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38593B1 - 간접 가열식 음식물 처리기 - Google Patents

간접 가열식 음식물 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8593B1
KR101038593B1 KR1020080025801A KR20080025801A KR101038593B1 KR 101038593 B1 KR101038593 B1 KR 101038593B1 KR 1020080025801 A KR1020080025801 A KR 1020080025801A KR 20080025801 A KR20080025801 A KR 20080025801A KR 101038593 B1 KR101038593 B1 KR 101038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intake
food processor
heating device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5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6774A (ko
Inventor
박명진
김정연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08/00521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9069883A1/en
Publication of KR20090056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6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8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8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26B21/02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with provisions for changing the drying gas flow pattern, e.g. by reversing gas flow, by mov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hrough subsequent compartments, at least two of which have a different direction of gas flow
    • F26B21/024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with provisions for changing the drying gas flow pattern, e.g. by reversing gas flow, by mov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hrough subsequent compartments, at least two of which have a different direction of gas flow by using movable fa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0Temperatur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4Heating arrangements using electric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8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20Temperature sens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2Biomass, e.g. waste vegetative matter, stra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icrobi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접 가열식 음식물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투입된 음식물을 가열하도록 내측 하부 면에 제1가열장치가 구비된 용기 형상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공기가 유통되도록 흡기부와 배기부가 구비된 덮개부,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건조함, 상기 본체부와 내부건조함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가열장치에서 발생된 열을 상기 내부건조함으로 전달하는 열전달부를 포함하는 간접 가열식 음식물 처리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특히 기존 시스템에 비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공간 활용 효율이 좋으며 처리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환경오염방지 및 사용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본체부, 덮개부, 내부건조함, 열전달부, 온도, 센서, 흡기부, 배기부, 가열, 장치

Description

간접 가열식 음식물 처리기{Indirect Heating Food and Drink Treatment}
본 발명은 간접 가열식 음식물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설치가 용이하고 공간 활용 효율이 좋으며 처리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환경오염방지 및 사용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간접 가열식 음식물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 또는 음식점 등에서는 매일 일정량의 잔반(폐기 음식물)이 배출되며, 이러한 잔반은 그대로 가축사료로 이용하거나 단순한 거름망을 통하여 섞여 있는 물기 만을 걸러낸 후 폐기시키고 있다. 이러한 잔반처리 방법은 쓰레기 수량을 증대시키고, 쓰레기를 자주 버리지 않을 경우 악취를 발생시켜 주변의 공기를 오염시키므로 음식물 처리기가 사용된다.
근래에 일반 가정과 음식점에서 음식쓰레기를 줄이려는 노력이 활성화되고는 있으나, 점차 증가하는 쓰레기의 양을 조절하기란 여러 가지로 어려움이 따르고 있으며 이를 매립할 경우 매립장소가 한정됨은 물론 악취와 침출수로 인한 환경 피해는 매우 심각한 실정에 이르렀다.
그래서, 최근에는 쓰레기 종량제를 실시하고 있으며 또한, 정부에서도 음식물을 발효, 건조 또는 소멸방식 등을 유도할 수 있는 처리장치를 단체급식소 또는 아파트 단지별로 신축시 의무적으로 설치를 할 수 있도록 규정화하고 있다.
그러나, 음식물 쓰레기는 약 80~90%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고 그 양을 줄이기 위해서는 가열, 미생물반응 등으로 건조, 발효의 과정을 걸쳐 처리하고 있으나, 이때 다량의 수분과 고농도의 악취가 발생하게 되어 이를 해결하는 것은 또 다른 처리과제를 발생하게 되었다.
보통 음식물처리기에서 발생하는 악취의 성분은 여러 종류의 가스가 복합적으로 발생하게 되며 음식물의 종류, 방치기간, 처리온도 등 그 상태에 따라 가스의 성분이 달라지며 부패나 이상발효, 즉 혐기성 발효가 일어날 경우는 인체에도 해를 미칠 수 있는 독성이 있는 고약한 냄새의 가스가 다량 방출하게 된다.
이는 음식쓰레기의 연속처리 과정에서 부분적으로 혐기적 조건이 형성되어 진행될수록 더욱 심한 악취가 발생하게 되며 이때 발생하는 악취 원인을 제공하는 가스는 크게 산성, 중성, 염기성으로 분리할 수 있다. 산성계 가스로는 황화수소, 메틸메르캅탄 등이 있고, 염기성계 가스로는 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 등이 있으며 중성계 가스로는 황화메틸, 이황화메틸, 아세트알데히드 등이 있다.
이러한 악취가스는 인체에 유해하고 대기,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며 주변시설에 혐오감을 주어 그 상태가 심각하였다.
수분이 많이 함유된 음식물 쓰레기는 그대로 방치하면 썩기 쉽고 악취를 발산하여 주변의 위생환경을 해치는데, 이의 처리를 위해 많은 업체에서 기술개발을 시도하여 왔으며 가정과 음식점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용으로 열풍순환건조방식, 교반기능을 추가한 열풍순환 건조 방식, 교반기능과 파쇄 기능을 추가한 열풍순환 건조 방식, 교반 기능과 미생물을 동시에 이용하는 방식, 냉장보관식등의 여러가지 방식의 기술을 활용하여 음식물 처리기 제품을 출시하여 왔다.
이렇듯 음식물쓰레기의 처리 후 배출에 관한 시민들의 인식은 점차 높아지고 있으나 탈수성능뿐만 아니라 하수오염, 대기오염, 소음발생, 유지비, 생산비, 사용상의 편리성, 설치성, 자원재활용성 등의 복합적인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제품은 나오지 못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특히 기존 시스템에 비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공간 활용 효율이 좋으며 처리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환경오염방지 및 사용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간접 가열식 음식물 처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간접 가열식 음식물 처리기는 투입된 음식물을 가열하도록 내측 하부 면에 제1가열장치가 구비된 용기 형상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공기가 유통되도록 흡기부와 배기부가 구비된 덮개부;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건조함; 상기 본체부와 내부건조함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가열장치에서 발생된 열을 상기 내부건조함으로 전달하는 열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기부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흡기부를 통과하여 상기 본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열을 공급하는 제2가열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가열장치 또는 제2가열장치는 히터 부재인 것이 좋다.
상기 본체부와 내부건조함은 원통형의 용기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부의 내측면 또는 상기 덮개부의 내측면에 온도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가 표시될 수 있도록 표시부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상기 흡기부는 상기 덮개부에 형성된 흡기구멍과 상기 흡기구멍 근처에 구비된 흡기팬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기부는 상기 덮개부의 내부 면으로부터 외부 면까지 관통되도록 형성된 배기관으로 구성된 것이 좋다.
상기 배기부는 상기 배기관의 경로 상에 설치된 배기팬을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내부건조함은 알루미늄으로 형성되고, 테프론 코팅이 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전달부는 구리 또는 은으로 구성된 판 형상인 것이 좋다.
상기 열전달부는 본체부의 내측 하부 면과 상기 내부건조함 사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부는 내측 하부면 중앙에 동력공급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동력공급장치는 내부건조함의 밑면과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된 것이 좋다.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덮개부는 열경화성 수지계 내열성 물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좋다.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 건조함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는 건조함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부와 접하는 상기 덮개부의 외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에 상기 덮개부를 고정할 수 있는 열림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제1가열장치와 전원공급부 사이에는 바이메탈이 구비되고, 상기 바이메탈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제1가열장치와 상기 전원공급부가 서로 접속 또는 비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간접 가열식 음식물 처리기에 의하면, 특히 기존 시스템에 비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공간 활용 효율이 좋으며 처리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환경오염방지 및 사용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간접 가열식 음식물 처리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간접 가열식 음식물 처리기(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나타낸 간접 가열식 음식물 처리기(100)의 정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간접 가열식 음식물 처리기(100)는 투입된 음식물을 가열하도록 내측 하부 면에 제1가열장치(115)가 구 비된 용기 형상의 본체부(110), 본체부(110)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공기가 유통되도록 흡기부(124)와 배기부(127)가 구비된 덮개부(120), 본체부(110)의 내측에 설치되어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건조함(130), 본체부(110)와 내부건조함(130) 사이에 구비되어 제1가열장치(115)에서 발생된 열을 내부건조함(130)에 전달하는 열전달부(140)를 포함한다.
본체부(110)는 원통형 또는 다면체의 용기 형상일 수 있다. 본체부(110)의 하부면 또는 옆면은 일정 두께의 내열성 물질로 형성된다. 본체부(110)는 음식물 쓰레기에 열을 가하여 습기를 제거하는 경우 투입된 열에 그대로 노출되므로, 고온에 견딜 수 있는 내열성 물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열 경화성 수지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체부(110)의 내측 하부 면에는 제1가열장치(115)가 설치될 수 있다. 가열장치로써 가열판이나 가열선이 구비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가열판인 것을 설명한다. 제1가열장치(115)로는 전기 또는 가스를 이용하는 히터가 이용될 수 있다. 특히 PTC히터, 코일히터, 씨즈히터가 이용될 수 있다. 제1가열장치(115)의 작동으로 인하여 본체부(110)의 하부면은 가열되고, 본체부(110)의 내측에 구비되는 열 전달부(140)에 의해 다른 용기 또는 물질에 열이 전달될 수 있다.
제1가열장치(115)는 전원공급부(미도시)와 바이메탈(미도시)에 의해 접속될 수 있다. 바이메탈은 열팽창계수가 매우 다른 두 종류의 얇은 금속판을 포개어 붙여 한장으로 만든 막대 형태의 부품을 의미한다. 제1가열장치(115)가 일정온도 이상이 된다면 바이메탈이 작동하여 전원공급부(미도시)와의 접촉 상태를 해제하고, 제1가열장치(115)가 일정온도 이하가 된다면 바이메탈이 원상태로 되므로 전원공급부(미도시)와 접촉될 것이다. 즉, 바이메탈은 제1가열장치(115)의 온도가 급격하게 상승하는 경우 제1가열장치(115)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따뜻한 공기는 위로 올라간다는 공기 대류 원리에 의하여 본체부(110) 내부 하측 면에서 가열된 공기는 본체부(110)의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제1가열장치(115)는 본체부(110)의 측면에도 설치될 수 있으며, 본체부(110)의 형상을 따라 넓게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체부(110)의 내 측면 또는 덮개부(120)의 내측면에는 온도센서(117)가 구비되고, 본체부(110)의 외 측면에는 온도센서(117)에 의해 측정된 온도가 표시될 수 있도록 표시부(118)가 구비된다. 표시부(118)로는 주로 액정표시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본체부(110)의 내부온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1 또는 도 2에서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온도센서(117) 또는 제1가열장치(115)와 연결되어 본체부(110) 내부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제어부(미도시)는 온도센서(117)에 의해 측정된 본체부(110) 내부의 온도와 바람직한 작동 온도를 서로 비교하여 제1가열장치(115)를 작동 또는 정지시킬 수 있다. 보통 제어부는 제1가열장치(115)의 온도가 145~150℃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물론 이 경우 사용자가 제어부(미도시)를 통하여 원하는 온도를 설정하도록 본체부(110)의 외부면에는 조작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부(120)는 본체부(110)의 상부에 설치되고 본체부(110)의 내부와 외부 사이에서 공기가 유통될 수 있도록 흡기부(124)와 배기부(127)가 구비된다.
흡기부(124)는 덮개부(120)에 형성된 흡기구멍(122)과 흡기구멍(122) 근처에 구비된 흡기팬(123)으로 구성된다. 흡기부(124)는 덮개부(120)의 상부면 또는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흡기부(124)가 덮개부(120)의 상부면에 구비된 상태를 설명한다.
흡기구멍(122)은 공기가 충분히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이면 족하므로 다수 개의 작은 구멍일 수 있다. 흡기팬(123)은 외부로부터 본체부(110)의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장치로서, 흡기 팬(123)에 의하여 본체부(1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본체부(110)의 하측을 항하여 이동하게 된다. 이때 본체부(110)의 하부면은 제1가열장치(115)에 의하여 가열된 상태이므로, 투입된 공기는 열을 전달받고 다시 본체부(110)의 상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배기부(127)는 덮개부(120)의 내측 면으로부터 외부 측면까지의 공간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배기관(125)과 배기관(125)의 경로 상에 설치된 배기팬(126)으로 구성된다. 배기관(125)은 본체부(110) 내부에서 가열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가열된 공기가 배출될 정도이면 족하므로 여러 개의 좁은 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배기팬(126)은 강제적으로 본체부(11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므로 본체부(110) 내부의 공기가 배기관(125)을 쉽게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물론 배기부(127)는 본체부(110) 또는 덮개부(120)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흡기팬(123)과 배기팬(126)은 빠른 유속의 공기에 접하므로 내마모성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좋다.
도 1과 도 2에서 도시된 내부건조함(130)은 본체부(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본체부(110)에 바로 음식물 쓰레기를 담는 경우 본체부(110) 내측 하부 면에 구비된 제1가열장치(115)에 의해 가열된 음식물 쓰레기는 본체부(110)의 내부면에 눌러 붙을 수 있고, 본체부(110)의 내부 면이 쉽게 손상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를 별도로 담아 처리할 수 있는 내부건조함(130)이 필요하다. 내부건조함(130)은 본체부(110)와 마찬가지로 다면체 또는 원통형의 용기 형상일 수 있다.
내부건조함(130)은 열 전도성이 강한 알루미늄으로 형성될 수 있고, 열 전도성이 좋은 다른 금속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내부건조함(130)의 표면을 보호하고 음식물이 눌러 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테프론(Tefron) 코팅을 할 수 있다.
열전달부(140)는 본체부(110)와 내부건조함(130) 사이에 구비되어 본체부(110)의 내측 하부 면에 설치된 제1가열장치(115)로부터 발생 되는 열을 내부건조함(13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열전달부(140)는 내부건조함(130)의 형상에 따라 그 모양이 달라 지게 되고, 구리 또는 은으로 구성된 판 형상인 것이 일반적이다. 구리나 은 모두 열전도성이 좋으나, 가격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열전달부(140)는 완전한 판 형상 또는 중앙부분에 구멍이 형성된 판 형상일 수 있다. 본체부(110)와 내부건조함(130) 사이에 열전달부(140) 이외의 다른 부품이 추가되는 경우 중앙부분에 구멍이 형성된 판이 사용될 것이다.
본체부(110)와 덮개부(120)는 열경화성 수지와 같은 내열성 물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좋다. 제1가열장치(115)에 의해서 지속적인 열을 공급받으므로 쉽게 변형되지 않은 재료로 만들어져야 할 것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간접 가열식 음식물 처리기(100)에는 내부 건조함(130)이 본체부(110)의 내측 공간에 설치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건조함 감지센서(11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건조함 감지센서(116)는 본체부(110)의 일 측에 구비될 수 있고, 내부 건조함(130)이 장착되는 경우에만 간접 가열식 음식물 처리기(100)가 작동되도록 제어부(미도시)에 신호를 보내게 된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간접 가열식 음식물 처리기(100)에 있어서 본체부(110)와 접하는 덮개부(120)의 외부면에는 열림방지부재(11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간접 가열식 음식물 처리기(100)는 열림방지부재(112)가 잠금 상태일 때만 작동하고, 열림방지부재(112)가 열림 상태일 때는 작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열림방지부재(112)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작동 가능하고, 본체부(110)에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을 중심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간접 가열식 음식물 처리기(100)의 작동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덮개부(120)를 열어 본체부(110)의 내측에 구비된 내부건조함 (130)에 음식물 쓰레기를 넣고 간접 가열식 음식물 처리기(100)를 작동하게 된다. 이후 제1가열장치(115)가 작동됨으로써 본체부(110)와 내부건조함(130)은 가열되고 내부건조함(130)에 쌓인 음식물 쓰레기에 열이 전달되어 수분이 증발되도록 한다.
어느 정도 본체부(110) 내부가 가열되면 흡기팬(123)이 작동하고 외부공기가 흡기구멍(122)을 통하여 본체부(110) 내부로 유입된다. 본체부(110)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유동경로를 A로 표시한다. 내부건조함(130)에 쌓인 음식물 쓰레기가 건조되면서 발생하는 각종 유해 가스와 악취는 흡기구멍(122)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와 섞이게 되고, 유입 공기의 온도는 상승하게 된다.
따뜻한 공기는 윗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므로 각종 가스와 악취를 함유한 공기는 덮개부(120)를 향하여 유동된다. 이 후 상승 된 공기는 배기팬(126)의 작동으로 인하여 배기관(125)을 따라 외부로 방출된다.
방출된 공기는 각종 유해 가스와 악취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그대로 대기 중으로 방출된다면 환경 오염 및 사용자의 건강을 해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를 정화하는 과정이 필수적이다. 특히 황화수소와 같은 산성계 가스와 암모니아와 같은 염기성계 가스는 인체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방출된 공기의 유해가스와 악취가 제거되도록 1차 탈취 필터와 2차 탈취 필터를 구비하고, 이를 통과시킨다.
탈취하는 방법에 있어서, 활성탄흡착법, 약액세정법, 미생물탈취법, 오존산화법 등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촉매를 이용한 탈취방법이 많이 사용된다.
1차 탈취 필터와 2차 탈취 필터는 포함된 구성요소와 사용된 촉매를 다르게 하여 각각 다른 종류의 유해가스를 제거하도록 한다. 1차 탈취 필터와 2차 탈취 필터에는 고온에서 탈취 효율을 높이기 위한 촉매와 저온에서 탈취 효율을 높이기 위한 촉매를 첨가한다. 보통 고온에서 탈취 효율이 높은 촉매에는 백금, 파라듐, 로 듐, 망간, 구리 등이 해당되고 휘발성 유기화합물(VOC)가 제거된다.
1차 탈취 필터와 2차 탈취 필터를 통과한 공기는 유해 가스와 악취가 제거되고 대기중으로 방출된다.
도 3은 동력공급장치(250)가 더 구비된 간접 가열식 음식물 처리기(200)의 정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또는 2에서 나타낸 실시 예와 동일한 부분은 그 설명 중 일부를 생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간접 가열식 음식물 처리기(200)는 투입된 음식물을 가열하도록 내측 하부 면에 제1가열장치(215)가 구비된 용기 형상의 본체부(210), 본체부(210)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공기가 유통되도록 흡기부(224)와 배기부(227)가 구비된 덮개부(220), 본체부(210)의 내측에 설치되어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건조함(230), 본체부(210)와 내부건조함(230) 사이에 구비되어 제1가열장치(215)에서 발생된 열을 내부건조함(230)에 전달하는 열전달부(240)를 포함한다.
본체부(210)는 내측 하부면 중앙에 동력공급장치(250)가 구비될 수 있고, 동력공급장치(250)는 내부건조함(230)의 밑면과 연결부재(255)에 의해 연결된다.
동력공급장치(250)로는 모터나 전동기가 사용될 수 있고, 동력공급장치(250)에 연결된 연결부재(255)는 동력공급장치(25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연결부재(255)의 일단에 부착된 내부건조함(230)도 같이 회전하게 된다.
본체부(210) 내측에 구비된 내부건조함(230)이 회전하기 위해서는 본체 부(210)의 내부공간과 내부건조함(230) 모두 원통형의 용기 형상이어야 할 것이다.
내부건조함(230)은 제1가열장치(215)로부터 전달받은 열에 의하여 가열되고 동력공급장치(250)로부터 공급받은 동력에 의하여 회전된다. 이에 따라 흡기부(224)의 흡기팬(223)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는 좀 더 쉽게 유동되고 배기관(225)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것이다. 즉, 유해가스 제거 및 탈취의 효율이 더 좋아진다고 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간접 가열식 음식물 처리기(300)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나타낸 간접 가열식 음식물 처리기(300)의 정단면도이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간접 가열식 음식물 처리기(300)는 투입된 음식물을 가열하도록 내측 하부 면에 제1가열장치(315)가 구비된 용기 형상의 본체부(310), 본체부(310)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공기가 유통되도록 흡기부(324)와 배기부(327)가 구비된 덮개부(320), 본체부(310)의 내측에 설치되어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건조함(330), 본체부(310)와 내부건조함(330) 사이에 구비되어 제1가열장치(315)에서 발생된 열을 내부건조함(330)으로 전달하는 열전달부(340), 흡기부(324)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흡기부(324)를 통과하여 본체부(310)로 유입되는 공기에 열을 공급하는 제2가열장치(328)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과 중복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중복되지 않은 구성요소인 제2가열장치(328)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가열장치(328)는 PTC히터, 코일히터, 씨즈히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 중 PTC 히터는 세라믹 소자의 일종인 PTC 소자를 이용한 히터로써 PTC 소자는 온도가 올라가면 일정 온도에서 급격히 저항이 올라가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PTC 히터는 일정온도 이상으로 올라가면 PTC 소자 내부의 저항이 커져 전류가 줄어들고 이에 따라 발열량이 줄어서 온도가 떨어지게 된다. 이로 인하여 저항이 작아지면 전류가 늘어나고 이에 따라 발열량이 늘어서 온도가 높아지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일정한 온도로 제어가 된다. PTC히터는 세라믹 자체 특성으로 최고 온도가 230℃ 이하로 되도록 한다.
제2가열장치(328)로서 PTC히터를 사용하는 경우, 흡기부(324)를 통과한 외부공기는 PTC히터를 거치면서 항상 일정한 열을 공급받게 되고 본체부(310) 내부로 공급된다.
물론 제1가열장치(315)에 의하여 본체부(310) 내부와 내부 건조함(330)이 가열되어 음식물 쓰레기가 가열되지만, 음식물 쓰레기의 상부는 상대적으로 덜 가열되어 완전히 건조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PTC히터를 흡기부(324)의 내측면에 설치하면 흡입 공기가 일정온도로 가열되어 본체부(310) 내부로 공급되므로 음식물 쓰레기가 고르게 가열되어 더 효율적일 것이다.
도 4 와 도 5를 참조하면 배기부(327)는 덮개부(320)의 내부 면으로부터 외부 측면까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배기관으로 구성된다.
도 6은 동력공급장치(450)가 더 구비된 간접 가열식 음식물 처리기(400)의 정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간접 가열식 음식물 처리기(400)는 투입된 음식물을 가열하도록 내측 하부 면에 제1가열장치(415)가 구비된 용기 형상의 본체부(410), 본체부(410)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공기가 유통되도록 흡기부(424)와 배기부(427)가 구비된 덮개부(420), 본체부(410)의 내측에 설치되어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건조함(430), 본체부(410)와 내부건조함(430) 사이에 구비되어 가열판(415)에서 발생된 열을 내부건조함(430)에 전달하는 열전달부(440), 흡기부(424)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흡기부(424)를 통과하여 본체부(410)로 유입되는 공기에 열을 공급하는 제2가열장치(428)를 포함한다
제2가열장치(428)로는 PTC히터, 코일히터, 씨즈히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흡기부(424)를 통과한 외부공기는 제2가열장치(428)를 거치면서 항상 일정한 열을 공급받게 되고 본체부(410) 내부로 공급된다.
본체부(410)는 내측 하부면 중앙에 동력공급장치(450)가 구비될 수 있고, 동력공급장치(450)는 내부건조함(430) 밑면과 연결부재(455)에 의해 연결된다.
동력공급장치(450)는 모터나 전동기가 사용될 수 있고, 동력공급장치(450)에 연결된 연결부재(455)는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연결부재(455)의 일단에 부착된 내부건조함(430)도 같이 회전하게 된다.
흡기부(424) 내측면에 설치된 제2가열장치(428)에 의하여 유입공기가 가열되고 본체부(410)의 내측 하부 면에 구비된 제1가열장치(415)에 의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하부와 본체부(410) 내부 공기가 가열되므로 음식물 쓰레기를 효율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간접 가열식 음식물 처리기(100)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나타낸 간접 가열식 음식물 처리기(100)의 정단면도,
도 3은 동력공급장치(250)가 더 구비된 간접 가열식 음식물 처리기(200)의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간접 가열식 음식물 처리기(300)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나타낸 간접 가열식 음식물 처리기(300)의 정단면도, 및
도 6은 동력공급장치(450)가 더 구비된 간접 가열식 음식물 처리기(400)의 정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300, 400 : 간접 가열식 음식물처리기
110, 210, 310, 410 : 본체부 112, 212, 312, 412 : 열림방지부재
115, 215, 315, 415 : 제1가열장치 116, 216, 316, 416 : 건조함감지센서
117, 217, 317, 417 : 온도센서 120, 220, 320, 420 : 덮개부
122, 222, 322, 422 : 흡기구멍 123, 223, 323, 423 : 흡기팬
124, 224, 324, 424 : 흡기부 125, 225 : 배기관
126, 226 : 배기팬 127, 227, 327, 427 : 배기부
130, 230, 330, 430 : 내부건조함 140, 240, 340, 440 : 열전달부
250, 450 : 동력공급장치 255. 455 : 연결부재
328, 428 : 제2가열장치

Claims (16)

  1. 투입된 음식물을 가열하도록 내측 하부 면에 제1가열장치가 구비된 용기 형상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공기가 유통되도록 흡기부와 배기부가 구비된 덮개부;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건조함;
    상기 본체부와 내부건조함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가열장치에서 발생된 열을 상기 내부건조함으로 전달하는 열전달부; 및
    상기 흡기부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흡기부를 통과하여 상기 본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열을 공급하는 제2가열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흡기부는 상기 덮개부에 형성된 흡기구멍과 상기 흡기구멍에 구비된 흡기팬을 구비하고, 상기 제2가열장치는 상기 흡기구멍 및 흡기팬의 직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흡기구멍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여 하방으로 유동하게 하며,
    상기 본체부는 내측 하부면 중앙에 상기 내부건조함을 회전시키는 동력공급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가열식 음식물 처리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열장치 또는 제2가열장치는 히터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가열식 음식물 처리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내부건조함은 원통형의 용기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가열식 음식물 처리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내측면 또는 상기 덮개부의 내측면에 온도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가 표시될 수 있도록 표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가열식 음식물 처리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부는 상기 덮개부에 형성된 흡기구멍과 상기 흡기구멍 근처에 구비된 흡기팬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가열식 음식물 처리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부는 상기 덮개부의 내부 면으로부터 외부 면까지 관통되도록 형성된 배기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가열식 음식물 처리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부는 상기 배기관의 경로 상에 설치된 배기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가열식 음식물 처리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건조함은 알루미늄으로 형성되고, 테프론 코팅이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가열식 음식물 처리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부는 구리 또는 은으로 구성된 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가열식 음식물 처리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부는 본체부의 내측 하부 면과 상기 내부건조함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가열식 음식물 처리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공급장치는 상기 내부건조함의 밑면과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가열식 음식물 처리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덮개부는 열경화성 수지계 내열성 물질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가열식 음식물 처리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 건조함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는 건조함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가열식 음식물 처리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접하는 상기 덮개부의 외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에 상기 덮개부를 고정할 수 있는 열림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가열식 음식물 처리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열장치와 전원공급부 사이에는 바이메탈이 구비되고, 상기 바이메탈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제1가열장치와 상기 전원공급부가 서로 접속 또는 비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가열식 음식물 처리기.
KR1020080025801A 2007-11-30 2008-03-20 간접 가열식 음식물 처리기 KR101038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8/005214 WO2009069883A1 (en) 2007-11-30 2008-09-04 Indirect heating food and drink treat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123849 2007-11-30
KR1020070123849 2007-1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6774A KR20090056774A (ko) 2009-06-03
KR101038593B1 true KR101038593B1 (ko) 2011-06-03

Family

ID=40988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5801A KR101038593B1 (ko) 2007-11-30 2008-03-20 간접 가열식 음식물 처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85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0904A (ko) 2020-12-23 2022-06-30 주식회사 라움 가열식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9263B1 (ko) * 2018-06-25 2019-10-31 이기호 로션 온열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4136A (ja) * 1994-04-25 1995-11-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生ゴミ処理装置
JPH08121958A (ja) * 1994-10-20 1996-05-17 Kyushu Hitachi Maxell Ltd 厨芥処理装置
KR100710028B1 (ko) 2006-09-11 2007-04-20 풍남산업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20080049588A (ko) * 2006-11-30 2008-06-04 신요산교가부시키가이샤 휴대용 탁상 음식물 쓰레기 건조 처리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4136A (ja) * 1994-04-25 1995-11-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生ゴミ処理装置
JPH08121958A (ja) * 1994-10-20 1996-05-17 Kyushu Hitachi Maxell Ltd 厨芥処理装置
KR100710028B1 (ko) 2006-09-11 2007-04-20 풍남산업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20080049588A (ko) * 2006-11-30 2008-06-04 신요산교가부시키가이샤 휴대용 탁상 음식물 쓰레기 건조 처리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0904A (ko) 2020-12-23 2022-06-30 주식회사 라움 가열식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20220110702A (ko) 2020-12-23 2022-08-09 주식회사 라움 음식물쓰레기를 건조 및 분쇄하는 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6774A (ko) 2009-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1041B1 (ko) 음식물 처리기의 필터 장치
KR100626590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101038593B1 (ko) 간접 가열식 음식물 처리기
KR20130107101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893632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138500B1 (ko) 탈습장치를 구비한 음식물 처리기
KR101308156B1 (ko) 음식물처리기의 탈취장치
KR101505569B1 (ko) 음식물 처리기의 탈취 장치 및 탈취 방법
KR100666733B1 (ko) 음식물쓰레기처리기 작동시 발생되는 악취와 응축수를제거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100051507A (ko) 저온 촉매를 구비한 음식물 처리기
KR101422846B1 (ko) 간접 가열식 음식물 처리기
WO2009069883A1 (en) Indirect heating food and drink treatment
KR20090100085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90078609A (ko) 간접 가열식 음식물 처리기
KR20110130583A (ko) 탈취부에 히터를 장착한 음식물 처리기
KR20090032438A (ko) 탈취성능 향상된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KR200349080Y1 (ko) 음식물쓰레기처리기 작동시 발생되는 악취와 응축수를제거하는 장치
KR20090042387A (ko)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KR200158821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422849B1 (ko) 탈습장치를 구비한 내부순환형 음식물 처리기
JPH09108325A (ja) 吸着式脱臭装置
KR200331351Y1 (ko) 독립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00003443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551334B1 (ko) 음식물쓰레기 건조탄화장치 및 건조탄화장치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건조탄화방법
KR20090042382A (ko)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