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80783B1 - 모바일 단말기의 휴대용 고리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기의 휴대용 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0783B1
KR101280783B1 KR1020120053026A KR20120053026A KR101280783B1 KR 101280783 B1 KR101280783 B1 KR 101280783B1 KR 1020120053026 A KR1020120053026 A KR 1020120053026A KR 20120053026 A KR20120053026 A KR 20120053026A KR 101280783 B1 KR101280783 B1 KR 101280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holder
terminal
groove
fla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3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임식
Original Assignee
윤임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임식 filed Critical 윤임식
Priority to KR1020120053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07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0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0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5/10Handles for carrying purpo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16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이나 PDA, PMP 등과 같은 이동 통신기기의 케이스나 보호커버의 후면에 장착하여 사용자가 손가락을 끼워 단말기를 잡은 상태에서 액정 화면이나 키패드 등을 손쉽게 조작할 수 있음은 물론 단말기를 임의 각도로 유지하여 거치가 가능하도록 구성한 모바일 단말기의 휴대용 고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손가락을 끼워 단말기를 잡은 상태에서 액정 화면을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 모바일 단말기의 휴대용 고리에 있어서, 가장자리 원주면에 요홈이 형성된 평판상체와, 이 평판상체의 요홈 내에 조립된 상태에서 요홈 주위를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분할링과, 이 분할링에 결속수단을 개재하여 상호 조립됨과 동시에 이 중심을 기준으로 평판상체에 대하여 회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링홀더와, 상기 평판상체를 단말기의 후면 케이스나 보호커버에 부착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기의 휴대용 고리{HOLDER RING FOR MOBILE PHONE }
본 발명은 휴대폰이나 PDA, PMP 등과 같은 이동 통신기기의 케이스나 보호커버의 후면에 장착하여 사용자가 손가락을 끼워 단말기를 잡은 상태에서 액정 화면이나 키패드 등을 손쉽게 조작할 수 있음은 물론 단말기를 임의 각도로 유지하여 거치가 가능하도록 구성한 모바일 단말기의 휴대용 고리에 관한 것이다.
현재, 휴대폰이나 PDA, PMP 등과 같은 모바일 통신기기는 그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단순 전화기능 뿐만 아니라 음악, 영화, TV, 게임 등을 행할 수 있는 멀티 컨버전스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통신기기 중에서 최근에 출시되고 있는 휴대폰의 경우 스크린을 접촉하여 조작할 수 있는 테블릿 패드가 탑재됨으로써 문자 메시지나 이메일의 수,발신 기능은 물론 문서작업, 인터넷 사용 등의 그 활용 영역이 매우 다양해지고 있다.
특히, 디지털카메라 기능을 겸하는 기종이 대부분이어서 본체 외부로 렌즈가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렌즈나 스크린 액정의 보호가 매우 중요시 되고 있다.
이에 따라, 휴대폰을 더욱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각종 다양한 형태의 보호커버가 봇물처럼 쏟아져 나오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다양한 층의 감각에 부흥하기 위해 미적 감각을 가미한 악세사리들이 실 제품에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개인용 휴대 단말기와 관련하여 등록특허 제0362330호 공보에는 고정구를 억지끼움방식에 의해 줄에 부착가능함과 동시에 장신구를 추가로 장착함에 따라 줄의 길이를 짧게 사용할 수 있는 『휴대기기 및 장신구줄 고정구』에 대해 기재되어 있고, 등록특허 제0871247호 공보에는 반지를 이용하여 손가락에 끼어 휴대하면서 손에 쥐는 방식으로 단말기를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는 동시에 고급스러운 패션화를 추구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손가락-착용 휴대장치』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에는 주로 단말기의 크기가 비교적 작게 생산되던 초기 모델인 플립형이나 폴더형 휴대폰에 적용되었던 것으로 단지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다는 점에 초점을 맞춘 것이었다.
한편, 최근에 출시되고 있는 스마트폰 등과 같은 단말기는 기능의 다양화로 인하여 액정 크기가 4.5인치 이상으로 대형화 되고 있는 반면 두께를 얇게 제작하는 것이 기술력의 척도를 가름하는 추세에 있으며, 이로 인해 대부분의 단말기용 보호커버는 떨어뜨렸을 때의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측면에 치중하여 제작되고 있기 때문에 단말기를 보호커버 내에 수납하여 그대로 손에 쥐거나 혹은 가방이나 주머니에 넣어 다니고 있는 실정이어서 분실로 인한 문제를 유발하는 것이었다.
이와 관련하여, 등록실용신안 제0453437호 및 등록실용신안 제0455688호 공보에는 단말기의 후면에 중지와 약지를 끼워넣기 위한 한쌍의 고리를 장착하거나 혹은 손등 부분을 끼워넣을 수 있는 밴드유닛을 장착함으로써 한 손으로 단말기를 잡은 상태에서 액정 화면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한 기술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 손가락이 끼워지는 고리가 별개로 존재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방향을 맞춘 상태에서 2개의 고리에 손가락을 모두 착용을 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또 후자의 경우 손등 부분을 끼워 단말기를 파지할 수 있는 수단에 불과할 뿐이므로 휴대시의 불편함을 감수해야 함은 물론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으로 인해 사용상의 한계를 갖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들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 케이스나 혹은 보호커버에 탈,부착이 가능한 수단 및 회전이 자유롭고 임의 각도로 유지될 수 있는 링홀더를 조합하여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유롭게 손가락을 끼워넣어 단말기를 잡은 상태에서 액정 화면을 손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단말기를 임의 각도로 세워 거치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의 휴대용 고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손가락을 끼워 단말기를 잡은 상태에서 액정 화면을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 모바일 단말기의 휴대용 고리에 있어서, 가장자리 원주면에 요홈이 형성된 평판상체와, 이 평판상체의 요홈 내에 조립된 상태에서 요홈 주위를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분할링과, 이 분할링에 결속수단을 개재하여 상호 조립됨과 동시에 이 중심을 기준으로 평판상체에 대하여 회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링홀더와, 상기 평판상체를 단말기의 후면 케이스나 보호커버에 부착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속수단은 분할링의 선단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돌출편을 링홀더의 절취부 사이로 끼워넣은 상태에서 고정핀으로 조립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분할링의 돌출편에 형성된 삽입공과 고정핀 사이에 탄성부시가 개재되어 링홀더의 회동시에 탄력이 부여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평판상체의 몸체에는 제1 및 제2단차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 제1단차홈에는 접착부재가 고정 설치됨과 동시에 제2단차홈에는 미러 또는 광고물이 인쇄된 평판부재가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기의 후면 케이스나 혹은 보호커버에 탈,부착이 가능한 평판상체 및 회전이 자유롭고 임의 각도로 유지될 수 있는 링홀더를 상호 조합하여 구성함으로써, 방향에 관계없이 사용자가 링홀더에 손가락을 끼워 단말기를 간편하게 잡은 상태에서 액정 화면을 손쉽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링홀더의 결속부위에 O-링을 배치하여 소정 탄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단말기를 소정 각도로 세운 상태에서 거치대로서의 기능을 가질 수 있는 것이어서 화면 상의 TV나 동영상을 편한 자세로 시청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평판상체에 미러를 부착하여 여성들로 하여금 쉽게 화장을 행하거나 광고물이 인쇄된 평판부재를 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간접적인 광고효과를 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휴대용 고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a,2b는 평판상체의 평면도 및 단면도,
도 3a,3b는 분할링의 평면도 및 단면도,
도 4a,4b는 링홀더의 평면도 및 단면도,
도 5a,5b는 각 구성부품이 조립된 상태의 평면도 및 단면도,
도 6은 분할링과 링홀더의 결속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7a,7b는 단말기의 후면에 부착된 상태에서의 절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단말기의 후면에 부착된 상태에서의 거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휴대용 고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은 크게 단말기(P)의 후면 케이스나 혹은 보호커버에 탈,부착이 가능한 수단을 포함하여 이 탈,부착 수단에 결속되어 자유롭게 회전하거나 탄력을 가지고 임의 각도로 유지되는 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본 발명은 가장자리 원주면을 따라 전 둘레에 걸쳐 요홈(10a)이 형성된 평판상체(11) 및 이 평판상체(11)의 요홈(10a) 내에 조립된 상태에서 요홈(10a) 주위를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분할링(12)을 포함하여 손가락이 끼워져 파지기능을 갖거나 혹은 거치대로 사용하기 위한 링홀더(13)를 구비하고 있다.
이 링홀더(13)에는 사용자의 중지를 끼우거나 중지 및 약지를 함께 끼워넣을 수 있도록 하트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 상기 평판상체(11)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몸체의 겉 표면에 각각 제1 및 제2단차홈(14a,14b)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제1단차홈(14a)에는 단말기(P)의 후면 케이스나 보호커버에 부착시키기 위한 접착부재(15)가 배치되고, 제2단차홈(14b)에는 통상의 미러(mirror)를 고정시키거나 광고물이 인쇄된 평판부재(16)를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접착부재(15)의 경우, 단말기(P)에 반복적으로 탈,부착함에 따라 먼지가 묻더라도 물로 씻어내면 깨끗해지고 결착력이 약화되지 않는 소재를 활용할 수 있다.
상기 분할링(12)의 선단에는 서로 대향하도록 동일 형상의 돌출편(17a,17b)이 마련됨과 동시에 이들 돌출편(17a,17b)에 삽입공(18a)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링홀더(13)의 일측 절취부(19a)에 동축상으로 관통공(19b)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분할링(12)의 돌출편(17a,17b)이 링홀더(13)의 절취부(19a) 측으로 끼워넣어진 상태에서 고정핀(20)을 통해 상호 조립됨에 따라 이 조립부분의 동축 중심을 기준으로 평판상체(11)에 대하여 링홀더(13)의 회동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분할링(12)의 돌출편(17a,17b)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공(18a)과 고정핀(20) 사이에 탄성부시(21)가 개재되어 링홀더(13)의 회동시에 탄력이 부여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 이 경우 상기 탄성부시(21) 대신에 돌출편(17a,17b)과 링홀더(13)의 절취부(19a) 사이에 O-링을 장착하여도 상기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우선 평판상체(11)의 겉 표면에 형성된 제1단차홈(14a)에는 단말기(P)의 후면 케이스나 보호커버에 부착시키기 위한 접착부재(15)를 배치하고, 제2단차홈(14b)에는 통상의 미러가 고정되거나 광고물이 인쇄된 평판부재(16)를 배치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분할링(12)을 약간 벌려 평판상체(11)의 원주면 가장자리에 형성된 요홈(10a) 내로 끼워넣은 상태에서 이 분할링(12)에 형성된 돌출편(17a,17b)을 링홀더(13)의 절취부(19a) 내로 조립한다.
다음에, 상기 링홀더(13)에 형성된 관통공(19b)과 분할링(12)에 형성된 삽입공(18b)의 중심이 일치한 상태에서 탄성부시(21)가 장착되어 있는 고정핀(20)을 끼워넣어 도 6에서와 같이 최종 조립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휴대용 고리를 평판상체(11)에 장착되어 있는 접착부재(15)를 이용하여 단말기(P)의 후면 케이스나 보호커버에 부착한 후 분할링(12)에 결속된 고정핀(20)을 중심으로 링홀더(13)를 들어올려 손가락을 끼워넣음으로써 단말기(P)의 파지가 가능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분할링(12)이 평판상체(11)의 요홈(10a) 내에서 회전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링홀더(13) 역시 평판상체(11)의 주위를 돌 수 있어 단말기(P)를 어느 각도에서든 손쉽게 파지할 수 있게 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평판상체(11)에는 미러나 광고물이 인쇄된 평판부재(16)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여성들의 화장이나 광고 등과 같은 또 다른 다양한 용도로의 사용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분할링(12)과 링홀더(13)는 탄성부시(21)가 장착된 고정핀(20)에 의해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링홀더(13)의 회동시에 소정 탄력을 부여할 수 있어 도 8에서와 같이 단말기(P)를 세운 상태로 거치대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말기(P)의 케이스나 혹은 보호커버의 후면에 탈,부착이 가능한 수단을 포함하여 회전이 자유롭고 임의 각도로 유지될 수 있는 링홀더(13)를 조합하여 구성한 것이므로 사용자가 손가락을 끼워 단말기(P)를 잡은 상태에서 액정 화면을 손쉽게 조작할 수 있음은 물론 단말기(P)를 임의 각도로 거치하여 화면 상의 TV나 동영상을 보다 편리하게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또,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일반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평판상체(11)를 벽면에 부착하여 걸고리로 사용하거나 크기를 적절히 조절한 상태에서 링홀더(13)에 전화번호판을 부착함으로써 차량용 전화번호 표시기로 사용할 수도 있고, 링홀더(13)의 각도를 조절하여 책을 받쳐둘 수 있는 등의 다양한 용도로 활용이 가능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10a: 요홈 11: 평판상체
12: 분할링 13: 링홀더
14a: 제1단차홈 14b: 제2단차홈
15: 접착부재 16: 평판부재
17a,17b: 돌출편 18a: 삽입공
19a: 절취부 19b: 관통공
20: 고정핀 21: 탄성부시

Claims (4)

  1. 사용자가 손가락을 끼워 단말기를 잡은 상태에서 액정 화면을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 모바일 단말기의 휴대용 고리에 있어서,
    가장자리 원주면에 요홈(10a)이 형성된 평판상체(11)와,
    이 평판상체(11)의 요홈(10a) 내에 조립된 상태에서 요홈 주위를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분할링(12)과,
    이 분할링(12)에 결속수단을 개재하여 상호 조립됨과 동시에 이 중심을 기준으로 평판상체(11)에 대하여 회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링홀더(13)와,
    상기 평판상체(11)를 단말기(P)의 후면 케이스나 보호커버에 부착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휴대용 고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수단은 분할링(12)의 선단에 각각 형성된 돌출편 (17a,17b)을 링홀더(13)의 절취부(19a) 사이로 끼워넣은 상태에서 고정핀(20)으로 조립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휴대용 고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링(12)의 돌출편(17a,17b)에 형성된 삽입공(18a)과 고정핀(20) 사이에 탄성부시(21)가 개재되어 링홀더(13)의 회동시에 탄력이 부여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휴대용 고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상체(11)의 몸체에는 제1 및 제2단차홈(14a,14b)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 제1단차홈(14a)에는 접착부재(15)가 고정 설치됨과 동시에 제2단차홈(14b)에는 미러 또는 광고물이 인쇄된 평판부재(16)가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휴대용 고리.















KR1020120053026A 2012-05-18 2012-05-18 모바일 단말기의 휴대용 고리 KR101280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026A KR101280783B1 (ko) 2012-05-18 2012-05-18 모바일 단말기의 휴대용 고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026A KR101280783B1 (ko) 2012-05-18 2012-05-18 모바일 단말기의 휴대용 고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0783B1 true KR101280783B1 (ko) 2013-07-05

Family

ID=48996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3026A KR101280783B1 (ko) 2012-05-18 2012-05-18 모바일 단말기의 휴대용 고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078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0805A (ko) 2015-11-25 2017-06-02 신우수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101875326B1 (ko) 2017-04-07 2018-08-02 장평순 악세사리용 스마트폰 거치대
WO2019045178A1 (ko) * 2017-09-01 2019-03-07 맹용주 사물 포지셔닝 장치
KR200488765Y1 (ko) 2017-12-13 2019-07-04 박경호 악세사리용 스마트폰 거치대
KR20190106512A (ko) 2018-03-09 2019-09-18 여창기 다기능 휴대단말기용 홀더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437Y1 (ko) 2011-01-24 2011-05-03 이승훈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
KR101062557B1 (ko) 2011-05-27 2011-09-05 김혜련 휴대단말기 거치링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JP3170743U (ja) * 2011-07-15 2011-09-29 セキセイ株式会社 携帯情報端末用スタンド付きホルダ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437Y1 (ko) 2011-01-24 2011-05-03 이승훈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
KR101062557B1 (ko) 2011-05-27 2011-09-05 김혜련 휴대단말기 거치링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JP3170743U (ja) * 2011-07-15 2011-09-29 セキセイ株式会社 携帯情報端末用スタンド付きホルダ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0805A (ko) 2015-11-25 2017-06-02 신우수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101875326B1 (ko) 2017-04-07 2018-08-02 장평순 악세사리용 스마트폰 거치대
WO2019045178A1 (ko) * 2017-09-01 2019-03-07 맹용주 사물 포지셔닝 장치
KR200488765Y1 (ko) 2017-12-13 2019-07-04 박경호 악세사리용 스마트폰 거치대
KR20190106512A (ko) 2018-03-09 2019-09-18 여창기 다기능 휴대단말기용 홀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94192B2 (en) Case with interchangeable back plate
TWI353164B (ko)
KR200453437Y1 (ko)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
US9723116B2 (en) Restraining system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KR200466058Y1 (ko) 받침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
EP1835704A2 (en) Wrist wearable type portable terminal
KR101280783B1 (ko) 모바일 단말기의 휴대용 고리
US20090219788A1 (en) Combination watch and cell phone foldable onto each other for use around a wrist of a user
KR20130054309A (ko) 신체장착형 보조 모바일기기 어셈블리
KR20130007175U (ko) 모바일 단말기의 휴대용 고리
KR20080093178A (ko) 휴대용 전자기기 모듈
KR20160063599A (ko) 휴대단말기용 손가락 지지대
JP4972697B2 (ja) 電子装置
KR101468850B1 (ko) 휴대용 단말기 홀더
CN204180119U (zh) 一种便于单手操作和摆放手机的手机套
CN106034167A (zh) 组装式移动设备
KR20110109668A (ko) 커넥터 커버가 부착된 핸드폰 케이스
KR20100005566U (ko) 와이드형 휴대폰 거치대
KR101186441B1 (ko) 휴대폰 케이스
KR200455688Y1 (ko) 단말기 그립 밴드유닛
KR20210103345A (ko) 핸드폰 케이스
GB2439362A (en) Detachable mobile phone wristwatch
KR102135207B1 (ko) 거치 기능을 구비한 스트립 타입 트랜스폼 핸들
JP5416299B1 (ja) 携帯端末用装具
JP2013055510A (ja) 携帯端末の保護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