP-C)을 따라 제1 렌즈 그룹(LG1) 및 제2 렌즈 그룹(LG2)을 통해 진행하여 제2 프리즘(LP2)의 입사면(LP2-i)에 입사된다. 제2 프리즘(LP2)이 반사면(LP2-r)에 의해서 입사광을 물체측으로 반사시키므로 반사면(LP2-r)에 의해서 반사된 빛은 Z 방향으로 뻗은 출사 광축(OP-2)을 따라서 출사면(LP2-o)을 통해서 제2 프리즘(LP2)으로부터 빠져나온다. 따라서, 촬상 유닛(20)에 구비되어 있는 촬상 광학 시스템은 대체로 U자 형태로 구부러진 단일 광축을 형성하는 입사 광축(OP-1), 중간 광축(OP-C) 및 출사 광축(OP-2)을 포함하고 있는 광학 시스템으로서 구성된다. Y 방향에서 입사 광축(OP-1), 중간 광축(OP-C) 및 출사 광축(OP-2)은 서로 동일하므로 입사 광축(OP-1), 중간 광축(OP-C) 및 출사 광축(OP-2)은 모두 공통의 평면에 놓여진다. 제1 프리즘(LP1)의 출사 광축 및 제2 프리즘(LP2)의 입사 광축은 중간 광축(OP-C)과 일치한다.
제1 렌즈 그룹 프레임(34)은 너트 결합부(40)를 구비하고 있고 제2 렌즈 그룹 프레임(35)은 너트 결합부(41)를 구비하고 있다. 너트(42)는 너트 결합부(40)와 결합되고 너트(43)는 너트 결합부(41)와 결합된다. 도 9에 확대하여 도시된 바 와 같이, 너트(42)는 너트 결합부(40)로부터 돌출된 한쌍의 유지 돌기(44) 사이에 유지(스냅 끼워맞춤)되는 유지 돌기(45)(너트(42)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음)와 함께 너트 결합부(40)와 결합되므로 제1 렌즈 그룹 프레임(34)과 너트(42)는 X 방향으로 함께 이동한다. 마찬가지로, 도 10에 확대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43)는 너트 결합부(41)로부터 돌출된 한쌍의 유지 돌기(46) 사이에 유지(스냅 끼워맞춤)되는 유지 돌기(47)(너트(43)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음)와 함께 너트 결합부(41)와 결합되므로 제2 렌즈 그룹 프레임(35)과 너트(43)는 X 방향으로 함께 이동한다.
촬상 유닛(20)에는 제1 렌즈 그룹(LG1)을 구동하기 위한 제1 모터(액추에이터)(50) 및 제2 렌즈 그룹(LG2)을 구동하기 위한 제2 모터(액추에이터)(52)가 구비된다. 너트(42)에는 제1 모터(50)의 제1 구동축(이송 스크루 샤프트)(51)이 결합되는 스크루 구멍(관통 구멍)이 구비되어 있고, 너트(43)에는 제2 모터(52)의 제2 구동축(이송 스크루 샤프트)(53)이 결합되는 스크루 구멍(관통 구멍)이 구비되어 있다. 제1 모터(50)는 하우징(21)에 의해서 지지되며, 구체적으로 제1 모터(50)에는 원통형 모터 본체부(55)가 구비되어 있고 하우징(21)은 X 방향으로 뻗은 축선을 따라 모터 본체부(55)를 제1 베이스 벽(23)의 근처에 지지하기 위하여 하우징(21)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는 모터 지지부(54)를 구비하고 있다(도 6 참조). 제1 모터(50)의 제1 구동축(51)은 제1 모터(50)의 모터 본체부(55)로부터 제1 측벽(25)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뻗어 있다. 또한 제2 모터(52)는 하우징(21)에 의해서 지지되며, 구체적으로 제2 모터(52)에는 원통형 모터 본체부(57)가 구비되어 있고 하우징(21)은 X 방향으로 뻗은 축선을 따라 모터 본체부(57)를 제2 베이스 벽(24)의 근처에 지지하기 위하여 하우징(21)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는 모터 지지부(56)를 구비하고 있다(도 6 참조). 제2 모터(52)의 제2 구동축(53)은 제2 모터(52)의 모터 본체부(57)로부터 제1 측벽(25)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뻗어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가이드 바(32, 33) 이외에 제1 모터(50)(제1 모터의 제1 구동축(51))와 제2 모터(52)(제2 모터의 제2 구동축(53))는 모터의 길이 방향(축선 방향)이 대체로 X 방향과 평행하게 되도록 배열된다. 게다가, 제1 모터(50)는 Z 방향에서 전방 개구(22)의 근처(제2 모터(52)보다 물체측에 더 가까운 위치)에 위치되고, 한편 제2 모터(52)는 Z 방향에서 하우징(21)의 뒤쪽으로 후방 벽(27)의 근처에 위치된다.
제1 모터(50)의 제1 구동축(51)의 회전은 제1 구동축(51) 상의 이송 스크루 나사산과 너트(42)의 결합으로 인해 너트(42)를 X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너트(42)가 너트 결합부(40)와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너트(42)가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제1 렌즈 그룹 프레임(34)을 X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마찬가지로, 제2 모터(52)의 제2 구동축(53)의 회전은 제2 구동축(53) 상의 이송 스크루 나사산과 너트(43)의 결합으로 인해 너트(43)를 X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너트(43)가 너트 결합부(41)와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너트(43)가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제2 렌즈 그룹 프레임(35)을 X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촬상 유닛(20)에 구비된 광학 시스템은 제1 렌즈 그룹 프레임(34) 및 제2 렌즈 그룹 프레임(35)(즉, 제1 렌즈 그룹(LG1) 및 제2 렌즈 그룹(LG))을 소정의 이동 방식으로 X 방향에서 서로에 대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초점 거리가 변화되는 줌 광학 시스템이다. 또한, 초점 맞춤 동작은 제1 렌즈 그룹(LG1) 또는 제2 렌즈 그룹(LG2)을 X 방향으로 이동시킴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제1 렌즈 그룹(LG1) 및 제2 렌즈 그룹(LG2)이 포커싱 렌즈 그룹으로서 사용되는 것은 선택 사항이지만, 본 실시형태의 촬상 유닛(20)에서는 제2 렌즈 그룹(LG2)이 포커싱 렌즈 그룹으로 사용된다.
제1 모터(50)는 제1 모터 유지 부재(60)에 의해서 유지된다(도 5 참조). 제1 모터 유지 부재(60)는 X 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되어 있는 플레이트 형상의 부재이다. 제1 모터 유지 부재(60)는 X 방향으로 한쪽 단부와 다른쪽 단부에 장착 아암(61)과 위치결정 구멍(62)을 구비하고 있다. 제1 모터 유지 부재(60)를 하우징(21)에 고정하기 위하여 장착 아암(61) 및 위치결정 구멍(62)은 하우징(21)으로부터 돌출된 고정부(고정 러그)(63) 및 위치결정 핀(64)과 각각 결합하게 된다(도 6 참조). 제1 모터 유지 부재(60)가 하우징(21)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1 모터 유지 부재(60)의 중앙에 형성된 유지 러그(65)는 제1 모터(50)를 유지하기 위하여 제1 모터(50)의 모터 본체부(55)와 가압 접촉한다. 도 6은 하우징(21)으로부터 제1 모터 유지 부재(60)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다. 제2 모터(52)는 제2 모터 유지 부재(66)에 의해서 지지된다(도 5 참조). 제2 모터 유지 부재(66)는 X 방향으로 그 양쪽 단부에 두개의 장착 아암(67)을 구비하고 있으며, 두개의 장착 아암(67) 중의 하나에 인접한 위치에는 위치 결정 구멍(68)을 더 구비하고 있다. 제1 모터 유지 부재(60)는 전방 개구(22) 쪽에서 하우징(21)에 고정되고, 한편 제2 모터 유지 부재(66)는 후방 벽(27) 쪽에서 하우징(21)에 고정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모터 유지 부재(66)가 고정되어 위치되는 오목부(컷아웃)가 후방 벽(27)에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21)은 상술한 오목부에 제2 모터 유지 부재(66)의 두개의 장착 아암(67)과 결합되는 두개의 장착부(69)를 구비하고 있고(도 5에는 단지 하나만 도시되어 있음), 위치결정 구멍(68)과 결합되는 위치결정 돌출부(70)를 더 구비하고 있다. 제2 모터 유지 부재(66)가 후방 벽(27)의 오목부 내부에 위치되도록 하우징(21)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2 모터 유지 부재(66)의 중앙에 형성된 유지 러그(71)는 제2 모터(52)를 유지하기 위하여 제2 모터(52)의 모터 본체부(57)와 가압 접촉한다.
모터 본체부(55)로부터 돌출된 제1 모터(50)의 모터 단자(72)는 하우징(21)에 형성된 관통 구멍(73)을 통해 하우징(21)의 외부로 노출된다. 모터 본체부(57)로부터 돌출된 제2 모터(52)의 모터 단자(74)는 전방 개구(22)를 향하여 뻗어 있다.
촬상 유닛(20)은 하우징(21)에 설치할 상술한 구성요소가 하우징(21)에 설치된 후에 전방 개구(22)를 폐쇄하기 위하여 하우징(21)에 커버 보드(센서 보드)(80)를 고정함으로써 완성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보드(80)는 촬상 센서(83),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이하, DSP라고 함)(84), 수정 발진기(85), 리드 온리 메모리(이하 ROM이라 함)(86), 랜덤 액세스 메모리(이하 RAM이라 함)(87), 모터 드라이버(88)와 같은 전자 회로 부품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것들은 서로 다른 위치에서 평평한 플레이트 형태의 기판(90)에 장착된다. 커버 보드(80)에 포함되는 각각의 전자 부품(칩)은 와이어 본딩에 의해서 베어 칩을 기판(90)에 연결함으로써 커버 보드(80)에 고정된다.
도 13은 커버 보드(80)에 포함되는 전자 회로 부품간의 제어를 위한 연결을 도시하고 있다. 촬상 센서(83)는 신호를 출력하기 위하여 촬상면(수광면)에 입사된 빛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CCD 또는 CMOS 촬상 센서와 같은 전형적인 타입이다. 화상(라이브 프리뷰)이 액정 화면(16)에 표시되는 라이브 뷰 모드에서, 촬상 센서(83)로부터의 신호는 액정 화면(16)의 디스플레이 요소에 의해서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 있는 신호(YUV signal)로 생성되도록 하기 위하여 DSP(84)에 의해 처리되도록 DSP(84)의 제어에 의해서 순차적으로 판독된다. 정지 이미지를 캡쳐하기 위하여 촬영할 때, 모든 픽셀 신호(픽셀 데이터)는 DSP(84)에 의해 처리되도록 DSP(84)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촬상 센서(83)로부터 판독되고, DSP(84)에 의해서 JPEG와 같은 소정 형식으로 압축되고, 외부 메모리(예를 들면, 분리가능한 메모리 카드)에 저장될 수 있는 화상 신호로서 DSP(84)로부터 출력된다. 또한 DSP(84)는 모터 드라이버(88)를 통하여 제1 모터(50) 및 제2 모터(52)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줌 광학 시스템의 초점 길이를 변경하기 위하여 줌 동작이 실행될 때 제1 모터(50) 및 제2 모터(52)가 작동되고, 초점맞춤 동작이 실행될 때 제2 모터(52)가 작동된다. DSP(84)를 작동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ROM(86)에 저장되어 있다. 휴대 전화기(10)의 전원이 들어올 때, DSP(84)는 일련의 시동 프로세스를 실행하기 위하여 ROM(86)으로부터 이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사용자에게 휴대 전화기(10)가 촬영 준비 상태가 되었다는 것을 시각적으로 알려주는 피사체 화상(라이브 프리뷰)을 출력하도록 촬상 센서(83)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처리한 다. RAM(87)은 DSP(84)가 촬상 센서(83)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신호를 처리하기 위하여 임시 저장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수정 발진기(85)는 미리 설정한 클럭 스피드를 갖는 타이밍 신호를 출력한다.
커버 보드(80)는 X 방향으로 길이가 긴 직사각형의 형태이다. 커버 보드(80)는 X 방향과 Y 방향에서의 이차원적 크기가 전방 개구(22)와 대체로 동일하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개구(22)를 폐쇄하기 위하여 커버 보드(80)가 하우징(21)에 고정될 때, 촬상 센서(83)의 촬상면은 제2 프리즘(LP2)의 출사면(LP2-o)과 대향하도록 위치된다. 바꾸어 말하면, 촬상 센서(83)가 출사 광축(OP-2) 상에 위치된다. 커버 보드(80)가 하우징(21)에 고정될 때, 하우징(21)에 의해서 지지되는 촬상 광학 시스템(제1 프리즘(LP1), 제1 렌즈 그룹(LG1), 제2 렌즈 그룹(LG2) 및 제2 프리즘(LP2)을 포함)을 통하여 형성된 피사체 화상이 촬상 센서(83)의 촬상면에 정확하게 형성되도록 하우징(21)에 대한 커버 보드(80)의 고정 위치는 미세하게 조정된다. 커버 보드(80)는 접착제와 같은 고정 수단에 의해서 하우징(21)에 고정된다.
커버 보드(80)가 하우징(21)에 고정될 때, 커버 보드(80)로부터 뻗어 있는 모터 연결 보드(인쇄 배선 기판)(81)는 제1 모터(50)의 모터 단자(72)에 연결되고, 또한 커버 보드(80)로부터 뻗어 있는 모터 연결 보드(인쇄 배선 기판)(82)는 제2 모터(52)의 모터 단자(74)에 연결된다. 하우징(21)에 커버 보드(80)의 설치가 완료되었을 때 제1 모터(50) 및 제2 모터(52)의 작동이 모터 드라이버(88)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도록 모터 연결 보드(81, 82)는 모터 드라이버(88)에 연결된다.
커버 보드(80)와 하우징(21)이 서로 결합된 후의 완성된 상태의 촬상 유닛(20)에서, 제1 프리즘(LP1)의 입사면(LP-i)이 촬상 유닛(20)의 외부로 노출되게 하는 입사 개구(30a)가 촬상 유닛(21)의 유일한 개구이다. 즉, 촬상 유닛(20)의 나머지 부분은 폐쇄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완성된 촬상 유닛(20)에서, 입사 개구(30a)는 하우징(21)의 외부로부터 촬상 유닛(20)에 빛이 들어가도록 허용하는 하우징(21)의 유일한 광학적인 개구이므로, 하우징(21)에는 하우징(21)의 외부로부터 촬상 유닛(20)에 빛이 들어가도록 허용하는 다른 광학적인 개구가 구비되어 있지 않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리즘(LP1)의 입사면(LP1-i)이 촬영 조리개(14) 뒤에 위치되도록 촬상 유닛(20)은 휴대 전화기(10)의 디스플레이 부분(12)에 설치된다. 이러한 설치 작업에서, 커버 보드(80)로부터 뻗어 있는 화상 신호 가요성 PCB(인쇄회로기판)(91)는 휴대 전화기(10)에 구비된 제어 회로(도시 생략)에 연결된다.
휴대 전화기(10)의 제어 회로는 조작 키(15)와 같은 조작 장치를 통하여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화상 신호 가요성 PCB(91)를 통해 촬상 유닛(20)에 보낸다. 제어 신호는 예를 들어 촬영 동작 실행 신호, 라이브 뷰(화상 표시) 실행 신호 또는 줌 동작 신호이다. 촬영 동작 실행 신호가 입력될 때, 촬상 유닛(20)은 상술한 초점맞춤 동작(제2 렌즈 그룹(LG2)이 제2 모터(52)에 의해서 구동되는)을 포함한 촬영 동작을 실행하고, 촬상 유닛(20)은 메모리에 저장하기 위하여 DSP(84)에 의해서 처리되고 포맷된 화상 신호를 화상 신호 가요성 PCB(91)를 통하여 제어 회로에 보낸다. 라이브 뷰 실행 신호가 입력될 때, 촬상 유닛(20)은 스크린에 표시하기 위해 DSP(84)에 의해서 처리된 화상 신호(YUV 신호)를 가요성 PCB(91)를 통하여 제어 회로에 보낸다. 게다가, 촬상 유닛(20)이 줌 동작 신호를 입력한 직후, 촬상 유닛(20)의 촬상 광학 시스템의 초점 길이를 변경하기 위하여 제1 모터(50) 및 제2 모터(52)는 모터 드라이버(88)를 통하여 작동된다. 또한, 전원은 또한 가요성 PCB(91)를 통하여 촬상 유닛(20)에 공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 전화기(10)의 촬상 시스템은 촬상 유닛(20)으로부터 뻗어 있는 가요성 PCB(91)를 휴대 전화기(10)의 제어 회로에 연결함으로써 완성된다. 휴대 전화기(10)의 제조 공정에서, 커버 보드(80)에 전자 회로 부품을 포함하고 있고 사전에 모듈로서 조립되는 촬상 유닛(20)은 디스플레이 부분(12)에 간단하게 설치되고, 따라서 촬상 유닛(20)의 설치를 위한 복잡한 작업이 필요치 않으며 휴대 전화기(10)의 조립 작업성이 우수하다. 유사한 관점에서, 촬상 유닛(20)이 수리되거나 교체될 때 휴대 전화기(10)는 유지관리가 우수하다. 게다가, DSP(84)에 의해서 처리된 화상 신호가 촬상 유닛(20)으로부터 출력되기 때문에 이미지 처리에 대한 부담이 휴대 전화기(10)의 제어 회로에 부가되지 않는다. 더욱이, 제1 렌즈 그룹(LG1) 및 제2 렌즈 그룹(LG2)을 이동하기 위한 지지 및 구동 기구(제1 및 제2 가이드 바(32, 33)와 같은 지지 및 가이드 기구와 제1 모터(50) 및 제2 모터(52)와 같은 액추에이터를 포함)가 촬상 유닛(20)에 또한 설치되기 때문에 휴대 전화기(10)에는 휴대 전화기(10)의 촬상 시스템을 위한 복잡한 구동 기구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바꾸어 말하면, 촬영 동작을 위한 모든 구성요소가 촬상 유닛(20)에 모듈로 설계되기 때문에 촬상 유닛(20)의 융통성이 높으므로 촬상 유닛(20)은 다양한 휴대용 전자 기기에 통합될 수 있다.
게다가, 촬상 유닛(20)의 구성요소를 공간 절감 방식의 유닛으로 제공함으로써 촬상 유닛(20)은 콤팩트한 크기로 만들어지며, 이것은 휴대 전화기(10)에 설치되는 전자 기기의 제조에 기여한다. 촬상 유닛(20)의 촬상 광학 시스템은 촬영 조리개(14)를 통하여 물체측으로부터 입사된 빛이 X 방향을 따라 진행하도록 제1 프리즘(LP1)에 의해서 휘어지고 이어서 촬상 센서(83)의 촬상면에 이미지로서 형성되도록 물체측으로 다시 진행하기 위하여 제2 프리즘(LP2)에 의해서 휘어지는 벤딩 광학 시스템으로 설계된다. 더욱이, 제1 렌즈 그룹(LG1) 및 제2 렌즈 그룹(LG2)은 X 방향으로 제1 프리즘(LP1)과 제2 프리즘(LP2) 사이의 광학 경로에 배열되고, 배율 변경(줌) 동작 또는 초점맞춤 동작에서 제1 렌즈 그룹(LG1) 및 제2 렌즈 그룹(LG2)의 이동 방향은 X 방향과 상응한다. 따라서, 촬상 유닛(20)의 촬상 광학 시스템에 의해 점유되는 Z 방향에서의 촬상 유닛(20)의 내부 공간의 크기는 Z 방향에서 제1 프리즘(LP1) 또는 제2 프리즘(LP2)의 크기(두께) 안에 들어가는 것이 될 수 있으며, 이것은 촬상 유닛(20)이 줌 광학 시스템을 포함하더라도 Z 방향에서 촬상 유닛(20)의 두께 감소에 기여한다.
더욱이, 촬상 유닛(20)에서 촬상 센서(83)를 포함하는 전자 회로 부품을 수용하는 커버 보드(80)는 광학 시스템을 지지하는 하우징(21)을 위한 커버 부재로서의 역할을 한다. 커버 보드(80)가 제위치에서 하우징(21)에 고정될 때 촬상 센서(83)의 촬상면이 자동적으로 제2 프리즘(LP2)의 출사면(LP2-o)을 향하기 때문에, 촬상 센서(83)는 복잡한 지지 구조를 구비할 필요없이 촬상 유닛(20)의 광학 시스 템의 결상 평면에 설치될 수 있다. 게다가, X 방향으로 길이가 긴 전방 개구(22)를 폐쇄하기 위하여 커버 보드(80)가 또한 X 방향으로 길이가 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것은 X 방향(부분적으로 Y 방향)으로 상이한 위치에 분산하여 복수의 전자 회로 부품(촬상 센서(83) 및 DSP(84)를 포함)을 배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전자 회로 부품에 의해 점유되는 Z 방향의 공간(또는 Z 방향에서 이들 전자 회로 부품의 두께)이 최소화될 수 있고, 따라서 광학 시스템뿐만 아니라 전기 회로를 수용하는 촬상 유닛(20)은 전체적으로 Z 방향에서 매우 얇아진다.
구체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 광학 시스템의 실시형태에서 제1 프리즘(LP1)은 촬상 유닛(20)의 다른 광학 요소(제2 프리즘(LP2), 제1 렌즈 그룹(LG1) 및 제2 렌즈 그룹(LG2))보다 Z 방향에서의 크기가 더 크다. 즉, 제1 프리즘(LP1)에는 입사면(LP1-i)이 형성되는 돌출부가 구비되어 있고, 돌출부는 Z 방향에서 촬상 유닛(20)의 다른 광학 요소보다 약간 더 크게 물체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커버 보드(80)는 X 방향에서 제1 프리즘(LP1)의 약간 돌출된 부분의 연장선상에 놓여진다. 바꾸어 말하면, 커버 보드(80)는 제1 프리즘(LP1)의 약간 돌출된 부분이 놓여있는 평면에 놓여진다. 말하자면, 커버 보드(80)는 제1 프리즘(LP1)과 다른 광학 요소 사이에 형성되는 Z 방향에서의 공간(데드 스페이스)을 이용하여 위치된다. 이것은 더욱 향상된 공간 절감 효율을 달성한다. 특히, 촬상 광학 시스템이 광각 시야를 갖도록 설계되는 경우에, 제1 프리즘(LP1)의 크기가 커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커버 보드(80)의 특별한 위치결정이 효과적이다.
사용자 쪽을 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갖고 있는 휴대 전화기(10)과 같은 전자 기기에서, 디스플레이이 장치는 그 자체가 이차원적인 방향(X-Y 방향)에서 소정 면적을 점유하기 때문에 다양한 부품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용이하게 얻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촬상 유닛(20)의 X 방향이 액정 화면(16)의 폭에 대응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부분(12)에서 비교적 긴 광학 경로 길이가 용이하게 확보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액정 화면(16)의 두께 방향에서(즉, Z 방향에서), 액정 화면(16) 이외의 디스플레이 부분(12)의 내부 구성요소의 크기(두께)는 디스플레이 부분(12)의 두께에 영향을 미친다(즉, 증가시킨다). 반대로, 만약 촬상 유닛(20)과 같은 디스플레이 부분(12)의 내부 구성요소가 Z 방향으로 얇아질 수 있다면, 휴대 전화기(10)의 전체 두께가 최소화될 수 있다. 상술한 촬상 유닛(20)의 구조는 Z 방향에서 촬상 유닛(20)의 크기의 감소를 달성하며, 따라서 휴대 전화기(10)의 두께 감소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촬상 유닛(20)의 길이 방향(즉, X 방향)이 디스플레이 부분(12)의 폭 방향(즉, 쌍으로 되어 있는 힌지 핀(13a)의 축선(Q)과 대체로 평행한 방향)과 일치하도록 그리고 촬상 유닛(20)의 높이 방향(즉, Y 방향)이 디스플레이 부분(12)의 길이 방향(즉, 쌍으로 되어 있는 힌지 핀(13a)의 축선(Q)과 대체로 직교하는 방향)과 일치하도록 촬상 유닛(20)이 디스플레이 부분(12)에 배치된다. 바꾸어 말하면,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 유닛(20)에 설치된 촬상 광학 시스템의 중간 광축(OP-C)이 쌍으로 되어 있는 힌지 핀(13a)의 축선(Q)과 대체로 평행하게 되도록 촬상 유닛(20)이 디스플레이 부분(12)에 위치된다. 촬상 유닛(20)은 디스플레이 부분(12)의 길이 방향으로 힌지 부분(13)과 액정 화면(16) 사이에 설치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부분(12)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 뻗은 촬상 유닛(20)의 설치 공간은 액정 화면(16)의 크기에 의해서 제한된다. 바꾸어 말하면, 액정 화면(16)은 디스플레이 부분(12)의 폭 방향에서 촬상 유닛(20)의 설치 공간을 제한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상술한 디스플레이 부분(12)에 대한 촬상 유닛(20)의 배향은 촬상 유닛(20)이 액정 화면(16)과 간섭하는 일 없이 공간 절감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부분(12)에 촬상 유닛(20)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바꾸어 말하면, 넓은 디스플레이 면적을 갖는 액정 화면(16)이 채택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촬상 유닛(20)은 크기가 콤팩트하게 만들어지고, 제조 및 유지관리시에 취급이 용이하고, 휴대 전화기(10)과 같은 휴대용 전자 기기에 설치하기 적합하다.
도 14는 촬상 유닛(20)의 촬상 광학 시스템의 변경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의 촬상 광학 시스템에는 도 11에 도시된 촬상 광학 시스템의 제1 프리즘(LP1), 제1 렌즈 그룹(LG1), 제2 렌즈 그룹(LG2) 및 제2 프리즘(LP2)에 각각 대응하는 제1 프리즘(LP1'), 제1 렌즈 그룹(LG1'), 제2 렌즈 그룹(LG2') 및 제2 프리즘(LP2')이 구비되어 있다. 제1 프리즘(LP1')에서, 입사면(LP1-i') 및 출사면(LP1-o')은 오목면이다. 제1 렌즈 그룹(LG1') 및 제2 렌즈 그룹(LG2')은 모두 포지티브 굴절력을 갖고 있다.
도 15는 제1 프리즘(LP1')의 입사면(LP1-i')의 전방(물체측)에 위치되도록 추가적인 전방 렌즈 그룹(LGF)이 입사 광축(OP-1)에 구비되어 있는, 도 14의 광학 시스템의 변경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전방 렌즈 그룹(LGF)의 입사면은 볼록면으로 형성되고 전방 렌즈 그룹(LGF)의 출사면은 오목면으로 형성된다. 더욱이, 하우징(21)에서 전방 렌즈 그룹(LGF)을 유지하는 렌즈 유지부(30b)는 제1 프리즘 수납부(30)의 입사 개구(30a)의 전방 부분에 형성된다. 도 15에 도시된 촬상 광학 시스템에서, 전방 렌즈 그룹(LGF) 및 제1 프리즘(LP1')이 입사측 광학 요소(입사 광축(OP-1)에)를 구성한다.
도 14 및 15에 도시된 촬상 광학 시스템에서, 제1 프리즘(LP1')은 Z 방향에서 촬상 유닛(20)의 다른 광학 요소(제2 프리즘(LP2'), 제1 렌즈 그룹(LG1') 및 제2 렌즈 그룹(LG2'))보다 크기가 더 크고, 제1 프리즘(LP1')의 입사면(LP1-i')은 촬상 유닛(20)의 다른 광학 요소보다 약간 크게 물체쪽을 향하여 돌출된 돌출 부분에 형성된다.
더욱이, 도 15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전방 렌즈 그룹(LGF)은 제1 프리즘(LP1')의 전방 부분에 구비되고 촬상 유닛(20)에 구비된 다른 광학 요소보다 Z 방향에서 상대적으로 큰 공간을 차지한다. 커버 보드(80)는 X 방향에서 제1 프리즘(LP1')의 약간 돌출된 부분(그리고 전방 렌즈 그룹(LGF))의 연장선상에 놓여진다. 구체적으로, 도 15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커버 보드(80)의 기판(90)은 X 방향에서 전방 렌즈 그룹(LGF)의 연장선상에 놓여지고, 한편 기판(90) 상의 전자 회로 부품(즉, DSP(84), 수정 발진기(85), ROM(86), RAM(87) 및 모터 드라이버(88))은 X 방향에서 제1 프리즘(LP1')의 돌출 부분의 연장선상에 놓여진다. 바꾸어 말하면, 커버 보드(80)는 전방 렌즈 그룹(LGF)의 약간 돌출된 부분이 놓여지는 평면 에 위치된다. 이것은 향상된 공간 절감 효율성을 달성한다. 입사 광축(OP-1) 상의 입사측 광학 요소(LP1', LGF)는 촬상 유닛(20)에 구비된 다른 광학 요소보다 Z 방향에서 상대적으로 큰 공간을 차지하기 때문에, 전방 렌즈 그룹(LGF)을 포함하는 상술한 평면에 커버 보드(80)가 여전히 놓여 있는 상태로 도 14의 실시형태의 전자 회로 부품보다 큰 전자 회로 부품(즉, 촬상 센서(83), DSP(84), 수정 발진기(85), ROM(86), RAM(87) 및 모터 드라이버(88))이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도 11, 14 및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 센서(83)를 제외한 커버 보드(80)상의 전자 회로 부품(예를 들면, DSP(84)를 포함)은 촬상 센서(83)가 장착되는 커버 보드(80)의 표면, 즉 커버 보드(80)가 하우징(21)에 고정될 때 하우징(21) 내측과 마주하는 커버 보드(80)의 내부 표면에 장착된다. 이러한 구조는 하우징(21)의 내부 공간의 이용을 향상시키고, 따라서 촬상 유닛(20)을 더욱 소형화하는 것을 달성할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구조는 커버 보드(80)상의 전자 회로 부품을 먼지로부터 보호하고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하는 관점에서 효과적이다.
그러나,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촬상 유닛(120)에서, 촬상 센서(183) 이외에 커버 보드(180)에 수용되는 전자 회로 부품, 즉 DSP(184), 수정 발진기(185), ROM(186), RAM(187) 및 모터 드라이버(188)(도 11에 도시된 것과 각각 대응)는 촬상 센서(183)측으로부터 기판(190)(도 11에 도시된 기판(90)에 대응)의 반대쪽 표면에 있는 기판(190)의 외부 표면(물체측을 향한 표면)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커버 보드(180)를 제외한 촬상 유닛(120)은 도 11에 도시된 촬상 유닛(20)의 제1 실시형태와 구조가 동일하고, 촬상 유닛(20)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촬상 유닛(120)의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된다. 촬상 유닛(120)에서, 커버 보드(180)는 하우징(21)의 전방 개구(22)를 폐쇄(커버)하기 위한 커버 부재로서의 역할을 한다. 커버 보드(180)의 외부 표면에 의해서 지지되는 DSP(184)와 같은 전자 회로 부품은 입사면(LP1-i)으로부터 물체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지 않으며, 따라서 Z 방향에서 촬상 유닛(120)의 소형화를 방해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부분(12)에 설치되는 촬상 유닛은 도 17에 도시된 촬상 유닛(220) 또는 도 18에 도시된 촬상 유닛(320) 처럼 구성될 수 있다. 도 11, 14 및 15에 도시된 촬상 유닛(20) 및 도 16에 도시된 촬상 유닛(120)과 달리, 도 17에 도시된 촬상 유닛(220)은 중간 광축(OP-C)을 따라 제2 프리즘(LP2')의 입사면(LP2-i')에 입사되는 빛이 입사 광축(OP-1)과 방향이 동일한 출사 광축(OP-2')을 따라 촬상 유닛(220)으로부터 빠져나가기 위하여 촬상 유닛(320)의 후방을 향하여 뒤쪽으로 반사(즉, 물체측과 반대쪽을 향하여 반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프리즘(LP2')을 포함하는 광학 요소를 지지하는 촬상 유닛(220)의 하우징(221)에서, 도 11, 14, 15 및 16에 도시된 하우징(21)의 전방 개구(22)에 대응하는 하우징(221)의 일부가 폐쇄되어 있고, 후방 개구(227)는 제2 프리즘(LP2')의 출사면(LP2-o')과 대향하는 하우징(221)의 후방 벽의 일부에 형성된다. 후방 개구(227)는 X 방향에서 중간 광축(OP-C)과 평행한 면을 따라 소정 면적으로 출사 광축(OP-2')의 연장선상에 배치된 출사부(제2 프리즘(LP2')의 반사면(LP2-r')에 의해 반사된 빛이 하우징(221)을 빠져나가는 부분)로부터 뻗어 형성되고, 후방 개 구(227)는 촬상 센서(283)를 포함하고 있는 커버 보드(280)에 의해서 덮혀진다. 커버 보드(280)에는 상이한 위치에서 기판(290)의 동일한 쪽에 모두 장착되는 촬상 센서(283), DSP(284), 수정 발진기(285), ROM(286), RAM(287) 및 모터 드라이버(288)와 같은 전자 회로 부품이 구비된다. 커버 보드(280)가 하우징(221)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촬상 센서(283)가 제2 프리즘(LP2')의 출사면(LP2-o')과 대향하도록 그리고 기판(290)의 동일한 쪽에 장착되는 DSP(284),수정 발진기(285), ROM(286), RAM(287) 및 모터 드라이버(288)가 중간 광축(OP-C)에 평행한 측면을 따라 뻗어 있는 하우징(221)의 공간에 수용되도록 촬상 센서(283)가 위치된다.
도 18은 휴대 전화기(10)의 디스플레이 부분(12)에 설치된 촬상 유닛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8에 도시된 촬상 유닛(320)에 포함된 촬상 광학 시스템은 도 17에 도시된 촬상 유닛(220)에 포함된 촬상 광학 시스템과 광학적 구성이 동일하고, 촬상 센서(383) 및 커버 보드(380)에 수용되는 다른 전자 회로 부품(DSP(384), 수정 발진기(385), ROM(386), RAM(387) 및 모터 드라이버(388))이 도 17에 도시된 촬상 유닛(220)에서 기판(290)의 동일한 쪽에 장착되는 것이 아니라 기판(390)의 동일한 쪽이 아닌 촬상 유닛(320)의 기판(390)의 양쪽에 장착되어 있다는 점에서 촬상 유닛(320)은 촬상 유닛(220)과 상이하다. 즉, 커버 보드(380)가 하우징(221)에 고정될 때, 촬상 센서(383)는 도 17에 도시된 촬상 센서(283)와 유사하게 제2 프리즘(LP2')의 출사면(LP2-o')과 대향하도록 위치된다. 그러나, DSP(384), 수정 발진기(385), ROM(386), RAM(387) 및 모터 드라이버(388)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촬상 유닛(320)의 뒤쪽에 위치된다.
상술한 촬상 유닛(220, 320)의 구조에서도, 촬상 센서(83, 183, 283, 383)를 포함하는 커버 보드(80, 180, 280, 380)가 하우징(21, 221)을 위한 커버 부재로서의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촬상 유닛(220, 320)은 도 11, 14, 15에 도시된 촬상 유닛(20) 및 도 16에 도시된 촬상 유닛(120)과 공통점이 있고, 따라서 촬상 유닛(220, 320)은 또한 도 11, 14 및 15에 도시된 촬상 유닛(20)에서 얻어지는 상술한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및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특정 실시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 또는 본질적인 특징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촬상 유닛에 대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촬상 유닛은 휴대 전화기 뿐만 아니라 디지털 카메라(스틸 비디오 카메라), 디지털 캠코더(모션 비디오 카메라), 휴대 정보 단말기(PDA), 개인용 컴퓨터 및 모바일 컴퓨터와 같은 임의의 다른 종류의 모바일 장치에 통합될 수 있다. 게다가, 비록 촬상 유닛의 각각의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두개의 프리즘 사이에 놓인 두개의 가동 렌즈 그룹을 포함하는 줌 광학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지만, 본 발명이 줌 광학 시스템을 사용하는 촬상 유닛의 타입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에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다양한 변경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에 속한다.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는 내용은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촬상 유닛이 통합되는 접이식 휴대 전화기의 완전 전개 상태(펼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 는 도 1에 도시된 휴대 전화기의 다른쪽에서 보았을 때의 도 1에 도시된 휴대 전화기의 사시도;
도 3 은 외관을 도시하고 또한 점선으로 촬상 유닛에 포함된 촬상 광학 시스템을 나타내기 위하여 촬상 유닛의 내부를 도시한 촬상 유닛의 사시도;
도 4 는 도 3에 도시된 물체측에서의 촬상 유닛을 다른쪽에서 보았을 때의 촬상 유닛의 사시도;
도 5 는 촬상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6 은 커버 보드가 제거된 상태의 촬상 유닛의 정면도;
도 7 은 촬상 유닛의 하우징에 수용되는 촬상 유닛의 내부 구성요소(촬상 광학 시스템, 촬상 광학 시스템의 제1 렌즈 그룹과 제2 렌즈 그룹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가이드 기구, 제1 렌즈 그룹과 제2 렌즈 그룹을 이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모터)의 사시도;
도 8 은 도 7에 도시된 내부 구성요소의 다른쪽에서 보았을 때의 사시도;
도 9 는 제1 렌즈 그룹 프레임의 너트 결합부와 제1 모터측의 너트 사이의 결합부 부근에서의 도 7에 도시된 내부 구성요소의 일부 확대 사시도;
도 10 은 제2 렌즈 그룹 프레임의 너트 결합부와 제2 모터측의 너트 사이의 결합부 부근에서의 도 8에 도시된 내부 구성요소의 일부 확대 사시도;
도 11 은 도 6에 도시된 XI-XI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2 는 커버 보드에 포함된 전기 회로 부품의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하우징의 커버 보드의 정면도;
도 13 은 전기 회로 부품의 제어를 위한 연결을 나타내는 커버 보드에 포함된 전기 회로 부품의 블록 다이어그램;
도 14 는 도 11에 도시된 촬상 광학 시스템과 광학적인 배열이 상이한 촬상 광학 시스템을 갖는 촬상 유닛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15 는 도 14에 도시된 촬상 광학 시스템의 제1 프리즘의 전방에 제공되는 전방(별도) 렌즈 그룹을 갖는 촬상 유닛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16 은 도 11에 도시된 전기 회로부와 대조적으로 촬상 센서를 제외한 커버 보드의 전기 회로부가 커버 보드의 외부 표면에 장착되어 있는 촬상 유닛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17 은 도 11에 도시된 제2 프리즘의 반사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제2 프리즘이 입사광을 반사시키기 위하여 제2 프리즘의 반사 방향이 반대로 되어 커버 보드가 하우징의 배면에 고정되어 있는 촬상 유닛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및
도 18 은 도 17에 도시된 전기 회로 부품과 대조적으로 촬상 센서를 제외한 커버 보드의 전기 회로 부품이 커버 보드의 외부 표면에 장착되어 있는 촬상 유닛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Claims (30)

  1. 촬상 센서, 입사측 프리즘, 출사측 프리즘, 상기 입사측 프리즘과 상기 출사측 프리즘 사이에 위치되는 중간 광학 시스템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입사측 프리즘에 입사되는 빛은 상기 입사측 프리즘, 상기 중간 광학 시스템 및 상기 출사측 프리즘을 통과하여 그 순서대로 상기 촬상 센서에 입사되는 촬상 유닛으로서,
    상기 촬상 유닛은:
    상기 입사측 프리즘의 입사 광축과 출사 광축, 상기 중간 광학 시스템의 광축, 및 상기 출사측 프리즘의 입사 광축과 출사 광축이 모두 공통 평면에 놓이는 방식으로 상기 입사측 프리즘, 상기 중간 광학 시스템 및 상기 출사측 프리즘을 지지하는 하우징; 및
    상기 촬상 센서가 장착되며, 상기 촬상 센서가 상기 출사측 프리즘의 출사면과 대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커버 보드;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커버 보드는 상기 하우징의 개구를 폐쇄하기 위한 커버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센서가 장착되는 상기 커버 보드의 장착면과 상기 중간 광학 시스템의 상기 광축이 서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유닛.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보드는 상기 촬상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 있는 화상 신호를 생성하도록 작동하는 화상처리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유닛.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광학 시스템은 상기 중간 광학 시스템의 상기 광축을 따라 이동가능한 하나 이상의 가동 렌즈 그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유닛.
  5. 제 4 항에 있어서, 촬상 유닛은 상기 가동 렌즈 그룹을 상기 중간 광학 시스템의 상기 광축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유닛.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렌즈 그룹은 상기 가동 렌즈 그룹의 이동에 의해 상기 입사측 프리즘, 상기 중간 광학 시스템 및 상기 출사측 프리즘을 포함하는 촬상 광학 시스템의 초점 길이를 변화시키는 줌 광학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유닛.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렌즈 그룹은 초점맞춤 동작을 실행하도록 이동되는 포커싱 렌즈 그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유닛.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측 프리즘의 상기 입사 광축, 상기 중간 광학 시스템의 상기 광축 및 상기 출사측 프리즘의 상기 출사 광축이 U자 형태로 구부러진 단일 광축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유닛.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커버 보드의 결합체는 상기 입사측 프리즘의 입사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입사 개구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입사 개구는 상기 촬상 유닛의 유일한 광학 개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유닛.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유닛이 휴대용 전자 기기에 통합되고, 상기 촬상 유닛으로부터 뻗어 있는 신호 전송을 위한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이 상기 휴대용 전자 기기에 구비된 제어 회로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상기 휴대용 전자 기기의 촬상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유닛.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측 프리즘의 입사면은 오목면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입사측 프리즘의 출사면은 볼록면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유닛.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측 프리즘의 각각의 입사면과 출사면은 오목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유닛.
  13. 제 1 항에 있어서, 촬상 유닛은 상기 입사측 프리즘의 물체측에 위치된 전방 렌즈 그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유닛.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보드는 상기 촬상 센서 이외에 다수의 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유닛.
  15.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입사측 프리즘과 상기 출사측 프리즘은 직각 프리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유닛.
  1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구동축을 갖고 있는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축이 상기 중간 광학 시스템의 상기 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뻗도록 상기 모터가 상기 하우징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유닛.
  17. 촬상 센서;
    입사측 프리즘을 포함하는 입사측 광학 요소;
    출사측 프리즘; 및
    상기 입사측 프리즘과 상기 출사측 프리즘 사이에 위치되는 중간 광학 시스템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입사측 프리즘에 입사되는 빛은 상기 입사측 프리즘, 상기 중간 광학 시스템 및 상기 출사측 프리즘을 통과하여 그 순서대로 상기 촬상 센서에 입사되는 촬상 유닛으로서,
    상기 입사측 프리즘의 입사 광축과 상기 출사측 프리즘의 출사 광축은 서로 평행하고,
    상기 중간 광학 시스템의 광축은 상기 입사측 프리즘의 상기 입사 광축 및 상기 출사측 프리즘의 상기 출사 광축의 각각에 대하여 직교하고,
    상기 입사측 프리즘의 상기 입사 광축, 상기 중간 광학 시스템의 상기 광축, 및 상기 출사측 프리즘의 상기 출사 광축은 모두 공통 평면에 놓여 있고,
    상기 입사 광축에 위치되는 상기 입사측 광학 요소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공통 평면에서 상기 중간 광학 시스템 및 상기 출사측 프리즘보다 물체측으로 더욱 돌출되는 돌출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촬상 유닛은 촬상 센서가 장착되며 상기 출사측 프리즘의 상기 출사 광축상에 위치되는 센서 보드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센서 보드는 상기 중간 광학 시스템의 상기 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입사측 광학 요소의 상기 돌출부의 연장선상에 놓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유닛.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측 프리즘의 입사면은 오목면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입사측 프리즘의 출사면은 볼록면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유닛.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측 프리즘의 각각의 입사면과 출사면은 오목면 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유닛.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측 광학 요소는 상기 입사측 프리즘의 물체측에 위치된 전방 렌즈 그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유닛.
  21. 촬상 유닛에 있어서,
    공통 평면상에 모두 놓여 있는 입사 광축, 중간 광축 및 출사 광축을 갖고 있는 촬상 광학 시스템;
    적어도 상기 입사 광축이 지나가는 제1 개구 및 적어도 상기 출사 광축이 지나가는 제2 개구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촬상 광학 시스템을 지지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2 개구를 폐쇄하기 위한 커버로서의 역할을 하며, 상기 출사 광축상에 위치되는 촬상 센서를 포함하는 커버 보드;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입사 광축과 상기 출사 광축은 서로 평행하고, 상기 중간 광축은 상기 입사 광축 및 상기 출사 광축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상기 입사 광축과 상기 출사 광축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유닛.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중간 광축과 평행한 평면상의 영역을 따라 뻗어 있고, 상기 커버 보드는 상기 중간 광축을 따라 상기 영역을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유닛.
  23. 힌지 부분 및 상기 힌지 부분에 의해서 연결된 두개의 부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힌지 부분을 통한 상기 두개의 부분의 상대적인 이동에 의해서 펼친 상태와 접힌 상태로 변경가능하게 되는 접이식 하우징; 및
    상기 접이식 하우징의 상기 두개의 부분중 하나에 설치된 촬상 유닛;을 포함하고 있는 휴대용 전자 기기로서,
    상기 촬상 유닛은 촬상 센서, 입사측 프리즘, 출사측 프리즘, 상기 입사측 프리즘과 상기 출사측 프리즘 사이에 위치되는 중간 광학 시스템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입사측 프리즘에 입사되는 빛은 상기 입사측 프리즘, 상기 중간 광학 시스템 및 상기 출사측 프리즘을 통과하여 그 순서대로 상기 촬상 센서에 입사되고,
    상기 입사측 프리즘의 입사 광축과 상기 출사측 프리즘의 출사 광축은 서로 평행하고,
    상기 중간 광학 시스템의 광축은 상기 입사측 프리즘의 상기 입사 광축 및 상기 출사측 프리즘의 상기 출사 광축의 각각에 대하여 직교하고,
    상기 입사측 프리즘의 상기 입사 광축, 상기 중간 광학 시스템의 상기 광축 및 상기 출사측 프리즘의 상기 출사 광축은 모두 공통 평면에 놓여 있고,
    상기 중간 광학 시스템의 상기 광축 및 상기 힌지 부분의 회전축이 서로 평행하도록 상기 촬상 유닛은 상기 접이식 하우징의 상기 두개의 부분중 상기 하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유닛은 상기 접이식 하우징의 상기 두개의 부 분중 상기 하나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힌지 부분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
  25. 입사 광축, 중간 광축 및 반사면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입사 광축에 입사되는 빛은 상기 반사면에 의해서 반사되어 상기 중간 광축을 따라 향하게 되고, 제1 렌즈 그룹 및 제2 렌즈 그룹이 상기 중간 광축을 따라 배치되는 촬상 유닛으로서,
    상기 촬상 유닛은
    상기 제1 렌즈 그룹을 지지하는 제1 렌즈 그룹 프레임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되는 제1 가이드 바;
    상기 제2 렌즈 그룹을 지지하는 제2 렌즈 그룹 프레임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되는 제2 가이드 바;
    제1 구동축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1 렌즈 그룹 프레임을 상기 제1 가이드 바를 따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액추에이터;
    제2 구동축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2 렌즈 그룹 프레임을 상기 제2 가이드 바를 따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1 가이드 바 및 상기 제2 가이드 바는 상기 중간 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뻗어 있고, 상기 제1 가이드 바 및 상기 제2 가이드 바가 상기 입사 광축으로부터 보여질 때 상기 제1 가이드 바 및 상기 제2 가이드 바는 상기 중간 광축의 반대 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1 구동축 및 상기 제2 구동축은 상기 중간 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뻗어 있고, 상기 제1 구동축 및 상기 제2 구동축이 상기 중간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부터 보여질 때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바가 상기 제1 및 제2 구동축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 구동축 및 상기 제2 구동축은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바의 외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유닛.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바, 상기 제1 및 제2 렌즈 그룹 프레임, 및 상기 제1 및 제2 액추에이터를 지지하는 하우징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개구의 상부 및 하부 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제1 베이스 벽 및 제2 베이스 벽으로서 서로 평행한 평평한 플레이트인 제1 베이스 벽 및 제2 베이스 벽;
    상기 개구의 측면 단부에 구비되는 제1 측벽 및 제2 측벽으로서 서로 평행한 평평한 플레이트인 제1 측벽 및 제2 측벽; 및
    상기 개구의 반대편에 구비되는 후방 벽으로서 상기 하우징의 후방 측을 폐쇄하는 평평한 패널인 후방 벽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유닛.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바와 상기 제1 및 제2 액추에이터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제1 및 제2 베이스 벽과 상기 제1 및 제2 측벽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가이드 바 및 상기 제1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2 가이드 바 및 상기 제2 액추에이터보다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 베이스 벽 및 상기 개구에 가깝게 배치되고,
    상기 제2 가이드 바 및 상기 제2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1 가이드 바 및 상기 제1 액추에이터보다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2 베이스 벽 및 상기 후방 벽에 가깝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유닛.
  28. 제 26 항에 있어서, 촬상 센서가 장착되며, 상기 촬상 센서가 상기 하우징의 상기 후방 벽과 대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커버 보드;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커버 보드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개구를 폐쇄하기 위한 커버로서의 역할을 하고 상기 중간 광축과 평행하게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유닛.
  29.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유닛이 휴대용 전자 기기에 통합되고, 상기 촬상 유닛으로부터 뻗어 있는 신호 전송을 위한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이 상기 휴대용 전자 기기에 구비된 제어 회로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상기 휴대용 전자 기기의 촬상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유닛.
  30.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구동축이 상기 중간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부터 보여질 때 상기 제1 구동축 및 상기 제2 구동축은 상기 중간 광축의 반대 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유닛.
KR1020080017248A 2007-02-26 2008-02-26 촬상 유닛 및 휴대용 전자 기기 KR1012926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45821 2007-02-26
JPJP-P-2007-00045821 2007-02-26
JP2008039524A JP4917060B2 (ja) 2007-02-26 2008-02-21 撮像ユニット及び携帯用電子機器
JPJP-P-2008-00039524 2008-02-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9222A KR20080079222A (ko) 2008-08-29
KR101292693B1 true KR101292693B1 (ko) 2013-08-02

Family

ID=39535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7248A KR101292693B1 (ko) 2007-02-26 2008-02-26 촬상 유닛 및 휴대용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1962495A3 (ko)
KR (1) KR10129269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82649B2 (en) 2015-11-09 2018-09-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lecting imaging apparatus and mobile device having the same
KR20180137278A (ko) * 2017-06-16 2018-12-27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220000782A (ko) * 2020-06-26 2022-01-04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220031598A (ko) * 2020-01-28 2022-03-11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7887A (ja) 2003-02-13 2004-09-02 Nidec Copal Corp カメラユニット及び携帯情報端末装置
JP2004355010A (ja) 1996-06-18 2004-12-16 Sony Corp カメラ
JP2005221896A (ja) 2004-02-06 2005-08-18 Victor Co Of Japan Ltd 結像素子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50279B1 (en) * 1996-06-18 2005-02-01 Sony Corporation Optical image recording system, and associated processing system
JP4943580B2 (ja) * 2000-12-25 2012-05-3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結像光学系
US7142242B2 (en) * 2001-10-16 2006-11-28 Victor Company Of Japan, Ltd. Prismatic image forming optical device adapted for miniaturization
JP2004260787A (ja) * 2002-09-09 2004-09-16 Rohm Co Ltd イメージセンサモジュール
JP2005181717A (ja) * 2003-12-19 2005-07-07 Olympus Corp 撮像装置および撮像用機器
JP2005274612A (ja) * 2004-03-22 2005-10-06 Olympus Corp 撮像装置と、その製造方法
JP2005352287A (ja) * 2004-06-11 2005-12-22 Olympus Corp 焦点位置調整機構、撮像装置、およびカメラ付携帯電話
JP2006154705A (ja) 2004-07-23 2006-06-15 Konica Minolta Opto Inc 撮像光学系、撮像レンズ装置及びデジタル機器
US20060017834A1 (en) * 2004-07-23 2006-01-26 Konica Minolta Opto, Inc. Imaging optical system and imaging lens device
JP2006154373A (ja) * 2004-11-30 2006-06-15 Sharp Corp レンズ駆動装置および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携帯電子機器
JP2006317547A (ja) * 2005-05-10 2006-11-24 Olympus Imaging Corp 反射光学系組立ユニットと、反射光学系組立ユニットを用いた撮像装置
JP2007017698A (ja) * 2005-07-07 2007-01-25 Olympus Imaging Corp 反射光学系組立ユニット
EP1906654A1 (en) * 2006-09-26 2008-04-02 Varioptic Flat camera modu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5010A (ja) 1996-06-18 2004-12-16 Sony Corp カメラ
JP2004247887A (ja) 2003-02-13 2004-09-02 Nidec Copal Corp カメラユニット及び携帯情報端末装置
JP2005221896A (ja) 2004-02-06 2005-08-18 Victor Co Of Japan Ltd 結像素子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82649B2 (en) 2015-11-09 2018-09-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lecting imaging apparatus and mobile device having the same
KR20180137278A (ko) * 2017-06-16 2018-12-27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2072811B1 (ko) * 2017-06-16 2020-03-02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10816756B2 (en) 2017-06-16 2020-10-27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US11409073B2 (en) 2017-06-16 2022-08-09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KR20220031598A (ko) * 2020-01-28 2022-03-11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2561616B1 (ko) * 2020-01-28 2023-08-01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220000782A (ko) * 2020-06-26 2022-01-04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2425752B1 (ko) * 2020-06-26 2022-07-29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62495A3 (en) 2009-11-04
EP1962495A2 (en) 2008-08-27
KR20080079222A (ko) 2008-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20693B2 (en) Imaging unit and mobile electronic device
KR101274665B1 (ko) 촬상 장치
JP5128245B2 (ja) 撮像装置
JP5000428B2 (ja) 撮像装置
US20050168834A1 (en) Camera
CN111405154A (zh) 摄像头模组及电子设备
KR101292693B1 (ko) 촬상 유닛 및 휴대용 전자 기기
JP4910454B2 (ja) レンズ鏡胴及び撮像装置
JP4811711B2 (ja) レンズ鏡胴及び撮像装置
US7660046B2 (en) Lens barrel and image pickup device
JP4970303B2 (ja) 撮像装置
JP4358499B2 (ja) カメラ
JP2006133366A (ja) レンズ鏡胴及び該レンズ鏡胴を備えたカメラ並びにレンズ鏡胴の組立方法
JP2005157107A (ja) カメラユニット
JP4873134B2 (ja) レンズ鏡胴及び撮像装置
JP4880840B2 (ja) 撮像装置
JP2007310168A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とそのカメラモジュールを備えた携帯端末
JP2004173204A (ja) カメラ
JP2007094078A (ja) 撮像装置
JP2010078958A (ja) レンズ鏡胴及び撮像装置
JP2008216536A (ja) プロジェクタ装置
JP2007310167A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とそのカメラモジュールを備えた携帯端末
JPH10112784A (ja) スキャニング式カメラ
JP2001111868A (ja) 電子カメラ
JP2007158661A (ja) デジタル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