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2497B1 - Adjust assmbly for drum brake - Google Patents
Adjust assmbly for drum brak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72497B1 KR101272497B1 KR1020110057915A KR20110057915A KR101272497B1 KR 101272497 B1 KR101272497 B1 KR 101272497B1 KR 1020110057915 A KR1020110057915 A KR 1020110057915A KR 20110057915 A KR20110057915 A KR 20110057915A KR 101272497 B1 KR101272497 B1 KR 1012724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um
- brake shoe
- adjust
- brake
- lin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38—Slack adjusters
- F16D65/40—Slack adjusters mechanical
- F16D65/52—Slack adjusters mechanical self-acting in one direction for adjusting excessive play
- F16D65/56—Slack adjusters mechanical self-acting in one direction for adjusting excessive play with screw-thread and nut
- F16D65/561—Slack adjusters mechanical self-acting in one direction for adjusting excessive play with screw-thread and nut for mounting within the confines of a drum brake
- F16D65/563—Slack adjusters mechanical self-acting in one direction for adjusting excessive play with screw-thread and nut for mounting within the confines of a drum brake arranged adjacent to service brake actuator, e.g. on parking brake lever, and not subjected to service brake forc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16D65/16—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 F16D65/22—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adapted for pressing members apart, e.g. for drum brak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복적인 제동작용에 따른 라이닝 마모시 라이닝과 드럼의 내주면과의 이격간격을 보상해주는 어져스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어져스트 조립체는, 드럼 브레이크에 설치되며, 드럼의 내주면과 마찰하여 제동력을 발휘하도록 라이닝이 부착된 제1 브레이크슈와 제2 브레이크슈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드럼과 라이닝과의 간격을 보상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일측이 제1 브레이크슈에 결합되며 타측이 나선축으로 이루어진 메일푸시로드; 및 일측이 상기 나선축이 삽입되도록 중공되며 타측이 제2 브레이크슈에 설치된 작동레버와 결합되는 어져스트 볼트;를 구비하고, 상기 어져스트 볼트의 중공된 일측 단부에는 상기 나선축과 나사결합되는 너트가 일체로 형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djust assembly that compensates for the spacing between the lining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during lining wear due to repeated braking action.
The adjust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drum brake and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brake shoe and the second brake shoe to which the lining is attached so as to exert a braking force by friction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thereby providing a clearance between the drum and the lining. A mail push rod having one side coupled to the first brake shoe and the other side having a spiral shaft; And a dust bolt one side of which is hollow such that the spiral shaft is inserted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coupled to an operating lever installed on the second brake shoe, and wherein the one end of the hollow bolt is screwed with the spiral shaft. Is formed integrally.
Description
본 발명의 드럼 브레이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반복적인 제동작용에 따른 라이닝 마모시 라이닝과 드럼의 내주면과의 이격간격을 보상해주는 어져스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um brak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djust assembly for compensating a gap between a lining and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drum when lining wear occurs due to repeated braking.
일반적으로 휠과 함께 회전하는 드럼과 마찰하여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드럼 브레이크는 유압을 이용하거나, 주차 브레이크 레버와 연계된 케이블을 이용하여 라이닝이 부착된 브레이크슈를 드럼과 마찰시켜 제동력을 얻도록 하는 장치이다.In general, a drum brake that generates a braking force by friction with a drum rotating with a wheel is a device that uses hydraulic pressure or a cable associated with a parking brake lever to rub a brake shoe with a lining with a drum to obtain a braking force. to be.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종래의 드럼 브레이크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상으로 마련되며 휠(미도시)과 함께 회전하는 드럼(1)과, 드럼(1)의 내주면과 대향되도록 백플레이트(2)에 배치되며 외주에 라이닝(3a)(4a)이 부착된 한 쌍의 브레이크슈(3)(4)와, 제동유압을 전달받아 브레이크슈(3)(4)를 반경방향으로 외향 작동시키도록 피스톤(미도시)이 내장된 휠실린더(5)를 구비한다.Conventional drum brakes that perform this function ar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as shown in Figure 1, the drum (1) and rotates with a wheel (not shown), and the back plate to face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um ( 2) a pair of brake shoes (3) and (4) with linings (3a) and (4a)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and braking hydraulic pressure are applied to radially outwardly operate the brake shoes (3) and (4). And a wheel cylinder (5) in which a piston (not shown) is incorporated.
한 쌍의 브레이크슈(3)(4)는 외주면에 라이닝(3a)(4a)이 부착되어 있어서 드럼(1)의 내주면과 마찰 제동력을 발휘하는데, 이것은 휠실린더(5)를 중심으로 드럼(1) 전진 회전방향 측의 것을 제1 브레이크슈(3)라하고, 그 반대측에 마련된 것을 제2 브레이크슈(4)라 하여 구별한다. 이러한 제1 브레이크슈(3)와 제2 브레이크슈(4)는 라이닝(3a)(4a)이 부착되는 반원형상의 림(3b)(4b)과, 이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일단부는 휠실린더(5)에 접촉 지지되고 타단부는 앵커블럭(6)과 접촉하는 웨브(3c)(4c)로 구성되며, 제동시 라이닝(3a)(4a)이 드럼의 내주면과 마찰하도록 외향 작동한다.The pair of
한편, 제1 브레이크슈(3)와 제2 브레이크슈(4) 사이에는 드럼(1)과 라이닝(3a)(4a)과의 간격을 보상하는 어져스트(8)가 배치되어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between the 1st brake shoe 3 and the
도 2를 참조하면, 어져스트(8)는 메일푸시로드(8a)(male push rod)와 피메일푸시로드(8b)(female push rod) 및 메일푸시로(8a)드 외주면에 나사결합된 조정너트(8c)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조정너트(8c)가 회전되면 어져스트(8)의 길이가 신장되어 드럼(1)과 라이닝(3a)(4a)과의 간격을 조절하게 된다.2, the
보다 구체적으로, 피메일푸시로드(8b)는 일단부가 제1 브레이크슈(3)의 웨브(3c)에 끼워져 결합되며, 이의 타단은 중공부(8b')로 구성된다. 메일푸시로드(8a)는 일단부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나선축(8a')으로 이루어져 피메일푸시로드(8b)의 중공부(8b')에 유격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며, 이의 타단부는 제2 브레이크슈(4) 웨브(4c)에 마련된 파킹브레이크용 작동레버(7)와 결합되어 있다. 파킹브레이크용 작동레버(7)는 일단부가 제2 브레이크슈(4)와 축(7a) 결합되며 타단부는 케이블(C)을 통해 운전석 옆에 마련된 주차브레이크레버(미도시)와 연계되어 있어서, 이를 당기게 되면 제동작용이 기계적으로 수행된다.More specifically, the
상기와 같은 어져스트(8)는 통상 메일푸시로드(8a), 피메일푸시로드(8b) 및 조정너트(8c)로 구성된 3개의 부재로 나누어 조립시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어져스트(8)를 3개의 부품으로 조립시켜 사용함에 따라 원가비용이 증가함은 물론, 조립성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The above-mention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어져스트의 전체적인 구성부품을 2개의 부재로 나누어 조립함으로써 제조원가가 절감되고 콤팩트한 조립 구조를 갖출 수 있는 드럼 브레이크의 어져스트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n assembly of a drum brake that can reduce manufacturing costs and have a compact assembly structure by assembling the entire component of the adjuster into two members. The purpose i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어져스트 조립체는, 드럼 브레이크에 설치되며, 드럼의 내주면과 마찰하여 제동력을 발휘하도록 라이닝이 부착된 제1 브레이크슈와 제2 브레이크슈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드럼과 라이닝과의 간격을 보상하는 어져스트 조립체로서, 일측이 제1 브레이크슈에 결합되며 타측이 나선축으로 이루어진 메일푸시로드; 및 일측이 상기 나선축이 삽입되도록 중공되며 타측이 제2 브레이크슈에 설치된 작동레버와 결합되는 어져스트 볼트;를 구비하고, 상기 어져스트 볼트의 중공된 일측 단부에는 상기 나선축과 나사결합되는 너트가 일체로 형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adjust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drum brake, the drum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brake shoe and the second brake shoe with a lining attached to exert a braking force by friction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um, An assembly for compensating the gap between the lining and the lining, one end is coupled to the first brake shoe and the other side is a spiral push rod; And a dust bolt one side of which is hollow such that the spiral shaft is inserted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coupled to an operating lever installed on the second brake shoe, and wherein the one end of the hollow bolt is screwed with the spiral shaft. Is formed integrally.
바람직하게, 상기 어져스트 볼트의 타측 단부 중심에는 원형 형상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레버에는 상기 홈에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어져스트 볼트가 상기 돌기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너트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며 어져스트 조립체의 길이를 조절한다.Preferably, a circular groove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other end of the adjust bolt, and a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groove is formed in the operation lever, and the adjust bolt is supported by the protrusion to rotate the nut. Rotate together to adjust the length of the adjust assembly.
본 발명에 따른 드럼 브레이크의 어져스트 조립체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The adjust assembly of the drum brak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3개의 부품으로 구성된 종래의 어져스트를 2개의 부품으로 구성되도록 구조를 개선하여 제조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다.Firs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adjuster consisting of three parts consisting of two parts.
둘째, 부품의 수가 감소함에 따라 조립성이 향상됨은 물론, 이에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Second, as the number of parts decreases, assemblability may be improved, and thus productivity may be improved.
본 발명은 아래 도면들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지만, 이러한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그 도면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의 드럼 브레이크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드럼 브레이크에 설치된 어져스트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져스트 조립체가 설치된 드럼 브레이크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져스트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조립 사시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hereto.
1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ventional drum brake.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just assembly installed on a conventional drum brake.
Figure 3 is a front view showing a drum brake is installed in the assembl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djust assembl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Fig. 4;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having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 and the inventors should properly explain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explain their own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져스트 조립체가 설치된 드럼 브레이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3 is a front view showing a drum brake provided with an adjust assembl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드럼 브레이크의 어져스트 조립체(100)는 드럼 브레이크(10)의 한 쌍의 브레이크슈(21)(22) 사이에 배치되어 드럼(11)과 라이닝(21a)(22a)과의 간격이 일정하도록 보상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어져스트 조립체(100)를 설명하기 앞서서 드럼 브레이크(1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도면은 참조하면, 드럼 브레이크(10)는 차량의 휠(미도시)과 함께 회전하는 원통형상의 드럼(11)과, 드럼(11)의 내주면과 대향되도록 백플레이트(12)에 배치되며 외주에 라이닝(21a)(22a)이 부착된 한 쌍의 브레이크슈(21)(22)와, 제동유압을 전달받아 브레이크슈(21)(22)를 반경방향으로 외향 작동시키도록 피스톤(미도시)이 내장된 휠실린더(30)와, 제동작용 해제시 브레이크슈(21)(22)를 복원시키기 위한 리턴 스프링(60) 및, 라이닝(21a)(22a)과 드럼(11) 사이의 간격을 보상해주기 위한 어져스트 조립체(100)를 구비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한 쌍의 브레이크슈(21)(22)는 일단이 앵커블럭(40)에 지지되고 타단이 휠실린더(30)와 접하도록 배치되는데, 휠실린더(30)를 중심으로 드럼(11)의 전진회전 방향측의 것을 제1 브레이크슈(21), 그 반대방향 측의 것을 제2 브레이크슈(22)로 구별한다.The pair of
이러한 브레이크슈(21)(22)는 단면이 'T'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외주면에 라이닝(21a)(22a)이 부착되도록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진 림(21b)(22b)과, 림(21b)(22b)의 내주에 용접수단을 통해 결합되며 일단이 앵커블럭(40)에 지지되고 타단이 휠실린더(30)의 피스톤과 접하는 금속판상의 웨브(21c)(22c)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휠실린더(30)에 제동유압이 전달되면, 제1 브레이크슈(21)와 제2 브레이크슈(22)는 앵커블럭(40)을 중심으로 외향 작동하여 라이닝(21a)(22a)이 드럼(11)의 내주면과 마찰하게 된다.The
한편, 제2 브레이크슈(22)의 웨브(22c)에는 파킹브레이크용 작동레버(50)가 결합된다. 상기 작동레버(50)는 일단부가 제2 브레이크슈(22)와 축(52) 결합되며 타단부는 케이블(C)을 통해 운전석 옆에 마련된 주차브레이크레버(미도시)와 연계된다. 이에 작동레버(50)를 제동작용이 기계적으로 수행된다.On the other hand, the parking
리턴 스프링(60)은 그 일단과 타단이 각각 제1 브레이크슈(21)와 제2 브레이크슈(22)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제동작용이 해제되면 리턴 스프링(6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1 브레이크슈(21)와 제2 브레이크슈(22)는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온다.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휠실린더(30)는 제1 브레이크슈(21)와 제2 브레이크슈(22)의 웨브(21c)(22c)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제동유압에 의해 전진하는 한 쌍의 피스톤(미도시)이 내장되어 있다.The
이러한 드럼 브레이크(10)의 반복적인 제동작용에 따라 라이닝(21a)(22a)이 마모되면 드럼(11)의 내주면과의 이격간격이 커지는데, 이를 보상하여 라이닝(21a)(22a)과 드럼(11)의 내주면 사이의 간격을 항상 일정간격으로 유지시키는 어져스트 조립체(100)가 제1 브레이크슈(21)와 제2 브레이크슈(22)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When the
이러한 어져스트 조립체(100)는 라이닝(21a)(22a)과 드럼(11)과의 간격을 보상해주는 기능 외에 이를 매개로 제1 브레이크슈(21)와 제2 브레이크슈(22)가 외향 작동되어 주차 제동작용이 이루어지는데, 이의 상세한 구조는 다음과 같다.In addition to the function of compensating the gap between the
본 발명에 따르면, 어져스트 조립체(1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브레이크슈(21)에 결합되는 메일푸시로드(110) 및, 메일푸시로드(110)와 결합되어 제2 브레이크슈(22)에 설치된 작동레버(50)와 결합되는 어져스트 볼트(120)를 구비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메일푸시로드(110)는 소정길이를 가지며, 일측이 제1 브레이크슈(21)의 웨브(21c)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대략 'ㄷ'자 형상을 갖추고, 타측이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나선축(112)으로 이루어진다.The
어져스트 볼트(120)는 메일푸시로드(110)와 결합되어 제2 브레이크슈(22)에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어져스트 볼트(120)는 일측이 상기 메일푸시로드(110)의 나선축(112)이 삽입되도록 중공되며, 타측이 제2 브레이크슈(22)에 설치된 작동레버(50)와 결합된다.The adjust
이때, 어져스트 볼트(120)에는 나선축(112)과 나사결합되는 너트(122)가 일체로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122)는 그 외주면에 기어이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주면에는 나선축(112)과 나사결합되도록 암나사산이 형성된다. 이러한 너트(122)는 어져스트 볼트(120)의 중공된 일측 단부에 일체로 마련되어 나사결합된 나선축(112)이 너트(122)를 통해 어져스트 볼트(120)의 내부로 수용된다.At this time, the
상기와 같은 어져스트 조립체(100)는 너트(122)가 회전됨에 따라 일체로 이루어진 어져스트 볼트(120)가 함께 회전하게 되면, 나선축(112)이 어져스트 볼트(120)로부터 조금씩 빠져나와 전체적인 어져스트 조립체(100)의 길이가 신장된다.The adjust
한편, 어져스트 조립체(10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서 어져스트 볼트(120)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어야 한다. 상기 어져스트 볼트(120)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구조에 대해 살펴보면, 어져스트 볼트(120)의 타측 단부에는 그 중심에 원형 형상의 홈(124)이 형성된다. 또한, 어져스트 볼트(120)가 설치된 작동레버(50)에는 상기 홈(124)에 삽입되는 돌기(54)가 형성된다(도 3 참고). 이때, 어져스트 볼트(120)가 회전이 용이하도록 홈(124)의 직경은 돌기(54)의 직경보다 미세하게 큰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홈(124)과 돌기(54)는 원형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즉, 어져스트 볼트(120)는 작동레버(50)의 돌기(54)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이에 어져스트 볼트(120)는 너트(122)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며 어져스트 조립체(100)의 길이를 조절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adjust the length of the adjust
덧붙여, 어져스트 조립체(100)는 라이닝()의 과마모시 어져스트 볼트(120) 즉, 너트(122)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데, 도 3을 참조하면, 드럼 브레이크(10)에는 인장스프링(74)의 탄성복원력을 이용하여 어져스트 볼트(120)를 회전시키는 레버폴(70)(lever pwal)이 설치된다.In addition, the adjust
레버폴(70)은 일단부가 메일푸시로드(110) 하측의 제1 브레이크슈(21) 웨브(21c)에 롤핀(72)을 이용하여 결합되고, 타단부의 끝단은 너트(122)의 기어이와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레버폴(70)은 인장스프링(74)이 하측으로 당기는 힘에 의해 롤핀(72)을 중심으로 하측방향으로 회전된다.One end of the
즉, 인장스프링(74)의 일단부는 레버폴(70)에 고정되며 타단부는 제1 브레이크슈(21)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있어서, 라이닝(21a)(22a)이 과마모된 상태에서 제동작용을 하게 되면 레버폴(70)이 하측으로 당겨져 롤핀(72)을 중심으로 끝단부가 화살표 A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하게 된다.That is, one end of the tension spring (74) is fixed to the
이에 따라 레버폴(70)의 끝단부가 너트(122)를 회전시켜 메일푸시로드(110)의 나선축(112)이 어져스트 볼트(120)의 중공부에서 약간 빠져나오게 되고, 어져스트 조립체(100)의 전체적인 길이가 신장되어 라이닝(21a)(22a)이 마모되어도 드럼(10) 내주면과의 이격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된다.Accordingly, the end portion of the
결과적으로, 어져스트 조립체(100)는 메일푸시로드(110) 및 어져스트 볼트(120)로 구성된 2개의 부품으로 조립되고, 어져스트 볼트(120)가 종래의 피메일푸시로드의 기능과 함께 길이를 신장시키는 기능을 함께 수행함은 물론, 작동레버(50)의 힘을 어져스트 볼트(120)로 바로 전달함으로써 조립성 및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adjust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 어져스트 조립체
110 : 메일푸시로드
120 : 어져스트 볼트100: adjust assembly
110: mail push rod
120: adjust bolt
Claims (2)
일측이 제1 브레이크슈에 결합되며 타측이 나선축으로 이루어진 메일푸시로드; 및
일측이 상기 나선축이 삽입되도록 중공되며 타측이 제2 브레이크슈에 설치된 작동레버와 결합되는 어져스트 볼트;를 구비하고,
상기 어져스트 볼트의 중공된 일측 단부에는 상기 나선축과 나사결합되는 너트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어져스트 볼트의 타측 단부 중심에는 원형 형상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레버에는 상기 홈에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어져스트 볼트가 상기 돌기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너트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며 어져스트 조립체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져스트 조립체.In the adjust assembly is installed in the drum brake, disposed between the first brake shoe and the second brake shoe attached to the lining to exert a braking force by friction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to compensate for the gap between the drum and the lining,
A mail push rod having one side coupled to the first brake shoe and the other side having a spiral shaft; And
One side is hollow so that the spiral shaft is inserted and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the operating lever installed on the second brake shoe;
One hollow end portion of the adjust bolt is integrally formed with a nut that is screwed with the spiral shaft,
A circular groove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other end of the just bolt.
The operating lever is provided with a projection is inserted into the groove, the adjust bolt is supported by the projection is rotated with the rotation of the nut, the adjust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adjust assembly length.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57915A KR101272497B1 (en) | 2011-06-15 | 2011-06-15 | Adjust assmbly for drum brak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57915A KR101272497B1 (en) | 2011-06-15 | 2011-06-15 | Adjust assmbly for drum brak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38437A KR20120138437A (en) | 2012-12-26 |
KR101272497B1 true KR101272497B1 (en) | 2013-06-10 |
Family
ID=47905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57915A Expired - Fee Related KR101272497B1 (en) | 2011-06-15 | 2011-06-15 | Adjust assmbly for drum brak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72497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994716B2 (en) | 2018-08-17 | 2021-05-04 | Hyundai Mobis Co., Ltd. | Electric parking brake devic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60433A (en) * | 2005-12-08 | 2007-06-13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Drum brake of car |
JP4682538B2 (en) * | 2004-06-03 | 2011-05-11 |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 Adjuster assembly for drum brake |
KR20110056624A (en) * | 2009-11-23 | 2011-05-31 | 주식회사 만도 | Adjust assembly of drum brake |
JP4746495B2 (en) * | 2006-08-21 | 2011-08-10 | 豊生ブレーキ工業株式会社 | Drum brake with shoe clearance automatic adjustment mechanism |
-
2011
- 2011-06-15 KR KR1020110057915A patent/KR10127249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682538B2 (en) * | 2004-06-03 | 2011-05-11 |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 Adjuster assembly for drum brake |
KR20070060433A (en) * | 2005-12-08 | 2007-06-13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Drum brake of car |
JP4746495B2 (en) * | 2006-08-21 | 2011-08-10 | 豊生ブレーキ工業株式会社 | Drum brake with shoe clearance automatic adjustment mechanism |
KR20110056624A (en) * | 2009-11-23 | 2011-05-31 | 주식회사 만도 | Adjust assembly of drum brak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994716B2 (en) | 2018-08-17 | 2021-05-04 | Hyundai Mobis Co., Ltd. | Electric parking brake device |
DE102019121819B4 (en) | 2018-08-17 | 2025-03-20 | Hyundai Mobis Co., Ltd. | ELECTRONIC PARKING BRAKE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38437A (en) | 2012-12-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04681B1 (en) | Parking brake unit | |
US10598238B2 (en) | Slack adjuster for a drum brake of a vehicle air braking system | |
KR101272497B1 (en) | Adjust assmbly for drum brake | |
US20110127130A1 (en) | Mechanical drum brake | |
JP7265556B2 (en) | electric parking brake device | |
JP2007198532A (en) | Drum brake device | |
KR101244157B1 (en) | Adjuster assembly of drum brake | |
KR20200024532A (en) | Drum brake | |
JP2020051519A (en) | Brake device for vehicle | |
US8408368B2 (en) | Caliper brake | |
KR101808141B1 (en) | Drum brake | |
KR20210128116A (en) | Adjuster assembly and Drum brake having the same | |
KR100349541B1 (en) | Drum brake | |
JP7442524B2 (en) | Vehicle drum brake | |
WO2017038263A1 (en) | Disc brake | |
KR102548143B1 (en) | Drum brake | |
KR20240171992A (en) | brake apparutus | |
KR20070062253A (en) | Car drum brake | |
JP5653168B2 (en) | Duo servo drum brake | |
KR200281982Y1 (en) | Adjuster of drum brake | |
KR100349635B1 (en) | Adjusting device for drum brake_ | |
KR100381234B1 (en) | Apparatus for adjusting a gap between brake shoe and brake drum | |
KR20120088340A (en) | Drum brake | |
KR101250831B1 (en) | Drum brake | |
KR20130048329A (en) | Drum brak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61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1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6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6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