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4519B1 - 스프링 콘택트 구조 - Google Patents
스프링 콘택트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54519B1 KR101154519B1 KR1020100049628A KR20100049628A KR101154519B1 KR 101154519 B1 KR101154519 B1 KR 101154519B1 KR 1020100049628 A KR1020100049628 A KR 1020100049628A KR 20100049628 A KR20100049628 A KR 20100049628A KR 101154519 B1 KR101154519 B1 KR 10115451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ct
- spring
- contact pin
- pin
- fix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1—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coil spring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16—Elastic
- G01R1/06722—Spring-loaded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33—Geometry aspects
- G01R1/06738—Geometry aspects related to tip por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03—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necting locations
- H01R11/05—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necting locations the connecting locations having different types of direct connec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with contacts abutting directly the printed circuit; Button contacts therefor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2—Resilient sockets forked sockets having two le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종래의 스프링 콘택트를 내장하는 소켓과 BGA(ball gris array) IC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의 A부 상세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종래의 스프링 콘택트의 제 1 단점인 부러지는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5의 (a)는 종래 스프링 콘택트와 IC의 Ball이 정상적으로 접촉하는 정면도이고, (b)는 종래 스프링 콘택트와 IC의 Ball이 정상적으로 접촉하는 측면도.
도 6의 (a)는 종래 스프링 콘택트와 IC의 Ball이 비정상적으로 접촉하는 측면도이고, (b)는 종래 스프링 콘택트와 IC의 Ball이 비정상적으로 접촉하는 평면도.
도 7a, 도 7b,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2, 5 스프링 콘택트의 접촉 핀의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2, 5 스프링 콘택트의 다른 형상을 가지는 접촉 핀의 구조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 3, 4, 6 스프링 콘택트의 접촉 핀의 구조도.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 4 스프링 콘택트의 하부 접촉 핀의 구조도.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5, 6 스프링 콘택트의 하부 접촉 핀의 다양한 구조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스프링 콘택트의 전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스프링 콘택트의 정면도 및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 스프링 콘택트의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제 3 스프링 콘택트의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제 4 스프링 콘택트의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5 스프링 콘택트의 도면.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6 스프링 콘택트의 도면임.
도 23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스프링 콘택트와 IC Ball이 비정상으로 접촉하는 정면도이고, (b)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스프링 콘택트와 IC Ball이 비정상으로 접촉하는 평면도.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3 스프링 콘택트와 IC Ball이 비정상으로 접촉하는 평면도임.
도 25 내지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2, 5 스프링 콘택트의 접촉 핀의 다른 접촉부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 3, 4, 6 스프링 콘택트의 접촉 핀의 다양한 접촉부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28은 본 발명 제 2 스프링 콘택트를 내장하는 소켓을 나타내는 도면.
도 29는 도 28 B의 상세도임.
10, 300 : 스프링 콘택트 내장 소켓
2, 13, 30, 50, 60, 170, 180 : 상부 접촉 핀
4, 30, 50, 60, 70, 90, 710, 800, 810, 820, 170, 180 : 하부 접촉 핀
3, 111: 스프링
5, 31, 51, 61, 71, 91, 711, 802, 812, 822, 171, 181,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 접촉부
32, 52: 머리부
33, 53: 목부
34, 64, 74, 718, 801, 811, 821: 몸통
35, 36, 65, 66, 75, 76, : 고정 돌기
37, 714 : 스프링 고정면
46, 716: 유동 홈
47, 717: 걸림 턱
48, 727 :걸림 공
38, 719: 탄성부
43, 720: 도피 홈
44, 725:정지면
42, 721 : 걸림 돌기
40, 722: 경사면
41, 723 : 접촉면
Claims (19)
- 상부 접촉핀, 하부 접촉핀 및 스프링으로 구성된 스프링 콘택트에 있어서,
소정 형상의 접촉부(31)와 머리부(32) 목부(33)를 가지며 이어서 몸통(34), 몸통의 좌우에 스프링(111)의 조립 길이를 고정하기 위한 좌우 두 개의 고정 돌기(35, 36)와, 몸통 아래에 두 개의 탄성부(38)를 가지는 상부 접촉핀(30)과;
상기 상부 접촉핀(30)과 상호 직교하도록 결합되며, 아래로부터 소정 형상의 접촉부(31)와 머리부(32) 목부(33)를 가지며 몸통(34), 몸통(34)의 좌우에 스프링(111)의 조립 길이를 고정하기 위한 좌우 두 개의 고정 돌기(35, 36)와, 두 개의 탄성부(38)를 가지는 하부 접촉핀(30-1); 및
상기 하부 접촉핀(30-1)과 상부 접촉핀(30)) 사이에 삽입되는 스프링(111); 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 접촉핀(30)과 하부 접촉핀(30-1)의 두 탄성부(38)의 단부(39)는,
두께가 몸통(34) t 보다 얇게 t1으로 형성하고, 경사면(40)과 걸림 돌기(42), 걸림돌기 접촉면(41)을 서로 대칭으로 구성하고, 두 탄성부(38)의 내측에는 상기 상부 접촉핀(30)과 하부 접촉핀(30-1)이 상호 직교 결합되었을 때 유동 공간을 제공하며, 일단에 상부 접촉핀(30)이 하부 접촉핀(30-1) 방향으로 압축 최대 유동 시, 상호 접촉 정지하는 정지면(44)이 구비된 도피 홈(4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상부 접촉핀(30-1)(30)의 걸림 돌기(42)를 수용 걸림 및 유동하도록 하고, 상기 하부, 상부 접촉핀(30-1)(30)의 걸림 돌기 접촉면(41)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하부, 상부 접촉핀(30-1)(30)의 몸통(34)에 유동 홈(46)을 구성하되, 상기 하부, 상부 접촉핀(30-1)(30)의 유동 홈(46)이 상면과 하면에 구성되며, 일단은 상대 접촉핀의 걸림 돌기(42)를 걸리게 하는 걸림 턱(47)을 제공하는 걸림 공(48)으로 구성하며, 타단은 스프링(111)의 조립 길이를 고정하고,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좌우 두 개의 고정 돌기의 스프링 고정 면(37)을 통과하여서 접촉부(31) 방향으로 더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콘택트.
- 상부 접촉핀, 하부 접촉핀 및 스프링으로 구성된 스프링 콘택트에 있어서,
소정 형상의 접촉부(31)와 머리부(32), 목부(33)를 가지며 이어서 몸통(34), 몸통(34)의 좌우에 스프링(111)의 조립 길이를 고정하기 위한 좌우 두 개의 고정 돌기(35, 36)와, 몸통 아래에 두 개의 탄성부(38)를 가지는 상부 접촉핀(30)과;
상기 상부 접촉핀(30)과 상호 직교하도록 결합되며, 아래로부터 소정 형상의 접촉부(71)와 몸통(74), 몸통의 좌우에 스프링(111)의 조립 길이를 고정하기 위한 좌우 두 개의 고정 돌기(75, 76)와, 두 개의 탄성부(38)를 가지는 하부 접촉핀(70); 및
상기 하부 접촉핀(70)과 상부 접촉핀(30)) 사이에 삽입되는 스프링(111); 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 접촉핀(30)과 하부 접촉핀(70)의 두 탄성부(38)의 단부(39)는,
두께가 몸통(34) t 보다 얇게 t1으로 형성하고, 경사면(40)과 걸림 돌기(42) 걸림돌기 접촉면(41)을 서로 대칭으로 구성하고, 두 탄성부(38)의 내측에는 상기 상부 접촉핀(30)과 하부 접촉핀(70)이 상호 직교 결합되었을 때 유동 공간을 제공하며, 일단에 상부 접촉핀(30)이 하부 접촉핀(70) 방향으로 압축 최대 유동 시, 상호 접촉 정지하는 정지면(44)이 구비된 도피 홈(4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상부 접촉핀(70)(30)의 걸림 돌기(42)를 수용 걸림 및 유동하도록 하고, 상기 하부, 상부 접촉핀(70)(30)의 걸림 돌기 접촉면(41)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하부, 상부 접촉핀(70)(30)의 몸통(34)에 유동 홈(46)을 구성하되, 상기 하부, 상부 접촉핀(70)(30)의 유동 홈(46)이 상면과 하면에 구성되며, 일단은 상대 접촉핀의 걸림 돌기(42)를 걸리게 하는 걸림 턱(47)을 제공하는 걸림 공(48)으로 구성하며, 타단은 스프링(111)의 조립 길이를 고정하고,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좌우 두 개의 고정 돌기(75,76)의 스프링 고정 면(37)을 통과하여서 접촉부(51) 방향으로 더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콘택트.
- 상부 접촉핀, 하부 접촉핀 및 스프링으로 구성된 스프링 콘택트에 있어서,
소정 형상의 접촉부(61)와 몸통(64), 몸통(64)의 좌우에 스프링(111)의 조립 길이를 고정하기 위한 좌우 두 개의 고정 돌기(65, 66)와, 몸통(64) 아래에 두 개의 탄성부(38)를 가지는 상부 접촉핀(60)과;
상기 상부 접촉핀(60)과 상호 직교하도록 결합되며, 아래로부터 소정 형상의 접촉부(61)와 몸통(64), 몸통(64)의 좌우에 스프링(111)의 조립 길이를 고정하기 위한 좌우 두 개의 고정 돌기(65, 66)와, 두 개의 탄성부(38)를 가지는 하부 접촉핀(60-1); 및
상기 하부 접촉핀(60-1)과 상부 접촉핀(60) 사이에 삽입되는 스프링(111); 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 및 하부 접촉핀(60)(60-1)의 접촉부(61)와 몸통(64), 몸통(64)의 좌우에 스프링(501)의 조립 길이를 고정하기 위한 좌우 두 개의 고정 돌기(65, 66)의 두께 t2는 탄성부(38)의 두께 t보다 더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상부 접촉핀(60)과 하부 접촉핀(60-1)의 두 탄성부(38)의 단부(39)는,
두께가 탄성부(38) t 보다 얇게 t1으로 형성하고, 경사면(40)과 걸림 돌기(42) 걸림돌기 접촉면(41)을 서로 대칭으로 구성하고, 두 탄성부(38)의 내측에는 상기 상부 접촉핀(60)과 하부 접촉핀(60-1)이 상호 직교 결합되었을 때 유동 공간을 제공하며, 일단에 상부 접촉핀(60)이 하부 접촉핀(60-1) 방향으로 압축 최대 유동 시, 상호 접촉 정지하는 정지면(44)이 구비된 도피 홈(4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상부 접촉핀(60-1)(60)의 걸림 돌기(42)를 수용 걸림 및 유동하도록 하고, 상기 하부, 상부 접촉핀(60-1)(60)의 걸림 돌기 접촉면(41)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하부, 상부 접촉핀(60)의 몸통(64)에 유동 홈(46)을 구성하되, 상기 하부, 상부 접촉핀의 유동 홈(46)이 상면과 하면에 구성되며, 일단은 상대 접촉핀의 걸림 돌기(42)를 걸리게 하는 걸림 턱(47)을 제공하는 걸림 공(48)으로 구성하며, 타단은 스프링(111)의 조립 길이를 고정하고,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좌우 두 개의 고정 돌기(65,66)의 스프링 고정 면(37)을 통과하여서 접촉부(61) 방향으로 더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콘택트.
- 상부 접촉핀, 하부 접촉핀 및 스프링으로 구성된 스프링 콘택트에 있어서,
소정 형상의 접촉부(61)와 몸통(64), 몸통(64)의 좌우에 스프링(111)의 조립 길이를 고정하기 위한 좌우 두 개의 고정 돌기(65, 66)와, 몸통(64) 아래에 두 개의 탄성부(38)를 가지는 상부 접촉핀(60)과;
상기 상부 접촉핀(60)과 상호 직교하도록 결합되며, 아래로부터 소정 형상의 접촉부(71)와 몸통(74), 몸통(74)의 좌우에 스프링(111)의 조립 길이를 고정하기 위한 좌우 두 개의 고정 돌기(75, 76)와, 두 개의 탄성부(38)를 가지는 하부 접촉핀(70); 및
상기 하부 접촉핀(70)과 상부 접촉핀(60)) 사이에 삽입되는 스프링(111); 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 접촉핀(60)의 접촉부(61)와 몸통(64), 몸통(64)의 좌우에 스프링(111)의 조립 길이를 고정하기 위한 좌우 두 개의 고정 돌기(65, 66)의 두께 t2는 탄성부(38)의 두께 t보다 더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상부 접촉핀(60)과 하부 접촉핀(70)의 두 탄성부(38)의 단부(39)는,
두께가 탄성부(38) t 보다 얇게 t1으로 형성하고, 경사면(40)과 걸림 돌기(42) 걸림돌기 접촉면(41)을 서로 대칭으로 구성하고, 두 탄성부(38)의 내측에는 상기 상부 접촉핀(60)과 하부 접촉핀(70)이 상호 직교 결합되었을 때 유동 공간을 제공하며, 일단에 상부 접촉핀(60)이 하부 접촉핀(70) 방향으로 압축 최대 유동 시, 상호 접촉 정지하는 정지면(44)이 구비된 도피 홈(4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상부 접촉핀(70)(60)의 걸림 돌기(42)를 수용 걸림 및 유동하도록 하고, 상기 하부, 상부 접촉핀(70)(60)의 걸림 돌기 접촉면(41)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하부, 상부 접촉핀(70)(60)의 몸통(64)에 유동 홈(46)을 구성하되, 상기 하부, 상부 접촉핀(70)(60)의 유동 홈(46)이 상면과 하면에 구성되며, 일단은 상대 접촉핀의 걸림 돌기(42)를 걸리게 하는 걸림 턱(47)을 제공하는 걸림 공(48)으로 구성하며, 타단은 스프링(111)의 조립 길이를 고정하고,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좌우 두 개의 고정 돌기의 스프링 고정 면(37)을 통과하여서 접촉부(61) 방향으로 더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콘택트.
- 상부 접촉핀, 하부 접촉핀 및 스프링으로 구성된 스프링 콘택트에 있어서,
소정 형상의 접촉부(31)와 머리부(32) 목부(33)를 가지며 이어서 몸통(34), 몸통(34)의 좌우에 스프링(111)의 조립 길이를 고정하기 위한 좌우 두 개의 고정 돌기(35, 36)와, 몸통 아래에 두 개의 탄성부(38)를 가지는 상부 접촉핀(30)과;
상기 상부 접촉핀(30)과 상호 직교하도록 결합되며, 아래로부터 소정 형상의 접촉부(711)와 몸통(718), 몸통의 좌우에 스프링(111)의 조립 길이를 고정하기 위한 좌우 두 개의 고정 면(715)과, 두 개의 탄성부(719)를 가지는 하부 접촉핀(710); 및
상기 하부 접촉핀(710)과 상부 접촉핀(30)) 사이에 삽입되는 스프링(111); 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 접촉핀(30)과 하부 접촉핀(710)의 두 탄성부(38, 719)의 단부(39, 712)는,
두께가 몸통(34) t 보다 얇게 t1으로 형성하고, 경사면(40, 722)과 걸림 돌기(42, 721) 걸림돌기 접촉면(41, 723)을 서로 대칭으로 구성하고, 두 탄성부(38, 719)의 내측에는 상기 상부 접촉핀(30)과 하부 접촉핀(710)이 상호 직교 결합되었을 때 유동 공간을 제공하며, 일단에 상부 접촉핀(30)이 하부 접촉핀(710) 방향으로 압축 최대 유동 시, 상호 접촉 정지하는 정지면(44, 725)이 구비된 도피 홈(43, 7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상부 접촉핀(30)(710)의 걸림 돌기(42, 721)를 수용 걸림 및 유동하도록 하고, 상기 하부, 상부 접촉핀(30)(710)의 걸림 돌기 접촉면(41,723)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하부, 상부 접촉핀(30)(710)의 몸통(34)에 유동 홈(46, 716)을 구성하되, 상기 하부, 상부 접촉핀(30)(710)의 유동 홈(46, 716)이 상면과 하면에 구성되며, 일단은 상대 접촉핀의 걸림 돌기(42, 721)를 걸리게 하는 걸림 턱(47, 717)을 제공하는 걸림 공(48, 727)으로 구성하며, 타단은 스프링(111)의 조립 길이를 고정하고,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좌우 두 개의 고정 돌기(35, 36)의 스프링 고정 면(37, 714)을 통과하여서 접촉부(31) 방향으로 더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하부 접촉핀(710)은 두 개의 스프링 고정 면(714)을 더 연장하여서 소켓(300)의 몰드 물에 하부 접촉핀(710)을 압입 고정할 목적으로, 조립 정지면(713)을 구성하며, 연장된 압입 고정부(732)를 형성하고, 압입 고정부(732)의 단부(729)에는 소켓(300)의 몰드 물에 하부 접촉핀(710)을 압입 후 빠짐을 방지할 목적으로 압입 고정 돌기(730)를 더 가지며, 하부 접촉 핀(710)의 접촉부(711)는 PCB에 솔더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콘택트.
- 상부 접촉핀, 하부 접촉핀 및 스프링으로 구성된 스프링 콘택트에 있어서,
소정 형상의 접촉부(61)와 이어서 몸통(64), 몸통(64)의 좌우에 스프링(111)의 조립 길이를 고정하기 위한 좌우 두 개의 고정 돌기(65, 66)와, 몸통 아래에 두 개의 탄성부(38)를 가지는 상부 접촉핀(60)과;
상기 상부 접촉핀(60)과 상호 직교하도록 결합되며, 아래로부터 소정 형상의 접촉부(711)와 몸통(718), 몸통(718)의 좌우에 스프링(111)의 조립 길이를 고정하기 위한 좌우 두 개의 고정 면(715)과, 두 개의 탄성부(719)를 가지는 하부 접촉핀(710); 및
상기 하부 접촉핀(710)과 상부 접촉핀(60)) 사이에 삽입되는 스프링(111); 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 접촉핀(60)의 접촉부(61)와 몸통(64), 몸통(64)의 좌우에 스프링(111)의 조립 길이를 고정하기 위한 좌우 두 개의 고정 돌기(65, 66)의 두께 t2는 탄성부(719)의 두께 t보다 더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상부 접촉핀(60)과 하부 접촉핀(710)의 두 탄성부(719)의 단부(39, 712)는,
두께가 몸통(34) t 보다 얇게 t1으로 형성하고, 경사면(40, 722)과 걸림 돌기(42, 721) 걸림돌기 접촉면(41, 723)을 서로 대칭으로 구성하고, 두 탄성부(38, 719)의 내측에는 상기 상부 접촉핀(60)과 하부 접촉핀(710)이 상호 직교 결합되었을 때 유동 공간을 제공하며, 일단에 상부 접촉핀(60)이 하부 접촉핀(710) 방향으로 압축 최대 유동 시, 상호 접촉 정지하는 정지면(44, 725)이 구비된 도피 홈(43, 7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상부 접촉핀(710)(60)의 걸림 돌기(42, 721)를 수용 걸림 및 유동하도록 하고, 상기 하부, 상부 접촉핀(710)(60)의 걸림 돌기 접촉면(41,723)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하부, 상부 접촉핀(710)(60)의 몸통(34)에 유동 홈(46, 716)을 구성하되, 상기 하부, 상부 접촉핀(710)(60)의 유동 홈(46, 716)이 상면과 하면에 구성되며, 일단은 상대 접촉핀의 걸림 돌기(42, 721)를 걸리게 하는 걸림 턱(47, 717)을 제공하는 걸림 공(48, 727)으로 구성하며, 타단은 스프링(111)의 조립 길이를 고정하고,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좌우 두 개의 고정 돌기(65, 66)의 스프링 고정 면(37, 714)을 통과하여서 접촉부(61,711) 방향으로 더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하부 접촉핀(710)은 두 개의 스프링 고정 면(714)을 더 연장하여서 소켓(300)의 몰드 물에 하부 접촉핀(710)을 압입 고정할 목적으로, 조립 정지면(713)을 구성하며, 연장된 압입 고정부(732)를 형성하고, 압입 고정부(732)의 단부(729)에는 소켓(300)의 몰드 물에 하부 접촉핀(710)을 압입 후 빠짐을 방지할 목적으로 압입 고정 돌기(730)를 더 가지며, 하부 접촉 핀(710)의 접촉부(711)는 PCB에 솔더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콘택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접촉핀(30)(30-1)의 머리부(32)가 원통형이며 그 단부(39)의 접촉부(31)는 원통의 둘레에 복수개의 접촉돌기를 형성한 것 또는 반구형 또는 원뿔, 각뿔형인 것 중의 하나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콘택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접촉핀(30)(30-1)의 머리부(32)가 사각형 혹은 다각형이며, 그 단부(39)의 접촉부(31)는 복수개의 접촉돌기를 형성한 것 또는 각뿔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콘택트.
- 제2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접촉핀(30)의 머리부(32)가 원통형이며 그 단부(39)의 접촉부(31)는 원통의 둘레에 복수개의 접촉돌기를 형성한 것 또는 반구형 또는 원뿔, 각뿔형인 것 중의 하나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콘택트.
- 제2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접촉핀(30)의 머리부(32)가 사각형 혹은 다각형이며 그 단부(39)의 접촉부(31)는 복수개의 접촉돌기를 형성한 것 또는 각뿔형인 것 중의 하나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콘택트.
- 제3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접촉핀(60)과 하부 접촉핀(70,60-1,710)의 접촉부(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의 형상은, V형, 양선단부가 각뿔된 V형, U형, 양선단부가 각뿔된 U형, A형, 첨단부가 꼭지점을 갖는 A형, 라운드형, 선단부가 테이퍼형상을 갖는 라운드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콘택트.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접촉핀(70)의 접촉부(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의 형상은, V형, 양선단부가 각뿔된 V형, U형, 양선단부가 각뿔된 U형, A형, 첨단부가 꼭지점을 갖는 A형, 라운드형, 선단부가 테이퍼형상을 갖는 라운드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콘택트.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접촉핀(30,60)과 하부 접촉핀(30-1,70,60-1,710)의 유동 홈(46, 716)의 일단에 상대 접촉핀의 걸림 돌기(42,721)를 걸리게 하는 걸림 턱(47,717)을 구비하되, 걸림 공(48,727)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콘택트.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홈(46, 716)은,
소정 깊이를 가지며, 유동 홈(46, 716)의 바닥과 다른 쪽 유동 홈(46, 716)의 바닥과의 두께는 두 탄성 부의 걸림 돌기(42,721)의 접촉면(41,723) 간의 거리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약간 크게 하거나, 약간 작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콘택트.
-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접촉핀(70,60-1)의 유동 홈(46)은 두 개의 고정 돌기(65,66)의 하측의 스프링 고정 면(37)을 통과하여서 접촉부(61,71) 방향으로 끝까지 연장되도록 형성하면서, 상부 접촉핀(30,60)을 아래로 압축할 경우 상부 접촉핀(30,60)의 두 탄성부(38) 단부가 하부 접촉핀(70,60-1)의 접촉부(61,71) 끝까지 압축도달하거나, 하부 접촉핀(70,60-1)의 접촉부(61,71) 보다 더 내려갈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콘택트.
-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하부 접촉핀(710)은 접촉부(711)가 일자형으로 상기 탄성부(719)보다 길게 형성하여서 PCB에 형성된 스루홀(Thru Hole)에 삽입되어 솔더링(Soldering)되는 스루홀 솔더링 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콘택트.
-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하부 접촉핀(800)은 몸통(801)의 일단부로부터 90도로 절곡되어 형성된 접촉부(802)가 PCB의 하부에 수평으로 밀착되고, 하부 접촉핀(800)의 몸통(801)은 PCB에 형성된 스루홀(Thru Hole)에 삽입되어 솔더링(Soldering)되는 수평 스루홀 솔더링 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콘택트.
-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하부 접촉핀(810)은 접촉부(812)가 일자형으로 상기 몸통(811)보다 짧게 형성하여서 PCB의 표면에 수직으로 실장되어 솔더링(Soldering)되는 수직 표면실장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콘택트. -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하부 접촉핀(820)은 몸통(821)의 일단부로부터 90도 2회 "S"자로 절곡되어 형성된 접촉부(822)가 PCB의 하부에 수평으로 밀착되고, 하부 접촉핀(820)의 몸통(821)은 PCB에 형성된 스루홀(Thru Hole)에 삽입되어 솔더링(Soldering)되는 수평 표면실장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콘택트.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49628A KR101154519B1 (ko) | 2010-05-27 | 2010-05-27 | 스프링 콘택트 구조 |
CN201180024835.5A CN102918723B (zh) | 2010-05-27 | 2011-05-11 | 弹簧接触件结构 |
PCT/KR2011/003447 WO2011149203A2 (ko) | 2010-05-27 | 2011-05-11 | 스프링 콘택트 구조 |
JP2013509003A JP5613828B2 (ja) | 2010-05-27 | 2011-05-11 | スプリングコンタクト構造 |
US13/521,233 US8715015B2 (en) | 2010-05-27 | 2011-05-11 | Structure for a spring contac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49628A KR101154519B1 (ko) | 2010-05-27 | 2010-05-27 | 스프링 콘택트 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30138A KR20110130138A (ko) | 2011-12-05 |
KR101154519B1 true KR101154519B1 (ko) | 2012-06-13 |
Family
ID=45004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49628A Active KR101154519B1 (ko) | 2010-05-27 | 2010-05-27 | 스프링 콘택트 구조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8715015B2 (ko) |
JP (1) | JP5613828B2 (ko) |
KR (1) | KR101154519B1 (ko) |
CN (1) | CN102918723B (ko) |
WO (1) | WO2011149203A2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28581B1 (ko) | 2012-06-13 | 2013-11-13 | 리노공업주식회사 | 검사용 프로브 및 그 제조방법 |
KR101457168B1 (ko) * | 2013-07-19 | 2014-11-04 | 황동원 | 스프링 콘택트 |
KR20160117565A (ko) * | 2014-03-06 | 2016-10-10 |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 프로브 핀 및 이것을 사용한 전자 디바이스 |
KR20180067229A (ko) * | 2016-12-12 | 2018-06-20 | 주식회사 오킨스전자 | 다 접점 에지 접촉으로 접촉 특성이 개선되는 fosp 핀, 및 이를 포함하는 테스트 소켓 |
WO2022080755A1 (ko) * | 2020-10-14 | 2022-04-21 | (주)포인트엔지니어링 | 전기 전도성 접촉핀, 이의 제조방법, 검사장치 및 성형물의 제조방법 및 그 성형물 |
US12061212B2 (en) | 2019-05-15 | 2024-08-13 | Dong Weon Hwang | Spring contact and socket having spring contact embedded therei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58146B1 (ko) * | 2009-11-11 | 2011-08-24 | 하이콘 주식회사 | 스프링 콘택트 및 스프링 콘택트 내장 소켓 |
JP5985447B2 (ja) * | 2013-08-21 | 2016-09-06 | オムロン株式会社 | プローブピン、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デバイス |
DE102014000247B4 (de) * | 2014-01-08 | 2015-07-30 | Yamaichi Electronics Deutchland Gmbh | Kontaktelement, Sockel und Verwendung |
KR101439194B1 (ko) * | 2014-02-18 | 2014-09-16 |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 반도체 검사용 소켓의 판형 검사용 콘택터 |
JP6442668B2 (ja) * | 2014-04-21 | 2018-12-26 | 株式会社ネバーグ | プローブピンおよびicソケット |
JP6269337B2 (ja) * | 2014-06-16 | 2018-01-31 | オムロン株式会社 | プローブピン、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デバイス |
TWI573332B (zh) * | 2014-07-23 | 2017-03-01 | 鴻騰精密科技股份有限公司 | 電連接器及其端子 |
JP6231690B2 (ja) | 2014-08-08 | 2017-11-15 | 日本発條株式会社 | 接続端子 |
CN104161408B (zh) * | 2014-08-15 | 2017-01-18 | 东莞市伟宏五金塑胶制品有限公司 | 插套 |
US9853385B1 (en) | 2015-02-19 | 2017-12-26 | Ohio Associated Enterprises, Llc | Axial compliant compression electrical connector |
US10074923B1 (en) * | 2015-02-19 | 2018-09-11 | Ohio Associated Enterprises, Llc | Axial compliant compression electrical connector |
US20170023643A1 (en) * | 2015-07-20 | 2017-01-26 | Qualcomm Incorporated | Handler based automated 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n an electronic device |
KR101718856B1 (ko) * | 2015-09-25 | 2017-03-24 | 주식회사 오킨스전자 | 반도체 테스트용 포고핀 |
JP1567320S (ko) * | 2016-02-15 | 2017-01-23 | ||
JP1567322S (ko) * | 2016-02-15 | 2017-01-23 | ||
JP1567318S (ko) * | 2016-02-15 | 2017-01-23 | ||
JP1567319S (ko) * | 2016-02-15 | 2017-01-23 | ||
JP1567321S (ko) * | 2016-02-15 | 2017-01-23 | ||
LU92995B1 (de) * | 2016-03-11 | 2017-11-13 | Phoenix Contact Gmbh & Co Kg Intellectual Property Licenses & Standards | Elektrisches Kontaktelement für ein Buselement eines Tragschienenbussystems |
KR101827736B1 (ko) * | 2016-07-29 | 2018-02-09 | 오재숙 | 반도체 칩 검사용 커넥터 핀 장치 및 그의 제작 방법 |
JP6642359B2 (ja) * | 2016-09-21 | 2020-02-05 | オムロン株式会社 | プローブピンおよび検査ユニット |
CN108306126B (zh) * | 2017-12-21 | 2020-06-09 |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 电连接器 |
US10476191B2 (en) | 2018-02-28 | 2019-11-12 | Ohio Associated Enterprises, Llc | Forked electrical contact pair with elastic tail |
KR102183498B1 (ko) * | 2019-05-31 | 2020-11-27 | 주식회사 이노글로벌 | 스프링을 이용한 도전성 핀과, 이를 이용한 테스트 소켓 및 인터포저 |
KR102208381B1 (ko) * | 2019-09-06 | 2021-01-28 | 리노공업주식회사 | 검사프로브 및 그의 제조방법, 그리고 그를 지지하는 검사소켓 |
KR102080832B1 (ko) * | 2019-10-02 | 2020-02-24 | 황동원 | 스프링 콘택트 및 스프링 콘택트 내장형 테스트 소켓 |
KR102216143B1 (ko) * | 2019-12-24 | 2021-02-16 |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 검사용 탐침장치 |
KR102431300B1 (ko) * | 2020-10-16 | 2022-08-11 | (주)아이윈솔루션 | 대용량 전류 전송이 가능한 연결핀 |
KR102305453B1 (ko) * | 2020-10-27 | 2021-09-30 | (주) 네스텍코리아 | 전기 연결핀 |
US11387587B1 (en) | 2021-03-13 | 2022-07-12 | Plastronics Socket Partners, Ltd. | Self-retained slider contact pin |
KR102559623B1 (ko) * | 2023-02-16 | 2023-09-06 | 하이콘 주식회사 | 콘택트 핀 및 이를 포함하는 스프링 콘택트 |
KR102817014B1 (ko) * | 2024-11-21 | 2025-06-05 | 주식회사 지티지솔루션 | 일체형 탄성지지부를 갖는 양측 접속핀형 반도체기기용 접속핀 |
KR102817013B1 (ko) * | 2024-11-21 | 2025-06-05 | 주식회사 지티지솔루션 | 일체형 탄성지지부를 갖는 반도체기기용 접속핀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30785A (ko) * | 2004-10-06 | 2006-04-11 | 황동원 | 전자장치용 콘택트 |
KR20080015512A (ko) * | 2005-06-10 | 2008-02-19 | 델라웨어 캐피탈 포메이션, 인코포레이티드 | 컴플라이언트 내부 상호접속부를 가진 전기적 접촉 프로브 |
US20100035483A1 (en) | 2008-08-11 | 2010-02-11 |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 Electrical contact with interlocking arrangment |
KR20100076853A (ko) * | 2008-12-26 | 2010-07-06 | 야마이치덴키 가부시키가이샤 | 반도체 장치용 전기 접속 장치 및 그것에 사용되는 콘택트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896287Y (zh) * | 2006-03-07 | 2007-05-02 | 东莞先得利电子测试配件有限公司 | 一种测试针 |
JP2009128211A (ja) * | 2007-11-26 | 2009-06-11 | Sensata Technologies Inc | プローブピン |
WO2010016608A1 (ja) * | 2008-08-08 | 2010-02-11 | 日本発條株式会社 | 電気接点部材およびコンタクトプローブ |
TWM356263U (en) * | 2008-09-16 | 2009-05-01 | Hon Hai Prec Ind Co Ltd | Electrical connector contact |
KR101058146B1 (ko) * | 2009-11-11 | 2011-08-24 | 하이콘 주식회사 | 스프링 콘택트 및 스프링 콘택트 내장 소켓 |
TWM398701U (en) * | 2010-07-16 | 2011-02-21 | Hon Hai Prec Ind Co Ltd | Electrical contact |
US8408946B1 (en) * | 2012-05-26 | 2013-04-02 | Jerzy Roman Sochor | Low inductance contact with conductively coupled pin |
-
2010
- 2010-05-27 KR KR1020100049628A patent/KR101154519B1/ko active Active
-
2011
- 2011-05-11 US US13/521,233 patent/US8715015B2/en active Active
- 2011-05-11 JP JP2013509003A patent/JP5613828B2/ja active Active
- 2011-05-11 CN CN201180024835.5A patent/CN102918723B/zh active Active
- 2011-05-11 WO PCT/KR2011/003447 patent/WO2011149203A2/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30785A (ko) * | 2004-10-06 | 2006-04-11 | 황동원 | 전자장치용 콘택트 |
KR20080015512A (ko) * | 2005-06-10 | 2008-02-19 | 델라웨어 캐피탈 포메이션, 인코포레이티드 | 컴플라이언트 내부 상호접속부를 가진 전기적 접촉 프로브 |
US20100035483A1 (en) | 2008-08-11 | 2010-02-11 |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 Electrical contact with interlocking arrangment |
KR20100076853A (ko) * | 2008-12-26 | 2010-07-06 | 야마이치덴키 가부시키가이샤 | 반도체 장치용 전기 접속 장치 및 그것에 사용되는 콘택트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28581B1 (ko) | 2012-06-13 | 2013-11-13 | 리노공업주식회사 | 검사용 프로브 및 그 제조방법 |
WO2013187611A1 (en) * | 2012-06-13 | 2013-12-19 | Leeno Industrial Inc. | Test probe and machining method thereof |
KR101457168B1 (ko) * | 2013-07-19 | 2014-11-04 | 황동원 | 스프링 콘택트 |
WO2015008887A1 (ko) * | 2013-07-19 | 2015-01-22 | 하이콘 주식회사 | 스프링 콘택트 |
US10094852B2 (en) | 2013-07-19 | 2018-10-09 | Hicon Co., Ltd. | Spring contact |
KR20160117565A (ko) * | 2014-03-06 | 2016-10-10 |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 프로브 핀 및 이것을 사용한 전자 디바이스 |
KR20180067229A (ko) * | 2016-12-12 | 2018-06-20 | 주식회사 오킨스전자 | 다 접점 에지 접촉으로 접촉 특성이 개선되는 fosp 핀, 및 이를 포함하는 테스트 소켓 |
KR101932509B1 (ko) | 2016-12-12 | 2018-12-26 | 주식회사 오킨스전자 | 다 접점 에지 접촉으로 접촉 특성이 개선되는 fosp 핀, 및 이를 포함하는 테스트 소켓 |
US12061212B2 (en) | 2019-05-15 | 2024-08-13 | Dong Weon Hwang | Spring contact and socket having spring contact embedded therein |
WO2022080755A1 (ko) * | 2020-10-14 | 2022-04-21 | (주)포인트엔지니어링 | 전기 전도성 접촉핀, 이의 제조방법, 검사장치 및 성형물의 제조방법 및 그 성형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30012076A1 (en) | 2013-01-10 |
KR20110130138A (ko) | 2011-12-05 |
WO2011149203A3 (ko) | 2012-01-12 |
CN102918723A (zh) | 2013-02-06 |
JP5613828B2 (ja) | 2014-10-29 |
WO2011149203A2 (ko) | 2011-12-01 |
JP2013539153A (ja) | 2013-10-17 |
US8715015B2 (en) | 2014-05-06 |
CN102918723B (zh) | 2015-06-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54519B1 (ko) | 스프링 콘택트 구조 | |
CN103311709B (zh) | 用于电子装置的触头 | |
KR100584225B1 (ko) | 전자장치용 콘택트 | |
US7927109B1 (en) | Electrical connector having plated conductive layer | |
KR101058146B1 (ko) | 스프링 콘택트 및 스프링 콘택트 내장 소켓 | |
JP2013529789A (ja) | プローブ(probe) | |
US20150171540A1 (en) | Electrical connector and conductive terminal thereof | |
US10079444B2 (en) |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onductive balls | |
KR101932509B1 (ko) | 다 접점 에지 접촉으로 접촉 특성이 개선되는 fosp 핀, 및 이를 포함하는 테스트 소켓 | |
TWI827885B (zh) | 電連接器 | |
KR101639737B1 (ko) | 소켓 어셈블리 및 그의 제조방법 | |
US20120045946A1 (en) | Socket connector having suitable receiving solder lead from ic package | |
US9130321B2 (en) |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ontact for either BGA or LGA package | |
KR20220052449A (ko) | 포고 핀 | |
US20070281507A1 (en) | IC contact for LGA socket | |
US10833442B2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aligned contacting points between CPU and PCB | |
KR102092006B1 (ko) | 판 스프링 타입의 연결핀 | |
TWM567496U (zh) | Magnetic spring thimble connector structure with a recessed groove and its board end connector | |
US20110053426A1 (en) | Lower profile electrical contact and electrical socket using the same | |
TWI573354B (zh) | 射頻連接器 | |
US20090203235A1 (en) | Electrical connector having terminals with improved wiping capability | |
KR101973392B1 (ko) | 테스트 소켓의 l-타입 pion 핀 | |
KR20180013383A (ko) | 컨택트 프로브 | |
KR102382854B1 (ko) | 완충형 다접점 테스트 핀 | |
KR101266927B1 (ko) | 반도체 테스트용 마이크로 가이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8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6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6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6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6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5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5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23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5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52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0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50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52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