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23370B1 - service method and apparatus for object-based contents for portable device - Google Patents

service method and apparatus for object-based contents for portabl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3370B1
KR101123370B1 KR1020100045557A KR20100045557A KR101123370B1 KR 101123370 B1 KR101123370 B1 KR 101123370B1 KR 1020100045557 A KR1020100045557 A KR 1020100045557A KR 20100045557 A KR20100045557 A KR 20100045557A KR 101123370 B1 KR101123370 B1 KR 101123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d content
module
additional information
content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55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125917A (en
Inventor
장영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퍼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퍼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퍼스텍
Priority to KR1020100045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3370B1/en
Priority to US13/108,121 priority patent/US20110279224A1/en
Publication of KR20110125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591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3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33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휴대단말용 콘텐츠 제공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특히, 본 발명은 휴대단말을 이용하여 콘텐츠 제공자와 이용자간에 객체를 기반으로 하는 양방향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간에 객체기반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객체저작툴을 실행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저작대상 콘텐츠에 등장하는 객체를 추출 및 추적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객체와 관련된 부가정보를 입력받는다. 이후, 객체 및 부가정보를 연결하여 객체기반 콘텐츠를 생성 및 저장하여 식별코드를 입력받아 전술한 객체기반 콘텐츠를 정보 통신망을 통해 상기 식별코드에 해당하는 수신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단말을 이용하여 생성하거나, 또는 단말에 저장된 사진 또는 동영상과 같은 콘텐츠를 직접 단말상에서 편집하여 객체기반 콘텐츠를 용이하게 저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isclosed are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s for a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bject-based content provi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a mobile terminal that provides an object-based interactive content service between a content provider and a user using a mobile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viding object-based content between mobile terminals, and executes an object manipulation tool to extract and track an object appearing in the content to be copyrighted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and to obtain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object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Receive input. Thereafter, the object-based content is generated by connecting the object and the additional information, and the object-based content is received, and the object-based content is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code through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user can easily create object-based content by using the terminal, or directly edit the content such as photos or videos stored in the terminal on the terminal.

Description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방법 및 장치{service method and apparatus for object-based contents for portable device}Service method and apparatus for object-based contents for portable device

본 발명의 휴대단말용 콘텐츠 제공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을 이용하여 콘텐츠 제공자와 이용자간에 객체를 기반으로 하는 양방향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content for a mobi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object-based content for a mobile terminal providing an interactive content service based on an object between a content provider and a user using the mobile terminal. .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가 개발되었으며, 현재의 콘텐츠 서비스 시장은 기존의 제공자에 의한 일방향 형태의 콘텐츠 제공만이 아닌, 시청자의 의사를 반영한 양방향 형태의 콘텐츠 제공의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특히 주목받고 있는 콘텐츠 제공 서비스로서, 시청자가 재생중인 동영상내에 등장하는 특정장소 내지 인물 등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알고자 할 때, 키보드, 리모콘 등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이용하여 선택하면 이에 대한 장소의 명칭 및 위치, 인물의 성명 및 이력 등을 제공하는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서비스가 제안되었다.Recently,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various types of multimedia content services have been developed, and the current content service market reflects viewers' intentions as well as providing one-way content by existing providers. It is developing in the form of offering. As a content providing service that has attracted particular attention in accordance with this trend, when a viewer wants to know more about a specific place or person appearing in a video being played, the user can select a place using an interface means such as a keyboard or a remote controller. An object-based content providing service has been proposed that provides names and locations, names and history of people.

이러한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서비스는, 먼저 제공하고자 하는 동영상에 대하여 동영상의 각 프레임상에 객체들이 위치하는 좌표를 추출 및 추적하고, 추출된 좌표로부터 사용자가 포인팅시 선택되는 영역을 정의한다. 이후, 추출된 해당 객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포함하는 부가정보, 즉 시청자가 특정 객체를 선택하였을 경우 제공되는 정보를 전술한 영역과 연결하고, 시청자 단말에 전송하여 시청자가 특정 객체영역을 선택하면 이와 연결된 부가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다.The object-based content providing service first extracts and tracks coordinates where objects are positioned on each frame of a video with respect to a video to be provided, and defines an area selected when the user is pointing from the extracted coordinates. Subsequently, additional information including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extracted objects, that is, information provided when the viewer selects a specific object, is connected to the above-described area, and transmitted to the viewer terminal, where the viewer selects a specific object area. This service provides additional information connected with it.

이에 따라, 시청자는 동영상의 시청 중에 특정 장소, 인물 내지 상품에 대하여 부가정보를 얻고 싶을 때는, 시청자 단말을 제어하는 키보드, 리모트 컨트롤러와 같은 인터페이스 수단을 이용하여 해당 객체를 선택하면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ly, when a viewer wants to obtain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a specific place, person, or product while watching a video, the viewer can obtain desired information by selecting the corresponding object using an interface means such as a keyboard and a remote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viewer's terminal. have.

그러나, 전술한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서비스는 PC 또는 IPTV 와 같은 특정 플랫폼에 한정되어 제공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객체기반 동영상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전용 저작장치가 있어야 하며 전용 객체저작툴에서 전문지식을 가진 저작자가 작업을 수행해야 하며, 또한 객체기반 동영상을 재생하기 위해서도 고사양의 전용 단말기가 요구되기 때문이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bove object-based content providing service is provided limited to a specific platform such as PC or IPTV. This is because there must be a dedicated authoring device to produce an object-based video, an author with expertise in a dedicated object authoring tool, and a high-end dedicated terminal is required to play an object-based video.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디지털 카메라, 스마트 폰 및 기타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간에 객체기반 동영상을 저작 및 이를 공유하는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object-based content for a mobile terminal for authoring and sharing an object-based video between a digital camera, a smart phone, and other portable multimedia terminals. There is this.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간에 객체기반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a) 객체저작툴을 실행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저작대상 콘텐츠에 등장하는 객체를 추출 및 추적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객체와 관련된 부가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c) 상기 객체 및 부가정보를 연결하여 객체기반 콘텐츠를 생성 및 저장하는 단계; 및, (d) 식별코드를 입력받아 상기 객체기반 콘텐츠를 정보 통신망을 통해 상기 식별코드에 해당하는 수신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ethod for providing object-based content between mobile terminal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o execute the object manipulation tool to extract the object appearing in the content to be authored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And tracking; (b) receiv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object according to the user's manipulation; (c) generating and storing object-based content by connecting the object and additional information; And (d) receiving the identification code and transmitting the object-based content to a receiving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code through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식별코드는 상기 수신단말의 전화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dentification cod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elephone number of the receiving terminal.

상기 객체기반 콘텐츠는 수신자에 대한 광고관련 내용을 포함하며, 상기 전화번호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시 첨부파일 형태로 상기 수신단말에 배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bject-based content includes advertisement-related content for the recipien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tributed to the receiving terminal in the form of an attachment when transmitting data using the phone number.

상기 단계 (b)는, 템플릿 제공모듈에 템플릿 샘플을 요청 및 제공받는 단계; 및, 상기 템플릿 샘플을 상기 부가정보에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tep (b) may include requesting and receiving a template sample from a template providing module; And inserting the template sample into the additional information.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간에 객체기반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a) 정보통신망을 통해 송신단말로부터 객체기반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b)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객체기반 콘텐츠를 재생하는 단계; (c) 상기 객체기반 콘텐츠에 등장하는 객체를 선택하는 단계; 및, (d) 상기 객체와 매핑된 부가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ethod for providing object-based content between mobile terminal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receiving the object-based content from the transmitting terminal through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b) playing the object-based content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c) selecting an object appearing in the object-based content; And (d)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mapped to the object.

상기 단계 (b)와 단계(c) 사이에, (b1) 상기 객체기반 콘텐츠가 표시되는 화면상에서 객체로 정의된 일 영역이 인물얼굴에 해당하는 지 판단하는 단계; (b2) 상기 (b1) 단계에서 인물얼굴로 판단될 경우, 해당 인물의 연락처정보가 저장모듈에 저장되어 있는 지 판단하는 단계; 및, (b3) 상기 (b2) 단계에서 해당 인물의 연락처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추출하여 상기 부가정보에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Between the steps (b) and (c), (b1) determining whether a region defined as an object corresponds to a person's face on a screen on which the object-based content is displayed; (b2) if it is determined in step (b1) that the person's face is determined, determining whether contact information of the person is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And (b3) extracting the contact information of the person in step (b2) and inserting the extracted contact information into the additional information.

상기 단계 (c)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객체기반 콘텐츠가 표시되는 화면상에서 객체로 정의된 일 영역을 선택하는 것을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tep (c) includes recognizing that the user selects an area defined as an object on the screen on which the object-based content is displayed.

상기 객체가 홍보대상의 상품인 경우, 상기 부가정보는 상기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웹 사이트와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object is a product to be promoted, the additional information may be linked to a web site where the product can be purchased.

상기 객체가 장소인 경우, 상기 부가정보는 상기 장소의 명칭 및 위치를 설명하는 홍보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object is a place, the additional information may include promotional information describing a name and a location of the plac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객체기반 콘텐츠를 타 단말에 제공하는 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을 인식하는 입력처리모듈; 상기 입력처리모듈이 인식한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저작대상 콘텐츠에 등장하는 객체를 추출 및 추적하고, 상기 객체와 관련된 부가정보를 매핑하여 객체기반 콘텐츠를 생성하는 객체저작툴; 및, 상기 입력처리모듈로부터 입력받는 식별코드에 따라, 정보통신망을 통해 상기 객체기반 콘텐츠를 상기 식별코드에 해당하는 수신단말에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pparatus for providing object-based content to another terminal, the input processing module for recognizing a user's operation; An object manipulation tool for extracting and tracking an object appearing in the content to be authored according to a manipulation of the user recognized by the input processing module, and generating object-based content by mapp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object; And a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the object-based content to a receiving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code through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code received from the input processing module.

상기 객체저작툴은, 상기 객체를 추출 및 추적하는 영역설정모듈; 및, 상기 부가정보를 입력받는 부가정보 입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bject manipulation tool comprises: an area setting module for extracting and tracking the object; And an additional information input module configured to receive the additional information.

상기 사용자가 조작하는 인터페이스 모듈; 상기 촬영을 통해 상기 저작대상 콘텐츠를 생성하는 촬영모듈; 상기 저작대상 콘텐츠 및 객체기반 콘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모듈; 및, 상기 저작대상 콘텐츠 및 객체기반 콘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interface module manipulated by the user; A photographing module for generating the content to be copyrighted by the photographing; A display module configured to display the authoring content and the object-based content; And a storage module for storing the authoring content and the object-based content.

상기 수신단말은 정보통신망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스마트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ceiving terminal is a smart phon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y connecting to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식별코드는 상기 스마트 폰의 전화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dentification cod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hone number of the smart phone.

상기 부가정보 입력을 위한 하나이상의 템플릿 샘플을 상기 부가정보 입력모듈에 제공하는 템플릿 제공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template providing module for providing one or more template samples for inputt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to the additional information input module.

본 발명은 상기 저작대상 콘텐츠 및 상기 객체기반 콘텐츠를 재생하는 재생모듈;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ayback module for playing the authored content and the object-based content;

상기 객체기반 콘텐츠에 등장하는 객체가 인물의 얼굴이면, 이를 인식하는 얼굴인식모듈; 및, 상기 얼굴인식모듈이 인식한 인물 또는 상기 입력처리모듈이 인식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해당 객체에 매핑된 부가정보를 추출하는 부가정보 처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ace recognition module recognizing a face of a person if the object appearing in the object-based content; And an addi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for extracting additional information mapped to a corresponding object according to a person recognized by the face recognition module or a user recognized by the input processing modul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단말을 이용하여 생성하거나, 또는 단말에 저장된 사진 또는 동영상과 같은 콘텐츠를 직접 단말상에서 편집하여 객체기반 콘텐츠를 용이하게 저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user can easily author the object-based content generated by using the terminal, or directly edit the content such as a picture or video stored in the terminal on the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저작한 객체기반 콘텐츠를 타 단말에 정보통신망을 통해 손쉽게 전송할 수 있으며, 수신측의 사용자는 전송된 콘텐츠를 재생하여 보다 진보된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다른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transmit the authored object-based content to the other terminal through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the user of the receiving side is another effect that can use the more advanced content by playing the transmitted content There i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장치의 전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측의 객체기반 콘텐츠 이용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측 단말의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측 단말의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이용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측 단말의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이용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장치를 모식화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장치를 모식화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n object-based content providing apparatus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n object-based content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object-based content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using object-based content of a receiving s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bject-based content providing method for a mobile terminal of a transmitting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using object-based content for a mobile terminal of a transmitting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using object-based content for a mobile terminal of a receiving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to 10 are schematic diagrams illustrating an object-based content providing apparatus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to 13 are schematic diagrams illustrating an object-based content providing apparatus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방법 및 장치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bject-based content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장치의 전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은 송신측에서 사용자 스마트폰, 디지털 카메라 및 아이패드TM 등의 디지털 단말을 이용하여 저장된 이미지, 동영상과 같은 디지털 콘텐츠를 송신측 단말(100)에서 객체저작툴을 이용하여 객체기반 콘텐츠를 저작하고, 정보통신망을 통해 수신측 단말(200)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n object-based content providing apparatus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gital terminal such as a user smartphone, a digital camera and an iPad TM at the transmitting side. The digital content, such as an image and a video stored by using the authoring object-based content using the object operation tool in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the receiving terminal 200 through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여기서, 송신 및 수신측 단말은 상기에서 열거한 예 뿐만 아니라, 콘텐츠를 제작 및 저장할 수 있고, 이를 객체저작툴을 이용하여 편집할 수 있으며, 정보통신망에 접속하여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는 어떠한 디지털 단말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적용할 수 있으나, 특히 다양한 형태의 프로세스를 처리할 수 있고, 휴대가 용이하며, 데이터 통신에 특화된 스마트폰(smart phone)인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terminal can produce and store the contents as well as the examples listed above, and edit them using the object creation tool, and any digital having the function of transmitting the contents by accessing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Although the terminal may appl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articularly preferable that the terminal is a smart phone capable of handling various types of processes, being portable and specialized in data communication.

송신측 단말 사용자는, 자신의 송신단말(100)에 객체저작툴을 설치하고, 객체저작툴상에서 단말(100)에 저장된 하나이상의 디지털 콘텐츠에 등장하는 객체를 추출 및 추적하여 객체영역을 정의하고, 객체와 관련된 부가정보를 입력한 후 객체영역과 부가정보를 매핑하여 객체기반 콘텐츠를 생성 및 저장한다. 이후, 전화번호와 같은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정보통신망에 접속하고,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수신단말에 저장된 객체기반 콘텐츠를 전송한다. The sender terminal user installs an object manipulation tool in his or her transmitting terminal 100, defines an object area by extracting and tracking an object appearing in one or more digital contents stored in the terminal 100 on the object manipulation tool, After inputting relevant additional information, object-based content is created and stored by mapping object area and additional information. Thereafter, the access code is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n identification code such as a telephone number, and the object-based content stored in the receiving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telephone number is transmitted.

객체기반 콘텐츠를 전송받은 수신단말(200)은 전송된 객체기반 콘텐츠를 단말의 저장공간에 저장한다. 이후 수신단말(200)의 사용자는 객체기반 콘텐츠의 전용 재생 프로그램을 통해 콘텐츠를 재생하고, 재생 중 등장하는 객체에 대해 부가정보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해당 객체를 선택하면 수신단말(200)은 객체에 매핑된 부가정보를 표시한다.The receiving terminal 200 receiving the object-based content stores the transmitted object-based content in the storage space of the terminal. Then, when the user of the receiving terminal 200 plays the content through a dedicated playback program of the object-based content, and wants to use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the object appearing during playback, when the user selects the corresponding object through the interface means, the receiving terminal ( 200 indicates additional information mapped to the object.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장치의 보다 상세한 구조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각 단말간에 사용자 자신이 편집 및 저작한 객체기반 콘텐츠의 전송방법 및 장치로서, 각 단말은 본 발명에 관련된 동일한 구조 및 동일 프로그램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하의 설명에서는 편의상 하나의 단말구조를 예로서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more detailed structure of the object-based content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object-based content edited and authored by a user between each terminal, and each terminal is preferably provided with the same structure and the same program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n object-based content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장치는 정보통신망에 연접속해 콘텐츠를 송수신하는 송신 또는 수신단말(100, 200)로서, 콘텐츠를 생성, 표시, 저장 및 전송하는 하드웨어 제어부(150)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객체기반 콘텐츠를 저작하거나, 또는 객체기반 콘텐츠를 실행하는 콘텐츠 관리부(170)를 포함한다.As shown, the object-based content provid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ransmission or reception terminal (100, 20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ent by connecting to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the hardware control unit 150 for generating, displaying, storing and transmitting the content And a content manager 170 for authoring object-based content or executing object-based content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상세하게는, 하드웨어 제어부(150)는 송신단말을 구성하는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의 모듈로서, 사용자의 단말조작을 입력받는 인터페이스 모듈(151)과, 소정의 피사체를 촬영하여 사진 또는 동영상을 포함하는 콘텐츠를 생성하는 촬영모듈(152)과, 콘텐츠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모듈(154)과, 각종 콘텐츠 및 기타 단말구동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모듈(156)과, 정보통신망에 접속하여 수신단말(158)에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모듈(158)을 포함한다.In detail, the hardware controller 150 is a plurality of modules that perform a function of controlling hardware constituting a transmitting terminal. The hardware controller 150 is a interface module 151 that receives a user's terminal operation, and photographs a predetermined subject to take a picture or A photographing module 152 for generating contents including a video, a display module 154 for displaying contents on a screen, a storage module 156 for storing various contents and information necessary for driving a terminal, and information And a communication module 158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to the receiving terminal 158.

인터페이스 모듈(151)은 사용자가 송신단말(100)에 각종 데이터를 직접 입력하거나 각종 기능키를 구비하여 송신단말(100)을 구동하기 위한 입력장치이다. 이러한 인터페이스 모듈은 키 버튼 형태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모듈(154)상에 덮여 표시되는 가상의 버튼을 클릭하는 터치 스크린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모듈(151)은 사용자가 복잡한 구동을 보다 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매크로 값이 지정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단축키가 더 포함될 수 있다.The interface module 151 is an input device for driving a transmission terminal 100 by a user directly inputting various data to the transmission terminal 100 or having various function keys. The interface module may be implemented not only in the form of a key button but also in the form of a touch screen that clicks on a virtual button that is cover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154. The interface module 15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shortcut keys for which a macro value is designated so that a user may perform complicated driving more easily.

촬영모듈(152)은 카메라렌즈 및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카메라 렌즈로 인입하는 촬영대상에 대한 영상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사진 또는 동영상 포맷의 콘텐츠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The photographing module 152 includes a camera lens and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and converts an image of a photographing object introduced into the camera lens into an electrical signal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to generate a content in a photo or video format. Module.

디스플레이 모듈(154)은 송신단말(100)의 구동시 각종 데이터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촬영모듈(152)이 현재 촬영하고 있는 피사체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저장모듈(156)에 저장되어 있는 사진 및 동영상 등 각종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객체저작 콘텐츠 편집시, 디스플레이 모듈(154)상에 표시된 객체의 영역을 지정하며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The display module 154 is a module that displays various data when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is driven. In addition, the display module 100 may reproduce various contents such as a subject currently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module 152 and a picture and a video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156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When editing an object creation content, a user may designate an area of an object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154 and set an area.

이러한 디스플레이 모듈(154)은 LCD, OLED 등 소형 평판 디스플레이장치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술한 인터페이스 모듈(151)과 겹쳐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display module 154 is preferably implemented as a small flat panel display device such as an LCD and an OLED, an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touch screen by overlapping the interface module 151 described above.

저장모듈(156)은 송신단말(100)에서 이용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메모리 장치이다. 특히, 저장모듈(156)은 촬영모듈이 생성한 콘텐츠를 저장해 두었다가, 사용자가 객체저작작업을 수행하려고 하면 객체저작툴상에 저장된 콘텐츠를 제공한다. 또한 수신단말(200)에서는 전송받은 객체기반 콘텐츠를 저장하게 된다.The storage module 156 is a memory device that performs a function of storing various data used in the transmission terminal 100. In particular, the storage module 156 stores the contents generated by the photographing module and provides the contents stored on the object manipulation tool when the user attempts to perform the object manipulation. In addition, the receiving terminal 200 stores the received object-based content.

통신모듈(158)은 송신단말(100)의 정보통신망에 접속하여 수신단말(200)과 음성 통신하거나 또는 저장된 객체기반 콘텐츠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The communication module 158 is a module that accesses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and performs a function of voice communication with the receiving terminal 200 or transmitting stored object-based content.

전술한 구조에 따라 하드웨어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조작입력, 콘텐츠 생성, 표시, 저장 및 전송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콘텐츠 관리부(170)의 구조를 설명하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hardware controller 150 performs a user's operation input, content generation, display, storage, and transmission.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content manager 17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콘텐츠 관리부(17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객체기반 콘텐츠를 저작하거나, 또는 객체기반 콘텐츠를 실행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콘텐츠를 전송기능을 수행하는 모듈로서, 인터페이스 모듈(151)이 입력받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콘텐츠 관리부(170)의 각 모듈을 제어하는 입력처리모듈(171)과, 입력처리모듈(171)의 제어에 따라 저작대상 콘텐츠에 등장하는 객체를 추적 및 추출하는 영역 설정모듈(172)과, 추출된 객체와 관련된 부가정보를 입력받고 객체와 매핑되어 객체기반 콘텐츠를 생성하는 부가정보 입력모듈(173)과, 부가정보 입력시 템플릿 소스를 지원하는 템플릿 제공모듈(174)을 포함한다.The content manager 170 performs a function of authoring an object-based content or executing an object-based content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and performs a function of transmitting a content, and the interface module 151 receives an input of a user. An input processing module 171 for controlling each module of the content management unit 170 according to an operation, and an area setting module 172 for tracking and extracting an object appearing in the content to be copyrighted under the control of the input processing module 171. And an additional information input module 173 for receiv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extracted object and mapping the object to generate object-based content, and a template providing module 174 for supporting a template source when the additional information is input.

또한, 콘텐츠를 재생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로서, 저장모듈(156)에 저장된 객체기반 콘텐츠를 재생하는 재생모듈(175)과, 재생중인 객체기반 콘텐츠에 등장하는 객체 중, 인물얼굴영역을 감지하는 얼굴인식모듈(176)과, 사용자에 의한 객체선택 또는 얼굴인식모듈(176)에 의한 인물얼굴 감지시 이와 매핑된 부가정보를 제공하는 부가정보 처리모듈(177)을 포함한다. 전술한 영역설정모듈(172) 및 부가정보 입력모듈(173)은 객체저작툴이며, 재생모듈(175), 얼굴인식모듈(176) 및 부가정보 처리모듈(177)은 객체기반 동영상 전용 플레이어로서, 단말에 설치되는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as a module for reproducing the content, the reproducing module 175 for reproducing the object-based content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156 and the object face area of the objects appearing in the object-based content being reproduced, The face recognition module 176 includes an addi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177 that provides additional information mapped thereto when an object is selected by a user or a face is detected by the face recognition module 176. The above-described region setting module 172 and the additional information input module 173 are object manipulation tools, and the playback module 175, the face recognition module 176, and the addi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177 are the object-based video-only player. It can be implemented as a program installed on.

입력처리모듈(171)은 사용자의 의해 인터페이스 모듈(151)이 조작되면, 이에 대응하여 각 모듈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일예로서 터치 스크린 형태의 인터페이스의 경우, 사용자가 화면상에 표시된 컨텐츠의 일부영역을 드래그하여 선택하면, 입력처리모듈(171)은 화면상에서 드래그된 영역의 좌표를 판단하고 이를 영역설정모듈(172)에 알려주어 영역설정모듈(172)이 해당 영역을 객체로 인식하도록 제어한다.The input processing module 171 is a module that performs a function of controlling each module in response to the manipulation of the interface module 151 by the user.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touch screen type interface, when a user drags and selects a partial region of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screen, the input processing module 171 determines the coordinates of the dragged region on the screen and sets the area setting module 172. Notify the control unit so that the area setting module 172 recognizes the area as an object.

영역설정모듈(172)은 입력처리모듈(171)의 제어에 따라, 콘텐츠에 등장하는 하나이상의 객체에 해당하는 영역을 추출 및 추적하여 객체를 정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콘텐츠가 사진인 경우, 영역설정모듈(172)은 디스플레이모듈(154)상에 현재 표시되는 사진에 사용자가 사각형 또는 원형으로 일 영역을 선택하면 이를 객체영역으로 설정한다. 또한 콘텐츠가 동영상인 경우, 영역설정모듈(172)은 디스플레이모듈(154)상에 현재 표시되는 프레임에 사용자가 사각형 또는 원형으로 일 영역을 선택하면 이를 최초 객체영역으로 설정하고, 다음 프레임을 진행하여 사용자가 객체의 이동 및 퇴장을 확인하여 객체영역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함으로서 객체를 추적한다. The area setting module 172 is a module that performs a function of defining an object by extracting and tracking an area corresponding to one or more objects appearing in content under the control of the input processing module 171. When the content is a picture, the area setting module 172 sets the object area when the user selects one area in a rectangle or a circle on the picture currently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154. In addition, when the content is a video, the area setting module 172 sets the initial object area when the user selects one area in the frame currently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154 in a rectangle or a circle, and proceeds to the next frame. Tracks an object by allowing the user to change the location of the object area by checking the movement and exit of the object.

부가정보 입력모듈(173)은 추출 및 추적된 객체와 매핑되어 이후 객체선택시 객체와 관련된 부가정보의 내용을 입력받아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전술한 부가정보에는 객체가 인물일 경우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및 촬영날짜 등의 정보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객체가 상품일 경우 품명, 제조사, 사양, 구입방법 및 구입절차를 수행할 수 있는 웹 사이트 링크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객체가 특정 지역일 경우 지역명, 위치 및 지역홍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dditional information input module 173 is a module configured to receive and set contents of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object when the object is selected after being mapped with the extracted and tracked object. The above additional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a name, a phone number, an e-mail address, and a photographing date when the object is a person. In addition, when the object is a product, it may include a product name, a manufacturer, a specification, a purchase method, and a link address of a web site where a purchase procedure can be performed. In addition, when an object is a specific region, the object may include region name, location, and local promotion information.

또한, 부가정보는 외부 콘텐츠 제공장치와 연동되어 콘텐츠 목록을 제공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수신측 사용자는 객체선택 이후, 부가정보상에 콘텐츠 목록을 재 선택하여 연동된 콘텐츠를 더 제공받게 된다. 외부 콘텐츠 제공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콘텐츠는 영상, 음원 또는 영상과 음원이 결합된 형태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additional information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of providing a content list by interworking with an external content providing device. The user of the receiving side may further receive the linked content by reselecting the content list on the additional information after selecting an object. The content received from the external content providing device may be an image, a sound source, or a combination of an image and a sound source.

이러한 부가정보는 텍스트 포맷의 데이터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후에 설명하는 템플릿 제공모듈(174)이 제공하는 템플릿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dditional information is preferably data in text format,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additional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template data provided by the template providing module 174 to be described later.

템플릿 제공모듈(174)은 단순한 텍스트 포맷이외에 다양한 폰트, 색상, 크기 및 기타 무늬를 가지는 다양한 포맷의 데이터를 부가정보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템플릿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객체저작 중인 사용자는 다양한 템플릿 샘플을 선택하여 부가정보에 추가할 수 있다.The template providing module 174 is a module that provides a template for inserting data of various formats having various fonts, colors, sizes, and other patterns into additional information in addition to a simple text format. The user who is authoring the object can select various template samples and add them to the additional information.

이하, 콘텐츠 관리부(170)에서 객체기반 콘텐츠를 재생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의 구성을 설명한다. 객체기반 콘텐츠 재생기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재생모듈(175), 얼굴인식모듈(176) 및 부가정보 처리모듈(177)로 구성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a module that performs a function of playing object-based content in the content manager 170 will be described. The object-based content player includes a playback module 175, a face recognition module 176, and an addi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177 described below.

재생모듈(175)은 저장모듈(156)에 저장된 하나이상의 객체기반 콘텐츠 중,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를 해당 코덱에 맞게 디코딩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54)을 통해 재생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이를 위해, 재생모듈(175)은 AVI 포맷의 동영상 파일 뿐만 아니라, MPEG, MPEG2, MPEG4, WMV, H.264 및 DIVX 등의 다양한 포맷의 동영상 파일을 디코딩할 수 있는 디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ayback module 175 is a module that performs a function of decoding the content selected by the user among the one or more object-based contents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156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codec and playing the data through the display module 154. To this end, the playback module 175 may include a decoder capable of decoding not only an AVI format video file but also a video file of various formats such as MPEG, MPEG2, MPEG4, WMV, H.264, and DIVX.

얼굴인식모듈(176)은 재생모듈(175)이 현재 재생하고 있는 객체기반 콘텐츠에 등장하는 객체가 인물인 경우, 인물의 얼굴임을 인식하고, 사용자의 선택없이도 이에 매핑된 부가정보를 자동으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단말에는 다수의 인물에 대한 연락처, 이메일주소 등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송신 및 수신단말(100, 200)에서 해당 객체기반 콘텐츠의 재생시 등장하는 인물에 부가정보가 매핑되어 있고, 단말에 해당 인물의 연락처 등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면, 부가정보 처리모듈(177)에 요청하여 이를 부가정보에 포함하여 출력한다.The face recognition module 176 recognizes that a face is a face of a person when the object appearing in the object-based content that the playback module 175 is currently playing is a person, and automatically outputs additional information mapped thereto without user selection. This module performs functions. The terminal stores information such as contact information and email addresses for a plurality of persons, and additional information is mapped to persons appearing when the corresponding object-based content is reproduced in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terminals 100 and 200. If information such as a person's contact information is stored, the addi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177 is requested and the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additional information.

부가정보 처리모듈(177)은 얼굴인식 모듈(176) 또는 입력처리모듈(171)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객체에 매핑된 부가정보를 추출하고, 디스플레이 모듈(154)을 통해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The addi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177 extracts additional information mapped to an object selected by the user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face recognition module 176 or the input processing module 171 and displays the information on the display module 154. Module.

전술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장치는 휴대형 송수신 단말간에 객체기반 콘텐츠를 저작 및 전송하여, 객체기반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object-based content providing apparatus for a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hare object-based content by authoring and transmitting object-based content between portable transmitting and receiving terminals.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providing object-based content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object-based content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방법은 휴대단말간에 객체기반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객체추출 및 추적단계(S310), 부가정보 입력단계(S320), 객체기반 콘텐츠 생성 및 저장단계(S330) 및 객체기반 콘텐츠 전송단계(S340)를 포함한다.As shown, the object-based content providing method for a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method for providing object-based content between the mobile terminal, object extraction and tracking step (S310), additional information input step (S320), object-based content generation And a storage step (S330) and an object-based content transmission step (S340).

상세하게는 객체 추출 및 추적단계(S310)는, 객체저작툴을 실행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저작대상 콘텐츠에 등장하는 객체를 추출 및 추적하는 단계이다. 본 단계에서 객체저작툴은 전용기기에 설치되는 객체저작툴인 아닌, 단순화된 객체추출 및 추적툴로서, 영역설정모듈 및 부가정보 입력모듈로 구성된다. 사용자는 인터페이스 장치를 이용하여 단말에 저장된 사진, 동영상을 포함하는 일반 콘텐츠를 선택하고, 영역정보모듈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실행하여 객체 저작툴상에서 콘텐츠에 등장하는 객체를 추출 및 추적한다. In detail, the object extraction and tracking step S310 is a step of extracting and tracking an object appearing in the content to be authored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by executing an object manipulation tool. In this step, the object manipulation tool is a simplified object extraction and tracking tool, which is not an object manipulation tool installed in a dedicated device, and is composed of an area setting module and an additional information input module. The user selects general content including a picture and a video stored in the terminal using the interface device, and the area information module executes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to extract and track the object appearing in the content on the object authoring tool.

부가정보 입력단계(S320)는 객체와 관련된 부가정보를 입력받는 단계이다. 객체저작툴의 부가정보 입력모듈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텍스트 형태의 부가정보를 입력받거나, 템플릿 제공모듈이 제공하는 복수의 템플릿 중 하나를 선택하여 부가정보를 입력한다.The additional information input step S320 is a step of receiv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object. The additional information input module of the object manipulation tool receives the additional information in a text form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or selects one of a plurality of templates provided by the template providing module and inputs the additional information.

객체기반 콘텐츠 생성 및 저장단계(S330)는, 추출 및 추적된 객체와, 입력된 부가정보를 연결하여 객체기반 콘텐츠를 생성 및 저장하는 단계이다. 전술한 S310 및 S320 단계를 통해 영역설정모듈 및 부가정보 입력모듈은 객체기반 콘텐츠를 생성하고, 저장모듈에 저장한다. 따라서, 객체기반 콘텐츠는 객체가 추출 및 추적된 동영상과, 이에 연결된 부가정보를 포함한다.In the object-based content generation and storage step S330, the object-based content is generated and stored by connecting the extracted and tracked object and the input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above-described steps S310 and S320, the area setting module and the additional information input module generate object-based content and store the object-based content. Accordingly, the object-based content includes a video in which the object is extracted and tracked and additional information connected thereto.

객체기반 콘텐츠 전송단계(S340)는 식별코드를 입력받아 객체기반 콘텐츠를 정보 통신망을 통해 식별코드에 해당하는 수신단말에 전송하는 단계이다. 송신측 사용자는 수신측 사용자에게 자신의 단말에 저장된 객체기반 동영상을 정보통신망을 통해 전송할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 모듈은 사용자의 식별코드 입력에 대응하여 통신모듈에 요청하고 저장모듈에 저장된 객체기반 콘텐츠를 정보통신망을 통해 수신단말(200)에 전송한다. 전술한 정보통신망은 일반 무선전화망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식별코드는 수신단말의 전화번호이다.Object-based content transmission step (S340) is a step of receiving the identification code and transmits the object-based content to the receiving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code through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The sending user can transmit the object-based video stored in his terminal to the receiving user through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interface module requests the communication module in response to the input of the user's identification code and provides information on the object-based content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It transmits to the receiving terminal 20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he above-described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a general wireless telephone network, in which case the identification code is a telephone number of the receiving terminal.

전술한 단계에 따라, 송신측 사용자는 단말에 저장된 일반 사진, 동영상 등 개인의 콘텐츠를 이용하여 객체기반 콘텐츠를 저작하고, 이를 타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객체가 상품 또는 지역일 경우, 이에 대한 홍보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teps, the user of the transmitting side may author the object-based content by using personal contents such as general photos and videos stored in the terminal, and provide the same to other terminals. In addition, when the object is a product or region, it may be provided with promotional informa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객체기반 콘텐츠를 제공받은 타 단말의 콘텐츠 이용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using content of another terminal provided with object-based cont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측의 객체기반 콘텐츠 이용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using object-based content of a receiving s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신측 객체기반 콘텐츠 이용방법은, 휴대단말간에 객체기반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객체기반 콘텐츠 수신단계(S410)와, 객체기반 콘텐츠 재생단계(S420)와, 객체 선택단계(S440)와, 객체와 연결된 부가정보 추출 및 표시단계(S450)를 포함한다. 또한, S420 단계 및 S440 단계 사이에, 얼굴인식단계(S430)와, 해당 인물의 연락처정보 추출단계(S433)와, 연락처정보 추가단계(S4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the method of using the object-based content receiving sid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providing object-based content between mobile terminals, the object-based content receiving step (S410), the object-based content playback step (S420), the object The selection step (S440) and the additional information extraction and display step (S450) associated with the object. In addition, between steps S420 and S440, a face recognition step S430, a contact information extraction step S433 of the person, and a contact information addition step S437 may be further included.

상세하게는, 객체기반 콘텐츠 수신단계(S410)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송신단말로부터 객체기반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이다. 수신단말의 통신모듈은 식별코드에 의해 접속한 송신단말로부터 객체기반 콘텐츠를 전송받는다. 전술한 정보통신망은CDMA, WCDMA 또는 3G망과 같은 무선 이동통신망일 수 있다. 수신한 객체기반 콘텐츠는 저장모듈에 저장된다.In detail, the object-based content receiving step S410 is a step of receiving object-based content from a transmitting terminal through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receiving terminal receives the object-based content from the transmitting terminal connected by the identification code. The above-described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CDMA, WCDMA or 3G network. The received object-based content is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객체기반 콘텐츠 재생단계(S42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객체기반 콘텐츠를 재생하는 단계이다. 수신측 사용자가 인터페이스 모듈을 조작하여 저장모듈에 저장된 데이터 중 S410 단계에서 수신한 객체기반 콘텐츠를 선택하면 수신단말 콘텐츠 관리부의 재생모듈은 해당 객체기반 콘텐츠를 재생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표시한다.The object-based content playback step S420 is a step of playing back object-based content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When the receiving user selects the object-based content received in step S410 of the data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by operating the interface module, the playing module of the receiving terminal content management unit plays the object-based content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module.

이후, 화면에 등장하는 객체가 특정 인물의 얼굴을 포함하는 경우, 수신단말은 이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기타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S430, S433, S4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ubsequently, when the object appearing on the screen includes the face of a specific person, the receiving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detecting the information automatically and displaying other information (S430, S433, and S437).

먼저, 얼굴인식 단계(S430)는, 수신단말의 얼굴인식모듈이 객체기반 콘텐츠 재생 중, 화면에 등장하는 객체가 특정 인물의 얼굴임을 인식하는 단계이다.First, the face recognition step (S430) is a step in which the face recognition module of the receiving terminal recognizes that an object appearing on the screen is a face of a specific person while playing object-based content.

해당인물의 연락처정보 추출단계(S433)는 얼굴인식모듈이 특정인물의 얼굴임을 판단하고 저장모듈을 참조하여 해당 인물의 연락처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지 검색하여 저장되어 있는 경우 이를 추출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연락처정보는 해당 인물과 관련된 전화번호 및 이메일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extracting of the contact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person (S433) is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face recognition module is the face of the specific person, searching for and storing the contact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person with reference to the storage module, and extracting it if it is stored. The contact information may include a phone number and email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person.

연락처정보 추가단계(S437)는 해당 객체에 매핑된 부가정보에 S433단계에서 추출한 연락처정보를 추가하는 단계이다. 얼굴인식모듈은 추출된 연락처정보를 객체에 매핑된 부가정보에 추가하는 단계이다. 이때, 만약 해당 객체에 부가정보가 없는 경우 즉, Null 값인 경우에는 연락처정보를 부가정보로서 생성한다. The step of adding contact information (S437) is a step of adding contact information extracted in step S433 to additional information mapped to the corresponding object. The face recognition module is a step of adding the extracted contact information to additional information mapped to the object. In this case, if the object does not have additional information, that is, a null value, contact information is generated as additional information.

객체 선택단계(S440)는 객체기반 콘텐츠에 등장하는 객체를 선택하는 단계이다. 수신측 사용자는 객체기반 콘텐츠 시청 중, 화면에 등장하는 객체에 대한 부가정보를 얻고자 할 때, 인터페이스 모듈을 조작하여 해당 객체를 선택할 수 있으며 입력처리모듈은 이를 인식하고 부가정보 처리모듈에 알려준다.The object selection step S440 is a step of selecting an object appearing in the object-based content. When the receiving user wants to obtain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an object appearing on the screen while viewing the object-based content, the receiving user can select the corresponding object by manipulating the interface module, and the input processing module recognizes this and informs the addi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객체와 연결된 부가정보 추출 및 표시단계(S450)는 선택된 객체와 매핑된 부가정보를 표시하는 단계이다. 입력처리모듈이 선택된 객체를 부가정보 처리모듈에 알려주면, 부가정보 처리모듈은 해당 객체와 매핑된 부가정보를 판단하고 저장모듈에 저장된 부가정보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표시한다.Extracting and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n object (S450) is a step of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mapped to the selected object. When the input processing module informs the selected information object to the addi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the addi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determines additional information mapped to the corresponding object, extracts additio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and displays the additional information through the display module.

전술한 단계에 따라, 수신측 사용자는 단말에 수신한 객체기반 콘텐츠를 재생하고, 이에 대한 부가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방법을 송신 및 수신단말을 구성하는 각 모듈간 신호흐름에 따라 설명한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teps, the receiving user may play the object-based content received by the terminal and receive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the object-based content. Hereinafter, an object-based content providing method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signal flows between modules constituting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terminals.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측 단말의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bject-based content providing method for a mobile terminal of a transmitting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방법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송신단말의 촬영모듈(152)이 대상을 촬영하여 생성한 사진 또는 동영상을 디스플레이모듈(154)에 제공하고(S611), 디스플레이모듈(154)은 이를 콘텐츠로서 표시한다. 이때, 영역설정모듈(172)은 표시되는 콘텐츠에 대하여 사용자의 화면상에 영역 선택을 대기한다(S612).As illustrated, the object-based content providing method for a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module 154 with a photograph or video generated by photographing a target by a photographing module 152 of a transmitting terminal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S611), the display module 154 displays this as content. In this case, the area setting module 172 waits for an area selection on the user's screen with respect to the displayed content (S612).

이후, 인터페이스 모듈(151)은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고(S621), 입력처리모듈(171)은 인터페이스 모듈(151)이 입력받은 사용자의 조작을 인식하여(S622),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영역을 객체영역으로 지정한다(S622). 또한 부가정보 입력모듈(173)은 입력처리모듈(171)이 인식하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부가정보를 입력받는다(S654). 이때, 템플릿 제공부(178)는 부가정보 입력부(173)에 하나이상의 템플릿 샘플을 제공할 수 있다(S625). Subsequently, the interface module 151 receives a user's manipulation (S621), and the input processing module 171 recognizes the user's manipulation received by the interface module 151 (S622), and displays an area of the displayed screen. The object area is designated (S622). In addition, the additional information input module 173 receives additional information according to a user operation recognized by the input processing module 171 (S654). In this case, the template providing unit 178 may provide one or more template samples to the additional information input unit 173 (S625).

사용자의 조작이 종료되면, 영역설정모듈(172)은 지정한 객체영역과 입력받은 부가정보를 매핑하여 객체기반 콘텐츠를 생성하고, 이를 저장모듈(156)에 저장한다(S626). 이후 저장된 객체기반 콘텐츠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통신모듈(158)을 통해, 타 단말로 전송된다.When the user's operation is finished, the area setting module 172 generates the object-based content by mapping the designated object area and the received additional information and stores it in the storage module 156 (S626). Thereafter, the stored object-based content is transmitted to another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58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전술한 단계에 따라, 송신측 단말은 사용자가 생성한 사진 및 동영상을 이용하여 객체기반 콘텐츠를 생성하고,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이용방법을 송신단말을 구성하는 각 모듈간 신호흐름에 따라 설명한다.In accordance with the above-described steps, the transmitting terminal generates object-based content using a user-generated picture and video, and hereinafter, a method of using object-based content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following describes the signal flow between modules constituting the transmitting terminal.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측 단말의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이용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using object-based content for a mobile terminal of a transmitting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본 발명의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방법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인터페이스 모듈(151)이 저장된 콘텐츠 중 재생할 콘텐츠를 선택하면(S511), 입력처리모듈(171)은 이를 인식하여(S521) 재생모듈(175)에 해당 콘텐츠를 재생할 것을 요청한다. 재생모듈(156)은 이러한 요청에 따라, 저장모듈(156)에 해당 콘텐츠를 요청하고(S531), 저장모듈(156)은 이를 재생모듈(175)에 제공한다(S532). 재생모듈은 해당 콘텐츠의 포맷에 대응하는 디코딩작업을 통해 재생을 시작하며, 디스플레이모듈(154)에 재생하는 콘텐츠를 표시할 것을 요청한다(S541). 얼굴인식모듈(176)은 디스플레이모듈(154)이 표시하는 콘텐츠상에 인물얼귤이 등장하는 지 인식하고(S551), 등장하는 경우 이를 객체로서 판단하여 부가정보 처리모듈(177)에 해당 얼굴에 매핑된 부가정보를 요청한다(S552).As shown, in the object-based content providing method for a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terface module 151 selects a content to play out of stored content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S511), the input processing module 171 Recognizes this (S521) and requests the playback module 175 to play the content. The playback module 156 requests the corresponding content from the storage module 156 according to the request (S531), and the storage module 156 provides it to the playback module 175 (S532). The playback module starts playback through a decoding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format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and requests the display module 154 to display the played content (S541). The face recognition module 176 recognizes whether a person's manger appears on the content displayed by the display module 154 (S551), and if it appears, determines the face as an object and maps the face to the addi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177. The requested additional information is requested (S552).

부가정보 처리모듈(177)은 저장모듈(156)에 저장된 데이터에 매핑된 얼굴에 해당하는 인물에 대한 연락처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검색하고(S553), 저장되어 있는 경우, 저장모듈(156)은 해당 연락처정보를 부가정보 처리모듈(177)에 제공한다. 부가정보 처리모듈(177)은 디스플레이 모듈(154)에 제공받은 연락처정보를 표시할 것을 요청한다(S555).The addi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177 searches whether the contact information for the person corresponding to the face mapped to the data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156 is stored (S553), and if it is stored, the storage module 156 corresponds to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The contact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addi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177. The addi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177 requests to display the contact information provided to the display module 154 (S555).

전술한 단계에 따라, 송신측 단말은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를 활용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이용방법을 수신단말을 구성하는 각 모듈간 신호흐름에 따라 설명한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teps, the transmitting terminal utilizes the stored contents. Hereinafter, referring to the drawings, signals between modules constituting the receiving terminal in the method of using object-based content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plain according to the flow.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측 단말의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이용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using object-based content for a mobile terminal of a receiving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방법은, 먼저 수신단말의 통신모듈(158)이 정보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객체기반 콘텐츠를 수신하면, 저장모듈(156)에 전송하여 저장한다(S711).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모듈(154)은 저장모듈(156)의 저장결과를 표시한다(S712). As shown, in the object-based content providing method for a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mmunication module 158 of the receiving terminal first receives the object-based content transmitted through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it is transmitted to the storage module 156 and stored. (S711). Accordingly, the display module 154 displays the storage result of the storage module 156 (S712).

이후, 인터페이스 모듈(151)은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고, 입력처리모듈(171)은 이를 인식하여(S721), 재생모듈(175)에 해당 객체기반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요청하고(S722), 재생모듈(175)은 적합한 디코딩작업을 통해 콘텐츠를 재생하고 이를 디스플레이모듈(154)이 표시하도록 한다(S723). Thereafter, the interface module 151 receives a user operation, the input processing module 171 recognizes this (S721), requests the playback module 175 to play the object-based content (S722), and the playback module ( 175 plays the content through a suitable decoding operation and causes the display module 154 to display it (S723).

객체기반 콘텐츠의 재생 중, 얼굴인식모듈(176)이 화면에 등장하는 객체 중, 인물의 얼굴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부가정보 처리모듈(177)에 알려주면(S731), 부가정보 처리모듈(177)은 그 결과에 따라 특정 인물의 얼굴일 경우, 그 얼굴에 해당하는 인물의 연락처정보를 저장모듈(156)에서 검색하여 부가정보에 포함하고(S743), 디스플레이모듈(151)은 전술한 부가정보를 표시한다(S745).During the reproduction of the object-based content, when the face recognition module 176 determines whether a face of a person appears on the screen and informs the addi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177 of the result (S731), the addi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 177, if the face of a specific person according to the result, the contact information of the person corresponding to the face is retrieved from the storage module 156 and included in the additional information (S743), and the display module 151 adds the aforementioned informa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S745).

또한, 입력처리모듈(171)이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하여 특정 객체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면(S751), 부가정보 처리모듈(177)은 해당 객체와 매핑된 부가정보를 저장모듈(156)에서 추출하고(S752), 디스플레이모듈(151)은 추출한 부가정보를 표시한다(S753).In addition, when the input processing module 171 detects a user's manipulation and determines that a specific object is selected (S751), the addi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177 extracts additional information mapped to the object from the storage module 156. The display module 151 displays the extracted additional information (S753).

전술한 단계에 따라, 수신측 단말은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를 활용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장치의 일예를 모식화된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teps, the receiving terminal utilizes the stored contents. Hereinafter, an example of an object-based content providing apparatus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o.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장치를 모식화한 도면이다.8 to 10 are schematic diagrams illustrating an object-based content providing apparatus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장치(100)는, 일단에 구비된 촬영모듈(152)을 통해 배경, 사물(b) 및 인물(a) 등을 촬영하고, 이를 디스플레이 모듈(154)을 통해 표시한다. As shown in FIG. 8, the object-based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0 for a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photographs a background, an object b, a person a, and the like through the photographing module 152 provided at one end thereof. This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module 154.

이후,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모듈(154)상에 구현된 터치 스크린을 손(h)으로 직접 조작하여 콘텐츠 상에 등장하는 인물(a), 또는 사물(b)에 해당하는 영역(o)을 지정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만약 콘텐츠가 동영상일 경우, 이후의 프레임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인물(a) 또는 사물(b)을 지정한다. 또한, 인물의 경우 얼굴에 해당하는 영역(o)은 얼굴인식모듈에 의해 자동으로 지정될 수 있다. Subsequently, referring to FIG. 9, the user directly manipulates the touch screen implemented on the display module 154 with his hand h to display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person a or the object b appearing on the content. ). Although not shown, if the content is a video, the person (a) or the object (b) is designated in the same way in the subsequent frame.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person, an area o corresponding to a face may be automatically designated by the face recognition module.

이후, 사용자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역지정 즉, 객체정의가 완료되면, 디스플레이 모듈(154)상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부가정보(i)를 입력한다. 이때, 부가정보는 템플릿 제공모듈이 제공하는 샘플 탬플릿상에 입력될 수 있다. 전술한 부가정보에는 적어도 인물(a)의 이름, 전화번호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after, as shown in FIG. 10, when the area designation, that is, the object definition is completed, the user inputs additional information i through the touch screen on the display module 154. In this case, the additional information may be input on the sample template provided by the template providing module. Preferably, the above additional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the name and phone number of the person a.

전술한 방법으로 객체기반 콘텐츠는 저작되고, 사용자가 해당 콘텐츠를 타 단말에 제공할 경우에는 해당 단말의 식별코드 즉,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콘텐츠를 첨부하는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The object-based content is authored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and when the user provides the content to another terminal, the user can transmit the content by attaching the content by inputting an identification code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that is, a telephone number.

이후, 수신단말은 해당 콘텐츠를 수신 및 저장 후, 내장된 객체기반 콘텐츠 재생기를 통해 이용할 수 있으며, 특히, 콘텐츠에 등장하는 인물의 전화번호가 부가정보로 입력된 경우에는 인물에 해당하는 객체영역인 (a)를 선택하는 것으로 전화번호가 추출되고 바로 해당 단말과 전화연결 될 수 있다.Thereafter, the receiving terminal may use the built-in object-based content player after receiving and storing the corresponding content. In particular, when the phone number of the person appearing in the content is input as additional information, the receiving terminal may be an object area corresponding to the person. By selecting (a), the phone number can be extracted and directly connected to the terminal.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장치를 모식화한 도면이다.11 to 13 are schematic diagrams illustrating an object-based content providing apparatus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장치(100)는 하나이상의 음원 및 동영상과 같은 콘텐츠를 저장하며, 사용자는 저장된 콘텐츠 목록(i)에서 하나이상의 콘텐츠를 선택하여 수신단말측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콘텐츠는 음원, 영상 또는 음원과 영상이 결합된 형태일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형식으로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 As illustrated, the object-based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0 for a mobile terminal stores one or more contents such as a sound source and a video, and the user can select one or more contents from the stored contents list (i) and transmit them to the receiving terminal. have. In this case, the content may be in the form of a sound source, an image, or a sound source and an image, and may be transmitted in a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MMS) format by the user's selection (i).

또한, 도 12는 본 발명의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방법을 통한 홍보 영상물을 제공하는 일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송신측 사용자가 단말을 통해 특정 상품을 촬영하여 콘텐츠를 제작한다. 이후, 객체저작툴을 이용하여 객체를 추출 및 추출하고 부가정보 입력시 해당 상품의 명칭, 제조사, 가격 및 구입문의 사이트 등을 입력하여 수신측 단말에 전송한다.In addition, FIG. 12 is an example of providing a promotional video object through the object-based content providing method for a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 a user of a transmitting side photographs a specific product through a terminal to produce content. Thereafter, the object is extracted and extracted using the object manipulation tool, and when the additional information is input, the name, manufacturer, price and purchase inquiry site of the corresponding product are input and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terminal.

객체기반 콘텐츠를 수신한 단말(100)은 해당 콘텐츠를 재생하고, 이를 시청하는 수신측 사용자가 해당 상품(k)을 선택하면, 해당 상품에 대한 부가정보(r)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부가정보(r)의 구입문의 사이트에는 해당 사이트의 인터넷 링크주소가 포함되어 있으며, 수신측 사용자는 이를 선택하여 상품의 구입절차를 수행할 수 있는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다.Upon receiving the object-based content, the terminal 100 plays the corresponding content, and when the receiving user who views the content selects the corresponding product k, the terminal 100 may check additional information r about the corresponding product. At this time, the purchase inquiry site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r) includes an Internet link address of the corresponding site, and the receiving user can select it and access a site for performing a product purchase procedure.

또한, 다른 활용 예로서, 도 13을 참조하면, 송신측 사용자가 단말을 통해 특정 숙박업소(a)를 촬영하고 이를 객체화 및 부가정보를 입력하여 객체기반 콘텐츠를 생성한 후, 이를 수신측 단말에 전송한다. 이후, 수신측 사용자가 단말을 통해 수신된 객체기반 콘텐츠를 시청 중, 등장하는 업소에 예약을 원하는 경우 해당 숙박업소 즉, 객체(p)를 선택하여 부가정보(q)에 포함된 연락처를 선택하여 단말을 통해 직접 업소측과 통화하거나, 또는 링크주소(r)를 선택하여 해당 업소가 운영하는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예약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의 응용된 서비스로서, 특정 지역에 대한 홍보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another use example, referring to FIG. 13, a user of a transmitting side photographs a specific property (a) through a terminal, generates object-based content by inputting objectification and additional information, and then transmits the same to the receiving terminal. send. Then, when the receiving user wants to make a reservation to the appearing business while viewing the object-based content received through the terminal, the corresponding property, that is, the object p, is selected to select a contact included in the additional information q. The terminal may directly call the business party or select a link address r to access a website operated by the business and perform a reservation procedure. As an applied service thereof, it may provide public information about a specific region.

전술한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및 광자기 디스크 등을 포함하는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The object-based content providing method for a portable terminal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program and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including a computer-readable CD-ROM, a RAM, a ROM, a floppy disk, a hard disk, and a magneto-optical disk.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is is by way of example only and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nyone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100 : 송신단말 150 : 하드웨어 제어부
151 : 인터페이스모듈 152 : 촬영모듈
154 : 디스플레이모듈 156 : 저장모듈
158 : 통신모듈 170 : 콘텐츠 관리부
171 : 입력처리모듈 172 : 영역설정모듈
173 : 부가정보 입력모듈 174 : 템플릿 제공모듈
175 : 재생모듈 176 : 얼굴인식모듈
177 : 부가정보 처리모듈 200: 수신단말
100: transmitting terminal 150: hardware control unit
151: interface module 152: shooting module
154: display module 156: storage module
158: communication module 170: content management unit
171: input processing module 172: area setting module
173: additional information input module 174: template providing module
175: playback module 176: face recognition module
177: addi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200: receiving terminal

Claims (16)

휴대단말간에 객체기반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객체저작툴을 실행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저작대상 콘텐츠에 등장하는 객체를 추출 및 추적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객체와 관련된 부가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c) 상기 객체 및 부가정보를 연결하여 객체기반 콘텐츠를 생성 및 저장하는 단계; 및,
(d) 식별코드를 입력받아 상기 객체기반 콘텐츠를 정보 통신망을 통해 상기 식별코드에 해당하는 수신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객체가 홍보대상의 상품인 경우, 상기 부가정보는 상기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웹 사이트와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방법.
In the method for providing object-based content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 executing the object manipulation tool to extract and track an object appearing in the content to be authored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b) receiv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object according to the user's manipulation;
(c) generating and storing object-based content by connecting the object and additional information; And,
(d) receiving an identification code and transmitting the object-based content to a receiving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code through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When the object is a product to be promoted, the additional inform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inked to the website to purchase the product
Object-based content providing method for a mobile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코드는 상기 수신단말의 전화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identification code is a method of providing an object-based content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phone number of the receiving terminal.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기반 콘텐츠는 수신자에 대한 광고관련 내용을 포함하며, 상기 전화번호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시 첨부파일 형태로 상기 수신단말에 배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2,
The object-based content includes an advertisement-related content for the recipient, the object-based content providing method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distributed to the receiving terminal in the form of an attachment file when transmitting data using the phone nu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템플릿 제공모듈에 템플릿 샘플을 요청 및 제공받는 단계; 및,
상기 템플릿 샘플을 상기 부가정보에 삽입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tep (b)
Requesting and receiving a template sample from the template providing module; And,
Inserting the template sample into the additional information
Object-based content providing method for a mobile terminal further comprising a.
휴대단말간에 객체기반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정보통신망을 통해 송신단말로부터 객체기반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b)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객체기반 콘텐츠를 재생하는 단계;
(c) 상기 객체기반 콘텐츠에 등장하는 객체를 선택하는 단계; 및,
(d) 상기 객체와 매핑된 부가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객체가 홍보대상의 상품인 경우, 상기 부가정보는 상기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웹 사이트와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방법.
In the method for providing object-based content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 receiving object-based content from a transmitting terminal through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b) playing the object-based content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c) selecting an object appearing in the object-based content; And,
(d)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mapped to the object
Including;
When the object is a product to be promoted, the additional inform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inked to the website to purchase the product
Object-based content providing method for a mobile terminal.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와 단계(c) 사이에,
(b1) 상기 객체기반 콘텐츠가 표시되는 화면상에서 객체로 정의된 일 영역이 인물얼굴에 해당하는 지 판단하는 단계;
(b2) 상기 (b1) 단계에서 인물얼굴로 판단될 경우, 해당 인물의 연락처정보가 저장모듈에 저장되어 있는 지 판단하는 단계; 및,
(b3) 상기 (b2) 단계에서 해당 인물의 연락처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추출하여 상기 부가정보에 삽입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Between step (b) and step (c),
determining whether a region defined as an object corresponds to a person's face on the screen on which the object-based content is displayed;
(b2) if it is determined in step (b1) that the person's face is determined, determining whether contact information of the person is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And,
(b3) extracting the contact information of the person in step (b2) and inserting the extracted contact information into the additional information;
Object-based content providing method for a mobile terminal further comprising a.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객체기반 콘텐츠가 표시되는 화면상에서 객체로 정의된 일 영역을 선택하는 것을 인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Step (c) is,
Recognizing that the user selects a region defined as an object on a screen on which the object-based content is displayed;
Object-based content providing method for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삭제delete 제 1 항 또는 제 5 항 중,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가 장소인 경우, 상기 부가정보는 상기 장소의 명칭 및 위치를 설명하는 홍보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If the object is a place, the additional information object-based content providing method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promotional information for explaining the name and location of the place.
객체기반 콘텐츠를 타 단말에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을 인식하는 입력처리모듈;
상기 입력처리모듈이 인식한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저작대상 콘텐츠에 등장하는 객체를 추출 및 추적하고, 상기 객체와 관련된 부가정보를 매핑하여 객체기반 콘텐츠를 생성하는 객체저작툴; 및,
상기 입력처리모듈로부터 입력받는 식별코드에 따라, 정보통신망을 통해 상기 객체기반 콘텐츠를 상기 식별코드에 해당하는 수신단말에 전송하는 통신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객체가 홍보대상의 상품인 경우 상기 부가정보는 상기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웹 사이트와 연동하도록 상기 객체저작툴에 의해 저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장치.
An apparatus for providing object-based content to another terminal,
An input processing module for recognizing a user's manipulation;
An object manipulation tool for extracting and tracking an object appearing in the content to be authored according to a manipulation of the user recognized by the input processing module, and generating object-based content by mapp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object; And,
A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the object-based content to a receiving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code through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code received from the input processing module;
Including;
If the object is a product to be promoted, the additional inform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uthored by the object authoring tool to work with a website that can purchase the product
Object-based content providing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저작툴은,
상기 객체를 추출 및 추적하는 영역설정모듈; 및,
상기 부가정보를 입력받는 부가정보 입력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The object manipulation tool,
An area setting module for extracting and tracking the object; And,
Additional information input module for receiv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Object-based content providing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조작하는 인터페이스 모듈;
상기 촬영을 통해 상기 저작대상 콘텐츠를 생성하는 촬영모듈;
상기 저작대상 콘텐츠 및 객체기반 콘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모듈; 및,
상기 저작대상 콘텐츠 및 객체기반 콘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An interface module manipulated by the user;
A photographing module for generating the content to be copyrighted by the photographing;
A display module configured to display the authoring content and the object-based content; And,
A storage module for storing the authored content and object-based content
Object-based content providing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단말은 정보통신망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스마트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The receiving terminal is an object-based content providing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smart phon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코드는 상기 스마트 폰의 전화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The identification code is an object-based content providing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phone number of the smart phon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 입력을 위한 하나이상의 템플릿 샘플을 상기 부가정보 입력모듈에 제공하는 템플릿 제공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And a template providing module for providing one or more template samples for inputt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to the additional information input modul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대상 콘텐츠 및 상기 객체기반 콘텐츠를 재생하는 재생모듈;
상기 객체기반 콘텐츠에 등장하는 객체가 인물의 얼굴이면, 이를 인식하는 얼굴인식모듈; 및,
상기 얼굴인식모듈이 인식한 인물 또는 상기 입력처리모듈이 인식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해당 객체에 매핑된 부가정보를 추출하는 부가정보 처리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A playback module for playing the authored content and the object-based content;
A face recognition module recognizing a face of a person if the object appearing in the object-based content; And,
An addi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for extracting additional information mapped to the object according to a person recognized by the face recognition module or a user recognized by the input processing module.
Object-based content providing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KR1020100045557A 2010-05-14 2010-05-14 service method and apparatus for object-based contents for portable device KR1011233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557A KR101123370B1 (en) 2010-05-14 2010-05-14 service method and apparatus for object-based contents for portable device
US13/108,121 US20110279224A1 (en) 2010-05-14 2011-05-16 Remot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ing smart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557A KR101123370B1 (en) 2010-05-14 2010-05-14 service method and apparatus for object-based contents for portable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917A KR20110125917A (en) 2011-11-22
KR101123370B1 true KR101123370B1 (en) 2012-03-23

Family

ID=45395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5557A KR101123370B1 (en) 2010-05-14 2010-05-14 service method and apparatus for object-based contents for portabl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337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471B1 (en) * 2012-02-29 2014-02-11 한국과학기술원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layback of content based on user reaction
US9247309B2 (en) * 2013-03-14 2016-01-26 Google Inc.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esenting mobile content corresponding to media content
US9456237B2 (en) 2013-12-31 2016-09-27 Google Inc.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esenting supplement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on-demand media content
US9491522B1 (en) 2013-12-31 2016-11-08 Google Inc.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esenting supplemental content relating to media content on a content interface based on state information that indicates a subsequent visit to the content interface
US10002191B2 (en) 2013-12-31 2018-06-19 Google Llc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generating search results based on contextual information
KR102220198B1 (en) * 2014-06-20 2021-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827978B1 (en) * 2016-06-17 2018-02-09 (주)잼투고 Server for Providing Collaboration Service Based on Performer Object
KR102638726B1 (en) * 2021-04-05 2024-02-20 주식회사 마이카페이지 Untacting intermediation system for direct transaction of used ca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9580A (en) * 2006-05-12 2007-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Mobile terminal capable of linking path to annexed data and related method
KR20090008853A (en) * 2007-07-19 2009-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honebook using image in portable termina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9580A (en) * 2006-05-12 2007-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Mobile terminal capable of linking path to annexed data and related method
KR20090008853A (en) * 2007-07-19 2009-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honebook using image in portab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917A (en) 2011-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3370B1 (en) service method and apparatus for object-based contents for portable device
US10325394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data input method
KR101664754B1 (en) Method, device,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for information acquisition
US8799300B2 (en) Bookmarking segments of content
US10684754B2 (en) Method of providing visual sound image and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US9977591B2 (en) Image with audio conversation system and method
JP5556911B2 (en) Method, program, and system for creating content representations
WO2020125292A1 (en) Video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device, and storage medium
JP2003157288A (en) Method for relating information, terminal equipment, server device, and program
US10178346B2 (en) Highlighting unread messages
WO2018095219A1 (en) Media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KR20140081636A (en) Method and terminal for reproducing content
US20150092006A1 (en) Image with audio conversation system and method utilizing a wearable mobile device
CN116710881A (en) Selecting audio for multiple video clip capture
US9152707B2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nd providing media objects in a navigable environment
JP2013171373A (en) Information processor,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2010035763A (en) Video game device, image posting device
TW201351174A (en) Techniques for intelligent media show across multiple devices
US20150264309A1 (en) Playback of Interconnected Videos
EP3272127B1 (en) Video-based social interaction system
US20210329310A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efficient generation and exchange of descriptive information with media data
US20100083153A1 (en) Managing Multimodal Annotations Of An Image
CN116257159A (en) Multimedia content sharing method, device, equipment, medium and program product
KR10194755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ideo edit based on object
WO2018233533A1 (en) Editing device and system for on-line integrated augmented rea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