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9974B1 - A corner block for construct reinforced earth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of corner part thereof - Google Patents
A corner block for construct reinforced earth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of corner part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39974B1 KR101139974B1 KR1020110067147A KR20110067147A KR101139974B1 KR 101139974 B1 KR101139974 B1 KR 101139974B1 KR 1020110067147 A KR1020110067147 A KR 1020110067147A KR 20110067147 A KR20110067147 A KR 20110067147A KR 101139974 B1 KR101139974 B1 KR 10113997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 retaining wall
- corner
- coupling
- adjacent block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옹벽축조용 코너 블록 및 이 코너 블록과 일반 블록을 조합사용한 옹벽의 코너부 축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돌출형이나 만입형의 직각 코너부를 경제적으로 축조함과 아울러 구조적으로도 견고하게 축조할 수 있으며, 이러한 직각 코너부 외에도 다양한 곡률반경의 곡선형 옹벽을 축조하는데도 적합하며, 교대 및 통로 박스와 결합되는 부위의 옹벽도 틈새의 발생이 없이 견고하게 축조할 수 있는 구조의 옹벽축조용 코너 블록의 구조 및 이 코너 블록과 일반 블록을 조합 사용하여 코너부 옹벽을 축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본 출원인의 특허 제0632966호의 옹벽 축조용 코너 블록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는 좌우로 인접하는 블록 사이에 상호 요철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좌우 측면을 갖는 일반 블록만을 사용하여 옹벽을 축조할 때 코너부에서 지반의 부등침하 또는 보강토체의 수평변위 발생시 엇쌓기식으로 축조된 블록에 전단력이 집중되어 파손이 발생하거나 블록간 틈새가 크게 벌어지는 현상을 방지함과 아울러 최소한의 공간에서 직각으로 코너부를 축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간활용도를 높이고 소요자재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너 블록(A) 좌우의 측면에는 각각 직각으로 축조되는 블록(B)의 측부가 각각 끼워지는 수용홈(12)이 상호 직각이 되게 형성되고, 상면에는 후방으로 보강재 또는 앵커의 선단부가 끼워지는 보강재 삽입홈이 형성되며, 이 보강재 삽입홈에는 상하로 축조되는 블록간의 결합을 위한 연결핀이 끼워지는 연결핀 삽입구멍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The relate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retaining wall construction corner block of the applicant's patent No. 0632966, which uses only a general block having left and right sides so that mutual concavities and convexities are formed between adjacent blocks from side to side. In case of construction, in case of uneven settlement of ground or horizontal displacement of reinforcement soil at the corner, shear force is concentrated on the stacked blocks to prevent breakage or large gaps between blocks, and at the right angle in the minimum space. In order to increase the space utilization and to reduce the required materials by allowing the corner portion to be constructed, this is a block (B) which is constructed at right angles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orner block (A), as shown in FIG. 1. Receiving
상술한 특허 제0632966호의 코너 블록은 옹벽 선형 중 직각으로 돌출되는 부위에만 적용이 가능한 문제가 있었으며, 직각으로 만입되는 부위에 있어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너 블록(A)은 사용하지 못하고, 대신 일반 블록(B)과 반블록(C)만을 조합하여 축조하였기 때문에 코너부가 직각을 이루지 못하고 대각선으로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일반 블록(B)과 반블록(C)간의 결합력도 떨어져 블록 사이의 틈새가 벌어지는 등의 하자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기타 다양한 각도의 선형으로 이루어지는 옹벽 부위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The above-described corner block of Patent No. 0632966 has a problem that can be applied only to a portion projecting at right angles in the retaining wall linear, and the corner block A is not used as shown in FIG. Since only the general block (B) and the half block (C) are constructed, the corners are not formed at right angles and are formed diagonally, and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general block (B) and the half block (C) is also lowered. There was a problem that defects such as gaps occur frequently, and there is a limit that can not be used in the retaining wall portion formed of a linear of various angles.
또,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코너 블록을 사용하여 코너 옹벽을 축조할 경우에는 별도의 반블록(C)을 추가로 사용하여야 했었으므로 재료의 추가 구입에 따른 원가상승의 요인이 되기도 하였고, 반 블록은 인접하는 블록 및 보강토체와의 결합력이 떨어져 이 부분이 쉽게 빠져나오거나 간격이 벌어져 토사가 유출되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In addition, when constructing the corner retaining wall using the corner blocks shown in FIGS. 1 and 2, an additional half block (C) had to be additionally used, which may cause a cost increase due to additional purchase of materials. The half block has a weak coupling force between adjacent blocks and reinforcement soils, and this part easily escapes or opens a gap, causing soil leakage.
한편, 본 출원인의 선등록실용신안 제0412264호의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좌,우로 인접하는 블록 간에는 직선 또는 다양한 곡선 형태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지형에 따른 선형을 갖는 옹벽을 축조할 수 있도록 하였는데, 이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옹벽 면을 형성하는 전면과 이 전면에 대응되는 후면, 좌?우 측면 및 상?하면을 가지며, 내부에는 상?하로 관통공이 형성된 옹벽 축조용 블록에 있어서; 상기 상면의 후부 양측에는 상?하로 적층되는 블록 간의 인터록킹을 위한 결합돌기(52,54)가 돌출형성되고, 이 결합돌기(52,54)의 전방과 내측부 후방으로는 보강재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하면의 후부 양측에는 상기 결합돌기(52,54)가 끼워지도록 끼움홈(62,64)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inforcement soil retaining wall construction block of the applicant's prior application model No. 0412264 can be combin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adjacent blocks in a straight line or various curved forms so a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retaining wall having a linear according to the
상기한 실용신안등록 제0412264호는 다양한 선형의 옹벽을 축조하는 데는 적합하나, 직각으로 돌출되거나 직각으로 만입된 코너 옹벽의 축조시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률반경이 커지게 되고, 소요자재의 낭비를 초래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The above-mentioned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412264 is suitable for constructing various linear retaining walls, but when constructing corner retaining walls protruding at right angles or indented at right angles, the radius of curvature increases as shown in FIG. There was a disadvantage that causes wasted.
또,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종래의 일반 블록(B)으로 곡선형의 옹벽을 축조할 경우에는 옹벽 전면에 상,하 블록 사이의 단차(돌출 및 만입부)가 발생하여 미관상 보기에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하 블록 간의 접지면적이 작아져 부등침하에 따른 전단응력을 받을 경우 옹벽의 선형이 뒤틀리게 되거나 응력이 집중된 블록이 쉽게 파손될 우려가 있었다.In addition, when constructing a curved retaining wall with the conventional general block (B) shown in Figs. 6 and 7, a step (protrusion and indentation) between the upper and lower blocks occurs on the front of the retaining wall, which is good for aesthetic appearance. Not only that, the ground area between the upper and lower blocks is small, so that the linear stress of the retaining wall may be distorted or the stress concentrated block may be easily damaged when the shear stress is caused by the differential settlement.
또한, 기존의 블록으로 곡선부 옹벽을 축조할 경우에는 블록 상하면이 맞닿은 상태에서 축조됨으로써 부등침하 및 방사상으로 작용하는 보강토체의 수평변위(토압)에 의해 곡선부의 블록이 파손되는 현상이 빈번하였다.
In addition, when the curved retaining wall is constructed by the existing block, the curved block is frequently damaged by the horizontal displacement (earth pressure) of the reinforcing soil acting inevitably and radially because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lock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직각으로 돌출되거나 만입된 직각 옹벽은 물론 좌우로 인접하는 블록 사이에 다양한 각도로 결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지형에 어울리는 다양한 선형 즉, 직선형은 물론 다양한 곡률반경을 갖는 곡선형 옹벽을 경제적으로 축조할 수 있으면서도 구조적으로도 견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옹벽 축조용 코너 블록 및 이 블록을 사용하여 옹벽의 코너부를 제공하는 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a variety of linear to match the terrain by allowing the coupling at various angles between the right and left right wall as well as the right angle retaining wall protruding at right angles. In addition, a retaining wall construction corner block capable of economically constructing a curved retaining wall having a straight line shape and various curvature radii while maintaining a structurally robust state, and using the block, provides a corner portion of the retaining wall.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옹벽의 외면을 형성하는 전면, 보강토체에 접하는 후면, 좌우로 인접하는 블록 사이에 접촉하는 좌,우 측면 및 상하로 인접하는 블록 사이에 접촉하는 상,하면을 가지는 옹벽 축조용 블록에 있어서; 상기 좌,우 측면 중의 어느 일측은 측방으로 돌출된 하나의 결합부를 가지며, 타측은 상기 일측의 결합부가 임의의 각도로 결합가능하도록 상기 블록의 전면에서부터 후면에 이르기까지 동일 반경으로 복수의 결합부가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좌,우로 인접하는 블록 사이의 각도를 조절해 줄 수 있도록 된 옹벽축조용 코너 블록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op surface and a bottom surface contacting between left and right sides and top and bottom adjacent blocks contacting betwee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retaining wall, the rear surface contacting the reinforcement soil, and the adjacent blocks from side to side. In th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block having a; One sid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has one coupling portion protruding to the side, the other side is a plurality of coupling portions radially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block from the front side of the block so that the coupling portion of the one side can be coupled at any angle It is formed to provide a retaining wall building corner block to adjust the angle between the adjacent blocks to the left, right.
본 발명에서 상기 방사상 결합부가 형성된 일 측면의 상부는 상면의 높이보다 낮게 단차를 형성하여 상하로 적층되는 블록 사이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전단력을 받더라도 응력집중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ortion of one side of the radial coupling portion is formed to have a step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to maintain a spaced state between the blocks stacked up and down to prevent breakage due to stress concentration even under shear force. .
본 발명은 또, 소정의 각도로 이루어진 돌출형 코너부나 만입형 코너부의 옹벽을 축조하는 방법으로; 좌우로 인접하는 블록 사이에 상호 요철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좌우 측면을 갖는 일반 블록과 상기 코너 블록의 좌,우 측면을 상기 코너부의 좌우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맞대고 그 상부에는 다시 반대 방향으로 코너 블록과 일반 블록의 좌,우 측면을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맞대서 축조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에 의해 코너부의 옹벽을 축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for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of a protruding corner portion or an indented corner portion formed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general block having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orner block are faced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orner part so that mutual unevenness is formed between adjacent blocks from left and right, and the upper corner corner block Provided is a method for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of a corner by repeating a process of constructi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a general block in a predetermined angle to each other.
본 발명은 블록의 일 측면에 방사상으로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인접하는 블록 사이의 연결각도를 돌출형 직각 코너부에서부터 만입형 직각 코너부까지 임의의 각도로 축조할 수 있으므로 최소한의 부지와 재료를 사용하여 지형에 적합하거나 토지소유주가 요구로 하는 옹벽을 축조할 수 있으며, 전단응력에도 강한 축조상태를 이룸으로써 시공하자가 발생할 우려도 적은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upling portion is formed radially on one side of the block, the connection angle between adjacent blocks can be constructed at any angle from the protruding right angle corner to the indented right angle corn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nstruct retaining walls that are suitable for the terrain or required by landowners, and by forming a strong construction state in shear stress, there is little risk of construction defects.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코너 블록의 축조상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코너 블록으로 축조된 만입형 옹벽의 축조상태도,
도 3은 또 다른 종래기술에 의한 코너 블록의 축조상태 평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블록으로 축조된 만입형 옹벽의 평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블록으로 축조된 옹벽의 코너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종래의 일반 블록으로 축조된 돌출형 옹벽의 평면도,
도 7은 종래의 일반 블록으로 축조된 만입형 옹벽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의한 코너 블록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블록에 의해 축조된 옹벽의 코너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평면도,
도 11은 도 8의 블록에 의해 축조된 돌출형 옹벽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평면도,
도 13은 돌출형 옹벽의 다양한 각도 변화를 도시한 평면도,
도 14는 도 8의 블록에 의해 축조된 만입형 직각 옹벽의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평면도,
도 16은 도 8의 블록에 의해 축조된 만입형 옹벽의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평면도,
도 18은 만입형 옹벽의 다양한 각도 변화를 도시한 평면도,
도 19는 도 8의 블록으로 교대부분을 축조한 사시도,
도 20은 도 19의 평면도,
도 21은 교대부분의 또 다른 시공상태 사시도,
도 22는 도 21의 평면도,
도 23은 통로 박스부분의 시공상태 사시도,
도 24는 도 23의 평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의한 코너 블록의 사시도,
도 26은 도 25의 블록에 의해 축조된 옹벽의 코너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7은 도 26의 평면도,
도 28은 도 25의 블록에 의해 축조된 돌출형 옹벽의 사시도,
도 29는 도 28의 평면도,
도 30은 돌출형 옹벽의 다양한 각도 변화를 도시한 평면도,
도 31은 도 25의 블록에 의해 축조된 만입형 직각 옹벽의 사시도,
도 32는 도 31의 평면도,
도 33은 도 25의 블록에 의해 축조된 만입형 옹벽의 사시도,
도 34는 도 33의 평면도,
도 35는 만입형 옹벽의 다양한 각도 변화를 도시한 평면도이다.1 is a state diagram of a corner block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2 is a state diagram of a built-in retaining wall constructed of a corner block shown in FIG. 1;
3 is a plan view of the construction of a corner block according to another prior art;
4 is a plan view of an indented retaining wall constructed of the blocks shown in FIG. 3;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rner portion of the retaining wall constructed of the block shown in FIG. 3;
6 is a plan view of a protruding retaining wall constructed of a conventional general block,
7 is a plan view of an indented retaining wall constructed of a conventional general block,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rner bloc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rner portion of the retaining wall constructed by the block of FIG. 8;
10 is a plan view of FIG. 9;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otruding retaining wall constructed by the block of FIG. 8, FIG.
12 is a plan view of FIG.
13 is a plan view showing various angle changes of the protruding retaining wall;
1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dented rectangular retaining wall constructed by the block of FIG. 8, FIG.
15 is a plan view of FIG. 14;
1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dented retaining wall constructed by the block of FIG. 8, FIG.
17 is a plan view of FIG. 16;
18 is a plan view showing various angle changes of the indented retaining wall;
1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lternating portion of the block of FIG. 8;
20 is a plan view of FIG. 19,
21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construction state of the alternate portion,
FIG. 22 is a plan view of FIG. 21;
2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struction state of the passage box portion;
24 is a plan view of FIG. 23;
25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rner block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rner portion of the retaining wall constructed by the block of FIG. 25;
27 is a plan view of FIG.
28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otruding retaining wall constructed by the block of FIG. 25;
29 is a top view of FIG. 28,
30 is a plan view showing various angle changes of the protruding retaining wall;
3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dented rectangular retaining wall constructed by the block of FIG. 25;
32 is a plan view of FIG. 31;
3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dented retaining wall constructed by the block of FIG. 25;
34 is a top view of FIG. 33;
35 is a plan view showing various angle changes of the indented retaining wall.
이하,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that do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의한 옹벽 축조용 코너 블록을 도시한 것으로, 2가지 타입의 코너 블록 2개가 함께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좌,우 측면의 형태만이 뒤바뀐 타입이며, 이하의 설명에서는 좌,우 측면에 대하여 부호를 표기할 경우에는 편의상 도면에 도시된 상태의 좌,우측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FIG. 8 illustrates a retaining wall building corner bloc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wo types of corner blocks are shown together, which is a type in which only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inverted. In the description, when a reference numeral is written for left and right sides,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tate shown in the drawings for convenience.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의 코너 블록(B)은 옹벽의 외면을 형성하는 전면(101), 보강토체에 접하는 후면(102), 좌우로 인접하는 블록 사이에 접촉하는 좌,우 측면(103,104) 및 상하로 인접하는 블록 사이에 접촉하는 상,하면(105,106)을 가지며, 상기 상면(105)에는 후면(102) 측으로 보강재가 연결되는 보강재 삽입홈(107)이 형성되고, 상,하 블록 간의 인터록킹을 위한 연결핀 삽입홈(108)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 측면(103,104) 중의 어느 일측은 측방으로 돌출된 하나의 결합부(104a)를 가지며, 타측은 상기 일측의 결합부(104a)가 임의의 각도로 결합가능하도록 상기 블록의 전면(101)에서부터 후면(102)에 이르기까지 동일 반경으로 복수의 결합부(103a)가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좌,우로 인접하는 블록 사이의 각도를 임의의 각도로 조절하여 축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8, the corner block B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본 발명에서 상기 방사상의 결합부(103a)가 형성된 일 측면(103)의 상부는 상면(105)의 높이보다 낮게, 약 5mm내외의 단차를 이루도록 외력흡수홈(109)이 형성되어 있어 이 부분에서 상하로 적층되는 블록 사이가 밀착되지 않고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부등침하에 의한 전단력을 받게 되더라도 응력집중에 의한 블록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본 발명에서 상기 블록의 외형 즉, 블록에서 외형의 형태가 두드러지게 표현되는 전면(101)과 후면(102)의 형태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며 전면(101)은 도 8에 도시된 제1실시 예에서와 같은 직선형 스플릿타입으로 형성하거나 주름 또는 빗살무늬를 형성한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성형할 수 있으며, 후면(102)의 형태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이 후방으로 돌출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of the front face, that is, the shape of the
도면 중 부호 110은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으로, 이 관통공(110)은 블록의 경량화 및 운반시의 편의를 위하여 설계된 사항이다.In the drawing,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조인 블록의 좌,우 측면(103,104)의 형태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좌,우 비대칭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는 점에 있는데, 이는 일 측면(104)의 결합부(104a)는 하나만 형성되어 있고, 타 측면(103)에는 블록(B)의 전면(101)에서부터 후면(102)까지 동일 반경으로 여러 개의 결합부(103a)가 형성된 점에 특징이 있다.The left and
상기 결합부(103a,104a)는 좌우로 인접하는 블록 사이의 측면이 맞닿으면서 블록 후방의 보강토체가 전면으로 노출되거나 유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의 결합부(104a)는 말 그대로 하나의 요부(104a-1)와 하나의 철부(104a-2)가 인접되게 형성되어 있고, 타측의 결합부(103a)는 마치 스퍼 기어와 같이 요부(103a-1)와 철부(103a-2)가 동심원을 이루면서 방사상으로 교대로 형성되어 있어 인접하는 블록의 결합부(104a)가 어느 위치의 결합부와 맞물리는가에 따라서 옹벽의 축조각도가 결정되도록 되어 있다.
The
이하에서는 상기한 실시 예의 블록과 일반 블록을 사용하여 축조되는 옹벽의 다양한 형태와 그 축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various forms of the retaining wall constructed using the block and the general block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도 9 및 도 10은 돌출형 직각 옹벽의 코너부를 도시한 것으로, 돌출형 직각 코너부에 좌우로 일반 블록(B1)과 코너 블록(B)의 좌,우 측면(103,104)을 직각이 되도록 맞대고 그 상부에는 다시 반대 방향으로 코너 블록(B)과 일반 블록(B1)의 좌,우 측면(103,104)을 직각이 되도록 맞대서 축조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에 의해 축조가 가능하게 되며, 보강토체의 내부로 매립되는 보강재는 코너 블록(B)을 기준으로 좌측의 옹벽과 우측의 옹벽에의 연결시 같은 위치에서 교차되지 않도록 블록 하나의 높이에 해당하는 단차를 두로 교대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9 and 10 illustrate corner portions of the protruding rectangular retaining wall, and the left and
본 발명에서는 보강재가 옹벽 전면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할 수 있으므로 보강토체의 침하나 기타 외력의 발생이 있더라도 보강재가 옹벽을 이루는 블록을 지지하는 힘이 균일하여 옹벽면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einforcement may be disposed at right angles to the front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even if there is sedimentation of the reinforcement body or other external force, the force supporting the block forming the retaining wall is uniform so that the deformation of the retaining wall does not occur. have.
한편, 코너부의 상,하 블록 사이는 외력흡수홈(109)에 의해 5mm정도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며, 부등침하발생시 코너부에 응력이 집중하게 되어 코너블록에 전단력이 가해지는 것에 대하여 능동적으로 대비할 수 있다. 따라서 하자의 발생을 없앨 수 있다.On the other han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blocks of the corner portion is maintained by about 5mm spaced apart by the external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소요부지와 재료의 최소화가 가능하면서 구조적으로도 견고한 돌출형 직각 옹벽의 시공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required site and material and to construct a structurally rigid projecting rectangular retaining wall.
도 11 및 도 12는 돌출형 45°(135°)옹벽의 코너부를 도시한 것으로, 이때에는 코너 블록(B) 일 측면의 결합부(103a)와 일반 블록(B1) 일측의 결합부(104a)를 옹벽의 전면을 이루는 직선과 45°를 이루는 위치에 일치되도록 상호 맞물려주면 되며, 자연스러운 45°코너부를 축조할 수 있다.
11 and 12 illustrate corner portions of the protruding 45 ° (135 °) retaining walls, in which a
도 13은 돌출형 옹벽의 다양한 각도 변화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 예의 코너 블록(B)은 블록 일 측면의 결합부(103a)가 블록의 전면에서 후면에 이르기까지 동일 반경 내에서 방사상으로 복수개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인접하는 일반 블록(B1)의 결합부(104a)가 상기 결합부(103a)에 결합되는 위치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 다양한 각도의 돌출형 코너부를 축조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FIG. 13 illustrates various angle changes of the protruding retaining wall. The corner block B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plurality of radial portions within the same radius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of the
도 14 및 도 15는 만입형 직각 옹벽의 코너부를 도시한 것으로, 만입형 직각 코너부에 좌우로 일반 블록(B1)과 코너 블록(B)을 직각이 되도록 맞대고 그 상부에는 다시 반대 방향으로 코너 블록(B)과 일반 블록(B1)을 직각이 되도록 맞대서 축조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에 의해 축조가 가능하게 되며, 보강토체의 내부로 매립되는 보강재는 돌출형 직각 코너부와는 달리 교차되지 않으므로 동일한 높이에서 동시에 설치가 가능하다.14 and 15 show a corner portion of a recessed right angle retaining wall, and the general block B1 and the corner block B are perpendicular to the left and right angled corner portions at right and left corner corners in the opposite direction. By repeating the process of constructing (B) and the general block (B1) to b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he construction is possible, and since the reinforcement embedded into the reinforcement body does not intersect unlike the projecting right angle corner part, It can be installed at the same time from the height.
한편, 만입형 직각 코너부의 상,하 블록 사이도 외력흡수홈에 의해 5mm정도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며, 부등침하발생시 코너부에 응력이 집중하게 되어 코너블록에 전단력이 가해지는 것에 대하여 능동적으로 대비할 수 있다. 따라서 하자의 발생을 없앨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op and bottom blocks between the indented right angle corners are kept 5 mm apart by the external force absorbing groove, and stress is concentrated at the corners in case of an uneven settlement, and actively prepares for the shear force applied to the corner blocks. Can be. Thus, the occurrence of defects can be eliminated.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소요부지와 재료의 최소화가 가능하면서 구조적으로도 견고한 만입형 직각 옹벽의 시공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required site and material and to construct a structurally rigid indented rectangular retaining wall.
도 16 및 도 17은 만입형 45°옹벽의 코너부를 도시한 것으로, 이때에는 코너 블록 일 측면의 결합부와 일반 블록 일측의 결합부를 옹벽의 전면을 이루는 직선과 135°(-45°)를 이루는 위치에 일치되도록 상호 맞물려주면 되며, 자연스러운 -45°코너부를 축조할 수 있다.
16 and 17 illustrate corner portions of the indented 45 ° retaining wall, wherein the engaging portion on one side of the corner block and the engaging portion on one side of the general block form a straight line forming the front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and 135 ° (-45 °). They can be interlocked to match their position, and a natural -45 ° corner can be constructed.
도 18은 만입형 옹벽의 다양한 각도 변화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 예의 코너 블록은 블록 일 측면의 결합부가 블록의 전면에서 후면에 이르기까지 동일 반경 내에서 방사상으로 복수개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결합부의 결합위치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 다양한 각도의 만입형 코너부를 축조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18 illustrates various angle changes of the indented retaining wall. In the corner block of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coupling portions of one side of the block are radially formed within the same radius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of the block, and thus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coupling portion It can be seen that by selecting the can be built in the indented corners of various angles.
도 19 및 도 20은 교대(橋臺) 부분을 축조한 것으로, 도로 측면의 옹벽과 수직으로 접속되는 교대 접속부에서 결합력이 떨어지는 기존의 반 블록을 사용하지 않고 본 발명의 코너 블록(B)을 보강토체쪽 즉, 교대(P)의 내측에 접하도록 직각으로 삽입하여 시공하는 것에 의해 결합깊이가 깊어지게 되며, 이에 의해 교대(P) 구조물과 옹벽 블록 사이의 이격으로 인한 토사의 유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19 and 20 show the construction of an alternating portion, and reinforce the corner block B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using a conventional half block having a poor coupling force in an alternating connection portion connected vertically with the retaining wall on the side of the road. The depth of engagement is deepened by inserting at right angles so as to contact the inside of the sieve, that is, the inner side of the shift P, thereby effectively preventing the outflow of soil due to the separation between the shift P structure and the retaining wall block. have.
도 21 및 도 22는 교대 부분의 또 다른 시공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여기에서도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것과 마찬가지로 도로 측면의 옹벽과 수직으로 접속되는 교대 접속부에서 결합력이 떨어지는 기존의 반 블록을 사용하지 않고 본 발명의 코너 블록(B)을 보강토체쪽 즉, 교대(P)의 내측에 접하도록 직각으로 삽입하여 시공하는 것에 의해 결합깊이가 깊어지게 되며, 이에 의해 구조물과 옹벽 블록 사이의 이격으로 인한 토사의 유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교대 쪽으로 좁아지는 어깨 부분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돌출형 45°(135°)코너를 형성하면 된다.
21 and 22 show another construction state of the alternating portion, and here, as shown in FIGS. 19 and 20, the existing half block having a low coupling force at the alternating connection portion connected vertically with the retaining wall on the side of the road is shown. The joint depth is deepened by inserting the corner block B of the present invention at right angles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reinforcement body side, that is, the inner side of the alternating portion P, and thus, the space between the structure and the retaining wall block.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leakage of soil due to the shoulder portion narrowing toward the alternating to form a protruding 45 ° (135 °) corner as shown in FIG.
도 23 및 도 24는 도로 아래에 설치되는 통로 박스(R)부분의 옹벽 시공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여기에서도 교대와 수직으로 접하는 부위와 동일하게 코너 블록(B)을 보강토체 내측으로 삽입하여 통로 박스(R)의 측면에 접하도록 직각이 되도록 함으로써 통로 박스(R)와 옹벽이 맞닿는 위치에서의 결합깊이를 깊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통로 박스의 상면이 접하는 위치에서의 좌,우 블록간의 축조가 별도의 반 블록을 사용하지 않고도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게 된다.
23 and 24 show th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state of the passage box (R) portion is installed under the road, and here also the corner block (B) is inserted into the reinforcement body inside the same as the portion perpendicular to the alternating passage By making it perpendicular to the side of the box R, the depth of engagement at the position where the passage box R and the retaining wall abut can be deepened, and the construction between the left and right blocks at the position where the upper surface of the passage box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is is done naturally without using a separate half block.
도 2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의한 코너 블록을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코너 블록도 전체적인 형태만 다를 뿐 제1실시 예의 블록과 구조적으로는 동일하다.FIG. 25 illustrates a corner block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ner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structurally identical to the block of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the overall shape is different.
즉, 본 실시 예의 코너 블록(B)은 옹벽의 외면을 형성하는 전면(101), 보강토체에 접하는 후면(102), 좌우로 인접하는 블록 사이에 접촉하도록 각각 요철형으로 형성된 좌,우 측면(103,104) 및 상하로 인접하는 블록 사이에 접촉하는 상,하면(105,106)을 가지며, 상기 상면(105)에는 후면(102)측으로 보강재가 연결되는 보강재 삽입홈(107)이 형성되고, 상,하 블록 간의 인터록킹을 위한 연결핀 삽입홈(108)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좌,우 측면(103,104) 중의 어느 일측은 측방으로 돌출된 하나의 결합부(104a)를 가지며, 타측은 상기 일측의 결합부(104a)가 임의의 각도로 결합가능하도록 상기 블록의 전면(101)에서부터 후면(102)에 이르기까지 동일 반경으로 복수의 결합부(103a)가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좌,우로 인접하는 블록 사이의 각도를 임의의 각도로 조절하여 축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at is, the corner block (B)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본 실시 예에서도 첫 번째 실시 예의 블록과 마찬가지로 상기 방사상의 결합부(103a)가 형성된 일 측면(103)의 상부는 상면(105)의 높이보다 낮게, 약 5mm내외의 단차를 이루도록 외력흡수홈(109)이 형성되어 있어 이 부분에서 상하로 적층되는 블록 사이가 밀착되지 않고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부등침하에 의한 전단력을 받게 되더라도 응력집중에 의한 블록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like the block of the first embodiment, the upper portion of the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의한 코너 블록과 제2실시 예에 의한 코너 블록의 형태상의 차이점은 블록의 전면(101) 형태가 전체적으로 평면형을 이루는지 아니면 전면의 일부 만이 평면형을 이루는지 정도의 차이만 있을 뿐 기본적인 구조는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The difference in the shape of the corner block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rner block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gree that the
도 26 및 도 27은 돌출형 직각 옹벽의 코너부를 도시한 것으로, 이 또한 도 9 및 도 10의 설명에서와 마찬가지로 돌출형 직각 코너부에 좌우로 일반 블록(B1)과 코너 블록(B)을 직각이 되도록 맞대고 그 상부에는 다시 반대 방향으로 코너 블록(B)과 일반 블록(B1)을 직각이 되도록 맞대서 축조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에 의해 축조가 가능하게 된다.26 and 27 show corner portions of the protruding rectangular retaining wall, which are also perpendicular to the general block B1 and the corner block B from side to side as in the description of FIGS. 9 and 10. This can be achieved by repeating the process of abutting the corner block B and the general block B1 at right angl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each other so as to face each other.
본 시공구조에 있어서 보강재의 매설방법은 제1실시예의 설명과 동일하므로 생략하며, 전단응력에 대한 내성구조 또한 중복되는 설명이므로 생략한다.In this construction structure, the method of embedding the reinforcing material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so it is omitted. Since the resistance structure against the shear stress is also overlapped, it is omitted.
도 28 및 도 29는 돌출형 45°옹벽의 코너부를 도시한 것으로, 이의 설명은 도 11 및 도 12의 설명과 동일하다.28 and 29 show a corner portion of the protruding 45 ° retaining wall, the description of which is the same as that of FIGS. 11 and 12.
도 30은 돌출형 옹벽의 다양한 각도 변화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이의 설명 또한 도 13의 설명과 동일하다,30 is a plan view illustrating various angle changes of the protruding retaining wall, the description thereof being the same as that of FIG.
도 31 및 도 32는 만입형 직각 옹벽의 코너부를 도시한 것으로, 이의 설명 또한 도 14 및 도 15와 동일하다.31 and 32 show the corner portions of the indented rectangular retaining wall, which are also the same as FIG. 14 and FIG. 15.
도 33 및 도 34는 만입형 45°옹벽의 코너부를 도시한 것으로, 이의 설명 또한 도 16 및 도 17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33 and 34 illustrate corner portions of the indented 45 ° retaining wall, and description thereof is also the same as that of FIGS. 16 and 17 and will be omitted.
도 35는 만입형 옹벽의 다양한 각도 변화를 도시한 것으로, 이의 설명 또한 제1실시예의 도 18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FIG. 35 illustrates various angle changes of the indented retaining wall, and description thereof is also the same as that of FIG. 18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us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의한 코너 블록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의한 코너 블록과 마찬가지로 교대나 박스통로의 근접부에서 견고한 결합깊이와 반 블록의 사용이 없이 외관상으로도 수려한 옹벽을 축조할 수 있다.
The corner block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ike the corner block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s a beautiful retaining wall in appearance without alternating or using a half-block in the vicinity of the box passage. can do.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코너 블록은 블록의 좌,우가 비대칭 형태를 이루되 어느 한 쪽에는 블록의 전면에서부터 후면에 이르기까지 동일 반경을 따라 방사상으로 복수의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좌우로 인접하는 블록과의 결합각도를 돌출형 직각에서부터 만입형 직각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 별도의 부자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최소한의 소요부지 내에서 원하는 각도의 곡선형 옹벽을 경제적으로 축조할 수 있으며, 구조적인 면에 있어서도 견고하고, 교대 및 통로 박스와 결합되는 부위에서도 반쪽 블럭의 사용이 없이도 틈새의 발생이 없이 견고하고 수려하게 축조할 수 있고, 옹벽의 코너부에서 상,하 블록 사이의 접지면적이 충분히 확보됨으로써 옹벽이 뒤틀리거나 기타 변형이 발생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corner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lock form an asymmetrical shape, but on one side, a plurality of coupling parts are formed radially along the same radius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of the block so that the adjacent blocks are left and right adjacent to each other. Coupling angle with can be applied in a variety of angles from protruding right angle to indented right angle, and it is possible to economically build curved retaining wall of desired angle within minimum required site without using additional materials. It is also structurally strong and can be built firmly and splendidly without the occurrence of gaps even without the use of half-blocks even in the areas where it is combined with alternating and passage boxes, and the ground area between the upper and lower blocks at the corners of the retaining wall. This is sufficient to prevent the retaining wall from twisting or other deformations. A has a beneficial effect.
B : 코너 블록 B1 : 일반 블록
P : 교대 R : 박스 통로
101 : 전면 102 : 후면
103 : 측면 103a : 결합부
103a-1 : 요부 103a-2 : 철부
104 : 측면 104a : 결합부
104a-1 : 요부 104a-2 : 철부
105 : 상면 106 : 하면
107 : 보강재 삽입홈 108 : 연결핀 삽입홈
109 : 외력 흡수홈 110 : 관통공B: corner block B1: normal block
P: Alternate R: Box Passage
101: front 102: rear
103:
103a-1:
104:
104a-1:
105: upper surface 106: lower surface
107: reinforcement insert groove 108: connecting pin insertion groove
109: external force absorbing groove 110: through hole
Claims (5)
상기 좌,우 측면(103,104) 중의 어느 일측은 측방으로 돌출된 하나의 결합부(104a)를 가지되 이 결합부(104a)는 하나의 요부(104a-1)와 하나의 철부(104a-2)가 인접되게 형성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일측의 결합부(104a)가 임의의 각도로 결합가능하도록 상기 블록의 전면(101)에서부터 후면(102)에 이르기까지 동일 반경으로 복수의 결합부(103a)가 방사상으로 형성되되 이 결합부(103a)는 요부(103a-1)와 철부(103a-2)가 동심원을 이루면서 방사상으로 교대로 형성되어 좌,우로 인접하는 블록 사이의 각도를 임의의 각도로 조절하여 축조할 수 있으며, 상기 방사상의 결합부(103a)가 형성된 일 측면(103)의 상부는 상면(105)의 높이보다 낮게 외력흡수홈(109)이 형성되어 있어 이 부분에서 상하로 적층되는 블록 사이가 밀착되지 않고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축조용 코너 블록.The front and bottom surfaces 101 forming the outer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the rear surface 102 in contact with the reinforcement soil, the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103 and 104 in contact between the left and right adjacent blocks,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in contact between the vertically adjacent blocks ( A retaining wall building block having 105, 106;
One sid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103 and 104 has one coupling part 104a protruding laterally, the coupling part 104a having one recessed part 104a-1 and one convex part 104a-2. Are form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other side of the plurality of coupling portions 103a with the same radius from the front surface 101 to the rear surface 102 of the block so that the coupling portion 104a of the one side can be coupled at an arbitrary angle. Is formed radially, but the coupling portion 103a is formed radially alternately while the concave portion 103a-1 and the convex portion 103a-2 form concentric circles to adjust the angle between adjacent blocks to the left and right to an arbitrary angle. The upper side of the side surface 103, the radial coupling portion 103a is formed is an external force absorbing groove 109 is formed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105, so that the block is stacked up and down in this por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intained to be spaced apart without close contact between Corner block for a retaining wall constru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10003916 | 2011-01-14 | ||
KR1020110003916 | 2011-01-14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39974B1 true KR101139974B1 (en) | 2012-05-02 |
Family
ID=46271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67147A KR101139974B1 (en) | 2011-01-14 | 2011-07-07 | A corner block for construct reinforced earth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of corner part thereof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139974B1 (en) |
WO (1) | WO2012096426A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196687A1 (en) * | 2013-06-04 | 2014-12-11 | 주식회사 한포스 | Panel for building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and method for building same |
KR20220058179A (en) * | 2020-10-30 | 2022-05-09 | 김쌍도 | Gabion retaining wall block |
KR102628189B1 (en) | 2023-10-24 | 2024-01-23 | 주식회사 한포스 | A block for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KR102683239B1 (en) * | 2023-10-17 | 2024-07-09 | 주식회사 한포스 | Block for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of retaining wall using it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748740B (en) * | 2022-12-21 | 2024-06-28 | 华能澜沧江水电股份有限公司 | Supporting method of valley large-span concave arch reinforced retaining wall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86423Y1 (en) * | 2005-03-08 | 2005-06-13 | 한숙희 | Natural block |
KR200401232Y1 (en) * | 2005-06-24 | 2005-11-15 | 이정수 | Block for reinforced earth wall |
KR20100037691A (en) * | 2008-10-02 | 2010-04-12 | (주)태웅기업 | Reinforcement block possible for rotation construction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615561B2 (en) * | 2001-06-07 | 2003-09-09 | Keystone Retaining Wall Systems, Inc. | Retaining wall block |
KR100660379B1 (en) * | 2004-05-27 | 2006-12-21 | 이정수 | Plantable reinforced earth wall and its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of reinforced earth wall |
WO2007004772A1 (en) * | 2005-07-04 | 2007-01-11 | Jeung Su Lee | A block for constructing reinforced earth wall |
-
2011
- 2011-04-15 WO PCT/KR2011/002707 patent/WO2012096426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1-07-07 KR KR1020110067147A patent/KR101139974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86423Y1 (en) * | 2005-03-08 | 2005-06-13 | 한숙희 | Natural block |
KR200401232Y1 (en) * | 2005-06-24 | 2005-11-15 | 이정수 | Block for reinforced earth wall |
KR20100037691A (en) * | 2008-10-02 | 2010-04-12 | (주)태웅기업 | Reinforcement block possible for rotation constructio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196687A1 (en) * | 2013-06-04 | 2014-12-11 | 주식회사 한포스 | Panel for building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and method for building same |
KR20220058179A (en) * | 2020-10-30 | 2022-05-09 | 김쌍도 | Gabion retaining wall block |
KR102484597B1 (en) * | 2020-10-30 | 2023-01-04 | 김쌍도 | Gabion retaining wall block |
KR102683239B1 (en) * | 2023-10-17 | 2024-07-09 | 주식회사 한포스 | Block for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of retaining wall using it |
KR102628189B1 (en) | 2023-10-24 | 2024-01-23 | 주식회사 한포스 | A block for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2096426A1 (en) | 2012-07-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39974B1 (en) | A corner block for construct reinforced earth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of corner part thereof | |
JP5677965B2 (en) | Retaining wall block consisting of multiple elements | |
US9003734B2 (en) | Multi-component retaining wall block with natural stone appearance | |
JP7016538B2 (en) | Connected brick assembly and its assembly method | |
US20070003381A1 (en) | Block for constructing reinforced earth wall | |
KR20140134150A (en) | Block for reinforced earth wall | |
KR20190022240A (en) | block for construct retaining wall | |
KR100632966B1 (en) | A corner block for constructing reinforced earth wall | |
US1812711A (en) | Block for pavements and coverings | |
KR101397432B1 (en) | Panel for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 |
KR102616011B1 (en) | Reinforced wall panel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
US8100608B2 (en) | Retaining wall | |
US20070175161A1 (en) | Interlocking block | |
US20060096180A1 (en) | Retaining wall block and grid system | |
KR20230142116A (en) | Fence for flower beds that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shapes by bending | |
GB2502783A (en) | An interlocking block with vertical and horizontal engagement | |
JPH0754360A (en) | Wall forming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of wall | |
KR200496568Y1 (en) | Retaining wall block capable of stacking transverse waves | |
CN217053997U (en) | Bend keeps off lock brick and barricade thereof | |
CN110747870A (en) | Lock-blocking brick, retaining wall, slope protection, building method and tiling method | |
KR102139025B1 (en) | Reinforced wall constructed with block | |
KR100719281B1 (en) | A Block assembly for retaining wall | |
KR200392562Y1 (en) | A Coner block for construct reinforced earth wall | |
KR102628189B1 (en) | A block for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
JP7183102B2 (en) | building boar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