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6590B1 - Sound generation device - Google Patents
Sound generation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96590B1 KR101096590B1 KR1020090073903A KR20090073903A KR101096590B1 KR 101096590 B1 KR101096590 B1 KR 101096590B1 KR 1020090073903 A KR1020090073903 A KR 1020090073903A KR 20090073903 A KR20090073903 A KR 20090073903A KR 101096590 B1 KR101096590 B1 KR 1010965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housing
- sound generating
- sound
- voi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0—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4—Sound-producing devi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52—Audio or video equipment, e.g. televisions, telephones, cameras or computers;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F21V33/0056—Audio equipment, e.g. music instruments, radios or spea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운드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소리를 발생시키는 발성부(30)와, 상기 하우징(10)의 설치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10)의 동작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60)와, 상기 발성부(30)에 연결되어 상기 발성부(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70)와, 상기 센서부(60) 및 상기 발성부(30)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10)의 동작상태에 따라 상기 발성부(30)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제어하는 제어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휴대가 가능한 사운드발생장치를 이용하여 회전이나 흔드는 등 간단한 동작으로 자신이 원하는 일정한 사운드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이를 조작감이 좋은, 비정형의 사운드를 갖는 악기로 활용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und generating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housing 10 having an installation space formed therein, a voice portion 30 selectively coupled to the housing 10 to generate a sound, and provided in an installation space of the housing 10. Sensor unit 60 for detect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10, the power supply unit 70 is connected to the vocalization unit 30 to supply power to the vocalization unit 30, the sensor unit 60 and the Each control unit 20 is connected to the voice unit 30 and controls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voice unit 30 according to the operating state of the housing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generate a desired sound by a simple operation such as rotation or shaking by using a portable sound generating device, it can be used as a musical instrument having an atypical sound with good operation feeling. .
소리, 발생장치, 기울기스위치, Sound, generator, tilt switch,
Description
본 발명은 사운드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향의 회전이나 가속이동과 같은 움직임에 따라 서로 다른 사운드를 발생시키는 사운드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und genera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ound generating device for generating different sounds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such as rotation of the direction or acceleration movement.
기본적으로 사운드를 발생시키는 장치로는 일반적인 악기, 예를 들어 현악기나 타악기와 같은 다양한 악기들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전통적인 악기들과 더불어 전자피아노나 일렉기타와 같이 전기를 이용하여 소리를 발생시키는 악기까지 매우 다양한 사운드 발생 장치들이 사용되고 있고 또한 계속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Basically, there are a variety of musical instruments such as string instruments or percussion instruments that generate sound. In addition to these traditional instruments, a wide variety of sound generating devices, such as electric pianos and electric guitars, are used and are being developed.
하지만 연주자가 이러한 악기들을 능숙하게 다루기 위해서는 교습이나 연습 등을 통해 어느 정도 숙련이 필요하게 된다. However, in order for the player to handle these instruments skillfully, some skill is required through teaching and practice.
최근에는 이러한 전문적인 악기들과는 다르게, 다다이즘이나 팝아트의 영향으로, 일반 생활용품을 이용하여 소리를 발생시키고, 또한 이를 활용한 창작 퍼포먼스가 행해지기도 하는데, 이러한 퍼포먼스에는 칼과 도마나 가위, 휴지통 등 소리를 발생시키는 사물(오브제)이라면 제한 없이 매우 다양한 도구들이 활용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unlike these professional instruments, under the influence of Dadaism or pop art, the use of general household goods to generate sounds, and also creative performances using them, such as knives, cutting boards, scissors, trash cans, etc. If the object that generates the (object) is a wide variety of tools are used without limitation.
즉, 칼과 도마가 부딪히는 소리나 가위질 소리, 선풍기의 팬 소리, 모터의 회전시 발생되는 소리 등 기존에 소음으로 치부되던 생활 주변의 다양한 소리가 예술로 재해석되어 활용되고 있는 것이다. In other words, various sounds around the life that were previously regarded as noise, such as the sound of a knife and a cutting board, a scissor sound, a fan fan, and a motor rotation, are reinterpreted as art.
그리고, 이러한 소리들은 일정한 박자를 통해 연주자가 의도하는 대로 음악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 물론, 초보자가 간단한 동작으로 통해 보다 자신이 원하는 다양한 박자의 사운드를 만들어 낼 수 있는 장치가 있다면 이러한 연주가 더욱 용이해질 수 있을 것이다. And, these sounds can be expressed musically as the player intended through a certain beat. Of course, if you have a device that can produce a variety of beats that you want through a simple operation, this performance will be easier.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배경기술과 관련하여, 사용자가 회전이나 가속 이동 등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일정한 사운드를 발생시킬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vice capable of generating a certain sound desired by a user through rotation or acceleration movement in relation to the background art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개의 기울기스위치를 통해 사용자의 조작을 정확하게 인식하여 이를 사운드로 표현하도록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curately recognize a user's operation through a plurality of tilt switches to express it as a sound.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소리를 발생시키는 발성부와, 상기 하우징의 설치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의 동작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발성부에 연결되어 상기 발성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센서부 및 상기 발성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의 동작상태에 따라 상기 발성부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ousing in which an installation space is formed therein, a voice portion selectively coupled to the housing to generate a sound, and an installation space of the housing. A sensor unit for detect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housing, a power unit connected to the voice unit to supply power to the voice unit, and connected to the sensor unit and the voice unit,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operating state of the housing.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ound generated in the voice.
상기 센서부는 기울기스위치, 가속도센서, 또는 각속도센서 중 하나로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태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통해 상기 발성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The sensor unit includes one of an inclination switch, an acceleration sensor, and an angular velocity sensor to transmit a state of the housing to the control unit,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voice unit through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nsor unit.
상기 센서부는 설치방향을 달리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기울기스위치로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회전상태를 감지한다. The sensor unit is composed of at least two or more inclination switches different in the installation direction, to detect the rotation state of the housing.
상기 기울기스위치는 각각 베이스에 그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베이스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어 구비된다. Each of the inclined switches is provided with one end fixed to the base and the other end extending inclined from the base.
상기 다수개의 기울기스위치는 인접한 기울기스위치와 동일한 사이각을 이루도록 방사형으로 연장되어 구비된다. The plurality of inclination switches are provided extending radially to form the same angle between the adjacent inclination switch.
상기 기울기스위치는 4개로 구성되고, 각각 상기 베이스로부터 45°경사지게 연장된다. The inclination switch is composed of four, each extending inclined 45 ° from the base.
상기 발성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The spoken portion is detachably coupl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상기 발성부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팬, 릴레이 또는 스피커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The vocal unit is composed of any one of a fan, a relay, and a speaker rotated by a motor.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부로부터 상기 발성부에 전달되는 전원을 제어하고, 일정한 주기로 상기 발성부를 반복적으로 온오프시켜 박자를 형성한다.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to the vocal unit, and forms the beat by repeatedly turning on and off the vocal unit at regular intervals.
상기 제어부에는 통신부가 연결되어 상대 사운드 발생장치의 통신부와 신호연결이 이루어지면 상기 상대 사운드 발생장치와 동기화가 이루어진다. When the communication unit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makes a signal connection with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opponent sound generating device, synchronization with the relative sound generating device is achieved.
상기 제어부에는 발광부가 연결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발성부와 동일한 주기로 온오프된다. A light emitting unit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the light emitting unit is turned on and off at the same period as the voice.
상기 제어부는 회로기판에 실장되고, 상기 회로기판의 일측에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연결되는 커넥터부가 구비되어, 상기 커넥터부에 상기 발성부가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The control unit is mounted on a circuit board, one side of the circuit board is provided with a connector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the connector portion is selectively coupled to the spoken portion.
본 발명에 의한 사운드 발생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ound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휴대가 가능한 사운드발생장치를 이용하여 회전이나 흔드는 등 간단한 동작으로 자신이 원하는 일정한 사운드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이를 조작감이 좋은, 비정형의 사운드를 갖는 악기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user can generate a desired sound by a simple operation such as rotation or shaking by using a portable sound generating device, the user can use it as an instrument having an atypical sound with a good feeling of operation. have.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다수개의 기울기스위치가 내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자신의 동작으로부터 정확하고 일정한 사운드를 얻을 수 있게 되어 사운드발생장치를 악기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plurality of inclination switches are installed therein so that the user's manipulation can be accurately recognized, the user can obtain accurate and constant sound from his or her own movement, and thus the sound generating device can be utilized as an instrument. have.
특히, 본 발명에서는 4개의 기울기스위치 중에서 적어도 2개는 같은 상태를 인지하게 되므로, 보다 안정적인 회전상태감지가 가능해져 동작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t least two of the four inclination switches recognize the same state, a more stable rotation state can be detected, and an effect of improving operation reliability can be expect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발성부가 교체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임의로 발성부를 선택하여 보다 다양한 사운드를 얻을 수 있으므로, 사운드 발생장치의 호환성 및 활용도가 커지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vocal part is replaceable, the user can arbitrarily select the vocal part to obtain various sounds, thereby increasing the compatibility and utilization of the sound generating device.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두 사운드 발생장치의 동작을 통신부를 이용하여 동기화할 수 있어 보다 다양한 연주 및 합주가 가능해진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s of the two sound generating apparatuses can be synchronized using a communication unit, thereby enabling a variety of playing and ensemble.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사운드 발생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a sound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사운드 발생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이 개략적인 구성도로 도시되어 있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sound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oad is show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사운드 발생장치의 외관 및 골격은 하우징(10)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은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지는데, 도 2에서 보듯이 몸체(11)와 커버(13)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10)의 몸체(11)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appearance and skeleton of the sound generating device are formed by the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하우징(10)의 몸체(11) 외면에는 표시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하우징(10)의 외면 중 어느 한 면이 사용자가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상방을 향한 경우에, 그 외면에 구비된 표시부에 표시된 내용과 대응되는 비트의 사운드가 후술할 발성부(30)로부터 발생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표시부를 통해 현재 발성부(30)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의 비트를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발성부(30)로부터 일정 비트의 박자가 아닌 일정 음계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에 해당되는 음계가 표시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a display unit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상기 몸체(11)의 일측에는 배터리커버(18)가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는데, 상기 배터리커버(18)가 상기 몸체(11)로부터 분리되면, 아래에서 설명될 전원부(7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미도시)가 노출된다. The
상기 하우징(10)의 몸체(11)에는 개구부(19)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19)는 상기 몸체(11)의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아래에서 설명될 통신조절다이얼(46)이 외부로 노출된다. 도면부호 15는 장착플레이트로 후술할 제어부(20)를 고정하기 위한 구조이다. An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제어부(20)가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사운드 발생장치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회로기판 및 반도체칩, 저항 등 다양한 전장품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상기 제어부(20)에는 연결부(25,28)가 결합된다. 상기 연결부(25,28)는 상기 제어부(20)와 연결되고, 적어도 그 일부가 하우징(10) 외측으로 노출되어 후술할 발성부(30)와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연결부(25,28)에는 접속커넥터(26,29)가 돌출되고, 상기 접속커넥터(26,29)는 상기 하우징(10)의 커버(13) 외측으로 노출되어 발성부(30)의 상대커넥터(도시되지 않음)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 연결부(25,28)는 상기 제어부(20)에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The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하우징(10)에는 발성부(30)가 결합된다. 상기 발성부(30)는 상기 하우징(10)에 결합되어 실질적으로 소리를 발생시키는 부분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모터와 이에 연결되는 팬(35)으로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1, the
즉, 상기 발성부(30)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팬(35)에 의해 소리를 발생시키게 되는데, 상기 발성부(30)는 상기 하우징(10)에 선택적으로 결합됨으로써 교체가 가능하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발성부(30)에는 상대커넥터가 구비되고, 상기 발성부(30)가 하우징(10)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상대커넥터가 상기 제어부(20)의 접속커넥터(26,29)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20)를 통해 후술할 전원부(70)의 전원을 공급받게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이때, 상기 발성부(30)의 내부에는 상기 모터 및 팬(35)과는 별도로 소리를 발생시키기 위한 부품이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발성부(30)의 내부에는 별도의 모터 및 이에 연결되는 기어나, 스피커 등이 구비되어, 상기 팬(35)과 함께 소리를 발생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In this case, a part for generating sound separately from the motor and the
한편, 상기 제어부(20)에는 통신부(40)가 연결된다. 상기 통신부(40)는 두 개 이상의 사운드 발생장치 사이를 통신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통신부(40)는 RF통신으로 구성되나, 블루투스(bluetooth) 등 기타 통신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상기 통신부(40)가 활성화되면, 상대 사운드 발생장치의 통신부(40)와 동기화되어 발성부(30)의 초기 박자를 일치시키거나 또는 직접 상대 사운드발생장치의 발성부(30)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통신부(40)는 상기 제어부(20)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20)의 제어신호를 상기 상대 사운드발생장치로 전달하게 된다. When the
상기 통신부(40)에는 조절부(45)가 구비된다. 상기 조절부(45)는 상기 통신부(40)의 통신회선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조절부(45)에 구비된 통신조절다이얼(46)을 조작함으로써 상대 사운드발생장치의 통신부(40)와 회선이 일치하게 되는 것이다. The
상기 하우징(10)의 내면에는 감응부(50)가 구비된다. 상기 감응부(50)는 사용자가 상기 감응부(50)에 대응되는 상기 하우징(10)의 외면을 파지하였을 때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20)에 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감응부(50)는 이를 위해 정전식 터치패널로 구성된다. The inner surface of the
상기 감응부(50)는 사용자가 하우징(10)을 파지하는 것을 인지하여, 하우징(10)이 파지된 경우에만 사운드 발생장치가 활성화되도록 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상기 감응부(50)를 터치함으로써 특정 박자나 사운드가 활성화될 수 있다. The
상기 제어부(20)에는 센서부(60)가 연결된다. 상기 센서부(60)는 상기 하우징(10)의 상태를 인지하여 이를 제어부(2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하우징(10)의 회전, 이동, 가속 등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The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20)는 기울기스위치, 가속도센서, 각속도센서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거나, 둘 이상이 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가속도센서는 이동하는 물체의 가속도나 충격의 세기를 측정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하우징(10)을 파지한 상태로 이동시키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20)에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각속도센서는 물체의 각도변화나 떨림을 감지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10)의 회전상태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To this end,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20)는 기울기스위치(65a~65d)로 구성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어부(20)는 베이스(61)와 상기 베이스(61)에 결합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기울기스위치(65a~65d)로 구성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기울기스위치(65a~65d)는 그 기울어진 상태에 따라 온오프되는 것으로, 전기전도성이 좋은 재질의 하우징(10) 내부에 역시 전기전도성이 좋은 볼이 내장되어 이동하면서 단자 사이를 연결시키거나, 또는 하우징(10) 내부에 내장된 수은이 흐르면서 두 단자 사이를 연결시키는 방식으로 구동된다. 도 6(a) 및 도 6(b)에는 기울기스위치(65a~65d)가 기울어짐에 따라 단자 사이가 끊어지거나 연결되는 상태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The inclination switch (65a ~ 65d) is turned on and off in accordance with the inclined state, inside the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기울기스위치(65a~65d)가 다수개 결합되어 구성되는데, 보다 정확하게는 도 5에서 보듯이 기울기스위치(65a~65d)가 베이스(61)로부터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즉, 상기 기울기스위치(65a~65d)의 일단은 베이스(61)에 고정되고 타단은 베이스(6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것이다. The
이는 세 개의 서로 다른 기울기스위치(65a~65d)가 형성하는 세 개 이상의 가상의 연장선이 하나의 평면 상에 있지 않도록 함으로써, 각각의 기울기스위치(65a~65d)의 온오프상태가 다양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This prevents three or more virtual extension lines formed by three
그리고, 상기 다수개의 기울기스위치(65a~65d)의 사이각은 일정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다수개의 기울기스위치(65a~65d) 사이가 최대한 이격되어야 상기 하우징(10)의 상태에 따른 기울기스위치(65a~65d)의 온오프 작동이 명확하게 구별될 수 있기 때문이다. In addition, the angle between the plurality of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기울기스위치(65a~65d)는 4개로 구성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서로 인접한 기울기스위치(65a~65d)와의 사이각이 90°를 이루는 4개의 기울기스위치(65a~65d)가 상기 베이스(61)로부터 연장되는 것이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clination switches 65a to 65d are constituted by four. More precisely, four
그리고, 상기 각각의 기울기스위치(65a~65d)는 상기 베이스(61)로부터 45°의 경사각을 갖도록 연장되는데, 이에 따라 인접한 두 개의 기울기스위치(65a~65d)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가상의 연장선이 만드는 하나의 가상의 연장면은, 나머지 두 개의 기울기스위치(65a~65d)에 의해 형성되는 가상의 연장면과 직교하게 된다. Each of the inclination switches 65a to 65d extends to have an inclination angle of 45 ° from the
이는 상기 하우징(10)이 직육면체형상으로 되어 6개의 면이 각각 인접한 면과 직교를 이루는 경우에, 6개의 면 중 어느 한 면이 중력방향을 향하는 상태로부터 인접한 다른 한 면이 중력방향을 향하는 상태로 정확하게 회전되어야 상기 기울기스위치(65a~65d)의 온오프상태가 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when the
도 7(a) 내지 도 7(f)에는 본 실시예에 의한 센서부(60)의 다양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때 도면부호 "G"는 중력방향을 나타내고, 편의를 위해 4개의 기울기스위치(65a~65d)에 서로 다른 부호를 부여하였다. 그리고, 화살표는 기울기스위치(65a~65d)의 볼 또는 수은이 쏠리는 방향을 나타낸다. 7 (a) to 7 (f) are views showing various states of the
먼저, 도 7(a)를 보면, 베이스(61)의 저면이 중력방향을 향하는 경우로서, 제1스위치~제4스위치(65a~65d) 4개모두가 온(on) 상태이다. 그리고, 도 7(b)의 경우에는 도 7(a)를 기준으로 하우징(10)을 시계방향으로 90°회전시킨 상태로서, 제1스위치(65a) 및 제2스위치(65b)는 온상태이고, 제3스위치(65c)와 제4스위치(65d)는 오프상태이다.First, referring to FIG. 7 (a), as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61 faces the direction of gravity, all four of the first to
도 7(c)는 역시 도 7(b)를 기준으로 하우징(10)을 시계방향으로 90°회전시킨 상태로, 제1스위치~제4스위치(65a~65d) 모두 오프상태이고, 도 7(d)는 제1스위 치(65a)와 제2스위치(65b)만 오프상태이다. FIG. 7C is a state in which the
정리하면, 도 7(a) 내지 도 (7d)는 도 1의 y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90°간격으로 하우징(10)을 한바퀴(360°) 회전시켰을 때 센서부(60)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In summary, FIGS. 7A to 7D show the change in the
또한, 도 7(e)와 도 7(f)에는 도 1의 z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하우징(10)으로 상기 도 7(a) 상태에서 각각 회전시킨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물론, 이 경우도 90°간격으로 하우징(10)을 한바퀴(360°) 회전시키면 각 상태에 따라 상기 기울기스위치(65a~65d)의 온오프상태가 구별될 수 있다. 7 (e) and 7 (f) show a state in which the
이때, 상기 제1스위치(65a)와 제4스위치(65d) 중 적어도 2개는 90°회전에 대해 같은 온오프상태를 갖게 되므로, 보다 확실한 하우징(10)의 회전 상태 측정이 가능해진다. At this time, at least two of the
한편, 이러한 센서부(60)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부(20)가 전달받아 상기 발성부(30)를 제어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어부(20)는 일정한 주기로 상기 발성부(30)를 반복적으로 온오프시켜 박자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도 8에는 본 발명에 의한 사운드 발생장치를 구성하는 센서부(60)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센서부(60)에는 3개의 기울기스위치(65a~65c)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각 기울기스위치(65a~65c) 중 적어도 2개는 서로 직선으로 연장되고 나머지 하나는 이들에 대해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된다.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그리고,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제어부(20) 및 센서부(60) 등은 하나의 회로 기판(B) 상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20)에는 발광부(V)가 연결된다. 상기 발광부(V)는 빛을 조사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발성부(30)와 마찬가지로 제어부(20)에 의해 제어되어 발성부(30)와 동일한 박자나 주기로 빛을 조사하게 된다. And, as shown in Figure 4, the
상기 하우징(10)에는 전원부(70)가 구비된다. 상기 전원부(70)는 상기 발성부(30) 및 발광부(V)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어부(2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발성부(30) 및 발광부(V)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전원부(70)는 일반 건전지나 충전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원부(70)는 9V 전지로 구성된다.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사운드 발생장치의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sound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사용자는 전원스위치(미도시)를 조작하여 상기 사운드 발생장치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하우징(10)을 파지한다. First, a user operates a power switch (not shown) to activate the sound generating device and grips the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하우징(10)을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센서부(60)의 기울기스위치(65a~65d)는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20)에 전달하고, 제어부(20)는 4개의 기울기스위치(65a~65d)의 상태에 대응되는 박자로 상기 발성부(30)가 작동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When the user rotates the
보다 구체적으로는 아래 (그래프 1)과 같이 제어부(20)에는 6개의 상태에 따른 제어박자가 저장되어 있고, 센서부(60)에서 감지된 하우징(10)의 상태에 따라 상기 발성부(30)가 특정한 비트의 박자로 동작되도록 제어된다. More specifically, as shown below (graph 1), the
(그래프 1)(Graph 1)
만일, 사용자가 상기 하우징(10)을 파지한 상태로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시킨다면 다음과 같은 박자가 발성부(30)로부터 발생하게 된다. If the user rotates in various directions while holding the
(그래프 2)(Graph 2)
상기 그래프 2에서는 센서부(60)가 상태3->상태1->상태2->상태3으로 순차적으로 변환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물론, 이는 사용자가 상기 사운드 발생장치를 조작하는 일례에 불과하며, 더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In the
즉, 사용자는 상기 사운드 발생장치를 단순히 회전시키는 것에 더하여 빠른 속도로 흔들거나 공중에 던진 후 받는 등 다양한 동작을 통해서 정형 또는 비정형의 다양한 리듬을 얻을 수 있다. That is, in addition to simply rotating the sound generating device, the user may obtain various rhythms, both atypical and atypical, through various operations such as shaking at high speed or throwing them in the air.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러한 조작을 통해 일정한 박자를 발성부(30)로 발생시켜, 사운드 발생장치로부터 리듬감 있는 소리를 얻을 수 있고, 이를 연주로 활용가능해진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사운드 발생장치로부터 발생되는 소리는 32비트(bit)로 구성되나, 이러한 비트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Accordingly, the user can generate a certain beat to the
또한, 상기한 예에서는 발성부(30)로부터 발생되는 박자를 조절하였으나, 발성부(30)로부터 특정 음정이나 자연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소리가 발생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the above example, although the time signature generated from the
한편, 사용자는 두 대의 사운드발생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먼저 상기 통신부(40)를 활성화한다. 이때 두 사운드발생장치의 통신부(40) 회선이 일치하도록 통신조절다이얼(46)을 맞추는 작업이 필요하다. 그리고, 상기 통신부(40)가 활성화되어 두 사운드발생장치가 동기화되면, 두 사운드발생장치의 초기 박자가 일치하게 되어 같은 비트의 연주가 가능해진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uses two sound generating devices first activate the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사운드발생장치를 조작함으로써 나머지 하나의 사운드발생장치의 작동이 동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as described above, by operating one sound generating device, the operation of the other sound generating device may be the same.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발성부(30)를 교체하여 다른 소리를 얻을 수 있다. 즉, 상기 발성부(30)는 상기 하우징(10)에 교체가능하도록 결합되므로, 이를 탈거하고 새로운 발성부(30)를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발성부(30)와 제어 부(20)는 커넥터에 의해 연결되므로 별도의 연결 작업 없이 발성부(30)를 교체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may obtain another sound by replacing the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is defined by the claim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 evident.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사운드 발생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sound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구성도.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내부회로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internal circui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센서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nsor unit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센서부의 작동상태를 각각 보인 개략도.Figure 6 (a) and Figure 6 (b)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sensor unit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센서부의 각 상태를 보인 사시도.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each state of the sensor unit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사운드 발생장치를 구성하는 센서부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sensor unit constituting the sound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하우징 20: 제어부10: housing 20: control part
30: 발성부 40: 통신부30: speech unit 40: communication unit
50: 감응부 60: 센서부50: sensitive portion 60: sensor portion
61: 베이스 65a~65d: 기울기스위치61:
70: 전원부70: power supply
Claims (1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73903A KR101096590B1 (en) | 2009-08-11 | 2009-08-11 | Sound generation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73903A KR101096590B1 (en) | 2009-08-11 | 2009-08-11 | Sound generation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16280A KR20110016280A (en) | 2011-02-17 |
KR101096590B1 true KR101096590B1 (en) | 2011-12-21 |
Family
ID=43774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73903A KR101096590B1 (en) | 2009-08-11 | 2009-08-11 | Sound generation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96590B1 (en) |
-
2009
- 2009-08-11 KR KR1020090073903A patent/KR101096590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16280A (en) | 2011-02-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10248986A1 (en) | Stick Controller | |
US9542920B2 (en) | Modular wireless sensor network for musical instruments and user interfaces for use therewith | |
JP3948242B2 (en) | Music generation control system | |
US20210043177A1 (en) | Input device with a variable tensioned joystick with travel distance for operating a musical instrument, and a method of use thereof | |
CN205069104U (en) | Stringed instrument | |
US10621963B2 (en) |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with device | |
US10997957B2 (en) |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with device | |
CN201060639Y (en) | Electronic drumstick | |
CN1961349A (en) | Musical instrument | |
KR101096590B1 (en) | Sound generation device | |
US7829774B2 (en) | Guitar slide | |
KR101113412B1 (en) | Touching type musical instrument combined with light and image | |
JP4665174B2 (en) | Performance equipment | |
JP2005010154A (en) | Electronic metronome | |
JP2010181798A (en) | Tuning device | |
Ramos | Eolos: a wireless MIDI wind controller. | |
JP3636041B2 (en) | Pronunciation control system | |
CN111613196A (en) |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for controlling tremolo and bend sound through somatosensory | |
WO2009096762A3 (en) | Easy guitar | |
CN1748243A (en) | Virtual reality musical glove system | |
KR200239364Y1 (en) | electronic drum used in connection with outer instruments | |
JP6621050B2 (en) | Musical sound control signal gen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musical sound control signal communication system | |
KR200321889Y1 (en) | Vocal Appartus use for Percussion Instrument | |
CN112735364A (en) | Portable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 |
WO2024155915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a microphone input device and microphone accessibility featur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1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