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62309B1 - 쇽업소버의 더스트 커버 - Google Patents

쇽업소버의 더스트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2309B1
KR101162309B1 KR1020100014680A KR20100014680A KR101162309B1 KR 101162309 B1 KR101162309 B1 KR 101162309B1 KR 1020100014680 A KR1020100014680 A KR 1020100014680A KR 20100014680 A KR20100014680 A KR 20100014680A KR 101162309 B1 KR101162309 B1 KR 101162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ver
head cap
shock absorber
convex portion
assemb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4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4939A (ko
Inventor
이윤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00014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2309B1/ko
Publication of KR20110094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4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2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2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71Assembly or rep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쇽업소버의 더스트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더스트 커버가 쇽업소버의 아래쪽에서 위쪽 방향으로 조립될 수 있는 상향 조립식 더스트 커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스톤 로드의 상부에 위치하는 헤드캡과, 상기 헤드캡에 설치되는 더스트 커버의 몸체를 포함하는 더스트 커버로서, 상기 몸체는 상기 헤드캡의 위에서 상기 헤드캡을 지지하는, 경사면이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헤드캡의 아래에서 상기 헤드캡을 지지하는 단턱부; 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가 상기 헤드캡에 상향식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가 탄성 변형되어 상기 헤드캡이 상기 경사면을 따라 아래쪽으로 이동하며, 상기 헤드캡의 하단이 상기 단턱부와 만나게 되면 상기 돌출부의 탄성변형이 해제되어 상기 몸체가 상기 헤드캡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의 더스트 커버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쇽업소버의 더스트 커버{DUST COVER FOR SHOCK ABSORBER}
본 발명은 쇽업소버의 더스트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더스트 커버가 쇽업소버의 아래쪽에서 위쪽 방향으로 조립될 수 있는 상향 조립식 더스트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주행 중 차륜을 통하여 노면으로부터 진동이나 충격을 끊임없이 받기 때문에 차체와 차축 사이에 완충장치를 설치하여 충격이나 진동이 직접 차체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또한 차체의 불규칙한 진동을 억제함으로써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때 현가장치는 이러한 완충장치를 포함한 차체와 차축 사이의 연결장치를 통칭하며, 이 장치는 충격을 완화하는 샤시 스프링, 샤시 스프링의 자유 진동을 제어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쇽업소버, 롤링(rolling)을 방지하는 스테빌라이져(stabilizer), 고무 부싱(bushing), 및 컨트롤 암 등으로 구성된다.
현가장치 중에서도 특히 쇽업소버(shock absorber)는 노면으로부터의 진동을 억제, 감쇠하는 역할을 하고 차체 혹은 프레임과 휠 사이에 장착되며, 특히 차체의 상하방향 진동 에너지를 흡수함으로써 진동을 억제하고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적재 화물을 보호하고 차체 각부의 동적 응력을 저감시켜 내구 수명을 증가시키며, 동시에 스프링 아래 질량의 운동을 억제하여 타이어의 접지성을 확보하고 또 관성력에 의한 자세 변화를 억제하여 차량의 운동성능을 향상시킨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쇽업소버의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쇽업소버(50)는 작동유체가 충전된 실린더(63)와, 일단은 이 실린더 내부에 위치하고 타단은 실린더 외부에 위치하는 피스톤 로드(59)와, 이 피스톤 로드(59)의 일단에 장착되어 실린더(63) 내에서 왕복운동하는 피스톤 밸브(64)를 포함한다. 실린더(63)는 내부관(61)과 외부관(62)으로 이루어지며 실린더(63) 말단에는 피스톤 밸브(64)와 마주보는 위치에 바디 밸브(65)가 설치되어 있다.
피스톤 로드(59)는 상부마운트(67)에 의해 차체(미도시)에 연결되고 실린더(63)는 하부마운트(66)에 의해 차축(미도시)에 연결되어, 차량 주행시 쇽업소버(50)가 완충 및 방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외부의 이물질이 피스톤 로드(59)를 손상시키거나 외부의 이물질이 피스톤 로드(59)를 통해 실린더(63) 내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더스트 커버(53)가 실린더(63)와 피스톤 로드(59) 외측에 설치된다. 더스트 커버(53)는 더스트 커버 몸체(52)와 헤드캡(51)을 포함하며, 더스트 커버 몸체(52)는 헤드캡(51)에 의하여 피스톤 로드(59)의 상단에 고정 설치된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쇽업소버(50)에서, 더스트 커버(53)는 헤드캡(51)의 외주면에 안착 고정되는 안착홈(55)을 내측면의 상단 부근에 구비한다. 안착홈(55)은 더스트 커버(53)의 상단에 형성된 덮개부(54)와 그 덮개부(54) 바로 아래쪽에 형성된 탄성돌기(58) 사이에서 구획 형성된다. 헤드캡(51)이 안착홈(55)에 위치함으로써 더스트 커버 몸체(52)가 헤드캡(51)에 의하여 피스톤 로드(59)의 상단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탄성돌기(58)는 헤드캡(51)을 안착홈(55)에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경사부(57)와 헤드캡(51)의 하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턱부(56)를 포함한다.
도 2에는 종래의 쇽업소버에서 더스트 커버 몸체(52)를 헤드캡(51)에 조립하는 과정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쇽업소버는 더스트 커버 몸체(52)가 화살표 방향처럼 위에서 아래로 이동하여 헤드캡(51)이 더스트 커버의 안착홈(55)에 고정 설치되는 하향 조립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본 명세서에는, 더스트 커버가 헤드캡에 하향식으로 조립된다는 것은 더스트 커버의 상부 쪽에서 압입하여 조립하는 방식을 말하며, 더스트 커버가 헤드캡에 상향식으로 조립된다는 것은 더스트 커버의 하부 쪽에서 압입하여 조립하는 방식을 말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스트 커버 몸체(52)가 아래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헤드캡(51)의 외측면이 더스트 커버 몸체(52)의 경사부(57)와 접하게 되며 경사부(57)는 탄성력으로 인하여 확장이 되면서 더스트 커버 몸체(52)가 계속 아래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헤드캡(51)이 더스트 커버 몸체(52)의 안착홈(55) 내에 위치하게 되면 더스트 커버 몸체(52)는 더 이상 이동할 수 없게 되어 피스톤 로드(59)에 고정 설치가 된다.
일반적으로 쇽업소버는, 차체 부근에서 보다 큰 방진이 요구되는데 피스톤 로드의 상부마운트(67)가 직접 차체에 연결되므로 상부마운트(67)가 하부마운트(66)에 비해 큰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조립하는 하향식 더스트 커버를 사용할 경우 상부마운트(67)를 통과해야 하므로 더스트 커버(53)의 전체 내경 및 외경을 증가시킬 수 밖에 없다.
더스트 커버(53)의 외경 증가는 차량에 대한 쇽업소버(50)의 설치공간을 제한하는 문제점을 야기하며, 또한 더스트 커버(53)의 내경 증가는 실린더(63)와 더스트 커버(53) 사이의 갭을 증가시켜 토사 등의 이물질이 쇽업소버(50)의 실린더(63) 내부로 유입되는 문제점을 야기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마운트의 직경이 증가하더라도 일정한 직경을 가지는 더스트 커버를 쇽업소버에 조립할 수 있도록, 쇽업소버의 아래에서 위쪽 방향으로 조립할 수 있는 상향 조립식 더스트 커버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피스톤 로드의 상부에 위치하는 헤드캡과, 상기 헤드캡에 설치되는 더스트 커버의 몸체를 포함하는 더스트 커버로서, 상기 몸체는 상기 헤드캡의 위에서 상기 헤드캡을 지지하는, 경사면이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헤드캡의 아래에서 상기 헤드캡을 지지하는 단턱부; 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가 상기 헤드캡에 상향식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가 탄성 변형되어 상기 헤드캡이 상기 경사면을 따라 아래쪽으로 이동하며, 상기 헤드캡의 하단이 상기 단턱부와 만나게 되면 상기 돌출부를 탄성변형 시키는 힘이 제거되어 상기 몸체가 상기 헤드캡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의 더스트 커버가 제공된다.
상기 몸체는 내측 볼록부와 외측 볼록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 볼록부와 상기 외측 볼록부가 교대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내주면에는 요철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측 볼록부는 상기 돌출부 아래쪽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더스트 커버에 쌓인 이물질이 밖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 상부에 형성된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를 상기 헤드캡에 상향식으로 조립하는 과정에서, 상기 몸체의 하단 면을 가압할 때 생기는 압력이 분산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하부에 형성된 하단 보강구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가 상기 헤드캡에 조립이 용이하게 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상기 몸체의 상부에 형성된 상측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마운트의 직경이 증가하더라도 일정한 직경을 가지는 더스트 커버를 쇽업소버에 조립할 수 있도록, 쇽업소버의 아래에서 위쪽 방향으로 조립할 수 있는 상향 조립식 더스트 커버가 제공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차체의 충격흡수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부마운트의 직경을 증가시키더라도 더스트 커버의 직경은 하부마운트의 직경에 상응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으므로 더스트 커버의 크기를 키우지 않고도 쇽업소버에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쇽업소버에 종래의 더스트 커버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더스트 커버 몸체를 헤드캡에 조립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더스트 커버 몸체가 헤드캡에 하향식으로 조립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b)는 더스트 커버 몸체가 헤드캡에 하향식으로 조립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더스트 커버 몸체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더스트 커버 몸체의 평면도.
도 5a는 도 4의 A-A를 따라 취한 측단면도.
도 5b는 도 4의 B-B를 따라 취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더스트 커버 몸체의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더스트 커버 몸체를 헤드캡에 조립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더스트 커버 몸체가 헤드캡에 상향식으로 조립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b)는 더스트 커버 몸체가 헤드캡에 상향식으로 조립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쇽업소버의 더스트 커버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더스트 커버(3, 도 7 참조)는 더스트 커버 몸체(1)와 헤드캡(2)을 포함한다. 더스트 커버 몸체(1)는 헤드캡(2)에 상향식으로 조립되며, 더스트 커버 몸체(1)는 헤드캡(2)에 의하여 피스톤 로드(미도시)의 상단에 고정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더스트 커버(3)는, 모노 튜브식 쇽업소버뿐만 아니라 트윈 튜브식 쇽업소버 등의 또 다른 형태를 가지는 어떠한 구조의 쇽업소버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더스트 커버 몸체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더스트 커버 몸체(1)는 내측 볼록부(21)와 외측 볼록부(22)를 포함한다. 내측 볼록부(21)는 더스트 커버 몸체(1)의 내측으로 볼록한 부분을 말하며, 외측 볼록부(22)는 더스트 커버 몸체(1)의 외측으로 볼록한 부분을 말한다.
외측 볼록부(22)의 내주면 상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11)가 형성될 수 있으며, 내측 볼록부(21)의 내주면 상단에는 이물질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14)가 형성될 수 있다. 내측 볼록부(21)가 끝나는 내주면 상단에는 단턱이 형성된 단턱부(12)를 포함 할 수 있다. 더스트 커버 몸체(1)의 상단에는 위로 갈수록 바깥쪽으로 벌어지는 상측 경사부(13)가 형성될 수 있다. 내측 볼록부(21)의 외주면 하단에는, 중앙에서 외부로 돌출된 제 1 하단보강구조(31)나 양 끝에서 외부로 돌출된 제 2 하단보강구조(32)가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쇽업소버의 더스트 커버는 쇽업소버의 피스톤 로드가 이물질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실린더가 외부 이물질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피스톤 로드 및 실린더 상부를 모두 덮을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더스트 커버 몸체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더스트 커버 몸체(1)에는, 내측 볼록부(21)와 돌출부(11)가 각각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는 내측 볼록부(21)와 돌출부(11)가 4개씩 각각 교대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헤드캡(2, 도 7참조)과 더스트 커버 몸체(1)를 조립할 때 필요한 결합력의 세기에 따라 내측 볼록부(21)와 돌출부(11)의 개수는 설계시 적절히 증감할 수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더스트 커버 몸체의 저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더스트 커버 몸체(1)에는, 내측 볼록부(21)와 외측 볼록부(22)가 각각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는 내측 볼록부(21)와 외측 볼록부(22)가 4개씩 각각 교대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더스트 커버(3)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내측 볼록부(21)와 외측 볼록부(22)의 개수는 설계시 적절히 증감할 수 있다.
상기 몸체(1)는 내측 볼록부(21)와 외측 볼록부(22)를 포함하므로, 더스트 커버 몸체(1)의 내주면에는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내측 볼록부(21)의 외주면 하단에는, 중앙에서 외부로 돌출된 제 1 하단보강구조(31)와 양 끝에서 외부로 돌출된 제 2 하단보강구조(32)가 각각 교대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즉, 제 1 하단보강구조(31) 또는 제 2 하단보강구조(32)만으로 배치될 수도 있으며 무작위로 제 1 하단보강구조(31)와 제 2 하단보강구조(32)가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더스트 커버 몸체(1)는, 쇽업소버에 상향식으로 조립되므로 더스트 커버 몸체(1)의 하단 면을 위로 가압하면서 조립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더스트 커버 몸체(1)의 하단 면은 큰 힘을 받게 되므로 변형이 생길 우려가 있다. 하지만 제 1 하단보강구조(31)와 제 2 하단보강구조(32) 및 외측 볼록부(22)와 내측 볼록부(21)들로 인하여 하단 면을 가압시 접촉하는 면적이 넓어지므로 압력이 분산되어 더스트 커버 몸체(1)의 변형이 발생할 우려 없이 조립할 수 있다.
도 5a에는 도 4의 A-A를 따라 취한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b에는 도 4의 B-B를 따라 취한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스트 커버 몸체(1)의 내주면에는 돌출부(11) 아래쪽으로 오목한 면, 즉 외측 볼록부(2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더스트 커버 몸체(1)의 내주면에는 배출구(14) 아래쪽으로 볼록한 면, 즉 내측 볼록부(21)가 형성될 수 있다.
더스트 커버 몸체(1)를 제조할 때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을 사용하여 압출 성형을 하게 되는데, 하부 금형과 돌출부(11) 사이의 간섭을 배제하기 위해 하부 금형은 돌출부(11) 아래쪽 방향으로 빠지게 된다. 또한 상부 금형과 단턱부(12) 사이의 간섭을 배제하기 위해 상부 금형은 단턱부(12) 위쪽 방향으로 빠지게 된다.
즉, 단턱부(12)와 돌출부(11)가 더스트 커버 몸체(1)의 내주면에서 원주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도록 제조하려면 압출 성형시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이 모두 필요하다. 또한 압출 성형이 완료된 후 상부 금형은 위쪽으로 이동시키고 하부 금형은 아래쪽으로 이동시켜 성형 완료된 제품을 꺼낼 수 있다.
더스트 커버의 몸체(1)는 그 상단에 형성되는 상측 경사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측 경사부(13)는 위로 갈수록 바깥쪽으로 벌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측 경사부(13)는 몸체(1)의 이동을 안내하여 몸체(1)가 헤드캡(2, 도 7 참조)에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돌출부(11) 내주면에는 경사면(15)이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15)은 위로 갈수록 바깥쪽으로 벌어지는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더스트 커버 몸체(1)가 헤드캡(2, 도 7 참조)에 결합되었을 때, 경사면(15)을 가지는 돌출부(11)가 헤드캡(2, 도 7 참조)의 위에서 헤드캡(2, 도 7 참조)을 지지하며, 단턱부(12)는 헤드캡(2, 도 7 참조)의 아래에서 헤드캡(2, 도 7 참조)을 지지한다.
차량의 주행 중 더스트 커버에는 수분이나 토사 등의 이물질이 쌓일 우려가 있다. 하지만 단턱부(12) 위쪽에 위치하는 배출구(14)를 통하여 이물질이 배출될 수 있으므로 더스트 커버의 내식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더스트 커버 몸체를 헤드캡에 조립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a)에는 더스트 커버 몸체가 헤드캡에 상향식으로 조립되기 직전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b)에는 더스트 커버 몸체가 헤드캡에 상향식으로 조립된 후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더스트 커버 몸체(1)는, 상부마운트(미도시)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하부마운트(미도시)를 통과하여 쇽업소버의 아래로부터 위로 상향식으로 헤드캡(2)에 조립될 수 있다.
더스트 커버 몸체(1)가 헤드캡(2)에 조립되기 직전에 돌출부(11)가 바깥쪽으로 탄성 변형되어, 헤드캡(2)이 돌출부(11)의 경사면(15)을 따라 아래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헤드캡(2)의 하단 면이 단턱부(12)와 만날 때까지 더스트 커버 몸체(1)는 화살표 방향과 같이 위로 이동할 수 있다. 헤드캡(2)의 하단 면이 단턱부(12)와 만나게 되면 돌출부(11)를 탄성변형 시키는 힘이 제거됨과 동시에 더스트 커버 몸체(1)와 헤드캡(2)의 결합이 완료된다. 결합이 완료되면 단턱부(12)와 돌출부(11)가 헤드캡(2)을 견고하게 지지하게 되어 더스트 커버 몸체(1)가 헤드캡(2)으로부터 분리 이탈 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더스트 커버(3)에 따르면, 더스트 커버 몸체(1)가 헤드캡(2)에 조립되는 과정에서 더스트 커버 몸체(1)는 상부마운트를 통과하지 않아도 되며 상부마운트의 크기에 상관없이 더스트 커버의 설계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더스트 커버(3)에 따르면, 상부마운트의 크기에 상관없이 더스트 커버의 크기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더스트 커버가 쇽업소버에 설치되었을 때 설치 공간의 효율화가 가능하며, 더스트 커버와 쇽업소버 사이의 간격이 커지지 않으므로 상기 간격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의 더스트 커버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더스트 커버 몸체 2: 헤드캡
3: 더스트 커버 11: 돌출부
12: 단턱부 13: 상측 경사부
14: 배출구 15: 경사면
21: 내측 볼록부 22: 외측 볼록부
31: 제 1 하단보강구조 32; 제 2 하단보강구조

Claims (5)

  1. 피스톤 로드의 상부에 위치하는 헤드캡과, 상기 헤드캡에 설치되는 더스트 커버의 몸체를 포함하는 더스트 커버로서,
    상기 몸체는, 상기 헤드캡의 위에서 상기 헤드캡을 지지하는, 경사면이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헤드캡의 아래에서 상기 헤드캡을 지지하는 단턱부; 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가 상기 헤드캡에 조립될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가 탄성 변형되어 상기 헤드캡이 상기 경사면을 따라 아래쪽으로 이동하며, 상기 헤드캡의 하단이 상기 단턱부와 만나게 되면 상기 돌출부를 탄성변형 시키는 힘이 제거되어 상기 몸체가 상기 헤드캡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몸체는 내측 볼록부와 외측 볼록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 볼록부와 상기 외측 볼록부가 교대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내주면에는 요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측 볼록부는 상기 돌출부 아래쪽에 있고 상기 내측 볼록부는 상기 단턱부로부터 아래쪽에 형성되어, 상기 내측 볼록부와 상기 돌출부는 교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의 더스트 커버.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커버에 쌓인 이물질이 밖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 상부에 형성된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의 더스트 커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를 상기 헤드캡에 조립하는 과정에서, 상기 몸체의 하단 면을 가압할 때 생기는 압력이 분산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하부에 형성된 하단 보강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의 더스트 커버.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가 상기 헤드캡에 조립이 용이하게 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상기 몸체의 상부에 형성된 상측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의 더스트 커버.








KR1020100014680A 2010-02-18 2010-02-18 쇽업소버의 더스트 커버 KR101162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4680A KR101162309B1 (ko) 2010-02-18 2010-02-18 쇽업소버의 더스트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4680A KR101162309B1 (ko) 2010-02-18 2010-02-18 쇽업소버의 더스트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4939A KR20110094939A (ko) 2011-08-24
KR101162309B1 true KR101162309B1 (ko) 2012-07-04

Family

ID=44930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4680A KR101162309B1 (ko) 2010-02-18 2010-02-18 쇽업소버의 더스트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23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5598B1 (ko) * 2016-06-29 2018-01-05 주식회사 만도 쇽업소버의 더스트 캡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00267B2 (ja) * 2018-07-10 2022-02-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倒立構造の振動減衰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5598B1 (ko) * 2016-06-29 2018-01-05 주식회사 만도 쇽업소버의 더스트 캡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4939A (ko) 2011-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86486B1 (en) Jounce bumper plate
KR101162309B1 (ko) 쇽업소버의 더스트 커버
KR101635809B1 (ko) 차량 현가장치용 코일스프링 패드
KR102507221B1 (ko) 차량용 현가장치
KR101816219B1 (ko) 완충력 조절이 가능한 에어 서스펜션의 에어 마운트
KR102019905B1 (ko) 범퍼와 부츠를 일체로 포함하는 스프링 패드
JP3874385B2 (ja) フロントフォーク
KR102417331B1 (ko) 서스펜션용 인슐레이터
KR102575159B1 (ko) 고강성 스프링 및 그 제조 방법
KR102699911B1 (ko) 차량용 서스펜션 장치
CN220248798U (zh) 汽车减震器用帽构件以及汽车减震器
CN221075083U (zh) 一种带限位弹簧垫的减震器
KR101188249B1 (ko) 쇽업소버의 쿠션 러버 조립체
KR101357655B1 (ko) 차량용 현가장치 및 상기 차량용 현가장치에 사용되는 하부 스프링 시트
KR20130052791A (ko) 자동차용 공기스프링
KR102418628B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KR102440523B1 (ko) 이물질 유입방지 범프스토퍼
JPS595608Y2 (ja) 緩衝器のバンプクツシヨン
KR20240126194A (ko) 차량의 현가장치용 스프링시트
KR101288611B1 (ko) 쇽업소버의 바디 밸브 조립체
KR101188250B1 (ko) 쇽업소버의 캡구조물
KR102406074B1 (ko) 인서트형 스프링 시트
KR100791469B1 (ko) 쇽 업소버
KR102497036B1 (ko) 범퍼 스토퍼 어셈블리
KR200185460Y1 (ko) 베어링 댐핑식 현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