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79020B1 - 이산화탄소 발생량과 점도를 강화시킨 화장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이산화탄소 발생량과 점도를 강화시킨 화장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9020B1
KR101279020B1 KR1020110076086A KR20110076086A KR101279020B1 KR 101279020 B1 KR101279020 B1 KR 101279020B1 KR 1020110076086 A KR1020110076086 A KR 1020110076086A KR 20110076086 A KR20110076086 A KR 20110076086A KR 101279020 B1 KR101279020 B1 KR 101279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agent
carbon dioxide
skin
visco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6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4143A (ko
Inventor
임광규
Original Assignee
사랑새화장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랑새화장품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사랑새화장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6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9020B1/ko
Priority to JP2012167765A priority patent/JP2013032356A/ja
Publication of KR20130014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41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9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9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2Gas releas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이산화탄소 발생량과 점도를 강화시킨 화장품 조성물은, 프로필렌글리콜 5.0 내지 10.0wt%, 탄산나트륨 3.0 내지 5.0wt%, 에탄올 1.0 내지 2.0 wt%, 페녹시에탄올 0.1 내지 0.5 wt%, 히알루론산나트륨 0.5 내지 3.0wt%, 암모늄 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 브이피공중합체 0.1 내지 0.5 wt%, 셀룰로오즈검 2.0 내지 5.0wt%로 형성된 점증제와, 점성이 있는 식물추출물 5.0 내지 20.0 wt%과, 물 60.0 내지 83.0wt%로 배합하여 젤로 형성된 제1제와; 옥수수전분, 아스코르빈산, 덱스트린, 호박산, 구연산로 중에서 1종 이상 선택하여 분말로 조성된 제2제와; 상기 제1제와 제2제를 혼합하여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직물과 같은 구조를 가진 점성체로서 점탄성이 향상된 암모늄 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 브이피공중합체를 배합하여 끈적임을 미연에 방지하고 우수한 제형을 가지면서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고, 우수한 점성으로 피부에 바르는 발림성이 양호하고, 탄산가스를 포집하는 능력이 우수하여 피부 점막의 질환이나 장애를 회복시킬 수 있게 되고, 이산화 발생량을 다량 발생시켜 피부 혈액을 촉진시켜 피부에 산소를 공급하고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여 피부를 매끄럽게 유지시킬 뿐만 아니라 항시 활력있는 피부를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산화탄소 발생량과 점도를 강화시킨 화장품 조성물{A Cosmetic Composition increased viscosity and Carbon Dioxide of occur quantity}
본 발명은 이산화탄소 발생량과 점도를 강화시킨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직물과 같은 구조를 가진 점성체로서 점탄성이 향상된 암모늄 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 브이피공중합체를 배합하여 끈적임을 미연에 방지하고 우수한 제형을 가지면서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고, 우수한 점성으로 피부에 바르는 발림성이 양호하고, 탄산가스를 포집하는 능력이 우수하여 피부 점막의 질환이나 장애를 회복시킬 수 있고,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다량 발생시켜 피부 혈액을 촉진시켜 피부에 산소를 공급하고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여 피부를 매끄럽게 유지시킬 뿐만 아니라 항시 활력있는 피부를 유지시킬 수 있는 이산화탄소 발생량과 점도를 강화시킨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 문명이 다양화됨에 따라 화장품의 종류도 다양해지고 있으며 사용자는 자신의 피부에 맞는 화장품을 사용하고 있으며, 화장을 장시간 동안 하고 있으면 피부노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화장품을 깨끗이 제거시켜 주지 않으면 피부에 잔존하고 있는 화장품에 의해 각질이 발생되고, 이러한 각질로 인하여 표피의 모공에 산소가 원활하게 공급되지 못하여, 별도의 영양크림 등을 발라주어야 하나 흡수가 원할하게 되지 못하여 피부가 빠르게 노화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시켜 주기 위해 개발된 것이 이산화탄소를 함유하는 화장품조성물이 개발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이산화 탄소를 발생시키는 화장품 조성물은 이산화 탄소가 피부에 적절한 시간동안 접촉하여 피부의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피부에 산소를 공급하여 탄력있는 피부를 유지시키고, 신진대사를 원할하게 하여 각종 피부점막질환, 피부장애 및 피부거칠어짐 등을 치료할 수 있음으로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이산화 탄소를 발생시키는 화장품 조성물이 등록특허공보 제10-1047324호로 공개되어 있다.
상기 등록특허공보 제10-1047324호에 공개된 이산화탄소 함유 점성 화장품 조성물은 겔과 파우더를 직접 혼합시켜 이들의 화학적 반응에 의해 탄산가스가 발생됨으로써 탄산가스에 의해 부풀어 오른 발포성과 유지성이 오랜 시간동안 지속될 수 있어 주름 사이와 모공에 잔존하고 있는 화장품을 산화시켜 모공을 통한 산소의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져 피부의 노화를 방지할 수 있고, 영양크림의 흡수율이 상대적으로 좋아져 탄력있는 피부를 유지시킬 수 있으나. 점성을 가지는 조성물이 다량함유되므로 인하여 끈적임이 발생되어 이산화탄소가 발생되어도 고점성이므로 사용자가 사용 후 산뜻함을 느끼지 못하고, 배합시 고속으로 장시간 배합하여야 하므로 제조시간이 장시간 소요되어 제조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이산화탄소 함유 점성 화장품 조성물은 강한 점성으로 이산화탄소 발생량이 저하되어 그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이산화탄소 발생량과 점도를 강화시킨 화장품 조성물의 목적은 직물과 같은 구조를 가진 점성체로서 점탄성이 향상된 암모늄 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 브이피공중합체를 배합하여 끈적임을 미연에 방지하고 우수한 제형을 가지면서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고, 용해성이 매우 우수하여 짧은 시간에 일반적인 교반을 하여도 우수한 점성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점성으로 피부에 바르는 발림성이 우수하고, 탄산가스를 포집하는 능력이 우수하여 피부 점막의 질환이나 장애를 회복시킬 수 있게 되고,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다량 발생시켜 피부 혈액을 촉진시켜 피부에 산소를 공급하고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여 피부를 매끄럽게 유지시킬 뿐만 아니라 항시 활력있는 피부를 유지시킬 수 있는 이산화탄소 발생량과 점도를 강화시킨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이산화탄소 발생량과 점도를 강화시킨 화장품 조성물은 프로필렌글리콜 3.0 내지 10.0wt%, 탄산나트륨 3.0 내지 5.0wt%, 에탄올 1.0 내지 2.0 wt%, 페녹시에탄올 0.1 내지 0.5 wt%, 히알루론산나트륨 0.5 내지 3.0wt%, 암모늄 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 브이피공중합체 0.1 내지 0.5 wt%, 셀룰로오즈검 2.0 내지 5.0wt%로 형성된 점증제와, 점성이 있는 식물추출물 5.0 내지 20.0 wt%과, 물 60.0 내지 83.0wt%로 배합하여 젤로 형성된 제1제와; 옥수수전분, 아스코르빈산, 덱스트린, 호박산, 구연산로 중에서 1종 이상 선택하여 분말로 조성된 제2제와; 상기 제1제와 제2제를 혼합하여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산화탄소 발생량과 점도를 강화시킨 화장품 조성물는 직물과 같은 구조를 가진 점성체로서 점탄성(Viscoelastic)이 향상된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브이피공중합체를 혼합하여 일반적인 탄소발생 조성물에서 발생되는 점착성에 의한 끈적임을 미연에 방지하고 공기중으로 휘산되는 것을 억제하는 우수한 제형을 가지면서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고, 일반적인 증점제는 고속으로 장시간 교반을 실시하여야 하나 용해성이 매우 우수하여 짧은 시간에 일반적인 교반을 하여도 우수한 점성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점성으로 피부에 바르는 발림성이 우수하고, 탄산가스를 포집하는 능력이 우수하여 아토성피부, 화폐상습진, 건피증 등 피부 점막의 질환이나 장애를 회복시킬 수 있게 되고, 이산화 발생량을 다량 발생시켜 피부 혈액을 촉진시켜 피부에 산소를 공급하고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여 피부를 매끄럽게 유지시킬 뿐만 아니라 항시 활력있는 피부를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제를 포장한 제품.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제를 포장한 제품.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제와 제2제를 혼합한 제품.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이산화탄소 발생량과 점도를 강화시킨 화장품 조성물은 프로필렌글리콜 5.0 내지 10.0wt%, 탄산나트륨 3.0 내지 5.0wt%, 에탄올 1.0 내지 2.0 wt%, 페녹시에탄올 0.1 내지 0.5 wt%, 히알루론산나트륨 0.5 내지 3.0wt%, 암모늄 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 브이피공중합체 0.1 내지 0.5 wt%, 셀룰로오즈검 2.0 내지 5.0wt%로 형성된 점증제와, 점성이 있는 식물추출물 5.0 내지 20.0 wt%과, 물 60.0 내지 83.0wt%로 배합하여 젤로 형성된 제1제와;
옥수수전분, 아스코르빈산, 덱스트린, 호박산, 구연산로 중에서 1종 이상 선택하여 분말로 조성된 제2제와; 상기 제1제와 제2제를 혼합하여 형성된다.
상기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브이피공중합체는 아리스토플렉스 AVC(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 VP Copolymer) 또는 아리스토플렉스 HMB(Aristoflex 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 Beheneth-25 Methacrylate crosspolymer)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식물성추출물은 인삼추출물 0.5 내지 2.0wt%, 녹차추출물 0.5 내지 2.0wt%, 마치현추출물 0.5 내지 2.0wt%, 알로에베라겔 추출물 0.5 내지 2.0wt%가 포함되어 배합되며, 상백피추출물, 갈근추출물, 석류추출물, 어성초추출물, 상백피추출물, 병풀추출물, 편백추출물, 은행추출물, 위치하젤추출물, 쌀눈추출물, 콩눈추출물, 알로에추출물, 통밀추출물, 알부틴, 콜라겐, 바이오플라센타, 베타글루칸, 코엔자임큐텐, 감초추출물, 고삼추출물, 상황버섯 추출물, 니아신아마이드, 아데노신 중에서 1종 이상 선택하여 1.0 내지 2.0wt%가 포함되어 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제는 85.0 ~ 95.0 wt%, 제2제는 5.0 내지 15.0 wt%로 혼합하여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2제는 정제수 80.0 ~ 95.0 wt%, 구연산 1.0 내지 3.0 wt%, 호박산 1.0 내지 5.0 wt%, 비타민씨 2.5 내지 10.0 wt%,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브이피공중합체 0.5 내지 2.0 wt%로 혼합하여 형성된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산화탄소 발생량과 점도를 강화시킨 화장품 조성물은 아리스토플렉스 AVC(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 VP Copolymer) 또는 아리스토플렉스 HMB(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 Beheneth-25 Methacrylate crosspolymer) 중에서 형성된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브이피공중합체가 혼합된다. 즉 상기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브이피공중합체는 직물과 같은 구조를 가진 점성체로서 점탄성(Viscoelastic)을 형성하여 일반적인 탄소발생 조성물에서 발생되는 점착성에 의한 끈적임을 미연에 방지하고, 다량으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가 점성조성물에 용이하게 확산되도록 하며, 우수한 제형을 가지면서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고, 일반적인 증점제는 고속으로 장시간 교반을 실시하여야 하나 용해성이 매우 우수하여 짧은 시간에 일반적인 교반을 하여도 우수한 점성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점성으로 피부에 바르는 발림성이 우수하고, 탄산가스를 포집하는 능력이 우수하여 미용효과를 대폭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산화탄소 발생량과 점도를 강화시킨 화장품 조성물은 프로필렌글리콜 3.0 내지 10.0wt%, 탄산나트륨 3.0 내지 5.0wt%, 에탄올 1.0 내지 2.0 wt%, 페녹시에탄올 0.1 내지 0.5 wt%, 히알루론산나트륨 0.5 내지 3.0wt%, 암모늄 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 브이피공중합체 0.1 내지 0.5 wt%, 셀룰로오즈검 1.0 내지 5.0wt%로 이루어지는 점증제는 직물구조로 형성되어 분말조성물이 혼합될 경우 이산화탄소의 발생량을 확대하여 피부에 바를 경우 미용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탄소 발생량과 점도를 강화시킨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예 및 실시예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제조예 1: 이산화탄소 발생량과 점도를 강화시킨 화장품 조성물을 위한 조성물 제조
프로필렌글리콜 4.2wt%, 탄산나트륨 3.1wt%, 에탄올 1.5wt%, 페녹시에탄올 0.3wt%, 히알루론산나트륨 1.5wt%, 암모늄 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 브이피공중합체 0.5wt%, 셀룰로오즈검 2.5wt%로 형성된 증점제와, 녹차추출물 1.5wt%, 마치현추출물 1.3wt%와, 분말조성물 중 아스코르빈산 0.6wt%, 덱스트린 1.2wt%로 형성된 식물성추출물에 물 81.8wt%로 혼합하여 겔(gel)로 형성된 제1제(도 1)을 제조하고, 옥수수전분, 아스코르빈산, 덱스트린, 호박산, 구연산을 혼합하여 분말로 형성된 제2제(도 2)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이산화탄소 발생량과 점도를 강화시킨 화장품 조성물를 사용하기 위한 제1제와 제2제를 혼합한 조성물 생산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제1제와 제2제를 배합하여 이산화탄소 발생량과 점도를 강화시킨 화장품 조성물을 도 3과 같이, 배합용기에 담았다.
시험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이산화탄소 발생량과 점도를 강화시킨 화장품 조성물을 한국건자재시험원구원의 시험규정에 의하여 품질특성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이하 비교군으로서 상기 전술한 등록특허공보 제10-1047324호에 공개된 이산화탄소 함유 점성 화장품 조성물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시험항목

본발명의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향상시켜 점도를 강화시킨
화장품 조성물

상기 비교군의
이산화탄소 함유 점성
화장품 조성물

점탄성(Viscoelastic%)

이산화탄소발생량(PPM/㎠)

94%

1550ppm

75%

835ppm
시험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이산화탄소 발생량과 점도를 강화시킨 화장품 조성물로 제조한 화장품팩을 일반 성인여성 20명을 선정하고 10점을 만점을 기준으로 만족도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이하 비교군으로서 상기 전술한 등록특허공보 제10-1047324호에 공개된 이산화탄소 함유 점성 화장품 조성물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시험항목

본발명의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향상시켜 점도를 강화시킨
화장품 조성물

상기 비교군의
이산화탄소 함유 점성
화장품 조성물


바를때 피부촉감도

1주일 사용후 피부거칠기

1주일 사용후 피부윤기



8.4

8.5

9.2


6.1

6.2

5.4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탄소 발생량과 점도를 강화시킨 화장품 조성물은 직물과 같은 구조를 가진 점성체로서 점탄성(Viscoelastic)이 향상된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브이피공중합체를 혼합하여 일반적인 탄소발생 조성물에서 발생되는 점착성에 의한 끈적임을 미연에 방지하고 점성 조성물로의 확산이 향상되며, 우수한 제형을 가지면서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고, 일반적인 증점제는 고속으로 장시간 교반을 실시하여야 하나 용해성이 매우 우수하여 짧은 시간에 일반적인 교반을 하여도 우수한 점성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점성으로 피부에 바르는 발림성이 뛰어나, 탄산가스를 포집하는 능력이 우수하여 아토성피부, 화폐상습진, 건피증 등 피부 점막의 질환이나 장애를 회복시킬 수 있게 되고, 이산화 발생량을 다량 발생시켜 피부 혈액을 촉진시켜 피부에 산소를 공급하고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여 피부를 매끄럽게 유지시킬 뿐만 아니라 항시 활력있는 피부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5)

  1. 프로필렌글리콜 3.0 내지 10.0wt%, 탄산나트륨 3.0 내지 5.0wt%, 에탄올 1.0 내지 2.0 wt%, 페녹시에탄올 0.1 내지 0.5 wt%, 히알루론산나트륨 0.5 내지 3.0wt%, 암모늄 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 브이피공중합체 0.1 내지 0.5 wt%, 셀룰로오즈검 2.0 내지 5.0wt%로 형성된 점증제와, 점성이 있는 식물추출물 5.0 내지 20.0 wt%과, 물 60.0 내지 83.0wt%로 배합하여 젤로 형성된 제1제와;
    옥수수전분, 아스코르빈산, 덱스트린, 호박산, 구연산 중에서 1종 이상 선택하여 분말로 조성된 제2제;
    상기 제1제와 제2제를 혼합하여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발생량과 점도를 강화시킨 화장품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추출물은 점성이 있는 인삼추출물 0.5 내지 2.0wt%, 녹차추출물 0.5 내지 2.0wt%, 마치현추출물 0.5 내지 2.0wt%, 알로에베라겔 추출물 0.5 내지 2.0wt%가 포함되어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발생량과 점도를 강화시킨 화장품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추출물은 상백피추출물, 갈근추출물, 석류추출물, 어성초추출물, 상백피추출물, 병풀추출물, 편백추출물, 은행추출물, 위치하젤추출물, 쌀눈추출물, 콩눈추출물, 알로에추출물, 통밀추출물, 알부틴, 콜라겐, 바이오플라센타, 베타글루칸, 코엔자임큐텐, 감초추출물, 고삼추출물, 상황버섯추출물 니아신아마이드, 아데노신 중에서 1종 이상 선택하여 1.0 내지 2.0wt%가 포함되어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발생량과 점도를 강화시킨 화장품 조성물.
  4. 상기 제2제는 정제수 80.0 ~ 95.0 wt%, 구연산 1.0 내지 3.0 wt%, 호박산 1.0 내지 5.0 wt%, 비타민씨 2.5 내지 10.0 wt%,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브이피공중합체 0.5 내지 2.0 wt%로 혼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발생량과 점도를 강화시킨 화장품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는 85.0 ~ 95.0 wt%, 제2제는 5.0 내지 15.0 wt%로 혼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발생량과 점도를 강화시킨 화장품 조성물.
KR1020110076086A 2011-07-29 2011-07-29 이산화탄소 발생량과 점도를 강화시킨 화장품 조성물 KR101279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6086A KR101279020B1 (ko) 2011-07-29 2011-07-29 이산화탄소 발생량과 점도를 강화시킨 화장품 조성물
JP2012167765A JP2013032356A (ja) 2011-07-29 2012-07-27 粘性組成物の粘性改善から二酸化炭素の発生量を高めて、炭素ガスの皮膚効果を向上させた化粧品組成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6086A KR101279020B1 (ko) 2011-07-29 2011-07-29 이산화탄소 발생량과 점도를 강화시킨 화장품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4143A KR20130014143A (ko) 2013-02-07
KR101279020B1 true KR101279020B1 (ko) 2013-07-02

Family

ID=47788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6086A KR101279020B1 (ko) 2011-07-29 2011-07-29 이산화탄소 발생량과 점도를 강화시킨 화장품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3032356A (ko)
KR (1) KR1012790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4637A (ko) * 2017-08-31 2019-03-08 (주)화니핀코리아 고점도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80758B1 (ja) * 2013-02-19 2014-01-08 株式会社ピカソ美化学研究所 二剤式二酸化炭素発生組成物
US20160271051A1 (en) * 2013-03-19 2016-09-22 Bst Inc. Composition for producing cosmetics using plant material extract and fermentation material thereof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6195493B2 (ja) * 2013-08-29 2017-09-13 花王株式会社 皮膚外用剤
KR102403445B1 (ko) * 2020-04-09 2022-05-31 인핸스비 주식회사 피부 보호 성분이 포함된 마스크
CN111467283A (zh) * 2020-04-23 2020-07-31 济宁百世微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消毒凝胶剂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8468A (ko) * 2008-05-14 2009-11-1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수중유형의 화장료 조성물
KR101047324B1 (ko) 2010-06-29 2011-07-07 센츄론(주) 이산화탄소 함유 점성 화장품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8468A (ko) * 2008-05-14 2009-11-1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수중유형의 화장료 조성물
KR101047324B1 (ko) 2010-06-29 2011-07-07 센츄론(주) 이산화탄소 함유 점성 화장품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4637A (ko) * 2017-08-31 2019-03-08 (주)화니핀코리아 고점도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팩
KR102049406B1 (ko) 2017-08-31 2019-11-28 (주)화니핀코리아 고점도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032356A (ja) 2013-02-14
KR20130014143A (ko) 2013-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9020B1 (ko) 이산화탄소 발생량과 점도를 강화시킨 화장품 조성물
KR102265730B1 (ko) 피부 주름 개선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N108113914B (zh) 一种不添加香精和防腐剂的精华霜及其制备方法
CN106137906A (zh) 一种植物精粹修护面膜精华液
CN106333881A (zh) 一种滋润多泡且稳定的乳霜沐浴组合物
CN106456457A (zh) 包含过氧化苯甲酰的清洗型化学泡沫
CN106420482A (zh) 一种肌能赋活水光精华液
CN105411900A (zh) 一种含高山火绒草提取液的护肤精华及其制备方法
CN106963658A (zh) 一种含有纳米白金的化妆品组合物
CN102836093A (zh) 一种含有i型胶原蛋白的面霜
JP2015034131A (ja) イチジク発酵抽出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イチジク発酵抽出物を配合する化粧料
CN107854403A (zh) 一种洁净保湿润肤霜
CN113081942A (zh) 一种含有苹果干细胞的多维水合霜
JP5888563B2 (ja) 保湿剤、肌荒れ改善剤、角層水分量増加剤、血流改善剤及び肌のくすみ、くま又はつや改善剤
CN111228138A (zh) 一种玻尿酸精华液及其制备方法
CN110664693A (zh) 一种植物精粹面霜及其制备方法
CN114159333B (zh) 一种肌底液及其制备方法
CN114288201B (zh) 一种祛眼袋、淡化黑眼圈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4916143B2 (ja) ビール酵母で発酵させたアルコール飲料からコラーゲン産生促進作用を有する組成物を製造する方法及びその組成物
JP2014122194A (ja) 二酸化炭素を生成し、保持するキット
CN109350576B (zh) 具有补水保湿功效的组合物及其应用、化妆水及其制备方法
JP7305161B2 (ja) 皮膚化粧料
CN108852977B (zh) 一种晶润精华液
KR100205499B1 (ko) 피부자극이 완화된, 주름개선효과를 갖는 기초화장료 조성물
CN112315881A (zh) 一种胶原蛋白肽面膜液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