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9437B1 - Manufacturing Method of Touch Screen Protection Film for Smartphone and Touch Screen Protection Film by Manufacturing Method - Google Patents
Manufacturing Method of Touch Screen Protection Film for Smartphone and Touch Screen Protection Film by Manufacturing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39437B1 KR101039437B1 KR1020100130024A KR20100130024A KR101039437B1 KR 101039437 B1 KR101039437 B1 KR 101039437B1 KR 1020100130024 A KR1020100130024 A KR 1020100130024A KR 20100130024 A KR20100130024 A KR 20100130024A KR 101039437 B1 KR101039437 B1 KR 1010394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martphone
- protective film
- coating layer
- touch screen
- optical film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자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을 보호하기 위한 필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학용 필름의 저면에 디자인원단과 실리콘접착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하고, 광학용 필름의 상면에는 UV성형 코팅층과 불소코팅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되, 상기 UV성형 코팅층에는 가압 성형에 의한 돌출부를 형성하여 구성함에 따라,
보호필름이 갖는 본래의 역할과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면서도, 보호필름의 상부면으로 형성되는 돌출부에 의해 스마트폰을 뒤집어 바닥에 내려놓는 경우에도 보호필름 전체가 긁힘 및 마찰로부터 안전하게 유지됨은 물론 스마트폰의 표면으로 돌출되는 구성품에 대한 보호가 가능하여 보호필름과 스마트폰에 대한 사용 수명의 연장이 가능한 것이고, 상기 돌출부는 다양한 형상으로의 제작이 가능함에 따라 촉감에 의한 스마트폰의 방향성을 빠르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어두운 곳에서의 사용성이 뛰어난 것이고, 지문이나 각종 이물질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어 매우 합리적인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m for protecting a touch screen of a smartphone widely used in recent years, and more particularly, to form a design fabric and a silicone adhesive layer on the bottom of the optical film in sequence, UV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ptical film Forming a molding coating layer and a fluorine coating layer in sequence, the UV molding coating layer by forming a protrusion by the pressure forming, as configured,
While faithfully fulfilling the original role and function of the protective film, the entire protective film is kept safe from scratches and friction even when the smartphone is turned upside down by the protrusion form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ective film.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service life of the protective film and the smartphone is possible to protect the components protruding to the surface, the protrusion can be recognized in the direction of the smart phone by the touch as it can be produced in various shapes As it is used, it is excellent in usability in the dark place and it is very reasonable because it can prevent contamination of fingerprints and various foreign substances.
Description
본 발명은 근자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을 보호하기 위한 필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학용 필름의 표면에 대하여 UV성형 코팅층을 이용한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UV성형 코팅층의 표면에 대하여 재차 불소코팅층을 형성함에 따라 기존의 보호필름이 갖고 있던 고유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면서도 돌출부에 의한 촉감 인지 기능과 함께 보호필름 자체의 사용 수명을 더욱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m for protecting a touch screen of a smartphone widely used in recent years, and more particularly, to form a protrusion using a UV molding coating layer on the surface of the optical film, the surface of the UV molding coating layer By forming the fluorine coating layer again, the protective film itself is able to extend the service life of the protective film itself with a tactile perception function by the protrusion while faithfully performing the unique role of the existing protective film.
스마트폰(smartphone)이라 함은 컴퓨터와 같은 기능과 함께 다양한 고급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전화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근자에 들어 다양한 형태와 종류의 스마트폰이 폭발적으로 출시되고 있는 추세인 동시에 사용자 역시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Smartphone refers to a mobile phone that provides a variety of advanced functions in addition to computer-like functions. In recent years, smartphones of various shapes and types are exploding and users are exponentially exploding. The situation is increasing.
이와 같은 스마트폰은 통상적으로 과거의 액정 디스플레이가 아닌 터치스크린을 채택하고 있는 것으로서, 터치스크린은 사용자의 손끝으로 화면을 직접 누르거나 지그시 접촉하는 상태만으로도 해당 화면에 나타나 있는 명령이 실행되도록 하는 접촉식 디스플레이 장치이다.Such smartphones generally adopt a touch screen rather than a liquid crystal display of the past, and the touch screen is a touch type that allows a command displayed on the screen to be executed only by directly touching or zipping the screen with a user's fingertip. Display device.
따라서, 스마트폰에서 매우 중요한 외장 및 구성품의 하나인 터치스크린을 보호하기 위해 보통의 사용자는 도 1의 도시와 같이 별도의 보호필름(110)을 구매하여 이를 스마트폰(100)의 터치스크린(101) 표면에 부착 사용하게 있는 것이다.Therefore, in order to protect the touch screen which is one of the very important exteriors and components in the smartphone, the ordinary user purchases a separate
상기와 같은 보호필름은 통상적으로 도 2의 도시와 같이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PET 소재로 된 광학용 필름지(111)를 절단하여 만들어지는 것으로서, 저면에는 이형지가 부착된 접착층(112)을 갖고 있고 상부면에는 필요에 따라 하드코팅층(113)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The protective film as described above is typically made by cutting the
또한, 근자에 들어서는 상기 보호필름(110) 자체의 장식성은 물론 그 보호필름이 부착된 상태의 스마트폰에 대한 장식성과 외장 효과를 가일층 향상시킬 목적으로 상기 보호필름(110) 내에 별도의 디자인원단(114)을 형성함에 따라 다양한 무늬와 패턴을 갖고 있는 디자인원단(114)이 광학성 필름지(111)를 통해 투시되면서 더욱 미려한 상태의 스마트폰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때의 디자인원단(114)은 통상적으로 광학성 필름지(111) 및 접착층(112)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보편적일 것이다.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decorative properties of the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터치스크린용 보호필름은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에 대한 긁힘이나 이물질로부터의 보호 역할과 동시에 스마트폰 자체의 장식 효과를 가일층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어 많은 수의 사용자가 이를 구매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Accordingly, the protective film for the touch screen as described above serves to protect the touch screen of the smartphone from scratches or foreign substances, and at the same time, to further enhance the decorative effect of the smartphone itself. I'm doing it.
그러나, 상기와 같은 보호필름은 얇고 납작한 상태의 필름이므로 외부로부터의 긁힘에 대하여 매우 취약할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의 돌출된 버튼부 등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없어 본래의 기능이나 목적을 충실히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However, the protective film as described above is a thin and flat film, which is not only very vulnerable to scratches from the outside, but also does not protect the protruding button portion of the smart phone, etc., so that the original function or purpose cannot be faithfully performed. I have a problem.
즉, 보통의 스마트폰은 직사각의 납작한 형태를 갖고 있고 상부 중앙에는 터치스크린이 배치되면서도 상,하측에는 각기 카메라 또는 스피커와 전원버튼 등이 만들어져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스마트폰용 보호필름은 상기 스마트폰의 상부면 전체에 밀착되도록 제작되면서도 카메라 또는 스피커와 전원버튼부에는 관통의 통공을 형성함에 따라 스마트폰의 사용에는 아무런 불편함이 없도록 하는 동시에 터치스크린을 포함한 스마트폰의 전면 전체를 외부 긁힘이나 이물질로부터 보호되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That is, a normal smart phone has a rectangular flat shape and a touch screen is disposed in the upper center, and a camera or a speaker and a power button are respectively made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Thus, the protective film for the smartphone as described above is made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smartphone while forming a through-hole through the camera or speaker and the power button, so there is no inconvenience in using the smartphone at the same time touch The entire front of the smartphone, including the screen, is protected from scratches and foreign objects.
따라서, 상기와 같은 스마트폰의 상부면이 올바르게 위치하도록 정상적인 사용이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에는 보호필름이 충실히 제 역할을 다할 수 있을 것이나, 스마트폰을 뒤집어 책상 등의 바닥에 내려놓을 경우에는 보호필름의 표면 전체가 책상 표면과 맞닿게 되면서 보호필름의 표면에 대한 긁힘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의 보호필름은 비교적 얇은 필름 형태를 갖고 있기 때문에 보호필름보다 돌출된 상태인 스피커나 카메라 또는 버튼 등은 여전히 외부로부터의 마찰이나 긁힘으로부터 보호될 수 없어 해당의 돌출부에 대한 손상이나 마모가 극심한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normal use is made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smart phone as described above, the protective film will be able to fulfill its role faithfully, but if you turn the smartphone upside down on the floor, such as the desk of the protective film As the entire surface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desk, scratches are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protective film. Since the protective film has a relatively thin film form, the speaker, camera, or button that protrudes more than the protective film is still present. Since it cannot be protected from friction or scratches from the outside, damage or abrasion of the protrusions is extremely problematic.
또한, 상기와 같은 스마트폰은 통상적으로 상,하 또는 좌,우의 구분없이 직사각 형태로 제작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빠르고 쉽게 방향성을 인지할 수 없어 이리저리 돌려가며 사용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것이고, 특히나 어두운 곳에서의 초기 사용시 또는 맹인이 상기의 스마트폰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더더욱 방향성이 명확하지 못하여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매우 큰 것이다.
In addition, such a smartphone is usually produced in a rectangular shape without a distinction between the top, bottom or left, right, so that the user can not recognize the direction quickly and easily, there is a hassle to rotate around, especially in a dark place When the initial use of the blind or if you want to use the smartphone, the direction is not clear even more, the hassle in use is very large.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광학용 필름의 저면에 디자인원단과 실리콘접착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하고, 광학용 필름의 상면에는 UV성형 코팅층과 불소코팅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되, 상기 UV성형 코팅층에는 가압 성형에 의한 돌출부를 형성하여 구성함에 따라,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the design fabric and the silicon adhesive layer is formed sequentially on the bottom of the optical film, and the UV molding coating layer and the fluorine coating layer is sequential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ptical film, the UV By forming and forming a protrusion by pressure molding in the molding coating layer,
돌출부를 갖는 UV성형 코팅층에 의해 보호필름의 전체면을 긁힘에 의해 보호하면서도 스마트폰의 돌출된 구성품을 보호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돌출부는 촉감으로 인한 스마트폰의 방향성을 제시함에 따라 이를 빠르고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 스마트폰용 터치스크린 보호필름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터치스크린 보호필름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The UV molding coating layer having a protrusion protects the entire surface of the protective film from scratching while protecting the protruding components of the smartphone, and the protrusion can be used quickly and accurately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smartphone due to touch.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touch screen protective film for a smartphone having an effect to enable and a touch screen protective film by the manufacturing method.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광학용 필름의 저면에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해당하도록 디자인 원단을 형성하고, 상기 디자인 원단을 포함한 광학용 필름의 저면 전체에는 실리콘접착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한 후, 상기 광학용 필름의 상면 전체에는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을 제외한 부분에 위치하는 돌출부를 갖는 유브이(UV)성형 코팅층을 형성하고, 상기 유브이(UV)성형 코팅층의 상부 표면에는 불소코팅층을 추가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design fabric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optical film to correspond to the portion other than the touch screen of the smartphone, the silicon adhesive layer on the entire bottom of the optical film including the design fabric After forming sequentially, the entire surface of the optical film to form a UV (UV) molding coating layer having a protrusion located on the part except the touch screen of the smartphone, an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V molding coating layer It is made by further forming a fluorine coating layer.
본 발명은, 보호필름이 갖는 본래의 역할과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면서도, 보호필름의 상부면으로 형성되는 돌출부에 의해 스마트폰을 뒤집어 바닥에 내려놓는 경우에도 보호필름 전체가 긁힘 및 마찰로부터 안전하게 유지됨은 물론 스마트폰의 표면으로 돌출되는 구성품에 대한 보호가 가능하여 보호필름과 스마트폰에 대한 사용 수명의 연장이 가능한 것이고, 상기 돌출부는 다양한 형상으로의 제작이 가능함에 따라 촉감에 의한 스마트폰의 방향성을 빠르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어두운 곳에서의 사용성이 뛰어난 것이고, 지문이나 각종 이물질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어 매우 합리적인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while faithfully performing the original role and function of the protective film, the entire protective film is kept safe from scratches and friction even when the smartphone is turned down on the floor by the protrusion formed as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ective film Of course,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components protruding to the surface of the smartphone to extend the service life of the protective film and the smartphone, the protrusions can be produced in a variety of shapes as the direction of the smartphone by the touch As it enables quick recognition, it is very usable in the dark, and it is very reasonable because it can prevent contamination of fingerprints and various foreign substances.
도 1은 일반적인 보호필름의 사용 예시도
도 2는 일반적인 보호필름의 단면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의 사용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의 단면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의 단면 분리 확대도1 is an illustration of the use of a general protective film
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general protective film
Figure 3 is an illustration of the use of the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to describe its invention in the best possible way And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and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의 사용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의 단면 확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의 단면 분리 확대도이다.Figure 3 is an illustration of the use of the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은 스마트폰(100)의 상부 전체면에 부착 사용되는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100)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버튼이나 카메라 또는 스피커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수직의 관통부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 be attached to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이때, 상기 보호필름은 PC(polycarbonate) 또는 PET(polyethylen terephthalate)의 소재로 된 얇고 투명한 필름지로 된 광학용 필름(10)을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것이다.In this case, the protective film is made by using the
즉, 상기의 광학용 필름(10)의 저면에 대하여 다양한 방법에 의해 디자인 원단(20)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인데, 상기의 원단은 보통의 섬유 원단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광학용 필름(10)의 저면에 추가로 형성되는 이종의 재질에 의한 성형층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상기의 디자인 원단(20)은 증착이나 인쇄 등의 방법을 통해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의 디자인 원단(20)은 스마트폰(100)의 터치스크린(101) 이외의 부분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That is, the
이와 같은 디자인 원단(20)은 다양한 색상으로 된 무늬 또는 패턴을 형성함에 따라 상기의 디자인 원단(20)이 투명의 광학용 필름(10)을 통해 투시되면서 보호필름 자체에 대한 우수한 장식성과 미려한 심미감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As the
또한, 상기와 같이 광학용 필름(10)의 저면에 대하여 디자인 원단(20)이 형성되면, 그 디자인 원단(20)을 포함한 광학용 필름(10)의 저면 전체에 대하여 투명의 실리콘접착층(30)을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의 실리콘접착층(30)은 본 발명의 보호필름을 스마트폰(100)의 상부면에 접착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실리콘접착층(30)의 특성에 따라 스마트폰(100)으로부터 보호필름을 제거하는 경우 접착층이 스마트폰의 표면에 잔류하지 않고 깨끗하게 제거되는 특징을 갖고 있는 것이다.When the
이와 같은 실리콘접착층(30)의 저면에는 별도의 분리지를 부착 형성함에 따라 본 발명의 보호필름이 판매가 가능한 제품으로서 유통될 수 있는 것이고, 이를 구매한 사용자는 상기의 분리지를 제거한 상태에서 실리콘접착층(30)을 이용하여 스마트폰(100)의 표면에 보호필름을 부착시켜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As the separate separator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silicon
또한, 상기와 같은 광학용 필름(10)의 상부면에는 유브이(UV)성형 코팅층(40)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에 앞서 필요에 따라 별도의 투명 하드코팅층(60)을 광학용 필름(10)의 표면에 추가로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의 하드코팅층(60)은 광학용 필름(10)의 표면에 대한 강도를 향상시키는 역할과 동시에 광투과율을 증대시켜 터치스크린의 영상이나 정보가 보다 선명하게 투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의 하드코팅층(60)은 일반적인 보호필름의 제조방법 및 분야에서 널리 적용되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a UV
이에, 상기의 광학용 필름(1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투명의 유브이(UV)성형 코팅층(40)은 다양한 목적과 역할을 갖고 형성되는 것인데, 우선 상기의 광학용 필름(10)을 별도의 성형틀 내에 밀착 고정시킨 상태에서 또 다른 형틀을 선행의 형틀과 형합시킨 후 이들 형합 상태의 형틀 내에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계열을 액상 코팅제를 주입하고, 상기 액상의 코팅제에 대하여 자외선을 조사함에 따라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의 물성으로 인해 코팅액이 단단하게 경화되면서 상기의 유브이(UV)성형 코팅층(40)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transparent UV forming
이와 같은 유브이(UV)성형 코팅층(40)은 광학용 필름(10)의 표면 보호 작용과 동시에 유브이(UV)성형 코팅층(40)에 일체로 형성되는 돌출부(41)(41')에 의해 다양한 작용과 효과를 나타내게 되는 것이다.The UV
즉, 상기의 돌출부(41)(41')는 스마트폰(100)의 터치스크린(101)에 해당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형성되는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보호필름의 평면상 상단과 하단에 각기 구분 형성되는 것이 이상적일 것이다. 또한, 상기의 돌출부(41)(41')는 스마트폰(100) 자체로부터 돌출된 버튼이나 카메라 또는 스피커보다 높은 두께를 갖고 형성되어야 하는 것으로서, 상기의 돌출부(41)(41')는 스마트폰(100)을 사용함에 있어 스마트폰(100)의 전면 즉, 터치스크린(101)이 형성된 표면이 탁상 등의 바닥에 내려지는 경우 상기의 터치스크린(101)을 포함한 스마트폰(100)의 전면부가 바닥면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That is, the
또한, 스마트폰(100)을 뒤집어 바닥에 내려놓는 경우 상기의 돌출부(41)(41')로 인해 스마트폰(100) 자체의 돌출 구성품을 포함하여 본 발명의 보호필름 전체에 대한 표면이 바닥과 직접 접촉하지 않게 되므로 결국 본 발명의 보호필름에 대한 스크래치 방지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이는 결국 보호필름의 표면 손상을 방지하여 보호필름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키는 동시에 광투과율을 장시간 온전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매우 합리적인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특히, 야간이나 어두운 곳에서 방향성을 갖지 않는 일반적인 스마트폰을 집어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보편적으로 전원버튼을 쉽게 찾지 못하여 수차례 반복하여 뒤집거나 회전시켜가며 이를 더듬어 찾게 되는 것인데, 상기의 유브이(UV)성형 코팅층(40)에 형성된 돌출부(41)(41')를 다양한 크기와 형상으로 구분 형성하는 경우 촉감을 통해 이를 손쉽게 인지할 수 있어 스마트폰에 대하여 정확한 방향으로 빠르게 쥐고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리함이 뛰어난 것이고, 이와 같은 효과는 맹인이 스마트폰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더욱 우수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In particular, if you want to use a general smartphone that does not have a direction at night or in the dark place, the power button is not easy to find universally, it is found repeatedly by flipping or rotating it several times, the above UV molding (UV) When the
이에, 상기와 같은 돌출부(41)(41')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돌출 형상으로 구분 성형할 수도 있을 것이고, 도트 형태로 반복 나열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Thus, the
또한, 이와 같은 유브이(UV)성형 코팅층(40)을 갖는 광학용 필름(10)의 표면 즉, 유브이(UV)성형 코팅층(40)의 표면에는 별도의 불소코팅층(50)을 형성함에 따라 지문이나 각종 오염물에 의해 표면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스크레치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인데, 상기의 불소코팅층(50) 역시 보호필름의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적용되어 오던 것인데, 본 발명의 보호필름에서 이를 함께 적용함에 따라 상기 유브이(UV)성형 코팅층(40)에 대한 작용과 효과를 가일층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불소코팅층(50)은 초발수(우수한 발수) 기능을 함께 갖고 있어 본 발명의 보호필름에 대한 기능과 역할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a separate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Examples should be understood.
10 : 광학용 필름
20 : 디자인 원단
30 : 실리콘접착층
40 : 유브이성형 코팅층 41,41' : 돌출부
50 : 불소코팅층
60 : 하드코팅층
100 : 스마트폰 101 : 터치스크린10: optical film
20: design fabric
30: silicon adhesive layer
40: UV
50: fluorine coating layer
60: hard coating layer
100: smartphone 101: touch screen
Claims (4)
The design fabric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optical film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top surface of the smartphone to correspond to a portion except for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touch screen of the smartphone, and the entire bottom of the optical film including the design fabric After sequentially forming a silicon adhesive layer, the entire surface of the optical film to form a UV (UV) coating coating having a protrusion located in the portion except the touch screen of the smartphone, the top of the UV molding coating layer Method of manufacturing a touch screen protective film for a smartphon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rface is further formed by forming a fluorine coating layer.
광학용 필름의 상면에는 하드코팅층을 먼저 형성한 상태에서, 하드코팅층의 상면에 유브이(UV)성형 코팅층과 불소코팅층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터치스크린 보호필름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
Method of manufacturing a touch screen protective film for a smartphone, characterized in that the hard coating layer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ptical film, the UV coating coating layer and the fluorine coating layer is sequentially per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ard coating layer.
The design fabric 20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optical film 10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top surface of the smartphone to correspond to a portion except for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touch screen 101 of the smartphone 100, The silicon adhesive layer 30 is sequentially formed on the entire lower surface of the optical film 10 including the design fabric 20, and the touch screen 101 of the smartphone 100 is formed on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optical film 10. UV-forming coating layer 40 having protrusions 41 and 41 ′ positioned at portions other than) is formed, and a fluorine coating layer 50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UV-forming coating layer 40. Touch screen protective film for a smartphone,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formed.
광학용 필름(10)과 유브이(UV)성형 코팅층(40)의 사이에는 하드코팅층(60)이 더 형성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터치스크린 보호필름.The method of claim 3,
Touch screen protective film for smartphones, characterized in that the hard coating layer 60 is further formed between the optical film 10 and the UV molding coating layer (4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30024A KR101039437B1 (en) | 2010-12-17 | 2010-12-17 | Manufacturing Method of Touch Screen Protection Film for Smartphone and Touch Screen Protection Film by Manufacturing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30024A KR101039437B1 (en) | 2010-12-17 | 2010-12-17 | Manufacturing Method of Touch Screen Protection Film for Smartphone and Touch Screen Protection Film by Manufacturing Metho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39437B1 true KR101039437B1 (en) | 2011-06-08 |
Family
ID=44405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30024A Expired - Fee Related KR101039437B1 (en) | 2010-12-17 | 2010-12-17 | Manufacturing Method of Touch Screen Protection Film for Smartphone and Touch Screen Protection Film by Manufacturing Meth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39437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06328B1 (en) | 2013-08-30 | 2014-06-12 | 주식회사 퓨어메이트 | Reinforced Film for Protecting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KR20220050366A (en) | 2020-10-16 | 2022-04-25 | 이프텍주식회사 | Manufacturing method of flexible protective film and flexible protective film by the manufacturing method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129512A (en) * | 2009-06-01 | 2010-12-09 |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 Double sided hard coat film for display protection |
-
2010
- 2010-12-17 KR KR1020100130024A patent/KR10103943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129512A (en) * | 2009-06-01 | 2010-12-09 |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 Double sided hard coat film for display protectio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06328B1 (en) | 2013-08-30 | 2014-06-12 | 주식회사 퓨어메이트 | Reinforced Film for Protecting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KR20220050366A (en) | 2020-10-16 | 2022-04-25 | 이프텍주식회사 | Manufacturing method of flexible protective film and flexible protective film by the manufacturing metho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I554921B (en) | Touch control device | |
US9890074B2 (en) | Electronic device, glass cov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glass cover | |
TWI538600B (en) | Shell structure | |
KR101200451B1 (en) | Protection film for mobile terminal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TWI573064B (en) | Display panel structure with concealed blind hole and its making method | |
KR101279793B1 (en) | Device for protecting lcd glass | |
JP3177810U (en) | Protective sheet for electronic equipment | |
KR101282081B1 (en) | Cover accessory for mobile apparatus and method of the same | |
KR101039437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Touch Screen Protection Film for Smartphone and Touch Screen Protection Film by Manufacturing Method | |
TWM528872U (en) | Screen protection patch structure | |
TW201437024A (en) | Protective sticker with light reflecting microstructure | |
EP3135481A1 (en) | A tempered glass protective film with a pattern in a visible area | |
KR101236646B1 (en) | Device for protecting lcd glass | |
US20130215497A1 (en) | Screen protector | |
CN203651114U (en) | Layered structure of the protector | |
US20180036992A1 (en) | Screen protector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 |
KR20130114868A (en) | Patterned protect film using light transmission difference | |
CN104427811A (en) | Cover member, electron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CN104149428B (en) | Bubble-free silver angle diaphragm | |
TWM455918U (en) | Touch display device | |
KR101636059B1 (en) | An accessory for electronic device | |
TWM491574U (en) | Layered structure of protective paster | |
CN203766169U (en) | Layered structure of the protector | |
TWM554852U (en) | Adhesive protective film structure for mobile phone back cover | |
CN204896231U (en) | Shock-proof and impact-resistant protective plast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0123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1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3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41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5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06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