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5007B1 - Opening mechanism of cover body and car accessory box - Google Patents
Opening mechanism of cover body and car accessory box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55007B1 KR101055007B1 KR1020090030258A KR20090030258A KR101055007B1 KR 101055007 B1 KR101055007 B1 KR 101055007B1 KR 1020090030258 A KR1020090030258 A KR 1020090030258A KR 20090030258 A KR20090030258 A KR 20090030258A KR 101055007 B1 KR101055007 B1 KR 10105500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d
- cover
- cover body
- opening
- rac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4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do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8—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 B60R7/087—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for stowing money or valuables, e.g. using saf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8—Non-removable lids or covers pivoted for movement in plane of container mouth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26—Mechanisms for opening or closing, e.g. pedal-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과제) 코인 등이 들어갔을 때에 끄집어내기 위한 제거부재를 구비하면서, 덮개체의 수용부의 공간절약(성스페이스)을 도모할 수 있는 덮개체의 개폐기구 및 차량용 소품상자를 얻는다.(Problem) With the removal member for taking out when a coin etc. enters, the cover opening / closing mechanism and vehicle accessory box which can achieve the space saving (sex sp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of a cover body are obtained.
(해결수단) 덮개체(18)의 후단부에 부착된 제거부재(38)를 샤프트(34)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서, 덮개체(18)의 폐지상태를 유지시키는 로크장치(66)의 로크해제시에 제거부재(38)가 플랜지부(12A)에 맞닿더라도 제거부재(38)가 하측으로 향해서 회전할 뿐이므로, 상기 제거부재(38)를 덮개체(18)의 후단부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덮개체(18)의 후단부와 커버부재(102)의 내벽면(102A)과의 틈새를 좁히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커버부재(102)의 배면이 팽창되는 것을 작게 할 수 있다.(Solution means) The removal member 38 attached to the rear end of the lid 18 is made rotatable about the shaft 34. As a result, even when the removal member 38 abuts against the flange portion 12A at the time of unlocking the lock device 66 which maintains the closed state of the lid 18, the removal member 38 can rotate downward. Since only this removal member 38 is provided in the rear end of the cover body 18, it becomes possible. Therefore, the gap between the rear end of the lid 18 and the inner wall surface 102A of the cover member 102 can be narrowed, and the expansion of the back surface of the cover member 102 can be made small.
Description
본 발명은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덮개체를 개폐시키는 덮개체의 개폐기구 및 차량용 소품상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of the cover body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over body rotatably supported by the main body and a vehicle accessory box.
자동차의 센터 콘솔에 설치된 차량용 소품상자 등의 용기홀더에는 이른바 래치장치를 구비한 푸시 오픈 타입의 것이 있다. 또, 용기홀더에는 본체의 후방벽을 덮는 커버부재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커버부재와 본체의 사이에 덮개체가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Container holders such as vehicle accessory boxes installed in the center console of automobiles are of the push-open type provided with a so-called latch device. Moreover, the container holder is provided with the cover member which covers the rear wall of the main body, and the cover body is accommodated between this cover member and the main body.
이와 같이 커버부재와 본체의 사이에 덮개체가 수용되는 타입에서는, 덮개체가 수용되는 수용부의 공간절약화(성스페이스화)를 위해서, 덮개체의 회전중심축을 2축으로 하고 있는 것도 있다(특허문헌 1).As described above, in the type in which the cover body is accommodated between the cover member and the main body, the rotational center axis of the cover body is set to two axes in order to save space (spare space) of the housing portion in which the cover body is accommodated (Patent Document 1). ).
그리고, 특허문헌 1에서는, 커버부재와 본체의 사이에 덮개체가 수용되도록 되어 있는 용기홀더에 있어서, 커버부재와 덮개체의 틈새로 코인 등이 들어갔을 때 에 이 코인 등을 꺼내기 위해서, 덮개체의 후단부(회전중심부측)에는 빗살형상으로 형성된 제거부재를 고정시키고 있다.In Patent Literature 1, in a container holder in which a lid is accommodated between the cover member and the main body, the coin or the like is taken out when a coin or the like enters a gap between the cover member and the lid body. On the rear end (rotational center side), a removal member formed in the shape of a comb teeth is fixed.
그러나, 푸시 오픈 타입의 용기홀더에서는, 덮개체를 개폐조작할 때에 이 덮개체의 자유단부측을 덮개체의 폐지위치보다도 하측으로 이동시키는(푸시 스트로크)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덮개체의 후단부측에 위치하는 제거부재측이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However, in the push-open type container holder, when the lid is opened and closed, the free end of the lid is moved below the closed position of the lid (push stroke). The removal member side positioned at the side moves upward.
용기홀더를 수용하는 수용부에는 그 상단부에 내측으로 향해서 돌출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제거부재측이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거부재가 상기 플랜지부와 간섭하게 된다. 그러므로, 제거부재와 플랜지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 제거부재를 덮개체의 후단부보다도 하측에 형성할 필요가 있다.Since the accommodating part accommodating the container holder is provided with a flange portion protruding inward toward the upper end thereof, the removal member interferes with the flange part when the removal member side moves upward as described above. Therefore, in order to avoid interference with the removal member and the flange portion, it is necessary to form the removal member below the rear end of the lid.
한편, 덮개체의 이동궤적에 있어서, 커버부재와 제거부재의 간극을 일정하게 유지하여야 하고, 또한 커버부재는 덮개체의 이동궤적을 따라서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거부재를 덮개체의 후단부보다도 하측에 형성함에 의해서 제거부재를 길게 형성하지 않으면 안되게 되며, 결과적으로는 덮개체의 수용부의 공간절약화를 만족하게 도모할 수 없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lid, the clearance between the cover member and the removal member must be kept constant, and since the cover member is formed in an arc shape along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lid, the removal member is placed after the lid. The removal member must be formed longer than the end portion, and as a result, it is impossible to satisfactorily save space in the accommodation portion of the lid.
특허문헌 1 : 일본국 공개특허 2005-47434호 공보 Patent Document 1: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5-47434
본 발명은 상기한 사실을 고려하여, 코인 등이 들어갔을 때에 끄집어내기 위한 제거부재를 구비하면서, 덮개체의 수용부의 공간절약을 도모할 수 있는 덮개체의 개폐기구 및 차량용 소품상자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f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d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and a vehicle accessory box that can be provided with a removal member for pulling out when a coin or the like enters, and can save space in the accommodation portion of the lid. It is a task.
본 발명의 제 1 특징은, 덮개체의 개폐기구에 있어서,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본체의 개구부를 개방하였을 때, 상기 본체의 외벽의 외측에 설치된 커버부재와 상기 외벽과의 사이에 수용되는 덮개체와; 상기 덮개체의 폐지상태를 유지하며, 덮개체의 자유단부측을 누르면 폐지상태를 해제하는 로크수단과; 상기 덮개체의 회전중심부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덮개체와 상기 커버부재와의 틈새를 메움과 아울러, 덮개체의 자유단부측을 눌렀을 때 커버부재의 일부 또는 본체가 부착되는 피부착부재의 일부에 맞닿아서 회전하는 제거부재와; 상기 제거부재를 상측으로 탄지하는 제 1 탄지수단과; 상기 제거부재를 소정의 위치에서 회전규제하는 규제부재를 가진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opening / closing mechanism of a cover member, the cover member is rotatably supported by a main body and, when the opening of the main body is opened, between the cover member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outer wall of the main body and the outer wall. A cover body accommodated; Locking means for maintaining a closed state of the cover body and releasing the closed state by pressing a free end side of the cover body; It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rotation center side of the cover body, the gap between the cover body and the cover member, and when the free end side of the cover body when the part of the cover member attached to the body or the body is attached A removal member which rotates in contact with a part; First gripping means for gripping the removal member upward; And a regulating member for regulating rotation of the removal member at a predetermined position.
상기한 제 1 특징의 발명에서는, 본체에는 덮개체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어 상기 본체의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다. 덮개체를 개방하면, 본체의 외벽의 외측에 설치된 커버부재와 상기 외벽과의 사이에 덮개체가 수용된다. 또, 덮개체는 로크수단에 의해서 폐지상태가 유지되며, 덮개체의 자유단부측을 누르면 상기 폐지 상태가 해제된다.In the above invention of the first aspect, the cover body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main body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main body can be opened and closed. When the cover body is opened, the cover body is accommodated between the cover member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outer wall of the main body and the outer wall. In addition, the lid is kept in a closed state by the locking means, and pressing the free end side of the lid releases the canceled state.
또한, 덮개체의 회전중심부측에는 제거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덮개체와 커버부재와의 틈새를 메움과 아울러, 덮개체의 자유단부측을 눌렀을 때 커버부재의 일부 또는 본체가 부착되는 피부착부재의 일부에 맞닿아서 회전한다.In addition, the removal member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rotation center side of the cover body, and fills the gap between the cover body and the cover member, and when the free end side of the cover body is pressed, a part of the cover member or the body is attached. Rotates in contact with a part of the attachment member.
상기 제거부재에 의해서, 덮개체와 커버부재의 사이의 틈새로 코인 등이 들어갔다 하더라도 상기 코인 등을 끄집어낼 수 있다. 상기 제거부재를 제 1 탄지수단에 의해서 상측으로 탄지하고, 규제부재에 의해서 제거부재를 소정의 위치에서 회전규제하고 있다.By the removal member, even if a coin or the like enters the gap between the lid and the cover member, the coin or the like can be taken out. The removing member is held upward by the first holding means, and the removing member is rotationally regula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y the restricting member.
로크수단에 의한 폐지상태의 해제시에 덮개체의 자유단부측을 눌렀을 때, 덮개체의 회전중심부측이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지만, 제거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였기 때문에, 커버부재의 일부 또는 본체가 부착되는 피부착부재의 일부에 제거부재가 맞닿았다 하더라도 상기 제거부재는 하측으로 행해서 회전할 뿐이다. When the free end side of the cover body is pressed when the closed state is released by the locking means, the rotation center side of the cover body moves upward, but since the removal member is rotatably supported, part or the main body of the cover member Even if the removal member is in contact with a part of the skin attachment member to be attached, the removal member merely rotates downward.
그러므로, 커버부재 또는 피부착부재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 상기 제거부재를 덮개체의 회전중심부(후단부)보다 하측으로 낮춰진 위치에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덮개체의 회전중심부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Therefore, in order to avoid interference with the cover member or the adherent member, it is not necessary to install the removal member at a position lowered below the rotation center portion (rear end portion) of the cover body, and it is possible to install it at the rotation center portion of the cover body. do.
이것에 의해서, 커버부재와의 틈새를 일정하게 유지한 채로 제거부재의 길이를 필요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덮개체의 수용부의 공간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덮개체를 이른바 2축 타입으로 하였을 때에 덮개체의 수용부의 공간절약화라는 효과를 충분히 살릴 수 있다.As a result, the length of the removal member can be minimized while keeping the gap with the cover member constant. Therefore, the sp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of the lid can be reduced, and the effect of the space saving of the accommodating part of the lid can be fully utilized when the lid is of a so-called biaxial type.
본 발명의 제 2 특징은, 상기한 제 1 특징에 기재된 덮개체의 개폐기구에 있어서, 상기 제거부재는 그 자유단부측이 회전중심부측보다도 상측이 되도록 배치된다.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of the lid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wherein the removal member is disposed so that its free end side is higher than the rotation center side.
제거부재를 덮개체의 회전중심부에서 수평으로 돌출시킨 경우, 덮개체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는 제거부재가 하측으로 향하게 되며, 따라서 덮개체와 커버부재와의 사이의 틈새를 메우기 위해서는 커버부재의 바닥부까지 제거부재를 연장시켜야 하기 때문에, 결국 제거부재가 길어지게 된다.When the removal member protrudes horizontally from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cover body, the removal member faces downward when the cover body is fully open, and thus, to fill the gap between the cover body and the cover member, to the bottom of the cover member. Since the removal member must be extended, the removal member eventually becomes long.
그러나, 상기한 제 2 특징의 발명에서는, 제거부재의 자유단부측이 회전중심부측보다도 상측이 되도록 배치함으로써, 덮개체(18)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도 제거부재가 상측으로 향해서 경사진 상태로 되기 때문에, 덮개체와 커버부재와의 사이의 틈새를 메우기 위한 거리를 짧게 할 수 있다.However, in the invention of the second aspect described above, the free end side of the removal member is disposed above the rotation center side so that the removal member is inclined upwardly even when the
본 발명의 제 3 특징은, 상기한 제 1 특징 또는 제 2 특징에 기재된 덮개체의 개폐기구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내벽면에는 상기 제거부재의 이동궤적을 따라서 리브가 소정의 피치로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리브의 사이에 상기 제거부재에 형성된 제거판이 끼워져 있다.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of the lid according to the first or second aspect, a plurality of ribs are form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over member at a predetermined pitch along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removal member. A removal plate formed in the removal member is sandwiched between the ribs.
상기한 제 3 특징의 발명에서는, 커버부재의 내벽면에 제거부재의 이동궤적을 따라서 리브를 소정의 피치로 복수개 형성하고 있으며, 리브의 사이에 제거부재에 형성 된 제거판이 끼워지도록 하고 있다.In the above-described invention of the third aspect, a plurality of ribs are form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over member at a predetermined pitch along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removal member, and the removal plate formed on the removal member is sandwiched between the ribs.
제거부재를 장척상의 부재로 형성하여도 좋지만, 커버부재의 내벽면에 복수개의 리브를 형성함으로써, 커버부재의 내벽면이 이른바 빗살형상으로 되며, 덮개 체와 커버부재와의 사이로 물건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Although the removal member may be formed as a long member, by forming a plurality of ribs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over member,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over member becomes a so-called comb shape, and prevents an object from entering between the cover body and the cover member. can do.
본 발명의 제 4 특징은, 상기한 제 1 특징 내지 제 3 특징 중 어느 하나의 특징에 기재된 덮개체의 개폐기구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는 축판을 가지며, 상기 축판에 형성된 섹터기어와; 상기 본체의 측벽의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섹터기어가 맞물리는 제 1 래크와; 상기 덮개체의 개폐시에 상기 섹터기어가 상기 제 1 래크에 맞물려서 이동하도록 덮개체를 유지하는 유지수단;을 구비한다.A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of a cover body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irst to third features described above, wherein the cover body has a shaft plate and a sector gear formed on the shaft plate; A first rack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of the side wall of the main body, the first gear engaging with the sector gear; And holding means for holding the lid so that the sector gear moves in engagement with the first rack when the lid is opened and closed.
상기한 제 4 특징의 발명에서는, 덮개체가 축판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축판에는 섹터기어를 형성하고 있다. 한편, 본체의 측벽에는 그 상하방향으로 제 1 래크가 형성되며, 이 제 1 래크에 섹터기어가 맞물린다. 그리고, 유지수단에 의해서 덮개체의 개폐시에 섹터기어가 제 1 래크에 맞물려서 이동하도록 덮개체가 유지되며, 이것에 의해서 덮개체의 개폐시에 섹터기어가 상기 제 1 래크를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In the invention of the fourth aspect, the cover has a shaft, and the shaft is formed with a sector gear. On the other hand, a first rack is formed on the side wall of the main body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sector gear is engaged with the first rack. Then, the lid is held by the holding means so that the sector gear moves in engagement with the first rack when the lid is opened and closed, whereby the sector gear moves up and down along the first rack when the lid is opened and closed. .
덮개체를 개방시킬 때에, 덮개체의 축판이 섹터기어를 통해서 회전하면서 제 1 래크를 따라서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덮개체의 회전중심부측의 이동궤적에 의한 커버부재측으로의 곡율을 작게 할 수 있어, 덮개체의 수용부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When opening the cover body, the shaft plate of the cover body moves downward along the first rack while rotating through the sector gear. Therefore, the curvature to the cover member side by the movement trace of the rotation center part side of a cover body can be made small, and the sp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of a cover body can be made small.
본 발명의 제 5 특징은, 상기한 제 4 특징에 기재된 덮개체의 개폐기구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탄지하는 제 2 탄지수단과; 상기 제 1 래크와 평행하게 형성된 제 2 래크와; 상기 섹터기어에 설치되며, 상기 제 2 래크와 맞물려서 상기 제 2 탄지수단에 의한 탄지력을 감쇠시키는 댐퍼기어;를 구비한다.According to a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opening / closing mechanism of a lid according to the fourth aspect, comprising: a second holding means for holding in the direction of opening the lid; A second rack form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rack; And a damper gear disposed in the sector gear and engaged with the second rack to attenuate the holding force by the second finger holding means.
상기한 제 5 특징의 발명에서는, 제 2 탄지수단에 의해서 덮개체가 개방하는 방향으로 탄지되어 있다. 따라서, 로크수단에 의한 폐지상태가 해제되면, 제 2 탄지수단에 의해서 덮개체가 자동적으로 개방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In the above invention of the fifth aspect, the second holding means is suppor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lid is opened. Therefore, when the closed state by the locking means is released, the lid body automatically moves in the opening direction by the second holding means.
여기서, 제 1 래크와 거의 평행하게 제 2 래크를 형성하고, 섹터기어에는 이 제 2 래크와 맞물려서 제 2 탄지수단에 의한 탄지력을 감쇠시키는 댐퍼기어를 설치하고 있다. 덮개체가 개방될 때에는 섹터기어가 제 1 래크를 따라서 이동하게 되는데, 이 때 섹터기어에 설치된 댐퍼기어가 제 2 래크를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Here, a second rack is formed substantially in parallel with the first rack, and a damper gear is provided in the sector gear that meshes with the second rack and attenuates the holding force by the second holding means. When the cover is opened, the sector gear moves along the first rack. At this time, the damper gear installed in the sector gear moves along the second rack.
즉, 제 2 탄지수단에 의한 탄지력이 감쇠된 상태로 덮개체가 개방되기 때문에, 덮개체가 천천히 개방되고 또한 조용히 이동함으로써 고급감을 얻을 수 있다. That is, since the cover body is opened in a state in which the finger force by the second fingering means is attenuated, a high sense can be obtained by slowly opening the cover body and moving it quietly.
한편, 제 2 탄지수단 또는 댐퍼기어는 유지수단을 겸비할 수도 있다. 제 2 탄지수단을 유지수단으로서 겸용시킬 경우, 제 2 탄지수단의 일단부를 섹터기어가 형성된 축판측에 장착하고 타단부를 본체측에 장착하여, 섹터기어를 제 1 래크측으로 탄지하도록 한다. 또, 댐퍼기어를 유지수단으로서 겸용시킬 경우, 섹터기어가 맞물리는 제 1 래크의 톱니부와 댐퍼기어가 맞물리는 제 2 래크의 톱니부를 대면시킨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holding means or the damper gear may also have a holding means. When the second holding means is also used as the holding means, one end of the second holding means is mounted on the shaft plate side on which the sector gear is formed, and the other end is mounted on the main body side, so that the sector gear can be held on the first rack side. When the damper gear is also used as the holding means, the teeth of the first rack with which the sector gears are engaged and the teeth of the second rack with the damper gears face each other.
본 발명의 제 6 특징은, 상기한 제 1 특징 내지 제 3 특징 중 어느 하나의 특징에 기재된 덮개체의 개폐기구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는 축판을 가지며, 상기 축판에 형성된 원호형상 기어와; 상기 본체의 측벽의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원호형상 기어가 맞물리는 원호형상 래크와; 상기 덮개체의 개폐시에 상기 원호형상 기어가 상기 원호형상 래크에 맞물려서 이동하도록 덮개체를 유지하는 유지수단 을 구비한다.A 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of a cover body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irst to third features described above, wherein the cover body has a shaft plate and an arc-shaped gear formed on the shaft plate; An arc-shaped rack provided in an up-down direction of the side wall of the main body, the arc-shaped gear being engaged with the arc-shaped gear; And holding means for holding the lid so that the arc-shaped gear moves in engagement with the arc-shaped rack when the lid is opened or closed.
상기한 제 6 특징의 발명에서는, 덮개체는 축판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축판에는 원호형상 기어를 형성하고 있다. 한편, 본체의 측벽에는 그 상하방향으로 원호형상 래크가 설치되며, 이 원호형상 래크에 원호형상 기어가 맞물린다. 그리고, 유지수단에 의해서 덮개체의 개폐시에 원호형상 기어가 원호형상 래크에 맞물려서 이동하도록 덮개체가 유지되며, 이것에 의해서 덮개체의 개폐시에 원호형상 기어가 상기 원호형상 래크를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In the invention of the sixth aspect described above, the cover member has a shaft plate, and the shaft plate is formed with an arc-shaped gear. On the other hand, an arc-shaped rack is provided on the side wall of the main body in an up-down direction, and an arc-shaped gear meshes with the arc-shaped rack. The lid is held by the holding means so that the arc-shaped gear moves in engagement with the arc-shaped rack when the lid is opened and closed, whereby the arc-shaped gear moves up and down along the arc-shaped rack when the lid is opened and closed. Move.
덮개체를 개방시킬 때에, 덮개체의 축판이 원호형상 기어를 통해서 회전하면서 원호형상 래크를 따라서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덮개체의 후단부의 이동궤적에 의한 커버부재측으로의 곡률을 작게 할 수 있어, 덮개체 수용부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When the lid is opened, the shaft plate of the lid moves downward along the arc rack while rotating through the arc gear. Therefore, the curvature to the cover member side by the movement trace of the rear end part of a lid can be made small, and the space of a lid body accommodating part can be made small.
본 발명의 제 7 특징은, 상기한 제 6 특징에 기재된 덮개체의 개폐기구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탄지하는 제 3 탄지수단과; 상기 원호형상 기어에 설치되며, 상기 제 3 탄지수단에 의한 탄지력을 감쇠시키는 댐퍼기어와; 상기 본체의 측벽에 설치되며, 상기 댐퍼기어와 맞물리는 고정기어;를 구비한다.According to a sev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of a lid according to the sixth aspect, comprising: a third holding means for holding in the direction of opening the lid; A damper gear installed in the arc-shaped gear, the damper gear damping the holding force by the third holding means; It is provided on the side wall of the main body, and a fixed gear that is engaged with the damper gear.
상기한 제 7 특징의 발명에서는, 제 3 탄지수단에 의해서 덮개체가 개방하는 방향으로 탄지되어 있다. 따라서, 로크수단에 의한 폐지상태가 해제되면, 제 3 탄지수단에 의해서 덮개체가 자동적으로 개방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In the invention of the seventh aspect described above, the third holding means is suppor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lid is opened. Thus, when the abolished state by the locking means is released, the lid body automatically moves in the opening direction by the third finger holding means.
여기서, 원호형상 기어에는 제 3 탄지수단에 의한 탄지력을 감쇠시키는 댐퍼기어를 설치하고 있다. 또, 본체의 측벽에는 댐퍼기어와 맞물리는 고정기어를 설치 하고 있다. 덮개체가 개방될 때에는 원호형상 기어가 원호형상 래크를 따라서 이동하게 되는데, 이 때 원호형상 기어에 설치된 댐퍼기어가 고정기어와 맞물린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Here, the arc-shaped gear is provided with a damper gear for damping the holding force by the third fingering means. Moreover, the fixed gear which meshes with a damper gear is provided in the side wall of a main body. When the cover is opened, the arc-shaped gear moves along the arc-shaped rack. At this time, the damper gear installed in the arc-shaped gear moves in engagement with the fixed gear.
즉, 제 3 탄지수단에 의한 탄지력이 감쇠된 상태로 덮개체가 개방되기 때문에, 덮개체가 천천히 개방되고 또한 조용히 이동함으로써 고급감을 얻을 수 있다. That is, since the cover body is opened in a state in which the finger force by the third fingering means is attenuated, a sense of quality can be obtained by slowly opening the cover body and moving it quietly.
한편, 제 3 탄지수단 또는 댐퍼기어는 유지수단을 겸비할 수도 있다. 제 3 탄지수단을 유지수단으로서 겸용시킬 경우, 제 3 탄지수단의 일단부를 원호형상 기어가 형성된 축판측에 장착하고 타단부를 본체측에 장착하여, 원호형상 기어를 제 2 래크측으로 탄지하도록 한다. 또, 댐퍼기어를 유지수단으로서 겸용시킬 경우, 원호형상 기어가 맞물리는 원호형상 래크의 톱니부의 내측에 고정기어를 고정시킨다.On the other hand, the third holding means or the damper gear may also have a holding means. When the third holding means is also used as the holding means, one end of the third holding means is mounted on the shaft plate side in which the arc-shaped gear is formed, and the other end is mounted on the main body side, so that the arc-shaped gear is held on the second rack side. In the case where the damper gear is also used as the holding means, the fixed gear is fixed inside the toothed portion of the arc-shaped rack to which the arc-shaped gear is engaged.
본 발명의 제 8 특징은, 차량용 소품상자에 있어서, 상기한 제 1 특징 내지 제 7 특징 중 어느 하나의 특징에 기재된 덮개체의 개폐기구를 구비하고 있다.An eighth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vehicle accessory box comprising a cover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irst to seventh features described above.
상기한 제 8 특징의 발명에서는, 차량용 소품상자에 있어서, 상기한 제 1 특징 내지 제 7 특징 중 어느 하나의 특징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와 거의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e invention of the eighth aspect described above, in the vehicle accessory box, almost the same effects as thos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any one of the first to seventh aspects described above can be obtained.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코인 등이 틈새로 들어갔을 때에 이것을 끄집어내기 위한 제거부재를 구비하면서, 덮개체 수용부의 공간절약(성스페이스)을 도모할 수 있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achieve space saving (sex space) of the lid accommodating portion while having a removal member for pulling out a coin or the like when it enters the gap.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drawing.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차량용 소품상자로서의 용기홀더(10)가 도시되어 있다. 용기홀더(10)는 도시하지 않은 차량의 운전석과 조수석의 사이에 배치된 센터 콘솔에 배치되어 있으며, 센터 콘솔에 오목하게 형성된 피부착부재(12)(도 8 참조) 내에 수납 가능하게 되어 있다.1, the
용기홀더(10)는 용기 등을 유지하는 상자형상의 본체(14)와, 이 본체(14)의 개구부(16)를 개폐하는 덮개체(18)로 크게 구분되어 있다. 덮개체(18)는 대략 평판형상의 기체(基體)(20)와, 이 기체(20)의 상면을 덮는 커버부(22)로 구성되어 있으며, 커버부(22)가 차량측으로 노출되는 의장부가 된다.The
기체(20)의 상면에는 격자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리브(24)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기체(20)의 변형 등을 방지함과 아울러 기체(20)의 강도를 높이고 있다. 또, 도 1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체(20)의 전단부(자유단부) 및 후단부(회전중심부)에는 외측으로 향해서 돌조부(26)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돌조부(26)가 커버부(22)에 형성된 걸림구멍(28)에 걸림 가능하게 되어 있다. On the upper surface of the
기체(20)의 돌조부(26)가 커버부(22)의 걸림구멍(28)에 걸린 상태에서 기체(20)와 커버부(22)가 일체화된다{이하, 덮개체(18)라 한다}. 여기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체(18)의 상면에는 돌기부(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돌기부(30)가 덮개체(18)의 자유단부측인 것을 나타내는 표적이 되고 있다. The
덮개체(18)의 폭방향(차량의 폭방향)의 후단부측의 양 단부에는 이 덮개체(18)의 하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후 외측으로 향해서 수평하게 굴곡되는 유지편(32)이 형성되어 있다.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유지편(32)의 기단부에는 샤프트(34)가 장착되어 있다.At both ends of the rear end side of the
상기 샤프트(34)의 중앙부는 덮개체(18)에 형성된 지지부(35)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도 10 참조), 또 샤프트(34)에는 도 1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샤프트(34)의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서 판형상의 규제부재(108)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이 규제부재(108)에는 직사각형상의 제거판(36)이 소정의 피치로 배치된 제거부재(38)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The central portion of the
또, 상기 유지편(32)의 선단부에는 상기 덮개체(18)와 평행하게 또한 덮개체(18)의 상면에 대해서 직교하도록 대략 부채꼴형상의 축판(40)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이 축판(40)을 통해서 덮개체(18)가 개폐된다.Moreover, the substantially flat fan-shaped
여기서, 덮개체(18)를 개폐시키는 개폐기구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 the opening / closing mechanism which opens and closes the
《덮개체의 개폐기구》<< opening and shutting mechanism of cover body >>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판(40)의 원호부분에는 기어(4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른바 섹터기어(42)로 되어 있다{이하, "섹터기어(42)"라 한다}. 또, 축판(40)의 중앙부에는 부착구멍(44)이 형성되어 있으며, 주지의 댐퍼 유니트(46)가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and FIG. 2, the
상기 댐퍼 유니트(46)는 댐퍼기어(48)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댐퍼기어(48)의 회전에 의해서 댐퍼 유니트(46)의 본체(50)에 수용된 로터부가 회전하게 되고, 실리콘 오일 등의 점성부재에 의한 점성력 등에 의해서 감쇠력을 얻는 구성이다.The
한편, 본체(14)의 측벽(14A)의 중앙부에는 완만한 원호형상의 래크(제 1 래크)(52)가 이 측벽(14A)의 상부에서 중앙부로 향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 래크(52)의 동심원상에는 래크(제 2 래크)(54)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래크(54)는 래크 받침대(55)에 형성되며, 래크(52)의 톱니부(52A)와 래크(54)의 톱니부(54A)가 대면하고 있다. 또, 래크 받침대(55)에 있어서의 래크(52)와 래크(54)의 사이에는 원호구멍(55A)(후술한다)이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 gentle arc-shaped rack (first rack) 52 is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본체(14)의 측벽(14A)에는 개구부(56)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개구부(56)를 통해서 축판(40)이 측벽(14A)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되며, 축판(40)의 섹터기어(42)가 래크(52)의 톱니부(52A)와 맞물림 가능하게 되어 있다. 섹터기어(42)는 래크(52)를 따라서 측벽(14A)의 상부와 중앙부의 사이를 이동함과 동시에 섹터기어(42)가 형성되어 있는 각도만큼 회전하게 되며, 이것에 수반하여 덮개체(18)가 개폐이동한다. An opening 56 is formed in the
또, 섹터기어(42)가 래크(52)의 톱니부(52A)와 맞물린 상태에서 댐퍼기어(유지수단)(48)가 래크(54)의 톱니부(54A)와 맞물림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서 섹터기어(42)가 래크(52)에서 빠지는 일 없이, 래크(52)에 맞물려서 이동하도록 덮개체(18)를 유지할 수 있다.Further, the damper gear (holding means) 48 can engage with the
또, 댐퍼기어(48)의 선단부는 래크 받침대(55)에 형성된 원호구멍(55A) 내에 수용되어 래크 받침대(55)와의 간섭을 회피하고 있다. 그리고, 이 댐퍼기어(48)가 래크(54)를 따라서 측벽(14A)의 상부와 중앙부의 사이를 이동함과 동시에 회전한다. In addition, the tip portion of the
한편, 본체(14)의 측벽(14A)의 상부에 있어서의 전방벽(14B)측에는 보스(58)가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이 보스(58)에 토션 스프링(60)의 중앙부를 외측에서 끼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보스(58)의 외주면에는 빠짐방지편(58A)이 돌출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토션 스프링(60)의 빠짐이 방지되도록 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a
또, 보스(58)의 상부 전방벽(14B)측에는 핀(62)이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이 핀(62)에 토션 스프링(60)의 일단부가 장착되어 있다. 토션 스프링(60)의 타단부는 축판(40)의 중앙부에 형성된 장착부(64)에 장착되어 있다. Moreover, the
그리고, 상기 토션 스프링(60)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체(18)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개방방향으로의 탄지력이 약간 남도록 하여 덮개체(18)의 완전개방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또,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체(18)가 폐지된 상태에서는 탄성력이 축적된 상태로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 the
따라서, 덮개체(18)의 자유단부측에는 로크장치(66)가 설치되어 있으며, 로크장치(66)에 의한 로크상태에서는 덮개체(18)가 토션 스프링(60)의 탄지력(복원력)에 의해서 개방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즉, 로크장치(66)에 의해서 덮개체(18)의 폐지상태가 유지되고, 로크장치(66)의 로크상태가 해제되면 토션 스프링(60)의 탄지력에 의해서 덮개체(18)가 개방된다. 이 토션 스프링(60)은 섹터기어(42)가 래크(52)에 맞물려서 이동하도록 덮개체(18)를 유지하는 유지수단으로서의 역할을 겸비할 수도 있다.Therefore, the
또한, 여기서는 로크장치(66)를 덮개체(18)의 자유단부측에 설치하였으나, 이 로크장치(66)는 덮개체(18)의 폐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면 되기 때문에, 반드 시 덮개체(18)의 자유단부측에 설치할 필요는 없다. In addition, although the
여기서, 로크장치(66)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 the
《로크장치》<< locking device >>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장치(66)는 본체(14)의 전방벽(14B)의 상단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도 5(A),(B) 및 도 6(A),(B)에 나타낸 바와 같이{여기서, (A)는 로크장치(66)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B)는 후술하는 캠홈(80)과 트레이스 핀(86)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상기 로크장치(66)는 로크 케이스(68)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로크 케이스(68)의 하부에는 대략 직육면체형상의 래치부재(70)가 수용되어 있다. 이 래치부재(70)에 의한 래치상태 및 래치해제상태(후술한다)에 의해서, 래치부재(70)의 상부에 배치된 대략 직육면체형상의 슬라이더(72)가 로크 케이스(68) 내에서 상하이동하도록 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5 (A), (B) and 6 (A), (B) (where (A)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그리고, 이 슬라이더(72)의 상하이동에 의해서 로크편(74)이 연동하여 회동이동하게 되고, 이 로크편(74)이 덮개체(18)에 형성된 로크홈(76)에 로크 또는 로크해제됨에 의해서 덮개체(18)가 폐지 또는 개방 가능하게 된다.Then, the
한편, 래치부재(70)는 래치 케이스(84)를 구비하고 있으며, 슬라이더(72)에 걸리는 탄성걸림편(78) 및 하트형 캠홈(80)이 형성된 래치 본체(82)가 상기 래치 케이스(84)에서 돌출 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캠홈(80)에는 이 캠홈(80)의 형상을 따라서 트레이스 핀(86)이 트레이스하도록 되어 있다. 이 트레이스 핀(86)은 판 스프링(88)에 의해서 캠홈(80)측으로 탄지 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트레이스 핀(86)이 캠홈(80)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고 있다.In the
그리고, 이 트레이스 핀(86)의 이동에 의해서 래치 본체(82)가 래치 케이스(84)에 대해서 상하이동한다. 또, 래치부재(70)에는 스프링(90)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래치부재(70)를 상측으로 탄지하고 있다.The
트레이스 핀(86)이 캠홈(80)의 걸림부(80A)에 걸린 상태에서는 래치 본체(82)가 래치 케이스(84) 내에 수용되고{도 6(A) 참조}, 트레이스 핀(86)이 캠홈(80)의 걸림부(80A)에 걸린 상태가 해제되면, 스프링(90)의 탄지력에 의해서 래치 본체(82)가 래치 케이스(84)에서 돌출되게 된다{도 5(A) 참조}.In the state where the
여기서,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걸림편(78)은 자연상태에서 래치 케이스(84)의 외측으로 향해서 벌어지도록 되어 있고, 래치 케이스(84)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탄성력이 축적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탄성걸림편(78)은 래치 케이스(84) 내로 수용됨에 따라서 서서히 내측으로 이동한다.Here, as shown in Fig. 5A, the elastic engaging
이 때,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더(72)의 하면에서 하측으로 돌출형성되는 피걸림편(92)이 탄성걸림편(78)에 걸리게 되며, 이들 탄성걸림편(78) 및 피걸림편(92)을 통해서 슬라이더(72)가 래치 본체(82)와 일체화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6 (A), the caught
한편, 슬라이더(72)의 중앙부에는 이 슬라이더(72)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수평방향)을 따라서 수평홈(9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수평홈(94)에는 대략 L자형상으로 형성된 로크편(74)의 일단부가 연결되며, 이 수평홈(94)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로크편(74)의 타단부측 근방에는 축지지부(96)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축지지부(96)가 로크 케이스(68)에 형성된 축부(98)에 축지지됨으로써 이 축부(98)를 중심으로 로크편(74)이 회전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 로크편(74)의 타단부는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체(18)가 폐지된 상태에서 슬라이더(72)의 상측에 위치하며, 덮개체(18)에 형성된 로크홈(76)에 로크 가능하게 되어 있다.The
로크편(74)은 슬라이더(72)의 상하이동에 연동하여 그 일단부가 수평홈(94)을 따라서 수평이동하게 됨으로써 축부(98)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슬라이더(72)의 상측으로의 이동에 의해서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편(74)의 타단부가 외측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즉, 로크홈(76)에서 빠지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로크편(74)과 로크홈(76)의 로크상태가 해제되게 되며, 따라서 덮개체(18)가 개방 가능하게 된다.The
한편, 로크편(74)과 로크홈(76)의 로크상태가 해제된 상태에서 덮개체(18)를 폐지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슬라이더(72)가 덮개체(18)에 의해서 눌려짐으로써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서 로크편(74)의 일단부가 슬라이더(72)의 수평홈(94) 내를 이동함으로써 로크편(74)의 타단부가 세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따라서 로크편(74)의 타단부가 덮개체(18)에 형성된 로크홈(76)에 로크되게 된다(도 6(A) 참조).On the other hand, when the
한편, 슬라이더(72)의 하측으로의 이동에 의해서 래치 본체(82)가 하측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트레이스 핀(86)이 캠홈(80)을 따라서 상측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이 트레이스 핀(86)이 캠홈(80)의 걸림부(80A)에 걸리게 된다. 이것에 의해서 덮개체(18)가 완전히 폐지되며, 이 폐지상태가 유지된다. On the other hand, the
여기서,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체(18)의 폐지상태에서는 덮개체(18)와 슬라이더(72)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것은 래치 본체(82)의 캠홈(80)의 걸림부(80A)와 트레이스 핀(86)과의 걸림상태에 의해서 슬라이더(72)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고, 덮개체(18)는 토션 스프링(60)에 의해서 개방방향으로의 탄지력이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Here, as shown in FIG. 6A, in the closed state of the
다음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덮개체의 개폐기구에 대해서 그 작용을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 movement is demonstrated about the opening / closing mechanism of the cover body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도 2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체(18)가 폐지된 상태에서 이 덮개체(18)의 돌기부(30)측을 누른다. 이것에 의해서 덮개체(18)의 자유단부측이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 덮개체(18)를 통해서 슬라이더(72)가 하측으로 향해서 눌려짐으로써 래치 본체(82)가 하측으로 이동한다.As shown in FIG.2 and FIG.6, in the state which the
이것에 의해서 캠홈(80)의 걸림부(80A)에 걸려 있던 트레이스 핀(86)이 걸림부(80A)에서의 걸림상태가 해제됨으로써(도 5(B) 참조), 스프링(90)의 탄지력에 의해서 래치 본체(82)가 래치 케이스(84)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게 된다.As a result, the
이 때, 슬라이더(72)도 함께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 슬라이더(72)의 이동에 수반하여 로크편(74)이 수평홈(94)을 따라서 이동함으로써, 로크편(74)의 타단부가 외측으로 경사지게 된다. 이것에 의해서 로크편(74)의 타단부가 덮개체(18)에 형성된 로크홈(76)에서 빠져서 이 로크홈(76)과의 로크상태가 해제됨으로써,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션 스프링(60)의 탄지력에 의해서 덮개 체(18)가 개방되게 된다. At this time, the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래치부재(70)에 의한 래치상태(실선) 또는 래치해제상태(가상선)가 되는 덮개체(18)의 회전각도 내에서는 덮개체(18)가 래크(52)의 곡율중심(P)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게 되지만, 래치가 해제된 후에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래크(52)의 곡율중심(P)을 중심으로 하여 덮개체(18)가 회전함과 동시에, 도 2∼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체(18)가 개방되면서 섹터기어(42)를 통해서 래크(52)를 따라서 축부(Q)를 하측으로 이동시킨다(이른바 2축 타입).As shown in FIG. 7, within the rotation angle of the
또, 래크(52)를 따라서 이동하는 섹터기어(42)의 이동시에는 댐퍼기어(48)가 래크(54)와 맞물린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토션 스프링(60)에 의한 탄지력은 감쇠된다. 따라서, 덮개체(18)가 천천히 개방되고 또한 조용히 이동함으로써 고급감을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이와 같이, 덮개체(18)의 폐지상태에서 개방상태까지의 사이에서 덮개체(18)의 축부(Q)의 위치를 하측으로 변경하여 감으로써, 덮개체(18)의 이동궤적에 의한 곡율을 작게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외측으로의 팽창을 작게 할 수 있다(후술한다).In this way, the curvature due to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이것에 의해서 덮개체(18)의 수용부(100)의 공간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2축 타입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덮개체(18)의 축부(Q)를 덮개체(18)의 개폐 도중에 변경할 수 있으면 되기 때문에,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reby, space saving of the
다음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덮개체의 개폐기구의 요부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the main part of the opening / closing mechanism of the lid | cover body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is demonstrated.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체(18)의 후단부에 제거부재(38)를 부착하고 있다. 한편, 본체(14)에는 이 본체(14)의 후방벽(외벽)(14C) 및 측벽(14A)의 외측에 설치되는 커버부재(102)가 부착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본체(14)측이 개구부가 되는 대략 C자형상을 이루고 있다. 1 and 9, the
또, 본체(14)의 후방벽(14C)과 대면하는 커버부재(102)의 내벽면(102A)에는 상하방향을 따라서 리브(104)가 소정의 피치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빗살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리브(104)와 리브(104)의 사이에 제거판(36)이 끼워지며, 커버부재(102)의 내벽면(102A)과 서로 인접하는 리브(104)에 의해서 제거판(36)의 수용부(105)가 형성되어 있다. Further, a plurality of
상기 수용부(105)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거판(36)의 이동궤적을 따르는 단면 원호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수용부(105) 내에 제거판(36)이 수용된 상태로 덮개체(18)의 개폐와 함께 제거판(36)이 수용부(105) 내를 이동한다.As shown in FIG. 8, the
또, 제거판(36)과 수용부(105)의 사이에는 서로 간섭하지 않을 정도의 간극밖에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덮개체(18)의 개방시에 이 덮개체(18)와 커버부재(102)의 틈새로 코인이나 현금인출카드 등이 들어갔다 하더라도 덮개체(18)의 폐지시에 제거판(36)에 의해서 상기 코인 등을 끄집어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코인 등이 제거판(36)과 수용부(105)의 사이의 간극을 통해서 제거판(36)의 하부로 들어가는 일이 없다.Moreover, since only the clearance gap which does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between the
여기서, 도 10 및 도 1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거판(36)은 샤프트(34)에 돌출 형성된 규제부재(108)와 함께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규제부재(108)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샤프트(34)에 장착된 토션 스프링(106)에 의해서 상측으로 향해서 탄지됨으로써 제거판(36)의 자유단부측이 기단부측보다도 상측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도 7의 실선 참조). 그리고, 샤프트(34)에 돌출 형성된 규제부재(108)에 의해서 제거판(36)의 회전이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거판(36)이 토션 스프링(106)에 의해서 샤프트(34)를 중심으로 하여 상측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도 1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샤프트(34)에 돌출 형성된 규제부재(108)가 덮개체(18)의 후단부{구체적으로는 커버부(22)의 후단부}에 맞닿게 됨으로써 제거판(36)이 상측으로 회전하는 것이 규제되게 된다.Here, as shown in Figure 10 and 11 (A),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도 7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폐지된 상태에 있는 덮개체(18)는 로크장치(66)에 의해서 로크된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덮개체(18)를 개방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로크장치(66)에 의한 로크상태를 해제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 때 덮개체(18)의 자유단부측이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가상선). 즉, 덮개체(18)의 회전중심부측(후단부측)이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As mentioned above, since the
한편, 용기홀더(10)는 센터 콘솔에 오목하게 형성된 피부착부재(12) 내에 수납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피부착부재(12)의 상단부에는 이 피부착부재(12)의 내측으로 향해서 수평하게 돌출되는 플랜지부(12A)가 형성되어 있다(도 7 참조). On the other hand, the
상기 플랜지부(12A)의 하부에 커버부재(102)의 상단부에 형성된 플랜지부(102B)가 배치된다. 따라서, 덮개체(18)의 후단부측이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거판(36)이 커버부재(102)의 플랜지부(102B)와 간섭하게 된다. 또한, 커버부재(102)의 상단부에 플랜지부(102B)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거판(36)이 피부착부재(12)의 플랜지부(12A)와 간섭하게 된다.The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거판(36)을 회전 가능하게 하고 있기 때문에, 제거판(36)이 커버부재(102)의 플랜지부(102B)와 간섭하게 되면, 토션 스프링(106)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상기 제거판(36)이 회전하게 된다.However,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예를 들면,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거부(110)가 덮개체(112)에 대해서 고정되어 있는 경우, 피부착부재(12)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제거부(110)를 덮개체(112)의 후단부보다 낮춰진 위치{덮개체(112)의 상면과의 고저차;L1}에 형성할 필요가 있다. 한편, 커버부재(114)의 내측벽(114A)은 단면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거부(110)의 위치를 낮춘 만큼 덮개체(112)의 후단부와 커버부재(114)의 내측벽(114A)과의 틈새가 거리(t1)만큼 넓어지게 된다. 따라서, 제거부(110)를 길게 형성할 필요가 있다. 결국, 이 경우는 커버부재(114)의 배면이 외측으로 불룩해지게 되어 덮개체(112)의 수용부(116)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없기 때문에, 2축 타입의 덮개체(112)인 것의 효과를 충분히 살릴 수 없게 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3, when the removing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거판(36)을 덮개체(18)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함으로써, 로크장치(66)의 로크해제시에 제거부재(38)가 플랜지부(12A)에 맞닿더라도 제거부재(38)가 하측으로 향해서 회전할 뿐이므로, 상기 제거부재(38)를 덮개체(18)의 후단부{덮개체(18)의 상면과의 고저차;L2<L1}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However,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8, by making the
즉, 도 13의 경우와 비교하면, 도 8에서는 덮개체(18)의 후단부와 커버부재(102)의 내벽면(102A)과의 틈새를 좁히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따라서 커버부재(102)의 배면이 불룩해지는 것, 즉 커버부재(102)의 배면이 팽창되는 것을 작게 할 수 있다.That is, in comparison with the case of FIG. 13, in FIG. 8, the gap between the rear end of the
또, 제거부재(38)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샤프트(34)에 장착된 토션 스프링(106)에 의해서 제거판(36)을 상측으로 탄지하고, 규제부재(108){도 11(A) 참조}에 의해서 제거판(36)의 회전을 규제하고 있다.Moreover, the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거부(110)를 덮개체(112)의 후단부에서 수평으로 돌출시킨 경우, 덮개체(112)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는 제거부(110)가 하측으로 향하게 되며, 따라서 덮개체(112)와 커버부재(114)의 사이의 틈새를 메우기 위해서는 커버부재(114)의 바닥부까지 제거부(110)를 연장시켜야 하기 때문에, 결국 제거부(110)는 길어지게 된다{제거부(110)의 길이;L3}.As shown in FIG. 13, when the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거판(36)을 상측으로 향해서 탄지함으로써, 덮개체(18)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도 제거판(36)이 상측으로 향해서 경사진 상태로 되기 때문에, 덮개체(112)와 커버부재(102)와의 사이의 틈새를 메우기 위한 거리를 짧게 할 수 있다{제거판(36)의 길이;L4<L3}.In the present embodiment, however, the
따라서, 커버부재(102)와의 틈새를 일정하게 유지한 채로 제거판(36)의 길이를 필요 최소한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커버부재(102)의 배면이 팽창되는 것을 작게 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덮개체(18)의 수용부(100)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 즉, 2축 타입의 덮개체(18)인 것의 효과를 충분히 살릴 수 있다.Therefore, since the length of the
또한, 본 실시형태는 1축 타입의 덮개체의 개폐기구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 2축 타입의 덮개체에서는 덮개체를 개방시키는 스프링의 위치에 따라서 래크형상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In addition, this embodiment is applicable also to the opening-closing mechanism of the cover body of a single shaft type. Moreover, in the biaxial type | mold cover body, a rack shape can be changed variously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spring which opens a cover body.
예를 들면,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체(117)의 축판(118)의 외측 정상부에 장착부(120)를 형성하고, 이 장착부(120)에 스프링(제 2 탄지수단)(122)의 일단부를 장착하고 있다. 스프링(122)의 타단부는 본체(14)의 측벽(14A)의 전방벽측 하부에 형성된 장착핀(126)에 장착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4, the mounting
또, 축판(118)에는 섹터기어(128)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 섹터기어(128)와 맞물리는 래크(제 1 래크)(130)를 직선형상으로 하고 있다. 또, 래크(130)와 평행하게 직선형상의 래크(제 2 래크)(132)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 래크(132)에는 축판(118)의 중앙부에 부착된 댐퍼 유니트(46)의 댐퍼기어(48)가 맞물린다.In addition, a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로크장치(66)에 의한 로크상태를 해제하면 덮개체(117)가 개방 가능하게 되는데, 스프링(122)의 탄지력에 의해서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판(118)의 장착부(120)가 장착핀(126)측으로 인장된다.When the locked state by the
이 때, 섹터기어(128)가 래크(130)를 따라서 회전하면서 본체(14)의 하측으로 이동한다. 즉, 도 14∼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체(117)는 본체(14)의 개구부(16)를 개방하면서 그 축부(Q)를 하측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댐퍼기어(48)가 래크(132)를 따라서 회전하기 때문에, 스프링(122)에 의한 탄지력이 감쇠된다. At this time, the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섹터기어와 댐퍼기어를 일체로 형성하고, 이들 섹터기어와 댐퍼기어가 맞물리는 래크를 각각 형성하였으나, 이것 이외에도 도 17에 나타내는 구성을 들 수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sector gear and the damper gear are formed integrally, and the racks in which these sector gears and the damper gear are engaged are formed, respectively. However,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덮개체(136)의 축판(138)에는 원호형상 기어(140)를 형성하고, 본체(14)의 측벽(14A)에 설치된 원호형상 래크(144)에 맞물리도록 하고 있다. 또, 원호형상 기어(140)의 중앙부에는 댐퍼 유니트(46)가 부착되어 있으며, 이 댐퍼 유니트(46)에 설치된 댐퍼기어(유지수단)(48)에는 본체(14)의 측벽(14A)에 고정되며 원호형상 래크(144)의 톱니부(144A)의 내측에 위치하는 고정기어(142)가 맞물려 있다.An arc-shaped
이것에 의해서 원호형상 기어(140)가 원호형상 래크(144)에서 빠지는 일 없 이, 원호형상 래크(144)에 맞물려서 이동하도록 덮개체(036)를 유지할 수 있다.Thereby, the cover body 036 can be hold | maintained so that the arc-shaped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로크장치(66)에 의한 로크상태를 해제하면 덮개체(136)가 개방 가능하게 되는데, 스프링(제 3 탄지수단)(146)의 탄지력에 의해서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판(138)의 장착부(120)가 장착핀(126)측으로 인장된다.When the locked state by the
이 때, 원호형상 기어(140)가 원호형상 래크(144)를 따라서 회전하면서 본체(14)의 하측으로 이동한다. 즉, 도 17∼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체(136)는 본체(14)의 개구부(16)를 개방하면서 그 축부(Q)를 하측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고정기어(142)를 통해서 댐퍼기어(48)가 원호형상 래크(144)를 따라서 회전하기 때문에, 스프링(146)에 의한 탄지력이 감쇠된다.At this time, the arc-shaped
또한, 본 실시형태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예이며, 본 발명의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당히 변경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In addition, this embodiment is an example to the last, It goes without saying that it can change suitably within the range which does not deviate from the main point of this invention.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용기홀더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체에 대해서 덮개체를 개폐시키는 차량용 소품상자이면 되기 때문에, 용기홀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although the container holder was demonstrated in this embodiment, since it is just a vehicle accessory box which opens and closes a cover body with respect to a main body, it is not limited to a container holder.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덮개체의 개폐기구를 구비한 용기홀더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tainer holder provided with an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of a lid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덮개체의 개폐기구를 구비한 용기홀더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덮개체를 폐지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Fig.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tainer holder provided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of the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d is closed.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덮개체의 개폐기구를 구비한 용기홀더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덮개체의 개방·폐지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Fig.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tainer holder provided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of the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the middle of opening and closing of the lid.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덮개체의 개폐기구를 구비한 용기홀더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덮개체를 개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Fig. 4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tainer holder provided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of the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d is opened.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덮개체의 개폐기구를 구비한 용기홀더에 설치된 로크장치의 로크해제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A)는 로크장치의 측단면도, (B)는 캠홈과 트레이스 핀을 나타내는 정면도Fig. 5 shows the unlocked state of the lock apparatus provided in the container holder provided with the opening / closing mechanism of the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is a sectional side view of the lock apparatus, and (B) shows a cam groove and a trace pin. Front view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덮개체의 개폐기구를 구비한 용기홀더에 설치된 로크장치의 로크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A)는 로크장치의 측단면도, (B)는 캠홈과 트레이스 핀을 나타내는 정면도FIG. 6: shows the lock state of the lock apparatus provided in the container holder provided with the opening-closing mechanism of the cover body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A)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lock apparatus, (B) is the front which shows a cam groove and a trace pin. Degree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덮개체의 개폐기구를 구비한 용기홀더의 제거부재의 동작도7 is an operation diagram of a removal member of the container holder provided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of the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덮개체의 개폐기구를 구비한 용기홀더의 덮개체 및 제거부재의 이동궤적을 나타내는 동작도8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movement trajectories of the lid and the removal member of the container holder provided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of the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9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덮개체의 개폐기구를 구비한 용기홀더의 덮개체 및 커버부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d and a cover member of a container holder provided with a lid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10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덮개체의 개폐기구를 구비한 용기홀더의 덮개체의 하면도Fig. 10 is a bottom view of the lid of the container holder includ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of the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11에 있어서, (A)는 도 10의 11A-11A선 단면도, (B)는 도 10의 11B-11B선 단면도In FIG. 11, (A) is sectional drawing along the 11A-11A line of FIG. 10, (B) is sectional drawing along the 11B-11B line of FIG.
도 12는 도 10의 12-12선 단면도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12-12 of FIG. 10.
도 13은 도 8에 대응하는 본 실시형태의 비교예의 동작도13 is an operation diagram of a comparative example of the present embodiment corresponding to FIG. 8;
도 14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덮개체의 개폐기구를 구비한 용기홀더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덮개체를 폐지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Fig. 14 is a side view showing a first modification of the container holder provided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of the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d is closed.
도 15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덮개체의 개폐기구를 구비한 용기홀더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덮개체의 개방·폐지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Fig. 15 is a side view showing a first modification of the container holder provided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of the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ate dur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lid.
도 16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덮개체의 개폐기구를 구비한 용기홀더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덮개체를 개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Fig. 16 is a side view showing a first modification of the container holder provided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of the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d is opened.
도 17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덮개체의 개폐기구를 구비한 용기홀더의 제 2 변형예을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덮개체를 폐지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Fig. 17 is a side view showing a second modification of the container holder provided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of the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lid is closed.
도 18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덮개체의 개폐기구를 구비한 용기홀더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덮개체의 개방·폐지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Fig. 18 is a side view showing a second modification of the container holder provided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of the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the middle of opening and closing of the lid.
도 19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덮개체의 개폐기구를 구비한 용기홀더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덮개체를 개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Fig. 19 is a side view showing a second modification of the container holder provided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of the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d is opened.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용기홀더(차량용 소품상자) 12 - 피부착부재10-Container holder (vehicle accessory box) 12-Skin attachment member
14 - 본체 16 - 개구부14-Body 16-Opening
18 - 덮개체 36 - 제거판18-cover 36-removal plate
38 - 제거부재 40 - 축판38-removal member 40-shaft
42 - 섹터기어 44 - 부착구멍42-sector gear 44-mounting hole
46 - 댐퍼 유니트 48 - 댐퍼기어(유지수단)46-Damper Unit 48-Damper Gears
52 - 래크(제 1 래크) 54 - 래크(제 2 래크)52-Rack (1st rack) 54-Rack (2nd rack)
60 - 토션 스프링(제 2 탄지수단, 유지수단) 66 - 로크장치(로크수단) 60-torsion springs (second gripping means, holding means) 66-locking devices (lock means)
102 - 커버부재 104 - 리브 102-Cover member 104-Rib
105 - 수용부 105-receptacle
106 - 토션 스프링(제 1 탄지수단)106-Torsion Springs
108 - 규제부재 117 - 덮개체 108-Regulating Member 117-Cover
118 - 축판 118-shaft
122 - 스프링(제 2 탄지수단, 유지수단) 128 - 섹터기어122-springs (second gripping means, retaining means) 128-sector gears
130 - 래크(제 1 래크) 132 - 래크(제 2 래크)130-Rack (1st rack) 132-Rack (2nd rack)
136 - 덮개체 138 - 축판136-Cover 138-Shaft
140 - 원호형상 기어 142 - 고정기어140-circular gear 142-fixed gear
144 - 원호형상 래크 146 - 스프링(제 3 탄지수단, 유지수단)144-Arc-shaped rack 146-Springs (third finger holding means, holding means)
Claims (13)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8-100177 | 2008-04-08 | ||
JP2008100177A JP5009217B2 (en) | 2008-04-08 | 2008-04-08 | Lid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and vehicle accessory cas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07438A KR20090107438A (en) | 2009-10-13 |
KR101055007B1 true KR101055007B1 (en) | 2011-08-05 |
Family
ID=41309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30258A KR101055007B1 (en) | 2008-04-08 | 2009-04-08 | Opening mechanism of cover body and car accessory box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5009217B2 (en) |
KR (1) | KR101055007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429556B2 (en) * | 2010-01-26 | 2014-02-26 | 豊田合成株式会社 | Vehicle storage device |
US8517447B2 (en) * | 2011-07-26 | 2013-08-27 | Nissan North America, Inc. | Vehicle storage compartment assembly |
JP5772722B2 (en) * | 2012-05-29 | 2015-09-02 | 豊田合成株式会社 | Lid opening / closing mechanism |
US9434318B2 (en) | 2012-12-20 | 2016-09-06 | Honda Motor Co., Ltd. | Interior rotating lid object bumper |
JP6227886B2 (en) * | 2013-04-19 | 2017-11-08 |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 Console Box |
JP2015182616A (en) | 2014-03-25 | 2015-10-22 | 豊田合成株式会社 | Lid body opening/closing mechanism |
JP6848929B2 (en) * | 2018-04-17 | 2021-03-24 | 豊田合成株式会社 | Storage box |
JP7052581B2 (en) | 2018-06-13 | 2022-04-12 | 豊田合成株式会社 | Containment device |
JP7198941B2 (en) | 2019-10-11 | 2023-01-04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Goods storage structure for vehicles |
CN111703374A (en) * | 2020-05-26 | 2020-09-25 | 东风小康汽车有限公司重庆分公司 | Automobile central control box cover movement assembly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21992A (en) * | 2000-09-18 | 2002-03-23 |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Container holder |
KR20030066301A (en) * | 2002-02-04 | 2003-08-09 |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Small article storage device |
KR200396855Y1 (en) | 2005-07-12 | 2005-09-27 | 주식회사 키프코 | Automobile Tray |
KR20080093628A (en) * | 2007-04-17 | 2008-10-22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Cup holder for vehicles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630963B2 (en) * | 1997-12-26 | 2005-03-23 |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 Vehicle storage device |
JP2002145297A (en) * | 2000-11-07 | 2002-05-22 | Toyoda Gosei Co Ltd | Storage box |
JP4049046B2 (en) * | 2003-07-30 | 2008-02-20 | 豊田合成株式会社 |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of storage device |
JP4006010B2 (en) * | 2005-04-06 | 2007-11-14 |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 Vehicle storage device |
-
2008
- 2008-04-08 JP JP2008100177A patent/JP5009217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9
- 2009-04-08 KR KR1020090030258A patent/KR101055007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21992A (en) * | 2000-09-18 | 2002-03-23 |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Container holder |
KR20030066301A (en) * | 2002-02-04 | 2003-08-09 |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Small article storage device |
KR200396855Y1 (en) | 2005-07-12 | 2005-09-27 | 주식회사 키프코 | Automobile Tray |
KR20080093628A (en) * | 2007-04-17 | 2008-10-22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Cup holder for vehicl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5009217B2 (en) | 2012-08-22 |
JP2009248793A (en) | 2009-10-29 |
KR20090107438A (en) | 2009-10-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55007B1 (en) | Opening mechanism of cover body and car accessory box | |
US7226029B2 (en) | Accessory holder | |
KR101172576B1 (en) | Lock mechanism of moving body | |
KR100901419B1 (en) | Tray apparatus | |
US9650182B2 (en) | Storage device | |
RU2687399C2 (en) | Casing console assembly and vehicle | |
KR100456473B1 (en) | Spectacle case built into a vehicle | |
CN111891541B (en) | A strorage device for electronic components | |
JP2015182616A (en) | Lid body opening/closing mechanism | |
KR20200049973A (en) | Storage device of vehicle | |
JP5261123B2 (en) | Containment device | |
KR101481683B1 (en) | Container apparatus | |
KR102417392B1 (en) | Map pocket assembly for door openable upward | |
JP3965190B2 (en) | Holding device for food or beverage containers | |
JP5671886B2 (en) | Vehicle container holder | |
JP7461600B2 (en) | Vehicle storage device | |
JP4034162B2 (en) | Vehicle cup holder | |
JP5816021B2 (en) | Vehicle cup holder device | |
KR20110063206A (en) | Tray of vehicle | |
KR200451275Y1 (en) | tray for vehicle | |
US8820573B2 (en) | Mechanism to hold cover open or closed | |
KR100921101B1 (en) | Glove box open/closing structure | |
JP6886373B2 (en) | Lock device | |
JP5197313B2 (en) | Vehicle storage device | |
KR101637600B1 (en) | Tray assembly of push-open type for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3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