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6701B1 - 살균음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배기환류형 청소로봇 - Google Patents
살균음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배기환류형 청소로봇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26701B1 KR101126701B1 KR1020090086654A KR20090086654A KR101126701B1 KR 101126701 B1 KR101126701 B1 KR 101126701B1 KR 1020090086654 A KR1020090086654 A KR 1020090086654A KR 20090086654 A KR20090086654 A KR 20090086654A KR 101126701 B1 KR101126701 B1 KR 1011267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eaning
- cleaning robot
- suction
- anion
- foreign matter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7
- 238000010992 reflux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150000001450 anions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2070 germicid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0238876 Acar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058 respiratory gaseous ex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4—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for using the exhaust air for other purposes, e.g. for distribution of chemicals in a room, for sterilisation of the ai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14—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cleaning by blowing-off, also combined with suction cleaning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8—Nozzles with means adapted for blowing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살균음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배기환류형 청소로봇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배기환류형 청소로봇내에 살균음이온 발생기를 설치하여, 청소면으로 분사되는 배기 및 청소면을 살균처리할 수 있는 살균음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배기환류형 청소로봇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흡입모터에 의해 하부면에 설치된 흡입부를 통해 청소면의 이물질이 공기와 함께 흡입되고, 흡입된 이물질은 집진부에 포집되며,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는 흡입모터를 경유하여 배출되는 청소로봇에 있어서;
상기 흡입모터를 경유하여 배출되는 공기는 살균음이온 발생기에서 방출된 살균음이온에 의해 살균처리된 후, 배기환류부를 통해 청소로봇의 흡입구 선단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분사노즐부에 의해 청소면을 향하여 분사되어 청소면의 이물질을 비산 및 살균처리시킨 후, 흡입모터에 의해 이물질과 함께 흡입되어 배기환류부로 순환되도록 되어 있다.
살균, 음이온, 배기환류, 청소로봇, 순환공기
Description
본 발명은 살균음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배기환류형 청소로봇에 관한 것으로, 음이온 발생기에서 방출된 음이온을 청소로봇 내에 설치된 흡입모터 및 임펠러로부터 배기되는 공기에 공급하고, 이를 분사노즐부에 의해 청소면으로 순환 분사하여 청소기내 먼지의 살균 및 청소면을 살균시킬 수 있는 살균음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배기환류형 청소로봇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소로봇은 사용자가 조작하지 않아도 청소하고자 하는 구역을 스스로 주행하면서 바닥면으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함으로써, 청소하고자 하는 구역을 자동으로 청소하며, 충전기의 전원이 소진되면 스스로 충전위치로 이동하여 충전을 한 후 다시 청소를 하던 본래의 위치로 되돌아가 계속적으로 청소를 진행하는 기기이다.
상기와 같은 청소로봇은 스스로 청소구역을 소정 주행패턴으로 주행하면서 청소면의 이물질을 청소하도록 되어 있으나, 청소면에 달라붙은 이물질이나 카펫 등에 이물질이 달라붙어 있을 경우, 이러한 이물질을 완벽하게 청소하지 못한 상태로 주행패턴을 따라 청소구역을 주행하는 경우가 발생되고 있다.
또한, 상기 청소로봇은 적용장소 및 이동성을 고려하여 그 크기 및 중량에 한계 즉, 소형화 및 경량화를 추구하여야 하므로, 대용량의 흡입모터를 적용할 수 없으며, 이로 인해 흡입력에 한계가 발생되고 이로 인해 이물질을 완벽하게 청소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은 특히 진공흡입식 청소로봇의 경우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청소로봇이 이물질을 흡입하여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이물질을 끌고 다녀 오히려 청소면적을 확대시키는 현상이 발생되고 있다.
물론, 이와 같은 소형모터로 인한 흡입력을 해소하기 위하여 진공흡입방식과 브러쉬방식을 겸한 흡입브러쉬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나, 상기 흡입브러쉬 방식은 브러쉬에 의해 이물질을 청소로봇내로 상승시키고, 상기 상승된 이물질을 진공흡입방식에 의해 흡입하도록 되어 있어, 브러쉬와 접촉되는 청소면의 이물질은 제거가 가능하나, 그 이외의 청소면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오직 진공흡입방식에 의해 흡입해야 하므로, 이물질이 제거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되고 있다. 특히, 흡입브러쉬 방식의 경우, 흡입구가 브러쉬 상부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어, 그 흡입력이 더욱 저하되므로, 브러쉬에 의해 제거되지 못한 이물질은 그대로 남아 있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흡입브러쉬 방식은 진공흡입의 단점을 브러쉬로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잔존하는 이물질 제거의 근본적인 해결책은 될 수 없으며, 브러쉬 방식을 겸할 경우, 별도의 장치를 더 설치해야 하므로 원가가 상승하고 부품의 유지/ 보수에 문제점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청소로봇은 흡입구를 통해 공기와 먼지가 함께 흡입되며, 먼지는 집진부에 포집되고, 먼지가 제거된 공기는 흡입모터를 냉각시킨 후 배기구를 통해 그대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되어, 이러한 배기풍에 의해 청소로봇 근처의 침체되어 있던 이물질이 실내로 흩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청소로봇은 단순히 주행하면서 바닥면(청소면)의 먼지나 오물을 흡입하여 이물질은 제거하나, 이물질 제거 후 공기중으로 비산되는 공기에는 먼지가 그대로 남아 있게 되므로, 사용자의 호흡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게 되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배기환류형 청소로봇내에 살균음이온 발생기를 설치하여, 청소면으로 분사되는 배기 및 청소면을 살균처리할 수 있는 살균음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배기환류형 청소로봇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기환류를 통한 음이온의 방출을 통해, 청소면으로 분출되는 순환공기내 음이온 함유량을 증대시키고, 이를 통해 청소면에 대한 살균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살균음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배기환류형 청소로봇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흡입모터와 좌우측 연결통로 사이에 살균음이온 발생기를 설치하여, 구동모터에 따른 흡입력에 의해 음이온을 청소면으로 분사할 수 있는 살균음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배기환류형 청소로봇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순환되는 배기에 음이온을 함유하도록 하고, 이를 분사노즐에 의해 청소면에 균일하게 분사하여 청소면 이물질을 고르게 비산시키면서 청소면 및 이물질에 대한 살균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살균음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배기환류형 청소로봇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음이온 함유 배기환류에 의해 청소면의 이물질을 비산시킨 후 비산된 이물질의 확산을 방지하여 이물질의 효과적으로 제거 및 살균효율을 향상 할 수 있는 살균음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배기환류형 청소로봇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청소로봇에 배기환류를 적용함에 있어서, 흡입공기의 순환경로를 개선하고 음이온을 함유하도록 하여 배기의 순환경로 및 살균력 증대를 꾀할 수 있는 살균음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배기환류형 청소로봇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흡입모터에 의해 하부면에 설치된 흡입부를 통해 청소면의 이물질이 공기와 함께 흡입되고, 흡입된 이물질은 집진부에 포집되며,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는 구동모터를 경유하여 배출되는 청소로봇에 있어서;
상기 흡입모터를 경유하여 배출되는 공기는 살균음이온 발생기에서 방출된 살균음이온에 의해 살균처리된 후, 배기환류부를 통해 청소로봇의 흡입구 선단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분사노즐부에 의해 청소면을 향하여 분사되어 청소면의 이물질을 비산 및 살균처리시킨 후, 구동모터에 의해 이물질과 함께 흡입되어 배기환류부로 순환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배기환류형 청소로봇의 배기환류부에 연결되도록 살균음이온 발생기를 설치하여, 배기환류부에 의해 흡입된 공기에 음이온을 함유시킨 후 이를 청소면으로 분사하여 재순환시킴으로써, 순환공기내 음이온 함유량을 지속적으로 증대시키고 이를 통한 청소로봇 내외부에 대한 살균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기환류의 강력한 순환공기력으로 살균 음이온을 방출하므로, 청소면에 대한 살균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카펫 등의 숨어 있는 진드기 부유물을 살균처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주거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기환류에 의한 이물질의 효율적 제거와 함께, 음이온에 의한 세균 살균 및 제거를 한번의 청소작업으로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순환공기의 분사력과 흡입모터의 흡입력에 의해 이중으로 이물질을 흡입 제거하도록 되어 있어, 소용량의 흡입모터 적용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소형경량화를 추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살균음이온이 함유된 순환공기가 분사노즐부에 의해 흡입구 선단에서 분사될 시, 에어커튼을 형성하도록 하여, 이물질의 청소로봇 외부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등 많은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저면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흡입모터(10)의 작동에 의해 흡입구를 통해 청소면의 이물질이 공기와 함께 흡입되고, 흡입된 이물질은 집진부(20)에 포집되며,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가 배기환류부(30)에 의해 청소면으로 분사되는 배기환류형 청소로봇(100)에 있어서;
상기 흡입모터(10)를 경유하여 배출되는 공기는 살균음이온 발생기(40)에서 방출된 살균음이온에 의해 살균처리된 후, 배기환류부(30)를 통해 청소로봇의 흡입구 선단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분사노즐부(50)에 의해 청소면(200)을 향하여 분사되어 청소면의 이물질을 비산 및 살균처리시킨 후, 흡입모터(10)에 의해 이물질과 함께 흡입되어 배기환류부(30)로 순환되도록 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은 흡입모터(10)에 의해 청소로봇(100)의 하부면에 설치된 흡입구(60)를 통해 청소면의 이물질이 공기와 함께 흡입되고, 흡입된 이물질은 집진부(20)에 포집되며,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는 흡입모터(10)를 경유하여 배기되는 청소로봇(100)에 있어서;
상기 청소로봇(100)은 흡입모터(10)를 경유하여 배기된 공기가 유입되도록 좌/우측 공기통로(31,32)를 구비하는 배기환류부(30)와, 상기 배기환류부의 좌측/우측 공기통로(31,32) 사이에 위치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살균음이온 발생기(40)와, 상기 배기환류부 좌/우측 공기통로(31,32)의 양측단이 연결되고 청소면(200)을 향하도록 청소로봇에 설치되는 분사노즐부(50)와, 상기 분사노즐부(50) 후단에 위치하도록 청소로봇(100)에 설치되는 흡입구(6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배기환류부(30)는 청소로봇(100) 내부에 설치되어 집진부(20)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배기를 분사노즐부(50)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집진부(20)에 연결설치되고 내부에 흡입모터(10)가 설치되는 하우징(33)과, 상기 하우징(33) 양측에 각각 일측단이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타측단이 분사노즐부(50)에 연결되는 좌측/우측 공기통로(31,32)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배기환류부(30)는 본 발명의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특허등록 제 0869822 호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다.
상기 살균음이온 발생기(40)는 배기환류부의 하우징과 좌측/우측 공기통로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좌측/우측 공기통로(31,32)내로 살균처리용 음이온을 방출한다.
즉, 상기 살균음이온 발생기(40)에서 방출된 살균 음이온은 집진기(20)에서 이물질이 제거되어 배출되는 배기를 살균함과 동시에, 배기의 순환에 의해 좌측/우 측 공기통로를 통해 이동되어 분사노즐부(50)에서 청소면으로 방출되게 된다.
상기 분사노즐부(50)는 배기환류부(30)를 통해 이송된 배기 및 살균음이온을 청소면에 고르게 분사시키는 것으로, 배기환류부의 좌측/우측 공기통로(31,32) 끝단에 청소바닥면을 향하도록 청소로봇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부(50)는 흡입구(60) 선단에 위치하도록 흡입부(90)에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흡입부(90)에는 청소로봇 진행방향(F)을 기준으로 분사노즐부(50)가 위치하고, 그 후단에 흡입구(60)가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흡입부(90)에는 흡입구(60) 후단에 배기 및 살균음이온의 배출시 확산을 방지하는 확산방지대(80) 및 흡입부(90)에 이동성을 부여하는 바퀴(70)가 더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청소패턴에 따라 청소로봇이 주행하며 청소를 할 경우,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먼지와 이물질 및 공기가 흡입구를 통해 집진부로 이동되고, 상기 이물질과 먼지는 집진부에 포집되며, 먼지가 제거된 공기는 구동모터가 설치된 배기환류부로 배출되며, 배기환류부내로 배출된 공기는 살균음이온 발생기에서 방출된 음이온에 의해 살균된 다음, 살균처리된 배기와 방출된 살균음이온은 분사노즐부에 의해 청소면으로 함께 분사된다.
이와 같이 배기 및 살균음이온이 청소면에 분사될 경우, 배기의 강력한 분사력에 의해 청소면에 붙어있는 이물질이 비산됨과 동시에, 방출되는 살균음이온에 의해 청소면 및 먼지가 살균처리되며, 이와 같이 비산 및 살균처리된 이물질과 먼지는 흡입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흡입구를 통해 다시 집진부로 이동되어 재순환되게 된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부를 통해 청소면에 분사된 음이온은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후, 살균음이온 발생기에서 방출되는 음이온과 함께, 청소면으로 재분사되므로, 살균처리능력이 증대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저면구성을 보인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흡입모터 (20) : 집진부
(30) : 배기환류부 (31) : 좌측 공기통로
(32) : 우측 공기통로 (33) : 하우징
(40) : 살균음이온 발생기 (50) : 분사노즐부
(60) : 흡입구 (70) : 바퀴
(80) : 확산방지대 (90) : 흡입부
(100) : 청소로봇 (200) : 청소면
Claims (2)
- 흡입모터(10)에 의해 청소로봇(100)의 하부면에 설치된 흡입구(60)를 통해 청소면의 이물질이 공기와 함께 흡입되고, 흡입된 이물질은 집진부(20)에 포집되며,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는 흡입모터(10)를 경유하여 배기되는 청소로봇(100)에 있어서;상기 청소로봇은 흡입모터(10)를 경유하여 배기된 공기가 유입되도록 흡입모터가 설치된 하우징 양측에 연통되어 설치된 좌측 공기통로(31) 및 우측 공기통로(32)를 구비하는 배기환류부(30)와,상기 배기환류부의 좌측 공기통로(31) 및 우측 공기통로(32) 사이에 위치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살균음이온 발생기(40)와,상기 배기환류부 좌측 공기통로(31) 및 우측 공기통로(32)의 양측단이 연결설치되고, 청소면(200)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분사노즐부(50)와,상기 분사노즐부(50) 후단에 위치하도록 청소로봇(100)에 설치되는 흡입구(60)와,상기 흡입구(60) 후단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배기 및 살균음이온의 배출시 확산을 방지하는 확산방지대(8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상기 흡입모터를 경유하여 배출되는 공기는 살균음이온 발생기에서 방출된 살균음이온과 함께 좌측 공기통로 및 우측 공기통로를 통해 분사노즐부에서 청소면을 향하여 분사되어 청소면의 이물질이 비산 및 살균처리되고,상기 비산된 이물질은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어 이물질은 집진부에 의해 포집되며, 청소면에 분사된 살균음이온은 흡입부를 통해 흡인된 후, 살균음이온 발생기에서 방출되는 음이온과 함께 좌측 공기통로 및 우측 공기통로를 통해 분사노즐부에서 청소면으로 재분사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음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배기환류형 청소로봇.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86654A KR101126701B1 (ko) | 2009-09-14 | 2009-09-14 | 살균음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배기환류형 청소로봇 |
EP10815581.3A EP2478814A4 (en) | 2009-09-14 | 2010-09-02 | ROBOTIC EXHAUST FEEDBACK CLEANING DEVICE WITH A GENERATOR FOR DISINFECTING ANIONS |
PCT/KR2010/005937 WO2011031036A2 (ko) | 2009-09-14 | 2010-09-02 | 살균음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배기환류형 청소로봇 |
US13/395,923 US20120227210A1 (en) | 2009-09-14 | 2010-09-02 | Exhaust air feedback robot cleaner equipped with a disinfectant anion gener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86654A KR101126701B1 (ko) | 2009-09-14 | 2009-09-14 | 살균음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배기환류형 청소로봇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28991A KR20110028991A (ko) | 2011-03-22 |
KR101126701B1 true KR101126701B1 (ko) | 2012-03-29 |
Family
ID=43732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86654A KR101126701B1 (ko) | 2009-09-14 | 2009-09-14 | 살균음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배기환류형 청소로봇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20120227210A1 (ko) |
EP (1) | EP2478814A4 (ko) |
KR (1) | KR101126701B1 (ko) |
WO (1) | WO2011031036A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50340B1 (ko) * | 2010-11-03 | 2017-06-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로봇 청소기 및 이의 제어 방법 |
KR101604798B1 (ko) * | 2014-08-21 | 2016-03-18 | 레이캅코리아 주식회사 | 배기열을 이용한 습기 제거 기능을 가지는 청소기 |
USD915015S1 (en) * | 2020-03-17 | 2021-03-30 | Hunan Grand-Pro Robot Tech Co., Ltd. | Disinfection robot |
DE102020212047B4 (de) * | 2020-09-24 | 2024-10-17 | BSH Hausgeräte GmbH | Reinigungsroboter für eine gepolsterte Fläche |
CN114681641A (zh) * | 2020-12-31 | 2022-07-01 | 同方威视技术股份有限公司 | 消杀装置、存储箱和消杀方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85040B1 (ko) * | 2003-07-29 | 2006-06-01 |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 음이온발생기를 구비한 로봇청소기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403252A (en) * | 1960-02-29 | 1968-09-24 | Westinghouse Electric Corp | Air processing apparatus and ion generator comprising an electromagnetic radiation source and a stable electron emitting photosensitive member |
JPH0724643B2 (ja) * | 1992-10-26 | 1995-03-22 | 東京コスモス電機株式会社 | 還流式掃除機及び吸引式掃除機 |
IT1308868B1 (it) | 1999-11-08 | 2002-01-11 | Mario Palazzetti | Aspirapolvere antipolvere. |
KR20010055314A (ko) * | 1999-12-10 | 2001-07-04 | 구자홍 | 배기 환류식 진공 청소기의 환류공기 유로구조 |
KR100628197B1 (ko) * | 2000-01-27 | 2006-09-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배기 환류식 업라이트 청소기 |
KR20030082040A (ko) * | 2002-04-16 | 2003-10-22 |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 로봇 청소기 |
GB2404331B (en) * | 2003-07-29 | 2005-06-29 | Samsung Gwanju Electronics Co | Robot cleaner equipped with negative-ion generator |
ATE537744T1 (de) * | 2007-02-15 | 2012-01-15 | Hanool Robotics Corp | Reinigungsroboter mit abluftrückführungsfunktion |
KR100869822B1 (ko) | 2007-02-15 | 2008-11-21 | 주식회사 한울로보틱스 | 배기환류형 청소로봇 |
DE202007016807U1 (de) * | 2007-11-29 | 2008-03-13 | Stellwag, Jürgen | Reinigungsvorrichtung |
-
2009
- 2009-09-14 KR KR1020090086654A patent/KR10112670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0
- 2010-09-02 US US13/395,923 patent/US20120227210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0-09-02 WO PCT/KR2010/005937 patent/WO2011031036A2/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0-09-02 EP EP10815581.3A patent/EP2478814A4/en not_active Withdraw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85040B1 (ko) * | 2003-07-29 | 2006-06-01 |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 음이온발생기를 구비한 로봇청소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478814A2 (en) | 2012-07-25 |
KR20110028991A (ko) | 2011-03-22 |
WO2011031036A3 (ko) | 2011-07-21 |
WO2011031036A2 (ko) | 2011-03-17 |
US20120227210A1 (en) | 2012-09-13 |
EP2478814A4 (en) | 2013-11-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26701B1 (ko) | 살균음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배기환류형 청소로봇 | |
KR101402477B1 (ko) | 바닥소독 기능을 갖는 로봇청소기 | |
KR101396212B1 (ko) | 초음파를 이용한 덕트청소 로봇 | |
JP2004136159A (ja) | ダクト内面洗浄システム | |
CN111973090A (zh) | 一种拖吸清洁机器人的集成站 | |
KR101058903B1 (ko) | 배기환류형 로봇청소기 | |
KR101615666B1 (ko) | 헬스케어 항균 로봇청소기 | |
CN203736119U (zh) | 清扫机器人 | |
KR20060067780A (ko) | 공기 블로우 기능이 있는 진공청소기 | |
CN111870185A (zh) | 一种自动扫地杀菌一体机 | |
KR100869822B1 (ko) | 배기환류형 청소로봇 | |
CN213495390U (zh) | 一种往复式计算机键盘自动清洁装置 | |
JPH03284227A (ja) | 電気掃除機 | |
KR20070115224A (ko) | 진공청소기 | |
JP5357941B2 (ja) | 掃除ロボット | |
CN114052589B (zh) | 移动式消毒灭菌车 | |
KR100635641B1 (ko) | 세척수가 비산되는 로봇 청소기 | |
TWI753508B (zh) | 移動式消毒滅菌車 | |
CN215441677U (zh) | 一种集扫地喷水吸尘一体式新型电动扫地车 | |
JP5307871B2 (ja) | 掃除ロボット | |
CN217066267U (zh) | 一种用于手术室的地面清洁装置 | |
CN213790711U (zh) | 一种翻车机除尘装置 | |
CN220327710U (zh) | 一种廊道消杀设备 | |
CN216876232U (zh) | 清洁装置 | |
KR20150005284A (ko) | 흡입구 막힘 방지 청소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2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