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5359B1 - 에너지 저장 장치의 리튬 메탈 커패시터 및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에너지 저장 장치의 리튬 메탈 커패시터 및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85359B1 KR101085359B1 KR1020090074778A KR20090074778A KR101085359B1 KR 101085359 B1 KR101085359 B1 KR 101085359B1 KR 1020090074778 A KR1020090074778 A KR 1020090074778A KR 20090074778 A KR20090074778 A KR 20090074778A KR 101085359 B1 KR101085359 B1 KR 10108535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thium
- electrolyte
- thin film
- ions
- metal capacitor
- Prior art date
Links
- 229910052744 lithium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7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4146 energy storage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4
- 229910001416 lithium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4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3
- HBBGRARXTFLTSG-UHFFFAOYSA-N Lithium ion Chemical compound [Li+] HBBGRARXTFLTSG-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2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WHXSMMKQMYFTQS-UHFFFAOYSA-N Lithium Chemical compound [Li] WHXSMMKQMYFTQS-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39000002244 precipit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29910000733 Li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1989 lithium allo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11888 f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3795 desorp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11149 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5229 chemical vapour depos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5240 physical vapour depos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5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150000001450 anion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1244 liquid electroly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2048 multi walled nanotub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2109 single walled nanotub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1734 sodiu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ZLMJMSJWJFRBEC-UHFFFAOYSA-N Potassium Chemical compound [K] ZLMJMSJWJFRBEC-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5518 polymer electroly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6254 polymer film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700 potas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1591 potassiu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DGAQECJNVWCQMB-PUAWFVPOSA-M Ilexoside XXIX Chemical compound C[C@@H]1CC[C@@]2(CC[C@@]3(C(=CC[C@H]4[C@]3(CC[C@@H]5[C@@]4(CC[C@@H](C5(C)C)OS(=O)(=O)[O-])C)C)[C@@H]2[C@]1(C)O)C)C(=O)O[C@H]6[C@@H]([C@H]([C@@H]([C@H](O6)CO)O)O)O.[Na+] DGAQECJNVWCQMB-PUAWFVPOSA-M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1940 conductive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52708 so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1000549556 Nanos Species 0.000 claims 1
- 229910021645 metal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1 EDLC Chemical compound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29910052784 alkaline earth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150000001342 alkaline earth metals Chemical clas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3513 alkali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0151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1
- 210000004027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9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8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8021 depo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29910052783 alkali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150000001340 alkali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041 carbon nanotub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10021393 carbon nanotub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RUOJZAUFBMNUDX-UHFFFAOYSA-N propylene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C1COC(=O)O1 RUOJZAUFBMNUD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033 PVDF bin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2981 polyvinylidene flu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575 carbonace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773 negative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1343 polytetrafluoro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810 polytetrafluoro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495 reaction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150000001768 cat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2804 grap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439 graph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47 pl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098 polyolef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BVKZGUZCCUSVTD-UHFFFAOYSA-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O-]C([O-])=O BVKZGUZCCUSVTD-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229910013870 LiPF 6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171 Poly (ethylene ox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577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137 deposi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90 disso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79 double walled nanotub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894 electron beam technolog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70 graph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30 interca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687 interca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VNWKTOKETHGBQD-UHFFFAOYSA-N methane Chemical compound C VNWKTOKETHGBQ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229 poly(methyl methac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596 polymer bind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491 polymer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26 polymethyl methacry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672 polyolefin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460 polyoxomet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451 polypropylene glycol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036 polyvinylpyrrolid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267 polyvinylpyrrolid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855 polyvinylpyrrolido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74 positive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02 slur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4 solid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207 thermal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771 vacuum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OQMIRQSWHKCKNJ-UHFFFAOYSA-N 1,1-difluoroethene;1,1,2,3,3,3-hexafluoroprop-1-ene Chemical group FC(F)=C.FC(F)=C(F)C(F)(F)F OQMIRQSWHKCKN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LHHRLWOUZZQLW-UHFFFAOYSA-N Acrylonitrile Chemical compound C=CC#N NLHHRLWOUZZQL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38 Al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134 Carboxym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KMTRUDSVKNLOMY-UHFFFAOYSA-N Ethylene carbonate Chemical compound O=C1OCCO1 KMTRUDSVKNLOM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ISWSIDIOOBJBQZ-UHFFFAOYSA-N Phenol Chemical compound OC1=CC=CC=C1 ISWSIDIOOBJBQ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34 Polyphenylene sulf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72 Polyvinyl alcoh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JFBZPFYRPYOZCQ-UHFFFAOYSA-N [Li].[Al] Chemical compound [Li].[Al] JFBZPFYRPYOZC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3481 amorphous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94 amorphous carbon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60 aram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235 aromatic poly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27 by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29 carbon bla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29 cation exchange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23913 cation exchange resins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45 co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94 coal tar pit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84 cyclic voltammet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1 deinterca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787 dendrit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IEJIGPNLZYLLBP-UHFFFAOYSA-N dimethy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OC(=O)OC IEJIGPNLZYLLB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JBTWLSYIZRCDFO-UHFFFAOYSA-N ethyl methy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COC(=O)OC JBTWLSYIZRCDF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348 incor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884 ion-beam techniqu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8 kn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3002 lithium salt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9000000002 lithium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739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982 microporous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68 mixed slur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08 petrole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50 plasma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14 plastic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69 polyphenylene sulf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51 polyvinyl alcoho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81 slurry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44 sputte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48 styrene butadien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77 targe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40 vapo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04—Hybrid capacitors
- H01G11/06—Hybrid capacitors with one of the electrodes allowing ions to be reversibly doped thereinto, e.g. lithium ion capacitors [LIC]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22—Electrodes
- H01G11/3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H01G11/5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specially adapted for lithium-ion capacitors, e.g. for lithium-doping or for intercala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54—Electrolytes
- H01G11/58—Liquid electrolyt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3—Energy storage using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전해질, 전해질에 도입되어 리튬 이온 또는 금속 이온이 용해 또는 석출되는 리튬, 알칼리 또는 알칼리토 금속의 박막 음극, 및 박막 음극에 대향하게 도입되어 충방전 거동을 위해 금속 이온이 흡착되거나 탈착되는 양극을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의 리튬 메탈 커패시터(LMC) 및 제조 방법을 제시한다.
리튬 메탈 커패시터, 박막 음극, 활성탄, EDLC, 리튬 이온 이차 전지
Description
본 발명은 에너지 저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리튬 메탈 커패시터(LMC: Lithium Metal Capacitor)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 전자, 통신, 컴퓨터 산업 및 자동차 산업이 확산되고, 휴대용 기기가 발달함에 따라, 전기를 반복적으로 충, 방전 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 장치의 중요성이 더욱 증대되고 있다. 에너지 저장 장치로서 커패시터는 전해액의 종류, 양극과 음극의 대칭성여부 및 전하 저장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다. 예컨대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EDLC;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는 고출력과 긴 수명을 나타내고 있으나, 상대적으로 가지는 반면, 낮은 비에너지밀도 및 낮은 사용전압의 한계에 의해 이차전지의 백업용 전원 또는 출력보조의 용도로 이용되고 있다. 낮은 내전압 특성으로 커패시터들을 직렬로 연결하여 고전압을 구현하고자 할 경우, 정전 용량의 감소에 따른 커패시터 특성의 저하가 수반되고 있다.
에너지 밀도가 높으면서 높은 출력을 가지고, 긴 수명을 가지면서 안정성을 가지게 커패시터를 개선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예컨대 양극에 분극성 전 극을 사용하며 음극에 리튬 프리도핑(pre-doping) 공정과 같은 선행 공정공정을 도입하여, 음극 전위를 낮춰줌으로써 내전압을 증가시키고 에너지 밀도를 증가시키는 시도가 제시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음극의 리튬 도핑에 상당한 장시간이 요구되고 있으며, 음극 전체에 대한 균일한 리튬 도핑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전극을 권회한 원통형 커패시터나 복수 매의 전극을 적층한 적층형 커패시터와 같은 고용량의 커패시터를 실용화하는 데 곤란성을 수반하고 있다.
본 발명은 높은 전압 특성, 출력 특성 및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가지며, 안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에너지 저장 장치로서의 리튬 메탈 커패시터 및 제조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는, 전해질; 상기 전해질에 도입되어 금속 이온이 용해 또는 석출되는 알칼리 또는 알칼리토 금속의 박막 음극; 및 상기 박막 음극에 대향하게 도입되어 충방전 거동을 위해 상기 금속 이온이 흡착되거나 탈착되는 양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은 상기 금속 이온의 염을 포함하는 액상 전해질 또는 폴리머 전해질을 포함하고, 상기 음극으로부터 상기 금속 이온의 용해에 의해 상기 전해질 내의 상기 금속 이온 농도가 증가하여 상기 양극으로 상기 금속 이온의 흡착이 유도된다. 개방회로전압 이하의 전압 범위에서 상기 음극으로부터 상기 금속 이온의 용해에 의해 상기 전해질 내의 상기 금속 이온 농도가 증가하여 상기 양극으로 상기 금속 이온의 흡착이 유도되고, 상기 개방회로전압 이상의 전압 범위에서 상기 전해질 내에 양이온과 음이온이 유전 분리되어 충전 시 상기 양이온은 상기 음극에 석출되고 상기 음이온은 상기 양극에 흡착되고, 방전시 상기 양이온은 상기 음극으로부터 상기 전해질 내로 용해되고 상기 음이온은 상기 양극으로 부터 탈리되어 상기 전해질 내의 상기 양이온 및 상기 이온의 비율이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박막 음극은 포일(foil) 또는 집전체 위에 증착된다.
상기 전해질 내에 도입된 세퍼레이터; 및 상기 박막 음극은 상기 세퍼레이터 표면에 증착된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 양극은 금속 이온이 흡착되거나 탈착되는 표면적을 100m2/g 내지 3000m2/g으로 증가시킨 활성탄, 표면적이 100m2/g 이하인 활성탄 또는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리튬 메탈 커패시터는, 전해질; 상기 전해질에 도입되어 리튬 이온이 용해 또는 석출되는 리튬 또는 리튬 합금의 박막 음극; 및 상기 박막 음극에 대향하게 도입되어 충방전 거동을 위해 상기 리튬 이온이 흡착되거나 탈착되는 양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은, 전해질에 도입되어 리튬 이온이 용해 또는 석출되는 리튬 또는 리튬 합금의 박막 음극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박막 음극에 대응되어 충방전 거동을 위해 상기 리튬 이온이 흡착되거나 탈착되는 양극을 상기 박막 음극에 대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튬 메탈 커패시터 제조 방법을 제시한다.
상기 박막 음극을 준비하는 단계는 포일(foil) 또는 집전체 상에 상기 박막 음극을 증착하거나 도금 또는 압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박막 음극의 두께를 보다 얇게 구현하기 위해서 증착 과정이 유효하다.
상기 박막 음극을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전해질 내에 도입될 세퍼레이터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세퍼레이터 표면에 상기 박막 음극을 증착하거나 도금 또는 압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른 리튬 메탈 커패시터는, 전해질; 상기 전해질에 도입된 리튬 또는 리튬 합금의 박막 음극 및 상기 박막 음극에 대향되게 도입되어 리튬 이온이 흡착되거나 탈착되는 양극을 포함하고, 충방전 거동 시 상기 양극이 2.2V 내지 4.3V 의 전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높은 전압 특성, 높은 출력 특성 및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가지는 에너지 저장 장치 및 리튬 메탈 커패시터를 구현할 수 있다. 리튬 금속을 박막 음극으로 적용함으로써 리튬이 가지는 낮은 환원 전위에 의해 높은 셀 전압을 구현할 수 있다. 포일(foil), 케이스 또는 세퍼레이터 자체에 리튬을 증착시켜 사용함으로써 접촉 저항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음극을 리튬과 반응성이 없는 재료에 증착시킴으로써 음극 제조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고, 균일한 박막으로 음극을 제조하여 국부적인 수지상석출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리튬 금속을 박막 음극에 적용함에 따라 리튬이온 프리도핑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공정 단계를 감소시킬 수 있고, 크기와 형태에 제약을 받지 않고 셀을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자기 방전이 낮고, 사용 중 안정성이 높으며, 리튬 벌크전극을 사용한 에너지 저장 장치에 비해 계면 간의 기계 및 화학적 결합이 우수 하여 저항이 낮고 충방전 효율이 높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는 리튬 이온이 흡착 및 탈착되는 활성탄 계열의 양극과, 리튬 이온이 용해되어 전해질에 리튬 이온을 제공하는 리튬 박막의 음극을 포함하는 리튬 메탈 커패시터를 제시한다. 음극은 리튬 금속의 박막으로 이루어지며, 전압의 인가에 의해 리튬 이온을 전해질로 공급하거나 또는 전해질로부터 리튬 이온이 박막 상에 석출되는 기지(matrix)로 이용된다. 리튬 금속 박막의 음극으로부터 용해된 리튬 이온은 전해질로 공급되어, 전해질 내의 리튬 이온 농도를 증가시키고, 증가된 리튬 이온 농도 구배에 의해 양극에 리튬 이온이 흡착되게 된다. 리튬 금속 박막 상에 리튬 이온이 석출됨에 따라 전해질 내의 리튬 이온 농도는 감소되고, 이에 따라, 양극에 흡착된 리튬 이온은 탈착되어 전해질 내로 환류하게 된다. 이러한 양극에서의 리튬 이온의 흡착 및 탈착에 의해 커패시터의 방전 및 충전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튬 메탈 커패시터는 초기 개방회로에서의 충전은 예컨대 LiPF6 전해질을 사용하는 경우, 전해질의 Li+와 PF6 -가 각각 음극에 석출, 양 극에 흡착되는 거동으로 이루어지고, 개방회로 전압(OCV: Open Circuit Voltage: 예컨대 3.0V) 이하인 대략 3V 내지 2.2V 전압 범위에서 방전시, 리튬 음극에서 활성탄 양극으로의 Li+ 이온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형태, 즉 Li+ 이온 단독으로 음극과 양극을 왕복하는 셔틀콕 방식으로 이온이 움직이게 된다. 즉, 개방회로 전압(OVC) 이상의 전압 범위, 예컨대, 대략 3.0V 내지 4.3V 범위에서는 전해질의 유전(또는 분리)에 의한 전형적인 커패시터의 전해질 거동을 보이고, OVC 이하의 전압 범위, 예컨대, 대략 2.2V 내지 3.0V 범위에서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와 같은 형태로 전해질 상에서의 이온 거동을 보인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리튬 메탈 커패시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의 리튬 메탈 커패시터 및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보인 도면들이다. 도 5 내지 도 6b는 진공 증착 장치를 나타내보인 도면들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리튬 메탈 커패시터는 리튬 이온(119)의 염을 포함하는 전해질(117)과, 전해질(117)에 도입되어 리튬 이온이 용해 또는 석출되는 리튬 또는 리튬 합금의 박막 음극(105)과 박막 음극(105)에 대향하게 도입되어 충방전 거동을 위해 리튬 이온이 물리적으로 흡착되거나 탈착되는 양극(100)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도 1의 (a)참조).
이러한 리튬 메탈 커패시터는 도 1의(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극(100) 및 박막 음극(105)에 전압을 인가하면, 박막 음극(105)으로부터 리튬 이온이 용해되면서 전해질(117) 내의 리튬 이온(119)의 농도가 증가한다. 전해질(117) 내의 리튬 이온(119)의 농도가 증가하면서 리튬 이온(119)이 양극(100) 방향으로 이동하여 양극(100)으로 흡착이 유도된다. 또한 박막 음극(105)에 리튬 이온(119)의 석출에 의해 양극(100)에 흡착된 리튬 이온(119)의 탈착이 유도되면서 커패시터의 충방전 작용이 일어난다. 이러한 리튬 이온(119)의 흡탈착 작용에 의해 양극(100)은 2.2V 내지 4.3V의 전위를 가진다.
여기서 전해질(117)은 리튬 이온(119)의 염을 포함하는 액상 전해질 또는 폴리머 전해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에틸렌 카보네이트, 디메틸 카보네이트 또는 메틸 에틸 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카보네이트계 액상 전해질, 폴리에틸렌 옥사이드(PEO), PVdF또는 PVdF-HFP를 포함하는 PVdF공중합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옥소메탈레이트(POM),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PPO), 폴리실록산계 등의 고체 매트릭스에 가소제를 첨가하는 겔 타입의 전해질을 사용할 수 있다. 전해질은 리튬염, 금속염 또는 유기염 전해질을 사용할 수 있고, 액체 전해질, 겔타입 전해질, 고체전해질 또는 이온성 전해액과 같이 전해질의 형태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여기서 전해질(117) 내에는 세퍼레이터(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박막 음극(105)은 포일(foil) 또는 집전체(120) 위에 증착되거나(도 2 참조), 세퍼레이터(115) 표면에 증착된(도 3 참조)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증착 과정이 박막 음극(105)의 두께를 제어하고 보다 얇은 두께로 구현하는 데 유효 하지만, 박막을 압착 또는 도금하는 방법으로 박막 음극(105)을 집전체(120) 상에 구현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박막 음극(105)은 리튬 또는 리튬 합금을 포함하는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금속을 포함하며, 증착 방식으로 형성한다. 여기서 알칼리토금속은 칼슘을 포함할 수 있고, 알칼리 금속은 칼륨을 포함할 수 있다. 리튬 합금은 후속 에너지 저장 소자 제조시 리플로우(reflow) 공정에서의 음극 온도특성을 유지하기 위해 리튬과 알루미늄(Al), 칼슘(Ca), 칼륨(K) 및 소듐(Na)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재료와 합금한 리튬 합금을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합금 조성비는 리튬의 함유량을 0% 보다 많고 100%보다 적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막 음극(105)은 도 5 내지 도 6b의 증착 장비를 이용하여 물리기상증착(PVD; Physical vapor deposition) 방식 또는 화학기상증착(CVD; Chemical vapor deposition) 방식으로 증착한다. 예를 들어, 스퍼터링(sputtering)방법, 이온빔(Ion-beam)방법, 전기화학증착(EVD; Electrochemical vapor deposition)방법, 전자빔(Electron beam)방법, 열증발증착(Thermal evaporation) 및 플라즈마 스프레이(Plasma Spraying)방법 등의 그룹에서 선택한 방법을 적용하여 진행할 수 있다.
도 5의 물리기상증착방식인 열증발증착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챔버(200) 내의 보트(205) 상에 리튬 금속박(210)을 배치하고, 보트(205)와 대향하는 챔버(200) 상부에 피증착물질(215)을 배치한다. 피증착물질(215)과 보트(205) 사이에는 셔터(220)가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챔버(200)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든 후, 리튬 금속박(210)을 가열하면 보트(205) 상에 배치된 리튬 금속박(210)으로부터 발생된 리 튬 원자가 피증착물질(215)에 흡착되어 리튬 금속 박막이 형성된다. 챔버(200)는 챔버(200)에 연결된 진공 펌프(225)를 이용하여 진공 상태로 만든다.
또한 박막 음극(105)은 수직형 반응장치(도 6a 참조) 또는 수평형 반응장치(도 6b 참조)를 포함하는 화학기상증착장치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반응기(230) 내의 서셉터(235) 상에 피증착물질(S)을 배치하고, 반응기(230) 내에 리튬계 반응 가스를 공급한다. 리튬계 반응 가스를 공급하여 피증착물질(S) 상에 리튬 금속 박막을 증착한다. 반응 가스를 공급하는 동안 반응기(230) 내부의 피증착물질(S)은 저항 가열원(240)으로부터 가열된다. 그러면 공급된 반응 가스는 높은 온도로 가열된 피증착물질 근처에서 열분해되거나 반응 가스 간에 화학적 반응을 일으켜 리튬 물질이 피증착물질(S) 위에 흡착되어 리튬 금속 박막을 형성한다. 반응 후 부산물 또는 미반응물질은 배기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물리기상증착방식 또는 화학기상증착방식을 통하여 형성된 박막 음극(105)은 단층 및 다층 구조로 형성할 수 있어 음극의 두께를 두껍거나 얇게 제어할 수 있다.
증착 방식으로 형성된 박막 음극(105)은 수㎛ 내지 수십㎛의 두께로 증착하며,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의 두께로 증착한다. 이와 같이, 박막 음극(105)을 수㎛ 내지 수십㎛의 두께로 증착하면, 균일한 박막 표면을 구현할 수 있다. 리튬을 벌크로 사용하게 되면 리튬에 의한 수지상성장(dendrite)이 형성되고, 수지상성장에 의한 내부 단락으로 폭발 및 발화와 같은 안정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대해 본 발명에 의한 리튬 메탈 커패시터는 수㎛ 내지 수십㎛의 박막 음극(105)으로 균일한 박막 표면을 구현함으로써, 낮은 표면에너지가 유지되므로 박막 표면에 서 리튬의 수지상성장의 성장을 억제할 수 있어 커패시터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박막 음극(105)은 실험적으로 1㎛ 내지 100㎛ 미만,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의 두께로 형성될 때, 리튬의 수지상성장이 유효하게 억제될 수 있다.
또한 리튬 금속을 박막 음극(105)에 적용함으로써 공정 단계를 감소시키고, 음극 형상에 대한 제한이 없으면서 음극 자체에 대한 특성을 향상시킨다. 예를 들어, 리튬 이온 커패시터는 양극에 활성탄을 적용하고, 음극에 흑연계 및 비정질 탄소를 사용한 리튬 이온 커패시터로 기존 2.7V이하의 내전압에서 3.8V~4.0V로 내전압의 증가와 비에너지밀도의 증가를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음극 재료인 흑연 내부로 리튬 이온의 인터칼레이션(intercalation) 및 디인터칼레이션(deintercalation) 작용을 유발하기 위해 리튬 프리도핑(predoping) 공정이 선행되어야 하므로 생산 공정이 증가하고, 충방전 작용에 있어서도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비해 본 발명에 의한 리튬 메탈 커패시터는 음극에 리튬 금속을 적용함으로써 리튬 프리도핑 공정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리튬 메탈 커패시터는 4V 내지 4.3V의 내전압을 구현하여 리튬 이온 커패시터보다 향상된 내전압 특성을 갖는다.
아울러 리튬 이온 커패시터의 경우, 흑연을 음극 재료로 사용함으로 카보네이트계 전해액 중 가장 낮은 점도와 높은 유전율 특성을 보이는 프로필렌카보네이트(PC)를 사용하는데 제한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리튬 메탈 커패시터는 음극 재료로 리튬 금속을 사용함에 따라 프로필렌카보네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박막 음극(105)은 세퍼레이터(115), 집전체(120) 또는 알루미늄 및 스테인레스 스틸(SUS)의 케이스를 피증착물질로 하여 증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집전체(120) 표면에 박막 음극(105)을 증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집전체(120)는 리튬과의 반응성이 없는 구리(Cu) 또는 니켈(Ni)을 포함하며, 박막 음극(105)은 집전체(120)의 단면 또는 양면에 증착한다. 리튬과 반응성이 없는 구리 또는 니켈 상에 박막 음극(105)을 형성하는 경우, 균일하고 단순하게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코인형 셀을 구성하는 경우에는 서스(SUS) 재질의 케이스에 직접 증착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추후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퍼레이터(115)의 한쪽 면에 리튬 또는 리튬합금 금속을 포함하는 알칼리 금속이나 알칼리토금속을 이온 소스를 공급하면서 박막 음극(105)을 증착할 수 있다. 여기서 세퍼레이터(115)는 다공성 폴리머 필름 또는 다공성 부직포를 포함한다.
이렇게 형성된 리튬으로 형성된 박막 음극(105)은 활성탄을 포함하는 양극(100)의 전위는 유지하면서 모든 금속 가운데 가장 낮은 환원전위를 가지는 리튬에 의해 셀의 전체 전위가 증가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리튬 메탈 커패시터는 충방전시 양극과 음극의 전위차에 의해 형성된 4.3V급의 전위 특성을 가진다. 이에 의해 계산되는 에너지밀도는 1/2*CV2의 공식에 의해 전압이 향상되어 기존 2.7V급에 비해 2배 이상의 에너지밀도 향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비용량이 3861mAh/g인 리튬과 비용량이 50mAh/g 내지 70mAh/g인 활성탄 양극의 용량 밸런싱을 통하여 음극 의 두께를 비약적으로 얇게 만드는 것이 가능하여 실제 셀의 전극부피의 대부분을 양극으로 채울 수 있어 셀의 크기를 소형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셀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코인형, 칩형, 원통형 또는 파우치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대칭형 전극을 갖는 전기이중층커패시터(EDLC)의 정전용량은 Ctotal=1/2C+=1/2C-이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의 리튬 메탈 커패시터는 비용량이 매우 크고 평탄전위를 갖는 리튬을 음극에 적용함에 따라 정전용량은 Ctotal=C+ 가 되므로 기존 전기이중층커패시터(EDLC)의 정전용량에 대해 2배 향상된 정전용량 값을 갖는다. 이와 같이 전기이중층커패시터보다 향상된 정전용량 값을 가지면서 전기이중층커패시터의 문제점은 개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이중층커패시터의 음극은 비표면적이 큰 다공성 활성탄을 사용하여 이온의 흡탈착을 유도하여 용량을 발휘한다. 이 경우 음극은 바인더가 필요하며, 고전압에서 바인더가 열화됨에 따라 수명이 저하되고 저항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리튬 메탈 커패시터는 리튬 금속을 음극으로 증착함에 따라 바인더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이러한 문제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양극(100)은 금속 이온이 흡착되거나 탈착되는 표면적을 100m2/g 내지 3000m2/g으로 증가시킨 활성탄, 표면적이 100m2/g 이하인 비다공성 활성탄 또는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한다. 여기서 비다공성 활성탄은 100m2/g 이하의 비표면적을 가 지고 탄소의 결정입계의 결함과 결함에 형성된 탄소구조 육각망면층의 가장자리에 의해 용량발현을 한다. 이 경우 활성탄은 페놀계, 야자수계 또는 콜타르 피치계의 저온처리 탄소재료, 탄소계 재료, 흑연계 재료, 무정형 탄소계 재료, 탄소나노튜브, 석유계 또는 석탄계의 탄소재료에 대해 부활공정을 거친 활성탄을 포함할 수 있다. 탄소나노튜브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WNT; Single- wall NanoTube),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WNT; Multi-wall Nanotube) 또는 이중벽 탄소나노튜브(DWNT; Dual-wall Nanotube)를 포함한다. 또한 양극(100)은 탄소나노튜브의 입자 지름 또는 탄소나노튜브 사이의 층을 이온의 흡장구조로 가져가는 탄소재료 또는 도전성 고분자 및 그 혼합체를 기본 구조로 하여 이온의 흡장을 유도할 수 있는 활물질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양극(100)은 시트(sheet) 상에 접착하거나 슬러리의 코팅 방식을 이용하여 알루미늄 호일(Al foil) 또는 메쉬(mesh) 타입의 집전체 상에 상술한 재료 가운데 선택한 양극 활물질이 코팅 또는 압착된 형태로 제작된다. 집전체 상에 형성하는 경우, 양극 활물질의 중량비로 50% 내지 100%, 카본블랙계 도전재의 중량비로 0% 내지 30%, 그리고 전극의 결착과 형성에 관여하는 고분자 바인더의 중량비로 0% 내지 30%의 비율을 가지게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해질(117) 내에 포함되고, 양극(100) 및 음극(105) 사이에 삽입된 세퍼레이터(115)는 다공성 폴리머 필름 또는 다공성 부직포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세퍼레이터(115)는 두께 5㎛ 내지 50㎛를 가지고, 0.03㎛ 내지 1㎛의 기공 크기를 가지며 20% 내지 60%기공도를 갖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단층 또 는 다층 구조의 폴리올레핀계 세퍼레이터 및 펄프지를 포함한다. 또한 가교된 폴리불화비닐리덴 또는 가교된 폴리불화비닐리덴(PVdF)을 함유하는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계 수지제 다공질막, 불화비닐리덴-헥사플루오르 프로필렌(PVdF-HFP) 공중합체,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주체로 한 재료에 양이온교환수지를 첨가한 물질, 파라배향 방향족 폴리아미드인 파라아미드폴리머계 다공질 필름, 내열성함질소방향중합체 및 세라믹분말을함유한 물질, 어택틱 폴리프로필렌을 함유하는 폴리올레핀 수지를 필수성분으로 하는 다공필름, 저분자량 폴리에틸렌과 고융점 폴리머를 함유하는 조성물, 폴리 페닐렌 설파이드 부직포, 친수성 폴리올레핀 미다공막 및 알카리 금속을 함유하는 폴리비닐알콜과 폴리올레핀으로부터 용융 방사한 섬유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세퍼레이터(115)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상의 고체 전해질(125)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활성탄을 포함하는 양극 및 리튬 또는 리튬합금을 포함하는 박막 음극을 적용한 리튬 메탈 커패시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먼저, 양극은 음극 전위 대비 개방회로에서 3.0V 내지 3.3V의 높은 전압 값을 가지며, 커패시터 형성후 충전시에는 4.3V까지 안정한 전압 곡선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의한 리튬 메탈 커패시터의 전압용량을 측정한 데이터를 나타내보인 도 7을 참조하면, 2V 내지 4V영역에서 10mV/sec의 스캔율(scan rate)로 순환전압전류법으로 안정적인 전기이중층 용량발현 거동이 나타나며, 활성탄에 대한 물리적 흡,탈착이 일어남을 확인할 수 있다. 전위에 따라 3V 부근에서 미약한 수평선의 변곡 점이 생기는 부분은 3V 이하의 전위에서 양극으로의 리튬(Li+) 이온의 흡탈착 거동과 3V 이후의 전위에서의 음이온거동이 분리되어 나타나는 현상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전압값은 슈퍼 커패시터의 2.7V 내지 2.8V의 한계 전압치보다 1V 이상 높은 수치이다. 이에 따라 대부분의 커패시터가 리튬이차전지와 조합한 전원계에서 사용시, 전압강하 회로를 형성하거나 2셀 이상의 직렬모듈로 사용하여야 하지만, 본 발명의 리튬 메탈 커패시터는 단일 셀로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소형의 셀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리튬 메탈 커패시터는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갖는다. 리튬은 비용량이 3861mAh/g이고, 활성탄은 3.0V 내지 4.2V 영역에서 약 50~70mAh/g의 중량당 비용량을 가진다. 음극이 실질적으로 리튬으로 이루어지므로, 활성탄 등에 혼입에 의한 비용량의 감소를 억제할 수 있어, 리튬의 상당히 큰 비용량을 직접적으로 이용하여 에너지 밀도의 증가 및 정전용량의 증가에 기여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음극의 용량(C-)이 양극(C+)에 대비해 상당히 크다고 볼 수 있고, 셀 전체의 정전용량(Ctotal)은 1/Ctotal=1/C+ + 1/C- 식에 의해 C+ 라고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양극 및 음극 모두 활성탄을 적용하는 전기이중층커패시터의 셀 전체 정전용량(Ctotal)이 1/2C가 되는데 반해, 본 발명의 리튬 메탈 커패시터는 두 배의 용량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큰 비용량 차이에 의하여 양극이 음극에 비하여 55배 내지 75배 두껍게 형성되는 음극/양극 비율(N/P Ratio)을 극대화하여 양극의 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2배에 가까운 정전용량 값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리튬 메탈 커패시터는 전기이중층캐패시터(EDLC)에 비해 4배의 정전 용량 값을 얻을 수 있으며, 에너지 밀도 식(E=1/2*CV2)에 의하여 약 8배에 가까운 에너지밀도를 가진다.
이와 같이 높은 정전용량 값을 가지면서 리튬 메탈 커패시터는 용량 유지능력이 우수하다. 본 발명에 의한 리튬 메탈 커패시터의 용량유지율을 측정한 데이터를 나타내보인 도 8을 참조하면, 리튬 메탈 커패시터를 1000사이클까지 동작시키는 경우에도 용량저하 현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리튬 메탈 커패시터는 저저항 특성을 갖는다. 전기이중층캐패시터(EDLC)는 양극 및 음극 모두 결합제 및 결착제로 고분자 바인더가 사용되며 이는 곧 저항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양극 및 음극의 활물질인 활성탄은 무수한 기공의 발달로 소재 자체가 가지는 전자전도도의 저하를 가져오게 된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의 리튬 메탈 커패시터는 음극에 바인더를 사용하지 않고, 음극 재료로 리튬 또는 리튬합금을 포함하는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을 적용하면서 케이스나 세퍼레이터 자체에 금속 이온을 증착시켜 사용하므로 접촉저항이 크게 감소한다. 또한 전극의 박막화를 통해 음극의 층을 얇게 형성함으로써 횡축방향으로 전기 저항을 낮출 수 있다. 박막기술은 화합물의 표면을 깨끗하게 유지하게 하여 계면 저항을 감소시키는 전극-전해질 계면의 접착을 증진시킬 수 있고 리튬과 같은 알칼리 금속의 박막 증착이 용이하다.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리튬 메탈 커패시터는 제작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이중층 캐패시터(EDLC)는 음극 및 양극 모두 바인더, 도전재, 활물질의 혼합 슬러리 또는 고점도 페이스트에 의한 코팅 및 시트상 전극을 접착하는 공정으로 전극을 형성하여 제조 공정이 복잡하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은 음극을 리튬과 반응성이 없는 구리 또는 니켈을 이용하여 대단위의 정량화된 증착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어 균일한 박막을 형성하면서도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리튬 금속을 적용함에 따라, 리튬 이온 커패시터와 같이 흑연 내부로의 리튬이온의 인터칼레이션을 유발하는 리튬이온프리도핑 공정이 생략되므로 공정비용이 낮아지며 공정 단계가 감소함에 따라 대량생산에 유리하고, 크기와 형태의 제약을 받지 않아 중대형 커패시터뿐만 아니라 소형 커패시터의 생산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리튬 메탈 커패시터는 코인(coin)형 셀 구조나 칩(chip) 또는 파우치(pouch)형 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리튬 메탈 커패시터의 에너지밀도, 출력밀도 및 전압을 슈퍼 커패시터, 리튬 이온 커패시터 및 리튬이온전지와 비교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 슈퍼 커패시터 | 리튬 이온 커패시터 | 리튬 이온 전지 | 리튬 메탈 커패시터 |
적용 크기 | 소형 - 대형 | 중대형 이상 | 소형 - 대형 | 소형 - 대형 |
에너지밀도[Wh/kg] | 5 | 20 | 150 | 30 |
출력밀도 [kW/kg] | 3.8 | 3.8 이상 | 1.7 | 4.0 이상 |
전압[V] | 0 ~ 2.7 | 2.2 ~ 3.8 | 3.7 | 2.2 ~ 4.3 |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리튬 메탈 커패시터는 다른 저장장치와 비교하여 구동전압(working voltage)이 2.2V 내지 4.3V의 전압을 나타낸다. 이는 슈퍼 커패시터의 0V~2.7V, 리튬 이온 커패시터의 2.2V~3.8V 및 리튬 이온 전지의 3.7V로 나타나는 한계전압치보다 높은 수치이다. 이에 따라 대부분의 커패시터가 리튬이차전지와 조합한 전원계에서 사용하는 경우, 전압강하 회로를 형성하거나 두 개 이상의 셀을 직렬모듈로 사용되지만, 본 발명에 의한 리튬 메탈 커패시터는 단일 셀로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이중층커패시터를 X개의 직렬모듈 제작시 가지게 되는 정전용량은 1/Ctotal=1/C1+1/C2+1/C3...+1/Cx에 의해 단일 셀에서 가지는 정전용량의 1/X 값을 가진다. 본 발명의 리튬 메탈 커패시터는 4.3V의 고전압에 의해 모듈에서의 동일전압 발현시 기존 셀의 1/2수준의 셀의 수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직렬모듈 시스템의 부피를 절반에 가깝게 줄일 수 있고 같은 부피에서 직렬모듈의 2배의 에너지밀도를 얻을 수 있다. 즉, 전기이중층커패시터와 비교하여 모듈 제작시 16배 이상의 에너지밀도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어 모듈 제작시 소모되는 부자재 소요량의 감소 및 직렬회로의 설계비용과 공정비용을 모두 절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리튬 메탈 커패시터는 비용량이 활성탄에 비해 상당히 높은 리튬을 직접적으로 음극에 적용함에 따라 양극 및 음극이 모두 활성탄인 전기이중층커패시터보다 두 배 이상의 높은 정전용량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리튬 메탈 커패시터는 전류에 따른 용량변화율이 적다. 방전율에 따른 시간과 전압의 전위프로파일을 측정한 그래프인 도 9를 참조하면, 리튬 메탈 커패시터(도 9의 (b))의 전위 프로파일은 전기이중층커패시터(도 9의(a))의 전위 프로파일과 유사한 방전율에 따른 방전시간 변화율을 보인다. 도 9의 측정 그래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튬 메탈 커패시터가, 전기이중층커패시터에서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보여준다. 즉, 인가 전류에 따라 전류 증가비와 비례하여 일정하게 방전시간이 유지되므로 전류에 따른 용량변화율이 적은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에 제시된 실험 결과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험용 리튬 메탈 커패시터에 의해 측정된 결과이다. 측정에 이용된 시험용 리튬 메탈 커패시터는, 100㎛ 두께의 양극, 2㎛ 두께의 음극을 도입하여 제작된다. 이때, 음극은 리튬이 90% 내지 100% 범위에서 포함되는 리튬-알루미늄 합금을 이용하여, 전자빔(E-beam)이 이용한 증착 방식으로 박막으로 증착하여 준비된다.
전해질은 1.0M의 프로필렌카보네이트(PC)에 LiPF6의 염을 용해하여 준비한다. 양극 전극은 87wt%의 활성탄과 10wt%의 도전재(SPB: Super P Black) 그리고 3wt%의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FTE)의 바인더(binder)를 사용하여 제작된다. 코인 셀 형태의 커패시터의 경우 반죽을 이용한 니딩(kneading) 방식을 이용한 시트(sheet) 전극으로 제작되고, 칩 형태의 커패시터의 경우 85wt% 활성탄, 10wt% 도전재, 5%wt의 바인더를 이용하여 슬러리(slurry)를 믹싱(mixing)하고, 코팅(coating)하여 전극을 제작한다. 이때, 바인더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카르복실메틸셀룰로즈(CMC), 스티렌부타디엔고무(SBR) 또는 폴리비닐피로린돈(PVP) 등이 이용된다.
제작된 시험용 커패시터는 초기 2.2V까지의 방전을 통하여 리튬 음극 위에 리튬을 석출시키고 이후 4.3V영역 안에서의 충방전을 실시하여 충방전에 따른 커패시터 거동을 측정한다. 이때, 충방전 전류밀도는 1mA/F로 설정한다.
본원 발명에 의한 리튬 메탈 커패시터는 크기와 형태의 제약을 받지 않고, 자기 방전이 낮으며, 사용 중 안정성이 매우 높고, 리튬 벌크전극에 비하여 계면 간의 기계 및 화학적 결합이 우수하여 전지 효율이 매우 높고, 박막 공정을 응용할 수 있어 대량 생산에 매우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튬 메탈 커패시터 및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보인 도면들이다.
도 5 내지 도 6b는 진공 증착 장치를 나타내보인 도면들이다.
도 7은 리튬 메탈 커패시터의 용량유지율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8은 리튬 메탈 커패시터의 용량유지율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9는 방전율에 따른 시간과 전압의 전위프로파일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Claims (20)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전해질;상기 전해질 내에 도입된 세퍼레이터;상기 세퍼레이터 표면에 직접 접촉하게 증착되어 리튬 이온이 용해 또는 석출되는 리튬 또는 리튬 합금의 박막 음극; 및100m2/g 내지 3000m2/g의 비표면적을 가지는 고비표면적 활성탄으로 형성되고, 상기 박막 음극에 대향하게 도입되어 충방전 거동을 위해 상기 리튬 이온이 흡착되거나 탈착되는 양극;을 포함하는 리튬 메탈 커패시터.
- 제6항에 있어서,상기 전해질은 상기 리튬 이온의 염을 포함하는 액상 전해질 또는 폴리머 전해질을 포함하고,개방회로전압 이하의 전압 범위에서 상기 음극으로부터 상기 리튬 이온의 용해에 의해 상기 전해질 내의 상기 리튬 이온 농도가 증가하여 상기 양극으로 상기 리튬 이온의 흡착이 유도되고,상기 개방회로전압 이상의 전압 범위에서 상기 전해질 내에 리튬 이온과 음이온이 유전 분리되어 충전 시 상기 리튬 이온은 상기 음극에 석출되고 상기 음이온은 상기 양극에 흡착되고, 방전시 상기 리튬 이온은 상기 음극으로부터 상기 전해질 내로 용해되고 상기 음이온은 상기 양극으로부터 탈리되어 상기 전해질 내의 상기 리튬 이온 및 상기 이온의 비율이 유지되는 리튬 메탈 커패시터.
- 제6항에 있어서,상기 박막 음극은 물리기상증착(PVD; Physical vapor deposition) 방식 또는 화학기상증착(CVD; Chemical vapor deposition) 방식으로 증착된 리튬 메탈 커패시터.
- 제8항에 있어서,상기 박막 음극은 2㎛ 내지 10㎛의 두께로 증착된 리튬 메탈 커패시터.
- 삭제
- 제6항에 있어서,상기 박막 음극은 상기 세퍼레이터 단면 또는 양면에 증착된 리튬 메탈 커패시터.
- 제6항에 있어서,상기 세퍼레이터는 다공성 폴리머 필름 또는 다공성 부직포를 포함하는 리튬 메탈 커패시터.
- 제6항에 있어서,상기 리튬 합금은 알루미늄(Al), 칼슘(Ca), 칼륨(K) 또는 소듐(Na)에 리튬이 합금된 리튬 메탈 커패시터.
- 제6항에 있어서,상기 박막 음극은 수㎛ 내지 수십㎛의 두께로 형성된 리튬 메탈 커패시터.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전해질;상기 전해질 내에 도입된 세퍼레이터;상기 세퍼레이터 표면에 직접 접촉하게 증착되어 리튬 이온이 용해 또는 석출되는 리튬 또는 리튬 합금의 박막 음극; 및상기 리튬 이온의 흡착 또는 탈착이 가능한 도전성 고분자 활물질을 포함하는 100m2/g 이하의 비표면적을 가지는 비다공성 활성탄,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WNT),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WNT) 또는 이중벽 탄소나노튜브(DWNT)의 활물질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박막 음극에 대향하게 도입되어 충방전 거동을 위해 상기 리튬 이온이 흡착되거나 탈착되는 양극;을 포함하는 리튬 메탈 커패시터.
- 전해질;상기 전해질 내에 도입된 세퍼레이터;상기 세퍼레이터 표면에 직접 접촉하게 증착되어 리튬 이온이 용해 또는 석출되는 리튬 또는 리튬 합금의 박막 음극; 및활물질이 코팅되는 알루미늄 포일(Al foil) 또는 메쉬(mesh) 형상의 집전체를 더 포함하여 형성되면서 상기 박막 음극에 대향하게 도입되어 충방전 거동을 위해 상기 리튬 이온이 흡착되거나 탈착되는 양극;을 포함하는 리튬 메탈 커패시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74778A KR101085359B1 (ko) | 2009-08-13 | 2009-08-13 | 에너지 저장 장치의 리튬 메탈 커패시터 및 제조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74778A KR101085359B1 (ko) | 2009-08-13 | 2009-08-13 | 에너지 저장 장치의 리튬 메탈 커패시터 및 제조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17214A KR20110017214A (ko) | 2011-02-21 |
KR101085359B1 true KR101085359B1 (ko) | 2011-11-21 |
Family
ID=43775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74778A KR101085359B1 (ko) | 2009-08-13 | 2009-08-13 | 에너지 저장 장치의 리튬 메탈 커패시터 및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8535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84721B1 (ko) * | 2016-07-14 | 2019-05-3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리튬 금속이 양극에 형성된 리튬 이차전지와 이의 제조방법 |
US11430977B2 (en) | 2017-10-16 | 2022-08-30 | Lg Energy Solution, Ltd. | Lithium electrod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
WO2019078571A2 (ko) | 2017-10-16 | 2019-04-2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리튬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KR102415166B1 (ko) | 2019-01-11 | 2022-06-29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리튬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68162A (ja) * | 1999-08-24 | 2001-03-16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非水電解質二次電池およびその充放電方法 |
JP2001155731A (ja) * | 1999-11-26 | 2001-06-08 | Hitachi Maxell Ltd | 二次電池 |
JP2005276728A (ja) * | 2004-03-26 | 2005-10-06 | Mitsubishi Chemicals Corp | アルカリ金属又はアルカリ土類金属イオン電池用電極及びこれを用いたアルカリ金属又はアルカリ土類金属イオン電池 |
-
2009
- 2009-08-13 KR KR1020090074778A patent/KR10108535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68162A (ja) * | 1999-08-24 | 2001-03-16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非水電解質二次電池およびその充放電方法 |
JP2001155731A (ja) * | 1999-11-26 | 2001-06-08 | Hitachi Maxell Ltd | 二次電池 |
JP2005276728A (ja) * | 2004-03-26 | 2005-10-06 | Mitsubishi Chemicals Corp | アルカリ金属又はアルカリ土類金属イオン電池用電極及びこれを用いたアルカリ金属又はアルカリ土類金属イオン電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17214A (ko) | 2011-02-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46658B1 (ko) | 전극 박, 집전체, 전극 및 이를 이용한 축전 소자 | |
US20110043968A1 (en) | Hybrid super capacitor | |
JP2016509757A (ja) | グラフェンリチウムイオンキャパシタ | |
EP3965184A1 (en) | Negative electrode for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same | |
US20130037756A1 (en) | Electrodes for electrochemical capacitor and electrochemical capacitor including the same | |
KR101085359B1 (ko) | 에너지 저장 장치의 리튬 메탈 커패시터 및 제조 방법 | |
KR20120129569A (ko) | 하이브리드 커패시터 | |
US20130050903A1 (en) | Electrodes, and electrochemical capacitors including the same | |
KR20180134309A (ko) | 음극, 상기 음극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및 상기 음극의 제조 방법 | |
JP2008198408A (ja) | 非水電解質二次電池 | |
WO2020080521A1 (ja) | キャパシタ及びキャパシタ用電極 | |
KR20150016072A (ko) | 리튬이온 커패시터용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온 커패시터 | |
EP3869585B1 (en) | Cathode comprising mixture layer having dual layer structure with different lno amounts,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 |
KR20110017219A (ko) | 코인 셀 리튬 메탈 커패시터 및 제조 방법 | |
KR20220009280A (ko) | 이차전지용 전극 및 이의 제조방법 | |
US20130058010A1 (en) | Metal current collector,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electrochemical capacitors with same | |
CN117650225A (zh) | 负极及包含其的二次电池 | |
JP2006286923A (ja) | リチウムイオンキャパシタ | |
US20230360863A1 (en) | Advanced lithium-ion energy storage device | |
CN118369803A (zh) | 固体电解质和包含该固体电解质的全固态电池 | |
KR20110017218A (ko) | 칩형 리튬 메탈 커패시터 및 제조 방법 | |
KR102408988B1 (ko) |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 |
US20180082797A1 (en) | Electrode material for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 |
KR102543247B1 (ko) | 다중 코팅 전극, 이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전극을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디바이스 | |
CN107591249B (zh) | 一种电化学能量存储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1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16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