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5841B1 - 휴대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휴대 전자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05841B1 KR101105841B1 KR1020100025472A KR20100025472A KR101105841B1 KR 101105841 B1 KR101105841 B1 KR 101105841B1 KR 1020100025472 A KR1020100025472 A KR 1020100025472A KR 20100025472 A KR20100025472 A KR 20100025472A KR 101105841 B1 KR101105841 B1 KR 10110584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unit
- support unit
- state
-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전자기기는,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되는 전면를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가 바닥과 경사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모듈은 상기 본체의 후면에 장착되며 상기 본체의 후면을 덮도록 배치되는 제1 상태와 일단이 상기 본체의 후면과 이격되는 제2 상태 사이에서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도록 이루어지는 지지유닛과, 상기 본체와 상기 지지유닛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유닛의 회전을 가이드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유닛, 및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상기 지지유닛이 상기 제1 상태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상기 지지유닛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형성되는 탄성유닛을 포함하는 휴대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바닥과 특정 각도를 이루도록 거치될 수 있는 휴대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자기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전자기기이다.
휴대 전자기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휴대 전자기기의 휴대성을 고려하다 보면 휴대 전자기기를 테이블 등에 거치하기가 어려워지는 제한이 따르게 된다. 따라서, 휴대 전자기기를 보다 용이하게 거치하기 위한 장치가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 각도 범위내에서 보다 용이하게 거치될 수 있는 휴대 전자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모듈의 상태가 자동으로 가변되는 휴대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휴대 전자기기는,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되는 전면를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가 바닥과 경사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모듈은 상기 본체의 후면에 장착되며 상기 본체의 후면을 덮도록 배치되는 제1 상태와 일단이 상기 본체의 후면과 이격되는 제2 상태 사이에서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도록 이루어지는 지지유닛과, 상기 본체와 상기 지지유닛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유닛의 회전을 가이드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유닛, 및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상기 지지유닛이 상기 제1 상태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상기 지지유닛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형성되는 탄성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본체의 측면과 상기 지지유닛의 일단이 각각 상기 바닥과 접촉되는 상태에서 상기 지지유닛의 일단과 상기 바닥과의 접촉이 해제되면,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탄성유닛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1 상태로 복원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로서, 상기 지지유닛의 일단은 자유단을 이루고, 타단은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휴대 전자기기는 제1 마찰력 강화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마찰력 강화부는 상기 지지유닛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유닛의 일단이 상기 바닥에 접촉되면 상기 바닥에 접촉되는 부분의 마찰력을 강화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마찰력 강화부는 상기 지지유닛보다 마찰계수가 큰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 마찰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로서, 상기 가이드유닛의 일단은 상기 본체의 후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타단은 상기 지지유닛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한다. 상기 지지유닛에는 상기 지지유닛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유닛의 타단은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로서, 휴대 전자기기는 제2 마찰력 강화부를 포함한다. 제2 마찰력 강화부는 상기 본체의 측면이 상기 바닥과 접촉되는 부분의 마찰력을 강화하도록 상기 본체의 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제2 마찰력 강화부는 제2 마찰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마찰유닛은 상기 본체의 측면에 장착되며, 상기 본체의 케이스보다 마찰계수가 큰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마찰유닛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측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마찰유닛이 장착되는 상기 본체의 측면은 상기 본체의 후면과 둔각을 이루도록 경사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로서, 상기 지지모듈은 회전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유닛은 상기 본체에 상기 본체의 후면과 수직인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회전유닛에는 상기 지지유닛이 상기 제1 축과 수직인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한다. 상기 회전유닛은 원형부 및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원형부는 상기 제1 축을 중심으로 원형으로 형성되며, 연장부는 상기 원형부로부터 상기 본체의 후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연장부에는 상기 가이드유닛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로서, 상기 본체의 후면에는 상기 지지유닛이 수용되도록 상기 본체의 후면에서 리세스되는 수용부가 형성된다.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지지유닛과 결합되는 회전유닛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회전유닛의 회전 평면과 수직인 평면상에서 회전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회전유닛은 상기 지지유닛의 일단이 상기 본체의 측면과 평행한 상태와 상기 측면과 수직인 측면과 평행한 상태 사이의 회전 범위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로서, 휴대 전자기기는 확장모듈을 포함한다. 확장모듈은 상기 본체와 데이터 또는 전원을 교환하도록 이루어지며, 확장모듈의 전면에는 상기 본체가 장착되고, 후면에는 상기 지지모듈이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 전자기기가 장착되며 전면이 상기 휴대 전자기기에 의하여 덮혀지고 상기 휴대 전자기기와 데이터 또는 전원을 교환하도록 이루어지는 확장본체, 및 상기 확장본체가 바닥과 경사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확장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모듈은, 상기 확장본체의 후면에 장착되며 상기 확장본체의 후면을 덮도록 배치되는 제1 상태와 일단이 상기 확장본체의 후면과 이격되는 제2 상태 사이에서 상기 확장본체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도록 이루어지는 지지유닛과, 상기 확장본체와 상기 지지유닛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유닛의 회전을 가이드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유닛, 및 상기 확장본체에 장착되며 상기 지지유닛이 상기 제1 상태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상기 지지유닛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형성되는 탄성유닛을 포함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확장모듈을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전자기기는 마찰력과 탄성력을 이용하여 본체가 거치됨에 따라, 본체가 바닥에 대하여 특정 각도 범위내에서 자유로이 고정될 수 있는 지지 또는 거치 메커니즘을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유닛이 지지유닛을 복원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함에 따라 거치가 해제되면, 지지유닛이 자동으로 수납되는 휴대 전자기기를 구현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전자기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 전자기기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휴대 전자기기에서 지지유닛이 전자기기 바디를 지지하도록 회전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휴대 전자기기의 측면도.
도 5a 및 5b는 도 3의 휴대 전자기기에서 지지모듈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들.
도 6은 도 3의 지지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7는 도 3의 회전 유닛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8은 도 3의 수용부의 변형례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한 휴대 전자기기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 전자기기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휴대 전자기기에서 지지유닛이 전자기기 바디를 지지하도록 회전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휴대 전자기기의 측면도.
도 5a 및 5b는 도 3의 휴대 전자기기에서 지지모듈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들.
도 6은 도 3의 지지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7는 도 3의 회전 유닛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8은 도 3의 수용부의 변형례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한 휴대 전자기기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전자기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휴대 전자기기에는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렛 PC,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전자기기(100)의 사시도이다. 도 1은 휴대 전자기기의 일예로서 태블렛 PC를 나타내고 있다.
개시된 휴대 전자기기(100)는 하나의 바디(110, 또는 본체)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휴대 전자기기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휴대 전자기기(10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전자기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11)에는 디스플레이부(113), 음향출력 모듈(114), 카메라(115), 사용자 입력부(116)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3)는 프론트 케이스(11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프론트 케이스(111)의 주면은 전자기기 바디의 전면이라 칭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3)는 시각 정보 또는 영상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3)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터치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스크린으로서 동작한다.
디스플레이부(113)에는 다양한 종류의 시각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들 정보들은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등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상기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일정한 배열을 이루어 표시됨으로써 키패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키패드는 소위 '소프트키'라 불릴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3)는 전체 영역으로 작동되거나, 복수의 영역들로 나뉘어져 작동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복수의 영역들은 서로 연관되게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16)는 휴대 전자기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16a, 116b)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16a, 116b)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16a, 116b)은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복수의 조작 유닛들(116a, 116b)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16a)은 시작, 종료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16b)은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또는 음향 출력 모듈(114)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도록 형성된다.
디스플레이부(113)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 출력 모듈(114)와 카메라(115)가 배치된다. 상기 음향 출력 모듈(114)은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카메라(115)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전자기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바디의 내부에는 디스플레이부(113) 및 사용자 입력부(116)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가 배치된다. 제어 장치는 인쇄회로기판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 전자기기(100)의 후면 사시도이다.
휴대 전자기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 모듈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 모듈은 프론트 케이스의 음향 출력 모듈(114, 도 1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휴대 전자기기 바디의 측면에는 무선통신 또는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는 휴대 전자기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휴대 전자기기 바디에는 마이크(117), 연결 포트(118)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에서 음향 출력 모듈(114)이 배치되는 일단부와 다른 단부로부터 인접한 영역에는 마이크(117)가 배치된다.
프론트 케이스(111) 및 리어 케이스(112)의 측면들에는 연결 포트(118)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연결 포트(118)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전자기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전자기기(2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 포트(118)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휴대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연결 포트(118)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전자기기 바디에는 휴대 전자기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는 내장형 배터리로서 바디의 내부에 내장된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전자기기 바디에는 상기 바디가 바닥(BT, 도 5A 참조)과 경사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바디를 지지하는 지지모듈(120)이 장착된다. 여기서 바닥(BT)은, 예를 들어 책상, 테이블, 앉아있는 사람의 허벅지 등 휴대 전자기기가 놓일 수 있는 부분을 의미한다.
도 3은 도 2의 휴대 전자기기(100)에서 지지유닛(121)이 전자기기 바디(110)를 지지하도록 회전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휴대 전자기기의 측면도이고, 도 5A 및 5B는 도 3의 휴대 전자기기에서 지지모듈(120)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들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지지모듈(120)은 지지유닛(121), 탄성유닛(122) 및 가이드유닛(123)을 포함한다.
지지유닛(121)은 전자기기 바디(110)의 후면에 장착되며, 상기 바디(110)의 후면을 덮도록 배치되는 제1 상태(도 2에 도시된 상태)와 일단이 상기 바디(110)의 후면과 이격되는 제2 상태(도 3에 도시된 상태) 사이에서 상기 바디(110)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도록 이루어진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기기 바디(110)의 후면은 리어 케이스(112)의 외면이 될 수 있으며, 지지유닛(121)은 바 형태로 이루어진다.
탄성유닛(122)는 전자기기 바디(110)에 장착되며, 지지유닛(121)이 상기 제1 상태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지지유닛(121)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탄성유닛(122)은 지지유닛(121)이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회전되면, 지지유닛(121)을 제1 상태로 복원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도록 변형된다. 이러한 예로서, 탄성유닛(122)은 양단이 지지유닛(121) 측과 전자기기 바디(110)의 후면 측에 각각 연결되는 코일 스프링이 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전자기기 바디(110)의 측면과 지지유닛(121)의 일단이 각각 바닥(BT)과 접촉되는 상태에서 지지유닛(121)은 전자기기 바디의 후면을 지지하게 된다. 이 때에, 전자기기 바디(110)의 측면과 지지유닛(121)의 일단은 전자기기의 자중에 의하여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을 받게 된다. 상기 힘이 탄성유닛(122)의 탄성력과 바닥(BT)과의 마찰력의 합력과 평형을 이루면 전자기기(100)는 바닥(BT)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거치될 수 있다(이하, 거치 상태라 칭한다).
도 5B를 참조하면, 거치 상태에서 지지유닛(121)의 일단과 바닥(BT)과의 접촉이 해제되면, 지지유닛(121)은 탄성유닛(122)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1 상태로 복원된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지지유닛(121) 또는 지지모듈(120)이 차지하는 부피가 보다 감소된 형태로 휴대 전자기기를 휴대할 수 있게 된다.
도 3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가이드유닛(123)은 전자기기 바디(110)와 지지유닛(121)의 사이에 배치되어 지지유닛(121)의 회전을 가이드하도록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이드유닛(123)의 일단은 상기 바디(110)의 후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타단은 지지유닛(121)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한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지지모듈(120)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도 3의 지지모듈(12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는 도 3의 회전 유닛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시에 의하면, 지지유닛(121)의 일단은 자유단을 이루고, 타단은 전자기기 바디(11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지유닛(121)은 회전유닛(130)에 장착된다.
회전유닛(130)은 전자기기 바디(110)에 상기 바디(110)의 후면과 수직인 제1 축(S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다. 회전유닛(130)는 원형부(131) 및 연장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원형부(131)는 상기 제1 축을 중심으로 원형으로 형성되며, 피봇유닛(133)을 이용하여 전자기기 바디(110)의 피봇체결부(119)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된다. 원형부(131)의 외주에는 반경방향으로 삽입홀(131a)이 형성되며, 지지유닛(121)의 단부에는 상기 삽입홀(131a)에 삽입되도록 돌기(121a)가 구비된다. 즉, 돌기(121a)가 삽입홀(131a)에 끼워지며, 지지유닛(121)은 돌기(121a)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지지유닛(121)은 상기 제1 축과 수직인 제2 축(S2, 돌기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유닛(13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지지유닛(121)은 회전유닛(130)의 회전 평면과 수직인 평면상에서 회전하도록 형성되며, 회전유닛(130)은 특정 회전 범위내에서 회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 범위는, 예를 들어 지지유닛(121)의 일단이 전자기기 바디(110)의 측면과 평행한 상태와 지지유닛(121)의 일단이 상기 측면과 수직인 측면과 평행한 상태 사이가 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휴대 전자기기는 길이 방향 또는 가로 방향으로 각각 거치될 수 있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전자기기 바디(110)의 후면에는 수용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140)는 지지유닛(121)이 수용되도록 상기 바디(110)의 후면에서 리세스된다. 도시에 의하면, 수용부(140)는 회전유닛(130) 및 지지유닛(121)이 함께 수용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수용부(140)에는 회전유닛(130)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용부(140)는 회전유닛(130)의 원형부(131)에 대응하는 원형영역(141)과 원형역역에서 일측으로 연장되어 회전유닛(130)의 연장부(132) 및 지지유닛(121)을 수용하는 연장영역(14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지지모듈(120)이 전자기기 바디(110)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게 되며, 전자기기의 휴대가 보다 간편해질 수 있다.
연장부(132)는 원형부(131)로부터 바디(110)의 후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연장부(132)에는 가이드유닛(123)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한다.
가이드유닛(123)은 바 형태로 이루어지며, 양단에 각각 힌지축들(123a, 123b)이 형성될 수 있다. 힌지축들(123a, 123b) 중 어느 하나(123a)는 연장부(132)와 힌지 결합하고, 이를 위하여 연장부(132)에는 힌지홀(132a)이 형성될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지지유닛(121)에는 상기 지지유닛(121)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홈(124)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유닛(123)의 단부는 상기 가이드 홈(124)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장부(132)와 결합하는 가이드유닛(123)의 일단과 반대측의 단부에는 힌지축(123b)이 형성되고, 가이드 홈(124)의 양 측면은 힌지축(123b)을 수용하도록 이루어진다.
탄성유닛(122)은 일단이 회전유닛(130)에 연결되고, 타단이 지지유닛(121)에 결합되어 지지유닛(121)에 탄성력을 부가한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탄성유닛(122)은 지지유닛의 회전에 의하여 감기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도록 배치되는 토션 스프링 등이 될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지지유닛(121)의 일단에는 제1 마찰력 강화부(151)가 형성된다. 제1 마찰력 강화부(151)는 지지유닛(121)의 일단이 바닥(BT, 도 5A 참조)에 접촉되면 상기 바닥(BT)에 접촉되는 부분의 마찰력을 강화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제1 마찰력 강화부(151)는 지지유닛(121)보다 마찰계수가 큰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 마찰유닛(151a, 15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마찰유닛(151a, 151b)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러버 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유닛(121)의 단부에는 제1 마찰유닛(151a, 151b)이 장착되는 장착홈(152)이 형성되며, 제1 마찰유닛(151a, 151b)은 장착홈(152)에 끼워맞춤된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마찰력 강화부(151)는 마찰력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표면을 거칠게 하거나, 돌기가 구비되는 등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제1 마찰력 강화부(151)와 함께 바닥에 접촉되는 부분의 마찰력을 강화시키도록 제2 마찰력 강화부(153)가 구비될 수 있다. 이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으며, 제2 마찰력 강화부(153)는 전자기기 바디(110)의 측면이 바닥과 접촉되는 부분의 마찰력을 강화하도록 바디(110)의 측면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2 마찰력 강화부(153)는 바디(110)의 측면에 장착되며, 바디(110)의 케이스(111, 112)보다 마찰계수가 큰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2 마찰유닛(153a, 153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마찰유닛(153a, 153b)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바디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러버 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마찰유닛(153a, 153b)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측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마찰유닛(153a, 153b)이 장착되는 바디(110)의 측면은 바디(110)의 후면과 둔각(A2)을 이루도록 경사진다. 또한, 바디(110)의 측면은 바디(110)의 일 단면에 대하여 예각(A1)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전자기기가 바닥(BT, 도 5A 참조)과 경사되도록 거치될 때, 제2 마찰유닛(153a, 153b)과 바닥(BT)이 접촉되는 면적이 보다 넓어질 수 있다.
도 8은 도 3의 수용부의 변형례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수용부(240)는 회전유닛(230)의 원형부(231)에 대응하는 원형영역(241)과 원형영역(241)에서 서로 수직하는 양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연장영역들(242a, 242b)을 포함할 수 있다.
연장영역들(242a, 242b)은 각각 회전유닛(230)의 연장부(232) 및 지지유닛(221)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며, 이를 통하여, 지지모듈(220)은 전자기기 바디(210)의 후면에 복수의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즉, 휴대 전자기기가 길이 방향으로 거치 중이든 또는 폭 방향으로 거치 중이든 관계없이, 바닥과 지지유닛(221)의 접촉이 해제되면 지지모듈(220)은 자동으로 수용부(240)에 수용된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한 휴대 전자기기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휴대 전자기기(300)의 후면에는 확장모듈(360)이 장착될 수 있다.
확장모듈(360)의 확장본체(361, 확장바디)에는 전자소자가 내장되며, 전자기기(300)의 바디(310)와 데이터 또는 전원을 교환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확장모듈(360)은 외장형 배터리, 외장형 무선통신 모듈, 모니터, 키보드 등이 될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확장모듈(360)의 전면에는 전자기기(300)의 바디(310)가 장착되고, 후면에는 지지모듈(320)이 배치된다. 지지모듈(320)은 확장본체(361)가 바닥과 경사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확장본체(361)를 지지한다.
지지유닛(321)은 확장바디(361)의 후면에 장착되며, 확장바디(361)의 후면을 덮도록 배치되는 제1 상태와 일단이 확장바디(361)의 후면과 이격되는 제2 상태 사이에서 확장바디(361)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도록 이루어진다. 탄성유닛(미도시)은 상기 확장바디(361)에 장착되며, 지지유닛(321)이 상기 제1 상태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지지유닛(321)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형성된다. 가이드유닛(미도시)은 확장바디(361)와 지지유닛(321)의 사이에 배치되어 지지유닛(321)의 회전을 가이드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휴대 전자기기는 확장모듈과 결합된 상태에서도 보다 용이하게 거치되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휴대 전자기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8)
-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되는 전면을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가 바닥과 경사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모듈은,
상기 본체의 후면에 장착되며, 상기 본체의 후면을 덮도록 배치되는 제1 상태와 일단이 상기 본체의 후면과 이격되는 제2 상태 사이에서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도록 이루어지는 지지유닛;
상기 본체와 상기 지지유닛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유닛의 회전을 가이드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유닛; 및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상기 지지유닛이 상기 제1 상태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상기 지지유닛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형성되는 탄성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측면과 상기 지지유닛의 일단이 각각 상기 바닥과 접촉되는 상태에서 상기 지지유닛의 일단과 상기 바닥과의 접촉이 해제되면,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탄성유닛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1 상태로 복원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 - 삭제
-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일단이 자유단을 이루고, 타단이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 -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유닛의 일단이 상기 바닥에 접촉되면 상기 바닥에 접촉되는 부분의 마찰력을 강화하도록 이루어지는 제1 마찰력 강화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전자기기. -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찰력 강화부는 상기 지지유닛보다 마찰계수가 큰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 마찰유닛을 포함하는 휴대 전자기기. -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되는 전면을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가 바닥과 경사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모듈은,
상기 본체의 후면에 장착되며, 상기 본체의 후면을 덮도록 배치되는 제1 상태와 일단이 상기 본체의 후면과 이격되는 제2 상태 사이에서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도록 이루어지는 지지유닛;
상기 본체와 상기 지지유닛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유닛의 회전을 가이드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유닛; 및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상기 지지유닛이 상기 제1 상태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상기 지지유닛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형성되는 탄성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유닛은,
일단은 상기 본체의 후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타단은 상기 지지유닛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 -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에는 상기 지지유닛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유닛의 타단은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 -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측면이 상기 바닥과 접촉되는 부분의 마찰력을 강화하도록 상기 본체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2 마찰력 강화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전자기기. -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찰력 강화부는 상기 본체의 측면에 장착되며, 상기 본체의 케이스보다 마찰계수가 큰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2 마찰유닛을 포함하는 휴대 전자기기. -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찰유닛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측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 -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찰유닛이 장착되는 상기 본체의 측면은 상기 본체의 후면과 둔각을 이루도록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 -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되는 전면을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가 바닥과 경사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모듈은,
상기 본체의 후면에 장착되며, 상기 본체의 후면을 덮도록 배치되는 제1 상태와 일단이 상기 본체의 후면과 이격되는 제2 상태 사이에서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도록 이루어지는 지지유닛;
상기 본체와 상기 지지유닛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유닛의 회전을 가이드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유닛;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상기 지지유닛이 상기 제1 상태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상기 지지유닛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형성되는 탄성유닛; 및
상기 본체에 상기 본체의 후면과 수직인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지지유닛이 상기 제1 축과 수직인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유닛을 포함하는 휴대 전자기기. -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닛은,
상기 제1 축을 중심으로 원형으로 형성되는 원형부; 및
상기 원형부로부터 상기 본체의 후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가이드유닛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휴대 전자기기. -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후면에는 상기 지지유닛이 수용되도록 상기 본체의 후면에서 리세스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 -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지지유닛과 결합되는 회전유닛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회전유닛의 회전 평면과 수직인 평면상에서 회전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 -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닛은 상기 지지유닛의 일단이 상기 본체의 측면과 평행한 상태와 상기 측면과 수직인 측면과 평행한 상태 사이의 회전 범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 -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데이터 또는 전원을 교환하도록 이루어지며, 전면에 상기 본체가 장착되고, 후면에 상기 지지모듈이 배치되는 확장모듈을 더 포함하는 휴대 전자기기. - 휴대 전자기기가 장착되며, 전면이 상기 휴대 전자기기에 의하여 덮혀지고, 상기 휴대 전자기기와 데이터 또는 전원을 교환하도록 이루어지는 확장본체;
상기 확장본체가 바닥과 경사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확장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모듈은,
상기 확장본체의 후면에 장착되며, 상기 확장본체의 후면을 덮도록 배치되는 제1 상태와 일단이 상기 확장본체의 후면과 이격되는 제2 상태 사이에서 상기 확장본체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도록 이루어지는 지지유닛;
상기 확장본체와 상기 지지유닛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유닛의 회전을 가이드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유닛; 및
상기 확장본체에 장착되며, 상기 지지유닛이 상기 제1 상태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상기 지지유닛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형성되는 탄성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확장본체의 측면과 상기 지지유닛의 일단이 각각 상기 바닥과 접촉되는 상태에서 상기 지지유닛의 일단과 상기 바닥과의 접촉이 해제되면,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탄성유닛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1 상태로 복원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확장모듈.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25472A KR101105841B1 (ko) | 2010-03-22 | 2010-03-22 | 휴대 전자기기 |
EP10008537.2A EP2369439B1 (en) | 2010-03-22 | 2010-08-16 |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
CN201010289938.1A CN102202478B (zh) | 2010-03-22 | 2010-09-16 | 便携式电子设备 |
US12/895,091 US8593798B2 (en) | 2010-03-22 | 2010-09-30 |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25472A KR101105841B1 (ko) | 2010-03-22 | 2010-03-22 | 휴대 전자기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06199A KR20110106199A (ko) | 2011-09-28 |
KR101105841B1 true KR101105841B1 (ko) | 2012-01-16 |
Family
ID=42809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25472A KR101105841B1 (ko) | 2010-03-22 | 2010-03-22 | 휴대 전자기기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8593798B2 (ko) |
EP (1) | EP2369439B1 (ko) |
KR (1) | KR101105841B1 (ko) |
CN (1) | CN102202478B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096369A1 (ko) * | 2022-11-04 | 2024-05-10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지지 액세서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케이스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1096203A1 (ja) | 2010-02-03 | 2011-08-11 | 任天堂株式会社 | ゲームシステム、操作装置、およびゲーム処理方法 |
US8913009B2 (en) | 2010-02-03 | 2014-12-16 | Nintendo Co., Ltd. | Spatially-correlated multi-display human-machine interface |
US20120111881A1 (en) * | 2010-06-07 | 2012-05-10 | 360 Mobility Solutions, Llc | Protective cases for electronic devices |
US20120103855A1 (en) * | 2010-06-07 | 2012-05-03 | 360 Mobility Solutions, Llc | Cases for electronic devices |
US20110299231A1 (en) * | 2010-06-07 | 2011-12-08 | Gaddis Ii Scott Carter | Rotatable Cases For Electronic Devices |
US20120113572A1 (en) * | 2010-06-07 | 2012-05-10 | 360 Mobility Solutions, Llc | Method and system for electronic device cases |
JP6243586B2 (ja) | 2010-08-06 | 2017-12-06 | 任天堂株式会社 | ゲームシステム、ゲーム装置、ゲームプログラム、および、ゲーム処理方法 |
JP5840385B2 (ja) | 2010-08-30 | 2016-01-06 | 任天堂株式会社 | ゲームシステム、ゲーム装置、ゲームプログラム、および、ゲーム処理方法 |
JP5840386B2 (ja) | 2010-08-30 | 2016-01-06 | 任天堂株式会社 | ゲームシステム、ゲーム装置、ゲームプログラム、および、ゲーム処理方法 |
KR101364826B1 (ko) | 2010-11-01 | 2014-02-20 | 닌텐도가부시키가이샤 | 조작 장치 및 조작 시스템 |
CN103092260B (zh) * | 2011-10-28 | 2016-01-20 | 英业达股份有限公司 | 可携式电子装置 |
KR101301722B1 (ko) * | 2011-12-13 | 2013-08-30 | 주식회사 다이아벨 | 휴대기기용 스탠딩장치 |
CN103186170B (zh) * | 2011-12-27 | 2017-07-11 | 株式会社东芝 | 确定用于外部设备的电子设备的尺寸的方法和该电子设备 |
US9460029B2 (en) * | 2012-03-02 | 2016-10-04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Pressure sensitive keys |
USRE48963E1 (en) | 2012-03-02 | 2022-03-08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Connection device for computing devices |
KR101951385B1 (ko) | 2012-08-29 | 2019-02-25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양방향 및 다중 각도의 지지를 구현하는 보호 커버 |
US9644783B2 (en) * | 2013-03-16 | 2017-05-09 | James A Rinner | Phone camera tablet bipod support system |
US9596914B2 (en) * | 2013-04-19 | 2017-03-21 | Joseph A. Zaloom | Tablet transformer |
KR102206384B1 (ko) * | 2014-01-07 | 2021-01-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휴대용 단말기 |
CN203968178U (zh) * | 2014-06-25 | 2014-11-26 | 合肥京东方显示光源有限公司 | 一种移动通讯装置 |
CN104216475B (zh) * | 2014-08-22 | 2017-09-22 | 联想(北京)有限公司 | 一种电子设备 |
CN104869187A (zh) * | 2015-04-28 | 2015-08-26 | 江苏卡罗卡国际动漫城有限公司 | 一种带支撑板的读报手机 |
EP3427121B1 (en) * | 2016-03-11 | 2021-08-25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Kickstand for computing devices |
JP6572825B2 (ja) * | 2016-05-18 | 2019-09-11 | 富士通コネクテッド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 電子機器 |
US10201221B1 (en) | 2017-10-23 | 2019-02-12 | Getac Technology Corporation | Hand strap |
US10691176B2 (en) | 2018-07-12 | 2020-06-23 | Google Llc | Textured pattern surface for a computing device |
KR20200104147A (ko) | 2019-02-26 | 2020-09-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 장치용 거치 장치 |
US11301003B2 (en) * | 2019-09-24 | 2022-04-12 | Getac Technology Corporation | Eletronic device with anti-shock function |
CN111781996A (zh) * | 2020-06-30 | 2020-10-16 | 联想(北京)有限公司 | 一种电子设备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39201A (ko) * | 2000-11-20 | 2002-05-25 | 박창복 | 자동접힘방지장치가 형성된 액자 |
KR20090080426A (ko) * | 2008-01-21 | 2009-07-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확장 모듈 및 그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253292A (en) * | 1991-08-28 | 1993-10-12 | Motorola, Inc. | Portable radiotelephone support assembly |
JPH1091281A (ja) * | 1996-08-19 | 1998-04-10 |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 情報処理機器 |
CN1991091A (zh) | 2003-10-01 | 2007-07-04 | 邱则有 | 一种模壳构件 |
KR100662367B1 (ko) * | 2004-05-06 | 2007-01-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모니터용 스탠드 어셈블리 |
US20070062089A1 (en) * | 2005-08-31 | 2007-03-22 | Homer Steven S | Display device |
KR100846898B1 (ko) * | 2005-12-30 | 2008-07-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
KR20070092044A (ko) * | 2006-03-08 | 2007-09-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용전자장치 |
US20080251663A1 (en) * | 2007-04-11 | 2008-10-16 | Tracy Mark S | Anti-skid foot assembly |
CN101414200A (zh) * | 2007-10-19 | 2009-04-22 | 富准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 自带角度调整功能的装置及其角度调整器 |
TWI352277B (en) * | 2007-12-07 | 2011-11-11 | Asustek Comp Inc | Foldabl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dual mode |
-
2010
- 2010-03-22 KR KR1020100025472A patent/KR10110584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0-08-16 EP EP10008537.2A patent/EP2369439B1/en active Active
- 2010-09-16 CN CN201010289938.1A patent/CN102202478B/zh active Active
- 2010-09-30 US US12/895,091 patent/US8593798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39201A (ko) * | 2000-11-20 | 2002-05-25 | 박창복 | 자동접힘방지장치가 형성된 액자 |
KR20090080426A (ko) * | 2008-01-21 | 2009-07-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확장 모듈 및 그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096369A1 (ko) * | 2022-11-04 | 2024-05-10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지지 액세서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케이스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369439A2 (en) | 2011-09-28 |
US20110228457A1 (en) | 2011-09-22 |
US8593798B2 (en) | 2013-11-26 |
EP2369439B1 (en) | 2015-12-23 |
KR20110106199A (ko) | 2011-09-28 |
EP2369439A3 (en) | 2014-04-02 |
CN102202478A (zh) | 2011-09-28 |
CN102202478B (zh) | 2015-09-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05841B1 (ko) | 휴대 전자기기 | |
KR101084651B1 (ko) | 확장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전자기기 | |
US8494602B2 (en) |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JP4773284B2 (ja) | ディスプレイパートおよびキーパッドパートを含む個人携帯端末機 | |
CN201550153U (zh) | 便携式通信装置及其滑动支承装置 | |
KR101927201B1 (ko) | 지지판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 |
CN102752416B (zh) | 移动终端 | |
CN209748968U (zh) | 保护壳以及具有该保护壳的电子设备 | |
TWI437412B (zh) | 可攜式電子裝置 | |
JP5299273B2 (ja) | 回転式携帯端末機 | |
KR101521936B1 (ko) | 힌지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 |
JP5491338B2 (ja) | ヒンジ装置及びこれを含む移動端末機 | |
KR20110017669A (ko) |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장착부재 | |
KR20120065852A (ko) | 휴대 전자기기 | |
KR20120038634A (ko) | 휴대 전자기기 | |
KR101667429B1 (ko) | 휴대 전자기기 | |
KR20130013942A (ko) | 전자 기기의 거치 장치 | |
KR200411613Y1 (ko) | 거치수단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
KR100697648B1 (ko) | 개인휴대단말기 | |
KR101659002B1 (ko) | 이동 단말기 | |
CN118509513A (zh) | 保护壳组件及电子设备组件 | |
KR20050027871A (ko) | 멀티 디스프레이 장치 | |
KR20070083052A (ko) | 슬라이드형 단말기 | |
KR20070001578A (ko) | 회전형 조작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
JP2006287779A (ja) | 携帯端末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