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1878B1 - 건설용 중량구조물 이송용 전동리프트 - Google Patents
건설용 중량구조물 이송용 전동리프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01878B1 KR101201878B1 KR1020110053752A KR20110053752A KR101201878B1 KR 101201878 B1 KR101201878 B1 KR 101201878B1 KR 1020110053752 A KR1020110053752 A KR 1020110053752A KR 20110053752 A KR20110053752 A KR 20110053752A KR 101201878 B1 KR101201878 B1 KR 1012018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ft
- electric
- construction
- electric lift
- transpor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1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 B66F7/1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mechanical jacks
- B66F7/14—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mechanical jacks screw operat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01H13/18—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door switch, limit switch,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 가설이나 블록 가설 등 산업 현장이나 건설 현장 등에서 중량이고 대형인 구조물을 인양하고 정확한 위치로 이송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건설용 중량구조물 이송용 전동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건설용 중량구조물 이송용 전동리프트는 지면(地面) 또는 레일을 따라 구르는 복수개의 휠과, 상기 휠을 회전시키는 휠 구동유닛이 설치된 대차부와; 상기 대차부의 상부면에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빔과; 상기 지지빔을 따라 상하로 승강 운동하도록 설치되며, 상부에 이송 대상 중량구조물이 안착되는 리프트부재와; 상기 대차부에 상하 방향으로 수직하게 설치되며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스크류잭과, 상기 스크류잭을 회전시키는 리프트모터와, 상기 스크류잭의 회전에 의해 스크류잭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리프트부재와 결합된 너트부를 구비하여 상기 리프트부재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설용 중량구조물을 제작 운반하는 현장에서 사용하는 전동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 가설이나 대형블록의 이동 등 건설, 조선 등의 산업 현장에서 크고 대형인 중량구조물(heavy structure)을 인양하고 정확한 위치로 이송하는 건설용 중량구조물 이송용 전동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각종 산업 현장이나 건설 현장에서 중량 구조물의 이동을 위해 크레인을 사용하고 있다. 일반 크레인의 경우에는 장비의 규모에 비하여 인양 능력이 작은 경우가 대부분이며, 현장 진입성과 작업성 등을 고려할 때 효율성이 크게 떨어지고 있다.
산업 현장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크레인으로는 타워 크레인과 붐대 크레인이 있다. 타워 크레인은 주로 고공 작업에 쓰이고 있는데, 작업중 크레인이 전도되는 등 안전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으며, 작업 반경 또한 제한적이며, 규모에 비하여 작업 능력이 매우 낮아 중량물의 위치 이동에 많은 제약이 따른다.
붐대 크레인의 경우에는 차량에 탑재되어 현장으로의 이동성은 좋으나 차량 자체의 크기가 커서 도로 여건의 제약과 현장의 전철주, 전선, 주변 건물 등으로 인하여 현장 여건이 제한되어 작업의 제약이 많다. 또한, 붐대의 각도에 따라 인양능력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작업을 위해서는 구조물의 중량보다 훨씬 큰 용량의 크레인이 필요하다.
건설 현장의 경우 블록 단위의 조립식 시공방법을 선호하고 있다. 시공 공기의 단축을 위해 대형 건설 공사의 경우 구조물을 블록 단위의 프리케스트로 제작하여 현장으로 옮겨 조립하는 공법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 때 블록의 크기와 중량은 현장으로의 이동방법과 구조물을 옮기기 위한 크레인의 용량에 따라 결정된다. 특히 도심지 공사의 경우, 차량 통행을 최소화하고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좁은 공간에서 최대 작업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장비를 적용하여 공사를 해야하는데, 전술한 것과 같이 기존의 타워 크레인이나 붐대 크레인들은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콤팩트한 크기와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좁은 지역에서 강력한 인양 성능과 이송 능력을 제공하여 현장 이동성 및 작업성이 매우 우수하고, 작업 중 정확성과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건설용 중량구조물 이송용 전동리프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량구조물을 일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이송하는 건설용 중량구조물 이송용 전동리프트에 있어서, 지면(地面) 또는 레일을 따라 구르는 복수개의 휠과, 상기 휠을 회전시키는 휠 구동유닛이 설치된 대차부와; 상기 대차부의 상부면에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빔과; 상기 지지빔을 따라 상하로 승강 운동하도록 설치되며, 상부에 이송 대상 중량구조물이 안착되는 리프트부재와; 상기 대차부에 상하 방향으로 수직하게 설치되며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스크류잭과, 상기 스크류잭을 회전시키는 리프트모터와, 상기 스크류잭의 회전에 의해 스크류잭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리프트부재와 결합된 너트부를 구비하여 상기 리프트부재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중량구조물 이송용 전동리프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형태에 따르면, 상기 리프트부재는, 양단이 상기 지지빔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지지빔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리프트블록과, 상기 리프트블록의 상부에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회전유닛과, 상기 회전유닛 상에 설치되어 중량구조물을 지지하는 시트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시트블록은 상기 회전유닛의 상부에 수평한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지지빔의 상단부와 하단부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리프트블록의 상한 위치와 하한 위치를 감지하여 승강구동유닛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리미트센서와, 전동리프트의 정지 상태에서 상기 리프트부재의 높이를 감지하여 승강구동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높이감지센서와, 전동리프트의 운행 중 지반 침하 등에 의한 높이 변화를 감지하여 전동리프트의 운행을 중지시키는 지반감지센서와, 여러 대의 전동리프트를 동시에 사용하여 건설용 중량구조물을 이송할 때 각 전동리프트 간의 간격을 측정하여 전동리프트들의 동기 이동이 이루어지는지를 감시하는 간격측정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전동리프트의 작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휠 구동유닛 또는 승강구동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감지시스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이점들이 있다.
첫째, 전동리프트가 원하는 임의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으며, 리프트부재가 승강구동유닛에 의해 수직으로 상승하면서 중량구조물을 상승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좁은 지역에서 강력한 인양 성능과 이송 능력을 제공하여 현장 이동성 및 작업성이 매우 우수하고, 작업 중 정확성과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리프트부재에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회전유닛이 구성될 경우, 리프트부재의 자유도가 증가하여 여러 대의 전동리프트으로 하나의 중량구조물을 이송할 때 중량구조물의 유동에 의한 변위가 바로 전동리프트의 지지빔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지지빔이 휘어지거나 손상되는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동리프트가 전도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중량구조물의 하부면 중 시트블록과 접촉하는 부위에 돌출부 등의 불안정 요소가 있을 경우, 상기 회전유닛을 회전시켜 시트블록의 위치를 가변시킴으로써 시트블록이 중량구조물의 불안정 요소를 피하여 중량구조물을 지지할 수 있게 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셋째, 리프트부재의 시트블록이 수평한 힌지축을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면, 중량구조물의 하부면이 약간 기울어져 있더라도 시트블록이 중량구조물의 경사진 면에 대응하여 기울어지면서 중량구조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넷째, 본 발명의 전동리프트는 리미트센서, 높이감지센서, 지반감지센서, 간격측정센서, 감시카메라 등으로 이루어진 감지시스템을 통해 전동리프트의 작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자동 감지하여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전동리프트의 오작동이나 외부 요인에 의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원활하고 신속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중량구조물 이송용 전동리프트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건설용 중량구조물 이송용 전동리프트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건설용 중량구조물 이송용 전동리프트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건설용 중량구조물 이송용 전동리프트의 감지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4대의 전동리프트를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에서 감지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건설용 중량구조물 이송용 전동리프트의 사용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건설용 중량구조물 이송용 전동리프트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건설용 중량구조물 이송용 전동리프트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건설용 중량구조물 이송용 전동리프트의 감지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4대의 전동리프트를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에서 감지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건설용 중량구조물 이송용 전동리프트의 사용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설용 중량구조물 이송용 전동리프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중량구조물 이송용 전동리프트는, 지면(地面) 또는 레일을 따라 구르는 복수개의 휠(11)과, 상기 휠(11)을 회전시키는 휠 구동유닛이 설치된 대차부(10)와, 상기 대차부(10)의 상부면에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빔(20)과, 상기 지지빔(20)을 따라 상하로 승강 운동하도록 설치되며 상부면에 이송 대상 중량구조물이 안착되는 리프트부재(30)와, 상기 리프트부재(30)를 상하의 원하는 높이로 승강 운동시키는 승강구동유닛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대차부(10)에 구성되는 휠(11)은 2개 1조로 총 4개가 대차부(10)의 네 모서리 부분 각각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다. 상기 2개 1조의 휠(11)은 회전축(12)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2조의 휠(11) 중 1조는 상기 휠 구동유닛에 연결되어 회전 운동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휠 구동유닛은 대차부(10)의 하부면에 구성되는 주행모터(14)와, 상기 주행모터(14)에 축결합된 기어박스(15)와, 일단이 상기 기어박스(15)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1조의 휠(11)의 회전축(12)에 설치된 스프로켓(12a)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체인(16)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주행모터(14)에 전원이 인가되어 주행모터(14)가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주행모터(14)의 동력이 기어박스(15) 및 동력전달체인(16)를 통해서 휠 회전축(12)에 전달되고, 이에 따라 휠(11)이 회전하여 대차부(10)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주행모터(14)와 연결된 기어박스(15)는 감속 기능과 함께 운행 중 정지 기능을 갖도록 브레이크가 내장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빔(20)은 상기 대차부(10)의 상부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리프트베이스(21)의 각 모서리 부분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상기 지지빔(20)들은 리프트베이스(21)에 완전히 고정될 수도 있지만,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리프트베이스(21)에 착탈이 가능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빔(20)들은 고중량의 중량구조물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단단한 강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빔(20)들은 수평한 보강프레임(25)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지지된다.
상기 지지빔(20)의 내측면에는 상기 리프트부재(3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레일(22)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레일(22)은 공지의 엘엠가이드(LM Guide) 등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리프트부재(30)는 양단이 상기 지지빔(20)의 가이드레일(22)에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리프트블록(31)과, 상기 리프트블록(31)의 상부에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회전유닛(32)과, 상기 회전유닛(32) 상에 설치되어 중량구조물(C)을 지지하는 시트블록(지지블록)(seat block)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시트블록(36)은 2개가 1조를 이루면서 상기 회전유닛(32)의 상부에 서로 일정 거리 대향되게 설치되며, 각각의 시트블록(36)은 회전유닛(32) 상에서 수평한 힌지축(37)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회전유닛(32)은 상기 리프트블록(31)의 중앙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고정블록(33)과, 상기 고정블록(33)의 상측에 회전베어링(34)을 매개로 결합되어 고정블록(33)에 대해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블록(35)으로 구성된다. 상기 시트블록(36)은 상기 회전블록(35)의 상부면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시트블록(36)이 리프트블록(31)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회전유닛(32) 상에 결합되면, 복수의 전동리프트를 사용하여 교량 등의 대형 중량구조물(C)을 이송하는 도중 어떤 요인에 의해 중량구조물(C)의 위치가 틀어지는 힘을 받더라도 중량구조물(C)에 가해지는 하중이 바로 전동리프트의 지지빔(20)에 전달되지 않고 중량구조물(C)이 회전유닛(32)에 의해 일정 정도 회전하게 되므로 지지빔(20)이 휘어지거나 손상되는 등의 현상이 방지되고, 전동리프트가 전도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중량구조물(C)의 하부면 중 시트블록(36)과 접촉하는 부위에 돌출부 등의 불안정 요소가 있을 경우, 상기 회전유닛(32)을 회전시켜 시트블록(36)의 위치를 가변시킴으로써 시트블록(36)이 중량구조물(C)의 불안정 요소를 피하여 중량구조물(C)을 지지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것처럼 상기 시트블록(36)이 회전유닛(32) 상에서 수평한 힌지축(37)을 상하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하면, 중량구조물(C)의 하부면이 약간 기울어져 있더라도 시트블록(36)이 중량구조물(C)의 경사진 면에 대응하여 기울어지면서 중량구조물(C)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승강구동유닛은 상기 리프트베이스(21)의 중앙부에 상하 방향으로 수직하게 설치되며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스크류잭(41)과, 상기 스크류잭(41)을 회전시키는 리프트모터(43)와, 상기 스크류잭(41)의 회전에 의해 스크류잭(41)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리프트부재(30)와 결합된 너트부(42)를 포함한다. 상기 리프트모터(43)와 스크류잭(41) 사이에는 리프트모터(43)의 회전력을 스크류잭(41)에 전달하는 기어박스(44)가 배치된다. 상기 기어박스(44)는 감속 기능과 함께 운행 중 정지 기능을 갖도록 브레이크가 내장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 실시예에서 리프트부재(30)의 승강 높이를 정확하게 제어하기 위해 스크류잭(41)을 이용하여 승강구동유닛을 구성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유압젝과 이 유압젝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펌프를 사용하여 리프트부재(30)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전동리프트는 작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자동 감지하여 제어하기 위한 감지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이러한 감지시스템으로는 상기 지지빔(20)의 상단부와 하단부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리프트블록(31)의 상한 위치와 하한 위치를 감지하여 승강구동유닛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리미트센서(51)와, 정지 상태에서 상기 리프트부재(30)의 높이를 감지하여 승강구동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높이감지센서(52), 전동리프트 운행 중 지반 침하 등에 의한 높이 변화를 감지하여 전동리프트의 운행을 중지시키는 지반감지센서(53), 여러 대의 전동리프트를 동시에 사용하여 중량구조물(C)을 이송할 때 각 전동리프트 간의 간격을 측정하여 전동리프트들의 동기 이동이 이루어지는지를 감시하는 간격측정센서(54)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센서들중 어느 하나 이상이 고장나거나 오작동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전동리프트의 임의의 구성부에 CCTV 카메라와 같은 감시카메라(미도시)가 추가로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51~54)들과 감시카메라(미도시)들은 하나의 컨트롤패널(55)에 연결되어 전동리프트의 제어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4대의 전동리프트를 동시에 사용하여 하나의 중량구조물(C)을 이송하여 가설하는 경우, 각 전동리프트의 센서들은 하나의 컨트롤패널(55)에 연결되어 각 전동리프트의 상태 정보를 컨트롤패널(55)로 전달하고, 작업자는 하나의 컨트롤패널(55)을 통해 4대의 전동리프트의 작동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각 전동리프트의 제어는 리모콘(remote controller)을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감지시스템 중 높이감지센서(52)는 중량구조물 가설 위치의 설정 높이에 표시된 정렬용 마크(또는 특별히 설정된 구조물)를 인식하고, 이 때의 높이를 리프트부재(30)의 상승 높이로 설정하여 이 높이에서 중량구조물(C)을 가설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상기 지반감지센서(53)는 특히 여러 대의 전동리프트를 동시에 사용하여 중량구조물(C)을 운반하는 도중 지반이 침하되어 갑작스러운 높이 변화가 발생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전동리프트의 운행을 중단함으로써 중량구조물(C)의 낙하 또는 전동리프트의 구조물의 뒤틀림이나 손상 등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지반감지센서(53)는 예를 들어 전동리프트의 지지빔(20)의 일측에 설치되어 가설 위치의 벽면에 표시된 마크 또는 특정 구조물을 인식하는 레이저 센서나 변위 센서 등 공지의 다양한 센서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간격측정센서(54)는 여러 대의 전동리프트들을 동시에 사용하여 하나의 중량구조물(C)을 이송할 때 각각의 전동리프트들이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동기적으로 이동하는지를 감시하는 기능을 함으로써 전동리프트 중 어느 하나의 오작동으로 인하여 균형이 무너져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동리프트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리프트부재(30)의 시트블록(36) 상에 이송 대상 중량구조물(C)을 안착시켜 고정한 상태에서 휠 구동유닛의 주행모터(14)에 전원이 인가되면, 주행모터(14)가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주행모터(14)의 동력이 기어박스(44) 및 동력전달체인(16)를 통해서 휠(11)의 한 회전축(12)에 전달되어 대차부(10)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전동리프트가 중량구조물(C)을 가지고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여 중량구조물(C)이 가설될 위치에 정렬되면, 승강구동유닛의 리프트모터(43)에 전원이 인가되어 리프트모터(43)가 회전하게 되고, 리프트모터(43)의 회전에 의해 스크류잭(41)이 회전하여 너트부(42) 및 이에 결합된 리프트부재(30)가 가이드레일(22)의 안내를 받아 상승하여 중량구조물(C)이 가설될 위치에 도달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대차부(10)를 소정 거리 이동시키면서 중량구조물(C)을 가설 위치의 고정 구조물 상에 안착시킨다.
본 발명의 전동리프트는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도 5 내지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이 2대 이상을 함께 사용하여 크고 고중량인 중량구조물(C)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가설할 수 있다.
또한, 전동리프트의 리프트베이스(21)를 대차부(10)와 분리한 다음, 대차부(10)만 사용하거나, 혹은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리프트베이스(21)와 대차부(10) 사이에 소정 높이를 갖는 높이조정용 벤트(60)를 장착함으로써 전동리프트에 의한 중량구조물(C)이 인양 높이를 증대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전동리프트를 서로 다른 지반 높이에서 사용할 경우, 도 6에 도시한 것처럼 어느 한 전동리프트의 리프트부재(30)의 높이와 다른 한 전동리프트의 리프트부재(30)의 높이를 서로 다르게 조정하여 중량구조물(C)의 균형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동리프트를 2개로 병렬 구성하고, 각각의 전동리프트를 겐트리 프레임으로 서로 연결하여 겐트리(gantry)형 전동리프트를 구성할 수도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건설용 중량구조물 이송용 전동리프트에 대한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 목적으로 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 : 대차부 11 : 휠
12 : 회전축 14 : 주행모터
15 : 기어박스 16 : 동력전달체인
20 : 지지빔 21 : 리프트베이스
22 : 가이드레일 30 : 리프트부재
31 : 리프트블록 32 : 회전유닛
33 : 고정블록 34 : 회전베어링
35 : 회전블록 36 : 시트블록
37 : 힌지축 41 : 스크류잭
42 : 너트부 43 : 리프트모터
44 : 기어박스 51 : 리미트센서
52 : 높이감지센서 53 : 지반감지센서
54 : 간격측정센서 55 : 컨트롤패널
12 : 회전축 14 : 주행모터
15 : 기어박스 16 : 동력전달체인
20 : 지지빔 21 : 리프트베이스
22 : 가이드레일 30 : 리프트부재
31 : 리프트블록 32 : 회전유닛
33 : 고정블록 34 : 회전베어링
35 : 회전블록 36 : 시트블록
37 : 힌지축 41 : 스크류잭
42 : 너트부 43 : 리프트모터
44 : 기어박스 51 : 리미트센서
52 : 높이감지센서 53 : 지반감지센서
54 : 간격측정센서 55 : 컨트롤패널
Claims (9)
- 중량구조물을 일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이송하는 건설용 중량구조물 이송용 전동리프트에 있어서,
지면(地面) 또는 레일을 따라 구르는 복수개의 휠(11)과, 상기 휠을 회전시키는 휠 구동유닛이 설치된 대차부(10)와;
상기 대차부(10)의 상부면에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빔(20)과;
상기 지지빔(20)을 따라 상하로 승강 운동하도록 설치되며, 상부에 이송 대상 중량구조물(C)이 안착되는 리프트부재(30)와;
상기 리프트부재(30)를 임의의 높이로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리프트부재(30)는, 양단이 상기 지지빔(20)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지지빔(20)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리프트블록(31)과, 상기 리프트블록(31)의 상부에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회전유닛(32)과, 상기 회전유닛(32) 상에 설치되어 중량구조물(C)을 지지하는 시트블록(36)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시트블록(36)은 상기 회전유닛(32)의 상부에 수평한 힌지축(37)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중량구조물 이송용 전동리프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유닛은, 상기 대차부(10)에 상하 방향으로 수직하게 설치되며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스크류잭(41)과, 상기 스크류잭(41)을 회전시키는 리프트모터(43)와, 상기 스크류잭(41)의 회전에 의해 스크류잭(41)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리프트부재(30)와 결합된 너트부(42)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중량구조물 이송용 전동리프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유닛은 상기 대차부(10)에 상하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끝단부가 리프트부재(30)에 연결된 유압젝과, 상기 유압젝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중량구조물 이송용 전동리프트.
- 삭제
- 삭제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빔(20)의 상단부와 하단부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리프트부재(30)의 상한 위치와 하한 위치를 감지하여 승강구동유닛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리미트센서(51)와, 전동리프트의 정지 상태에서 상기 리프트부재(30)의 높이를 감지하여 승강구동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높이감지센서(52)와, 전동리프트의 운행 중 지반 침하 등에 의한 높이 변화를 감지하여 전동리프트의 운행을 중지시키는 지반감지센서(53)와, 여러 대의 전동리프트를 동시에 사용하여 중량구조물(C)을 이송할 때 각 전동리프트 간의 간격을 측정하여 전동리프트들의 동기 이동이 이루어지는지를 감시하는 간격측정센서(5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전동리프트의 작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휠 구동유닛 또는 승강구동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감지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중량구조물 이송용 전동리프트.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빔(20)과 리프트부재(30) 및 승강구동유닛은 상기 대차부(10) 상부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리프트베이스(21) 상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중량구조물 이송용 전동리프트.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부(10)와 리프트베이스(21) 사이에는 일정 높이의 높이조정용 벤트(6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중량구조물 이송용 전동리프트.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리프트는 복수개가 병렬 구성되며, 각각의 전동리프트들은 겐트리 프레임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겐트리(gantry)형 전동리프트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중량구조물 이송용 전동리프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53752A KR101201878B1 (ko) | 2011-06-03 | 2011-06-03 | 건설용 중량구조물 이송용 전동리프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53752A KR101201878B1 (ko) | 2011-06-03 | 2011-06-03 | 건설용 중량구조물 이송용 전동리프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01878B1 true KR101201878B1 (ko) | 2012-11-15 |
Family
ID=47564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53752A KR101201878B1 (ko) | 2011-06-03 | 2011-06-03 | 건설용 중량구조물 이송용 전동리프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01878B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97988A (ko) * | 2017-02-24 | 2018-09-03 | 박용오 | 부품 박스 승강용 리프트 |
CN109795867A (zh) * | 2019-03-12 | 2019-05-24 | 广东合一新材料研究院有限公司 | 服务器自动装卸装置 |
CN110077987A (zh) * | 2019-05-29 | 2019-08-02 | 四川福德机器人股份有限公司 | 一种柔性升降系统 |
CN114751344A (zh) * | 2022-05-09 | 2022-07-15 | 山东新活新材料科技有限公司 | 一种铝合金爬架辅助移动提升设备及使用方法 |
CN114850849A (zh) * | 2022-05-09 | 2022-08-05 | 沈阳鼓风机集团核电泵业有限公司 | 一种用于重型螺栓/螺母的倒悬安装装置 |
CN116675139A (zh) * | 2023-06-02 | 2023-09-01 | 浙江晋正自动化工程有限公司 | 重型低位双臂双工升降机 |
-
2011
- 2011-06-03 KR KR1020110053752A patent/KR101201878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97988A (ko) * | 2017-02-24 | 2018-09-03 | 박용오 | 부품 박스 승강용 리프트 |
KR101926250B1 (ko) * | 2017-02-24 | 2019-02-26 | 박용오 | 부품 박스 승강용 리프트 |
CN109795867A (zh) * | 2019-03-12 | 2019-05-24 | 广东合一新材料研究院有限公司 | 服务器自动装卸装置 |
CN110077987A (zh) * | 2019-05-29 | 2019-08-02 | 四川福德机器人股份有限公司 | 一种柔性升降系统 |
CN110077987B (zh) * | 2019-05-29 | 2024-04-26 | 四川福德机器人股份有限公司 | 一种柔性升降系统 |
CN114751344A (zh) * | 2022-05-09 | 2022-07-15 | 山东新活新材料科技有限公司 | 一种铝合金爬架辅助移动提升设备及使用方法 |
CN114850849A (zh) * | 2022-05-09 | 2022-08-05 | 沈阳鼓风机集团核电泵业有限公司 | 一种用于重型螺栓/螺母的倒悬安装装置 |
CN114850849B (zh) * | 2022-05-09 | 2023-11-21 | 沈阳鼓风机集团核电泵业有限公司 | 一种用于重型螺栓/螺母的倒悬安装装置 |
CN114751344B (zh) * | 2022-05-09 | 2024-02-09 | 山东新活新材料科技有限公司 | 一种铝合金爬架辅助移动提升设备及使用方法 |
CN116675139A (zh) * | 2023-06-02 | 2023-09-01 | 浙江晋正自动化工程有限公司 | 重型低位双臂双工升降机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01878B1 (ko) | 건설용 중량구조물 이송용 전동리프트 | |
KR20140057756A (ko) | 건설토목용 중량구조물 이송용 자주식 전동리프트 | |
CN110655015B (zh) | 一种用于地铁隧道维护的无轨自行式平台车 | |
CN113202020B (zh) | 一种适用于箱型拱肋检查的拱肋检修车 | |
CN104003324B (zh) | 一种用于重型工件输送的升降机 | |
KR20140052554A (ko) | 건설토목용 중량구조물 이송용 자주식 전동리프트 | |
CN108557692A (zh) | 一种二级丝杆升降台车 | |
CN111302221A (zh) | 一种预制装配整体式地下综合管廊底座吊装机械 | |
JP2012532259A (ja) | 車両の駐車場ビルエレベータシステム | |
CN100417586C (zh) | 大型桥式起重机整体提升方法及其设备 | |
CN111254974A (zh) | 管廊施工中楼板运输安装工法 | |
CN117886229B (zh) | 一种多功能一体化轨道式起吊机构 | |
CN111362200B (zh) | 用于高空作业车的车载自找平作业装置 | |
CN208380117U (zh) | 悬挑钢梁的全自动矫正装置 | |
CN213795145U (zh) | 用于安装拆卸辊压机用减速机的辅助装置 | |
CN207684746U (zh) | 一种移动式链条防爆电动葫芦 | |
CN113620157B (zh) | 一种成品管桩多用途起重机 | |
CN215405581U (zh) | 一种适用于箱型拱肋检查的拱肋检修车 | |
CN203903900U (zh) | 一种用于重型工件输送的升降机 | |
CN112589421A (zh) | 一种辊压机用减速机的安装拆卸装置和安装拆卸方法 | |
KR101213377B1 (ko) | 교량 상판의 리프트-런칭 공법 및 이를 위한 리프트-런칭 장치 | |
CN108358106B (zh) | 一种基于触摸北斗定位的桥梁智能转体施工控制系统 | |
CN219794783U (zh) | 一种用于装配式建筑的辅助装配装置 | |
CN215210255U (zh) | 一种运输车 | |
CN118684121B (zh) | 一种桥梁工程施工用吊运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0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08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