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55680B1 - 슬라이딩 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도어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5680B1
KR101055680B1 KR1020090021550A KR20090021550A KR101055680B1 KR 101055680 B1 KR101055680 B1 KR 101055680B1 KR 1020090021550 A KR1020090021550 A KR 1020090021550A KR 20090021550 A KR20090021550 A KR 20090021550A KR 101055680 B1 KR101055680 B1 KR 101055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door
sliding
door
fixed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1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3112A (ko
Inventor
박오주
Original Assignee
박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오주 filed Critical 박오주
Priority to KR1020090021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5680B1/ko
Publication of KR20100103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3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5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5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4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chain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4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5Applicability
    • E05Y2800/16Applicable on combinations of fixed and movabl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4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딩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슬라이딩 도어가 근접되는 고정문이나 벽체의 후방으로 겹쳐지면서 통로를 개방하고 고정문과 일렬로 배열되면서 통로를 폐쇄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딩 도어 개폐장치는, 구동원(100)과; 상기 구동원에 의해 발생되는 동력에 의해 직선 왕복 이동하는 슬라이딩부(210)와; 슬라이딩 도어(1)의 상부에 고정되며 상기 슬라이딩부와 함께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함과 아울러 상기 슬라이딩 도어가 상기 슬라이딩 도어에 근접되는 고정문의 이면(뒷면)측으로 이동되어 통로(W)를 개방토록 안내하고 상기 고정문의 이면에서 상기 고정문과 일직선으로 배열되어 상기 통로를 폐쇄토록 안내하는 선회부(300)로 구성된다.
슬라이딩 도어, 선회, 고정문, 모터

Description

슬라이딩 도어 개폐장치{Sliding door}
본 발명은 좌우로 슬라이딩하면서 통로를 개폐하는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슬라이딩 도어가 통로 옆의 고정문이나 벽체와 일렬로 배열되어 통로를 폐쇄하도록 한 슬라이딩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내 공간의 출입, 실내 냉난방 및 도난 방지 등을 목적으로 하여 통로에는 도어가 갖추어진다.
상기 도어는 미닫이식, 슬라이드식 등 다양한 것이 출시되어 있으며, 본 발명은 슬라이드식 도어에 관한 것이므로 이하에서는 슬라이드식 도어에 관해서만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거실 및 발코니 등에 설치되는 슬라이드식 도어는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열고 닫는 수동방식이 대부분이다.
그런데, 이러한 수동식 슬라이드식 도어는 개폐시 사용자가 도어가 위치한 장소까지 이동하여야 하고, 손으로 직접 도어를 열거나 닫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힘이 약한 어린이나 노약자 또는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의 경우 도어의 개폐조작이 번거롭고 어려운 실정이었다.
더구나, 최근에 시공되는 아파트 등의 대단위 주택단지에는 80Kg 이상의 중량을 갖는 리프트 슬라이드 도어가 설치되어, 어린이나 노약자는 물론이고 성인조차도 도어를 간단히 개폐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이에 따라 도어를 좀 더 편리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자동시스템이 제안되었는데, 그 구성은 모터 및 기어와 연결된 스크류에 의해 도어가 이송되면서 개폐되도록 한 것이 대부분이다.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슬라이딩 도어(1)는 통로(W)를 폐쇄한 상태에서 통로(W) 옆의 고정문(2)이나 벽체의 후방으로 이동하여 통로(W)를 개방하고, 통로(W)의 개방 상태에서 정해진 레일을 따라 직선 이동만 하여 통로(W)를 폐쇄한다.
즉, 슬라이딩 도어(1)의 이동 경로인 레일은 직선 구간만을 갖는 형태이며 바닥부와 천정부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도어(1)의 직선 왕복 이동을 안내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슬라이딩 도어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도 1에서 보이는 것처럼, 슬라이딩 도어(1)는 수동식과 자동식에 상관없이 고정문(2)(또는 벽체)의 후방 또는 전방에 겹쳐지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통로(W)를 개폐한다.
따라서, 통로(W)를 폐쇄한 상태에서 슬라이딩 도어(1)와 고정문(2)간에 단차 가 형성될 수밖에 없으므로 슬라이딩 도어(1)와 고정문(2)의 일체감을 느끼지 못하여 심미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 도어(1)의 자유단부와 대응되는 프레임(3)의 두께는 슬라이딩 도어(1)와 고정문(2)의 두께를 합한 두께와 동일하여야 하므로 불필요하게 두께가 두꺼워질 수밖에 없고 이에 따라 제조원가가 비싸지고 실내 공간점유율이 커지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슬라이딩 도어를 좌우로 이동시켜 통로를 개폐함은 물론 슬라이딩 도어가 근접되는 고정문이나 벽체와 일직선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통로를 폐쇄하여 슬라이딩 도어가 주변 구조물과 일체감을 부여할 수 있는 슬라이딩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슬라이딩 도어와 주변 구조물과의 두께를 최소화하고 공간점유율을 줄이려는데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딩 도어 개폐장치는, 구동원에 의해 발생되는 동력에 의해 직선 왕복 이동하는 슬라이딩부와; 슬라이딩 도어의 상부에 고정되며 상기 슬라이딩부와 함께 직선 왕복 이동 및 상기 슬라이딩 도어가 상기 슬라이딩 도어에 근접되는 고정문의 이면측으로 이동되어 통로를 개방토록 안내하고 상기 고정문의 이면에서 상기 고정문과 일직선으로 배열되어 상기 통로를 폐쇄토록 안내하는 선회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선회부는, 상기 슬라이딩부에 형성되는 곡선형 안내부, 상기 슬라이딩 도어에 고정되며 상기 곡선형 안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내핀,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이동 경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안내핀을 통해 상기 슬라이딩 도어가 상기 고정문의 이면측으로 이동되도록 하거나 상기 고정문의 옆으로 이동되도록 유도하는 스토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저부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이동을 유도하는 하부 개폐유도부재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 개폐유도부재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와 고정문 사이의 저부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측의 자유단부가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저부에 일측이 막히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딩홈에 끼워져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이동시 회전하는 개폐유도봉, 상기 개폐유도봉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슬라이딩부에 설치되는 래크, 상기 선회부의 둘레부에 형성되며 상기 래크에 치합되는 피니언으로 구성된 선회안내부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 개폐장치에 의하면, 슬라이딩 도어가 옆에 있는 고정문 등의 구조물과 단차없이 일직선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통로를 폐쇄하여 슬라이딩 도어와 주변 구조물의 일체감을 줄 수 있으므로 심미감을 향상할 수 있고 제품의 상품 가치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 도어의 자유단부가 대응되는 프레임의 두께는 슬라이딩 도어만의 두께만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으므로 실내 공간 점유율을 낮출 수 있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딩 도어 개폐장치는 도 2a와 같이 슬라이딩 도어(1)가 고정문(2)과 일직선으로 배열되어 통로(W)를 폐쇄하고 도 2b처럼 슬라이딩 도어(1)가 고정문(2)의 이면에 겹쳐지도록 이동되어 통로(W)를 개방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슬라이딩 도어(1)는 예를 들어 유리를 재질로 하며 상부와 하부에 각각 보호 틀이 결합된 구조일 수 있다.
도 3과 도 4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딩 도어 개폐장치는, 구동원(100)과, 구동원(100)에 의해 직선 왕복 이동하는 슬라이딩부(200)와, 슬라이딩 도어(1)를 고정문(2)의 이면(후방)측으로 이동 및 슬라이딩부(200)와 함께 직선 이동시키는 선회부(300)로 구성되며, 각 구성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구동원(100)은 전원을 인가받아 양방향의 회전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110), 구동모터(110)의 구동축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구동풀리(120), 구동풀리(120)와 일정 거리 이격된 곳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종동풀리(130) 및 구동풀리(120)와 종동풀리(130)에 무한궤도로 감기는 동력전달용 와이어(140)로 구성된다.
와이어(140)는 슬라이딩부(200)의 후술하는 와이어 고정부(220)에 고정되어 무한궤도로 회전(실질적으로는 일정 구간을 왕복 이동)하면서 슬라이딩부(200)를 직선 왕복 이동시킨다.
와이어(140)는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일예인 것이며, 체인, 타이밍벨트 등도 가능하며 구동원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
구동원(100)은 통로(W)를 폐쇄하는 상태 즉, 슬라이딩 도어(1)와 고정문(2)이 겹쳐지지 않고 일직선으로 배열된 상태를 따라 고정 설치된다.
슬라이딩부(200)는 슬라이딩 도어(1)와 고정문(2)의 상부에 설치되는 레일(미도시)을 따라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 바(210), 슬라이딩 바(210)에 형성되며 와이어(140)에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 고정부(220)로 구성된다.
선회부(300)는, 슬라이딩 도어(1)와 고정문(2)의 설치 구조상 통로(W)의 개방시에는 먼저 슬라이딩 도어(1)가 슬라이딩부(200)와 이격되도록 선회시킨 후 슬라이딩부(200)와 함께 고정문(2)의 이면으로 직선 이동시키고, 폐쇄시에는 슬라이 딩 도어(1)를 슬라이딩부(200)와 함께 통로(W)측으로 슬라이딩시킨 후 고정문(2)의 옆으로 선회시킨다.
이와 같은 동작을 위한 선회부(300)는, 슬라이딩 바(210)에 형성되는 곡선형 안내부(310), 슬라이딩 도어(1)에 고정되며 곡선형 안내부(3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내핀(320)으로 구성된다.
곡선형 안내부(310)는 슬라이딩 바(210)에 형성된 판재에 상하가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곡선형 안내부(310)는 슬라이딩 도어(1)가 슬라이딩 바(210)의 직하방에 겹쳐지도록 하거나 슬라이딩 바(210)의 후방측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레일인 것이므로 그 형상은 슬라이딩 도어(1)의 동작을 고려하여 설계된다. 이때, 슬라이딩 도어(1)는 슬라이딩 바(210)와 함께 직선 이동하여야 할 것이므로 곡선형 안내부(310)의 양측에는 안내핀(320)을 구속하는 제1,2막음부(311,312)(도 6과 도 7에 각각 도시됨)가 형성된다.
안내핀(320)은 곡선형 안내부(310)에 곡선형 안내부(310)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슬라이딩 도어(1)는 곡선형 안내부(310)를 따라 이동하여 슬라이딩 바(210)의 저부에 겹쳐지거나 슬라이딩 바(210)에서 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고정문(2)의 이면에 겹쳐질 수 있는 것이다.
곡선형 안내부(310)와 안내핀(320)은 슬라이딩 도어(1)에 하나 이상 형성되며, 슬라이딩 도어(1)의 원활한 동작을 위해서 2개 이상(도면에는 2개로 도시됨)이 형성된다.
슬라이딩 도어(1)가 고정문(2)에 겹쳐지도록 선회하고 고정문(2)과 일렬로 배열되도록 선회하기 위해서는 선회부(300)의 선회를 개시하는 제1,2스토퍼(5,6)가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제1,2스토퍼에 대해서는 슬라이딩 도어의 작동 설명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슬라이딩 도어(1)는 안내핀(320)만으로도 선회 동작할 수 있지만, 보다 원활한 슬라이딩 도어(1)의 선회 동작을 위하여 선회안내부가 갖추어질 수 있다.
도 5에서처럼, 상기 선회안내부는 슬라이딩 바(210)의 양쪽 가장자리 상면에 설치되되, 곡선형 안내부(310)를 관통한 안내핀(320)의 상단에 가장자리가 고정됨으로서 안내핀(320)이 곡선형 안내부(310)를 따라 이동하면 회동하는 베어링(330)과, 상기 베어링(330)의 둘레부에 형성되는 피니언(340) 및 상기 피니언(340)과 치합되는 래크(230)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래크(230)는 상기 슬라이딩 바(210)의 후방에 좌/우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피니언(340)과 치합됨으로써 상기 동력전달용 와이어(140)에 의해 좌/우로 당겨지며 상기 피니언(340)을 회전시킨다.
상기 선회안내부는 래크(230)와 피니언(340)으로 한정되지 않고 래크(230)는 체인으로, 피니언(340)은 스프로킷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슬라이딩 도어 개폐장치는 슬라이딩 도어(1)의 상부에만 설치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 슬라이딩 도어 개폐장치는 슬라이딩 도어(1)의 하부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르게는 지금까지 설명한 개폐장치를 슬라이딩 도어(1)의 상부에만 설치하고 슬라이딩 도어(1)의 하부에는 별도의 전기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슬라이딩 도어(1)의 개폐를 안내하는 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6에서와 같이, 슬라이딩 도어(1)의 저부 예를 들어 슬라이딩 도 어(1)와 고정문(2) 사이의 저부에 개폐유도봉(400)이 설치된다.
개폐유도봉(400)은 슬라이딩 도어(1)의 저부와 대응되는 하부 프레임(4)(도 3에 도시됨)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측의 자유단부가 슬라이딩 도어(1)의 저부에 형성된 슬라이딩홈(1a)에 삽입된다.
슬라이딩홈(1a)은 슬라이딩 도어(1)의 저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데, 슬라이딩 도어(1)의 일측 단부에서부터 개방되며 타측 단부에는 걸림부(1b)가 형성된다.
개폐유도봉(400)은 슬라이딩 도어(1)의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2단 이상 절곡된 구조 즉, 원판, 상기 원판의 상부에 돌출되는 제1수직부, 상기 제1수직부의 단부에서 수평으로 절곡되는 수평부, 상기 수평부의 단부에 수직으로 절곡되며 슬라이딩홈(1a)에 끼워지는 제2수직부로 이루어질일 수 있다.
더불어, 개방 상태에서 슬라이딩 도어(1)가 폐쇄 작동할 때 슬라이딩 도어(1)의 초기 동작을 돕기 위하여 탄성부재(410)가 적용될 수 있다.
탄성부재(410)는 예를 들어 스파이럴 스프링일 수 있으며, 개폐유도봉(400)의 회전축(401)의 둘레부에 설치되면서 일측은 개폐유도봉(400)에 고정되고 타측은 하부 프레임(4)에 고정된다.
따라서, 탄성부재(410)는 개폐유도봉(400)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고 개폐유도봉(400)에 가해진 외력이 없어지면 복원력에 의해 개폐유도봉(400)을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도 7은 슬라이딩 바(210)의 슬라이딩 구조를 보이기 위한 종단면도로서, 슬 라이딩 바(210)는 슬라이딩 도어(1)의 상부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하나 이상(도면에는 2개)의 롤러(240,250)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딩 도어 개폐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1. 통로 폐쇄.
도 3과 도 8은 슬라이딩 도어(1)에 의해 통로(W)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슬라이딩 도어(1)는 고정문(2)과 단차없이 일직선으로 배열되어 통로(W)를 폐쇄하고 있으며, 따라서, 슬라이딩 도어(1)와 고정문(2)은 일체감을 느끼게 할 수 있다.
이때, 안내핀(320)은 곡선형 안내부(310)의 제1막음부(311)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여, 슬라이딩 도어(1)는 슬라이딩 바(210)의 저부에 배치된다.
2. 통로 개방 동작.
도 8의 상태에서 구동모터(110)에 정극성을 부여하면 구동풀리(120)가 정회전(슬라이딩 도어(1)의 개방 동작을 위한 방향)하게 된다.
구동풀리(120)의 정회전에 의해 와이어(140)가 도 3 기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따라서 슬라이딩 바(210)가 도 3 기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도 8과 같이 슬라이딩 바(210)와 슬라이딩 도어(1)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슬라이딩 도어(1)가 좌측으로 이동하다가 제1스토퍼(5)(제1스토퍼(5)는 슬라이딩 도어(1)의 이동 경로 상에 슬라이딩 바(210)와 간섭되지 않지만 슬라이딩 도어(1)와는 간섭되도록 설치된다)에 부딪치면 슬라이딩 바(210)는 계속해서 직진하려하지만 슬라이딩 도어(1)는 제1스토퍼(5)에 의해 직진하지 못한다.
즉, 슬라이딩 도어(1)에 고정된 안내핀(320)이 곡선형 안내부(310)를 따라 이동하여 슬라이딩 바(210)의 직진을 보상하게 된다. 이는 도 9에 도시되어 있으며, 안내핀(320)은 곡선형 안내부(310)의 제2막음부(312)까지 이동하게 되고 결국 슬라이딩 도어(1)는 제1스토퍼(5)를 피하는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슬라이딩 바(210)는 계속해서 직진하게 되며, 슬라이딩 도어(1)는 슬라이딩 바(210)와 함께 이동하여 고정문(2)의 후방에 겹쳐지게 되고, 이로써, 통로(W)가 개방된다(도 10과 도 11 참고).
3. 통로 폐쇄 동작.
상기 2. 통로 개방 동작을 통해 통로(W)를 폐쇄한 상태에서 통로(W)를 폐쇄하기 위하여 구동모터(110)에 부극성이 인가되면 구동풀리(120)가 역회전(도 11 기준 반시계방향)하게 된다.
구동풀리(120)의 역회전에 의해 와이어(140)가 도 11 기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따라서 슬라이딩 바(210)가 도 11 기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도 12와 같이 슬라이딩 바(210)와 슬라이딩 도어(1)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는 슬라이딩 도어(1)가 고정문(2)의 후방에 배치된 나열 상태를 유지한다.
슬라이딩 바(120)와 함께 슬라이딩 도어(1)가 우측으로 이동하다가 제2스토퍼(6)(제2스토퍼(6)는 슬라이딩 도어(1)의 이동 경로 상에 슬라이딩 바(210)와 간섭되지 않지만 슬라이딩 도어(1)와는 간섭되도록 설치된다)에 부딪치면 슬라이딩 바(210)는 계속해서 직진하려하지만 슬라이딩 도어(1)는 제2스토퍼(6)에 의해 직진하지 못한다.
즉, 슬라이딩 도어(1)에 고정된 안내핀(320)이 곡선형 안내부(310)를 따라 이동하여 슬라이딩 바(210)의 직진을 보상하게 된다.
따라서, 도 12의 상태에서 도 8의 상태와 같이, 안내핀(320)은 곡선형 안내부(310)의 제1막음부(311)까지 이동하게 되고 결국 슬라이딩 도어(1)는 제2스토퍼(5)를 피하는 위치 즉, 고정문(2)의 옆 통로(W)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써, 통로(W)가 폐쇄된다(도 3과 도 8 참고).
도 13 내지 도 15는 하부 개폐유도봉(400)의 작동을 보인 것으로, 슬라이딩 도어(1)가 개방된 상태에서 하부 개폐유도봉(400)의 자유단부는 슬라이딩홈(1a)의 입구측에 배치되어 있다.
슬라이딩 도어(1)가 폐쇄 동작하다가 도 12의 위치에 도달하면, 하부 개폐유도봉(400)의 자유단부는 도 14와 같이 슬라이딩홈(1a)의 걸림부(1b)에 걸리게 되고, 슬라이딩 도어(1)가 도 12에서 도 8의 상태로 변할 때 하부 개폐유도봉(400)의 자유단부가 걸림부(1b)를 따라 회전하게 된다(도 15참고). 이와 같이 하부 개폐유 도봉(400)의 회전에 의해 탄성부재(410)는 탄성변형되어 하부 개폐유도봉(400)을 도 13의 위치로 복귀하도록 지지하게 있다.
한편, 도 15의 상태에서 통로(W)를 개방하기 위하여 슬라이딩 도어(1)가 개방 동작할 때, 슬라이딩 도어(1)에는 탄성부재(410)의 복원력을 도와주는 방향의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탄성부재(410)의 복원력을 통해 하부 개폐유도봉(400)이 슬라이딩 도어(1)를 개방 위치로 밀게 되므로 슬라이딩 도어(1)의 개방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슬라이딩 도어의 동작을 보인 평면도.
도 2a와 도 2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 개폐장치의 동작을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 개폐장치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 개폐장치의 요부 발췌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 개폐장치에 적용된 선회안내부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 개폐장치에 적용된 하부 개폐유도부재의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 개폐장치에 적용된 슬라이딩 바의 설치 상태 단면도.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 개폐장치에 의한 슬라이딩 도어의 개방 동작을 보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 개폐장치에 의한 슬라이딩 도어의 폐쇄 동작을 보인 도면.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 개폐장치에 적용된 하부 개폐유도부재의 작동을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슬라이딩 도어, 2 : 고정문
100 : 구동원, 110 : 슬라이딩 바
120 : 구동풀리, 130 : 종동풀리
140 : 와이어, 200 : 슬라이딩부
210 : 슬라이딩 바, 220 : 와이어 고정부
230 : 래크, 300 : 선회부
310 : 곡선형 안내부, 320 : 안내핀
330 : 베어링, 340 : 피니언
400 : 개폐유도봉, 410 : 탄성부재

Claims (9)

  1. 구동원(100)과;
    상기 구동원에 의해 발생되는 동력에 의해 직선 왕복 이동하는 슬라이딩부(200)와; 그리고,
    슬라이딩 도어(1)의 상부에 고정되며 상기 슬라이딩부와 함께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함과 아울러 상기 슬라이딩 도어가 상기 슬라이딩 도어에 근접되는 고정문의 이면측으로 이동되어 통로(W)를 개방토록 안내하고 상기 고정문의 이면에서 상기 고정문과 일직선으로 배열되어 상기 통로를 폐쇄토록 안내하는 선회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선회부(300)는, 상기 슬라이딩부에 형성되는 곡선형 안내부(310), 상기 슬라이딩 도어에 고정되며 상기 곡선형 안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내핀(320),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이동 경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안내핀을 통해 상기 슬라이딩 도어가 상기 고정문의 이면측으로 이동되도록 하거나 상기 고정문의 옆으로 이동되도록 유도하는 스토퍼(5,6)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 개폐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저부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이동을 유도하는 하부 개폐유도부재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 개폐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부 개폐유도부재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와 고정문 사이의 저부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측의 자유단부가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저부에 일측이 막히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딩홈(1a)에 끼워져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이동시 회전하는 하부 개폐유도봉(400), 상기 하부 개폐유도봉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4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 개폐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회부는 상기 안내핀이 고정되어 상기 안내핀의 이동에 의해 제자리 회전하는 베어링(330)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 개폐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에 설치되는 래크(230), 상기 베어링의 둘레부에 형성되며 상기 래크에 치합되는 피니언(340)으로 구성된 선회안내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 개폐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은, 구동모터,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상부에 무한궤도로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에 의해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동력전달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 개폐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200)는 상기 곡선형 안내부가 형성되는 슬라이딩 바(210), 상기 슬라이딩 바에 형성되며 상기 동력전달부재에 고정되는 고정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 개폐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바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1)의 상부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하나 이상의 롤러(240,25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 개폐장치.
KR1020090021550A 2009-03-13 2009-03-13 슬라이딩 도어 개폐장치 KR101055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1550A KR101055680B1 (ko) 2009-03-13 2009-03-13 슬라이딩 도어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1550A KR101055680B1 (ko) 2009-03-13 2009-03-13 슬라이딩 도어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3112A KR20100103112A (ko) 2010-09-27
KR101055680B1 true KR101055680B1 (ko) 2011-08-09

Family

ID=43007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1550A KR101055680B1 (ko) 2009-03-13 2009-03-13 슬라이딩 도어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56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571B1 (ko) * 2010-12-10 2011-03-31 이붕희 랙 피니언과 캠블럭을 이용한 실드룸용 풀 오토 실드 도어
CN112431503B (zh) * 2020-11-26 2024-07-02 广东图特精密五金科技股份有限公司 联动机构及平趟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1643Y1 (ko) * 1994-04-23 1998-12-15 전성원 슬라이딩 도어상부의 롤러아암작동구조
KR200417213Y1 (ko) * 2006-03-06 2006-05-25 이동명 가구용 도어 개폐장치
JP2007309063A (ja) * 2006-04-19 2007-11-29 Dia Kensetsu Co Ltd ドア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1643Y1 (ko) * 1994-04-23 1998-12-15 전성원 슬라이딩 도어상부의 롤러아암작동구조
KR200417213Y1 (ko) * 2006-03-06 2006-05-25 이동명 가구용 도어 개폐장치
JP2007309063A (ja) * 2006-04-19 2007-11-29 Dia Kensetsu Co Ltd ドア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3112A (ko) 2010-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5421B1 (ko) 좁은 회전 반경을 갖는 접이식 여닫이 도어장치
US20090025296A1 (en) Sliding door and window operating system
KR20070066830A (ko) 시스템창호 개폐장치
JPWO2008114344A1 (ja) エレベータの出入口装置
KR101055680B1 (ko) 슬라이딩 도어 개폐장치
KR20120134768A (ko) 미닫이문 연동 개폐 장치
KR200450752Y1 (ko) 직선운동기구와 링크장치를 이용한 접이식 자동문
KR101798987B1 (ko) 자동문 도어 구동장치
JP2014189040A (ja) 可動扉装置
JP6195588B2 (ja) ホーム柵
JP4834140B2 (ja) ダブルスライド式プラットホームゲート
JP2008280034A5 (ko)
JP4089879B2 (ja) 扉の異物引き込み防止装置
JP2003193743A (ja) 自動ドア
KR20140105164A (ko) 욕실용 도어 힌지
JP6238196B2 (ja) 引戸装置
JP4180625B2 (ja) 連動引分式折戸装置
JP6729909B2 (ja) エレベーターのドア開閉装置
KR200385183Y1 (ko) 슬라이딩 타입 게이트 장치
KR200388229Y1 (ko) 자동 도어
JP4219767B2 (ja) ダブルスライド式プラットホームゲート
JP7446175B2 (ja) 電動式の円弧状ドア装置
KR200463601Y1 (ko) 자동 미닫이문 장치
CN214616113U (zh) 一种自动屏蔽门装置
US698852A (en) Sliding d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