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8241B1 - 드립 커피용 물 공급기 - Google Patents
드립 커피용 물 공급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88241B1 KR101288241B1 KR1020110087640A KR20110087640A KR101288241B1 KR 101288241 B1 KR101288241 B1 KR 101288241B1 KR 1020110087640 A KR1020110087640 A KR 1020110087640A KR 20110087640 A KR20110087640 A KR 20110087640A KR 101288241 B1 KR101288241 B1 KR 10128824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coffee
- drip coffee
- main body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 공급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물이 천천히 골고루 커피 가루에 공급되도록 하여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간편하게 향미가 우수한 드립 커피용 물 공급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물이 수용되는 컵 형태로, 바닥에 방사상으로 천공된 홀을 따라 하부로 연장된 복수 개의 유도관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 유도관과의 사이에 물이 이동하는 미세 공간을 형성하도록 삽입되는 복수 개의 수직 결합봉이 구비되는 보조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 커피용 물 공급기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물이 수용되는 컵 형태로, 바닥에 방사상으로 천공된 홀을 따라 하부로 연장된 복수 개의 유도관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 유도관과의 사이에 물이 이동하는 미세 공간을 형성하도록 삽입되는 복수 개의 수직 결합봉이 구비되는 보조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 커피용 물 공급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물 공급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이 천천히 골고루 커피 가루에 공급되도록 하여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간편하게 향미가 우수한 드립 커피를 즐길 수 있는 드립 커피용 물 공급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립(Drip)이란 커피를 끓이는 방법의 하나로 커피를 잘게 빻은 원두에 끓는 물을 부어 걸러 내는 것이며, 드립 커피(Drip Coffee)란 드립식 커피 끓이는 도구(특허 제1018497호 참조)로 만든 커피를 말한다.
그리고, 드립 커피는 먼저 분쇄된 커피 가루를 종이 필터에 담아 깔때기 모양의 드립퍼에 올려놓고, 주전자를 손으로 잡아서 물을 드립퍼의 중앙으로부터 원을 그리며 안팎으로 양을 조절해가며 붓는다.
그런데, 이러한 드립 방식은 물을 붓는 사람에 따라 커피의 맛과 향이 다르게 되고, 바리스타와 같은 숙련자가 아닌 경우 드립퍼에 물을 적절히 균일하게 공급하지 못하여 좋은 커피맛을 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바리스타와 같은 숙련자가 아니더라고 드립퍼에 물을 천천히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어서 커피의 맛과 향을 최적의 상태로 음미할 수 있는 드립 커피용 물 공급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드립 커피용 물 공급기는 물이 수용되는 컵 형태로, 바닥에 방사상으로 천공된 홀을 따라 하부로 연장된 복수 개의 유도관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 유도관과의 사이에 물이 이동하는 미세 공간을 형성하도록 복수 개의 유도관과 각각 하나씩 대응하도록 삽입되는 복수 개의 수직 결합봉이 구비되는 보조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 하부는 둘레를 따라 플랜지가 연장되고, 상기 보조체는 수직 결합봉이 방사상으로 부착되는 지지체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체 상부에는 손잡이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드립 커피용 물 공급기는 숙련자가 아니더라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고 물을 천천히 균일하게 공급하여 우수한 커피맛을 느낄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립 커피용 물 공급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립 커피용 물 공급기를 나타내는 상부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드립 커피용 물 공급기를 나태는 하부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드립 커피용 물 공급기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립 커피용 물 공급기를 나타내는 상부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드립 커피용 물 공급기를 나태는 하부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드립 커피용 물 공급기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립 커피용 물 공급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립 커피용 물 공급기를 나타내는 상부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드립 커피용 물 공급기를 나태는 하부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드립 커피용 물 공급기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드립 커피용 물 공급기는 도 1 내지 도 4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와 보조체(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00)는 드립퍼(D)에 공급될 물이 수용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컵 형태로 바닥에 중앙을 기준하여 방사상으로 홀(100a)이 천공되고, 상기 홀(100a)을 따라 복수 개의 유도관(110)이 하부로 연장된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이 일 실시예로 상기 방사상의 홀(100a)과 복수 개의 유도관(110)을 7개로 도시하였으나, 드립퍼의 용량이나 홀(100a)과 유도관(110)의 직경에 따라 개수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유도관(110)과 본체(100)는 물이 누출되지 않도록 본체(100) 하면과 유도관(110)의 사이에 패킹고무(120)가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100)는 손으로 잡고 드립퍼(D) 상에 설치 및 분리가 편리하도록 하부에 둘레를 따라 플랜지(130)가 연장되고, 측면에 본체 손잡이(140)가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보조체(200)는 상기 본체(100) 복수 개의 유도관(110)과의 사이에 물이 이동하는 미세 공간을 형성하도록 복수 개의 유도관(110)과 각각 하나씩 대응하도록 삽입되는 복수 개의 수직 결합봉(210)이 구비된다.
상기 본체(100) 유도관(110)과 수직 결합봉(210) 사이의 미세 공간(틈)은 0.1~0.5mm 정도가 바람직하고, 이러한 미세 공간에 의해 본체(100) 내에 공급된 물은 수직 결합봉(210)의 하단을 따라 방울 방울 천천히 드립퍼(D)에 투하될 수 있다.
더욱이, 유도관(110)과 수직 결합봉(210)이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실제 바리스타가 주전자를 들고 드립퍼(D)에 원을 그리며 물을 균일하게 공급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상기 보조체(200)는 수직 결합봉(210)이 수직으로 부착되는 원판형의 지지체(220)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체(220) 상부에는 보조체(200)를 본체(100)에 결합 내지 분리가 편리하도록 보조체 손잡이(230)가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플랜지(130)와 지지체(220)를 합성수지와 같은 투명 재질로 구성하였다.
본 발명의 드립 커피용 물 공급기의 사용방법을 살펴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커피용기(B) 상에 깔때기 형태의 드립퍼(D)를 놓고, 드립퍼(D) 내에 필터(F)를 설치한 다음, 필터(F) 내에 커피 가루(C)를 붓는다.
그리고, 보조체(200)의 수직 결합봉(210)을 본체(100)의 유도관(110)에 삽입한 후 플랜지(130)를 이용하여 본체(100)를 드립퍼(D)의 상부에 배치시키고 본체(100) 내부에 물을 공급한다.
다음으로, 본체(100)에 공급된 물은 본체(100)의 유도관(110)과 보조체(200)의 수직 결합봉(210) 사이의 미세 공간을 따라 흘러 방사상으로 수직 결합봉(210) 하단으로부터 방울 방울 드립퍼(D)로 천천히 균일하게 떨어지게 된다.
마지막으로, 드립퍼(D)로 공급된 물은 커피 가루(C)를 시간을 두고 천천히 용해시키고 완성된 커피액은 커피 용기(B)에 조금씩 저장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100: 본체 100a: 홀
110: 유도관 120: 패킹고무
130: 플랜지 140: 본체 손잡이
200: 보조체 210: 수직 결합봉
220: 지지체 230: 보조체 손잡이
110: 유도관 120: 패킹고무
130: 플랜지 140: 본체 손잡이
200: 보조체 210: 수직 결합봉
220: 지지체 230: 보조체 손잡이
Claims (2)
- 물이 수용되는 컵 형태로, 바닥에 방사상으로 천공된 홀을 따라 하부로 연장된 복수 개의 유도관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 유도관과의 사이에 물이 이동하는 미세 공간을 형성하도록 복수 개의 유도관과 각각 하나씩 대응하도록 삽입되는 복수 개의 수직 결합봉이 구비되는 보조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 커피용 물 공급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부는 둘레를 따라 플랜지가 연장되고, 상기 보조체는 수직 결합봉이 방사상으로 부착되는 지지체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체 상부에는 손잡이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 커피용 물 공급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87640A KR101288241B1 (ko) | 2011-08-31 | 2011-08-31 | 드립 커피용 물 공급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87640A KR101288241B1 (ko) | 2011-08-31 | 2011-08-31 | 드립 커피용 물 공급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24284A KR20130024284A (ko) | 2013-03-08 |
KR101288241B1 true KR101288241B1 (ko) | 2013-07-26 |
Family
ID=48176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87640A KR101288241B1 (ko) | 2011-08-31 | 2011-08-31 | 드립 커피용 물 공급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88241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54740B1 (ko) | 2013-04-29 | 2014-10-27 | 상운 남 | 분기관을 구비한 드립 커피 제조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6683Y1 (ko) * | 2017-07-10 | 2018-06-21 | 주식회사 로스팅 파크 커피 컴퍼니 | 커피 드립핑 기구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87660A (ko) * | 1996-03-12 | 1999-12-27 | 게.바우츠, 아이. 호프만 | 커피 머신과 이 커피 머신용 필터 요소 |
KR20090075650A (ko) * | 2009-06-08 | 2009-07-08 | 안승대 | 드립커피 및 차 자동 제조기 |
-
2011
- 2011-08-31 KR KR1020110087640A patent/KR10128824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87660A (ko) * | 1996-03-12 | 1999-12-27 | 게.바우츠, 아이. 호프만 | 커피 머신과 이 커피 머신용 필터 요소 |
KR20090075650A (ko) * | 2009-06-08 | 2009-07-08 | 안승대 | 드립커피 및 차 자동 제조기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네이버 블로그1 * |
네이버 블로그2 *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54740B1 (ko) | 2013-04-29 | 2014-10-27 | 상운 남 | 분기관을 구비한 드립 커피 제조기 |
KR101494430B1 (ko) | 2013-04-29 | 2015-02-23 | 상운 남 | 드립 커피 제조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24284A (ko) | 2013-03-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628423B1 (en) | thermos bottle | |
EP3166448B1 (en) | Combined vessel lid and tea bag receptacle and method of using | |
US9113742B2 (en) | Beverage brewing platform | |
KR200459398Y1 (ko) | 드리퍼가 구비된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 | |
CN102525276A (zh) | 高功率、单人量、自动滴漏式酿制饮料机以及相关的斗勺 | |
CN103841859A (zh) | 单杯饮料配料滤篮及其使用方法 | |
KR101453921B1 (ko) | 더치커피 제조용 휴대용기 | |
JP2016521170A (ja) | ドリップコーヒー製造機 | |
US20170121065A1 (en) | Disposable coffee filter and cup | |
US20150257582A1 (en) | Refillable beverage brewer system | |
KR101288241B1 (ko) | 드립 커피용 물 공급기 | |
KR200469512Y1 (ko) | 드립 커피 제조용 커피 바스켓 | |
TWM545543U (zh) | 沖泡飲料之過濾裝置 | |
JP4476316B2 (ja) | 茶漉し付きティーポット | |
KR101720015B1 (ko) | 드립커피 제조를 위한 커피 드립퍼 | |
US20190387916A1 (en) | Coffee Press with Lipids Separation Chamber | |
CN110234256B (zh) | 用于冲泡饮料的浸泡设备和方法 | |
KR200482067Y1 (ko) | 멀티형 핸드 커피드립기 | |
CN103767462A (zh) | 设置滤网杯芯的茶杯 | |
US1761633A (en) | Drip-coffee maker | |
US20200305632A1 (en) | Beverage Brewing Apparatus | |
KR200475781Y1 (ko) | 커피 필터 내장형 용기 | |
CN206699936U (zh) | 一种泡茶装置 | |
KR20130005318U (ko) | 차를 우려내는 컵 | |
US2309526A (en) | Coffee mak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12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