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23945B1 - 다단 인출식 레일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다단 인출식 레일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3945B1
KR101123945B1 KR1020090094774A KR20090094774A KR101123945B1 KR 101123945 B1 KR101123945 B1 KR 101123945B1 KR 1020090094774 A KR1020090094774 A KR 1020090094774A KR 20090094774 A KR20090094774 A KR 20090094774A KR 101123945 B1 KR101123945 B1 KR 101123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sliding member
fixed
vertical plate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4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7363A (ko
Inventor
박용운
Original Assignee
(주)청호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청호시스템 filed Critical (주)청호시스템
Priority to KR1020090094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3945B1/ko
Publication of KR20110037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7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3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3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23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 A47B88/427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at drawer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9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with double extensible guides or parts
    • A47B88/493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with double extensible guides or parts with rollers, ball bearings, wheel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납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우수한 동작성을 얻을 수 있음과 더불어 구조가 간단한 새로운 형태의 수납 장치용 다단 인출식 레일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서랍체가 결합되면서 상기 서랍체의 이동을 안내 및 지지하는 제1레일; 상기 제1레일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제1레일의 이동을 안내 및 지지하는 제2레일; 상기 제2레일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제2레일의 이동을 안내 및 지지하면서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부위의 내측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 레일; 그리고, 상기 각 레일 간의 대향면 사이에 구비되면서 상기 각 레일 간을 이격시킴과 더불어 상기 각 레일 간이 서로 미끄럼 이동되도록 안내 및 지지하는 미끄럼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인출식 레일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다단 인출식, 레일 어셈블리, 미끄럼 부재, 금속, 수지

Description

다단 인출식 레일 어셈블리{rail assembly}
본 발명은 수납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우수한 동작성을 얻을 수 있음과 더불어 구조가 간단한 새로운 형태의 수납 장치용 다단 인출식 레일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에는 각종 식품이나 물품의 수납을 위한 수납 장치가 구비된다.
상기한 수납 장치는 야채박스 등과 같이 서랍체 및 이 서랍체의 이동을 지지하는 레일 어셈블리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레일 어셈블리는 냉장고 본체 내벽에 고정되는 고정측 레일과, 상기 서랍체의 측벽에 고정되면서 상기 고정측 레일에 맞물린 상태로 고정측 레일의 지지를 받아 이동되는 이동측 레일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러한 구조는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07-93578 및 10-2009-27109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다.
특히, 최근에는 상기 수납 장치의 인출 거리를 증대시키기 위해 상기 레일 어셈블리를 다중 인출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하고 있으며, 이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1083호에 개시된 내용과 같다.
하지만, 전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다단 인출식 레일 어셈블리는 각 레일 간의 접촉 부위에 복수의 볼(ball)이 삽입 설치되기 때문에 조립 작업이 어려울 뿐 아니라 제조 단가가 비싸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물론, 각 레일 간의 접촉 부위에 오일을 도포함으로써 제조단가의 저감을 이룸과 더불어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한 오일은 사용 도중 외부로 누출됨에 따른 불쾌감을 야기시킨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지속적인 충전이 이루어져야만 각 레일 간의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이 간단함과 더불어 제조가 간단하면서도 우수한 동작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한 다단 인출식 레일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납 장치에 따르면 서랍체가 결합되면서 상기 서랍체의 이동을 안내 및 지지하는 제1레일; 상기 제1레일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제1레일의 이동을 안내 및 지지하는 제2레일; 상기 제2레일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제2레일의 이동을 안내 및 지지하면서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부위의 내측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 레일; 그리고, 상기 각 레일 간의 대향면 사이에 구비되면서 상기 각 레일 간을 이격시킴과 더불어 상기 각 레일 간이 서로 미끄럼 이동되도록 안내 및 지지하는 미끄럼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미끄럼 부재는 상기 제2레일의 상단에 고정되는 제1미끄럼 부재 및 상기 제2레일의 하단에 고정되는 제2미끄럼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각 미끄럼 부재는 상기 제2레일의 상단 및 하단을 각각 관통하도록 고정 설치되면서 일부는 상기 제1레일과 접촉됨과 더불어 다른 일부는 상기 고정 레일과 접촉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각 미끄럼 부재는 복수의 조각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제2레일의 상단 및 하단을 따라 부분적으로 각각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미끄럼 부재는 상기 각 레일 간의 모서리 부위와 끝단 부위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한 부위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끄럼 부재는 상기 고정 레일과 제2레일 간의 상단측 대향면 사이에 위치되면서 상기 두 대향면 중 어느 한 대향면에 고정되는 제3미끄럼 부재와, 상기 고정 레일과 제2레일 간의 하단측 대향면 사이에 위치되면서 상기 두 대향면 중 어느 한 대향면에 고정되는 제4미끄럼 부재와, 상기 제2레일과 제1레일 간의 상단측 대향면 사이에 위치되면서 상기 두 대향면 중 어느 한 대향면에 고정되는 제5미끄럼 부재와, 상기 제2레일과 제1레일 간의 하단측 대향면 사이에 위치되면서 상기 두 대향면 중 어느 한 대향면에 고정되는 제6미끄럼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3미끄럼 부재는 복수의 조각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고정 레일과 제2레일의 상단 사이를 따라 부분적으로 각각 고정되고, 상기 제4미끄럼 부재는 복수의 조각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고정 레일과 제2레일의 하단 사이를 따라 부분적으로 각각 고정되고, 상기 제5미끄럼 부재는 복수의 조각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제2레일과 제1레일의 상단 사이를 따라 부분적으로 각각 고정되고, 상기 제6미끄럼 부재는 복수의 조각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제2레일과 제1레일의 하단 사이를 따라 부분적으로 각각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미끄럼 부재 및 제4미끄럼 부재는 상기 고정 레일과 제2레일 간의 모서리 부위 및 끝단 부위 사이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5미끄럼 부재 및 제 6미끄럼 부재는 상기 제2레일과 제1레일 간의 모서리 부위 및 끝단 부위 사이에 각각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레일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미끄럼 부재는 수지 재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레일과 상기 미끄럼 부재 간의 대향면은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단턱지거나 혹은, 절곡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단 인출식 레일 어셈블리는 각 레일 간의 접촉면에 복수의 볼을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각 레일과는 다른 재질의 미끄럼 부재를 설치함과 더불어 상기한 미끄럼 부재와 각 레일 간의 대향면이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함으로써 우수한 동작성을 얻을 수 있음과 더불어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조립 작업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특히, 상기한 미끄럼 부재는 제2레일을 관통하여 상면 및 저면이 각각 제1레일 및 고정 레일과 접촉되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전체적인 설치 구조가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미끄럼 부재가 각 레일의 일부 위치(전방측 끝단 및 후방측 끝단)에만 설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제조 단가의 저감을 이룰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의 다단 인출식 레일 어셈블리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다단 인출식 레일 어셈블리는 크게 제1레일(100)과 제2레일(200)과 고정 레일(300) 및 미끄럼 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제1레일(100)은 서랍체가 결합되는 부위로써, 상기한 서랍체의 이동을 안내함과 더불어 지지하는 일련의 구성이다.
이때, 상기한 제1레일(100)은 어느 한 측면이 개구된 파이프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2레일(200)은 상기 제1레일(100)의 이동을 안내함과 더불어 지지하는 일련의 구성이다.
이때, 상기 제2레일(200)은 상기 제1레일(100)의 일부(상면과 하면 및 외측면)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1레일(100)이 상기 제2레일(200) 내에 요입되도록 위치된 상태로 상기한 제2레일(200)의 안내를 받아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제2레일(200) 역시 상기 제1레일(100)과 같이 어느 한 측면이 개구된 파이프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 레일(300)은 수납 공간의 내측 벽면에 고정되는 일련의 구성으로써, 상기한 제2레일(200)의 이동을 안내함과 더불어 지지하는 일련의 구성이다.
특히, 상기한 고정 레일(300)은 상기 제2레일(200)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 된다. 즉, 상기 제2레일(200)이 상기 고정 레일(300) 내에 요입되도록 위치된 상태로 상기한 고정 레일(300)의 안내를 받아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한 고정 레일(300) 역시 상기 제1레일(100) 혹은, 제2레일(200)과 같이 어느 한 측면이 개구된 파이프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각 레일(100,200,300)이 몸체를 이루는 수직판(110,210,310)과, 상면을 이루는 상부단(120,220,320) 및 하면을 이루는 하부단(130,230,330)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단(120,220,320) 및 하부단(130,230,330)은 각각 수직판(110,210,310)의 상측 끝단 및 하측 끝단으로부터 절곡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제시한다. 이때, 상기 상부단(120,220,320) 및 하부단(130,230,330)과 상기 수직판(110,210,310) 간의 연결 부위는 라운드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고정 레일(300)은 제2레일(200)을 감싸게 되고, 상기 제2레일(200)은 제1레일(100)을 감싸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레일(100)의 수직판(110)은 서랍체가 결합됨을 고려할 때 상기 제2레일(200)의 수직판(210)과는 반대되는 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며, 이는, 첨부된 도 2와 같다.
다음으로, 상기 미끄럼 부재는 상기 각 레일(100,200,300) 간을 서로 이격시킴과 더불어 상기 각 레일(100,200,300) 간이 서로 미끄럼 이동되도록 안내함과 더불어 지지하는 일련의 구성으로써, 상기 각 레일(100,200,300) 간의 대향면 사이에 구비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미끄럼 부재가 제2레일(200)의 상부단(220)에 고정되는 제1미끄럼 부재(410) 및 상기 제2레일(200)의 하부단(230)에 고정되는 제2미끄럼 부재(420)로 구성됨을 제시한다.
이때, 상기 제1미끄럼 부재(410)는 상기 제2레일(200)의 상부단(220)을 관통하면서 일부는 상기 제1레일(100)의 상부단(120) 상면에 접촉됨과 더불어 다른 일부는 상기 고정 레일(300)의 상부단(320) 저면에 접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미끄럼 부재(420)는 상기 제2레일(200)의 하부단(230)을 관통하면서 일부는 상기 제1레일(100)의 하부단(130) 저면에 접촉됨과 더불어 다른 일부는 상기 고정 레일(300)의 하부단(330) 상면에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한 각 미끄럼 부재(410,420)는 부분적으로 상기 제2레일(200)의 상부단(220) 및 하부단(230)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제1레일(100) 및 고정 레일(300)에 상하면이 각각 접촉되도록 구성됨을 그 실시예로 제시한다. 이는 첨부된 도 3과 같다. 물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한 각 미끄럼 부재(410,420)는 복수의 조각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제2레일(200)의 상부단 및 하부단을 따라 부분적으로 각각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각 레일(100,200,300)이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미끄럼 부재(410) 및 제2미끄럼 부재(420)는 수지 재질로 형성됨을 제시한다.
이는, 별도의 볼 베어링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각 레일(100,200,300) 간의 슬라이딩 이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제조 단가의 저감을 이룰 수 있도 록 함과 더불어 조립 작업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서랍체의 이동에 따른 지지 강도는 충분히 보장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전술된 실시예와 같이 각 레일(100,200,300)의 전체 재질을 금속으로 형성하거나 상기 각 미끄럼 부재(410,420)의 전체 재질을 수지 재질로 각각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각 구성간이 접촉되는 접촉면을 서로 다른 재질로 각각 형성하여도 된다. 예컨대, 각 레일(100,200,300)과 각 미끄럼 부재(410,420) 간의 접촉면 중 어느 한 접촉면은 수지 재질로 형성됨과 더불어 다른 한 접촉면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첨부된 도 2와 같이 상기 각 레일(100,200,300)과 상기 각 미끄럼 부재(410,420) 간의 대향면이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단턱지거나 혹은, 절곡되게 형성됨을 제시한다.
상기한 구성은 각 레일(100,200,300)이 미끄럼 부재(410,42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도중 좌 혹은, 우측으로의 유동됨을 방지하여 정확한 인출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하기에서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단 인출식 레일 어셈블리에 대한 동작 과정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수납 공간 내에 서랍체가 수납된 상태에는 각 레일(100,200,300) 간이 서로 중첩된 상태를 이룬다.
즉, 고정 레일(300) 내부에 제2레일(200)이 위치됨과 더불어 상기 제2레일(200) 내부에 제1레일(100)이 위치되며, 이는, 첨부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다.
상기한 상태에서 서랍체를 인출하게 되면 상기 서랍체와 결합되는 제1레일(100)이 제2레일(200)로부터 점차적으로 인출되면서 상기 서랍체의 인출을 지지하게 된다. 이는, 첨부된 도 4와 같다.
이때, 제2레일(200)은 고정 레일(300) 내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한다.
특히, 상기 제1레일(100)은 상기 제2레일(200)의 상부단(220) 및 하부단(230)에 각각 고정된 제1미끄럼 부재(410) 및 제2미끄럼 부재(420)를 미끄러지면서 슬라이딩 이동된다. 이때, 상기 제1레일(10))은 금속 재질임과 더불어 상기 각 미끄럼 부재(410,420)는 수지 재질임을 고려할 때 상기한 제1레일(100)은 상기 각 미끄럼 부재(410,420)를 원활히 미끄러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레일(100)과 상기 각 미끄럼 부재(410,420) 간의 접촉면은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단턱지게 형성되거나 혹은, 절곡되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1레일(100)의 인출시 좌우 유동이 방지되면서 정확히 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제1레일(100)의 인출 과정이 진행되는 도중 상기 제1레일(100)이 지정된 거리만큼 인출이 완료되면 도시되지 않은 별도의 스토퍼에 의해 더 이상 제2레일(200)로부터 인출되지 못하게 되고, 대신 상기 제2레일(200)이 고정 레일(300)로부터 인출된다. 이는, 첨부된 도 5와 같다.
즉, 제1레일(100)의 인출이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상기 제2레일(200)의 인출에 의해 서랍체는 계속적인 인출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2레일(200)의 상부단(220) 및 하부단(230)에 각각 고정된 제1미끄럼 부재(410) 및 제2미끄럼 부재(420)는 상기한 제2레일(200)과 함께 고정 레 일(300)을 미끄러지면서 슬라이딩 이동된다. 이때에도, 상기 고정 레일(300)은 금속 재질임과 더불어 상기 각 미끄럼 부재(410,420)는 수지 재질임을 고려할 때 상기한 고정 레일(300)은 상기 각 미끄럼 부재(410,420)를 원활히 미끄러질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고정 레일(300)과 상기 각 미끄럼 부재(410,420) 간의 접촉면은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단턱지게 형성되거나 혹은, 절곡되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2레일(200)의 인출시 좌우 유동이 방지되면서 정확히 인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제2레일(200)의 인출 동작은 상기 제2레일(200)과 고정 레일(300) 간에 대응 형성된 스토퍼(도시는 생략됨)에 의해 지정된 거리만큼 진행되며, 상기한 스토퍼의 영향에 의해 제2레일(200)의 이동이 중단되면 서랍체의 인출 동작이 완료된다.
그리고, 상기 서랍체의 수납은 전술한 인출 과정과는 역순으로 진행된다.
한편, 첨부된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다단 인출식 레일 어셈블리의 미끄럼 부재에 대한 또 다른 형태의 설치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제1미끄럼 부재(410) 및 제2미끄럼 부재(420)가 제2레일(200)의 상부단(220) 및 하부단(230)의 중앙측 부위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각 레일(100,200,300) 간의 서로 대응되는 모서리 부위 및 끝단 부위에 구비됨을 제시한다.
즉, 첨부된 도 6와 같이 제2레일(200)의 내측 모서리 부위에 제1미끄럼 부재(410) 및 제2미끄럼 부재(420)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제2레일(200)의 외측 끝단 부위에 또 다른 제1미끄럼 부재(410) 및 제2미끄럼 부재(420)를 각각 설치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각 미끄럼 부재(410,420)는 상기 제2레일(200)을 관통하도록 설치할 수도 있고, 복수의 개별체로 구성하여 각 레일(100,200,300) 사이의 각 부위에 각각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각 레일(100,200,300) 간의 이격 거리는 항상 정확히 유지될 수 있게 되며, 각 레일(100,200,300)의 슬라이딩 이동 역시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물론, 첨부된 도 7과 같이 각 미끄럼 부재(410,420)를 제2레일(200)의 외측 끝단과 제1레일(100)의 외측 끝단에 각각 설치함으로써 각 레일(100,200,300) 간의 슬라이딩 이동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첨부된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다단 인출식 레일 어셈블리의 미끄럼 부재에 대한 설치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각 미끄럼 부재가 제2레일(200)의 상부단(220) 및 하부단(230)을 관통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각 레일(100,200,300)을 이루는 상부단(120,220,320) 간의 사이 및 하부단(130,230,330) 간의 사이에 각각 별개로 구성됨을 제시한다.
즉, 본 발명의 제3시시예에 따른 미끄럼 부재는 고정 레일(100)의 상부단(120)과 제2레일(200)의 상부단(220) 간 대향면 사이에 위치되면서 상기 두 대향면 중 어느 한 대향면에 고정되는 제3미끄럼 부재(430)와, 상기 고정 레일(100)의 하부단(130)과 제2레일(200)의 하부단(230) 간 대향면 사이에 위치되면서 상기 두 대향면 중 어느 한 대향면에 고정되는 제4미끄럼 부재(440)와, 상기 제2레일(200)의 상부단(220)과 제1레일(100)의 상부단(120) 간 대향면 사이에 위치되면서 상기 두 대향면 중 어느 한 대향면에 고정되는 제5미끄럼 부재(450)와, 상기 제2레일(200)의 하부단(230)과 제1레일(100)의 하부단(130) 간 대향면 사이에 위치되면서 상기 두 대향면 중 어느 한 대향면에 고정되는 제6미끄럼 부재(4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한 각 미끄럼 부재(430,440,450,460)는 각각이 일체형으로 형성하면서 그의 설치 부위에 고정되도록 구성하거나 혹은, 복수의 조각체로 형성하면서 그의 설치 부위에 부분적으로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등 설치 구조는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각 미끄럼 부재(430,440,450,460) 역시 전술된 제2실시예와 같이 각 레일(100,200,300) 간의 모서리 부위 및 끝단 부위 사이에 각각 구비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3미끄럼 부재(430) 및 제4미끄럼 부재(440)는 상기 고정 레일(100)과 제2레일(200) 간의 모서리 부위 및 끝단 부위 사이에 각각 구비하고, 제5미끄럼 부재(450) 및 제6미끄럼 부재(460)는 상기 제2레일(200)과 제1레일(100) 간의 모서리 부위 및 끝단 부위 사이에 각각 구비하는 것이다.
한편, 첨부된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다단 인출식 레일 어셈블리가 도시되고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는 각 미끄럼 부재가 각 레일(100,200,300,400)의 전방측 끝단과 후방측 끝단에만 각각 구비됨을 제시한다.
즉, 고정 레일(100)의 전방측 끝단 내주면에는 제2레일(200)을 감쌀 수 있도록 미끄럼 부재(510)가 제공되고, 제2레일(200)의 후방측 끝단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 레일(100)의 내벽면과 접촉되는 미끄럼 부재(520)가 제공되며, 상기 제2레일(200)의 전방측 끝단 내주면에는 제1레일(100)을 감쌀 수 있도록 미끄럼 부재(530)가 제공되고, 상기 제1레일(100)의 후방측 끝단 외주면에는 상기 제2레일(200)의 내벽면과 접촉되는 미끄럼 부재(540)가 제공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각 미끄럼 부재(510,520,530,540)의 사용을 최소화하면서도 각 레일(100,200,300) 간의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한 각 미끄럼 부재(510,520,530,540)는 첨부된 도 10 내지 도 12와 같이 각 설치 부위를 완전히 감싸도록 사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결국,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인출식 레일 어셈블리는 각 레일 간이 서로 안정적인 지지하에 원활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되며, 특히 제조 및 조립이 간단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다단 인출식 레일 어셈블리의 최초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다단 인출식 레일 어셈블리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다단 인출식 레일 어셈블리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다단 인출식 레일 어셈블리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다단 인출식 레일 어셈블리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다단 인출식 레일 어셈블리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다단 인출식 레일 어셈블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태도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다단 인출식 레일 어셈블리의 각 레일별 형상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제1레일 200. 제2레일
300. 고정 레일 110,210,310. 수직판
120,220,320. 상부단 130,230,330. 하부단
410,420,430,440,450,460,510,520,530,540. 미끄럼 부재

Claims (9)

  1. 서랍체가 결합되면서 상기 서랍체의 이동을 안내 및 지지하며, 상기 서랍체가 결합되는 수직판과, 상기 수직판의 상측 끝단으로부터 절곡되면서 상면을 이루는 상부단 및 상기 수직판의 하측 끝단으로부터 절곡되면서 하면을 이루는 하부단을 가지는 제1레일;
    상기 제1레일의 이동을 안내 및 지지하며, 몸체를 이루는 수직판과, 상기 수직판의 상측 끝단으로부터 절곡되면서 상면을 이룸과 더불어 상기 제1레일을 이루는 상부단의 상면을 감싸는 상부단 및 상기 수직판의 하측 끝단으로부터 절곡되면서 하면을 이룸과 더불어 상기 제1레일을 이루는 하부단의 저면을 감싸는 하부단을 가지는 제2레일;
    상기 제2레일의 이동을 안내 및 지지하면서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부위의 내측 벽면에 고정되며, 몸체를 이루는 수직판과, 상기 수직판의 상측 끝단으로부터 절곡되면서 상면을 이룸과 더불어 상기 제2레일을 이루는 상부단의 상면을 감싸는 상부단 및 상기 수직판의 하측 끝단으로부터 절곡되면서 하면을 이룸과 더불어 상기 제2레일을 이루는 하부단의 저면을 감싸는 하부단을 가지는 고정 레일; 그리고,
    상기 제1레일의 상부단 및 상기 제2레일의 상부단 간의 대향면 사이 혹은, 상기 제2레일의 상부단과 상기 고정 레일의 상부단 간의 대향면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각 대향면에 접촉되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각 레일 간을 이격시킴과 더불어 상기 각 레일 간이 서로 미끄럼 이동되도록 안내 및 지지하는 미끄럼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인출식 레일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부재는 상기 제2레일의 상부단에 고정되는 제1미끄럼 부재 및 상기 제2레일의 하부단에 고정되는 제2미끄럼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제1미끄럼 부재는 저면이 상기 제1레일을 이루는 상부단의 상면에 접촉됨과 더불어 상면은 상기 고정 레일을 이루는 상부단의 저면에 접촉되고,
    상기 제2미끄럼 부재는 상기 제2레일을 이루는 하부단을 관통하면서 상면이 상기 제1레일을 이루는 하부단 저면에 접촉됨과 더불어 하면은 상기 고정 레일을 이루는 하부단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인출식 레일 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미끄럼 부재는 복수의 조각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제2레일의 상부단 및 하부단을 따라 부분적으로 각각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인출식 레일 어셈블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미끄럼 부재는
    상기 각 레일의 상부단 및 하부단의 모서리 부위 사이 혹은, 끝단 부위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한 부위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인출식 레일 어셈블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부재는
    상기 고정 레일의 상부단과 제2레일의 상부단 간의 대향면 사이에 위치되면서 상기 두 대향면 중 어느 한 대향면에 고정되는 제3미끄럼 부재와,
    상기 고정 레일의 하부단과 제2레일의 하부단 간의 대향면 사이에 위치되면서 상기 두 대향면 중 어느 한 대향면에 고정되는 제4미끄럼 부재와,
    상기 제2레일의 상부단과 제1레일의 상부단 간의 대향면 사이에 위치되면서 상기 두 대향면 중 어느 한 대향면에 고정되는 제5미끄럼 부재와,
    상기 제2레일의 하부단과 제1레일의 하부단 간의 하단측 대향면 사이에 위치되면서 상기 두 대향면 중 어느 한 대향면에 고정되는 제6미끄럼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인출식 레일 어셈블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미끄럼 부재는 복수의 조각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고정 레일의 상부단 및 제2레일의 상부단 사이를 따라 부분적으로 각각 고정되고,
    상기 제4미끄럼 부재는 복수의 조각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고정 레일의 하부단 및 제2레일의 하부단 사이를 따라 부분적으로 각각 고정되고,
    상기 제5미끄럼 부재는 복수의 조각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제2레일의 상부단 및 제1레일의 상부단 사이를 따라 부분적으로 각각 고정되고,
    상기 제6미끄럼 부재는 복수의 조각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제2레일의 하부단 및 제1레일의 하부단 사이를 따라 부분적으로 각각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인출식 레일 어셈블리.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미끄럼 부재 및 제4미끄럼 부재는 상기 고정 레일의 상부단 및 제2레일의 상부단 간의 사이 부위 중 모서리 부위 혹은, 끝단 부위 사이에 구비됨과 더불어 상기 고정 레일의 하부단 및 제2레일의 하부단 간의 사이 부위 중 모서리 부위 혹은, 끝단 부위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5미끄럼 부재 및 제6미끄럼 부재는 상기 제2레일의 상부단 및 제1레일의 상부단 간의 사이 부위 중 모서리 부위 혹은, 끝단 부위 사이에 구비됨과 더불어 상기 제2레일의 하부단 및 제1레일의 하부단 간의 사이 부위 중 모서리 부위 혹은, 끝단 부위 사이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인출식 레일 어셈블리.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레일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미끄럼 부재는 수지 재질로 형 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인출식 레일 어셈블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레일의 상부단과 상기 미끄럼 부재 간의 대향면 및 상기 각 레일의 하부단과 상기 미끄럼 부재 간의 대향면은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단턱지거나 혹은, 절곡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인출식 레일 어셈블리.
KR1020090094774A 2009-10-06 2009-10-06 다단 인출식 레일 어셈블리 KR101123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774A KR101123945B1 (ko) 2009-10-06 2009-10-06 다단 인출식 레일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774A KR101123945B1 (ko) 2009-10-06 2009-10-06 다단 인출식 레일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7363A KR20110037363A (ko) 2011-04-13
KR101123945B1 true KR101123945B1 (ko) 2012-03-23

Family

ID=44044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4774A KR101123945B1 (ko) 2009-10-06 2009-10-06 다단 인출식 레일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39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6863A (ko) * 2017-12-06 2019-06-14 주식회사 아세스 스윙 이동이 가능한 냉장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0952U (ko) * 2007-05-16 2007-08-29 박병희 레일 조립 장치
KR20070119001A (ko) * 2005-04-28 2007-12-18 티에치케이 가부시끼가이샤 보유 기능이 구비된 슬라이드 레일 유닛
KR20080001486U (ko) * 2006-11-28 2008-06-02 (주)하이텍파츠 휴대폰용 슬라이딩 및 회전 가능한 복합 슬라이더 조립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9001A (ko) * 2005-04-28 2007-12-18 티에치케이 가부시끼가이샤 보유 기능이 구비된 슬라이드 레일 유닛
KR20080001486U (ko) * 2006-11-28 2008-06-02 (주)하이텍파츠 휴대폰용 슬라이딩 및 회전 가능한 복합 슬라이더 조립체
KR20070000952U (ko) * 2007-05-16 2007-08-29 박병희 레일 조립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6863A (ko) * 2017-12-06 2019-06-14 주식회사 아세스 스윙 이동이 가능한 냉장고
KR102078440B1 (ko) 2017-12-06 2020-02-19 주식회사 아세스 스윙 이동이 가능한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7363A (ko) 2011-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03433B2 (en) Slide assembly with quick-mount system
US8328302B2 (en) Refrigerator draw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EP2438835A1 (en) Reinforcement device for slide assembly
JP2013106954A (ja) ガイド付きスライドアセンブリ
US20120087606A1 (en) Reinforcement and adjustment device for slide assembly
US20130230262A1 (en) Retainer for sliding device provided with buffer member
KR20070089685A (ko) 적어도 하나의 악세사리를 지지하기에 적합한, 특히 냉장설비를 위한 선반, 및 상응하는 악세사리들
US20140009053A1 (en) Track-Based Synchronous Interlinking Device
US8671712B2 (en) Upper freezer basket guided by lower freezer basket divider
KR20160065725A (ko) 슬라이딩 레일 고정장치
KR101123945B1 (ko) 다단 인출식 레일 어셈블리
KR101123942B1 (ko) 수납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레일 어셈블리
KR20160002680A (ko) 슬라이딩 도어의 가이드 조립체, 슬라이딩 도어 및 가구 부품
US9078521B2 (en) Height adjustable resting device for an internal shelf of an electric household appliance
KR20090037518A (ko) 정렬수단을 갖는 랙과 피니온 조립체
KR20090047566A (ko) 가전제품용 롤러형 슬라이드
US9107500B2 (en) Extraction guide
CN102772045A (zh) 具有至少一个滑动门的家具
US20140265779A1 (en) Multidirectional push and pull drawer
KR200349789Y1 (ko) 가구용 슬라이드 다단레일
KR101968107B1 (ko) 가구용 서랍의 지지장치
US20160051050A1 (en) Side mounted drawer slide
EP2246632A1 (en) Support for extractable baking trays and/or baking grids
WO2012062675A2 (en) A cooling device wherein shelf height can be changed
JP3149851U (ja) チェス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