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36933B1 -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6933B1
KR101036933B1 KR1020100072554A KR20100072554A KR101036933B1 KR 101036933 B1 KR101036933 B1 KR 101036933B1 KR 1020100072554 A KR1020100072554 A KR 1020100072554A KR 20100072554 A KR20100072554 A KR 20100072554A KR 101036933 B1 KR101036933 B1 KR 101036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eed oil
skin
oil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2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
김진
Original Assignee
김진
김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 김인 filed Critical 김진
Priority to KR1020100072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69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6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693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항균 성분과 비타민이 풍부한 천연 오일로만 제조하여 피부의 촉진작용, 미백화 작용, 피부 트러블 개선, 근본적인 개선(검버섯등 피부 노화흔적, 넓은 모공, 다크서클,블렉헤드등의 근본적인 개선)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발휘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화장료 조성물{(Multi-Functional 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에 관 한 것으로, 특히 비타민이 풍부한 천연 오일로만 제조하여 피부의 촉진작용, 미백화 작용, 피부 트러블 개선, 근본적인 개선(검버섯등 피부 노화흔적, 넓은 모공, 다크서클,블렉헤드등의 근본적인 개선)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발휘하게 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트러블의 외적 요인으로는 햇빛(오존층의 파괴로 지표에 도달하는 자외선의 함량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임), 풍우, 한랭, 환경오염의 심화로 오는 외적 스트레스 및 부적당한 화장품의 사용 등이 있으며, 또한 피부의 내적 요인으로는 신진대사를 조절하는 각종 호르몬의 분비가 감소하고 면역 세포의 기능과 세포들의 활성이 저하되어 생체에 필요한 면역 단백질 및 생체 구성 단백질들의 생합성이 줄어들거나, 피부의 혈액순환이 나쁘거나 영양이 불충분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피부의 두께가 감소하고, 주름이 증가하며, 피부 탄력이 감소 될 뿐만 아니라 여드름, 검버섯과 같은 노화흔적, 넓은 모공, 다크써클 블랙 헤드 등이 생기는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그런데 현재 시판 중인 화장품은 남녀를 불문하고 그 기능이 한정되어 있는 관계로 인하여 피부 개선을 위해서는 각각의 기능에 맞는 화장품을 구입하여 사용해야 만 한다. 그러나 각각의 화장품의 사용은 경제적, 시간적인 낭비는 물론이거니와 여러 가지 화장품들의 복합사용으로 부작용을 유발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국내 공개번호 10-2009-0099913호, 다기능화장 품 조성물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제반 결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개발한 것으로, 골이 깊게 패이고 늘어지고 쳐진 피부를 촉진시켜 젊은 피부를 유지하게 하는 "피부 촉진작용 기능", 검어지고 칙칙해진 피부를 맑고 투명하게 하는 "미백화 작용 기능", 여드름 후유증으로 인한 피부의 피지 제거 작용 및 매끈화를 촉진하는 "피부 트러블 개선 기능", 검버섯 등 피부노화흔적,넓은 모공,다크서클,블랙헤드 등의 "개선기능"과 같은 기능들을 복합적으로 갖게 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 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청구항 1기재의 해바라기씨오일(Helianthus Annuus (Sunflower) Seed Oil)을 주 함량으로 하여 호호바씨오일(Simmondsia Chinensis (Jojoba) Seed Oil), 마카다미아씨오일(Macadamia Integrifolia Seed Oil), 측백 나뭇잎&씨오일(Oriental Arborvitae Leaf & Seed Oil),아보카도오일(Persea Gratissima (Avocado) Oil),유차나무씨오일(Camellia Oleifera Seed Oil),메도우폼씨오일(Limnanthes Alba (Meadowfoam) Seed Oil),하이드로제네이티드 C6-14올레핀폴리머(Hydrogenated C6-14 Olefin Polymers),스쿠알란(Squalane), 토코페릴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아스코빌테트라이소팔미테이트(Ascorbyl Tetraisopalmitate)로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해바라기씨오일은 49중량%, 호호바씨오일은 5중량%, 마카다미아씨오일은 3중량%, 측백 나뭇잎&씨오일은 10중량%, 아보카도오일,유차나무씨오일 및 메도우폼씨오일은 각각 1중량%, 하이드로제네이티드C6-14올레핀폴리머는 20중량%, 스쿠알란은 5중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는 3중량%, 아스코빌테트라이소팔미테이트는 2중량% 함유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해바라기씨오일(Helianthus Annuus (Sunflower) Seed Oil)은, 피부의 혈액순환 및 피부의 재생 촉진기능, 피부에 보호막 형성으로 인한 피부를 촉촉하게 하는 보습작용에 의한 피부 노화 예방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첨가하였다. 해바라기씨오일에는 리놀렌산과 필수지방산, 비타민E와 아울러 세포의 구성 성분인 레시틴을 함유하고 있어, 위와 같은 기능을 발휘 한 다.
상기 호호바씨오일(Simmondsia Chinensis (Jojoba) Seed Oil)은, 사막지대에서 자라는 호호바(관목)에서 추출한 유상의 원액으로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호호바씨오일의 첨가는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한 식물성 오일이므로 피부 보호에 의한 피부의 수분 조절 기능을 부여하기 위함이다. 즉, 호호바 오일은 화학적 구조가 사람의 피지와 매우 유사하여 표피를 통하여 밖으로 빠져나가는 수분의 손실을 감소시켜 피부를 윤기 있고 부드럽게 해주다. 특히 건조하고 예민한 피부에 좋다.
상기 마카다미아씨오일(Macadamia Integrifolia Seed Oil)은 원산지가 호주 로서, 냄새가 없고 투명 또는 약간의 노란색을 띠고 있다. 주성분은 올레인산으로 피부 노화를 막아주는 기능을 하며, 20%를 차지하는 Pamitoleic 산(acid)은 다른 식물성 오일 중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지방산으로 사람의 피지에서 발견되는 것인데, 피부의 피지구조와 매우 유사하여 피부에 유연 효과를 주는 탁월한 기능이 있다. 마카다미아씨오일의 첨가는 피부의 유연 기능, 피부의 진정 기능 및 같이 첨가되는 원료들의 피부 흡수를 용이하게 하는 운송(carrier)기능을 갖게 함이다.
상기 측백 나뭇잎과 씨오일(Oriental Arborvitae Leaf & Seed Oil)에는 포름알데히드 제거에 탁월한 "피톤치드"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첨가 이유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 기능을 하기 위함이다.
상기 아보카도오일(Persea Gratissima (Avocado) Oil)은, 밀림의 버터라는 별명을 갖는 만큼 고대 문명인들에 의해 추출되어 사용된 대표적인 미용 오일 중의 하나이다. 정제되지 않은 오일은 녹색을 띄는 반면, 정제된 오일은 연노랑 색이다. 이 오일에는 올레산, 리놀레산 등의 트리글리세라이드, 비타민A, 비타민E를 함유하고 있다. 이들 성분이 민감한 피부를 진정시켜주고, 피부의 수분과 부드러움을 유지시키며 결합조직의 콜라겐을 활성화시키는 작용을 하여 노화된 피부에 우수한 기능을 한다. 아보카도오일의 첨가는 피부재생기능, 피부보습유지기능, 각질치유 기능, 피부 연화 기능을 갖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유차나무씨오일(Camellia Oleifera Seed Oil)은 동백나무의 열매를 가압하여 추출한 오일인데, 오일의 제조는 공지된 기술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유차나무씨오일은 끈적임이 없고, 보습효과가 좋은 올레인산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피부를 진정시키는 효과가 있고, 또한 비타민 A,E를 함유하여 피부의 수분 손실을 막아 노화피부 및 건성피부에도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 매우 뛰어난 피부와의 친화력으로 피부의 과민반응을 완화시키는 효과를 부여하여 아토피 및 알레르기성 피부에도 사용할수 있는 효과를 갖게 한다.
상기 메도우폼씨오일(Limnanthes Alba (Meadowfoam) Seed Oil)은 림넨티스알바(LimnanthesAlba)의 식물의 씨앗에서 얻는 오일인데, 이 오일은 피부노화 예방 및 지연작용, 피부진정 작용, 보습작용을 하기 위하여 첨가한다. 즉, 메도우폼씨오일은 천연토코페롤을 함유하고 있어 자체적으로 피부 노화 예방 및 지연 작용을 하는 항산화 작용을 하며, 또한 피부 유연효과가 우수하고,건성 피부에 매끄러운 감촉을 주며, 수분손실을 방지해주는 막을 형성하여 보습을 유지시켜 준다.
상기 하이드로제네이티드 C6-14올레핀폴리머(Hydrogenated C6-14 Olefin Polymers)의 첨가 이유는 주재료들이 피부에 침투가 잘되도록 하기 위한 캐리어(Carrier,운송작용)기능 및 점도 조절과 아울러 피부 보습 및 유연 작용을 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스쿠알란(Squalane)은 심해 상어의 간유에서 얻어지는 스쿠알렌에 수소를 첨가하여 얻어지는 물질인데, 첨가 이유는 피부에 대하여 유연작용, 보습작용 및 영양공급을 주기 위함이다. 즉, 스쿠알란은 자극이 없고 피부 지질과 친화성이 좋아 피부에 수분과 영양을 공급하므로 피부를 항시 부드럽게 유지시켜 준다.
상기 토코페릴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는 일명 "비타민-E 아세테이트 "라고도 할 정도로 비타민E가 주성분인 식물성 오일이다. 첨가 이유는 피부의 혈액 순환 촉진, 피부재생 및 보습 기능을 갖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토코페릴아세테이트는 식물성 오일에서 얻는 것으로, 피부 세포막을 외부 침입으로부터 방어하는 작용을 한다. 이러한 방어작용은 자외선, 오염물질, 노화 등의 요인으로 피부가 손상되는 것을 막아주는 항산화작용을 하고, 피부 속 깊은 곳까지 보습을 주어서 피부의 거칠음을 방지하고, 피부 염증을 억제한다.
상기 아스코빌테트라이소팔미테이트(Ascorbyl Tetraisopalmitate)는 수용성 비타민 C를 지용성 유도체로 바이오 기법을 이용하여 제조하는 것으로, 첨가 이유는 피부 미백, 탄력 및 보습기능을 갖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아스코빌테트라이소팔미테이트는 진피 내에 흡수가 되어 콜라겐과 엘라스틴조직을 재구성함으로써 우수한 미백 작용을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예를 들면, 유연화장수(스킨), 영양화장수(밀크로션),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엣센스, 팩 등이 될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파우더,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류(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등),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바디로션 등과 같은 화장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골이 깊게 패이고 늘어지고 쳐진 피부를 촉진시켜 젊은 피부를 유지하게 하고, 또 검어지고 칙칙해진 피부를 맑고 투명하게 하며, 여드름 후유증으로 인한 피부의 피지 제거 작용 및 매끈화를 촉진하며, 검버섯 등 피부노화흔적,넓은 모공,다크서클,블랙헤드 등을 개선하는 효과를 갖게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하기 표1과 같은 비율로 조성된다.
삭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성분 및 함량
원료 명 함량

해바라기씨 오일(Helianthus Annuus (Sunflower) Seed Oil)

49중량%

호호바씨오일(Simmondsia Chinensis (Jojoba) Seed Oil)

5중량%

마카다미아씨오일(Macadamia Integrifolia Seed Oil)

3중량%

측백 나뭇잎&씨오일(Oriental Arborvitae Leaf & Seed Oil)

10중량%

아보카도오일(Persea Gratissima (Avocado) Oil)

1중량%

유차나무씨오일(Camellia Oleifera Seed Oil)

1중량%

메도우폼씨오일(Limnanthes Alba (Meadowfoam) Seed Oil)

3중량%
하이드로제네이티드 C6-14올레핀폴리머(Hydrogenated C6-14 Olefin Polymers)
20중량%

스쿠알란(Squalane)

5중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3중량%

아스코빌테트라이소팔미테이트(Ascorbyl Tetraisopalmitate)

2중량%
상기 표1에서 오일은 일반적인 압착기 등을 이용하여 씨로부터 오일을 추출하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씨로부터 오일 추출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스쿠알란(Squalane)은 심해 상어의 간유에서 얻어지는 스쿠알렌에 수소를 첨가하여 얻어지는 물질이며, 토코페릴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는 식물오일에서 얻은 비타민-E이고, 아스코빌테트라이소팔미테이트는 수용성 비타민 C를 지용성 유도체로 바이오 기법을 이용하여 제조한 것이다.
이렇게 각각 얻은 원료는 기 준비한 교반기 내에, 상기 표1과 같이 20중량%의 하이드로제네이티드C6-14올레핀폴리머와 그리고 49중량%의 해바라기씨오일을 투입하여 교반 한다. 이때 교반기의 회전속도는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1000RPM으로 유지하면서 30분 내지 60분 동안 교반 한다. 하이드로제네이티드C6-14올레핀폴리머와 해바라기씨오일은 상기 함량을 투입하되, 보다 균일한 혼합을 위하여 소량씩 투입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1차 혼합 작업이 완료되면, 교반기의 회전수를 500Rpm으로 조절한 후, 상기 표1기재의 나머지 원료들인 호호바씨오일 5중량%, 마카다미아씨오일 3중량%, 측백 나뭇잎&씨오일 10중량%, 아보카도오일1중량%,유차나무씨오일 1중량%, 메도우폼씨오일 1중량%를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30 ~ 60분간 교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상의 화장료를 제조하는데, 화장료는 사용하기 쉽게 앰플(Ampule)형태로 제조된다.
<실시예1>
20중량%의 하이드로제네이티드C6-14올레핀폴리머와 그리고 49중량%의 해바라기씨오일을 기 준비한 교반기에 투입후, 교반기의 회전속도를 1000RPM으로 유지하면서 60분 동안 교반 하여 1차 혼합을 하고, 이어서 교반기의 회전수를 500Rpm으로 조절후, 호호바씨오일 5중량%, 마카다미아씨오일 3중량%, 측백 나뭇잎&씨오일 10중량%, 아보카도오일1중량%,유차나무씨오일 1중량%, 메도우폼씨오일 1중량%를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60분간 교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상의 화장 료를 수득하였다.
<실험예1> 피부 안전성 평가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화장료를 피부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20-30대 건강한 남녀 40명을 대상으로 20일간 폐쇄첩포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대상자의 양팔의 상박부를 70% 이소프로필 알콜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이 부위에 화장용 조성물을 공지의 방법에 따라 폐쇄 첩포하였다. 이때 첩포량은 단위면적당(㎠) 25마이크로리터씩으로 하였고 24시간이 경과후 시험 부위의 피부를 관찰하고 다음날 처음과 같은 방법으로 같은 부위에 동일 물질을 폐쇄첩포를 10회 반복하여 그 결과를 판정하였다. 그 결과 피부 변화는 거의 발견할 수 없었다.
<실험예2> 피부 미백 효과 시험
건강한 남녀 40명의 시험 대상자의 양팔 하박부에 2×2 입방센티미터의 부위를 설정하고 이 부위에만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알루미늄 호일을 팔에 씌우고 10센티미터 거리에서 일본도시바(주)제 FL20S BLB램프 및 FL20S E-30램프 2개를 동시에 0.8×10erg/㎤/회로 1일 1회씩 매일 3회 연속하여 자외선을 조사하였다. 자외선 조사 후 그 조사 부위에 실시예1의 화장료를 하루 3회씩 3주간 도포한 후 기존의 화장료(대조군)를 도포한 부위와의 색소 침착도 차이를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본 발명의 화장료가 도포된 부위는 색소 침착은 거의 없었으나, 대조군에서는 색소 침착이 발생 됨을 육안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3>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 활성 측정
본 발명에 따른 측백나무 잎 및 씨에서 추출한 오일의 항균 활성을 한천 희석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오일류를 시료로 하여 가열 멸균한 브레인 허트 인퓨 전 한천 배지(BHI Agar)에 각종 농도로 희석한 다음, 샤레에 붓고 굳힌 후, 시험균을 도입하여 섭씨 37도에서 혐기 상태로 배양하였다. 48~72시간 배양한 후, 생육상태를 관찰하여 균이 생육하지 않는 최소 농도를 최소저지농도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 MIC)로 하여 하기 표2와 같은 항균력을 결과를 얻었다.
측백나무 잎 및 씨에서 추출한 오일시료의 P. acne bacterium균에 대한 항균활성
시료명 MIC(㎍/㎖ medium)
측백나무 잎 및 씨에서 추출한 오일 90
이상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특히 측백나무 잎 및 씨에서 추출한 오일이 우수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사용시 외부 균으로부터의 항균력을 갖게 하는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4>
측백나무 잎 및 씨에서 추출한 오일을 마이크로캡슐화하여 항균성, 피부자극에 대한 반응을 측정하였다. 또한 피부와 호흡기 계통에 작용함으로써 아토피나 알러지, 알레르기성 비염, 기관지 천식 등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집 먼지 진드기 균에 대한 피톤치드섬유 기피율 실험을 측정하였다.
1)포도상구균 및 폐렴균 살균을 99.9% 이상, 피톤치드 항균섬유를 10회 세탁 후에 포도상구균과 폐렴균을 접종한 후 세균의 제거율을 조사한 결과 하기 표3과 같이 거의 100% 감소율을 보였다.
시험시료 세균제거율(%)
10회 세탁 후 포도상구균 폐렴균
99.9% 이상 99.9%
2)건강한 성인 20명을 대상으로 피톤치드 항균섬유를 1.5㎝×1.5㎝ 크기로 잘라 피부에 부착한 뒤 24시간 후의 피부 변화를 측정한 결과 음성 판정을 받았음. 즉, 피톤치드 항균섬유가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다는 결과를 얻었다.
3)암모니아가스(NH3)가 들어 있는 500㎖의 용기에 10×10㎝ 크기의 피톤치드 항균섬유를 넣은 뒤 암모니아 냄새의 제거율을 측정한 결과, 하기 표4와 같이 30분 후에 84%, 2시간 후에는 89%의 높은 소취율을 나타냈다.
시험기간 소취율(%)
30분 후 84%
60분 후 85%
90분 후 87%
120분 후 89%
4)집먼지진드기 중에서 국내에서 가장 널리 분포된 큰다리 먼지진드기와 세로무늬 먼지진드기를 대상으로 이들이 피톤치드 항균섬유를 얼마나 기피하고 있는지 여부를 세 가지 실험방법(침입저지법,확산저지법,시험관법)을 적용하여 24시간 경과한 뒤, 결과치를 측정하였다. 이 결과 실험방법에 따라 약 85%~95%의 진드기가 피톤치드 마이크로캡슐이 작용하는 섬유를 기피하여 도망간다는 사실이 하기 표5로부터 확인되었다.
집먼지진드기의 피톤치드섬유 기피율(%)
침입저지법 확산저지법 시험관법
큰다리 먼지진드기 83.2~89.4% 84.9~87.9% 92.4~94.2%
세로무늬 먼지진드기 83.4~88.3% 85.9~89.1% 94.9~96.1%
집먼지진드기가 인체에 미치는 해로움은 사체와 배설물의 분진이 피부와 호흡기 계통에 작용함으로써 아토피나 알러지, 알레르기성 비염, 기관지 천식 등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일반 세균들의 경우와는 달리 진드기를 죽이는 것으로는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침대나 카펫 이불 등의 주요 서식처에서 집먼지진드기의 생육을 저해하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이 점에서 측백나무에서 얻어지는 오일에 함유된 피톤치드는 피부에서 항균 기능을 발휘함이 간접적으로 확인되는 것이다.
<실험예 5>: 피부탄력 효과 측정 시험
상기 실시예1에서 제조된 액상의 화장료를 20대~50대 남녀, 20명을 대상으로 피부에 도포하여 피부탄력효과를 측정하였다. 큐토미터 샘-474를 사용하여, 시료 적용 전의 피부 탄력도를 측정하고, 각각의 시료 5㎖/㎠를 상완(腕)부에 도포하였다. 도포후 30분, 2시간, 4시간 경과후의 피부탄력도를 측정하였다. 온도 20℃, 습도 50%로 조절되는 항온, 항습실에서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6과 같았다.
시간 적용전 30분후 1시간후 2시간후
탄력도(㎲) 0.911㎲ 1.002㎲ 1.989㎲ 2.012㎲
표 6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장료를 사용하는 경우 피부탄력에서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의 실험 예들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을 피부에 적용시 주요성분들이 인체의 피부에 항균력 부여와 아울러 영양을 공급하여 얼굴, 목부위,손 등 신체의 모든 주름살 및 늘어진 피부에 재 탄력을 주는 주름살 방지 기능에 따른 노화방지와, 기미, 주근깨, 검버섯과 같은 검어진 피부를 미백하는 미백화 기능과 그리고 여드름과 같은 피부염 개선 기능이 있는 것임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Claims (2)

  1. 하기와 같은 성분들로 조성된 화장료 조성물.
    해바라기씨 오일(Helianthus Annuus (Sunflower) Seed Oil) 49중량%;
    호호바씨오일(Simmondsia Chinensis (Jojoba) Seed Oil) 5중량%;
    마카다미아씨오일(Macadamia Integrifolia Seed Oil) 3중량%;
    측백 나뭇잎&씨오일(Oriental Arborvitae Leaf & Seed Oil)10중량%;
    아보카도오일(Persea Gratissima (Avocado) Oil)1중량%;
    유차나무씨오일(Camellia Oleifera Seed Oil)1중량%;
    메도우폼씨오일(Limnanthes Alba (Meadowfoam) Seed Oil)1중량%;
    하이드로제네이티드 C6-14올레핀폴리머(Hydrogenated C6-14 Olefin Polymers)20중량%;
    스쿠알란(Squalane)5중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3중량%; 및
    아스코빌테트라이소팔미테이트(Ascorbyl Tetraisopalmitate)2중량%
  2. 삭제
KR1020100072554A 2010-07-27 2010-07-27 화장료 조성물 Expired - Fee Related KR1010369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2554A KR101036933B1 (ko) 2010-07-27 2010-07-27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2554A KR101036933B1 (ko) 2010-07-27 2010-07-27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6933B1 true KR101036933B1 (ko) 2011-05-25

Family

ID=44366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2554A Expired - Fee Related KR101036933B1 (ko) 2010-07-27 2010-07-27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693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13799B2 (en) 2014-07-11 2018-03-13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heir use
KR102116482B1 (ko) * 2020-02-27 2020-05-28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안티폴루션 유화물이 담지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48634A (ko) * 2019-10-23 2021-05-04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해바라기씨오일 및 잇꽃씨오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076580A (ko) 2020-11-30 2022-06-08 엘리케이파크 주식회사 선인장꿀 발효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20220076577A (ko) 2020-11-30 2022-06-08 엘리케이파크 주식회사 선인장오일 발효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741A (ja) * 1993-07-14 1995-01-27 Sansho Seiyaku Co Ltd 皮膚外用剤
KR20050011286A (ko) * 2003-07-22 2005-01-29 주식회사 잎스코스메틱 보습제를 이용한 리포좀을 함유한 화장품 조성물
KR20050078683A (ko) * 2004-01-31 2005-08-08 주식회사 잎스코스메틱 레시친과 슈가에스테르를 함유한 나노에멀젼 및 이를포함한 화장품
US20080171030A1 (en) 2005-11-01 2008-07-17 Juice Beauty Compositions for juice-based moisturizer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741A (ja) * 1993-07-14 1995-01-27 Sansho Seiyaku Co Ltd 皮膚外用剤
KR20050011286A (ko) * 2003-07-22 2005-01-29 주식회사 잎스코스메틱 보습제를 이용한 리포좀을 함유한 화장품 조성물
KR20050078683A (ko) * 2004-01-31 2005-08-08 주식회사 잎스코스메틱 레시친과 슈가에스테르를 함유한 나노에멀젼 및 이를포함한 화장품
US20080171030A1 (en) 2005-11-01 2008-07-17 Juice Beauty Compositions for juice-based moisturizers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13799B2 (en) 2014-07-11 2018-03-13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heir use
US10123968B2 (en) 2014-07-11 2018-11-13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heir use
US10231922B2 (en) 2014-07-11 2019-03-19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heir use
US10617633B2 (en) 2014-07-11 2020-04-14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heir use
US11969498B2 (en) 2014-07-11 2024-04-30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heir use
KR20210048634A (ko) * 2019-10-23 2021-05-04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해바라기씨오일 및 잇꽃씨오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24749B1 (ko) * 2019-10-23 2021-11-12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해바라기씨오일 및 잇꽃씨오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16482B1 (ko) * 2020-02-27 2020-05-28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안티폴루션 유화물이 담지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76580A (ko) 2020-11-30 2022-06-08 엘리케이파크 주식회사 선인장꿀 발효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20220076577A (ko) 2020-11-30 2022-06-08 엘리케이파크 주식회사 선인장오일 발효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0307B1 (ko) 수용성 규소가 포함된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36933B1 (ko) 화장료 조성물
CN107811938A (zh) 一种天然茶油面膜及其制备方法
CN107693456A (zh) 一种天然茶油面霜及其制备方法
CN111773122A (zh) 一种具有滋润功效的发热面膜及其制备方法
CN103340798A (zh) 一种天然植物防晒霜及其制备工艺
CN107536721B (zh) 一种皮肤外用剂用组合物及其用途
CN107854403A (zh) 一种洁净保湿润肤霜
CN103006477A (zh) 一种山茶油滋润霜
CN109310724A (zh) 一种用于皮肤和/或头发护理和/或治疗的组合物
KR101530960B1 (ko)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그 화장료
KR101370990B1 (ko) 따나카 발효 추출물을 이용한 열노화 방지 및 피부 개선 조성물
KR101675062B1 (ko) 멜라토닌을 이용한 이중 코팅된 순수 비타민 c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0227050B (zh) 一种抗衰老修护缓释精华液及采用其制备的抗衰老修护面膜
KR20100066822A (ko) 미백용 또는 주름개선용 피부 화장료 조성물
KR100955085B1 (ko) 솔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7496286B (zh) 一种淡化细纹补水滋润型水乳及其制备方法
KR20090103041A (ko) 생약제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667182B1 (ko) 오소리 오일을 함유하는 피부 건조증 개선용 화장료
KR101831756B1 (ko)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눈가 피부용 패치
KR102139597B1 (ko) 초정광천수를 함유하고 피부 보습 효과가 있는 저자극성 유아용 화장료 조성물
Tocai et al. The Formulation of Dermato-Cosmetic Products Using Sanguisorba minor Scop. Extract with Powerful Antioxidant Capacities.
CN107929109B (zh) 一种美白保湿抗皱修复的微乳剂及其制备方法
Dziki et al. Study on Ajuga reptans extracts as potential cosmetic raw materials
KR101690145B1 (ko) 금녹차 추출물 리포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7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0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72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0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5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5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1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1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1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0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228