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7807B1 - Uhpc 부재를 거푸집과 구조재로서 이용하는 대형 콘크리트 거더 및 그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Uhpc 부재를 거푸집과 구조재로서 이용하는 대형 콘크리트 거더 및 그 제작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67807B1 KR101267807B1 KR1020120109860A KR20120109860A KR101267807B1 KR 101267807 B1 KR101267807 B1 KR 101267807B1 KR 1020120109860 A KR1020120109860 A KR 1020120109860A KR 20120109860 A KR20120109860 A KR 20120109860A KR 101267807 B1 KR101267807 B1 KR 10126780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hpc
- concrete
- flange portion
- members
- lower flan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02—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assembled from preformed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0—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e.g. with reinforcements or tension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UHPC를 이용하여 하부 플랜지와 웨브를 가지는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를 제작한 후, 상기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의 한 쌍을 대형 콘크리트 거더의 제작을 위한 횡방향의 측면 거푸집으로 이용함과 동시에 상기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가 대형 콘크리트 거더의 횡방향 측면을 이루는 구조재가 되도록 함으로써, 대형 콘크리트 거더를 경제적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과, 그에 의해 제작된 콘크리트 거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하부플랜지부(10)와, 연직한 웨브(20)를 가지고 있으며,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UHPC에 의해 프리캐스트로 제작된 한 쌍의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를 상기 하부플랜지부(10)의 횡측면이 서로 연속하도록 나란하게 배치하고; 상기 한 쌍의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한 쌍의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 각각이 콘크리트 거더의 횡방향 양측면을 이룸과 동시에 상기 하부플랜지부(10)가 콘크리트 거더의 하부플랜지를 이루는 구성을 가지는 콘크리트 거더를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거더의 제작방법과 그에 의해 제작된 콘크리트 거더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는 하부플랜지부(10)와, 연직한 웨브(20)를 가지고 있으며,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UHPC에 의해 프리캐스트로 제작된 한 쌍의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를 상기 하부플랜지부(10)의 횡측면이 서로 연속하도록 나란하게 배치하고; 상기 한 쌍의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한 쌍의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 각각이 콘크리트 거더의 횡방향 양측면을 이룸과 동시에 상기 하부플랜지부(10)가 콘크리트 거더의 하부플랜지를 이루는 구성을 가지는 콘크리트 거더를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거더의 제작방법과 그에 의해 제작된 콘크리트 거더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대형 콘크리트 거더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150MPa 이상의 압축강도를 가지는 초고성능 콘크리트(Ultra High Performance Concrete/이하, "UHPC"라고 약칭함)를 이용하여 하부 플랜지와 웨브를 가지는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를 제작한 후, 상기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의 한 쌍을 대형 콘크리트 거더의 제작을 위한 횡방향의 측면 거푸집으로 이용함과 동시에 상기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가 대형 콘크리트 거더의 횡방향 측면을 이루는 구조재가 되도록 함으로써, 대형 콘크리트 거더를 경제적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과, 그에 의해 제작된 콘크리트 거더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거더를 제작함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거더의 길이방향(종방향) 단면 및 횡방향 측면, 그리고 바닥면에 각각 판재로 이루어진 거푸집부재를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거푸집부재는 단지 타설된 콘크리트를 담아 두고 콘크리트 거더의 성형하기 위한 목적만을 가진 부재로서,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분해되어 제거되는 일시적인 부재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73388호에는 강재 거푸집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거더를 제작하는 종래의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콘크리트 거더의 규모가 커질수록 즉, 대형의 콘크리트 거더를 제작하는 경우, 굳지 않은 상태의 콘크리트의 타설압력도 커지므로, 변형방지를 위해서는 거푸집부재의 두께가 커지거나 거푸집부재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부재 내지 변형방지용지지 부재를 설치하여야만 한다. 특히, 이 경우, 거푸집부재의 변형방지를 위해 강도가 큰 강재를 이용하여 거푸집부재를 제작하게 되는데, 그에 따라 거푸집부재 자체의 무게도 증가하게 되어 이를 취급하는데 큰 어려움이 야기될 뿐만 아니라, 거푸집부재 자체에 소요되는 비용도 크게 증가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일시적으로 설치되는 거푸집에 의해 큰 규모의 콘크리트 거더를 제작하는 경우, 콘크리트 거더만으로 설계에서 요구되는 강성을 충족해야 하므로, 많은 양의 보강철근을 배치하거나 또는 많은 양의 긴장재를 배치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많은 양의 긴장재를 배치하거나 또는 긴장재의 긴장력을 증가시키게 되면 콘크리트 거더의 종방향 양단부에는, 긴장재 정착으로 인한 큰 지압력이 작용하게 되어, 지압파괴의 발생우려도 커지게 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과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거푸집부재를 콘크리트 거더의 일부를 이루는 구조부재로서 활용함으로써, 콘크리트 거더의 횡방향 측면 형성을 위한 별도의 거푸집부재를 설치해야만 하는데 따르는 불편함과 비용발생 및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대규모의 콘크리트 거더를 제작함에 있어서, 콘크리트 거더의 강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더 나아가 콘크리트 거더의 내구성 및 오염물질의 저항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긴장재 정착으로 인한 지압 파괴에 대한 우려 없이 긴장재에 의해 큰 긴장력을 도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는 콘크리트 거더의 규모를 확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대형의 콘크리트 거더를 제작할 때, 콘크리트의 타설압력에 대비한 별도의 추가 지지용 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도록 함으로써, 대형 콘크리트 거더 제작에서의 경제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하부플랜지부와, 연직한 웨브를 가지고 있으며,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UHPC에 의해 프리캐스트로 제작된 한 쌍의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가 상기 하부플랜지부의 횡측면이 서로 연속하도록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고, 한 쌍의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 사이의 공간 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한 쌍의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가 타설된 콘크리트와 일체를 이루어서 상기 한 쌍의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 각각이 거더의 횡방향 양측면을 이룸과 동시에 상기 하부플랜지부가 하부플랜지를 이루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거더가 제공되며, 아울러 이와 같은 콘크리트 거더를 제작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거더 및 그 제작방법에 있어서,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의 하부플랜지부는, 웨브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횡방향으로 이웃하는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를 향하는 내측플랜지부와, 그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외측플랜지부로 구분되며; 상기 내부플랜지부의 외측단부 상단 모서리 위치에는 오목하게 파인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에는 횡방향으로 돌출되는 철근이 구비되어 있으며; 한 쌍의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의 상기 하부플랜지부가 횡방향으로 접하도록 나란하게 배치되었을 때, 상기 철근은 마주보는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의 오목부 내에 위치한 상태에 있게 되며; 상기 콘크리트 타설 공간에 타설된 콘크리트가 오목부에도 채워지면서 상기 철근이 콘크리트에 매립되어 상기 내부플랜지가 콘크리트 및 그에 매립된 상기 철근에 의해 서로 일체화되어 있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거더 및 그 제작방법에서는,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의 하부플랜지부는, 웨브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횡방향으로 이웃하는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를 향하는 내측플랜지부와, 그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외측플랜지부로 구분되며; 상기 내부플랜지부의 외측단부 상단 모서리 위치에는 오목하게 파인 오목부를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의 사이에는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볼록부에는 종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볼록부에는 횡방향으로 돌출되는 철근이 구비되어 있으며; 한 쌍의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의 상기 하부플랜지부가 횡방향으로 접하도록 나란하게 배치되었을 때, 상기 철근은 이웃하는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에 형성된 오목부에 위치되고; 상기 관통공에는 연결봉이 관통하여 상기 연결봉이 상기 철근의 루프 형상 내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콘크리트 타설 공간에 타설된 콘크리트가 오목부에도 채워지면서 철근과 상기 연결봉이 콘크리트에 매립되어 상기 내부플랜지부가 콘크리트 및 그에 매립된 상기 철근과 상기 연결봉에 의해 서로 일체화되어 있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높은 강도를 발휘하는 UHPC로 제작된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가, 콘크리트 거더의 제작을 위한 거푸집부재로서 이용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거더의 일부를 구성하게 되므로, 콘크리트 거더의 횡방향 측면 형성을 위한 별도의 거푸집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며, 그에 따라 거푸집 제작 과정이 간소화되고 비용 및 시간도 절약하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높은 강도를 가지는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가 콘크리트 거더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콘크리트 거더는 큰 강성을 가지게 되는 장점이 있다.
더 나아가, UHPC는 내구성 및 기타 오염물질에 대한 저항성도 우수한데, 이러한 UHPC로 제작된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가 콘크리트 거더의 횡방향 측면을 구성하고 있으므로, 콘크리트 거더의 횡방향 측면의 손상 가능성이 줄어들게 되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콘크리트 거더는, 그 하부플랜지 역시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에 의해 대부분이 형성되는데, UHPC는 지압에 대한 강도 역시 매우 우수하므로, 긴장재 정착으로 인한 지압 파괴에 대한 우려 없이 긴장재에 의해 큰 긴장력을 도입할 수 있게 되어, 큰 규모의 콘크리트 거더를 제작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한 쌍의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 사이에 많은 양의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으므로, 대형의 콘크리트 거더를 제작함에 있어서 거푸집 변형 방지를 위한 별도의 추가 지지용 부재를 설치하지 않고서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작방법에 의해 제작된 본 발명의 콘크리트 거더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작방법에 따라 콘크리트 거더를 제작하기 위하여,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 단부마감 거푸집판 및 절곡거푸집부재를 조립하기 전의 상태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발명에서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 단부마감 거푸집판 및 절곡거푸집부재를 조립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조립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매립결합재가 설치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원 A부분의 개략적인 확대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각각 도 7의 선 B-B에 따른 개략적인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각각 직선형 철근이 하부플랜지에 돌출된 실시예에 따른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의 한 쌍이 서로 조립되기 전의 상태 및 조립된 후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각각 강봉과 철근을 이용한 하부플랜지부의 결합구조를 가지는 실시예에 따른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의 한 쌍이 서로 접근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상태에 후속하여 하부플랜지부가 서로 밀착한 상태에서 강봉이 삽입되기 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상태에 후속하여 강봉이 삽입된 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상태를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본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화살표 D 방향으로 바라본 개략도이다.
도 19는 도 16의 선 E-E에 따른 개략적인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상태에 후속하여 한 쌍의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 사이의 콘크리트 타설 공간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작방법에 따라 콘크리트 거더를 제작하기 위하여,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 단부마감 거푸집판 및 절곡거푸집부재를 조립하기 전의 상태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발명에서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 단부마감 거푸집판 및 절곡거푸집부재를 조립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조립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매립결합재가 설치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원 A부분의 개략적인 확대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각각 도 7의 선 B-B에 따른 개략적인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각각 직선형 철근이 하부플랜지에 돌출된 실시예에 따른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의 한 쌍이 서로 조립되기 전의 상태 및 조립된 후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각각 강봉과 철근을 이용한 하부플랜지부의 결합구조를 가지는 실시예에 따른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의 한 쌍이 서로 접근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상태에 후속하여 하부플랜지부가 서로 밀착한 상태에서 강봉이 삽입되기 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상태에 후속하여 강봉이 삽입된 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상태를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본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화살표 D 방향으로 바라본 개략도이다.
도 19는 도 16의 선 E-E에 따른 개략적인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상태에 후속하여 한 쌍의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 사이의 콘크리트 타설 공간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종방향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작방법에 의해 제작된 본 발명의 콘크리트 거더(100)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작방법에 따라 콘크리트 거더(100)를 제작하기 위하여,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를 배치하고 단부마감 거푸집판 및 절곡거푸집부재를 조립하기 전의 상태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는 각각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 단부마감 거푸집판(30) 및 절곡거푸집부재(40)를 조립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조립사시도가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상기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만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콘크리트 거더를 제작하기 위하여 거푸집을 설치함에 있어서 콘크리트 거더의 길이방향(종방향)과 수평하게 직교하는 횡방향의 양측면 즉, 콘크리트 거더의 횡방향 양측면을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 부재로서, UHPC로 제작된 한 쌍의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를 이용한다. 참고로 UHPC는 시멘트, 실리카흄, 잔골재, 충전재, 감수제, 섬유 및 배합수로 이루어지고, 굵은 골재는 포함하지 아니하며, 150MPa 이상의 압축강도를 가지는 콘크리트이다.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의 일 실시예가 도 5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는, 하부플랜지부(10)와, 이에 연직한 웨브(web)(20)를 가지고 있으며, 제작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거더의 길이 방향(종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구성을 가진다. 즉, 상기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는 상부플랜지부가 없는 빔 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웨브(20)는 두께가 약 20mm 이하의 얇은 판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UHPC는 그 재료의 특성상 높은 강도를 가지고 있으며 굵은 골재(자갈)를 사용하지 아니하므로, UHPC를 이용하여 얇은 판 형태의 웨브(20)를 가지는 상기한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를 제작하는데 어려움이 없다.
한편, 상기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의 하부플랜지부(10)는, 제작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거더의 하부플랜지를 이루게 된다. 특히, 웨브(20)의 위치를 중심으로 횡방향으로 상기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의 하부플랜지부(10)를 두 부분으로 구분하였을 때, 이웃하는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를 향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에 위치하는 부분 즉, 외측플랜지부(11)는 그 자체로서, 제작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거더의 하부플랜지를 이루게 되므로, 상기 외측플랜지부는 제작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거더의 하부플랜지의 설계상세에 맞추어서 그 크기 및 형상이 결정된다. 상기 외측플랜지부(11)와 반대쪽에 위치하는 내측플랜지부(12) 즉, 웨브(20)의 위치를 중심으로 횡방향으로 상기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의 하부플랜지부(10)를 두 부분으로 구분하였을 때, 이웃하는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를 향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부분에 해당하는 내측플랜지부(12)는 제작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거더의 하부플랜지의 설계상세에 맞추어서 그 두께 및 형상이 결정될 필요는 없다. 즉, 상기 내측플랜지부(12)는 상기 외측플랜지부(11)와 대칭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질 수도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상기 내측플랜지부(12)는 상기 외측플랜지부(11)와 다른 크기와 형상을 가져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의 하부플랜지부(10)에는, 콘크리트 거더의 종방향 보강용 긴장재 설치를 위한 구성이 더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크리트 거더에 종방향 긴장재를 배치하기 위하여, 쉬스관이 필요한 경우, 상기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의 하부플랜지부(10)에 미리 쉬스관(도시를 생략함)을 매립해두는 것이다. 또한, 비록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의 하부플랜지부(10) 내부에는 미리 보강용 철근을 배근한다. 즉,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하부플랜지 보강용 철근을 배근한 상태에서, UHPC를 이용하여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상기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를 제작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하부플랜지부(10)와 웨브(20)로 이루어진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를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사전제작한 후,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하부플랜지부(10)의 횡측면이 서로 연속하도록 한 쌍을 나란하게 배치한다. 즉, 한 쌍의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는, 그 내측플랜지부(12)가 횡방향으로 서로 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한 쌍의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의 내측플랜지부(12)가 횡방향으로 서로 접한 상태에서 서로 일체화되는데, 일체화를 위한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와 같이 내측플랜지부(12)가 서로 일체화된 상태의 한 쌍의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의 종방향 양단부에는 강재판이나 목재판 또는 합성수지판을 이루어진 단부마감 거푸집판(30)이 결합되어 마감함으로써,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된다. 즉, 한 쌍의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를 횡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하여 콘크리트 거더의 횡방향 측면 형성을 위한 거푸집 부재로서 기능하게 하고, 종방향 양단에는 단부마감 거푸집판(30)을 설치하여 마감함으로써, 콘크리트 거더의 제작을 위한 5면이 막혀 있는 콘크리트 타설 공간을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제작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거더가 상부플랜지를 가지고 있는 I형 단면의 거더인 경우에는, 콘크리트 거더의 상부플랜지를 형성하기 위한 절곡거푸집부재(40)를 강재, 합성수지재 등으로 별도 제작하여 상기 웨브(20)의 상단에 조립 결합할 수 있다. 도면에서 부재번호 41은 상기 절곡거푸집부재(4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의 웨브(20)에 임시로 설치되는 지지부재(41)이다.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한 쌍의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와 단부마감 거푸집판(30)을 조립하여 콘크리트 거더의 제작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 공간을 확보하고, 필요한 경우, 상기 웨브(20)의 상단에 상기 절곡거푸집부재(40)를 더 설치한 후, 상기 콘크리트 타설 공간 내에 보강철근 즉, 콘크리트 거더를 보강하기 위한 종방향 철근 및 횡방향 철근을 배근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상기 단부마감 거푸집판(30)과 절곡거푸집부재(40)를 제거한다. 이 때, 한 쌍의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는 그대로 남겨둔다. 즉, 한 쌍의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는 콘크리트 타설 공간에 타설된 콘크리트와 일체를 이루어서, 콘크리트 거더의 일부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높은 강도를 발휘하는 UHPC로 제작된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가, 콘크리트 거더의 제작을 위한 거푸집부재로서 이용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거더의 일부를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콘크리트 거더의 횡방향 측면 형성을 위한 별도의 거푸집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며, 그에 따라 거푸집 제작 과정이 간소화되고 비용 및 시간도 절약하게 된다. 더 나아가, 높은 강도를 가지는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가 콘크리트 거더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콘크리트 거더는 큰 강성을 가지게 된다. 또한 UHPC는 내구성 및 기타 오염물질에 대한 저항성도 우수한데, 이러한 UHPC로 제작된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가 콘크리트 거더의 횡방향 측면을 구성하고 있으므로, 콘크리트 거더의 횡방향 측면의 손상 가능성이 줄어들게 되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콘크리트 거더는, 그 하부플랜지 역시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에 의해 대부분이 형성되는데, UHPC는 지압에 대한 강도 역시 매우 우수하므로, 긴장재 정착으로 인한 지압 파괴에 대한 우려 없이 긴장재에 의해 큰 긴장력을 도입할 수 있게 되어, 큰 규모의 콘크리트 거더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즉, 제작할 수 있는 콘크리트 거더를 더 대형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는 비록 웨브(20)가 얇은 두께를 가지도록 제작되지만, 그 자체로 큰 강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한 쌍의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 사이에 많은 양의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큰 타설압력이 횡방향으로 작용하더라도 웨브(20)가 변형되지 않고 애초의 형상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한 쌍의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 사이에 많은 양의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으므로, 많은 양의 콘크리트의 타설이 필요한 대형의 콘크리트 거더를 제작함에 있어서, 거푸집 변형 방지를 위한 별도의 추가 지지용 부재를 설치하지 않고서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콘크리트 타설 공간의 콘크리트와 더욱 견고한 일체화를 위하여,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의 내면 즉, 콘크리트 타설 공간을 이루는 면에는 예를 들면 스터드와 같은 매립결합재(14)를 미리 설치해둘 수 있다. 도 6에는 이와 같이 매립결합재(14)가 설치된 실시예에 따른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를 제작할 때부터 웨브(20)의 내면에 미리 스터드, 볼트 등의 매립결합재(14)가 설치된 상태로 만들 수 있다. 이와 같이 매립결합재(14)를 미리 구비한 경우, 콘크리트 타설 공간에 채워지는 콘크리트와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 간의 일체화가 더욱 강화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상기한 매립결합재(14)와 병행하여 또는 매립결합재(14) 대신에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의 내면을 거칠게 제작하는 것도 콘크리트와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 간의 일체화를 위하여 매우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제작방법에 의하여 콘크리트 거더를 제작함에 있어서 중요한 사항 중의 하나는, 횡방향으로 이웃하게 배치된 한 쌍의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의 하부플랜지부(10) 간의 일체화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구성에 의해 한 쌍의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의 하부플랜지부(10) 사이를 견고하게 일체화시킨다.
도 7은 도 2의 원 A부분의 개략적인 확대 사시도이고, 도 8 및 도 9는 각각 도 7의 선 B-B에 따른 개략적인 종방향 단면도인데, 도 8은 콘크리트(C)가 타설되기 전의 상태를 보여주며 도 9는 콘크리트(C)가 타설된 상태를 보여준다. 편의상 콘크리트 거더의 내부 즉, 콘크리트(C)에 매립되는 보강철근 및 하부플랜지부(10)에 배치되는 긴장재 등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일 실시예와 같이,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의 내측플랜지부(12)의 외측단부 상단 모서리 위치에 오목하게 파인 오목부(15)를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15)에는 횡방향으로 돌출되는 철근(16)을 배치하여, 한 쌍의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가 나란하게 배치되어 내측플랜지부(12)의 외측단부가 서로 접하도록 이웃하였을 때, 상기 철근(16)이 종방향으로 바라볼 때 서로 포개지는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콘크리트 타설 공간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면, 상기 콘크리트가 오목부(15)에도 채워지면서 철근(16)이 콘크리트에 매립되고, 그에 따라 이웃하는 내측플랜지부(12)가 콘크리트 및 그에 매립된 철근(16)에 의해 서로 일체화된다. 즉, 한 쌍의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의 하부플랜지부(10)가 서로 일체화되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콘크리트 타설 공간에 타설된 콘크리트와 한 쌍의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의 하부플랜지부(10) 간에도 서로 일체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위의 도 2 내지 도 9에서는, 상기 내측플랜지부(12)로부터 횡방향으로 돌출되는 철근(16)이 루프 형상의 "루프 철근"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서 상기 철근(16)은 이러한 루프 철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직선 형상의 것이나 기타 다양한 형상의 것을 상기 철근(16)으로 이용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철근(16)의 형상을 설명할 때, "루프 형상"이라는 의미는 루프의 형태가 완전히 폐합된 것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폐합되지 않고 일부 개방된 부분이 존재하는 것도 포함하는 것이다.
도 10 및 도 11에는 각각 직선 형상으로 이루어진 철근과, 일부 개방된 부분이 존재하는 비폐합된 루프 형상의 철근이 내측플랜지부(12)로부터 횡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실시예에 따른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의 한 쌍이 횡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도록 접근하는 상태를 조립전 상태와 조립후 상태로 구분하여 보여주는 하부플랜지부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 및 도 11과 관련해서는 편의상 직선 형상 철근에는 도면부호 16a를 부여하여 표시하였고, 비폐합 루프 형상의 철근에는 도면부호 16b를 부여하여 표시하였다.
도 10 및 도 11에 예시된 것처럼, 내측플랜지부(12)로부터 횡방향으로 돌출되는 철근은 직선 형상 철근(16a)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개방된 부분이 존재하여 완전히 폐합되지 아니하도록 절곡되어 있는 비폐합 루프 형상의 철근(16b)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직선 형상 철근(16a)과 비폐합 루프 형상의 철근(16b), 그리고 앞서 설명한 폐합된 루프 형상의 철근은 서로 혼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고, 그 중 어느 한 종류만이 사용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도 2 내지 도 9에서는 상기 철근(16)이 오목부(15)에서부터 돌출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오목부(15)에서부터 돌출될 필요는 없다.
한편, 도 2 내지 도 9에 예시된 실시예와 같이 루프 형상의 철근(16)의 겹침을 이용하여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의 하부플랜지부(10)를 서로 일체화시키는 경우, 아래에서 설명하는 또다른 실시예 구성을 통해서 하부플랜지부(10)간의 일체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거더를 이루는 중앙부분의 콘크리트와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 사이도 더욱 견고하게 일체화시킬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12 및 도 13에는 각각 강봉(110)과 철근(16)을 이용한 하부플랜지부 결합구조를 가지는 실시예에 따른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12는 철근(16)이 완전히 폐합된 루프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이고, 도 13은 비폐합된 루프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대한 것이다. 도 14에는 도 12에 도시된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의 한 쌍이 횡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도록 접근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5에는 도 14에 도시된 상태에 후속하여 하부플랜지부가 서로 밀착되도록 접한 상태에서 강봉(110)이 삽입되기 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6에는 도 15에 도시된 상태에 후속하여 강봉(110)이 삽입된 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7에는 도 16에 도시된 상태를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본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8에는 도 16의 화살표 D 방향 즉, 종방향으로 바라본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9에는 도 16의 선 E-E에 따른 개략적인 종방향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 내지 도 1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의 내측플랜지부(12)의 외측단부 상단 모서리 위치에 오목하게 파인 오목부(15)가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즉,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의 내측플랜지부(12)의 외측단부에서 상단 모서리가 제거되어 내측플랜지부(12)의 두께 방향으로 일정 두께만 남겨둔 형태의 오목부(15)가 형성되어 있되, 이러한 오목부(15)는 종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띄엄띄엄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오목부(15)가 종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오목부(15) 사이에는 내측플랜지부(12)의 외측단부에서 상부 모서리로 이루어진 볼록부(120)가 종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존재하게 된다. 즉, 오목부(15)와 볼록부(120)가 종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존재하는 것이다.
상기 볼록부(120)의 횡방향 측면 즉, 이웃하는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의 내측플랜지부(12)를 마주하게 되는 측면에는 철근(16)이 상기 볼록부(120)로부터 돌출되어 구비되어 있다. 즉, 철근(16)의 본체는 볼록부(120)를 통해 내측플랜지부(12) 내에 매립되어 있고, 루프 형상을 가지는 부분만이 볼록부(120)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것이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본 발명에서 상기 철근(16)의 "루프 형상"이라는 것은 루프의 형태가 완전히 폐합된 것뿐만 아니라, 일부 개방된 부분을 가지고 있어서 구부러진 내측을 가지는 형상으로 비폐합된 것도 포함하는 의미하는 것이다.
상기 볼록부(120)에는 종방향으로 관통공(1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공(112)에는 연결봉(110)이 관통하여 콘크리트 거더의 종방향으로 배치된다. 즉, 각각의 볼록부(120)에는 관통공(112)이 종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봉(110)이 복수개의 볼록부(120)의 관통공(112)을 관통함으로써 종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다. 연결봉(11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관통공(112)은 장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 쌍의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가 나란하게 배치되어 내측플랜지부(12)의 외측단부가 서로 접하도록 이웃하게 되면, 일측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의 내측플랜지부(12)에 형성된 오목부(15)와, 타측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의 내측플랜지부(12)에 형성된 오목부(15)는 그 위치가 서로 어긋나있게 된다. 즉, 이웃하는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의 내측플랜지부(12)가 서로 마주하여 접했을 때, 오목부(15)의 형성 위치는 서로 어긋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의 내측플랜지부(12)가 서로 마주 접하도록 배치되면, 일측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의 내측플랜지부(12)에 형성된 오목부(15)의 개방된 부분은, 타측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의 내측플랜지부(12)에 형성된 볼록부(120)를 마주하게 되는 것이고, 타측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의 내측플랜지부(12)에 형성된 오목부(15)의 개방된 부분은, 일측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의 내측플랜지부(12)에 형성된 볼록부(120)를 마주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15에 도시된 것처럼 일측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의 내측플랜지부(12)에 형성된 볼록부(120)로부터 돌출된 철근(16)은 타측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의 오목부(15) 내에 위치하게 되고, 타측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의 볼록부(120)로부터 돌출된 철근(16)은 타측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의 오목부(15) 내에 위치하게 된다. 후속하여 도 16 내지 도 19에 도시된 것처럼, 각각의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의 볼록부(120)에 형성된 관통공(112)에 연결봉(110)이 관통삽입되어 종방향으로 배치된다. 이 때, 관통공(112)에 끼워진 연결봉(110)은 이웃하는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로부터 돌출되어 오목부에 위치하고 있던 철근(16)의 구부러진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즉, 일측의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의 볼록부(120)를 관통한 연결봉(110)은, 타측의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로부터 돌출되어 일측의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의 오목부(15)에 위치하고 있던 폐합 또는 비폐합된 루프 형상으로 이루어진 철근(16)의 구부러진 내측을 관통하여 지나가게 되는 것이다. 타측의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에 형성된 볼록부(120)를 관통한 연결봉(110)은, 이와 반대로 타측의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철근(16)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상태에 후속하여 한 쌍의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 사이의 콘크리트 타설 공간에 콘크리트(C)가 타설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종방향 단면도인데,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콘크리트 타설 공간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면, 상기 콘크리트가 오목부(15)에도 채워지면서, 오목부(15) 내에서 철근(16)의 내측을 연결봉(110)이 관통하고 있는 상태가 콘크리트(C)에 매립되어 경화되고, 그에 따라 이웃하는 내측플랜지부(12)가 서로 더욱 견고하게 일체화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한 쌍의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의 하부플랜지부(10)가 일체화된 구성에서의 힘 전달 관계를 살펴보면, 일측의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에 작용하는 힘은 철근(16)을 통해서, 타측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의 오목부(15)에 채워진 콘크리트 및 상기 철근(16)의 내측을 관통하고 있는 연결봉(110)으로 전달된다. 그런데 상기 연결봉(110)은 단순히 콘크리트(C)내에 배치되어 있지 않고, 타측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의 볼록부(120)를 관통하고 있다. 따라서 일측의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의 철근(16)을 통해서 타측의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에 결합되어 있던 연결봉(110)으로 전달된 힘은, 다시 연결봉(110)을 통해서 타측의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로 전달된다. 즉, 본 발명에서 일측의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로부터의 힘은, 단지 콘크리트(C)를 통해서만 타측의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로 전달되는 것에 그치지 않고, 타측의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를 관통하고 있는 연결봉(110)과, 이러한 연결봉(110)이 내측에 위치하는 일측의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의 철근(16)을 통해서도 직접적으로 타측의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로 전달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서로 이웃하는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 사이의 힘은 더욱 원활하게 그리고 직접적으로 서로에게 전달되며, 한 쌍의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 간에는 더욱 견고한 일체화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도 13 내지 도 20의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거더를 제작함에 있어서는, 앞서 설명한 도 2 내지 도 9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절곡거푸집부재(40), 단부마감 거푸집판(30) 등을 조립하여 콘크리트 타설 공간을 확보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된다. 따라서 도 2 내지 도 9의 실시예와 중복되는 내용은 반복 설명 및 도면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이와 같이 한 쌍의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가 더욱 견고하게 일체화된 상태에서 콘크리트(C)가 타설되어, 한 쌍의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가 일부 구성을 형성한 상태로 콘크리트 거더를 제작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큰 규모의 콘크리트 거더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한 쌍의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가 상기한 것처럼 철근(16), 연결봉(110) 등을 이용한 본 발명만의 고유한 결합 구조에 의해 매우 견고하게 일체화됨으로써, 최종적으로 콘크리트 거더가 제작되었을 때, 한 쌍의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 사이에 의한 횡방향으로의 강한 구속력이 작용하게 되고, 따라서 그만큼 횡방향으로 할렬파괴 등에 저항하는 콘크리트 거더의 강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1: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
10: 하부플랜지부
20: 웨브
10: 하부플랜지부
20: 웨브
Claims (6)
- 하부플랜지부(10)와, 연직한 웨브(20)를 가지고 있으며,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UHPC에 의해 프리캐스트로 제작된 한 쌍의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를 상기 하부플랜지부(10)의 횡측면이 서로 연속하도록 나란하게 배치하고;
상기 한 쌍의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 사이의 공간 내에 콘크리트(C)를 타설하고,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C)와 상기 한 쌍의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가 일체를 이루게 함으로써;
상기 한 쌍의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 각각이 콘크리트 거더의 횡방향 양측면을 이룸과 동시에 상기 하부플랜지부(10)가 콘크리트 거더의 하부플랜지를 이루는 구성을 가지는 콘크리트 거더를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거더의 제작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의 하부플랜지부(10)는, 웨브(20)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횡방향으로 이웃하는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를 향하는 내측플랜지부(12)와, 그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외측플랜지부(11)로 구분되며;
상기 내측플랜지부(12)의 외측단부 상단 모서리 위치에는 오목하게 파인 오목부(15)를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15)에는 횡방향으로 돌출되는 철근이 구비되도록 하여;
한 쌍의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의 상기 하부플랜지부(10)가 횡방향으로 접하도록 나란하게 배치되었을 때, 상기 철근은 마주보는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의 오목부(15) 내에 위치한 상태에 있게 되며;
상기 콘크리트 타설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였을 때, 상기 콘크리트가 오목부(15)에도 채워지면서 상기 철근이 콘크리트에 매립되어 상기 내측플랜지부(12)가 콘크리트 및 그에 매립된 상기 철근에 의해 서로 일체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거더의 제작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의 하부플랜지부(10)는, 웨브(20)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횡방향으로 이웃하는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를 향하는 내측플랜지부(12)와, 그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외측플랜지부(11)로 구분되며;
상기 내측플랜지부(12)의 외측단부 상단 모서리 위치에는 오목하게 파인 오목부(15)를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하여 상기 오목부(15)의 사이에는 볼록부(120)가 형성하도록 하며;
상기 볼록부(120)에는 종방향으로 관통공(112)을 형성하고;
상기 볼록부(120)에는 루프 형상의 철근이 횡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도록 하여;
한 쌍의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의 상기 하부플랜지부(10)가 횡방향으로 접하도록 나란하게 배치되었을 때, 상기 철근은 이웃하는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에 형성된 오목부(15)에 위치되도록 하며;
상기 관통공(112)에는 연결봉(110)이 관통하여 상기 연결봉(110)이 상기 철근(16)의 구부러진 내측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콘크리트 타설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였을 때, 상기 콘크리트가 오목부(15)에도 채워지면서 상기 철근과 상기 연결봉(110)이 콘크리트에 매립되어 상기 내측플랜지부(12)가 콘크리트 및 그에 매립된 상기 철근과 상기 연결봉(110)에 의해 서로 일체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거더의 제작방법.
- 하부플랜지부(10)와, 연직한 웨브(20)를 가지고 있으며,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UHPC에 의해 프리캐스트로 제작된 한 쌍의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가 상기 하부플랜지부(10)의 횡측면이 서로 연속하도록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고,
한 쌍의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 사이의 공간 내에 콘크리트(C)가 타설되어 상기 한 쌍의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 각각이 상기 콘크리트(C)와 일체화되어 횡방향 양측면을 이룸과 동시에 상기 하부플랜지부(10)가 하부플랜지를 이루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거더.
- 제4항에 있어서,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의 하부플랜지부(10)는, 웨브(20)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횡방향으로 이웃하는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를 향하는 내측플랜지부(12)와, 그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외측플랜지부(11)로 구분되며;
상기 내측플랜지부(12)의 외측단부 상단 모서리 위치에는 오목하게 파인 오목부(1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15)에는 횡방향으로 돌출되는 철근이 구비되어 있으며;
한 쌍의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의 상기 하부플랜지부(10)가 횡방향으로 접하도록 나란하게 배치되었을 때, 상기 철근은 마주보는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의 오목부(15) 내에 위치한 상태에 있게 되며;
상기 콘크리트 타설 공간에 타설된 콘크리트가 오목부(15)에도 채워지면서 상기 철근이 콘크리트에 매립되어 상기 내측플랜지부(12)가 콘크리트 및 그에 매립된 상기 철근에 의해 서로 일체화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거더.
- 제4항에 있어서,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의 하부플랜지부(10)는, 웨브(20)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횡방향으로 이웃하는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를 향하는 내측플랜지부(12)와, 그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외측플랜지부(11)로 구분되며;
상기 내측플랜지부(12)의 외측단부 상단 모서리 위치에는 오목하게 파인 오목부(15)를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15)의 사이에는 볼록부(1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볼록부(120)에는 종방향으로 관통공(11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볼록부(120)에는 루프 형상의 철근이 횡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한 쌍의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의 상기 하부플랜지부(10)가 횡방향으로 접하도록 나란하게 배치되었을 때, 상기 철근은 이웃하는 측면거푸집용 UHPC 부재(1)에 형성된 오목부(15)에 위치되고;
상기 관통공(112)에는 연결봉(110)이 관통하여 상기 연결봉(110)이 상기 철근(16)의 구부러진 내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콘크리트 타설 공간에 타설된 콘크리트가 오목부(15)에도 채워지면서 상기 철근과 상기 연결봉(110)이 콘크리트에 매립되어 상기 내측플랜지부(12)가 콘크리트 및 그에 매립된 상기 철근과 상기 연결봉(110)에 의해 서로 일체화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거더.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9860A KR101267807B1 (ko) | 2012-10-04 | 2012-10-04 | Uhpc 부재를 거푸집과 구조재로서 이용하는 대형 콘크리트 거더 및 그 제작방법 |
US14/032,011 US8966862B2 (en) | 2012-10-04 | 2013-09-19 | Large scale concrete girder using UHPC member as form and structural elemen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9860A KR101267807B1 (ko) | 2012-10-04 | 2012-10-04 | Uhpc 부재를 거푸집과 구조재로서 이용하는 대형 콘크리트 거더 및 그 제작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67807B1 true KR101267807B1 (ko) | 2013-06-04 |
Family
ID=48865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09860A KR101267807B1 (ko) | 2012-10-04 | 2012-10-04 | Uhpc 부재를 거푸집과 구조재로서 이용하는 대형 콘크리트 거더 및 그 제작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8966862B2 (ko) |
KR (1) | KR101267807B1 (ko)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16247A (ko) | 2014-08-04 | 2016-02-15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초고성능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모듈과 강재를 결합한 합성거더 및 그 제작 방법 |
CN106638304A (zh) * | 2016-12-30 | 2017-05-10 | 东南大学 | Uhpc‑普通混凝土叠层复合桥面板构造及其施工方法 |
CN109137727A (zh) * | 2018-09-29 | 2019-01-04 |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 一种基于早强uhpc的干湿组合节段预制拼装接缝系统及方法 |
CN109338866A (zh) * | 2018-11-14 | 2019-02-15 | 邵旭东 | 一种适用于大跨径桥梁的超轻型组合梁结构及其施工方法 |
CN112339100A (zh) * | 2020-10-10 | 2021-02-09 | 中路杜拉国际工程股份有限公司 | 一种超高性能混凝土工字梁加工方法 |
CN112391931A (zh) * | 2020-10-30 | 2021-02-23 | 山东高速城投绕城高速公路有限公司 | 一种采用uhpc剪力键的装配式连续t梁桥拼接段及施工方法 |
CN113684967A (zh) * | 2021-09-03 | 2021-11-23 | 湖南大学 | 一种槽型uhpc构件以及将槽型uhpc构件拼接为h型或矩形构件的方法 |
KR20240068872A (ko) * | 2022-11-09 | 2024-05-20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의 수평연결철근 설치 방법 및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의 연결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493950B2 (en) * | 2010-03-19 | 2016-11-15 | Weihong Yang | Composite I-beam member |
US8910455B2 (en) * | 2010-03-19 | 2014-12-16 | Weihong Yang | Composite I-beam member |
JP6297828B2 (ja) * | 2013-12-11 | 2018-03-20 | 東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 コンクリート部材およびコンクリート部材の製造方法 |
KR101567741B1 (ko) * | 2015-02-16 | 2015-11-09 | 권용근 | 조립트러스 매립형 합성보 |
DE102017109339A1 (de) * | 2017-05-02 | 2018-11-08 | LINDNER Aktiengesellschaft Decken-, Boden-, Trennwandsysteme | Vorgeformtes Bauelement aus gegossenem Betonmaterial |
US20190127966A1 (en) * | 2017-11-01 | 2019-05-02 | Marlon Howard Stewart | Permanent forms for composite construction columns and beams and method of building construction |
IT201800005141A1 (it) * | 2018-05-08 | 2019-11-08 | Metodo per la realizzazione di una trave per la costruzione di opere infrastrutturali | |
CN113605246A (zh) * | 2021-08-24 | 2021-11-05 | 湖南大学 | 预应力uhpc外壳-混凝土内芯组合盖梁结构及其施工方法 |
CN115045441A (zh) * | 2022-06-13 | 2022-09-13 | 武汉理工大学 | Uhpc模板-钢管混凝土叠合短柱及其施工方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425152A (en) | 1992-08-14 | 1995-06-20 | Teron International Building Technologies Ltd. | Bridge construction |
KR20100074742A (ko) * | 2008-12-24 | 2010-07-02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고인성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제작된 고인성 프리캐스트 거더 및 교량가설공법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63555A (en) * | 1906-01-19 | 1907-08-13 | Edward Cooper Poole | Reinforced concrete beam or column. |
US1214964A (en) * | 1915-05-06 | 1917-02-06 | George E Small | Block or slab for reinforced hollow-wall construction. |
US1665442A (en) * | 1925-06-20 | 1928-04-10 | Campbell Leon Jay | Building block |
US1821355A (en) * | 1928-10-20 | 1931-09-01 | Murray Richard | Ceiling, floor, and roof construction |
US1892225A (en) * | 1931-04-18 | 1932-12-27 | Frederick M Venzie | Building construction |
US6054197A (en) * | 1997-09-19 | 2000-04-25 |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Albany | Structural elements |
DE19962964A1 (de) * | 1999-12-24 | 2001-07-05 | Wilfried Ensinger | Voll- oder Hohlkammerkunststoffprofile |
KR20100073388A (ko) | 2008-12-23 | 2010-07-01 | (주)삼현피에프 | 철근 콘크리트 거더의 제작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콘크리트 거더의 제작 방법 |
KR20120054705A (ko) * | 2010-11-22 | 2012-05-31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테이퍼 형상의 오목부에 의한 연결철근 접합을 이용한 uhpc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연결구조 및 연결시공방법 |
KR101175940B1 (ko) * | 2010-11-22 | 2012-08-22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휨모멘트 제로점에서의 연결철근 접합을 이용한 uhpc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연결구조 및 연결시공방법 |
-
2012
- 2012-10-04 KR KR1020120109860A patent/KR10126780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3
- 2013-09-19 US US14/032,011 patent/US8966862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425152A (en) | 1992-08-14 | 1995-06-20 | Teron International Building Technologies Ltd. | Bridge construction |
KR20100074742A (ko) * | 2008-12-24 | 2010-07-02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고인성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제작된 고인성 프리캐스트 거더 및 교량가설공법 |
Cited B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16247A (ko) | 2014-08-04 | 2016-02-15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초고성능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모듈과 강재를 결합한 합성거더 및 그 제작 방법 |
CN106638304A (zh) * | 2016-12-30 | 2017-05-10 | 东南大学 | Uhpc‑普通混凝土叠层复合桥面板构造及其施工方法 |
CN106638304B (zh) * | 2016-12-30 | 2018-07-17 | 东南大学 | Uhpc-普通混凝土叠层复合桥面板构造及其施工方法 |
CN109137727A (zh) * | 2018-09-29 | 2019-01-04 |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 一种基于早强uhpc的干湿组合节段预制拼装接缝系统及方法 |
CN109338866A (zh) * | 2018-11-14 | 2019-02-15 | 邵旭东 | 一种适用于大跨径桥梁的超轻型组合梁结构及其施工方法 |
CN109338866B (zh) * | 2018-11-14 | 2024-03-19 | 邵旭东 | 一种适用于大跨径桥梁的超轻型组合梁结构及其施工方法 |
CN112339100A (zh) * | 2020-10-10 | 2021-02-09 | 中路杜拉国际工程股份有限公司 | 一种超高性能混凝土工字梁加工方法 |
CN112391931A (zh) * | 2020-10-30 | 2021-02-23 | 山东高速城投绕城高速公路有限公司 | 一种采用uhpc剪力键的装配式连续t梁桥拼接段及施工方法 |
CN113684967A (zh) * | 2021-09-03 | 2021-11-23 | 湖南大学 | 一种槽型uhpc构件以及将槽型uhpc构件拼接为h型或矩形构件的方法 |
KR20240068872A (ko) * | 2022-11-09 | 2024-05-20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의 수평연결철근 설치 방법 및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의 연결 방법 |
KR102694733B1 (ko) | 2022-11-09 | 2024-08-16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의 수평연결철근 설치 방법 및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의 연결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8966862B2 (en) | 2015-03-03 |
US20140096476A1 (en) | 2014-04-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67807B1 (ko) | Uhpc 부재를 거푸집과 구조재로서 이용하는 대형 콘크리트 거더 및 그 제작방법 | |
KR101645538B1 (ko) | 더블 벽체 및 더블 벽체를 이용하여 제작된 더블 벽체 구조물의 시공방법 | |
KR100510254B1 (ko) | 분절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거더의 세그먼트 및 그제조방법 | |
KR101432260B1 (ko) | 강재노출형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구조 | |
KR101890860B1 (ko) | 이중 피씨벽패널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합성 벽체 시공 방법 | |
KR101479014B1 (ko) | 노듈과 웹부재의 조립에 의한 조립식 노듈러 거더의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조립식 노듈러 거더 | |
KR101133176B1 (ko) | 케이블지지 교량의 초고성능 콘크리트 바닥판 구조물 | |
KR101196874B1 (ko) | 프리캐스트 단부 세그먼트를 단부거푸집으로 이용하는 거더 제작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작된 거더 | |
KR102000534B1 (ko) | 거푸집 겸용 고내구성 텍스타일 보강 패널을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 |
KR101482522B1 (ko) | 조립식 노듈러 거더, 이를 이용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 |
KR101645525B1 (ko) | 트윈월 및 트윈월을 이용하여 제작된 트윈월 구조체의 시공방법 | |
KR101229263B1 (ko)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 슬래브(slab)형 수직연결 관통구조를 갖는 박스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 |
KR20090004053A (ko) | 합성 슬래브용 프리캐스트 데크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교량시공방법 | |
KR101370930B1 (ko) | 구조물용 휨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 | |
JP2019002164A (ja) | プレキャスト床版の接合構造 | |
KR20090080666A (ko) | 중공형 콘크리트 거더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교량시공방법 | |
KR20140006226A (ko) | 선형 보강재에 의해 복수개가 연결된 아치구조물 구축용 콘크리트 블록 조립체 | |
KR102327700B1 (ko) | 거더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거더 지점부 연속화 시공방법 | |
KR101585482B1 (ko) | 균열방지형 단부보강 합성거더 및 이의 제작방법 | |
KR101083403B1 (ko) | 벽면 타설용 폼블록 고정용 브릿지 | |
KR20160063300A (ko)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부구조물 시공방법 | |
JP2010240905A (ja) | リブ付きセメント系パネルの製造方法、リブ付きセメント系パネル、および構造物の製造方法 | |
KR101241960B1 (ko) | 곡선형 지하매설 조립식 철근콘크리트 박스의 전단응력 보강장치 | |
JP2019078116A (ja) | 継手部構造、及び接合方法 | |
KR20190062806A (ko) | 수평전단보강수단을 이용한 이중합성 pc벽체 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