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7770B1 - 원터치형 클램프 - Google Patents
원터치형 클램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57770B1 KR101257770B1 KR1020120117752A KR20120117752A KR101257770B1 KR 101257770 B1 KR101257770 B1 KR 101257770B1 KR 1020120117752 A KR1020120117752 A KR 1020120117752A KR 20120117752 A KR20120117752 A KR 20120117752A KR 101257770 B1 KR101257770 B1 KR 10125777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elastic member
- hole
- rotating body
- coupl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5/00—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5/02—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of industrial processes; of machiner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23Q3/062—Work-clamping means adapted for holding workpieces having a special form or being made from a special material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06—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 G09B23/0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statics or dynamic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06—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 G09B23/1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electricity or magnet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Algebra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상부 협폭개구부와 하부 광폭수용부로 이루어진 장착슬롯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 프로파일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원터치형 클램프에 있어서, 상부와 하부가 결합되어 사각형 상자 모양으로 만들되 일측면에는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하부에 내장되어 설치되는 가동부로 구성되되, 하우징의 하부는 하면 일측에 뚫려 있는 2개의 제1장공과, 내부 바닥에 있는 제1장공 주위로 2개의 사각형 판 모양이 서로 평행하게 돌출되는 가이드부재와, 내부 바닥 가운데 일측에 돌출되는 톱니결합부재와, 삽입구와 마주보는 내부 측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설치홈으로 구성되고, 가동부는 하우징 하부의 탄성부재설치홈에 설치되는 탄성부재와, 일단이 하우징의 삽입구에 삽입되어 탄성부재에 결합되되, 톱니결합부재가 가운데 일측에 뚫려 있는 제2장공을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상면 일측에는 고정부재가 돌출되어 있는 가동부재와, 가운데 관통공이 톱니결합부재에 결합되는 것으로 하면 일측에 고정부재와 결합되는 고정홈이 있는 원형 톱니형상의 회전체와, 가이드부재에 안치되어 회전체에 맞물리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일측면에는 회전체의 톱니형상에 맞물리도록 톱니형상으로 되어 있고 일단에는 결합구가 있는 수평체와, 일단이 제1장공을 관통하여 수평체의 결합구에 결합되는 걸림돌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실습 또는 교육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실습기자재를 프로파일플레이트에 고정시키기 위한 원터치형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자동화 공정 작업과 관련하여 프로파일플레이트(profile plate)에 각종 모터, 디스플레이 등의 기자재들을 탈착해 가면서 실재 라인에서의 공기역학, 유체역학, 전자공학 등과 관련하여 교육을 하고 보다 효율적인 운영 방법을 실습하여 개별 제품 및 제조공정에 대한 이해의 돕기 위한 보조기구들이 많이 발명되었다. 원터치 방식으로 레버에 의하여 케이스 하부에 돌출된 캠이 회전됨에 따라 프로파일플레이트의 장착슬롯의 협폭개구부를 통과하여 고정 장착되고 해제 분리될 수 있는 개념으로 독일 페스토社의 특허등록 제0270567호(2000.08.03) 『실연용 또는 교육용으로 사용 가능한 기능 요소』및 특허등록 제0264098호(2000.05.25) 『실연용 및/또는 교육용으로 사용가능한 기능요소』 등이 발명되었으나 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불편하고 부착력이 좋지 못한 점이 있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탈착기구의 슬라이딩 이동 방식 걸림수단을 제공하여 원터치 개념으로 프로파일플레이트의 장착슬롯에의 탈착 용이성을 확보하고자 발명되었으나 이 또한 부착력이 좋지 못하여 안전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톱니바퀴 형상의 회전체와 이와 맞물리도록 설치된 수평체를 사용하여 프로파일플레이트에 고정어셈블리가 쉽고, 확실하게 부착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발명은 상부 협폭개구부와 하부 광폭수용부로 이루어진 장착슬롯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 프로파일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원터치형 클램프에 있어서, 상부와 하부가 결합되어 사각형 상자 모양으로 만들되 일측면에는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하부에 내장되어 설치되는 가동부로 구성되되, 하우징의 하부는 하면 일측에 뚫려 있는 2개의 제1장공과, 내부 바닥에 있는 제1장공 주위로 2개의 사각형 판 모양이 서로 평행하게 돌출되는 가이드부재와, 내부 바닥 가운데 일측에 돌출되는 톱니결합부재와, 삽입구와 마주보는 내부 측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설치홈으로 구성되고, 가동부는 하우징 하부의 탄성부재설치홈에 설치되는 탄성부재와, 일단이 하우징의 삽입구에 삽입되어 탄성부재에 결합되되, 톱니결합부재가 가운데 일측에 뚫려 있는 제2장공을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상면 일측에는 고정부재가 돌출되어 있는 가동부재와, 가운데 관통공이 톱니결합부재에 결합되는 것으로 하면 일측에 고정부재와 결합되는 고정홈이 있는 원형 톱니형상의 회전체와, 가이드부재에 안치되어 회전체에 맞물리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일측면에는 회전체의 톱니형상에 맞물리도록 톱니형상으로 되어 있고 일단에는 결합구가 있는 수평체와, 일단이 제1장공을 관통하여 수평체의 결합구에 결합되는 걸림돌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클램프를 제공한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회전체외 이와 맞물리도록 설치되는 수평체에 의하여 원터치형 클램프가 프로파일플레이트에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원터치형 클램프는 부착력이 좋아서 작동신뢰성이 높다.
둘째, 본 발명은 회전체와 수평체가 기어같이 맞물리면서 작동함으로 오동작이 생기지 않아 안전하다.
도1은 본원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3은 본원발명의 가동부를 누르기 전과 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본원발명의 원터치형 클램프가 프로파일플레이트에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는 본원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3은 본원발명의 가동부를 누르기 전과 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본원발명의 원터치형 클램프가 프로파일플레이트에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는 본원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형 클램프의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원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3은 본원발명의 가동부를 누르기 전과 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본원발명의 원터치형 클램프가 프로파일플레이트에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는 본원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원발명은 원터치형 클램프(100)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상부 협폭개구부와 하부 광폭수용부로 이루어진 장착슬롯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 프로파일플레이트(10)에 고정되는 원터치형 클램프(100)에 있어서, 상부와 하부가 결합되어 사각형 상자 모양으로 만들되 일측면에는 삽입구(111)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110)과, 하우징(110)의 하부에 내장되어 설치되는 가동부(120)로 구성되되, 하우징(110)의 하부는 하면 일측에 뚫려 있는 2개의 제1장공(112)과, 내부 바닥에 있는 제1장공(112) 주위로 2개의 사각형 판 모양이 서로 평행하게 돌출되는 가이드부재(113)와, 내부 바닥 가운데 일측에 돌출되는 톱니결합부재(114)와, 삽입구(111)와 마주보는 내부 측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설치홈(115)으로 구성되고, 가동부(120)는 하우징(110) 하부의 탄성부재설치홈(115)에 설치되는 탄성부재(121)와, 일단이 하우징(110)의 삽입구(111)에 삽입되어 탄성부재(121)에 결합되되, 톱니결합부재(114)가 가운데 일측에 뚫려 있는 제2장공(122a)을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상면 일측에는 고정부재(122b)가 돌출되어 있는 가동부재(122)와, 가운데 관통공이 톱니결합부재(114)에 결합되는 것으로 하면 일측에 고정부재(122b)와 결합되는 고정홈(123a)이 있는 원형 톱니형상의 회전체(123)와, 가이드부재(113)에 안치되어 회전체(123)에 맞물리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일측면에는 회전체(123)의 톱니형상에 맞물리도록 톱니형상으로 되어 있고 일단에는 결합구(124a)가 있는 수평체(124)와, 일단이 제1장공(112)을 관통하여 수평체(124)의 결합구(124a)에 결합되는 걸림돌기(12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발명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 가동부(120)로 구성된 원터치형 클램프(100)에 관한 것이다. 기존발명은 원터치 방식으로 레버에 의하여 케이스 하부에 돌출된 캠이 회전됨에 따라 프로파일플레이트(10)의 장착슬롯의 협폭개구부를 통과하여 고정 장착되고 해제 분리될 수 있는 것으로 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불편하고 부착력이 좋지 못한 점이 있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탈착기구의 슬라이딩 이동 방식 걸림수단을 제공하여 원터치 개념으로 프로파일플레이트(10)의 장착슬롯에의 탈착 용이성을 확보하고자 발명되었으나 이 또한 부착력이 좋지 못하여 안전하지 못하고 작동신뢰성에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발명된 본원발명은 톱니형상의 회전체(123)와 이와 맞물리도록 톱니형상으로 되어 있는 수평체(124)에 의하여 안전하게 작동하고 부착력 또한 우수하여 원터치형 클램프(100)의 작동신뢰성이 좋다.
하우징(110)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상의 상부와 하부가 결합되어 사각형 상자 모양으로 만들되 일측면에는 삽입구(111)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10)은 원터치형 클램프(100)의 틀에 해당한다.
하우징(110)의 상부는 육면체 형상에서 밑면이 오픈되어 있고 내부가 빈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10)의 상부 내부에 격자무늬의 보강판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어 하우징(110)의 상부를 보강할 수 있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상부에 있는 상부면 일측에는 볼트를 사용하여 실험기자재가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볼트공(116)이 생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하우징(110)의 하부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 일측에 뚫려 있는 2개의 제1장공(112)과, 내부 바닥에 있는 제1장공(112) 주위로 2개의 사각형 판 모양이 서로 평행하게 돌출되는 가이드부재(113)와, 내부 바닥 가운데 일측에 돌출되는 톱니결합부재(114)와, 삽입구(111)와 마주보는 내부 측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설치홈(115)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공(112)은 길게 나 있어 뒤에서 설명하는 걸림돌기(125)가 움직이는 공간이 된다.
가동부(120)는 원터치형 클램프(100)가 프로파일플레이트(10)의 장착슬롯에 장착되도록 동작하는 구성이다. 가동부(12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121), 가동부재(122), 회전체(123), 수평체(124), 걸림돌기(125)로 구성되어 있다.
탄성부재(121)는 하우징(110) 하부의 탄성부재설치홈(115)에 설치되어 가동부재(122)에 복원력을 주는 역할을 한다. 즉 탄성부재(121)는 가동부재(122)에 의해서 눌려졌다가 누르는 힘이 소멸된 경우 가동부재(122)가 원위치 위치하도록 복원력을 주는 역할을 한다. 탄성부재(121)는 가동부재(122)에 복원력을 줄 수 있으면 어떠한 부재도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스프링이 사용된다.
가동부재(122)는 일단이 하우징(110)의 삽입구(111)에 삽입되어 탄성부재(121)에 결합되고 타단은 삽입구(111) 밖으로 돌출되어 있어 사용자가 힘을 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되, 톱니결합부재(114)가 가운데 일측에 뚫려 있는 제2장공(122a)을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상면 일측에는 고정부재(122b)가 돌출되어 있다. 가동부재(122)는 원터치형 클램프(100)가 프로파일플레이트(10)의 장착슬롯에 장착되도록 걸림돌기(125)를 움직이기 위한 부재이다. 즉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가동부재(122)를 누르는 동작에 의해서 걸림돌기(125) 사이의 거리가 좁아져 프로파일플레이트(10)의 장착슬롯에 들어가도록 하고, 사용자가 가동부재(122)에 누르는 힘을 뺀 경우 걸리돌기 사이의 거리가 멀어져 프로파일플레이트(10)의 장착슬롯에 안착된다. 고정부재(122b)는 회전체(123)와 가동부재(122)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한 부재로 가동부재(122)가 움직일때 회전체(123)가 따라서 움직일 수 있도록 한 부재이다. 가동부재(122)는 사용자가 힘을 가해 탄성부재(121)가 응축되게 하고 회전체(123)를 돌릴 수 있다면 어떠한 재료든지 사용이 가능하다.
회전체(123)는 가운데 관통공이 톱니결합부재(114)에 결합되는 것으로 하면 일측에 고정부재(122b)와 결합되는 고정홈(123a)이 있는 원형 톱니형상으로 되어 있다. 회전체(123)는 가동부재(122)가 움직일 때 가동부재(122)의 고정부재(122b)에 따라 가동부재(122)의 직선운동이 회전체(123)의 회전운동으로 변형되어 움직이게 된다. 원형 톱니형상의 회전체(123)는 가동부재(122)의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을 바꾸어 수평체(124)를 움직이게 할 수 있으면 어떠한 재료든지 사용이 가능하다.
수평체(124)는 가이드부재(113)에 안치되어 회전체(123)에 맞물리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일측면에는 회전체(123)의 톱니형상에 맞물리도록 톱니형상으로 되어 있고 일단에는 결합구(124a)가 있다. 수평체(124)는 막대형상으로 되어 있어 회전체(123)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바꾸는 부재이다. 즉 회전체(123)가 가동부재(122)에 의해 회전되는 경우 이에 맞물리도록 설치된 수평체(124)가 직선운동을 하면서 걸림돌기(125)를 움직이게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가동부재(122)를 누른 경우 회전체(123)가 회전하고, 회전체(123)의 회전에 의해 회전체(123)의 양쪽에 있는 수평체(124)가 직선운동을 하면서 수평체(124)에 결합된 걸림돌기(125) 사이의 거리를 가깝게 하여 원터치형 클램프(100)가 프로파일플레이트(10)의 장착슬롯에 삽입될 수 있도록 동작된다. 이와 반대로 가동부재(122)의 힘을 뺀 경우 탄성부재(121)의 복원력에 의하여 회전체(123)는 반대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회전체(123)의 양쪽에 있는 수평체(124)가 직선운동을 하면서 수평체(124)에 결합된 걸림돌기(125) 사이의 거리를 멀게 하여 원터치형 클램프(100)가 프로파일플레이트(10)의 장착슬롯에 장착될 수 있도록 동작된다. 수평체(124)는 회전체(123)의 회전운동을 전달받아 직선운동을 하여 걸림돌기(125)를 움직이게 할 수 있으면 어떠한 재료든지 사용이 가능하다.
걸림돌기(125)는 일단이 제1장공(112)을 관통하여 수평체(124)의 결합구(124a)에 결합되는 부재이다. 양측에 설치된 걸림돌기(125)는 수평체(124)의 직선운동에 따라 거리가 서로 멀어졌다 가까워졌다 하면서 프로파일플레이트(10)의 장착슬롯에 장착된다. 걸림돌기(125)는 프로파일플레이트(10)의 장착슬롯에 장착될 수 있는 부재면 어떠한 형상, 재료든지 사용이 가능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형 클램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도면 또는 도면을 참조한 설명에 의해 한정/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써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인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구속되는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10 : 프로파일플레이트
100 : 원터치형 클램프
110 : 하우징
111 : 삽입구 112 : 제1장공
113 : 가이드부재 114 : 톱니결합부재
115 : 탄성부재설치홈 116 : 볼트공
120 : 가동부
121 : 탄성부재 122 : 가동부재
123 : 회전체 124 : 수평체
125 : 걸림돌기
100 : 원터치형 클램프
110 : 하우징
111 : 삽입구 112 : 제1장공
113 : 가이드부재 114 : 톱니결합부재
115 : 탄성부재설치홈 116 : 볼트공
120 : 가동부
121 : 탄성부재 122 : 가동부재
123 : 회전체 124 : 수평체
125 : 걸림돌기
Claims (3)
- 상부 협폭개구부와 하부 광폭수용부로 이루어진 장착슬롯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 프로파일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원터치형 클램프에 있어서,
상부와 하부가 결합되어 사각형 상자 모양으로 만들되 일측면에는 삽입구(111)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에 내장되어 설치되는 가동부(120)로 구성되되,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는
하면 일측에 뚫려 있는 2개의 제1장공(112);
내부 바닥에 있는 상기 제1장공(112) 주위로 2개의 사각형 판 모양이 서로 평행하게 돌출되는 가이드부재(113);
내부 바닥 가운데 일측에 돌출되는 톱니결합부재(114);
상기 삽입구와 마주보는 내부 측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설치홈(115)으로 구성되고,
상기 가동부(120)는
상기 하우징(110) 하부의 상기 탄성부재설치홈(115)에 설치되는 탄성부재(121);
일단이 상기 하우징(110)의 삽입구(111)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부재(121)에 결합되되, 상기 톱니결합부재(114)가 가운데 일측에 뚫려 있는 제2장공(122a)을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상면 일측에는 고정부재(122b)가 돌출되어 있는 가동부재(122);
가운데 관통공이 상기 톱니결합부재(114)에 결합되는 것으로 하면 일측에 상기 고정부재(122b)와 결합되는 고정홈(123a)이 있는 원형 톱니형상의 회전체(123);
상기 가이드부재(113)에 안치되어 상기 회전체(123)에 맞물리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일측면에는 상기 회전체(123)의 톱니형상에 맞물리도록 톱니형상으로 되어 있고 일단에는 결합구(124a)가 있는 수평체(124);
일단이 상기 제1장공(112)을 관통하여 상기 수평체(124)의 결합구(124a)에 결합되는 걸림돌기(12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클램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면에는
실험기자재를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게 볼트가 삽입될 수 있는 볼트공(116)이 뚫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클램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121)는 스프링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원터치형 클램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17752A KR101257770B1 (ko) | 2012-10-23 | 2012-10-23 | 원터치형 클램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17752A KR101257770B1 (ko) | 2012-10-23 | 2012-10-23 | 원터치형 클램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57770B1 true KR101257770B1 (ko) | 2013-04-24 |
Family
ID=48443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17752A KR101257770B1 (ko) | 2012-10-23 | 2012-10-23 | 원터치형 클램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57770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79200B1 (ko) | 2013-10-15 | 2014-03-31 | 주식회사 애니비스 | 교육기자재 착탈블록 |
KR102666484B1 (ko) * | 2023-09-26 | 2024-05-17 | 주식회사 플러스인텍 | 사출성형제품의 게이트 절단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285944A (ja) | 1997-12-23 | 1999-10-19 | Vischer & Bolli Ag | 取付ニップルをクランププレートへ固定するクランプ装置 |
KR100264098B1 (ko) | 1993-02-18 | 2000-09-01 | 로타르 뮐러 | 실연용 및/또는 교육용으로 사용 가능한 기능 요소 |
KR100270567B1 (ko) | 1993-02-18 | 2000-12-01 | 로타르 뮐러 | 실연용 또는 교육용으로 사용 가능한 기능 요소 |
JP2002283157A (ja) | 2001-03-27 | 2002-10-03 | Kawaguchiko Seimitsu Co Ltd | クランプ装置 |
-
2012
- 2012-10-23 KR KR1020120117752A patent/KR10125777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64098B1 (ko) | 1993-02-18 | 2000-09-01 | 로타르 뮐러 | 실연용 및/또는 교육용으로 사용 가능한 기능 요소 |
KR100270567B1 (ko) | 1993-02-18 | 2000-12-01 | 로타르 뮐러 | 실연용 또는 교육용으로 사용 가능한 기능 요소 |
JPH11285944A (ja) | 1997-12-23 | 1999-10-19 | Vischer & Bolli Ag | 取付ニップルをクランププレートへ固定するクランプ装置 |
JP2002283157A (ja) | 2001-03-27 | 2002-10-03 | Kawaguchiko Seimitsu Co Ltd | クランプ装置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79200B1 (ko) | 2013-10-15 | 2014-03-31 | 주식회사 애니비스 | 교육기자재 착탈블록 |
KR102666484B1 (ko) * | 2023-09-26 | 2024-05-17 | 주식회사 플러스인텍 | 사출성형제품의 게이트 절단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190006U (ja) | ブレーキ機能を備えたホイールセット | |
KR101257770B1 (ko) | 원터치형 클램프 | |
JP2008144568A (ja) | ドアアウタハンドルの側面衝突時のドアロック装置 | |
EP2860335A3 (en) | Latch apparatus | |
KR101916103B1 (ko) | 잠금장치를 포함한 창호용 그립 손잡이 | |
CA2886160A1 (en) | Dissasembly and assembly regulating device used for drawer panel | |
US20150191932A1 (en) | Fixation of door locks without screws into home appliances | |
US3585742A (en) | Control instrument housing | |
JP2017224581A (ja) | キースイッチ | |
KR20160015907A (ko) | 폴딩 도어용 잠금장치 | |
WO2019010020A1 (en) | DOOR LOCK AND ELECTRICAL DEVICE | |
JP6277509B2 (ja) | 電子錠 | |
WO2013161962A1 (ja) | 電気機器の取付構造 | |
KR200476766Y1 (ko) | 핸들어셈블리 조립용 지그 | |
CN210122859U (zh) | 手套箱解锁装置和车辆 | |
JP2012051464A (ja) | キャビネット用キャスタ装置 | |
KR101379200B1 (ko) | 교육기자재 착탈블록 | |
KR101195836B1 (ko) | 잠금장치용 핸들 | |
JP2016149280A (ja) | ロック機能付きスイッチ装置 | |
JP5388906B2 (ja) | ハンドル装置 | |
CN108631203B (zh) | 一种抽出式配电柜及其上的辅助开关触发机构 | |
KR101125541B1 (ko) | 실습기자재용 클램핑 장치 | |
JP2016121755A (ja) | 重トルク型回転式電子部品 | |
US20110154617A1 (en) | Door handle apparatus | |
CN108923315B (zh) | 一种开关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1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07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