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76301B1 - 핸드폰 카메라 자가촬영 원격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핸드폰 카메라 자가촬영 원격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6301B1
KR101176301B1 KR1020110003409A KR20110003409A KR101176301B1 KR 101176301 B1 KR101176301 B1 KR 101176301B1 KR 1020110003409 A KR1020110003409 A KR 1020110003409A KR 20110003409 A KR20110003409 A KR 20110003409A KR 101176301 B1 KR101176301 B1 KR 101176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switch
holder
camera
shoo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3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2110A (ko
Inventor
기 연 김
Original Assignee
기 연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 연 김 filed Critical 기 연 김
Priority to KR1020110003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6301B1/ko
Priority to US13/979,693 priority patent/US20130293731A1/en
Priority to PCT/KR2011/008181 priority patent/WO2012096433A1/ko
Publication of KR20120082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2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6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63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3Constructional details, e.g. casings, housings
    • H04B1/034Portable transmitters
    • H04B1/0346Hand-held transmit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77Arrangements for enabling portable transceivers to be used in a fixed position, e.g. cradles or boos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드폰 카메라 자가 촬영 거리를 확대 하기 위한 장치로서, 핸드폰 카메라 자가 촬영 시 손으로 스위치를 작동 시켜야 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자가 촬영 한계 거리를 확대시키기 위하여 적외선과 전자석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핸드폰의 카메라 스위치를 작동 시키기 위한 핸드폰 카메라 자가촬영 원격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핸드폰 카메라 자가촬영 원격 제어 장치 {A remote controller for self-shooting photograph}
본 발명은 핸드폰 카메라 자가촬영을 위한 적외선 원격 제어 장치로서, 핸드폰 카메라 자가 촬영시 손으로 스위치를 작동 시켜야 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한계 거리를 확대시키기 위하여 무선으로 핸드폰의 카메라 스위치를 작동 시키기 위한 핸드폰 카메라 자가촬영 원격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핸드폰에는 카메라가 내장 되어 있으며, 핸드폰 카메라 자가 촬영이 하나의 문화로서 자리 잡고 있다. 자가 촬영은 가정에서 뿐만 아니라 여행 중에도 남에게 부탁 하지 않고 자유롭게 자신만의 사진을 찍을 수 있는 잇점이 있기 때문에 앞으로 더욱 활용도가 높아 질 것이다.
핸드폰에는 자기 사진 촬영을 위한 카메라 렌즈와 동영상 촬영을 위한 렌즈가 서로 반대 방향에 있다. 카메라를 작동시키기 위하여는 반드시 핸드폰의 특정 스위치를 손 또는 손을 이용한 도구로 물리적인 조작을 해야만 한다. 따라서 자신의 손이 뻗을 수 있는 근거리 촬영만 가능하고, 근거리 촬영 시에는 렌즈의 특성 상 얼굴이 일그러지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사진에 자신의 얼굴이 항상 크게 찍히며 그 거리에서 가족 사진 등 여러 명을 대상으로 한 촬영은 불가능 하다.
최근에 도 1에서와 같이 일반 카메라의 삼각대를 개선한 손잡이 형 삼각대가 개발 되어 있어서 이는 카메라 자가 촬영 거리 확대를 위한 유용한 기술이기는 하나, 이는 단순히 촬영 거리만을 늘리기 위한 기술로서 카메라 촬영 스위치에 대한 작동 기능이 없어서 사진을 찍기 위해서는 카메라에 내장된 셀프타이머를 활용 해야 하기 때문에 자가 촬영시 셀프 타이머 기능이 없는 핸드폰에는 적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최근의 핸드폰은 스위치 기능을 버튼식에서 진전된 단계인 스크린 터치식으로 장착 하고 있으며, 스크린 터치식은 스크린에 가하는 압력을 감지하여 작동 되는 감압식과 스크린에 접촉하는 정전기의 변화를 감지하여 작동 되는 정전기식이 일반적으로 사용 된다. 또한 이러한 터치 스크린을 손으로 작동할 때의 불편함을 해소 하기 위하여 스크린 터치펜이 개발 되어 있기도 하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의 스위치 기능 또한 사람의 손 또는 사람의 손을 이용한 도구를 직접 이용 해야만 작동 되는 한계를 극복하지 못 하고 있어서 핸드폰 자가 촬영시의 기존 문제점은 개선 되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상술한 제 결점들을 해소 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기존의 적외선 무선 제어 기술과 함께 전자석을 이용하여 핸드폰의 카메라 촬영 스위치를 원격에서 작동 시키므로서 자가 촬영의 거리를 확장 하는 기술을 제공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적외선 발신기, 적외선 수신기 그리고 전자석과 전자석에 의해 작동 되는 카메라 스위치 터치봉을 포함 한다.
즉, 본 발명은 적외선에 의한 원격 제어 장치와 전자석에 의해 작동이 되는 스위치 터치봉를 이용 하므로서, 핸드폰 카메라 자가 촬영시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촬영 거리를 확장시켜 다양한 모습의 자가 촬영은 물론 누구에게도 부탁 없이 가족 사진 등을 촬영할 수 있고 여건상 촬영이 곤란한 공연장 등에서도 편리하게 촬영이 가능토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스크린 터치펜을 내장 하여 핸드폰 사용의 편리성을 증대 시키고, 본 발명의 핸드폰 거치 기능을 이용하여 핸드폰으로 티브이 등을 시청할 때 핸드폰 거치대로 활용하는 부가적인 목적이 있다.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4개의 부품으로 구성된다
즉, 적외선 발신기를 내장한 손잡이부(10)와, 적외선 수신모듈을 내장하고 전자석과 전자석에 의해 작동 되는 카메라 스위치 터치봉과 핸드폰을 거치시킬 수 있도록 핸드폰 홀더를 포함하고 필요시 핸드폰의 방향을 바꿀 수 있는 핸드폰 거치부(20)와, 손잡이부와 핸드폰 거치부를 연결하며 길이조절이 가능한 다단식 샤프트(30)와, 휴대시 손잡이부에 결합 되어 핸드폰 거치부를 보호 하는 보호덮개(40)로 구성 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핸드폰 카메라 자가 촬영 원격 제어 장치는 기존의 핸드폰 카메라 자가 촬영 거리를 확장 시키므로서 누구의 도움 없이도 자기 자신 또는 가족 사진 등 원하는 거리에서 자가 촬영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연장 등 촬영이 곤란한 장소에서도 편리하게 촬영이 가능토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핸드폰으로 티브이 등을 시청할 때에는 핸드폰 거치대로 활용할 수 있는 부가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기존의 기술인 손잡이형 삼각대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품과 사용하는 단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손잡이부와 다단식 샤프트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핸드폰 거치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핸드폰 거치부에 핸드폰을 거치 했을 때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으로 자기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하여 핸드폰 거치부의 방향을 전환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핸드폰 홀더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핸드폰 거치부 케이스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거치부 방향 전환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는 본 발명의 전기 회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작동 개념을 나타낸 사시도
도 12은 본 발명을 핸드폰 거치대로 활용할 때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을 솔레노이드를 이용하여 실시한 예를 나타낸 단면도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손잡이부(10)는 도 3에서와 같이 적외선 발신기(11)와, 소형 전지를 내장할 수 있는 발신 전지 케이스(12)와, 필요시 적외선 발신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발신 스위치(13)와, 보호덮개(40)를 고정시킬 수 있는 보호덮개 연결대(14)와, 스크린 터치펜(17)과, 다단식 샤프트(30)를 결합할 수 있고 상기 구성품을 조립할 수 있는 손잡이 케이스(19)로 구성 되어 있다.
적외선 발신기(11)는 적외선이 방향성이 있으므로 도 4에서의 핸드폰 거치부(20)에 구비된 적외선 수신모듈(280)과의 상호 작용이 용이 하도록 손잡이 케이스(19) 전면에 구성 하였으며, 발신 스위치(13)의 조작에 의해 적외선 발신기로부터 적외선이 적외선 수신모듈(280)을 향해 발신된다. 적외선 발신기(11)는 사용자가 발신 스위치(13)를 조작할 때만 적외선을 발신 한다.
발신 전지 케이스(12)는 손잡이 케이스 후면에 위치 하였으며 사용자가 편리하게 전지를 교체 가능하도록 발신 전지 케이스 덮개(15)를 구성 하였다.
발신 스위치(13)는 손잡이 케이스 상단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한 손으로 편리하게 조작이 가능토록 하였다.
보호덮개 연결대(14)는 사용자가 본 발명을 사용하지 않을 때 보호 덮개(40)를 손잡이부(10)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스크린 터치펜(17)은 터치펜 보관홈(18)에 보관 되어 있으며, 필요시 독립적으로 인출 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손잡이 케이스(19)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다단식 샤프트(30)를 결합할 수 있는 샤프트 연결홈(16)을 구비하였으며 손잡이부의 구성품인 적외선 발신기, 전지케이스, 스위치를 조립 하고 스크린 터치펜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보호덮개(40)와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즉, 손잡이부(10)는 적외선 발신기를 이용하여 핸드폰 거치부(20)에 사용자의 촬영 의지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핸드폰 거치부(20)는 도 4에서와 같이 거치부 케이스(210)와 거치부 방향 전환대(220)로 구성 되어 있으며, 거치부 케이스(210)는 핸드폰의 카메라 촬영 스위치를 작동시킬 수 있는 카메라 스위치 터치봉(230)과, 카메라 스위치 터치봉을 작동 시킬 수 있는 전자석(240)과, 핸드폰을 핸드폰 거치부(20)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홀더 스프링(260)에 의해 작동 되는 핸드폰 홀더(250)와, 소형 전지를 내장할 수 있는 수신 전지 케이스(270)를 포함 하며, 필요시 핸드폰의 촬영 방향을 전환 하기 위해 거치부 방향 전환대(220)에 착탈이 가능 하다. 거치부 방향 전환대(220)는 적외선 수신모듈(280)과, 전원을 차단 할 수 있는 수신스위치(290)와, 다단식 샤프트(30)에 연결할 수 있고 각도 조절이 가능한 샤프트 연결대(221)를 구비하며 거치부 케이스(210)의 착탈이 가능하도록 한다.
카메라 스위치 터치봉(230)은 도 5에서와 같이 전자석(240)이 작동될 때 자력에 의해 자성판(231)이 전자석 방향(61)으로 강하게 움직이면 스위치 접촉판(233)이 그 역 방향 즉, 핸드폰(50) 방향(62)으로 이동을 하여 핸드폰의 카메라 스위치(52)를 작동 하게 한다. 카메라 스위치 터치봉(230)은 다단식(232)으로 설계하여 평시에는 거치부 케이스(210) 내에 위치해 있다가 사용시에만 사용자의 수작업에 의해 길이가 확장 된다. 핸드폰(50)의 스위치판(51)에 직접 접촉 하는 스위치 접촉판(233)에는 핸드폰(50)의 정전식 터치 스크린에도 적용이 가능하도록 기존의 기술인 정전식 터치펜 기술을 이용 한다. 평시에는 터치봉 스프링(234)에 의해 핸드폰 스위치판(51)으로부터 일정 간격의 거리를 유지 하다가 전자석(240)이 작동 될 때만 핸드폰의 카메라 스위치(52)를 터치 하게 되며 이때 핸드폰 촬영이 이루어 진다.
전자석(240)은 전원이 공급될 때만 자석의 역할을 하여 카메라 스위치 터치봉의 자성판(231)을 강하게 끌어 당기는 역할을 한다.
핸드폰 홀더(250)는 홀더 스프링(260)에 의해 핸드폰 수납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두께의 핸드폰에 적용토록 하였으며, 도 7에서와 같이 홀더 스프링(260)과의 결합을 위하여 2개의 지지판(253)과 스프링 연결판(254)를 구비 하였다. 또한 접이식 핸드폰 지지대(251)를 구비하여 사용시에만 사용자의 수작업에 의해 기립 상태를 유지하며, 핸드폰 지지대(251)의 일면에 실리콘(252)을 부착하여 핸드폰이 미끄러져 이탈 되지 않도록 하였다. 핸드폰 홀더(250)는 핸드폰을 거치부(20)에 고정 시키며, 핸드폰 거치시 핸드폰 스위치판(51)과 스위치 접촉판(233)과의 거리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수신 전지 케이스(270)는 소형 전지를 내장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편리하게 전지를 교체할 수 있도록 수신 전지 케이스 덮개(215)를 구비 하였다.
거치부 케이스(210)는 도 8에서와 같이 받침대(211)와 덮개(212)로 구성 되어 있으며, 케이스 받침대(211)에는 전면에 핸드폰 홀더(250)를 결합 하기 위한 홀더 홈(213)을 설계 하였으며, 홀더 스프링(260)의 원할한 작동을 위하여 내부에 2개의 스프링 통로(261)를 구비 하고 밑면에는 거치부 방향 전환대(220)에 착탈이 가능 하도록 방향 전환 터널(217)을 포함 하였다. 전환 터널에는 방향 전환시에도 전원이 연결 되도록 전원 연결 단자(65)를 구비 하였다. 케이스 덮개(212)에는 카메라 스위치 터치봉(230)의 이동이 가능토록 상단부에 개방홈(214)을 설계 하였으며 전지를 편리하게 교환 할 수 있도록 수신 전지 케이스 덮개(215)를 구비 하였다. 또한 케이스 덮개(212)에는 전면에 실리콘(216)을 부착하여 핸드폰 홀더(250)의 실리콘(252)과 함께 작용, 핸드폰이 미끄러져 이탈 되는 현상을 방지 하였다.
거치부 방향 전환대(220)는 도 9에서와 같이 적외선 수신 모듈(280)과, 수신 스위치(290)와, 샤프트 연결대(221)와, 거치부 케이스(210)와의 착탈을 위하여 케이스 연결 레일(222)을 구비 하였으며, 연결 레일에는 거치부 케이스(210)의 케이스 전원 연결 단자(65)와 접촉이 가능 하도록 전환대 전원 연결 단자(66)를 구비 하였다. 샤프트 연결대(221)는 다단식 샤프트(30)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하고, 샤프트(30)와 핸드폰 거치부(20)와의 각도를 조절 할 수 있게 하였다. 각도를 조절 하지 않고 일자형이 되면 항상 손잡이부(10)가 촬영 되기 때문에 각도 조절 기능 또한 중요 하다.
적외선 수신모듈(280)은 손잡이부(10)의 적외선 발신기(11)와의 상호 작용을 위하여 거치부 방향 전환대(220)의 후면에 위치 하였으며, 적외선 발신기의 신호를 받아 전자석(240)에 전원을 공급, 작동 시키는 역할을 하고, 거치부 케이스(210)의 방향이 전환 되더라도 손잡이부(10)에서 발신 되는 적외선을 항상 수신할 수 있게 했다.
수신 스위치(290)는 적외선 수신 장치의 특성상 항상 전원이 공급된 상태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본 발명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전력 소모가 발생 하므로, 장시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전원을 차단 하도록 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핸드폰 거치부(20)는 핸드폰(50)을 거치 시키고, 적외선 발신기(11)의 신호를 받아 전자석(240)을 작동 시켜 카메라 스위치 터치봉(230)이 핸드폰의 카메라 촬영 스위치(52)를 작동 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자기 동영상을 촬영 시에는 핸드폰(50)의 방향을 바꾸어야 하기 때문에 거치부 케이스(210)를 거치부 방향 전환대(220)로부터 연결 레일(222)을 따라 분리하여 방향을 바꾸어 재결합 하므로서 도 6에서와 같이 역방향, 즉 자기 방향으로의 동영상 촬영이 가능토록 하는 역할을 한다.
다단식 샤프트(30)는 도 3에서와 같이 일면이 손잡이부(10)에 결합되어 있으며 사용시 인출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일면은 핸드폰 거치부(20)의 샤프트 연결대(221)와 연결 된다. 각 단위 샤프트(31,32,33)의 일정 방향에 샤프트 회전방지홈(34)을 설계하여 임의 회동을 방지 하도록 하였다.
보호덮개(40)는 도 2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본 발명을 미 사용시 손잡이부(10)와 결합하여 핸드폰 거치부(2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전기 회로도는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손잡이부(10)는 전지(63)로부터 1개의 회로는 적외선 발신기(11)에 직접 연결 하고, 1개의 회로는 발신 스위치(13)를 통하여 적외선 발신기(11)에 연결 한다. 핸드폰 거치부(20)는 전지(64)로부터 1개 회로는 적외선 수신모듈(280)과 전자석(240)에 직접 연결하고, 1개 회로는 수신 스위치(290)를 통하여 적외선 수신모듈(280)에 연결 하며, 별도의 1개 회로는 적외선 수신 모듈(280)로부터 전자석(240)으로 연결 한다. 본 발명은 거치부 케이스(210)와 거치부 방향 전환대(220)가 분리 재결합 될 수 있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방향 전환 터널(217)과 연결 레일(222) 사이에 전원 연결 단자(65, 66)를 구비하여 방향 전환시에도 전원이 연결 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작동 원리는 도 11에서와 같이 손잡이부(10)의 발신 스위치(13)를 조작하여 적외선 발신기(11)를 통하여 적외선을 발신하면, 원격 되어 있는 핸드폰 거치부(20)에서 적외선 수신모듈(280)을 통하여 적외선 신호를 감지하여 전자석(240)에 전원을 공급하고 전자석의 자력이 발생하여 카메라 스위치 터치봉(230)을 작동 시켜, 핸드폰 홀더(250)에 의해 핸드폰 거치부(20)에 거치되어 있는 핸드폰(50)의 카메라 스위치(52)를 작동, 카메라 촬영이 이루어 지도록 하는 것이다.
동영상 자가 촬영시에는 거치부 케이스(210)를 거치부 방향 전환대(220)로부터 분리하여 역방향으로 재결합 하므로서 핸드폰의 촬영 방향을 바꾸어 촬영이 이루어 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핸드폰 거치대로 활용할 때는 도 12에서와 같이 샤프트를 인출하지 않은 상태에서 핸드폰 거치부(20)에 핸드폰(50)을 거치 한 후 사용 하며, 스크린 터치펜(17)은 본 발명의 사용 여부와 관계 없이 필요시 손잡이부(10)에서 독립적으로 인출 하여 사용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로서 전자석을 응용한 기술인 솔레노이드를 이용할 수도 있다. 도 13에서와 같이 핸드폰 거치부(20)의 거치부 케이스(210) 내에 전자석 대신에 솔레노이드(71)를 구비하고, 전원은 핸드폰의 전지를 활용하며 이를 위하여 전지 연결 단자(72)를 구비 하여 핸드폰 전지와 별도의 외부 전선으로 연결 할 수 있도록 했다. 이 경우 솔레노이드의 작동 방향이 전자석과는 반대 이므로 카메라 스위치 터치봉(73)의 복귀 기능을 위한 터치봉 스프링(74)의 위치를 반대 방향으로 설계 하였다.
이와는 별도로 거치부 방향 전환대(220)에 카메라 플래쉬(75)를 구비하여 카메라 플래쉬가 없는 핸드폰을 위해 사용 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전자석과 적외선에 의한 무선 원격 스위치를 이용하였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고, 다단식 샤프트를 이용하였기 때문에 부피가 작아 휴대가 용이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핸드폰 카메라 자가 촬영 범위를 확대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핸드폰 거치대로 활용할 수 있으며 스크린 터치펜을 보관 활용 할 수 있는 유용한 기술이다.

Claims (4)

  1. 카메라 촬영 보조 장치에 있어서,
    적외선 발신기(11)와, 전지를 수납할 수 있는 발신 전지 케이스(12)와, 다단식 샤프트(30)를 결합하기 위한 샤프트 연결홈(16)과, 필요시 적외선 발신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발신 스위치(13)를 포함하는 손잡이부(10)와;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임의 회동을 방지하기 위한 샤프트 회전방지홈(34)을 일면에 구비한 다단식 샤프트(30)와;
    적외선 수신 모듈(280)과, 전지를 수납할 수 있는 수신 전지 케이스(270)와, 사용하지 않을 때 전원을 차단할 수 있는 수신 스위치(290)와, 적외선 수신 모듈과 연결 되어 작동 되는 전자석(240)과, 전자석의 자력에 감응하는 자성판(231)을 포함하는 카메라 스위치 터치봉(230)과, 일면에 다단식 샤프트(30)의 연결 각도 조절이 가능한 샤프트 연결대(221)와, 다양한 두께의 핸드폰을 고정시키기 위해 홀더 스프링(260)에 의해 작동 되는 핸드폰 홀더(250)를 구비하는 핸드폰 거치부(2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카메라 자가 촬영 원격 제어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보호 덮개를 결합하기 위하여 일면에 보호 덮개 연결대(14)를 구비한 손잡이부(10)와;
    거치부 케이스(210)를 분리 재결합 할 수 있는 연결 레일(222)을 구비한 거치부 방향 전환대(220)와, 거치부 방향 전환대(220)에 연결이 가능 하도록 전환 터널(217)을 구비한 거치부 케이스(210)를 포함하는 핸드폰 거치부(20)와;
    손잡이부(10)의 보호덮개 연결대(14)에 결합 하여 핸드폰 거치부(20)를 보호 할 수 있는 보호덮개(4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카메라 자가 촬영 원격 제어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독립적으로 인출 가능한 핸드폰 스크린 터치펜(17)을 포함한 손잡이부(10)와;
    일면에 핸드폰이 미끄러지지 않는 실리콘(216)을 구비한 거치부 케이스(210)와, 길이 조절이 가능한 다단식 카메라 스위치 터치봉(230)과, 일면에 핸드폰이 미끄러지지 않는 실리콘(252)을 구비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접이식 지지대(251)를 구비하는 핸드폰 홀더(250)가 포함된 핸드폰 거치부(2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카메라 자가 촬영 원격 제어 장치
KR1020110003409A 2011-01-13 2011-01-13 핸드폰 카메라 자가촬영 원격 제어 장치 KR101176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3409A KR101176301B1 (ko) 2011-01-13 2011-01-13 핸드폰 카메라 자가촬영 원격 제어 장치
US13/979,693 US20130293731A1 (en) 2011-01-13 2011-10-31 Remote controller device for self-photography using a mobile phone camera
PCT/KR2011/008181 WO2012096433A1 (ko) 2011-01-13 2011-10-31 핸드폰 카메라 자가촬영 원격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3409A KR101176301B1 (ko) 2011-01-13 2011-01-13 핸드폰 카메라 자가촬영 원격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2110A KR20120082110A (ko) 2012-07-23
KR101176301B1 true KR101176301B1 (ko) 2012-08-22

Family

ID=46507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3409A KR101176301B1 (ko) 2011-01-13 2011-01-13 핸드폰 카메라 자가촬영 원격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30293731A1 (ko)
KR (1) KR101176301B1 (ko)
WO (1) WO201209643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327B1 (ko) * 2014-10-01 2016-02-15 이시우 자가 촬영용 손잡이를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4026B1 (ko) * 2012-08-06 2013-09-04 기 연 김 핸드폰 카메라 자가촬영 원격 제어장치를 위한 핸드폰 삼각대
KR101506994B1 (ko) * 2013-11-11 2015-03-30 서울인터내셔널 주식회사 길이 조절 가능한 스마트폰 거치대
ES2773600T3 (es) * 2014-01-21 2020-07-13 Hanmi It Co Ltd Lector RFID móvil
CN105723143B (zh) * 2014-08-15 2018-05-11 华为技术有限公司 便携式终端支架
US9892628B2 (en) 2014-10-14 2018-02-13 Logitech Europe S.A.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KR101504086B1 (ko) * 2014-10-24 2015-03-24 주식회사 구컴코퍼레이션 봉의 회전방지 및 길이 조절이 용이한 셀프 카메라용 모노포드
KR101533540B1 (ko) * 2014-12-18 2015-07-02 김달천 자동 수평 유지장치가 구비된 셀프 촬영 보조장치
US9596393B2 (en) 2015-01-27 2017-03-14 Moment Inc Smart case for mobile photography
US9473190B1 (en) * 2015-03-06 2016-10-18 Jason Sandlofer Phone case with built-in holder
TWI609149B (zh) 2015-04-13 2017-12-21 碩天科技股份有限公司 可伸縮式支撐器
GB2538506B (en) * 2015-05-18 2018-10-31 Bu Innovations Ltd A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vibration sensitivity assessment
KR101711534B1 (ko) * 2015-06-12 2017-03-02 홍성은 각도 조절이 용이한 스마트폰 거치용 스틱
US10003681B1 (en) 2017-07-26 2018-06-19 Richard Hsu Cellphone shell with extending handle for image capture control
CN109995907B (zh) * 2017-12-29 2020-12-2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功能组件、电子装置及电子装置的控制方法
KR20200091522A (ko) 2019-01-22 2020-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의 표시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527Y1 (ko) 2006-03-20 2006-05-30 김요한 휴대전화를 이용한 침입자 경보시스템
US7706673B1 (en) 2007-04-06 2010-04-27 Staudinger Robert J Portable remote camera control device
JP2010224506A (ja) 2009-03-19 2010-10-07 Takeshi Inoue カメラの孫の手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1275A (ko) * 2003-10-30 2005-05-0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원격 촬영 장치
KR200392872Y1 (ko) * 2003-12-26 2005-08-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외장형 리모콘 모듈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US7684694B2 (en) * 2005-05-10 2010-03-23 Fromm Wayne G Apparatus for supporting a camera and method for using the apparatus
US7706140B2 (en) * 2007-10-04 2010-04-27 Hands Held Products, Inc. Portable data terminal internal support structure
US8496144B2 (en) * 2010-10-05 2013-07-30 Go Smart Inc. Removable steering wheel holder for an electronic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527Y1 (ko) 2006-03-20 2006-05-30 김요한 휴대전화를 이용한 침입자 경보시스템
US7706673B1 (en) 2007-04-06 2010-04-27 Staudinger Robert J Portable remote camera control device
JP2010224506A (ja) 2009-03-19 2010-10-07 Takeshi Inoue カメラの孫の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327B1 (ko) * 2014-10-01 2016-02-15 이시우 자가 촬영용 손잡이를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293731A1 (en) 2013-11-07
WO2012096433A1 (ko) 2012-07-19
KR20120082110A (ko) 2012-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6301B1 (ko) 핸드폰 카메라 자가촬영 원격 제어 장치
US20210181610A1 (en) Handheld device, photograph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WI602011B (zh) 成像單元及安裝裝置
CN110382943B (zh) 支架装置
US9055144B2 (en) Handle for handheld terminal
US20160044227A1 (en) Image capturing device support with remote controller
TW201504709A (zh) 成像裝置
WO2020034999A1 (zh) 应用于移动电子设备的握持装置和拍摄组件及其方法
US20150256730A1 (en) Image-capturing device configured for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WO2016017054A1 (ja) 撮像装置
JP2022037858A (ja) ハンドヘルドジンバル、装置、ジンバルシステムおよびクイックリリースアセンブリ
CN104991400A (zh) 一种防手震装置和一种红外滤光防抖模组结构
US10955730B2 (en) Multi-configuration mounting system
CN110326286B (zh) 便携式手柄
CN208956149U (zh) 用于移动电子设备的辅助摄像装置
US20140049688A1 (en) Imaging apparatus
CN107637059B (zh) 拍摄装置、拍摄设备及便携式电子设备
CN108989646A (zh) 用于移动电子设备的辅助摄像装置
KR101304026B1 (ko) 핸드폰 카메라 자가촬영 원격 제어장치를 위한 핸드폰 삼각대
US8970794B2 (en) Portable video enhancement apparatus
KR200460570Y1 (ko) 핸드폰 자가촬영 보조장치의 삼각대 연결장치
CN204925577U (zh) 一种防手震装置和一种红外滤光防抖模组结构
KR20200071524A (ko) 다기능 셀카봉
KR20140091927A (ko) 스마트폰 포토그립
TWI673560B (zh) 拍照輔助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