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1952B1 - 컬러시프트 저감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컬러시프트 저감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81952B1 KR101181952B1 KR1020110014160A KR20110014160A KR101181952B1 KR 101181952 B1 KR101181952 B1 KR 101181952B1 KR 1020110014160 A KR1020110014160 A KR 1020110014160A KR 20110014160 A KR20110014160 A KR 20110014160A KR 101181952 B1 KR101181952 B1 KR 10118195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yer
- color shift
- liquid crystal
- lens
- display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8—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by changing the viewing angle properties, e.g. widening the viewing angle, adapting the viewing angle to the view direction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73—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gamma adjustment, e.g. selecting another gamma curv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컬러시프트 저감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면편광층과 후면편광층의 사이에 액정층을 구비하고, 상기 액정층과 상기 전면편광층의 사이에 컬러시프트 저감층을 구비하되, 상기 컬러시프트 저감층은, 층을 이루는 코팅 도막층과 상기 코팅 도막층에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음각 렌즈부를 포함하고, 상기 액정층의 복굴절 특성으로 인하여 시청각도 및 계조수준에 따라 다른 색으로 상기 액정층으로부터 출사되는 빛 중, 렌즈부에 입사된 빛의 출사 방향을 분산시켜, 서로 이격된 상기 렌즈부 사이를 통과하는 빛과 혼합시킨다. 상기 컬러시프트 저감층은 상기 액정층과 상기 전면편광층의 사이에 구비되는 전면투명기판이거나,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투명기판과 상기 전면편광층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액정층과 전면편광층 사이에 컬러시프트 저감층을 가지는 컬러시프트 저감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가 고도로 정보화 되어감에 따라서 이미지 디스플레이(image display) 관련 부품 및 기기가 현저하게 진보하고 보급되고 있다. 그 중에서,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텔레비전 장치용, 퍼스널 컴퓨터의 모니터장치용, 등으로서 현저하게 보급되고 있으며, 대형화와 박형화가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는 액정(Liquid Crystal)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평판 표시 장치의 하나로써,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해 얇고 가벼우며, 낮은 구동전압 및 낮은 소비전력을 갖는 장점이 있어, 산업 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LCD의 기본 구조와 구동 원리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종래의 VA 모드 LCD를 예로 들면, 두 개의 편광층(110, 120)의 광축이 서로 수직이 되도록 부착되어 있다. 투명 전극(140)이 코팅된 두 개의 전면투명기판 및 후면투명기판 (130) 사이에 복굴절 특성을 보이는 액정층(150)이 위치된다. 구동 전원부(180)에 의해 전기장이 인가되면, 액정분자가 전기장에 수직으로 움직여 배열된다.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나오는 빛은 후면편광층(120)을 통과한 후 선편광이 되고, 도 1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off 상태인 경우 액정은 투명기판에 대해 수직 배향되어 있으므로, 선편광된 빛은 그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어 후면편광층(120)과 수직인 전면편광층(110)을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
한편 도 1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on 상태인 경우 액정은 전기장에 의해 투명기판과 평행한 방향으로 두 직교 편광층(110, 120)의 광축 사이에 수평 배향되어 있어서 후면편광층을 통해 선편광된 빛은 액정층을 통과하면서 전면편광층에 도달하기 직전에 편광 상태가 90도 회전된 선편광, 원편광 또는 타원편광 상태로 변화하여 전면편광층을 통과하게 된다. 전기장의 세기를 조절하면 액정의 배열 상태가 수직 배향에서 점차 수평 방향으로 배향 각도가 변화하며 이때 나오는 빛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 2는 시청각에 따른 액정의 배향 상태와 광투과도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화소(220) 내에 액정분자가 일정한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경우, 시청각에 따라 배열 상태가 다르게 보이게 된다.
정면의 좌측에서 바라볼 때(210), 액정분자의 배열 상태는 거의 수평 배향(212)으로 보이게 되며, 화면이 상대적으로 밝게 보이게 된다. 화면의 정면에서 볼 때(230), 액정분자의 배열 상태(232) 화소(220) 내의 액정분자의 배열과 동일하게 보인다. 정면의 우측에서 바라볼 때(250), 액정분자의 배열 상태는 수직 배향(252)으로 보이게 되며, 화면이 상대적으로 어둡게 보이게 된다.
따라서, LCD는 시청각 변화에 따른 빛의 세기와 색의 변화가 발생하며 자발광 디스플레이에 비해 시야각이 크게 제한된다. 따라서, 시야각 개선을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도 3은 시청각에 따른 명암비 변화 및 컬러 시프트를 개선하기 위한 종래 기술의 일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화소를 두 개의 부분 화소, 즉 제1 화소부(320)과 제2 화소부(340)로 분할하여 각 화소부의 액정 배열 상태가 서로 대칭이 되도록 한다. 시청자가 보는 방향에 따라 제1 화소부(320)에서의 액정의 배열 상태와 제2 화소부(340)에서의 액정의 배열 상태가 동시에 보이게 되며, 시청자에게 보이는 빛의 세기는 각각의 화소부의 빛의 세기의 합이 된다.
즉, 정면의 좌측에서 바라볼 때(310), 제1 화소부(320)의 액정은 수평 배향(312)으로 보이고 제2 화소부(340)의 액정은 수직 배향(314)으로 보이게 되며, 제1 화소부(320)에 의해 화면이 밝게 보일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정면의 우측에서 바라볼 때(350), 제1 화소부(320)의 액정은 수직 배향(352)으로 보이고 제2 화소부(340)의 액정은 수평 배향(354)으로 보이게 되며, 제2 화소부(340)에 의해 화면이 밝게 보일 수 있게 된다. 정면에서 볼 때(330)는 각 화소부의 배열 상태와 동일하게 보이게 된다. 이에 따라 시청자가 볼 때 화면의 밝기는 시청각이 변함에 따라 동일 또는 유사해지며 화면에 대한 수직 방향을 중심으로 대칭이 된다. 따라서, 시청각 변화에 따른 명암비 변화 및 색변화 정도가 개선될 수 있게 된다.
도 4는 시청각에 따른 명암비 변화 및 컬러 시프트를 개선하기 위한 종래 기술의 다른 일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복굴절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 특성이 LCD 패널에서 화소(440) 내의 액정분자와 동일하며, 액정분자의 배열 상태와 대칭이 되는 광학필름(420)이 추가된다. 시청자가 보는 방향에 따라 화소(440) 내의 액정의 배열 상태와 광학필름(420)의 복굴절 특성으로 인해, 시청자에게 보이는 빛의 세기는 각각에 의한 빛의 세기의 합이 된다.
즉, 정면의 좌측에서 바라볼 때(410), 화소(440) 내의 액정은 수평 배향(414)으로 보이고 광학필름(420)에 의한 가상 액정은 수직 배향(412)으로 보이게 되며, 빛의 세기는 각각의 합이 된다. 마찬가지로, 정면의 우측에서 바라볼 때(450), 화소(440) 내의 액정은 수직 배향(454)으로 보이고 광학필름(420)에 의한 가상 액정은 수평 배향(452)으로 보이게 되며, 빛의 세기는 각각의 합이 된다. 정면에서 볼 때(430)는 화소(440) 내의 액정분자의 배열 상태와 광학필름(420)의 배열 상태가 각각 동일하게 보이게 된다(432, 434).
그러나 상기 기술에 의하더라도, 여전히 시청각에 따른 컬러 시프트(color shift)는 존재하여 시청각이 증가함에 따라 색변화가 일어나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 특히 TN 모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감마 커브 왜곡 및 계조 반전이 일어나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시청각 증가에 따른 컬러 시프트 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감마 커브 왜곡 및 계조반전을 개선할 수 있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컬러시프트 현상을 개선하면서도, 헤이즈 발생 억제를 통하여 명실명암비 저하를 개선하고, 이중상을 억제할 수 있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면편광층과 후면편광층의 사이에 액정층을 구비하고, 상기 액정층과 상기 전면편광층의 사이에 컬러시프트 저감층을 구비하되, 상기 컬러시프트 저감층은, 층을 이루는 코팅 도막층과 상기 코팅 도막층에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음각 렌즈부를 포함하고, 상기 액정층의 복굴절 특성으로 인하여 시청각도 및 계조수준에 따라 다른 색으로 상기 액정층으로부터 출사되는 빛 중, 렌즈부에 입사된 빛의 출사 방향을 분산시켜, 서로 이격된 상기 렌즈부 사이를 통과하는 빛과 혼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시프트 저감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컬러시프트 저감층은 전면투명기판일 수 있다.
상기 컬러시프트 저감층은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투명기판과 상기 전면편광층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시청각 증가에 따른 컬러 시프트 현상을 최소화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야각을 확보하고 화질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감마 커브 왜곡 및 계조반전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이중상 발생을 억제하고, 헤이즈 발생 억제 및 명실명암비 향상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LCD의 기본 구조와 구동 원리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시청각에 따른 액정의 배향 상태와 광투과도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3은 시청각에 따른 명암비 변화 및 컬러 시프트를 개선하기 위한 종래 기술의 일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4는 시청각에 따른 명암비 변화 및 컬러 시프트를 개선하기 위한 종래 기술의 다른 일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비교실시예들에 따른 컬러시프트 저감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는 비교실시예에 따른 컬러시프트 저감층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렌즈부의 깊이/폭의 비와 컬러시프트 개선율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렌즈부의 간격/피치의 비와 컬러시프트 개선율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렌즈부의 간격/피치의 비와 투과율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7는 렌즈부의 단면의 모양과 이중상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 내지 도 23은 비교실시예에 따른 컬러시프트 저감층을 디스플레이 패널과 밀착되게 설치하여, 이중상 및 헤이즈 발생을 억제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4 내지 도 27는 CCFL BLU 및 TN 패널을 채용한 LCD 모니터(모델명: B2440MH)에서, 비교실시예의 컬러시프트 저감층에 의한 컬러시프트 개선과 계조 반전 및 감마 커브 왜곡의 개선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8 내지 도 31은 LED BLU 및 TN 패널을 채용한 LCD 모니터(모델명: BX2440)에서, 비교실시예의 컬러시프트 저감층에 의한 컬러시프트 개선과 계조 반전 및 감마 커브 왜곡의 개선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2 내지 도 35는 S-PVA 패널을 채용한 46인치 LCD TV(모델명: LH46CSPLBC)에서, 비교실시예의 컬러시프트 저감층에 의한 컬러시프트 개선과 감마 커브 왜곡의 개선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6은 비교실시예의 컬러시프트 저감층을 구비하지 않은 S-IPS 모드 LCD TV의 색변화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7는 도 36의 LCD TV에 자가 점착성을 갖는 비교실시예의 컬러시프트 저감층을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하고, 색변화 개선율을 측정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38 내지 도 40은 렌즈부의 사이즈와 이중상 발생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1은 렌즈부의 사이즈와 모아레 발생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2 및 도 4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터들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시청각에 따른 액정의 배향 상태와 광투과도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3은 시청각에 따른 명암비 변화 및 컬러 시프트를 개선하기 위한 종래 기술의 일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4는 시청각에 따른 명암비 변화 및 컬러 시프트를 개선하기 위한 종래 기술의 다른 일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비교실시예들에 따른 컬러시프트 저감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는 비교실시예에 따른 컬러시프트 저감층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렌즈부의 깊이/폭의 비와 컬러시프트 개선율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렌즈부의 간격/피치의 비와 컬러시프트 개선율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렌즈부의 간격/피치의 비와 투과율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7는 렌즈부의 단면의 모양과 이중상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 내지 도 23은 비교실시예에 따른 컬러시프트 저감층을 디스플레이 패널과 밀착되게 설치하여, 이중상 및 헤이즈 발생을 억제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4 내지 도 27는 CCFL BLU 및 TN 패널을 채용한 LCD 모니터(모델명: B2440MH)에서, 비교실시예의 컬러시프트 저감층에 의한 컬러시프트 개선과 계조 반전 및 감마 커브 왜곡의 개선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8 내지 도 31은 LED BLU 및 TN 패널을 채용한 LCD 모니터(모델명: BX2440)에서, 비교실시예의 컬러시프트 저감층에 의한 컬러시프트 개선과 계조 반전 및 감마 커브 왜곡의 개선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2 내지 도 35는 S-PVA 패널을 채용한 46인치 LCD TV(모델명: LH46CSPLBC)에서, 비교실시예의 컬러시프트 저감층에 의한 컬러시프트 개선과 감마 커브 왜곡의 개선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6은 비교실시예의 컬러시프트 저감층을 구비하지 않은 S-IPS 모드 LCD TV의 색변화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7는 도 36의 LCD TV에 자가 점착성을 갖는 비교실시예의 컬러시프트 저감층을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하고, 색변화 개선율을 측정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38 내지 도 40은 렌즈부의 사이즈와 이중상 발생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1은 렌즈부의 사이즈와 모아레 발생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2 및 도 4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터들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비교 실시예>
이하에서는 비교 실시예를 설명한다. 비교 실시예를 통하여, 컬러시프트 저감층의 컬러시프트 저감의 원리를 먼저 살펴본다. 이어서, 컬러시프트 저감층으로 인한 이중상 및 헤이즈 발생을 억제하는 방안에 대해서 살펴보고, 컬러시프트 저감층이 감마 커브 왜곡 및 계조 반전의 개선에 효과적임을 살펴본다.
도 5 및 도 6은 비교실시예에 따른 컬러시프트 저감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의 컬러시프트 저감층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전방에 구비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컬러시프트 저감층(20)은 코팅 도막층(21)과 렌즈부(23)를 구비한다.
코팅 도막층(21)는 광을 투과시키는 물질이 층을 이루어 형성된다. 코팅 도막층(21)은 투명 고분자 수지, 특히 자외선 경화성 투명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렌즈부(23)는 소정 깊이로 음각으로 코팅 도막층(21)에 형성된다. 렌즈부는 광을 굴절시켜, 컬러시프트를 개선한다. 렌즈부(23)는 색혼합(color mixing) 효과에 의해, 시청각이 증가함에 따라 색변화를 감소시킨다. 렌즈부 간 간격에 비해 렌즈부의 폭이 작도록 하여 디스플레이 패널 면의 법선 방향으로 방출되는 빛을 많이 투과시킬 수 있다.
렌즈부는 디스플레이 패널 면의 법선 방향으로 발광되는 빛의 방향을 변화하여 법선에 벗어나는 방향으로 변경시키고, 디스플레이 패널 면의 법선에 벗어나는 방향으로 나오는 빛의 일부를 법선 방향으로 변경시킨다. 즉, 렌즈부가 시청각에 따라 발광되는 빛의 방향을 변화시킴으로써, 색혼합을 유도하여 컬러시프트를 개선할 수 있다.
렌즈부(23)는 다각형단면 스트라이프 패턴, 다각형단면 물결 패턴, 다각형단면 매트릭스 패턴, 다각형단면 벌집 패턴, 다각형단면 도트 패턴, 다각형단면 동심원 패턴, 반원형단면 스트라이프 패턴, 반원형단면 물결 패턴, 반원형단면 매트릭스 패턴, 반원형단면 벌집 패턴, 반원형단면 도트 패턴, 반원형단면 동심원 패턴, 반타원형단면 스트라이프 패턴, 반타원형단면 물결 패턴, 반타원형단면 매트릭스 패턴, 반타원형단면 벌집 패턴, 반타원형단면 도트 패턴, 반타원형단면 동심원 패턴, 반오벌(oval)단면 스트라이프 패턴, 반오벌단면 물결 패턴, 반오벌단면 매트릭스 패턴, 반오벌단면 벌집 패턴, 반오벌단면 도트 패턴, 반오벌단면 동심원 패턴 중 어느 하나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다각형단면은, 삼각형단면, 사다리꼴단면, 사각형단면, 등일 수 있다. 또한, 반오벌단면은 원호 및 타원호 이외의 기타 곡선 궤적을 그릴 수 있다. 또한, 반원형, 반타원형 및 반오벌은, 각각 원형, 타원형 및 오벌을 정확히 1/2로 나눈 도형을 의미하는 것뿐만 아니라, 렌즈부의 단면 중 일부가 원호, 타원호, 포물선을 포함하는 도형을 의미한다. 즉, 양변이 타원호이고 바텀(Bottom)이 직선인 도형도 상기 반타원형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비교실시예의 컬러시프트 저감층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단면이 좌우 대칭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예컨대 스트라이프 패턴의 경우에도, 수평 스트라이프 패턴, 수직 스트라이프 패턴, 등 다양한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하 시청각 보상에 효과적이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좌우 시청각 보상에 효과적이다.
모아레 현상의 방지를 위하여, 렌즈부(23)는 코팅 도막층(21)의 변에 대하여 소정의 바이어스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스트라이프 패턴의 경우, 스트라이프가 수평 또는 수직 방향에 대하여 소정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렌즈부(23)는 바람직하게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부가 코팅 도막층(21)의 일면에 일정한 주기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열된다.
렌즈부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마주하는 코팅 도막층의 배면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시청자를 마주하는 코팅 도막층의 전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렌즈부는 코팅 도막층의 양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렌즈부는 서로 이격되게 복수 개가 형성된다. 여기서, 복수 개의 의미는, 코팅 도막층의 단면을 기준으로 광을 굴절시키는 렌즈부가 서로 이격되게 복수 개가 형성되고, 렌즈부들 사이에 광을 투과시키는 코팅 도막층의 평탄면이 존재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예컨대 반타원형단면 매트릭스 패턴의 렌즈부를, 코팅 도막층의 전면에서 바라보면 매트릭스 패턴의 단일 렌즈부로 볼 수 있지만, 코팅 도막층의 단면을 기준으로는 반타원형단면 렌즈부가 서로 이격되게 복수 개가 형성되는 것이다.
도 8는 비교실시예의 컬러시프트 저감층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코팅 도막층(21)은 지지체(25)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지지체(25)는 자외선 투과성을 가지는 투명한 수지 필름 또는 유리 기판이 바람직하다. 지지체의 재질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염화비닐(PVC), TAC(TriAcetate Cellulos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지지체의 굴절률은 코팅 도막층의 굴절률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렌즈부(23)를 형성하는 방법은, 지지체(25)의 일면에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도포한 후, 자외선을 조사하면서 렌즈부의 거울 상이 표면에 형성된 성형 롤을 이용하여 자외선 경화성 수지에 음각홈을 형성한다. 그 후, 다시 자외선 경화성 수지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최종적으로 렌즈부(23)가 형성된 코팅 도막층(21)을 완성한다.
그러나, 비교실시예의 컬러시프트 저감층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한 열프레스법이나,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를 충전하여 성형하는 사출 성형법,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코팅 도막층의 음각홈을 얻을 수 있다.
도 9는 렌즈부의 깊이(D)/폭(W)의 비와 컬러시프트 개선율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눈으로 구별되는 컬러시프트 정도는 =0.004 이상이다. 따라서, 시청각 0도에서 60도 사이에서 최대 =0.02 수준의 컬러시프트를 갖는 디스플레이 패널(컬러시프트 특성이 가장 우수한 S-IPS 패널 기준)이 눈으로 구별되는 컬러시프트 개선 효과를 보이기 위해서는 적어도 색변화(color shift) 개선율이 20% 이상(최대 =0.016 이하)이어야 한다. 도 9의 그래프에서 색변화 개선율이 20% 이상이 되려면 렌즈부 깊이/폭의 비가 0.25 이상이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렌즈부의 깊이/렌즈부의 폭의 비가 6을 초과하면, 통상적인 렌즈부 형성 방법으로는 필름의 제조가 불가능하므로, 렌즈부의 깊이/렌즈부의 폭은 6 이하가 되어야 한다.
도 10은 렌즈부의 간격(c)/피치(P)의 비와 컬러시프트 개선율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마찬가지로, 도 10의 그래프에서 컬러시프트 개선율이 20% 이상이 되려면, 렌즈부 간 간격/렌즈부의 피치의 비는 0.95 이하이어야 한다.
도 11은 렌즈부의 간격(C)/피치(P)의 비와 투과율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의 그래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렌즈부 간 간격/렌즈부 피치의 비가 클수록 필름 투과율은 상승한다. 필름 투과율이 50% 이상이 되어야 상품으로 가치가 있으며 투과율이 50%이상이 되려면 렌즈부 간 간격/렌즈부 피치의 비가 0.5 이상 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 10 및 도 11의 그래프로부터 바람직한 렌즈부 간 간격/렌즈부 피치는 0.5~0.95가 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7는 렌즈부의 단면의 모양과 이중상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부(렌즈부의 폭 27㎛, 깊이 81㎛, 피치 90㎛)의 곡률을 변화시키면서, 이중상(ghost)을 관찰한 결과 반타원형 단면을 갖는 렌즈부가 이중상 발생을 가장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반타원형에서 삼각형으로 갈수록, 즉 곡률이 감소할수록 고스트(허상)가 또렷하게 관찰된다. 도 13 내지 도 17는 원상의 휘도와 허상의 휘도 분포를 비교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 내지 도 20은 컬러시프트 저감층이 디스플레이 패널과 이격되어 설치되는 경우, 이중상 및 헤이즈가 발생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비교실시예의 컬러시프트 저감층을 디스플레이 패널 앞에 장착하는 경우,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컬러시프트 저감층이 디스플레이 패널으로부터 이격되고 그 거리가 커질수록 이중상이 뚜렷하다. 도 19은 컬러시프트 저감층이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된 경우 이중상이 발생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러한 이중상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영상을 왜곡시키게 된다. 이에 컬러시프트를 저감시키면서도, 이중상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이에 더하여, 컬러시프트 저감층이 디스플레이 패널과 이격되어 설치되는 경우, 전술한 이중상의 문제뿐 아니라,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부 사이의 평탄면과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반사되어 나오는 외광을 렌즈부가 확산시켜 헤이즈가 발생하는 문제도 갖는다. 즉, 컬러시프트 저감층과 디스플레이 패널로 입사한 외광이 컬러시프트 저감층과 공기(컬러시프트 저감층과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의 공기) 사이의 계면, 그리고 공기와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의 계면에서 반사 또는 다중 반사된 후 렌즈부에 입사되고 그리고 나서 확산되어 헤이즈가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은 명실명암비를 떨어뜨려 패널의 시인성을 저하시킨다. 이에, 컬러시프트 저감층의 이중상 발생 및 헤이즈 발생을 개선할 수 있는 해결책이 요구된다.
도 21 내지 도 23은 컬러시프트 저감층의 이중상 및 헤이즈 제거의 방안들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21는 비교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2는 도 21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이중상이 제거됨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3은 다른 비교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컬러시프트 저감층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밀착시킴으로써, 이중상 및 헤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1과 같이 컬러시프트 저감층을 점착제(31)를 매개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에 점착하거나, 도 23과 같이, 자가 점착성을 갖는 물질로 코팅 도막층을 형성하고 그 코팅 도막층을 디스플레이 패널에 직부착시킴으로써, 이중상 및 헤이즈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투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컬러시프트 저감층이 디스플레이 패널에 점착됨이 없이 단순 밀착되어, 그 사이에 공기층이 개재되지 않도록 하는 것도 효과가 있다. 컬러시프트 저감층이 디스플레이 패널과 밀착된 경우 이중상과 원상의 간격이 매우 작아서 구분하기 어렵다.
이때, 렌즈부는 시청자 측이 아닌 디스플레이 패널측을 향하는 것이 헤이즈 저감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이는 컬러시프트 저감층이 디스플레이 패널과 이격되어 설치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여기서, 자가 점착성을 갖는 코팅 도막층은, 자외선으로 경화가 가능한 투명 탄성 중합체(elastomer)로 이루어져 쉽게 디스플레이 패널과 직부착될 수 있다. 재료로는 아크릴계 일레스토머, 실리콘(silicone)계 일레스토머(PDMS), 우레탄계 일레스토머, 폴리비닐부티랄(PMB) 일레스토머, 에틸렌-아세트산비닐계(EVA) 일레스토머, 폴리비닐에테르계 일레스토머, 포화무정형 폴리에스테르계 일레스토머, 멜라민수지계 일레스토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아래 표 1은 컬러시프트 저감층이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와, 도 21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외광에 의한 헤이즈를 측정한 결과를 보여준다.
샘플 | 시청각 60도에서 측정한 휘도값 |
블랙 패널 | 1.73 nit |
디스플레이 패널/공기/반타원형단면 렌즈부의 컬러시프트 저감층 | 12.27 nit |
디스플레이 패널/PSA/반타원형단면 렌즈부의 컬러시프트 저감층 | 2.58 nit |
디스플레이 패널/공기/PET 필름 | 3.87 nit |
측정 방법은 외광 D65 240 lux 조건에 흑색 기판에 샘플을 붙이고 좌우 시청각 60도에서, 반사되는 빛의 휘도를 측정하였다. 외광은 샘플의 위쪽에 존재하기 때문에, 정반사에 해당되는 부분은 샘플 아래쪽에서 관측이 가능하며, 난반사는 전(全) 방향에서 관측할 수 있다. 따라서, 샘플의 아래쪽이 아닌 측방 60도에서 난반사된 빛을 측정하여 외광에 의한 반사 헤이즈를 측정하였다.
컬러시프트 저감층이 디스플레이 패널에 점착(또는 직부착)된 경우, 측정된 반사 헤이즈는 2.58 nit로, 이격되어 공기층이 존재하는 경우에 비해 매우 적으며, 심지어 렌즈부를 갖지 않는 PET 필름과 비교하여서도 반사 헤이즈가 상당히 감소함을 알 수 있다.
도 24 내지 도 27는 CCFL BLU 및 TN 패널을 채용한 LCD 모니터(모델명: B2440MH)에서, 비교실시예의 컬러시프트 저감층에 의한 컬러시프트 개선과 계조 반전 및 감마 커브 왜곡의 개선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컬러시프트 개선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측정기기로 SS320 고니오미터(goniometer)를 사용하였다.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하 0~60도까지 10도 간격으로 색좌표를 측정하여 컬러시프트로 환산하여 도 24을 얻었고, 컬러시프트 저감층 샘플을 패널에 직부착한 후 동일하게 측정하여 도 25를 얻었다. 그 결과, 컬러시프트 개선율이 25.5%(상) 및 65.4%(하)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계조 반전 및 감마 커브 왜곡 개선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측정기기로 CS-1000을 사용하였다. 디스플레이 패널의 정면(0도) 및 상하 30도 50도 각도에서 W,R,G,B의 그레이 레벨별 휘도를 측정하여 도 26을 얻었고, 컬러시프트 저감층 샘플을 패널에 직부착한 후 동일하게 측정하여 도 27를 얻었다. 그 결과, 컬러시프트 저감층 적용시 감마 커브의 선형성이 회복되어 계조 반전 현상이 개선되며, 각도별 감마 커브간의 변화가 상당히 축소되며, 감마 곡선의 왜곡이 줄어듬을 알 수 있었다.
도 28 내지 도 31은 LED BLU 및 TN 패널을 채용한 LCD 모니터(모델명: BX2440)에서, 비교실시예의 컬러시프트 저감층에 의한 컬러시프트 개선과 계조 반전 및 감마 커브 왜곡의 개선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컬러시프트 개선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측정기기로 SS320 고니오미터(goniometer)를 사용하였다.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하 0~60도까지 10도 간격으로 색좌표를 측정하여 컬러시프트로 환산하여 도 28를 얻었고, 컬러시프트 저감층 샘플을 패널에 직부착한 후 동일하게 측정하여 도 29을 얻었다. 그 결과, 컬러시프트 개선율이 30.9%(상) 및 63.5%(하)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계조 반전 및 감마 커브 왜곡 개선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측정기기로 CS-1000을 사용하였다.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하 30도 50도 각도에서 W,R,G,B의 그레이 레벨별 휘도를 측정하여 도 30을 얻었고, 컬러시프트 저감층 샘플을 패널에 직부착한 후 동일하게 측정하여 도 31을 얻었다. 그 결과, 컬러시프트 저감층 적용시 감마 커브의 선형성이 회복되어 계조 반전 현상이 개선되며, 각도별 감마 커브간의 변화가 상당히 축소되며, 감마 곡선의 왜곡이 줄어듬을 알 수 있었다.
도 32 내지 도 35은 S-PVA 패널을 채용한 46인치 LCD TV(모델명: LH46CSPLBC)에서, 비교실시예의 컬러시프트 저감층에 의한 컬러시프트 개선과 감마 커브 왜곡의 개선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컬러시프트 개선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측정기기로 SS320 고니오미터(goniometer)를 사용하였다. 디스플레이 패널의 좌우 0~60도까지 10도 간격으로 색좌표를 측정하여 컬러시프트로 환산하여 도 32를 얻었고, 컬러시프트 저감층 샘플을 패널에 직부착한 후 동일하게 측정하여 도 33을 얻었다. 그 결과, 컬러시프트 개선율이 48.7%(좌) 및 53.7%(우)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감마 커브 왜곡 개선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측정기기로 CS-1000을 사용하였다. 디스플레이 패널의 정면과 좌측 30도 50도 각도에서 W,R,G,B의 그레이 레벨별 휘도를 측정하여 도 34을 얻었고, 컬러시프트 저감층 샘플을 패널에 직부착한 후 동일하게 측정하여 도 35를 얻었다. 그 결과, 컬러시프트 저감층 적용시 각도별 감마 커브간의 변화가 상당히 축소됨을 알 수 있었다.
도 36은 비교실시예의 컬러시프트 저감층을 구비하지 않은 S-IPS 모드 LCD TV의 색변화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7는 도 36의 LCD TV에 자가 점착성을 갖는 비교실시예의 컬러시프트 저감층(렌즈부의 폭 30㎛, 깊이 60㎛, 피치 83㎛, 반타원형 단면)을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하고, 색변화 개선율을 측정한 결과를 보여준다. 색변화 개선율은 50%를 나타내었다.
도 38 내지 도 40은 렌즈부의 사이즈와 이중상 발생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1은 렌즈부의 사이즈와 모아레 발생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을 디스플레이 패널과 밀착되게 설치하고, 렌즈부의 피치가 45㎛ 이하가 되도록 함으로써,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의 이중상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렌즈부의 깊이/폭의 비와 렌즈부 간 간격/피치의 비를 만족하면서, 피치가 45㎛ 이하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0.01㎛ 이하 크기의 렌즈부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한 빛의 반사, 굴절 또는 산란 효과에 의한 색 혼합(color mixing)보다는 필름의 굴절률과 공기의 굴절률의 중간인 박막처럼 작용하여 그 효과가 미미하기 때문에, 렌즈부의 피치는 0.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래 표 2는 각 샘플의 렌즈부의 사이즈를 나타낸다. 이때, 렌즈부의 깊이/폭의 비와 렌즈부 간 간격/피치의 비는 모두 동일하다.
샘플(sample) | 폭(Width)(㎛) | 깊이(Depth)(㎛) | 피치(Pitch)(㎛) |
#6_ref. | 20 | 62.5 | 90 |
#6_P1 | 10 | 31.25 | 45 |
#6_P2 | 6 | 18.75 | 27 |
#6_P3 | 4 | 12.5 | 18 |
도 38 내지 도 40은 원형(circular) 이미지를, 중심을 지나는 선을 따라 휘도를 측정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을 지나는 선과 이미지가 만나게 되는 두 교차점에서, 샘플 #6_ref.에서는 두 개의 피크가 나타나는데 반하여, 도 38의 샘플 #6_P1, 도 39의 샘플 #6_P2, 도 40의 샘플 #6_P3으로 갈수록, 이중상 발생이 저감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4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샘플 #6_ref.에서는 모아레가 발생되는데 반하여, 샘플 #6_P1에서는 모아레가 발생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 본 발명>
전술한 비교 실시예의 컬러시프트 저감층을 디스플레이 패널의 앞쪽에 배치함으로써 컬러시프트를 크게 개선시킬 수 있었다. 또한, 감마 커브 왜곡 및 계조 반전을 개선할 수 있었다. 더 나아가 컬러시프트 저감층을 디스플레이 패널의 앞쪽에 밀착시켜 배치함으로써, 이중상 및 헤이즈 문제를 해소할 수 있었다.
비교실시예의 컬러시프트 및 계조 반전 개선 그리고 이중상 및 헤이즈 저감의 원리 및 구성은, 본 발명에서도 핵심을 이룬다. 본 발명에서는 이에 더하여, 컬러시프트 저감층을 액정층에 더욱 가깝게 배치하여, i) 헤이즈 증가로 인한 화질의 sharpness 저하 및 명실명암비 저하, ii) 이중상 증가, 등의 문제를 더욱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도 42 및 도 4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컬러시프트 저감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들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은 전면편광층(15)과 후면편광층(19)의 사이에 액정층(11)을 구비한다. 액정층(11)과 전면편광층(15)의 사이에 컬러시프트 저감층(20)을 구비한다. 컬러시프트 저감층(20)은 액정층(11)의 복굴절 특성으로 인하여 시청각도 및 계조수준에 따라 다른 색을 액정층(11)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혼합하여 컬러시프트를 저감한다.
컬러시프트 저감층(20)은, 층을 이루는 코팅 도막층(21)과 코팅 도막층(21)에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음각 렌즈부(23)를 포함한다. 렌즈부(23)에 입사된 빛의 출사 방향을 분산시켜, 서로 이격된 렌즈부(23) 사이를 통과하는 빛과 혼합시켜, 컬러시프트를 저감한다.
컬러시프트 저감층(20)은 도 4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투명기판(13)일 수도 있다.
또한, 도 4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투명기판(13)과는 별도의 층으로서, 전면투명기판(13)과 전면편광층(15) 사이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컬러시프트 저감층(20)은, 점착제를 매개하여 전면투명기판(13)과 점착되거나, 자가 점착성을 가져 전면투명기판(13)에 직부착될 수 있다.
컬러시프트 저감층(20)은 지지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PC 필름, TAC 필름, 등과 같은 등방성 지지체 위에 아크릴, 실리콘, 등의 수지를 도포한 후 패터닝하여 컬러시프트 저감층(20)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체는 반드시 등방성 필름을 사용하여야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 내에서 비등방성의 지지체에 의하여 빛의 위상이 바뀌게 되어 빛샘(light leakage)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구조 | 정면 블랙 휘도 | 시청각 50도에서의 블랙 휘도 |
전면투명기판/렌즈부를 갖는 컬러시프트 저감층/전면편광층 | 1.2 nit | 3.4 nit |
전면투명기판/전면편광층/렌즈부를 갖는 컬러시프트 저감층 | 3.7 nit | 12.27 nit |
표 3은 명실 조건에서, 도 43의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블랙 휘도를 실험한 결과를 보여준다. 표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컬러시프트 저감층(20)이 전면투명기판(13)과 전면편광층(15)의 사이에 위치하였을 때, 낮은 블랙 휘도 값을 나타내고, 따라서, 명실명암비가 더욱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컬러시프트 저감층(20)에 의하여 화질 저하(이중상 생성, MTF(Modulation Transfer Function) 저하, 등) 및 명실명암비 저하 없이 정면 대비 측면에서 나타나는 색변화 및 계조 반전을 개선하며, 더 나아가 시야각을 개선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미설명 도면 부호 19는 후면투명기판을 나타낸다.
Claims (8)
-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전면편광층과 후면편광층의 사이에 액정층을 구비하고,
상기 액정층과 상기 전면편광층의 사이에 컬러시프트 저감층을 구비하되,
상기 컬러시프트 저감층은, 층을 이루는 코팅 도막층과 상기 코팅 도막층에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음각 렌즈부를 포함하고, 자가 점착성을 가져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투명기판에 직부착되고,
상기 액정층의 복굴절 특성으로 인하여 시청각도 및 계조수준에 따라 다른 색으로 상기 액정층으로부터 출사되는 빛 중, 렌즈부에 입사된 빛의 출사 방향을 분산시켜, 서로 이격된 상기 렌즈부 사이를 통과하는 빛과 혼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시프트 저감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시프트 저감층은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투명기판과 상기 전면편광층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시프트 저감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의 단면은 타원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시프트 저감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렌즈부의 깊이/렌즈부의 폭의 비가 0.2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시프트 저감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렌즈부 간 간격/렌즈부의 피치의 비가 0.5 ~ 0.9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시프트 저감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렌즈부의 피치가 4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시프트 저감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14160A KR101181952B1 (ko) | 2011-02-17 | 2011-02-17 | 컬러시프트 저감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14160A KR101181952B1 (ko) | 2011-02-17 | 2011-02-17 | 컬러시프트 저감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94721A KR20120094721A (ko) | 2012-08-27 |
KR101181952B1 true KR101181952B1 (ko) | 2012-09-11 |
Family
ID=46885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14160A KR101181952B1 (ko) | 2011-02-17 | 2011-02-17 | 컬러시프트 저감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81952B1 (ko) |
-
2011
- 2011-02-17 KR KR1020110014160A patent/KR10118195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94721A (ko) | 2012-08-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29544B1 (ko) |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1200770B1 (ko) |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1221470B1 (ko) |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1200769B1 (ko) |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 |
WO2012073929A1 (ja) | 液晶表示装置およびマルチ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 |
KR101208021B1 (ko) |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1208022B1 (ko) |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1195850B1 (ko) |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1718864B1 (ko) | 눈부심방지필름,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장치 | |
KR101200768B1 (ko) |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1181952B1 (ko) | 컬러시프트 저감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 |
JP2007171539A (ja) | 光学フィルム、液晶パネル及び液晶表示装置 | |
US11054697B2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plural display panels and surface irregularities | |
KR101490775B1 (ko) | 액정표시장치용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 |
KR20100128385A (ko) | 컬러시프트저감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컬러시프트저감필름 제작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