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0249B1 - 태양열 전지판용 라미네이팅 장치 - Google Patents
태양열 전지판용 라미네이팅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10249B1 KR101210249B1 KR1020120028715A KR20120028715A KR101210249B1 KR 101210249 B1 KR101210249 B1 KR 101210249B1 KR 1020120028715 A KR1020120028715 A KR 1020120028715A KR 20120028715 A KR20120028715 A KR 20120028715A KR 101210249 B1 KR101210249 B1 KR 1012102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lar panel
- housing
- stopper
- upper case
- lift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5341 toughened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679 sold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WABPQHHGFIMREM-UHFFFAOYSA-N lead(0) Chemical compound [Pb] WABPQHHGFIMRE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 Ethyl Violet Azide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3460 diamon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32 diamo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66 trim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01L31/18—
-
- H01L31/04—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열 전지판용 라미네이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공급 컨베이어에 의해 공급되는 태양열 전지판을 상부 케이스의 상부챔버와 하부 케이스의 하부챔버로 이루어진 라미네이트부의 내부에서 라미네이팅하여 반출하는 태양열 전지판용 라미네이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트부의 상부 케이스 측과 연결되어 상기 상부 케이스를 상기 하부 케이스 측으로 승강 구동시키는 승강구동수단; 및 상기 승강구동수단과 연계 구동되도록 일측에 상기 승강구동수단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상부 케이스가 상승 또는 하강 중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낙하방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태양열 전지판용 라미네이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챔버로터 개폐되는 상부챔버의 동작을 정밀하게 조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원 공급이 중단되더라도 개방 또는 밀폐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함으로써 안전사고 발생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태양열 전지판용 라미네이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열 전지판은 광전효과를 이용하여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반도체 소자로서 그 각각이 플러스(+), 마이너스(-) 극성을 띠는 2장의 반도체 박막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박막을 직/병렬로 연결하여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전압 및 전류를 발생시키도록 만든 제품이다.
도 1은 종래의 태양열 전지판을 제작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2는 종래의 태양열 전지판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를 측면에서 바라본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태양열 전지판의 적층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종래의 라미네이팅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6은 도 5를 측면에서 바라본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태양열 전지판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공정을 거치게 된다.
제1단계는 태양열 전지판의 셀을 투입하는 단계로서, 사용전류 및 전압에 따라 태양열 전지판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다이아몬드 칼로 박막 형태의 반도체 소자를 절단하여 단위 셀을 마련한 후, 단위 셀을 공정의 초기 단계로 투입한다.
상기 단위 셀(10)은 (-)극성을 갖는 제1박막(11)과, (+)극성을 갖는 제2박막(12)으로 구성되며, 제1박막(11)과 제2박막(12)에는 각각 다수개의 그리드(미도시)가 접합되어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며, 다수개의 그리드(미도시)에는 그리드(미도시)의 배열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그리드선(11a,12a)이 접합된다.
제2단계는 태양열 전지판의 표면을 검사하는 단계로서, 단위 셀(10)의 표면에 스크래치나 혹은 크랙 등과 같은 흠이 없는지 여부를 검사하여 이상이 없는 단위 셀(10)은 태양열 전지판을 제조하는데 사용하고 표면에 손상이 있는 경우에는 폐기 처리된다.
제3단계는 검사를 거친 단위 셀들을 이용해 태빙하는 단계러서, 절단된 단위 셀(10)의 제1박막(11) 및 제2박막(12) 상에 배열된 각각의 그리드선(11a,12a)에 리본(13)을 붙이는 태빙 공정을 실시한다.
상기 태빙 공정은 제1박막(11)과 제2박막(12)에 접합된 그리드선(11a,12a)에 디스펜서를 이용하여 솔더 페이스트(solder paste)를 바르고, 리본(13)을 솔더 페이스트를 바른 그리드선(11a,12a) 상에 올려놓은 후 핫 플레이트(hot plate)로 가열하여 리본(13)과 그리드선(11a,12a)이 잘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 후, 제4단계에서는 그리드선(11a,12a) 상에 부착된 리본(13)을 이용하여 절단된 여러개의 상기 단위 셀을 상호 접합시키는 스트링 공정을 실시한다.
상기 스트링 공정은 제1박막(11)은 (-)극성을 가지고, 제2박막(12)은 (+)극성을 가지므로 제1박막(11)에 부착된 리본(13)과 제2박막(12)의 그리드선(12b)에 솔더 페이스트를 바른 후 핫 플레이트로 가열하여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단위 셀들이 상호 연결되도록 하는 공정이다.
이어서, 제5단계에서는 상호 연결된 단위 셀 1개당 발생되는 전압이 약 0.45볼트 정도이므로 필요로 하는 전압만큼 매트릭스 형태로 태양전지를 직렬 연결한다.
제6단계에서는 상기와 같이 회로가 구성된 단위 셀(10) 그룹은 요구되는 전압 및 전류가 제대로 발생되는지 전류 전압 시험을 실시하게 되며, 이때 리본(13)에 의하여 상호 접합된 단위 셀(10) 그룹의 운반시에 그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테이프가 부착한 후, 셀(10)의 파손 여부를 검사한다.
제7단계에서는 전류와 전압시험을 거친 후, 태양전지의 진공 라미네이션을 하기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적층 구조, 예컨대 강화유리 기판(20)상에 제1EVA(Ethyl Violet Azide)막(30)과, 매트릭스 형상으로 구성된 단위 셀(10) 그룹과, 제2EVA막(40) 및 PVF(Peripheral Visual Field)막(50)이 순차적으로 연속 증착하여 적층막 구조를 형성한다.
이후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적층막에 라미네이션 공정을 실시하게 되면, 적층된 제1EVA막(30) 및 제2EVA막(40)이 강화유리 기판(20) 가장자리로 흘러내리게 되므로 제1EVA막(30)과 제2EVA막(40)을 강화유리 기판(20)과 일치하도록 칼로 제거해야 한다.
상기 공정 후 제8단계에서는 트리밍을 실시하고, 제9단계에서는 단자를 접속하는 공정을 실시한다. 단자를 접속하여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태양열 전지판의 플러스(+)단자와 마이너스(-)단자는 각각 접속용 구멍을 통하여 리드 와이어와 연결된다.
이때, 진공 라미네이션 시 적층된 제1EVA(30)막과 제2EVA(40)막이 녹아내려 강화유리 기판(20)상에 관통 형성된 접속용 구멍을 막게 될 경우에는 녹아내린 제1EVA막(30)과 제2EVA막(40)을 제거한 후, 태양열 전지판의 플러스(+), 마이너스(-)단자와 리드 와이어를 납땜으로 접합하고 제10단계를 거치며 프레임을 조립하고, 프레임의 조립이 완료되어 모듈의 생성이 완료되면 제11단계를 거치며 모듈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모듈 검사를 실시함으로써 태양열 전지판의 제조가 완료된다.
이러한 태양열 전지판 제조과정의 여러 공정 중에서 라미네이션 공정에 사용되는 라미네이팅 장치(60)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도 5는 종래의 라미네이팅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라미네이팅 장치의 측면에서 바라본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라미네이팅 장치(60)는 라미네이트부(69)를 내부에 구비한 라미네이트 유닛(70)을 구비하고 있다. 라미네이트부(69)는, 예를 들면, 좌우 방향의 최대 폭이 약2150 mm, 도면에서 보았을 때 정면으로부터 배면을 향하는 방향의 폭이 4000 mm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피 라미네이트체를 라미네이팅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라미네이팅 장치(60)는, 태양열 전지판(M)을 위치시키고 라미네이트 유닛(70)에 진입시키는 반송 시트(63)를 구비하고 있다. 라미네이트 유닛(70)의 우측에는, 라미네이팅 처리를 행하고자 하는 태양열 전지판(M)을 라미네이트 유닛(70) 방향으로 반송하는 공급 컨베이어(61)가 배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라미네이트 유닛(70)의 좌측에는, 태양열 전지판(M)을 라미네이트 유닛(70) 측으로부터 반출하는 반출 컨베이어(62)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공급 컨베이어(61), 반송 시트(63) 및 반출 컨베이어(62)의 순서로 전달하면서, 도 5와 도 6에서 좌측 방향으로 태양열 전지판(M)을 반송하도록 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라미네이트 유닛(70)은 상측 케이스(68)와 하측케이스(67)를 구비하고 있다. 상측 케이스(68)의 내부 하방에는 상측 챔버(69a)가, 하측 케이스(67)의 내부 상방에는 하측 챕버(69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라미네이트부(69)는, 이들 상측 챔버(69a)와 하측 챔버(69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하측 케이스(67)는 베이스(66)의 상방에 고정 지지되어 있다. 한편, 베이스(66)의 정면측과 배면측(도 5의 앞쪽과 뒷쪽)에 세워져서 설치된 지지 기둥(74)을 따라서 이동 가능한 브래킷(71, bracket)이 구비되어 있고, 상측 케이스(68)의 정면측과 배면측이 각각 브래킷(71)에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측 케이스(68)는 지지기둥(74)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고, 하측 케이스(67)와 평행한 자세를 유지하면서 하측 케이스(67)의 상방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기둥(74)의 측방에는, 유압식 실린더(72)가 장착되어 있고, 실린더(72)의 피스톤 로드(73)의 선단이 상측 케이스(68)에 고정된 브래킷(71)의 하면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실린더(72)가 가동되어 피스톤 로드(73)가 신장되면, 하측 케이스(67)의 상면으로부터 떨어지도록 상측 케이스(68)가 상승하고, 이에 따라, 상측 챔버(69a)와 하측 챔버(69b)로 구성된 라미네이트부(69)가 개방 상태로 된다. 한편, 실린더(72)가 가동되어 피스톤 로드(73)가 단축되면, 하측 케이스(67)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상측 케이스(68)이 하강하고, 라미네이트부(69)가 밀폐 상태로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라미네이팅 장치가 작동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시하지 않은 로봇 등의 수단에 의해, 도 6의 공급 컨베이어(61)에 라미네이트를 행하고자 하는 태양열 전지판(M)이 위치 결정되어 공급된다. 상기 라미네이팅 장치(60)의 공급 컨베이어(61)에 태양열 전지판(M)이 공급될 때, 태양열 전지판(M)의 상면 측에 태양열 전지판(M)의 짧은 방향이 반송 방향을 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여 공급 컨베이어(61)에 위치하는 태양열 전지판(M)은, 공급 컨베이어(61)의 가동에 의해 좌측 방향으로 반송되고, 반송 시트(63)는 공급 컨베이어(61)로부터 반송되어 오는 태양열 전지판(M)을 받아들인다.
상기 태양열 전지판(M)을 반송 시트(63)가 받아들일 때는, 라미네이트 유닛(70)의 상측 케이스(68)를 들어올리고, 라미네이트부(69)를 개방 상태가 되게 한다. 상측 케이스(68)를 들어올리는 동작은, 실린더(72)의 신장 가동에 의해 행하여 진다.
이와 같이 하여, 반송 시트(63)를, 라미네이트 유닛(70)의 상측 케이스(68)와 하측케이스(67) 사이에서 전진 후퇴 가능한 상태로 해 둔다. 그리고, 공급 컨베이어(61)를 가동시키면서, 회전롤(64,65)의 회전 구동에 의해 반송시트(63)를 하측 케이스(67)의 상방에서 좌측 방향으로 진행시킴으로써, 공급 컨베이어(61)로부터 반송 시트(63)가 태양열 전지판(M)을 받아들이고, 반송 시트(63)의 상면에 공급된 태양열 전지판(M)을 더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태양열 전지판(M)을 라미네이트 유닛(70)의 상측 케이스(68)와 하측케이스(67) 사이로 이동시키면, 회전롤(64,65)의 회전 구동을 정지시켜서 반송 시트(63)의 이동을 정지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라미네이트 유닛(70)에서 상측 케이스(68)의 상측 챔버(69a)와 하측 케이스(67)의 하측 챔버(69b) 사이에, 태양열 전지판(M)을 정지시킨다.
다음에, 라미네이트 유닛(70)에서 상측 케이스(68)를 하강시키고, 태양열 전지판(M)을 상측 챔버(69a)에 의해 덮는 상태가 되게 하고, 라미네이트부(69)를 밀폐 상태시킨다. 라미네이트 유닛(70)에서, 상측 케이스(68)를 하강시키는 동작은, 도 2에서 설명한 실린더(72)의 축소 가동에 의해 행하여 진다. 이와 같이 하여, 라미네이트 유닛(70)의 라미네이트부(69)에 태양열 전지판(M)이 수납된 상태가 되어 라미네이트 유닛(70)에서의 태양열 전지판(M)이 라이네이팅 처리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라미네이팅 장치는 상측 케이브(68) 양측에 각각 지지기둥(74)이 의해 설치된 한쌍의 실린더(72)가 동작하면 실린더(72) 상부에 위치된 피스톤 로드(73)가 인출되며 피스톤 로드(73)와 브라켓(71)에 의해 결합된 상측 케이스가 상승하며 하측의 하측 케이스(67) 상부가 개방되어 공급 컨베이어로부터 태양열 전지판(M)을 받아드린 후 다시 하강하여 밀폐시키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 실린더(72)가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피스톤 로드를 동작시키고 있어 상측 케이스를 승강시킬 때 실린더의 유압 또는 공압의 압축력 때문에 승강 위치가 정확히 설정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양측의 실린더 승강 높이가 서로 다르게 동작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함에 따라 상측 케이스가 한쪽으로 길어짐에 의해 상측 케이스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경우 실린더(72)가 전기적 신호를 받아 동작하기 때문에 실린더에 전기 공급이 끊기면 상부에 위치된 상측 케이스(68)가 자중에 의해 낙하며 하측 케이스를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주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안전사고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하부챔버로터 개폐되는 상부챔버의 동작을 정밀하게 조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원 공급이 중단되더라도 개방 또는 밀폐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함으로써 안전사고 발생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태양열 전지판용 라미네이팅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공급 컨베이어에 의해 공급되는 태양열 전지판을 상부 케이스의 상부챔버와 하부 케이스의 하부챔버로 이루어진 라미네이트부의 내부에서 라미네이팅하여 반출하는 태양열 전지판용 라미네이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트부의 상부 케이스 측과 연결되어 상기 상부 케이스를 상기 하부 케이스 측으로 승강 구동시키는 승강구동수단; 및 상기 승강구동수단과 연계 구동되도록 일측에 상기 승강구동수단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상부 케이스가 상승 또는 하강 중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낙하방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구동수단은 하나의 구동모터에서 발생되는 동력에 의해 다수개의 제1,2,3하우징 연계 구동하며 상기 상부 케이스가 상승 또는 하강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강구동수단은 상기 상부 케이스의 둘레면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승강실린더와, 다수개의 상기 승강실린더 각각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실린더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3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제3하우징에 동력을 전달하는 한쌍의 제2연결축과, 한쌍의 상기 제2연결축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2연결축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제1연결축과, 상기 제1연결축 사이에 배치되어 구동모터의 동력을 상기 제1연결축으로 전달하는 제1하우징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2,3하우징에는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전달하도록 제1,2,3구동기어와 제1,2,3종동기어가 축설된다.
또한 상기 제1,2,3구동기어와 제1,2,3종동기어는 서로 직교하는 베벨기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승강실린더는 상기 제3하우징으로부터 수직하게 연결되며 내주면에 볼홈이 형성된 하우징과, 외주면에 상기 하우징의 볼홈과 대응되는 볼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3하우징으로부터 전달된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승강로드와, 상기 하우징 내부면과 상기 승강로드 사이에 다수개가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기 승강로드가 안내되게 하는 볼과, 상기 승강로드 상단과 상기 상부챔버 측면을 연결하는 브라켓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낙하방지수단은 제3하우징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상기 고정블록과, 상기 제3하우징 측과 축설되어 상기 제3하우징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으로 회전하는 걸림기어와, 상기 걸림기어와 이웃하도록 상기 고정블록 내부에 설치되는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하는 상기 걸림기어의 회전 방향에 따라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 일측에 구비되어 가압력에 의해 상기 걸림기어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의 걸림을 해지하는 가압실린더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기어는 수평편과 수직편이 서로 직교하게 형성된 걸림돌기가 외주면을 따라 연속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걸림기어 측에 걸쳐지는 지지편과,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된 가압편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는 자중에 의해 항상 상기 걸림기어 측으로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걸림기어 측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압실린더에는 상기 스토퍼를 가압하는 회전롤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에는 지지브라켓과의 사이에서 탄성을 부여하는 탄성체를 더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하부챔버로터 개폐되는 상부챔버의 동작을 정밀하게 조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원 공급이 중단되더라도 개방 또는 밀폐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함으로써 안전사고 발생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태양열 전지판을 제작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종래의 태양열 전지판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태양열 전지판을 측면에서 바라본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종래의 태양열 전지판에 따른 적층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종래의 라미네이팅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라미네이팅 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팅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구동수단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낙하방지수단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도 10에 도시된 "A" 부분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태양열 전지판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태양열 전지판을 측면에서 바라본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종래의 태양열 전지판에 따른 적층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종래의 라미네이팅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라미네이팅 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팅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구동수단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낙하방지수단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도 10에 도시된 "A" 부분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라미네이팅장치(60)는 도 7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라미네이트부(69)를 내부에 구비한 라미네이트 유닛(70)을 구비하고 있다. 라미네이트부(69)는, 예를 들면, 좌우 방향의 최대 폭이 약 2150 mm, 도면에서 보았을 때 정면으로부터 배면을 향하는 방향의 폭이 4000 mm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피 라미네이트체를 라미네이팅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라미네이팅 장치(60)는, 태양열 전지판(M)을 위치시키고 라미네이트 유닛(70)에 진입시키는 반송 시트(63)를 구비하고 있다. 라미네이트 유닛(70)의 우측에는, 라미네이팅 처리를 행하고자 하는 태양열 전지판(M)을 라미네이트 유닛(70) 방향으로 반송하는 공급 컨베이어(61)가 배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라미네이트 유닛(70)의 좌측에는, 태양열 전지판(M)을 라미네이트 유닛(70) 측으로부터 반출하는 반출 컨베이어(62)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공급 컨베이어(61), 반송 시트(63) 및 반출 컨베이어(62)의 순서로 전달하면서, 도면상의 우측 방향으로 태양열 전지판(M)을 반송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라미네이트 유닛(70)은 상부 케이스(68)와 하측 케이스(67)를 구비하고 있다. 상부 케이스(68)의 내부 하방에는 상부챔버(69a)가, 하부 케이스(67)의 내부 상방에는 하부챔버(69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라미네이트부(69)는, 이들 상부챔버(69a)와 하측챔버(69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라미네이트부(69)의 상부 케이스(68) 측과 연결되어 상기 상부 케이스(68)를 상기 하부 케이스(67) 측으로 승강 구동시키는 승강구동수단(100); 및 상기 승강구동수단(100)과 연계 구동되도록 일측에 상기 승강구동수단(100)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구동수단(100)에 의해 상기 상부 케이스(68)가 상승 또는 하강 중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낙하방지수단(2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승강구동수단(100)은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케이스(68)의 둘레면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승강실린더(134)와, 다수개의 상기 승강실린더(134) 각각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실린더(134)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3하우징(130)과, 상기 제2하우징(130)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제3하우징(130)에 동력을 전달하는 한쌍의 제2연결축(150)과, 한쌍의 상기 제2연결축(150)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2연결축(150)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제1연결축(140)과, 상기 제1연결축(140) 사이에 배치되어 구동모터(115)의 동력을 상기 제1연결축(140)으로 전달하는 제1하우징(110)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승강구동수단(100)은 하나의 구동모터(115)에서 발생되는 동력에 의해 다수개의 제1,2,3하우징(110,120,130)이 연계 구동하며 상기 상부 케이스(68)가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제1,2,3하우징(110,120,130)은 동력의 전달을 위해 각각 제1,2,3구동기어(112,121,131)와 제1,2,3종동기어(111,122,133)가 축(미도시)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2,3구동기어(112,121,131)와 제1,2,3종동기어(111,122,133)는 서로 직교하는 베벨기어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115)는 상기 제1하우징(110)의 제1구동기어(112)에서 인출된 구동축(113)과 체인(114)에 의해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도록 하고 있다.
상기 승강실린더(134)는 상기 제3하우징(130)으로부터 수직하게 연결되며 내주면에 볼홈이 형성된 하우징(134a)과, 외주면에 상기 하우징(134a)의 볼홈(미도시)과 대응되는 볼홈(미도시)이 형성되며 상기 제3하우징(130)으로부터 전달된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승강로드(134b)와, 상기 하우징(134a) 내부면과 상기 승강로드(134b) 사이에 다수개가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134a)에 대해 상기 승강로드(134b)가 안내되게 하는 볼(134c)과, 상기 승강로드(134b) 상단과 상기 상부 케이스(68) 측면과 연결되는 브라켓(134d)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승강실린더(134)는 승강로드(134b)가 볼(134c)에 의해 하우징(134a)과 맞물려 있고, 상기 승강로드(134b)는 상기 제3종동기어(133)와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제3하우징(130)에 구비된 제3구동기어(131)으로부터 전달된 동력이 상기 제3종동기어(133)으로 전달되어 승강로드와 하우징 사이에 구비된 볼에 의해 상기 승강로드가 회전 승강하며 연결된 상부 케이스를 승강 동작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제1하우징(110) 측과 상기 제2하우징(120) 측을 연결하는 제1연결축(140)은 커플링(141)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제2하우징(120)과 제3하우징(130) 측을 연결하는 제2연결축(150)은 커플링(151)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예컨대 상기 승강구동수단(100)의 전체 형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H" 형태를 하게 되어 중앙 부분에 위치된 구동모터(115)의 회전력을 제1하우징(110)에 전달하고, 상기 제1하우징(110)에 전달된 동력은 양측에 위치된 제2하우징(120)에 전달하여 상기 제2하우징(120)에 전달된 동력이 최종적으로 상기 제3하우징(130)에 전달되게 함으로써 하나의 구동모터에 의해 상기 제3하우징(130) 각각에 구성된 승강실린더(134)를 동일하게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상기 상부 케이스(68)가 한쪽으로 기울어지지 않은 상태로 상승 또는 하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낙하방지수단(200)은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하우징(130)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상기 고정블록(210)과, 상기 제3하우징(130) 측과 축설되어 상기 제3하우징(130) 내의 제3구동기어(131)에서 연장된 연장축(132)과 연결되어 제2연결축(150)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으로 회전하는 걸림기어(220)와, 상기 걸림기어(220)와 이웃하도록 상기 고정블록(210) 내부에 설치되는 지지브라켓(230)과, 상기 지지브라켓(2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하는 상기 걸림기어(2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240)와, 상기 스토퍼(240) 일측에 구비되어 가압력에 의해 상기 걸림기어(220)의 회전 방향을 제한하는 스토퍼(240)의 걸림을 해지하는 가압실린더(25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기어(220)는 수평편(222)과 수직편(223)이 서로 직교하게 형성된 걸림돌기(221)가 외주면을 따라 연속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브라켓(230)은 상기 고정블록(210)에 고정 지지되며 일측에 절개면(231a)이 형성된 판체 형태의 고정대(231)와, 서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고정대(231) 하부면에 수직하게 구비되며 하단부 측에 삽입홈(233)이 형성된 한쌍의 수직지지대(23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스토퍼(240)는 회전축(245)을 기준으로 상기 걸림기어(220) 측에 걸쳐지는 지지편(241)과,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된 가압편(242)으로 구성되어 자중에 의해 항상 상기 걸림기어(220) 측으로 상기 지지편(241)이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지지편(241)의 길이(L1)가 상기 가압편(242)의 길이(L2)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회전축(245)을 기준으로 상기 지지편(241) 측의 무게가 상기 가압편(242) 측의 무게보다 많이 나가게 함으로써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지지편(241)의 중략 방향인 하측을 향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가압실린더(250)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동작하는 실린더이며, 바람직하게는 공압을 이용한다. 상기 가압실린더에 삽입된 가압로드(251)의 단부는 상기 가압편(242)과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 표면이 매끄러운 구 형태를 갖게 하여 이용할 수 있으나, 상기 스토퍼(240)를 가압하는 회전롤(253)이 축(25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가압로드(251) 단부의 구 형태만을 이용해 상기 가압편을 가압할 수 있지만 지속적인 사용에 의해 가압로드 단부가 마모될 경우 동작성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한 수단으로 가압롤을 구비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240)와 상기 지지브라켓(230)을 연결하여 상기 지지브라켓(230)과의 사이에서 상기 스토퍼(240) 탄성을 부여하도록 하는 탄성체(260)를 더 구비하고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브라켓(230)은 다수개의 걸림공(235)이 형성된 걸림편(234)이 구비되고, 상기 스토퍼(240)의 가압편(242)에는 다수개의 걸림공(243)이 형성되어 상기 탄성체(260) 양단이 각각 걸림공(235,243)에 결합될 수 있게 하고 있다.
즉, 상기 스토퍼(240)는 지지편(241)이 항상 하강되는 상태이지만 하강하는 상태를 더욱 강하게 유비하며 지지편이 걸림기어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탄성체(260)를 이용해 상기 스토퍼(240)의 가압편(242)이 회전축(245)을 기준으로 상기 걸림편(234) 측으로 잡아 당겨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낙하방지수단(200)은 다음과 같은 결합관계를 가진다.
먼저 상기 제3하우징(130) 내의 연장축(132)에 걸림기어(220)를 결합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브라켓(230)의 수직지지대(232) 사이에 상기 스토퍼(240)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회전축(245)을 스토퍼(240)가 관통되도록 삽입홈(233)에 삽입 고정한다.
다음으로 상기 스토퍼(240)의 지지편(241)이 상기 걸림기어(220)의 걸림돌기(221)에 안착될 수 있을 정도의 위치가 되도록 상기 고정대(231)를 고정블록(210)의 내부에 결합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블록(210)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게 상기 가압로드(251)를 삽입하여 가압로드(251)가 상기 고정대(231)의 절개면(231a) 측에 위치되게 한 후 상기 가압로드(251) 단부에 축(252)을 이용해 가압롤(253)을 결합시켜 상기 가압로드(251)의 수직선상에 상기 가압편(243)이 위치될 수 있게 한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브라켓(230)의 걸림편(234)에 형성된 걸림공(235)에 탄성체(260) 일측을 결합한 후 상기 탄성체(260) 타측을 상기 가압편(242)의 걸림공(243)에 결합시켜 상기 탄성체(260)에 의해 상기 스토퍼(240)가 지지브라켓(230)과의 사이에서 탄성을 갖게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낙하방지수단(200)은 도 13에 도시되 바와 같이 상기 연장축(132)의 회전 방향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승강실린더(134)가 제3구동기어(131)와 제3종동기어(133)에 의해 상승하고 있을 경우 상기 스토퍼(240)의 지지편(241)이 자중에 의해 회전축(245)을 중심으로 상기 걸림기어(220)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돌기(221)를 타고 상하방향 이동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승강실린더(134)가 하강하고 있을 경우 상기 가압실린더(250)의 가압로드(251)가 동작하여 하강하여 상기 스토퍼(240)의 가압편(242)을 가압하여 회전축(245)를 기준으로 지지편(241)을 상기 걸림기어(220)의 걸림돌기(221)로부터 이탈시켜 상기 걸림기어(220)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동작하지만, 상기 승강구동수단(100)을 동작시키는 전원이 차단되거나 승강구동수단(100)이 오작동하는 이상 상태가 되는 경우 상기 스토퍼(240)가 걸림기어(220)의 걸림돌기(221)에 걸린 상태를 유지시켜 상부에 위치된 상부 케이스(68)의 자중에 의해 승강실린더(134)가 하강하는 것을 방지토록 함으로써 상부 케이스(68) 및 상부챔버(69a)의 손상 방지 및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도시하지 않은 로봇 등의 수단에 의해, 상기 공급 컨베이어(61)에 라미네이트를 행하고자 하는 태양열 전지판(M)이 위치 결정되어 공급한다. 상기 라미네이팅 장치(60)의 공급 컨베이어(61)에 태양열 전지판(M)이 공급될 때, 태양열 전지판(M)의 상면 측에 태양열 전지판(M)의 짧은 방향이 반송 방향을 향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공급 컨베이어(61)에 위치하는 태양열 전지판(M)은 상기 공급 컨베이어(61)의 가동에 의해 우측 방향으로 반송되고, 상기 반송 시트(63)는 상기 공급 컨베이어(61)로부터 반송되어 오는 태양열 전지판(M)을 받아들인다.
이 상태에서 상기 태양열 전지판(M)을 상기 반송 시트(63)가 받아들일 때는 상기 라미네이트 유닛(70)의 상기 상부 케이스(68)를 들어올리고 상기 라미네이트부(69)를 개방 상태가 되게 한다.
이때의 상기 상부 케이스(68)를 들어올리는 동작은 다음과 같다.
상기 승강구동수단(100)의 구동모터(115)를 동작시키면 상기 구동모터(115)와 연결된 체인(114)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체인(114)의 회전에 의해 상기 체인(114)과 연결된 구동축(113)이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구동축(113)이 회전하면 상기 구동축(113)과 연결된 제1하우징(110)의 제1구동기어(112)가 회전하고, 상기 제1구도기어(112)와 맞물린 제1종동기어(111)가 회전하여 상기 제1하우징(110) 양측으로 연장된 상기 제1연결축(140)이 회전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1연결축(140)의 회전에 의해 양측에 위치된 상기 제2하우징(120)의 제2구동기어(121)와 제2종동기어(122)가 회전하고 상기 제2종동기어(122)와 연결된 제2연결축(15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상부 케이스(68)의 둘레면에 위치된 4개의 제3하우징(130) 내의 제3구동기어(131)와 제3종동기어(133)가 동시에 회전하며 연결된 상기 승강실린더(134)의 승강로드(134b)를 상승시켜 상기 상부 케이스(68)를 개방하게 된다.
이때,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축(132)의 회전 방향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승강실린더(134)가 제3구동기어(131)와 제3종동기어(133)에 의해 상승하며 상기 스토퍼(240)의 지지편(241)이 자중에 의해 회전축(245)을 중심으로 상기 걸림기어(220)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돌기(221)를 타고 상하방향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240)에 연결된 탄성체(260)에 의해 강제적으로 상기 가압편(242) 측을 잡아당기고 있게 함으로써 지지편(241)에 의한 걸림돌기(221)와 결속을 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승강구동수단(100)을 이용해 상부 케이스를 상승시키는 동작에서 전원이 차단되어 승강구동수단(100)이 동작하지 않을 경우 상기 가압실린더(250) 또한 동작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스토퍼(240)가 걸림기어(220)에 걸린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어 상부에 위치된 상부 케이스(68)의 자중에 의해 승강실린더(134)가 하강하는 것을 방지토록 함으로써 상부 케이스 및 상부챔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상기 스토퍼(240)와 연결된 탄성체(260)에 의해 상기 스토퍼(240)를 강제적으로 당기고 있어서 상기 걸림기어(220)로부터 스토퍼(240)의 지지편(241)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반송 시트(63)를, 라미네이트 유닛(70)의 상부 케이스(68)와 하측케이스(67) 사이에서 전진 후퇴 가능한 상태로 해 둔다. 그리고, 공급 컨베이어(61)를 가동시키면서 회전롤(64,65)의 회전 구동에 의해 반송시트(63)를 하측 케이스(67)의 상방에서 우측 방향으로 진행시킴으로써 공급 컨베이어(61)로부터 반송 시트(63)가 태양열 전지판(M)을 받아들이고 상기 반송 시트(63)의 상면에 공급된 태양열 전지판(M)을 더 우측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태양열 전지판(M)을 라미네이트 유닛(70)의 상부 케이스(68)와 하측 케이스(67) 사이로 이동시키면 회전롤(64,65)의 회전 구동을 정지시켜서 반송 시트(63)의 이동을 정지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기 라미네이트 유닛(70)에서 상부 케이스(68)의 상부챔버(69a)와 하측 케이스(67)의 하부챔버(69b) 사이에 태양열 전지판(M)을 정지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라미네이트 유닛(70)에서 상부 케이스(68)를 하강시켜 태양열 전지판(M)을 상부챔버(69a)에 의해 덮는 상태가 되게 하여 라미네이트부(69)를 밀폐시킨다.
여기서 상기 라미네이트 유닛(70)에서 상기 상부 케이스(68)를 하강시키는 동작은 다음과 같다.
상기 승강구동수단(100)을 이용해 상기 상부 케이스(68)를 상승시키는 동작의 반대로 동작하도록 구동모터(115)를 동작시키면 전체 상기 제1하우징(110), 제2하우징(120) 및 제3하우징(130)의 상부 케이스(68)를 하강시킬 때와 반대로 회전 동작하며 상기 라미네이트 유닛(70)의 라미네이트부(69)에 태양열 전지판(M)이 수납된 상태로 차단되어 라미네이트 유닛(70) 내부에서 태양열 전지판(M)을 라이네이팅 처리하게 된다.
즉, 상기 가압실린더(250)의 가압로드(251)가 하강 동작하면 하부에 위치된 상기 스토퍼(240)의 가압편(242)을 상기 가압로드(251)가 가압하게 되고 가압된 상기 가압편(242)에 의해 상기 회전축(245)를 기준으로 타측에 위치된 지지편(241)을 상기 걸림기어로부터 이탈시켜 상기 걸림기어(220)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태양열 전지판(M)에 라미네이팅이 끝나면 상기 승강구동수단(100)을 동작시켜 상기 상부 케이스를 들어올려 개방시킨 후 내부에 위치된 태양열 전지판을 반출 컨베이어를 이용해 반출시켜 다음 공정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때도 상기 상부 케이스(68)를 들어올리는 과정에 전원이 차단되거나 승강구동수단(100)의 오동작에 의해 승강실린더(134)가 하강할 경우 낙하방지수단(200)이 상기 제3하우징(130) 측과 항상 연결된 상태로 동작하고 있기 때문에 상부 케이스(68)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는 것일 뿐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이에 한정하고자 함이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이나 개조가 가능함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이나 개조는 청구범위의 해석상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있음은 말할 나위가 없다.
100 : 승강구동수단 110 : 제1하우징
120 : 제2하우징 130 : 제3하우징
140 : 제2연결축 150 : 제2연결축
200 : 낙하방지수단 210 : 고정블록
220 : 걸림기어 230 : 지지브라켓
240 : 스토퍼 250 : 가압실린더
260 : 탄성체
120 : 제2하우징 130 : 제3하우징
140 : 제2연결축 150 : 제2연결축
200 : 낙하방지수단 210 : 고정블록
220 : 걸림기어 230 : 지지브라켓
240 : 스토퍼 250 : 가압실린더
260 : 탄성체
Claims (12)
- 공급 컨베이어(61)에 의해 공급되는 태양열 전지판(M)을 상부 케이스(68)의 상부챔버(69a)와 하부 케이스(67)의 하부챔버(69b)로 이루어진 라미네이트부(69)의 내부에서 라미네이팅하여 반출하는 태양열 전지판용 라미네이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트부(69)의 상부 케이스(68) 측과 연결되어 상기 상부 케이스(68)를 상기 하부 케이스(67) 측으로 승강 구동시키는 승강구동수단(100); 및
상기 승강구동수단(100)과 연계 구동되도록 일측에 상기 승강구동수단(100)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구동수단(100)에 의해 상기 상부 케이스(68)가 상승 또는 하강 중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낙하방지수단(20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 전지판용 라미네이팅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수단(100)은 하나의 구동모터(115)에서 발생되는 동력에 의해 다수개의 제1,2,3하우징(110,120,130)이 연계 구동하며 상기 상부 케이스(68)를 상승 또는 하강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 전지판용 라미네이팅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수단(100)은 상기 상부 케이스(68)의 둘레면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승강실린더(134)와, 다수개의 상기 승강실린더(134) 각각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실린더(134)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3하우징(130)과, 상기 제2하우징(120)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제3하우징(130)에 동력을 전달하는 한쌍의 제2연결축(150)과, 한쌍의 상기 제2연결축(150)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2연결축(150)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제1연결축(140)과, 상기 제1연결축(140) 사이에 배치되어 구동모터(115)의 동력을 상기 제1연결축(140)으로 전달하는 제1하우징(11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 전지판용 라미네이팅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2,3하우징(110,120,130)에는 상기 구동모터(115)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전달하도록 제1,2,3구동기어(112,121,131)와 제1,2,3종동기어(111,122,133)가 축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 전지판용 라미네이팅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2,3구동기어(112,121,131)와 제1,2,3종동기어(111,122,133)는 서로 직교하는 베벨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 전지판용 라미네이팅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실린더(134)는 상기 제3하우징(130)으로부터 수직하게 연결되며 내주면에 볼홈이 형성된 하우징(134a)과, 외주면에 상기 하우징(134a)의 볼홈과 대응되는 볼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3하우징(130)으로부터 전달된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승강로드(134b)와, 상기 하우징(134a) 내부면과 상기 승강로드(134b) 사이에 다수개가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134a)에 대해 상기 승강로드(134b)가 안내되게 하는 볼(134c)과, 상기 승강로드(134b) 상단과 상기 상부챔버(69a) 측면을 연결하는 브라켓(134d)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태양열 전지판용 라미네이팅 장치. -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방지수단(200)은 제3하우징(130)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고정블록(210)과, 상기 제3하우징(130) 측과 축설되어 상기 제3하우징(130)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으로 회전하는 걸림기어(220)와, 상기 걸림기어(220)와 이웃하도록 상기 고정블록(210) 내부에 설치되는 지지브라켓(230)과, 상기 지지브라켓(2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하는 상기 걸림기어(2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240)와, 상기 스토퍼(240) 일측에 구비되어 가압력에 의해 상기 걸림기어(220)의 회전 방향을 제한하는 스토퍼(240)의 걸림을 해지하는 가압실린더(2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 전지판용 라미네이팅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기어(220)는 수평편(222)과 수직편(223)이 서로 직교하게 형성된 걸림돌기(221)가 외주면을 따라 연속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 전지판용 라미네이팅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240)는 회전축(245)을 기준으로 상기 걸림기어(220) 측에 걸쳐지는 지지편(241)과,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된 가압편(24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 전지판용 라미네이팅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240)는 자중에 의해 항상 상기 걸림기어(220) 측으로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회전축(245)을 기준으로 상기 걸림기어(220) 측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 전지판용 라미네이팅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실린더(250)에는 상기 스토퍼(240)를 가압하는 회전롤(253)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 전지판용 라미네이팅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240)에는 지지브라켓(230)과의 사이에서 탄성을 부여하는 탄성체(26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 전지판용 라미네이팅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28715A KR101210249B1 (ko) | 2012-03-21 | 2012-03-21 | 태양열 전지판용 라미네이팅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28715A KR101210249B1 (ko) | 2012-03-21 | 2012-03-21 | 태양열 전지판용 라미네이팅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10249B1 true KR101210249B1 (ko) | 2012-12-11 |
Family
ID=47907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28715A KR101210249B1 (ko) | 2012-03-21 | 2012-03-21 | 태양열 전지판용 라미네이팅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10249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59089B1 (ko) * | 2016-11-25 | 2018-05-17 | 주식회사 에프원테크 | 필름 라미네이션 장치 |
CN118588617A (zh) * | 2024-07-11 | 2024-09-03 | 泗阳腾晖光电有限公司 | 一种单晶硅太阳能电池板生产用层压机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81794B1 (ko) | 2009-10-29 | 2010-09-10 | 주식회사 톱텍 | 태양열 전지판용 라미네이팅 장치 |
-
2012
- 2012-03-21 KR KR1020120028715A patent/KR10121024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81794B1 (ko) | 2009-10-29 | 2010-09-10 | 주식회사 톱텍 | 태양열 전지판용 라미네이팅 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59089B1 (ko) * | 2016-11-25 | 2018-05-17 | 주식회사 에프원테크 | 필름 라미네이션 장치 |
CN118588617A (zh) * | 2024-07-11 | 2024-09-03 | 泗阳腾晖光电有限公司 | 一种单晶硅太阳能电池板生产用层压机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319874B2 (en) | Wire setting apparatus of tabbing apparatus and wire setting method using same | |
JP4783500B2 (ja) | 封止前準備用シートセット装置、封止前準備用出力取出し線セット装置、及び自動封止前準備装置 | |
KR102176212B1 (ko) | 태빙장치 | |
KR101210249B1 (ko) | 태양열 전지판용 라미네이팅 장치 | |
CN208608311U (zh) | 一种双工位电池pack端板自动送料上料机构 | |
CN219497760U (zh) | 加工装置 | |
CN106025327A (zh) | 一种新型电池包板机 | |
KR100981794B1 (ko) | 태양열 전지판용 라미네이팅 장치 | |
KR101098363B1 (ko) | 태양 전지 모듈 제조를 위한 라미네이트 시스템 및 라미네이트 방법 | |
JP2011026143A (ja) | ワーク貼合装置、およびワーク貼合方法 | |
CN212686120U (zh) | 一种护角安装装置及护角 | |
CN110636714B (zh) | 一种pcb板包边机 | |
KR101142274B1 (ko) | 리본 정렬장치 | |
WO2013128570A1 (ja) | 導電部材巻癖除去装置および除去方法 | |
WO2023168989A1 (zh) | 取框装置及太阳能层压机 | |
CN106540888A (zh) | 一种废旧电能表自动检测回收装置及其使用方法 | |
KR20100090032A (ko) | 태양전지의 보호시트 절단장치 | |
KR101112486B1 (ko) | 태양열 전지판 다단 적재장치 | |
KR102176213B1 (ko) | 태빙장치 | |
CN212449189U (zh) | 一种轮毂输送装置 | |
CN213459673U (zh) | 太阳能硅片的安全搬运装置 | |
CN107877985A (zh) | 一种太阳能电池层压设备 | |
CN202307989U (zh) | 层叠上料装置以及包括其的太阳电池组件制备系统 | |
CN208758835U (zh) | 一种压持件输送设备及电池串串焊机 | |
KR100597266B1 (ko) | 보호테이프 부착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