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5965B1 - 콘택트 및 전기커넥터 - Google Patents
콘택트 및 전기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05965B1 KR101105965B1 KR1020107013208A KR20107013208A KR101105965B1 KR 101105965 B1 KR101105965 B1 KR 101105965B1 KR 1020107013208 A KR1020107013208 A KR 1020107013208A KR 20107013208 A KR20107013208 A KR 20107013208A KR 101105965 B1 KR101105965 B1 KR 10110596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ct
- pair
- press
- portions
-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8—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terminals for insertion into holes
- H01R12/585—Terminals having a press fit or a compliant portion and a shank passing through a hole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01R13/41—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by frictional grip in grommet, panel or base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전기적 접속이 끊기기 어렵고 접촉 아암이 변위하는 범위가 확대된 콘택트 및 전기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커넥터 하우징에 취부되어 상대측 콘택트와 접촉하는 콘택트(1)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여 전방(F)으로 뻗고, 상대측 콘택트를 좌우방향 양측(LR)에서 끼우는 한 쌍의 접촉 아암(21, 22), 및 한 쌍의 접촉 아암을 지지하는 지지부(23)를 갖는 콘택트부(2)와, 콘택트부를 사이에 끼우는 좌우에 위치하고, 커넥터 하우징에 압입되는 한 쌍의 압입부(3, 4)와, 지지부의 좌우양측으로부터 각각 절곡되고, 일단 압입부보다도 전방으로 뻗은 후에 추가로 후방으로 뻗어 한 쌍의 압입부 각각에 이어진 탄성변형에 의해 콘택트부(2)를 좌우방향으로 변위를 자유롭게 지지하는 한 쌍의 용수철부(5, 6)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상대측 콘택트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결합하는 콘택트 및 전기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콘택트로서 종래부터 상대측 콘택트가 상대적으로 이동해도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대측 콘택트를 끼워 용수철부를 콘택트부에 갖는 프로팅 타입의 콘택트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도 9는 종래기술의 콘택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에 나타내는 종래기술의 콘택트(800)는 U자형 콘택트부(801)와, 회로기판에 접속되는 한 쌍의 각부(脚部:802)와, 콘택트부(801)에 설치된 한 쌍의 자유단(803)의 각각으로부터 중간 2개 영역에서 180°로 절곡되어 각부(802)까지 뻗는 한 쌍의 판모양의 용수철부(804)를 갖고 있다. 각부(802)는 회로기판에 납땜 접속되고, U자형 콘택트부(801)는 상대측 콘택트(미도시)를 끼워 전기적으로 결합한다.
콘택트(800)에서는 상대측 콘택트의 양측에 배치되는 2개의 자유단(803)이 각각의 용수철부(804)에 각각 직접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대측 콘택트에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지면 2개의 자유단(803)과 상대측 콘택트와의 사이에 순간적으로 간극이 발생하고, 전기적 접속이 끊어질 염려가 있다.
그리하여 한 쌍의 접촉 아암을 지지부에 의해 지지하고, 이 지지부를 한 쌍의 용수철부에 의해 변위를 자유롭게 지지하는 구조의 콘택트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참조).
도 10은 도 9와는 별개의 종래기술인 콘택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의 파트(A)는 콘택트(900)의 정면측을 대각선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며, 파트(B)는 배면측을 대각선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콘택트(900)는 서로 대향하여 전방으로 뻗은 한 쌍의 접촉 아암(902, 903)과, 접촉 아암(902, 903)을 지지하는 판모양의 지지부(904)와, 지지부의 대향방향인 좌우방향 양측으로부터 절곡되어 뻗은 한 쌍의 용수철부(905, 906)와, 용수철부(905, 906)의 선단에 설치된 압입편(908, 909)을 구비하고 있다. 콘택트(900)는 커넥터의 커버(미도시)에 압입편(908, 909)이 압입됨으로써 커버에 고정된다. 상대측 콘택트(미도시)를 끼우는 접촉 아암(902, 903)은 상대측 콘택트를 따라 지지부(904)마다 변위한다.
도 10에 나타내는 콘택트(900)에 있어서의 압입편(908, 909)은 접촉 아암(902, 903)이 지지부(904)로부터 뻗은 끝부분과 마찬가지로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게다가 압입편(908, 909)은 서로 대향하는 접촉 아암(902, 903)이 상대측 콘택트를 양측으로부터 끼우는 좌우방향에 있어서, 접촉 아암(902, 903)의 선단부와 나란히 하고 있다. 즉, 2개의 압입편(908, 909)은 접촉 아암(902, 903)의 선단부를 사이에 끼운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접촉 아암(902, 903)의 선단이 좌우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범위는 압입편(908, 909)의 사이의 범위(보다 엄밀하게는 콘택트(900)가 설치되는 커버의 압입편(908, 909)이 압입되는 부분의 살부분 만큼 더욱 좁아진 범위)로 제한된다. 이것은 반대로 말하면 접촉아암(902, 903)의 선단이 상대측 콘택트에 따라서 변위하는 범위를 압입편(908, 909)과의 간섭을 피하면서 확보하고자 하면, 2개의 압입편(908, 909)을 간극을 확장하여 배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콘택트를 복수 배열하여 배치하는 경우에, 콘택트끼리의 피치를 좁게 하여 배치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 전기적 접속이 끊어지기 어렵고 접촉 아암이 변위하는 범위가 확대된 콘택트, 및 전기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콘택트는
커넥터 하우징에 취부되고 상대측 콘택트와 접촉하는 콘택트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여 전방으로 뻗고, 상기 상대측 콘택트를 좌우방향 양측에서 끼우는 한 쌍의 접촉 아암 및 이 한 쌍의 접촉 아암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는 콘택트부와,
상기 콘택트부를 사이에 끼우는 좌우에 위치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압입되는 한 쌍의 압입부와,
상기 지지부의 좌우양측으로부터 각각 절곡되고 일단 상기 압입부보다도 전방으로 뻗은 후에 추가로 후방으로 뻗어 상기 한 쌍의 압입부 각각에 이어진 탄성변형에 의해 상기 콘택트부를 좌우방향으로 변위를 자유롭게 지지하는 한 쌍의 용수철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콘택트는 접촉 아암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용수철부에 의해 더욱 지지되어 있고, 용수철부가 전방으로 뻗은 접촉 아암을 지지하는 지지부로부터 전방으로 뻗은 후에 추가로 후방으로 뻗어 압입부에 이어진 구조이며, 접촉 아암의 선단과 압입부와의 간섭이 회피되기 때문에, 접촉 아암의 변위가 압입부에 의한 제한으로부터 해방된다. 따라서, 전기적 접속이 끊기기 어렵고 게다가 접촉 아암이 변위하는 범위가 확대된다.
여기서, 상기 본 발명의 콘택트에 있어서,
상기 압입부가 상하로 뻗은 것이며,
상기 한 쌍의 용수철부의 각각이
상기 지지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뻗은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의 끝에서 상기 콘택트부로부터 떨어지는 좌우 외측으로 절곡된 제1U자부와,
상기 제1U자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뻗고, 추가로 후방으로 꺽어져 하방을 향해 뻗은 제2U자부와,
상기 제2U자부의 하방을 향해 뻗은 하단과 상기 압입부의 하단을 잇는 이음부를 갖는 것으로,
상기 접촉 아암이 상기 지지부의 상기 한 쌍의 용수철부보다도 상방에 있어서의 상기 좌우방향 양측으로부터 절곡되어 뻗은 것임이 바람직하다.
용수철부의 각각이 제1U자부와 제2U자부를 가짐으로써, 압입부를 접촉아암의 선단보다도 후방에 배치하면서 용수철부의 길이를 확보하고, 용수철부의 탄성변형범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기커넥터는 상대측 콘택트와 접촉하는 콘택트와, 이 콘택트가 취부되는 하우징을 구비한 전기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가 서로 대향하여 전방으로 뻗고, 상기 상대측 콘택트를 좌우방향 양측단에서 끼우는 한 쌍의 접촉 아암과, 상기 한 쌍의 접촉 아암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는 콘택트부와,
상기 콘택트부를 사이에 끼우는 좌우에 배치하고, 상기 커넥터하우징에 압입되는 한 쌍의 압입부와,
상기 지지부의 좌우양측에서 각각 절곡하고, 일단 상기 압입부보다도 전방으로 뻗은 후에 추가로 후방으로 뻗어 상기 한 쌍의 압입부 각각에 이어진 탄성변형에 의해 상기 콘택트부를 좌우방향으로 변위를 자유롭게 지지하는 한 쌍의 용수철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기커넥터는 콘택트에 있어서의 접촉 아암의 변위가 압입부에 의한 제한으로부터 해방된다. 따라서, 전기적 접속이 끊기기 어렵고 게다가 접촉 아암이 변위하는 범위가 확대되거나 또는 콘택트를 보다 좁은 피치로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 발명의 전기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압입부가 상하로 뻗은 것이며,
상기 한 쌍의 용수철부의 각각이
상기 지지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뻗은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의 끝에서 상기 콘택트부로부터 떨어지는 좌우 외측으로 절곡된 제1U자부와,
상기 제1U자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뻗고, 추가로 후방으로 꺽어져 하방을 향해 뻗은 제2U자부와,
상기 제2U자부의 하방을 향해 뻗은 하단과 상기 압입부의 하단을 잇는 이음부를 갖는 것이며,
상기 접촉 아암이 상기 지지부의 상기 한 쌍의 용수철부보다도 상방에 있어서의 상기 좌우방향 양측으로부터 절곡되어 뻗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적 접속이 끊기기 어렵고 접촉 아암이 변위하는 범위가 확대된 콘택트 및 전기커넥터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인 콘택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인 콘택트의 투영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콘택트를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인 전기커넥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상대측 커넥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커버에 콘택트가 취부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콘택트가 취부된 상태에 있어서의 커넥터의 저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의 콘택트의 외관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종래기술의 콘택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와는 다른 종래기술의 콘택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인 콘택트의 투영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콘택트를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인 전기커넥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상대측 커넥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커버에 콘택트가 취부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콘택트가 취부된 상태에 있어서의 커넥터의 저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의 콘택트의 외관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종래기술의 콘택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와는 다른 종래기술의 콘택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콘택트 및 전기커넥터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인 콘택트의 외관도이다. 도 1의 파트(A)는 콘택트(1)의 상대측 콘택트를 수용하는 정면측을 대각선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1의 파트(B)는 배면측을 대각선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또한 도 2의 파트(A)는 콘택트(1)의 평면도이며, 파트(B)는 정면도이며, 파트(C)는 저면도이며, 파트(D)는 배면도이며, 파트(E)는 우측면도이다.
콘택트(1)는 예를 들면 프린트 회로기판의 도체 패턴에 납땜 접속됨과 함께, 후술하는 상대측 콘택트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결합하는 부품이며, 콘택트부(2)와 한 쌍의 압입부(3, 4)와, 한 쌍의 용수철부(5, 6)와 한 쌍의 기판접속부(7, 8)를 갖는다. 콘택트(1)는 금속판을 타발가공 및 절곡가공함으로써 제조된 것으로 콘택트부(2) 압입부(3, 4), 용수철부(5, 6) 및 기판접속부(7, 8)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콘택트부(2)는 서로 대향하여 뻗은 한 쌍의 접촉 아암(21, 22)과, 접촉 아암에 연결되어 접촉 아암을 지지하는 판모양의 지지부(23)를 갖는다. 접촉 아암(21, 22)은 지지부(23)의 접촉 아암(21, 22)이 대향하는 좌우방향(LR)에서의 양측으로부터 90°로 절곡되어 뻗어 있다. 여기서, 콘택트(1)에 있어서, 접촉 아암(21, 22)이 지지부(23)으로부터 뻗는 방향을 전방(F)으로 하고, 그 반대방향을 후방(B)으로 한다. 또한 접촉 아암(21, 22)이 서로 대향하는 방향을 우(R) 및 좌(L)로 하고, 접촉 아암(21, 22)이 서로 대향하는 좌우방향 LR을 대향 방향(LR)이라고도 칭한다. 또한 압입부(3, 4)가 뻗는 방향을 상방(U)으로 하고, 그 반대방향을 하방(D)으로 한다.
한 쌍의 접촉 아암(21, 22)은 지지부(23)의 좌우방향(LR)에서의 양측으로부터 절곡되어 전방으로 뻗어 있고, 접촉 아암(21, 22)의 선단에는 구면상의 접촉편(21a, 22a)이 설치되어 있다. 접촉 아암(21, 22)은 접촉편(21a, 22a)의 간극이 상대측 콘택트(331: 도 5참조)의 두께보다도 좁게 배치되어 있다. 판모양의 상대측 콘택트가 접촉 아암(21, 22)의 사이에 삽입되면, 접촉 아암(21, 22)이 탄성변형하여 접촉편(21a, 22a)의 간극이 넓어져 상대측 콘택트를 받아들임과 동시에 접촉편(21a, 22a)으로 상대측 콘택트를 좌우방향(LR)에서 양측부터 끼운다. 접촉편(21a, 22a)의 쌍방이 상대를 향해 구면상으로 팽창된 곡면을 가지므로, 접촉편(21a, 22a)의 사이에 끼워진 상대측 콘택트가 마모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접촉 아암(21, 22)은 지지부(23)의 좌우방향(LR)에서 양측으로부터 절곡되어 전방(F)으로 뻗어 있기 때문에 상대측 콘택트를 지지부(23)의 위치까지 후방(B) 즉, 내측에 받아들일 수 있다.
용수철부(5, 6)는 지지부(23)와 압입부(3, 4)를 잇고 있다. 구체적으로 용수철부(5, 6)는 지지부(23)의 좌우방향(LR) 양측으로부터 각각 절곡되어 일단 압입부(3, 4)보다도 전방(F)으로 뻗은 후에 추가로 후방(B)으로 뻗어 한 쌍의 압입부(3, 4) 각각에 연결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용수철부(5, 6)의 각각은 지지부(23)로부터 전방(F)를 향해 뻗은 제1연장부(5a, 6a)와, 제1연장부(5a, 6a)의 끝에서 콘택트부(2)로부터 떨어지는 좌우방향(LR) 외측에 절곡된 제1U자부(5b, 6b)와, 제1U자부(5b, 6b)로부터 상방을 향해 뻗고 추가로 후방(B)으로 꺽어져 하방(D)을 향해 뻗은 제2U자부(5c, 6c)와, 제2U자부(5c, 6c)의 하방(D)을 향해 뻗은 하단과 압입부(3, 4)의 하단을 잇는 이음부(5d, 6d)를 갖는다. 접촉 아암(21, 22)은 지지부(23)의 용수철부(5, 6)보다도 상방(U)에서 좌우방향(LR) 양측으로부터 절곡되어 전방(F)을 향해 뻗어 있다.
압입부(3, 4)는 이음부(5d, 6d)의 단에서 상방(U)을 향해 뻗어 있다. 압입부(3, 4)에는 압입 후의 빠짐방지를 위한 버브(3a, 4a)가 형성되어 있다. 콘택트(1)는 압입부(3, 4)가 후술하는 전기커넥터의 커버에 압입됨으로써, 그 커버에 고정된다. 콘택트부(2)는 압입부(3, 4)가 커버에 압입된 상태에서는 이 압입부(3, 4)에 이어지고 탄성변형하는 용수철부(5, 6)에 의해 좌우방향(LR)으로 변위가 자유롭게 지지된다. 도 2의 파트(A)에 의해 잘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이음부(5d, 6d)는 좌우방향(LR)의 외측으로 근소하게 꺽어져 있고, 압입부(3, 4)는 좌우방향(LR)에 있어서의 외측으로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나중에 설명하는 커버의 고정홈부(223: 도 6참조)의 두께부분이 조정된다.
기판접속부(7, 8)는 회로기판 등에 납땜접속되는 부분이며, 압입부(3, 4)의 하단에서 후방(B)으로 뻗어 있고, 선단이 90°로 절곡되어 있다.
콘택트(1)는 용수철부(5, 6)가 탄성변형함으로써 콘택트부(2)를 접촉 아암(21, 22)마다 좌우방향(LR)으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한다. 따라서 콘택트(1)가 접촉 아암(21, 22)으로 상대측 콘택트를 끼운 상태에 있어서, 상대측 콘택트가 외력에 의해 좌우방향(LR)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용수철부(5, 6)가 탄성변형하고, 접촉아암(21, 22)의 쌍방이 지지부(23)마다 상대측 콘택트의 이동에 추종하여 변위한다.
한편, 도 9에 나타내는 종래기술의 콘택트(800)에서는 상대측 콘택트의 양측에 배치되는 2개의 자유단(803)이 따로따로 용수철부(804)에 각각 직접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대측 콘택트에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지면 2개의 용수철부(804) 중의 일방의 움직임에 타방이 추종할 수 없고, 2개의 자유단(803)과 상대측 콘택트와의 사이에 순간적으로 간극이 생겨 전기적 접속이 끊어질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해 상술한 실시형태의 콘택트(1)에서는 한 쌍의 접촉 아암(21, 22)이 지지부(23)에 집중하여 이어지고, 한 쌍의 용수철부(5, 6)도 이 지지부(23)에 이어진 구조이다. 이 때문에 한 쌍의 접촉 아암(21, 22)은 용수철부(5, 6)에 지지된 지지부(23)마다 일체가 되어 이동한다. 따라서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도 접촉 아암(21, 22)이 상대측 콘택트를 끼운 상태가 유지되고, 전기적 접속이 끊어지기 어렵다. 또한 콘택트(1)는 용수철부(5, 6)가 압입부(3, 4)보다도 전방(F)으로 뻗은 후에 더욱 후방(B)으로 뻗어 압입부(3, 4) 각각에 이어진 구조를 갖고 있으므로, 압입부(3, 4)가 접촉 아암(21, 22)의 선단의 접촉편(21a, 22a)보다도 후방(B)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접촉 아암(21, 22)의 선단의 접촉편(21a, 22a)과 압입부(3, 4)의 간섭이 회피된다. 따라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입부가 접촉편과 나란히 전방에 배치된 종래의 구조에 비해 접촉 아암(21, 22)의 좌우방향(LR)으로 변위가능한 범위가 크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콘택트(1)는 접촉편(21a, 22a)이 구면상의 부푼 모양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상대측 콘택트를 사이에 끼운 상태에서의 접촉 아암(21, 22)의 선단의 좌우방향(LR)에서 단에서 단까지의 폭은 상대측 콘택트의 두께와 구면상의 접촉편(21a, 22a)의 부풀림 높이가 더해진 것이 된다. 이 접촉 아암(21, 22)의 선단이 상대측 콘택트에 따라서 변위하기 위해서는 상기 상대 커넥터의 두께 및 접촉편(21a, 22a)의 부풀림 높이에 접촉 아암(21, 22)의 선단의 변위폭을 더한 폭의 공간이 확보될 필요가 있다. 본 실시형태의 콘택트(1)는 압입부(3, 4)와 접촉 아암(21, 22)의 선단의 접촉편(21a, 22a)과의 간섭이 회피되고, 접촉편(21a, 22a)이 곡면을 갖고 있어도 변위를 위한 공간이 충분히 확보된다.
이어서 콘택트(1)를 제조하는 공정을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콘택트를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는 콘택트를 제조하는 공정이 파트(A)로부터 파트(C)까지 순서대로 나타나 있다.
콘택트(1)는 도전성 금속판을 타발가공 및 절곡가공함으로써 제조된다. 금속판으로서는 예를 들면 동합금과 같은 고탄성을 갖는 박판이 사용된다.
금속판으로부터의 타발가공 및 접촉편(21a, 22a)의 절곡가공에 의해 도 3의 파트(A)에 나타내는 콘택트 재료(100)가 얻어진다. 그리고 콘택트 재료(100)는 금속판으로부터 캐리어에 이어진 상태로 복수개 배열하여 타발되고, 캐리어에 이어진 상태로 도 3의 파트(A)로부터 파트(C)까지 나타내는 절곡이 실시되고, 마지막으로 떨어져 나간다. 도면에서는 캐리어는 생략되고, 1개의 콘택트에 대응하는 부분만 도시한다. 또한 파트(A)에 나타내는 콘택트재료의 접속편(23a, 23b)은 캐리어에 이어지며 최종단계에서 떨어져 나가는 부분이다.
우선 콘택트재료(100)를 선(a) 및 선(b)를 따라 90°로 절곡하여 접촉 아암(21, 22) 및 용수철부(5, 6)를 형성한다(파트(A)). 또한 필요에 따라 압입부(3, 4)의 취부 뿌리부분도 절곡한다.
다음으로 콘택트재료(100)를 범위(c) 및 범위(d)로 180°로 절곡하고, 제1U자부(5b, 6b)를 형성한다(파트(B)). 추가로 필요에 따라 기판접속부(7, 8)를 절곡한다. 또한 제2U자부(5c, 6c:도 1 참조)의 꺽어진 형상은 금속판부터 타발된 형상으로 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콘택트(1)가 완성된다.
도 1에 나타내는 콘택트(1)에 있어서, 접촉 아암(21, 22)이 상대측 콘택트를 좌우방향(LR) 양측으로부터 끼우는 구조 및 용수철부(5, 6)의 전방을 향해 뻗은 제1연장부(5a, 6a)의 구조는 도 3에 나타내는 콘택트 재료를 선(a) 및 선(b)를 따라 1회씩 90°로 절곡함으로써 얻어진다. 또한 좌우 외측으로 절곡된 제1U자부(5b, 6b)의 형상은 콘택트재료를 범위(c) 및 범위(d)에서 1회씩 180°로 절곡함으로써 얻어진다. 이와 같이 콘택트(1)는 제조 중에 있어서 180°의 절곡이 좌우 1회씩으로 해결되므로 도 9에 나타내는 종래기술의 콘택트(800)에 비해 제조가 용이하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인 전기커넥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의 파트(A)는 전기커넥터(200: 이하 전기커넥터를 단순히 커넥터라 한다)를 상대커넥터가 접속되는 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며, 파트(B)는 커넥터(200)를 파트(A)와는 반대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상대측 커넥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커넥터(200)는 도 5의 상대측 커넥터(300)가 접속되는 부품이며, 제1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콘택트(1) 3개와, 콘택트(1)를 둘러싸 보호하는 돔형의 커버(220)를 갖고 있다. 커넥터(200)는 예를 들면, 휴대전화기의 내부에 취부되는 박형전지 유니트에 사용되는 것으로 박형전지 유니트 내의 회로기판에 납땜 접속되고, 휴대전화기에 설치된 상대측 커넥터(도 5 참조)에 결합하는 커넥터로서 사용된다. 커버(220)는 전지 유니트의 파우치(筐體)의 일부가 된다. 커버(220)가 본 발명에서 말하는 커넥터 하우징의 일예에 상당한다. 도 4의 파트(B)에는 회로기판이 제거된 상태의 전기커넥터의 저면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5에 나타내는 상대측 커넥터(300)는 서로 대략 평행하게 배치된 금속재료로 이루어지는 3개의 판상의 상대측 커넥터(331)와, 이 상대측 콘택트(331)를 고정하는 절연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고정부재(302)를 갖고 있다.
도 4로 되돌아 가면, 커버(220)에는 3개의 콘택트 수용실(221)이 설치되어 있고, 각각의 콘택트 수용실(221)마다 창(22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커버(220)의 창(222)를 통해 상대측 커넥터(300)의 콘택트(331)가 콘택트(1)와 전기적으로 결합한다.
도 6은 커버에 콘택트가 취부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콘택트가 취부된 상태에서의 커넥터의 저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보다 잘 나타낸 바와 같이, 콘택트 수용실(221)을 구획하는 벽에는 고정홈부(223)가 형성되어 있다. 콘택트(1)가 콘택트 수용실(221)에 수용되는 때에 압입부(3, 4)가 고정홈부(223)에 압입된다.
콘택트(1)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압입부(3, 4)가 접촉 아암(21, 22)의 선단의 접촉편(21a, 22a)보다도 후방(B)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압입부가 접촉편과 나란히 전방에 배치된 종래의 구조에 비해 접촉 아암이 좌우방향(LR)에 변위가능한 범위가 크다. 또한 변위 가능한 범위를 종래의 구조와 같은 정도로 유지하는 경우에는 한 쌍의 압입부의 간격을 좁게 함으로써 3개의 콘택트(1)를 커넥터(200)에 간격을 좁게 하여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콘택트의 좁은 피치화에 의해 커넥터나 커넥터가 취부되는 부품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1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콘택트(1)는 용수철부(5, 6)의 이음부(5d, 6d)가 압입부(3, 4)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고, 압입부(3, 4)가 상방(U)을 향해 뻗은 구조를 갖고 있으나, 여기서 용수철부의 형상이나 압입부의 방향이 제1실시형태와는 다른 제3실시형태의 콘택트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제3실시형태의 설명에 있어서는 지금까지 설명해온 제1실시형태에서의 각 요소와 동일한 요소에 대해 동일부호를 붙여 나타내고, 제1실시형태와의 상이점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의 콘택트의 외관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콘택트(400)는 용수철부, 압입부, 및 기판접속부의 형상이 제1실시형태의 콘택트(1)와 다르다. 도 8에 나타내는 콘택트(400)의 압입부(403)는 하방(D)을 향해 뻗어 있고, 용수철부(405)는 압입부(403)의 상단으로 이어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콘택트(400)의 용수철부(405)는 제1연장부(405a)에 계속되는 제1U자부(405b)로부터 상방(U)을 향해 뻗고, 나아가 후방(B)으로 꺽어져 뻗지만, 하방(D)을 향하지 않고, 그대로 후방(B)으로 뻗어 압입부(403)로 이어진 형상을 갖는다. 또한 도 8에는 콘택트(400)의 좌측면이 도시되어 있으나 콘택트(400)의 형상은 좌우대칭이며, 도 8에 나타내는 측과 반대측의 용수철부, 압입부, 및 기판접속부도 도 8에 나타낸 형상과 마찬가지이다.
도 8에 나타내는 콘택트(400)도 제1실시형태의 콘택트(1)와 마찬가지로 압입부(403)가 접촉 아암의 선단보다도 후방(B)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접촉 아암의 좌우방향으로 변위가능한 범위가 크다.
또한 상술한 제1실시형태의 콘택트(1)에 있어서는 선(a, b) 및 범위(c, d)이외에 압입부(3, 4)의 취부 뿌리부분이나 기판접속부(7, 8)도 절곡가공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콘택트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회로기판이나 커버의 레이아웃을 위한 부가적인 절곡가공을 생략한 것이어도 좋다. 또한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 콘택트(1)의 수는 3개이지만 4개 또는 5개 등의 3 이외의 수라도 좋다.
1, 400 콘택트
2 콘택트부
3, 4 압입부
5, 6 용수철부
5a, 6a 제1연장부
5b, 6b 제1U자부
5c, 6c 제2U자부
5d, 6d 이음부
7, 8 기판접속부
21, 22 접촉아암
23 지지부
200 전기커넥터
220 커버
221 콘택트 수용실
2 콘택트부
3, 4 압입부
5, 6 용수철부
5a, 6a 제1연장부
5b, 6b 제1U자부
5c, 6c 제2U자부
5d, 6d 이음부
7, 8 기판접속부
21, 22 접촉아암
23 지지부
200 전기커넥터
220 커버
221 콘택트 수용실
Claims (4)
- 커넥터 하우징에 취부되어 상대측 콘택트와 접촉하는 콘택트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여 전방으로 뻗고, 상기 상대측 콘택트를 좌우방향 양측에서 끼우는 한 쌍의 접촉 아암, 및 상기 한 쌍의 접촉 아암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는 콘택트부와,
상기 콘택트부의 좌우방향 양측에 위치하여 상기 콘택트부를 사이에 끼우며,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압입되는 한 쌍의 압입부와,
상기 지지부의 좌우양측으로부터 각각 절곡되고, 일단 상기 압입부보다도 전방으로 뻗은 후에 추가로 후방으로 뻗어 상기 한 쌍의 압입부 각각에 이어진 탄성변형에 의해 상기 콘택트부의 좌우방향 변위를 자유롭게 지지하는 한 쌍의 용수철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입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한 쌍의 용수철부 각각은,
상기 지지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뻗은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의 끝에서 외측으로 절곡되는 제1 U자부와,
상기 제1 U자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뻗고, 추가로 후방으로 꺽어져 하방을 향해 뻗는 제2 U자부와,
상기 제2 U자부의 하방을 향해 뻗은 하단과 상기 압입부의 하단을 잇는 이음부를 구비하며,
상기 접촉 아암은 상기 한 쌍의 용수철부 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 상대측 콘택트와 접촉하는 콘택트 및 상기 콘택트가 취부되는 하우징을 구비한 전기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는,
청구항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콘택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9-117958 | 2009-05-14 | ||
JP2009117958A JP4576469B1 (ja) | 2009-05-14 | 2009-05-14 | コンタクトおよび電気コネクタ |
PCT/JP2010/056664 WO2010131543A1 (ja) | 2009-05-14 | 2010-04-14 | コンタクトおよび電気コネクタ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05676A KR20110005676A (ko) | 2011-01-18 |
KR101105965B1 true KR101105965B1 (ko) | 2012-01-17 |
Family
ID=43084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7013208A KR101105965B1 (ko) | 2009-05-14 | 2010-04-14 | 콘택트 및 전기커넥터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8057247B2 (ko) |
JP (1) | JP4576469B1 (ko) |
KR (1) | KR101105965B1 (ko) |
CN (1) | CN101983458B (ko) |
TW (1) | TWM393822U (ko) |
WO (1) | WO201013154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501143B2 (ja) * | 2010-07-30 | 2014-05-21 |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 コンタクトおよび電気コネクタ |
JP5786515B2 (ja) * | 2011-07-20 | 2015-09-30 | Smk株式会社 | コネクタ及びこのコネクタの組み立て方法 |
JP2013030434A (ja) * | 2011-07-29 | 2013-02-07 | Yamaichi Electronics Co Ltd | 電気コネクタ |
WO2013037966A1 (en) * | 2011-09-16 | 2013-03-21 | Fci | Hingeable connector assembly |
JP5254473B1 (ja) * | 2012-01-24 | 2013-08-07 |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 電気接続用端子及びこれを用いたコネクタ |
DE102013101411B4 (de) * | 2013-02-13 | 2018-03-22 |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 Federkraftklemmanschluss und Leiteranschlussklemme |
DE102013110476A1 (de) * | 2013-09-23 | 2015-03-26 | Phoenix Contact Gmbh & Co. Kg | Kabelschuheinrichtung mit Strombalken sowie Anschlussklemme |
DE102014102555B4 (de) * | 2014-02-27 | 2016-03-03 |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 Elektrische Einrichtung mit Pendelkontakt |
US11855375B2 (en) | 2020-08-31 | 2023-12-26 |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 Power conversion device and component interconnection structur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19296A (ja) * | 2004-06-30 | 2006-01-19 | Tyco Electronics Nederland Bv | 電子部品用コネクタ |
JP2008098052A (ja) * | 2006-10-13 | 2008-04-24 | Tyco Electronics Amp Kk | コンタクトおよび電気コネクタ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614768B2 (ja) * | 2000-10-20 | 2005-01-26 |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 バッテリコネクタ |
JP2003323931A (ja) | 2002-04-30 | 2003-11-14 | Mitsumi Electric Co Ltd | バッテリーコネクタ用コンタクトピンおよび前記コンタクトピンを備えたバッテリーコネクタ |
US7556515B2 (en) * | 2006-12-15 | 2009-07-07 |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 Connector improved in handlability of a connection object and backlight assembly using the connector |
JP4230513B2 (ja) * | 2006-12-15 | 2009-02-25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及びバックライト組立体 |
CN201041848Y (zh) * | 2007-03-16 | 2008-03-26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电连接器端子 |
JP4889118B2 (ja) * | 2007-06-07 | 2012-03-07 | 株式会社ヨコオ | 電気コネクタ |
EP2048746B1 (en) * | 2007-08-13 | 2016-10-05 | Tyco Electronics Nederland B.V. | Busbar connection system |
-
2009
- 2009-05-14 JP JP2009117958A patent/JP4576469B1/ja active Active
-
2010
- 2010-04-13 TW TW099206615U patent/TWM393822U/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0-04-14 WO PCT/JP2010/056664 patent/WO2010131543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0-04-14 KR KR1020107013208A patent/KR10110596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0-04-14 CN CN201080001013.0A patent/CN101983458B/zh active Active
- 2010-10-28 US US12/913,876 patent/US8057247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19296A (ja) * | 2004-06-30 | 2006-01-19 | Tyco Electronics Nederland Bv | 電子部品用コネクタ |
JP2008098052A (ja) * | 2006-10-13 | 2008-04-24 | Tyco Electronics Amp Kk | コンタクトおよび電気コネクタ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0267496A (ja) | 2010-11-25 |
TWM393822U (en) | 2010-12-01 |
WO2010131543A1 (ja) | 2010-11-18 |
CN101983458B (zh) | 2013-09-04 |
JP4576469B1 (ja) | 2010-11-10 |
US20110039456A1 (en) | 2011-02-17 |
CN101983458A (zh) | 2011-03-02 |
US8057247B2 (en) | 2011-11-15 |
KR20110005676A (ko) | 2011-01-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05965B1 (ko) | 콘택트 및 전기커넥터 | |
JP4951306B2 (ja) | コンタクトおよび電気コネクタ | |
JP5603790B2 (ja) | フローティング型コネクタ | |
JP6198712B2 (ja) |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 |
JP5501143B2 (ja) | コンタクトおよび電気コネクタ | |
JP6463410B2 (ja) | 可動コネクタ | |
JP6325720B1 (ja) | 多接点コネクタ | |
EP1988608A1 (en) | Connector | |
JP4220446B2 (ja) | スイッチ付き同軸コネクタ | |
EP3796480B1 (en) | Floating connector | |
JP2006059646A (ja) | 基板内蔵型コネクタ及びその組立方法 | |
JP5074179B2 (ja) | コンタクト部材及び電気コネクタ | |
JP2011076745A (ja) | コンタクト及びコネクタ | |
CN114514657A (zh) | 连接器及连接器组件 | |
KR101307483B1 (ko) | 커넥터 | |
US7544098B2 (en) | Connector having a stopper mechanism defining a movable range of a housing receiving a connection object | |
WO2018221094A1 (ja) | コネクタ | |
WO2024019021A1 (ja) | コネクタ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 |
WO2023286664A1 (ja) |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 |
WO2023140172A1 (ja) |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 |
WO2024154678A1 (ja) |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 |
JP4506712B2 (ja) | コネクタ | |
JP2005108765A (ja) | コネクタ | |
JP2009187899A (ja) | スイッチ付きコネク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